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6519A - 버튼에 터치가 결합된 사용자명령입력부를 갖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버튼에 터치가 결합된 사용자명령입력부를 갖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6519A
KR20170096519A KR1020160018005A KR20160018005A KR20170096519A KR 20170096519 A KR20170096519 A KR 20170096519A KR 1020160018005 A KR1020160018005 A KR 1020160018005A KR 20160018005 A KR20160018005 A KR 20160018005A KR 20170096519 A KR20170096519 A KR 20170096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function
user
input
tou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8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6519A/ko
Priority to US15/432,027 priority patent/US20170235412A1/en
Publication of KR20170096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1/42227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 H04N5/440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5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by measuring the time interval during which a key is pressed, e.g. for inputting sequences of digits when selecting a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005/4412
    • H04N2005/4421
    • H04N2005/44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에 터치가 결합된 사용자명령입력부를 갖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자장치는 사용자버튼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입력부; 상기 버튼에 대한 사용자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버튼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버튼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에서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제1기능을 실행하도록 하고, 상기 버튼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능 중 제2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장치의 사용자명령입력부를 구성하는 각 버튼에 대하여 복수의 기능이 설정 가능하고, 사용자가 버튼입력과 터치입력을 통해 하나의 버튼을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여러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적은 수의 버튼을 입력부로 갖는 전자장치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각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함으로써 입력부가 사용자에 맞게 개인화되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을 한번의 입력명령을 통해 실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버튼에 터치가 결합된 사용자명령입력부를 갖는 전자장치{An electronic apparatus with touch-attached user instruction input button}
본 발명은 버튼에 터치가 결합된 사용자명령입력부를 갖는 전자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사용자명령입력부를 통해 전자장치를 조작한다. 사용자는 전자장치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전자장치를 자신의 의도대로 작동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의 선택은 사용자명령입력부를 통해 가능하다. 나아가 전자장치들은 사용자가 전자장치와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도 편리하게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리모컨을 입력부로 갖는 경우가 많다.
전자장치 중에서도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빈번하다.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도 TV는 채널을 선택하고 음량을 조절하는 등 사용자가 전자장치에 명령을 내리는 빈도가 특히 잦다. 따라서 TV에 있어서 입력부로서의 리모컨의 중요성은 크고 리모컨에 대한 사용자의 의존도는 매우 높다.
대부분의 TV 리모컨은 버튼을 한번 누르는 것으로 TV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즉, 리모컨의 각 버튼마다 TV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일대일로 대응시키다 보니 TV에서 제공하는 기능의 수만큼 리모컨 버튼의 수도 많아지게 된 것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리모컨 버튼의 개수는 줄어드는 추세다. 스마트 TV 등의 개발로 인해 TV가 제공하는 기능은 더욱 많아지고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은 심화되면서 하나의 리모컨 안에 그 모든 기능을 담을 수 없게 되었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화면을 통해 선택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TV가 제공하는 기능에 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면 사용자는 리모컨 방향버튼 등을 이용하여 화면에 제시된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하는 형태로 사용자명령의 입력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그 결과 최근 출시되는 리모컨은 버튼의 수가 적다. 도 1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리모컨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모컨 버튼의 개수가 줄어드는 것은 리모컨의 디자인이 깔끔해지고 사용자 입장에서도 전보다 단순명료한 입력이 가능해진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면이 있다. 그러나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한번에 선택할 수 없다는 점은 큰 단점이다. 특히 화면을 통해 제시되는 정보를 습득하기 어려운 사람들, 예를 들면 시각 장애인이나 시력이 좋지 않은 노약자 등에게는 치명적인 불편함을 초래한다.
이들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종래기술 중 하나는, 리모컨(100)의 측면에 배치된 음소거키(101)를 길게 누르면 시각 장애인들이 TV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주요 기능들을 모아놓은 '접근성 바로가기' 메뉴가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그 불편함을 줄이고자 했다.
