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745A -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745A
KR20170069745A KR1020150177344A KR20150177344A KR20170069745A KR 20170069745 A KR20170069745 A KR 20170069745A KR 1020150177344 A KR1020150177344 A KR 1020150177344A KR 20150177344 A KR20150177344 A KR 20150177344A KR 20170069745 A KR20170069745 A KR 20170069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reinforced layer
thermoplasti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시아머티리얼스
진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시아머티리얼스, 진양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시아머티리얼스
Priority to KR1020150177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9745A/ko
Publication of KR2017006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74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 강화층 일면에는 열가소성 수지 입자가 도포되고, 다른 일면에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 코팅층이 구비된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료는 용융점도가 높은 열가소성 고분자가 아니라 점도가 낮은 단량체들을 용융시킴으로 섬유 강화층에 먼저 함침 시킨다음 이를 고분자화함으로서 가공성이 매우 양호하며 섬유 강화층과 열가소성 고분자가 서로 일체화된 양호한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THERMOPLASTIC COMPOSI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섬유 강화층 일면에는 열가소성 수지 입자가 도포되고, 다른 일면에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 코팅층이 구비된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이용하여 금속재료를 대체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금속재료는 내열특성이나 기계적 강도면에서 매우 우수한 소재이며, 현재 자동차, 항공기, 건설등 매우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금속재료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무겁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플라스틱은 비중이 낮기 때문에 같은 크기의 제품을 만들 경우 금속에 비해 몇배나 가벼운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이를 금속재료의 대체재로서 활용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최근 고유가로 인해 자동차나 항공기 업계는 이러한 노력에 사활을 걸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플라스틱들은 금속에 버금가는 성능을 구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플라스틱과 다른 재료를 결합하여 복합재료의 형태를 구현하므로서 금속을 대체하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복합재료로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들 수 있다. 열경화성 플라스틱 복합재료는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를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에 분산시킨 후 이를 일부 경화시켜 프리프레그를 제조한 다음, 이 프리프레그를 원하는 형태로 가공한 후 열경화를 완결하여 제품으로 제조된다. 이 같은 열경화성 플라스틱 복합체의 장점은 한번 경화되면 내열특성 및 기계적 물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것이다. 반면, 쉬트 형태의 프리프레그를 이용하여 제조하므로 제품의 형상에 한계가 있으며, 열경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고 리사이클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고분자 복합재료의 형태는 열가소성 고분자 복합재료이다. 열가소성 고분자 복합재료는 용융 가공성이 뛰어나므로 다양한 형태의 제품 가공이 가능하며, 재활용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열가소성 고분자 복합재료는 사출이나 압출 가공이 가능한 열가소성 고분자에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로 된 단섬유를 혼합하여 복합화한다. 열가소성 고분자 복합재료는 이미 분자량이 높은 고분자를 이용하므로 용융 점도가 높다. 따라서, 단섬유를 복합화 할 경우 용융 점도가 더욱 증가하게 되어 더욱 가공성이 떨어지므로 단섬유의 함량을 높일 수 없어 기계적 물성 보강에 한계가 있으며, 복합화된 단섬유들은 무질서하게 배향되어 있게 되므로 높은 강도를 요구하는 제품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기계적 물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섬유 직물 등 직물 상의 보강재와 열가소성 고분자를 복합화할 경우, 열가소성 고분자는 높은 용융 점도로 인하여 직물 상의 보강재에 함침이 매우 어려워 가공성이 불량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섬유 강화층에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함침시킴으로서 기계적 물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섬유 강화층 상에 열가소성 수지 입자가 잘 함침되어 가공성이 양호한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섬유 강화층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가 함침된 열가소성 복합재료에 있어서, 상기 섬유 강화층의 일면에는 싸이클릭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락탐 및 카프로락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도포하고, 섬유 강화층의 다른 일면에는 폴리아미드 6 또는 66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필름이 위치된 적층체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적층체를 열처리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상기 섬유 강화층은 전체 대비 35~ 65 부피%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분자량은 1,000 내지 90,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분자량이 1,000 미만인 경우 물성 저하가 일어나고 분자량이 90,000 초과인 경우 흐름성이 좋지 