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131A -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131A
KR20170098131A KR1020160034392A KR20160034392A KR20170098131A KR 20170098131 A KR20170098131 A KR 20170098131A KR 1020160034392 A KR1020160034392 A KR 1020160034392A KR 20160034392 A KR20160034392 A KR 20160034392A KR 20170098131 A KR20170098131 A KR 20170098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pecific application
functions
function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찬우
유병호
한익현
손영환
Original Assignee
남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찬우 filed Critical 남찬우
Publication of KR20170098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장치에 구비된 물리버튼을 활용(이용)하여, 기존의 기술이 갖는 사용자의 불편함 및 전력 측면의 단점으로부터 자유로우면서도,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을 즉각 실행시킬 수 있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물리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장치에 구비된 물리버튼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전력으로 추가적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통신 기술은, 이동단말을 통해서,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방송을 시청하거나 정보를 검색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러한 통신 기술 수준에 힘입어, 현대인들은 이동단말을 하나씩은 소지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한 실정이며, 가장 대표적인 이동단말로는 스마트폰을 들 수 있다.
이에, 이동단말을 보다 작고 슬림하게 만들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이동단말은 외부에 구비되는 물리버튼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터치 입력 방식을 채택하여, 대부분의 사용자 조작을 터치 입력을 통해 실현하고 있는 추세이다.
헌데, 기존에는 이동단말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때, 이동단말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후 터치 입력을 통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찾아 실행시킨 후 그 기능을 선택해야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이용하고자 하는 기능이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 예컨대 라디오 사운드 출력 기능이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과 같은 일부 기능(이하, 사운드 출력 기능)일 경우, 기존에는 단말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후 터치 입력을 통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즉 라디오 어플리케이션이나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찾아 실행시킨 후 라디오 사운드 출력 기능 또는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을 선택해야만 이용할 수 있다.
이에, 기존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예: 사운드 출력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전체를 활성화시켜 실행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잠금상태 해제 절차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일부 기능 선택을 위한 여러 번의 번거로운 터치 입력 절차를 수행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고, 어플리케이션 전체를 활성화시킴으로 인해 어플리케이션의 원치 않는 기능(예: 화면 출력 등)에서 전력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동단말에 구비된 물리버튼은, 볼륨 업/다운시키는 정도의 단순 기능을 실현하고 있을 뿐으로, 활용(이용) 범위가 매우 한정적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단말장치에 구비된 물리버튼을 활용(이용)하여, 기존의 기술이 갖는 사용자의 불편함 및 전력 측면의 단점으로부터 자유로우면서도,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을 즉각 실행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말장치에 구비된 물리버튼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전력으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을 추가적인 기능으로서 실행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물리버튼 입력 시, 잠금상태인지 확인하는 상태확인부; 잠금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물리버튼에 기 등록되어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앱확인부; 기 등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 만을 활성화시켜 이용하는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부활성화모드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일부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을 디세이블(disable)시키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 만을 활성화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활성화모드에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나머지 기능을 인에이블(enable)시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부 기능은, 사운드를 출력하는 기능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잠금상태에서 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사운드 출력과 무관한 경우에만 상기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물리버튼 입력 시, 잠금상태인지 확인하는 상태확인단계; 잠금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물리버튼에 기 등록되어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앱확인단계; 기 등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 만을 활성화시켜 이용하는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는 일부활성화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부활성화모드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일부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을 디세이블(disable)시키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 만을 활성화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부활성화모드에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나머지 기능을 인에이블(enable)시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부 기능은, 사운드를 출력하는 기능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부활성화단계는, 잠금상태에서 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사운드 출력과 무관한 경우에만 상기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화면 비활성화 상태의 해제 기능과 관련이 없는 물리버튼; 상기 화면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물리버튼으로부터의 소정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소정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입력과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활성화 상태에서 수행하는 전체 기능 중 사운드 출력 기능 만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출력 기능의 실행은 상기 화면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한 채로 실행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화면 잠금상태의 해제 기능과 관련이 없는 물리버튼; 상기 화면 잠금상태에서 상기 물리버튼으로부터의 소정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소정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입력과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잠금상태에서 수행하는 전체 기능 중 사운드 출력 기능 만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출력 기능의 실행은 상기 화면 잠금상태를 유지한 채로 실행된다.