그러나 '접근성 바로가기' 메뉴만으로는 TV를 시청하는 시각 장애인들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만족시키기는 부족했다. 접근성 바로가기 메뉴에서 제공하는 하위 메뉴 또한 한정되어 있어서 시각 장애인들이 TV에서 제공하는 다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음성안내를 들어가며 해당 메뉴를 찾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만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장치의 사용자명령입력부를 구성하는 각 버튼에 대하여 복수의 기능이 설정 가능하도록 하고, 각 버튼마다 터치감지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버튼입력과 터치입력을 통해 하나의 버튼을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여러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각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특히 적은 수의 버튼을 입력부로 갖는 전자장치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더 나은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사용자버튼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입력부; 상기 버튼에 대한 사용자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버튼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버튼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에서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제1기능을 실행하도록 하고, 상기 버튼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능 중 제2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버튼입력부, 상기 터치감지부 및 원격으로 상기 사용자버튼입력 또는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리모컨부와; 상기 송신부에서 보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설정입력에 따라 상기 버튼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과, 상기 방식에 대응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직접 설정함으로써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을 한번의 입력으로 실행시킬 수 있게 되어 전자장치의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입력 방식에 따라 실행할 기능뿐만 아니라 그 기능을 실행시킬 터치입력의 방식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게 하면 사용자에게 더욱 직관적인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유저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더 큰 편의성과 만족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에 기능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지속시간에 따라서, 또는 사용자터치입력의 연속터치횟수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버튼에 대하여 설정된 기능 및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에 대하여 설정된 기능 및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자신이 원하는 설정대로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버튼입력의 방식에 따라 상기 제1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기능을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버튼에 대하여 사용자버튼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에서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제1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버튼에 대하여 사용자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능 중 제2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버튼에 대한 사용자버튼입력 또는 사용자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방법은 사용자설정입력에 따라 상기 버튼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과 상기 방식에 대응하는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직접 설정함으로써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을 한번의 입력으로 실행시킬 수 있게 되어 전자장치의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입력 방식에 따라 실행할 기능뿐만 아니라 그 기능을 실행시킬 터치입력의 방식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게 하면 사용자에게 더욱 직관적인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유저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더 큰 편의성과 만족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상기 버튼에 기능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지속시간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이를 사용자터치입력의 연속터치횟수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버튼에 대하여 설정된 기능 및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에 대하여 설정된 기능 및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자신이 원하는 설정대로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수신된 사용자버튼입력의 방식에 따라 상기 제1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장치의 사용자명령입력부를 구성하는 각 버튼에 대하여 복수의 기능이 설정 가능하고, 사용자가 버튼입력과 터치입력을 통해 하나의 버튼을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여러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적은 수의 버튼을 입력부로 갖는 전자장치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각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함으로써 입력부가 사용자에 맞게 개인화되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을 한번의 입력명령을 통해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모컨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전자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영역(201)과 별도로 그 입력방법으로서 리모컨(202)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전자장치(200)가 리모컨(202)을 구비하고 있을 경우에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리모컨이 없는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터치입력의 지속시간에 따라 기능 설명 명령과 기능 선택 명령을 판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터치입력의 지속시간에 따라 기능 실행 명령과 기능 설정 명령을 구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능 실행 명령을 내리는 사용자터치입력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터치입력의 지속시간에 따라 기능 실행 명령과 기능 설정 명령을 구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능 설정 명령을 내리는 사용자터치입력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갖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전자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영역(201)과 별도로 그 입력방법으로서 리모컨(202)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자장치가 TV일 경우 도 2와 같이 리모컨(202)을 함께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많을 것이나,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나 TV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적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괄하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리모컨(202)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0)가 TV라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버튼입력부(401)와 터치감지부(402)가 반드시 도 2에서처럼 리모컨의 형태로 별도로 분리되어 있을 필요 또한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2와 같이 전자장치(200)가 리모컨(202)을 구비하고 있을 경우에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리모컨(202)은 버튼입력부(301), 터치감지부(302), 송신부(303)로 구성된다.
버튼입력부(301)는 사용자버튼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한다. 버튼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버튼입력부는 이를 인식할 수 있다. 버튼입력부가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버튼 누름의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버튼 한번 누르기, 두번 누르기, 오래 누르기 등이 그 예이나 버튼입력부가 인식할 수 있는 버튼입력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터치감지부(302)는 상기 버튼에 대한 사용자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등이 사용자 터치 감지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감지부가 감지할 수 있는 사용자 터치입력의 방식은 다양하다. 한번 탭하기, 두번 탭하기, 일정 시간 터치하고 있기, 특정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여러손가락으로 터치하기 등의 그 예이나 터치감지부가 감지할 수 있는 터치입력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송신부(303)는 상기 버튼입력부(301) 또는 터치감지부(30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관한 신호를 수신부(304)로 전송한다. 전송 방식으로는 적외선(Infra-red, IR)이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이용한 무선 통신,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유선 전송도 배제되지는 않는다.
