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0630A - 안경 렌즈 및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 및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0630A
KR20170080630A KR1020177014635A KR20177014635A KR20170080630A KR 20170080630 A KR20170080630 A KR 20170080630A KR 1020177014635 A KR1020177014635 A KR 1020177014635A KR 20177014635 A KR20177014635 A KR 20177014635A KR 20170080630 A KR20170080630 A KR 20170080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tacle lens
wavelength range
measured
lens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이치 오고
게이지 니시모토
나오미 오가와
Original Assignee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97009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114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4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spectral characteristics for purposes other than sun-prot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02B1/116Multilayers including electrically conduct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7Interference colour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yeglass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렌즈 기재와, 그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및 물체측 표면에 각각 형성된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B(object) 는 1.00 % 이상이고, 또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280 ∼ 3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UV(eye) 는 15.00 % 이하인 안경 렌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안경 렌즈 및 안경{EYEGLASS LENS AND EYEGLASSE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12월 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4-24355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기재는, 여기에 특별히 개시로서 원용된다.
본 발명은, 안경 렌즈, 및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디지털 기기의 모니터 화면은 브라운관으로부터 액정으로 교체되고, 최근에는 LED 액정도 보급되고 있지만, 액정 모니터, 특히 LED 액정 모니터는, 이른바 청색광으로 불리는 파장 430 ∼ 450 ㎚ 정도의 단파장광을 강하게 발광한다. 그 때문에, 디지털 기기를 장시간 사용할 때에 발생하는 안정 (眼精) 피로나 눈의 아픔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청색광에 대해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청색광이란, 파장 430 ∼ 450 ㎚ 의 광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의 점에 관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93689호 또는 영어 패밀리 멤버 US2013/222913A1 (그것들의 전체 기재는, 여기에 특별히 개시로서 원용됨) 에는, 청색광의 파장역을 포함하는 파장 400 ∼ 450 ㎚ 의 광을 반사하는 성질을 갖는 다층막을 갖는 광학 물품이 제안되어 있다.
청색광에 대한 대책에 관하여, 안경 렌즈 표면에 입사되는 청색광을 반사하는 성질을 부여하면, 안경 렌즈를 통하여 착용자의 눈에 입사되는 청색광의 양을 저감시켜,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안경 렌즈의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면, 시장에 있어서의 부가 가치가 보다 높은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 가능함과 함께, 착용감이 양호한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렌즈 기재와, 이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및 물체측 표면에 각각 형성된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B(object) 는 1.00 % 이상이고, 또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280 ∼ 3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UV280-380㎚(eye) 는 15.00 % 이하인 안경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렌즈 기재와, 이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및 물체측 표면에 각각 형성된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B(object) 는 1.00 % 이상이고, 또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295 ∼ 3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UV295-380㎚(eye) 는 20.00 % 이하인 안경 렌즈,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상기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안경 렌즈를 새롭게 알아내기에 이르렀다.
상기 안경 렌즈는,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B(object) 가 1.00 % 이상이다. 이하, 이러한 반사 분광 특성을,「청색광 반사성」이라고도 기재한다.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청색광 반사성을 가짐으로써, LED 액정 모니터 등의 디지털 기기의 모니터 화면으로부터 발광되는 청색광이 안경 착용자의 눈에 입사되는 광량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기기를 장시간 사용할 때에 발생하는 안정 피로나 눈의 아픔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안경 렌즈는,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280 ∼ 3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UV280-380㎚(eye) 가 15.00 % 이하이거나, 또는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295 ∼ 3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UV295-380㎚(eye) 가 20.00 %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안경 렌즈는, RUV280-380㎚(eye) 가 15.00 % 이하인 것, 및 RUV295-380㎚(eye) 가 20.00 % 이하인 것 중 적어도 일방을 만족하는 것이고, 양방을 만족할 수도 있다. 이하, RUV280-380㎚(eye) 가 15.00 % 이하인 것, 및 RUV295-380㎚(eye) 가 20.00 % 이하인 것 중 적어도 일방을 만족하는 반사 분광 특성을,「자외선 저반사성」이라고도 기재한다. 280 ∼ 380 ㎚ 및 295 ∼ 380 ㎚ 의 파장역이란, 자외선의 파장역이다. 안경 착용자의 눈에 입사되는 광은 물체측 표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에 한정되지 않고, 안경 착용자의 후방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안구측 표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이 눈에 입사되는 경우도 있다. 광은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가 강하게 산란되기 쉽기 때문에 눈에 큰 부담을 가한다. 따라서, 청색광보다 단파장광인 자외선은, 청색광보다 눈에 가해지는 부담은 크다. 그러한 자외선이, 안경 착용자의 후방으로부터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입사되어 대부분이 반사되어서는, 안경 착용자의 눈에 많은 자외선이 입사되어 눈에 큰 부담을 가한다. 이에 반하여, 상기 안경 렌즈는, 자외선의 파장역인 상기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을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상기 범위 내로 억제함으로써,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의 자외선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안구측 표면에서 반사되어 눈에 입사되는 자외선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안경 렌즈에 의하면, 안경 렌즈에 전방으로부터 입사되는 청색광 및 후방으로부터 입사되는 자외선의 양방이 눈에 부담을 가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 양태에서는, RB(object) 는, 2.00 % 이상 10.00 % 이하이다.
