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748A - Biomass molded fuel with high calorific valu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electric power plant and steelworks using vegetable Oil generation by-product - Google Patents

Biomass molded fuel with high calorific valu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electric power plant and steelworks using vegetable Oil generation by-pro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748A
KR20170089748A KR1020160135304A KR20160135304A KR20170089748A KR 20170089748 A KR20170089748 A KR 20170089748A KR 1020160135304 A KR1020160135304 A KR 1020160135304A KR 20160135304 A KR20160135304 A KR 20160135304A KR 20170089748 A KR20170089748 A KR 20170089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ass
vegetable oil
product
drying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3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31159B1 (en
Inventor
전신성
엄민섭
김병권
Original Assignee
에스씨에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씨에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씨에코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8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7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1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5Agricultural waste, e.g. corn crops, grass clippings, nut shells or oil pressing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06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06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 C10L5/10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with the aid of binders, e.g. pretreated bin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2Wood or forestry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503Mixing fuel or propellant and water or gas, e.g. air, or other fluids, e.g. liquid additives to obtain fluid fuel
    • B01F2215/008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0Pressing, compressing or compac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2Hopp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calorific value biomass molded fu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erein the high calorific value biomass molded fuel is manufactured by using a final byproduct, residue, and biomass generated during a process for producing vegetable oil and can be used as fuel, a reducing agent, and a temperature increasing agent. More specifically, disclosed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high calorific value biomass molded fuel for a thermoelectric power plant and a steel mill, the biomass molded fuel which has a calorific value increased by approximately 4,000 kcal/kg from a low calorific value of an existing biomass molded fuel, has a high calorific value of 4,000-6,000 kcal/kg similar to charcoal, and has excellent combustibilit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high calorific value biomass molded fuel for a thermoelectric power plant and a steel mill comprises: a step of grinding biomass; a vegetable oil byproduct supplying step of supplying vegetable oil byproducts after the step of grinding biomass; a step of heating and mixing the ground biomass and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after the vegetable oil byproduct supplying step; a step of drying and stabiliz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and the biomass after the heating and mixing step; and a step of compressing and mold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and the biomass after the drying and stabilizing step.

Description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이용한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 및 이의 제조방법 {Biomass molded fuel with high calorific valu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electric power plant and steelworks using vegetable Oil generation by-produc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calorific biomass-forming fuel for a thermal power plant and a steel plant using a vegetable oil by-product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성 오일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최종 부산물 및 잔사와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에서 연료, 환원제 및 승열제로의 사용이 가능한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저위발열량 기준 약 4,000 kcal/kg보다 개선되어 석탄과 유사한 4,000 내지 6,000 kcal/kg의 고발열량을 가짐과 동시에 연소성이 우수한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기능성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which can be used as a fuel, a reducing agent and a heat-generating agent in a thermal power plant and a steel plant by using final by-products and residu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vegetable oil and biomass, , More specifically about 4,000 kcal / kg, which is lower than the low calorific value of conventional biomass-formed fuel, and has a high heating value of 4,000 to 6,000 kcal / kg similar to that of coal, Mass forming fuel.

화력 발전소와 제철소는 전기 및 철강제품 생산을 위해 화석연료, 특히 석탄을 대규모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 배출산업으로 1997년 도쿄의정서 및 2015년 파리협약 등 국제적인 온실가스 감축요구, 배출권 거래제 및 친환경 기업으로의 이미지 제고 등 청정개발체제(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사업 수행을 위해 사용 중인 석탄의 일부를 태양광, 풍력, 소수력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등과 같은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로 대체 중에 있으며 특히, 석탄과 같은 고형연료인 우드칩, 우드펠렛 등의 바이오매스를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다. 화력 발전소는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전소 또는 석탄과 혼합하는 혼소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있으며 제철소는 연료 대체 목적 외에도 고로 등 공정 내에서 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환원제 또는 용강의 이동을 위한 레들카 등에서의 온도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승열제로 바이오매스를 사용하고 있다. Fossil fuels and steel mills are major greenhouse gas emission industries that use fossil fuels, especially coal, for the production of electricity and steel products. They are inter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requirements such as the Tokyo Protocol in 1997 and the Paris Convention in 2015, (CDM) projects, such as upgrading the image of coal, and replacing some of the coal that is being used with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wind, hydro, and biomass energy. In particular, Biomass such as wood chips, wood pellets and the like are actively used. The thermal power plant produces electricity through the combined power generation using biomass, which is mixed with coal or coal.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replacing fuel, steel mills also use reductant to remove oxygen in blast furnace process or reed car to move molten steel Biomass is used as a heat transfer agent to minimize temperature drop.

그러나 바이오매스의 경우 발열량은 3,500 내지 4,500 kcal/kg으로 석탄에 비해 63 내지 80%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2배 이상 비싼 단점으로 연료 구입비 및 발열량 손실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탄소함량은 약 45% 정도로 석탄 70% 이상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However, in case of biomass, the calorific value is 3,500 to 4,500 kcal / kg, which is 63 to 80% higher than that of coal, but the price is more than twice as high. In addition, carbon content is about 45%, which is very low compared with more than 70% of coal.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바이오매스를 질소퍼지 후 약 200℃ 이상으로 가온하여 탄소함량 및 발열량을 향상시키는 반탄화 기술이 적용, 검토되고 있으나 설비투자 및 가열에 필요한 화석연료 등 경제성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어 이에 대한 해결이 요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동식물성 유지 및 오일을 열량개선을 위한 첨가제로 활용한 기술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recently, a semi-carbonization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improve the carbon content and the heating value by heating the biomass to about 200 ° C or more after purging with nitrogen. However, economical problems such as fossil fuel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olve this problem, and a variety of techniques using a variety of vegetable oils and oils as an additive for improving the calorie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바이오매스 연료의 경우 운반 및 취급의 편의성을 위해 펠렛, 브리켓 등의 형상으로 성형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들 성형을 위해 건조, 혼합, 성형, 냉각 등의 단계를 거치는 것이 일반적인 성형과정이다. 바이오매스 연료 성형제조 시 강도유지를 위해 전분, 아교 및 당밀 등 다양한 부형재를 바인더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 바인더는 낮은 발열량으로 화석연료 대비 열량저하의 요인이 되고 있으며 과도한 리그닌 함량으로 성형을 위한 융점이 높아지고 롤러 및 익스트루더에 압출부하에 따른 마찰열이 자주 발생하여 장비의 수명단축과 화재의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In the case of biomass fuel, molding is carried out in the form of pellets and briquettes for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handling. It is a general molding process to carry out steps such as drying, mixing, molding and cooling for these molding. In order to maintain the strength during the production of biomass fuel, a variety of negative shape materials such as starch, glue and molasses are used as binders. However, these binders have a low calorific value, which is a cause of lower calorific value compared with fossil fuels. The frictional heat due to the extrusion load frequently occurs in the rollers and extruders, thereby shortening the life of the equipment and increasing the risk of fire.

기존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경우 석탄과 달리 낮은 비중 및 분쇄도로 인해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의 기존 석탄 미분기 내에서 석탄과의 균일한 분쇄가 어려워 보일러 내 부하요인으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연료보관 및 운송 시 제품에서 발생되는 분진으로 인해 창고 및 부두 하역 시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Unlike conventional coal, biomass-forming fuel has low specific gravity and crushing,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crush with coal in the conventional coal separator of thermal power plant and steel mill, which causes a problem as a load factor in the boiler. And the complaints are often generated when the warehouse and the pier are unloaded due to the dust generated in the warehouse.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지역의 경우 팜, 코코넛, 커피 및 콩 등 식물성 오일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과 잔사 등은 높은 발열량에도 불구하고 낮은 융점, 상온에서의 높은 점성과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단점 등으로 인해 일반적인 취급이 어려워 대부분 폐기되거나 저부가가치 원료로 단순 재활용 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the Southeast Asian region such as Indonesia and Malaysia, the byproducts and residu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vegetable oil such as palm, coconut, coffee and beans have a low melting point, a high viscosity at room temperature and a disadvantage of maintaining solid state It is difficult to handle them in general and most of them are simply recycled as low value-added raw material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톱밥 또는 우드칩과 같은 바이오매스에 혼합 및 침적시켜 최종적으로 제품 성형성 및 장비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향상된 발열량으로 인해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에서 연료, 환원제 및 승열제로 사용이 가능한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 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vegetable oil byproducts with biomass such as sawdust or wood chip,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manufacturing the high-heat-generating biomass-forming fuel that can be used as a fuel, a reducing agent, and a heat-generating agent in a thermal power plant and a steel mill due to an improved heating amoun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단계 후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공급하는 식물성 오일 부산물 공급단계,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 공급단계 후에 분쇄된 상기 바이오매스와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가온교반하는 단계, 상기 가온교반하는 단계 후에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과 상기 바이오매스를 건조 및 안정화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건조 및 안정화하는 단계 후에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과 상기 바이오매스를 압착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vegetable oil by-product, comprising the steps of: pulverizing a biomass, supplying a vegetable oil by-product to supply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fter crushing the biomass, Drying and stabiliz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nd the biomass after the heating and stirring step, and drying and stabilizing the biomass and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fter the drying and stabiliza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a thermal power plant and a steel mill, which comprises a step of compressing and mass-forming a mass.

상기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단계는 상기 바이오 매스를 가루 또는 분말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tep of pulverizing the biomass comprises preparing the biomass in powder or powder form.

