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2442A - 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 Google Patents

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2442A
KR20170102442A KR1020170027050A KR20170027050A KR20170102442A KR 20170102442 A KR20170102442 A KR 20170102442A KR 1020170027050 A KR1020170027050 A KR 1020170027050A KR 20170027050 A KR20170027050 A KR 20170027050A KR 20170102442 A KR20170102442 A KR 20170102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earing
hinge
facing
cap
bear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0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79979B1 (en
Inventor
다카히로 마루야마
신 마츠야마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7010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4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9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both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4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 B65D43/165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these elements being assembled by a separate pin-lik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p unit having a hinge structure that is compact and excellent in designability by integrating functions in a hinge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unit (3) mounted on an opening neck portion of a container body having an opened upper part such that the cap unit (3) is attachable to or detachable from the opening neck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p body (8) for closing an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and having a liquid communication opening on an upper part thereof; and a lid body (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quid communication opening in a state where the lid body (9) is mounted on the cap body (8) so as to be rotatable using a hinge portion (10) as a medium. The hinge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first pressing member (27) for pressing the lid body (9) in a rotation direction and a second pressing member (51) for pressing the lid body (9) in a direction of a rotary shaft.

Description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0001]

본 발명은,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unit and a beverage container.

종래부터,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마개체)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를 참조.). 캡 유닛의 상부에는, 립(lip) 또는 주둥이를 개폐하는 덮개체가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there is a cap unit (hemispherical unit) detachably mounted on a mouth-and-neck portion of a container body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and 2). On the upper part of the cap unit, a lid or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d is rotatably mounted via a hinge part.

또, 캡 유닛은, 힌지부에 마련된 가압 부재에 의해 립 또는 주둥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덮개체를 립 또는 주둥이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고정하는 덮개 락(lock)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The cap unit is provided with a cover locking mechanism for fixing the lid or the lid pressed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lid by the pressing member provided at the hinge portion at a position where the lid or the snout is closed.

이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에서는, 덮개 락 기구에 의한 덮개체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가 가압 부재의 가압에 의해 회동하면서, 립 또는 주둥이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 내의 음료를 마실 수 있다. In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such a cap unit, by releasing the lid body from the lid body by the lid body locking mechanism, the lid body or the lid is opened while the lid body is pivoted by the urging of the pressure member. Thus, the beverage in the container body can be drunk.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15-1367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15-13673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제2002-209764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209764

그런데,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힌지부의 내측에, 회동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를 회동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을 마련하여, 코일 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를 힌지부의 일방측으로 압접(壓接)함으로써, 덮개체의 회동 동작을 안정시키는 마개체 힌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힌지부의 일방측에 마련된 클릭(click) 돌기와 타방측에 마련된 클릭 받이부와의 걸림에 의해서, 덮개체가 유통(流通) 구멍을 개방하는 위치에서 클릭감을 부여함과 아울러 덮개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마개체 힌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a slide member that slides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and a coil spring that presses the slide member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ar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hinge portion. By pushing the coil spring, To thereby stabilize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lid body. 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1, a clicking feeling is given at a position where the lid body opens the flow-through hole by engagement between a click projec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inge portion and a click receiv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a lid body hinge structure for maintaining the open state of the lid body.

한편, 하기 특허 문헌 2에는, 힌지부의 내측에 마개 부재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마련하고, 덮개체의 회동시에 힌지부에 마련된 돌기부를 덮개체 또는 숄더 부재에 슬라이드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의 회동 동작을 안정시키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가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Patent Document 2 below, a spring for pressing the stopper member in the opening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hinge portion, and the protrusion provided on the hinge portion of the cover is rotated by sliding contact with the cover member or the shoulder member. Which is capable of stabilizing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료용 용기에 이용되는 캡 유닛(마개체)에서는, 힌지부에 기능을 집약하는 것에 의해서, 컴팩트하고 또한 디자인성이 뛰어난 힌지 구조를 얻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p unit (barrel) used in the beverage container, it is required to obtain a hinge structure that is compact and excellent in designability by collecting functions at the hinge portion.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힌지부에 기능을 집약하는 것에 의해서, 컴팩트하고 또한 디자인성이 뛰어난 힌지 구조를 가진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conventional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p unit having a hinge structure that is compact and excellent in designability by integrating functions in the hinge portion, And to provide the above-mentioned objec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means.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1] A cap unit detachably mounted on a mouth-and-neck portion of a container body having an opened upper portion,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상부에 통액구(通液口)가 마련된 캡 본체와, A cap body which closes an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and has a liquid passage opening at an upper portion thereof,

상기 캡 본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통액구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하며,And a lid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quid pouring port in a state of being rotatably mounted on the cap body via a hinge part,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덮개체를 회동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와, 상기 덮개체를 회동축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Wherein the hing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lid body toward the rotating direction and a second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lid body toward the rotating shaft direction.

[2] 상기 힌지부는, 상기 캡 본체와 상기 덮개체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된 제1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캡 본체와 상기 덮개체 중 어느 타방에 마련된 제2 힌지 베어링부 및 제3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가 위치한 상태에서, 이들 제1, 제2 및 제3 힌지 베어링부를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시킨 상태로 장착된 힌지축을 가지며, [2] The hinge unit may include a first hinge bearing part provided on one of the cap body and the lid body, a second hinge bearing part and a third hinge bear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cap body and the lid body,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and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are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hinge bearing portions are pierc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in a state where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and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Having a hinge axis,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의 내측에 상기 제1 가압 부재가 배치되고, The first pressing member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facing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의 내측에 상기 제2 가압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캡 유닛.The cap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pressing member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facing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3] 상기 제1 가압 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캡 유닛.[3] The cap unit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first pressing member is a torsion spring.

[4] 상기 힌지부는, 상기 덮개체가 상기 통액구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클릭감을 부여함과 아울러 상기 덮개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클릭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캡 유닛.[4] The hinge unit according to [2] or [3] above, wherein the hinge unit has a click mechanism for giving a clicking feeling at a position where the lid body opens the liquid pouring port and for maintaining the open state of the lid body Described cap unit.

[5] 상기 클릭 기구는,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와의 서로 대향하는 면 중, 일방의 면에 마련된 걸림 오목부와, 타방의 면에 마련된 걸림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체가 상기 통액구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상기 걸림 오목부에 상기 걸림 볼록부가 걸려지는 것에 의해서, 클릭감을 부여함과 아울러 상기 덮개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캡 유닛.[5] The click mechanism includes a slide member slidably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in a state of being pressed by the second pressing member, and a slide member slidably disposed between the slide member and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The engaging convex portion provided on one surface and the engaging convex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and the engaging convex portion is hooked to the engaging concave portion at a position where the cover body opens the liquid permeable portion, And the cover body is maintained in an opened state, as well as the cap body.

[6] 상기 일방의 면 중, 회동 방향에서 상기 걸림 볼록부와 접촉하는 면이 상기 걸림 오목부를 향해 오름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에 기재된 캡 유닛.[6] The cap unit according to [5], wherein a surface of the one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convex portion in the rotating direction, has an inclination rising toward the engaging concave portion.

[7] 상기 걸림 오목부와 상기 걸림 볼록부 중, 회동 방향에서 서로 걸려지는 면이 서로 동일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된 캡 유닛.[7] The cap unit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6], wherein the engaging concave portion and the engaging convex portion are inclined at the same angle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8]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의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대향하는 면을 구성하는 일방의 대면(對面)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8] The cap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5] to [7], wherein the cap unit has one of facing members constituting a surface of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facing the slide member.

[9] 상기 일방의 대면 부재는,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와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에 기재된 캡 유닛.[9] The cap unit according to [8], wherein the one facing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third hinge bearing part.

[10]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와의 서로 대향하는 면 중, 일방의 면에 마련되어 타방의 면과 슬라이드 접촉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The hinge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vided on one of the mutually facing surfaces of the first hinge bearing unit and the second hinge bearing unit and slidably contacting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bearing unit and the second hinge bearing unit. The cap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2] to [9].

[11]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의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와 대향하는 면을 구성하는 타방의 대면 부재를 가지며, [11] a second hinge bearing part having a second hinge bearing part and a second facing member constituting a surface facing the first hinge bearing part of the second hinge bearing part,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타방의 대면 부재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캡 유닛.The cap unit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10], where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provided on the other facing member.

[12] 상기 타방의 대면 부재는,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와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에 기재된 캡 유닛.[12] The cap unit according to [11], wherein the other facing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13]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13] The cap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2], wherein the second pressing member is a coil spring.

[14] 상기 덮개체가 상기 통액구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덮개체를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고정하는 덮개 락(lock)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And a cover locking mechanism that fixes the cover body to the cap body against the pressure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at a position where the cover body closes the through hole. The cap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3].

[15]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음료용 용기.[15] 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the cap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4], and a container body having the cap unit mounted there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힌지부에 기능을 집약하는 것에 의해서, 컴팩트하고 또한 디자인성이 뛰어난 힌지 구조를 가진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p unit having a hinge structure that is compact and excellent in designability, and a beverage container having such a cap unit by collecting functions in the hinge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음료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캡 유닛의 폐색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캡 유닛의 폐색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캡 유닛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캡 유닛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은 캡 유닛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캡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입구 형성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걸림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며, (a)는 그 전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b)는 그 후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캡 유닛의 힌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힌지 베어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힌지 베어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1 힌지 베어링부의 내측에 배치된 토션 스프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슬라이드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3 힌지 베어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p unit in a closed state;
Fig.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p unit in a closed stat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cap unit when it is opened;
5 is a top view showing the cap unit when it is open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p unit when it is opened.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cap unit.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let forming member.
9 (a) is a perspective view as seen from the front side, and Fig. 9 (b)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rear sid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inge portion of the cap unit.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13 is a plan view showing a torsion spring disposed inside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slide member.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1)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1은, 음료용 용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beverage container 1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everage container 1. Fig.

