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201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201A
KR20170106201A KR1020170025660A KR20170025660A KR20170106201A KR 20170106201 A KR20170106201 A KR 20170106201A KR 1020170025660 A KR1020170025660 A KR 1020170025660A KR 20170025660 A KR20170025660 A KR 20170025660A KR 20170106201 A KR20170106201 A KR 20170106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unit
developing
moving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637B1 (ko
Inventor
쇼이치 젠사이
도모후미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for immers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5Pivotable subunit conn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접촉 위치와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유닛, 접촉 위상과 이격 위상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구동 부재, 개방 가능 부재, 및 개방 가능 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됨으로써 이동 유닛을 가압 및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구동 부재가 접촉 위상에 있는 상태에서 개방 가능 부재가 개방되면, 가압 부재는 이동 유닛을 가압하여 접촉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제1 이동량만큼 이동시킨다. 구동 부재가 이격 위상에 있는 상태에서 개방 가능 부재가 개방되면, 가압 부재는 이동 유닛을 이동시키지 않거나, 이동 유닛을 제1 이동량보다 작은 제2 이동량만큼 이동시킨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 정전 기록 방식 등을 사용하여 화상이 형성되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또는 복합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 복수의 감광체와 이 감광체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대전 수단, 현상 수단, 클리닝 수단)이 제공되고, 각 감광체에 접촉 가능한 단일 벨트가 제공되어 컬러 화상이 전사(수용)재에 형성 가능한 인-라인(in-line) 구성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가 있다.
근래, 시장의 수요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퍼스트 프린트 아웃 타임(FPOT: first print out time)의 단축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용성(usability)의 관점에서도, FPOT의 단축이 특히 유효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FPOT를 단축하기 위해,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부터의 인쇄 지시를 받고 나서 현상이 최초로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최초로 현상을 개시하는 현상 롤러가 이격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FPOT를 단축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현상 롤러가 감광체에 접촉된 상태로 현상이 행해지는 접촉 현상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가 있다. 접촉 현상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현상 롤러와의 슬라이딩에 의해 감광체 표층의 마모로 인한 수명의 저하와, 화상 형성 시 이외의 기간에서 현상제가 감광체에 부착됨으로써 현상제의 낭비와 전사재의 오염의 발생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현상 롤러가 감광체에 접촉되어 장시간 정지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현상 롤러의 변형과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촉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양만큼 이격된 대기 위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현상제의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현상 롤러를 접촉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접촉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의 천이에 있어서는,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 사이의 평행성이 높은 것이 FPOT의 단축 및 현상 수단의 수명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 (JP-A) 2013-195541호에는, 인-라인 구성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접촉 현상 방식을 적용한 경우,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 사이를 접촉 및 이격시킬 수 있으면서, 현상 유닛을 케이스에 대해 감광 드럼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인출 가능하게 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액세스 도어의 폐쇄 상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 수단에 의한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 사이의 접촉 및 이격에 더하여, 감광 드럼 및 현상 롤러로의 액세스 도어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상태 변화시킴으로써도, 현상 롤러를 감광 드럼으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해, JP-A 2013-195541호에서는 개방 가능 부재로서의 액세스 도어에 접촉-및-이격 수단이 제공된다.
그러나, JP-A 2013-195541호에서는, 폐쇄 상태에서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 사이의 접촉 및 이격을 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 수단이 정상적일 때에도 비정상적일 때에도 항상 액세스 도어의 개방에 연동하여 현상 롤러를 감광 드럼으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 채용된다. 이 때문에,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 사이의 접촉 및 이격을 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 수단이 정상적일 때에도, 액세스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부하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JP-A 2013-195541호에서는, 액세스 도어에 제공된 하나의 접촉-및-이격 수단과 화상 형성 장치의 후방에 제공된 다른 접촉-및-이격 수단 사이를 결합 및 구동-전달하기 위하여,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커플링 부재가 제공된다. 이 때문에, 상기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이 액세스 도어의 개방 상태 이외의 상태에서 항상 작용한다. 그 결과, 가압력에 의한 액세스 도어의 휨(warpage) 및 변형이 초래되어 액세스 도어의 외관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액세스 도어를 닫을 때의 조작력이 커지는 우려도 있어, 사용성을 해치는 것도 예상된다.
또한, JP-A 2013-195541호에서는, 각각의 현상 롤러를 대기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로, 또는 접촉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의 전후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접촉-및-이격 수단이, 양단부에 커플링 및 피니언 기어(pinion gear)가 제공된 샤프트에 의해 서로 연결 및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현상 롤러가 감광 드럼에 접촉 및 이격될 때, 샤프트의 뒤틀림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측과 후방측 사이에서 각 현상 롤러의 접촉 및 이격 시간에 차이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측면에서, 이상적인 접촉 및 이격에 기초한 시간 설정을 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이러한 시간 설정이 FPOT를 단축시키는 데에 있어서 장애가 될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접촉-및-이격 수단에 의한 이격(분리)량이 미리 정해진 양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개방 가능 부재의 개방에 연동되는 현상 이격(분리)으로의 강제 천이가 작용하게 하고, 접촉-및-이격 수단에 의한 이격량이 미리 정해진 양보다 클 때에는 이러한 강제 천이가 작용하지 않게 함으로써, 정상 동작 시의 개방 가능 부재의 개방 및 폐쇄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현상제 담지체를 지지하는 현상 유닛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를 포함하는 이동 유닛으로서, 화상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접촉을 허용하는 접촉 위치와, 상기 화상 담지체로부터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이격을 허용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유닛과; 상기 이동 유닛을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 부재로서, 상기 이동 유닛이 상기 접촉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허용하는 접촉 위상과 상기 이동 유닛을 상기 이격 위치에서 유지하는 이격 위상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구동 부재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 또는 상기 화상 담지체 또는 이들 모두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로부터 탈착하기 위해 제공되는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방 가능 부재; 및 상기 개방 가능 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동 유닛을 가압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접촉 위상으로부터 상기 이격 위상으로 변위되면, 상기 이동 유닛이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이격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접촉 위상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개방 가능 부재가 개방되면,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이동 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이격 위치로 제1 이동량만큼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이격 위상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개방 가능 부재가 개방되면,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이동 유닛을 이동시키지 않거나, 또는 상기 이동 유닛을 상기 제1 이동량보다 작은 제2 이동량만큼 이동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에서 (a) 및 (b)는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3에서 (a) 및 (b)는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에서 (a)는 제1 실시 형태의 접촉-및-이격 수단(구동부)의 사시도, (b)는 캠 기어(cam gear)와 포토-인터럽터(photo-interrupter)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c)는 현상 접촉 시의 접촉-및-이격 수단의 일부의 개략 단면도, (d)는 현상 이격 시의 접촉-및-이격 수단의 일부의 개략 단면도.
도 6에서, (a)는 제1 실시 형태의 접촉-및-이격 수단의 사시도, (b)는 접촉-및-이격 수단의 사시도(슬라이더는 제외), (c)는 접촉-및-이격 수단의 사시도(화상 형성 장치의 후면 측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하부로부터 본 레버(lever)와 캠 기어), (d)는 현상 이격 시의 접촉-및-이격 수단의 사시도.
도 7에서, (a)는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 측에서의 현상 접촉 시의 접촉-및-이격 수단의 부분 확대도, (b)는 화상 형성 장치의 상부로부터 본 현상 접촉 시의 접촉-및-이격 수단의 개략도, (c)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 측에서의 현상 이격 시의 접촉-및-이격 수단의 부분 확대도, (d)는 화상 형성 장치의 상부에서 본 현상 이격 시의 접촉-및-이격 수단의 개략도.
도 8에서, (a)는 제1 실시 형태의 전체-이격 상태에서의 접촉-및-이격 수단의 개략 단면도, (b)는 컬러 인쇄 상태에서의 접촉-및-이격 수단의 개략 단면도, (c)는 단색 인쇄 상태에서의 접촉-및-이격 수단의 개략 단면도.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접촉 및 이격(분리) 제어에서 접촉-및-이격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캠 기어(캠)의 회전과 각 현상 롤러의 접촉 및 이격(분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에서, (a) 및 (b)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방 및 폐쇄 동작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가이드 레일, 이격 캠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의 우측에서 본 부분 단면도.
