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970A -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970A
KR20170081970A KR1020160001042A KR20160001042A KR20170081970A KR 20170081970 A KR20170081970 A KR 20170081970A KR 1020160001042 A KR1020160001042 A KR 1020160001042A KR 20160001042 A KR20160001042 A KR 20160001042A KR 20170081970 A KR20170081970 A KR 20170081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charging
electric
contro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3152B1 (ko
Inventor
한찬희
신규식
Original Assignee
한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찬희 filed Critical 한찬희
Priority to KR1020160001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1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60L11/1809
    • B60L11/1824
    • B60L11/1848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8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involving trading of energy or energy transmission rights
    • H02J7/002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6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하도록 한 전력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접속포트를 구비하고, 이들 접속포트와 다양한 형태의 전기 접속장치간의 연결을 통한 전력공급 및 전력분배를 제어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을 제어하고, 관제센터와의 통신을 통해 실시간 전력 정보를 공유하여 전력을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재판매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Power control system capable of distribution and charging and resale of power}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제10-2015-0160729호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하도록 한 전력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다수개의 접속포트를 구비하고, 이들 접속포트와 기기 외부의 다양한 전력 접속장치와의 연결을 통한 전력공급 및 전력분배를 제어하는 것으로, 전기자동차 충전을 제어하고, 관제센터와의 통신을 통해 전력 정보를 공유하여 전력을 재판매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위 선출원에서 전력분배 및 원격제어, 모니터링 기능을 충전기로부터 분리하여 이를 다양한 전기 접속 장치에 연결할 경우 전력을 관제센터에서 원격으로 감시 및 제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충전기 관리 및 충전전력 측정, 건물과의 구분과금 및 전력재판매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전기자동차 충전기 또는 전력공급장치의 대부분이 원격지에 위치한 관제센터와의 통신이 불가능한 스탠드 어론(Stand-alone)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상기 관제센터는 전기자동차 충전에 관련된 원격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곳을 말한다.
따라서 전력공급장치를 이용하려는 사용자 인증 및 고장유무의 실시간 체크를 원격지에서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전력공급장치의 상황 및 전기자동차 충전 동작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이 불가능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전력 공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곧,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소요되는 전력 공급에 차질을 빚게 되고, 발전 비용 증가와 고객 서비스 중단이라는 결과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원격 통신이 불가능한 stand-alone 전력공급장치에 원격 통신 기능을 부가하여 전력공급장치 상황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함은 물론, 이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전력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관제센터와 전력공급장치의 통신 표준, 예를 들어, 복수의 전력공급장치간의 회원 공유를 통해 여러 회사에 설치된 전력공급장치를 모두 하나의 등록 회원으로 이용하게 할 수 있는 통신 표준 및, 관세센터간의 회원 공유를 위해서라도 이러한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또한, 전력공급장치에 남아있는 유휴전력의 효과적인 사용도 깊이 생각해볼 문제이다.
관련 기술로는 한국특허공개 제10-2011-008807호가 있다.
이 공개기술은,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며, 전기자동차로부터 전력을 역전송 받는 충전스테이션, 건물의 실내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조절장치 및 당일 기상 정보와, 온도조절장치로부터 입력된 실내 온도 정보,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역전송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정보를 이용하여, 피크 전력 소비 시간대에 건물의 실내온도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제어하고,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전력을 역전송 받도록 제어하는 기능 등이 동시에 수행 가능한 피크전력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피크 전력 소비 시간대에 건물의 전력부하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공개기술은 전기자동차와 충전스테이션간 전기 전송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에 한정된 단점이 있다.
또 다른 관련 기술로는 한국특허공개 제10-2013-0066099호가 있다.
