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691A - Management system for air quality - Google Patents

Management system for air qu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691A
KR20170077691A KR1020150187863A KR20150187863A KR20170077691A KR 20170077691 A KR20170077691 A KR 20170077691A KR 1020150187863 A KR1020150187863 A KR 1020150187863A KR 20150187863 A KR20150187863 A KR 20150187863A KR 20170077691 A KR20170077691 A KR 20170077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easuring
unit
radon
air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8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찬혁
조승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조승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조승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7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7691A/en
Publication of KR20170077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6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11/0009
    • F24F11/0017
    • F24F1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2003/1696
    • F24F2011/003
    • F24F2011/0034
    • F24F2011/005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공간별, 계절별, 시간별 등의 다양한 요인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각 등급을 분류하고, 그 등급에 맞도록 차등화하여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실외 공기질, 대상이 되는 실내의 실내 공기질 및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통합 관리하고 지수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실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환기 장치 및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환기 장치 사이에서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managing air quality by assigning weights to various factors such as space, season, and time, classifying the classes, and differentiating the classes according to the classes. The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includes an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outdoor air quality of the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the indoor air quality and the radon concentration of the indoor space to be the subject, the control unit for integrally managing the results measured by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A ventilator installed in the room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or the user, and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between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ventilator.

Description

공기질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AIR QUALITY}{MANAGEMENT SYSTEM FOR AIR QUALITY}

본 발명은 공기질의 오염도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실내 및 실외의 공기질 오염도 측정 결과와 라돈 농도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anaging the pollution degree of an air quality,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the indoor air quality by using the indoor air quality and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result and the radon concentration.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환경이 오염되며, 생활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욕구는 점점 커져만 가고 있는데, 아직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공기질을 개선하는 방법론은 미흡한 실정이라고 하겠다. 일 예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활하게 되는 실내의 공기질을 창문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열고 닫는 동작을 통해서 실내 공기가 단순히 환기되는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재실자가 없거나 야간 취침 시 방범을 위해 창을 완전히 닫아 밀폐하는 경우에는 실내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들의 환기 또는 제거가 불가능하고, 각종 오염물질은 그대로 실내에 존재하게 되어 각종 문제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As the industry develops, the environment becomes polluted. As the quality of life gets higher, the desire to improve it is getting bigger. However, the methodology to improve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air quality is not enough yet. For example, the air quality of the room in which most people live is merely the ventilation of the room air through the operation of opening or closing the window manually or automatically. Therefore, the window is completely closed It is not possible to ventilate or remove various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in the room, and various pollutants are present in the room as they are, thereby causing various problems.

종래에도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방안으로 공기청정기가 일부 이용되고는 있으나, 이는 그 기능상 실내 공기질의 개선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수치를 가늠케 하는 측정센서가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오염물질량을 재실자가 수치로 확인하기가 곤란하여 효율적인 공기질 개선 관리가 불가능 하였다. 또한, 다른 방제나 청결 등과 연계되어 환경 개선이 이루어지지도 않고 있는 등 감각에 의존한 부분적인 공기질 개선 정도가 수행되고 있다고 하겠다. 특히, 공기청정기를 장기간 작동시킬 경우, 음이온(약 75%)과 더불어 방출되는 오존량(25%)이 계속 증가하여 재실자는 오히려 과다 공급되는 유기화합물 등을 흡입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Conventionally, air purifiers have been used as a means for improving the indoor air quality, but the improvement of the indoor air quality is limited due to its function.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measuring sensor to measure the numerical value,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amount of pollutant by numerical value, and it is impossible to manage air quality improvement efficiently. In addition, the improvement of the air quality depending on the senses, such as the fact that the environment improvement is not made in connection with other pollution control and cleanliness, is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when the air cleaner is oper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amount of ozone (25%) emitted along with the anion (about 75%) continues to increase, resulting in the inhaling of organic compounds and the like.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더욱이 건강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가장 소중하고도 중요한 요소인 점은 누구나가 부인할 수 없는 엄연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생활 공간에서는 차량, 산업시설로부터 발생 배출되는 수 많은 공해 물질과 석유, 화학 관련 재료로 만들어진 건축자재, 가구, 전자 등의 생활 용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물질들이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고, 그 심각성은 갈수록 더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heightened interest in health, and moreover, it is a fact that no one can deny that health is the most precious and important element in human life. However, in our living space, many pollutants emitted from vehicles and industrial facilities,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from petroleum, building materials made of chemical-related materials, furniture, and electronics are threatening human health , The seriousness of which is increasing.

특히, 인간은 하루 24시간 중 약 80% 이상을 한정된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오염된 공기를 계속 생성하고, 그 생성된 오염 공기에 의해 실내의 오염 농도는 증가할 수 밖에 없다. 이 때 실내의 오염 농도가 적절하게 조절 또는 개선되지 않으면, 인간은 생활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오염된 공기를 마실 수 밖에 없어서 자신도 모르게 건강을 해치면서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Particularly, humans live in a limited indoor space of about 80% of the 24 hours a day. In this process, the contaminated air is continuously generated, and the contamination concentration in the room is increased due to the generated polluted air. If the concentration of pollution in the room is not properly adjusted or improved, humans will be forced to unconsciously pollute the air while living and live without harming their health without knowing it.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물질들로는 아주 작은 물질을 포함하여 약 250여종이 있다. 그 중에서도 주택과 관련하여 보면, 각종 실내 건축자재로부터 발생되는 발암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HCHO), 라돈, 톨루엔, 벤젠, 아세톤 등의 각종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을 포함하여 석면에서 발생되는 이산화질소 등이 있다. 또한, 인간의 활동에서 보면,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가스의 발화나 인체의 호흡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 분진, 담배연기, 발 냄새와 각종 생활 용품에서의 미생물성 물질(대장균, 녹농균, 0-157, 살모넬라)과 휘발성 유기 오염물질, 기타 악취, 소음, 방사선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유해물질로 인해 피부 알레르기, 호흡기 질환이나 두통 유발 등의 인체에 각종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음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There are about 250 kinds of indoor air polluting materials including very small substances. Among them, in terms of housing, there are vari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such as formaldehyde (HCHO), radon, toluene, benzene, and acetone, which are carcinogenic substances generated from various indoor building materials, . In human activities, the use of carbon dioxide (CO2), dust, tobacco smoke, foot odor, and microbial substances in various household items E. coli, P. aeruginosa, 0-157, Salmonella), volatile organic pollutants, and other odors, noise, and radiation. It is well known that various harmful substances cause various adverse effects on the human body such as skin allergy, respiratory diseases and headache.

