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595A - 완충기 - Google Patents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595A
KR20170078595A KR1020177006965A KR20177006965A KR20170078595A KR 20170078595 A KR20170078595 A KR 20170078595A KR 1020177006965 A KR1020177006965 A KR 1020177006965A KR 20177006965 A KR20177006965 A KR 20177006965A KR 20170078595 A KR20170078595 A KR 20170078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hamber
passage
damping forc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332B1 (ko
Inventor
미키오 야마시타
구니오 다키구치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8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2Throttling passages operating with metering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85Bitub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21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57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in twin-tube typ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5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supporting elements intended to guide or limit the movement of the annular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16F9/486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comprising a pin or stem co-operating with an aperture, e.g. a cylinder-mounted stem co-operating with a hollow piston r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18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완충기(1)는, 피스톤(15, 16)에 의해서 형성되는 중간실(19)과, 상부실(18)과 중간실(19) 사이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105)와, 하부실(20)와 중간실(19) 사이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20)와, 피스톤(15, 16)의 위치에 따라서, 상부실(18) 및 하부실(20) 사이를 연통시키는 상태와, 상부실(18) 및 중간실(19)사이를 연통시키는 상태와, 하부실(20) 및 중간실(19) 사이를 연통시키는 상태로 통로(32, 132)의 상태를 바꾸는 위치 감응 기구(175)를 갖는다.

Description

완충기{DAMPER}
본 발명은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4년 10월 31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14-223501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완충기에는 피스톤 위치에 따라서 감쇠력이 전환되는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평2-168038호 공보
감쇠력의 설정 자유도를 높일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감쇠력의 설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완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완충기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상부실 및 하부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를 갖는다. 이 완충기는, 상기 피스톤에 의해서 형성되는 중간실과, 상기 상부실과 상기 중간실 사이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하부실과 상기 중간실 사이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피스톤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상부실 및 상기 하부실 사이를 연통시키는 상태와, 상기 상부실 및 상기 중간실 사이를 연통시키는 상태와, 상기 하부실 및 상기 중간실 사이를 연통시키는 상태로 통로의 상태를 바꾸는 위치 감응 기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완충기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적어도 한쪽이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상부실, 중간실 및 하부실로 구획하는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과,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실 및 상기 중간실 사이와, 상기 중간실 및 상기 하부실 사이를 작동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하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제1 통로를 흐르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와,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제1 통로를 흐르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와, 상기 제1 통로와는 별도로 상기 상부실, 상기 중간실 및 상기 하부실을 연통하는 제2 통로와, 상기 제2 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위치에 의해 상기 상부실 및 상기 중간실 사이의 작동 유체의 유로 면적을 조정하는 제1 조정부와, 상기 제2 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위치에 의해 상기 하부실 및 상기 중간실 사이의 작동 유체의 유로 면적을 조정하는 제2 조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조정부 및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은,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중립 위치를 포함하는 제1 소정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제1 조정부의 유로 면적 및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함께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상기 제1 소정 범위를 넘어 최대 길이 측의 제2 소정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제1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작이지며 또한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상기 제1 소정 범위를 넘어 최소 길이 측의 제3 소정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작아지며 또한 상기 제1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커지되록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피스톤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는,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신장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류 측에 위치하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에서 발생하는 감쇠력이 하류 측에 위치하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에서 발생하는 감쇠력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1 피스톤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는,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수축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류 측에 위치하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에서 발생하는 감쇠력이 하류 측에 위치하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에서 발생하는 감쇠력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상기 제2 소정 범위를 넘어 최대 길이 측에 있을 때와,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상기 제3 소정 범위를 넘어 최소 길이 측에 있을 때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을 때, 상기 제1 조정부의 유로 면적 및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함께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조정부의 유로 면적 및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은 미터링 핀에 의해 조정되어도 좋다. 상기 미터링 핀은, 상기 제1 조정부 및 상기 제2 조정부 사이의 축 방향 길이보다도 길게 뻗는 축경부를 가지고서 상기 제1 소정 범위를 규정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조정부의 유로 면적 및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은, 상기 실린더의 내주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축 방향 홈에 의해 조정되어도 좋다. 상기 축 방향 홈은, 상기 제1 조정부 및 상기 제2 조정부 사이의 축 방향 길이보다도 길게 뻗어 상기 제1 소정 범위를 규정하여도 좋다.
상기한 완충기에 따르면, 감쇠력의 설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주요부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특성을 도시하는 선도로, (a)는 피스톤의 스트로크 위치에 대한 가변 오리피스의 면적을 도시하고, (b)는 피스톤의 스트로크 위치에 대한 감쇠력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특성 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피스톤 속도별 피스톤의 스트로크 위치에 대한 감쇠력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특성 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를 탑재한 차량의 장파형로 주행 시의 스프링 상 가속도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특성 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를 탑재한 차량의 더블 레인 체인지 시의 요 레이트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특성 선도로, (b)는 (a)의 B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내통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면의 아래쪽을 「하측」이라고 하고, 반대로 도의 위쪽을 「상측」이라고 하여 정의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위치 감응의 감쇠력 조정식의 완충기이다. 완충기(1)는, 작동 유체로서의 유액이 봉입되는 실린더(2)와, 실린더(2)의 제1 단부를 덮는 커버(3)와, 실린더(2)의 제2 단부에 고정되는 마운팅 아이(4)를 갖고 있다. 완충기(1)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소위 복통형의 유압 완충기이다. 실린더(2)는, 원통형의 내통(5)과, 내통(5)보다도 대직경이며 내통(5)을 덮도록 동심형으로 설치되는 바닥을 지닌 원통형의 외통(6)을 갖고 있다. 내통(5)과 외통(6) 사이의 공간은 리저버실(7)을 구성한다.
외통(6)은, 실질적 원통형의 몸통 부재(8)와, 몸통 부재(8)의 제1 단부인 하부에 감합 고정되어 몸통 부재(8)의 하단 개구부를 폐색하는 바닥 부재(9)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마운팅 아이(4)는, 바닥 부재(9)의 몸통 부재(8)와는 반대쪽에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커버(3)는 외통(6)의 상부 개구를 덮고 있다. 커버(3)는, 통형부(10)와 통형부(10)의 상단에서 직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내측 플랜지부(11)를 갖고 있다. 커버(3)는, 몸통 부재(8)의 바닥 부재(9)와는 반대쪽의 상단 개구부에 씌워져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커버(3)에는, 통형부(10)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오목형부(12)가 직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록 형성되어 있다. 오목형부(12)의 내측에 몸통 부재(8)의 상단 개구부가 감합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내통(5) 내에는, 제1 피스톤(15)과, 제1 피스톤보다도 바닥 부재(9) 측의 제2 피스톤(16)의 2개의 피스톤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장착되어 있다. 내통(5) 내에 설치된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은, 내통(5) 내부를 제1 피스톤(15)보다도 제2 피스톤(16)과는 반대쪽의 상부실(18)과, 제1 피스톤(15)과 제2 피스톤(16) 사이의 중간실(19)과, 제2 피스톤(16)보다도 제1 피스톤(15)과는 반대쪽의 하부실(20)의 3실로 구획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내통(5) 내에는, 제1 피스톤(15)에 의해 상부실(18)이 형성되고,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에 의해 중간실(19)이 형성되고, 제2 피스톤(16)에 의해 하부실(20)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5) 내의 상부실(18), 중간실(19) 및 하부실(20) 각각의 내부에는 작동 유체로서의 유액이 봉입된다. 내통(5)과 외통(6) 사이의 리저버실(7) 내에는 작동 유체로서의 유액과 가스가 봉입된다.
실린더(2) 내에는 피스톤 로드(21)의 제1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의 제2 단부는 실린더(2) 외부로 연장된다.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은, 피스톤 로드(21)의 실린더(2) 내의 제1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은 피스톤 로드(21)와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내통(5) 내의 제1 피스톤(15)과 제2 피스톤(16) 사이의 중간실(19)도 피스톤 로드(21)와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내통(5) 및 외통(6)의 일단 개구에는 로드 가이드(22)가 감합되어 있다. 외통(6)에는 로드 가이드(22)보다도 실린더(2)의 더 외부에 시일 부재(23)가 장착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22) 및 시일 부재(23)는 모두 환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로드 가이드(22)의 내측 및 시일 부재(23)의 내측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실린더(2)의 외부로 연장된다.
로드 가이드(22)는, 피스톤 로드(21)를, 피스톤 로드(21)의 직경 방향 이동을 규제하면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피스톤 로드(21)의 이동을 안내한다. 시일 부재(23)의 내주부는,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21)의 외주부에 미끄럼 접촉한다. 시일 부재(23)의 외주부는 외통(6)의 내주부에 밀착한다. 시일 부재(23)는, 내통(5) 내의 유액과 외통(6) 내의 리저버실(7)의 고압 가스 및 유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로드 가이드(22)는, 로드 가이드(22) 외주부의 상부가 로드 가이드(22) 외주부의 하부보다도 대직경으로 되는 단차 형상을 갖고 있다. 로드 가이드(22)는, 하부에 있어서 내통(5) 상단의 내주부에 감합하고, 상부에 있어서 외통(6) 상단의 내주부에 감합한다. 외통(6)의 바닥 부재(9) 상에는, 내통(5) 내의 하부실(20)과 리저버실(7)을 구획하는 베이스 밸브(25)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25)에 내통(5) 하단의 내주부가 감합되어 있다. 상부실(18)은 로드 가이드(22)와 제1 피스톤(15) 사이에 설치된다. 하부실(20)은 제2 피스톤(16)과 베이스 밸브(25)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로드 가이드(22) 및 시일 부재(23)에 삽입 관통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로드 본체(26)와, 로드 본체(26)의 실린더(2) 내측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로드 본체(26)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선단 로드(27)를 갖고 있다. 로드 본체(26)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축 방향을 따르는 삽입 구멍(28)이, 선단 로드(27)에서부터 반대쪽 단부 근방 도중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 로드(27)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축 방향을 따르는 관통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28)과 관통 구멍(29)이 피스톤 로드(21)의 직경 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 구멍(30)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21)는 중공(中空) 구조로 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의 삽입 구멍(30) 내에 미터링 핀(31)이 삽입되어 있다. 미터링 핀(31)의 제1 단부는, 미터링 핀(31)보다도 실린더(2)의 바닥 부재(9) 측에 설치된 베이스 밸브(25)에 고정되어 있다. 미터링 핀(31)의 제2 단부는 피스톤 로드(21)의 삽입 구멍(30) 내에 삽입되어 있다. 삽입 구멍(30)과 미터링 핀(31) 사이의 공간은, 피스톤 로드(21) 내에서 유액이 유동할 수 있는 로드 내통로(32)(제2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21)의 로드 본체(26)의 외주에는, 축 방향의 선단 로드(27) 측에 원환형의 스토퍼(35)가 부착되어 있다. 스토퍼(35)는,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로부터 가장 돌출되는 최대 신장 위치에서 로드 가이드(22)에 접촉하여, 최대 신장 위치를 넘은 피스톤 로드(21)의 돌출을 규제한다.
완충기(1)는 자동차나 철도 차량 등의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에 이용된다. 예컨대, 완충기(1)의 제1 단부는 차체에 의해 지지되고, 완충기(1)의 제2 단부는 차륜부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완충기(1)는, 피스톤 로드(21)로 차체에 연결되어, 실린더(2)의 피스톤 로드(21)의 돌출 측과는 반대쪽의 도 1에 도시하는 마운팅 아이(4)가 차륜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완충기(1)의 제2 단부가 차체에 의해 지지되고, 완충기(1)의 제1 단부가 차륜부에 연결되어도 좋다. 그리고, 완충기(1)는, 차륜에 대하여 차체가 상승하면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로부터 뻗어 나오고, 반대로 차륜에 대하여 차체가 하강하면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 내에 진입한다.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로부터 뻗어 나오는 방향을 「신장 측」 및 「최대 길이 측」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 내에 진입하는 방향을 「수축 측」 및 「최소 길이 측」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차륜이 주행에 따라 진동하면, 그 진동에 따라 실린더(2)와 피스톤 로드(21)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변화된다. 이 변화는, 피스톤 로드(21)에 형성된 로드 내통로(32)의 유체 저항에 의해 억제된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것과 같이 피스톤 로드(21)에 형성된 로드 내통로(32)의 유체 저항은 진동의 속도나 진폭에 따라 다르게 만들어져 있고, 진동을 억제함으로써 승차감이 개선된다. 실린더(2)와 피스톤 로드(21) 사이에는, 차륜이 발생하는 진동 외에, 차량의 주행에 따라 차체에 발생하는 관성력이나 원심력도 작용한다. 예컨대 핸들 조작에 의해 주행 방향이 변화함으로써 차체에 원심력이 발생하고, 이 원심력에 기초한 힘이 실린더(2)와 피스톤 로드(21)의 사이에 작용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차량의 주행에 따라 차체에 발생하는 힘에 기초한 진동에 대하여 양호한 특성을 갖고 있어, 차량 주행 시에 있어서의 높은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로드 본체(26)의 선단 로드(27) 측의 단부에는, 삽입 구멍(28)보다도 대직경의 나사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로드 본체(26)의 나사 구멍(43) 측에는, 삽입 구멍(28)에 직교하여 로드 본체(26)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44)도 삽입 구멍(28)과 함께 로드 내통로(32)를 구성한다. 통로 구멍(44)은 로드 본체(26)에 있어서의 스토퍼(35)와 선단 로드(27)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선단 로드(27)의 제1 단부에는 나사축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 로드(27)는 나사축부(45)가 로드 본체(26)의 나사 구멍(43)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로드 본체(26)에 일체로 연결된다. 선단 로드(27)의 로드 내통로(32)를 형성하는 관통 구멍(29)은, 관통 구멍(29)의 거의 전체를 구성하는 메인 구멍부(47)와, 메인 구멍부(47)의 축 방향의 나사축부(45)와는 반대쪽의 중간부에 형성된, 메인 구멍부(47)보다도 소직경의 소직경 구멍부(48)로 구성된다. 선단 로드(27)에는, 메인 구멍부(47)에 있어서의 소직경 구멍부(48)보다도 나사축부(45)와는 반대쪽의 위치에, 관통 구멍(29)에 직교하여 선단 로드(27)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구멍(50)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50)도 로드 내통로(32)를 구성한다.