일 양태에서는,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B(eye) 는, 1.00 % 이상이다. 즉, 일 양태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는, 물체측 표면과 함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도 청색광 반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도 청색광 반사성을 부여하는 것은,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입사되어 물체측 표면에서 반사되지 않고 안경 렌즈 내를 통과한 청색광을, 안구측 표면에서 반사시킴으로써 눈에 입사되는 청색광의 광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청색광 반사성이 부여된 안경 렌즈 표면은 청색을 띠기 때문에, 물체측 표면과 안구측 표면의 양면의 색미 (色味) 의 차이가 적어 외관이 양호한 안경 렌즈로 하는 관점에서도, 물체측 표면과 함께, 안구측 표면에도 청색광 반사성을 부여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일 양태에서는, RB(eye) 는, 2.00 % 이상 10.00 % 이하이다.
일 양태에서는,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380 ∼ 50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최대치는, 400 ∼ 480 ㎚ 의 파장역에 있다. 청색광 반사성을 갖기는 하지만 자외선을 많이 반사하는 표면에 있어서의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반사 분광 스펙트럼은, 청색광의 파장역 (430 ∼ 450 ㎚) 으로부터 자외선의 파장역 (280 ∼ 380 ㎚) 을 향하여 반사율이 커지는 스펙트럼 형상을 갖기 때문에, 380 ㎚ ∼ 50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최대치가, 파장 380 ㎚ 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되는 경향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청색광 반사성과 함께 상기 서술한 자외선 저반사성을 갖는 표면에 있어서의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반사 분광 스펙트럼은, 380 ∼ 50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최대치가, 400 ∼ 480 ㎚ 의 파장역 내의 파장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는,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520 ∼ 5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및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520 ∼ 5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은, 각각 0.60 % 이하이고, 또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580 ∼ 7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및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580 ∼ 7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은, 각각 3.00 % 이하이다.
520 ∼ 580 ㎚ 의 파장역이란, 이른바 녹색광의 파장역이다. 또, 580 ∼ 780 ㎚ 의 파장역이란, 이른바 적색광의 파장역이다. 녹색광의 파장역에서의 반사율이 높은 표면은 녹색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고, 적색광의 파장역에서의 반사율이 높은 표면은 적색을 띠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양면에 청색광 반사성을 부여한 안경 렌즈에 있어서, 녹색광, 적색광의 파장역에서의 반사율이, 일방의 표면에서는 높고, 타방의 표면에서는 낮은 경우에는, 반사율이 높은 표면에서는 청색광 반사성을 부여한 것에 의한 청색에 더하여 녹색이나 적색이 부가되기 때문에, 안경 렌즈의 일방의 표면과 타방의 표면에서 색미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반하여, 상기 안경 렌즈에서는, 일 양태에 있어서, 이들 양 파장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안구측 표면 및 물체측 표면에서 각각 상기와 같이 저감시킴으로써, 안구측 표면과 물체측 표면의 색미의 차이가 적어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는,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 및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은, 각각 400 ∼ 500 ㎚ 의 파장역에 있다. 주파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일 양태에서는, 상기 안구측 표면에 형성된 다층막 및 물체측 표면에 형성된 다층막은, 각각 무기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이 복수 적층된 다층막이다.
일 양태에서는, 상기 다층막은,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과 지르코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이 인접하는 적층 구조를 적어도 1 개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는, 상기 다층막은,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과 니오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이 인접하는 적층 구조를 적어도 1 개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는, 상기 다층막은,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을 적어도 1 층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는, 상기 피막은 증착막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안경 렌즈와, 그 안경 렌즈를 장착한 프레임을 갖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물체측 표면에 청색광 반사성을 갖고, 안구측 표면에 자외선 저반사성을 갖는 안경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예 1, 2, 비교예 1 의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반사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2 는 실시예 3, 비교예 2 의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반사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3 은 실시예 6 의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반사 분광 스펙트럼이다.
[안경 렌즈]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와, 이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및 물체측 표면에 각각 형성된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B(object) 는 1.00 % 이상이고, 또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280 ∼ 3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UV(eye) 는 10.00 % 이하인 안경 렌즈이다.
이하에,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란, 측정 대상 표면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 측정 대상의 파장역에 있어서 임의의 파장마다 (임의의 피치로) 측정된 직입사 반사율의 산술 평균치를 말한다. 측정시에, 측정 파장 간격 (피치) 은, 예를 들어 1 ㎚ ∼ 5 ㎚ 의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또,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반사율 등의 반사 분광 특성은,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안구측 표면이란,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이 착용자에게 착용되었을 때에 안구측에 배치되는 면을 말하고, 물체측 표면이란, 물체측에 배치되는 면을 말한다.