이에, 본 발명의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에 구비된 물리버튼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전력으로 추가적인 기능을 실행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에서 일부활성화모드 동작의 예를 보여주기 위한 단말장치의 외형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실현되는 단말장치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단말로서, 예컨대 통화 서비스, 방송을 시청하거나 정보를 검색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가장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일 수 있고, 이외에도 태블릿PC, 노트북 등일 수도 있다.
단말장치(100)는, 이동 및 소지의 편의를 높이고자 하는 경박/간소화 노력의 일환으로, 외부에 구비되는 물리버튼의 개수가 최소화된 형태를 갖고, 대부분의 사용자 조작을 디스플레이 화면(40) 상에 구비되는 터치패널(미도시) 기반의 터치 입력을 통해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는, 최소화된 개수의 물리버튼으로서, 볼륨 업/다운을 위한 볼륨버튼(10), 홈 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홈버튼(20)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단말장치(100)는, 볼륨버튼(10)과 홈버튼(20) 외에 다른 물리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버튼으로서 볼륨버튼(10) 및 홈버튼(20)이 구비된 형태의 단말장치(100)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일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의도적인 조작이 있는 경우, 잠금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도 1은, 잠금상태의 단말장치(100)를 도시하고 있다.
기존에는, 잠금상태로 진입한 단말에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때, 먼저 단말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후 터치 입력을 통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찾아 실행시킨 후 그 기능을 선택해야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이용하고자 하는 기능이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 예컨대 라디오 사운드 출력 기능이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과 같은 일부 기능(이하, 사운드 출력 기능)일 경우, 기존에는 단말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후 터치 입력을 통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즉 라디오 어플리케이션이나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찾아 실행시킨 후 라디오 사운드 출력 기능 또는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을 선택해야만 이용할 수 있다.
이에, 기존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예: 사운드 출력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전체를 활성화시켜 실행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잠금상태 해제 절차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일부 기능 선택을 위한 여러 번의 번거로운 터치 입력 절차를 수행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고, 어플리케이션 전체를 활성화시킴으로 인해 어플리케이션의 원치 않는 기능(예: 화면 출력 등)에서 전력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물리버튼을 활용(이용)하여, 기존의 기술이 갖는 사용자의 불편함 및 전력 측면의 단점으로부터 자유로우면서도, 최소한의 전력으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을 즉각 실행시킬 수 있는 방안을 실현한 단말장치(100)를 제안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앱저장부(110)와, 물리버튼 입력 시, 잠금상태인지 확인하는 상태확인부(120)와, 잠금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물리버튼에 기 등록되어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앱확인부(130)와, 기 등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 만을 활성화시켜 이용하는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14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는, 물리버튼으로서 볼륨버튼(10) 및 홈버튼(20)을 구비한 것을 예로서 설명하겠다.
그리고, 후술에서 언급할 본 발명의 일부활성화모드를 위해서는, 물리버튼을 지정하고, 앱저장부(110)의 어플리케이션들a,b... 중에서 전술의 지정한 물리버튼을 이용하여 즉각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그 일부 기능을 기 등록해 두는 과정이 선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에서는, 물리버튼을 지정하는 기능, 지정한 물리버튼에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을 등록하는 기능을 지원하며,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는 방식은 지정 버튼에 지정 기능을 맵핑시키는 기존의 다양한 기술들 중에서 채택하여 실현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겠다.
상태확인부(120)는, 물리버튼 입력 시, 단말장치(100)의 현 상태가 잠금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부활성화모드를 위해 선행되는 과정에서, 볼륨버튼(10)을 지정하고, 지정한 볼륨버튼(10)에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을 기 등록한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즉, 전술에서 가정한 예시의 경우라면, 상태확인부(120)는, 물리버튼 즉 볼륨버튼(10) 입력 시, 단말장치(100)의 현 상태가 잠금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앱확인부(130)는, 상태확인부(120)에서 잠금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볼륨버튼(10)에 기 등록되어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전술의 가정한 예시라면, 앱확인부(130)는, 볼륨버튼(10)에 기 등록되어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할 것이다.
