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230A - Disposable diaper - Google Patents

Disposable dia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230A
KR20170098230A KR1020177016998A KR20177016998A KR20170098230A KR 20170098230 A KR20170098230 A KR 20170098230A KR 1020177016998 A KR1020177016998 A KR 1020177016998A KR 20177016998 A KR20177016998 A KR 20177016998A KR 20170098230 A KR20170098230 A KR 20170098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sheet
diaper
le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9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0783B1 (en
Inventor
유미 에토
가이요 나카지마
요시노리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8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2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7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 벨트와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감촉이 좋은 사이드 플랩을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한다. 기저귀 본체(16)와, 앞뒤 허리 영역(11, 12)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허리 벨트(17)를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10)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허리 벨트(17)는, 다리 개구(15)측으로부터 허리 개구(14)측을 향해 세로 중심선(P)에 근접하는 접합 라인(18A, 18B)을 통해 상기 기저귀 본체(16)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기저귀 본체(16)는, 흡수체(23)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가로 방향(X)의 외측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40)을 가지며, 상기 사이드 플랩(40)은, 상기 다리 개구(15)를 따라 연장되는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갖는 고강성 영역(41)을 갖고 있고, 상기 고강성 영역(41)의 양단부(41A, 41B)는, 상기 접합 라인(18A, 18B) 상에 위치한다.Disclosed is a disposable diaper provided with a side flap which is capable of enhancing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waist belt and having a good feel. A disposable diaper (10) comprising a diaper body (16) and a pair of waist belts (17) for connecting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12), wherein the pair of waist belts (17) The diaper main body 16 is joined to the diaper body 16 through joint lines 18A and 18B which are closer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P from the opening 15 side to the waist opening 14 side, (4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utside the transverse direction (X) of both side edges of the absorbent body (23), the side flaps (40) extending along the leg openings (41A, 41B) of the high-rigidity region (41) are located on the bonding lines (18A, 18B). The high rigidity region (41) do.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Disposable diaper {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diaper.

종래, 앞뒤 허리 영역과,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흡수체를 갖는 기저귀 본체와, 앞뒤 허리 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허리 벨트와, 허리 개구와 한 쌍의 다리 개구를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는 공지이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한 쌍의 허리 벨트가, 다리 개구측으로부터 허리 개구측을 향해 세로 중심선에 근접하는 접합 라인을 통해 기저귀 본체에 접합되어 있고, 기저귀 본체에 있어서, 흡수체의 가로 방향 외측에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사이드 플랩은, 적층된 복수 매의 시트 부재로 이루어지며, 전체가 거의 균일한 강성을 갖고 있다. 사이드 플랩은, 접합 라인을 통해 허리 벨트와 접합되고, 허리 벨트와 함께 다리 개구를 형성하고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proposed a diaper comprising a diaper main body having an absorbent body, a pair of waist belts for connecting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and a waist opening and a pair of leg openings each having a crotch region located between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Disposable diapers are known. For example, in the disposable diape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 pair of waist belts are joined to the diaper body through a joint line approaching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from the leg opening side to the waist opening side, and in the diaper body, And a pair of side flaps are formed on the out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is side flap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laminated sheet members, and the entire side flap has substantially uniform stiffness. The side flap is joined to the waist belt through a joint line and forms a leg opening together with the waist belt.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1026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9-10261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저귀는, 앞뒤 허리 영역이 환형의 허리 벨트에 의해 형성되는 기저귀나, 앞뒤 허리 영역과 가랑이 영역을 일체의 시트 부재에 의해 형성하는 기저귀에 비해, 착용자에게 속옷 같은 인상을 줄 수 있다.The diape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superior to a diaper in which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are formed by annular waist belts and the diaper in which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and the crotch region are formed by the integral sheet members, have.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저귀에서는, 허리 벨트를 잡고 기저귀를 끌어올릴 때에, 허리 벨트와 사이드 플랩의 접합부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에는, 접합 라인의 다리 개구측의 단부의 근방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에 찢어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한편, 접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사이드 플랩 전체의 강성을 높게 하면, 사이드 플랩의 유연성이 손상되고, 감촉이 저하되어 버린다.However, in the diape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when the bonding strength at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waist belt and the side flap is relatively low when the diaper is pulled up by holding the waist belt, in the vicinity of the end on the leg opening side of the joint line , Tearing of the side flaps is liable to occur. On the other hand, if the rigidity of the entire side flap is increased in order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the flexibility of the side flap is impaired and the feel is lowered.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개량으로서, 허리 벨트와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감촉이 좋은 사이드 플랩을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의 제공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osable diaper comprising a side flap which can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waist belt as well as the side flap with a good feel as an improvement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를 2등분하는 세로 중심선을 가지며, 앞뒤 허리 영역과,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과, 흡수체를 갖는 기저귀 본체와,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허리 벨트와, 허리 개구와 한 쌍의 다리 개구를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이다.The diaper main body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ateral direction, a longitudinal center line bisecting the lateral dimension into two, a crotch region located between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and an absorbent body, A pair of waist belts for connecting waist regions, and a waist opening and a pair of leg openings.

본 발명은 상기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허리 벨트는, 상기 앞뒤 허리 영역에 있어서, 상기 다리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허리 개구측을 향해 서로 간격이 작아지는 접합 라인을 통해 상기 기저귀 본체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기저귀 본체는, 상기 흡수체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을 가지며, 상기 사이드 플랩은, 상기 다리 개구를 따라 연장되는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갖는 고강성 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고강성 영역의 양단부는, 상기 접합 라인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di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waist belts are joined to the diaper body through a joint line that is spaced from the leg opening side toward the waist opening side in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 The diaper main body has side flap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ide edge portions of the absorbent body, and the side flaps are formed on the edge portions extending along the leg openings And a high rigidity region having high rigidity,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high rigidity region are located on the joining line.

상기 기저귀 본체는, 투액성(透液性)의 내층 시트와, 불투액성의 외층 시트와, 상기 내외층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시트에 별체(別體)의 탄성 시트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고강성 영역이 형성되기 때문에, 다리 개구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간극 없이 신체에 면 형상으로 피트되어, 배설물의 가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The diaper main body includes a liquid-permeable inner layer sheet, a liquid-impervious outer layer sheet, the absorbent body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layer sheets, and a pair of side sheets dispos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absorbent body Since the highly rigid region is formed by disposing the elastic sheet of the separate body on the side sheet, the leg openings are pitched in the shape of the body without gaps at the edge of the leg openings to prevent the lateral leakage of the body .

상기 사이드 시트는, 상기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제1 시트와 상기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제2 시트를 가지며, 상기 탄성 시트는, 상기 제1 및 제2 시트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탄성 시트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박리되거나, 피부에 닿아 위화감을 주는 일은 없다.Wherein the side sheet has a first sheet positioned on the skin facing side and a second sheet positioned on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and the elastic sheet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heets, So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two side edges of the absorbent article are peeled off or exposed to the skin to give an uncomfortable feeling.

상기 탄성 시트는, 상기 사이드 시트의 피부 대향면측 및 피부 비대향면측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비탄성의 사이드 시트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다.Since the elastic sheet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skin facing side and the skin non-facing side of the side sheet, elasticity can be imparted to the inelastic side sheet.

상기 고강성 영역에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다리 탄성체가 배치되기 때문에, 탄성 시트와 함께 다리 개구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plurality of leg elastic member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disposed in the high rigidity region, the padding at the leg opening edge portion can be improved together with the elastic sheet.

상기 다리 탄성체는, 상기 고강성 영역에 있어서 적층되는 시트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허리 벨트에는, 복수 개의 허리 탄성체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 탄성체와 상기 허리 탄성체가, 시트 부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쳐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이들이 겹쳐지는 것에 의한 응력의 집중을 피하여, 다리 개구 가장자리부를 면 형상으로 피트시킬 수 있다. Wherein the leg elastic members are disposed between the sheet members stacked in the high rigidity region and a plurality of waist elastic members are disposed on the waist belt, and the leg elastic members and the waist elastic members are arrang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The leg opening edge portions can be fitted in a planar shape by avoiding concentration of stress due to overlapping of them.