음료용 용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3)을 구비하고 있다. 음료용 용기(1)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내용물)를 보온 또는 보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beverage container 1 includes a container body 2 and a cap unit 3 detachably mounted on the container body 2 as shown in Fig. The beverage container (1) is capable of keeping or keeping the beverag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2) by the container body (2) having a vacuum insulation structure.

구체적으로, 이 용기 본체(2)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면을 가지는 통 모양의 외부 용기(4) 및 내부 용기(5)를 가지며, 외부 용기(4)의 내측에 내부 용기(5)를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의 입가부를 접합한 이중 구조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외부 용기(4)와 내부 용기(5)와의 사이에는, 진공 단열층(6)이 마련되어 있다. 진공 단열층(6)은, 예를 들면, 고진공으로 감압(減壓)(진공 퍼지(purge))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4)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된 탈기공(脫氣孔)을 막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ainer body 2 has a tubular outer container 4 and an inner container 5 having a bottom surface made of, for example, stainless steel, and the inner container 5 And a mouth portion of each of them is join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ccommodated. Between the outer container 4 and the inner container 5, a vacuum insulating layer 6 is provided. The vacuum insulating layer 6 is formed by blocking a deaeration hol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4 in a chamber which is depressurized (vacuum purged) .

용기 본체(2)는, 대략 원형 모양의 저면부(2a)와, 저면부(2a)의 외주(外周)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기립(起立)한 몸통부(2b)와, 몸통부(2b)의 상부측에서 지름이 축소된 대략 원통 모양의 구경부(口頸部)(2c)를 가지고 있다. 또, 구경부(2c)의 상단부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로서, 원형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 구경부(2c)의 내측에는, 링 모양의 단차부(段差部)(7)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The container main body 2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bottom face portion 2a and a body portion 2b standing upright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face portion 2a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 substantially cylindrical mouth-and-neck portion 2c whose diameter is reduc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mouth portion 2c. The upper end of the diameter portion 2c is opened in a circular shape as the upper opening portion 2d of the container body 2. [ A ring-shaped stepped portion 7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ore portion 2c so as to protrude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또,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는, 전체로서 대략 원통 모양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음료용 용기(1)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용기 본체(2)의 외주면에는, 도장(塗裝)이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괜찮다. The outer shape of the beverage container 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n outer shape of the beverage container 1,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make appropriate chang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2 may be coated or printed.

캡 유닛(3)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후술하는 캡 본체(8)에 덮개체(9)가 힌지부(10)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는 측을 음료용 용기(1)의 「후측」으로 하고, 그것과는 반대측을 음료용 용기(1)의 「전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cap unit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5.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ide on which the lid body 9 is mounted via the hinge 10 to the cap body 8 to be described later is referred to as the " rear side " of the beverage container 1, And the opposite side is referred to as the " front side " of the beverage container 1. Fig.

또, 도 2는, 캡 유닛(3)의 폐색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캡 유닛(3)의 폐색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캡 유닛(3)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캡 유닛(3)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은, 캡 유닛(3)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캡 유닛(3)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후술하는 입구 형성 부재(13)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후술하는 걸림 부재(18)의 구성을 나타내며, (a)는 그 전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b)는 그 후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캡 유닛(3)의 힌지부(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후술하는 제1 힌지 베어링부(45)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후술하는 제2 힌지 베어링부(46)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후술하는 제1 힌지 베어링부(45)의 내측에 배치된 토션 스프링(27)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52)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후술하는 제3 힌지 베어링부(47)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p unit 3 at the time of closure.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p unit 3 in a closed stat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p unit 3 at the time of opening. 5 is a top view showing the cap unit 3 at the time of openin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p unit 3 when it is opened.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cap unit 3.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let forming member 13 to be described later. Fig. 9 shows the structure of the latching member 1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ig. 9 (a)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front side and Fig. 9 (b)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rear sid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inge portion 10 of the cap unit 3.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to be described later. 1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to be described later. 13 is a plan view showing the torsion spring 27 disposed inside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to be described later.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lide member 52 to be described later.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hird hinge bearing portion 47 to be described later.

캡 유닛(3)은, 도 1~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하는 마개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캡 유닛(3)은, 캡 본체(8)와, 캡 본체(8)에 힌지부(10)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9)를 구비하고 있다. The cap unit 3 constitutes a stopper for closing the upper opening 2d of the container body 2 as shown in Figs. Specifically, the cap unit 3 includes a cap body 8 and a lid body 9 rotatably mounted on the cap body 8 through a hinge portion 10.

캡 본체(8)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캡 본체(8)는,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와 연속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주벽부(周壁部)(8a)와, 주벽부(8a)의 상부에 주벽부(8a)보다도 지름이 축소된 개구부(8b)가 형성된 상측 벽부(8c)를 가지고 있다. The cap body 8 is made of, for example, a heat-resistant resin such as polypropylene (PP). The cap main body 8 has a peripheral wall portion 8a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main body portion 2b of the container main body 2 and a peripheral wall portion 8a formed on the peripheral wall portion 8a, And an upper wall portion 8c formed with an opening 8b whose diamete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upper wall portion 8b.

캡 본체(8)는,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벽부(8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1)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구경부(2c)의 외주면에는, 암나사부(11)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2)가 마련되어 있다. The cap body 8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re portion 2c of the container body 2 by screwing. For this reason, a female screw portion 11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8a. On the other h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re portion 2c, there is provided a male threaded portion 12 screwed with the female threaded portion 11.

캡 본체(8)의 개구부(8b)에는, 도 2~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립(lip) 또는 주둥이(본 실시 형태에서는 립)을 형성하는 입구 형성 부재(1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입구 형성 부재(13)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2 to 6, an inlet forming member 13 for forming a lip or a spout (a lip in this embodimen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opening 8b of the cap body 8 have. The inlet forming member 13 is made of, for example, a heat-resistant resin such as polypropylene (PP).

입구 형성 부재(13)는, 통액구(通液口)(14)가 형성된 저벽부(低壁部)(13a)와, 저벽부(13a)의 주위로부터 상부를 향해 세워지는 통 모양의 주벽부(13b)와, 저벽부(13a)의 외주면의 하단측으로부터 링 모양으로 돌출된 하측 플랜지부(13c)와, 주벽부(13b)의 외주면의 상단측으로부터 반대측까지 서로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상측 플랜지부(13d)와, 주벽부(13b)의 전측의 상단으로부터 경사 컷(cut) 모양으로 돌출된 립부(lip部)(13e)를 가지고 있다. The inlet forming member 13 includes a bottom wall portion 13a formed with a liquid passage opening 14 and a cylindrical wall portion 13b exten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bottom wall portion 13a toward the top, A lower flange portion 13c protruding in a ring shape from the lower end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wall portion 13a and a pair of flanges 13b projec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side to the opposit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13b And a lip portion 13e protruding in an oblique cut shape from the upper end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wall portion 13b.

캡 본체(8)와 입구 형성 부재(13)와의 사이에는, 캡 본체(8)의 개구부(8b)에 입구 형성 부재(13)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입구 탈착 기구(15)가 마련되어 있다. 입구 탈착 기구(15)는, 도 8 및 도 9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 형성 부재(13)의 전측에 제1 클로부(claw部)(16)와, 입구 형성 부재(13)의 후측에 제2 클로부(17)가 마련된 걸림 부재(18)를 가지고 있다. An inlet / outlet mechanism 15 for detachably mounting the inlet forming member 13 in the opening 8b of the cap body 8 is provided between the cap main body 8 and the inlet forming member 13. As shown in Figs. 8 and 9A and 9B, the inlet / outlet attachment mechanism 15 includes a first claw portion 16 on the front side of the inlet forming member 13, And a latching member 18 provided with a second claw portion 17 on the rear side of the member 13.

제1 클로부(16)는, 주벽부(13b)의 외주면의 상단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걸림 부재(18)는, 서로 평행하게 늘어서는 한 쌍의 암부(18a)와, 한 쌍의 암부(18a)의 상단(선단)측을 연결하는 연결부(18b)를 가지고 있다. 또, 한 쌍의 암부(18a)의 하단(기단)측에는, 한 쌍의 지지축(19)이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축(19)은, 한 쌍의 암부(18a)의 내측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18b)로부터는, 탄성편(20)이 한 쌍의 암부(18a)의 사이부터 한 쌍의 암부(18a)와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2 클로부(17)는, 걸림 부재(18)의 상단(선단)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The first claw portion 16 is provided so as to project forward from the upper end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13b. The engaging member 18 has a pair of arm portions 18a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connecting portion 18b connecting the upper ends (front end) sides of the pair of arm portions 18a. A pair of support shafts 19 are provided on the lower end (base end) side of the pair of arm portions 18a. The pair of support shafts 19 are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inside the pair of arm portions 18a. The resilient piece 20 protrudes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8b in a state of being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pair of arm portions 18a from the pair of arm portions 18a. The second claw portion 17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upper end (distal end) side of the engaging member 18. [

걸림 부재(18)는, 도 1~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 형성 부재(13)의 후측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 걸림 부재(18)의 하단(기단)부는, 입구 형성 부재(13)에 마련된 힌지부(2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걸림 부재(18)의 상단(선단)부에는, 이 걸림 부재(18)를 손가락으로 회동 조작하기 쉽게하기 위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진 조작부(18c)(도 9의 (a)를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6, the engaging member 18 is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n the rear side of the inlet forming member 13. The lower end (base end) of the engaging member 18 is rotatably supported by a hinge portion 21 provided on the inlet forming member 13. An operation portion 18c (see Fig. 9 (a)) having a concave portion or a convex portion for facilitating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engaging member 18 with a finger is formed on the upper (front) end portion of the engaging member 18, Respectively.