제어부(140)는, 앱확인부(130)의 확인 결과 기 등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즉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 만을 활성화시켜 이용하는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한다.
이때, 일부 기능은, 사운드를 출력하는 기능 예컨대 전술한 가정의 경우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을 의미한다.
즉, 제어부(140)는, 앱확인부(130)의 확인 결과 기 등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즉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 만을 활성화시켜 이용하는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는 것이다.
이때, 일부활성화모드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일부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을 디세이블(disable)시키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 만을 활성화시키는 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40)는, 앱확인부(130)의 확인 결과 기 등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즉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 즉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예: 화면 출력 등)을 디세이블(disable)시키고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다.
이렇게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예: 화면 출력 등)을 디세이블(disable)시킨 후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면,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예: 화면 출력 등)은 디세이블 상태로 유지되며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 만 활성화되기 때문에,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 만을 즉각 실행(이용)하는 결과가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더라도 나머지 기능(예: 화면 출력 등)은 디세이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이 나머지 기능(예: 화면 출력 등)이 수행하게 되는 작업 예컨대 화면 출력을 위한 이미지처리 작업, 이미지처리 작업의 결과물을 디스플레이 화면(40)에 출력하기 위한 랜더링(Rendering) 작업 등이 원천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해결될 것이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잠금상태에서 사용자가 볼륨버튼(10)을 입력하는 간단한 동작만 하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 만이 즉각 실행되어, 잠금상태에서 음악이 출력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에서는, 잠금상태에서 볼륨버튼(10) 입력(이용)하여, 기존의 기술이 갖는 사용자의 불편함 및 전력 측면의 단점으로부터 자유로우면서도,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예: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을 즉각 실행시켜 이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140)는, 전술한 일부활성화모드에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 즉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나머지 기능(예: 화면 출력 등)을 인에이블(enable)시켜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상태에서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 만을 실행하는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활성화모드에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앞서 디세이블(disable)시킨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나머지 기능(예: 화면 출력 등)을 인에이블(enable)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단말장치(10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잠금상태에서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 만을 실행하여 음악을 출력하다가,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 전체 기능의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음악 출력 뿐 아니라 도 2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40)에 화면이 출력될 것이다.
더 나아가, 어플리케이션 중에는, 단말장치(100)에서 실행 중 단말장치(100)가 잠금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비활성화되지 않고 절전모드로 실행을 유지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잠금상태 실행 유지 어플리케이션이라 명명하겠다.
이에,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앱확인부(130)의 확인 결과 기 등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즉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기에 앞서 먼저 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즉 잠금상태 실행 유지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고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어부(140)는, 잠금상태 실행 유지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잠금상태 실행 유지 어플리케이션이 사운드 출력과 무관한 경우에만 전술한 본 발명의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고, 잠금상태 실행 유지 어플리케이션이 사운드 출력과 무관하지 않은 경우 즉 잠금상태 실행 유지 어플리케이션이 사운드 출력 중인 경우라면 전술한 본 발명의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는, 볼륨버튼(10)에 기 등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가정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잠금상태에서 사용자가 볼륨버튼(10)을 입력하더라도, 먼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잠금상태 실행 유지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먼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사운드 출력 중인지 아닌지에 따라 먼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우선순위를 두어 일부활성화모드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전술에서는, 볼륨버튼(10)을 볼륨 업버튼/다운버튼 구분 없이 하나로 통칭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다. 즉, 볼륨 업버튼/다운버튼을 구분하여, 각각에 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 및 그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을 개별적으로 기 등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전술에서는, 잠금상태에서 물리버튼 입력 시 즉각 실행되는 일부 기능으로서, 사운드 출력 기능을 언급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다. 즉 잠금상태에서 물리버튼 입력 시 즉각 실행되는 일부 기능은, 사운드 출력 기능 외에도 물리버튼에 등록한 어플리케이션이 가지고 있는 기능 중 어떤 것이라도 가능할 것이다(예 : 화면 출력 기능).
한편, 전술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각 구성 즉 상태확인부(120), 앱확인부(130) 및 제어부(140)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제작되어 불특정의 단말장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는, 화면 비활성화 상태의 해제 기능과 관련이 없는 물리버튼(150)과, 상기 화면 비활성화 상태에서 물리버튼(150)으로부터의 소정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160)와, 상기 소정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입력과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활성화 상태에서 수행하는 전체 기능 중 사운드 출력 기능 만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출력 기능의 실행은 상기 화면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한 채로 실행된다.
