KR20170109790A - 허브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허브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790A
KR20170109790A KR1020160033819A KR20160033819A KR20170109790A KR 20170109790 A KR20170109790 A KR 20170109790A KR 1020160033819 A KR1020160033819 A KR 1020160033819A KR 20160033819 A KR20160033819 A KR 20160033819A KR 20170109790 A KR20170109790 A KR 20170109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electronic device
list
user input
proto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3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9790A/ko
Priority to US15/455,298 priority patent/US20170277372A1/en
Publication of KR2017010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13Details regarding a bus controller
    • H04L29/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9Special adaptations of TCP, UDP or IP for interworking of IP based networks with other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0/00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6Remotely controlled electronic signs other than lab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4Star or tree networks
    • H04L2012/445Star or tree networks with switching in a hub, e.g. ETHERNET swi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04L2012/6445Admission control
    • H04L2012/6448Medium Access Control [MAC]
    • H04L2012/6454Random, e.g. Eth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3허브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제3허브와 연결된 제1허브 및 제1허브와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2허브에 연결된 장치 목록 정보를 제3허브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장치 목록 정보에 기초하여 제1허브에 통신 연결된 제1전자장치 및 제2허브에 통신 연결된 제2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제1전자장치 및 제2전자장치 중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게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허브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시스템 {DISPLAY APPARATUS FOR CONTROLLING HUB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본 발명은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여러 전자장치를 통신 가능하게 접속시킴으로써 단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허브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각기 상이한 프로토콜 기반의 단위 네트워크들을 상호 연결하는 과정을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구조의 허브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정보를 특정 프로세스에 따라서 연산 및 처리하기 위해, 연산을 위한 CPU, 칩셋, 메모리 등의 전자부품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처리 대상이 되는 정보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에는 범용의 정보를 처리하는 PC나 서버 등의 정보처리장치가 있고, 영상 정보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가 있다. 영상처리장치, 디스플레이장치, 정보처리장치 등 다양한 전자장치는 단일 개체로서 그 자체적으로 사전 부여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복수의 전자장치가 상호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하나의 단위 네트워크의 시스템을 형성하고, 이러한 시스템 하에서 각 전자장치들이 상호 협업함으로써, 단일 개체가 수행할 수 없는 다양한 확장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일반적이고 간단한 예시로는 하나의 가정 내에 구축된 홈 네트워크가 있다. 여기서, 시스템은 통상적인 의미의 전자장치 뿐만 아니라, 전구 등 과 같은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는 개체에 센서 및 통신모듈을 탑재시켜 단위 네트워크 하에 수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개념의 예시로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 있다.
사물인터넷은 센싱 기능 및 통신 기능을 내장한 각종 사물(thing)을 네트워크, 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해 연결시켜 활용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물이라는 것은 네트워크 상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다양한 단위 장치들을 지칭하는 바, 예를 들면 냉장고, 세탁기, 보일러 등의 가전기기나, 전구, 전열기 등의 광열기기나, TV, 셋탑박스 등의 영상처리장치나, 컴퓨터, 모바일 폰, 태블릿과 같은 정보처리장치 등이 있다. 각각의 사물, 즉 각각의 장치들을 하나의 단위 네트워크에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하나의 사물이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나머지의 사물들을 상호 통신 가능하게 접속시켜야 하는 바, 이러한 역할을 하는 사물의 예시로는 허브(hub)가 있다.
