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142A - Parts feeder - Google Patents

Parts fee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142A
KR20170069142A KR1020160148651A KR20160148651A KR20170069142A KR 20170069142 A KR20170069142 A KR 20170069142A KR 1020160148651 A KR1020160148651 A KR 1020160148651A KR 20160148651 A KR20160148651 A KR 20160148651A KR 20170069142 A KR20170069142 A KR 20170069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main body
posture
workpiece
bottom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6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6090B1 (en
Inventor
구니아키 무카에
마사노리 스가하라
요스케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9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1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0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2Jigging conveyors comprising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for elevation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3Vibrating conveyors
    • B65G2812/0384Troughs, tubes or the like
    • B65G2812/0388Troughs, tube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안정적으로 워크를 정렬시켜 공급 효율을 높게 하면서, 반송 중인 워크의 품질의 저하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는 부품 피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품 피더는, 저류부(2)로부터 워크 W를 주회시키면서 상방으로 반송하고, 워크 W를 낙하시키기 위하여 폭 치수를 점차 좁게 형성한 제1 저벽(31a)을 갖는 제1 주로(31)와, 이 제1 주로(31)로부터 낙하한 워크 W의 저면 W3이 공급처 R로 반송해야 하는 정상 자세 N에 있을 때 접하는 제2 측벽(32b) 및 저면 W3이 어느 면에도 접하고 있지 않은 부정 자세 X에 있는 워크 W가 제1 주로(31)로부터 낙하할 때 자세 변경되어 저면 W3이 접하는 제2 저벽(32a)을 갖고, 정상 자세 N에 있는 워크 W를 공급처 R로 반송하는 제2 주로(32)와, 제2 저벽(32a)에 저면 W3이 접하고 있는 워크 W를 제2 주로(32)로부터 저류부(2)에 안내하는 제3 주로(33)를 구비한다.
Provided is a component feeder capable of effectively avoiding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a workpiece being transported, while stably arranging the workpieces to increase the supply efficiency.
The component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feeder that transports a workpiece W from a storage section 2 while rotating the workpiece W upward and includes a first main portion 31a having a first bottom wall 31a having a gradually narrowed width dimension for dropping the workpiece W And a second side wall 32b and a bottom surface W3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bottom W3 of the work W dropped from the first main 31 is in the normal posture N to be conveyed to the supply destination R, X has a second bottom wall 32a where the bottom W3 is in contact with the work W when the work W falls from the first main 31 and the second main 32 And a third main body 33 for guiding the work W having the bottom W3 in contact with the second bottom wall 32a from the second main body 32 to the storage portion 2. [

Description

부품 피더 {PARTS FEEDER}PARTS FEEDER {PARTS FEEDER}

본 발명은, 특정 형태의 복수의 워크를 반송로 상에서 소정의 자세로 반송하기 위한 부품 피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nent feeder for transporting a plurality of workpieces of a specific type on a conveying path in a predetermined posture.

종래, 전자 부품 등의 공급 대상물인 워크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이 저류부 로부터 공급처까지를 연락하는 반송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류측의 저류부에 투입되는 워크를 진동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반송로 상에서 일렬로 정렬시키면서 반송하여, 하류측의 공급처에 대하여 공급하는 부품 피더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당해 특허문헌 1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송로는 일반적으로, 반송 방향으로 연속되는 평면형의 반송면과, 이 반송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교차하고 있고 측방에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측벽에 의하여, 단면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는 일이 많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conventionally provided a storage section for storing workpieces to be supplied, such as electronic parts, and a conveyance path for connecting the storage section to a supply destination, and a work to be placed in a storage section on the upstream side A component feeder is known in which a component feeder is arranged while being aligned in a line on a conveying path and supplied to a supply source on the downstream sid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conveying path generally has a planar conveying surface continuous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side walls crossing the conveying surface at substantially right angles and performing lateral positioning, It is often formed in a substantially V-shaped cross section.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73611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173611