여기서, 각종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들은 약1~5년 정도면 실내의 오염도가 허용 기준치 이하로 자연 소멸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공중위생관리법과 건축법에서 제시한 기준농도(CO2를 기준으로 1000ppm 이하) 이하로 낮아질 때까지의 공기질 개선이 문제가 된다. 또한, 인간의 활동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산화탄소 등의 유해물질들은 없앨 수가 없다. 이는 생태적, 환경적 차원에서도 없어서는 안될 물질들이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인간 활동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들은 그 적정 기준치를 설정하여 이 허용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되는 경우, 즉시 재실자의 유무나 창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도 실내 공기질이 허용 기준치 이하로 낮추어지도록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이는 인간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우리의 주택 구조 상 실내 공기가 자연 순환되도록 적정 설계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유해 공기의 자연 순환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에는, 결국 재실자는 호흡을 통해 적정 산소량보다 이산화탄소를 더 흡입하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호흡곤란이나 뇌 운동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Here, pollutants generated from various building materials can be spontaneously extinguished below the allowable level of pollution degree in about one to five years. Even in this case, it is problematic to improve the air quality until it drops below the standard concentration (below 1000ppm based on CO2) suggested by the Public Sanitation Management Act and Building Law. In addition, harmful substances such as various carbon dioxide generated from human activities can not be eliminated. This is an indispensable material in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door air quality so that the indoor air quality is lowered to the allowable level or less even when the occupant is present or the window is closed when the appropriate criterion value is set above the allowable reference value It will be very important. This is because if the natural circulation of harmful air can not be achieved due to the inadequate design of indoor air for natural circulation of our house structure, carbon dioxide generated from human activity will eventually cause carbon dioxide Inhale. In severe cases, problems arise that cause difficulty breathing or serious brain movement.

특히, 라돈(Radon)의 경우, 천연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방사성 기체로서, 색깔이나 맛이 없고 냄새가 나지 않는 불활성기체로서 천연에 존재하는 기체 중에서 가장 무겁다. 다른 물질과 화학적으로는 반응을 하지 않으나 방사선을 내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물리적으로는 매우 불안정하다. 또한 먼지 등의 미립자에 잘 달라붙어 떠돌아다니게 되며, 우리가 호흡을 하면 호흡기를 통하여 폐에 들어가게 된다. 라돈 기체와 그 붕괴 생성물인 짧은 반감기의 자손핵종들은, 장기간 누적하여 호흡 피폭될 경우 초과 폐암의 위험이 있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자연방사선은 인류 생활환경의 일부분으로서 인류의 자연방사선 피폭선량의 약 반 정도가 천연방사성 라돈과 그 자손핵종의 호흡 피폭에 의한 것이며, 인류가 실제로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산업활동에서 방출되는 인공방사선원에 의한 평균 피폭선량 보다 10 ~ 100 여배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adon, a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gas, which is noble, odorless and odorless, is the heaviest among natural gases. It does not chemically react with other substances, but is physically very unstable because of its radiation properties. It also sticks to fine particles such as dust and wanders, and when we breathe, it enters the lung through the respiratory system. It has been scientifically proven that radon gas and its short-lived progeny nuclides, which are the products of their decay, are at risk of over-lung cancer if long-term cumulative respiratory exposure. Natural radiation is a part of the living environment of mankind. About half of the natural radiation exposure dose of human beings is caused by the respiratory exposure of natural radioactive radon and its offspring nuclides, and human radiation is actually generated by artificial radiation source It is known that the average dose is 10 to 100 times higher than the average dose.

실내 라돈에 대한 조치준위(Action Level)는 각 나라마다 차이는 있지만, 미국의 경우 148 Bq/m3 (1 Bq/m3는 1 입방미터의 공기 중에 라돈의 원자핵이 1 초에 1개씩 핵붕괴를 하는 것을 의미)이며, 한국은 현재 시행 중인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 상의 권고 기준이 4 pCi/L 이다.The action levels for indoor radon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but in the United States, 148 Bq / m3 (1 Bq / m3 means that the radon nuclei in one cubic meter ), And the recommendation standard in Korea is 4 pCi / L in the "Indoor Air Quality Control Act of Multi - use Facilities etc.

WHO는 라돈은 폐암 발병의 원인으로서 기준치를 10배 강화 하였다. WHO는 2009년 9월 보고서를 통해 라돈은 담배에 이어 두 번째로 폐암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나라마다 측정 방법 등에 라돈이 폐암 발병의 원인이 되는 범위는 3∼14%에 달한다"고 밝혔다. 특히 WHO는 "최근 과학적인 연구 자료를 토대로, 실내 라돈 방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허용 기준치를 입방미터 당 100 베크렐(Bq)로 낮출 것을 권고 한다"며 "만약 각국의 사정상 이 기준을 맞출 수 없는 경우에도 입방미터 당 300 Bq를 넘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WHO는 또한 건물 설계와 건축시 주의를 기울이면 실내 라돈 방출량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실내 라돈 수치가 높은 겨울에는 자주 환기를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국내에서는 아직은 권고기준으로만 채택하고 있지만, 그 동안 다양한 매체를 통해 라돈과 환경방사능에 관련한 보도가 잇따르고 있으며, 이에 라돈 등 환경방사능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모니터링 방법, 조치 방법 등, 실내 라돈 관련 종합 대책을 진행 중에 있다.WHO has radon 10 times the baseline as the cause of lung cancer. In a September 2009 report, WHO reported that radon was the second most common cause of lung cancer following cigarette smoking. "In countries, the range in which radon causes lung cancer is 3 to 14 percent" He said. In particular, WHO recommended, "Based on recent scientific data, we recommend lowering the acceptance threshold to 100 becquerels per cubic meter (Bq) in order to minimize the health effects of indoor radon emissions," he said. Even if it can not be met, it should not exceed 300 Bq per cubic meter. " In addition, WHO has also recommended reducing indoor radon emissions if careful attention is paid to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especially when the indoor radon levels are high. In Korea, there are reports on radon and environmental radiation through various media. However, due to the increasing interest in environmental radiation such as radon, Indoor radon-related comprehensive measures are underway.

