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202A -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202A
KR20170078202A KR1020150188498A KR20150188498A KR20170078202A KR 20170078202 A KR20170078202 A KR 20170078202A KR 1020150188498 A KR1020150188498 A KR 1020150188498A KR 20150188498 A KR20150188498 A KR 20150188498A KR 20170078202 A KR20170078202 A KR 20170078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upper cover
cover
joi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6882B1 (ko
Inventor
신종철
Original Assignee
엠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엠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8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8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B68G2001/005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for pillows or du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 목(경추)를 지지하는 부분이 높고, 상대적으로 머리를 지지하는 부분은 낮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좌우측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옆으로 누었을 때 귀를 압박하지 않도록 낮게 구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목(경추), 머리와 귀를 편안하게 받쳐주도록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옆으로 베고 누웠을때 목이 휘지 않으면서 귀 눌림을 방지할 수 있고, 편안한 목 받침 기능을 갖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잠잘때 머리를 받치는 침구로써 땀을 흡수할 수 있는 천 재질이면서 내부에 충전재를 넣은 것으로 쿠션 기능과 흡습기능이 요구된다.
대부분의 베개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 휴식이나 수면을 취할 때 베개 본체 상면부에 청각기의 이개(귓바퀴)가 머리의 하중으로 인해 압박되어 눌림으로써 혈액순환 저해, 귀울림, 감각신경성 난청, 한쪽 귀의 공기가 차단된 상태에서 양쪽 고막의 기압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먹먹한 현상과 현기증 현상을 포함하는 기압성 귀통증과 유착성 중이염, 청각기의 이관기관 장애 등의 발생 위험이 있었다.
근래 들어 베개의 중요성이 알려지면서 다양한 기능성의 베개가 제안되고 있었다.
재질과 모양만 다를 뿐 귀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려하지 않아 머리의 하중을 1차적으로 감해줄 뿐 마지막 단계에서의 귀에 가해지는 압력이 그대로 전달되어 귀가 눌려져서 혈액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아 피로가 증대되고 뒤척이게 되어 편안한 숙면을 방해하며, 귀가 이상변형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출원 10-2013-0116319호에는 사용자가 똑바로 누워서 수면을 취할 때, 안정적으로 머릿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모로 누워서 수면을 취할 때도 귀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이 거의 작용하지 않음으로써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베개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은 귀를 압박하지 않도록 귀 안착홈을 구비한 것인데 이는 귀의 압박은 해소될 수 있었으나 목을 가장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경추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베개의 단단한 정도를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설정하지 못하여 불편함을 주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누워서 머리 및 목을 베개에 받쳤을 때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도록 충진재의 충진 정도를 설정하여 목(경추)를 올바르게 지지해줄 수 있고, 옆으로 눕더라도 목이 휘지 않고 귀가 압박되지 않도록 하여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목(경추)을 지지하는 부분이 높고, 상대적으로 머리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부분은 낮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좌우측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옆으로 누었을 때 귀를 압박하지 않도록 낮게 구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목(경추), 머리와 귀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부커버와, 상부커버에 대응되는 하부커버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연결하는 측면커버로 구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부풀도록 형성된 것이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의 중앙부위에 머리를 받치는 머리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머리지지부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중간부위를 직선형으로 접합시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접합부; 상기 제1접합부의 양단에 각기 이어져 접합 형성되며, 상부로 볼록하게 만곡지게 형성되어 양측에 형성되는 제2만곡부; 상기 양측에 형성되는 제2만곡부 각각의 일단에 이어져 형성되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를 접합시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제1접합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중간부위를 직선형으로 접합시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접합부; 상기 제3접합부의 양단에 각기 이어져 접합 형성되며, 상부로 볼록하게 만곡지게 형성되어 양측에 형성되고, 제2만곡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양단이 함몰부에 이어져 형성되는 제4만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접합부 및 제4만곡부와 본체의 일측 측면커버 사이에 상방으로 볼록하게 제1돌출부가 형성되어 목을 받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누워서 머리 및 목을 베개에 받쳤을때 후두부 및 목의 곡률에 적합하도록 충진재의 충진 정도를 설정하여 목(경추) 및 후두부를 올바르게 지지해줄 수 있고, 옆으로 눕더라도 목이 휘지 않고 귀가 압박되지 않도록 하여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제1실시예]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A1)는, 목(경추)을 지지하는 부분이 높고, 상대적으로 머리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부분은 낮게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좌우측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옆으로 누었을 때 귀를 압박하지 않도록 낮게 구성되는 함몰부(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목(경추)과 머리 및 귀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흡습성을 갖는 천 재질로 형성되며, 상부커버(102)와, 상부커버(102)에 대응되는 하부커버(106)와, 상부커버(102)와 하부커버(106)를 연결하는 측면커버(104)로 구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부풀도록 형성된다.