입구 형성 부재(13)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축(19)이 끼워넣어지는 축 구멍(22)과, 탄성편(20)이 맞닿아지는 피(被)맞닿음부(23)가 마련되어 있다. 축 구멍(22)은, 하측 플랜지부(13c)의 상부에 위치하는 중간 플랜지부(13f)의 상면으로부터 입구 형성 부재(13)의 후측의 외주면을 따라서 돌출된 리브벽(13g)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피맞닿음부(23)는, 축 구멍(22)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는 리브벽(13g)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8, a shaft hole 22 into which the pair of support shafts 19 are fitted is formed in the inlet forming member 13 and a shaft hole 22 into which the elastic piece 20 abuts, (23) are provided. The shaft hole 22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flange portion 13f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lange portion 13c to the rib wall 13g protruding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n the rear side of the inlet forming member 13 . The abutment portion 23 is formed by a rib wall 13g positioned above the shaft hole 22. [

힌지부(21)는, 축 구멍(22)의 양단으로부터 한 쌍의 지지축(19)을 축 구멍(22)의 내측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서, 한 쌍의 암부(18a)가 리브벽(13g)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걸림 부재(18)의 하단(기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The pair of arm portions 18a are engaged with the rib wall 13g by fitting a pair of support shafts 19 from both ends of the shaft hole 22 into the shaft hole 22, (Base end) portion of the engaging member 18 is rotatably supported.

또, 걸림 부재(18)의 선단측을 전방(회동 방향의 일방)측을 향해 회동시켰을 때, 탄성편(20)이 피맞닿음부(23)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탄성편(20)이 탄성 변형 하면서, 걸림 부재(18)를 후방(회동 방향의 타방)측을 향해 가압한다. 또, 입구 탈착 기구(15)에서는, 탄성편(20)의 길이나 두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위에서 설명한 탄성편(20)이 탄성 변형할 때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When the distal end side of the engaging member 18 is turned toward the front side (one side in the rotating direction), the resilient piece 20 abuts against the abutment portion 23 so that the resilient piece 20 is resiliently deformed The other end of the engaging member 18 is pressed toward the rear side (the other side in the rotating direction). In the inlet / outlet mechanism 15,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ressing force when the elastic piece 20 described above is elastically deformed by changing the length or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piece 20. [

또, 입구 형성 부재(13)의 주벽부(13b)의 후측으로부터 돌출된 계단부(13h)의 하면에, 걸림 부재(18)의 암부(18a)의 전측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8d)(도 9의 (a)를 참조.)가 면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걸림 부재(18)가 후방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An extending portion 18d (also referred to as an e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side of the arm portion 18a of the engaging member 18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ep portion 13h protruding from the rear side of the main wall portion 13b of the inlet- 9 (a) of Fig. 9), the engagement member 18 is prevented from tilting backward.

입구 탈착 기구(15)는, 도 2~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8)의 전측에 제1 피(被)걸림부(24)와, 캡 본체(8)의 후측에 제2 피걸림부(25)를 가지고 있다. 제1 피걸림부(24) 및 제2 피걸림부(25)는, 상측 벽부(8c)의 개구부(8b)를 따른 전후 위치에, 각각 마련된 단차부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2 to 6, the inlet / outlet attachment mechanism 15 includes a first to-be-latched portion 24 on the front side of the cap body 8 and a second to- And has a locking portion 25. The first to-be-latched portion 24 and the second to-be-latched portion 25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along the opening portion 8b of the upper side wall portion 8c, respectively.

입구 탈착 기구(15)에서는, 제1 피걸림부(24)에 대해서 제1 클로부(16)를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캡 본체(8)의 개구부(8b)의 내측에, 입구 형성 부재(13)를 하측으로부터 끼워넣는다. 이 때, 캡 본체(8)의 상측 벽부(8c)의 하면에 한 쌍의 상측 플랜지부(13d)가 맞닿아진 상태가 된다. 또, 제1 클로부(16)가 제1 피걸림부(24)에 걸려진다. 게다가, 제2 클로부(17)가 캡 본체(8)의 개구부(8b)의 가장자리에 맞닿으면서, 제2 클로부(17)가 개구부(8b)의 가장자리를 타고 넘는 것에 따라서, 걸림 부재(18)의 선단측이 전방을 향해 회동한 후에, 걸림 부재(18)의 선단측이 후방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과 동시에, 제2 클로부(17)가 제2 피걸림부(25)에 걸려진다. The inlet / outlet attachment mechanism 15 is provided with an inlet forming member 13 (not shown) inside the opening 8b of the cap body 8 with the first claw portion 16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engaged portion 24, ) From the lower side. At this time, a pair of upper flange portions 13d abu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ide wall portion 8c of the cap body 8. Further, the first claw portion 16 is caught by the first engaged portion 24. In addition, as the second claw portion 17 rides over the edge of the opening portion 8b while the second claw portion 17 abuts against the edge of the opening portion 8b of the cap body 8, The tip end side of the engaging member 18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t the rear and the second claw portion 17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engaged portion 25 It is caught.

이것에 의해, 입구 형성 부재(13)는, 캡 본체(8)의 개구부(8b)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또, 입구 형성 부재(13)가 장착됨과 동시에, 캡 본체(8)의 개구부(8b)로부터 립부(13e)가 외부(상부)를 향해 돌출된 상태가 된다. Thus, the inlet forming member 13 is mounted on the opening 8b of the cap body 8. [ The inlet forming member 13 is mounted and the lip portion 13e protrudes from the opening 8b of the cap body 8 toward the outside (upper portion).

한편, 입구 탈착 기구(15)에서는, 걸림 부재(18)의 선단측을 전방을 향해 회동시키는 조작에 의해서, 제2 피걸림부(25)에 대한 제2 클로부(17)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제1 피걸림부(24)에 대한 제1 클로부(16)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캡 본체(8)의 개구부(8b)의 하측으로부터 입구 형성 부재(13)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nlet / detachment mechanism 15, the engagement of the second claw portion 17 with respect to the second engaged portion 25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front end side of the engagement member 18 forward do. This allows the inlet forming member 13 to be detach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opening 8b of the cap body 8 while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first claw portion 16 with respect to the first engaged portion 24 It is possible.

입구 형성 부재(13)가 장착된 캡 본체(8)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입구 형성 부재(13)가 상부 개구부(2d)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 한다. 1, the cap body 8 to which the inlet forming member 13 is attached is attached to the bore portion 2c of the container body 2 so that the inlet forming member 13 is connected to the upper opening portion 2d, the upper opening portion 2d of the container body 2 is closed.

입구 형성 부재(13)의 하측 플랜지부(13c)에는, 도 1~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수(止水, 물이 새는 것을 막음) 패킹(26)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26)은, 단차부(7)(용기 본체(2))와 입구 형성 부재(13)(캡 본체(8))와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링 모양의 씰 부재이다. 지수 패킹(26)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지수 패킹(26)은, 하측 플랜지부(13c)의 외주부에 끼워져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6, a packing 26 is fastened to the lower flange portion 13c of the inlet forming member 13 so as to be detachable therefrom. The exponent packing 26 is a ring-shaped seal member for sealing between the stepped portion 7 (container body 2) and the inlet forming member 13 (cap body 8). The exponent packing 26 is made of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elastomer having heat resistance such as silicone rubber. The exponent packing 26 is fitt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lower flange portion 13c.

지수 패킹(26)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의 내측에 끼워넣어졌을 때에, 탄성 변형하면서 용기 본체(2)의 단차부(7)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단차부(7)와 입구 형성 부재(13)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exponent packing 26 is brought into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tep portion 7 of the container main body 2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exponent packing 26 is fitted in the inside of the upper opening portion 2d of the container main body 2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eal between the stepped portion 7 and the inlet forming member 13.

덮개체(9)는, 도 2~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 형성 부재(13)가 형성하는 립 또는 주둥이(통액구(14))를 개폐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덮개체(9)는, 캡 본체(8)의 주벽부(8a)와 연속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주벽부(9a)와, 주벽부(9a)의 천면(天面)을 덮는 천벽부(天壁部)(9b)와, 천벽부(9b)를 관통한 상태에서 천벽부(9b)의 하면으로부터 세워 내려지는 대략 원통 모양의 내벽부(9c)를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Figs. 2 to 7, the lid body 9 opens and closes the lip or the mouth (the liquid passage opening 14) formed by the inlet forming member 13, and is made of, for example, polypropylene Resistant resin. The lid body 9 has a circumferential wall 9a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circumferential wall 8a of the cap body 8 and a cloth wall portion 9c Wall portion 9b and a substantially cylindrical inner wall portion 9c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wall portion 9b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ceiling wall portion 9b.

덮개체(9)는, 후술하는 힌지부(10)의 내측에 마련된 토션 스프링(제1 가압 부재)(27)에 의해서, 입구 형성 부재(13)의 통액구(14)를 개방하는 방향(이하, '개방 방향'이라고 함)을 향해 가압되어 있다. The lid body 9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liquid passage opening 14 of the inlet forming member 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 opening direction ") by the torsion spring (first pressing member) 27 provided inside the hinge 10 , &Quot; opening direction ").

덮개체(9)의 내측에는, 입구 형성 부재(13)의 통액구(14)를 폐색하는 덮개 패킹(28)이 마련되어 있다. 덮개 패킹(28)은, 입구 형성 부재(13)를 밀폐하기 위한 마개 모양의 씰 부재이다. 덮개 패킹(28)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수 패킹(26)과 동일 재질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On the inside of the lid body 9, a lid packing 28 for closing the liquid passageway 14 of the inlet forming member 13 is provided. The cover packing 28 is a cap-shaped seal member for sealing the inlet forming member 13. The cover packing 28 is made of an elastic member and can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bove-mentioned exponent packing 26.