상기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단계 후에 분쇄된 상기 바이오매스의 일정한 크기 이하의 입자를 선별하고 동시에 이물질을 선별하는 입도 및 이물질 선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particle size and foreign matter selecting step of selecting particle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size of the pulverized biomass after the pulverizing the biomass and simultaneously selecting foreign matter.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 공급단계 후에 분쇄 시 발생하는 분진을 회수하여 부원료로 활용하기 위한 분진 포집 및 재공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collecting and re-supplying the dust to collect the dust generated during the pulverization after the step of supply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nd use it as a sub-raw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를 파쇄하는 단계, 상기 바이오매스를 파쇄하는 단계 후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공급하는 식물성 오일 부산물 공급단계,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 공급단계 후에 상기 바이오매스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 첨착을 위한 침적단계, 상기 침적단계 후에 침적 후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과 상기 바이오매스를 건조 및 안정화하는 단계, 상기 건조 및 안정화하는 단계 후에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첨착된 상기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분쇄단계, 상기 분쇄단계 후에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첨착된 바이오매스를 가온교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온교반하는 단계 후에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과 상기 바이오매스를 압착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vegetable oil by-product, comprising the steps of crushing the biomass, supplying a vegetable oil by-product to the vegetable oil by-product supplying step after the step of crushing the biomass, Drying and stabiliz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nd the biomass after the immersion step after the immersion step, a pulverizing step of pulverizing the biomass impregnated with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fter the drying and stabilizing step, Heating and stirring the biomass impregnated with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nd compressing and mold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nd the biomass after the heating and stirring step. Providing a manufacturing method .

상기 바이오매스를 파쇄하는 단계는 상기 바이오매스를 일정한 크기의 우드칩 또는 핀칩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 of crushing the biomass is preferably a method of producing the biomass as a wood chip or a pin chip having a predetermined size.

상기 바이오매스를 파쇄하는 단계 후에 파쇄된 상기 바이오매스의 일정한 크기의 우드칩 또는 핀칩을 선별하고 동시에 이물질을 선별하는 입도 및 이물질 선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sorting wood chips or pinch chips of a predetermined size of the biomass that has been crushed after the crushing of the biomass, and sorting the foreign substances at the same time.

상기 분쇄단계 후에 파쇄 및 분쇄 시 발생하는 분진을 회수하여 부원료로 활용하기 위한 분진 포집 및 재공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collecting and re-supplying the dust to recover the dust generated during the crushing and crushing after the crushing step and to use it as the sub-raw material.

상기 가온교반하는 단계에서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침적된 바이오매스와 비침적된 바이오매스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mixing the non-nitrified biomass with the biomass on which the vegetable oil byproduct is immersed in the heating and stirring step.

상기 바이오매스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 첨착을 위한 침적단계에서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온도가 40 내지 100℃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 in the immersion step for impregnating the biomass with the vegetable oil byproduct is in the range of 40 to 100 ° C.

상기 바이오매스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 첨착을 위한 침적단계에서 침적시간이 1 내지 60분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mmersion time is in the range of 1 to 60 minutes in the immersion step for adhesion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 to the biomass.

상기 가온교반하는 단계에서 가온교반기의 내부 온도가 40 내지 80℃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heating and stirring step,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eating stirr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40 to 80 ° C.

상기 가온교반하는 단계에서 교반시간이 10 내지 60분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gitation time is in the range of 10 to 60 minutes in the heating and stirring step.

상기 건조 및 안정화하는 단계에서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의 내부 온도가 80 내지 120℃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rying and stabilizing step,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rying and stabilizing reacto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80 to 120 ° C.

상기 건조 및 안정화하는 단계에서 건조 및 안정화하는 시간이 30 내지 120분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rying and stabilizing time in the drying and stabilizing step is 30 to 120 minutes.

상기 압착성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바이오매스와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압착하는 단계, 상기 압착하는 단계 후에 급속 냉각을 통해 모양을 유지시키고 동시에 강도를 향상시키는 성형유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sing and molding step, the biomass and the vegetable oil byproduct may be compressed, and the shape may be maintained through rapid cooling after the pressing, thereby improving the strength.

상기 압착하는 단계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상기 성형유지단계에 있는 성형 연료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차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heat shielding step of shielding the friction heat generated in the pressing step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olding fuel in the molding and holding step.

상기 압착하는 단계는 압착 시 온도가 80 내지 120℃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ing step has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80 to 120 ° C.

상기 성형유지단계는 온도를 0 내지 40℃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lding and holding step preferably maintains the temperature in the range of 0 to 40 ° C.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은 성형을 위한 바인더와 발열량 보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getable oil by-product is characterized by being a binder for molding and a calorific value auxiliary agent.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은 저위발열량 기준 4,500 내지 9,900 kcal/kg의 범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vegetable oil by-product is in the range of 4,500 to 9,900 kcal / kg on the basis of the low calorific value.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은 팜 슬러지, PAO(Palm Acid Oil), 코코넛 오일 부산물, 대두박, 올리브 오일 부산물, 카놀라 오일 부산물 또는 커피 부산물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vegetable oil by-produc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palm sludge, PAO (palm acid oil), coconut oil by-product, soybean meal, olive oil by-product, canola oil by-product or coffee by-product.

상기 성형연료는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함량이 1 내지 30중량%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olding fuel has a content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 in the range of 1 to 30% by weight.

상기 성형연료는 수분함량이 1 내지 10중량%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lded fuel preferably has a water content in the range of 1 to 10% by weight.

상기 성형연료는 저위발열량 기준 4,000 내지 6,000kcal/kg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lding fuel is in a range of 4,000 to 6,000 kcal / kg on the basis of the low calorific value.

또한,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바이오매스의 입도를 선별하는 입도선별기, 상기 입도선별기에서 선별된 바이오매스와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공급받아 혼합하는 가온교반기, 상기 가온교반기에서 바이오매스에 혼합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건조 및 안정화시키는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 그리고 상기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에서 건조 및 안정화되어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압착성형하는 압착성형기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biomass comprising a pulverizer for pulverizing biomass, a particle size selector for selecting the particle size of the biomass pulverized in the pulverizer, a heating stirrer for feeding and mixing the biomass selected from the particle size selector and the vegetable oil by- A drying and stabilizing reactor for drying and stabiliz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mixed in the biomass, and a compression molding machine for compressing and molding biomass dried and stabilized in said drying and stabilizing reactor and containing vegetable oil by-produ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high calorific biomass-forming fuel for a steel mill.

또한,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를 파쇄하는 파쇄기, 상기 파쇄기에서 파쇄된 우드칩 또는 핀칩 형태의 바이오매스 입도를 선별하는 입도선별기, 상기 입도선별기에서 선별된 바이오매스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첨착시키는 침적반응기, 상기 침적반응기에서 바이오매스에 첨착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건조 및 안정화시키는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 상기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에서 건조 및 안정화되어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되어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혼합시키는 가온교반기, 그리고 상기 가온교반기에서 혼합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압착성형하는 압착성형기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biomass, which comprises a crusher for crushing biomass, a particle size separator for selecting particle sizes of wood chips or biomass crushed in the crusher, a sedimentation reactor for impregnating vegetable oil byproducts into the biomass selected from the particle size separator, A drying and stabilizing reactor for drying and stabiliz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impregnated into the biomass in the immersion reactor, a pulverizer for pulverizing the biomass dried and stabilized in the drying and stabilizing reactor and containing vegetable oil byproducts, A heating stirrer for mixing the biomass contain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nd a compression molding machine for compression molding the biomass contain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mixed in the heating stirrer, and a high-calorie biomass molding fuel for steelworks Provide manufacturing equipment .

상기 압착성형기는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압착하는 압착부, 상기 압착부를 통과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급속냉각시켜 모양을 유지하고 강도를 증대시키는 성형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ression molding machine preferably includes a compression unit for compressing the biomass includ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nd a molding and holding unit for rapidly cooling the biomass includ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passed through the compression unit to maintain the shape and increase the strength Do.

상기 압착성형기는 열차단부를 더 포함하며,Wherein the press-mold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train end,