<반사 분광 특성>
(청색광에 대한 반사 분광 특성)
상기 안경 렌즈는,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B(object) 가, 1.00 % 이상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B(eye) 도 1.00 % 이상이다. 즉, 적어도 물체측 표면에, 바람직하게는 안구측 표면 및 물체측 표면에 각각, 430 ∼ 450 ㎚ 의 파장역의 입사광을 반사하는 성질 (청색광 반사성) 을 갖는다. RB(object), RB(eye) 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 이상이다. 상기 평균 반사율이 높을수록,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평균 반사율이 높을수록 안경 렌즈의 청색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적당한 청색을 나타낸 안경 렌즈를 얻는 관점에서는, RB(object), RB(eye) 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10.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 이하이다.
RB(object), RB(eye)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는, RB(object), RB(eye) 는, 안구측 표면의 청색광 반사성이 물체측 표면보다 크고, RB(object) < RB(eye) 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어도 되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자외선에 대한 반사 분광 특성)
자외선 반사성에 관해서, 일 양태에서는,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280 ∼ 3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UV280-380㎚(eye) 는, 15.00 % 이하이다. RUV280-380㎚(eye) 는, 바람직하게는 14.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0 % 이하, 나아가서는 12.00 % 이하, 11.00 % 이하, 10.00 % 이하, 9.00 % 이하, 8.00 % 이하, 7.00 % 이하의 순으로 바람직하다.
또, 자외선 반사성은, 일 양태에서는,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295 ∼ 3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UV295-380㎚(eye) 는, 20.00 % 이하이다. RUV295-380㎚(eye) 는, 바람직하게는 18.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 % 이하이고, 나아가서는 11.00 % 이하, 10.00 % 이하, 9.00 % 이하, 8.00 % 이하, 7.00 % 이하의 순으로 바람직하다.
또, RUV280-380㎚(eye) 및 RUV295-380㎚(eye) 는, 예를 들어 1.00 % 이상이지만, 낮을수록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반사되어 눈에 입사되는 자외선량이 적어져 바람직하기 때문에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물체측 표면의 자외선 반사성에 대해서는,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280 ∼ 3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UV280-380㎚(object) 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RUV280-380㎚(eye) 와 동일해도 되고, 크거나 작아도 된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는, 렌즈 기재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물체측 표면으로부터 입사되는 자외선이 렌즈 기재의 자외선 흡수제에 흡수됨으로써, 자외선의 눈에 대한 입사광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는, 일 양태에서는, 물체측 표면에 안구측 표면보다 큰 자외선 반사성을 부여하여, RUV280-380㎚(object) > RUV280-380㎚(eye) 로 할 수도 있다. 이로써 물체측 표면으로부터 입사되는 자외선을,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반사시킴으로써, 자외선의 눈에 대한 입사광량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RUV280-380㎚(object) 는, 예를 들어, 16.00 % 이상, 18.00 % 이상, 0.00 % 이상, 25.00 % 이상 또는 30.00 % 이상일 수 있고, 또 50.00 % 이하일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일 양태에서는, RUV280-380㎚(object) 를, RUV280-380㎚(eye) 에 대해 상기 서술한 범위로 할 수도 있다.
또, 물체측 표면의 자외선 반사성에 대해,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295 ∼ 3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UV295-380㎚(object) 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RUV295-380㎚(eye) 와 동일해도 되고, 크거나 작아도 된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는, 렌즈 기재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물체측 표면으로부터 입사되는 자외선이 렌즈 기재의 자외선 흡수제에 흡수됨으로써, 자외선의 눈에 대한 입사광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는, 일 양태에서는, 물체측 표면에 안구측 표면보다 큰 자외선 반사성을 부여하고, RUV295-380㎚(object) > RUV295-380㎚(eye) 로 할 수도 있다. 이로써 물체측 표면으로부터 입사되는 자외선을,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반사시킴으로써, 자외선의 눈에 대한 입사광량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RUV295-380㎚(object) 는, 예를 들어, 21.00 % 이상, 22.00 % 이상, 25.00 % 이상 또는 30.00 % 이상일 수 있고, 또 50.00 % 이하일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일 양태에서는 RUV295-380㎚(object) 를 RUV295-380㎚(eye) 에 대해 상기 서술한 범위로 할 수도 있다.