덮개 패킹(28)은, 도 2~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9)의 내벽부(9c)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저면을 가지는 원 모양의 씰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이 덮개 패킹(28)은, 그 내측의 중심 구멍(28a)에 내벽부(9c)가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내벽부(9c)의 하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덮개 패킹(28)의 저면(28b)은, 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 패킹(28)의 상부측의 외주부에는, 단차부(28c)가 마련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2 to 6, the lid packing 28 is a circular seal member having a bottom surface detachably mounted on the inner wall portion 9c of the lid body 9. Specifically, the lid packing 28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inner wall portion 9c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wall portion 9c is fitted in the central hole 28a at the inside thereof. The bottom surface 28b of the lid packing 28 is formed in a dome shape. On the other hand, a stepped portion 28c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lid packing 28. [

덮개 패킹(28)은, 중심 구멍(28a)의 내측에 내벽부(9c)를 꽉 끼워넣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캡 유닛(3)에서는, 용기 본체(2) 내가 부압(負壓)이 되어, 덮개 패킹(28)에 인장하는 방향의 힘이 발생했다고 해도, 덮개체(9)를 열었을 때에 덮개 패킹(28)이 내벽부(9c)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용기 본체(2) 내가 양압(陽壓)이 되어, 덮개 패킹(28)으로 미는 방향의 힘이 발생했다고 해도, 덮개 패킹(28)의 단차부(28c)가 내벽부(9c)의 기단부에 맞닿아지는 것에 의해서, 덮개 패킹(28)의 내측으로 내벽부(9c)가 더 들어가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The cover packing 28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lid body 9 by fitting the inner wall portion 9c into the inside of the center hole 28a. As a result, in the cap unit 3, even if a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tainer body 2 to generate a force in the direction of pulling the lid packing 28, when the lid body 9 is ope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cking 28 from escaping from the inner wall portion 9c.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container body 2 is positively pressurized and a force in the pushing direction is generated in the lid packing 28, the stepped portion 28c of the lid packing 28 is prevented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roximal end of the inner wall portion 9c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ner wall portion 9c from further entering the inside of the lid packing 28. [

캡 유닛(3)에서는, 덮개체(9)가 캡 본체(8)의 상부를 폐색했을 때에, 덮개 패킹(28)이 탄성 변형하면서, 통액구(14)의 주위에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입구 형성 부재(13)의 통액구(14)를 폐색할 수 있다. In the cap unit 3, when the lid body 9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cap body 8, the lid packing 28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lid body 9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liquid passage opening 14. [ As a result, the liquid passageway 14 of the inlet forming member 13 can be closed.

천벽부(9b)의 상면측에는, 도 1~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벽부(9c)의 상단측을 덮는 커버 부재(29)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커버 부재(29)는, 덮개체(9)와 동일 재질의 것을 이용하여, 대략 원판(圓板)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천벽부(9b)의 상면에는, 커버 부재(29)에 대응한 형상의 오목부(30)가 마련되어 있다.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ceiling wall portion 9b, as shown in Figs. 1 to 7, a cover member 29 for covering the upper end side of the inner wall portion 9c is detachably mounted. The cover member 29 is formed substantially in the form of a disc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cover 9. [ On the other hand, a concave portion 3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ver member 29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iling wall portion 9b.

천벽부(9b)와 커버 부재(29)와의 사이에는, 오목부(30)에 커버 부재(29)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커버 탈착 기구(31)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 탈착 기구(31)는, 커버 부재(29)의 전측에 제3 클로부(32)와, 커버 부재(29)의 후측에 제4 클로부(33)가 마련된 스토퍼(34)를 가지고 있다. A cover attaching / detaching mechanism 31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cover member 29 to the concave portion 30 is provided between the ceiling wall portion 9b and the cover member 29. [ The cover removing mechanism 31 has a stopper 34 provided with a third claw portion 32 on the front side of the cover member 29 and a fourth claw portion 33 on the rear side of the cover member 29.

제3 클로부(32)는, 커버 부재(29)의 전측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커버 부재(29)의 선단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34)는, 커버 부재(29)의 후측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34)의 선단에는, 제4 클로부(33)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The third claw portion 32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side of the cover member 29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cover member 29. [ The stopper 34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29. At the tip of the stopper 34, a fourth claw portion 33 protrudes forward.

커버 탈착 기구(31)는, 오목부(30)의 전측에 제3 피걸림부(35)와, 오목부(30)의 후측에 제4 피걸림부(36)를 가지고 있다. 제3 피걸림부(35) 및 제4 피걸림부(36)는, 오목부(30)의 저면의 전후 위치에, 각각 마련된 구멍부로 이루어진다. The cover removing mechanism 31 has a third engaged portion 35 on the front side of the recess 30 and a fourth engaged portion 36 on the rear side of the recess 30. The third to-be-latched portion 35 and the fourth to-be-latched portion 36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30, respectively.

커버 탈착 기구(31)에서는, 제3 피걸림부(구멍부)(35)에 제3 클로부(32)를 삽입한 상태에서, 오목부(30)의 내측에 커버 부재(29)를 끼워넣는다. 이 때, 제4 피걸림부(구멍부)(36)에 스토퍼(34)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4 클로부(33)가 천벽부(9b)에 걸려진다. In the cover removing mechanism 31, the cover member 29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30 with the third claw portion 32 inserted into the third engaged portion (hole portion) 35 . At this time, in a state where the stopper 34 is inserted into the fourth to-be-latched portion (hole portion) 36, the fourth claw portion 33 is caught by the ceiling wall portion 9b.

이것에 의해, 커버 부재(29)는, 오목부(30)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또, 커버 부재(29)가 장착됨과 동시에, 커버 부재(29)가 내벽부(9c)의 상단측을 덮게 된다. As a result, the cover member 29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recess 30. Further, the cover member 29 is mounted and the cover member 29 covers the upper end side of the inner wall portion 9c.

한편, 커버 탈착 기구(31)에서는, 스토퍼(34)에 마련되어 있는 제4 클로부(33)를 상부 방향으로 미는 것에 의해서, 이 제4 클로부(33)와 제4 피걸림부(36)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제3 피걸림부(35)에 대한 제3 클로부(32)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오목부(30)로부터 커버 부재(29)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 커버 탈착 기구(31)에서는, 내벽부(9c)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커버 부재(29)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서, 내벽부(9c)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것을 시인(視認)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ver detachment mechanism 31, the fourth claw portion 33 provided on the stopper 34 is pushed in the upward direction, so that the fourth claw portion 33 and the fourth clawed portion 36 Release the jammed state. This makes it possible to remove the cover member 29 from the concave portion 30 while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third claw portion 32 with respect to the third to-be-latched portion 35. [ Since the cover removing mechanism 31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wall portion 9c,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that the inner wall portion 9c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removing the cover member 29 .

이와 같이, 커버 부재(29)는, 덮개체(9)의 내면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미는 것에 의해 빠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캡 유닛(3)의 덮개체(9)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커버 부재(29)를 떼어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스토퍼(34)는, 내벽부(9c)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커버 부재(29)를 떼어낼 때에, 덮개 패킹(28)을 떼어낼 필요도 없다.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member 29 is structured to be pulled out by being pushed outward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body 9.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lid body 9 of the cap unit 3 is closed, the cover member 29 can not be removed. Since the stopper 34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wall portion 9c, there is no need to remove the cover packing 28 when the cover member 29 is detached.

또, 커버 부재(29)에 대해서는, 덮개체(9)와 동일 재질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재질이나 색 등이 다른 것을 이용해도 좋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해도 괜찮다. 이 경우, 의장적으로 뛰어난 캡 유닛(3)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커버 부재(29)의 상부에 입체적인 구조물을 배치하거나, 각인(刻印)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서, 캡 유닛(3)이나, 캡 유닛(3)을 포함하는 음료용 용기(1)를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즈(customize)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over member 29 is not limited to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cover member 9, an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ake the cap unit 3 superior in design. The beverage container 1 including the cap unit 3 and the cap unit 3 can be dispos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member 29 in the shape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customize it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또, 캡 유닛(3)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커버 부재(29)가 덮개체(9)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진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 부재(29)의 감합량(嵌合量)을 꼭 끼게 조정한 구성으로 하거나 커버 부재(29)가 덮개체(9)에 대해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된 구성으로 하거나 함으로써, 커버 부재(29)에 핸들과 같은 손잡이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ap unit 3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ver member 29 described abov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ver member 9 and the cap member 29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tting amoun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handle such as a handle on the cover member 29 by adjus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member 29 or fixing the cover member 29 to the cover member 9 by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캡 유닛(3)은, 덮개체(9)가 통액구(14)를 폐색하는 위치(이하, '폐색 위치'라고 함)에서, 이 덮개체(9)를 토션 스프링(27)의 가압에 저항하여 캡 본체(2)에 대해서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37)를 구비하고 있다. The cap unit 3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id body 9 is pressed against the press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7 at a position where the lid body 9 closes the liquid passage opening 14 And a lid locking mechanism (37) for fixing the cap body (2) to the cap body (2).

구체적으로, 이 덮개 락 기구(37)는, 도 1~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8)에 힌지부(38)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락 부재(39)와, 캡 본체(8)에 힌지부(38)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링 스토퍼(40)를 가지고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to 6, the lid locking mechanism 37 includes a lock member 39 rotatably mounted on the cap body 8 via a hinge portion 38, And a ring stopper 40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8 through a hinge portion 38. [

락 부재(39)는, 캡 본체(8)(주벽부(8a))의 전측에 마련된 힌지부(38)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락 부재(39)는, 힌지부(38)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제1 암부(39a)와, 힌지부(38)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제2 암부(39b)를 가지고 있다. The lock member 39 is supported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by a hinge portion 38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p main body 8 (the main wall portion 8a). The lock member 39 has a first arm portion 39a extending upward from the hinge portion 38 and a second arm portion 39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inge portion 38. [

제1 암부(39a)의 선단(락 부재(39)의 상단)에는, 훅부(41)가 후방을 향해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2 암부(39b)와 주벽부(8a)와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42)가 배치되어 있다. 또, 탄성 부재(42)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의 스프링 부재를 이용해도 괜찮다. A hook portion 41 protrudes rearward at the tip end (the upper end of the lock member 39) of the first arm portion 39a. An elastic member 42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arm portion 39b and the main wall portion 8a. Instead of the elastic member 42, a spring member such as a coil spring may be used.

