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540A - 래칫 렌치 - Google Patents

래칫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540A
KR20170089540A KR1020160009883A KR20160009883A KR20170089540A KR 20170089540 A KR20170089540 A KR 20170089540A KR 1020160009883 A KR1020160009883 A KR 1020160009883A KR 20160009883 A KR20160009883 A KR 20160009883A KR 20170089540 A KR20170089540 A KR 20170089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wheel
housing
gear
ratchet
pa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기
김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Priority to KR1020160009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9540A/ko
Publication of KR20170089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 B25B13/461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 B25B13/468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with possibility of locking the ratchet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25B21/004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of the ratch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8/00Portable power-driven joining or separation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래칫 렌치는, 원형 공간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공간부를 향하는 내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홈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래칫휠 기어를 구비하는 래칫휠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상기 래칫휠 기어와 외접 맞물림하는 박스기어를 구비하는 박스기어부;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래칫휠 기어의 이와 이 사이에 끼워져 래칫휠부의 역전을 방지하는 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외부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래칫 휠의 소켓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렌치의 무게와 관계없이 빠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철근 연결구처럼 작업 대상물이 무거운 물체라 하더라도 용이하게 회전시켜 체결 또는 해체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래칫 렌치{ratchet wrench}
본 발명은 볼트나 너트 또는 철근 연결구 등을 회전시켜 체결하는 래칫 렌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을 회전시킬 때 인력뿐 아니라 외부 동력을 이용하여서도 소켓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철근 연결구처럼 중량이 큰 작업 대상물의 체결 또는 해체 작업이 용이해지는 래칫 렌치에 관한 것이다.
렌치는 볼트의 체결을 위해 사용되는 기구로서, 헤드 부분이 개방된 구조의 오픈엔드 렌치(open end wrench)와 헤드부가 개방되지 않고 원형의 홈 내에 작업면이 형성되는 소켓(socket)형태의 렌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중 소켓형 렌치는 헤드 내에 볼트머리 또는 너트 전체가 삽입되므로 접촉면이 오픈엔드 렌치에 비하여 크고, 힘이 작용할 때 작업면의 변형이 방지되는 등의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렌치 작업은 작업각을 교체해 가면서 조임이나 풀림작업을 수행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렌치를 볼트머리 또는 너트에서 뺐다 끼우는 작업을 반복하여야하는데, 작업면이 닫힌 구조를 갖는 소켓형 렌치는 이 작업이 불편하므로 오픈엔드 렌치에 비하여 작업성이 뒤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소켓형 렌치의 헤드 구조에 래칫 구성을 채용하여 볼트나 너트를 풀거나 조일 때 소켓이 한쪽방향으로만 회전되고, 반대방향으로는 소켓 부분이 헛돌도록 함으로써, 렌치를 볼트머리 또는 너트에서 뺐다 끼우는 작업을 반복하는 불편을 해소하는 래칫 렌치가 개발되었다.
특히 상기 래칫 렌치의 종류 중에는 소켓이 형성되는 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개폐식 래칫 렌치가 있다.
개폐식 래칫 렌치는 머리나 너트를 상방에서 끼워서 작업할 수 없는 협소한 장소 또는 좁은 틈새의 작업 시에 사용이 용이하다. 또 너트가 수직으로 길게 세워지는 봉의 중단에 위치하는 경우, 나아가 상기 너트가 상단과 하단이 천장과 바닥에 결합된 봉의 중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25758호의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철근 연결구를 렌치로 체결할 때, 개폐식 래칫 렌치를 사용하면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개폐식 래칫 렌치는 일본등록특허 제4,397,922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0-0027478호 등에 잘 나타나 있다.