않아 함침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는 추가적으로 부틸틴 클로라이드 디하이드록사이드(Butyltin Chloride dihydroxide), 티타네이트(Titanate) 및 디스탄옥산(Distannoxane)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촉매 0.2 내지 0.6 mol%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제공한다. 0.2 mol%미만의 촉매가 투입될 경우, 중합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고분자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및 폴리아마이드(나일론 수지) 형성에 제약이 있고, 0.6 mol%를 초과이면 충분한 가열상태가 되기 전에 급격한 중합반응이 촉매를 중심으로 발생하여 충분한 길이의 고분자 체인이 형성되지 못하고 분자량이 낮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및 폴리아마이드(나일론 수지)가 형성되어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섬유 강화층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섬유 강화층의 일면에 싸이클릭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락탐 및 카프로락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섬유 강화층의 다른 일면에는 폴리아미드 6 또는 6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필름을 위치시키켜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체를 220~300℃ 온도에서 2분 내지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수지 입자를 섬유 강화층에 함침 및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가열처리온도가 220℃ 미만이거나 열처리 온도가 2분 미만일 경우 수지의 용융이 일어나지 않아, 고체 분말 상태로 존재하여 물성 저하의 원인이 되며, 300℃ 이상 또는 1시간 이상에서의 열처리 되는 경우, 수지의 열화에 의해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료는 용융점도가 높은 열가소성 고분자가 아니라 점도가 낮은 단량체들을 용융시킴으로 섬유 강화층에 먼저 함침 시킨다음 이를 고분자화함으로서 가공성이 매우 양호하며 섬유 강화층과 열가소성 고분자가 서로 일체화된 양호한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락탐, 카프로락탐 및 싸이클릭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섬유 보강층의 일면에 균일하게 도포한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아미드 또는 싸이클릭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Cyclic Butylene Terephthalate, CBT)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융점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150℃이상의 결정성 또는 비정성의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 에테르 에테르 케톤, 방향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릴렌 옥사이드,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 아미드이미드,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라미드(polyaramide), 폴리벤즈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 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은 고인성 또한 내열성이 양호한 점에서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수지는 2 종이상 병용해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입자의 형태를 띠는 파우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 또는 파우더는 열가소성 고분자의 단량체를 매트릭스로 한다. 단량체는 파우더에 분산된 공지의 열중합 촉매에 의해 후술하는 가열처리에 따라 고분자로 중합되며, 이 고분자는 열가소성을 갖는다. 섬유 강화층에 함침되는 매트릭스로서 단량체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 높은 용융 점도로 인하여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 강화층에 함침이 어렵기 때문이다. 모노머는 낮은 분자량으로 인해 용융 점도가 낮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단량체는 섬유 강화층에 잘 함침될 수 있도록 낮은 용융점도를 갖는 것이라면, 단량체는 물론 올리고머나 프레폴리머도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열가소성 고분자의 단량체로는 싸이클릭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Cyclic Butylene Terephthalate, CBT), 락탐(Lactam), 카프로락탐(Caprolactam)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싸이클릭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중합되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Butylene Terephthalate, PBT)가 되며, 락탐 또는 카프로락탐은 중합되어 폴리아미드(Polyamide, PA)가 된다. 이들 고분자는 모두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분자량은 1,000 내지 90,000 인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바람직한 분자량은 20,000 내지 60,000 이며, 입경으로는 입도가 30~300μ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0μm미만에서는 취급성이 좋지 않고, 300μm초과에서는 제조 시의 가공성함침성이 불충분이 된다. 