상부커버(102)의 외주연과 측면커버(104)의 상단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와이어(w)가 부착된다.
또한 하부커버(106)의 외주연과 측면커버(104)의 하단이 연결되는 부위에도 와이어(w)가 부착된다.
이렇게 상,하에 와이어(w)를 형성하여, 측면커버(104)가 찌그러지지 않고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측면커버(104)의 일측에는 지퍼로 이루어지는 개폐수단(107)이 구비되어 충진재를 넣고 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부커버(102) 및 하부커버(106)의 중앙부위에 머리를 받치는 머리지지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머리지지부(300)는 오목하게 요입되어 후두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머리지지부(300)는 상부커버(102)와 하부커버(106)의 중간부위를 직선형으로 접합시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접합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합부(310)의 양측에 각기 이어져 상부로 볼록하게 제2만곡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양측에 형성되는 제2만곡부(320) 각각의 일단에 이어져 형성되며 상부커버(102) 및 하부커버(106)를 접합시켜 오목하게 함몰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접합은 주로 재봉에 의해 상부커버(102)와 하부커버(106)를 일체로 붙이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재봉에 의하지 않고 고주파접착, 열 융착, 본딩 등의 방식으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머리지지부(300)는 평면에서 보았을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머리지지부(300)는 상기 제1접합부(310)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부커버(102)와 하부커버(106)의 중간부위를 직선형으로 접합시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접합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3접합부(330)의 양측에는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제2만곡부(320)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양단이 함몰부(200)에 이어져 형성되는 제4만곡부(3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머리지지부(300)는 상부커버(102) 및 하부커버(106)에 대칭되게 형성됨으로써 베개의 앞뒤 구분없이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목을 받칠 수 있도록 제1돌출부(130)는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와 상반되어 머리지지부(300)는 오목하게 형성된다.
즉, 두상 구조상 후두부가 목보다 돌출된 두상 구조를 감안하여 후두부가 안착되는 머리지지부(300)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반면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3접합부(330) 및 제4만곡부(340)와 본체(100)의 일측 측면커버(104) 사이에 상방으로 볼록하게 제1돌출부(130)가 형성되어 목을 받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수면 중에 옆으로 누웠을때 귀가 함몰부(200)에 삽입됨으로써 눌림 현상이 해소될 수 있어 편안한 수면이 가능해진다.
[제2실시예]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A2)는, 흡습성을 갖는 천 재질로 형성되며,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목 지지부(500')와, 중앙 목 지지부(500')의 양측에 형성되는 좌우 목 지지부(510',520'); 머리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300')로 구성되며, 좌우 목 지지부(510',520')에 비해 중앙 목 지지부(500')는 낮게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머리지지부(300')는 중앙 목 지지부(500')에 비해 낮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본체(100'); 본체(100')의 좌우측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옆으로 누었을 때 귀를 압박하지 않도록 낮게 형성되는 함몰부(200');를 포함하여 목(경추) 및 머리와 귀를 편안하게 받쳐준다.
상기 본체(100')는 흡습성을 갖는 천 재질로 형성되며, 상부커버(102')와, 상부커버(102')에 대응되는 하부커버(106')와, 상부커버(102')와 하부커버(106')를 연결하는 측면커버(104')로 구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부풀도록 형성된다.
상부커버(102')의 외주연과 측면커버(104')의 상단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와이어(w')가 부착된다.
또한 하부커버(106')의 외주연과 측면커버(104')의 하단이 연결되는 부위에도 와이어(w')가 부착된다.