선단 로드(27)는, 축 방향의 로드 본체(26) 측에서부터 순차 나사축부(45)와 플랜지부(56)와 유지축부(57)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56)의 외경은 나사축부(45)의 외경 및 로드 본체(26)의 외경보다도 크다. 선단 로드(27)는 상술한 것과 같이 나사축부(45)에 있어서 로드 본체(26)의 나사 구멍(43)에 나사 결합된다. 플랜지부(56)는 그때에 로드 본체(26)와 접촉한다. 유지축부(57)는 플랜지부(56)보다도 소직경이다. 유지축부(57)의, 축 방향의 플랜지부(56)와는 반대쪽의 부분에 수나사(58)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축부(57)의 수나사(58)와 플랜지부(56)의 사이에 통로 구멍(50)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 로드(27)의 유지축부(57)에는, 플랜지부(56) 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1장의 규제 부재(61)와, 1장의 접촉 디스크(62)와, 1장의 디스크(63)와, 복수 매의 디스크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밸브(64)와, 제1 피스톤(15)과, 복수 매의 디스크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밸브(65)와, 1장의 디스크(66)와, 1장의 접촉 디스크(67)와, 1장의 규제 부재(68)와, 1장의 접촉 디스크(69)와, 1장의 디스크(70)와, 복수 매의 디스크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밸브(71)와, 제2 피스톤(16)과, 1장의 통로 형성 디스크(72)와, 복수 매의 디스크(73)와, 복수 매의 디스크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밸브(74)와, 1장의 디스크(75)와, 1장의 접촉 디스크(76)와, 1장의 규제 부재(77)가 배치되고, 수나사(58)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78)와 플랜지부(56)로 협지되어 있다.
제1 피스톤(15)은, 선단 로드(27)에 지지되는 금속제의 피스톤 본체(95)와, 피스톤 본체(95)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내통(5) 내부를 미끄럼 이동하는 원환형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이동 부재(96)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95)에는, 상부실(18)과 중간실(19)을 연통시켜, 제1 피스톤(15)의 중간실(19) 측으로의 이동, 즉 수축 행정에 있어서 중간실(19)에서 상부실(18)로 향해서 유액이 흘러나오는 복수(도 3는 단면도이므로 하나만 도시)의 통로(101)(제1 통로)와, 제1 피스톤(15)의 상부실(18) 측으로의 이동, 즉 신장 행정에 있어서 상부실(18)에서 중간실(19)로 향해서 유액이 흘러나오는 복수(도 3은 단면도이므로 하나만 도시)의 통로(102)(제1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통로(101)와 복수의 통로(102)가 제1 피스톤(15)에 설치되어 제1 피스톤(15)의 이동에 의해 상부실(18)과 중간실(19) 사이를 작동 유체인 유액이 흐르도록 연통된다.
통로(101)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통로(101) 사이에 1곳의 통로(102)를 사이에 두고서 등(等)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통로(101)의, 제1 피스톤(15)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도 3의 하측)는, 직경 방향 외측에서 개구되어 있다. 통로(101)의, 제1 피스톤(15)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단부(도 3의 상측)는, 직경 방향 내측에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통로(101)와 통로(102) 중 반수의 통로(101)에 대하여 디스크 밸브(64)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64)는, 제1 피스톤(15)의 축 방향의 제2 단부인 상부실(18) 측에 배치되어 있다. 통로(101)는,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 안으로 들어가는 수축 측으로 제1 피스톤(15)이 이동할 때에 유액이 통과하는 수축 측의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통로(101)에 대하여 설치된 디스크 밸브(64)는, 수축 측의 통로(101)의 유액의 흐름을 제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통로(101)와 통로(102) 중 나머지 반수를 구성하는 통로(102)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통로(102) 사이에 1곳의 통로(101)를 사이에 두고서 등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통로(102)의, 제1 피스톤(15)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단부(도 3의 상측)는, 직경 방향 외측에서 개구되어 있다. 통로(102)의, 제1 피스톤(15)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도 3의 하측)는, 직경 방향 내측에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통로(101)와 통로(102) 중 나머지 반수의 통로(102)에 대하여 디스크 밸브(65)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65)는, 제1 피스톤(15)의 축 방향의 제1 단부인 축선 방향의 중간실(19) 측에 배치되어 있다. 통로(102)는,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 밖으로 뻗어 나오는 신장 측으로 제1 피스톤(15)이 이동할 때에 유액이 통과하는 신장 측의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통로(102)에 대하여 설치된 디스크 밸브(65)는, 신장 측의 통로(102)의 유액의 흐름을 제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64)를 포함하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와, 디스크 밸브(65)를 포함하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가, 상부실(18)과 중간실(19) 사이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105)를 구성하고 있다.
제1 피스톤(15)의 피스톤 본체(95)는 실질적 원판 형상을 갖고 있다. 피스톤 본체(95)의 중앙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선단 로드(27)의 유지축부(57)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삽통 구멍(106)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95)의 상부실(18) 측의 단부에는, 수축 측의 통로(101)의 일단 개구 위치의 외측에 시트부(107)가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95)의 중간실(19) 측의 단부에는, 신장 측의 통로(102)의 일단 개구 위치의 외측에 시트부(108)가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95)에 있어서, 시트부(107)의 삽통 구멍(106)과는 반대쪽의 부분은, 시트부(107)보다도 축선 방향 높이가 낮은 단차 형상을 갖는다. 이 단차 형상 부분에 신장 측의 통로(102)의 제2 단이 개구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64)의 외주부가 시트부(107)에 착좌(着座)하면, 디스크 밸브(64)는, 시트부(107) 내측의 수축 측의 통로(101)를 닫는다. 디스크 밸브(64)의 외주부가 시트부(107)로부터 이좌(離座)하면, 디스크 밸브(64)는 통로(101)를 연다. 즉, 디스크 밸브(64) 및 시트부(107)가 수축 측의 통로(101)의 유액의 흐름을 제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64)는, 금속제이며 구멍을 지닌 원판형을 갖는 복수 매의 디스크로 구성된다. 상호 축 방향으로 겹치는 2장의 디스크 중, 시트부(107)로부터 먼 디스크의 외경은, 시트부(107)에 가까운 디스크의 외경 이하이다. 디스크(63)는, 금속제이며 구멍을 지닌 원판형을 갖는다. 디스크(63)의 외경은, 디스크 밸브(64)를 구성하는 가장 소직경의 디스크의 외경보다도 작다. 접촉 디스크(62)는, 금속제이며 구멍을 지닌 원판형을 갖는다. 접촉 디스크(62)의 외경은, 디스크 밸브(64)를 구성하는 가장 소직경의 디스크의 외경보다도 크며, 또한 디스크 밸브(64)를 구성하는 가장 대직경의 디스크의 외경보다도 작다. 규제 부재(61)는, 금속제이며 구멍을 지닌 원판형을 가지고, 디스크 밸브(64)와 비교하여 고강성이다. 규제 부재(61)의 외경은, 접촉 디스크(62)의 외경보다도 작고, 플랜지부(56)의 외경보다도 작다. 접촉 디스크(62)는, 디스크 밸브(64)의 열림 방향으로의 변형 시에 디스크 밸브(64)에 접촉하여 디스크 밸브(64)의 규정 이상의 변형을 규제 부재(61)와 함께 규제한다.
또한, 피스톤 본체(95)에 있어서, 시트부(108)의 삽통 구멍(106)과는 반대쪽은, 시트부(108)보다도 축선 방향 높이가 낮은 단차 형상을 갖는다. 이 단차 형상 부분에 수축 측의 통로(101)의 제2 단이 개구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65)의 외주부가 시트부(108)에 착좌하면, 디스크 밸브(65)는, 시트부(108) 내측의 신장 측의 통로(102)를 닫는다. 디스크 밸브(65)의 외주부가 시트부(108)로부터 이좌하면, 디스크 밸브(65)는 통로(102)를 연다. 즉, 디스크 밸브(65) 및 시트부(108)가 신장 측의 통로(102)의 유액의 흐름을 제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65)는, 금속제의 구멍을 지닌 원판형을 갖는 복수 매의 디스크로 구성된다. 상호 축 방향으로 겹치는 2장의 디스크 중, 시트부(108)로부터 먼 디스크의 외경은, 시트부(108)에 가까운 디스크의 외경 이하이다. 디스크(66)는, 금속제이며 구멍을 지닌 원판형을 갖는다. 디스크(63)의 외경은, 디스크 밸브(65)를 구성하는 가장 소직경의 디스크의 외경보다도 작다. 접촉 디스크(67)는, 금속제이며 구멍을 지닌 원판형을 갖는다. 접촉 디스크(67)의 외경은, 디스크 밸브(65)를 구성하는 가장 소직경의 디스크의 외경보다도 크며, 또한 디스크 밸브(65)를 구성하는 가장 대직경의 디스크의 외경보다도 작다. 규제 부재(68)는 금속제이다. 규제 부재(68)는, 구멍을 지닌 원판형의 형상을 가지고, 디스크 밸브(65)와 비교하여 고강성이다. 규제 부재(68)의 외경은 접촉 디스크(67)의 외경보다도 작다. 접촉 디스크(67)는, 디스크 밸브(65)의 열림 방향으로의 변형 시에 디스크 밸브(65)에 접촉하여 디스크 밸브(65)의 규정 이상의 변형을 규제 부재(68)와 함께 규제한다. 디스크 밸브(65)는 디스크 밸브(64)보다도 강성이 낮아 밸브 개방하기 쉽다.
제2 피스톤(16)은, 선단 로드(27)에 지지되는 금속제의 피스톤 본체(111)와, 피스톤 본체(111)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내통(5) 내부를 미끄럼 이동하는 원환형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이동 부재(11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111)에는, 중간실(19)과 하부실(20)을 연통시켜, 제2 피스톤(16)의 하부실(20) 측으로의 이동, 즉 수축 행정에 있어서 하부실(20)에서 중간실(19)로 향해서 유액이 흘러나오는 복수(도 3은 단면도이기 때문에 하나만 도시)의 통로(116)(제1 통로)와, 제2 피스톤(16)의 중간실(19) 측으로의 이동, 즉 신장 행정에 있어서 중간실(19)에서 하부실(20)로 향해서 유액이 흘러나오는 복수(도 3은 단면도이기 때문에 하나만 도시)의 통로(117)(제1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통로(116)와 복수의 통로(117)가 제2 피스톤(16)에 설치되어 제2 피스톤(16)의 이동에 의해 중간실(19)과 하부실(20) 사이를 작동 유체인 유액이 흐르도록 연통된다.