이러한 부품 피더를 사용하여 다양한 워크를 공급할 수 있는데, 워크에 따라서는 오염을 부착시키고 싶지 않은 요보호면을 가진 워크도 존재한다. 이 요보호면이 보호되어야 하는 이유는 워크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 들어 워크에 있어서의 특정한 면이나 부분의 소재나 형상 또는 표면의 성질에 의하여 오염과 같은 이물이 부착되기 쉬운 것이거나, 요보호면에 요구되는 성능을 유효하게 발휘하는 데 있어서 오염의 부착에 의하여 성능의 발휘에 지장을 초래해 버리는 것이거나, 또는 강도가 낮아 손상되기 쉬운 것이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이유가 생각된다. 또한 워크에 있어서의 요보호면은, 일반적으로 워크가 가장 안정된 상태에서 접지할 수 있는 면을 저면으로 하면, 이 저면의 이면측, 즉, 평면측에 설정되는 일이 많다.Various workpieces can be supplied by using such a component feeder, and some workpieces have a workpiece surface that does not want to attach contamination. The reason for this protection surface to be protected varies depending on the workpiece. For example, foreign matter such as contamination tends to adhere due to the material or shape of a specific surface or part of the work or surface properties of the work, or the adhesion of contaminants It is considered that there are various reasons such as causing a trouble to the performance or being easily damaged because of low strength. Further, in general, the urine protection surface of the work is often set on the back side of the bottom surface, that is, on the plane side, when the surface that can be grounded in the most stable state of the work is the bottom surface.

그리고 이러한 요보호면을 갖는 워크이더라도, 물론 다른 워크와 마찬가지로 워크의 형상이나 하류측의 공급처에 있어서의 공정에 따라서는, 워크의 방향을 정확히 동일한, 또는 동일하다고 인식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것이 필요해진다. 또한 이러한 요보호면을 유효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요보호면이 부품 피더측에 접하고 있는 부정 자세를 확실하고 빠르게 해소할 필요가 있다.Even in the case of a work having such a yaw protection surfac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arrange the workpie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workpiece can be perceived to be exactly the same or identical,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workpiece and the process of the supply source on the downstream side It becomes necessary. Further, in order to effectively protect such a urine protection surface, it is necessary to reliably and quickly eliminate an unstable posture in which the urine protection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part feeder sid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유효하게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안정적으로 워크를 정렬시켜 공급 효율을 높게 하면서, 반송 중인 워크의 품질의 저하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는 부품 피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solve such a problem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 component feeder capable of effectively avoiding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a workpiece being transported while stably arranging the workpieces to increase the supply efficiency .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은 수단을 강구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takes the following measures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즉, 본 발명의 부품 피더는, 평면에서 보아 개략 원형을 이루는 미가공 영역으로부터 워크를 주회시키면서 상방으로 반송하고, 워크를 어느 한 개소에서 하방에 낙하시키기 위하여 폭 치수를 점차 좁게 형성한 제1 저벽을 갖는 제1 주로와, 이 제1 주로로부터 낙하한 워크의 저면이 공급처로 반송해야 하는 정상 자세에 있을 때 접하는 제2 측벽, 및 상기 저면이 어느 면에도 접하고 있지 않은 부정 자세에 있는 상기 워크가 상기 제1 주로로부터 낙하할 때 자세 변경되어 상기 저면이 접하는 제2 저벽을 갖고, 상기 정상 자세에 있는 상기 워크를 상기 공급처로 반송하는 제2 주로와, 상기 제2 저벽에 상기 저면이 접하고 있는 상기 워크를 상기 제2 주로로부터 상기 미가공 영역에 안내하는 제3 주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component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feeder that transports a work from an unoccupied area having a generally circular shape in a plan view to the upper side while rotating the work, and a first bottom wall having a gradually narrower width dimension for dropping the work from one site downward A second sidewall which abuts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dropped from the first main body is in a normal postur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should be conveyed to the supply source, and a second sidewall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A second main body having a second bottom wall that changes its posture when it is dropped from the first main body and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o transport the workpiece in the normal posture to the supply source; And a third main body for guiding the second main body from the second main body to the unprocessed area.

여기서 「저면」이란, 부품 피더 내에서의 반송 중에 워크가 가장 안정적으로 접지할 수 있는 면, 달리 말하면, 워크가 갖는 면 중에서 가장 면적이 큰 평면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저면」이란, 반드시 하방에 면하고 있다는 협의의 의미에 한정되는 일은 없으며, 부품 피더에 의하여 반송된 워크 자체가 부착되거나 설치되거나 하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Here, the " bottom surface " refers to a plane on which the workpiece can be most stably grounded during transportation in the component feeder, in other words, a plane having the largest area among the surfaces of the workpiece. Needless to say, this " bottom surface " is not limited to the meaning of negotiation that it faces downward, and it does not necessarily indicate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rkpiece itself conveyed by the component feeder is attached or installed.