도 11에서 (a) 내지 (c)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방 및 폐쇄 동작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가이드 레일, 이격 캠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 측에서 본 부분 확대도.
도 12에서, (a) 내지 (e)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방 및 폐쇄 동작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가이드 레일, 이격 캠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의 우측에서 본 부분 확대도.
도 13에서, (a) 및 (b)는 제2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 사시도.
도 14에서, (a)는 제2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 측에서의 현상 접촉 시의 현상 접촉-및-이격 수단의 부분 확대도, (b)는 화상 형성 장치의 상부에서 본 현상 접촉 시의 현상 접촉-및-이격 수단의 개략도, (c)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 측에서의 현상 이격 시의 현상 접촉-및-이격 수단의 부분 확대도, (d)는 화상 형성 장치의 상부에서 본 현상 이격 시의 현상 접촉-및-이격 수단의 개략도, (e)는 화상 형성 장치의 하부에서 본 화상 형성 장치의 후방 측에서의 접촉-및-이격 수단의 부분 확대도.
도 15에서, (a) 내지 (d)는 제3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 사시도.
도 16에서, (a)는 제3 실시 형태의 현상 접촉 시의 접촉-및-이격 수단의 일부의 개략 단면도, (b)는 현상 이격 시의 접촉-및-이격 수단의 일부의 개략 단면도.
도 17은 액세스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제3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정면도.
도 18은 가이드 레일, 액세스 도어와 연동하는 샤프트, 이격 캠, 연동 레버 등을 나타내는, 제3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
도 19에서, (a) 및 (b)는 제3 실시 형태에서의, 개방 및 폐쇄 동작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가이드 레일, 이격 캠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방 측에서 본 부분 확대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화상 형성 장치)
도 1에서, (a) 및 (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프린터(100)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교환하기 위해 장치 본체에 제공된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개방 가능 부재로서의 액세스 도어(101)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에서, (b)는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액세스 도어(101)가 개방되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장치 정면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 2는 프린터(100)의 개략 단면도이다. 프린터(100)의 하부에는, 카세트(11)가 인출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카세트(11)에는, 전사(수용)재 S가 적재 및 수용되어 1매씩 분리 및 급송된다. 프린터(100)는 일렬로 병설된 화상 형성 수단으로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컬러에 각각 대응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a, 7b, 7c, 7d)(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는, 화상 담지체인 감광 드럼(1a, 1b, 1c, 1d)(감광 드럼(1)), 감광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마이너스 대전하기 위한 대전 장치(2a, 2b, 2c, 2d), 정전 잠상에 토너를 부착시킴으로써 토너상으로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유닛(4a, 4b, 4c, 4d)(현상 유닛(4)), 감광 드럼(1)에 남아 있는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8a, 8b, 8c, 8d), 및 각 컬러의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용기를 포함하는 클리너 유닛(5a, 5b, 5c, 5d)이 제공된다.
현상 유닛(4)은 화상 담지체에 토너를 부착시키기 위해 접촉 위치에서 화상 담지체에 대해 가압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24a, 24b, 24c, 24d)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현상제 도포 롤러(25a, 25b, 25c, 25d)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여기에서, 접촉 위치란 감광 드럼(1)의 정전 잠상에 토너를 부착시킴으로써 토너상이 형성 가능한 현상 위치로서, 현상 롤러(24)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는 위치 또는 현상 롤러(24)가 감광드럼(1)에 근접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즉, 접촉 위치는, 감광 드럼(1)의 정전 잠상에 토너를 부착시킴으로써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한 위치이면, 현상 롤러(24)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도, 편의상 그 위치는 접촉 위치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장치의 제1(표면) 방향은 장치 본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착된 상태에서 감광 드럼(1)의 축선 방향 및 현상 롤러(24)의 축선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도 3에서, (a) 및 (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사시도이다. 실질적으로 L자형의 리브(rib)(4e)가 현상 유닛(4)의 하부에 제공되고, 손잡이부(7e)가 현상 유닛(4)의 전방 측에 제공된다. 현상 유닛(4)은, 클리너 유닛(5)에 대해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 중심으로서 제공된 핀(27) 주위로 요동 가능(swingable)하고, 현상 롤러(24)는 감광 드럼(1)에 대해 접촉 및 이격 가능하다(접촉 위치와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감광 드럼(1)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토너가 부착되는 타이밍에 동기화하여, 현상 롤러(24)가 감광 드럼(1)에 접촉된다(접촉 상태). 그리고, 접촉 상태(기간) 이외의 기간에서는 가능한 한 감광 드럼(1)으로부터 현상 롤러(24)가 이격되어(대기 상태), 현상 롤러(24)와 감광 드럼(1)의 수명이 향상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하부에는,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빔으로 감광 드럼(1)을 조사함으로써 감광 드럼(1)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스캐너 유닛(3)이 제공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위에는 중간 전사 유닛(12)이 제공된다.
중간 전사 유닛(12)은 일차 전사 롤러(12a, 12b, 12c, 12d), 무단(無端; endless) 원통형상의 중간 전사 벨트(12e), 구동 롤러(12f), 인장(tension) 롤러(12g), 및 중간 전사 벨트(12e) 상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장치(22)를 포함한다. 클리닝 장치(22)는, 중간 전사 벨트(12e)의 이동 방향(도 2에 나타낸 화살표 X 방향)에 대해 감광 드럼(1a)과 일차 전사 롤러(12a)로 형성되는 일차 전사부보다 상류에 배치되고, 중간 전사 벨트(12e)의 이동 방향에 대해 구동 롤러(12f)와 2차 전사 롤러(16)로 형성되는 2차 전사부보다 하류에 배치된다.
클리닝 장치(22)는 인장 롤러(12g)의 샤프트에 의해 위치 결정 및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클리닝 장치(22)는 인장 롤러(12g)의 위치 변동을 추종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2e)와 클리닝 장치(22)는 소모품이므로, 클리닝 장치(22)와 일체로 제공되는 중간 전사 유닛(12)은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클리닝 장치(22)에 의해 회수된 중간 전사 벨트(12e) 상의 잔류 토너는 프린터(100) 내에 배치된 토너 회수 용기(26)에 축적된다.
구동 롤러(12f)가 모터(미도시) 등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12e)는 도 2에 나타낸 화살표 X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속도로 회전한다. 일차 전사는, 일차 전사 롤러(12a, 12b, 12c, 12d)에 양(positive)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고, 음으로(negatively) 대전된 감광 드럼(1)의 표면(전위)과의 전위차를 이용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12e) 상으로 토너 화상이 전사된다(일차 전사).
일차 전사 롤러(12a, 12b, 12c, 12d)와 그에 연관된 감광 드럼(1a, 1b, 1c, 1d)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일차 전사부에서 토너상이 중첩하여 일차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12e) 상에 전사된 토너상은 구동 롤러(12f)와 2차 전사 롤러(16)로 형성되는 2차 전사부(15)에서 전사재 S로 전사된다. 그 후, 전사재 S가 전사된 화상을 정착하기 위한 정착 장치(14)를 통과하여, 배출 롤러쌍(20)으로 반송되고, 그 후 전사재 적재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급송 장치(13)는 전사재 S가 수납된 급지 카세트(11)의 내측으로부터 전사재 S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 롤러(9)를 포함하고, 급지된 전사재 S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롤러쌍(10)을 포함한다. 전사재 S는 급지 롤러(9)에 압접되어 분리 패드(23)에 의해 1매씩 분리되고(마찰편(friction piece) 분리 방식), 분리된 전사재 S가 반송된다.
그리고, 급송 장치(13)로부터 반송된 전사재 S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17)에 의해 2차 전사부(15)로 반송된다. 정착 장치(14)는 전사재 S 상에 형성된 화상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전사재 S 상에 화상을 정착시킨다. 원통형의 반송 벨트(14a)는, 히터 등의 발열 수단이 접착되는 벨트 가이드 부재(14c)에 의해 가이드된다. 탄성 가압 롤러(14b)는 반송 벨트(14a)를 벨트 가이드 부재(14c)로 사이에 끼워 가압 롤러(14b)와 벨트 가이드 부재(14c) 사이에 미리 정해진 폭을 갖는 반송 닙(nip)부 N이 압접력(press-contact force)을 가지면서 형성된다.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프린터(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100)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200)를 포함한다.