(녹색광에 대한 반사 분광 특성, 적색광에 대한 반사 분광 특성)
520 ∼ 580 ㎚ 의 녹색광의 파장역의 입사광을 반사하는 성질에 대해서는, 안구측 표면, 물체측 표면의 적어도 일방, 바람직하게는 양방에 있어서 측정되는, 520 ∼ 5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0.6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520 ∼ 5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은, 예를 들어 0.10 % 이상이지만, 낮을수록 녹색의 색미를 저감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기 때문에, 하한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580 ∼ 780 ㎚ 의 적색광의 파장역의 입사광을 반사하는 성질에 대해서는, 안구측 표면, 물체측 표면의 적어도 일방, 바람직하게는 양방에 있어서 측정되는, 580 ∼ 7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3.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580 ∼ 7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은, 예를 들어 0.50 % 이상이지만, 낮을수록 적색을 저감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기 때문에, 하한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파장)
주파장이란, 사람의 눈으로 느끼는 광의 색의 파장을 수치화한 지표로서, JIS Z 8701 에 따라 산출된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안경 렌즈는, 적어도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이 400 ∼ 500 ㎚ 의 파장역에 있는 것이, 청색광 반사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도 400 ∼ 500 ㎚ 의 파장역에 있으면, 물체측 표면, 안구측 표면에서 색미의 차이가 적어 외관이 양호한 안경 렌즈가 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물체측 표면과 안구측 표면에서 색미의 차이가 적은 것은, 안경 렌즈의 외관이 양호해지는 것에 더하여, 착용감 향상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추찰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안경 착용자의 후방으로부터 입사된 후에 반사되어 반사광으로서 눈에 입사되는 반사광에는, 안구측 표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에 더하여, 안구측 표면에서 반사되지 않고 안경 렌즈 내를 통과한 후에 물체측 표면에서 반사되고 복귀광이 되어 안구측 표면으로부터 출사되어 눈에 입사되는 광이 있다. 각각의 반사광의 색미 (반사 이미지색) 가 크게 다르면, 안경 착용자는 위화감을 느낀다. 이하에 있어서, 이와 같은 상이한 반사 이미지색이 관찰되는 것을, 반사 이중 이미지로 기재한다. 따라서, 위화감을 저감시킴으로써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물체측 표면과 안구측 표면의 색미의 차이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물체측 표면과 안구측 표면의 청색광 ∼ 가시광 영역의 광에 대한 반사 분광 특성의 차이는, 반사 이미지색의 차이를 초래하기 때문에, 물체측 표면과 안구측 표면의 양 표면에 있어서, 청색광, 녹색광 및 적색광의 3 종의 광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광, 바람직하게는 2 종의 광,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종의 광에 대한 반사 분광 특성을, 각각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조정하는 것은, 착용감의 추가적인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안경 렌즈의 구성>
상기 안경 렌즈에 있어서,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및 물체측 표면에 각각 형성된 다층막은, 안경 렌즈에 상기의 반사 분광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다층막은, 렌즈 기재의 표면 상에, 직접 또는 1 층 이상의 다른 층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형성된다. 렌즈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메트)아크릴 수지를 비롯한 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알릴 수지,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수지 (CR-39) 등의 알릴카보네이트 수지, 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하이드록시 화합물의 반응으로 얻어진 우레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반응시킨 티오우레탄 수지, 분자 내에 1 개 이상의 디술파이드 결합을 갖는(티오)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지는 투명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무기 유리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렌즈 기재로는, 염색되어 있지 않은 것 (무색 렌즈) 을 사용해도 되고, 염색되어 있는 것 (염색 렌즈) 을 사용해도 된다. 렌즈 기재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1.60 ∼ 1.75 정도이다. 단 렌즈 기재의 굴절률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의 범위 내여도 되고, 상기의 범위로부터 상하로 떨어져 있어도 된다.
상기 안경 렌즈는, 단초점 렌즈, 다초점 렌즈, 누진 굴절력 렌즈 등의 각종 렌즈일 수 있다. 렌즈의 종류는, 렌즈 기재의 양면의 면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또, 렌즈 기재 표면은, 볼록면, 오목면, 평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통상적인 렌즈 기재 및 안경 렌즈에서는, 물체측 표면은 볼록면, 안구측 표면은 오목면이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반사 분광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다층막은, 렌즈 기재 표면에 직접 형성해도 되고, 1 층 이상의 다른 층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렌즈 기재와 상기 다층막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층으로는, 예를 들어, 하드 코트층 (이하,「하드 코트」라고도 기재한다) 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을 형성함으로써, 안경 렌즈에 방상성 (내찰상성) 을 부여할 수 있고, 또 안경 렌즈의 내구성 (강도) 을 높일 수도 있다. 하드 코트층의 상세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28135호 단락 0025 ∼ 0028, 0030 을 참조할 수 있다. 또, 렌즈 기재와 상기 피막 사이에는, 밀착성 향상을 위한 프라이머층을 형성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의 상세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28135호 단락 0029 ∼ 0030 을 참조할 수 있다.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상, 물체측 표면 상에 각각 형성하는 다층막은, 이들 다층막을 갖는 안경 렌즈 표면에 앞서 기재한 반사 분광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다층막은, 바람직하게는,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을 순차 적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막 재료의 굴절률과, 반사해야 할 광이나 반사를 저감시켜야 할 광의 파장에 기초하여, 공지된 수법에 의한 광학적 시뮬레이션에 의해 각 층의 막두께를 결정하고, 결정한 막두께가 되도록 정한 성막 조건 하에서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을 순차 적층함으로써, 상기 다층막을 형성할 수 있다. 성막 재료로는, 무기 재료여도 되고, 유기 재료여도 되고, 유기 무기 복합재료여도 되며, 성막이나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무기 재료가 바람직하다. 성막 재료의 종류, 막두께, 적층 순서 등을 조정함으로써, 청색광, 자외선, 녹색광, 적색광의 각각에 대한 반사 분광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고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고굴절률 재료로는, 지르코늄 산화물 (예를 들어 ZrO2), 탄탈 산화물 (Ta2O5), 티탄 산화물 (예를 들어 TiO2), 알루미늄 산화물 (Al2O3), 이트륨 산화물 (예를 들어 Y2O3), 하프늄 산화물 (예를 들어 HfO2), 및 니오브 산화물 (예를 들어 Nb2O5)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산화물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한편,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저굴절률 재료로는 규소 산화물 (예를 들어 SiO2), 불화마그네슘 (예를 들어 MgF2) 및 불화바륨 (예를 들어 BaF2)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산화물 또는 불화물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시에서는, 편의상, 산화물 및 불화물을 화학량론 조성으로 표시했지만, 화학량론 조성으로부터 산소 또는 불소가 결손되거나 혹은 과다한 상태에 있는 것도, 고굴절률 재료 또는 저굴절률 재료로서 사용 가능하다.