상기 열차단부는 상기 압착부와 성형유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압착부에서 발생한 마찰열이 상기 성형유지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end portion of the heat is dispos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molding holding portion so as to prevent the frictional heat generated in the pressing portion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olding holding por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저위발열량 기준 4,500 내지 9,900 kcal/kg의 범위의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바이오매스에 1 내지 30중량%의 범위로 혼합, 성형함에 따라 4,000 내지 6,000 kcal/kg 범위의 석탄과 유사한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에서 연료, 환원제 및 승열제로 사용이 가능한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by mixing vegetable oil byproducts in the range of 4,500 to 9,900 kcal / kg on the basis of low calorific value in the range of 1 to 30% by weight in the biomass, And high-yield biomass-forming fuels that can be used as fuel, reductant, and heat transfer agent in steel mills.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성형연료 제조 시 제품의 강도유지를 위한 바인더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고발열량, 상온에서의 높은 점도 및 점결특성을 활용함에 따라 성형연료의 강도, 형상유지와 함께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연료의 발열량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그닌에 비해 융점이 낮은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특성을 활용함에 압출성형 시 낮은 온도에서도 제품성형이 가능하여 운전비의 절감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inder for maintaining the strength of a product in the production of a molded fuel, and utilizes the high heat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 high viscosity at room temperature, and tackiness characteristics as a binder, The heating value of the fuel can also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ble oil byproducts, which are lower in melting point than lignin, it is possible to mold the product at a lower temperature during extrusion molding, thus reducing the operating cost.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성형연료 제조 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유지성분으로 인해 성형제품의 표면 마찰력을 감소시켜 롤러 및 익스트루더 압출부하 및 마찰열을 감소시켜 장비의 수명단축 및 화재발생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surface frictional force of the molded product due to the maintenance component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 in the production of molded fuel, thereby reducing the roller and extruder extrusion load and frictional heat, thereby shortening the life of the equipment and reducing the risk of fire hav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낮은 융점으로 인해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의 기존 석탄 미분기의 고온조건에서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강도가 스스로 약화되어 분쇄 및 연소에 유리한 크기로 작아짐에 따라 기존 보일러의 부하 및 분쇄도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Because of the low melting point of vegetable oil by-product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since the strength of the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at the high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conventional coal separator of the thermal power plant and the steel mill is weakened by itself,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a decrease in load and fractur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침적된 바이오매스 성형연료는 기존의 일반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에 비해 강도 및 비중이 높아져 분진 비산 등에 따른 환경문제 등 민원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mass-forming fuel in which vegetable oil byproduct is deposited has a higher strength and specific gravity than conventional conventional biomass-forming fuel,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complaints such as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dust scattering and the lik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바인더 및 열량 보조제인 식물성 오일 부산물과 분쇄된 바이오매스를 압출성형 전 가온교반, 건조 및 안정화 공정을 사전에 적용함에 따라 압착성형 시 바인더 및 원료 혼합불량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s due to poor binder and raw material mixing during the compression molding by preheat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nd the pulverized biomass, which are the binder and the caloric aid, before the extrusion molding, .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휘발분과 악취성분을 전처리 단계인 가온교반, 건조 및 안정화 공정에서 사전 제거함과 동시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유지성분이 바이오매스에 고르게 혼합침적되어 코팅됨에 따라 성형연료 보관 시 수분 재흡습과 자연발화의 위험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atile components and odor components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are preliminarily removed in the pre-treatment step of warm stirring, drying and stabilization, and the maintenance component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is mixed and deposited on the biomass. The risk of moisture absorption and spontaneous ignition can be minimized.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성형연료의 형상을 압축을 통해 구현하는 압착부, 마찰열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열차단부와 급속냉각을 위한 성형유지부를 포함하는 일원화된 압착성형 단계를 적용함에 따라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유지성분과 바이오매스가 급격한 마찰열 상승 및 압력강하에 의해 발생되는 팝핑현상을 해결함과 동시에 냉각기의 냉각부하 저감을 가능하게 하여 성형연료의 강도강화, 광택유지 및 운전비 절감을 가능케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fied press-molding step including the pressing part for compressing the shape of the molded fuel, the end part for cutting off the transmission of frictional heat, and the molding holding part for rapid cooling is applied, The components and biomass solve the popping phenomenon caused by the sudden rise of the frictional heat and the pressure drop,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oling load of the cooler, thereby enhancing the strength of the molded fuel, maintaining the gloss and reducing the operation cost.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분쇄 및 입도선별단계에서 포집된 분진을 압착성형 시 리그닌 원으로 재활용함에 따라 제품원료의 손실을 방지하여 생산비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cycles dust collected in the biomass pulverization and particle size selection step as a lignin source during the compression molding, thereby preventing the loss of the raw material of the product,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 분쇄형 전체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후 분쇄형 전체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압착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 분쇄형 제품생산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후 분쇄형 제품생산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압착성형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ull-milled type whole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whole process chart of a post-milling typ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pressing p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production process of a full milled produc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rocess flow chart for producing a post-pulverized produc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compression molding machin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과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이용한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에서 연료, 환원제 및 승열제로 사용이 가능한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FIGS. 1 and 2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 a method for producing a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that can be used as a fuel, a reducing agent, and a heat-generating agent in a thermal power plant and steelworks using vegetable oil byproduct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1과 2의 압착성형 단계(S5)에 대한 세부 구조도를 도시하고 있다. FIG. 3 is a detailed structural view of the compression molding step (S5) of FIGS. 1 and 2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를 생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품생산 공정도이다.FIGS. 4 and 5 are product production process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to expla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바이오매스를 사전에 분말화시켜 식물성 오일 부산물과 가온교반하여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단계(S1), 분쇄된 바이오매스의 이물질을 선별하고 입도를 조절하는 단계(S2), 공급된 식물성 오일 부산물과 입도조절된 바이오매스 분쇄물의 혼합을 위해 가온 교반하는 단계(S3), 식물성 오일 부산물과 바이오매스 혼합물의 수분조절 및 안정화를 위한 건조 및 안정화 단계(S4), 연료제품 성형을 위한 압착성형 단계(S5), 최종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단계(S6),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공정에 공급하는 식물성 오일 부산물 공급단계(S7), 그리고 바이오매스 분쇄단계(S1)에서 발생된 분진을 회수하여 부원료로 활용하기 위한 분진포집 및 재공급 단계(S8)을 포함한다.A method of preparing a high-heat-generating biomass-forming fuel by preliminarily pulverizing the biomas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heating with a vegetable oil by-product to produce a high heat-generating biomass-forming fuel comprises the steps of (S1) crushing the biomass, A step S2 of adjusting the particle size of the biomass, controlling the size of the biomass, a step (S3) of warming the mixture for mixing the supplied vegetable oil byproduct with the particle size controlled biomass pulverized product, (S4), a compression molding step (S5) for molding the fuel product, a packaging step (S6) for packaging the final product, a supply step of a vegetable oil byproduct supplying the process to the process ( S7), and dust collecting and re-supplying step (S8) for recovering the dust generated in the biomass pulverization step (S1) and using it as a subordinate material.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단계(S1)는 임야에서 간벌 및 벌목한 원목 또는 가공된 우드칩 등을 대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기(1, Mill)를 이용하여 톱밥 또는 목분 등의 형태로 가공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쇄기(Mill)는 해머밀(Hammer Mill), 롤밀(Roll Mill), 핀밀(Pin Mill) 및 제트밀(Jet Mil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이오매스의 원료는 활엽수, 침엽수 등의 칩과 같은 1차 가공물과 원목뿐만 아니라 수피, 나무뿌리, 열매, 과육, 씨앗 및 건초 등 기타 농업 부산물 원물 또는 가공된 형태 모두 사용할 수 있다.The step S1 of pulverizing the biomass may be performed by using a pulverizer (1, Mill), such as sawdust or wood powder, as shown in FIG. 4, A hammer mill, a roll mill, a pin mill, and a jet mill may be used as the mil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w materials of the biomas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in primary work products and wood such as hardwoods and softwoods but also in other agricultural byproducts or processed forms such as bark, tree root, fruit, pulp, seed and hay .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단계에서 바이오매스는 톱밥 같은 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의 크기는 1~5mm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of pulverizing the biomass, the biomass may be made of powder such as sawdust, and the size thereof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5 mm.

분쇄된 바이오매스의 이물질을 선별하여 입도를 선별하는 단계(S2)는 도 4에 도시한 입도선별기(2, Particle Size Separator)를 통해 원하는 크기로 조절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입도선별기(2, Particle Size Separator)는 트롬멜 스크린(Trommel Screen), 진동 스크린(Vibrating Screen), 공기선별기(Air Classifier) 및 관성선별기(Internal Separa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step S2 of selecting the particle size of the pulverized biomass by selecting the particle size is controlled to a desired size through the particle size separator 2 shown in FIG. 4, Size Separator can be used as Trommel Screen, Vibrating Screen, Air Classifier and Internal Separation.

식물성 오일 부산물 공급단계(S7)에서 발열량 향상, 성형성 유지 및 압출부하 감소 등을 위해 사용되는 식물성 오일 부산물은 저위 발열량 기준 4,500 내지 9,900 kcal/kg의 범위의 팜 슬러지, PAO(Palm Acid Oil), 코코넛 오일 부산물, 대두박, 올리브 오일 부산물, 카놀라 오일 부산물 및 커피 부산물 등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식물성 오일 부산물은 대규모 오일생산 공장이 있는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지역에서 주로 수급이 가능하며 팜유, 쿠킹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생산공정에서 최종 배출되는 것으로 상온에서는 고점도의 고체이며, 배출 후 보관된 시간에 따라 색깔이 상이하고 부패도에 따라 악취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연료 성형 전 전처리 공정에서 악취를 모두 제거할 수 있어 부패도 등 등급에 관계없이 상기 발열량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The vegetable oil by-products used for improving the calorific value, maintaining the formability and reducing the extrusion load in the step of supply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S7) include palm sludge, PAO (Palm Acid Oil) Coconut oil by-products, soybean meal, olive oil by-products, canola oil by-products, and coffee by-products can all be used. Vegetable oil by-products are mainly available in Southeast Asia such as Indonesia and Malaysia where large-scale oil production plants are located. They are final products in vegetable oil production processes such as palm oil and cooking oil. They are highly viscous solid at room temperatur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all of the offensive odors in the pretreatment process before fuel molding, so that it can be used in all cases where the above calorific value condition is satisfied regardless of the degree of decay .