이러한 것이면, 제2 주로에 워크가 도달할 때는 적절히 자세 변경이 이루어짐으로써, 저면이 제2 측벽 또는 제2 저벽 중 어느 하나에 접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종래이면 부정 자세에 있는 워크를 에어 등에서 제외하는 등 하여 워크에 대하여 큰 동작을 강요하지 않고, 단순히 낙하시킨다는 형태만에 의하여, 제2 저벽에 워크가 도달할 때는 부정 자세에 있는 워크의 비율을 크게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안정적으로 워크를 정렬시켜 공급 효율을 높게 하면서, 반송 중인 워크의 품질의 저하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는 부품 피더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work reaches the second main body, the posture is appropriately chang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can be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second side wall and the second bottom wall. Thus, when the workpiece reaches the second bottom wall only in the form of simply dropping the workpiece without exerting a large motion on the workpiece by removing the workpiece in the unstable state from the air or the like, Can be greatly reduc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onent feeder capable of effectively avoiding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a workpiece being carried while increasing the supply efficiency by aligning the workpiece stably.

그리고 워크를 반송처까지 더 빠르게 도달시키기 위해서는, 제1 주로를, 미가공 영역의 외측 테두리의 외측을 주회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reach the workpiece to the destination more quickly,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first main body so as to circulate the outside of the outer edge of the unprocessed area.

여기서, 워크의 저면 반대측에 있는 요보호면을 유효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당해 요보호면이 가능한 한 부품 피더에 접하는 기회가 적어지도록 반송할 필요가 있다. 달리 말하면, 반송 중에 워크의 저면이 부품 피더측에 접하고 있는 시간을 가능한 한 많게 하기 위해서는, 미가공 영역에 워크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를 갖는 것인 경우, 제1 주로를 부정 자세로 반송되고 있는 워크를 자세 변경시키는 개소가, 호퍼로부터 투입된 워크가 360° 주회할 때까지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n order to effectively protect the urine protection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it is necessary to convey the urine protection surface so that the chance of contact with the part feeder is reduced as much as possible. In other words, in order to make as much time as possible for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piece to contact the part feeder side during transportation, in the case of having a hopper for inputting the workpiece in the unprocessed area,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to be changed in posture is formed at a position from when the work inserted from the hopper rotates around 360 degrees.

그리고 제1 주로로부터 제2 주로에 이르는 워크가 더 많은 비율로 정상 자세로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2 저벽을, 제1 저벽에 저면을 접하게 한 자세에 있는 워크의 낙하 시에 정상 자세로 자세 변경시킬 수 있는 낙차를 두고 형성된 것으로 하고, 제1 주로를, 정상 자세에 있는 워크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제2 주로에 워크를 낙하시키기 위한 자세 유지부를 가진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make the work from the first main to the second main to be in a normal attitude at a higher rate, the second bottom wall is changed to a normal posture at the time of the falling of the work in a postur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ottom wall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ain body has an attitude maintaining portion for dropping the work in the second main body while maintaining the attitude of the work in the normal attitude.

