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151A -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151A
KR20170089151A KR1020160009192A KR20160009192A KR20170089151A KR 20170089151 A KR20170089151 A KR 20170089151A KR 1020160009192 A KR1020160009192 A KR 1020160009192A KR 20160009192 A KR20160009192 A KR 20160009192A KR 20170089151 A KR20170089151 A KR 20170089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lenses
light shielding
shielding memb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9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9151A/ko
Publication of KR20170089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렌즈 모듈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상에 적층되어 스페이서 측으로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는 차광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렌즈 모듈{Lens module}
본 발명은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휴대용 PC 등과 같은 휴대 통신단말기는 최근 문자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상 데이터 전송까지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화상 데이터 전송이나 화상 채팅 등을 할 수 있기 위해서 최근에 휴대 통신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는 복수의 렌즈가 적층되어 구비되며,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에 집광되어 기기 내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 사이에는 복수의 렌즈 간의 간격을 유지하거나 불필요한 광을 차단하기 위하여 스페이서가 배치된다.
스페이서에는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크기의 차광홀이 형성되는데, 이때,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광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입사되면서 차광홀을 형성하는 스페이서의 벽면에 반사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빛 번짐 등의 플레어(Flare) 현상 등이 발생하여 화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광이 스페이서의 벽면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98779호
복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에 의해 반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렌즈 모듈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상에 적층되어 스페이서 측으로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는 차광부재를 포함한다.
복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에 의해 반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렌즈 배럴(120), 상기 광축(O)을 따라 상기 렌즈 배럴(120)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L), 상기 복수의 렌즈(L)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140) 및 스페이서(140) 상에 안착 설치되는 차광부재(16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배럴(120)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상기 복수의 렌즈(L)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렌즈(L)의 중앙부에는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초점을 형성하기 위한 광축(O)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렌즈(L)는 상기 광축(O)을 따라 상기 렌즈 배럴(120)에 구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피사체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렌즈 내지 제5 렌즈(L1, L2, L3, L4, L5)가 도시되나, 렌즈의 개수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현하고자하는 해상도에 따라 5매 이하의 렌즈로 구성되거나 그 이상의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렌즈(L)는 유리, 글라스 몰딩,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렌즈(L)는 상기 렌즈 배럴(1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렌즈(L) 중 피사체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되는 렌즈의 하부에는 압입링(17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5 렌즈(L5)의 하부에 상기 압입링(17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입링(170)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기 복수의 렌즈(L)를 상기 렌즈 배럴(120)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렌즈(L)는 상기 렌즈 모듈(10)의 설계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 적층되고,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한 굴절률 등의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상기 복수의 렌즈(L)는 각각 상기 광이 통과되면서 굴절되는 렌즈 기능부와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기능부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상기 광을 굴절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렌즈 기능부는 오목, 볼록 또는 매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렌즈 기능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렌즈 배럴(120) 또는 상기 스페이서(140)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플랜지부를 통해 불필요한 광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광 물질이 코팅되거나 차광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렌즈(L) 사이에는 렌즈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스페이서(140,150)가 배치된다.
상기 스페이서(140,150)는 상기 복수의 렌즈(L)의 수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40,150)는 상기 복수의 렌즈(L)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렌즈(L)들이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40,150)의 두께는 상기 복수의 렌즈(L)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스페이서(14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페이서(140)에는 상기 스페이서(140)를 통해 불필요한 광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광 물질이 코팅되거나 차광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140)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페이서(14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140)의 성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140)는 상기 복수의 렌즈(L)를 통과하는 상기 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페이서(140)에는 상기 스페이서(140)를 상기 광축(O) 방향으로 관통하는 차광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렌즈(L)를 통해 입사되는 상기 광이 상기 차광홀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차광홀의 크기는 상기 복수의 렌즈(L)를 통과하는 상기 광이 굴절되는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렌즈(L)를 통과하면서 굴절된 상기 광이 이미지 센서(미도시)에 입사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광홀의 크기는 피사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광이 상기 복수의 렌즈(L)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넓게 퍼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되는 상기 광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다.
차광부재(160)는 스페이서(150) 상에 안착 설치되어 스페이서(150) 측으로 입사되는 광을 흡수한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광부재(160)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경부측이 스페이서(150)의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차광부재(160)의 내경은 스페이서(150)의 저면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스페이서(15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차광부재(160)는 스페이서(150)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차광부재(16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162)와, 베이스부(162)에 적층되는 피막층(164)을 구비한다.
베이스부(162)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62)는 인청동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피막층(164)은 흑색 피막이며, 산화피막층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베이스부(162)에 흑색산화피막처리(일명 흑착색 또는 알칼리 흑착색)에 의해 형성되는 피막층(164)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흑색산화피막처리가 된 차광부재(160)를 통해 복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150)에 의해 반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차광부재(160)의 표면 반사율을 대략 0.5% 이하로 낮춰 플레어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도면에 도시하고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200)은 압입링(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입링(280)은 렌즈 배럴(12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렌즈 배럴(120)에 장착된 렌즈(L)가 보다 경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압입링(2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부재(160)에 의해 반사된 광의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200 : 렌즈 모듈
120 : 렌즈 배럴
140, 150 : 스페이서
160 : 차광부재
280 : 압입링