(컨트롤러)
화상 형성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화상 형성 장치의 컨트롤러(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프린터(100)는, 그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전기 회로가 장착된 컨트롤러(200)를 포함하고, 컨트롤러(200)에는 CPU(40)가 장착된다. CPU(40)는 전사재 S의 반송과 프로세스 카트리지(7) 등에 대한 구동원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구동 컨트롤러(50), 화상 형성에 관한 제어를 행하기 위한 고압(high-voltage) 컨트롤러(41), 및 현상 롤러(24)의 접촉 및 이격(분리)을 제어하기 위한 접촉-및-이격(분리) 컨트롤러(45) 등을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구동 컨트롤러(50)는 화상 형성 시의 구동 제어부로서 감광 드럼 구동부(51), 중간 전사 벨트 구동부(52) 및 일차 전사 기구 구동부(53)를 제어한다. 고압 컨트롤러(41)는 화상 형성에 필요한 전압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대전 바이어스 생성부(42), 현상 바이어스 생성부(43) 및 전사 바이어스 생성부(44)를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200)는, 후술하는 현상 접촉-및-이격 기구의 접촉-및-이격 모터(90)(도 5)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 구동 IC(47)를 포함한다. CPU(40)가 모터 구동 IC(47)에 펄스 신호(본 실시 형태에서는, 여자 방식(exciting type)이 2상(two-phase) 여자 방식임)를 전송하여, 모터(90)의 여자를 전환한다.
펄스 신호를 수신한 모터 구동 IC(47)는 펄스 신호에 대응하여 모터(90)의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고, 그 때 모터(90) 내의 계 (자기)극을 반전시킴으로써 회전자 마그넷(rotor magnet)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모터(90)의 회전 속도는 CPU(40)로부터 전송되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이하, 이 주파수는 구동 주파수라고 정의함)에 의존하고, 구동 주파수가 높을수록, 계 (자기)극의 반전 주기가 짧아지고 또한 모터의 회전 속도도 더 빨라진다.
접촉 및 이격(분리)의 타이밍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접촉-및-이격 컨트롤러(45)는 펄스 컨트롤러(46)를 제어하고, 펄스 컨트롤러(46)에 의해 생성된 펄스 신호는 모터 구동부(모터 구동 IC)(47)로 전송된다. 또한, 후술하는 위치 감지 센서인 포토-인터럽터(49)의 신호는 구동 타이밍 컨트롤러(48)로 전송되어, 접촉-및-이격 제어에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 접촉으로부터 현상 이격(분리)으로의 천이로서 제1 모드와 제2 모드가 실행 가능하다. 제1 모드에서는, 후술하는 접촉-및-이격 수단(도 5 내지 7)에 의해, 상 담지체와 현상제 담지체 사이의 이격량이 미리 정해진 양으로 된다. 한편, 제2 모드에서는, 접촉-및-이격 수단에 의해, 상 담지체와 현상제 담지체 사이의 이격량이 미리 정해진 양에 이르지 않는 경우(액츄에이터의 정지 시), 후술하는 액세스 도어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상 담지체와 현상제 담지체 사이의 이격량을 상기 미리 정해진 양으로 한다.
접촉-및-이격 수단에 의해 화상 담지체와 현상제 담지체 사이의 이격량이 미리 정해진 양에 이르지 않은 상태(액츄에이터의 정지 시)에서, 액세스 도어가 개방되면, 자동적으로 제2 모드가 실행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현상 이격으로부터 현상 접촉으로의 반대(역) 방향의 천이에서는, 접촉-및-이격 수단(도 5 내지 7)이 사용된다.
(접촉 및 이격 수단(도 5 내지 7))
접촉-및-이격 수단(도 5 내지 7)에 대해, 제1 모드에서의 현상 접촉으로부터 현상 이격으로의 천이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 개요는 이하와 같다. 즉, 우선 접촉-및-이격 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90)의 회전에 의해 제1 캠(80)이 회전한다. 제1 캠(80) 및 모터(90)는 이동 유닛(이동 부재(31), 레버(34), 슬라이더(35))을 접촉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부재로서 기능한다.
수평면의 링크 기구로서, 레버(34)의 회전, 제1 캠(80)에 직교하는 방향(감광 드럼(1)의 축선 방향)으로의 슬라이더(35)의 이동 및 화상 담지체에 대해 현상제 담지체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스프링(32)의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변위가 이용된다.
슬라이더(35)의 변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이동 부재(31)의 회전에 의해, 이동 부재(31)의 리브(31f)가 현상 유닛(4)의 리브(4e)로부터 이격되어, 리브(31g)가 리브(4e)를 가압한다(도 5의 (d)). 그 결과, 접촉-및-이격 수단은 현상 접촉으로부터 현상 이격으로 변한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에서, 제1 캠(80)(80a, 80b, 80c, 80d)의 캠 직경의 증가에 따라, 도 7의 (d)에서 화살표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34)가 제1 캠(80)에 의해 가압되어 우선 요동한다. 그 결과, 레버(34)에 연결된 슬라이더(35)가 화살표 H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으로부터 후면으로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가압 스프링(32)과 슬라이더(35) 사이의 2개의 접촉부 각각에서의 2개의 위치에 휨부(bent portion)(35j)가 제공되어, 휨부(35j)가 리브(31h)와 접촉할 수 있다(도 7의 (d)의 부분 확대도).
이 때문에, 슬라이더(35)가 일정량 이상 이동하면, 이동 부재(31)는 슬라이더(35)에 의해 도 7의 (d)의 화살표 R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다음에, 가압 스프링(32)이 점차 압축된다.
그리고, 현상 유닛(4)의 리브(4e)가 이동 부재(31)의 리브(31g)에 의해 장치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된다(도 7의 (d)의 화살표 J).
접촉-및-이격 수단에 대해 도 5, 6 및 7의 각각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도 5
도 5에서 (a)는 접촉-및-이격 수단의 구동부의 사시도, (b)는 접촉-및-이격 수단의 구동부의 포토-인터럽터(49) 주변의 부분적인 장치, (c)는 현상 접촉 시의 접촉-및-이격 수단의 개략 단면도, (d)는 현상 이격 시의 접촉-및-이격 수단의 개략 단면도이다. 감광 드럼(1)에 대한 현상 롤러(24)의 위치(접촉 위치, 이격 위치)를 전환하기 위한 구동원인 모터(90)로서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가 사용되어, 기어(91, 92)를 통해 구동 전환 샤프트(95)와 접속된다.
샤프트(95)에는 각 컬러에 대해 캠 기어(94)를 구동하기 위한 웜 기어(worm gear)(93)가 제공된다. 그리고, 샤프트(95)가 모터(9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캠 기어(94)가 회전되고 제1 캠(80)(80a, 80b, 80c, 80d)의 회전 위상이 접촉 위상과 이격 위상 사이에서 변한다. 제1 캠(80)은 후술하는 도 6에 나타내는 접촉-및-이격 수단을 통해 현상 유닛(4) 및 현상 롤러(24)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고, 현상 유닛(4)의 리브(4e)를 가압하여, 감광 드럼(1)과 현상 롤러(24) 사이의 접촉 및 이격이 전환된다.
이와 같이, 도 5의 (a)에 나타내는 샤프트(95) 및 제1 캠(80)(80a, 80b, 80c, 80d)을 하나의 모터(90)에 의해 회전 구동시켜, 접촉 위상과 이격 위상 사이에서 위상이 변위 가능하다. 그 결과, 감광 드럼(1)에 대한 현상 롤러(24)의 위치(현상 접촉 위치, 현상 이격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5의 (c) 및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유닛(4)은 현상 롤러(2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요동 중심으로서의 핀(2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여, 가압 수단으로서의 가압 스프링 (도 6)에 의해 시계 방향(현상 유닛(4)이 제1 캠(80)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2) 도 6
도면에서, 도 6의 (a) 내지 (d)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가압하기 위한, 접촉-및-이격 수단의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6에서, (a)는 현상 접촉 시의 하나의 스테이션에서의 가압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도 6의 (a)로부터 슬라이더(35)가 제거된 가압 구성의 사시도, (c)는 장치의 후면 측에서의 부품의 뒤쪽을 나타내는 사시도, (d)는 현상 이격 시의 가압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 내지 (c)에서, 제1 캠(80)에 종동하는 레버(34)가 제공된다. 레버(34)에는 보스(boss)(34e)가 제공되어, 프레임(102)(도 2)에 제공된 구멍(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다. 또한, 레버(34)에는 다른 보스(34f)(도 6의 (b))가 제공되어, 보스(34f)가 슬라이더(35)의 긴 원형 구멍(35h)(도 6의 (a))과 결합한다.