특히 부정 자세에 있는 워크를 더 확실히 부정 자세 이외의 자세로 자세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저벽과 제2 저벽 사이에 형성되는 낙차의 치수를 워크의 저면 외형 치수보다도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make the dimension of the dropout formed between the first bottom wall and the second bottom wall larger than the outer dimens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so that the work in the wrong posture can be positively changed to the attitude other than the unjust posture .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부품 피더는, 워크가, 저면의 반대측에 형상을 팽출시켜 형성한 팽출면을 갖는 것이고, 저면이 대략 정사각형을 이루는 것에 대하여, 더 유효하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팽출면이, 부분 구면형으로 팽출된 광학 기계 부품을 구성하기 위한 렌즈인 워크에 대하여, 더 유효하게 상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 part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lging surface formed by bulging the shape of the work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effect can be more effectively exerted when the bottom surface has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More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effect can be more effectively exerted on a work which is a lens for constituting an optical mechanical part whose bulging surface has expanded into a partially spherical shap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워크를 정렬시켜 공급 효율을 높게 하면서, 반송 중인 워크의 품질의 저하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는 부품 피더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onent feeder capable of effectively avoiding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a workpiece being transported, while stably arranging the workpieces to increase the supply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부품 피더를 도시하는 외관도.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워크의 구성 설명도.
도 3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요부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관한 Ⅰ-Ⅰ선 단면도 및 Ⅳ부 확대 설명도.
도 5는 동 Ⅱ-Ⅱ선 단면도 및 Ⅴ부 확대 설명도.
도 6은 동 Ⅲ-Ⅲ선 단면도 및 Ⅵ부 확대 설명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parts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onfiguration explanatory view of a 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Fig. 3 is a plan view of a principal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 실시 형태의 부품 피더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체를 이루는 볼(1)에 대하여 워크 W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3)를 형성함과 함께, 이 반송로(3)의 종단부측에, 워크 W를 평면에서 본 자세를 변환하기 위한 쌍을 이루는 자세 변환 장치(5), 및 워크 W의 자세를 검사함과 함께, 원하는 자세가 아닌 것은 반송로(3) 상으로부터 배제하는 배제부 E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동 도면 및 도 3에서는, 워크 W가 반송되는 방향을 굵은 화살표에 의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mponent feeder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transport path 3 for transporting a work W to a ball 1 constituting a main body, and at the end of the transport path 3 A posture changing device 5 that forms a pair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workpiece W viewed from the plane and a posture changing device 5 for checking the posture of the workpiece W Part E is installed. 3 and FIG. 3,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rk W is conveyed is schematically shown by a bold arrow.

볼(1)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의 유발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볼(1)은, 도시되지 않은 가진부(加振部)로 지지되면서 가진되도록 되어 있다. 가진부는, 볼(1)에 상하 방향 성분과 비틀림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진동을 제어함으로써 워크 W가 반송된다.The ball 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induction shape in plan view. The ball 1 is supported by an excitation unit (not shown) so as to be excited. The vibra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generate vibrations in the ball 1 including a vertical direction component and a torsional direction component. By controlling this vibration, the workpiece W is transported.

또한 볼(1)은, 내측에는, 공급 대상으로 되는 워크 W가 동 도면에 상상선으로 도시되는 호퍼 H로부터 투입되는 미가공 영역인 저류부(2)와, 이 저류부(2)로부터 외주 방향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워크 W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3)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반송로(3)의 하류측은 상상선으로 도시되는 공급처 R에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류부(2)의 표면을, 워크 W에 대하여 방향의 변경 등의 가공은 전혀 행하지 않는 미가공면(20)으로 하고 있다.In the ball 1, a workpiece W to be supplied is provided with a storage section 2 which is an unprocessed area to be introduced from a hopper H shown by an imaginary line in the figure, and an outer peripheral direction from the storage section 2 as And a conveying path 3 for conveying the work W in a spiral manner toward the center.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veying path 3 is connected to the supply source R shown by the imaginary lin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2 is an unprocessed surface 20 which is never subjected to processing such as changing th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ork W.