이때, 물리버튼(15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볼륨버튼(10)일 수 있다.
여기서, 화면 비활성화 상태란, 단말장치(100)가 잠금상태인지 아닌지와 무관하게, 디스플레이 화면(40)이 오프(off)된 상태를 의미한다.
아울러, 도 5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는, 화면 잠금상태의 해제 기능과 관련이 없는 물리버튼(150)과, 상기 잠금상태에서 물리버튼(150)으로부터의 소정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160)와, 상기 소정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입력과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잠금상태에서 수행하는 전체 기능 중 사운드 출력 기능 만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170)을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출력 기능의 실행은 상기 화면 잠금상태를 유지한 채로 실행된다.
이때 역시, 물리버튼(15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볼륨버튼(10)일 수 있다.
여기서, 화면 잠금상태란, 화면 비활성화 상태인지 아닌지와 무관하게, 디스플레이 화면(40)의 잠금상태 예컨대 디스플레이 화면(40) 상에 구비되는 터치패널(미도시) 기반의 터치 입력(잠금상태 해제를 위한 입력 제외)이 불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에 구비된 물리버튼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전력으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을 추가적인 기능으로서 실행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서 설명한 도면의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물리버튼 입력을 감지한다(S11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부활성화모드를 위해 선행되는 과정에서, 물리버튼으로서 볼륨버튼(10)을 지정하고, 지정한 볼륨버튼(10)에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을 기 등록한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즉, 전술에서 가정한 예시의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물리버튼 즉 볼륨버튼(10) 입력을 감지한다(S110).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볼륨버튼(10)이 입력되면, 단말장치(100)의 현 상태가 잠금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20).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의 현 상태가 잠금상태로 확인되는 경우(S120 Yes), 볼륨버튼(10)에 기 등록되어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130).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볼륨버튼(10)에 기 등록되어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다면(S130 No), 앞서 입력된 물리버튼 즉 볼륨버튼(10)에 따른 잠금상태에서의 일반적인 동작(예: 볼륨 업 또는 다운, 또는 잠금해제 유도 화면 출력 등)을 수행할 것이다(S190).
전술의 가정한 예시라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볼륨버튼(10)에 기 등록되어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볼륨버튼(10)에 기 등록되어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존재가 확인되면(S130 Yes), 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즉 잠금상태 실행 유지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고 있는지 판단한다(S140).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잠금상태 실행 유지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S140 Yes), 잠금상태 실행 유지 어플리케이션이 사운드 출력과 무관한 경우에만(S150 Yes)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한다(S160).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잠금상태 실행 유지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S140 No), 바로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한다(S160).
이때,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는 S160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볼륨버튼(10)에 기 등록된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 즉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예: 화면 출력 등)을 디세이블(disable)시키고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다.
이렇게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예: 화면 출력 등)을 디세이블(disable)시킨 후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면,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예: 화면 출력 등)은 디세이블 상태로 유지되며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 만 활성화되기 때문에,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 만을 즉각 실행(이용)하는 결과가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더라도 나머지 기능(예: 화면 출력 등)은 디세이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이 나머지 기능(예: 화면 출력 등)이 수행하게 되는 작업 예컨대 화면 출력을 위한 이미지처리 작업, 이미지처리 작업의 결과물을 디스플레이 화면(40)에 출력하기 위한 랜더링(Rendering) 작업 등이 원천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해결될 것이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잠금상태에서 사용자가 볼륨버튼(10)을 입력하는 간단한 동작만 하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 만이 즉각 실행되어, 잠금상태에서 음악이 출력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에서는, 잠금상태에서 볼륨버튼(10) 입력(이용)하여, 기존의 기술이 갖는 사용자의 불편함 및 전력 측면의 단점으로부터 자유로우면서도,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예: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을 즉각 실행시켜 이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60단계 이후 일부활성화모드에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경우(S170 Yes), 특정 어플리케이션 즉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나머지 기능(예: 화면 출력 등)을 인에이블(enable)시켜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S180).