상기 고강성 영역의 폭 치수는, 3~30 ㎜이기 때문에, 다리 개구 가장자리부를 착용자의 대퇴부에 면 형상으로 피트시킬 수 있다.Since the width dimension of the high-rigidity region is 3 to 30 mm, the leg opening edge portion can be fitted to the thigh of the wearer in a planar shape.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이드 플랩은, 다리 개구를 따라 연장되는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갖는 고강성 영역을 갖고 있고, 고강성 영역의 양단부는, 접합 라인 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접합 라인의 다리 개구측의 단부에 있어서, 허리 벨트와 사이드 플랩의 접합 강도가 높아져, 사이드 플랩에 찢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플랩에 있어서, 고강성 영역은, 다리 개구를 형성하는 사이드 플랩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하고 있고, 다른 영역은 비교적 강성이 낮게 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플랩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감촉을 좋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flap has a high-rigidity region that has a higher rigidity than the other regions in the edg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eg opening, and both ends of the high-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waist belt and the side flap is increased at the end of the joint opening on the leg opening sid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de flap from being torn. Further, in the side flap, the high-rigidity region is located at the edge portion of the side flap forming the leg opening, and the other region is relatively low in rigidity. Therefore, flexibility of the side flap can be maintained,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의 일례로서 도시하는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기저귀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켜, 허리 벨트의 내면과 기저귀 본체의 내면을 접촉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기저귀의 앞뒤 허리 영역에 있어서의 접합 라인의 접합을 풀어, 기저귀 본체와 허리 벨트를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a)는 도 3의 V(a)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b)는 도 3의 V(b)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은 앞 허리 영역의 내면과 뒤 허리 영역의 내면을 서로 접촉시킨 양태에 있어서의, 수축한 상태의 기저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착용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기저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기저귀(10)의 도 5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aper shown as an example of a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waist bel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er bod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diaper.
Fig. 3 is an exploded flat view of the diaper main body and the waist belt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unbonding the joint lines in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of the diaper.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surrounded by a line V in Fig.
Fig. 6 (a)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area surrounded by the line V (a) in Fig.
6 (b)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area surrounded by the line V (b) in Fig. 3.
7 is a front view of the diaper in a contracted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waist reg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Fig. 8 is a front view of a diaper showing a state when the diaper is worn. Fig.
9 is a side view of the diaper in a wearing state.
Fig. 10 is a 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5 of the diaper 10 in the modification example.

하기의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인 도 1~도 10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이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 2~도 4에 있어서, 후술하는 각 탄성체는, 그 수축력에 대항하여, 가로 방향(X) 및 세로 방향(Y)으로의 수축력에 의해, 각 탄성체가 부착된 부재에 발생한 개더가 자연스러운 시각에 의해 실질적으로 없어진 것처럼 보일 정도로까지 신장된 상태에 있다.Each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includes not only essential features but also optional and preferred configurations of the disposable diaper shown in Figs. 1 to 10, which is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s. 2 to 4, each elastic body to be described later has, at the natural viewpoint, the gathers generated in the members to which the respective elastic members are attached by the contracting for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gainst the contractive force To the extent that it appears to have substantially disappeared.

도 1~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일례인 기저귀(10)는, 세로 방향(Y) 및 그에 직교하는 가로 방향(X)과, 피부 대향면 및 그 반대측의 피부 비대향면과,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를 2등분하는 세로 중심선(P)과,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를 2등분하는 가로 중심선(Q)을 가지며, 앞 허리 영역(11)과, 뒤 허리 영역(12)과, 앞 허리 영역(11) 및 뒤 허리 영역(12)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13)을 포함한다. 기저귀(10)는 세로 중심선(P)에 대해 거의 대칭이며, 허리 개구(14)와 한 쌍의 다리 개구(15)를 갖는다. 1 to 3, a diaper 10, which is an example of a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a transverse direction X orthogonal thereto, and a skin non- The front waist region 11 and the front waist region 11 have a vertical center line P dividing the length dimension of the horizontal direction X into two and a horizontal center line Q dividing the length dimension of the vertical direction Y into two, A back waist region 12 and a crotch region 13 located between the front waist region 11 and the back waist region 12. [ The diaper 10 is substantially symmetrical about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P and has a waist opening 14 and a pair of leg openings 15. [

기저귀(10)는, 흡수체(23)를 가지며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기저귀 본체(16)와, 앞뒤 허리 영역(11, 12)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허리 벨트(17)를 포함한다. 한 쌍의 허리 벨트(17)는, 세로 중심선(P)에 대해 거의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리 개구(15)측으로부터 허리 개구(14)측을 향해 세로 중심선(P)에 근접하는, 복수의 독립된 시일부로 형성된 접합 라인(시일 라인)(18A, 18B)을 통해 기저귀 본체(16)에 접합된다. 시일부는, 공지된 접합 수단, 예컨대, 열 엠보스 가공, 소닉 가공 등의 각종의 열용착 수단에 의해 실시되어 있다. 허리 벨트(17)는, 접합 라인(18A, 18B)에 있어서, 그 피부 대향면과 기저귀 본체(16)의 피부 대향면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접합 양태를 가짐으로써, 접합 라인(18A, 18B)이 착용자의 신체에 닿아 위화감이나 자극을 주는 일은 없다. 후기하는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나타내는 한에 있어서, 접합 라인(18A, 18B)에는, 열용착 수단 외에, 핫멜트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허리 벨트(17)는, 한 쌍의 탄성 패널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나, 후기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기저귀 본체(16)와 동일한 시트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The diaper 10 includes a diaper body 16 having an absorbent body 23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a pair of waist belts 17 for connecting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and 12 . The pair of waist belts 17 are arranged substantially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P and have a plurality of waist belts 17 extending from the leg opening 15 side toward the waist opening 14 side, And are joined to the diaper body 16 via joint lines (seal lines) 18A and 18B formed into independent seal portions. The sealing portion is carried out by various heat welding means such as known joining means, for example, thermal embossing, sonic machining or the like. In the waist belt 17, the skin facing surfaces of the diaper body 16 are fixed to each other in the bonding lines 18A, 18B. By having such a bonding manner, the bonding lines 18A and 18B do not touch the wearer's body and give no sense of incongruity or irritation.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later is exhibited, known bonding means such as hot melt adhesive can be used for the bonding lines 18A and 18B in addition to the heat welding means. The waist belt 17 is formed of a pair of elastic panels, but it can be formed of the same sheet material as the diaper body 16 by a later-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기저귀 본체><Diaper body>

도 3~도 5를 참조하면, 기저귀 본체(16)는,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이격 대향하는 전단 가장자리(16a) 및 후단 가장자리(16b)와,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이격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16c, 16d)에 의해 획정(劃定)되어 있고, 전단 가장자리(16a) 사이에 위치하는 전단부(20A)와, 후단 가장자리(16b) 사이에 위치하는 후단부(20B)와, 전후 단부(20A, 20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20C)를 갖는다. 전후단 가장자리(16a, 16b)는, 각각, 세로 중심선(P)에 대해 거의 대칭이며, 세로 방향(Y)의 외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후 단부(20A, 20B)는, 각각, 기저귀(10)의 앞뒤 허리 영역(11, 12)에 위치하고, 중간부(20C)는 가랑이 영역(13)에 위치한다. 3 to 5, the diaper main body 16 is provided with a front edge 16a and a rear edge 16b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 front end portion 20A defined by the edges 16c and 16d and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end edges 16a and a rear end portion 20B positioned between the rear end edge 16b, (20A, 20B). The front and rear end edges 16a and 16b are each substanti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P and extend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out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 The front and rear end portions 20A and 20B are located in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and 12 of the diaper 10 and the middle portion 20C is located in the crotch region 13. [

기저귀 본체(16)는, 피부 대향면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내층 시트(21)와, 피부 비대향면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외층 시트(22)와, 내외층 시트(21, 22)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23)와, 흡수체(23)와 외층 시트(22) 사이에 위치하는 난투액성(難透液性) 또는 불투액성의 누설 방지 시트(24)를 포함한다. 내외층 시트(21, 22)의 양측에는, 이들에 개재된 상태로, 가로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되어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2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저귀 본체(16)는, 사이드 시트(25) 중 내외층 시트(21, 22) 및 누설 방지 시트(24)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가로 방향(X)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즉, 흡수체(23)의 가로 방향의 외측에 있어서, 내외층 시트(21, 22) 및 누설 방지 시트(24)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플랩(40)을 갖는다. The diaper body 16 includes a liquid-impervious inner layer sheet 21 located on the skin facing surface, a liquid-impervious outer layer sheet 22 located on the skin non-facing surface, And a leakage preventing sheet 24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absorbent body 23 and the outer layer sheet 22 and is liquid-pervious or liquid-impervious. A pair of side sheets 25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X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and outer layer sheets 21 and 22 in a stat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diaper main body 16 is also provided with a portion extending outwardly in the lateral direction X from both side edges of the inner and outer sheets 21 and 22 and the leakage preventing sheet 24 among the side sheets 25 (Not including the inner and outer layer sheets 21, 22 and the leakage preventing sheet 24)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side flaps 23.