이렇게 상,하에 와이어(w')를 형성하여, 측면커버(104')가 찌그러지지 않고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측면커버(104')의 일측에는 지퍼로 이루어지는 제1개폐수단(107')이 구비되어 충진재를 넣고 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중앙 목 지지부(500')를 형성하는 제1공간(P1)은 나머지 좌우 목 지지부(510',520') 및 머리지지부(300')를 형성하는 제2공간(P2)과 분리되어 독립되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공간(P1)은 본체(100')의 내부에 이격 배치되어 상부커버(102')와 하부커버(106')에 연결되는 격벽(5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격벽(510')은 머리지지부(300')에서 측면커버(104')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목에서 후두부의 경사에 대응하여 상향 경사지는 경사각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간(P1)의 측면에는 지퍼로 된 제2개폐수단(630')이 형성되어 별도의 충진재를 넣거나 빼낼 수 있어 본체(100')와 별개로 중앙 목 지지부(50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머리지지부(300')는 오목하게 요입되어 후두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머리지지부(300')는 상부커버(102')와 하부커버(106')의 중간부위를 직선형으로 접합시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접합부(3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접합부(310')의 양단에 각기 이어져 접합 형성되며, 상부로 볼록하게 만곡지게 형성되어 양측에 형성되는 제2만곡부(3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양측에 형성되는 제2만곡부(320') 각각의 일단에 이어져 형성되며 상부커버(102') 및 하부커버(106')를 접합시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함몰부(200')를 포함한다.
한편 머리지지부(300')는 평면에서 보았을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머리지지부(300')는 상기 제1접합부(310')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부커버(102')와 하부커버(106')의 중간부위를 직선형으로 접합시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접합부(3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3접합부(330')의 양단에 각기 이어져 접합 형성되며, 상부로 볼록하게 만곡지게 형성되어 양측에 형성되고, 제2만곡부(320')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양단이 함몰부(200')에 이어져 형성되는 제4만곡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접합부(330') 및 제4만곡부(340')와 본체(100')의 일측 측면커버(104') 사이에 상방으로 볼록하게 중앙 목 지지부(500')가 형성되어 목을 받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머리지지부(300')는 상부커버(102') 및 하부커버(106')에 대칭되게 형성됨으로써 베개의 앞뒤 구분없이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목을 받칠 수 있도록 중앙 목 지지부(500')는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와 상반되어 머리지지부(300')는 오목하게 형성된다.
즉, 두상 구조상 후두부가 목보다 돌출된 두상 구조를 감안하여 후두부가 안착되는 머리지지부(300')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반면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3접합부(330') 및 제4만곡부(340')와 본체(100')의 일측 측면커버(104') 사이에 상방으로 볼록하게 중앙 목 지지부(500')가 형성되어 목을 받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본체 102 : 상부커버
104 : 측면커버 106 : 하부커버
200 : 함몰부 300 : 머리지지부
310 : 제1접합부 320 : 제2만곡부
330 : 제3접합부 340 : 제4만곡부

Claims (13)

  1. 목(경추)을 지지하는 부분이 높고, 상대적으로 머리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부분은 낮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좌우측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옆으로 누었을 때 귀를 압박하지 않도록 낮게 구성되는 함몰부;
    를 포함하여 목(경추), 머리와 귀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커버와,
    상부커버에 대응되는 하부커버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연결하는 측면커버로 구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부풀도록 형성된 것이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의 중앙부위에 머리를 받치는 머리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중간부위를 직선형으로 접합시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접합부;
    상기 제1접합부의 양단에 각기 이어져 접합 형성되며, 상부로 볼록하게 만곡지게 형성되어 양측에 형성되는 제2만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양측에 형성되는 제2만곡부 각각의 일단에 이어져 형성되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를 접합시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중간부위를 직선형으로 접합시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접합부;
    상기 제3접합부의 양단에 각기 이어져 접합 형성되며, 상부로 볼록하게 만곡지게 형성되어 양측에 형성되고, 제2만곡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양단이 함몰부에 이어져 형성되는 제4만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접합부 및 제4만곡부와 본체의 일측 측면커버 사이에 상방으로 볼록하게 제1돌출부가 형성되어 목을 받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6.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목 지지부와,
    중앙 목 지지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좌우 목 지지부;
    머리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로 구성되며,