반송로(3)는, 수평면보다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져서 형성된 개략 V자형 단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러한 단면 형상에 의하여, 워크 W는 반송로(3)에 지지되면서 평면에서 보아 나선형으로, 또한 점차 상방으로 반송된다.The conveying path 3 is formed by forming an approximately V-shaped cross section formed by inclining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By such a cross sectional shape, the work W is supported by the conveying path 3, And is gradually transported upward.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피더가 공급 대상으로 하는 워크 W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의 (a), (b), (c)는 각각 워크 W의 외관도, 평면도, 저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워크 W는, 예를 들어 조명 설비 등의 광학 기계 부품을 구성하기 위한 LED 유닛의 일 부품으로서 취급되는 것이며, 평면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형의 판형을 이루는 기판 W1과, 이 기판 W1의 평면에서 보아 중앙 부분으로부터 분구면형을 이루도록 팽출시킨 렌즈부 W2를 갖고 있다. 기판 W1은, 형성시켰을 때 가장 안정되는 저면 W3과, 이 저면 W3에 연속되는 4개의 단부면 중 공급처 R에 공급할 때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조정되는 상하면 W4와,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조정되는 전후면 W5를 갖고 있다. 저면 W3에는, 개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전극 W7이 쌍을 이뤄 설치되고 노출되어 있으며, 이들 전극 W7 사이에는 간극 W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워크 W는 전극 W7 및 간극 W8의 위치에 의하여, 공급처 R로 반송할 때 상하 방향에 면하는 상하면 W4와 반송 방향을 따른 전후 방향에 면한 전후면 W5가 각각 구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부 W2는, 평면에서 본 측의 표면을,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반송 중에 가장 보호를 요하는 요보호면 W6으로 하고 있다. 이 요보호면 W6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렌즈 W9는, 그 소재의 마찰 계수가 기판 W1의 그것보다도 높고, 또한 높은 투광성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호퍼 H로부터 투입되고 난 후로부터 공급처 R에 이르기까지 최대한 다른 것에 접촉하지 않고 이동시킬 것이 요구된다.2 shows a workpiece W to which a component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be supplied. 2 (a), 2 (b) and 2 (c) show an external view,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work W, respectively. The work W is to be handled as a part of an LED unit for constituting an optical machine component such as a lighting fixture and includes a substrate W1 having a substantially square plate shape in plan view, And a flared lens portion W2 so as to form a divided spherical surface from the portion. The substrate W1 has a bottom surface W3 that is most stable when formed, a top surface W4 that is adjusted so as to be directed upward and downward when supplied to the supply source R among four end surfaces continuing to the bottom surface W3, W5. In the bottom face W3, electrodes W7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re paired and provided, and a gap W8 is formed between these electrodes W7. As described above, the work W is formed by the positions of the electrode W7 and the gap W8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W4 facing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ransported to the supply destination R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W5 faci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are distinguishable. In the lens portion W2, the surface on the side seen from the plane is defined as a protection surface W6 which requires the most protection during transport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the material of the lens W9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protective surface W6 is higher than that of the substrate W1 and the higher light transmittance must be maintained, It is required to move without touching anything else.

또한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당해 워크 W의 형상에 의하여, 개략 판형을 이루는 워크 W 등에 비하면 워크 W끼리의 중첩이나 병렬이 일어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부품 피더에서는, 중첩이나 병렬을 저감시키는 기구가 생략된 것으로 되어 있지만, 물론 이들 각종 기구를 별도 설치하는 것을 방해하지는 않는다.Further,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ifficult for the work W to overlap or parallel with each other due to the shape of the work W, as compared with the work W having a rough plate shape. Therefore, in the component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chanisms for reducing overlap and parallel are omitted. Of cours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stall these various mechanisms.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세 변환 장치(5)까지 워크 W가 반송되었을 때는, 당해 자세 변환 장치(5)가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적어도 반송로(3)에 있어서의 내측에 면하고 있는 벽에 워크 W의 저면 W3이 접한 정상 자세(N)로 되어 있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자세 변환 장치(5)는, 워크 W를 반송시킬 때 반송 방향에 대한 전후 방향이나 상하 방향으로 정확히 상하면 W4, 전후면 W5를 대응시키기 위한 것인데, 당해 자세 변환 장치(5)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workpiece W is carried to the posture changing device 5, at least the wall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conveyance path 3 is formed so that the posture changing device 5 can function normally It is essential that the bottom W3 of the work W is in the normal posture N in contact with the work W. The posture changing device 5 is for precisely align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W4 and W5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rrying direction when carrying the workpiece W.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osture changing device 5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부품 피더는, 워크 W의 자세를 상기 정상 자세(N)로 규제하여 정렬시키도록, 반송로(3)가, 미가공면(20)으로부터 먼저 워크 W가 반송되는 제1 주로(31)와, 이 제1 주로(31)에 연속되어 공급처 R까지 정상 자세(N)에 있는 워크 W를 반송하기 위한 제2 주로(32)와, 제2 주로(32) 및 미가공면(20)에 개재하여, 일부의 워크 W를 다시 미가공면(20)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3 주로(33)를 갖고 있다.The part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veying path 3 is provided with a first main body (first workpiece W) from which the work W is conveyed first from the raw surface 20 so as to regulate and align the posture of the work W in the normal posture N A second main body 32 for continuously conveying the work W in the normal posture N to the supply source R and a second main body 32 for conveying the work W in the normal position N to the first main body 31, And a third main body 33 for returning a part of the work W to the unprocessed surface 20.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부품 피더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개략 원형을 이루는 저류부(2)로부터 워크 W를 주회시키면서 상방으로 반송하고, 워크 W를 어느 한 개소에서 하방에 낙하시키기 위하여 폭 치수를 점차 좁게 형성한 제1 저벽(31a)을 갖는 제1 주로(31)와, 이 제1 주로(31)로부터 낙하한 워크 W의 저면 W3이 공급처 R로 반송해야 하는 정상 자세(N)에 있을 때 접하는 제2 측벽(32b), 및 저면 W3이 어느 면에도 접하고 있지 않은 부정 자세{도 4의 (c)}에 있는 워크 W가 제1 주로(31)로부터 낙하할 때 자세 변경되어 저면 W3이 접하는 제2 저벽(32a)을 갖고, 정상 자세(N)에 있는 워크 W를 공급처 R로 반송하는 제2 주로(32)와, 제2 저벽(32a)에 저면 W3이 접하고 있는 워크 W를 제2 주로(32)로부터 저류부(2)에 안내하는 제3 주로(3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o 6, the component feed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onveys the work W upward while keeping the work W from the storage section 2 having a generally circular shape in a plan view, And a bottom W3 of the work W dropped from the first main body 31 is transported to the supply destination R. The first main body 31 has a first bottom wall 31a having a gradually narrowed width dimension for dropping downward from the first base 31, The second sidewall 32b contacting with the bottom surface W3 in the normal posture N and the work W in the wrong posture (Fig. 4 (c) A second main body 32 having a second bottom wall 32a where the bottom W3 is tilted when it drops and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W3 so as to carry the work W in the normal posture N to the supply source R, And a third main body 33 for guiding the work W to be contacted by the workpiece W3 from the second main body 32 to the storage portion 2 .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부품 피더의 반송로(3)를 구성하는 제1 주로(31), 제2 주로(32) 및 제3 주로(33)의 각 구성 및 상호 작용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해 간다. 3 to 6, the configurations and interactions of the first main 31, the second main 32 and the third main 33 constituting the conveying path 3 of the component feeder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We explain in order.