그런데, 두 단위 네트워크들이 서로 상이한 프로토콜을 지원한다면, 어느 한 단위 네트워크 하의 사물이 타 단위 네트워크 하의 사물에 가능하게 접속하거나, 또는 이들 두 단위 네트워크에 속하지 않는 사물이 각 단위 네트워크 하의 사물에 접속하는 것은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사물이 서로 상이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각 단위 네트워크 하의 사물들에 대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3허브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제3허브와 연결된 제1허브 및 상기 제1허브와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2허브에 연결된 장치 목록 정보를 상기 제3허브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장치 목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허브에 통신 연결된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허브에 통신 연결된 제2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전자장치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게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제3허브를 통해, 제3허브에 다이렉트로 접속되지 않은 전자장치들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제1허브 및 제2허브가 각기 통신 연결된 전자장치의 목록을 제3허브에 제공함으로써, 제3허브가 해당 전자장치를 개별적으로 등록해야 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환경설정 상태의 설정값을 조정 가능하게 제공하는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UI를 통해 변경된 상기 설정값의 정보를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에 전송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UI를 통해 전자장치의 여러 상태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허브 및 상기 제2허브로부터 상기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전자장치 각각에 관한 설정정보들을 취득하여 상기 제3허브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설정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환경설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각 전자장치에 관한 설정정보들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3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제3허브와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3허브와 연결된 제1허브 및 상기 제1허브와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2허브에 연결된 장치 목록 정보를 상기 제3허브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장치 목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허브에 통신 연결된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허브에 통신 연결된 제2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전자장치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제3허브를 통해, 제3허브에 다이렉트로 접속되지 않은 전자장치들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제1허브 및 제2허브가 각기 통신 연결된 전자장치의 목록을 제3허브에 제공함으로써, 제3허브가 해당 전자장치를 개별적으로 등록해야 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환경설정 상태의 설정값을 조정 가능하게 제공하는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UI를 통해 변경된 상기 설정값의 정보를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UI를 통해 전자장치의 여러 상태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허브 및 상기 제2허브로부터 상기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전자장치 각각에 관한 설정정보들을 취득하여 상기 제3허브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설정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환경설정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각 전자장치에 관한 설정정보들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3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1허브와; 상기 제1허브와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2허브와; 상기 제1허브 및 상기 제2허브에 각기 접속된 제3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3허브는, 상기 제1허브 및 상기 제2허브와 각기 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제1허브 및 상기 제2허브에 연결된 장치 목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장치 목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허브에 통신 연결된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허브에 통신 연결된 제2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전자장치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게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제3허브는 제3허브에 다이렉트로 접속되지 않은 전자장치들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제1허브 및 제2허브가 각기 통신 연결된 전자장치의 목록을 제3허브에 제공함으로써, 제3허브가 해당 전자장치를 개별적으로 등록해야 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허브는 제1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제2허브는 제2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3허브는 상기 제1전자장치 또는 상기 제2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프로토콜 및 상기 제2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한 명령어를 상기 제1프로토콜 및 상기 제2프로토콜 중 다른 하나에 기반한 명령어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허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환경설정 상태의 설정값을 조정 가능하게 제공하는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UI를 통해 변경된 상기 설정값의 정보를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에 전송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UI를 통해 전자장치의 여러 상태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허브 및 상기 제2허브로부터 상기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전자장치 각각에 관한 설정정보들을 취득하여 상기 제3허브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설정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환경설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각 전자장치에 관한 설정정보들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각 허브가 전자장치와, 각기 단위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두 개의 단위 네트워크를 통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허브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각 전자장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UI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2전자장치의 설정 항목들을 나타내는 UI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장치들 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참조하는 바,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복수의 전자장치(200)를 포함한다. 복수의 전자장치(200)는 어느 한 가지로 한정되지 않고 각기 다양한 종류, 형태 및 기능을 가지는 단위 개체 또는 사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200)는 TV, 전자액자와 같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나, 셋탑박스와 같이 직접 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나, 세탁기, 냉장고, 공기조화기와 같은 일반 가전기기나,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와 같은 사무기기나, 전구, 전열기와 같은 기타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200)는 센서가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장치(200)는 여러 가지 종류로 구현될 수 있지만, 타 전자장치(20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공통점을 가진다.
