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679A -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 Google Patents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679A
KR20170083679A KR1020160002701A KR20160002701A KR20170083679A KR 20170083679 A KR20170083679 A KR 20170083679A KR 1020160002701 A KR1020160002701 A KR 1020160002701A KR 20160002701 A KR20160002701 A KR 20160002701A KR 20170083679 A KR20170083679 A KR 20170083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onductive
conductive plate
plate portion
non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0729B1 (ko
Inventor
한정균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투씨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7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5Front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1For commercial vehicles or tractor-trailer combinations, e.g.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정 개수의 터치부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을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거나 접촉하여 상기 터치부들과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는 전도성 배치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1 전도성판부와,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대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의 제2 전도성판부와,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정전식 터치를 위한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위차 발생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위차 발생부는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에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덴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정 개수의 터치부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과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을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거나 또는 접촉하는 비전도성 배치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접촉판부와,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거나 또는 접촉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과 접촉하거나 또는 배치 고정하여 전기적 회로를 형성 가능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전도성판부와,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대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의 제2 전도성판부와,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정전식 터치를 위한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위차 발생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Independent style Capacitive Touch Module}
본 발명은 인체의 정전용량이나 배터리와 같은 전원충전기 없이 독립적으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는 정전식 터치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를 평판 영역에 지정된 기하학적 배열 구조로 배열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는 정전식 터치 도장이 개발되었다(특허공개공보 제10-2015-0029249호(2015.03.18)). 그런데 종래의 정전식 터치 도장은 복수의 터치부들을 배열하는 기하학적 배열 구조가 시각적으로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복수의 터치부들을 배열하는 기하학적 배열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터치막을 이용하여 복수의 터치부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 터치모듈이 개발되었다(특허등록공고 제10-1482667호(2015.01.08)). 현재 터치막을 구비한 터치모듈은 터치부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으면서도 터치부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직접 터치하는 것과 동일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터치모듈을 이용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체의 정전용량을 터치부까지 인가하는 전기적 회로를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터치모듈은 유리병이나 유리잔과 같이 비전도성 재질의 물건에 부착하여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예를들어, 유리병에 터치모듈을 부착하여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기 위해서는 유리병의 표면에 전도성 재질을 부착하여 터치모듈의 터치부까지 전기적 회로를 연결해야 하는데 이러할 경우 외관적으로 아름답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유리병 자체의 제작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다른 방식으로 유리병 내에 채워진 액체(예컨대, 알콜)를 터치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인데, 이 경우 유리병 자체의 제작단가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유리병 내의 액체와 접촉하는 전도성 재질(예컨대, 금속 등)에 의해 액체가 오염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한가지 방법으로 터치모듈 내에 배터리와 같은 전원충전기를 탑재하는 방안이 도입될 수 있으나(특허공개공보 제10-2015-0026385호(2015.03.11)), 이 경우 터치모듈 자체의 제작단가를 상승시킴은 물론, 배터리가 방전되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으며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또다른 문제점을 야기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을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거나 접촉하여 상기 터치부들과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는 전도성 배치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1 전도성판부과,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대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의 제2 전도성판부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위차 발생부를 기반으로 인체의 정전용량이나 배터리와 같은 전원충전기 없이 독립적으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정 개수의 터치부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을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거나 접촉하여 상기 터치부들과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는 전도성 배치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1 전도성판부와,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대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의 제2 전도성판부와,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정전식 터치를 위한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위차 발생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위차 발생부는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에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은,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구비되는 비전도성판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과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을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거나 또는 접촉하는 비전도성 배치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접촉판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는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거나 또는 접촉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과 접촉하거나 또는 배치 고정하여 전기적 회로를 형성 가능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은,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과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을 하우징하는 하우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은,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시키는 하우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은,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과 상기 터치모듈에 구비되는 비전도성 재질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을 고유하게 배치하는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 중 적어도 하나의 관계를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고,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고,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 중 일부의 터치부는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에 배치 고정되고,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 중 나머지 터치부는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에 배치 고정되고,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과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에 배치 고정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를 적층하고 상기 적층된 매입판부의 각 