전술한 구성의 입자는 파우더 형태를 띄고 있는 구성이며, 파우더는 열중합 촉매와 열가소성 고분자의 단량체의 용융액에 첨가하여 분산시킴으로서 용이하게 준비할 수 있으며, 파우더는 후술하는 산포 공정을 통해 섬유 강화층의 표면에 분산될 수 있으면 되므로, 그래뉼, 펠렛 등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입자로 구성된 파우더를 섬유 강화제 위에 균일하게 산포시킴에 따라 섬유 보강재의 표면은 파우더로 덮이게 되며, 파우더의 산포 두께에 따라 섬유 강화층과의 부피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지는 UV 안정제, 중합 촉매, 색상 조절 첨가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합 촉매로는 부틸틴 클로라이드 디하이드록사이드(Butyltin Chloride dihydroxide), 티타네이트(Titanate) 및 디스탄옥산(Distanno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촉매 0.2 ~ 0.6 mol%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촉매는 수지 입자의 중합 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포함되며 바람직한 사용량은 0.2 ~ 0.6 mol% 이다. 0.2 mol%미만의 촉매가 투입될 경우, 중합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고분자인 폴리부틸렌 테레프 탈레이트(PBT) 및 폴리아마이트(나일론 수지) 형성에 제약이 있고, 0.6 mol%를 초과이면 충분한 가열상태가 되기 전에 급격한 중합반응이 촉매를 중심으로 발생하여 충분한 길이의 고분자 체인이 형성되지 못하고 분자량이 낮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및 폴리아마이드(나일론 수지)가 형성되어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섬유 강화층으로는 유리 섬유(Glass fiber),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또는 탄소 섬유(Carbon fiber)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층을 결합 또는 접합시켜 형상을 유지한다. 섬유 매트층의 함량은 35 ~ 65 부피%이며, 바람직하게는 45 ~ 55 부피% 이다. 섬유 매트층의 함량이 35 부피% 미만일 경우, 충분한 강성이 나오지 않아 제품상에서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65 부피% 초과일 경우, 과도한 강성으로 인해 다음 공정인 열 성형에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섬유 강화층의 다른 일면에는 폴리아미드 6 또는 66 필름을 적층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66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융점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150℃이상의 결정성 또는 비정성의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 에테르 에테르 케톤, 방향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릴렌 옥사이드,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 아미드이미드,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라미드(polyaramide), 폴리벤즈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 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은 고인성 또한 내열성 양호하므로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수지는 2 종이상 병용한 필름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 프리프레그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섬유 강화층을 준비한다. 섬유 강화층은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층을 결합 또는 접합시켜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섬유 강화층으로 유리 섬유 단층을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나, 유리 섬유 2층 또는 다층으로 구성된 섬유 강화층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유리 섬유 1층 및 탄소섬유 1층으로 구성된 2층 섬유 강화층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기 섬유 강화층의 부피는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열가소성 수지 복합체 총 부피를 기준으로 35 내지 65 부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섬유 강화층의 일면에는 싸이클릭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락탐 및 카프로락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도포한다.
또한 상기 섬유 강화층의 다른 일면은 폴리아미드 6 또는 6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필름을 적층시켜 적층체를 제조한다.
상기 적층체는 열처리하는데, 열처리를 하면 상기 입자가 용융되어 열가소성 고분자의 단량체를 열가소성 고분자로 열중합시킨다. 이를 열처리하면 입자로 구성된 파우더의 매트릭스 성분인 단량체가 용융되는데, 단량체의 용융액은 점도가 낮으므로 섬유 강화층에 잘 코팅된다. 또한 단량체 용융액은 분산된 열중합 촉매에 의해 고분자로 중합된다. 가열처리는 예를 들어 220 내지 300℃와 같이 단량체의 용융과 중합이 가능한 온도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가열처리 온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지 입자가 도포된 섬유 강화층에 220 내지 300℃의 온도에서 2분 내지 1시간 동안 열처리를 하는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290℃의 온도에서 진행한다. 상기 가열처리온도가 220℃ 미만일 경우 수지의 용융이 일어나지 않아, 고체 분말 상태로 존재하여 물성 저하의 원인이 되며, 300℃ 초과 되는 경우, 수지의 열화에 의해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열처리 과정을 거치면 열가소성 복합재료가 제조된다.
본 발명의 복합재료는 통상의 성형 방법수단에 의해서 성형품에 성형할 수 있다. 성형에 즈음해서는, 일방향으로 적층해도 좋고, 유사 등방성을 가지도록, 예를 들면, (+45°/0°/-45°/90°) 4 S와 같이 적층해도 좋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복합재료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 열적 특성, 인성, 내충격성 등을 겸비 하고 있어, 이 복합재료를 이용해 성형된 성형품은 발생한 크랙을 전파시키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건축자재 구조재료, 자동차, 항공기 구조재료, 우주 구조물 재료 등 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실시예1
유리 섬유의 일면에 분자량이 1,000인 싸이클릭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침하고, 상기 유리 섬유의 다른 일면에는 폴리아미드 6 필름을 위치시켜 적층체를 제조한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 섬유 강화층은 전체 대비 부피 35%가 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적층체를 250℃에서 15분간 열처리하여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제조한다.
실시예2
유리 섬유의 일면에 분자량이 90,000인 카프로락탐을 함침하고, 상기 유리 섬유의 다른 일면에는 폴리아미드 66 필름을 위치시켜 적층체를 제조한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 섬유 강화층은 전체 대비 부피 45%가 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적층체를 250℃에서 15분간 열처리하여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제조한다.