이 공개기술은, 전력의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는 전력 저장부의 충전 시의 전력 비용인 충전 비용과 방전 시의 전력 비용인 방전 비용을 계산하고, 전력 저장부의 충전 비용과 방전 비용을 비교하며 방전 비용이 충전 비용보다 작으면, 전력 방전과 전력 재판매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방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고, 충전 비용이 방전 비용보다 작거나 같으면, 신재생 전력과 그리드 전력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력으로 전력 저장부가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전력 변환부를 제어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개기술은, 방전 비용과 충전 비용을 비교하여 방전 비용이 더 비쌀 경우, 즉 전력 재판매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비용보다 큰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에 따라 충전, 방전 또는 전력재판매를 선택하는 기술로서, 원격지에서 전력 상황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전력 재판매 등을 결정하는 기술은 아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1-008807호 한국특허공개 제10-2013-0066099호
본 발명은 상기종래 기술에 관련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대부하 전력 충전(예: 전기자동차 완속 충전 이상 등)을 모니터링하고, 건물 전력 피크를 고려한 전력공급 조절을 통해 전력의 효율적인 배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러한 상황들을 실시간으로 원격지 관제센터에서 공유함으로써 전력 공급의 효율성과 안정성, 경제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제센터와 전력상태를 공유하는 전력회사의 계획 발전을 통해 전력 생산과 송전, 배전, 소비의 전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에 따라 유추 가능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에 따르면, 원격으로 전력 제어를 하는 관제센터; 및 관제센터에 의한 원격 전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전력 정보를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전력제어장치로 구성되고, 전력제어장치는 충전기 또는 충전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기공급장소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력제어장치는, 전기자동차 PWM 제어부(충전 제어부)와, 다른 장치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접속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력제어장치는, 전력 계량, 배전, 사용자인증 및, 양방향 전력측정이 가능한 V2G 기능을 추가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속구는, 다른 충전기 또는 전력공급장치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제센터는, 일반가정 또는 건물 수용가의 전력 정보를 원격 모니터링하고, 잔존 전력을 판단하여 전력 재판매가 가능하도록 하며, 수용자와 외부인의 전력 사용을 구분하여 과금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첫째, 실시간 사용 전력량을 바탕으로 관제센터에서 전력 사용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 전력량을 제어하여 충전기와 연결된 전력공급장치의 사용 전력량을 제어함으로써 예를 들어, 피크타임을 넘지 않도록 하여 전기료가 과다하게 청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둘째, 전력 사업자 입장에서는 전기자동차의 증대에 따라 폭증하는 충전 전력을 효과적으로 분배 및 조절하여 블랙아웃을 예방할 수 있다.
셋째, 기존의 송배전망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추가적인 송배전 구축시 소요되는 경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발전회사 입장에서는 전력 수요 조절에 따라 계획발전을 가능케 함으로써 여유 발전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넷째, 전기자동차 충전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전력공급장치에 남아 있는 유휴 전력을 재판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제어시스템에 구성되는 전력제어장치의 기능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제어시스템에 구성되는 전력제어장치의 제어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적용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충전기 또는 외부 전력공급장치(가정 및 회사 등 전기자동차에 충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된 전기공급장치로서, 이하 전력제어장치라고 한다)에서 처리되는 전력을 원격지에 설치된 관제센터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되는 상황을 파악하여 관제센터의 제어하에 보다 효율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제센터(100)와 복수 개 전력제어장치(200) 및 전력측정장치(300)와 각각 유무선으로 네트워크화되고, 전력측정장치(300)는 관제센터(100) 및 전력제어장치(200)와 각각 유무선으로 네트워크화된다.
일실시예에서 관제센터(100)는, 전력제어장치(200)의 전력 제어를 원격 제어하고, 전력제어장치(200)의 전력 제어정보를 실시간 전송받아 공유한다.
관제센터(100)는 또한, 전력측정장치(300)의 전력 측정을 원격 제어하고, 전력측정장치(300)로부터 전력 측정정보를 실시간 전송받는다.
일실시예에서 전력제어장치(200)는,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장치로서, 유무선 통신장치를 내장한다.
전력제어장치(200)는, 관제센터(100)로부터 전력 제어명령을 전송받아 전력을 제어하고, 전력 제어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제센터(100)에 전송한다. 따라서 전력제어장치(200)는, 관제센터(100)와 전력 정보를 공유하여 관제센터(100)를 통한 전력 재판매가 가능하게 한다.