매입홀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를 매입하여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한 후 상기 매입판부를 제거하여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를 적층하고 상기 적층된 매입판부의 각 매입홀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를 매입하여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한 후 상기 매입판부를 제거하여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를 적층하고 상기 적층된 매입판부의 각 매입홀 중 일부의 매입홀에 일부의 터치부를 매입하여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일부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상기 매입판부를 적층하고 상기 적층된 매입판부의 각 매입홀 중 나머지 매입홀에 나머지 터치부를 매입하여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나머지 터치부를 배치 고정한 후 상기 매입판부를 제거하여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과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사이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위에서 작동하는 로봇 팔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위에서 작동하는 로봇 팔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위와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위에서 작동하는 로봇 팔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과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사이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정 개수의 터치부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과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을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거나 또는 접촉하는 비전도성 배치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접촉판부와,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거나 또는 접촉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과 접촉하거나 또는 배치 고정하여 전기적 회로를 형성 가능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전도성판부와,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대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의 제2 전도성판부와,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정전식 터치를 위한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위차 발생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의 정전용량이나 배터리와 같은 전원충전기 없이 독립적으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는 정전식 터치모듈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독립적으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는 정전식 터치모듈을 유리병이나 유리잔 등과 같은 물품에 부착하여 각종 프로모션 도구로 이용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독립적으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는 정전식 터치모듈을 구비한 도장 형태의 터치장치를 구현하여 실외에서 손에 장갑을 착용하고도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여 상기 터치모듈과 연계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 제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을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으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에 통합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인체의 정전용량이나 배터리와 같은 전원충전기 없이 독립적으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는 터치모듈(100)의 측면 구조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터치모듈(100)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터치모듈(1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거나 접촉하여 상기 터치부(105)들과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는 전도성 배치영역(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1 전도성판부(125)와,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와 대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의 제2 전도성판부와,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정전식 터치를 위한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위차 발생부(140)를 구비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모듈(100)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과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거나 또는 접촉하는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접촉판부(110)를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는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거나 또는 접촉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과 접촉하거나 또는 배치 고정하여 전기적 회로를 형성 가능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모듈(100)은,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비전도성판부(145)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또는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모듈(100)은,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을 하우징하는 하우징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치모듈(1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를 지정된 면적 내에 고유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물건으로서, 최소 3개의 터치부(105)를 구비하며, 4개의 터치부(105) 또는 5개의 터치부(105)를 구비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터치모듈(100)에 배치되는 터치부(105)의 개수가 3개 내지 5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현재 애플사의 아이폰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은 최대 5개까지의 다중 터치를 지원하도록 제한하는데, 만약 이러한 제한이 풀린다면 상기 터치부(105)의 지정된 N은 6개 이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100)은 비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기 설계된 면적의 기하학적 구조(예컨대, 가로/세로 3㎝의 정사각형 구조 등)로 이루어진 배치영역(120, 130)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미리 설계된 고유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형태로 설계 제작되며,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배치 고정한 배치영역(120, 130)을 감싸는 하우징 구성에 의해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이 형성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시각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설계 제작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1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할 경우 실제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터치부(105)들이 아니라 상기 터치부(105)들을 배치 고정하는 배치영역(120, 130) 중 접촉판부(110)의 접촉영역(115)이며,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판부(110)는 상기 터치부(105)들의 의한 정전 변화를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유도 가능한 두께로 설계 제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100)의 비전도성 재질은 종이재질을 이용하여 스티커 형태, 또는 상기 터치모듈(100)의 위 면에 캐릭터 형상이 부착되는 캐릭터 상품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모듈(100)은 도장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기하학적 관계 실시에 따르면,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배치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 간의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에 대응하는 고유한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기하학적 관계 실시에 따르면,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이 배치 고정되는 배치영역(120, 130) 상의 지정된 위치를 기준 점으로 정하여, 상기 기준 점과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 간의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에 대응하는 고유한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기하학적 관계 실시에 따르면,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 중 어느 한 터치부(105)를 기준 점으로 정하여, 상기 기준 점과 나머지 터치부(105)들 간의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에 대응하는 고유한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기하학적 관계 실시에 따르면,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상기 제1 내지 제3 기하학적 관계 실시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배치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의 좌표 회전을 위한 기준 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 점은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배치하는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좌표계의 