식물성 오일 부산물은 도 4에 도시한 식물성 오일 부산물 탱크(3, Vegetable Oil Generation By-product Tank)에서 공급피더(4, Supply Feeder)를 통해서 입도 조절된 바이오매스 분말과의 혼합을 위해 가온 교반하는 단계(S3)로 공급되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공급피더(4, Supply Feeder)는 펌프 또는 노즐분사에 의한 압송식 및 기계식 컨베이어를 활용한 이송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력발전소와 제철소에서 연료, 환원제 및 승열제로 활용하기 위한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위 발열량 기준 4,000 내지 6,000 kcal/kg을 확보하기 위해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공급량을 공급피더(4, Supply Feeder)를 통해 요구되는 발열량에 따라 총 성형연료량의 1 내지 30중량%로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The vegetable oil byproduct is heated and stirred for mixing with a biomass powder whose particle size is controlled through a supply feeder 4 in a vegetable oil generation by-product tank 3 shown in FIG. The supply feeder 4 t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ed by a pump or a nozzle injection or a transferring type using a mechanical conveyo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amount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 is adjusted to be 4 to 6,000 kcal / kg on the basis of the low calorific valu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use as a fuel, a reducing agent and a heat- , And Supply Feeder) to 1 to 30% by weight of the total formed fuel amou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heat required.

식물성 오일 부산물과 바이오매스의 혼합을 위한 가온 교반하는 단계(S3)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온 교반기 (5. Heating Mixer)를 이용하여 정량공급된 식물성 오일 부산물과 분쇄된 바이오매스를 균일하게 혼합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온 교반기 (5. Heating Mixer)는 패들믹서, 리본믹서 및 콘믹서 등의 교반용 믹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온을 위해 스팀, 온수, 전기히터 및 열풍을 이용하여 교반기 내부를 직접 가온하는 방식과 외부에서 간접적으로 가온하는 방식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보일러와 같은 별도의 열원을 사용하거나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의 배기열 등 공정 내 폐열을 회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step (S3) of stirring the mixture for mix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nd the biomass, as shown in FIG. 4,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nd the pulverized biomass, which are supplied in a quantitative manner using a heating mixer, . The heating mix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ixer for stirring such as a paddle mixer, a ribbon mixer, and a cone mixer. In addition, both heating of the inside of the stirrer and indirect heating of the outside of the stirrer can be performed by using steam, hot water, electric heater and hot air for warming. To this end, a separate heat source such as a boiler or a drying and stabilizing reactor Waste heat in the process such as exhaust heat can be recovered and used.

바이오매스는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및 리그닌 등으로 이루어진 유기물로 내부에 많은 공극을 가지는 다공성 물질로 공급피더(4, Supply Feeder)를 통해 공급된 후 가온 교반기(5. Heating Mixer)에서 액상화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은 바이오매스의 표면뿐만 아니라 이들 내부 공극으로 침투하여 균일한 침적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바이오매스 전체에 균일한 발열량 증가효과와 함께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유지성분이 고르게 코팅됨에 따라 최종 성형연료 제품을 외부에 야적보관 시 대기 중 수분이 재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iomass is an organic material composed of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etc., which is a porous material having a large number of voids therein. The biomass is supplied through a supply feeder (4) and then liquefied in a heating mixer. It permeates not only the surface of the biomass but also the internal voids, thereby achieving uniform deposition. As a result, the uniformity of the heating value of the whole biomass is increased and the oil component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 is coated uniformly, so that the moisture of the final molded fuel produc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dsorbed in the atmosphere.

일반적인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경우 상온에서 높은 점도와 고체상태를 유지하며 유동성이 확보되는 유동점(Pour Point)이 35℃이며 끓기 시작하는 끓는점(Boiling Point)는 125℃, 발화가 시작되는 인화점(Flesh Point)은 200℃의 물성을 가진다. 따라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바이오매스와의 혼합 및 침적을 위한 최소한의 유동성 확보와 혼합효율, 물성이 변하지 않는 끓는점 이하의 조건 및 공급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손실되지 않는 조건을 고려하여 온도를 40 내지 8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경우 40℃이상에서 유동성은 확보되어 액상으로 취급이 가능하지만 팜 계열 오일 부산물의 경우 50℃에서 보통 점도가 17 내지 18cst 수준으로 다소 점성이 존재하여 혼합 및 침적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액상 유동화를 고려할 때 최소한의 점성도 회피하기 위해 가온 교반기(5. Heating Mixer)를 60 내지 80℃에서 운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boiling point at which boiling starts is 125 ° C, and the flash point at which firing starts (flesh point), which starts boiling, Has a physical property of 200 ° C. Therefore, considering the minimum fluidity for mixing and immersion with the biomass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nd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mixing efficiency, the boiling point under which the physical properties are unchanged, and the loss of the supplied vegetable oil byproduct are not lost, . In the case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the liquidity can be secured at a temperature of 40 ° C or higher, and the liquid can be treated as a liquid. However, the palm-based oil by-product may have a viscosity of about 17 to 18 cst at 50 ° C, . 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operate the heating mixer at 60 to 80 ° C in order to avoid the minimum viscosity when liquid fluidization of various vegetable oil by-products is considered.

또한 요구되는 발열량의 성형연료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혼합율에 따라 상이하나 가온 교반기(5. Heating Mixer)의 교반시간은 10 내지 60분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stirring time of the heating mixer is in the range of 10 to 60 minutes, although it depends on the mixing ratio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used for producing the required heating amount of the molded fuel.

본 발명에서 분쇄된 바이오매스와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혼합물을 건조 및 안정화하는 단계(S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의 압착성형 전 요구되는 원료의 함수율을 조절하기 위해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7. Drying & Stabilizing Reactor)를 이용하며 배치식의 건조용 챔버, 오븐 및 연속식 킬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의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7. Drying & Stabilizing Reactor)에서는 상기 기술한 함수율 조절 외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에 존재하는 휘발분과 악취성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식물성 오일 부산물에 존재하는 휘발분은 성형연료로 제조될 경우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에서 장기간 야적 보관 시 자연발화의 원인이 되며 보일러에 투입된 경우 연료 착화점 이전에 휘발분이 먼저 폭발하여 보일러 내에서 충격 열부하로 작용하게 되므로 연료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제거되어야 한다. The drying and stabilizing step S4 of drying and stabilizing the mixture of the pulverized biomass and the vegetable oil by-produc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in a drying and stabilizing reactor 7 Drying & Stabilizing Reactor), batch drying chamber, oven and continuous kiln can be used. In the drying and stabilizing reactor of FIG. 4, volatile components and odor components present in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can be removed at the same time as the moisture content control described above. The volatile matter present in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is a cause of spontaneous ignition when stored for long periods in a thermal power plant or a steel mill when it is made of a molded fuel. In the case of being put into a boiler, volatile matter first explodes before a fuel ignition point, Therefore, it should be removed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fuel.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경우 오일 생산 공정 내 최종 배출되는 것으로 특유의 냄새와 함께 보관된 시간, 부패도에 따라 악취가 존재하여 보일러 등에서 연소 시 문제는 없으나 성형연료의 운반, 하역 등과 관련된 작업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어 도 4에 도시된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7. Drying & Stabilizing Reactor)를 통해서 이를 제거한다.In the case of vegetable oil by-products, it is the final discharge in the oil production process. There is no odor in the boiler due to the odor, depending on the time and the degree of decay, together with the specific odor. However, there is no problem in burning in the boiler. And is removed through the drying and stabilizing reactor shown in FIG.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술한 연료 내 수분, 휘발분 및 악취제거를 위해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7. Drying & Stabilizing Reactor)의 온도를 80 내지 120℃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끓는 점이 125℃로 가온교반을 통해 균일하게 첨착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다시 끓으면서 바이오매스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그 이상의 온도는 배제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and stabilizing reactor within the range of 80 to 120 ° C in order to remove moisture, volatiles and odor in the fuel described above. When the boiling point of the vegetable oil by- The temperature should be excluded because the uniformly adhered vegetable oil byproducts may be re-boiled and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biomass through stirring at a temperature of 0 ° C.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7. Drying & Stabilizing Reactor)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스팀, 온수, 전기히터 및 열풍을 이용하여 반응기 내부를 직접 가온하는 방식과 반응기 외부를 간접적으로 가온하는 방식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보일러(6, Boiler)를 열원을 사용하거나 공정 내 폐열을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and stabilizing reactor shown in FIG. 4, a method of directly heating the interior of the reactor using steam, hot water, an electric heater and hot air, The boiler 6 shown in FIG. 4 can be used as a heat source or waste heat in the process can be recovered and used.

또한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7. Drying & Stabilizing Reactor)로 유입된 혼합물이 함유한 수분, 휘발분 및 악취정도에 따라 상이하나 이의 제거를 위해 내부 체류시간을 30 내지 120분으로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t is preferable to operate the internal retention time for 30 to 120 minutes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depending on the moisture, volatile matter and odor contained in the mixture introduced into the drying and stabilizing reactor (7. Drying & Stabilizing Reactor).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타 바이오매스 원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셀룰로오스 함량 등의 재질상 특징으로 인해 사전 단계에서 분쇄를 통한 분말화가 어려운 경우 우선 파쇄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생산한 우드칩 또는 핀칩 등의 바이오매스 파쇄물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침적한 후 건조 및 안정화를 거쳐 내구성 및 강도가 약화된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원료를 분쇄, 분말화시켜 가온교반 및 압착성형을 통해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 2에 도시하였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wdering by pulverization is difficult at a pre-stage due to a material characteristic such as a relatively high cellulose content as compared with a raw material of the biomass, the pulverization is performed first, and a biodegradable material such as wood chip or pin- A method of producing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by pulverizing and pulverizing high-heat-generating biomass raw material which has durability and strength weakened after immersing vegetable oil by-product in mass rubble and drying and stabilizing, 2 is shown.