다층막에 포함되는 각 층의 막두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광학적 시뮬레이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다층막의 층 구성으로는, 예를 들어, 렌즈 기재측으로부터 렌즈 최표면측을 향하여,
제 1 층 (저굴절률층)/제 2 층 (고굴절률층)/제 3 층 (저굴절률층)/제 4 층 (고굴절률층)/제 5 층 (저굴절률층)/제 6 층 (고굴절률층)/제 7 층 (저굴절률층) 의 순으로 적층된 구성 ;
제 1 층 (고굴절률층)/제 2 층 (저굴절률층)/제 3 층 (고굴절률층)/제 4 층 (저굴절률층)/제 5 층 (고굴절률층)/제 6 층 (저굴절률층) 의 순으로 적층된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의 조합의 일례로는,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과 지르코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의 조합,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과 니오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의 조합을 들 수 있고, 이들 2 층의 피막이 인접하는 적층 구조를 적어도 1 개 포함하는 다층막을, 다층막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각 층은, 상기 서술한 고굴절률 재료 또는 저굴절률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이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피막에 있어서 가장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는 전체의 50 질량% 정도 ∼ 100 질량%, 나아가서는 90 질량% 정도 ∼ 100 질량% 를 차지하는 성분이다. 상기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막 재료 (예를 들어 증착원) 를 사용하여 성막을 실시함으로써, 그러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성막 재료에 관한 주성분도, 상기와 동일하다. 피막 및 성막 재료에는, 불가피적으로 혼입되는 미량의 불순물이 함유되는 경우가 있고, 또 주성분이 하는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 예를 들어 다른 무기 물질이나 성막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공지된 첨가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성막은, 공지된 성막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성막의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증착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증착에는, 건식법,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이온 플레이팅법, 스퍼터링법 등이 포함된다. 진공 증착법에서는, 증착 중에 이온 빔을 동시에 조사하는 이온 빔 어시스트법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의 다층막은, 이상 설명한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에 더하여,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증착원을 사용하는 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1 층 이상의 도전성 산화물층을, 다층막의 임의의 위치에 포함할 수도 있다. 도전성 산화물로는, 안경 렌즈의 투명성의 관점에서, 인듐 산화물, 주석 산화물, 아연 산화물, 티탄 산화물, 및 이것들의 복합 산화물 등의 일반적으로 투명 도전성 산화물로서 알려진 각종 도전성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성 및 도전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한 도전성 산화물로는, 주석 산화물, 인듐-주석 산화물 (ITO) 을 들 수 있다. 도전성 산화물층을 포함함으로써, 안경 렌즈가 대전되어 티끌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층막상에 추가적인 기능성 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한 기능성 막으로는, 발수성 또는 친수성의 방오막, 방담막, 편광막, 조광막 등의 각종 기능성 막을 들 수 있다. 이들 기능성 막에 대해서는, 모두 공지 기술을 아무런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안경]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상기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안경 렌즈와, 이 안경 렌즈를 장착한 프레임을 갖는 안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안경 렌즈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서술한 바와 같다. 그 밖의 안경의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나타내는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있어서, 굴절률이란, 파장 500 ㎚ 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다.
[실시예 1 ∼ 3, 비교예 1, 2]
양면이 광학적으로 마무리되고 미리 하드 코트가 실시된,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인 플라스틱 렌즈 기재 (표 2, 3 참조, 무색 렌즈) 의 볼록면측 (물체측) 의 하드 코트 표면에,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사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합계 8 층의 다층 증착막을 순차 형성하였다. 표 2, 3 에 나타내는 렌즈 기재는, 굴절률 1.60 인 것은 HOYA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EYAS, 굴절률 1.67 인 것은 HOYA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EYNOA 이다.
오목면측 (안구측) 의 하드 코트 표면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합계 8 층의 다층 증착막을 적층하여 안경 렌즈를 얻었다.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는, 볼록면측, 오목면측 모두, 다층 증착막은, 렌즈 기재측 (하드 코트측) 으로부터 안경 렌즈 표면을 향하여, 표 1 에 나타내는 증착원을 사용하여 제 1 층, 제 2 층 … 의 순으로 적층하고, 안경 렌즈 표면측 최외층이 제 8 층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는, 불가피적으로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불순물을 제외하면 하기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증착원을 사용하였다. 각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하기 층의 1 층 이상의 막두께를 변경함으로써, 반사 분광 특성을 제어하였다.