그러나, 현실은 이러한 인간의 욕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데, 종래 각종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살균, 탈취, 공기 청정 기능들을 갖는 각종 제품들의 경우 센서에 의해 단순히 감지만 할 뿐 감지된 공기질을 수치로 체크하여 관리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라돈에 대해서는 감시를 하고 있지 않다.However, the reality is that it can not keep up with human desires. In the case of various products having sterilization, deodorization, and air cleaning functions, which are conventionally used to improve various air quality, It is not checked and managed, especially for rad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실내 및 실외의 공기질 오염도 뿐만 아니라 라돈 농도를 측정하여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by measuring indoor and outdoor air pollution levels as well as radon concentrations.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는 환기 장치, 상기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부,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실외 공기질과 상기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 및 상기 라돈 측정부와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ventilator installed in a room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a rad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radon concentration in the room, An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outdoor air quality of the area and the indoor air qualit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entilation apparatus using the results measured by the radon measuring unit and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라돈 측정부는 상기 환기 장치에 구비되거나 상기 환기 장치와 별도로 상기 실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는 복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라돈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돈 측정부는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radon measur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ventilator or may be provided in the room separately from the ventilator. In addition, the room may comprise a plurality of spaces, and the radon measuring unit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the radon measuring units. Also, the radon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sensor for measuring the radon concentration of the room in real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와 상기 라돈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공간의 종류와 크기, 재실자 유무, 계절, 시간, 날씨를 포함하는 환경 요인을 이용하여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ventilator using the result of at least one of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unit and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radon measurement unit.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ventilation device by using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the type and size of the indoor space, presence or absence of occupants, season, time, and weather.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와 상기 라돈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하고, 상기 환기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와 상기 라돈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통합 DB와 서버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기 또는 공기청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unit and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radon measurement unit at the control unit, and communicates with the ventilation device.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and an integrated DB and a server system for storing and managing result data measured by the radon measuring unit. The ventilator may further include an air purifier or an air purifier for purifying the indoor air.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는,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에서 실외의 공기질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실외 공기질 측정부 및 상기 실내의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존재 여부 또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는 상기 환기 장치에 구비되거나 상기 실내에서 복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내는 복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외 공기질 측정부는 실외 공기 중의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기상청 또는 지자체에서 제공되는 대기오염 관련 자료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 공기질 측정부는 외부에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통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는 상기 실내의 온/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는 상기 실내의 해충의 여부 또는 해충의 개체수를 감지하는 해충 오염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n outdoor air qual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n air pollution degree of the outdoor air in an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an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And an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Here,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ventilator or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room. The room may comprise a plurality of spaces, and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s. For example,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in the outdoor air,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air pollu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NAMIS), air pollution related data provided by the meteorological office or local governments One or both.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ata from the outside.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 humidity of the room. In addition,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est contamination degre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the number of insects in the room.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는 환기 장치, 상기 환기 장치와 별도로 상기 실내에 구비되며, 상기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부, 상기 환기 장치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실외 공기질과 상기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 및 상기 라돈 측정부와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ventilator provided in a room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A rad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radon concentration in the room; an air pollu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outdoor air quality of the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the air quality of the room;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entilator using one or more of the measured results.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라돈 측정부는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돈 측정부는 상기 실내의 복수 위치에 구비되거나, 상기 실내가 복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라돈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on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sensor for measuring a radon concentration of the room at real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radon measuring unit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room, or the room may comprise a plurality of spaces, and one or more radon measuring units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는,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에서 실외의 공기질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실외 공기질 측정부 및 상기 실내의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존재 여부 또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 공기질 측정부는 실외 공기 중의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기상청 또는 지자체에서 제공되는 대기오염 관련 자료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 공기질 측정부는 외부에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통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n outdoor air qual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n air pollution degree of the outdoor air in an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an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Wherein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comprises at least one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in the outdoor air,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Air Pollu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NAMIS), air pollution related data provided by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or local governments Or < / RTI >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ata from the outside.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와 상기 라돈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하고, 상기 환기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공간의 종류와 크기, 재실자 유무, 계절, 시간, 날씨를 포함하는 환경 요인을 이용하여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unit and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radon measurement unit at the control unit, and communicates with the ventilation devic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ventilation device by using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the type and size of the indoor space, presence of occupants, season, time, and weather.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는 환기 장치, 상기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부,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실외 공기질, 상기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 상기 라돈 측정부와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와 상기 라돈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환기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quality control system including a ventilator provided in a room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a rad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radon concentration in the room, An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outdoor air quality of the area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an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entilating unit using the results of at least one of the results measured by the radon measuring unit and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measured results of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and the radon measuring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ventilator.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 유닛이 구비되거나, 상기 환기 장치와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나 PC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or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or a user terminal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ersonal computer have.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와 상기 라돈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통합 DB와 서버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and an integrated DB and a server system for storing and managing result data measured by the radon measuring unit.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은, 실내의 라돈 농도와, 사용자가 위치하는 위치의 공기질 오염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라돈 농도와 공기질 오염도 측정 결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환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1 모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 모드 및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거나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지 않는 상태에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제3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드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드로 상기 환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measuring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t a location where a user is locat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or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results of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The first mode is a first mode for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and supplying outdoor air to the indoor, And a third mode for purifying the indoor air in a state in which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r the outdoor air is not supplied to the indoo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or in one or a plurality of modes among the first to third modes.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드는 실내 공기의 라돈 농도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는 복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드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드로 상기 환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first to third modes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radon concentration of the room air. The room may comprise a plurality of spaces,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or in one or a plurality of modes of the first to third modes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아래의 효과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기존 환기시스템의 요건을 만족시키면서,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환기 장치를 제어하여 실내 공기질을 관리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air quality is controlled by measuring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and controlling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measured result while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the existing ventilation system.