    좌우 목 지지부에 비해 중앙 목 지지부는 낮게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머리지지부는 목 지지부에 비해 낮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본체;
    본체의 좌우측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옆으로 누었을 때 귀를 압박하지 않도록 낮게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목(경추) 및 머리와 귀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커버와,
    상부커버에 대응되는 하부커버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연결하는 측면커버로 구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부풀도록 형성된 것이며,
    중앙 목 지지부를 형성하는 제1공간과, 좌우 목 지지부 및 머리지지부를 형성하는 제2공간으로 분리되어 독립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은
    본체의 내부에 이격 배치되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에 연결되는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머리지지부에서 측면커버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의 측벽에는 개폐수단이 형성되어 충진재를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중간부위를 직선형으로 접합시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접합부;
    상기 제1접합부의 양단에 각기 이어져 접합 형성되며, 상부로 볼록하게 만곡지게 형성되어 양측에 형성되는 제2만곡부;
    상기 양측에 형성되는 제2만곡부 각각의 일단에 이어져 형성되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를 접합시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함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중간부위를 직선형으로 접합시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접합부;
    상기 제3접합부의 양단에 각기 이어져 접합 형성되며, 상부로 볼록하게 만곡지게 형성되어 양측에 형성되고, 제2만곡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양단이 함몰부에 이어져 형성되는 제4만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접합부 및 제4만곡부와 본체의 일측 측면커버 사이에 상방으로 볼록하게 중앙 목 지지부가 형성되어 목을 받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KR1020150188498A 2015-12-29 2015-12-29 기능성 베개 KR101816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498A KR101816882B1 (ko) 2015-12-29 2015-12-29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498A KR101816882B1 (ko) 2015-12-29 2015-12-29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202A true KR20170078202A (ko) 2017-07-07
KR101816882B1 KR101816882B1 (ko) 2018-02-21

Family

ID=5935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498A KR101816882B1 (ko) 2015-12-29 2015-12-29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8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678B1 (ko) * 2019-04-24 2019-07-26 허영 숙면용 베개
KR200489734Y1 (ko) * 2019-05-27 2019-07-29 김용호 기능성 베개 구조
KR200491545Y1 (ko) * 2019-10-29 2020-04-24 김용호 맞춤형 기능성 베개
KR102345937B1 (ko) * 2020-07-14 2021-12-30 맹상영 적층형 베개
KR102350626B1 (ko) * 2020-07-31 2022-01-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부 및 경추의 부하 균형 분산을 위한 가변형 경추 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985B1 (ko) * 2021-11-22 2022-03-16 주식회사 편백향 편백 재질의 칩을 포함하는 기능성 팩이 삽입된 경추 베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678B1 (ko) * 2019-04-24 2019-07-26 허영 숙면용 베개
KR200489734Y1 (ko) * 2019-05-27 2019-07-29 김용호 기능성 베개 구조
KR200491545Y1 (ko) * 2019-10-29 2020-04-24 김용호 맞춤형 기능성 베개
KR102345937B1 (ko) * 2020-07-14 2021-12-30 맹상영 적층형 베개
KR102350626B1 (ko) * 2020-07-31 2022-01-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부 및 경추의 부하 균형 분산을 위한 가변형 경추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882B1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882B1 (ko) 기능성 베개
KR101575894B1 (ko) 베개
US20190069698A1 (en) Pillow
US20070283495A1 (en) Pillow for Localized Support of the Head
KR101912076B1 (ko) 기능성 숙면 베개
US20130298333A1 (en) Balance pillow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KR101645927B1 (ko) 2 in 1 테크니컬 교체식 인체공학 베개
KR200484694Y1 (ko)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KR101742734B1 (ko) 베개
KR101626126B1 (ko) 기능성 베개
KR101021643B1 (ko) 경추보호용 베개
WO2018122629A1 (zh) 健康机能枕
KR101418696B1 (ko) 베개
KR200485147Y1 (ko) 경추 베개
KR101851721B1 (ko) 기능성 베개
KR101641203B1 (ko) 지압용 베개
KR20150038795A (ko) 맞춤형 기능성 베개
KR200384141Y1 (ko) 베개
KR101940229B1 (ko) 베개
EP3449777A1 (en) Pillow
KR101787439B1 (ko) 기능성 베개
KR102123260B1 (ko) 기능성 베개
KR20180077894A (ko) 다기능 베개 조립체
KR101322103B1 (ko) 수면 유도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