사전 단계에서 분쇄를 통한 바이오매스의 분말화가 어려운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오매스를 파쇄하는 단계(S11), 파쇄된 바이오매스의 이물질을 선별하고 입도를 조절하는 단계(S2), 입도조절된 바이오매스 파쇄물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첨착시키기 위한 침적단계(S12),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첨착된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원료의 수분조절 및 안정화를 위한 건조 및 안정화 단계(S4), 고열량 바이오매스 원료를 분말화시키기 위한 분쇄 단계(S1), 고열량 바이오매스 원료 분쇄물과 공정에서 회수된 톱밥분진 등과의 혼합을 위한 가온 교반 단계(S3), 연료제품 성형을 위한 압착성형 단계(S5), 최종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단계(S6),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공정에 공급하는 식물성 오일 부산물 공급단계(S7), 그리고 바이오매스 파쇄단계(S11)와 분쇄단계(S1)에서 발생된 분진을 회수하여 부원료로 재활용하기 위한 분진포집 및 재공급 단계(S8)을 포함한다.When the biomass is difficult to be pulverized by pulverization in the previous stage, the biomass is crushed (S11) as shown in FIG. 2, the foreign matter of the crushed biomass is selected and the particle size is controlled (S2) (S12) for impregnating vegetable oil byproducts to the controlled biomass lumps, a drying and stabilizing step (S4) for moisture control and stabilization of the high calorific value biomass feedstock impregnated with vegetable oil byproducts (S4), a high calorific biomass feedstock (S3) for mixing with the high-calorie biomass feedstock and the sawdust dust recovered in the process, a compression molding step (S5) for forming the fuel product, a final product (S6), a vegetable oil byproduct supplying step (S7) for supplying a vegetable oil byproduct to the process, a biomass disintegration step (S11) and a crushing step The recovery of dust from (S1) includes a dust collecting and re-supplying step (S8) for recycle to the additiv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바이오매스를 사전단계에서 분쇄, 분말화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오매스를 파쇄하는 단계(S11)가 우선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기(21. Crusher)를 이용하여 우드칩 또는 핀칩 등의 형태로 가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쇄기(21. Crusher)는 우드칩퍼(Wood Chipper) 및 조크러셔(Jaw Crushe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이오매스 원료는 상기 도 1과 4에 도시, 기술한 사전분쇄를 통한 분말화 방법의 실시 예와 동일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ifficult to crush and pulverize the biomass in advance, step (S11) of crushing the biomass as shown in FIG. 2 should be prioritized. As shown in FIG. 5, Process it in the form of a wood chip or a pin-chip using a crusher (21. Crusher). For this purpose, the crusher (21. Crush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wood chipper and a jaw crusher. The raw materials for biomas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FIGS. 1 and 4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the pulverization method through one pre-milling.

바이오매스를 파쇄한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및 입도 선별 단계(S2)를 거치게 되며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한 입도선별기(2, Particle Size Separator)를 통해 이물질 선별과 동시에 원하는 크기로 조절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입도선별기(2, Particle Size Separator)는 도 4에 도시, 기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After the biomass is crushed, a foreign matter and particle size sorting step (S2)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2. For this purpose, the particle size separator (2) shown in FIG. The particle size separator 2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파쇄된 바이오매스는 10~100cm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ushed biomass preferably has a size of about 10 to 100 cm.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원하는 크기로 입도가 선별된 바이오매스 파쇄물의 표면과 내부에 균일하게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첨착시키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적단계(S12)를 거치게 되며 이때 침적단계(S12)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 공급단계(S7)를 연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egnate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uniformly on the surface and inside of the biomass pulverized product having a desired particle size, it is subjected to an immersion step (S12) as shown in FIG. 2, ) To the vegetable oil byproduct supply step (S7).

식물성 오일 부산물은 도 5에 도시한 식물성 오일 부산물 탱크(3, Vegetable Oil Generation By-product Tank)에서 공급피더(4, Supply Feeder)를 통해서 침적반응기(22. Sedimentation Reactor) 내부로 공급되어 충진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공급피더(4, Supply Feeder)는 도 4에서의 실시 예와 동일하게 펌프 또는 노즐분사에 의한 압송식 및 기계식 컨베이어를 활용한 이송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are fed into the Sedimentation Reactor through the feeder 4 in the Vegetable Oil Generation By-product Tank 3 shown in FIG.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feeder 4 (feed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ress-feed type using a pump or a nozzle injection, or a feed type using a mechanical conveyor.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침적반응기(22. Sedimentation Reactor)는 반응기 내부의 식물성 오일 부산물에 우드칩 또는 핀칩 등을 침적시켜 바이오매스 파쇄물 표면과 내부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첨착시키며 이 때 첨착 요구량 외 잉여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최대한 제거될 수 있도록 그물망 벨트 컨베이어(Mesh Belt Conveyer), 그물망 스크류 컨베이어(Mesh Screw Conveyer) 및 그물망 상자(Mesh Cage) 등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22. Sedimentation React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in which a wood chip or a pin chip is immersed in a vegetable oil by-product in a reactor to impregnate a vegetable oil by-product on the surface and inside of the biomass rupture, Mesh Belt Conveyer, Mesh Screw Conveyer and Mesh Cage etc. can be installed inside so that oil byproduct can be removed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에서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는 저위 발열량 기준 4,000 내지 6,000 kcal/kg가 요구되므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첨착량을 총 성형연료량의 1 내지 3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igh calorific value biomass-forming fuel is required to be 4,000 to 6,000 kcal / kg on the basis of the low calorific value,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 to be added is 1 to 30% by weight of the total formed fuel amount.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저위 발열량이 6,000 kcal/kg을 초과하는 경우 석탄보다 높은 발열량으로 인해 기존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의 보일러 내 열부하 균형에 영향을 초래하여 계통운전에 변화를 주어 안정적인 운전에 악영향을 준다.If the low calorific value of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exceeds 6,000 kcal / kg, it will affect the balance of heat load in boilers of existing thermal power plants and steel mills due to higher calorific value than coal, give.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첨착량을 총 성형연료량의 30중량% 이하로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 to be added may be 30% by weight or less of the total formed fuel amount.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첨착량을 조절하기 위해 침적반응기(22. Sedimentation Reactor) 내부온도와 침적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dimentation reactor (22) and the immersion time can be controlled to adjust the amount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 to be added.

본 발명에서 침적반응기(22. Sedimentation Reactor)의 내부온도는 40 내지 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유동점(Pour Point), 끓는점(Boiling Point) 및 인화점(Flesh Point) 등은 도 4의 가온교반기(5, Heating Mixer)에서 기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나 도 4의 경우 바이오매스 분말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침적반응기(22. Sedimentation Reactor)는 입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큰 바이오매스 파쇄물을 사용하므로 원활한 첨착반응을 위해 온도를 40 내지 100℃로 다소 높게 설정하였다. 또한 침적단계에서 바이오매스 파쇄물의 내부 공극에서 배출된 수분이 식물성 오일 부산물과의 비중차이로 반응기 하부에 침강되어 존재하다가 물의 끓는점(Boiling Point)인 100℃ 이상의 조건에서는 물이 끓게 되어 반응기 상부로 부상하여 바이오매스의 침적, 식물성 오일 부산물과의 원활한 첨착반응 및 운전 중 유수분리 등에 의한 수분제거를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의 해결을 위해 침적반응기(22. Sedimentation Reactor)의 내부온도는 40 내지 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dimentation reactor (22 Sedimentation Reactor) is preferably 40 to 100 캜. The pour point, boiling point and flesh point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heating mixer 5 of FIG. 4, but in FIG. 4, the biomass powder 22. Sedimentation Reactor uses a biomass pulverizer having a relatively large particle size, so that the temperature is set to a relatively high level of 40 to 100 ° C for a smooth impregnation reaction. In addition, the water released from the internal pore of the biomass lumps in the dipping stage is precipit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acto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pecific gravity with the vegetable oil by-product. When the boiling point of the water is 100 ° C or hig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position of biomass, the smooth adhesion reaction with vegetable oil by-products, and the removal of water by oil-water separation during operation. Therefo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dimentation reactor (22) is preferably set to 40 to 100 캜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에서 1 내지 30중량%의 첨착율을 확보하기 위해 침적반응기(22. Sedimentation Reactor) 내에서의 바이오매스 파쇄물 침적시간을 1 내지 60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적에 적합한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우드칩을 대상으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온도를 100℃로 고정하고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대 80분까지 침적시간을 변화시키며 수분이 모두 제거되도록 충분한 건조를 실시한 후 첨착율과 저위발열량(LHV)를 측정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mmersion time of the biomass lumps in the sedimentation reactor is 1 to 60 minutes in order to secure the impregnation rate of 1 to 30 wt%. In order to confirm the suitable time for the immersion,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 was fixed at 100 ° C. to the wood chip, and the immersion time was changed to a maximum of 80 minutes as shown in Table 1, (LHV) were measured.