수신부(304)는 상기 송신부(303)에서 전송한 신호를 받아 제어부로 전달한다.
제어부(305)는 상기 버튼에 대하여 사용자버튼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에서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제1기능을 실행하도록 하고, 상기 버튼에 대하여 사용자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능 중 제2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기능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어부의 구체적인 형태는, 본 발명의 전자장치가 컴퓨터라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한 예가 될 것이고, 모바일 기기라면 AP(Application Processor)가 한 예가 될 것이다. 제어부의 작동은 하드웨어적으로도 구현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리모컨이 없는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본 발명의 전자장치에 있어서 리모컨(202)이 필수적이지는 않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구성은 위 도 3의 구성에서 송신부(303)와 수신부(304)가 제외된 형태가 될 것이다. 즉, 버튼입력부(401), 터치감지부(402) 및 제어부(403)를 포함한다. 버튼입력부(401), 터치감지부(402) 및 제어부(403)에 관한 설명과 실시예는 각각 앞서 설명한 버튼입력부(301), 터치감지부(302) 및 제어부(305)의 내용과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버튼입력부(401)와 터치감지부(402)는 각각 사용자의 버튼입력과 터치입력을 감지한다(S501). 사용자의 버튼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403)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에서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제1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403)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능 중 제2기능을 결정하고(S503), 상기 결정된 제2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S504).
예를 들어 리모컨의 전원 버튼을 누르면 전원 ON/OFF 기능, 전원 버튼을 한번 탭하면 음성안내 기능, 두번 탭하면 화면해설 방송 기능이 실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누르면 버튼입력부(401)는 이를 감지하여 전원버튼 누름 입력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403)로 보내고, 제어부는 전원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이 전원 ON/OFF 기능인 것을 판단하여 전원 ON/OFF 기능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터치하면 터치감지부(402)는 이를 감지하여 전원버튼 터치입력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403)로 보내고, 제어부는 터치입력의 방식을 판별한다. 터치입력 방식이 전원 버튼을 '한번 탭'한 것일 경우 제어부(403)는 그 입력방식에 대응하는 기능이 '음성안내' 기능 것을 파악하여 음성안내 기능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고, 터치입력 방식이 '두번 탭'한 것일 경우 제어부(403)는 그 입력방식에 대응하는 기능이 '화면해설 방송' 기능인 것을 파악하여 화면해설 방송 기능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한다.
위 예는 사용자가 각 버튼을 특정 터치입력 방식으로 터치할 때 실행할 기능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그와 달리 특정 터치입력 방식에 따라 실행할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직접 설정함으로써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을 한번의 입력으로 실행시킬 수 있게 되어 전자장치의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정 터치입력 방식에 따라 실행할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는 경우, 제어부(403)는 현재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기능 설정을 위한 입력인지 기능 선택을 위한 입력인지를 판별할 필요가 있다. 기능 설정 명령과 기능 선택 명령을 판별하는 방법의 예로는 (1) 터치입력 지속시간으로 구분하는 방법(예를 들면 1~2초 터치하면 기능 실행 명령, 3초 이상 터치하면 기능 설정 명령으로 판별하는 방법), (2) 사용자터치입력의 연속터치횟수에 따라 판별하는 방법(예를 들면 두번 연속 탭하면 기능 실행 명령, 세번 연속 탭하면 기능 설정 명령으로 판별하는 방법. 각 버튼을 손으로 만져서 그 촉각에 따라 각 버튼을 구분하는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터치입력 지속시간으로 각 명령을 구별하는 것보다 연속터치횟수에 따라 각 명령을 구별하는 것이 보다 유용할 것이다), (3) 기능 설정 전용 버튼을 따로 구비하여, 위 전용 버튼과 기능을 설정하고자 하는 대상 버튼을 동시에 터치할 경우 기능 설정 명령으로 인식하는 방법, (4) 기능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장치의 OSD(On Screen Display) 메뉴 내에 별도로 구비하는 방법 등이 가능할 것이나, 기능 설정 명령과 기능 선택 명령을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위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무엇이든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서 위 (1)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이 터치입력의 지속시간에 따라 기능 설명 명령과 기능 선택 명령을 판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버튼입력부(401)와 터치감지부(402)는 각각 사용자의 버튼입력과 터치입력을 감지한다(S601). 사용자의 버튼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403)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에서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제1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403)는 그 터치입력의 지속시간을 판단한다(S603). 터치입력이 1~2초 동안 지속된 경우 제어부(40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기능 실행' 명령임을 판별하여 상기 버튼에 설정된 제2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S604). 그렇지 않고 터치입력이 3초 이상 지속된 경우 제어부(43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기능 설정' 명령임을 판별하여 상기 버튼에 설정할 제2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605).