통로(116)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통로(116) 사이에 1곳의 통로(117)를 사이에 두고서 등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통로(116)의, 제2 피스톤(16)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도 3의 하측)는, 직경 방향 외측에서 개구되어 있다. 통로(116)의, 제2 피스톤(16)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단부(도 3의 상측)는, 직경 방향 내측에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통로(116)와 통로(117) 중 반수의 통로(116)에 대하여 디스크 밸브(71)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71)는, 제2 피스톤(16)의 축 방향의 일단인 중간실(19) 측에 배치되어 있다. 통로(116)는,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 안으로 들어가는 수축 측으로 제2 피스톤(16)이 이동할 때에 유액이 통과하는 수축 측의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통로(116)에 대하여 설치된 디스크 밸브(71)는, 수축 측의 통로(116)의 유액의 흐름을 제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118)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통로(116)와 통로(117) 중 나머지 반수를 구성하는 통로(117)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통로(117) 사이에 1곳의 통로(116)를 사이에 두고서 등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통로(117)의, 제2 피스톤(16)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단부(도 3의 상측)는, 직경 방향 외측에서 개구되어 있다. 통로(117)의, 제2 피스톤(16)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도 3의 하측)는, 직경 방향 내측에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통로(116)와 통로(117) 중 나머지 반수의 통로(117)에, 감쇠력을 발생하는 디스크 밸브(74)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74)는, 제2 피스톤(16)의 축 방향의 제1 단부인 축선 방향의 하부실(20) 측에 배치되어 있다. 통로(117)는,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 밖으로 뻗어 나오는 신장 측으로 제2 피스톤(16)이 이동할 때에 유액이 통과하는 신장 측의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통로(117)에 대하여 설치된 디스크 밸브(74)는, 신장 측의 통로(117)의 유액의 흐름을 제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119)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71)를 포함하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118)와, 디스크 밸브(74)를 포함하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119)가, 중간실(19)과 하부실(20) 사이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20)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피스톤(16)의 피스톤 본체(111)는 실질적 원판 형상을 갖고 있다. 피스톤 본체(111)의 중앙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선단 로드(27)의 유지축부(57)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삽통 구멍(126)이 형성되어 있다. 삽통 구멍(126)은, 유지축부(57)를 감합시키는 중간실(19) 측의 감합 구멍부(124)와, 감합 구멍부(124)보다도 대직경의 하부실(20) 측의 통로 형성 구멍부(125)로 구성된다. 통로 형성 구멍부(125)와 유지축부(57)의 간극은 선단 로드(27)의 통로 구멍(50)에 연통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111)의 중간실(19) 측의 단부에는, 수축 측의 통로(116)의 일단 개구 위치의 외측에 시트부(127)가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111)의 하부실(20) 측의 단부에는, 신장 측의 통로(117)의 일단 개구 위치의 외측에 시트부(128)가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111)에 있어서, 시트부(127)의 삽통 구멍(126)과는 반대쪽은, 시트부(127)보다도 축선 방향 높이가 낮은 단차 형상을 갖는다. 이 단차 형상 부분에 신장 측의 통로(117)의 제2 단이 개구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71)의 외주부가 시트부(127)에 착좌하면, 디스크 밸브(71)는 시트부(127) 내측의 수축 측의 통로(116)를 닫는다. 디스크 밸브(71)의 외주부가 시트부(127)로부터 이좌하면, 디스크 밸브(71)는 통로(116)를 연다. 즉, 디스크 밸브(71) 및 시트부(127)가, 수축 측의 통로(116)의 유액의 흐름을 제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118)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71)는, 금속제이며 구멍을 지닌 원판형을 갖는 복수 매의 디스크로 구성된다. 이들 디스크는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디스크(70)는, 금속제이며 구멍을 지닌 원판형을 갖는다. 디스크(70)의 외경은 디스크 밸브(71)의 외경보다도 작다. 접촉 디스크(69)는, 금속제이며 구멍을 지닌 원판형을 갖는다. 접촉 디스크(69)의 외경은, 디스크 밸브(71)의 외경보다도 작으며, 또한 규제 부재(68)의 외경보다도 크다. 접촉 디스크(69)는, 디스크 밸브(71)의 열림 방향으로의 변형 시에 디스크 밸브(71)에 접촉하여 디스크 밸브(71)의 규정 이상의 변형을 규제 부재(68)와 함께 규제한다.
또한, 피스톤 본체(111)에 있어서, 시트부(128)의 삽통 구멍(106)과는 반대쪽은, 시트부(128)보다도 축선 방향 높이가 낮은 단차 형상을 갖는다. 이 단차 형상 부분에 수축 측의 통로(116)의 제2 단이 개구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74)의 외주부가 시트부(128)에 착좌하면, 디스크 밸브(74)는, 시트부(128) 내측의 신장 측의 통로(117)를 닫는다. 디스크 밸브(74)의 외주부가 시트부(128)로부터 이좌하면, 디스크 밸브(74)는 통로(117)를 연다. 즉, 디스크 밸브(74) 및 시트부(128)가, 신장 측의 통로(117)의 유액의 흐름을 제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119)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74)는, 금속제의 구멍을 지닌 원판형을 갖는 복수 매의 디스크로 구성된다. 이들 디스크는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디스크(73)는 금속제이다. 디스크(73)는 구멍을 지닌 원판형의 형상을 갖는다. 디스크(73)의 외경은 디스크 밸브(74)의 외경보다도 작다. 통로 형성 디스크(72)는 금속제이다. 통로 형성 디스크(72)는 구멍을 지닌 원판형의 형상을 갖는다. 통로 형성 디스크(72)의 외경은, 디스크(73)의 외경보다도 크며, 또한 디스크 밸브(74)의 외경보다도 작다. 통로 형성 디스크(72)에는 통로 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홈(131)에 의해서, 통로(117)와 통로 형성 구멍부(125) 내부가 연통되고, 따라서, 통로(117)와 통로 구멍(50) 내의 로드 내통로(32)가 연통된다. 통로 홈(131) 및 통로 형성 구멍부(125) 내부는, 통로(117)와 로드 내통로(32)를 항상 연통시키는 연통로(132)(제2 통로)를 구성한다.
디스크(75)는 금속제이다. 디스크(75)는 구멍을 지닌 원판형의 형상을 갖는다. 디스크(75)의 외경은 디스크 밸브(74)의 외경보다도 작다. 디스크(76)는 금속제이다. 디스크(76)는 구멍을 지닌 원판형의 형상을 갖는다. 디스크(76)의 외경은, 디스크 밸브(74)의 외경보다도 작으며, 또한 디스크(75)의 외경보다도 크다. 규제 부재(77)는 금속제이다. 규제 부재(77)는, 구멍을 지닌 원판형의 형상을 가지고, 디스크 밸브(74)와 비교하여 고강성이다. 규제 부재(77)의 외경은 디스크(76)의 외경보다도 작다. 디스크(76)는, 디스크 밸브(74)의 열림 방향으로의 변형 시에 디스크 밸브(74)에 접촉하여 디스크 밸브(74)의 규정 이상의 변형을 규제 부재(77)와 함께 규제한다. 디스크 밸브(74)는 디스크 밸브(71)보다도 강성이 높아 밸브 개방하기 어렵다.
제1 피스톤(15)에 형성된 통로(101, 102)와, 제2 피스톤(16)에 형성된 통로(116, 117)가,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와 중간실(19) 및 하부실(20) 사이를, 작동 유체인 유액이 흐르도록 연통한다.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 119)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에 설치되어,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신장 방향의 이동에 의해서 통로(102, 117)를 흐르는 유액의 흐름을 제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신장 행정에서는, 통로(102)가 유액의 흐름의 상류 측[즉 상부실(18) 측]으로 되고, 통로(117)가 하류 측[즉 하부실(20) 측]으로 된다. 또한, 신장 행정에서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 119) 중,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가 상류 측[즉 상부실(18) 측]으로 되고, 신장 측의 감쇠 밸브(119)가 하류 측[즉 하부실(20) 측]으로 된다.
디스크 밸브(65, 74)는, 제1 피스톤(15)의 디스크 밸브(65)가, 제2 피스톤(16)의 디스크 밸브(74)보다도 강성이 낮아 밸브 개방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디스크 밸브(65, 74)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신장 방향으로 이동하는 신장 행정에서 유액 흐름의 상류 측에 위치하는 디스크 밸브(65)에서 발생하는 감쇠력이 하류 측에 위치하는 디스크 밸브(74)에서 발생하는 감쇠력보다도 작아 소프트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 118)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에 설치되어,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수축 방향의 이동에 의해서 통로(101, 116)를 흐르는 유액의 흐름을 제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수축 행정에서는, 통로(116)가 유액의 흐름의 상류 측[즉 하부실(20) 측]으로 되고, 통로(101)가 하류 측[즉 상부실(18) 측]으로 된다. 또한, 수축 행정에서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 118) 중, 수축 측의 감쇠 밸브(118)가 상류 측[즉 하부실(20) 측]으로 되고,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가 하류 측[즉 상부실(18) 측]으로 된다.
디스크 밸브(64, 71)는, 제1 피스톤(15)의 디스크 밸브(64)가, 제2 피스톤(16)의 디스크 밸브(71)보다도 강성이 높아 밸브 개방하기 어렵게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 118)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수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축 행정에서 유액 흐름의 상류 측에 위치하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118)에서 발생하는 감쇠력이 하류 측에 위치하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에서 발생하는 감쇠력보다도 작아 소프트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너트(78)에는, 선단 로드(27)의 수나사(58)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135)가 형성된 나사 구멍부(136)와, 나사 구멍부(136)보다도 소직경의 소직경 구멍부(137)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78)는, 로드 본체(26) 및 선단 로드(27)와 함께 피스톤 로드(21)를 구성하고 있다. 너트(78)의 내측은 로드 내통로(32)를 구성하고 있다. 너트(78)의 소직경 구멍부(137)의 내측에 미터링 핀(31)이 삽입된다. 소직경 구멍부(137)도 미터링 핀(31)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30)을 구성한다. 소직경 구멍부(137)의 내경은 소직경 구멍부(48)의 내경과 동일하다. 소직경 구멍부(137)는 로드 내통로(32)의 단부를 형성하고 있다.
너트(78)가 선단 로드(27)에 체결된 상태에서, 디스크(63)와 제1 피스톤(15)에 의해 디스크 밸브(64)의 내주부가 클램프된다. 디스크(66)와 제1 피스톤(15)에 의해 디스크 밸브(65)의 내주부가 클램프된다. 디스크(70)와 제2 피스톤(16)에 의해 디스크 밸브(71)의 내주부가 클램프된다. 디스크(75)와 디스크(73)에 의해 디스크 밸브(74)의 내주부가 클램프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 밸브(64, 65, 71, 74) 각각의 외주부가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통(6)의 바닥 부재(9)와 내통(5)의 사이에는 베이스 밸브(25)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25)는, 하부실(20)과 리저버실(7)을 구획하는 베이스 밸브 부재(141)와, 베이스 밸브 부재(141)의 하측, 즉 리저버실(7) 측에 설치되는 디스크(142)와, 베이스 밸브 부재(141)의 상측, 즉 하부실(20) 측에 설치되는 디스크(143)와, 베이스 밸브 부재(141)에 디스크(142)를 부착하는 볼트 부재(144)와, 베이스 밸브 부재(141)에 디스크(143)를 부착하는 너트 부재(145)와, 베이스 밸브 부재(141)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계지 부재(146)와, 미터링 핀(31)의 후술하는 지지 플랜지부(161)를 지지하는 지지판(147)을 갖고 있다. 볼트 부재(144) 및 너트 부재(145)는, 디스크(142) 및 디스크(143)의 직경 방향 중앙부를 베이스 밸브 부재(141)로 협지한다.
베이스 밸브 부재(141)는 원환형의 형상을 갖는다. 베이스 밸브 부재(141)의 내측에 볼트 부재(144)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141)에는, 하부실(20)과 리저버실(7)의 사이에서 유액을 유통시키는 복수의 통로 구멍(149)과, 통로 구멍(149)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서, 하부실(20)과 리저버실(7)의 사이에서 유액을 유통시키는 복수의 통로 구멍(150)이 형성되어 있다. 리저버실(7) 측의 디스크(142)는, 하부실(20)로부터 통로 구멍(149)을 통해 흐르는 리저버실(7)로의 유액의 흐름을 허용한다. 한편, 디스크(142)는, 리저버실(7)로부터 하부실(20)로의 내측의 통로 구멍(149)을 통한 유액의 흐름을 제한한다. 디스크(143)는, 리저버실(7)로부터 통로 구멍(150)을 통해 흐르는 하부실(20)로의 유액의 흐름을 허용한다. 한편, 디스크(143)는, 하부실(20)로부터 리저버실(7)로의 외측의 통로 구멍(150)을 통한 유액의 흐름을 규제한다.
디스크(142)는, 베이스 밸브 부재(141)에 의해서, 수축 행정에 있어서 밸브를 열어 하부실(20)에서 리저버실(7)로 유액을 흘리고 감쇠력을 발생하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152)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143)는, 베이스 밸브 부재(141)에 의해서, 완충기(1)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 밸브를 열어 리저버실(7)에서 하부실(20) 내로 유액을 흘리는 석션 밸브(153)를 구성하고 있다. 이때, 석션 밸브(153)는, 주로 피스톤 로드(21)의 실린더(2)로부터의 최대 신장에 의해 생기는 액의 부족분을 보충하도록 리저버실(7)로부터 하부실(20)에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유액을 흘리는 기능을 한다.
계지 부재(146)는 통형의 형상을 갖는다. 계지 부재(146)의 내측에 베이스 밸브 부재(141)의 상부가 감합된다. 베이스 밸브 부재(141)는, 계지 부재(146)를 통해 내통(5) 하단의 내주부에 감합되어 있다. 계지 부재(146)의 피스톤(15, 16) 측의 단부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연장되는 부분에 지지판(147)이 지지판(147)의 외주부에 있어서 계지되어 있다. 지지판(147)의 내주부는, 미터링 핀(31)의 지지 플랜지부(161)를 피스톤(15, 16) 측에서 계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계지 부재(146) 및 지지판(147)이 미터링 핀(31)의 지지 플랜지부(161)를 볼트 부재(144)에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한다.
미터링 핀(31)은, 베이스 밸브(25)에 지지되는 지지 플랜지부(161)와, 지지 플랜지부(161)보다도 소직경이며 지지 플랜지부(161)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대직경부(162)와, 제1 대직경부(162)의 지지 플랜지부(161)와는 반대쪽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 3에 도시하는 제1 테이퍼부(163)와, 제1 테이퍼부(163)의 제1 대직경부(162)와는 반대쪽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대직경부(162)보다도 소직경의 축경부(164)를 갖고 있다. 또한, 미터링 핀(31)은, 축경부(164)의 제1 테이퍼부(163)와는 반대쪽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테이퍼부(165)와, 제2 테이퍼부(165)의 축경부(164)와는 반대쪽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대직경부(166)를 갖고 있다.