내층 시트(21)는, 대략 팔각형 형상을 이루며, 질량이 약 15~35 g/㎡, 바람직하게는 약 18~24 g/㎡인 친수 처리한 소수성의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 스펀 본드 섬유 부직포, 포인트 본드 섬유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층 시트(22)는, 내층 시트(21)와 거의 동일한 형태 동일한 크기이며, 질량이 약 15~30 g/㎡, 바람직하게는 약 18~24 g/㎡인 소수성의 스펀 본드·멜트 블로운·스펀 본드(이하 SMS라고 한다) 섬유 부직포 또는 스펀 본드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layer sheet 21 has a substantially octagonal shape and is made of a hydrophilic treated hydrophobic air-spun fiber nonwoven fabric having a mass of about 15 to 35 g / m 2, preferably about 18 to 24 g / m 2, a spunbond fiber nonwoven fabric, Bonded fiber nonwoven fabric or the like. The outer layer sheet 22 is a hydrophobic spunbond meltblown layer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innerlayer sheet 21 and having a mass of about 15 to 30 g / m 2, preferably about 18 to 24 g / m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S) fiber nonwoven fabric or spunbond fiber nonwoven fabric.

흡수체(23)는, 세로 방향(Y)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전후단 가장자리(23a, 23b)와, 전후단 가장자리 사이에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23c)를 가지며, 소요의 형상으로 부형된 흡액성 코어와, 흡액성 코어를 덮는 티슈 페이퍼 등의 액 확산성의 코어 커버 시트를 포함한다. 흡액성 코어로서는, 목재 플러프 펄프,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흡액성 코어와 코어 커버 시트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접합할 수 있다. The absorber 23 has front and rear end edges 23a and 23b curved convexly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side edges 23c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between the front and rear end edges, And a liquid-diffusing core cover sheet such as a tissue paper covering the liquid-absorbent core. As the liquid-absorbent core, wood fluff pulp,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or a mixture thereof can be used. The liquid-absorbent core and the core cover sheet can be bonded to each other by using a known bonding means such as a hot-melt adhesive.

누설 방지 시트(24)는, 적어도 흡수체(23)의 피부 비대향면(바닥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흡수체(23)와 외층 시트(22) 사이에 있어서, 핫멜트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누설 방지 시트(24)로서는, 예컨대, 난투액성, 바람직하게는, 불투액성 또한 통기성의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 있고, 누설 방지 시트(24)가 흡수체(23)의 피부 비대향면의 전체를 덮음으로써, 흡수체(23)로 흡수된 체액이 기저귀(10)의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누설 방지 시트(24)에 그림이나 색채 등의 장식 요소를 갖는 시트를 이용하여, 소요의 광선 투과율을 갖는 외층 시트(22)로부터 장식 요소를 투과시킬 수도 있다. The leakage preventing sheet 24 is disposed so as to cover at least the entire skin non-facing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absorbent body 23 and is provided between the absorbent body 23 and the outer layer sheet 22, And they can be joined together by a bonding means. As the leakage preventing sheet 24, it is possible to use, for example, a liquid film which is liquid-liquid, preferably liquid-impermeable and breathable. By covering the entire non-skin-facing surface of the absorbent body 23 with the leakage preventing sheet 24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dy fluid absorbed by the absorbent body (23)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diaper (10). Although not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heet having decorative elements such as a picture or a color on the leakage preventing sheet 24 to transmit the decorative element from the outer layer sheet 22 having a required light transmittance.

도 4 및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사이드 시트(25)는, 흡수체(23)의 가로 방향(X)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누설 방지 시트(24)와 내층 시트(21) 사이에 있어서, 핫멜트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25)는, 흡수체(23)측에 위치하는 제1 시트(25A)와 외층 시트(22)측에 위치하는 제2 시트(25B)로 형성되고, 양 시트(25A, 25B)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25)로서는, 예컨대, 질량이 약 10~30 g/㎡인 소수성의 SMS 섬유 부직포 또는 스펀 본드 섬유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4 and 5, the pair of side sheets 25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lateral direction X of the absorbent body 23, and between the leakage preventing sheet 24 and the inner layer sheet 21 , A hot melt adhesive, or the like. The side sheets 25 are formed of a first sheet 25A located on the side of the absorbent body 23 and a second sheet 25B located on the side of the outer layer sheet 22, And they are bonded together by a known means such as an adhesive. As the side sheet 25, for example, a hydrophobic SMS fibrous nonwoven fabric or a spunbond fibrous nonwoven fabric having a mass of about 10 to 30 g / m 2 may be used.

제1 시트(25A)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제2 시트(25B)의 외측 가장자리부 사이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다리 탄성체(26)와, 다리 탄성체(26)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다리 탄성 시트(27)가 배치된다. 사이드 플랩(40)은, 다리 탄성 시트(27)가 배치된 고강성 영역(41)과, 그 가로 방향(X)의 내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시트(25)만으로 형성된 저강성 영역(42)을 갖는다. 고강성 영역(41)은, 저강성 영역(42)에 비해, 적층된 시트수가 많기 때문에, 저강성 영역(42)에 비해 강성이 높게 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다리 개구 가장자리부를 따라 저강성 영역(42)에 비해 강성이 높은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서, 다리 탄성 시트(27) 대신에, 또는, 그것과 함께, 사이드 시트(25)를 절곡한 부분이 위치하거나, 비탄성의 보조 시트를 배치해도 좋다.A plurality of leg elastic members 26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eg elastic members 26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provided between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first sheet 25A and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second sheet 25B, The leg elastic sheet 27 is disposed. The side flaps 40 are formed by the high rigidity region 41 in which the leg elastic sheet 27 is disposed and the low rigidity region 42 formed only by the side sheet 25 located inside the lateral direction X . The high stiffness region 41 has a higher rigidity than the low stiffness region 42 because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s is larger than that of the low stiffness region 42. [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orm a region having a higher rigidity than the low-rigidity region 42 along the leg opening edge portion, the side sheet 25 is folded in place of or in addition to the leg elastic sheet 27 Or an inelastic auxiliary sheet may be disposed.

다리 탄성체(26)는, 기저귀 본체(16)의 전단 가장자리(16a)로부터 후단 가장자리(16b)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된 복수 개의 스트링 형상 또는 스트랜드 형상의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다리 탄성 시트(27)는, 기저귀 본체(16)의 전단 가장자리(16a)로부터 후단 가장자리(16b)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신축 가능하게 부착된 띠 형상의 탄성 부재이며, 평고무나 탄성 섬유로 형성된 탄성 신축성의 섬유 부직포로 형성된다. 기저귀 본체(16)의 양측부에 다리 탄성체(26)와 다리 탄성 시트(27)가 배치됨으로써, 흡수체(23)의 양측 가장자리(23c)의 가로 방향(X)의 외측 부분에는, 다리 탄성 영역(고강성 영역(41)과 동일한 영역)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리 탄성 시트(27)가 기저귀 본체(16)의 전단 가장자리(16a)로부터 후단 가장자리(16b)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고강성 영역(41)의 양단부, 즉, 세로 방향(Y)에 있어서의 양단부(41A, 41B)는, 접합 라인(18A, 18B) 상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25)는 2개의 시트(25A, 25B)로 형성되어 있으나, 한 장의 섬유 부직포를 절곡하여 고정함으로써 형성해도 좋고, 외층 시트(22)의 연장 부분으로 형성해도 좋다. 다리 탄성 시트(27)는, 사이드 시트(25)의 피부 대향면측 또는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해도 좋으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1 시트(25A)와 제2 시트(25B)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측가장자리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거기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측가장자리부가 피부에 직접 닿는 것에 의한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The leg elastic body 2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ring-like or stranded shapes (not shown) attached so as to contract in an elongated s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between the front end edge 16a and the rear end edge 16b of the diaper body 16 Of the elastic material. The leg elastic sheet 27 is a belt-like elastic member stretchably atta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between the front end edge 16a and the rear end edge 16b of the diaper body 16, Or an elastic stretchable fibrous nonwoven fabric formed of elastic fibers. The leg elastic members 26 and the leg elastic sheets 27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iaper body 16 so that the leg elastic zones 27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portions of the side edges 23c of the absorbent body 23 in the lateral direction X The same region as the high stiffness region 41) is formed. 3, since the leg elastic sheet 27 extends from the front end edge 16a to the rear end edge 16b of the diaper body 16, both ends of the high rigidity region 41, that is, Y are located on the bonding lines 18A, 18B.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sheet 25 is formed of two sheets 25A and 25B, but it may be formed by bending and fixing a single piece of the fibrous nonwoven fabric or may be formed as an extended portion of the outer layer sheet 22 . The leg elastic sheet 27 may be dispos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r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of the side sheet 25, but it may be arranged between the first sheet 25A and the second sheet 25B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de edge portio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being peeled from the outside, and the discomfort due to direct contact of the side edge portion with the skin can be reduced.