도 6의 (a)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35)는 프레임(102)에 고정된 슬라이더 가이드(28, 29)(도 6의 (b))에 의해 장치의 전방(면)-후방(면) 방향으로 직선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다. 슬라이드 가이드(28, 29)에는, 2개의 핀(30)이 제공되고, 핀(30)은 장치의 상방향으로의 슬라이더(35)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지 핀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의 전방측 및 후방측의 2개의 위치에, 이동 부재(31), 가압 스프링(압축 스프링)(32) 및 스프링 시트(seat)(33)가 제공된다. 이동 부재(31)에는 보스(31e)가 제공되어, 레버(34)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02)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스프링 시트(33)는 프레임(102)에 고정되어, 가압 스프링(32)이 이동 부재(31)와 스프링 시트(33) 사이의 장치 본체에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도 6의 (a)에서는, 제1 캠(80)은 접촉 위상에 있고, 이동 부재(31)는 접촉 위상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제1 캠(80)이 이격 위상으로 회전되면, 레버(34)는 제1 캠(80)에 의해 압박(가압)되어 도 6(d)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고, 슬라이더(35)는 장치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후방측)으로 L만큼 이동하여, 도 6의 (d)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이 때, 이동 부재(31)는 접촉 위치로부터 보스(31e)를 중심으로 도 6의 (d)에 나타낸 각도 θ만큼 회전하여 이격 위치에 도달한다.
그 결과, 접촉-및-이격이 도 5의 (c)의 현상 접촉 상태로부터 도 5의 (d)의 현상 이격 상태로 상태변화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전방측 이동 부재(31)와 후방측 이동 부재(31) 사이의 상대적인 차이가 작은 값으로 감소될 수 있어, 이동 부재(31)가 이동을 개시할 때까지의 덜걱거림(degree of play)이 작으므로, 접촉-및-이격 수단이 신속하게 현상 이격 상태로 상태 변화할 수 있고, FPOT(first print out time)의 단축의 관점에서 유리한 구성을 갖는다.
3) 도 7
도 7에서, (a)는 현상 접촉 시의 장치의 전방 측에서 본 접촉-및-이격 수단의 부분 확대도, (b)는 장치의 위에서 보았을 때 접촉-및-이격 수단과 현상 유닛(4)의 리브(4e)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접촉-및-이격 수단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에서, (c) 및 (d)는 현상 이격 시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 7의 (a) 및 (b)에 각각 대응하는 부분 확대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현상 접촉 시에는, 가압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 위치에 있는 이동 부재(31)의 리브(31f)가 현상 유닛(4)의 리브(4e)를 도 7의 (b)의 화살표 G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장치의 전방측 및 후방측의 2개의 위치의 각각에서 가압한다. 그 결과, 현상 롤러(24)는 감광 드럼(1)에 접촉된다.
한편, 현상 이격 시(대기 상태)에는, 레버(34)가 제1 캠(80)에 의해 가압되어, 가압 스프링(32)이 압축 상태에 있다. 이격 위치에 있는 이동 부재(31)의 리브(31f)가 현상 유닛(4)의 리브(4e)를 도 7의 (d)의 화살표 J 방향으로 장치의 전방(정면측) 방향에 대해 다른 2개의 위치의 각각에서 가압한다. 그 결과, 현상 롤러(24)는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와 같이, 제1 캠(80)이 접촉 위상에 있을 때, 이동 부재(31)가 가압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허용된다. 제1 캠(80)이 이격 위상에 있을 때, 제1 캠(80)은 레버(34)와 슬라이더(35)를 통해 이동 부재(31)를 가압하고, 가압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이동 부재(31)를 이격 위치에 유지한다. 또한, 이동 부재(31)와, 이동 부재(31)와 연동하여 함께 이동되는 레버(34) 및 슬라이더(35)가 총괄적으로 이동 유닛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부재(31)가 이격 위치에 있을 때, 이동 유닛도 이격 위치에 있고, 이동 부재(31)가 접촉 위치에 있을 때, 이동 유닛도 접촉 위치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부재(31)의 리브(31f, 31g)는 현상 유닛(4)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이다.
(제2 모드에서의 현상 접촉으로부터 현상 이격으로의 천이)
제2 모드에서의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및-이격 수단에 의해 화상 담지체와 현상제 담지체 사이의 이격량이 미리 정해진 양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즉 제1 캠(80)이 현상 이격이 수행되는 이격 위상에 있지 않는 상태일 때 실행된다. 즉, 액세스 도어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화상 담지체와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미리 정해진 양만큼 서로 이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모드에서, 액세스 도어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제1 모드에서의 제1 캠(80) 이외의 접촉-및-이격 수단의 적어도 일부를 동작시켜, 화상 담지체와 현상제 담지체 사이의 이격량을 미리 정해진 양으로 한다(미리 정해진 양만큼 이격시킨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상 담지체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35)를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공통으로 이용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여, 액세스 도어(101)의 개방 동작과 연동하여 현상 이격이 이루어지는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개요를 설명한다. 수평면에 직교하는 면 내에서, 액세스 도어(101)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제2 캠(62)이 회전되어, 슬라이더(35)의 피가압부(portion-to-be-urged)(35e)(도 6의 (a), 도 10의 (b))에 접촉한다. 그리고, 수평면 내에서, 도 7에 나타내는 링크 기구로서 사용되는 레버(34)의 회전과 슬라이더(35) 및 가압 스프링(32)의 변위를 통해, 슬라이더(35)의 변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이동 부재(31)의 회전에 의해 접촉 위치와 대기 위치가 서로 전환된다.
다음으로, 제2 모드에서의 현상 접촉으로부터 현상 이격으로의 천이에 대해 도 10 내지 12를 각각 참조하여 설명한다.
1) 도 10
도 10에서, (a) 및 (b)는 액세스 도어(101), 프로세스 카트리지(7),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가이드 레일(63)의 주변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a)는 액세스 도어(101)이 폐쇄 상태를 나타내고, (b)는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프레임(102)(도 2)에는 그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61)가 제공되고, 연동 레버(60)가 샤프트(61)에 고정된다. 또한, 4개의 스테이션에 대응하여, 이격 캠(62)이 관련 슬라이더(35)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관련 샤프트(61)에 고정된다. 액세스 도어(101)에는 액세스 도어(101)의 회전 지지점을 구성하는 회전 샤프트(101b)가 제공된다. 액세스 도어(101)에는 결합 보스(101c)가 제공되어, 액세스 도어(101)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천이하는 도중에 결합 보스(101c)가 연동 레버(60)와 결합한다. 그리고, 액세스 도어(101)의 개방(동작)에 따라, 샤프트(61)는 도 10의 (b)에서 실선 화살표로 가리키는 방향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한다.
2) 도 11
도 11에서, (a)는 수평면에 직교하는 면 내에서, 액세스 도어(101)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K 스테이션을 전방면으로부터 보았을 때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b)는 면 내에서 액세스 도어(101)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K 스테이션을 전방면으로부터 보았을 때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c)는 레일(63)만의 형상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클리너 유닛(5)의 하부(5e)는 실질적으로 T자형을 갖고, 도 11의 (c)의 파선으로 나타내듯이 단면이 실질적으로 U자형을 갖는 가이드 레일(63)과 결합한다.
또한, 클리너 유닛(5)의 상부는 상부 프레임의 V자형부(103e)에 위치 결정되는 원호 형상을 갖는다. V자형부(103e)에 대한 가압은 가이드 레일(63)에 제공된 가압 부재(64)에 의해 이루어지고, 액세스 도어(101)의 폐쇄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장치의 상방향으로 가압된다.