비교예 1, 2 에서는,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 동일한 구성의 다층 증착막을 형성하였다.
한편, 실시예 1, 2 에서는, 물체측 표면에는 비교예 1 에서 제작한 다층 증착막을 형성하고, 이것과는 상이한 다층 증착막을 안구측 표면에 형성하였다.
실시예 3 에서는, 물체측 표면에는 비교예 2 에서 제작한 다층 증착막을 형성하고, 이것과는 상이한 다층 증착막을 안구측 표면에 형성하였다.
Figure pct00001
<평가 방법>
1. 반사 분광 특성의 측정
실시예 1 ∼ 3, 비교예 1, 2 의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볼록면측), 안구측 표면 (오목면측) 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 히타치 제작소 제조 분광 광도계 U4100 을 사용하여, 280 ∼ 7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피치 : 1 ㎚). 비측정면으로부터의 반사를 억제하기 위하여, JIS T 7334 의 5.2 절과 같이, 비측정면은 광택이 없는 흑색으로 도장하였다. 도 1 에 실시예 1, 2, 비교예 1 의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반사 분광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 에, 실시예 3, 비교예 2 의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반사 분광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측정 결과로부터, 표 2, 3 에 나타내는 각종 반사 분광 특성을 구하였다. 표 2, 3 에 나타내는 주파장은, 측정 결과로부터 JIS Z 8701 에 따라 산출하였다.
2. 반사 이중 이미지 (반사 이미지색의 차이) 평가
실시예 1 ∼ 3, 비교예 1, 2 의 안경 렌즈를, 암실에 있어서 형광등 하 30 ㎝ 의 위치에서 안구측으로부터 관찰하고, 반사 이중 이미지의 발생 유무·정도를 관찰자의 눈에 의해,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관능 평가하였다.
A : 반사 이중 이미지가 관찰되지 않거나,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B : 반사 이중 이미지가 관찰된다 (A 보다 중도 (重度)).
C : 반사 이중 이미지가 현저하게 관찰된다.
이상의 결과를 표 2, 3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비교예 1, 2 의 안경 렌즈는,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280 ∼ 3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UV(eye) 가 10.00 % 를 초과하는 안경 렌즈이다. 이와 같은 안경 렌즈는, 안경 착용자의 후방으로부터 입사되어 안구측 표면에서 반사되어 눈에 입사되는 자외선량이 많음으로써, 장시간 착용시의 안정 피로나 눈의 아픔을 일으키기 쉽다.
실시예 1 ∼ 3 의 안경 렌즈는, 모두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청색광 반사성을 갖고,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자외선 저반사성을 갖는 안경 렌즈이다. 또한 실시예 1, 3 의 안경 렌즈는,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자외선 저반사성과 함께 청색광 반사성을 갖는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2 의 안경 렌즈는, 안구측 표면에는 청색광 반사성을 갖지 않는 안경 렌즈이다. 이러한 안경 렌즈에 의하면, 안경 렌즈에 전방으로부터 입사되는 청색광 및 후방으로부터 입사되는 자외선의 양방이 눈에 부담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표 2,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3 의 안경 렌즈에서는, 실시예 2 의 안경 렌즈와 비교하여 반사 이중 이미지의 발생이 억제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외관 관찰하면, 실시예 2 의 안경 렌즈는, 물체측 표면은 청색을 띠고 안구측 표면은 녹색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1, 3 의 안경 렌즈는, 물체측 표면, 안구측 표면 모두 청색을 나타내고 있고, 양 표면에서의 색미의 차이가 적어 외관이 양호하였다.
[실시예 4 ∼ 6, 비교예 3]
양면이 광학적으로 마무리되고 미리 하드 코트가 실시된,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인 플라스틱 렌즈 기재 (표 4 ∼ 7 참조, 무색 렌즈) 의 볼록면측 (물체측) 의 하드 코트 표면에,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사용하여, 실시예 4, 5 및 비교예 3 에서는 합계 8 층, 실시예 6 에서는 합계 7 층의 다층 증착막을,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적층하였다. 표 4 ∼ 7 에 나타내는 렌즈 기재는, 굴절률 1.60 인 것은 HOYA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EYAS, 굴절률 1.67 인 것은 HOYA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EYNOA 이다. 또, 각 렌즈 기재에는, 표 4 ∼ 7 에 나타내는 굴절률의 하드 코트 (HC) 가 표 4 ∼ 7 에 나타내는 막두께로, 양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었다.