또한, 실내의 공기질뿐만 아니라 실외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환기를 제어하므로 공기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quality can be effectively managed by controlling the ventil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door air quality as well as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또한, 공간의 종류와 크기, 재실자 수, 계절, 시간, 날씨 등과 같은 환경 요인을 이용하여 환기 장치를 제어하므로, 실내 공기질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entilation device is controlled usi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type and size of the space, the number of occupants, the season, the time, and the weather, indoor air quality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and energy can be sa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관리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관리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관리 시스템에서 환기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ventilation system in a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공기질 관리 시스템(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관리 시스템(1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관리 시스템(1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관리 시스템(10)에서 환기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질 관리 시스템(1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Hereinafter, a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Fig. FIG.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ventilation device in a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면을 참조하면, 공기질 관리 시스템(10)은, 실내 및 실외의 공기질의 오염도에 따라 실내 공기질을 관리할뿐만 아니라,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여 라돈 농도에 따라 실내 공기질을 제어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10 controls the indoor air quality according to the radon concentration by measuring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as well as the indoor air quality according to the indoor air quality and the outdoor air pollution degree.

공기질 관리 시스템(10)은 실내 및 실외 공기질 오염도를 측정하는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와,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부(12), 및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와 라돈 측정부(12)에서 측정된 결과를 통합 관리하고 지수화하여 사용자 또는 환기 장치(14)에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10 includes an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11 for measuring indoor and outdoor air pollution degrees, a radon measuring unit 12 for measuring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an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11, And a control unit (13) for integrally managing and indexing the results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12) and providing the results to the user or the ventilator (14).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는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에서 실외의 공기질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실외 공기질 측정부(111)와 사용자가 거주하는 거주 공간 등을 포함하는 대상 실내의 각종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부(112)를 포함한다.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11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for measuring air quality. In detail,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11 includes an outdoor air quality measuring unit 111 for measuring the pollution degree of outdoor air in an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various pollutants And an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unit 112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indoor air.

그러나 본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는 공기질을 측정하고, 환기에 필요한 요인을 측정하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는 실내의 온/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는 실내의 해충의 여부를 감지하는 해충 오염도 감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11 may include various sensors for measuring the air quality and measuring the factors necessary for ventilation. For example,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11 may include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113 for measuring a temperature / humidity of a room. In addition,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11 may include a pest contamination degree detecting unit 114 that detects whether or not a pest is inside the room.

실외 공기질 측정부(111)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하며, 비교적 넓은 지역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포함하며, 복수의 위치에서 측정된다. 또한, 실외 공기질 측정부(111)는 직접적으로 대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은 전국에 위치하는 측정소에서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오존, 미세먼지 등의 대기오염도 자료를 수집·관리한다. 실외 공기질 측정부(111)는 이와 같이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에서 측정 및 제공되는 대기오염 측정망 관련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외 공기질 측정부(111)는 전국 89개 시/군에 설치된 289개의 도시대기 측정망, 도로변대기 측정망, 국가배경 측정망, 교외대기 측정망에서 측정된 5개 대기환경기준물질의 측정 자료를 다양한 형태로 표출하여 국민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에어 코리아의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외 공기질 측정부(111)는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황사경보제와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오존경보제 등의 자료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외 공기질 측정부(111)는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 에어 코리아, 기상청, 지자체 등에서 제공되는 각종 대기오염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후술하는 제어부(13)에 전송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실외 공기질 측정부(111)는 제어부(13) 또는 환기 장치(14)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111 includ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of the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includes data measured in a relatively large area, and is measur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111 may be a sensor for directly measuring the air pollution degree, but may include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air pollu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NAMIS) in this embodiment. Here, the National Air Pollu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NAMIS) collects and manages air pollution data such as sulfur dioxide, carbon monoxide, nitrogen dioxide, ozone, and fine dust at measuring stations located all over the country.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111 can utilize the air pollution measurement network related infrastructure measured and provided in the national air pollu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111 measures the measurement data of the five air quality reference materials measured in 289 urban air monitoring networks, roadside air monitoring network, country background monitoring network, and suburban air monitoring network installed in 89 cities / And it is possible to use the data of Air Korea provided to the public in real time.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111 may also use data such as a yellow dust alarm system operat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an ozone alarm system operated by the local governments. In this way,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111 collects various air pollution related data provided from the national air pollu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ir Korea,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like,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ontrol unit 13 described later. For this purpose,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11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unit 13 or the ventilator 14.

실내 공기질 측정부(112)는 실내의 공기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오염물질의 존재 여부 또는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공기 중에는 각종 실내 건축자재로부터 발생되는 라돈이나, 발암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HCHO), 톨루엔, 벤젠, 아세톤 등의 각종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을 포함하고, 석면에서 발생되는 이산화질소 등의 오염물질이나,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가스의 발화나 인체의 호흡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 분진, 담배연기, 냄새와 각종 생활 용품에서의 미생물성 물질(대장균, 녹농균, 0-157, 살모넬라)과 휘발성 유기 오염물질, 기타 악취, 소음, 방사선 등의 오염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실내 공기질 측정부(12)는 실내 공기 중에서 복수의 오염물질을 감지하고,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112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sensors capable of measuring the presence or concentration of various pollutants present in the air in the room. Indoor air contains vari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such as formaldehyde (HCHO), toluene, benzene, and acetone, which are carcinogenic substances, and pollutants such as nitrogen dioxide (CO 2), dust, cigarette smoke, smell, and microbial substance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Pseudomonas aeruginosa, 0-157), which are generated when the gas is used to cook food in the kitchen or in the respiration process of the human body , Salmonella) and pollutants such as volatile organic pollutants, other odors, noise, and radiation.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12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plurality of contaminants in the indoor air and measure the concentration.