[표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침적 후 최초 1분의 경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대부분은 우드칩 표면에만 첨착되고 내부 공극으로 유입되지 않아 첨착량이 약 6중량%에 불과하나 5분이 경과하면서 급격히 우드칩 공극내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유입되면서 첨착량이 20.69중량%로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또한 20분을 경과하면서 46.07중량%의 첨착량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60분을 경고하면서 첨착량은 큰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우드칩의 저위발열량을 분석한 결과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침적시간 5분을 경과하면서 4.461 kcal/kg을, 20분을 경과하면서 6,110 kcal/kg을 가지며 60분 이후부터 약 7,000 kcal/kg에서 침적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shown in Table 1, in the first minute after immersion, most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were only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wood chip and did not flow into the internal cavity, so that the impregnation amount was only about 6% by weight. However, As the vegetable oil by-product flows into the pores, the amount of impregnation increases sharply to 20.69 wt%.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adhesion amount of 46.07 wt% is observed over 20 minutes, and the adhesion amount is not greatly changed while warning for 60 minutes. As shown in Table 1, it was found that 4.461 kcal / kg was passed at 5 minutes after the immersion time, 6,110 kcal / kg was passed at 20 minutes, and about 7,000 kcal / kg after 60 minutes In comparison with the immersion time.

따라서 침적에 소요되는 시간은 표면과 공극내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첨착되는 1분 내지 60분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석탄대체가 가능하도록 유, 무연탄과 유사한 수준의 저위발열량 확보가 가능한 5 내지 20분으로 침적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the dipping is 1 to 60 minutes in which the vegetable oil byproduct is adhered to the surface and the pore, preferably 5 to 20 minutes in order to secure a low calorific value similar to oil and anthracite so that coal can be replaced It is more preferable to maintain the immersion time.

침적시간에 따른 첨착율 및 저위발열량 변화Changes in the shear rate and the lower calorific value with the immersion time 침적시간
(분)
Immersion time
(minute)
1One 55 1010 1515 2020 2525 3030 3535 4040
첨착율
(중량%)
Shear rate
(weight%)
9.04 9.04 20.69 20.69 33.1333.13 39.7739.77 46.0746.07 47.7047.70 49.5849.58 52.17 52.17 52.94 52.94
저위발열량
(kcal/kg)
Low calorific value
(kcal / kg)
3,996 3,996 4,461 4,461 5,371 5,371 5,950 5,950 6,110 6,110 6,2896,289 6,310 6,310 6,458 6,458 6,602 6,602
침적시간
(분)
Immersion time
(minute)
4545 5050 5555 6060 6565 7070 7575 8080 비고Remarks
첨착율
(중량%)
Shear rate
(weight%)
54.58 54.58 55.19 55.19 57.56 57.56 58.87 58.87 60.43 60.43 60.53 60.53 61.69 61.69 61.96 61.96
저위발열량
(kcal/kg)
Low calorific value
(kcal / kg)
6,795 6,795 6,830 6,830 6,865 6,865 6,940 6,940 7,0127,012 7.1097.109 7,1187,118 7,118 7,118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첨착된 바이오매스 파쇄물은 제품 압착성형 전 요구되는 함수율 조절, 휘발분 및 악취제거 등을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7. Drying & Stabilizing Reactor)를 이용하며 상세한 내용은 도 4에서 도시, 기술한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7. Drying & Stabilizing Reactor)의 실시 예와 동일하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mass lumps impregnated with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are dried and stabilized as shown in FIG. 5 for controlling moisture content, volatilization and odor removal required before product compression molding. 7. Drying and Stabilizing Reactor ), And the details thereof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drying and stabilizing reactor shown in FIG. 4 (7. Drying & Stabilizing Reactor).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건조 및 안정화가 이루어진 바이오매스는 분말화를 위해 분쇄단계(S1)를 거치게 되며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분쇄기(1, Mill)을 이용하며 상세한 내용은 도 4에 도시, 기술한 분쇄기(1, Mill)의 실시 예와 동일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ed and stabilized biomass is subjected to a grinding step (S1) for pulverization. For this purpose, the grinder (1, Mill) shown in FIG. 5 is used.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the crusher (1, Mill) described.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첨착된 바이오매스 분쇄물을 가온 교반하는 단계(S3)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온 교반기 (5. Heating Mixer)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시키며 필요한 경우 성형 전 원료의 함수율 및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함량 등의 재조정을 위해 톱밥 등의 일반 바이오매스 분말을 추가하여 혼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온 교반기 (5. Heating Mixer)는 도 4에 도시하여 기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5) Heating Mixer as shown in FIG. 5 in a step (S3) of stirring the biomass pulverized plant oil byproducts impregnated with water. If necessary, water content and vegetable General biomass powder such as sawdust may be added and mixed for re-adjustment of the content of oil byproducts and the like. 5. The heating mix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본 발명에서는 바이오매스 연료를 펠렛, 브리켓 등의 형상으로 성형 시 강도유지를 위한 바인더 및 발열량 향상을 위한 첨가제의 목적으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활용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vegetable oil by-product is utilized as described above for the purpose of a binder for maintaining the strength when the biomass fuel is formed into pellets or briquettes and an additive for improving the heating valu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도 1과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전 분쇄를 실시한 경우에는 건조 및 안정화, 사전 분쇄가 어려워 파쇄를 실시한 경우에는 분쇄를 통해 분말화 시킨 바이오매스와 식물성 오일 부산물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품화하기 위해 도 1과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성형 단계(S5)를 거치게 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성형 단계(S5)는 압착부(D1), 열차단부(D2) 및 성형유지부(D3)로 구분하여 구성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when the pre-milling is carried out, the mixture of the biomass and the vegetable oil by-product, which has been pulverized by pulverization, is formed by drying and stabilizing, As shown in FIG. 3, the compression molding step S5 includes a compression bonding part D1, a heat conductive end part D2, and a molding holding part S5, as shown in FIGS. 1 and 2, (D3).

압착성형 단계(S5) 중 압착부(D1)는 성형을 위한 압력 및 외력을 견딜 수 있도록 고강도의 금속성 금형을 제작하여 사용하며 요구되는 성형연료의 규격에 따라 투입구와 배출구의 규격을 조정하여 제작하며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 등 보일러 투입조건을 고려할 때 입경 기준 6 내지 10mm의 범위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부의 경우 투입된 바이오매스 내 리그닌과 바인더 및 발열량 보조제인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용융, 압축을 위해 온도를 80 내지 120℃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온도를 압력과 마찰열에 의해 발생, 유지될 수 있도록 필요한 경우 금형의 투입구와 배출구의 규격이 다른 테이퍼 가공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테이퍼 가공을 포함한 압착성형의 경우 투입되는 바이오매스의 종류에 따라 마찰열이 상이하며 전분, 아교 등의 바인더 내 리그닌에 의해 융점이 높아져 원활한 성형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성형을 위해 압출부하를 증가시켜 마찰열을 과도하게 발생시키는 경우 성형장비의 수명단축과 화재위험이 증가하고 경우에 따라 배출구가 폐색되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나 본 발명의 경우 리그닌 대비 융점이 낮아 표면마찰을 최소화 시키면서 바인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사용함에 따라 상기 기술한 성형불량, 장비수명 단축, 화재위험 및 배출구폐색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During the compression molding step S5, the compression bonding part D1 is manufactured by using a high-strength metal mold so as to withstand the pressure for forming and external force, and adjusting the sizes of the inlet and the outlet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required molding fuel It is preferable to manufacture the furnace in the range of 6 to 10 mm in particle diameter in consideration of the input conditions of the boiler such as the thermal power plant and the steel mill. In the case of the pressed part,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 the range of 80 to 120 ° C for melting and compressing the lignin, the binder and the vegetative oil by-product in the biomass, which are added as biomass, and the temperature can be generated and maintained by the pressure and the frictional heat. It is possible to use a tapering process in which the standard of the inje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mol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case of compression molding including general tapering, the frictional heat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biomass to be injected and the melting point is increased due to the lignin in the binder such as starch and glue, so that the molding is not smoothly performed. In the case of over-generation, various problems such as shortening the life of the molding equipment and the risk of fire are increased and occasionally the discharge port is clos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elting point of lignin is low, By using the by-product of the oil, problems such as the defective molding, the shortening of the life of the equipment, the fire risk, and the clogging of the discharge port can be solved.

압착성형 단계(S5) 중 열차단부(D2)는 비전열성의 고강도 MC 나일론, 실리콘 및 우레탄 등의 소재로 가공하며 성형된 외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압착부(D1) 금형 배출구경과 동일한 규격으로 제작하여 압착부(D1)에서 발생한 마찰열이 성형유지부(D3)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도 3에 도시된 냉각기(D4)의 냉각부하를 절감하여 준다.During the compression molding step S5, the end portion D2 of the heat is machined from non-heat-resistant high-strength MC nylon, silicone and urethane, and has the same size as the mold discharge port of the compression portion D1 so that the molded outer shape can be maintained The frictional heat generated in the pressed portion D1 is not transmitted to the forming and holding portion D3, thereby reducing the cooling load of the cooler D4 shown in FIG.

압착성형 단계(S5) 중 성형유지부(D3)는 압착부(D1)과 열차단부(D2)를 통과한 성형연료의 외형이 유지되고 제품강도가 신속하게 유지, 강화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냉각기(D4)와 냉각효율이 좋은 금속성의 소재로 가공된 금형을 사용하며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품의 성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압착부(D1) 금형 토출구경과 동일한 규격으로 제작한다. 3,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molded fuel passing through the compression bonding portion D1 and the heat-receiving end portion D2 and to quickly maintain and strengthen the product strength during the compression molding step S5, (D4) and a mold made of a metallic material having a good cooling efficiency, and is manufactur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mold discharging opening of the crimping portion (D1) so that the mold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maintained as described above.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포함한 유지성분의 경우 바이오매스 등 유기물과 혼합된 상태에서 온도와 압력조건이 고온, 고압에서 저온, 저압으로 변경되는 경우 유기물의 세포벽이 확대되어 강도가 약해지고 부피는 커지는 팝핑현상이 발생하여 유지성분을 첨가제로 사용하는 성형연료 생산공정에서 제품강도 저하의 요인으로 작용하나 본 발명의 경우 압력이 유지되는 동일한 배출구경 내에서 급속히 온도를 저하시켜 팝핑현상을 방지하고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상온 고형화 현상을 촉진시킴으로써 제품강도 향상을 위한 바인더로써의 역할을 배가하였다. In the case of the preservative component including vegetable oil by-products, when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itions are changed from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o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in the state of mixing with organic matter such as biomass, the cell wall of the organic matter is enlarged and the strength is weakene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is rapidly lowered within the same discharge port where the pressure is maintained, thereby preventing the popping phenomenon, and solidifying the plant oil byproduct at room temperature Thereby enhancing the effect of the binder as a binder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product.