<허리 벨트> <Waist belt>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허리 벨트(17)는, 접합 라인(18A, 18B)을 통해 기저귀 본체(16)에 접합된 양단 가장자리(전후단 가장자리)(17a, 17b)와, 기저귀 본체(16)의 양측 가장자리(16c, 16d)와 함께 다리 개구(15)를 형성하는 하측 가장자리(17c)와, 허리 개구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측 가장자리(17d)를 갖는다. 허리 벨트(17)는, 허리 개구측(제1 측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상방 부분(51)과, 다리 개구측(제2 측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하방 부분(52)으로 구분된다. 상방 부분과 하방 부분의 폭 방향의 치수는, 각각, 허리 벨트(17)의 폭 치수(W1)의 약 30~70%이며, 바람직하게는, 50%의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예컨대, 통상의 성인용의 기저귀의 M 사이즈의 경우에는, 허리 벨트(17)의 폭 치수(W1)가, 약 70 ㎜이며, 상하방 부분(51, 52)의 폭 치수는 약 35 ㎜이다.2 and 3, the waist belt 17 includes both ends (front and rear end edges) 17a and 17b joined to the diaper body 16 via joint lines 18A and 18B, A lower edge 17c which forms a leg opening 15 with both side edges 16c and 16d of the upper edge 17c and an upper edge 17d which forms a waist opening edge. The waist belt 17 is divided into an upper portion 51 located on the waist opening side (first side edge side) and a lower portion 52 located on the leg opening side (second side edge side). The widthwise dimensions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re about 30 to 70%, preferably 50%, of the width W1 of the waist belt 17, respectively. Therefor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ize M of a normal adult diaper, the width W1 of the waist belt 17 is about 70 mm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51 and 52 is about 35 mm .

허리 벨트(17)는, 섬유 부직포제의 허리 시트(30)로 형성된 내외층(31, 32)을 갖는다. 내외층(31, 32) 사이에는, 스트링 형상 또는 스트랜드 형상의 탄성 재료로 형성된 복수 개의 허리 탄성체(33, 34)가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허리 탄성체(33, 34)는, 상방 부분(51)에 배치된 상방 허리 탄성체(33)와, 하방 부분(52)에 배치된 하방 허리 탄성체(34)를 갖는다. The waist belt 17 has inner and outer layers 31 and 32 formed of a waist sheet 30 made of a fibrous nonwoven fabric. Between the inner and outer layers 31, 32, a plurality of waist elastic members 33, 34 formed of a string or a strand-shaped elastic material is shrinkably attached in a stretched state. The waist elastic bodies 33 and 34 have an upper waist elastic body 33 disposed in the upper portion 51 and a lower waist elastic body 34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52. [

허리 시트(30)의 하측 가장자리(17c)측에는, 탄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된 허리 탄성 시트(35)가 배치되어 있다. 허리 탄성 시트(35)는, 그 일부가,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하방 허리 탄성체(34)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허리 시트(30)는, 상측 가장자리(17d)측에 있어서, 그 일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절곡 부분(36)에는, 복수의 상방 허리 탄성체(3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절곡 부분(36)에 배치된 상방 허리 탄성체(33)와, 허리 시트(30) 중 절곡 부분(36) 이외의 주체부에 배치된 상방 허리 탄성체(33)는, 각각 두께 방향에 있어서 어긋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방 허리 탄성체(33)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는 것에 의한 신장 응력의 집중을 피하여, 넓은 범위에서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허리 개구 가장자리부에 절곡 부분(36)이 위치함으로써, 광선 투과율이 국소적으로 낮아지며, 보다 쇼츠와 같은 속옷 같은 외관을 나타낸다. On the lower edge 17c side of the waist sheet 30, a waist elastic sheet 35 formed of an elastic fiber nonwoven fabric is disposed. The waist elastic sheet 35 is arranged such that a part of the waist elastic sheet 35 overlaps with the lowermost waist elastic body 34 located at the lowermost position. Further, the waist sheet 30 is fixed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waist sheet 30 is folded inward on the side of the upper edge 17d. In the bent portion 36, a plurality of upper waist elastic members 33 are arranged. The upper waist elastic members 33 disposed in the bent portions 36 and the upper waist elastic members 33 disposed in the main body portions other than the bent portions 36 in the waist sheet 30 are shif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 Thereby, concentration of elongation stress due to superposition of the upper waist elastic members 33 in the thickness direction can be avoided, and fitability to the body can be realized over a wide range. Further, since the bent portion 36 is located at the waist opening edge portion, the light transmittance is locally lowered, and the underwear-like appearance such as a panties is exhibited.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벨트(17)의 상방 부분(51)에 10개의 상방 허리 탄성체(33)가 배치되어 있다. 허리 개구측에 배치된 6개의 상방 허리 탄성체(33)(절곡 부분(36)에 배치된 탄성체를 포함한다)는, 굵기 450~500 dtex이며, 3.0~3.5배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방 허리 탄성체(33) 중 다리 개구측에 배치된 4개의 탄성체는, 굵기 600~650 dtex이며, 2.5~3.0배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하방 부분(52)에는 7개의 하방 허리 탄성체(34)가 배치되어 있고, 하방 허리 탄성체(34)는, 굵기 600~650 dtex이며, 2.5~3.0배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상방 허리 탄성체(33)와 하방 허리 탄성체(34)에 있어서의 각 탄성체 사이의 피치(이격 치수)는 등간격이며, 5.0~6.0 ㎜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en upper waist elastic members 33 are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51 of the waist belt 17. The six upper waist elastic members 33 (including an elastic body arranged in the bent portion 36) arranged on the waist opening side are fixed in a state of being stretched to 3.0 to 3.5 times the thickness of 450 to 500 dtex. The four elastic members disposed on the leg opening side of the upper waist elastic member 33 are fixed in a state of being stretched at a stretch ratio of 2.5 to 3.0 times in a thickness of 600 to 650 dtex. Seven lower waist elastic members 34 are arranged in the lower portion 52 and the lower waist elastic members 34 are fixed in a stretched state at a stretch of 2.5 to 3.0 times in a thickness of 600 to 650 dtex. The pitch (spacing dimension) between the elastic members of the upper waist elastic member 33 and the lower waist elastic member 34 is equal to 5.0 to 6.0 mm.

허리 벨트(17)에 있어서는, 하방 부분(52)에 하방 허리 탄성체(34)와 다리 탄성 시트(27)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상방 부분(51)의 단위 면적당의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보다 하방 부분(52)의 단위 면적당의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상방 부분(51)의 신장 응력을 상대적으로 낮게 함으로써, 착용할 때에, 허리 개구를 넓히기 쉬워진다. 한편, 하방 부분(52)의 신장 응력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다리 둘레에 있어서 착용자의 신체에 안정적으로 피트되어, 소요의 유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기저귀(10)는, 밑위가 얕은, 이른바 로우 라이즈(low rise) 타입의 것이며, 허리 벨트(17)의 폭 치수가 기저귀 본체의 폭 치수보다 작고, 착용 중의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어긋나기 쉬워지는 바, 하방 부분(52)에서 안정적으로 신체에 피트됨으로써, 이러한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The lower waist elastic member 34 and the leg elastic sheet 27 are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52 of the waist belt 17 so that the width of the upper waist belt 17 in the lateral direction X per unit area of the upper portion 51 The elongation stres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 per unit area of the lower portion 52 is higher than the elongation stress. By thus lowering the elongation stress of the upper portion 51 in this manner, it becomes easier to widen the waist opening when wor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elongation stress of the lower portion 52 is relatively high, it is possible to stably fit the wearer's body around the legs, thereby achieving required holding force. Particularly, the diaper 10 is shallow, so-called low rise type,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waist belt 17 is smaller than the width dimension of the diaper main body and is easily displaced by the movement of the wearer during wearing And the lower portion 52 is stably fitted to the body, whereby the positional deviation can be suppressed.