실시예3
유리 섬유의 일면에 분자량이 1,000인 싸이클릭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입자와, 상기 싸이클릭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입자 대비 0.2mol%의 티타네이트 중합 촉매를 함께 함침하고, 상기 유리 섬유의 다른 일면에는 폴리아미드 6 필름을 위치시켜 적층체를 제조한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 섬유 강화층은 전체 대비 부피 65%가 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적층체를 250℃에서 15분간 열처리하여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제조한다.
실시예4
유리 섬유의 일면에 분자량이 카프로락탐 입자와 싸이클릭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입자의 중량비가 4:6으로 조성된 열가소성 수지 분말과 0.6mol%의 티타네이트 중합촉매를 함께 함침하고, 상기 유리 섬유의 다른 일면에는 폴리아미드 66 필름을 위치시켜 적층체를 제조한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 섬유 강화층은 전체 대비 부피 50%가 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적층체를 250℃에서 15분간 열처리하여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실시예의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ASTM D3039 방법에 따라 충격강도와 인장 모듈러스 값을 측정하였으며 충격강도의 경우 상온에서 측정한 결과치를 표에 표기하였음
구분 충겨강도(kJ/m2) 인장모듈러스(GPa)
실시예1 130 18
실시예2 141 19
실시예3 1153 24
실시예4 157 25

Claims (5)

  1. 섬유 강화층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가 함침된 열가소성 복합재료에 있어서,
    상기 섬유 강화층의 일면에는 싸이클릭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락탐 및 카프로락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도포하고, 섬유 강화층의 다른 일면에는 폴리아미드 6 및 6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필름이 위치된 적층체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적층체를 열처리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복합재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강화층은 전체 대비 35~ 65 부피%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복합재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분자량은 1,000 내지 90,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복합재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는 추가적으로 부틸틴 클로라이드 디하이드록사이드(Butyltin Chloride dihydroxide), 티타네이트(Titanate) 및 디스탄옥산(Distannoxane)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촉매 0.2 내지 0.6 mol%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복합재료.
  5. 섬유 강화층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섬유 강화층의 일면에 싸이클릭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락탐 및 카프로락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섬유 강화층의 다른 일면에는 폴리아미드 6 또는 6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필름을 위치시켜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체를 220~300℃ 온도에서 2분 내지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섬유 강화층에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1020150177344A 2015-12-11 2015-12-11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69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344A KR20170069745A (ko) 2015-12-11 2015-12-11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344A KR20170069745A (ko) 2015-12-11 2015-12-11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745A true KR20170069745A (ko) 2017-06-21

Family

ID=5928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344A KR20170069745A (ko) 2015-12-11 2015-12-11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97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208A (ko) * 2019-12-30 2021-07-08 효성첨단소재 주식회사 수지 함침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208A (ko) * 2019-12-30 2021-07-08 효성첨단소재 주식회사 수지 함침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833B1 (ko) 복합재료의 함침성 향상을 위한 기능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US20210370583A1 (en) Multiple layer fila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P2537881A1 (en) Sheet for fiber-reinforced resin and fiber-reinforced resin molded article using same
US20100218890A1 (en) Methods for preparing nanoparticle-containing thermoplastic composite laminates
KR101744205B1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코팅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3381B1 (ko) 보강 복합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WO2020040287A1 (ja) 炭素繊維シート材、プリプレグ、成形体、炭素繊維シート材の製造方法、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体の製造方法
EP3213916A1 (en)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80126762A (ko) 하이브리드형 섬유강화 복합재료
KR20170069747A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코팅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69745A (ko)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Jagadeesh et al. Mechanical, electrical and thermal behaviour of additively manufactured thermoplastic composites for high performance applications
KR101746026B1 (ko) 다층 하이브리드 프리프레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9729A (ko) 준등방성 특성을 가지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7319B1 (ko) 다층 하이브리드 프리프레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69713A (ko) 유리 섬유와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4204B1 (ko) 이종 양면 프리프레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3600B1 (ko)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내·외장재
KR20170069739A (ko) 모듈러스 값이 우수한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6934119B2 (ja) 樹脂充填繊維基材、繊維強化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69704A (ko) 표면 처리된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9093B1 (ko) 보강 복합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20170069749A (ko)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한 열가소성 복합재료
KR20170069729A (ko) 평량이 상이한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69736A (ko) 기공율이 적은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