3) 도 12
도 12에서, (a) 및 (b)는 수평면에 직교하는 면 내에서 가이드 레일(63)과 액세스 도어(101)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a)는 액세스 도어(101)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액세스 도어(101)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레일(63)에는 장치의 전후 방향의 2개의 위치에서 가압 부재 수납부(63g)가 제공된다. 가압 부재 수납부(63g)와 가압 부재(64) 사이에는, 제2 가압 수단(압축 스프링)(67)이 제공되고, 가압 부재(64)는 장치의 가이드 레일(63)에 대해 상방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가압한다.
가이드 레일(63)에 대해서는, 샤프트(61)와 가이드 레일(63)을 연결하는 레일 암(65)과 장치의 후측에서 미도시한 프레임과 가이드 레일(63)을 연결하는 레일 암(66)에 의해 링크 기구로서의 4절 평행 링크(quadric parallel link)가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63)과 프레임 사이에는, 미도시한 인장(tension) 스프링이 제공되어, 가이드 레일(63)을 도 12의 (b)로부터 도 12의 (a)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 결과, 액세스 도어(101)의 개방 및 폐쇄 동작에 의해, 가이드 레일(63)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상승 및 하강되도록 가압될 수 있다.
(액세스 도어(101)의 개방(동작)에 의한 현상 이격(제2 모드))
계속하여, 도 12의 (c) 내지 (e)를 참조하여, 액세스 도어(101)의 개방(동작)과 현상 이격 사이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에서, (c)는 액세스 도어(101)가 폐쇄 상태로 현상 접촉 상태에 있을 때의 이격 캠(62)과 슬라이더(35)의 피가압부(35e)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도 12의 (d)는 액세스 도어(101)가 폐쇄 상태로 현상 이격 상태에 있을 때의 이격 캠(62)과 슬라이더(35)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화상 형성 전후의 현상 접촉-및-이격 동작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격 캠(62) 및 슬라이더(35)는 도면에서의 화살표 K 및 M의 움직임을 취한다. 도 12의 (d)에서, 거리 L은 도 6 (d)의 거리 L과 같고, 현상 접촉-및-이격 동작에서의 슬라이더(35)의 슬라이드 양이다.
도 12에서, (e)는 전원이 차단되고 장치 본체가 대기 상태로 돌아오지 않은 상태(제1 캠(80)이 이격 위상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정지되고, 그 후 액세스 도어(101)가 개방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슬라이더(35)의 피가압부(35e)가 거리 L의 도중에 정지(액츄에이터의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액세스 도어(101)가 개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액세스 도어(101)가 도 12의 (a) 및 (c)의 상태로부터 개방되면, 제2 캠인 이격 캠(62)이 회전되어, 그 최대 외경부(outer diameter portion)에 의해 슬라이더(35)의 피가압부(35e)를 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격 캠(62) 및 피가압부(35e)는 도 12의 (b) 및 (e)의 상태가 된다. 피가압부(35e)가 이격 캠(62)에 의해 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가압되어, 슬라이더(35)가 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밀린다. 그 결과, 이동 부재(31)가 회전되어, 도 7(d)에 나타내는 이격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가압 부재로서의 이격 캠(62)에 의해 슬라이더(35)의 피가압부(35e)를 가압함으로써 이동 유닛(이동 부재(31), 레버(34), 슬라이더(35))이 이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의 이격 캠(62)의 가압에 의해 피가압부(35e)가 이동되는 거리(장치의 후면 방향)를 제1 이동량이라고 한다. 이 경우, 피가압부(35e)가 제1 이동량만큼 이동되는 거리는 L이다.
부품 공차(part tolerance)의 변동에 의해 슬라이더(35)의 피가압부(35e)와 이격 캠(62) 사이의 상대 거리가 작은 경우, 즉 이격 캠(62)에 의한 슬라이더(35)의 이동량이 L보다 큰 경우에도,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수평면 내에서 도 7의 레버(34)가 제1 캠(80)의 외경부로부터 이격될 뿐, 제2 캠인 이격 캠(62)과 제1 캠(80) 사이에 과도한 응력이 발생하여 파손으로 연결되는 일이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액세스 도어(101)을 개방함으로써도 현상 이격이 구현될 수 있다.
현상 이격이 액세스 도어(10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 도 7의 (b)의 파선의 화살표로 가리키는 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사용자가 현상 접촉 상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현상 이격 상태로 하면서 인출할 필요가 있다. 즉, 사용자가 슬라이더 가이드(28)의 캠부(경사-형상부)(28f)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현상 이격 상태로 하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인출할 필요가 있어, 사용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큰 힘으로 인출해야만 하므로 조작력이 커지고 사용성(usability)을 해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세스 도어(101)의 손잡이부(101a)(도 1의 (a))가 장치의 상부에 제공되어, 연동 레버(60)(도 1의 (b))와 연동하면서, 이격 캠(62)의 외형에 대해 샤프트(61)를 중심으로 큰 반경 비율이 보장된다. 또한, 도 12(a)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캠(80)이 이격 위상에 있고 이동 유닛이 이격 위치에 있어 현상 이격 상태에 있을 때에는, 이격 캠(62)이 슬라이더(35)의 피가압부(35e)를 가압하여 이동시키지 않는다. 이 때문에, 폐쇄 상태의 액세스 도어(101)에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세스 도어(101)의 조작력이 낮은 레벨로 억제되고, 크리피지(creepage)와 같은 변형도 방지되어, 장치의 커버의 외관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캠(80)이 이격 위상에 있고 이동 유닛이 이격 위치에 있어 현상 이격 상태에 있을 때에, 이동량이 제1 이동량(거리 L)보다 작은 제2 이동량이면, 이격 캠(62)이 슬라이더(35)의 피가압부(35e)를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이동량이 제1 이동량보다 작으면, 현상 접촉 상태에서 액세스 도어(101)가 개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현상 이격 상태에서 액세스 도어(101)가 개방되는 경우가, 액세스 도어(101)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력에 의한 작업량을 작게 할 수 있다.
(현상 이격으로부터 현상 접촉으로의 천이)
이상, 현상 접촉으로부터 현상 이격으로의 제1 및 제2 모드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했지만, 반대로 현상 이격으로부터 현상 접촉으로의 천이는 이하와 같다.
즉, 접촉-및-이격 수단(도 5 내지 7)을 이용하여, 접촉-및-이격 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90)의 회전에 의해, 제1 캠(80)이 회전된다. 이 경우에, 수평면 내의 링크 기구로서 레버(34)의 회전과 제1 캠(80)의 캠면에 직교하는 슬라이더(35) 및 화상 담지체에 대해 현상제 담지체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으로서의 가압 스프링(32)이 이용된다.
또한, 슬라이더(35)의 변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이동 부재(31)의 회전에 의해, 이동 부재(31)의 리브(31g)가 현상 유닛(4)의 리브(4e)에 접촉한다(도 5의 (c)). 그 결과, 현상 이격으로부터 현상 접촉으로의 천이가 이루어진다.
(대기 상태, 컬러 인쇄 상태, 단색 인쇄 상태)
도 8에서, (a) 내지 (c)는 접촉-및-이격 수단의 4개의 이동 부재(31)(31a 내지 31d)에 의한 각 현상 롤러(24)(24a 내지 24d)의 접촉 및 이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며, (a)는 전체 이격 상태, (b)는 컬러 인쇄 상태, (c)는 단색 인쇄 상태를 나타낸다.