좌표 원점(예컨대, 상기 배치영역(120, 130)에 대응하는 좌표계의 원점), 상기 제2 또는 제3 기하학적 관계 실시의 기준 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배치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상호 배치 관계를 통해 상기 기준 점을 판별할 수 있는 판별 규칙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모듈(100)에 5개의 터치부(105)를 배치하는 경우, 상기 5개의 터치부(105)가 배치되는 배치영역(120, 130)을 4개의 설계 상 분할 영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4개의 각 분할 영역에 각 1개의 터치부(105)를 배치하되 어느 한 분할 영역 상의 특정 위치에 1개의 터치부(105)를 추가 배치(즉, 4개의 분할 영역 중 3개의 분할 영역에는 각 1개의 터치부(105)를 배치하고 어느 한 분할 영역에 2개의 터치부(105)를 배치)한 후, 상기 1개의 터치부(105)를 추가 배치한 특정 위치(또는 상기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 특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 등)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 점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5개의 터치 점이 다중 터치 인식된 경우 상기 설계 상의 분할 영역을 근거로 상기 5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 배치 관계를 판독하여 상기 기준 점을 식별(예컨대, 설계 상의 4개 분할 영역 중 2개의 터치 점이 속한 어느 하나의 설계 상의 분할 영역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어느 한 분할 영역에 추가 배치된 1개의 터치부(105)에 대응하는 터치 점을 통해 특정 위치를 판별하여 이에 대응하는 기준 점을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준 점을 판별하는 규칙이 상기 예시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본 발명은 변형된 실시예도 권리범위에 귀속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터치부(105)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전도성 재질(또는 용량성 재질 가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 외력(예컨대, 사람의 손에 의해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수축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됨에 따라 원래의 상태로 복원 가능한 지정된 두께 T(T≥0.1mm) 이상의 지정된 탄성을 지닌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축/복원을 위해 상기 터치부(105)는 소정의 탄성을 지닌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되거나, 추가적으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작되거나 및/또는 발포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는 수축/복원 가능한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발포 공간이 형성된 완충재의 외부에 금속성 재질의 금속막을 형성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완충재는 스펀지,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금속막은 상기 완충재에 금속성 재질을 도금하거나 및/또는 금속성 재질을 원사 또는 면사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부(105)는 완충재의 금속막을 형성하여 제작된 EMI 차폐용 가스켓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는 상기 터치부(105)는 수축/복원 가능한 전도성 고무 재질이나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되거나, 또는 고체형태의 유전물질 또는 액상의 유전물질과 이를 수납하는 용기로 이루어진 유전체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는 동일한 두께 T로 제작되거나, 또는 지정된 두께 T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두께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접촉판부(110)는 상기 터치모듈(1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할 경우에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또는 적어도 일부의 터치부(105))을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거나, 및/또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과 접촉하는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을 포함하는 비전도성 재질의 판으로서, 기 설계된 면적의 기하학적 구조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접촉판부(110)는 상기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배치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이 시각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불투명(적어도 반투명)한 비전도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촉영역(115)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또는 근접)하는 경우에 상기 터치부(105)들에 의해 의한 정전 변화를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유도 가능한 두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접촉판부(110)는 0.2㎜ 이내의 두께를 지닌 불투명(또는 적어도 반투명)한 비전도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접촉판부(110)가 종이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단위 면적당 180g 이하의 종이재질에 대응하는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거나 접촉하여 상기 터치부(105)들과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는 전도성 배치영역(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도성 배치영역(130)을 통해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과 전기적 회로를 형성한다. 만약 터치모듈(100)에 상기 접촉판부(11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는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거나 또는 접촉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과 접촉하거나 또는 배치 고정하여 전기적 회로를 형성 가능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는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대응되는 기 설계된 면적의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전도성판부는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와 대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에 대응되는 기 설계된 면적의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전도성판부는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는 비전도성판부(145)가 구비되거나, 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위차 발생부(140)는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정전식 터치를 위한 전위차(예컨대, 전기적 위치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에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덴서는 전하를 축적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것이 서로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의 전위차를 유발하고, 이러한 전위차에 의해 상기 접촉판부(110)(또는 터치부(105))가 미세 전류가 흐르고 있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근접(또는 접촉)하는 경우에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용량 변화를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전위차 발생을 위해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하되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대향하는 일정 면적의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 및 제2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위차 발생부(140)에 의해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한 전위차가 정전용량의 변화를 유도함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100)은 인체의 정전용량이나 배터리와 같은 전원충전기 없이 독립적으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모듈(100)은 도면2a와 같이 유리병과 같이 비전도성 유리재질의 밑 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에도 인체와 전기적으로 도통할 필요 없이 또는 별도의 배터리와 같은 전원충전기를 탑재할 필요 없이, 단지 유리병의 밑 면에 부착된 터치모듈(1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근접(또는 접촉)하는 것만으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150)는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상기 아답터부(15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을 하우징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비전도성판부(145)가 구비되도록 하거나, 또는 구조적으로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배치 고정되거나,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배치 고정되거나,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분산 배산 배치 고정되며, 상기 배치영역(120, 130)에 배치된 상태에서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1 터치부 배치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배치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배치 고정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접촉판부(110)의 접촉영역(115)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과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판부(110)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여 아답터부(155)를 소정의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배치 고정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이 상기 압인력에 