제1 대직경부(162)는 일정 직경이다. 축경부(164)는 제1 대직경부(162)보다도 소직경의 일정 직경으로 되어 있다. 제1 테이퍼부(163)는 제1 대직경부(162) 및 축경부(164)를 연속되게 하고 있고, 축경부(164)에 가까울수록 소직경으로 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대직경부(166)는 제1 대직경부(162)와 동일 직경의 일정 직경이다. 제2 테이퍼부(165)는 축경부(164) 및 제2 대직경부(166)를 연속되게 하고 있고, 축경부(164)에 가까울수록 소직경으로 되는 테이퍼형을 갖고 있다.
미터링 핀(31)은 피스톤 로드(21)의 삽입 구멍(30)에 삽입되어 있다. 미터링 핀(31)은, 피스톤 로드(21)의 삽입 구멍(30)과의 사이에 로드 내통로(32)를 형성하고 있다. 로드 내통로(32)는, 피스톤(15, 16)의 이동에 의해 상부실(18) 및 하부실(20) 사이를 유액이 흐르도록 연통시킨다. 로드 내통로(32) 및 연통로(132)는, 통로(101, 102, 116, 117)와는 별도로 상부실(18), 중간실(19) 및 하부실(20)을 연통시킨다.
피스톤 로드(21)의 축 방향 중간부에 있는 소직경 구멍부(48)는, 로드 내통로(32)에 있어서 중간실(19)에 항상 연통되는 연통로(132)와 상부실(18)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직경 구멍부(48) 및 미터링 핀(31)은, 피스톤 로드(21) 즉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위치에 의해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의 로드 내통로(32)를 통한 유로의 유로 면적을 조정하는 제1 조정부(171)를 구성한다. 제1 조정부(171)는, 소직경 구멍부(48)가, 미터링 핀(31)의 제1 대직경부(162) 및 제2 대직경부(166)와 축 방향 위치를 맞추면, 상부실(18)과 중간실(19) 사이의 유로 면적을 가장 작게 한다. 제1 조정부(171)는, 소직경 구멍부(48)가, 미터링 핀(31)의 축경부(164)와 위치를 맞추면, 상부실(18)과 중간실(19) 사이의 유로 면적을 가장 크게 한다. 즉, 제1 조정부(171)는 가변 오리피스를 구성한다. 가변 오리피스에서는, 유로 면적이 미터링 핀(31)에 의해 조정된다.
피스톤 로드(21)의 축 방향 단부에 있는 너트(78)의 소직경 구멍부(137)는, 로드 내통로(32)에 있어서 중간실(19)에 항상 연통되는 연통로(132)와 하부실(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직경 구멍부(137) 및 미터링 핀(31)은, 피스톤 로드(21) 즉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위치에 의해 중간실(19) 및 하부실(20) 사이의 유액의 로드 내통로(32)를 통한 유로의 유로 면적을 조정하는 제2 조정부(172)를 구성한다.
제2 조정부(172)는, 소직경 구멍부(137)가, 미터링 핀(31)의 제1 대직경부(162) 및 제2 대직경부(166)와 축 방향 위치를 맞추면, 중간실(19)과 하부실(20) 사이의 유로 면적을 가장 작게 한다. 제2 조정부(172)는, 소직경 구멍부(137)가, 미터링 핀(31)의 축경부(164)와 위치를 맞추면, 중간실(19)과 하부실(20) 사이의 유로 면적을 가장 크게 한다. 제2 조정부(172)도 가변 오리피스를 구성한다. 가변 오리피스에서는, 유로 면적이 미터링 핀(31)에 의해 조정된다.
이상에 의해, 유압 회로 상,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실(18)과 중간실(19) 사이에,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가 배치된 통로(101)와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가 배치된 통로(102)와 제1 조정부(171)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통로(101, 102)와,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 및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로 이루어지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105)와, 제1 조정부(171)가, 제1 피스톤부(110)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중간실(19)과 하부실(20) 사이에, 수축 측의 감쇠 밸브(118)가 배치된 통로(116)와 신장 측의 감쇠 밸브(119)가 배치된 통로(117)와 제2 조정부(172)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통로(116, 117)와, 수축 측의 감쇠 밸브(118) 및 신장 측의 감쇠 밸브(119)로 이루어지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20)와, 제2 조정부(172)가, 제2 피스톤부(121)를 구성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미터링 핀(31)의 축경부(164)는, 제1 조정부(171)를 구성하는 피스톤 로드(21)의 소직경 구멍부(48)와 제2 조정부(172)를 구성하는 너트(78)의 소직경 구멍부(137) 사이의 축 방향 길이보다도 길게 뻗어 있다. 이에 따라, 미터링 핀(31)의 축경부(164)는, 소직경 구멍부(48) 및 소직경 구멍부(137) 양쪽과 동시에 축 방향 위치를 겹치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로드 내통로(32)의 제1 단부의 유로 면적이, 제1 조정부(171)의 소직경 구멍부(48)와 축경부(164)의 유로 면적으로 규정되는 최대치가 되고, 로드 내통로(32)의 제2 단부의 유로 면적이, 제2 조정부(172)의 소직경 구멍부(137)와 축경부(164)의 유로 면적으로 규정되는 최대치가 되어, 로드 내통로(32)는 상부실(18)과 하부실(20)을 연통시키는 상태가 된다.
도 5의 (a)의 실선 U1은,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스트로크 위치에 대한 제1 피스톤부(110)의 제1 조정부(171)의 유로 면적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의 파선 U2은,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스트로크 위치에 대한 제2 피스톤부(121)의 제2 조정부(172)의 유로 면적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b)의 실선 V1은,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신장 방향 이동 시의 스트로크 위치와 감쇠력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b)의 파선 V2은,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수축 방향 이동 시의 스트로크 위치와 감쇠력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완충기(1)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스트로크 위치가, 중립위치[1G의 위치(수평 위치에 정지한 차체를 지지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도 5의 (a)에 도시하는 제1 소정 범위 S4~S5 내에 있을 때, 피스톤 로드(21)의 소직경 구멍부(48) 및 소직경 구멍부(137) 양쪽이 동시에 미터링 핀(31)의 축경부(164)에 축 방향 위치를 서로 겹치게 한다. 바꿔 말하면, 이 제1 소정 범위 S4~S5는, 미터링 핀(31)의 축경부(164)에 의해서 유로 면적이 규정되는 범위이다. 제1 소정 범위 S4~S5에서는, 도 5의 (a)에 실선 U1으로 나타내는 제1 조정부(171)의 유로 면적 및 도 5의 (a)에 파선 U2으로 나타내는 제2 조정부(172)의 유로 면적이 동등한 최대치가 되고, 따라서, 상부실(18)과 하부실(20)이 로드 내통로(32)의 최대의 유로 면적으로 연통하는 상태가 된다.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1 소정 범위 S4~S5 내에 있을 때, 상부실(18) 측으로 이동하는 신장 행정에서는, 상부실(18)의 유액이 최대의 유로 면적의 로드 내통로(32)를 통해 하부실(20)로 흐르게 되고, 따라서, 도 5의 (b)의 실선 V1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소프트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이 제1 소정 범위 S4~S5 내에 있을 때, 하부실(20) 측으로 이동하는 수축 행정에서는, 하부실(20)의 유액이 최대의 유로 면적의 로드 내통로(32)를 통해 상부실(18)로 흐르게 되고, 따라서, 도 5의 (b)의 파선 V2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소프트 상태가 된다.
완충기(1)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스트로크 위치가, 제1 소정 범위 S4~S5를 넘어, 완충기(1)를 최대 길이로 하는 최대 길이 측의 도 5의 (a)에 도시하는 제2 소정 범위 S6~S7 내에 있을 때, 제1 조정부(171)가 소직경 구멍부(48)와 미터링 핀(31)의 제2 대직경부(166)의 축 방향 위치를 맞추며, 또한 제2 조정부(172)가 소직경 구멍부(137)와 미터링 핀(31)의 축경부(164)의 축 방향 위치를 맞춘다. 제2 소정 범위 S6~S7에서는, 소직경 구멍부(48)와 제2 대직경부(166)로 이루어지는 제1 조정부(171)의 유로 면적이, 도 5의 (a)의 실선 U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최소치가 되어 상부실(18) 측을 거의 닫고, 또한 소직경 구멍부(137)와 축경부(164)로 이루어지는 제2 조정부(172)의 유로 면적이 도 5의 (a)의 파선 U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최대치가 되어, 이 최대치로 규정되는 유로 면적에서, 로드 내통로(32) 및 연통로(132)가 하부실(20)과 중간실(19)을 연통시키는 상태가 된다.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2 소정 범위 S6~S7 내에 있을 때,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상부실(18) 측으로 이동하는 신장 행정에서는, 제1 조정부(171)가 로드 내통로(32)를 좁히고 있다. 이 때문에, 상부실(18)의 유액은, 로드 내통로(32)로의 진입이 제한되어, 제1 피스톤(15)의 통로(102)를 지나, 소프트한 감쇠력 특성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를 열어 중간실(19)로 흐른다. 또한, 제2 조정부(172)가 로드 내통로(32)를 최대의 유로 면적으로 열고 있다. 이 때문에, 중간실(19)의 유액이, 중간실(19)에서부터 연통로(132) 및 최대의 유로 면적의 로드 내통로(32)를 통해 하부실(20)로 흐른다. 따라서, 도 5의 (b)의 실선 V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제1 소정 범위 S4~S5보다도 약간 하드한 상태가 되지만 소프트한 상태 유지된다.
또한,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2 소정 범위 S6~S7 내에 있을 때,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하부실(20) 측으로 이동하는 수축 행정에서는, 제2 조정부(172)가 로드 내통로(32)를 최대의 유로 면적으로 열고 있고, 제1 조정부(171)가 로드 내통로(32)를 거의 닫고 있다. 이 때문에, 하부실(20)의 유액은, 로드 내통로(32) 및 연통로(132)를 통해 중간실(19)로 흐르고, 제1 피스톤(15)의 통로(101)를 지나, 하드한 감쇠력 특성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를 열어 상부실(18)로 흐른다. 따라서, 도 5의 (b)의 파선 V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제1 소정 범위 S4~S5 및 후술하는 제3 소정 범위 S2~S3보다도 하드한 상태가 된다.
완충기(1)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스트로크 위치가, 제1 소정 범위 S4~S5를 넘어, 완충기(1)를 최소 길이로 하는 최소 길이 측의 도 5의 (a)에 도시하는 제3 소정 범위 S2~S3 내에 있을 때, 제1 조정부(171)가 소직경 구멍부(48)와 미터링 핀(31)의 축경부(164)의 축 방향 위치를 맞추며, 또한 제2 조정부(172)가 소직경 구멍부(137)와 미터링 핀(31)의 제1 대직경부(162)의 축 방향 위치를 맞춘다. 제3 소정 범위 S2~S3에서는, 소직경 구멍부(137)와 제1 대직경부(162)로 이루어지는 제2 조정부(172)의 유로 면적이, 도 5의 (a)의 파선 U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최소치가 되어 하부실(20) 측의 로드 내통로(32)를 거의 닫으며, 또한 소직경 구멍부(48)와 축경부(164)로 이루어지는 제1 조정부(171)의 유로 면적이, 도 5의 (a)의 실선 U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최대치가 되어, 이 최대치로 규정되는 유로 면적에서, 로드 내통로(32) 및 연통로(132)가 상부실(18)과 중간실(19)을 연통시키는 상태가 된다.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3 소정 범위 S2~S3 내에 있을 때, 상부실(18) 측으로 이동하는 신장 행정에서는, 제1 조정부(171)가 로드 내통로(32)를 최대의 유로 면적으로 열고 있고, 제2 조정부(172)가 로드 내통로(32)를 거의 닫고 있다. 이 때문에, 상부실(18)의 유액은, 로드 내통로(32) 및 연통로(132)를 통해 통로(117)로 흐르고, 중간실(19)에 도입되며 하드한 감쇠력 특성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19)를 열어 하부실(20)로 흐른다. 따라서, 도 5의 (b)의 실선 V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제2 소정 범위 S6~S7보다도 하드한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3 소정 범위 S2~S3 내에 있을 때, 하부실(20) 측으로 이동하는 수축 행정에서는, 제2 조정부(172)가 로드 내통로(32)를 좁히고 있다. 이 때문에, 하부실(20)의 유액은, 로드 내통로(32)로의 진입이 제한되어, 제2 피스톤(16)의 통로(116)를 지나, 소프트한 감쇠력 특성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18)를 열어 중간실(19)로 흐른다. 또한, 제1 조정부(171)가 로드 내통로(32)를 최대의 유로 면적으로 열고 있기 때문에, 중간실(19)의 유액이, 통로(117)에서부터 연통로(132) 및 최대의 유로 면적의 로드 내통로(32)를 통해 상부실(18)로 흐른다. 따라서, 도 5의 (b)의 파선 V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제1 소정 범위 S4~S5보다도 약간 하드한 상태가 되지만 소프트 상태가 유지된다.