두 대의 전자장치(200)는 peer-to-peer 방식, 즉 1대 1로 상호 접속함으로써 통신할 수도 있다. 다만, 전자장치(200)의 개수가 많아지면 1대 1 접속으로는 여러 가지의 제한이 발생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통신중계장치, 즉 허브(100)가 복수의 전자장치(200)에 대해 각각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허브(100) 하에 접속되는 전자장치(200) 중에서 일 전자장치(200)는 허브(100)를 통해 타 전자장치(200)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나의 허브(100) 및 이에 접속되는 복수의 전자장치(200)들의 그룹을, 편의상 하나의 단위 네트워크라고 지칭한다.
허브(100)는 해당 허브(100)가 속하는 단위 네트워크 내의 전자장치(200)들을 별 형태의 토폴로지 상태로 연결하는 장치이다. 허브(100)는 라우터(미도시)에 접속함으로써, 단위 네트워크보다 상위에 있는 WAN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허브(100)는 단위 네트워크 내에서의 통신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이 가능한 전자장치들 모두 허브(1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TV가 허브(10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허브(100)는 각 전자장치(200)와 통신하는 통신부(110)와, 통신부(110)를 통해 일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되거나 타 전자장치(200)로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2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복수의 전자장치(200)에 개별적으로 접속함으로써, 각 전자장치(2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10)는 기 설정된 통신 규격 기반으로 전자장치(200)와 통신하며, 각 전자장치(200) 별로 상호 접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선 포트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이더넷, 지그비, 와이파이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 규격을 하나 이상 지원함으로써, 해당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전자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신호처리부(120)는 일 전자장치(200)로부터의 신호가 통신부(110)에 수신되면, 해당 신호를 분석하여 신호가 전송되어야 할 전자장치(200)를 판단하고, 신호가 판단한 전자장치(20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10)에 신호를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통신부(110)에 수신되는 신호의 프로토콜 및 해당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서로 상이하면, 신호처리부(120)는 수신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에 맞도록 변환 처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CPU를 비롯한 칩셋 그룹을 포함하거나, 또는 SOC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신호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30)는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등 비휘발성 메모리가 적용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단위 네트워크 내에서 허브(100)는 복수의 전자장치(200)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지원함으로써, 하나의 단위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장치(200)가 상호간에 통신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여기서, 프로토콜의 의미에 관해 간단히 설명한다. 복수의 전자장치(200)가 상호 연동함으로써 하나의 단위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상호 통신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 뿐만 아니라, 상호간에 송수신되는 명령어를 인식 및 처리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하나의 단위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전자장치(200)는 공통되거나 또는 상호 호환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플랫폼에 의해 동작한다. 예를 들어 전송측 전자장치(2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플랫폼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처리한 신호를 허브(100)를 통해 수신측 전자장치(200)로 전송한다. 수신측 전자장치(200)는 전송측 전자장치(200)와 공통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플랫폼을 가지고 있는 바, 수신되는 신호를 인식 및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전자장치(200)가 공통되거나 상호 호환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플랫폼에 의해 동작할 때, 각 전자장치(200)는 공통된 프로토콜 기반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그런데, 시스템의 구현 형태에 따라서는, 시스템 내에 두 개 이상의 단위 네트워크가 존재할 수 있다. 만일 두 단위 네트워크는 각기 상이한 프로토콜에 따르는 경우, 즉 두 단위 네트워크는 각기 상이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플랫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두 단위 네트워크 사이에서는 신호의 인식 및 처리가 곤란하다. 따라서, 이들 두 단위 네트워크가 상호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각 허브(310, 320)가 전자장치(410, 420)와 각기 단위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내에는 제1단위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제1허브(310) 및 제2단위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제2허브(320)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각 단위 네트워크는 하나의 전자장치(410, 4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내지만, 이는 본 실시예를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제로 각 단위 네트워크는 복수의 전자장치(41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어느 한 단위 네트워크가 복수의 전자장치(410, 42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를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전자장치(410)를 제1단위 네트워크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제1전자장치(410)가 제1허브(310)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허브(310)는 제1허브(310)가 지원하는 통신망에서 제1전자장치(410)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1전자장치(410)를 등록한다. 여기서, 제1전자장치(410)의 등록은, 제1허브(310)가 특정 프로토콜 기반으로 제1전자장치(41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접속하여 제1전자장치(410)에 관한 항목을 제1장치목록(311)에 기록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제1장치목록(311)은 제1단위 네트워크에 포함되도록 제1허브(310)에 접속되는 하부 전자장치들의 목록이다. 제1장치목록(311)은 제1전자장치(410)와 같이 제1허브(310)에 접속되는 각 전자장치와, 해당 전자장치의 지원 프로토콜에 관해 기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허브(310)는 제1전자장치(410)가 A 프로토콜 기반으로 동작한다고 할 때, 이러한 정보를 제1장치목록(311)에 저장한다.