예를 들어 리모컨의 전원 버튼을 누르면 전원 ON/OFF 기능을 실행하고, 전원 버튼을 1~2초 동안 터치하면 음성안내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누르면 버튼입력부(401)는 이를 감지하여 전원버튼 누름 입력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403)로 보내고, 제어부는 전원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이 전원 ON/OFF 기능인 것을 판단하여 전원 ON/OFF 기능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터치하면 터치감지부(402)는 이를 감지하여 전원버튼 터치입력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403)로 보내고, 제어부는 터치입력의 지속시간을 파악한다(S603). 도 7과 같이 터치입력의 지속시간이 1~2초인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이 '기능 실행' 명령임을 판별하여 전원버튼에 설정된 기능인 '음성안내' 기능을 실행하도록 장치를 제어한다. 그렇지 않고 도 8과 같이 터치입력의 지속시간이 3초 이상인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이 '기능 설정' 명령임을 판별하여 기능 설정 모드가 실행되도록 장치를 제어한다.
기능 설정 모드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기능 설정 모드에 진입하면 설정 가능한 기능의 목록을 장치가 음성 출력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 후 그 중 특정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이 한 예가 될 수 있고, 나아가 장치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라면 선택 가능한 기능의 목록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그 중 특정 기능을 선택하게 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위와 같은 기능 설정 모드를 통해 전원버튼에 대하여 기존에 설정된 '음성안내' 기능 대신 '화면해설 방송'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면, 그 이후로는 사용자가 전원버튼은 1~2초 동안 터치할 경우 기존에 설정된 '음성안내' 기능이 아닌, 새로 설정된 '화면해설 방송' 기능이 실행된다.
특정 터치입력 방식에 따라 실행할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터치입력 방식의 종류까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함으로써 어떤 방식의 터치입력이 있었을 경우 어떤 기능을 실행하도록 할지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기능 설정 모드에서 해당 버튼에 설정할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외에 그 기능에 대응시킬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그 설정 방법의 한 예가 될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위와 같은 설정 방법을 통해 예를 들어 전원버튼을 한번 탭하면 음성안내 기능, 두번 탭하면 화면해설 방송 기능, 세로로 슬라이드하면 화면 확대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입력 방식에 따라 실행할 기능뿐만 아니라 그 기능을 실행시킬 터치입력의 방식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게 하면 사용자에게 더욱 직관적인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유저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더 큰 편의성과 만족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이 특정 버튼에 대응될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것, 나아가 각 기능에 대응될 사용자터치입력방식까지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것은 입력방법의 '개인화 설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인화 설정 정보는 전자장치 내에 직접 저장하여 보관할 수도 있지만, 외부장치를 통해 받아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별 개인화된 설정에 관한 정보가 외부 서버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각 사용자는 사용자별 계정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 후 개인화 설정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인화된 설정을 외부 서버에 저장하고 그 이후로는 개인화된 설정을 필요에 따라 수신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전자장치를 제어할 경우, 사용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자신이 원하는 설정대로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버튼을 누르면 그 버튼입력방식에 무관하게 버튼을 누를 때 실행될 기능이 이미 정해져 있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버튼입력 역시도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므로(예를 들면, 한번 누르기, 두번 누르기, 오래 누르기 등), 버튼입력이 감지되었을 경우에도 터치입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기능 중 하나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입력방법이 더욱 다양해짐에 따라 하나의 버튼에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의 수가 더욱 많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며, 본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400: 전자장치
401: 버튼입력부
402: 터치감지부
403: 제어부

Claims (16)

  1. 전자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버튼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입력부;
    상기 버튼에 대한 사용자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버튼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버튼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에서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제1기능을 실행하도록 하고, 상기 버튼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능 중 제2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입력부, 상기 터치감지부 및 원격으로 상기 사용자버튼입력 또는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리모컨부와,
    상기 송신부에서 보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설정입력에 따라 상기 버튼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과, 상기 방식에 대응하는 기능을 설정하는 전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에 기능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지속시간에 따라 결정하는 전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에 기능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연속터치횟수에 따라 결정하는 전자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대하여 설정된 기능 및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에 대하여 설정된 기능 및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전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버튼입력의 방식에 따라 상기 제1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전자장치.