상술한 4개의 캠(80)(80a, 80b, 80c, 80d)은 모두 같은 형상이며, 후술하지만 서로 다른 위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체 이격 상태에서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부재(31)의 리브(31f)(31fa 내지 31fd)가 현상 유닛(4)의 리브(4e)(4ea 내지 4ed)를 장치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모든 현상 롤러(24)(24a 내지 24d)와 대응하는 감광 드럼(1)(1a 내지 1d)이 서로 이격되는 대기 상태가 형성된다. 또한, 도 8의 (a)에서, 편의상 리브(31fa)와 리브(4ea) 사이의 관계만 나타낸다. 컬러 인쇄 상태에서는,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이동 부재(31)의 리브(31g)(31ga 내지 31gd)가 현상 유닛(4)의 리브(4e)(4ea 내지 4ed)를 장치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의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모든 현상 롤러(24)(24a 내지 24d)와 대응하는 감광 드럼(1)(1a 내지 1d)이 서로 접촉 가능한 상태가 형성된다. 또한, 도 8의 (b)에서는, 편의상 리브(31ga)와 리브(4ea) 사이의 관계만 나타낸다. 단색 인쇄 상태에서는, 도 8의 (c)에서,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개의 컬러에 대응하는 이동 부재(31)의 리브(31f)(31fa, 31fb, 31fc)가 대응하는 현상 유닛(4)의 리브(4e)(4ea, 4eb, 4ec)의 측면을 장치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때문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에 대응하는 현상 롤러(24)(24a, 24b, 24c)와 대응하는 감광 드럼(1)(1a, 1b, 1c)이 서로 이격된 상태가 형성된다. 한편, 블랙에 대응하는 이동 부재(31)의 리브(31gd)만 현상 유닛(4)의 리브(4ed)의 측면을 장치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가압하여, 블랙에 대응하는 현상 롤러(24d)만이 감광 드럼(1d)과 접촉하는 상태가 형성된다.
(대기 상태, 컬러 인쇄 상태, 단색 인쇄 상태 사이의 전환)
이와 같이, 대기 상태, 컬러 인쇄 상태 및 단색 인쇄 상태 사이의 전환은 모터(90)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각각의 제1 캠(80)을 회전시켜, 제1 캠(80)의 회전 위상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때, 모터(90)가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될 필요가 있지만, 모터(90)의 회전량의 제어는 이하의 방식으로 포토-인터럽터(49)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즉, 도 5의 (b)는 캠 기어(94d)를 장치의 후측에서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블랙의 현상 유닛(4d)에 접촉하는 캠(80d)과 일체로 회전되는 캠 기어(94d)에는 리브(94e)가 제공된다. 리브(94e)가 캠 기어(94d)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고, 캠 기어(94d) 및 캠(80d)이 미리 정해진 회전 위상에 있으면, 광이 차단된다. 따라서, 포토-인터럽터(49)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캠 기어(94d)와 함께 회전하는 캠(80d)의 회전 위상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포토-인터럽터(49)가 차광 상태에 있는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하여, 이 기준 위치로부터 스텝핑 모터인 모터(90)의 구동 스텝의 수를 제1 캠(80)의 회전 위상과 관련지어 둔다. 그 결과, 구동 스텝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제1 캠(80)의 회전 위상(회전량)을 얻을 수 있고, 모터(90)를 상술한 대기 상태, 컬러 인쇄 상태 및 단색 인쇄 상태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캠 기어(94)와 캠(80)은 샤프트(95)에 의해 동일 축 상에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브(94e)는 K에 대해 캠 기어(94d)에 제공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리브(94e)는 또한 Y, M, C에 대해 다른 캠(94a, 94b, 94c)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캠 기어(94)의 회전 위상 검출은 포토-인터럽터(49)와 리브(94e)에 의해 수행되지만, 로터리 인코더(rotary encoder) 또는 다른 알려진 방법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모터(90)로서 스텝핑 모터가 사용되지만, 모터(9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캠(80)이 미리 정해진 회전 위상(대기 상태, 컬러 인쇄 상태, 단색 인쇄 상태)에서 정지될 수 있다면, 구동원으로서 DC 브러쉬 모터(brush motor) 또는 DC 브러쉬리스(brush-less) 모터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대기 상태로부터 컬러 인쇄 상태로의 천이)
도 8의 (a)의 대기 상태로부터 도 8의 (b)의 컬러 인쇄 시의 접촉 상태(컬러 인쇄 상태)로의 천이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상태 사이의 전환은, 토너상 형성의 개시에 대한 시간이 되도록, 감광 드럼(1)에 토너상 형성을 개시하는 타이밍에서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개의 제1 캠(80)(80a 내지 80d)은 동일 형상의 캠 면을 갖는다. 또한, 도 5에서, 제1 캠(80b, 80c, 80d)은 제1 캠(80a)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위상이 어긋나 있으며, 그 회전 위상의 편차량은 캠(80b), 캠(80c) 및 캠(80d)의 순서로 커진다.
도 8의 (a)의 대기 상태에서, 모터(90)가 미리 정해진 스텝만큼 정상의 (순)방향으로 회전되면, 각 캠 기어(94) 및 각 캠(80)이 반시계 방향(정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상술한 제1 캠(80) 사이의 위상의 편차로 인해, 우선 캠(80a)이 슬라이더(35a)를 이동시켜, 이동 수단(31a)이 현상 유닛(4)의 리브(4ea)의 측면을 가압한다. 그 후, 상술한 회전 위상의 편차에 따라, 캠(80b, 80c, 80d)의 순서대로 연관된 현상 유닛(4)을 가압한다.
즉, 모터(90)가 도 8의 (a)의 대기 상태로부터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현상 롤러(24)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순서로 감광 드럼(1)에 접촉된다. 그리고, 현상 롤러(24)의 접촉이 완료된 화상 형성 스테이션으로부터 화상 형성이 개시되고, 토너상이 감광 드럼(1)에 연속으로 형성되고, 중간 전사 벨트(12e)로 순차 전사된다. 또한, 모터(90)가 소정의 스텝만큼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모든 현상 롤러(24)의 접촉이 완료되면, 도 8의 (b)에 나타낸 컬러 인쇄 시의 접촉 상태로의 천이가 완료된다.
또한, 최초로 접촉 위치로 이동하는 현상 롤러(24a)를 제1 현상 부재라 하고, 다른 현상 롤러(24b 내지 24d)를 제2 현상 부재라 한다. 마찬가지로, 최초로 화상 형성을 개시하는 감광 드럼(1a)을 제1 감광체라 하고, 다른 감광 드럼(1b 내지 1d)을 제2 감광체라 한다.
여기서, 각각의 현상 롤러(24)의 접촉의 개시 및 완료의 타이밍이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어긋나 있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이것은, 각각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서 감광 드럼(1)으로부터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12e)로 전사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화상 형성을 개시하면서, 가능한 한 화상 형성이 개시되기 직전까지 현상 롤러(24)를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시켜 두기 때문이다. 즉, 현상 롤러(24)의 접촉의 개시 및 완료의 타이밍은, 중간 전사 벨트(12e)의 표면의 미리 정해진 점이 각각의 관련된 감광 드럼(1)과 접촉하는 관련된 일차 전사 위치들 사이를 이동하는 데 필요로 하는 시간과 동등한 시간만큼 어긋나 있다.
(컬러 인쇄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의 천이)
컬러 인쇄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의 천이는 토너상 형성의 종료에 맞추어 행해지고, 모터(90)를 미리 정해진 스텝만큼 정회전시킨다. 그 결과, 화상 형성이 최초로 종료된 화상 형성 스테이션으로부터 시작하여 순서대로 현상 롤러(24)가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된다. 즉,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순서대로, 현상 롤러(24)가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퇴피)되어, 대기 상태로 이행된다.
(대기 상태로부터 단색 인쇄 상태로의 천이)
도 8의 (a)의 대기 상태로부터 도 8의 (c)의 단색 인쇄시의 접촉 상태(단색 인쇄 상태)로의 천이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상태의 전환은 감광 드럼(1)에 토너상 형성을 개시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그 기간에 맞도록 행해진다. 도 8의 (a)의 대기 상태에서, 모터(90)를 미리 정해진 스텝만큼 역회전시킨다. 그러면, 각각의 캠 기어(94) 및 각각의 캠(8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지만, 역회전의 경우, 상술한 캠(80)의 회전 위상의 어긋남으로 인해, 우선 이동 부재(31fd)만이 현상 유닛(4)의 리브(4ed)를 가압(압박)한다.