이로써, 제1허브(310)는 제1전자장치(410)를 포함하는 제1단위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2허브(320)는 앞선 제1허브(310)의 동작과 유사한 원리에 따라서, 제2전자장치(420)를 포함하는 제2단위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다. 제2허브(320)는 제2전자장치(420)에 관한 항목을 제2장치목록(321)에 기록한다. 예를 들어 제2전자장치(420)가 B 프로토콜 기반으로 동작한다고 할 때, 제2허브(320)는 이러한 정보를 제2장치목록(321)에 저장한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제1전자장치(410) 또는 그 외에 제1허브(310)에 접속된 별도의 전자장치(미도시)가 제2전자장치(420)와 통신하여 제2전자장치(420)의 동작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제1허브(310)가 지원하는 프로토콜이 A 프로토콜이고 제2허브(320)가 지원하는 프로토콜이 B 프로토콜이며, 제1허브(310) 및 제2허브(320)가 공통적이거나 상호 호환되는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제1전자장치(410)와 제2전자장치(420)가 통신하는 것은 곤란하다.
예를 들어 제1전자장치(410)가 전송하는 명령어는 제1허브(310) 및 제2허브(320)를 통해 제2전자장치(420)에 전송된다. 그런데, 해당 명령어는 제1전자장치(410)로부터 A 프로토콜 기반의 명령어로서 전송되므로, 장치 특성에 따라서는 제2전자장치(420)에 전송되지 않을 수 있으며, 설사 전송되더라도 제2전자장치(420)에 의해 정상적으로 인식 및 처리되지 못한다.
이에, 각기 상이한 프로토콜 기반의 두 단위 네트워크 사이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시예에 관해 이하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두 개의 단위 네트워크를 통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1허브(310)의 제1단위 네트워크와 제2허브(320)의 제2단위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제1단위 네트워크는 제1허브(310)와, 이에 접속되며 A 프로토콜 기반으로 동작하는 제1전자장치(410)를 포함한다. 제2단위 네트워크는 제2허브(320)와, 이에 접속되며 B 프로토콜 기반으로 동작하는 제2전자장치(420)를 포함한다.
또한, 제1허브(310)는 제1장치목록(311)을 저장하며 제2허브(320)는 제2장치목록(321)을 저장한다. 각 단위 네트워크 및 장치목록들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허브(310)는 제1전자장치(410)와 A 프로토콜 기반으로 접속되며, 제2허브(320)는 제2전자장치(420)와 B 프로토콜 기반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제1전자장치(410) 및 제2전자장치(420)가 상호 다이렉트로 접속되지 않으므로, 제1전자장치(410) 및 제2전자장치(420)가 상호 접속되기 위해서는 제1허브(310) 및 제2허브(320)가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제1허브(310) 및 제2허브(320)를 경유해야 한다.