의해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과 접촉하여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배치 고정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5) 높이를 다르게 제작하여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배치 고정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 중 일부는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작(예컨대, 도면2b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판부(110)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여 아답터부(155)를 통해 소정의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5)가 상기 압인력에 의해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과 접촉하여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터치부 배치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배치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배치 고정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접촉판부(110)의 접촉영역(115)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판부(110)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여 아답터부(155)를 통해 소정의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배치 고정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이 상기 압인력에 의해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접촉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 변화를 유도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배치 고정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5) 높이를 다르게 제작하여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배치 고정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 중 일부는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판부(110)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여 아답터부(155)를 통해 소정의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5)가 상기 압인력에 의해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접촉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 변화를 유도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터치부 배치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 중 일부의 터치부(105)는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배치 고정되고 다른 일부의 터치부(105)는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배치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배치 고정되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은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제작된다.
예를들어,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배치 고정된 일부의 터치부(105)는 상기 접촉판부(110)의 접촉영역(115)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과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작되고,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5)도 상기 접촉판부(110)의 접촉영역(115)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판부(110)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여 아답터부(155)를 통해 소정의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배치 고정된 각각의 터치부(105)들이 상기 압인력에 의해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과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각기 접촉하여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이 모두 상기 아답터부(155)를 통해 전기적 회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 변화를 유도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배치 고정되는 터치부(105)들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다르게 제작하여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105) 중 일부가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작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배치 고정된 터치부(105) 중 일부가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판부(110)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여 아답터부(155)를 통해 소정의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배치 고정된 나머지 터치부(105)가 상기 압인력에 의해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과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각기 접촉하여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이 모두 상기 아답터부(155)를 통해 전기적 회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 변화를 유도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터치부 배치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고정되거나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터치부 배치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제1 내지 제4 터치부 배치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방식을 기반으로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되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다중 터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100)의 배치영역(120, 130)에 배치되는 터치부(105)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고유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치영역(120, 130)의 면적은 유한하고, 상기 배치영역(120, 130)에 배치되는 터치부(105)들도 설계 상의 계산된 터치 면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배치영역(120, 130)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를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100)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를 고유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해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유한한 면적 내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를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할 수 있는 최대의 경우의 수를 도출하기 위해 최소 구별 인식 거리가 설정된다.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둘 이상의 터치부(1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할 경우에 해당 정전식 터치스크린에서 둘 이상의 터치부(105)에 의한 터치 점을 서로 다른 터치 점으로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는 최소의 인식 거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최소의 인식 거리는 각 정전식 터치스크린마다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터치모듈(100)을 터치할 대상으로 지정된 각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최소의 인식 거리 중 최대 값을 설계 상의 최소 구별 인식 거리로 설정하여 터치부(105)들의 기하학적 관계를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100)의 배치영역(120, 130)에 배치되는 터치부(105)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어느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더라도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는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식별되는 식별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정전식 터치는 점 터치가 아니라 면 터치이고,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의 운영체제는 터치 면의 중점을 터치 점으로 계산하며, 지정된 거리 이상 터치 면이 이동해야 중점이 이동한 것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모듈(100)에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의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된 상태에서도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식별되게 하기 위해 최소 식별 거리가 설정된다.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설계되어 터치모듈(100)에 배치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된 상태에서도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식별되게 하기 위해 서로 다른 터치모듈(100)에 구비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이 떨어져 있어야 하는 최소의 식별 거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최소의 식별 거리는 각 정전식 터치스크린마다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터치모듈(100)을 터치할 대상으로 지정된 각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최소의 식별 거리 중 최대 값을 설계 상의 최소 식별 거리로 설정하여 터치부(105)들의 기하학적 관계를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100)의 배치영역(120, 130)에 배치되는 터치부(105)들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특정 방향 또는 특정 영역에 정렬할 필요 없이 아무렇게나 터치하더라도 상기 터치된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 가능한 판독성을 지녀야 한다.