오목면측 (안구측) 의 하드 코트 표면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예 4, 5 및 비교예 3 에서는 합계 8 층, 실시예 6 에서는 합계 7 층의 다층 증착막을,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적층하여 안경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4 ∼ 6, 비교예 3 에서는 볼록면측, 오목면측 모두, 다층 증착막은, 렌즈 기재측 (하드 코트측) 으로부터 안경 렌즈 표면을 향하여, 표 4 ∼ 7 에 나타내는 증착원을 사용하여 제 1 층, 제 2 층 … 의 순으로 적층하고, 실시예 4, 5 및 비교예 3 에서는 제 8 층이, 실시예 6 에서는 제 7 층이 안경 렌즈 표면측 최외층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실시예 4 ∼ 6, 비교예 3 에서는, 불가피적으로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불순물을 제외하면 표 3 에 나타내는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증착원을 사용하고, 표 4 ∼ 7 에 나타내는 막두께의 증착막을 순차 형성하여 다층 증착막을 얻었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평가 방법>
1. 반사 분광 특성의 측정
실시예 4 ∼ 6, 비교예 3 의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볼록면측), 안구측 표면 (오목면측) 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 히타치 제작소 제조 분광 광도계 U4100 을 사용하여, 280 ∼ 7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피치 : 1 ㎚). 비측정면으로부터의 반사를 억제하기 위하여, JIS T 7334 의 5.2 절과 같이, 비측정면은 광택이 없는 흑색으로 도장하였다. 측정에 의해 얻어진 반사 분광 스펙트럼으로부터, 표 8 에 나타내는 각종 반사 분광 특성을 구하였다. 표 8 에 나타내는 주파장은, 측정 결과로부터 JIS Z 8701 에 따라 산출하였다. 도 3 에 실시예 6 의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반사 분광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비교예 3 의 안경 렌즈는,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280 ∼ 3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UV280-380㎚(eye) 가 15.00 % 를 초과하고,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295 ∼ 3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UV295-380㎚(eye) 가 20.00 % 를 초과하는 안경 렌즈이다. 이와 같은 안경 렌즈는, 안경 착용자의 후방으로부터 입사되어 안구측 표면에서 반사되어 눈에 입사되는 자외선량이 많음으로써, 장시간 착용시의 안정 피로나 눈의 아픔을 일으키기 쉽다.
실시예 4 ∼ 6 의 안경 렌즈는, 모두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청색광 반사성을 갖고,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자외선 저반사성을 갖는 안경 렌즈이다. 이러한 안경 렌즈에 의하면, 안경 렌즈에 전방으로부터 입사되는 청색광 및 후방으로부터 입사되는 자외선의 양방이 눈에 부담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실시예 4 ∼ 6 의 안경 렌즈에 대해, 실시예 1 ∼ 3, 비교예 1, 2 의 평가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 이중 이미지 (반사 이미지색의 차이) 평가를 실시한 바, 모두 평가 결과는 A 였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 에 의해 나타내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안경 렌즈 및 안경의 제조 분야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13)

  1. 렌즈 기재와, 그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및 물체측 표면에 각각 형성된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B(object) 는 1.00 % 이상이고, 또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280 ∼ 3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UV(eye) 는 15.00 % 이하인, 안경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RB(object) 는, 2.00 % 이상 10.00 % 이하인, 안경 렌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430 ∼ 45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RB(eye) 는, 1.00 % 이상인, 안경 렌즈.
  4. 제 3 항에 있어서,
    RB(eye) 는, 2.00 % 이상 10.00 % 이하인, 안경 렌즈.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380 ∼ 50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최대치는, 400 ∼ 480 ㎚ 의 파장역에 있는, 안경 렌즈.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520 ∼ 5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및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520 ∼ 5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은, 각각 0.60 % 이하이고, 또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580 ∼ 7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 및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580 ∼ 7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은, 각각 3.00 % 이하인, 안경 렌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 및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은, 각각 400 ∼ 500 ㎚ 의 파장역에 있는, 안경 렌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측 표면에 형성된 다층막 및 물체측 표면에 형성된 다층막은, 각각 무기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이 복수 적층된 다층막인, 안경 렌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막은,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과 지르코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이 인접하는 적층 구조를 적어도 1 개 포함하는, 안경 렌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막은,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과 니오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이 인접하는 적층 구조를 적어도 1 개 포함하는, 안경 렌즈.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막은,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을 적어도 1 층 포함하는, 안경 렌즈.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은, 증착막인, 안경 렌즈.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경 렌즈와, 그 안경 렌즈를 장착한 프레임을 갖는, 안경.