상기 종래의 개폐식 래칫 렌치는, 소켓이 형성된 헤드부 쪽이 고정몸체와 가동몸체로 나눠져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가동몸체를 오픈시켜 볼트나 너트 같은 작업 대상물을 소켓부에 삽입한 후, 가동몸체를 닫아 고정몸체에 고정시키며,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핸들을 잡고 좌우로 왕복시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핸들 주변에 방해물이 있으면 핸들을 좌우로 왕복시키기 곤란하여 제대로 작업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작업 대상물의 직경이 커지면 사용하는 래칫 렌치의 크기도 따라서 커져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작업자가 조작하는 래칫 렌치의 하중 때문에 쉽게 피로해지므로 작업을 오랜 시간 진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은 핸들을 좌우로 왕복시키는 작업이 완전히 사람의 힘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태생적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개폐식 래칫 렌치의 문제점들 중에 일부를 해소하고 있는 종래기술들은 존재한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특개평6-23676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1994-0000218호에 개시된 래칫 렌치들은 핸들을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지 않고도 소켓부분을 회전시킬 수 있어 핸들 주변에 방해물이 있어도 작업이 가능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일본공개특허 특개평6-23676호는 웜기어(worm gear)가 래칫 역할을 하여 소켓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 렌치는 중앙에 소켓부가 형성된 웜 휠(worm wheel)이 분할되어 있고 분할된 웜 휠들은 한쪽 모서리가 힌지 결합되어 있어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웜 휠에 물려있는 웜(worm)을 외부 동력으로 구동하여 웜 휠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핸들을 좌우로 왕복 운동시킬 필요가 없다.
하지만 이 기술은 분할된 웜 휠 중에서 상부 쪽에 위치하는 웜 휠이 감싸는 하우징 없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고하중이 걸리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핸들을 달아 수작업으로 웜 휠을 회전시키는 경우, 핸들 역전시 래칫처럼 웜 휠을 헛돌게 할 수 없으므로, 수작업은 불가능하고 반드시 외부동력구동으로만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분할된 웜 휠들의 한쪽 모서리에 힌지 결합을 위한 관통공을 형성하여야 하며, 또 웜 휠 회전시 하우징 내에서 가이드 되도록 가이드 홈을 웜 휠 표면에 형성하여야 하므로, 웜 휠의 구조가 복잡해져서 제조가 어려워지고, 웜 휠의 부분별 강도 설계 또한 어려워지는 문제점도 있다.
다른 종래기술인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1994-0000218호는 베벨기어(bevel gear)로 소켓에 회전력을 외부로부터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이 기술은 베벨기어의 구동 피니언(pinion)의 축을 핸들 내부로 길게 연장하고, 이 핸들 끝부분으로 노출된 상기 피니언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소켓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핸들을 좌우로 왕복 운동시킬 필요가 없다.
하지만 이 기술은 장축에 달린 베벨기어를 구동하여야 하므로 동력손실이 크다. 그리고 공보에 개시된 것처럼 이 기술은 별도의 소켓(흔히 '복스알'이라 부르는 것을 말함)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철근 연결구처럼 중량물을 회전 체결시키는 용도로 사용하는 데에는 부적절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구동 피니언과 치합되는 링 기어(ring gear) 상에는 별도의 스퍼 기어(spur gear)를 함께 형성하여 래칫기어와 치합시켜야 하므로, 장치의 제조가 대단히 까다롭다는 문제점도 가진다.
일본등록특허 제4,397,922호 한국공개특허 제2000-0027478호 일본공개특허 특개평6-23676호 한국공개특허 제1994-000021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분할된 래칫 휠의 내부에 소켓을 형성하되, 외부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래칫 휠의 회전을 일으킬 수 있는 래칫 렌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래칫 휠의 역전을 방지하는 폴(pawl)이 좁은 하우징에 설치될 때, 래칫 휠 기어의 이 사이로 폴의 선단부가 확실하게 파고들어 역전 방지라는 작용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래칫 렌치는, 원형 공간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공간부를 향하는 내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홈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래칫휠 기어를 구비하는 래칫휠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상기 래칫휠 기어와 외접 맞물림하는 박스기어를 구비하는 박스기어부;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래칫휠 기어의 이와 이 사이에 끼워져 래칫휠부의 역전을 방지하는 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원형공간부의 상부를 개방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박스기어부가 설치되어 있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래칫휠부는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가이드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분할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박스기어부는, 박스기어축 외부에 상기 박스기어축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테두리를 돌출시킴으로써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된 