상기 기하학적 관계의 판독성을 위해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임의 영역에 임의 방향으로 터치된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관계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 가능하게 좌표 회전되어야 하며, 상기 배치영역(120, 130)에 배치되는 터치부(105)들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5)는 외부의 도움 없이 상기 좌표 회전의 기준 점을 스스로 정하기 위한 지정 터치부(105)로 설정되어 지정된 위치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터치모듈(100)의 배치영역(120, 130)에 배치되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는 설계 상의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에 대응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지정된 배치영역(120, 130)에 배치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100)은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105)를 배치영역(120, 130) 상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고정 배치하여 지정 터치부(105)로 설정하되 나머지 터치부(105)들을 임의의 계산된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지정 터치부(105)와 나머지 터치부(105)들을 배치하는 배치영역(120, 130)의 기하학적 구조 관계를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지정 터치부(105)와 나머지 터치부(105)들 간의 기하학적 구조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설정된 기하학적 구조 관계를 근거로 상기 지정된 위치에 고정 배치된 지정 터치부(105)를 통해 기준 점을 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도면1의 예시와 같이 터치모듈(100)의 배치영역(120, 130)에 5개의 터치부(105)를 배치하는 경우, 상기 N개의 터치부(105) 중 4개의 터치부(105)를 설계 상의 계산된 위치에 배치하되, 어느 하나의 터치부(105)를 미리 지정된 위치(예컨대, 좌하단 모서리 부분의 변에 접하는 위치)에 고정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1의 예시는 상기 배치영역(120, 130)의 기하학적 구조 관계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위치(예컨대, 좌하단 모서리 부분의 변에 접하는 위치)에 고정 배치된 지정 터치부(105)에 대응하는 지정 터치 점을 식별할 수 있는데, 본 도면1의 예시에 따르면 배치영역(120, 130)을 4개의 균등한 분할영역으로 분할(예컨대, 동일한 4각형으로 이루어진 4개의 분할영역)한 후, 상기 4개의 분할영역 상의 각기 계산된 위치에 1개의 터치부(105)를 배치하되, 상기 4개의 분할영역 중 어느 한 지정영역 상의 미리 지정된 위치(예컨대, 좌하단 모서리 부분의 변에 접하는 위치)에 지정 터치부(105)를 고정 배치할 수 있는데, 본 도면1의 예시에 따른 터치부(105)들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할 경우 상기 배치영역(120, 130)의 기하학적 구조 관계(=배치영역(120, 130)을 4개의 분할영역으로 분할하는 기하학적 구조 관계)를 근거로 4개의 분할영역 중 2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어느 한 지정영역을 찾고 상기 지정영역 상의 지정된 위치(예컨대, 좌하단 모서리 부분의 변에 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지정 터치 점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1의 예시와 별도로 5개의 터치부(105)를 연결한 선분을 통해 형성되는 5각형의 내각 중 지정 터치부(105)에 대응하는 꼭지점의 내각이 다른 내각보다 항상 작게 설계하는 상기 지정 터치부(105)와 나머지 터치부(105)들 간의 기하학적 구조 관계에 따라 5개의 터치부(105)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5개의 터치부(105)들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형성되는 5개의 터치 점을 연결한 5각형의 내각 중 가장 작은 각에 해당하는 터치 점을 지정 터치 점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지정 터치부(105)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 배치하여 좌표 회전의 기준 점을 정하는 실시예가 상기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지정 터치부(105)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 배치하여 좌표 회전의 기준 점을 정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도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도출 가능한 모든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2a와 도면2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100)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면2a는 유리병과 같은 물품에 자체적으로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터치모듈(100)을 부착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고, 도면2b는 자체적으로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도장 형태의 터치모듈(100)의 측면 구조 실시예를 예시한 것으로, 본 도면2a와 도면2b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모듈(100)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터치모듈(100) 구조에 기반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모듈(100)을 실시하는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a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형태의 터치모듈(100)은 유리병 등의 비전도성 재질의 밑 면에 부착되는 스티커 형태로 제작되거나 또는 유리병 등의 비전도성 재질의 밑 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 가능한 판 형태로 제작 가능하며, 상기 유리병 등의 비전도성 재질의 밑 면에 부착 또는 삽입된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근접(또는 접촉)하는 경우에 인체의 정전용량이나 배터리와 같은 전원충전기 없이 독립적으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한다.