완충기(1)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스트로크 위치가, 제2 소정 범위 S6~S7를 넘어, 최대 길이 측의 최대 최대 신장 위치 S9까지의 제4 소정 범위 S8~S9에 있을 때, 제1 조정부(171) 및 제2 조정부(172)가 소직경 구멍부(48, 137) 양쪽을 미터링 핀(31)의 제2 대직경부(166)와 축 방향 위치를 맞춘다. 제4 소정 범위 S8~S9에서는, 소직경 구멍부(48)와 제2 대직경부(166)로 이루어지는 제1 조정부(171)의 유로 면적이, 도 5의 (a)의 실선 U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최소치가 되어 상부실(18) 측의 로드 내통로(32)를 거의 닫으며, 또한 소직경 구멍부(137)와 제2 대직경부(166)로 이루어지는 제2 조정부(172)의 유로 면적이, 도 5의 (a)의 파선 U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최소치가 되어 하부실(20) 측의 로드 내통로(32)를 거의 닫아, 로드 내통로(32)가 상부실(18)과 중간실(19)과 하부실(20)의 연통을 제한하는 상태가 된다.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4 소정 범위 S8~S9에 있을 때,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상부실(18) 측으로 이동하는 신장 행정에서는, 제1 조정부(171) 및 제2 조정부(172)가 로드 내통로(32)를 거의 닫고 있다. 이 때문에, 상부실(18)의 유액은, 통로(102)를 지나, 소프트한 감쇠력 특성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를 열어 중간실(19)로 흐르고, 통로(117)를 지나, 하드한 감쇠력 특성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19)를 열어 하부실(20)로 흐른다. 따라서, 도 5의 (b)의 실선 V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제3 소정 범위 S2~S3와 마찬가지로 하드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최대 신장 시에 감쇠력이 하드한 상태가 되어, 이음(異音)의 억제 및 승차감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4 소정 범위 S8~S9에 있을 때,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하부실(20) 측으로 이동하는 수축 행정에서는, 제1 조정부(171) 및 제2 조정부(172)가 로드 내통로(32)를 거의 닫고 있다. 이 때문에, 하부실(20)의 유액은, 통로(116)를 지나, 소프트한 감쇠력 특성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18)를 열어 중간실(19)로 흐르고, 통로(101)를 지나, 하드한 감쇠력 특성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를 열어 상부실(18)로 흐른다. 따라서, 도 5의 (b)의 파선 V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제2 소정 범위 S6~S7와 마찬가지로 하드한 상태가 된다.
완충기(1)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스트로크 위치가, 제3 소정 범위 S2~S3를 넘어, 최소 길이 측의 최대 수축 위치 S0까지의 제5 소정 범위 S0~S1에 있을 때, 제1 조정부(171) 및 제2 조정부(172)가 소직경 구멍부(48, 137) 양쪽을 미터링 핀(31)의 제1 대직경부(162)와 축 방향 위치를 맞춘다. 제5 소정 범위에서는, 소직경 구멍부(48)와 제1 대직경부(162)로 이루어지는 제1 조정부(171)의 유로 면적이, 도 5의 (a)의 실선 U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최소치가 되어 상부실(18) 측의 로드 내통로(32)를 거의 닫으며, 또한 소직경 구멍부(137)와 제1 대직경부(162)로 이루어지는 제2 조정부(172)의 유로 면적이, 도 5의 (a)의 파선 U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최소치가 되어 하부실(20) 측의 로드 내통로(32)를 거의 닫아, 로드 내통로(32)가 상부실(18)과 중간실(19)과 하부실(20)의 연통을 제한하는 상태가 된다.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5 소정 범위 S0~S1에 있을 때,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상부실(18) 측으로 이동하는 신장 행정에서는, 제1 조정부(171) 및 제2 조정부(172)가 로드 내통로(32)를 거의 닫고 있다. 이 때문에, 상부실(18)의 유액은, 통로(102)를 지나, 소프트한 감쇠력 특성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를 열어 중간실(19)로 흐르고, 통로(117)를 지나, 하드한 감쇠력 특성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19)를 열어 하부실(20)로 흐른다. 따라서, 도 5의 (b)의 실선 V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제3 소정 범위 S2~S3와 마찬가지로 하드한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5 소정 범위 S0~S1에 있을 때,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하부실(20) 측으로 이동하는 수축 행정에서는, 제1 조정부(171) 및 제2 조정부(172)가 로드 내통로(32)를 거의 닫고 있다. 이 때문에, 하부실(20)의 유액은, 통로(116)를 지나, 소프트한 감쇠력 특성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18)를 열어 중간실(19)로 흐르고, 통로(101)를 지나, 하드한 감쇠력 특성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를 열어 상부실(18)로 흐른다. 따라서, 도 5의 (b)의 파선 V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제2 소정 범위 S6~S7와 마찬가지로 하드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최대 수축 시에 감쇠력이 하드한 상태가 되어, 이음의 억제 및 승차감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제1 조정부(171) 및 제2 조정부(172)는, 소직경 구멍부(48, 137)를 갖는 피스톤 로드(21) 및 피스톤 로드(21)에 연결된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위치에 따라서, 로드 내통로(32)의 상태를 바꾸는 위치 감응 기구(175)를 구성하고 있다. 위치 감응 기구(175)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위치에 따라서, 상부실(18)과 중간실(19)과 하부실(20) 사이를 최대의 유로 면적으로 연통시키는 상태와,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를 최대의 유로 면적으로 연통시키며 상부실(18) 및 중간실(19)과 하부실(20)의 연통을 제한하는 상태와, 하부실(20) 및 중간실(19) 사이를 최대의 유로 면적으로 연통시키며 하부실(20) 및 중간실(19)과 상부실(18)의 연통을 제한하는 상태와, 상부실(18)과 중간실(19)과 하부실(20) 사이의 연통을 제한하는 상태로 로드 내통로(32)의 상태를 바꾼다.
이상에 의해, 완충기(1)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중립 위치를 포함하는 제1 소정 범위 S4~S5에 있으면, 신장 방향 이동 및 수축 방향 이동의 양 이동의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완충기(1)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최대 길이 측의 제2 소정 범위 S6~S7에 있으면, 신장 방향 이동의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로 되고 수축 방향 이동의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된다. 완충기(1)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최소 길이 측의 제3 소정 범위 S2~S3에 있으면, 신장 방향 이동의 감쇠력이 하드 상태로 되고 수축 방향 이동의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또한, 완충기(1)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최대 길이 측의 제4 소정 범위 S8~S9 및 최소 길이 측의 제5 소정 범위 S0~S1에 있으면, 신장 방향 이동 및 수축 방향 이동의 감쇠력이 함께 하드 상태가 된다. 즉, 완충기(1)는, 최대 길이 측의 제2 소정 범위 S6~S7와 최소 길이 측의 제3 소정 범위 S2~S3에서, 신장 방향 이동 및 수축 방향 이동의 하드와 소프트의 관계가 반대로 되는 반전형의 위치 감응의 감쇠력 변화 특성을 갖는다.
도 6에, 완충기(1)의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 특성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다.
도 6으로부터 분명한 것과 같이,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1 소정 범위 S4~S5에 있을 때의 신장 방향 이동 시의 감쇠력 특성(도 6의 실선 W1)과, 제2 소정 범위 S6~S7에 있을 때의 신장 방향 이동 시의 감쇠력 특성(도 6의 파선 W2)은, 피스톤 속도의 전체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같게 소프트 상태로 되고 있다. 이에 비하여, 제3 소정 범위 S2~S3에 있을 때의 신장 방향 이동 시의 감쇠력 특성(도 6의 실선 W3)과, 제4 소정 범위 S8~S9 및 제5 소정 범위 S0~S1에 있을 때의 신장 방향 이동 시의 감쇠력 특성(도 6의 파선 W4)은, 피스톤 속도의 전체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같게 하드 상태로 되고 있다. 한편, 어느 감쇠력 특성이나 피스톤 속도가 고속으로 될수록 감쇠력이 하드 상태로 되고 있다.
또한,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1 소정 범위 S4~S5에 있을 때의 수축 방향 이동 시의 감쇠력 특성(도 6의 실선 W5)과, 제3 소정 범위 S2~S3에 있을 때의 수축 방향 이동 시의 감쇠력 특성(도 6의 파선 W6)은, 피스톤 속도의 전체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같게 소프트 상태가 된다. 이들에 비하여, 제2 소정 범위 S6~S7에 있을 때의 수축 방향 이동 시의 감쇠력 특성(도 6의 실선 W7)과, 제4 소정 범위 S8~S9 및 제5 소정 범위 S0~S1에 있을 때의 수축 방향 이동 시의 감쇠력 특성(도 6의 파선 W8)은, 피스톤 속도의 전체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같게 하드 상태가 된다.
도 7에, 완충기(1)의 각 피스톤 속도의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스트로크 위치에 대한 감쇠력 특성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다. 도 7에 X1로 나타내는 피스톤 속도가 고속(구체적으로는 0.6 m/s)일 때의 신장 방향 이동 시, 도 7에 X2로 나타내는 피스톤 속도가 중간속(구체적으로는 0.3 m/s)일 때의 신장 방향 이동 시, 도 7에 X3으로 나타내는 피스톤 속도가 저속(구체적으로는 0.1 m/s)일 때의 신장 방향 이동 시, 도 7에 X4로 나타내는 피스톤 속도가 극저속(구체적으로는 0.05 m/s)일 때의 신장 방향 이동 시의 어디에서나, 제3 소정 범위 S2~S3, 제4 소정 범위 S8~S9 및 제5 소정 범위 S0~S1의 감쇠력이, 제1 소정 범위 S4~S5 및 제2 소정 범위 S6~S7의 감쇠력보다도 하드 상태가 된다. 더구나, 이러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피스톤 속도가 고속으로 될수록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7에 X5로 나타내는 피스톤 속도가 고속(구체적으로는 0.6 m/s)일 때의 수축 방향 이동 시, 도 7에 X6으로 나타내는 피스톤 속도가 중간속(구체적으로는 0.3 m/s)일 때의 수축 방향 이동 시, 도 7에 X7로 나타내는 피스톤 속도가 저속(구체적으로는 0.1 m/s)일 때의 수축 방향 이동 시, 도 7에 X8로 나타내는 피스톤 속도가 극저속(구체적으로는 0.05 m/s)일 때의 수축 방향 이동 시의 어디에서나, 제2 소정 범위 S6~S7, 제4 소정 범위 S8~S9 및 제5 소정 범위 S0~S1의 감쇠력이, 제1 소정 범위 S4~S5 및 제3 소정 범위 S2~S3의 감쇠력보다도 하드 상태가 된다. 더구나, 이러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피스톤 속도가 고속으로 될수록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된다.
상기 감쇠력 변화 특성을 얻음으로써, 스프링 상을 가진(加振)하는 힘을 작게(즉 소프트하게) 하고, 스프링 상을 제진(制振)하는 힘을 크게(즉 하드하게) 할 수 있어, 전자 제어 없이 스카이후크 제어와 같은 상질의 승차감을 얻을 수 있다. 도 8에, 완충기(1)를 탑재한 차량의 험로 주행 시의 승차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스프링 상 가속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장파형로를 시속 60 km로 주행했을 때의 스프링 상 가속도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1점쇄선 Y1으로 나타내는 위치 감응 기능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도 8에 실선 Y2으로 나타내는 위치 감응 기능을 갖는 본 실시형태의 완충기(1)에 따르면, 험로 주행 시의 스프링 상 가속도가 대폭 내려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스프링 상의 움직임이 작아져, 험로 주행 시의 승차감이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에 파선 Y3으로 나타내는 고가의 전자 제어식 세미액티브 서스펜션과 동등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도 9는, 완충기(1)를 탑재한 차량을 시속 80 km로 주행할 때의 더블 레인 체인지 시의 요 레이트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9의 1점쇄선 Z0은 조타각이다. 도 9에 파선 Z1으로 나타내는 위치 감응 기능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도 9에 실선 Z2으로 나타내는 위치 감응 기능을 갖는 본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퀵 턴의 요 레이트가 크고, 조타 응답성이 높다. 도 9에 2점쇄선 Z3으로 나타내는 고가의 전자 제어식 세미액티브 서스펜션과 동등한 레벨까지 퀵 턴의 요 레이트를 크게 할 수 있고, 조타 응답성이 높다.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한 완충기는, 감쇠 밸브를 각각이 갖는 2개의 피스톤과, 미터링 핀을 설치하여, 피스톤의 위치에 따라서, 상류 측에 위치하는 피스톤의 감쇠 밸브를 바이패스하여 하류 측의 피스톤의 감쇠 밸브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상태와, 상류 측에 위치하는 피스톤의 감쇠 밸브를 바이패스하지 않고서 2개의 피스톤의 각각의 감쇠 밸브로 하드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감쇠력의 설정 자유도를 높일 것이 요구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1)는, 위치 감응 기구(175)가, 상부실(18) 및 하부실(20) 사이를 연통시키는 상태와,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를 연통시키는 상태와, 하부실(20) 및 중간실(19) 사이를 연통시키는 상태로 통로의 상태를 바꾼다. 이 때문에, 완충기(1)는, 상부실(18) 및 하부실(20) 사이를 연통시켜 감쇠력을 소프트 상태로 하거나,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를 연통시켜 중간실(19)과 하부실(20) 사이에 설치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20)에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상태로 하거나, 하부실(20) 및 중간실(19) 사이를 연통시켜 중간실(19)과 상부실(18) 사이에 설치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105)에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상태로 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감쇠력의 설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에 설치되어,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와 중간실(19) 및 하부실(20) 사이를 유액이 흐르도록 연통하는 통로(101, 102, 116, 117)와는 별도로 로드 내통로(32)를 설치하여, 로드 내통로(32)에,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위치에 의해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의 유액의 유로 면적을 조정하는 제1 조정부(171)와,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위치에 의해 하부실(20) 및 중간실(19) 사이의 유액의 유로 면적을 조정하는 제2 조정부(172)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중립 위치를 포함하는 제1 소정 범위 S4~S5 내에 있을 때, 제1 조정부(171) 및 제2 조정부(172)의 유로 면적이 함께 커져 상부실(18) 및 하부실(20) 사이를 연통시켜 감쇠력을 소프트 상태로 한다.