링 스토퍼(40)는, 일부가 개방된 링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이 힌지부(38)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링 스토퍼(40)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ring stopper 40 is formed of a ring-shaped member with a part thereof opened, and both ends of the ring stopper 40 are rotatably supported on the outside of the hinge portion 38. As a result, the ring stopper 40 is vertically rotatable.

한편, 덮개 락 기구(37)는, 락 부재(39)의 훅부(41)가 걸려지는 락 받이부(43)와, 링 스토퍼(40)가 걸려 고정되는 스토퍼 받이부(44)를 가지고 있다. 락 받이부(43)는, 덮개체(9)(주벽부(9a))의 전측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클로부로 이루어진다. 스토퍼 받이부(44)는, 링 스토퍼(40)의 내측에 대응한 형상으로, 락 받이부(클로부)(43)의 주위를 둘러싸는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벽부로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cover locking mechanism 37 has a lock receiving portion 43 to which the hook portion 41 of the lock member 39 is caught and a stopper receiving portion 44 to which the ring stopper 40 is caught and fixed. The lock receiving portion 43 is composed of a claw protruding fo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side of the lid body 9 (the main wall portion 9a). The stopper receiving portion 44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ring stopper 40 and a wall portion protruding forward from a position surrounding the lock receiving portion (claw portion) 43.

덮개 락 기구(37)에서는, 덮개체(9)가 캡 본체(8)의 상부를 폐색했을 때에, 락 부재(39)의 훅부(41)가 락 받이부(43)에 걸려지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가 캡 본체(8)의 상부를 폐색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42)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락 부재(39)의 제2 암부(39b)측을 압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락 받이부(43)에 대한 훅부(41)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힌지부(10) 내의 토션 스프링(27)의 가압에 의해 덮개체(9)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cover locking mechanism 37, when the cover body 9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cap body 8, the hook portion 41 of the lock member 39 is caught by the lock receiving portion 43, The state in which the body 9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cap body 8 is maintained. The locking state of the hook portion 41 with respect to the lock receiving portion 43 can be adjusted by pressing the second arm portion 39b side of the lock member 39 while elastically deforming the elastic member 42 Release. Thus,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lid body 9 in the opening direction by the pressing of the torsion spring 27 in the hinge portion 10. [

한편, 덮개 락 기구(37)에서는, 덮개체(9)가 캡 본체(8)의 상부를 폐색했을 때에, 링 스토퍼(40)가 스토퍼 받이부(44)에 걸려 고정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동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덮개 락 기구(37)에서는, 락 부재(39)의 불필요한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9)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lid locking mechanism 37, when the lid body 9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cap body 8, the ring stopper 40 is caught and fixed to the stopper receiving portion 44, 9 is prevented from rotating in the opening direction. Thus, in the lid locking mechanism 37,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d body 9 from being opened by the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lock member 39.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은, 힌지부(10)에 기능을 집약하는 것에 의해서, 컴팩트하고 또한 디자인성이 뛰어난 힌지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힌지부(10)는, 도 7, 도 10,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8)에 마련된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덮개체(9)에 마련된 제2 힌지 베어링부(46) 및 제3 힌지 베어링부(47)와, 제2 힌지 베어링부(46)와 제3 힌지 베어링부(47)와의 사이에 제1 힌지 베어링부(45)가 위치한 상태에서, 이들 제1, 제2 및 제3 힌지 베어링부(45, 46, 47)를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시킨 상태로 장착된 힌지축(48)을 가지고 있다. Incidentally, the cap unit 3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hinge structure that is compact and excellent in designability by integrating the functions of the hinge portion 10. [0034]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7, 10, 11 and 13, the hinge 10 includes a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provided on the cap main body 8 and a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5 provided on the lid body 9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6 and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47 are provided and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and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47, Second, and third hinge bearing portions 45, 46, and 47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제1 힌지 베어링부(45)는,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 구멍(45a)을 가지며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캡 본체(8)의 후측 중앙부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힌지 베어링부(45)에는, 제2 힌지 베어링부(46)와 대향하는 면(面)측을 회동축 방향으로 대략 원통 모양으로 움푹 패이게 한 제1 수용 오목부(45b)가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힌지 베어링부(45)에는, 제2 힌지 베어링부(46)와 대향하는 면측을 토션 스프링(27)의 일단측의 형상에 대응하여 움푹 패이게 한 일방의 암 받이부(45c)가 마련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0 and 13,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with a shaft hole 45a passing through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Respectively.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is provided with a first accommodating concave portion 45b which is recess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toward the side facing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Lt; / RTI >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is provided with a first arm receiving portion 45c which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27 and which faces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Respectively.

제2 힌지 베어링부(46)는, 도 7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 구멍(46a)을 가지며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연속한 형상을 가지도록, 덮개체(9)의 후측 중앙부를 사이에 둔 일방측으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2 힌지 베어링부(46)는,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대향하는 면을 구성하는 제1 대면(對面) 부재(타방의 대면 부재)(49)를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Figs. 7 and 12,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has a shaft hole 46a penetr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and has a continuous shape with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one side with the rear central portion of the body (9)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has a first facing member (the other facing member) 49 constituting a surface facing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제1 대면 부재(49)는, 제2 힌지 베어링부(46)에 마련된 제1 감합 오목부(타방의 감합 오목부)(46b)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제1 대면 부재(49)에는, 제2 힌지 베어링부(46)와는 재질이 다른 것,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POM)이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 금속 등, 제2 힌지 베어링부(46)보다도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질의 것(본 실시 형태에서는 POM)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The first facing member 49 is fitted in the first fitting recess 46b (the other fitting recess) 46b provided in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so as to be sandwiched. The first facing member 49 is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material of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such as polyacetal (POM),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POM in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a wear resistance superior to that of the hinge bearing portion 46 can be preferably used.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내마모성이 뛰어난 제1 대면 부재(49)를 제2 힌지 베어링부(46)와는 별체로 구성함으로써, 힌지부(10)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2 힌지 베어링부(46)에 대해서는, 반드시 제1 대면 부재(49)를 별체로 구성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대면 부재(49)가 일체화된 구성이라도 좋다. In the cap unit 3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hinge portion 10 by constituting the first facing member 49 having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separately from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Do.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is not limited to the first facing member 49 being a separate member, but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facing member 49 is integrated.

제1 대면 부재(49)의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대향하는 면(일방의 면)에는,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슬라이드 접촉되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돌기부(50)가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대면 부재(49)의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대향하는 면에는, 토션 스프링(27)의 타단측의 형상에 대응하여 움푹 패이게 한 타방의 암 받이부(49a)가 마련되어 있다. A plurality of (four in this embodiment) protrusions 45 slidingly contacted with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are formed on a surface (one surface) of the first facing member 49 facing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50) ar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facing member 49 opposed to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is provided a second arm receiving portion 49a which is recess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ther end side of the torsion spring 27 Lt; / RTI >

복수의 돌기부(50)는,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슬라이드 접촉될 때의 마찰 저항을 줄이기 위해, 대략 반구(半球) 모양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복수의 돌기부(50)는, 제1 대면 부재(49)에 의해 구성되는 축 구멍(45a)의 주위에 방사모양(등간격)으로 늘어서 마련되어 있다. 또, 돌기부(50)의 수에 대해서는, 적어도 3개 이상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50 protrude in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hape in order to reduce frictional resistance when slidingly contacted with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50 are arranged radially (equally spaced) around the shaft hole 45a formed by the first facing member 49. [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hree protrusions 50 are arranged.

한편, 제1 힌지 베어링부(45)의 제1 대면 부재(49)와 대향하는 면(타방의 면)에는,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부(50)와 슬라이드 접촉되는 슬라이드 접촉면(45d)이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드 접촉면(45d)은, 제1 수용 오목부(45b) 및 일방의 암 받이부(45c)의 주위에 대략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0 and 13, on the surface (the other surface) facing the first facing member 49 of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A contact surface 45d is provided. The slide contact surface 45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ing shape around the first accommodating concave portion 45b and one of the arm receiving portions 45c.

토션 스프링(27)은, 제1 힌지 베어링부(45)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토션 스프링(27)은, 코일 모양으로 권회(卷回)된 권회부(27a)와, 권회부(27a)의 일단측으로부터 연장된 일방의 암부(27b)와, 권회부(27a)의 타단측으로부터 연장된 타방의 암부(27c)를 가지고 있다. The torsion spring 27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Specifically, the torsion spring 27 includes a winding section 27a wound in a coil shape, one arm section 27b extending from one end side of the winding section 27a, a winding section 27a And the other arm portion 27c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side of the arm portion 27c.

토션 스프링(27)은, 권회부(27a)를 제1 수용 오목부(45b)의 내측에 수용하며, 일방의 암부(27b)를 제1 힌지 베어링부(45)측의 일방의 암 받이부(45c)에 걸리게 하고, 타방의 암부(27c)를 제2 힌지 베어링부(46)측의 타방의 암 받이부(49a)에 걸리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The torsion spring 27 receives the winding portion 27a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concave portion 45b and the one arm portion 27b is engaged with one of the arm receiving portions 45a of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45c and the other arm portion 27c is engaged with the other arm receiving portion 49a on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side.