도면2b를 참조하면, 도장 형태의 터치모듈(1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는 전도성 재질(또는 용량성 재질 가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외력에 의한 수축에 대해 복원력을 지니며 지정된 두께 T(T≥0.1mm) 이상으로 제작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115)과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거나 또는 접촉하는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접촉판부(110)와,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거나 또는 접촉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과 접촉하거나 또는 배치 고정하여 전기적 회로를 형성 가능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전도성판부(125)와,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와 대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의 제2 전도성판부와,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정전식 터치를 위한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위차 발생부(140)를 구비하며, 서로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구비되는 비전도성판부(145)와,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을 하우징하는 하우징부(150)를 구비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도장 형태의 터치모듈(100)은 비전도성 재질의 손잡이부(16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를 상기 비전도성 재질의 손잡이부(160)와 연결하는 아답터부(15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면2a와 도면2b를 참조하면, 터치모듈(100)의 배치영역(120, 130)에 배치 고정되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터치모듈(100)의 배치영역(120, 130)에 배치 고정되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 사이에는 빈 공간을 형성하는 것은 터치모듈(1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였을 때에 터치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만약 터치모듈(100)의 배치영역(120, 130)에 배치 고정되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 사이에 플라스틱재질이나 종이재질 등과 같은 재질을 포함시킬 경우, 상기 터치부(105)들 사이에 구비되는 플라스틱재질이나 종이재질 등은 비전도성 재질이기는 하지만,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모듈(100)을 반복적으로 터치하는 과정에서 정전기가 축전될 수 있다. 즉,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표면에는 정전식 터치를 인식하기 위해 전자기장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터치부(105)들 사이에 구비되는 플라스틱재질이나 종이재질 등이 이러한 전자기장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플라스틱재질이나 종이재질 등에는 정전기가 축전될 수 있다. 물론 동일한 비전도성 재질인 접촉판부(110)에도 정전기가 축전될 수 있으나, 설사 접촉판부(110)에 정전기가 축전되더라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시점에 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터치부(105)들 사이에 구비되는 플라스틱재질이나 종이재질 등은 방전되지 못하고 정전기가 축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축전된 정전기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노이즈를 유발시킬 확률을 증가시키며, 결과적으로 터치부(105)들에 의한 정밀한 정전식 터치를 방해하는 원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터치모듈(100)의 배치영역(120, 130)에 배치 고정되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 사이에는 빈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터치모듈(100)의 배치영역(120, 130)에 배치 고정되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에 의한 정밀한 정전식 터치가 유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플라스틱재질이나 종이재질의 정전기에 의해 상기 전위차 발생부(140)에 의해 발생하는 전위차에 의한 정전식 터치가 오염되지 않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100)의 배치영역(120, 130)에 배치 고정되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정밀하게 배치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매입판부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매입판부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기 위해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지정 개수의 매입홀이 형성되며, 각 매입홀은 각 터치부(105)를 매입 가능한 형태로 홀이 형성된다. 상기 매입판부는 상기 터치모듈(100)의 배치영역(120, 130) 상에 적층 되었다가 제거 가능한 기하학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입판부를 상기 터치모듈(100)의 배치영역(120, 130)에 적층한 상태에서 상기 매입판부의 각 매입홀에 각각의 터치부(105)를 매입하여 배치영역(120, 130)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기 설계된 기하학적 관계로 정밀하게 배치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터치부 배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배치 고정하는 경우,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를 적층하고 상기 적층된 매입판부의 각 매입홀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를 매입하여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 상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를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한 후 상기 매입판부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터치부 배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배치 고정하는 경우,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를 적층하고 상기 적층된 매입판부의 각 매입홀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를 매입하여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 상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를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한 후 상기 매입판부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터치부 배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 중 일부의 터치부(105)는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배치 고정되고 다른 일부의 터치부(105)는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배치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를 적층하고 상기 적층된 매입판부의 각 매입홀 중 일부의 매입홀에 일부의 터치부(105)를 매입하여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 상에 일부의 터치부(105)를 배치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 상에 상기 매입판부를 적층하고 상기 적층된 매입판부의 각 매입홀 중 나머지 매입홀에 나머지 터치부(105)를 매입하여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 상에 나머지 터치부(105)를 배치 고정한 후 상기 매입판부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 사이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100)의 배치영역(120, 130)에 배치 고정되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매입판부 대신에 로봇 팔을 통해 배치영역(120, 130)에 배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터치부 배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배치 고정하는 경우,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 위에서 작동하는 로봇 팔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터치부 배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배치 고정하는 경우,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 위에서 작동하는 로봇 팔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터치부 배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 중 일부의 터치부(105)는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배치 고정되고 다른 일부의 터치부(105)는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에 배치 고정되는 경우,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 위와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 위에서 작동하는 로봇 팔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과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 사이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될 수 있다.