성형유지부(D3)의 원활한 기능수행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기(D4)를 사용하여 성형유지부(D3)의 온도를 0 내지 40℃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사용되는 냉각기(D4)는 에틸렌글리콜, 공정수 등을 냉매로 이용한 수냉식과 공기를 냉매로 이용한 공랭식 냉각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성형유지부(D3)는 상기 냉각방식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외부보냉보온 및 이중냉각 자켓 등을 사용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molding holding part D3 in the range of 0 to 40 DEG C by using the cooler D4 as shown in FIG. 3 for the smooth functioning of the molding holding part D3. The cooler D4 may be a water-cooled type using ethylene glycol, process water or the like as a coolant, or an air-cooled cooler using air as a coolant.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cooling system, the molding holding unit D3 may use an external cold insulator and a double cooling jacket.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위해 압착성형 단계(S5) 중 도 3의 압착부(D1), 열차단부(D2), 성형유지부(D3) 및 냉각기(D4)를 연계하여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성형기(8. Assembled Pressing Molder)를 통해서 요구에 따라 펠렛, 브리켓 및 블록 등의 형상으로 성형연료를 생산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compression molding step S5, the compression part D1, the end part D2, the molding part D3 and the cooler D4 of FIG. Molded fuel can be produced in the form of pellets, briquettes, blocks, etc., as required, through a press-molding machine (8. Assembling Pressing Molder) as shown in Fig.

바이오매스 파쇄(S11) 및 분쇄단계(S1)에서 발생된 바이오매스 분진은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포집 및 재공급 단계(S8)를 통해 외부에서 추가로 공급되는 톱밥 등의 부원료를 대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와 5에 도시된 백필터(10, Bag Filter)와 재공급피더(11, Re-supply Feeder)를 통해 가온교반기(5. Heating Mixer)에 공급된 분진은 성형 시 리그닌 원료, 함수율 및 식물성 오일 함량 재조정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biomass dust generated in the biomass crushing step S11 and the crushing step S1 may be treated as a raw material such as sawdust which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dust collecting and re-supplying step S8 as shown in FIGS. Can be replaced. To this end, the dust supplied to the heating mixer through the bag filter 10 and the Re-supply feeder 11 shown in FIGS. 4 and 5 was mixed with the lignin raw material, water content And rebalance the vegetable oil content.

바이오매스와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이용하여 도 1과 2에 도시된 각각의 모든 단계를 거쳐 최종 생산된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는 요구되는 발열량에 따라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함량은 성형연료 총량 대비 1 내지 30중량%, 저위 발열량 기준 4,000 내지 6,000 kcal/kg의 범위에서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수율은 성형연료 총량기준 1 내지 1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iomass and biomass-forming fuel for the thermal power plant and the steel mill produced through the respective steps shown in FIGS. 1 and 2 by using the biomass and vegetable oil by-products, the content of the vegetable oil by- 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and 4,000 to 6,000 kcal / kg based on the low calorific value, and the water content is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molded fuel.

성형연료의 함수율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품의 강도유지에 문제가 있어 장기 보관시 성형된 연료가 분말로 재해체되며 과도한 수분으로 인해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의 보일러 내에서 연소성에 영향을 주어 보일러의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If the water content of the molded fuel exceeds 10%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in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product, so that the formed fuel is disintegrated into powder during the long-term storage and the excessive moisture affects the combustibility in the boiler of the thermal power plant and the steel boiler,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함수율이 성형연료 총량기준 10중량%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content may be 10 wt% or less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molded fuel.

최종 생산된 제품은 도 1과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단계(S6)를 거치게 되며 도 4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기(9, Packing Utility)를 사용하여 반출 및 납품을 실시한다.The finished product is subjected to a packing step S6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is carried out and delivered by using a packing machine 9 as shown in FIGS.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분쇄기 2. 입도선별기
3. 식물성 오일 부산물 탱크 4. 공급피더
5. 가온교반기 6. 보일러
7. 건조안정화 반응기 8. 압착성형기
9. 제품포장지 10. 백필터
11. 재공급피더 21. 파쇄기
22. 침적반응기
1. Grinder 2. Particle size selector
3. Vegetable oil byproduct tanks 4. Feeder feeder
5. Heating stirrer 6. Boiler
7. Dry Stabilization Reactor 8. Compression Molding Machine
9. Product packaging 10. Bag filter
11. Re-feeder 21. Crusher
22. Dipping reactor