<신장 응력의 측정 방법>&Lt; Measurement method of elongation stress >

상방 부분(51)과 하방 부분(52)의 신장 응력은, 인스트론 재팬 컴퍼니 리미티드사 제조의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기저귀(10)로부터 흡수체(23)를 제거하고, 허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앞뒤 허리 영역(11, 12)을 형성하는 영역을 잘라내어 환형의 탄성 패널을 얻으며, 탄성 패널 중 폭 치수의 중앙 부분(세로 방향(Y)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허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트 라인에서 커트함으로써, 앞뒤 허리 영역(11, 12)의 상방 부분(11A)에 상당하는 환형의 시료(1)과, 앞뒤 허리 영역(11, 12)의 하방 부분(11B)에 상당하는 환형의 시료(2)를 얻고, 시료(1 및 2)의 수축 상태에 있어서의 치수를 각각 측정(K1, K2)한다.The elongation stress of the upper portion 51 and the lower portion 52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using a tensile tester manufactured by Instron Japan Company Limited. First, the absorbent body 23 is removed from the diaper 10, and an area forming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12 extending in the waist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cut out to obtain an annular elastic panel. And a cut line extending in the waist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or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front waist region 11 and the back waist region 11 to form an annular sample 1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11A of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An annular sample 2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11B of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and 12 is obtained and the dimensions of the samples 1 and 2 in the contracted state are measured (K1 and K2), respectively.

먼저, 시료(1)의 신장 응력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인장 시험기의 상하 후크 사이의 이격 거리를 시료(1)의 수축 상태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K1)가 되도록 조정하고, 상측 후크(고정구)에 시료(1)의 한쪽 단(도 7에 도시된, 허리 벨트(17)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17f)에 상당하는 부분), 하측 후크(가동구)에 시료(1)의 다른쪽 단(도 7에 도시된, 허리 벨트(17)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17e)에 상당하는 부분)을 부착한다. 한편, 신장하기 전에, 신장 응력이 0.1 N이 되도록 후크 사이의 거리를 미세 조정한다. 그 후, 인장 시험기를 사이클 모드로 설정하고, 300 ㎜/min의 인장 스피드로 상측 후크를 이동시킨다. 예컨대, 시료(1)(상방 부분)에 대해서는, 수축 시의 치수(K1)가 244 ㎜인 바, 시료(1)를 또한 235 ㎜ 신장한 후에 원점까지 복귀시키는 것을 2번 반복하고, 2회째의 56 ㎜ 신장한 시점의 진행 응력과, 2회째의 181 ㎜ 신장한 시점의 복귀 응력을 측정하여, 시료(1)의 신장 응력으로 하였다. 한편, 시료(2)의 신장 응력에 대해서도, 시료(1)와 동일한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하였다. First, when measuring the elongation stress of the sample 1,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oks of the tensile tester is adjusted so as to be the length dimension K1 in the contracted state of the sample 1,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17f of the waist belt 17 shown in Fig. 7) of the sample 1 and the lower hook (movable orific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17e of the waist belt 17 shown in Fig. 7). On the other hand, before stretching, fine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hooks so that the tensile stress is 0.1 N. Thereafter, the tensile tester is set in the cycle mode, and the upper hook is moved at a tensile speed of 300 mm / min.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sample 1 (upper portion), the sample K1 is 244 mm in contraction, and the sample 1 is further stretched 235 mm and then returned to the origin twice. A progressive stress at the time of elongation of 56 mm and a return stress at the second elongation of 181 mm were measured to obtain the elongation stress of the sample 1. On the other hand, the elongation stress of the sample (2) was also measured by the same measuring method as that of the sample (1).

상기 측정 방법에 의한 측정 결과에 의하면, 시료(1)의 진행 응력이 1.082 N, 시료(2)의 진행 응력이 1.083 N으로, 둘 다 거의 동일한 크기였다. 따라서, 앞뒤 허리 영역(11, 12)에 있어서, 허리 둘레 방향으로 신장했을 때의 신장 응력은 거의 동일한 크기이며, 착용할 때에, 비교적 작은 힘으로 앞뒤 허리 영역(11, 12) 전체를 넓힐 수 있다. 한편, 시료(1)의 복귀 응력이, 3.476 N, 시료(2)의 복귀 응력이 4.557 N이었다. 따라서, 착용 상태에 있어서, 앞뒤 허리 영역(11, 12)의 다리 개구측이 허리 개구측에 비해 보다 신체에 피트한다고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above measurement method, the progressive stress of the sample (1) was 1.082 N and the progressive stress of the sample (2) was 1.083 N, both of which were almost the same size. Therefore, in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and 12, the stretching stress when stretched in the waist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almost the same size, and when worn, the entir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can be widened with relatively small force . On the other hand, the return stress of the sample (1) was 3.476 N and the return stress of the sample (2) was 4.557 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leg opening side of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12 is more pitched to the body than the waist opening side in the wearing state.

하방 부분(52)에 배치되는 하방 허리 탄성체(34)는, 상방 부분(51)에 배치되는 상방 허리 탄성체(33)보다 낮은 신장 배율로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방 허리 탄성체(34)의 신장 배율과 상방 허리 탄성체(33)의 신장 배율의 차가 0.5배 이하이다. 구체적으로는, 상방 허리 탄성체(33)의 신장 배율이 3.2~3.7배, 하방 허리 탄성체(34)의 신장 배율이 2.7~3.2배이다. 이와 같이, 하방 허리 탄성체(34)의 신장 배율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함으로써, 하방 부분(52)의 수축량이 상방 부분(51)의 그것보다 감소하여, 수축 상태에 있어서 신장 상태에 비해 다리 개구가 극단적으로 작아지는 일은 없고, 다리 개구에 다리를 삽통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착용할 때에 다리 개구에 발끝이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상방 허리 탄성체(33)와 하방 허리 탄성체(34)의 피치나 개수를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하방 부분(52)에 다리 탄성 시트(27)를 배치함으로써, 다리 개구 가장자리부의 수축 상태에 있어서의 치수가 다리 탄성 시트(27)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비해 커져, 다리 개구를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상하방 부분(51, 52)에 신장 응력의 차가 발생하도록 설정함으로써, 하방 부분(52)이 비교적 높은 신장 응력을 갖는 경우라도, 면 형상으로 피트하여, 피부로의 파고들어감이 억제된다.The lower waist elastic member 34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52 is attached at a lower extension ratio than the upper waist elastic member 33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51. [ Specific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tension ratio of the lower waist elastic body 34 and the extension ratio of the upper waist elastic body 33 is 0.5 times or less. Specifically, the elongation magnification of the upper waist elastic body 33 is 3.2 to 3.7 times and the elongation magnification of the lower waist elastic body 34 is 2.7 to 3.2 times. By setting the extension ratio of the lower waist elastic body 34 relatively low, the amount of shrinkage of the lower portion 52 is reduced compared to that of the upper portion 51, so that the leg opening becomes extreme So that it is easy to insert the leg into the leg opening, so that the leg opening can be worn smoothly without being hung on the leg opening when worn.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leg elastic sheet 27 in the lower portion 52 not by adjusting the pitch and the number of the upper waist elastic members 33 and the lower waist elastic members 34, The leg openings can be made larger and the difference in tensile stres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51 and 52 is generated so that the lower portion 52 have a relatively high elongation stress, they fit in a planar shape and are prevented from entering into the skin.

또한, 하방 허리 탄성체(34)의 굵기가, 상방 허리 탄성체(33)의 그것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방 허리 탄성체(34)의 굵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함으로써, 저배율로 비교적 큰 신장 응력을 발휘할 수 있고, 다리 개구 가장자리부의 피트성을 실현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lower waist elastic body 34 is larger than that of the upper waist elastic body 33. [ By setting the thickness of the lower waist elastic body 34 to be relatively large in this way, a relatively large stretch stress can be exhibited at a low magnification, and the fitability of the leg opening edge portion can be realized.

도 2, 3을 참조하면, 접합 라인(18A)을 박리하여 기저귀(10)를 전개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허리 벨트(17)는, 상측 가장자리(17d)의 길이 치수(L3)가 하측 가장자리(17c)의 길이 치수(L4)보다 크고,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통상의 M 사이즈의 기저귀에 있어서, 허리 벨트(17)에 있어서의 상측 가장자리(17d)의 길이 치수(상방 부분(51)의 길이 치수)(L5)는, 550~600 ㎜, 하측 가장자리(17c)의 길이 치수(하방 부분(52)의 길이 치수)(L6)는 300~350 ㎜이며, 폭 방향의 치수(W1)는 60~95 ㎜이다. 또한, 허리 벨트(17)가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도, 하방 부분(52)의 길이 치수(L6)는, 상방 부분(51)의 길이 치수(L5)보다 작게 되어 있다. 허리 벨트(17)가 신장된 상태 및 수축된 상태에 있어서, 하방 부분(52)의 길이 치수(L6)는, 상방 부분(51)의 길이 치수(L5)의 50~80%의 크기를 갖는다. 2 and 3, in the stretched state in which the diaper 10 is extended by peeling off the joint line 18A, the waist belt 17 is formed so that the length L3 of the upper side edge 17d is smaller than the lower side edge 17c, and has a trapezoidal shape. Specifically, for example, in a normal M size diaper, the length dimension (the length dimension of the upper portion 51) L5 of the upper side edge 17d of the waist belt 17 is 550 to 600 mm (The length of the lower portion 52) L6 of the lower edge 17c is 300 to 350 mm and the width W1 of the lower edge 17c is 60 to 95 mm. The length dimension L6 of the lower portion 52 is smaller than the length dimension L5 of the upper portion 51 even when the waist belt 17 is contracted. The length dimension L6 of the lower portion 52 is 50 to 80% of the length dimension L5 of the upper portion 51 when the waist belt 17 is stretched and contracted.