이것에 의해, 힌지부(10)에서는, 덮개체(9)가 통액구(14)를 개방하는 위치(이하, '개방 위치'라고 함)로부터, 이 덮개체(9)를 개방 방향과는 반대측(이하, '폐쇄 방향'이라고 함)을 향해 회동시켰을 때에, 토션 스프링(27)의 일방의 암부(27b)와 타방의 암부(27c)와의 열림각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그 반발력에 의해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개방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is allows the hinge portion 10 to move from the position where the lid body 9 opens the liquid passageway 14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pen position") to the lid body 9 opposite to the opening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losing direction"), the opening angle between one arm portion 27b of the torsion spring 27 and the other arm portion 27c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angle between the arm portion 27b and the other arm portion 27c is reduced, The cover body 9 can be pressed against the cap body 8 toward the opening direction.

제1 힌지 베어링부(45)에는, 도 7, 도 10, 도 11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힌지 베어링부(47)와 대향하는 면측을 회동축 방향으로 대략 원통 모양으로 움푹 패이게 한 제2 수용 오목부(45e)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수용 오목부(45e)의 내측에는, 덮개체(9)를 회동축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제2 가압 부재)(51)이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수용 오목부(45e)의 내측에는, 슬라이드 부재(52)가 코일 스프링(51)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회동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7, 10, 11, and 14,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is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which is substantially cylindrical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facing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47 A second accommodating concave portion 45e is provided. A coil spring (second urging member) 51 for urging the lid body 9 toward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accommodating concave portion 45e. The slide member 52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concave portion 45e so as to be slidabl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in a state in which the slide member 52 is pressed by the coil spring 51. [

슬라이드 부재(52)는, 대략 저면을 가지는 원 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저벽의 중앙부에 형성된 축 구멍(52a)과, 측벽의 일부가 회동축 방향으로 노치된 노치부(52b)를 가지고 있다. 한편, 제2 수용 오목부(45e)의 내주면에는, 노치부(52b)의 내측에 삽입되는 가이드 볼록부(45f)가 회동축 방향으로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52)는, 노치부(52b)의 내측에 가이드 볼록부(45f)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제2 수용 오목부(45e)의 내측에서 회동축 둘레로 회전하지 않고, 회동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slide member 5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bottom face and has a shaft hole 52a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wall and a notch portion 52b in which a part of the side wall is notch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On the other han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concave portion 45e, a guide convex portion 45f inserted into the notch portion 52b is provide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The slide member 52 does not rotate around the pivot shaft at the in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concave portion 45e by inserting the guide convex portion 45f into the inside of the notch portion 52b, And is slidable.

제3 힌지 베어링부(47)는,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 구멍(47a)을 가지고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연속한 형상을 가지도록, 덮개체(9)의 후측 중앙부를 사이에 둔 타방측으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3 힌지 베어링부(47)는,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대향하는 면을 구성하는 제2 대면 부재(일방의 대면 부재)(53)를 가지고 있다.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47 has a shaft hole 47a penetr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and has a shape that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And is projected from the other side.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47 has a second facing member (one facing member) 53 constituting a surface opposed to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제2 대면 부재(53)는, 도 10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힌지 베어링부(47)에 마련된 제2 감합 오목부(일방의 감합 오목부)(47b)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제2 대면 부재(53)에는, 제3 힌지 베어링부(47)와는 재질이 다른 것,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POM)이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 금속 등, 제3 힌지 베어링부(47)보다도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질의 것(본 실시 형태에서는 POM)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0 and 15, the second facing member 5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tting recess portion (one fitting recess portion) 47b provided in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47, . The second facing member 53 is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material of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47 such as polyacetal (POM),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POM in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superior in wear resistance to the hinge bearing portion 47 can be preferably used.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내마모성이 뛰어난 제2 대면 부재(53)를 제3 힌지 베어링부(47)와는 별체로 구성함으로써, 힌지부(10)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3 힌지 베어링부(47)에 대해서는, 반드시 제2 대면 부재(53)를 별체로 구성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대면 부재(53)가 일체화된 구성이라도 좋다. In the cap unit 3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hinge portion 10 by configuring the second facing member 53, which is superior in abrasion resistance, from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47 Do.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47 is not limited to the second hinge member 53 being formed as a separate member, but the second hinge bearing member 47 may be integrally formed.

힌지축(48)은, 도 7,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 힌지 베어링부(45, 46, 47)의 축 구멍(45a, 46a, 47a)에 삽입 통과되는 것에 의해서, 이들 제1, 제2 및 제3 힌지 베어링부(45, 46, 47)를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시킨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The hinge shaft 48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s 45a, 46a and 47a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hinge bearing portions 45, 46 and 47 as shown in Figs. 7, 10 and 11 The first, second and third hinge bearing portions 45, 46 and 47 are mounted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힌지부(10)는, 개방 위치에서 클릭감을 부여함과 아울러, 덮개체(9)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클릭 기구(54)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클릭 기구(54)는, 슬라이드 부재(52)의 제2 대면 부재(53)와 대향하는 면(일방의 면)에 걸림 오목부(55)와, 제2 대면 부재(53)의 슬라이드 부재(52)와 대향하는 면(타방의 면)에 걸림 볼록부(56)를 가지고 있다. The hinge portion 10 has a click mechanism 54 that gives a clicking feeling at the open position and maintains the open state of the lid body 9. Specifically, the click mechanism 54 has a latching recess 55 on a surface (one surface) facing the second facing member 53 of the slide member 52, And a latching convex portion 56 on the surface (the other side) facing the slide member 52.

걸림 오목부(55)는, 도 7, 도 10, 도 11,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면의 덮개체(9)가 통액구(14)를 개방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오목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 일방의 면에는, 걸림 볼록부(56)를 회동 방향에서 걸림 오목부(55)로 안내하는 경사면(57)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면(57)은, 걸림 볼록부(56)와 접촉하는 면이며, 걸림 오목부(55)를 향해 오름 경사를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Figs. 7, 10, 11, 14, and 15, the latching recessed portion 55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lid body 9 of one face opens the liquid passageway 14, Shape. On one side, an inclined surface 57 for guiding the engaging convex portion 56 to the engaging concave portion 55 in the rotating direction is provided. The inclined surface 57 is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convex portion 56 and has an inclined slope toward the engaging concave portion 55. [

한편, 걸림 볼록부(56)는, 도 10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방의 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걸림 오목부(55)와 걸림 볼록부(56)는, 회동 방향에서 서로 걸려지는 면(이하, '걸림면'이라고 함)(55a, 56a)이 서로 동일 각도로 경사져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0 and 15, the engaging convex portion 56 is provided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The engaging concave portion 55 and the engaging convex portion 56 are inclined at the same ang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engaging faces) 55a and 56a which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rotating direction.

슬라이드 부재(52)는, 제2 수용 오목부(45e) 내에 압축된 코일 스프링(51)에 의해서, 제3 힌지 베어링부(47)로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가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걸림 볼록부(56)가 슬라이드 부재(52)에 꽉 눌려진 상태로 되어 있다. The slide member 52 is urged toward the direction toward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47 by the coil spring 51 compress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concave portion 45e. As a result, the engaging convex portion 56 is pressed against the slide member 52.

반대로, 제1 힌지 베어링부(45)는, 제2 수용 오목부(45e) 내에서 압축된 코일 스프링(51)에 의해서, 제2 힌지 베어링부(46)로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가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돌기부(50)가 슬라이드 접촉면(45d)에 꽉 눌려진 상태로 되어 있다. Conversely,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is pressed toward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by the coil spring 51 compress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concave portion 45e. As a result,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50 are pressed against the slide contact surface 45d.

힌지부(10)에서는, 폐색 위치로부터 덮개체(9)를 개방 방향을 향해 소정량만큼 회동시켰을 때에, 클릭 기구(54)를 구성하는 걸림 볼록부(56)가 걸림 오목부(55)에 걸려진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 클릭감을 부여함과 아울러, 걸림 볼록부(56)와 걸림 오목부(55)와의 걸림에 의해 덮개체(9)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 본체(2) 내의 음료를 마실 때에, 덮개체(9)의 개방 상태를 유지한 채로, 용기 본체(2)를 기울일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토션 스프링(27)의 가압력에 의해 덮개체(9)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비해, 토션 스프링(27)의 가압력에 의존하지 않고, 덮개체(9)의 개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The latching convex portion 56 constituting the click mechanism 54 is caught by the latching recess portion 55 when the lid body 9 is pivoted by a predetermined amount from the closing position to the opening direction in the hinge portion 10 . As a result, the lid body 9 can be kept in the open state by the engagement between the engaging convex portion 56 and the engaging concave portion 55, as well as giving a clicking feeling at the open position. In this case, when drinking the beverage in the container body 2, the container body 2 can be tilted while the open state of the lid body 9 is maintained. The opening state of the lid body 9 can be changed without depending on the press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7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id body 9 is kept in the open state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7 It can be stably maintained.

또, 힌지부(10)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덮개체(9)를 회동시켰을 때에, 걸림 볼록부(56)가 오름 경사로 이루어지는 경사면(57)과 접촉(슬라이드 접촉)하면서, 걸림 오목부(55)로 안내된다. 이 때, 경사면(57)에 대한 걸림 볼록부(56)에 가압력(마찰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토션 스프링(27)의 가압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회동되는 덮개체(9)의 회동 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에서 설명한 덮개 락 기구(37)의 해제에 의해 덮개체(9)가 세게 회동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When the lid body 9 is rotat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hinge portion 10 is brought into contact (slid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57 formed by the rising inclined engagement protrusions 56, And is guided to the engaging concave portion 55. At this time, the pressing force (frictional resistance) increases in the engaging convex portion 56 with respect to the inclined surface 57. As a result, the rotation speed of the lid body 9, which is rotated in the opening direction by the pressure of the torsion spring 27,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ver body 9 from turning too hard by releasing the cover lock mechanism 37 described above.