또한,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1 소정 범위 S4~S5를 넘어 최대 길이 측의 제2 소정 범위 S6~S7 내에 있을 때, 제1 조정부(171)의 유로 면적이 작아지며, 또한 제2 조정부(172)의 유로 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신장 행정에서는, 상부실(18)의 유액을 제1 피스톤(15)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를 통과시키면서 중간실(19) 및 제2 조정부(172)를 통해 하부실(20)로 흘릴 수 있다. 또한, 수축 행정에서는, 하부실(20)의 유액을 제2 조정부(172)에서 중간실(19)로 흘리고 제1 피스톤(15)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를 통과시키면서 상부실(18)로 흘릴 수 있다.
또한,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1 소정 범위 S4~S5를 넘어 최소 길이 측의 제3 소정 범위 S2~S3 내에 있을 때, 제1 조정부(171)의 유로 면적이 커지며, 또한 제2 조정부(172)의 유로 면적이 작아진다. 따라서, 신장 행정에서는, 상부실(18)의 유액을 제1 조정부(171)를 통해 중간실(19)에 도입하면서 제2 피스톤(16)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19)를 통과시키면서 하부실(20)로 흘릴 수 있다. 또한, 수축 행정에서는, 하부실(20)의 유액을 제2 피스톤(16)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18)를 통과시켜 중간실(19)로 흘리고 제1 조정부(171)를 통해 상부실(18)로 흘릴 수 있다. 따라서, 감쇠력의 설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피스톤(15)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 및 제2 피스톤(16)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19)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신장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류 측에 위치하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에서 발생하는 감쇠력이 하류 측에 위치하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119)에서 발생하는 감쇠력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소정 범위 S6~S7 내에 있을 때의 신장 행정에서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를 통과하는 유액의 흐름에 의한 감쇠력을 소프트하게 할 수 있고, 제3 소정 범위 S2~S3 내에 있을 때의 신장 행정에서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19)를 통과하는 유액의 흐름에 의한 감쇠력을 하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피스톤(15)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 및 제2 피스톤(16)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18)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수축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류 측에 위치하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118)에서 발생하는 감쇠력이 하류 측에 위치하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에서 발생하는 감쇠력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3 소정 범위 S2~S3 내에 있을 때의 수축 행정에서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18)를 통과하는 유액의 흐름에 의한 감쇠력을 소프트하게 할 수 있고, 제2 소정 범위 S6~S7 내에 있을 때의 수축 행정에서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를 통과하는 유액의 흐름에 의한 감쇠력을 하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2 소정 범위 S6~S7를 넘어 최대 길이 측에 있는 제4 소정 범위 S8~S9에 있을 때와, 제3 소정 범위 S2~S3를 넘어 최소 길이 측에 있는 제5 소정 범위 S0~S1에 있을 때, 제1 조정부(171)의 유로 면적 및 제2 조정부(172)의 유로 면적이 함께 작아진다. 따라서, 로드 내통로(32)는, 상부실(18), 중간실(19) 및 하부실(20)의 어느 연통도 제한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신장 행정 및 수축 행정의 감쇠력이 함께 높아진다. 이에 따라, 최대 신장, 최대 수축 시에 감쇠력을 높일 수 있어, 이음의 억제 및 승차감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정부(171) 및 제2 조정부(172) 사이의 축 방향 길이보다도 길게 뻗어 제1 소정 범위 S4~S5를 규정하는 축경부(164)를 갖는 미터링 핀(31)을 이용하기 때문에, 완충기(1)를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터링 핀(31)의 제1 대직경부(162), 축경부(164) 및 제2 대직경부(166)의 길이와, 제1 조정부(171)의 소직경 구멍부(48) 및 제2 조정부(172)의 소직경 구멍부(137) 사이 길이의 관계를 변경하여, 최대 신장 위치 S9까지, 제1 조정부(171)가 소직경 구멍부(48)와 미터링 핀(31)의 제2 대직경부(166)의 축 방향 위치를 맞추며 또한 제2 조정부(172)가 소직경 구멍부(137)와 미터링 핀(31)의 축경부(164)의 축 방향 위치를 맞추도록 하여도 좋다. 즉, 이들 관계를 만족하는 상기한 제2 소정 범위 S6~S7를, 최대 신장 위치 S9까지 늘리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최대 수축 위치 S0까지, 제1 조정부(171)가 소직경 구멍부(48)와 미터링 핀(31)의 축경부(164)의 축 방향 위치를 맞추며 또한 제2 조정부(172)가 소직경 구멍부(137)와 미터링 핀(31)의 제1 대직경부(162)의 축 방향 위치를 맞추도록 하여도 좋다. 즉, 이들 관계를 만족하는 상기한 제3 소정 범위 S2~S3를, 최대 수축 위치 S0까지 늘리더라도 좋다.
또한, 이들 변경 중, 신장 측과 수축 측 중의 어느 한쪽만의 변경을 채용하여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2 소정 범위 S6~S7를 넘어 최대 길이 측에 있을 때와,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3 소정 범위 S2~S3를 넘어 최소 길이 측에 있을 때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어서, 제1 조정부(171) 및 제2 조정부(172)의 유로 면적이 함께 작아지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쪽에 있어서, 제1 조정부(171) 및 제2 조정부(172)의 유로 면적이 함께 작아지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미터링 핀(31)의 제1 대직경부(162) 및 제2 대직경부(166) 중 적어도 한쪽의 축경부(164)와는 반대쪽에, 제1 대직경부(162) 및 제2 대직경부(166)보다도 더 대직경인 부분을 두어, 최대 신장 위치 근방 및 최대 수축 위치 근방의 적어도 한쪽에서 감쇠력을 더 높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는, 최대 신장 위치 및 최대 수축 위치에서 더 감쇠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최대 신장 시 또는 최대 수축 시에 피스톤이나 베이스 밸브를 보호하고,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는 스토퍼(35)를 없앨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점수의 삭감에 의한 생산성 향상이나 축 방향 길이의 저감을 도모함에 따른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를 복통형에 한하지 않고 단통형의 완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린더 내에, 제2 피스톤의 피스톤 로드의 연장 측과는 반대쪽에 프리피스톤이 설치되고, 이 프리피스톤과 제2 피스톤 사이에 실린더에 고정되는 중간 부재를 설치하여 미터링 핀을 지지한다.
「제2 실시형태」
이어서, 제2 실시형태를 주로 도 10~도 12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호칭,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하는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A)에서는, 실린더(2)와는 일부 다른 실린더(2A)가 이용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내통(5)과는 일부 다른 내통(5A)이 이용되고 있다.
내통(5A)에는,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홈(200)이,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내주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완충기(1A)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미터링 핀(31)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베이스 밸브(25)와는 일부 다른 베이스 밸브(25A)가 이용되고 있다. 베이스 밸브(25A)에는, 미터링 핀(31)을 부착하기 위한 계지 부재(146) 및 지지판(147)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베이스 밸브(25A)에는, 베이스 밸브 부재(141)와는 상부의 외경이 다른 베이스 밸브 부재(141A)가 이용되고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141A)의 상부는 내통(5A)에 직접 감합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 로드(21)와는 일부 다른 피스톤 로드(21A)가 이용되고 있다. 피스톤 로드(21A)는, 로드 본체(26) 및 선단 로드(27)와는 일부 다른 로드 본체(26A)와, 너트(78)와는 일부 다른 너트(78A)를 갖고 있다.
로드 본체(26A)는 중실(中實) 구조이다. 로드 본체(26A)는, 로드 가이드(22) 및 시일 부재(23) 각각의 내측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실린더(2)의 외부로 연장되는 주축부(201)와, 실린더(2A) 내측의 유지축부(57A)를 갖고 있다. 유지축부(57A)는 주축부(201)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유지축부(57A)에는, 주축부(201)와는 반대쪽 단부의 외주에 수나사(58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피스톤(16)과는 일부 다른 제2 피스톤(16A)이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스톤 본체(111)와는 일부 다른 피스톤 본체(111A)가 이용되고 있다. 피스톤 본체(111A)는, 통로 형성 구멍부(125)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일정 직경의 삽통 구멍(126A)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111A)는, 삽통 구멍(126A)에 피스톤 로드(21A)의 유지축부(57A)를 감합시킨다.
그리고, 유지축부(57A)에, 모두 제1 실시형태와 같은, 1장의 규제 부재(61), 1장의 접촉 디스크(62), 1장의 디스크(63), 복수 매의 디스크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밸브(64), 제1 피스톤(15), 복수 매의 디스크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밸브(65), 1장의 디스크(66), 1장의 접촉 디스크(67)가 이 순서로 부착되고, 아울러 제1 실시형태와는 두께가 다른 하나의 규제 부재(68A)가 유지축부(57A)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모두 제1 실시형태와 같은, 1장의 접촉 디스크(69), 1장의 디스크(70), 복수 매의 디스크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밸브(71)가 이 순서로 유지축부(57A)에 부착되고, 아울러, 제2 피스톤(16A), 제1 실시형태의 통로 형성 디스크(72)와는 통로 홈(131)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 다른 디스크(72A)가, 이 순서로 유지축부(57A)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모두 제1 실시형태와 같은, 복수 매의 디스크(73), 복수 매의 디스크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밸브(74), 1장의 디스크(75), 1장의 접촉 디스크(76), 1장의 규제 부재(77)가 이 순서로 유지축부(57A)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축부(57A)에 부착된 이들 부재가, 수나사(58A)에 나사 결합되는, 소직경 구멍부(137)가 없는 범용의 너트(78A)와 주축부(201)의 유지축부(57A) 측의 단부면으로 협지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스토퍼(35)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내통(5A)의 축 방향 홈(200)은,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 양쪽을 축 방향으로 동시에 횡단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즉, 축 방향 홈(200)은,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 사이의 축 방향 길이[미끄럼 이동 부재(96, 112) 사이의 최대 거리]보다도 길게 뻗어 있다.
축 방향 홈(200)은, 축 방향 홈(200) 전체가 제1 피스톤(15)의 제2 피스톤(16)과는 반대쪽에 있는 상태와, 축 방향 홈(200) 전체가 제2 피스톤(16)의 제1 피스톤(15)과는 반대쪽에 있는 상태에서는, 축 방향 홈(200)이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어느 것도 축 방향으로 횡단하지 않는 상태이며, 상부실(18), 중간실(19) 및 하부실(20)의 어느 것도 연통시키지 않는다. 또한, 축 방향 홈(200)은, 제1 피스톤(15)만을 축 방향으로 횡단하는 상태에서는, 제1 피스톤(15) 내측의 벽통로(202)(제2 통로)로 상부실(18) 및 중간실(19)을 연통시키지만, 중간실(19)과 하부실(20)을 연통시키지는 않는다. 또한, 축 방향 홈(200)은, 제2 피스톤(16)만을 축 방향으로 횡단하는 상태에서는, 제2 피스톤(16)의 벽통로(202)로 중간실(19) 및 하부실(20)를 연통시키지만, 상부실(18)와 중간실(19)을 연통시키지는 않는다. 또한, 축 방향 홈(200)은,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 양쪽을 동시에 축 방향으로 횡단하는 상태에서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벽통로(202)로 상부실(18), 중간실(19) 및 하부실(20)을 전부 연통시킨다. 따라서, 벽통로(202)는, 통로(101, 102, 116, 117)와는 별도로 상부실(18), 중간실(19) 및 하부실(20)을 연통시킨다.
이상에 의해, 제1 피스톤(15) 및 축 방향 홈(200)은, 벽통로(202)에 대하여 설치되어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위치에 의해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의 유액의 유로 면적을 조정하는 제1 조정부(171A)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2 피스톤(16) 및 축 방향 홈(200)은, 벽통로(202)에 대하여 설치되어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위치에 의해 중간실(19) 및 하부실(20) 사이의 유액의 유로 면적을 조정하는 제2 조정부(172A)를 구성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제1 조정부(171A) 및 제2 조정부(172A)의 유로 면적은, 실린더(2) 내통(5)의 내주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축 방향 홈(200)에 의해 조정된다.