  9.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버튼에 대하여 사용자버튼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중에서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제1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버튼에 대하여 사용자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능 중 제2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대한 사용자버튼입력 또는 사용자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설정입력에 따라 상기 버튼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과 상기 방식에 대응하는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기능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지속시간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기능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연속터치횟수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대하여 설정된 기능 및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대하여 설정된 기능 및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터치입력의 방식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사용자버튼입력의 방식에 따라 상기 제1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018005A 2016-02-16 2016-02-16 버튼에 터치가 결합된 사용자명령입력부를 갖는 전자장치 KR20170096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005A KR20170096519A (ko) 2016-02-16 2016-02-16 버튼에 터치가 결합된 사용자명령입력부를 갖는 전자장치
US15/432,027 US20170235412A1 (en) 2016-02-16 2017-02-14 Electronic apparatus with user input switchable between button and touch typ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005A KR20170096519A (ko) 2016-02-16 2016-02-16 버튼에 터치가 결합된 사용자명령입력부를 갖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519A true KR20170096519A (ko) 2017-08-24

Family

ID=5955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005A KR20170096519A (ko) 2016-02-16 2016-02-16 버튼에 터치가 결합된 사용자명령입력부를 갖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235412A1 (ko)
KR (1) KR201700965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654A1 (ko) * 2021-11-05 2023-05-11 주식회사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키패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9732B2 (en) * 2017-06-23 2020-03-03 Sony Corporation Accessibility menu from remote control
US9959782B1 (en) 2017-08-18 2018-05-01 Sony Corporation Accessibility remote control for the blind
CN108012174A (zh) * 2017-12-20 2018-05-08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智能终端快捷键自定义方法、智能终端及可读储存介质
US10148901B1 (en) 2018-02-09 2018-12-04 Sony Corporation Accessibility remote control for the blind
US11460998B2 (en) * 2019-04-16 2022-10-04 Sony Group Corporation Accessibility for digital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138B1 (ko) * 2005-11-01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입력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에 구비되는 버튼 입력 장치
KR20090085470A (ko) * 2008-02-04 200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템 또는 바탕화면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감지하는터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US8432305B2 (en) * 2009-09-03 2013-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243828B2 (ja) * 2013-11-29 2017-12-06 株式会社 ハイディープHiDeep Inc. タッチレベルに伴うフィードバック方法、及びこれを行うタッチ入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654A1 (ko) * 2021-11-05 2023-05-11 주식회사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키패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35412A1 (en)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6519A (ko) 버튼에 터치가 결합된 사용자명령입력부를 갖는 전자장치
US11650667B2 (en) Haptic feedback remo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EP2960882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176766B1 (en) Remote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ntrollable devices
RU2609101C2 (ru) Узел сенсор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ми, контроллер и электрон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US11770576B2 (en) Gri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US20090153495A1 (en) Input method for use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sensitive screen
EP3151212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EP2613546A2 (en) Display apparatus, user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8779894B2 (en) Method for setting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ler applying the same
US10764625B2 (en) Smart touch
US9060153B2 (en)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73811B1 (ko) 미디어 콘텐츠 제시와 동기화되는 향상된 리모컨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매체들
KR201600953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707494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tv program accompanying sounds
KR20170128883A (ko) 포스 입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드들을 실현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방법
EP3247122A1 (en) Image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same
KR2015008157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17901A (ko) Ir 리모콘 ui 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315238B1 (ko) 센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시스템, 장치 및 방법
EP3236666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force input of a remote controller with three dimensional image in the same
KR20120047566A (ko) 스마트 티비 컨트롤 시스템 및 조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