그런데, 제1허브(310) 및 제2허브(320)는 공통된 프로토콜 또는 상호 호환되는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허브(310)가 A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제2허브(320)가 B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이들 프로토콜이 상호 호환되지 않는다면, 제1허브(310) 및 제2허브(320)는 상호 접속될 수 없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1허브(310) 및 제2허브(320)를 상호 중계하는 제3허브(330)가 적용된다. 제1허브(310), 제2허브(320) 및 제3허브(330)의 기본적인 구성은 앞선 제1실시예의 경우를 응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3허브(330)는 제1허브(310) 및 제2허브(320)와 각각 통신 접속될 수 있는 프로토콜들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제1허브(310)가 A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제2허브(320)가 B 프로토콜을 지원한다면, 제1허브(310) 및 제2허브(320) 사이에는 공통된 프로토콜이 없으므로 상호 접속이 곤란하다. 그러나, 제3허브(330)가 A 프로토콜 및 B 프로토콜을 모두 지원한다면, 제3허브(330)는 A 프로토콜 기반으로 제1허브(310)와 접속할 수 있으며, B 프로토콜 기반으로 제2허브(320)와 접속할 수 있다. 즉, 제3허브(330)는 하위 허브인 제1허브(310) 및 제2허브(320)에 대한 상위 허브, 즉 마스터 허브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3허브(330)는 A 프로토콜 기반 명령어를 B 프로토콜 기반 명령어로 전환하거나, 반대로 B 프로토콜 기반 명령어를 A 프로토콜 기반 명령어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3허브(330)는 명령어를 전환하도록 마련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플랫폼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제3허브(330)를 사용하여 제1단위 네트워크 및 제2단위 네트워크를 접속시켜 통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제3허브(330)는 제3허브(330)의 통신망 내에 있는 제1허브(310)에 억세스한다. 제3허브(330)는 제1허브(310)에 저장된 제1장치목록(311)을 취득하여 저장한다. 또한, 제3허브(330)는 제3허브(330)의 통신망 내에 있는 제2허브(320)에 억세스한다. 제3허브(330)는 제2허브(320)에 저장된 제2장치목록(321)을 취득하여 제3허브(330)에 저장한다.
제3허브(330)는 취득한 제1장치목록(311) 및 제2장치목록(321)을 저장하는 바, 제1장치목록(311)에 기록된 제1전자장치(410)에 관한 정보 및 제2장치목록(321)에 기록된 제2전자장치(420)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3허브(330)는 개별 전자장치(410, 420)에 대한 등록 과정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 없이, 제1허브(310) 및 제2허브(320)로부터 각각 제1장치목록(311) 및 제2장치목록(321)을 취득하는 것만으로도 각 전자장치(410, 420)에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는, 제3허브(330)에 디스플레이 등의 사용자 조작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제3허브(330)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500)가 접속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500)를 통해 제3허브(3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500)는 제3허브(33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통신부(510)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20)와, 신호 처리 및 동작 연산을 수행하는 신호처리부(5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500)는 제3허브(330)를 통해 제3허브(330)의 통신망 내에 있는 제1허브(310)에 억세스한다. 디스플레이장치(500)는 제1허브(310)에 저장된 제1장치목록(311)을 취득하여 제3허브(330)에 저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500)는 제3허브(330)를 통해 제3허브(330)의 통신망 내에 있는 제2허브(320)에 억세스한다. 디스플레이장치(500)는 제2허브(320)에 저장된 제2장치목록(321)을 취득하여 제3허브(330)에 저장한다.
이로써, 제3허브(330)는 제1허브(310)의 제1단위 네트워크 및 제2허브(320)의 제2단위 네트워크를 통합시킨다. 디스플레이장치(500)는 제3허브(330)를 통해 제1전자장치(410) 및 제2전자장치(420)와 각각 통신할 수 있으며, 제1전자장치(410) 및 제2전자장치(420)를 각기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1전자장치(410)가 제2전자장치(4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3허브(330) 및 디스플레이장치(500)가 별개의 장치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3허브(330) 및 디스플레이장치(500)가 통합된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경우에 제3허브(330)는 디스플레이부(520)를 비롯한 디스플레이장치(500)의 제반 구성을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제3허브(330), 즉 마스터 허브의 제어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허브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 단계에서 마스터 허브는 통신망 내에서 제1허브 및 제2허브를 검색한다.