완충기(1A)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스트로크 위치가, 중립위치[1G의 위치(수평 위치에 정지한 차체를 지지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도 5의 (a)에 도시하는 제1 소정 범위 S4~S5 내에 있을 때, 축 방향 홈(200)이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 양쪽을 동시에 축 방향으로 횡단하여 벽통로(202)의 유로 면적에 의해서 상부실(18), 중간실(19) 및 하부실(20)을 연통시킨다. 바꿔 말하면, 제1 소정 범위 S4~S5는 축 방향 홈(200)에 의해서 규정되는 범위로 되어 있다. 제1 소정 범위 S4~S5에서는, 제1 조정부(171A)의 제1 피스톤(15)과 축 방향 홈(200)으로 둘러싸인 벽통로(202)의 유로 면적과, 제2 조정부(172A)의 제2 피스톤(16)과 축 방향 홈(200)으로 둘러싸인 벽통로(202)의 유로 면적이, 도 5의 (a)의 실선 U1, U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동등한 최대치가 되어, 상부실(18)과 하부실(20)이 벽통로(202)의 유로 면적으로 연통되는 상태가 된다.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1 소정 범위 S4~S5 내에 있을 때,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상부실(18) 측으로 이동하는 신장 행정에서는, 상부실(18)의 유액이 벽통로(202)를 통해 하부실(20)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도 5의 (b)의 실선 V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소프트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1 소정 범위 S4~S5 내에 있을 때,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하부실(20) 측으로 이동하는 수축 행정에서는, 하부실(20)의 유액이 벽통로(202)를 통해 상부실(18)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도 5의 (b)의 파선 V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소프트 상태가 된다.
완충기(1A)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스트로크 위치가, 제1 소정 범위 S4~S5를 넘어, 완충기(1)를 최대 길이로 하는 최대 길이 측의 도 5의 (a)에 도시하는 제2 소정 범위 S6~S7 내에 있을 때, 제1 조정부(171A)의 제1 피스톤(15)이 벽통로(202)에 의한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여 도 5의 (a)의 실선 U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유로 면적을 최소치로 하고, 제2 조정부(172A)의 제1 피스톤(15)이 벽통로(202)에 의해서 중간실(19) 및 하부실(20) 사이를 연통시켜 도 5의 (a)의 파선 U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유로 면적을 최대치로 하고 있다.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2 소정 범위 S6~S7 내에 있을 때,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상부실(18) 측으로 이동하는 신장 행정에서는, 제1 조정부(171A)가 벽통로(202)에 의한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부실(18)의 유액은, 벽통로(202)로의 진입이 규제되어, 제1 피스톤(15)의 통로(102)를 지나, 소프트한 감쇠력 특성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를 열어 중간실(19)로 흐른다. 또한, 제2 조정부(172A)가 벽통로(202)로 중간실(19) 및 하부실(20) 사이를 연통시키고 있기 때문에, 중간실(19)의 유액이 중간실(19)로부터 벽통로(202)를 통해 하부실(20)로 흐른다. 따라서, 도 5의 (b)의 실선 V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제1 소정 범위 S4~S5보다도 약간 하드한 상태가 되지만 소프트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2 소정 범위 S6~S7 내에 있을 때,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하부실(20) 측으로 이동하는 수축 행정에서는, 제2 조정부(172A)가 벽통로(202)에 의해서 중간실(19) 및 하부실(20) 사이를 연통시키고 있고, 제1 조정부(171A)가 벽통로(202)에 의한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부실(20)의 유액은, 벽통로(202)를 통해 중간실(19) 측으로 흐르고, 제1 피스톤(15)의 통로(101)를 지나, 하드한 감쇠력 특성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를 열어 상부실(18)로 흐른다. 따라서, 도 5의 (b)의 파선 V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제1 소정 범위 S4~S5 및 후술하는 제3 소정 범위 S2~S3보다도 하드한 상태가 된다.
완충기(1A)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스트로크 위치가, 제1 소정 범위 S4~S5를 넘어, 완충기(1A)를 최소 길이로 하는 최소 길이 측의 도 5의 (a)에 도시하는 제3 소정 범위 S2~S3 내에 있을 때, 제1 조정부(171A)가 벽통로(202)에 의해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를 연통시켜 도 5의 (a)의 실선 U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유로 면적을 최대치로 하고 있고, 제2 조정부(172A)가 벽통로(202)에 의한 중간실(19) 및 하부실(20)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여 도 5의 (a)의 파선 U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유로 면적을 최소치로 하고 있다.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3 소정 범위 S2~S3내에 있을 때,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상부실(18) 측으로 이동하는 신장 행정에서는, 제1 조정부(171A)가 벽통로(202)에 의해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를 연통시키고 있고, 제2 조정부(172A)가 벽통로(202)에 의한 중간실(19) 및 하부실(20)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부실(18)의 유액은, 벽통로(202)를 통해 중간실(19)로 도입되어 하드한 감쇠력 특성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19)를 열어 하부실(20)로 흐른다. 따라서, 도 5의 (b)의 실선 V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제2 소정 범위 S6~S7보다도 하드한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3 소정 범위 S2~S3 내에 있을 때,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하부실(20) 측으로 이동하는 수축 행정에서는, 제2 조정부(172A)가 벽통로(202)에 의한 중간실(19) 및 하부실(20)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부실(20)의 유액은, 제2 피스톤(16)의 통로(116)를 지나, 소프트한 감쇠력 특성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18)를 열어 중간실(19)로 흐른다. 또한, 제1 조정부(171A)가 벽통로(202)에 의해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를 연통시키고 있기 때문에, 중간실(19)의 유액이 벽통로(202)를 통해 상부실(18)로 흐른다. 따라서, 도 5의 (b)의 파선 V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제1 소정 범위 S4~S5보다도 약간 하드한 상태가 되지만 소프트 상태가 유지된다.
완충기(1A)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스트로크 위치가, 제2 소정 범위 S6~S7를 넘어, 최대 길이 측의 최대 신장 위치 S9까지의 제4 소정 범위 S8~S9에 있을 때, 제1 조정부(171A)가 벽통로(202)에 의한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여 도 5의 (a)의 실선 U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유로 면적을 최소치로 하고 있고, 제2 조정부(172A)가 벽통로(202)에 의한 중간실(19) 및 하부실(20)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여 도 5의 (a)의 파선 U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유로 면적을 최소치로 하고 있다.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4 소정 범위 S8~S9에 있을 때,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상부실(18) 측으로 이동하는 신장 행정에서는, 제1 조정부(171A)가 벽통로(202)에 의한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고, 제2 조정부(172A)가 벽통로(202)에 의한 중간실(19) 및 하부실(20)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부실(18)의 유액은, 통로(102)를 지나, 소프트한 감쇠력 특성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를 열어 중간실(19)로 흐르고, 통로(117)를 지나, 하드한 감쇠력 특성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19)를 열어 하부실(20)로 흐른다. 따라서, 도 5의 (b)의 실선 V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제3 소정 범위 S2~S3와 마찬가지로 하드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최대 신장 시에 감쇠력이 하드한 상태가 되어, 이음의 억제 및 승차감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4 소정 범위 S8~S9에 있을 때,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하부실(20) 측으로 이동하는 수축 행정에서는, 제1 조정부(171A)가 벽통로(202)에 의한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고, 제2 조정부(172A)가 벽통로(202)에 의한 중간실(19) 및 하부실(20)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부실(20)의 유액은, 통로(116)를 지나, 소프트한 감쇠력 특성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18)를 열어 중간실(19)로 흐르고, 통로(101)를 지나, 하드한 감쇠력 특성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를 열어 상부실(18)로 흐른다. 따라서, 도 5의 (b)의 파선 V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제2 소정 범위 S6~S7와 마찬가지로 하드한 상태가 된다.
완충기(1A)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스트로크 위치가, 제3 소정 범위 S2~S3를 넘어, 최소 길이 측의 최대 수축 위치 S0까지의 제5 소정 범위 S0~S1에 있을 때, 제1 조정부(171A)가 벽통로(202)에 의한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여 도 5의 (a)의 실선 U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유로 면적을 최소치로 하고 있고, 제2 조정부(172A)가 벽통로(202)에 의한 중간실(19) 및 하부실(20)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여 도 5의 (a)의 파선 U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유로 면적을 최소치로 하고 있다.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5 소정 범위 S0~S1에 있을 때, 상부실(18) 측으로 이동하는 신장 행정에서는, 제1 조정부(171A)가 벽통로(202)에 의한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고, 제2 조정부(172A)가 벽통로(202)에 의한 중간실(19) 및 하부실(20)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부실(18)의 유액은, 통로(102)를 지나, 소프트한 감쇠력 특성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를 열어 중간실(19)로 흐르고, 통로(117)를 지나, 하드한 감쇠력 특성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119)를 열어 하부실(20)로 흐른다. 따라서, 도 5의 (b)의 실선 V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제3 소정 범위 S2~S3와 마찬가지로 하드한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5 소정 범위 S0~S1에 있을 때,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하부실(20) 측으로 이동하는 수축 행정에서는, 제1 조정부(171A)가 벽통로(202)에 의한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고, 제2 조정부(172A)가 벽통로(202)에 의한 중간실(19) 및 하부실(20)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부실(20)의 유액은, 통로(116)를 지나, 소프트한 감쇠력 특성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18)를 열어 중간실(19)로 흐르고, 통로(101)를 지나, 하드한 감쇠력 특성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를 열어 상부실(18)로 흐른다. 따라서, 도 5의 (b)의 파선 V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감쇠력은 제2 소정 범위 S6~S7와 마찬가지로 하드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최대 수축 시에 감쇠력이 하드한 상태가 되어, 이음의 억제 및 승차감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제1 조정부(171A) 및 제2 조정부(172A)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위치에 따라서, 벽통로(202)의 상태를 바꾸는 위치 감응 기구(175A)를 구성하고 있다. 위치 감응 기구(175A)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위치에 따라서, 상부실(18) 및 하부실(20) 사이를 중간실(19)을 통해 최대의 유로 면적으로 연통시키는 상태와, 상부실(18) 및 중간실(19) 사이를 최대의 유로 면적으로 연통시키며 상부실(18) 및 중간실(19)과 하부실(20)의 연통을 차단하는 상태와, 하부실(20) 및 중간실(19) 사이를 최대의 유로 면적으로 연통시키며 하부실(20) 및 중간실(19)과 상부실(18)의 연통을 차단하는 상태와, 상부실(18), 중간실(19) 및 하부실(20)의 모든 연통을 차단하는 상태로 벽통로(202)의 상태를 바꾼다.