원형테두리 표면에는 단턱이 형성된 부분보다 약간 안쪽으로 들여서 상기 박스기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은, 중앙에 형성된 힌지홀을 중심으로, 상기 래칫휠 기어의 이와 이 사이에 끼워지는 폴선단이 형성된 폴상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체와 접촉하여 탄성력을 받는 면을 구비하는 폴하부;로 구분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래칫 휠의 소켓을 회전시키므로, 렌치의 무게와 관계없이 빠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철근 연결구처럼 작업 대상물이 무거운 물체라 하더라도 용이하게 회전시켜 체결 또는 해체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래칫 휠에 외부동력을 공급하는 박스기어(box gear)를 스퍼기어(spur gear)로 사용하므로 하우징의 크기를 최대한 콤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래칫휠 기어 또한 스퍼기어를 사용하여 박스기어와 치합시킴으로써 전달되는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래칫휠 기어에 물리는 폴의 폴선단이 래칫휠 기어를 향하여 밀려들어가는 힘이 항상 작용하도록 하는 외력 부가수단이 구비되므로, 폴의 이탈에 의한 래칫휠의 역전현상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구성에 대한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들에 대한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의상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용어들은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내용을 참작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앞', '뒤', '좌, '우', '선단', '전방', '후단', '후방'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이 되었다고 기재한 경우는, 중간 매개 구성요소를 통한 간접적 방법으로 이루어진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래칫 렌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휠부(20), 박스기어부(10) 및 폴(30)이 장착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하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핸들(6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원형 공간부가 형성되어 추후 너트 같은 작업 대상물이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상기 원형 공간부를 향한 하우징의 내면에는 가이드홈(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원형공간부를 도면상 수평으로 2분할하는 선을 따라 상하로 분리되어 있다. 분할된 하우징 중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하우징(40)은 힌지핀(43)으로 일단이 하부하우징(50)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하우징(40)을 상기 힌지핀(43)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하우징 내측에 형성된 원형 공간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하우징(40)은 하부하우징(50)이 힌지핀(43)으로 결합된 일단의 반대쪽 단부에는 핀홀(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하우징(40)은 하부하우징(50) 쪽으로 회전시켜 닫은 후 핀홀(41)에 결합핀(55)을 꽂으면 상부하우징(40)과 하부하우징(50)은 폐쇄된 원형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결합핀(55)은 하우징에 박혀있는 볼트(56)과 사슬(57)로 연결하여 분실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하우징(40)과 하부하우징(50)의 가이드홈(42)에는 래칫휠부(20)가 삽입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래칫휠부(20)는 반원형의 휠몸체(21)의 외주면 중앙부에 래칫휠 기어(23)가 형성된 것으로써 한 쌍으로 사용된다. 래칫휠 기어(23)는 이끝 나비 T를 이뿌리 나비 t보다 크게 하고, 스퍼기어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래칫휠 기어(23)가 삽입되는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홈(42)도 래칫휠 기어(23)의 이끝 부분이 삽입되는 부분은 T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고, 이뿌리 부분이 삽입되는 부분은 t보다 약간 크게 형성한다.
따라서 가이드홈(42)에 래칫휠 기어(23)를 삽입하면 래칫휠 기어(23)가 가이드홈(42)을 따라 미끄럼 운동만 할 수 있게 되고, 가이드홈(42)에 수직한 방향으로 빠져나오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도 2에는 래칫휠부(20)의 휠몸체(21) 내주면을 6각 너트의 외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6각형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내주면의 형상과 크기는 작업 대상물의 형상과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래칫휠부(20)는 4각형, 8각형, 12각형, 별형 등의 내주면 형상을 갖도록 하고, 각 형상마다 다양한 직경으로 미리 제조한 후, 필요에 따라 교체 사용할 수 있다.
도 1을 보면, 하부하우징(50)에 박스기어부(10)가 설치되며, 이 박스기어부(10)는 상기 래칫힐부(20)의 하단에서 래칫힐부(20)와 치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기어부(10)는 박스기어축(11)을 중심으로, 박스기어축(11) 내부로는 관통 형성된 연결홀(12)과, 상기 박스기어축(11) 외부에 상기 래칫휠 기어(23)와 외접 맞물림하도록 스퍼기어로 형성된 박스기어(13)를 포함한 구성이다.
도 2에는 상기 연결홀(12)은 사각형 구멍으로 도시되어 있은데, 이 사각형 구멍은 L렌치 헤드, 래칫핸들 헤드 상의 소켓 연결축이나 임펙트렌치 헤드 상의 소켓 연결축, 혹은 상기 임펙트렌치의 소켓 연결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유니버설조인트 소켓 등에 의해 간접 연결된 비트나 플렉시블 비트 등이 삽입될 수 있다.