또, 클릭 기구(54)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걸림 볼록부(56)가 걸림 오목부(55)에 걸려진 상태에서, 서로 걸려지는 걸림면(55a, 56a)이 동일 각도로 경사져 있다. 이 경우, 서로 걸려지는 걸림면(55a, 56a)의 사이에서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걸림 오목부(55) 및 걸림 볼록부(56)의 마모나 손상 등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click mechanism 54, the engagement surfaces 55a and 56a, which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re inclined at the same angle when the engagement projection 56 described above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recess 55. [ In this case, unnecessary force is not applied between the engaging faces 55a, 56a which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wear and damage of the engaging recess 55 and the engaging convex 56 to a low level .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힌지부(10)에 기능을 집약하는 것에 의해서, 컴팩트하고 또한 디자인성이 뛰어난 힌지 구조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p unit 3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nge structure that is compact and excellent in design property by collecting functions in the hinge portion 10 described above.

즉,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힌지부(10)의 내측에, 서로 가압하는 방향이 다른 토션 스프링(제1 가압 부재)(27)와 코일 스프링(제2 가압 부재)(51)을 회동축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이들 가압 부재(27, 51)를 힌지부(10) 내에 집약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in the cap unit 3 of the present embodiment, a torsion spring (first urging member) 27 and a coil spring (second urging member) 51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arrange the pressing members 27 and 51 in the hinge 10 by arranging them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힌지부(10)에, 토션 스프링(27)의 가압에 의해 덮개체(9)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기구와, 개방 위치에서 클릭감을 부여함과 아울러 덮개체(9)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클릭 기구(54))와, 코일 스프링(51)의 가압에 의해 걸림 볼록부(56)를 슬라이드 부재(52)에 꽉 누름과 아울러, 복수의 돌기부(50)를 슬라이드 접촉면(45d)에 꽉 누르기 위한 기구를 집약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cap unit 3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inge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mechanism for rotating the lid body 9 in the opening direction by the pressure of the torsion spring 27, (Click mechanism 54) for maintaining the open state of the lid body 9 and pressing and pressing the engaging convex portion 56 against the slide member 52 by the pressing of the coil spring 51 It is also possible to collect and arrange a mechanism for pressing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50 against the slide contact surface 45d.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제2 힌지 베어링부(46)측의 복수의 돌기부(50)가 제1 힌지 베어링부(45)측의 슬라이드 접촉면(45d)에 슬라이드 접촉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회동시킬 때에, 힌지부(10)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종래보다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토션 스프링(27) 및 코일 스프링(51)에 대해서는, 그 가압력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제2 힌지 베어링부(46) 및 제3 힌지 베어링부(47)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모를 낮게 억제하여, 힌지부(10)의 내구성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cap unit 3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50 on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side ar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slide contact surface 45d on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sid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rictional resistance generated in the hinge portion 10 to be lower than that in the prior art when the lid body 9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ap main body 8. [ As a result, the press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7 and the coil spring 51 can be relatively weakened. As a result, the abrasion occurring between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and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and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47 can be suppressed to a low level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hinge portion 10 It is possible to further plan.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부(10)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캡 본체(8)측에 제1 힌지 베어링부(45), 덮개체(9)측에 제2 힌지 베어링부(46) 및 제3 힌지 베어링부(47)가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덮개체(9)측에 제1 힌지 베어링부(45), 캡 본체(8)측에 제2 힌지 베어링부(46) 및 제3 힌지 베어링부(47)가 마련된 구성으로 해도 괜찮다. 또, 상기 힌지부(10)에서는, 제2 힌지 베어링부(46)측의 구성과, 제3 힌지 베어링부(47)측의 구성을 서로 바꾸어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Specifically, the hinge portion 10 includes a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on the cap body 8 side described above, a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on the side of the lid body 9,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is provided on the lid body 9 side,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is provided on the cap body 8 side, and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ap body 8, 3 hinge bearing portion 47 may be provided. In the hinge portion 10, the configuration on the side of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46 and the configuration on the side of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47 can be alternately arranged.

또, 상기 힌지부(10)에서는, 제1 대면 부재(49)의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대향하는 면측에 복수의 돌기부(50)를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제1 힌지 베어링부(45)의 제1 대면 부재(49)와 대향하는 면측에 복수의 돌기부(50)를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괜찮다. The hinge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50 on the surface side facing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of the first facing member 49. However,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45 45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50 on the side of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facing member 49. [

또, 상기 힌지부(10)에서는, 슬라이드 부재(52)의 제2 대면 부재(53)와 대향하는 면에 걸림 오목부(55)를 마련하고, 제2 대면 부재(53)의 슬라이드 부재(52)와 대향하는 면에 걸림 볼록부(56)를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슬라이드 부재(52)의 제2 대면 부재(53)와 대향하는 면에 걸림 볼록부(56)를 마련하고, 제2 대면 부재(53)의 슬라이드 부재(52)와 대향하는 면에 걸림 오목부(55)를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괜찮다. In the hinge portion 10, the engagement recess 55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slide member 52 facing the second facing member 53 and the slide member 52 of the second facing member 53 The engaging convex portion 56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slide member 52 facing the second facing member 53 and the engaging convex portion 56 is provided on the surface facing the second facing member 53, The engaging concave portion 55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member 53 facing the slide member 52. [

또, 상기 음료용 용기(1)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외관 형상을 가진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이즈나 기능,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beverage container 1 is not limited to the one having the above-described outer shape, but can be suitably modified in accordance with its size, function, and design.

또,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보온·보냉 기능을 갖게 한 음료용 용기(1)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지만, 위에서 설명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를 이용한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캡 유닛이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음료용 용기나, 냄비와 같은 넓은 개구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냄비 덮개를 가지는 조리용 냄비에 대해서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applied to a beverage container (1) having a heat insulating and cooling function by a container body (2) having a vacuum insulati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However, (2) is us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ly applied to a cooking pot having a pot lid detachably mounted to a beverage container detachably mounted on a bore of a container body or a wide opening such as a pot It is possible.

1 - 음료용 용기 2 - 용기 본체
2c - 구경부 2d - 상부 개구부
3 - 캡 유닛 8 - 캡 본체
9 - 덮개체 9a - 주벽부
9b - 천벽부 9c - 내벽부
10 - 힌지부 13 - 입구 형성 부재(립 또는 주둥이)
14 - 통액구 15 - 입구 탈착 기구(탈착 기구)
16 - 제1 클로부 17 - 제2 클로부
18 - 걸림 부재 19 - 지지축
20 - 탄성편 21 - 힌지부
22 - 축 구멍 23 - 피맞닿음부
24 - 제1 피걸림부 25 - 제2 피걸림부
26 - 지수 패킹(씰 부재) 27 - 토션 스프링(제1 가압 부재)
28 - 덮개 패킹(씰 부재) 29 - 커버 부재
30 - 오목부 31 - 커버 탈착 기구
32 - 제3 클로부 33 - 제4 클로부
34 - 스토퍼 35 - 제3 피걸림부
36 - 제4 피걸림부 37 - 덮개 락 기구
38 - 힌지부 39 - 락 부재
40 - 링 스토퍼 41 - 훅부
42 - 탄성 부재 43 - 락 받이부
44 - 스토퍼 받이부 45 - 제1 힌지 베어링부
46 - 제2 힌지 베어링부 47 - 제3 힌지 베어링부
48 - 힌지축 49 - 제1 대면 부재(타방의 대면 부재)
50 - 돌기부 51 - 코일 스프링(제2 가압 부재)
52 - 슬라이드 부재 53 - 제2 대면 부재(일방의 대면 부재)
54 - 클릭 기구 55 - 걸림 오목부
56 - 걸림 볼록부 57 - 경사면
1 - beverage container 2 - container body
2c - diameter portion 2d - upper opening
3 - cap unit 8 - cap body
9 - lid body 9a -
9b - cloth wall portion 9c - inner wall portion
10 - Hinge 13 - Entry forming member (lip or snout)
14 - Liquid supply port 15 - Inlet removal mechanism (detachment mechanism)
16 - first claw portion 17 - second claw portion
18 - Engagement member 19 - Support shaft
20 - Elastic piece 21 - Hinge part
22 - Axial hole 23 -
24 - first pierced portion 25 - second pierced portion
26 - Expansion packing (seal member) 27 - Torsion spring (first pressure member)
28 - cover packing (seal member) 29 - cover member
30 - recess 31 - cover removal mechanism
32 - third claw portion 33 - fourth claw portion
34 - stopper 35 - third piercing part
36 - fourth pivoting member 37 - lid locking mechanism
38 - Hinge portion 39 - Locking member
40 - Ring stopper 41 - Hook part
42 - Elastic member 43 - Lock receiving part
44 - stopper receiving part 45 - first hinge bearing part
46 - second hinge bearing part 47 - third hinge bearing part
48 - Hinge shaft 49 - First facing member (second facing member)
50 - protrusion 51 - coil spring (second pressing member)
52 - a slide member 53 - a second facing member (one facing member)
54 - click mechanism 55 - engaging recess
56 - engaging convex portion 57 - inclined surface