도면3a 내지 도면3g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100) 제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a 내지 도면3g는 상기 도면2b에 도시된 도장 형태의 터치모듈(100)을 제작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a 내지 도면3g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모듈(100) 제작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다른 형태의 터치모듈(100)에 대한 터치모듈(100) 제작 과정 또는 로봇 팔을 이용하는 터치모듈(100) 제작 과정 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a 내지 도면3g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a와 같이 기 설계된 면적의 기하학적 구조(예컨대, 가로/세로 3㎝의 정사각형 구조 등)로 이루어진 접촉판부(110)를 준비하고, 상기 접촉판부(110)의 면적과 기하학적 구조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구조와 면적으로 이루어지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배치하기 위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지정 개수의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를 준비한 후,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 상에 상기 매입판부를 적층시킨 후 상기 매입판부에 형성된 각각의 매입홀에 각각의 터치부(105)들을 매입함과 동시에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배치 고정함으로써,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정밀하게 배치 고정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로봇 팔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을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정밀하게 배치 고정할 수 있다.
이후, 도면3b와 같이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에 배치 고정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과 접촉하는 전도성 배치영역(130)을 구비한 제1 전도성판부(125)를 준비하고,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와 대향될 제2 전도성판부를 준비하고,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 및 제2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위차를 발생시킬 전위차 발생부(140)를 준비하고,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를 대향하도록 고정함과 동시에 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비전도성판부(145)를 준비한 후, 도면3c와 같이 비전도성판부(145)를 통해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를 전기적으로 절연하여 대향시키되,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를 전위차 발생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도면3c와 같이 제작된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상판부 및 전위차 발생부(140)의 결합체를 도면3d와 하우징부(150)와 결합하고, 도면3e와 같이 아답터부(155)와 결합하여 터치모듈(100)을 제작하며, 도면3f와 같이 아답터부(155)에 비전도성 손잡이부(160)를 결합하여 도장 형태의 터치모듈(100)을 제작한다.
상기 도면3f와 같이 제작된 터치모듈(100)을 도면3g와 같이 정전식 터치스크린 위에 올려놓고 압인력을 가하면, 상기 압인력에 의해 상기 도면3c와 같이 제작된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상판부 및 전위차 발생부(140)의 결합체는 도면3g와 같이 이격되고, 상기 제1 전도성판부(125)의 전도성 배치영역(130)은 상기 접촉판부(110)의 비전도성 배치영역(120)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들과 모두 접촉하게 되며, 상기 전위차 발생부(140)를 통해 제1 전도성판부(125)와 제2 전도상판부 사이에서 발생한 전위차에 의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105)에 의한 정전식 다중 터치를 유발한다.