일실시예에서 전력측정장치(300)는, 전력제어장치(200)의 전력을 실시간 측정하고, 측정정보를 관제센터(1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관제센터(100)와 전력제어장치(200)가 유무선 네트워크(N)로 연결되어 관제센터(100)로부터 전력제어장치(200)로, 전력제어장치(200)로부터 관제센서(100)로 전력 제어 신호 및 제어된 정보들이 각각 전송된다. 즉 전력제어장치(200)의 전력 제어가 실시간 관제센터(100)에 전송되어 공유되며, 관제센터(100)로부터의 전력 제어명령도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력제어장치(200)에 전송되어 전력제어장치(200)가 그 전력 제어명령에 부합하도록 전력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전력측정장치(300)는 전력제어장치(200)의 전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관제센터(100)로 전송함으로써 관제센터(100)는 전송받은 측정정보를 토대로 예를 들어, 유휴전력의 효과적인 이용(재판매 등) 등을 검토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외부에 구성된 전력측정장치(300)에서 측정된 측정정보를 토대로 관제센터(100)에 전력의 효율적인 배분 등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고, 또는 전력제어장치(200)의 전력 정보를 토대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력제어장치(200)의 기능들이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제어장치(200)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첫째, 사용자(고객, 회원) 인증을 위한 통신이 가능하다. 사용자 인증을 위한 통신은 예를 들어, RFID, 마그네틱, NFC,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둘째, 관제센터(100)와의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한 원격 제어 및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관제센터(200)의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은 예를 들어, 3G, 4G, 4G LTE, SG, 5G, GSM, GPRS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셋째, 다수 개의 접속구를 다양한 형태로 구비하여 전력을 공급하게 되며, 예를 들어 내장형 및 외장형으로 제조하여 다른 제조사의 충전기에 구성된 접속구와의 접속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제조사의 충전기와 관제센터(100)간 통신, 전력 계량, 과부하 방지를 위한 온도측정 및, 피크타임시의 충전 전력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넷째, 전력을 배전하여 다수 개 접속구별로 전력 공급대상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거나 전력 공급량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배전 기능은, 충전기 등 일반 전력공급장치 제조사와 전력 재판매를 통한 수익을 다양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 사업의 수익성을 보장하고, 건물 외부전력 공급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는 등 사업적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관련된 사업으로는 전력 재판매 사업을 통해 본 발명의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한 충전기 및, 외부 전력공급장치 제조 및 설치 업체 등과 수익 분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사업을 위하여는 관제센터(100)와의 연동이 필수적이다.
다섯째, 외부 전력측정장치와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예를 들어, 잔여 전력 측정이 가능하고, 관제센터(100)와의 통신을 통해 접속구가 설치된 건물의 에너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여섯째, 다양한 종류의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에 따라 혹은 기기 설정에 따라 PWM 제어를 통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일곱째, 과열 열화 방지를 위해 접속구에 온도센서를 내장하고, 감지된 온도를 관제센터(100)에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덟째, 네트워크화된 외부 전력측정장치로부터의 전력 정보 수신 및 관제센터(100)로의 전송과 아울러, 이들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고, 관제센터(100)에서는 이들 정보들을 토대로 분석한 각종 통계 지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홉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측정장치와 네트워크화되어 전력량 측정 및 저장, 관제센터(100)로의 전송 및 디스플레이, 관제센터(100)의 건물 전력 배선, 한전 계약 입력 정보와 전력 측정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사용량에 따른 충전 전력량 제어 및, 사용자에 대한 알림 기능과, 이를 통한 사용자 및 전력공급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전력비용 절감 기능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들의 수행을 위하여 본 발명의 전력제어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01)는, 본 발명의 전력 제어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210)는 전력 제어 프로그램이 구비되며, 원격지 관제센터(100) 및 전력측정장치(300)와의 통신을 제어하게 된다. 통신은 전력 제어상황의 실시간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명령신호를 전송받는 행위 등으로 이루어진다.