Claims (12)

  1. 복수의 렌즈가 광축을 따라 내부에 배치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통과되도록 차광홀이 형성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 상에 안착 설치되어 상기 스페이서 측으로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는 차광부재;
    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적층되는 피막층을 구비하는 렌즈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층은 흑색 피막인 렌즈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층은 산화피막층인 렌즈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인청동 재질로 이루어지는 렌즈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의 내경부측이 상기 스페이서의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렌즈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스페이서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렌즈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하단부에는 렌즈의 고정을 위한 압입링을 더 포함하는 렌즈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의 표면 반사율이 0.5% 이하인 렌즈 모듈.
  10. 복수의 렌즈가 광축을 따라 내부에 배치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통과되도록 차광홀이 형성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 상에 안착 설치되어 상기 스페이서 측으로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도록 흑색 산화피막층이 형성된 차광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흑색 산화피막층은 인청동 재질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에 적층되는 렌즈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의 내경부측이 상기 스페이서의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렌즈 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의 표면 반사율이 0.5% 이하인 렌즈 모듈.

KR1020160009192A 2016-01-26 2016-01-26 렌즈 모듈 KR20170089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192A KR20170089151A (ko) 2016-01-26 2016-01-26 렌즈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192A KR20170089151A (ko) 2016-01-26 2016-01-26 렌즈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151A true KR20170089151A (ko) 2017-08-03

Family

ID=5965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192A KR20170089151A (ko) 2016-01-26 2016-01-26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91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337A (ko) * 2017-08-08 2019-02-18 주식회사 에스아이씨이노베이션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6336A (ko) * 2017-08-08 2019-02-18 주식회사 에스아이씨이노베이션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및 그 제조방법
CN114488469A (zh) * 2020-11-13 2022-05-13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镜头
WO2024058510A1 (ko) * 2022-09-14 2024-03-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337A (ko) * 2017-08-08 2019-02-18 주식회사 에스아이씨이노베이션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6336A (ko) * 2017-08-08 2019-02-18 주식회사 에스아이씨이노베이션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및 그 제조방법
CN114488469A (zh) * 2020-11-13 2022-05-13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镜头
TWI766441B (zh) * 2020-11-13 2022-06-01 大陸商玉晶光電(廈門)有限公司 光學鏡頭
WO2024058510A1 (ko) * 2022-09-14 2024-03-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033B1 (ko) 렌즈 모듈
CN108693629B (zh) 含有塑胶透镜的成像透镜组、成像镜头模块及电子装置
CN107357024B (zh) 成像镜头及电子装置
US8493673B2 (en) Lens module
US20140368723A1 (en)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3311641B (zh) 成像镜头、相机模块及电子装置
CN101614931B (zh) 遮光片、镜片组及包括该镜片组的镜头模组
KR20170089151A (ko) 렌즈 모듈
TWI721543B (zh) 光學鏡頭、應用該光學鏡頭的鏡頭模組及電子裝置
KR101504030B1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6889794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US11137585B2 (en) Lens module
KR20170095554A (ko) 카메라 모듈
US11994736B2 (en) Imaging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10158636A1 (en) 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using the same
KR20170121109A (ko) 카메라 모듈
TWI481918B (zh) 鏡筒及採用該鏡筒的鏡頭模組
US7443616B2 (en) Optical lens and camera module employing the same
KR102251073B1 (ko) 렌즈 모듈
KR20110049242A (ko) 렌즈 모듈
KR102211434B1 (ko) 렌즈 모듈
KR20170139480A (ko) 렌즈 모듈
US20200319424A1 (en) Optical lens,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858202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KR20170130863A (ko) 차량의 카메라용 광각 렌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