도 6(a), (b)를 참조하면, 허리 벨트(17)는, 제1 측가장자리(17c)측이 다리 개구 가장자리측, 제2 측가장자리(17d)측이 허리 개구 가장자리측이 되도록 접합 라인(18A, 18B)을 통해 기저귀 본체(16)의 전후 단부(20A, 20B)에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접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합 라인(18A)의 내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허리 벨트(17)와 기저귀 본체(16)의 경계 라인(60)과 허리 개구 가장자리의 교점(61)에 있어서의 허리 개구 가장자리와 직교하는(세로 중심선(P)과 나란히 연장되는) 가상선(62)과 경계 라인의 교각인 교각(θ1)은, 접합 라인(18B)의 내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경계 라인과 허리 개구 가장자리의 교점(63)에 있어서의 허리 개구 가장자리와 직교하는 가상선(64)과 경계 라인의 교각(θ2)과 동일하다. 단, 필요에 따라, 이들 교각(θ1, θ2)이 서로 상이한 크기여도 좋으며, 그 경우에는, 착용 시에 있어서 기저귀(10)의 전측(배측)과 후측(등측)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6 (a) and 6 (b), the waist belt 17 is formed so that the first side edge 17c side is on the leg opening edge side, and the second side edge 17d side is on the waist opening edge side. 20B of the diaper body 16 through the lines 18A, 18B so as to contract in a stretched state. The waist belt 17 at the inner edge of the joint line 18A and the waist opening edge at the intersection 61 between the boundary line 60 of the diaper body 16 and the waist opening edge The piercing angle? 1, which is an intersection of the imaginary line 62 and the boundary line that is orthogonal to each other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P), is the intersection of the boundary line forming the inner edge of the joint line 18B and the waist opening edge 2 between the hypothetical line 64 orthogonal to the waist opening edge in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63 and 63 and the boundary line. However, in this case, the front side (back side) and the back side (back side) of the diaper 10 can be easily distinguished at the time of wearing, as required.

기저귀(10)를 착용할 때에, 착용자 또는 착용 보조자가, 허리 벨트(17)를 파지(把持)하여 끌어올리려고 하는 힘과 허리 탄성체(33, 34)의 수축 작용에 의해 허리 둘레 방향으로 끌어당기려고 하는 힘이 집중되어, 허리 개구와 접합 라인(18A)의 교점(61, 63)에 응력이 집중되어 찢어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접합 라인(18A)에서는, 핫멜트 접착제가 아니라, 열용착 수단에 의해 복수의 시트가 접합되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강성이 높게 되어 있어, 이러한 힘이 집중된 경우라도 기저귀(10)가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교점(61, 63)으로부터의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접합 라인(18A, 18B)의 전체 또는 교점(61, 63)측의 부분의 접합 면적을 다른 부분에 비해 크게 하여 국소적으로 접합 강도를 높게 해도 좋고, 그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에 보강 시트를 부착하여 시트 강도를 높게 해도 좋다.The wearer or wearing assistant pulls the waist belt 17 in the waist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force of grasping the waist belt 17 and raising the waist belt 17 and the contraction action of the waist elastic members 33 and 34 when the diaper 10 is worn The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intersections 61 and 63 between the waist opening and the joint line 18A, and tear easily occurs. In the bonding line 18A, since the plurality of the sheets are joined and integrated by the heat welding means instead of the hot melt adhesive, the rigidity is relatively high, and even when such force is concentrated, the diaper 10 is prevented from being torn can do. In order to prevent tearing from the intersections 61 and 63, the bonding areas of the entire bonding lines 18A and 18B or portions at the intersections 61 and 63 side are made larger than other bonding areas, Or a reinforcing sheet may be attached to an area including the portion to increase the sheet strength.

도 3을 참조하면, 흡수체(23)의 세로 방향(Y)의 치수(L2)는, 기저귀(10)(기저귀 본체(16))의 세로 방향(Y)의 치수(L1)의 약 65~95%의 크기를 갖는다. 통상, 기저귀의 세로 방향의 치수에 대해 흡수체의 세로 방향의 치수는 약 60%의 크기이며, 기저귀의 흡수체로부터 세로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시트 부재만으로 형성된 부분의 면적이 비교적 크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23)가 소요의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기에 충분한 길이 치수를 갖는 한편, 그보다 세로 방향(Y)의 외측에 위치하는 시트 부재만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면적을 비교적 작게 함으로써, 보다 적은 자재로 제조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23)의 전후단 가장자리(23a, 23b)와 기저귀 본체(16)의 전후단 가장자리(16a, 16b)가, 통상의 기저귀에 비해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착용 상태에 있어서 허리 개구가 배꼽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로우 라이즈로 산뜻한 착용 양태가 된다.3, the dimension L2 of the absorbent body 2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s about 65 to 95% of the dimension L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diaper 10 (diaper body 16) %. &Lt; / RTI &gt; Normally, the dimension of the absorbent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bout 60% of the dimension of the diap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area of the portion formed only by the sheet member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absorbent body of the diaper is relatively larg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sorber 23 has a length dimension sufficient to exhibit the required absorbing performance, while the area of only the sheet member located out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is relatively small, It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the material,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suppressed. Since the front and rear end edges 23a and 23b of the absorbent body 23 and the front and rear end edges 16a and 16b of the diaper body 16 are closer to each other than a normal diaper, It becomes a mode of wearing neatly with the low rise that is located under the part.

도 7을 참조하면, 기저귀(10)는, 허리 개구가 전체로서 하방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앞뒤 허리 영역(11, 12)의 가로 방향의 중앙부의 위치가 그 양측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하측 구역의 길이 치수가 동일한 경우나 상측 구역의 길이 치수가 하측 구역의 길이 치수보다 큰 종래의 기저귀에 비해, 산뜻한 인상을 줄 수 있으며, 의장성이 우수하다.Referring to Fig. 7, the diaper 10 has a curved shape such that the waist opening is convex downward as a whole. In other words, since the position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11, 12 is located below the both side portions, when the length dimensions of the upper and lower zones are the same or the length dimension of the upper zone is smaller than the length dimension of the lower zone Compared to a large conventional diaper, it can give a refreshing impression and is excellent in design.