일실시예에서 통신부(202)는, 관제센터(100) 및 전력측정장치(30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전력 제어 명령을 관제센터(100)로부터 전송받고, 전력 제어정보 및 사용자 인증정보 등을 관제센터(100)로 전송하는 것이다.
통신부(202)는 또한, 사용되고 있는 전력량은 물론, 잔존하는 전력량을 측정정보로서 전력측정장치(3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사용자인증부(203)는,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려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수단이다.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는 통신부(203)를 통해 관제센터(100)로 전송되어 해당 사용자의 전기자동차 충전정보 등과 함께 공유하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배전반(204)은, 다수 개로 구성된 접속구(211)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는 수단으로서, 이들 다수 개 접속구(211)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거나 공급 전력량을 제어하게 된다. 배전반(204)은, 하나의 입력전력을 복수 개로 나누어 출력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기 접속구(211)는, 예를 들어 이미 시설된 전력선을 복수 개의 출력으로 나누어 다른 충전기 또는 다른 전력제어장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배전반(204) 및 접속구(211)는, 충전기(205), 배터리(206), 계량기(207) 등과 연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충전부(205)는, 배터리(206)와 충전대상간, 충전대상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충전 동작(전기 공급)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충전부(205)는, 다양한 종류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충전기에서의 설정에 따라 PWM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충전부(205)는 또한, 피크 타임시의 충전을 제어하는 기능이 부여될 수 있다.
충전부(205)는, 배터리(206), 계량기(207) 등과 연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배터리(206)는, 충전대상들에 대한 전력 공급, 다른 충전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행하는 구성이다.
배터리(206)는 충전기(205), 계량기(207) 등과 연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계량기(207)는, 배터리(206)와 충전대상들간의 충전 전력, 다른 충전기에 대한 전력량을 측정하는 구성이다.
계량기(207)는, 배전반(204), 접속구(212), 충전기(205), 배터리(206) 등과 연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온도센서(208)는, 본 발명 장치 내 온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온도가 정상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적절한 조치(예를 들어, 전력량 조절 및 공급중단)를 통해 장치의 효율적 동작이 보장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온도센서(208)는, 전력 공급시 발생하는 온도상승에 따른 발화 및, 기기 고장 등으로 인한 온도상승을 감지하기 위해 접속구(212)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감지된 온도에 따른 전력 공급 중단 및 전력량 조절을 통한 온도 상승 억제가 제어부(201) 또는 관제센터(10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일실시예에서 메모리(209)는, 전력제어장치(200)에서 행해지는 전력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이다.
일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10)는, 전력제어장치(200)에서 행해지는 전력제어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은, 전력제어장치와 관제센터간 통신에 의해 전력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토대로 관제센터의 제어에 의해 전력 송배전 용량, 전력회사와의 계약내용 및, 평소 사용량 등을 고려하여 피크를 넘지 않도록 충전 전력량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에 필요한 PWM 제어 기능이 구비되므로 본 발명 전력제어장치를 기존에 판매되는 단순한 전력 접속구와 연동시킴으로써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하다. 다만,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해 차량 쪽의 충전 커넥터 표준은 그 차량에 맞는 개별 케이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WM 제어가 적용되지 않는 일반 전력공급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의 구분은 예를 들어, 단말기 조작버튼 및 터치스크린으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도 있고, 사용자 인증을 통해 관제센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등록된 관제센터의 사용자 DB에서 사용 종별을 구분할 수도 있으며, 전력 케이블 연결을 통하여 기기 내에서 자동 체크할 수도 있다.
이들 방법들 모두 관제센터(100)와의 통신을 통해 또는 본 장치 자체 안전 기능을 담보하면서 온도 측정 및 충전이 가능하고, 전력량을 필요에 따라 조절하면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온도센서를 내장함으로써 감지된 온도를 전송받을 수 있고 관제센터(100)에도 전송할 수 있으며, 과열시 단말기 자체 설정 혹은 관제센터(100)와의 연동을 통해 관제센터(100)의 명령을 받아 조절 및 단속할 수도 있다.