KR1020177014635A 2014-12-01 2015-12-01 안경 렌즈 및 안경 KR20170080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7009801A KR102326114B1 (ko) 2014-12-01 2015-12-01 안경 렌즈 및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43559 2014-12-01
JPJP-P-2014-243559 2014-12-01
PCT/JP2015/083783 WO2016088763A1 (ja) 2014-12-01 2015-12-01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801A Division KR102326114B1 (ko) 2014-12-01 2015-12-01 안경 렌즈 및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630A true KR20170080630A (ko) 2017-07-10

Family

ID=560917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801A KR102326114B1 (ko) 2014-12-01 2015-12-01 안경 렌즈 및 안경
KR1020177014635A KR20170080630A (ko) 2014-12-01 2015-12-01 안경 렌즈 및 안경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801A KR102326114B1 (ko) 2014-12-01 2015-12-01 안경 렌즈 및 안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90944B2 (ko)
EP (1) EP3229060B1 (ko)
JP (1) JP6530765B2 (ko)
KR (2) KR102326114B1 (ko)
CN (1) CN107003545B (ko)
AU (2) AU2015356057B2 (ko)
CA (1) CA2969346C (ko)
WO (1) WO20160887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8674A (ko) * 2018-09-20 2021-04-07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짙은 적색, 근적외선, 및 가시 범위에서 반사가 감소된 광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1746B2 (en) * 2014-02-25 2016-03-22 iCoat Company, LLC Visible spectrum anti-reflective coatings with reduced reflections in ultraviolet and infrared spectral bands
KR20180078328A (ko) * 2016-08-22 2018-07-09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안경 렌즈 및 안경
JP6473282B1 (ja) * 2017-09-29 2019-02-20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JP6473281B1 (ja) * 2017-09-29 2019-02-20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WO2019065985A1 (ja) * 2017-09-29 2019-04-04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JP6873880B2 (ja) * 2017-09-29 2021-05-19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AU2018334589B2 (en) 2017-09-29 2020-03-26 Hoya Lens Thailand Ltd.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JP7265983B2 (ja) 2017-11-24 2023-04-27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JP7303613B2 (ja) 2018-06-29 2023-07-05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KR102618674B1 (ko) * 2018-07-31 2023-12-27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광학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WO2020067407A1 (ja) * 2018-09-28 2020-04-02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
WO2020067408A1 (ja) * 2018-09-28 2020-04-02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
EP3859437A4 (en) * 2018-09-28 2022-06-29 Hoya Lens Thailand Ltd. Spectacle lens
WO2023120117A1 (ja) 2021-12-22 2023-06-29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眼鏡レンズ、及び眼鏡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5892C1 (de) * 1985-07-19 1986-10-02 Optische Werke G. Rodenstock, 8000 München Reflexionsvermindernder Belag fuer ein optisches Element aus organischem Material
US6793339B1 (en) * 1997-10-21 2004-09-21 Sola-International Holdings, Ltd. Coated sunglass lens
JP4524877B2 (ja) * 2000-07-17 2010-08-18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眼鏡用レンズ
CN101595421A (zh) 2006-11-28 2009-12-02 高性能光学公司 提供改进的对比灵敏度的高性能选择性光波长过滤
JP2012093689A (ja) 2010-09-29 2012-05-17 Nikon-Essilor Co Ltd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73076B2 (ja) * 2010-09-29 2013-03-27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968774B1 (fr) * 2010-12-10 2013-02-08 Essilor Int Article d'optique comportant un revetement antireflet a faible reflexion dans le domaine ultraviolet et le domaine visible
JP2012128135A (ja) 2010-12-15 2012-07-05 Seiko Epson Corp 光学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69195B2 (ja) 2011-10-31 2016-08-17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CN104115037B (zh) * 2012-02-17 2016-03-02 株式会社尼康依视路 光学部件、眼镜透镜及其制造方法
CA2873596C (fr) 2012-05-16 2021-05-04 Essilor International(Compagnie Generale D'optique) Lentille ophtalmique reduisant les effets de la lumiere bleue
EP2902817B2 (en) 2012-09-28 2023-09-27 Nikon-Essilor Co., Ltd. Optical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FR2996930B1 (fr) * 2012-10-11 2017-11-24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photochromique
US9377424B2 (en) * 2013-01-17 2016-06-28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Methods of detecting latent stains on a surface
JP2015007695A (ja) 2013-06-25 2015-01-15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
JP6253009B2 (ja) * 2013-08-28 2017-12-27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及び眼鏡レン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8674A (ko) * 2018-09-20 2021-04-07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짙은 적색, 근적외선, 및 가시 범위에서 반사가 감소된 광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90944B2 (en) 2020-06-23
AU2018264041A1 (en) 2018-12-06
EP3229060A1 (en) 2017-10-11
JP6530765B2 (ja) 2019-06-12
CN107003545A (zh) 2017-08-01
EP3229060B1 (en) 2023-08-16
JPWO2016088763A1 (ja) 2017-09-14
CN107003545B (zh) 2020-03-24
CA2969346C (en) 2021-03-23
KR20190039621A (ko) 2019-04-12
KR102326114B1 (ko) 2021-11-15
AU2015356057A1 (en) 2017-06-29
WO2016088763A1 (ja) 2016-06-09
EP3229060A4 (en) 2018-07-18
KR102326114B9 (ko) 2023-06-26
US20170299896A1 (en) 2017-10-19
AU2015356057B2 (en) 2018-08-16
AU2018264041B2 (en) 2019-07-04
CA2969346A1 (en)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0765B2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KR101941798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KR102189657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JP7136909B2 (ja) 眼鏡レンズ
JP7136907B2 (ja) 眼鏡レンズ
JP7136908B2 (ja) 眼鏡レンズ
JP7303613B2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15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05

Effective date: 202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