도 8을 참조하면, 기저귀(10)를 착용할 때에 허리 벨트(17)를 끌어올리면, 접합 라인(18A, 18B)에서는 응력이 집중된다. 특히, 접합 라인(18A, 18B)에 있어서의 다리 개구(15)측의 단부(45)에서는, 허리 벨트(17)의 제2 측가장자리(17b)가, 미착용 상태의 위치(도 5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제2 측가장자리(17b)의 위치)보다 상방으로 끌어올려진 상태가 되어 인장 응력이 커져, 찢어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0)에서는, 고강성 영역(41)의 양단부(41A, 41B)가 접합 라인(18A, 18B)의 단부(45)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그 단부(45)에서는, 저강성 영역(42)에 비해 적층되어 있는 시트의 수가 많아져(도 6을 참조), 시일부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가 높아진다. 이에 의해, 접합 라인(18A, 18B)의 단부(45)에 응력이 집중된 경우라도, 단부(45) 및 그 근방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40)에 찢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플랩(40)에 있어서, 고강성 영역(41)의 내측에는 유연성이 있는 저강성 영역(42)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감촉을 좋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waist belt 17 is pulled up when the diaper 10 is worn, the stress is concentrated in the bonding lines 18A and 18B. Particularly, in the end portions 45 of the joint lines 18A and 18B on the side of the leg opening 15, the second side edge 17b of the waist belt 17 is positioned at a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side edge 17b indicated by the line) is pulled upward to increase the tensile stress and tear easily occurs. Since the end portions 41A and 41B of the high rigidity region 41 extend to the end portions 45 of the bonding lines 18A and 18B in the diaper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sheets laminated to the rigid region 42 increases (see Fig. 6), so that the bonding strength at the sealing portion increases. This makes it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tearing of the side flaps 40 at the end portions 45 and the vicinity thereof even when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end portions 45 of the bonding lines 18A and 18B. Further, in the side flap 40, since the flexible low stiffness region 42 is located inside the high stiffness region 41, the feeling can be improved.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고강성 영역(41)에 의한 피트성과 저강성 영역(42)에 의한 감촉성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고강성 영역(41)의 폭 치수(W2)는, 약 3~3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5~15 ㎜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다리 탄성체(26)와 하방 허리 탄성체(34)는, 두께 방향(Z)에 있어서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에 의해, 접합 라인(18A, 18B) 상에 있어서 각 탄성체(26, 34)에 의한 인장력이 한 점에 집중되는 것이 억제되어(도 8에 있어서의 확대도 참조), 보다 찢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평면도에 있어서, 다리 탄성체(26)의 일부가 하방 허리 탄성체(34)보다 가로 방향(X)의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다리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의 배설물의 가로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5, the width W2 of the high-stiffness region 41 is set to about 3 to 5 mm in consideration of the balance between the rigidity of the high stiffness region 41 and the comfort of the low stiffness region 42. [ 30 mm, and more preferably about 5 to 15 mm. The leg elastic body 26 and the lower waist elastic body 34 ar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with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 Thereby, the tensile force by the elastic members 26 and 34 on the joint lines 18A and 18B is prevented from being concentrated at one point (see the enlarged view in FIG. 8), making it more difficult to tear . 2, a part of the leg elastic body 26 is located outside the lower waist elastic body 34 in the lateral direction X,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lateral leakage of the body waste from the leg opening edge portion can do.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기저귀(10)는 허리 개구(14)측의 가장자리부에 절곡 부분(36)이 위치함으로써, 다리 개구(15)와 마찬가지로, 절곡 부분(36)이 위치하는 부분이 허리 벨트(17)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보다 강성이 높은, 허리 고강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저귀(10)를 착용할 때에, 이러한 허리 고강성 영역과 그것에 인접하는 비교적 강성이 낮은 영역의 경계부에 손가락을 걸어 기저귀(10)를 끌어올릴 수 있다. 이 경계부는, 강성차에 의해 절곡되기 쉽게 되어 있고, 허리 고강성 영역은, 인접하는 부분에 비해 볼록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볼록 형상 부분에 손가락이 걸리기 쉬워져, 끌어올림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허리 고강성 영역은 앞뒤 허리 영역(11, 12)의 접합 라인(18A, 18B)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접합 라인(18A, 18B)의 허리 개구(14)측의 단부에서는, 적층되어 있는 시트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접합 강도가 높아지며, 그 단부로부터의 찢어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folded portion 36 is located at the edge of the waist opening 14 side of the diaper 10 so that the portion of the diaper 10 where the bent portion 36 is positioned, A high rigidity region having a higher rigidity than that of the other portions is formed. Therefore, when the diaper 10 is worn, the diaper 10 can be pulled up by putting a finger on the boundary between the waist high rigidity area and the relatively low rigidity area adjacent thereto. The boundary portion is easily bent by the stiffness difference, and since the waist high rigidity region is formed in a convex shape as compared with the adjacent portion, the finger is easily caught in the convex portion, and the pulling-up operation is facilitated. Since the waist high rigidity region extends to the bonding lines 18A and 18B of the front and rear waist regions 11 and 12 at the ends of the bonding lines 18A and 18B on the waist opening 14 side, The number of sheets is increased, so that the bonding strength is increased, and the occurrence of tearing from the ends can be prevented.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0)는, 앞뒤 허리 영역이 환형의 허리 벨트에 의해 형성되는 기저귀에 비해 속옷 같은 인상을 줄 수 있고, 성인의 경실금용으로서 요망되는, 비교적 밑위가 얕은 로우 웨이스트 타입(로우 라이즈 타입)의 기저귀로서 적합하다. 기저귀(10)를 경실금용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흡수체(23)의 두께 치수가 비교적 작게 되어 있고, 흡수체(23)의 피부 대향면측에 있어서 착용자를 향해 일어서는 누설 방지 플랩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속옷 같은 인상을 주고, 또한, 유연성을 높게 하기 위해서, 저강성 영역(42)에 있어서 적층되는 시트 부재의 수는, 2장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장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고강성 영역(41)에서는 2장 이상(바람직하게는 2~3장)의 시트 부재가 적층되어 있고, 또한, 탄성 재료(예컨대, 다리 탄성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ap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an underwear-like impression compared to a diaper in which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are formed by an annular waist belt, and can be applied to a relatively low rise waist type Rise type) diap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absorbent body 23 is relatively small and there is no leakage preventing flap that stood toward the wearer on the side of the skin facing surface of the absorbent body 23 Do. Further, in order to give an underwear-like impression and to increase the flexibility, the number of sheet members laminated in the low-stiffness region 42 is preferably two or less, more preferably one. On the other hand, in the high stiffness region 41, it is preferable that two or more sheet members (preferably two or three sheets) are laminated and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a leg elastic member) is disposed.

도 9를 참조하면, 허리 탄성 시트(35)는, 다리 개구(15)의 상방 부분(51)에 있어서, 접합 라인(18A, 18B)측에 위치하는 양단부(35A, 35B)로부터 허리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35C)을 향해 점차로 폭이 좁게 되어 있고, 중앙 부분(가장 폭이 좁은 부분)(35C)에 있어서 가장 폭이 좁게 되어 있다. 또한, 다리 탄성 시트(27)도 마찬가지로, 접합 라인(18A, 18B)측에 위치하는 양단부(27A, 27B)로부터 허리 둘레 방향의 중앙 부분(가장 폭이 좁은 부분)(27C)을 향해 점차로 폭이 좁게 되어 있고, 중앙 부분(27C)에 있어서 가장 폭이 좁게 되어 있다. 허리 탄성 시트(35)와 다리 탄성 시트(27)가,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접합 라인(18A, 18B)측에 위치하는 양 시트의 양단부(27A, 27B, 35A, 35B)에 있어서 착용자의 신체 중에서 가장 기저귀(10)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운 대퇴부가 붙어 있는 부분에 안정적으로 피트되고, 중앙 부분(27C, 35C)을 신체 중에서 가장 움직임이 적은 허리뼈 근방과 대퇴부의 외측 부분에 접촉시킴으로써, 각 탄성 시트 전체를 동일한 폭 치수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재료 비용을 억제하면서, 신체에 대한 적절한 피트성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허리 탄성 시트(35)의 가장 폭이 좁은 부분(35C) 및 다리 탄성 시트(27)의 가장 폭이 좁은 부분(27C)을 각각의 길이 치수의 중앙 부분보다 약간 전측(前側)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둔부측에 폭이 넓은 영역을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리 개구의 전방 부분이 후방 부분보다 커지고, 보다 속옷의 다리 개구의 라인에 가까워져, 속옷과 함께 신체에 피트하기 쉬워진다.9, the waist elastic sheet 35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end portions 35A and 35B located on the side of the bonding lines 18A and 18B in the waist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upper portion 51 of the leg opening 15 And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the narrowest portion) 35C is the narrowest. Likewise, the leg elastic sheet 27 has a width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end portions 27A and 27B located on the side of the bonding lines 18A and 18B toward the center portion (the narrowest portion) 27C in the waist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width is narrowest in the central portion 27C. The waist elastic sheet 35 and the leg elastic sheet 27 have such a shape that the waist elastic sheet 35 and the leg elastic sheet 27 have the same shape at both ends 27A, 27B, 35A, and 35B of both sheet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bonding lines 18A and 18B The central portions 27C and 35C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vicinity of the waist bone with the least movement of the body and the outer side portion of the thighs so as to be stably fitted to the portion where the thigh is likely to have a gap with the diaper 10,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adequate fit to the body while suppressing the material cost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entire elastic sheets are formed in the same width dimension. On the other hand, by displacing the narrowest portion 35C of the waist elastic sheet 35 and the narrowest portion 27C of the leg elastic sheet 27 slightly forward of the center portion of each length dimension , The front portion of the leg opening becomes larger than the rear portion, and is closer to the line of the leg opening of the undergarment, so that it is easy to fit the body together with the underwear.