한편,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는 오염물질뿐만 아니라, 비래해충, 보행해충 등의 각종 해충이나 쥐와 같은 유해생물을 감지하는 해충 오염도 감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충 오염도 감지부(114)는 실내 공간 내에서 해충의 존재 여부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해충포획장치 등에 포획되는 해충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해충 오염도는 측정된 해충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이전에 해충이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 해충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과 관련된 발생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충 오염도 감지부(114)는 해충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11 may include a pest contamination degree detecting unit 114 for detecting not only pollutants but also harmful organisms such as various insects such as insect pests and walking insects and mice. For example, the insect pest contamination detecting unit 114 can detect whether a pest is present in the indoor space or whether a pest is trapped in the pest catching apparatus or the like. In addition, the pest pollution degree may further include not only the information on the measured pest, but also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pest has previously occurred, and the occurre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pest can occu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est pollution degree detecting unit 114 may include various means capable of directly or indirectly detecting the pest.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는 환기 장치(14)에 구비되거나, 환기 장치(14)와 별도로 실내 공간에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가 환기 장치(14)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는 환기 장치(14)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제어부(13)와 직접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에서 측정된 결과는 제어부(13)에 직접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환기 장치(14)에 데이터를 송신한 후 환기 장치(14)를 통해 제어부(13)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11 may be provided in the ventilator 14 or may be provided at one or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indoor space separately from the ventilator 14.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11 may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ventilator 14 or to be capable of communicating directly with the control unit 13 when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11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ventilator 14. [ . That is, the result measured by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1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 directly or the data is sent to the ventilator 14 and then sent to the control unit 13 through the ventilator 14 Can be transmitted.

라돈 측정부(12)는 환기 장치(14)에 구비되거나, 환기 장치(14)와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어서 실내 공간에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라돈 측정부(12)는 실시간으로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또는, 라돈 측정부(12)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또한, 라돈 측정부(12)는 측정된 라돈 농도를 환기 장치(14) 또는 제어부(13)에 송신할 수 있도록 통신 유닛(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The radon measuring unit 12 may be provided in the ventilator 14 or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ventilator 14 and may be provided at one or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indoor space. The radon measuring unit 12 may be a sensor for measuring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in real time. Alternatively, the radon measuring unit 12 may be a sensor for measuring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urther, the radon measuring unit 12 may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so as to transmit the measured radon concentration to the ventilator 14 or the control unit 13.

환기 장치(14)는 사용자의 거주 공간 등에 구비되며,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공기정화기와 공기청정기 등의 기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환기 장치(14)는 열회수용 환기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환기 장치(14)는 독립된 개체로 형성되거나, 실내 공간의 천정이나 벽 등에 매립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ventilator 14 is provided in a user's residence or the like, and includes a device such as an air purifier and an air purifier for purifying indoor air. For example, the ventilator 14 may be a ventilator for heat recovery. In addition, the ventilator 14 may be formed as an independent entity, or may be embedded in a ceiling or a wall of an indoor space.

환기 장치(14)는 공기정화기나 공기청정기 이외에도 해충을 제거하기 위한 해충 제거 장치가 별도 또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환기 장치(14)는 실내 공기질 정보, 실외 공기질 정보를 포함하는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에서 측정된 결과와, 라돈 측정부(12)에서 측정된 라돈 농도와 같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환기 장치(14)는 상술한 오염도 정보나 라돈 농도 이외에도, 해충 오염도 정보나, 외부 환경 정보나 실내 환경 정보 등의 환경 정보와, 공기 정화 또는 해충 정화 진행 과정 등의 진행 과정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들을 모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환기 장치(14)는 사용자에게 알림이 필요한 경우에는 소정의 알림 또는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ventilator 14 may be provided separately or integrally with a pest-removing device for removing pests, in addition to an air purifier or an air purifier. The ventilator 14 can inform the user of the information such as the result measured by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11 including the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radon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radon measuring unit 12 .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and radon concentration, the ventilator 14 is also provided with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nsect purity degree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and indoor environment information, and progress information such as air purification or pest control procedure And is configured to display all of th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ventilator 14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or alarm when the user needs to be notified.

환기 장치(14)는 제어부(13)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 유닛(미도시)이 구비되며, 제어부(13)와 블루투스 또는 이동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환기 장치(14)에는 사용자가 구비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나 PC 등을 포함하여 기기(이하, '사용자 단말기(311)'라 함)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ventilator 14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ler 13,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controller 13 using a Bluetooth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ventilator 14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ser terminal 311')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have.

환기 장치(14)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거나, 제어부(13)를 통해서 원격지에서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환기 장치(14)의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원격지에서 환기 장치(14)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이나 PC 등을 통해서 원격지에서 환기 장치(14)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ventilator 14 can be directly operated by the user or controlled remotely via the control unit 13. [ The control unit 13 transmi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or 14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or 14 can be controlled remotely.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or 14 at a remote place via a smart phone or a PC.

한편, 환기 장치(14)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교환하는 환기 동작과,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청정 동작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환기 장치(14)는 실외 공기보다 실내 공기의 라돈 농도가 높아서 실외 공기의 실내 유입이 필요할 때,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게 된다. 또는, 또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지 않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내외 공기 유출입이 차단되고, 실내 공기를 순환 및 청정시키도록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ventilator 14 performs the ventilation operation for exchanging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and the cleaning operation for purifying the indoor air. For example, the ventilator 14 discharges indoor air to the outside and also supplies outdoor air to the room when indoor air needs to be introduced into the room because the indoor air has a higher radon concentration than outdoor air.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o supply outdoor air to the room without discharging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It is also possible that indoor and outdoor air inflow and outflow are blocked and the indoor air is circulated and cleaned.