즉, 단말장치(10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상태에서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 만을 실행하는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활성화모드에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앞서 디세이블(disable)시킨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나머지 기능(예: 화면 출력 등)을 인에이블(enable)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단말장치(10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잠금상태에서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음악컨텐츠 사운드 출력 기능 만을 실행하여 음악을 출력하다가,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 전체 기능의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음악 출력 뿐 아니라 도 2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40)에 화면이 출력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잠금상태 실행 유지 어플리케이션이 사운드 출력과 무관하지 않은 경우 즉 잠금상태 실행 유지 어플리케이션이 사운드 출력 중인 경우라면(S150 No), 전술한 본 발명의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지 않고, 앞서 입력된 물리버튼 즉 볼륨버튼(10)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일반적인 동작(예: 볼륨 업 또는 다운)을 수행할 것이다(S190).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는, 볼륨버튼(10)에 기 등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음악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가정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잠금상태에서 사용자가 볼륨버튼(10)을 입력하더라도, 먼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잠금상태 실행 유지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먼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사운드 출력 중인지 아닌지에 따라 먼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우선순위를 두어 일부활성화모드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에 구비된 물리버튼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전력으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을 추가적인 기능으로서 실행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에 구비된 물리버튼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전력으로 추가적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단말장치
110 : 앱저장부 120 : 상태확인부
130 : 앱확인부 140 : 제어부

Claims (13)

  1. 물리버튼 입력 시, 잠금상태인지 확인하는 상태확인부;
    잠금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물리버튼에 기 등록되어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앱확인부;
    기 등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 만을 활성화시켜 이용하는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활성화모드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일부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을 디세이블(disable)시키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 만을 활성화시키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활성화모드에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나머지 기능을 인에이블(enable)시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기능은,
    사운드를 출력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잠금상태에서 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사운드 출력과 무관한 경우에만 상기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물리버튼 입력 시, 잠금상태인지 확인하는 상태확인단계;
    잠금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물리버튼에 기 등록되어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앱확인단계;
    기 등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 만을 활성화시켜 이용하는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는 일부활성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활성화모드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일부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을 디세이블(disable)시키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 만을 활성화시키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활성화모드에서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나머지 기능을 인에이블(enable)시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기능은,
    사운드를 출력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활성화단계는,
    잠금상태에서 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사운드 출력과 무관한 경우에만 상기 일부활성화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화면 비활성화 상태의 해제 기능과 관련이 없는 물리버튼;
    상기 화면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물리버튼으로부터의 소정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소정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입력과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활성화 상태에서 수행하는 전체 기능 중 사운드 출력 기능 만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출력 기능의 실행은 상기 화면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한 채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3. 화면 잠금상태의 해제 기능과 관련이 없는 물리버튼;
    상기 화면 잠금상태에서 상기 물리버튼으로부터의 소정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소정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입력과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잠금상태에서 수행하는 전체 기능 중 사운드 출력 기능 만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출력 기능의 실행은 상기 화면 잠금상태를 유지한 채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KR1020160034392A 2016-02-19 2016-03-23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201700981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97139P 2016-02-19 2016-02-19
US62/297,139 2016-0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131A true KR20170098131A (ko) 2017-08-29

Family

ID=5976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392A KR20170098131A (ko) 2016-02-19 2016-03-23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81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0325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ontrolling a remote device using a touch screen of a mobile device in a display inhibited state
KR101761190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039586A (ko) 터치 디바이스의 잠금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349977B2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KR20130110789A (ko) 이동 단말의 블루투스 연결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US9696792B2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062117B1 (ko) 터치스크린 휴대단말에서의 배경화면 선택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00306A (ko) 휴대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 제어 방법
US20180096584A1 (en) Car-key searching system
JP2020064640A (ja) 情報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255575B1 (en) Application triggering method and device
KR101902127B1 (ko) 위치정보에 따라 홈 화면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제공방법
CN107077269A (zh) 应用提示方法及装置
KR20170098131A (ko)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101992574B1 (ko) 위치정보에 따라 홈 화면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394842B1 (ko) 통신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홈 화면 제공 방법 및 모바일 광고 방법
KR2015006767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후면 입력부 운용 방법
KR20150034568A (ko) 통신 단말기의 홈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