그 결과, 현상 롤러(24d)만이 감광 드럼(1d)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모터(90)의 구동은 정지되도록 미리 정해진 스텝의 수가 설정되어 있어, 현상 롤러(24d)만이 감광 드럼(1)과 접촉한 도 8의 (c)의 단색 인쇄 시의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단색 인쇄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의 천이)
단색 인쇄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의 천이는 모터(90)를 미리 정해진 스텝만큼 정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결과, 이동 부재(31fd)가 현상 유닛(4)의 리브(4ed)를 가압하여, 현상 롤러(24d)가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되어 대기 상태로 돌아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90)의 회전 구동의 방향(정회전, 역회전) 및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현상 롤러(24)와 대응하는 관련 감광 드럼(1) 사이의 접촉 및 이격(분리)을 대기 상태, 컬러 인쇄 상태 및 단색 인쇄 상태의 3개의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종래의 예와의 비교)
도 9는 모터(90)에 의해 회전되는 캠 기어(94)(캠(80))의 회전과 각각의 현상 롤러(24)의 접촉 및 이격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횡축은 캠 기어(94)의 1회전(원주)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을 나타내고, 모터(90)가 정회전(캠(8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되는 경우, 상태는 도면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변한다. 모터(90)가 역회전(캠(8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되는 경우, 상태는 도면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변한다. 캠(80)이 1회전만큼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태가 회전 전의 상태와 동일하므로, 도면에서 최좌단의 대기 상태와 최우단의 대기 상태는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 토너의 각 컬러마다의 현상 롤러(24)와 감광 드럼(1)의 쌍을 포함하는 구성을 화상 형성 스테이션으로 정의하고, 옐로우 토너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을 화상 형성 스테이션 1(제1 스테이션; 1st)라고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마젠타 토너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을 화상 형성 스테이션 2(제2 스테이션; 2st)로 정의하고, 시안 토너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을 화상 형성 스테이션 3(제3 스테이션; 3st)로 정의한다. 또한, 블랙 토너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을 화상 형성 스테이션 4(제4 스테이션; 4st)로 정의한다.
대기 상태로부터 풀-컬러 상태(컬러 인쇄 상태)로 상태가 시프트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캠(80a 내지 80d)의 회전 위상이 서로 어긋나도록 제공된다. 그 때문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옐로우(1st), 마젠타(2st), 시안(3st) 및 블랙(4st)의 순서로 각각의 현상 롤러(24)가 대응하는 감광 드럼(1)을 향해 이동되어 감광 드럼(1)에 접촉된다. 모터(90)의 회전은 상술한 회전량의 제어에 의해 최종 현상 롤러(24d)의 감광 드럼(1d)에의 접촉이 완료된 후에 정지된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 및 제1 캠(80)의 구성을 제외한 접촉-및-이격 수단은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므로, 동일 참조 번호 또는 부호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각각에 대해서, 장치 본체측에 제공되는 이동 부재(31) 및 가압 부재(32)에 의해, 현상 롤러(24)를 감광 드럼(1)에 대해 접촉 및 가압시키고,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구성이 채용되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 자체가 가압 부재를 포함하여, 현상 롤러(24)를 감광 드럼(1)에 대해 접촉 및 가압시킨다. 또한, 이동 부재(31)에 의해 모터(90)에 의한 현상 이격 동작과, 정면 도어(101)의 개방 동작에 의한 현상 이격이 수행된다.
도 13에서, (a) 및 (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 자체가 가압 부재(6)(압축 스프링)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a)는 장치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그 전단(front end)에 가압 부재(6)가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사시도이고, (b)는 장치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그 후단(rear end)에 가압 부재(6)가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가압 부재(6)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 자신에 의해 현상 롤러(24)를 감광 드럼(1)에 대해 접촉 및 가압시킨다.
도 14에서, (a) 내지 (e)는 도 7에서와 유사한 수평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장치의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 현상 이격 수단과 현상 유닛(4)의 리브(4e)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4에서, (a)는 현상 접촉시의 전방측에서 본 부분 확대도, (b)는 도 14의 (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에서, (c) 및 (d)는 현상 이격 시에 도 14의 (a) 및 (b)에 각각 대응하는 부분 확대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현상 접촉 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의 가압 부재(6)(도 13의 (a) 및 (b)에서 화살표 P로 나타냄)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 부재(31)의 리브(31f)가 리브(4e)를 장치의 전후 방향에 대해 2개의 위치에서 가압한다. 그 결과, 현상 롤러(24)가 감광 드럼(1)에 접촉한다. 이 때, 이동 수단의 리브(31f)가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리브(4e)를 가압하지 않도록 클리어런스(clearance)가 제공된다(도 14의 (b)의 부분 확대도).
현상 접촉으로부터 현상 이격으로의 천이가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캠(80)의 캠 직경의 증대에 따라, 도 14의 (d)의 화살표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34)가 우선 요동되고, 다음에 슬라이더(35)가 장치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의 방향으로 화살표 H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으로 이동된다. 슬라이더(35)에는 2개의 휨부(35j)가 제공되어, 슬라이더(35)가 리브(31f)와 접촉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더(35)가 일정량 이상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35)에 의해 이동 부재(31)가 도면에서의 화살표 R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동 부재(31)의 리브(31g)가 리브(4e)를 장치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도 14의 (d)의 화살표 J 방향).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제1 캠(80)의 회전에 따라, 레버(34)가 회전되어, 슬라이더(35)가 장치의 전방측으로부터 후측을 향해 L만큼 이동한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의 도 7에서와 마찬가지로, 상태가 현상 접촉 상태로부터 현상 이격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상 이격이 액세스 도어(101)에 의해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현상 접촉 상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큰 조작력으로 인출할 필요가 없다. 즉, 도 14의 (b)의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의 정면 방향으로 슬라이더 가이드(28)의 캠부(28f)(경사 형상부)에 의해 현상 이격 상태로 하면서 사용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인출할 필요가 없어, 사용성이 만족스럽게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 본체의 현상 접촉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 대한 가압 수단이 본체측에 제공되는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 내에 가압 부재(6)가 제공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7) 자체에 현상 접촉시의 가압 수단이 제공되는 구성이 채용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조작력이 감소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 및 제1 캠(80)의 구성을 제외한 접촉-및-이격 수단은 제1 실시 형태에서와 유사하므로, 동일 번호 또는 부호로 나타내어지며,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일체형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각각에 대해, 장치 본체측에 제공되는 이동 부재(31) 및 가압 부재(32)에 의해, 현상 롤러(24)가 감광 드럼(1)에 대해 접촉 및 가압되어 감광 드럼(1)으로부터 이격되는 구성이 채용되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현상 유닛(4)과 클리너 유닛(5)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부재로 구성되며, 현상 롤러(24)는 감광 드럼(1)에 대해 접촉 및 가압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현상 이격은 전방 도어(액세스 도어)(101)의 개방 동작에 의해 수행된다.
시장에서, 일부 예에서 사용자의 인쇄 내용에 따라 토너가 빨리 소모되는 경우와, 감광 드럼이 빨리 소모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2개의 부재로 제공되어, 현상 유닛과 클리닝 유닛이 개별적으로 교환될 수 있어, 사용자의 관점에서 인쇄 비용 및 자원 절약의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도 15에서, (a) 내지 (d)는 현상 유닛(4)과 클리너 유닛(5)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부재로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5에서, (a) 및 (b)는 화상 형성시와 같이, 현상 유닛(4)과 클리너 유닛(5)이 화상 형성을 위해 서로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에서, (c)는 현상 유닛(4)의 사시도, (d)는 클리너 유닛(5)의 사시도이다. 현상 유닛(4)은 현상 프레임(4f)과 요동의 중심으로서 핀(27)을 사용하는 현상 용기(4g)로 개략 구성되어, 현상 용기(4g)가 현상 프레임(4f)에 대해 요동한다.
현상 유닛(4) 및 클리너 유닛(5)에는 각각 손잡이부(4j, 5e)가 제공된다. 현상 유닛(4)과 클리너 유닛(5)은 독립적으로(개별적으로)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다. 즉, 클리너 유닛(5)이 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와 클리너 유닛(5)이 장치 본체로부터 장착 해제되는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현상 유닛(4)은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다. 한편, 현상 유닛(4)이 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와 현상 유닛(4)이 장치 본체로부터 장착 해제되는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클리너 유닛(5)은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다.