<변형예><Modifications>

도 10은 변형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기저귀(10)의 도 5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고강성 영역(41)에 있어서, 탄성 또는 비탄성을 갖는 섬유 부직포제의 보조 시트(70)가 사이드 시트(25)(또는 제1 사이드 시트(25A))의 피부 대향면측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강성 영역(41)에, 보조 시트(70)를 배치함으로써, 적층 매수가 저강성 영역(42)보다 더욱 많아져, 양쪽 영역(41, 42)의 강성차가 명확해진다. 보조 시트(70)는, 사이드 시트(25)의 피부 대향면측이 아니라, 피부 비대향면측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고, 1장이 아니라, 복수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Fig. 10 is a sectional view similar to Fig. 5 of the diaper 10 in the modification example. The auxiliary sheet 70 made of a fibrous nonwoven fabric having elasticity or inelasticity is adhered to the skin facing side of the side sheet 25 (or the first side sheet 25A) As shown in Fig. Thus, by arranging the auxiliary sheet 70 in the high-stiffness region 41, the number of stacked layers becomes greater than the low-stiffness region 42, and the difference in rigidity between the regions 41 and 42 becomes clear. The auxiliary sheet 70 may be fixed to the skin non-facing surface side instead of the skin facing surface side of the side sheet 25, or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sheets instead of one sheet.

본 발명의 기저귀(10)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에는,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외에, 이러한 종류의 물품에 있어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된 재료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용어는, 동일한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된다.In addition to the material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various constituent members constituting the diap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any limitations in various known materials commonly used in such articles. In addition,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terms &quot; first &quot; and &quot; second &quot; are used to simply distinguish the same elements, positions, and the like.

10: 기저귀
11: 앞 허리 영역
12: 뒤 허리 영역
13: 가랑이 영역
14: 허리 개구
15: 다리 개구
16: 기저귀 본체
17: 허리 벨트
18A, 18B: 접합 라인
21: 내층 시트
22: 외층 시트
23: 흡수체
25: 사이드 시트
26: 다리 탄성체
30: 탄성 시트
33: 허리 탄성체
40: 사이드 플랩
41: 고강성 영역
42: 저강성 영역
70: 탄성 시트
P: 세로 중심선
X: 가로 방향
Y: 세로 방향
10: diaper
11: front waist region
12: back waist area
13: Crotch area
14: waist opening
15: leg opening
16: diaper body
17: waist belt
18A, 18B: joint line
21: Inner layer sheet
22: outer layer sheet
23: absorber
25: side seat
26: Leg elastic body
30: Elastic sheet
33: waist elastic body
40: Side flap
41: high stiffness region
42: Low rigidity region
70: Elastic sheet
P: vertical center line
X: landscape direction
Y: Portrait orientation

Claims (7)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를 2등분하는 세로 중심선을 가지며, 앞뒤 허리 영역과,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과, 흡수체를 갖는 기저귀 본체와,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허리 벨트와, 허리 개구와 한 쌍의 다리 개구를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허리 벨트는, 상기 앞뒤 허리 영역에 있어서, 상기 다리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허리 개구측을 향해 서로 간격이 작아지는 접합 라인을 통해 상기 기저귀 본체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기저귀 본체는, 상기 흡수체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을 가지며, 상기 사이드 플랩은, 상기 다리 개구를 따라 연장되는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갖는 고강성 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고강성 영역의 양단부는, 상기 접합 라인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저귀.
A diaper main body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ateral direction, a longitudinal center line dividing the lateral dimension into two halves, a crotch region located between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and an absorbent body; A disposable diaper comprising a pair of waist belts for connection and a waist opening and a pair of leg openings,
Wherein the pair of waist belts are joined to the diaper body through a joint line which is spaced from the leg opening side toward the waist opening side in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Wherein the diaper body has side flap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transversely opposite side edge portions of the absorbent body, wherein the side flaps have a higher height at the edg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eg opening than the other regions Rigidity region having rigidity, and both ends of the high-rigidity region are located on the joint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 본체는, 투액성의 내층 시트와, 불투액성의 외층 시트와, 상기 내외층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시트에 별체(別體)의 탄성 시트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고강성 영역이 형성되는 것인 기저귀. The diap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aper main body comprises a liquid-pervious inner layer sheet, a liquid-impervious outer layer sheet, an absorbent body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layer sheets, and a pair of side sheets Wherein the high rigidity region is formed by disposing a separate elastic sheet on the side she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는,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제1 시트와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제2 시트를 가지며, 상기 탄성 시트는, 상기 제1 및 제2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기저귀. 3.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ide sheet has a first sheet positioned on the skin facing side and a second sheet positioned on the skin non-facing side, wherein the elastic sheet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heets Diapers that are o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시트는, 상기 사이드 시트의 피부 대향면측 및 피부 비대향면측 중 한쪽 또는 양쪽에 배치되는 것인 기저귀. The diap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elastic sheet is disposed on one or both of the skin-facing side and the skin-facing side of the side shee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 영역에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다리 탄성체가 배치되는 것인 기저귀. The diap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 plurality of leg elastic member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disposed in the high rigidity reg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탄성체는, 상기 고강성 영역에 있어서 적층되는 시트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허리 벨트에는, 복수 개의 허리 탄성체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 탄성체와 상기 허리 탄성체가, 시트 부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쳐져 있지 않은 것인 기저귀. The leg elastic memb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eg elastic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sheet members stacked in the high rigidity region, wherein a plurality of waist elastic members are disposed on the waist belt, And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 영역의 폭 치수가 3~30 ㎜인 기저귀.
The diap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high-rigidity region has a width of 3 to 30 mm.
KR1020177016998A 2014-12-26 2015-12-25 Disposable diaper KR10252078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66711 2014-12-26
JPJP-P-2014-266711 2014-12-26
PCT/JP2015/086348 WO2016104753A1 (en) 2014-12-26 2015-12-25 Disposable dia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230A true KR20170098230A (en) 2017-08-29
KR102520783B1 KR102520783B1 (en) 2023-04-11

Family

ID=5615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998A KR102520783B1 (en) 2014-12-26 2015-12-25 Disposable diap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79049B2 (en)
KR (1) KR102520783B1 (en)
CN (1) CN107106376B (en)
WO (1) WO201610475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0981A1 (en) * 2018-05-31 2019-12-0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JP7123777B2 (en) * 2018-12-07 2022-08-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diap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261A (en) 1995-06-29 1997-01-14 Zuiko:Kk Disposable wearing article and manufacture therefor
US5620431A (en) * 1994-12-30 1997-04-15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ized leg cuffs
WO1997021410A1 (en) * 1995-12-11 1997-06-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ing extensible leg cuffs
JP2004533886A (en) * 2001-06-29 2004-11-1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with highly extensible leg openings and finished outer leg cuffs
JP2008511412A (en) * 2004-09-01 2008-04-1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Edge band for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JP2013230263A (en) * 2012-04-27 2013-11-14 Unicharm Corp Disposable diap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4967B2 (en) * 2004-05-26 2008-0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oisture responsive sealing members i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CN101926709B (en) * 2009-06-23 2014-05-07 花王株式会社 Pad holder
CN102885676B (en) * 2011-07-18 2016-04-06 Sca卫生用品公司 There is the absorption pad of asymmetric absorbtivity and comprise the absorbent commodity of this absorption pa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0431A (en) * 1994-12-30 1997-04-15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ized leg cuffs
JPH0910261A (en) 1995-06-29 1997-01-14 Zuiko:Kk Disposable wearing article and manufacture therefor
WO1997021410A1 (en) * 1995-12-11 1997-06-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ing extensible leg cuffs
JP2004533886A (en) * 2001-06-29 2004-11-1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with highly extensible leg openings and finished outer leg cuffs
JP2008511412A (en) * 2004-09-01 2008-04-1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Edge band for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JP2013230263A (en) * 2012-04-27 2013-11-14 Unicharm Corp Disposable di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4753A1 (en) 2016-06-30
JP6479049B2 (en) 2019-03-06
KR102520783B1 (en) 2023-04-11
CN107106376B (en) 2020-09-08
JPWO2016104753A1 (en) 2017-10-12
CN107106376A (en)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4303B2 (en) Disposable wearing items
JP5665433B2 (en) Disposable wearing items
JP5596984B2 (en) Disposable wearing items
WO2013018807A1 (en) Disposable article of clothing
JP6479047B2 (en) Disposable diapers
WO2013132982A1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WO2017002469A1 (en) Disposable wearable article
JP2011139857A5 (en)
JP5592578B1 (en) Pants-type wearing items
JP7129799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6479046B2 (en) Disposable diapers
JP3206405U (en) Disposable wearing items
KR102520783B1 (en) Disposable diaper
WO2013018791A1 (en) Disposable article of clothing
WO2017037909A1 (en) Disposable wearable article
JP2016158815A (en) Disposable diaper
JP6479048B2 (en) Disposable diapers
JP6290728B2 (en) Pants-type wearing items
JP2013063184A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3206404U (en) Absorbent articles
JP6550401B2 (en) Disposable diapers
JP2019118544A (en) Disposable wear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