S120 단계에서 마스터 허브는 제1허브 및 제2허브에 접속한다.
S130 단계에서 마스터 허브는 제1허브로부터 제1장치목록을 취득한다.
S140 단계에서 마스터 허브는 제2허브로부터 제2장치목록을 취득한다. 이로써, 마스터 허브는 제1장치목록 및 제2장치목록에 기초하여, 제1전자장치 및 제2전자장치를 등록할 수 있다.
S150 단계에서 마스터 허브는 제1전자장치로부터 제2전자장치로의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해당 신호가 수신되면, S160 단계에서 마스터 허브는 제2전자장치에 대응하는 프로토콜로 신호를 변환한다.
S170 단계에서 마스터 허브는 변환된 신호를 제2전자장치에 전송한다.
이로써, 마스터 허브는 서로 상이한 프로토콜 기반의 두 단위 네트워크 사이를 접속시킬 수 있다.
이하, 마스터 허브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마스터 허브를 제어하여 제1전자장치 및 제2전자장치를 마스터 허브에 등록하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마스터 허브에 접속한다.
S2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마스터 허브를 통해 제1허브 및 제2허브에 접속한다.
S2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허브로부터 제1장치목록을 취득하여 마스터 허브에 저장한다.
S2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허브로부터 제2장치목록을 취득하여 마스터 허브에 저장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마스터 허브를 통해 제1전자장치 또는 제2전자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S2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마스터 허브에 등록된 전자장치들의 목록을 표시한다.
S2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목록에서 제1전자장치의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해당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S2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전자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UI를 표시한다.
S28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UI를 통한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제1전자장치에 전송한다. 이로써, 제1전자장치는 수신되는 제어신호가 지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각 전자장치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UI(610)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현재 디스플레이장치가 통신 가능한 전자장치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UI(610)를 표시할 수 있다. UI(610)는 각 전자장치의 장치명이나 식별명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그 외에 해당 전자장치의 통신 프로토콜, 해당 전자장치가 속하는 단위 네트워크의 허브 명칭 등, 전자장치에 관련된 여러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UI(610)를 통해, 원하는 전자장치, 예를 들면 제2전자장치의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제2전자장치에 억세스할 수 있다. 사용자가 UI(610)에서 제2전자장치의 항목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전자장치에 관련된 설정항목들을 UI(610) 상에 추가로 팝업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현재의 UI(610)를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제2전자장치의 설정 항목들을 나타내는 UI(620)의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UI(610)에서 사용자가 제2전자장치에 대한 접속을 선택하면, 제2전자장치에 관련된 환경설정을 나타내는 UI(620)를 표시한다. 본 UI(620)는 제2전자장치의 현재 설정에서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항목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항목들은, 앞선 실시예에서의 제2장치목록과 함께 제2허브에 저장되는 제2전자장치에 관한 설정정보로부터 취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허브로부터 제2장치목록 및 해당 설정정보를 취득하여 마스터 허브에 저장할 수 있다. 설정정보에 관한 내용은 후술한다.
UI(620)가 최초 표시될 때에, 디스플레이장치는 마스터 허브로부터 제2전자장치의 설정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제2전자장치의 각 항목들에 대한 현재 설정값을 각 항목들의 초기값으로 결정하여 UI(620)에 표시한다. UI(620)는 이러한 초기값을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조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UI(620)를 통해 변경된 값을 마스터 허브 및 제2허브를 통해 제2전자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제2전자장치가 해당 설정값으로 현재 상태를 변경하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이 변경된 항목 값은, 제1허브 및 제2허브에 저장된 제2전자장치의 설정정보의 해당 항목을 업데이트시킨다.
여기서, 전자장치의 설정정보는 전자장치에 기 저장된 정보일 수도 있고, 또는 허브 및 전자장치 사이의 통신 접속이 수행되는 시점에서 생성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설정정보는 전자장치가 허브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정보와, 전자장치의 구조에 관한 장치정보와, 전자장치의 현재 환경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 등을 포함한다.