도 2의 도시를 보면, 상기 박스기어축(11) 외부에 박스기어축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원형테두리를 돌출시킴으로써, 박스기어축(11)과 박스기어(13) 사이에 단턱(14)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돌출된 원형테두리 표면에는 단턱(14)이 형성된 부분보다 약간 안쪽으로 들여서 박스기어(13)를 형성하였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하우징(50)의 내부 공간에 박스기어부(10)를 안착시키고 박스기어 덮개(52)로 덮은 후, 고정구(53)로 박스기어 덮개(52)를 고정시키면, 박스기어부(10)의 연결홀(12) 부분만이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면서 설치가 완료된다.
이렇게 조립되면 상기 단턱(14) 부분이 하부하우징(50) 및 박스기어 덮개(52)의 표면에 접촉하고, 박스기어(13)의 이 측면은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하부하우징(50) 및 박스기어 덮개(52)의 표면과 박스기어(13)의 이 측면 사이에 접촉으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저항이나 기어치의 파손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30)은 중앙에 힌지홀(32)이 형성되고, 이 힌지홀(32)을 중심으로 폴상부(31)와 폴하부(34)로 구분되어진다.
폴상부(31)의 끝부분은 상기 래칫휠 기어(23)의 이와 이 사이에 끼워지는 폴선단(33)이 형성된다. 폴하부(34)는 후술하는 탄성체(35)와 접촉하여 탄성력을 받는 면을 구비하도록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1을 보면, 하부하우징(50)의 일측에는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어 폴(30)이 삽입 설치된다. 폴(30)은 힌지홀(32)과 하부하우징(50)을 동시에 관통하는 힌지핀(36)에 의하여 하부하우징(50)에 결합된다.
이때 폴하부(34) 쪽을 마주보는 하부하우징(50)에는 탄성체(35)를 수용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탄성체(35)를 삽입하고, 상기 탄성체(35)의 일단이 폴하부(34)와 접촉하여 탄성력으로 폴하부(34)를 바깥쪽으로 항상 밀어붙이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폴상부(31)는 힌지핀(36)을 중심으로 래칫휠 기어(23) 쪽으로 회전하는 힘이 발생하므로, 폴선단(33)은 래칫휠 기어(23)의 이와 이 사이를 향하여 항상 파고드는 작용이 일어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체(35)로 압축코일 스프링을 사용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래칫 렌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상부하우징(40)을 개방하여 래칫휠부(20)의 내주면(22)이 이루는 공간부로 너트나 철근 연결구 같은 작업 대상물을 삽입한다.
그 다음 상부하우징(40)을 회전시켜 핀홀(41)이 하부하우징(50)의 핀홀과 일치하도록 한 후, 결합핀(55)을 체결하면, 작업 대상물은 래칫휠부(20)의 내주면(22)에 물려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박스기어부(10)의 연결홀(12)에 임펙트렌치 헤드 상의 소켓 연결축, 혹은 상기 임펙트렌치의 소켓 연결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유니버설조인트 소켓 등에 의해 간접 연결된 비트나 플렉시블 비트를 삽입한 후, 임펙트렌치를 구동하여 박스기어(13)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박스기어(13)에 치합되어 있는 레칫휠 기어(2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레칫휠 기어(23)의 이와 이 사이에 물려있던 폴선단(33)은 바깥으로 밀려나므로 레칫휠 기어(23)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되고, 래칫휠부(20)의 내주면(22) 안에서 물려있는 작업 대상물을 체결 또는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작업 대상물을 체결 또는 해체하기위하여 레칫휠 기어(23)의 회전방향이 상기 설명과 반대로 되어야 하는 경우, 즉 레칫휠 기어(23)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레칫 렌치의 앞과 뒤를 뒤집어서 사용하면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폴선단(33)은 탄성체(35)에 의해 항상 레칫휠 기어(23) 쪽으로 향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레칫휠 기어(23)에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폴선단(33)이 레칫휠 기어(23)의 이와 이 사이로 파고들어 레칫휠 기어(23)의 회전을 멈추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외부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핸들의 손잡이(70)를 잡고 핸들을 좌우로 운동시키면, 종래의 래칫 렌치와 같이 일방향으로만 작업 대상물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작업환경에 따라서는 박스기어부(10)의 연결홀(12)에 수동식 래칫핸들을 연결하여 박스기어(13)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파악되어야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박스기어부
11: 박스기어축 12: 연결홀
13: 박스기어 14: 단턱
20: 래칫휠부
21: 휠몸체 22: 내주면
23: 래칫휠 기어
30: 폴
31: 폴상부 32: 힌지홀
33: 폴선단 34: 폴하부
35: 탄성체 36: 힌지핀
40: 상부하우징
41: 핀홀 42: 가이드홈
43: 힌지핀
50: 하부하우징
51: 고정나사 52: 박스기어 덮개