이와 같은 환기 장치(14)의 동작은 실내의 라돈 농도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며, 더불어, 실내와 실외 공기질의 오염도에 의해서도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다.The operation of the ventilator 14 is based on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and is also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llution degree of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제어부(13)는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와 라돈 측정부(12)에서 측정된 결과 데이터를 원격지에서 수신하고, 환기 장치(14)의 동작을 원격지에서 제어한다. 제어부(13)는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와 라돈 측정부(12)에서 측정된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환기 장치(14)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부(131)가 구비된다. 또한, 제어부(13)는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와 라돈 측정부(12)에서 측정된 결과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통합 DB(132)와 서버 시스템(1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3)를 통해서 원격지에서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하나의 장치에서 오염도 측정 및 분석과 지수화 분석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3 remotely receives result data measured by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11 and the radon measuring unit 12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or 14 remotely. The control unit 13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131 for receiving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11 and the radon measuring unit 12 and communicating with the ventilator 14. The control unit 13 includes an integrated DB 132 and a server system 133 for storing and managing result data measured by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11 and the radon measuring unit 12.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11 remotely through the control unit 13,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ontamination degree measurement and analysis and the exponent analysis are performed in one apparatus.

통신부(131)는 이동통신망이나 인터넷망 등을 이용하여 제어부(13)와 환기 장치(14) 및/또는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11), 라돈 측정부(12)와 통신이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나 태블릿 PC, PC 등의 사용자 단말기(311)를 구비하고, 통신부(131)는 사용자 단말기(311)와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31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13, the ventilator 14 and / or the air pollution measurement unit 11 and the radon measurement unit 12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Internet. In addition, a user may include a user terminal 311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ablet PC, and a PC,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1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311.

사용자가 거주하는 실내 공간의 종류, 예를 들어, 욕실, 침실, 방, 주방, 거실 및 창고 등의 각 공간마다 공기질이 다르고, 각 공간에서의 공기질 관리 방법이 달라진다. 또한, 같은 공간에 대해서도 재실자 유무 또는 재실자 수에 따라 공기질이 달라지며, 그에 따른 관리 방법 역시 달라져야 한다. 더불어, 같은 공간에 대해서 시간별로, 계절별로, 외부 날씨에 따라서도 공기질이 다르며, 이에 따른 공기질의 관리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 따라서, 공간의 종류와 크기, 재실자의 유무와 재실자 수, 시간, 계절, 날씨의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각각의 요인에 따라 차등화하여 공기질을 관리하고 운영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단순히 실내에서 측정된 공기질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실외 공기질 및 라돈 농도도 고려하여 공기질의 관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실외 공기질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쁜 경우에는 실내 공기질이 양호하다고 하더라도, 실외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서 환기 장치가 작동될 수 있다. 또는, 실외 공기질이 실내 공기질보다 나쁘거나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쁜 경우에는 실내외 공기의 교환을 차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내 라돈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실내/실외 공기질 수치에 우선하여 환기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air quality of each space such as a bathroom, a bedroom, a room, a kitchen, a living room, and a warehous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indoor space in which the user lives, and the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 in each space is changed. Also, the air quality of the same space vari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occupants or the number of occupants, and the management method should be changed accordingly. In addition, the air quality varies with time, season, and outside weather for the same space, and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s should be changed according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air quality and construct the operating system by differentiating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considering various factors such as the type and size of the space, the presence or absence of occupants, the number of occupants, time, season and weather. In addition, air quality is managed by considering outdoor air quality and radon concentration, not merely considering indoor air quality. For example, if the outdoor air quality is worse than a certain level, the ventilation device can be operated to block the inflow of outdoor air even if the indoor air quality is good. Alternatively, when the outdoor air quality is worse than the indoor air quality or is worse than a certain level, it is possible to shut off the indoor air exchange. If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is high,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ventilation in preference to the indoor / outdoor air quality values.

제어부(13)는 이와 같이 공간, 시간, 계절 등의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해당 요인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측정된 오염도에 대해서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지수화를 처리하고, 그에 따라 각각의 등급을 분류하며, 분류된 등급에 따라 차등적으로 공기질을 관리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3)는 환기 장치(14)의 동작 개시 여부를 설정하고, 동작 지속 시간을 설정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는 환기 장치(14)의 동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311)에 해당 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환기 장치(14)를 동작시키도록 정보만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 processes the exponentiation to give a predetermined weight to the measured degree of pollution using the data on the factor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space, time, and season, And air quality is manag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classified grade. Further, the control unit 13 can set whether or not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or 14, and can set and operate the operation duration.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3 may direct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or 14, and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11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only to operate the ventilator 14 can do.

또한, 제어부(13)는 라돈 농도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작동 모드로서 환기 장치(14)를 작동시킬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 unit 13 can operate the ventilator 14 as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based on the radon concentration.

예를 들어, 실외 공기보다 실내 공기의 라돈 농도가 높아서 실외 공기의 실내 유입이 필요할 때,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1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ndoor air is required to be introduced into the room because the radon concentration of the indoor air is higher than the outdoor air,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first mode in which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outdoor air is supplied to the room.

또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지 않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모드는 실외 공기를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실내 공기압을 높여 라돈 농도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실내에 양압을 가함으로써 벽 틈새 등을 통하여 라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the second mode in which outdoor air is supplied to the indoor without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door. In this case, the second mode can reduce the radon concentration by increasing the indoor air pressure by supplying outdoor air to the interior. By applying a positive pressure to the roo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don from entering the room through a wall gap or the like.

그리고, 실내외 공기 유출입이 차단되고,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3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모드에서는 실내 라돈 농도가 충분히 낮아졌을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3모드에서는 실내 공기가 유지되고, 실내 공기의 라돈, 미세분진, VOC 등을 정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door / outdoor air flow is blocked, and the indoor air can be circulated. In this case, the third mode can be used when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is sufficiently low. In the third mode, indoor air is maintained, and the radon, fine dust, VOC, etc. of the indoor air can be purified.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작동 모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공기질 관리 시스템(10)은 추가적인 모드를 포함하거나, 예시된 모드 중 일부 모드만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실내 공간에 대해서 상술한 모드가 서로 다르게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peration mode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the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10 may include additional modes, or may operate only some of the illustrated modes.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above-described modes are applied to different indoor spaces differently.