Claims (15)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상부에 통액구(通液口)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통액구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하며,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덮개체를 회동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와, 상기 덮개체를 회동축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A cap unit detachably mounted on a mouth-and-neck portion of a container body having an opened upper portion,
A cap body which closes an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and has a liquid passage opening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lid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quid pouring port in a state of being rotatably mounted on the cap body via a hinge part,
Wherein the hing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lid body toward the rotating direction and a second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lid body toward the rotating shaft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캡 본체와 상기 덮개체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된 제1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캡 본체와 상기 덮개체 중 어느 타방에 마련된 제2 힌지 베어링부 및 제3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가 위치한 상태에서, 이들 제1, 제2 및 제3 힌지 베어링부를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시킨 상태로 장착된 힌지축을 가지며,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의 내측에 상기 제1 가압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의 내측에 상기 제2 가압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inge portion includes a first hinge bearing portion provided on one of the cap body and the lid body, a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and a third hinge bear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cap body and the lid body, Second, and third hinge bearing portions in a state where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s ar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and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and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and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respectively, ,
The first pressing member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facing the second hinge bear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member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facing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ressing member is a torsion spr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덮개체가 상기 통액구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클릭감(click感)을 부여함과 아울러 상기 덮개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클릭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inge unit has a click mechanism that gives a click feeling at a position where the cover body opens the liquid supply port and maintains the open state of the cover body.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클릭 기구는,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와의 서로 대향하는 면(面) 중, 일방의 면에 마련된 걸림 오목부와, 타방의 면에 마련된 걸림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체가 상기 통액구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상기 걸림 오목부에 상기 걸림 볼록부가 걸려지는 것에 의해서, 클릭감을 부여함과 아울러 상기 덮개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lick mechanism includes a slide member slidably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hinge bear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lick member is pressed by the second pressing member, And the engaging convex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and the engaging convex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concave portion at a position where the cover body opens the liquid permeable portion, And the cover body is maintained in an open stat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면 중, 회동 방향에서 상기 걸림 볼록부와 접촉하는 면이 상기 걸림 오목부를 향해 오름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surface of the one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convex portion in the rotating direction, has an inclination rising toward the engaging reces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림 오목부와 상기 걸림 볼록부 중, 회동 방향에서 서로 걸려지는 면이 서로 동일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engaging concave portion and the engaging convex portion are inclined at the same angle with each oth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ngaging concave portion and the engaging convex por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rotating direction.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의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대향하는 면을 구성하는 일방의 대면(對面)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And one of the facing members constituting a surface of the third hinge bearing portion facing the slide memb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대면 부재는,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와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one facing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third hinge bearing part.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와의 서로 대향하는 면 중, 일방의 면에 마련되어 타방의 면과 슬라이드 접촉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Wherein the hinge unit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which ar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utually facing surfaces of the first hinge bearing unit and the second hinge bearing unit and slide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의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와 대향하는 면을 구성하는 타방의 대면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타방의 대면 부재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second hinge bearing part of the second hinge bearing part, the other facing member constituting a surface facing the first hinge bearing part,
Where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provided on the other facing member.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타방의 대면 부재는,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와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other facing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hinge bearing par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second pressing member is a coil spring.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가 상기 통액구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덮개체를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고정하는 덮개 락(lock)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a cover locking mechanism for fixing the lid body to the cap body against the pressure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at a position where the lid body closes the liquid pouring por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음료용 용기.
A cap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a container body having the cap unit mounted thereon.
KR1020170027050A 2016-03-01 2017-03-02 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KR10187997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9242 2016-03-01
JP2016039242A JP6681745B2 (en) 2016-03-01 2016-03-01 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442A true KR20170102442A (en) 2017-09-11
KR101879979B1 KR101879979B1 (en) 2018-07-18

Family

ID=5971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050A KR101879979B1 (en) 2016-03-01 2017-03-02 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267423A1 (en)
JP (1) JP6681745B2 (en)
KR (1) KR101879979B1 (en)
CN (1) CN107140307B (en)
CA (1) CA2959270A1 (en)
TW (1) TWI62157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4555B2 (en) * 2016-05-04 2019-09-17 Hydrovaze Llc Portable beverage container
JP6846325B2 (en) * 2017-10-31 2021-03-2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Cool box
JP7090489B2 (en) * 2018-06-26 2022-06-24 サーモス株式会社 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JP7161339B2 (en) * 2018-08-10 2022-10-26 サーモス株式会社 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US10512347B1 (en) * 2018-08-28 2019-12-24 Zak Designs, Inc. Dual-dispensing lid
US11396408B2 (en) 2019-08-05 2022-07-26 Yeti Coolers, Llc Lid for container
USD955818S1 (en) * 2019-09-19 2022-06-28 Real Value LLC Tumbler
JP7445124B2 (en) 2020-04-03 2024-03-07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stopper
USD974830S1 (en) * 2020-07-22 2023-01-10 Shenzhen Too Feel Plastic & Hardware Co., Ltd Lid for water bottle
US11912471B2 (en) 2020-10-27 2024-02-27 Yeti Coolers, Llc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USD957196S1 (en) 2020-10-27 2022-07-12 Yeti Coolers, Llc Bottle
USD983597S1 (en) 2021-02-08 2023-04-18 Lifetime Brands, Inc. Cap
USD966790S1 (en) * 2021-03-09 2022-10-18 Zhejiang Feijian Technology Co., Ltd. Drinking bottle lid
JP2022180977A (en) * 2021-05-25 2022-12-07 サーモス株式会社 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JP2022180978A (en) * 2021-05-25 2022-12-07 サーモス株式会社 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USD1015804S1 (en) 2021-09-15 2024-02-27 Yeti Coolers, Llc Lid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170A (en) * 1998-04-24 2000-01-11 Ricoh Co Ltd Image forming device
US20030136803A1 (en) * 2002-01-18 2003-07-24 Toshiaki Kuwano Inner plug of a container for holding beverage
JP2007126186A (en) * 2005-11-04 2007-05-24 Peacock Vacuum Bottle Co Ltd Lid body lock structure
JP3169208U (en) * 2011-05-10 2011-07-21 オルゴ株式会社 Portable beverage container
JP5105319B2 (en) * 2010-07-06 2012-12-26 サーモス株式会社 Beverage container closure
JP2013056680A (en) * 2011-09-07 2013-03-28 Thermos Kk Stopper body of beverage container
JP2013112349A (en) * 2011-11-25 2013-06-10 Takeo Tanabe Beverage container
CN104129579A (en) * 2013-05-02 2014-11-05 膳魔师株式会社 Plug body of beverag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9081B2 (en) * 1994-12-21 2004-08-25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Hinge cap
TWM244854U (en) * 2000-09-27 2004-10-01 Nippon Oxygen Co Ltd Cork for soft drink container
US6702137B1 (en) * 2001-04-04 2004-03-09 Nippon Sanso Corp. Plug structure for liquid container
US6857538B2 (en) * 2002-04-25 2005-02-22 Tsong-Yow Lin Garbage bin with cover
JP2009043001A (en) * 2007-08-08 2009-02-26 Nec Saitama Ltd Click structure, hinge structure and folding cellphone terminal
CN201235992Y (en) * 2008-04-15 2009-05-13 郑松 Composite bottle cover for packing instant drink type beverage bottle
EP2334885A4 (en) * 2008-09-15 2014-02-26 Sca Hygiene Prod Ab Hinge arrangement
US8613417B2 (en) * 2010-05-26 2013-12-24 Donald William Kraus, JR. Coaster and drink cover
JP5263361B2 (en) * 2011-09-30 2013-08-14 サーモス株式会社 Beverage container closure
CN202449356U (en) * 2012-01-17 2012-09-26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Connecting mechanism of upper cover and lower cover
JP5430689B2 (en) * 2012-01-27 2014-03-05 サーモス株式会社 Beverage container closure
CN103431715B (en) * 2013-06-05 2015-10-14 浙江哈尔斯真空器皿股份有限公司 A kind of bowl cover
JP5650284B1 (en) * 2013-07-05 2015-01-07 サーモス株式会社 Beverage container hinge structure
WO2015033254A1 (en) * 2013-09-09 2015-03-12 Lim Huy Drink container cover
TW201538398A (en) * 2014-04-02 2015-10-16 Crown Mfg Corp Stopper for beverage container
CN204161794U (en) * 2014-05-05 2015-02-18 上海宏晨家庭用品有限公司 The built-in incorrect opening preventing container cover of butto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170A (en) * 1998-04-24 2000-01-11 Ricoh Co Ltd Image forming device
US20030136803A1 (en) * 2002-01-18 2003-07-24 Toshiaki Kuwano Inner plug of a container for holding beverage
JP2007126186A (en) * 2005-11-04 2007-05-24 Peacock Vacuum Bottle Co Ltd Lid body lock structure
JP5105319B2 (en) * 2010-07-06 2012-12-26 サーモス株式会社 Beverage container closure
JP3169208U (en) * 2011-05-10 2011-07-21 オルゴ株式会社 Portable beverage container
JP2013056680A (en) * 2011-09-07 2013-03-28 Thermos Kk Stopper body of beverage container
JP2013112349A (en) * 2011-11-25 2013-06-10 Takeo Tanabe Beverage container
CN104129579A (en) * 2013-05-02 2014-11-05 膳魔师株式会社 Plug body of beverag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40307A (en) 2017-09-08
CA2959270A1 (en) 2017-09-01
KR101879979B1 (en) 2018-07-18
CN107140307B (en) 2019-12-03
TW201731738A (en) 2017-09-16
JP2017154780A (en) 2017-09-07
TWI621570B (en) 2018-04-21
US20170267423A1 (en) 2017-09-21
JP6681745B2 (en) 202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979B1 (en) 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KR101879987B1 (en) 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US11045027B2 (en) Lockable beverage container closure
KR20190042513A (en) 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JP6509783B2 (en) Cap unit and container for beverage
CN110638344B (en) Cap unit and capped container
JP6346785B2 (en) Plug body and container provided with the plug body
JP6716370B2 (en) 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JP6466387B2 (en) Cap unit and beverage container
JP2024030700A (en) 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JP2020026292A (en) 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CN115384938A (en) Cap unit and capped container
CN115384937A (en) Cap unit and capped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