이상에 의해, 완충기(1A)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중립 위치를 포함하는 제1 소정 범위 S4~S5에 있으면, 신장 방향 이동 및 수축 방향 이동 양 이동의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완충기(1A)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최대 길이 측의 제2 소정 범위 S6~S7에 있으면, 신장 방향 이동의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로 되며 수축 방향 이동의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된다. 완충기(1A)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최소 길이 측의 제3 소정 범위 S2~S3에 있으면, 신장 방향 이동의 감쇠력이 하드 상태로 되며 수축 방향 이동의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또한, 완충기(1A)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최대 길이 측의 제4 소정 범위 S8~S9 및 최소 길이 측의 제5 소정 범위 S0~S1에 있으면, 신장 방향 이동 및 수축 방향 이동의 감쇠력이 함께 하드 상태가 된다. 즉, 완충기(1A)도, 최대 길이 측의 제2 소정 범위 S6~S7와 최소 길이 측의 제3 소정 범위 S2~S3에서, 신장 방향 이동 및 수축 방향 이동의 하드와 소프트의 관계가 반대로 되는 반전형의 위치 감응의 감쇠력 변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축 방향 홈(200)의 길이와, 제1 조정부(171A)를 구성하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조정부(172A)를 구성하는 제2 피스톤(16) 사이의 길이의 관계를 변경하여, 최대 신장 위치 S9까지, 제1 조정부(171A)가 상부실(18)과 중간실(19)의 연통을 차단하며 제2 조정부(172A)가 중간실(19)과 하부실(20)을 연통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즉, 이들 관계를 만족하는 제2 소정 범위 S6~S7를, 최대 신장 위치 S9까지 연장시키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최대 수축 위치 S0까지, 제1 조정부(171A)가 상부실(18)과 중간실(19)을 연통시키며 제2 조정부(172A)가 중간실(19)과 하부실(20)의 연통을 차단하여도 좋다. 즉, 이들 관계를 만족하는 제3 소정 범위 S2~S3를, 최대 수축 위치 S0까지 연장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이들 변경 중, 신장 측과 수축 측 중의 어느 한쪽만의 변경을 채용하여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2 소정 범위 S6~S7를 넘어 최대 길이 측에 있을 때와,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이 제3 소정 범위 S2~S3를 넘어 최소 길이 측에 있을 때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어서, 제1 조정부(171A) 및 제2 조정부(172A)의 유로 면적이 함께 작아지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쪽에 있어서, 제1 조정부(171A) 및 제2 조정부(172A)의 유로 면적이 함께 작아지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이상에 설명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조정부(171A) 및 제2 조정부(172A) 사이의 축 방향 길이보다도 길게 뻗어 제1 소정 범위 S4~S5를 규정하는 축 방향 홈(200)을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완충기(1A)를 보다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제1,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 중 어느 한쪽을, 내통(5) 안으로 미끄럼 이동시키지 않고,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16)의 내부에 중간실(19)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제1 피스톤(15)과 제2 피스톤(16)의 외주 측에, 제1 피스톤(15)과 제2 피스톤(16)을 잇는 통체를 설치하여, 그 통체의 내부에 중간실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수축 측의 감쇠 밸브(103, 118) 및 신장 측의 감쇠 밸브(104, 119)의 감쇠력 특성은 전부 다르게 하여도 좋고, 적어도 어느 2개를 동등한 감쇠력 특성으로 하여도 좋다. 예컨대, 2개를 소프트와 하드 사이의 미디엄 특성으로 하고, 나머지 하나를 소프트 특성으로 하고, 나머지 하나를 하드 특성으로 하는 등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실시형태도 복통형에 한하지 않고 단통형의 완충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완충기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설치되어, 그 실린더 내부를 상부실 및 하부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를 갖는 완충기로서, 상기 피스톤에 의해서 형성되는 중간실과, 상기 상부실과 상기 중간실 사이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하부실과 상기 중간실 사이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피스톤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상부실 및 상기 하부실 사이를 연통시키는 상태와, 상기 상부실 및 상기 중간실 사이를 연통시키는 상태와, 상기 하부실 및 상기 중간실 사이를 연통시키는 상태로 통로의 상태를 바꾸는 위치 감응 기구를 갖는다. 이에 따라, 감쇠력의 설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적어도 한쪽이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실린더 내부를 상부실, 중간실 및 하부실로 구획하는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과,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실 및 상기 중간실 사이와, 상기 중간실 및 상기 하부실 사이를 작동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하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제1 통로를 흐르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 및 수축 측의 감쇠 밸브와, 상기 제1 통로와는 별도로 상기 상부실, 상기 중간실 및 상기 하부실을 연통하는 제2 통로와, 상기 제2 통로에 대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위치에 의해 상기 상부실 및 상기 중간실 사이의 작동 유체의 유로 면적을 조정하는 제1 조정부와, 상기 제2 통로에 대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위치에 의해 상기 하부실 및 상기 중간실 사이의 작동 유체의 유로 면적을 조정하는 제2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조정부 및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은,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중립 위치를 포함하는 제1 소정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제1 조정부의 유로 면적 및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함께 커지고,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상기 제1 소정 범위를 넘어 최대 길이 측의 제2 소정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제1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작아지며 또한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커지고,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상기 제1 소정 범위를 넘어 최소 길이 측의 제3 소정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작아지며 또한 상기 제1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감쇠력의 설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피스톤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는,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신장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류 측에 위치하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에서 발생하는 감쇠력이 하류 측에 위치하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에서 발생하는 감쇠력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1 피스톤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는,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수축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류 측에 위치하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에서 발생하는 감쇠력이 하류 측에 위치하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에서 발생하는 감쇠력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소정 범위 내에 있을 때의 신장 행정에서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를 통과하는 유액의 흐름에 의한 감쇠력을 소프트로 할 수 있고, 제3 소정 범위 내에 있을 때의 신장 행정에서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를 통과하는 유액의 흐름에 의한 감쇠력을 하드로 할 수 있고, 제3 소정 범위 내에 있을 때의 수축 행정에서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를 통과하는 유액의 흐름에 의한 감쇠력을 소프트로 할 수 있고, 제2 소정 범위 내에 있을 때의 수축 행정에서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를 통과하는 유액의 흐름에 의한 감쇠력을 하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상기 제2 소정 범위를 넘어 최대 길이 측에 있을 때와,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상기 제3 소정 범위를 넘어 최소 길이 측에 있을 때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을 때, 상기 제1 조정부의 유로 면적 및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함께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최대 신장, 최대 수축 시에 감쇠력을 높일 수 있어, 이음의 억제 및 승차감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정부의 유로 면적 및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은 미터링 핀에 의해 조정되고, 상기 미터링 핀은, 상기 제1 조정부 및 상기 제2 조정부 사이의 축 방향 길이보다도 길게 뻗는 축경부를 가지고서 상기 제1 소정 범위를 규정한다. 이에 따라, 완충기를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정부 및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은, 상기 실린더의 내주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축 방향 홈에 의해 조정되고, 상기 축 방향 홈은, 상기 제1 조정부 및 상기 제2 조정부 사이의 축 방향 길이보다도 길게 뻗어 상기 제1 소정 범위를 규정한다. 이에 따라, 완충기를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상기한 완충기에 따르면, 감쇠력의 설정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1, 1A: 완충기 2, 2A: 실린더
15: 제1 피스톤 16: 제2 피스톤
18: 상부실 19: 중간실
20: 하부실 21, 21A: 피스톤 로드
31: 미터링 핀 32: 로드 내통로(제2 통로)
101, 102, 116, 117: 통로(제1 통로) 103, 118: 수축 측의 감쇠 밸브
104, 119: 신장 측의 감쇠 밸브 105: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120: 제2 감쇠력 발생 기구 132: 연통로(제2 통로)
171, 171A: 제1 조정부 172, 172A: 제2 조정부
175, 175A: 위치 감응 기구, 200: 축 방향 홈
202: 벽통로(제2 통로)

Claims (6)

  1.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내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상부실 및 하부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
    를 갖는 완충기로서,
    상기 피스톤에 의해서 형성되는 중간실과,
    상기 상부실과 상기 중간실 사이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하부실과 상기 중간실 사이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피스톤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상부실 및 상기 하부실 사이를 연통시키는 상태와, 상기 상부실 및 상기 중간실 사이를 연통시키는 상태와, 상기 하부실 및 상기 중간실 사이를 연통시키는 상태로, 통로의 상태를 바꾸는 위치 감응 기구를 갖는 것인 완충기.
  2.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적어도 한쪽이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를 상부실, 중간실 및 하부실로 구획하는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과,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실 및 상기 중간실 사이와, 상기 중간실 및 상기 하부실 사이를 작동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하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제1 통로를 흐르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와,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제1 통로를 흐르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와,
    상기 제1 통로와는 별도로 상기 상부실, 상기 중간실 및 상기 하부실을 연통하는 제2 통로와,
    상기 제2 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위치에 의해 상기 상부실 및 상기 중간실 사이의 작동 유체의 유로 면적을 조정하는 제1 조정부와,
    상기 제2 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위치에 의해 상기 하부실 및 상기 중간실 사이의 작동 유체의 유로 면적을 조정하는 제2 조정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조정부 및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은,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중립 위치를 포함하는 제1의 정해진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제1 조정부의 유로 면적 및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함께 커지고,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상기 제1의 정해진 범위를 넘어 최대 길이 측의 제2의 정해진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제1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작아지며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커지고,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상기 제1의 정해진 범위를 넘어 최소 길이 측의 제3의 정해진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작아지며 상기 제1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인 완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신장 측의 감쇠 밸브는,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신장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류 측에 위치하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에서 발생하는 감쇠력이 하류 측에 위치하는 신장 측의 감쇠 밸브에서 발생하는 감쇠력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1 피스톤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수축 측의 감쇠 밸브는,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수축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류 측에 위치하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에서 발생하는 감쇠력이 하류 측에 위치하는 수축 측의 감쇠 밸브에서 발생하는 감쇠력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인 완충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상기 제2의 정해진 범위를 넘어 최대 길이 측에 있을 때와, 상기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이 상기 제3의 정해진 범위를 넘어 최소 길이 측에 있을 때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을 때, 상기 제1 조정부의 유로 면적 및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이 함께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인 완충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부의 유로 면적 및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은, 미터링 핀에 의해 조정되고,
    상기 미터링 핀은, 상기 제1 조정부 및 상기 제2 조정부 사이의 축 방향 길이보다도 길게 뻗는 축경부를 가지고서 상기 제1의 정해진 범위를 규정하는 것인 완충기.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부의 유로 면적 및 상기 제2 조정부의 유로 면적은, 상기 실린더의 내주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축 방향 홈에 의해 조정되고,
    상기 축 방향 홈은, 상기 제1 조정부 및 상기 제2 조정부 사이의 축 방향 길이보다도 길게 뻗어 상기 제1의 정해진 범위를 규정하는 것인 완충기.
KR1020177006965A 2014-10-31 2015-08-25 완충기 KR102294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23501 2014-10-31
JPJP-P-2014-223501 2014-10-31
PCT/JP2015/073817 WO2016067724A1 (ja) 2014-10-31 2015-08-25 緩衝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595A true KR20170078595A (ko) 2017-07-07
KR102294332B1 KR102294332B1 (ko) 2021-08-25

Family

ID=5585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965A KR102294332B1 (ko) 2014-10-31 2015-08-25 완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27917B2 (ko)
JP (1) JP6279759B2 (ko)
KR (1) KR102294332B1 (ko)
CN (1) CN107076247B (ko)
DE (1) DE112015004940T5 (ko)
WO (1) WO20160677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820B1 (ko) 2017-11-15 2019-03-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 자중별 충격흡수성능을 가진 스마트 착륙장치
US11530729B2 (en) 2018-08-09 2022-12-20 Hl Mando Corporatio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9944B1 (ja) * 2017-07-07 2018-01-10 株式会社ショーワ 懸架装置用の制御装置および懸架システム
DE102018110490A1 (de) * 2018-05-02 2019-11-07 Dt Swiss Ag Stoßdämpfer für ein Fahrrad
DE112019002773T5 (de) * 2018-05-29 2021-03-04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Federungsvorrichtung
CN108825706B (zh) * 2018-07-09 2020-07-31 铜陵市兆林工贸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动汽车用智能变阻尼减震器
US11097835B2 (en) * 2019-01-30 2021-08-24 Goodrich Corporation Additively manufactured thermoplastic metering pin with slots for retention hardware
JP7190943B2 (ja) 2019-03-13 2022-12-16 大阪瓦斯株式会社 管内操作装置
CN110745045A (zh) * 2019-10-18 2020-02-04 安路普(北京)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阻尼力调节装置、座椅和车辆悬架***
DE102020107196A1 (de) * 2020-03-16 2021-09-16 Brandenburgische Technische Universität Cottbus-Senftenberg Anordnung und Verfahren zum Dämpfen von Schwingungen eines Bauwerks
CN113586643B (zh) * 2020-04-30 2022-09-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减振器及车辆
JP7151020B1 (ja) * 2022-03-31 2022-10-11 日立Astemo株式会社 緩衝装置、懸架装置
CN117266705B (zh) * 2023-11-20 2024-02-27 四川名人居门窗有限公司 一种电磁感应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8038A (ja) 1988-09-30 1990-06-28 Tokico Ltd 油圧緩衝器
JPH04157223A (ja) * 1990-10-19 1992-05-29 Tokico Ltd 油圧緩衝器
KR20140099439A (ko) * 2011-11-30 2014-08-12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완충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3250U (ko) * 1980-01-31 1981-09-01
JPS56113250A (en) 1980-02-15 1981-09-07 Mitsubishi Gas Chem Co Inc Storage of fish
JPS6211264U (ko) * 1985-07-04 1987-01-23
JPS62123042A (ja) 1985-11-20 1987-06-04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審美性に優れた歯科材料用結晶化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3861Y2 (ja) * 1986-01-28 1995-05-31 日新電機株式会社 遮断器用油緩衝装置
JPH02195038A (ja) * 1989-01-20 1990-08-01 Tokico Ltd 油圧緩衝器
SE512020C2 (sv) * 1995-05-18 2000-01-17 Oehlins Racing Ab Anordning vid stötdämpare
JP4318080B2 (ja) * 2004-06-07 2009-08-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油圧緩衝器
JP5584110B2 (ja) * 2010-12-28 2014-09-0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緩衝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8038A (ja) 1988-09-30 1990-06-28 Tokico Ltd 油圧緩衝器
JPH04157223A (ja) * 1990-10-19 1992-05-29 Tokico Ltd 油圧緩衝器
KR20140099439A (ko) * 2011-11-30 2014-08-12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완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820B1 (ko) 2017-11-15 2019-03-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 자중별 충격흡수성능을 가진 스마트 착륙장치
US11530729B2 (en) 2018-08-09 2022-12-20 Hl Mando Corporatio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07044A1 (en) 2017-10-26
US10927917B2 (en) 2021-02-23
KR102294332B1 (ko) 2021-08-25
JPWO2016067724A1 (ja) 2017-07-06
CN107076247A (zh) 2017-08-18
WO2016067724A1 (ja) 2016-05-06
JP6279759B2 (ja) 2018-02-14
DE112015004940T5 (de) 2017-07-20
CN107076247B (zh)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8595A (ko) 완충기
US8794405B2 (en) Damping force control type shock absorber
US8590680B2 (en) Shock absorber
JP5350372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RU2625475C2 (ru) Амортизатор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его
JP5758235B2 (ja) 緩衝器
KR102139846B1 (ko) 완충기
KR102232127B1 (ko) 완충기
KR102159890B1 (ko) 완충기
KR102523320B1 (ko) 완충기
KR20120075389A (ko) 완충기
RU2700290C2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оборудованное амортизатором
KR20160048115A (ko) 완충 장치
JP6417281B2 (ja) 緩衝器
JP5851159B2 (ja) 緩衝器
JP6202726B2 (ja) 緩衝器
JP6047035B2 (ja) 車両用液圧緩衝器
JP5798813B2 (ja) 緩衝器
JP5639879B2 (ja) 緩衝器
CN107606031A (zh) 具有x流活塞组件的液压阻尼器
JP2010007817A (ja) 流体圧緩衝器
JP2014047875A (ja) 減衰バルブ
JPH02195038A (ja) 油圧緩衝器
JP6506934B2 (ja) 緩衝器
KR20230027224A (ko) 완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