본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실내 및 실외의 공기질 오염도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실내의 라돈 농도에 따라서도 환기 장치(14)를 제어하여 효과적으로 실내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지에서 다수의 공간에 대해서 오염도와 라돈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의 크기와 종류, 재실자의 유무와 재실자 수, 계절, 시간, 날씨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 요인을 고려하여 실내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요인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차등화하여 공기질을 관리하므로 보다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에 의한 측정이나 평가, 외부에서 제공되는 자료에 의한 기초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과학적으로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측정된 결과와 환기 장치(14)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비롯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공기질 관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여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ndoor air quality can be effectively managed by controlling the ventilator 14 in accordance with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as well as indoor air and indoor air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pollution degree and radon concentration in a plurality of spaces at a remote place, and to manage the air quality by using it. In addition, indoor air quality can be managed by taking into account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size and type of space, the presence or absence of occupants, the number of occupants, seasons, time, and weather. Further, the air quality is manag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or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so that a more pleasant environment can be maintained. In addition, air quality can be managed more scientifically by measuring and evaluating by sensors, and using basic data based on data provided from outside. In addition, by providing various data including the measured result an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ventilator 14 to the user, more effective air quality management can be provided, and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can be perform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공기질 관리 시스템
11: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
111: 실외 공기질 측정부
112: 실내 공기질 측정부
113: 온/습도 센서
114: 해충 오염도 감지부
12: 라돈 측정부
13: 제어부
131: 통신부
311: 사용자 단말기
132: 통합 DB
133: 서버 시스템
14: 환기 장치
10: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11: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section
111: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112: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113: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114: Pest pollution degree sensing unit
12: Radon measuring part
13:
131:
311: User terminal
132: Integrated DB
133: Server system
14: Ventilation device

Claims (29)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는 환기 장치;
상기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부;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실외 공기질과 상기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 및
상기 라돈 측정부와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A ventilator provided in the room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A rad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radon concentration in the room;
An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outdoor air quality of the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the air quality of the indoor spa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entilator using the radon measurement unit and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unit;
The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돈 측정부는 상기 환기 장치에 구비되거나 상기 환기 장치와 별도로 상기 실내에 구비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don measuring unit is provided in the ventilator or in the room separately from the ventil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는 복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라돈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oom comprises a plurality of spaces, and the radon measuring unit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the radon measuring uni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돈 측정부는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adon measuring unit includes a sensor for measuring the radon concentration in the room at real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와 상기 라돈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entilator using the result of at least one of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unit and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radon measurement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공간의 종류와 크기, 재실자 유무, 계절, 시간, 날씨를 포함하는 환경 요인을 이용하여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entilator using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the type and size of the indoor space, the presence of occupants, the season, the time, and the wea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와 상기 라돈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하고, 상기 환기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unit and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radon measurement unit at the control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ventil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와 상기 라돈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통합 DB와 서버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n air quality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unit and an integrated DB and a server system for storing and managing result data measured by the radon measuremen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기 또는 공기청정기를 더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ntilat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air purifier or an air purifier for purifying the indoor 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는,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에서 실외의 공기질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실외 공기질 측정부; 및
상기 실내의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존재 여부 또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부;
를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comprises:
An outdoor air qual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pollution degree of outdoor air in an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An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presence or the concentration of contaminants in the air in the room;
The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는 상기 환기 장치에 구비되거나 상기 실내에서 복수 위치에 구비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is provided in the ventilator or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roo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는 복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room comprises a plurality of spaces,
Wherein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air quality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공기질 측정부는 실외 공기 중의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기상청 또는 지자체에서 제공되는 대기오염 관련 자료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in the outdoor air,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Air Pollu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NAMIS), air pollution related data provided by the Meteorological Agency or local governments Included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공기질 측정부는 외부에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ata from outsi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는 상기 실내의 온/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further comprises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 humidity of the roo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는 상기 실내의 해충의 여부 또는 해충의 개체수를 감지하는 해충 오염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further comprises a pest pollution degre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pests or the number of insects in the room.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는 환기 장치;
상기 환기 장치와 별도로 상기 실내에 구비되며, 상기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부;
상기 환기 장치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실외 공기질과 상기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 및
상기 라돈 측정부와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A ventilator provided in the room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A radon measuring unit provided in the room separately from the ventilator and measuring a radon concentration in the room;
An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provided in the ventilation device and measuring the outdoor air quality of the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the air quality of the indoor spa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entilator using the results of at least one of the results measured by the radon measuring unit and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The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라돈 측정부는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radon measuring unit includes a sensor for measuring the radon concentration in the room at real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라돈 측정부는 상기 실내의 복수 위치에 구비되거나,
상기 실내가 복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라돈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radon measuring unit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room,
Wherein the room comprises a plurality of spaces, and the at least one radon measuring unit i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는,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에서 실외의 공기질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실외 공기질 측정부; 및
상기 실내의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존재 여부 또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 공기질 측정부는 실외 공기 중의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기상청 또는 지자체에서 제공되는 대기오염 관련 자료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comprises:
An outdoor air qual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pollution degree of outdoor air in an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An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presence or the concentration of contaminants in the air in the room;
Lt; / RTI >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in the outdoor air,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Air Pollu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NAMIS), air pollution related data provided by the Meteorological Agency or local governments Included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공기질 측정부는 외부에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ata from outsid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와 상기 라돈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하고, 상기 환기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unit and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radon measurement unit at the control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ventilation devi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공간의 종류와 크기, 재실자 유무, 계절, 시간, 날씨를 포함하는 환경 요인을 이용하여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entilator using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the type and size of the indoor space, the presence of occupants, the season, the time, and the weather.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는 환기 장치;
상기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 측정부;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실외 공기질, 상기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
상기 라돈 측정부와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와 상기 라돈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환기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를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A ventilator provided in the room for managing indoor air quality;
A rad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radon concentration in the room;
An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outdoor air quality of the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the air quality of the room;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entilator using the results of at least one of the results measured by the radon measuring unit and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ing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unit and the radon measurement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ventilation device;
The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 유닛이 구비되거나, 상기 환기 장치와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나 PC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ventilat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or a user terminal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ersonal computer (PC), which is formed as a separate entity from the ventilating unit.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 오염도 측정부와 상기 라돈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통합 DB와 서버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n air quality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unit and an integrated DB and a server system for storing and managing result data measured by the radon measurement unit.
공기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의 라돈 농도와, 사용자가 위치하는 위치의 공기질 오염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라돈 농도와 공기질 오염도 측정 결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환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1 모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 모드; 및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거나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지 않는 상태에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제3 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드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드로 상기 환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1. A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or by measuring at least one of a result of measuring the radon concentration and an air pollution degree of the user,
A first mode for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and supplying outdoor air to the indoor;
A second mode for supplying outdoor air to the room without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And
A third mode for purifying indoor air in a state in which indoor air is discharged outdoors or outdoor air is not supplied to the indoor;
Lt; / RTI >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or in one or a plurality of modes of the first to third modes.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드는 실내 공기의 라돈 농도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first to third modes are controlled based on the radon concentration of the indoor air.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는 복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드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드로 상기 환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질 관리 시스템.
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room comprises a plurality of spaces,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or in one or a plurality of modes of the first to third modes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KR1020150187863A 2015-12-28 2015-12-28 Management system for air quality KR201700776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863A KR20170077691A (en) 2015-12-28 2015-12-28 Management system for air qu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863A KR20170077691A (en) 2015-12-28 2015-12-28 Management system for air qua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691A true KR20170077691A (en) 2017-07-06