53: 고정구 55: 결합핀
56: 볼트 57: 사슬
60: 핸들 70: 손잡이

Claims (4)

  1. 원형 공간부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공간부를 향하는 내면에 가이드홈(42)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홈(42)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래칫휠 기어(23)를 구비하는 래칫휠부(20);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연결홀(12)이 형성되고, 외부에는 상기 래칫휠 기어(23)와 외접 맞물림하는 박스기어(13)를 구비하는 박스기어부(10);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래칫휠 기어(23)의 이와 이 사이에 끼워져 래칫휠부(20)의 역전을 방지하는 폴(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래칫 렌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원형공간부의 상부를 개방하는 상부하우징(40)과 상기 박스기어부(10)가 설치되어 있는 하부하우징(50)을 포함하며,
    상기 래칫휠부(20)는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가이드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기어부(10)는,
    박스기어축(11) 외부에 상기 박스기어축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테두리를 돌출시킴으로써 단턱(14)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된 원형테두리 표면에는 단턱(14)이 형성된 부분보다 약간 안쪽으로 들여서 상기 박스기어(1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30)은,
    중앙에 형성된 힌지홀(32)을 중심으로,
    상기 래칫휠 기어(23)의 이와 이 사이에 끼워지는 폴선단(33)이 형성된 폴상부(31);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체(35)와 접촉하여 탄성력을 받는 면을 구비하는 폴하부(34);로 구분되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 렌치.
KR1020160009883A 2016-01-27 2016-01-27 래칫 렌치 KR20170089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883A KR20170089540A (ko) 2016-01-27 2016-01-27 래칫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883A KR20170089540A (ko) 2016-01-27 2016-01-27 래칫 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540A true KR20170089540A (ko) 2017-08-04

Family

ID=5965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883A KR20170089540A (ko) 2016-01-27 2016-01-27 래칫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95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5873A (zh) * 2020-03-17 2020-05-22 北渤智能科技秦皇岛有限公司 一种用于连接钢筋和套筒的开口式电动扳手
KR102125701B1 (ko) * 2019-07-11 2020-06-24 홍재원 풀스터드용 체결기구
KR20210026131A (ko) * 2019-08-29 2021-03-10 김호지 개폐형 렌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701B1 (ko) * 2019-07-11 2020-06-24 홍재원 풀스터드용 체결기구
KR20210026131A (ko) * 2019-08-29 2021-03-10 김호지 개폐형 렌치
CN111185873A (zh) * 2020-03-17 2020-05-22 北渤智能科技秦皇岛有限公司 一种用于连接钢筋和套筒的开口式电动扳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9916B2 (en) Gear head socket tool
US7150212B2 (en) Torque screwdriver
TWI566889B (zh) 用於提高遠端扳手的效率的方法和系統
US8555750B2 (en) Auto-Adjustable bearing wrench
KR20170089540A (ko) 래칫 렌치
US8479613B2 (en) Fastening tool
US20170216999A1 (en) Power tool with a double operational structure
CN105328622B (zh) 棘轮工具
CN204195692U (zh) 管接头螺母专用装卸工具
CN211805808U (zh) 一种角度可调的多功能螺丝刀
CN203936842U (zh) 扳手
CN211029786U (zh) 油管扳手
CN208788446U (zh) 一种扳手
JP6448113B2 (ja) 切削工具
CN207548679U (zh) 一种卡接式工件旋转机构
US20150273679A1 (en) Pneumatic tool
TW202039171A (zh) 可延長之扳手
KR20200143071A (ko) 전동 드라이버
US20180185991A1 (en) Dual head ratchet and socket wrench assembly
CA3046679A1 (en) Impact wrenches, wrench systems, and methods of use
CN105328612A (zh) 扳手
US5893422A (en) Rotating tool
WO2014190938A1 (en) Socket wrench
CN210732305U (zh) 一种螺母扭矩工具
CN214135782U (zh) 一种扳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65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123

Effective date: 2019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