Claims (30)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단계 후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공급하는 식물성 오일 부산물 공급단계,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 공급단계 후에 분쇄된 상기 바이오매스와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가온교반하는 단계,
상기 가온교반하는 단계 후에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과 상기 바이오매스를 건조 및 안정화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건조 및 안정화하는 단계 후에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과 상기 바이오매스를 압착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Pulverizing the biomass,
Supplying a vegetable oil by-product to supply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fter the step of crushing the biomass,
Stirring the pulverized biomass and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fter the step of supply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Drying and stabiliz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nd the biomass after the warm stirring step, and
Compressing and mold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nd the biomass after the drying and stabilizing step,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a steel mi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단계는
상기 바이오 매스를 가루 또는 분말 형태로 제조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ulverizing the biomass
Wherein the biomass is produced in powder or powder for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단계 후에
분쇄된 상기 바이오매스의 일정한 크기 이하의 입자를 선별하고 동시에 이물질을 선별하는 입도 및 이물질 선별단계
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tep of pulverizing the biomass
A particle size selection step of selecting particle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size of the pulverized biomass and simultaneously selecting a foreign subst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a steel mi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 공급단계 후에
분쇄 시 발생하는 분진을 회수하여 부원료로 활용하기 위한 분진 포집 및 재공급단계
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vegetable oil byproduct supply step
Collection and re-supply of dust to recover dust from grinding and use it as an additiv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a steel mill.
바이오매스를 파쇄하는 단계,
상기 바이오매스를 파쇄하는 단계 후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공급하는 식물성 오일 부산물 공급단계,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 공급단계 후에 상기 바이오매스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 첨착을 위한 침적단계,
상기 침적단계 후에 침적 후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과 상기 바이오매스를 건조 및 안정화하는 단계,
상기 건조 및 안정화하는 단계 후에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첨착된 상기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분쇄단계,
상기 분쇄단계 후에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첨착된 바이오매스를 가온교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온교반하는 단계 후에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과 상기 바이오매스를 압착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Crushing the biomass,
Supplying a vegetable oil by-product to supply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fter the step of crushing the biomass,
A deposition step for impregnating the biomass with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fter the step of supply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Drying and stabiliz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nd the biomass after immersion,
A pulverizing step of pulverizing the biomass impregnated with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fter the drying and stabilizing step,
Stirring the biomass impregnated with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fter the pulverization step, and
Wherein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nd the biomass are compression-molded after the heating and stirring step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a steel mil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를 파쇄하는 단계는
상기 바이오매스를 일정한 크기의 우드칩 또는 핀칩으로 제조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breaking the biomass
Wherein the biomass is produced in a wood chip or a fin chip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a steel mil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를 파쇄하는 단계 후에
파쇄된 상기 바이오매스의 일정한 크기의 우드칩 또는 핀칩을 선별하고 동시에 이물질을 선별하는 입도 및 이물질 선별단계
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5,
After the step of breaking the biomass
A particle size and foreign matter selecting step of selecting a wood chip or a fin chip of a predetermined size of the crushed biomass and simultaneously selecting foreign matt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a steel mil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쇄단계 후에
파쇄 및 분쇄 시 발생하는 분진을 회수하여 부원료로 활용하기 위한 분진 포집 및 재공급단계
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5,
After the grinding step
Dust collection and re-supply step to recover dust from crushing and crushing and to utilize as dus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a steel mil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온교반하는 단계에서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침적된 바이오매스와 비침적된 바이오매스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heating and stirring step
A mixing step of mixing the biomass with the vegetable oil byproduct immersed therein and the non-nitrified biomas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a steel mil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 첨착을 위한 침적단계에서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온도가 40 내지 100℃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deposition step for impregnat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into the biomass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 is in the range of 40 to 100 占 폚.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 첨착을 위한 침적단계에서
침적시간이 1 내지 60분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deposition step for impregnat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into the biomass
Wherein the immersion time is in the range of 1 to 60 minutes.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가온교반하는 단계에서
가온교반기의 내부 온도가 40 내지 80℃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In the heating and stirring step
Where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eating stirrer is in the range of 40 to 80 캜,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a steel mill.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가온교반하는 단계에서 교반시간이 10 내지 60분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the agitation time is in the range of 10 to 60 minutes in the step of warming and stirring,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high calorific value biomass-forming fuel for a steel mill and a steel mill.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안정화하는 단계에서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의 내부 온도가 80 내지 120℃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In the drying and stabilizing step
Where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rying and stabilizing reactor is in the range of 80 to 120 캜.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안정화하는 단계에서
건조 및 안정화하는 시간이 30 내지 120분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In the drying and stabilizing step
Wherein the drying and stabilizing time is in the range of 30 to 120 minutes.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압착성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바이오매스와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압착하는 단계,
상기 압착하는 단계 후에 급속 냉각을 통해 모양을 유지시키고 동시에 강도를 향상시키는 성형유지단계
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In the compression molding step
Pressing the biomass and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 molding and holding step of maintaining the shape through rapid cooling after the pressing step and simultaneously improving the strength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a steel mill.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압착하는 단계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이
상기 성형유지단계에 있는 성형 연료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차단 단계
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frictional heat generated in the pressing step
A step of blocking the transfer of the molding fuel in the molding holding step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a steel mill.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압착하는 단계는
압착 시 온도가 80 내지 120℃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pressing step
Wherein the temperature during compression is in the range of 80 to 120 占 폚.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성형유지단계는
온도를 0 내지 40℃의 범위로 유지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molding holding step
Wherein the temperature is maintained in the range of 0 to 40 占 폚.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은
성형을 위한 바인더와 발열량 보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The vegetable oil by-
Wherein the binder is a binder for forming and a heat generating amount auxiliary agent. The method for producing a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a thermal power plant and a steel mill.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은
저위발열량 기준 4,500 내지 9,900 kcal/kg의 범위의 것을 사용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The vegetable oil by-
Wherein the low calorific value is in the range of 4,500 to 9,900 kcal / kg.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은
팜 슬러지, PAO(Palm Acid Oil), 코코넛 오일 부산물, 대두박, 올리브 오일 부산물, 카놀라 오일 부산물 또는 커피 부산물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The vegetable oil by-
A method for producing a high calorific value biomass-forming fuel for a thermal power plant and a steel plant,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palm sludge, PAO (Palm Acid Oil), coconut oil byproduct, soybean meal, olive oil byproduct, canola oil byproduct or coffee byproduct.
청구항 1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A high-calorific biomass-forming fuel for a thermal power plant and a steel mill produc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calorific biomass-forming fuel for a thermal power plant and a steel pla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2.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성형연료는
상기 식물성 오일 부산물의 함량이 30중량% 이하로 이루어지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molding fuel
A high-calorific biomass-forming fuel for a thermal power plant and a steel mill having a content of the vegetable oil by-product of 30 wt% or less.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성형연료는
수분함량이 10중량% 이하로 이루어지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molding fuel
A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a thermal power plant and a steel mill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10 wt% or less.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성형연료는
저위발열량 기준 4,000 내지 6,000kcal/kg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molding fuel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thermal power plants and steel mills with a low calorific value in the range of 4,000 to 6,000 kcal / kg.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바이오매스의 입도를 선별하는 입도선별기,
상기 입도선별기에서 선별된 바이오매스와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공급받아 혼합하는 가온교반기,
상기 가온교반기에서 바이오매스에 혼합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건조 및 안정화시키는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 그리고
상기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에서 건조 및 안정화되어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압착성형하는 압착성형기,
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장치.
A crusher for crushing biomass,
A particle size separator for selecting the particle size of the pulverized biomass in the pulverizer,
A heating stirrer for feeding and mixing the biomass and the vegetable oil byproduct selected from the particle size sorter,
A drying and stabilizing reactor for drying and stabiliz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mixed in the biomass in the heating stirrer, and
A compression molding machine for drying and stabilizing the biomass contain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in the drying and stabilization reactor,
And a device for manufacturing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a steel mill.
바이오매스를 파쇄하는 파쇄기,
상기 파쇄기에서 파쇄된 우드칩 또는 핀칩 형태의 바이오매스 입도를 선별하는 입도선별기,
상기 입도선별기에서 선별된 바이오매스에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첨착시키는 침적반응기,
상기 침적반응기에서 바이오매스에 첨착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을 건조 및 안정화시키는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
상기 건조 및 안정화 반응기에서 건조 및 안정화되어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되어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혼합시키는 가온교반기, 그리고
상기 가온교반기에서 혼합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압착성형하는 압착성형기
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장치.
A crusher for crushing biomass,
A particle size separator for sorting wood chips or finch-shaped biomass particles crashed in the crusher,
A sedimentation reactor for impregnating the biomass selected from the particle sorter with vegetable oil byproducts,
A drying and stabilizing reactor for drying and stabiliz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impregnated into the biomass in the immersion reactor,
A pulverizer for drying and stabilizing the biomass contain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in the drying and stabilization reactor,
A heating stirrer in which the biomass pulverized in the pulverizer is mixed with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nd
A compression molding machine for compressing and molding the biomass contain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s mixed in the heating stirrer
And a device for manufacturing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a steel mill.
청구항 27 또는 28에 있어서,
상기 압착성형기는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압착하는 압착부,
상기 압착부를 통과한 식물성 오일 부산물이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급속냉각시켜 모양을 유지하고 강도를 증대시키는 성형유지부
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장치.
28. The method of claim 27 or 28,
The press-
A squeezing unit for squeezing the biomass contain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A molding holding unit for rapidly cooling the biomass including the vegetable oil byproduct passing through the pressing unit to maintain the shape and increase the strength,
And a device for manufacturing high-calorie biomass-forming fuel for a steel mill.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압착성형기는 열차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차단부는
상기 압착부와 성형유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압착부에서 발생한 마찰열이 상기 성형유지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용 고발열량 바이오매스 성형연료의 제조장치.
29. 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press-mold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train end,
The train end
Wherein the frictional heat generated in the crushing unit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forming and holding unit.
KR1020160135304A 2016-01-27 2016-10-18 Biomass molded fuel with high calorific valu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electric power plant and steelworks using vegetable Oil generation by-product KR10193115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9892 2016-01-27
KR1020160009892 2016-01-27
KR1020160064356 2016-05-25
KR20160064356 2016-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748A true KR20170089748A (en) 2017-08-04
KR101931159B1 KR101931159B1 (en) 2018-12-20

Family

ID=59654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304A KR101931159B1 (en) 2016-01-27 2016-10-18 Biomass molded fuel with high calorific valu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electric power plant and steelworks using vegetable Oil generation by-pro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15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243A (en) * 2018-07-03 2020-01-13 지테크이엔지 주식회사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iomass molded fuel with high calorific value for thermoelectric power plant and steelworks using vegetable oil generation by-product
WO2021045320A1 (en) * 2019-09-06 2021-03-11 에코에너지원(주) Odor-reduced high-calorific wood-based solid fuel
KR20220099624A (en) * 2021-01-07 2022-07-14 주식회사 대윤 High-efficiency solid fuel containing recycled coffee waste and half-carbonized rice husk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785B1 (en) 2009-07-09 2011-12-26 손민일 Method for manufacturing solid fuel
KR101442769B1 (en) 2014-05-23 2014-09-23 남문식 Fuel pellet for powdered coal boiler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by using palm oil byproduc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243A (en) * 2018-07-03 2020-01-13 지테크이엔지 주식회사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iomass molded fuel with high calorific value for thermoelectric power plant and steelworks using vegetable oil generation by-product
WO2021045320A1 (en) * 2019-09-06 2021-03-11 에코에너지원(주) Odor-reduced high-calorific wood-based solid fuel
KR20220099624A (en) * 2021-01-07 2022-07-14 주식회사 대윤 High-efficiency solid fuel containing recycled coffee waste and half-carbonized rice husk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159B1 (en)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73867A1 (en) Post torrefaction biomass pelletization
EP3184614B1 (en) Process for biomass torrefaction
KR101539224B1 (en) Method for preparing biomass solid refuse fuel
EP2563885A1 (en) Torrefaction process
KR101209465B1 (en) Modification of coal using palm residue
JP6407506B2 (en) Solid fuel production method and solid fuel
KR101931159B1 (en) Biomass molded fuel with high calorific valu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electric power plant and steelworks using vegetable Oil generation by-product
US10066179B2 (en) High energy content densified lignocellulose biomass
EP2589648B1 (en) Pelletization of torrified biomass
KR101326223B1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coal briquet using waste of efb(empty fruit bunch)
JP6430691B2 (en) Method for producing solid fuel and solid fuel
KR101745409B1 (en) Fuel method combines a low-calorie coal washability pumice and different materials
KR20140068691A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semi-carbonized biomass pulverized fuel and pulverized fuel made therefrom
JP2011140610A (en)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fuel
WO1979000988A1 (en) Fuel pellets
WO2019131983A1 (en) Method for producing solid fuel
JP4338747B2 (en)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system of wood pellet fuel
KR20170072786A (en) Fuel method combines a low-calorie coal washability pumice and different materials
KR101317772B1 (en) Modification method for low rank coal
KR20200069865A (en) Biomass molded fuel with high calorific valu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electric power plant using vegetable Oil generation by-product and high efficiency compression molding technique
WO2016195321A1 (en) High calorific biomass molded fuel for thermoelectric power plants and steel mills using vegetable oil byproduct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691508B2 (en) Solid fuel manufacturing method and solid fuel
JP2004263279A (en) Method for operating blast furnace by blowing waste wood
Venkatachalam et al. Torrefaction and Pelletization of Lignocellulosic Biomass for Energy Intensified Fuel Substitute
JP2024025561A (en) Method for producing co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