네트워크정보는 허브가 통신망 내의 여러 장치 중에서 특정 전자장치를 식별하여 해당 전자장치에 억세스하기 위한 통신 식별정보이다.
장치정보는 전자장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가 TV를 포함하면, 장치정보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의 규격과 같은 하드웨어 스펙이나, 펌웨어의 정보이거나, 드라이버,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등 소프트웨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태정보는 전자장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변경 가능한 설정환경에 있어서 현재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태정보는 전자장치의 시스템 전원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 여부,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휘도값, 스피커의 볼륨값 등을 나타낸다.
허브는 이와 같은 내용의 설정정보를 자체적으로 저장한다. 마스터 허브가 허브에 억세스할 때, 마스터 허브는 허브로부터 장치목록과 함께 설정정보를 취득 및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마스터 허브가 제1허브 및 제2허브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마스터 허브를 통해 각 전자장치들과의 통신 및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통신경로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장치들 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허브(310) 및 제1전자장치(410) 사이는 A 프로토콜 기반으로 통신하고, 제2허브(320) 및 제2전자장치(420) 사이는 B 프로토콜 기반으로 통신한다. 제1허브(310)가 A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제2허브(320)가 B 프로토콜을 지원한다고 할 때, 제1허브(310) 및 제2허브(320)은 공통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두 단위 네트워크 사이의 접속을 위해 제3허브(330)가 적용된다.
제3허브(330)가 예를 들어 A 프로토콜 및 B 프로토콜을 지원한다면, 제3허브(330)는 A 프로토콜 기반으로 제1허브(310)와 통신하고 B 프로토콜 기반으로 제2허브(320)와 통신함으로써, 제1허브(310) 및 제2허브(320)를 중계할 수 있다.
이 때, 제3허브(330)는 제1허브(310)를 경유하여 제1전자장치(410)와 접속할 수 있지만, 통신망이 허용하는 범위 내라면 제1허브(310)를 경유하지 않고 제1전자장치(410)에 바로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제3허브(330)는 제2허브(320)를 경유하여 제2전자장치(420)와 접속할 수 있지만, 제2허브(320)를 경유하지 않고 제2전자장치(420)에 바로 접속할 수도 있다.
만일 제1허브(310) 또는 제2허브(320)에 접속되는 전자장치의 수가 많다면, 이와 같은 통신경로의 다양화는 시스템 내의 통신 트래픽의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310, 320, 330 : 허브
200, 410, 420 : 전자장치
500 :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17)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제3허브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제3허브와 연결된 제1허브 및 상기 제1허브와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2허브에 연결된 장치 목록 정보를 상기 제3허브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장치 목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허브에 통신 연결된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허브에 통신 연결된 제2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전자장치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게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환경설정 상태의 설정값을 조정 가능하게 제공하는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UI를 통해 변경된 상기 설정값의 정보를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에 전송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허브 및 상기 제2허브로부터 상기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전자장치 각각에 관한 설정정보들을 취득하여 상기 제3허브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설정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환경설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3허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3허브와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3허브와 연결된 제1허브 및 상기 제1허브와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2허브에 연결된 장치 목록 정보를 상기 제3허브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장치 목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허브에 통신 연결된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허브에 통신 연결된 제2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전자장치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환경설정 상태의 설정값을 조정 가능하게 제공하는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UI를 통해 변경된 상기 설정값의 정보를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허브 및 상기 제2허브로부터 상기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전자장치 각각에 관한 설정정보들을 취득하여 상기 제3허브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설정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환경설정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3허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시스템에 있어서,
    제1허브와;
    상기 제1허브와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제2허브와;
    상기 제1허브 및 상기 제2허브에 각기 접속된 제3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3허브는,
    상기 제1허브 및 상기 제2허브와 각기 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제1허브 및 상기 제2허브에 연결된 장치 목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장치 목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허브에 통신 연결된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허브에 통신 연결된 제2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전자장치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게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허브는 제1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제2허브는 제2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3허브는 상기 제1전자장치 또는 상기 제2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프로토콜 및 상기 제2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한 명령어를 상기 제1프로토콜 및 상기 제2프로토콜 중 다른 하나에 기반한 명령어로 변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허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환경설정 상태의 설정값을 조정 가능하게 제공하는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UI를 통해 변경된 상기 설정값의 정보를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에 전송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허브 및 상기 제2허브로부터 상기 제1전자장치 및 상기 제2전자장치 각각에 관한 설정정보들을 취득하여 상기 제3허브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설정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된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 환경설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60033819A 2016-03-22 2016-03-22 허브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시스템 KR20170109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819A KR20170109790A (ko) 2016-03-22 2016-03-22 허브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시스템