Family

ID=5935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863A KR20170077691A (en) 2015-12-28 2015-12-28 Management system for air qu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7691A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876B1 (en) * 2017-11-26 2018-06-26 주식회사 제이와이팩토리 Air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ircleaner
CN108592308A (en) * 2018-04-04 2018-09-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fresh air system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01940452B1 (en) * 2018-06-14 2019-01-18 홍승수 A ventilation system with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space
KR102012621B1 (en) * 2019-03-19 2019-08-20 장현실 Smart Fine dust management and contol system
KR20190105535A (en) 2019-08-26 2019-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nferring contaminated air exposure levels based on wearable device or portable air purifier operattion infromation
KR102033045B1 (en) * 2019-01-22 2019-10-16 케이웨더(주) Intelligent ventil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054268B1 (en) * 2019-06-27 2019-12-10 주식회사 창대이앤씨 Intelligent integrated system of underground complex commercial facility that performs air conditioning in connection with fire occurrence
WO2020202236A1 (en) * 2019-04-05 2020-10-08 Franco Venturini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 of an indoor environment
KR102193222B1 (en) * 2020-05-08 2020-12-21 이수한 A 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building
KR20210122925A (en) * 2020-04-01 2021-10-13 주식회사 파만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ng radon pan
KR20220075206A (en) * 2021-03-29 2022-06-07 케이웨더(주) Intelligent ventil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876B1 (en) * 2017-11-26 2018-06-26 주식회사 제이와이팩토리 Air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ircleaner
CN108592308A (en) * 2018-04-04 2018-09-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fresh air system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08592308B (en) * 2018-04-04 2020-11-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Fresh air system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01940452B1 (en) * 2018-06-14 2019-01-18 홍승수 A ventilation system with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space
KR102033045B1 (en) * 2019-01-22 2019-10-16 케이웨더(주) Intelligent ventil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012621B1 (en) * 2019-03-19 2019-08-20 장현실 Smart Fine dust management and contol system
WO2020202236A1 (en) * 2019-04-05 2020-10-08 Franco Venturini Air quality management method of an indoor environment
KR102054268B1 (en) * 2019-06-27 2019-12-10 주식회사 창대이앤씨 Intelligent integrated system of underground complex commercial facility that performs air conditioning in connection with fire occurrence
KR20190105535A (en) 2019-08-26 2019-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nferring contaminated air exposure levels based on wearable device or portable air purifier operattion infromation
US11410018B2 (en) 2019-08-26 2022-08-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ferring contaminated air exposure level based on operation information of wearable device or portable air purifier
KR20210122925A (en) * 2020-04-01 2021-10-13 주식회사 파만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ng radon pan
KR102193222B1 (en) * 2020-05-08 2020-12-21 이수한 A 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building
KR20220075206A (en) * 2021-03-29 2022-06-07 케이웨더(주) Intelligent ventil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7691A (en) Management system for air quality
KR20170077696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ir quality
KR101796296B1 (en) Air cleaner
KR20170077694A (en) Management system for air quality
US202400463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risk of pathogen exposure within a space
KR101862087B1 (en)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air cleaner
JP2018535381A (en) Ai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purifier
KR20170078372A (en)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air cleaner
KR1016294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ir quality through indexing
KR102175224B1 (en) Air quality management divice and system
KR20180138262A (en) Air cleaner apparatus
KR20220036737A (e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and air quality predi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121570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ir quality
Hossain et al. Factors affecting variability in infiltration of ambient particle and gaseous pollutants into home at urban environment
KR20190121571A (en) System for management of air quality
Kukadia et al. Ensuring good indoor air quality in buildings
Uhde et al. Effectiveness of air‐purifying devices and measures to reduce the exposure to bioaerosols in school classrooms
KR20170089048A (en) Ventilating system using radon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070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ir quality
KR20210083592A (e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multi-use facilities
KR20170078377A (en)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air cleaner
KR20200076174A (e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using pan communication
Li et al. Indoor air quality improvement with filtration and UV-C on mitigation of particulate matter and airborne bacteria: Monitoring and modeling
KR102100916B1 (en) Method for air purifying based on positive pressure
Granzin et al. Long-term filter efficiency of mobile air purifiers in sch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