또한, V2G를 통해 관제센터(100)와의 통신 및 사용자 설정을 통해 설정된 시간 또는 명령한 시간 및 사용량 등에 맞게 전기자동차에서의 전력 역전송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일반가정 또는 건물 등 수용가에 전력을 역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에 대해서는 선출원 10-2015-0160729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복수의 전력측정장치와 연결하여 전력량 측정 및 저장, 관제센터로의 전송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
또한, 일반가정 또는 건물 수용가의 전력 정보를 원격 모니터링하고, 잔존 전력을 판단하여 전력 재판매가 가능하도록 하며, 수용자와 외부인의 전력 사용을 구분하여 과금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에너지 관리시스템은 건물, 공장 등에 설치된 여타 에너지 관리시스템으로서, 향후 본 발명 관제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해당 건물 전력수요 피크시, 직접 제어를 통해 사용량을 통제하여 전력요금 절감은 물론 안정적 전력 운용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실시간 전력 측정장치는 건물의 전력 입력선에 설치되어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해당 건물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선입력된 관제센터 DB정보와의 매칭을 통해 충전 전류량 등을 직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해당건물의 전력공급 안정성과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단순 전기 접속구와 비통신형 충전장치의 차이는 본 발명의 설치시(충전장치와 연결할 경우 단순 전기접속을 통한 전기공급만을 제공하며, 단순 전기 접속구와 연결할 경우 회원 혹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충전제어를 할지 혹은 단순 전기 공급을 할지를 결정한다.) 충전제어 즉, PWM제어에 의해 통해 단순 전기 접속구를 통해 전기자동차 등을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제어 기능을 수행하거나 혹은 이러한 제어없이 단순히 전력만을 공급하거나 PWM 제어기능이 있는 일반적인 Stand-alone 충전장치에 연결하여 관제센터 모니터링 및 사용자 즉, 회원 인식 기능을 하거나 원격 사용 모니터링 및 전류량 공급 제어를 통해 전력 재판매 사업을 원활히 수행토록 하며, 해당건물의 전력공급 또한 경제적이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ESS 등 축전장치의 연결을 통해 축전장치에 축전된 전력을 본 발명을 통해 충전 및 전력공급에 사용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전기자동차 등의 배터리 내에 저장된 전력을 ESS 등에 축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렇게 축전된 전력은 본 기기와 연결된 ESS 등 축전장치의 기능에 따라 V2G 및 정전시 긴급전력공급과 여타 기기 긴급 충전에 연동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관제센터와 전력거래소 간의 연동을 통해 향후 전력거래소 시장에서 계획 발전이 가능토록 하는바, 전력 소비 계획에 대한 관제센터의 고객 사용에 대한 데이터 분석 후 예측된 사용 전력량의 구체적 데이터를 제시하고 전력의 수급경제를 최대한 효율화하여 본 발명을 통해 선구매한 예측 전력수요에 맞춰 전력 사용량을 제어함으로써, 이제까지의 수요에 맞춘 전력공급 시스템을 (기존까지 논의된 스마트그리드 또한 수요에 대한 예측을 전제로 구성) 공급에 따른 최적화된 수요 모델로 전환가능토록 한다.