100 : 터치모듈 105 : 터치부
110 : 접촉판부 115 : 접촉영역
120 : 비전도성 배치영역 125 : 제1 전도성판부
130 : 전도성 배치영역 135 : 제2 전도성판부
140 : 전위차 발생부 145 : 비전도성판부
150 : 하우징부 155 : 아답터부
160 : 손잡이부

Claims (18)

  1.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정 개수의 터치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을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거나 접촉하여 상기 터치부들과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는 전도성 배치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1 전도성판부;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대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의 제2 전도성판부; 및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정전식 터치를 위한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위차 발생부;를 구비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차 발생부는,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에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구비되는 비전도성판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과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을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거나 또는 접촉하는 비전도성 배치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접촉판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는,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거나 또는 접촉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과 접촉하거나 또는 배치 고정하여 전기적 회로를 형성 가능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과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을 하우징하는 하우징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시키는 하우징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과 상기 터치모듈에 구비되는 비전도성 재질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을 고유하게 배치하는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 중 적어도 하나의 관계를 하나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고,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고,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 중 일부의 터치부는,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에 배치 고정되고,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 중 나머지 터치부는,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에 배치 고정되고,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과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에 배치 고정된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를 적층하고 상기 적층된 매입판부의 각 매입홀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를 매입하여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한 후 상기 매입판부를 제거하여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를 적층하고 상기 적층된 매입판부의 각 매입홀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를 매입하여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지정 개수의 터치부를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한 후 상기 매입판부를 제거하여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매입홀이 형성된 매입판부를 적층하고 상기 적층된 매입판부의 각 매입홀 중 일부의 매입홀에 일부의 터치부를 매입하여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일부의 터치부를 배치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상기 매입판부를 적층하고 상기 적층된 매입판부의 각 매입홀 중 나머지 매입홀에 나머지 터치부를 매입하여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나머지 터치부를 배치 고정한 후 상기 매입판부를 제거하여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과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사이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위에서 작동하는 로봇 팔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위에서 작동하는 로봇 팔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는,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위와 상기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위에서 작동하는 로봇 팔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과 제1 전도성판부의 전도성 배치영역 사이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18.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터치모듈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를 유발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정 개수의 터치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영역과 상기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을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거나 또는 접촉하는 비전도성 배치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접촉판부;
    상기 접촉판부의 비전도성 배치영역 상에 기 설계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되거나 또는 접촉하는 지정 개수의 터치부들과 접촉하거나 또는 배치 고정하여 전기적 회로를 형성 가능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전도성판부;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대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의 제2 전도성판부; 및
    상기 대향하는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도성판부와 제2 전도성판부 사이에 정전식 터치를 위한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위차 발생부;를 구비하는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KR1020160002701A 2016-01-08 2016-01-08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KR102530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701A KR102530729B1 (ko) 2016-01-08 2016-01-08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701A KR102530729B1 (ko) 2016-01-08 2016-01-08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679A true KR20170083679A (ko) 2017-07-19
KR102530729B1 KR102530729B1 (ko) 2023-05-11

Family

ID=5942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701A KR102530729B1 (ko) 2016-01-08 2016-01-08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7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4270A (ja) * 2003-01-30 2004-08-19 Fujitsu Component Ltd タッチパネル、それを有する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047990A (ja) * 2005-08-09 2007-02-22 Sony Corp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1482667B1 (ko) * 2014-06-09 2015-01-15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4270A (ja) * 2003-01-30 2004-08-19 Fujitsu Component Ltd タッチパネル、それを有する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047990A (ja) * 2005-08-09 2007-02-22 Sony Corp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1482667B1 (ko) * 2014-06-09 2015-01-15 원투씨엠 주식회사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729B1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59822A (ja) センサ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482667B1 (ko)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JP2018112854A (ja) 静電容量式センサ装置
JP7026036B2 (ja) マルチタッチ用タッチモジュール
KR101471959B1 (ko) 정전식 터치장치
CN113039510A (zh) 输入装置和输入***
KR20170083679A (ko) 독립형 정전식 터치모듈
US20230315214A1 (en) Human-computer interface system
KR101884771B1 (ko) 향상된 인식률을 지닌 정전식 터치모듈과 그 제작 방법
KR101743222B1 (ko) 양각된 접촉판을 구비한 정전식 터치모듈과 그 제작 방법
KR20160011815A (ko) 적층형 터치유닛을 구비한 터치모듈
US9886146B2 (en) Active graphene touch switch for electronic devices
KR101507058B1 (ko)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KR101481477B1 (ko)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KR102235885B1 (ko) 밀폐형 터치유닛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40939A (ko) 터치모듈과 그 제조 방법
KR101482660B1 (ko) 터치막을 구비한 다중 터치용 터치모듈
KR20160011813A (ko) 적층형 터치유닛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15456A (ko) 정전식 터치모듈
KR20140128012A (ko) 하이브리드 터치스크린 및 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모바일 기기
WO2017163436A1 (ja) 感圧式静電スイッチおよび電気装置
KR101493282B1 (ko) 정전식 터치장치
KR101481475B1 (ko) 다중 순차 터치용 터치모듈
KR20170019552A (ko) 종이 또는 수지 재질의 정전식 터치모듈
KR20160010753A (ko) 터치 보호막을 구비한 다중 터치용 터치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