도 16에서, (a) 및 (b)는 본 실시 형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 단면도이며, (a)는 현상 접촉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태, (b)는 현상 이격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태를 나타낸다. 제1 실시 형태의 도 5의 (c) 및 (d)에서와 마찬가지로, 핀(27)을 중심으로, 리브(4h)가 미도시한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현상 이격이 실현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에서 현상 접촉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 대한 가압 수단이 본체측에 제공된다.
도 17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컬러에 대응하는 현상 유닛(4a, 4b, 4c, 4d)과 클리너 유닛(5a, 5b, 5c, 5d)이 장치 본체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이드 레일(63)에 대해, 이러한 가이드 레일은 2개의 부재에 제공되는 상술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한 것에 대응하므로, 옐로우(Y)에 대한 현상 유닛(4a)에는 전용 레일(63e)이 제공된다. 마젠타(M), 시안(C), 블랙(K) 각각에 대한 현상 유닛(4b, 4c, 4d)에 대해서는, 장치의 좌우 방향에 대해 좌측 클리너 유닛(5)에 대한 인접 레일과 일체적이며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가이드 레일이 제공된다.
도 18은, 시안(C) 및 블랙(K) 각각에 대한 가이드 레일(63c, 63d)과 샤프트(61)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 유닛(4)에 대해서는, 현상 프레임(4f)의 리브(4h)를 가압하기 위한 이동 부재(68d)가 가이드 레일(63c)에 제공된다. 이동 부재(68d)는 클리너 유닛(5)에 대한 이동 수단(6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장치의 가압 부재(압축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된다(도 12의 (a) 및 (b)).
도 19에서, (a) 및 (b)는 도 11과 유사한 부분 확대도이며, (a)는 K 스테이션의 전방측에서 보았을 때 액세스 도어(101)이 폐쇄 상태를 나타내고, (b)는 K 스테이션의 전방측에서 보았을 때 액세스 도어(101)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클리너 유닛(5)의 하부(5e)는 실질적으로 T자형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U자형의 단면을 갖는 가이드 레일(63)과 결합한다. 클리너 유닛(5)의 상부는 상부 프레임의 V자형부(103e)에 위치된 원호 형상을 갖는다.
V자형부(103e)에 대한 가압은 가이드 레일(63)에 제공된 이동 부재(64)에 의해 이루어지며, 액세스 도어(101)의 폐쇄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장치의 상방으로 가압된다. 현상 유닛(4)에 대해서도, 현상 프레임(4f)의 리브(4h)가 가이드 레일(63c)의 실질적으로 U자형인 홈(groove)에 결합하고, 현상 프레임(4f)의 상부 원호부(4k)가 상부 프레임의 V자형부(103f)에 위치된다.
액세스 도어(101)의 개방 상태에서는, V자형부(103e, 103f)를 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압이 해제(제거)된다. 이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일체형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마찬가지로, 조작력을 낮은 레벨로 억제하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현상 이격 상태에서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변형 실시 형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변형 실시 형태 1)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캠(80), 샤프트(95) 등을 포함하는 현상 롤러(24)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부재가 구동원으로서의 모터(90)에 의해 회전되어 이동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동 부재가 단일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되고 복수의 현상 롤러(24)가 이동되는 구성이 채용되면, 이동 부재와 액츄에이터의 동작은 반드시 회전에 의해 수행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5)

  1.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담지체를 지지하는 현상 유닛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를 포함하는 이동 유닛으로서, 화상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접촉을 허용하는 접촉 위치와, 상기 화상 담지체로부터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이격을 허용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유닛과;
    상기 이동 유닛을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 부재로서, 상기 이동 유닛이 상기 접촉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허용하는 접촉 위상과 상기 이동 유닛을 상기 이격 위치에서 유지하는 이격 위상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구동 부재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 또는 상기 화상 담지체 또는 이들 모두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로부터 탈착하기 위해 제공되는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방 가능 부재; 및
    상기 개방 가능 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동 유닛을 가압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접촉 위상으로부터 상기 이격 위상으로 변위되면, 상기 이동 유닛이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이격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접촉 위상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개방 가능 부재가 개방되면,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이동 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이격 위치로 제1 이동량만큼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이격 위상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개방 가능 부재가 개방되면,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이동 유닛을 이동시키지 않거나, 또는 상기 이동 유닛을 상기 제1 이동량보다 작은 제2 이동량만큼 이동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이 상기 이격 위치로부터 상기 접촉 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 유닛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을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일체적으로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체 및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일체적으로 상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 수단을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70025660A 2016-03-11 2017-02-27 화상 형성 장치 KR102027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48367A JP6812115B2 (ja) 2016-03-11 2016-03-11 画像形成装置
JPJP-P-2016-048367 2016-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201A true KR20170106201A (ko) 2017-09-20
KR102027637B1 KR102027637B1 (ko) 2019-10-01

Family

ID=59786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660A KR102027637B1 (ko) 2016-03-11 2017-02-27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927764B2 (ko)
JP (1) JP6812115B2 (ko)
KR (1) KR102027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3408B2 (en) * 2016-03-11 2018-09-1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pressing member configured to press a development unit
JP6746330B2 (ja) * 2016-03-11 2020-08-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754289B2 (en) * 2018-03-30 2020-08-2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rawer including photosensitive drum and fr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7021587B2 (ja) 2018-03-30 2022-02-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44466B2 (ja) * 2019-09-17 2023-09-1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1209746B2 (en) * 2019-09-17 2021-12-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7409041B2 (ja) * 2019-11-25 2024-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483356B2 (ja) 2019-11-28 2024-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38456B2 (ja) * 2019-12-25 2023-09-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2085402A (ja) * 2020-11-27 2022-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3002265A (ja) * 2021-06-22 2023-01-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5913A (ko) * 2006-01-11 2008-08-1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20080078056A (ko) * 2006-01-11 2008-08-2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12145879A (ja) * 2011-01-14 2012-08-02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13195541A (ja) * 2012-03-16 2013-09-30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14067005A (ja) * 2012-09-07 2014-04-1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5671B2 (en) * 2002-01-15 2004-09-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eaturing switchable, contact and spaced, clutch-operated developing units
US7190921B2 (en) * 2003-07-31 2007-03-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986077B2 (ja) * 2005-03-18 2007-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89174B2 (ja) * 2005-12-27 2009-12-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881634B2 (en) 2006-08-23 2011-02-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transfer member is movable toward and apart from image bearing member
JP5268689B2 (ja) * 2009-02-09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761948B2 (ja) 2010-09-14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127997B2 (ja) * 2014-01-31 2017-05-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563170B2 (en) * 2015-02-10 2017-02-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onfigured to use a common driving source for image bearing members
US9791803B2 (en) * 2015-05-29 2017-10-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driving force transmitting drive trains
US10073408B2 (en) * 2016-03-11 2018-09-1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pressing member configured to press a development uni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5913A (ko) * 2006-01-11 2008-08-1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20080078056A (ko) * 2006-01-11 2008-08-2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12145879A (ja) * 2011-01-14 2012-08-02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13195541A (ja) * 2012-03-16 2013-09-30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14067005A (ja) * 2012-09-07 2014-04-1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61918A1 (en) 2017-09-14
JP6812115B2 (ja) 2021-01-13
JP2017161839A (ja) 2017-09-14
KR102027637B1 (ko) 2019-10-01
US20180164739A1 (en) 2018-06-14
US9927764B2 (en) 2018-03-27
US10191445B2 (en)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637B1 (ko) 화상 형성 장치
US924438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switches positions of developing rollers in a predetermined fixed order
JP3884960B2 (ja) 駆動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979180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driving force transmitting drive trains
US8837982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667106B2 (ja) 画像形成装置
US8090296B2 (en) Coupling mechanism for a process por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30048156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카트리지
JP375492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4134780A (ja) 画像形成装置
US78816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transfer member is movable toward and apart from image bearing member
JP7483356B2 (ja) 画像形成装置
JP749402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234719A (ja) 駆動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63025B2 (ja) 画像形成装置
JP4096979B2 (ja) 現像装置と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630047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2048025A (ja) カラー電子写真装置
JP3982559B2 (ja) 現像装置と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2200673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24575A (ja) ロータリー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163989A (ja)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