US15/455,298 US20170277372A1 (en) 2016-03-22 2017-03-10 Display apparatus for controlling hub,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819A KR20170109790A (ko) 2016-03-22 2016-03-22 허브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790A true KR20170109790A (ko) 2017-10-10

Family

ID=5989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819A KR20170109790A (ko) 2016-03-22 2016-03-22 허브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277372A1 (ko)
KR (1) KR201701097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685A (ko) * 2017-12-22 201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86335A4 (en) * 2020-07-24 2024-01-17 ARRIS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LLIGENT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2271B1 (en) * 2002-05-23 2004-12-14 Adapte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I/O data for plurality of I/O devices
US20070258718A1 (en) * 2006-05-05 2007-11-08 Alcatel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internet protocol remote control to non-internet protocol devices
JP2013219655A (ja) * 2012-04-11 2013-10-24 Sony Corp プロトコル変換装置及びプロトコル変換方法
KR102001221B1 (ko) * 2012-12-24 2019-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9774507B2 (en) * 2015-01-06 2017-09-26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utilizing user behavior data within an IoT system
US11221596B2 (en) * 2015-06-26 2022-01-1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Hub for managing networked household applian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685A (ko) * 2017-12-22 201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77372A1 (en)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07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via a network
US10374822B2 (en) Home automation (HA) system including desired scene implementation based upon user-selectable list of addressable HA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10049181B2 (en)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hub coupled wireless radio controllers and related methods
US9848375B2 (en)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device signature pairing and related methods
US10826716B2 (en)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cloud and home message queue synchronization and related methods
US10523690B2 (en)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device controller for terminating communication with abnormally operating addressa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CN112787685B (zh) 用于支持无线通信的方法、装置及***
US20180220476A1 (en) Internet of things gateway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ES2645537T3 (es) Método para configurar la funcionalidad de control remoto de un dispositivo portátil
US10630649B2 (en)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encrypted device connection based upon publicly accessible connection file and related methods
EP3110178B1 (en) Node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peripheral devic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node terminal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18190419A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コネクテッドデバイスの自動登録方法
US20150312622A1 (en)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upnp
CN108702365B (zh) 适配器及其控制方法
KR20170107397A (ko) 오디오 렌더링 및/또는 획득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해당 오디오 렌더링 및/또는 획득 장치, 시스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제품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US20100325554A1 (en) Photo-Based Network Control Device and Related Method
KR20170109790A (ko) 허브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시스템
KR101044769B1 (ko) 위치 기반 UPnP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UPnP 컨트롤 포인트 및 이를 이용한 검색 방법
US10893467B2 (en) Home automation system including selective operation of paired device based upon voice commands and related methods
EP3313109B1 (en) Connection method for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terminal device
JP2015091109A (ja) 電子機器、プログラム
WO201804745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43628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687430B2 (ja) デバイス制御装置、デバイス制御方法及びデバイス動作内容取得方法
KR101079703B1 (ko) UPnP 컨트롤 포인트 및 이를 이용한 UPnP 컨트롤 포인트의 검색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