100 : 관제센터 200 : 전력제어장치
201 : 제어부 202 : 통신부
203 : 사용자인증부 204 : 배전반
205 : 충전부 206 : 배터리
207 : 계량기 208 : 온도센서
209 : 메모리 210 : 디스플레이
211 : 접속구

Claims (5)

  1. 원격으로 전력 제어를 하는 관제센터; 및
    상기 관제센터에 의한 원격 전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전력 정보를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전력제어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전력제어장치는 충전기 또는 충전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기공급장소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장치는
    전기자동차 PWM 충전부(충전제어부)와,
    다른 장치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접속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장치는
    전력 계량, 배전, 사용자인증 및, 양방향 전력측정 및 이들 측정값을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통신 기능이 가능한 V2G 기능을 추가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다른 충전기 또는 전력공급장치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는
    일반가정 또는 건물 수용가의 사용 전력정보를 실시간으로 원격 모니터링하고, 피크 여유 전력 및 관제센터에 先 입력된 건물 전력 용량을 관 고려하여 계약전력의 범위 내에서 본 기기와 연결된 충전 및 전력 공급장치의 충전 전력 및 공급전력의 전류량을 원격 제어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전력 재판매가 경제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며, 수용가와 외부인의 전력 사용을 구분(고객개별인증)하여 과금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
KR1020160001042A 2016-01-05 2016-01-05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 KR101943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042A KR101943152B1 (ko) 2016-01-05 2016-01-05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042A KR101943152B1 (ko) 2016-01-05 2016-01-05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970A true KR20170081970A (ko) 2017-07-13
KR101943152B1 KR101943152B1 (ko) 2019-01-28

Family

ID=5935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042A KR101943152B1 (ko) 2016-01-05 2016-01-05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1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321B1 (ko) 2020-01-08 2020-11-24 (주)시그넷이브이 V2g 기반 충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2803532A (zh) * 2021-01-13 2021-05-14 新疆西北星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有源电子标签的电源管理***及方法
KR102274605B1 (ko) * 2020-10-16 2021-07-07 (주)에스엔케이 마이크로그리드 연계 가능한 아웃도어 ems를 위한 경관조명형 파워 페데스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374A (ko) 2020-09-22 2022-03-29 (주)비에이에너지 다중 신재생 에너지 발전장치의 운영제어 솔루션을 활용한 전력 판매 플랫폼
KR20240048107A (ko) 2022-10-06 2024-04-15 주식회사 파워큐브코리아 동일 또는 다른 용량의 복수 개 충전기를 통해 접속되는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력분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분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321B1 (ko) 2020-01-08 2020-11-24 (주)시그넷이브이 V2g 기반 충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74605B1 (ko) * 2020-10-16 2021-07-07 (주)에스엔케이 마이크로그리드 연계 가능한 아웃도어 ems를 위한 경관조명형 파워 페데스탈
CN112803532A (zh) * 2021-01-13 2021-05-14 新疆西北星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有源电子标签的电源管理***及方法
CN112803532B (zh) * 2021-01-13 2023-09-22 新疆西北星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有源电子标签的电源管理***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152B1 (ko) 201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152B1 (ko) 전력을 분배하여 충전을 제어하고 전력재판매가 가능한 전력제어시스템
US9153963B2 (en) Electric power control apparatus and grid connection system having same
CN105607511B (zh) 基于evse的能量自动化、管理和保护***与方法
US107636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from an electric vehicle to a dwelling or to an AC power distribution network
US20150248117A1 (en) Distribution board system
US9403441B2 (en) Autonomous management of distribution transformer power load
US98786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load management in a residence
CN103503265B (zh) 能量接口***
US9219361B1 (en) Methods, devices, and mediums associated with power management of electrical devices
US11264807B2 (en) Renewable energy metering system
AU2012247290B2 (en) Power demand management on a low voltage network with a plurality of intelligent sockets
KR20110093531A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2236331A (zh) 家电的电能监控设备
KR20160012355A (ko) 전기자동차 충전 및 역전송 전력 운영시스템
KR101798554B1 (ko) 일체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US11993169B2 (en) Vehicle charging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reof
US11404877B2 (en) Hierarchical power control system
US10749374B2 (en)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method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and power storage device
KR20120080317A (ko) 지능형 전력망 시스템의 통합 전력제어 방법
KR101769468B1 (ko) 스위칭에 의한 입출력 기능이 구비된 전력저장 공급제어 시스템
KR101152530B1 (ko) 지능형 전력망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
KR20200087293A (ko) 멀티 접속구를 갖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충전 제어시스템
KR101792818B1 (ko) 전력 저장 장치
KR101228377B1 (ko) 스마트 그리드를 이용한 전력 제어 시스템
KR20220076548A (ko) 이동형충전기 전용 멀티 접속구를 갖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충전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