제1 주로(31)는, 저류부(2)의 미가공면(20)으로부터 직접 워크 W를 반송하면서 당해 워크 W를 점차 상방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저류부(2)의 외측 테두리의 외측을 주회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주로(31)는 개략 V자 형상을 이루며, 당해 V자 형상 중 볼(1)의 중심, 즉, 내측을 향한 면을 형성하는 제1 측벽(31b)과, 외측을 향한 면을 형성하는 제1 저벽(31a)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저벽(31a)은, 제2 주로(32)와 병주하는 장소에서는 제2 주로(32)보다도 워크 W의 기판 W1의 치수 만큼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워크 W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저벽(31a)은, 워크 W를 지지할 수 있는 폭 치수가 점차 작아지도록 설정하며, 제1 저벽(31a)이 없어지거나, 또는 어떠한 자세에 있는 워크 W도 지지할 수 없게 되는 개소가 종단부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주로(31)의 종단부는, 호퍼 H로부터 미가공면(20)에 투입된 워크 W가 360° 주회하여 반송될 때까지의 위치로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제1 주로(31)에 있어서의 제2 주로(32)와 병주하기 시작한 위치 근방에서, 워크 W의 자세를 변경시키면서 워크 W를 낙하시키는 자세 변경부(34)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1 주로(31)의 종단부 또는 그 근방에, 정상 자세(N)에 있는 워크 W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제2 주로(32)에 워크 W를 낙하시키기 위한 자세 유지부(35)를 설치하고 있다. 이들 자세 변경부(34) 및 자세 유지부(35)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The first main body 31 is arranged so as to circulate the outside of the outer edge of the storage section 2 so as to gradually guide the workpiece W upward while conveying the workpiece W directly from the raw surface 20 of the storage section 2 Is installed. The first main body 31 has a substantially V-shape and includes a first sidewall 31b which forms a center of the ball 1, that is, an inward side of the V-shaped body, and a second sidewall 31b, And has a first bottom wall 31a formed therei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ottom wall 31a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upport the work W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econd main 32 by a dimension of the substrate W1 of the work W, Consists of. The first bottom wall 31a is set so that the width dimens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workpiece W gradually decreases and a position where the first bottom wall 31a disappears or the workpiece W in any posture can not be supported End por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main body 31 is set to a position from the hopper H until the work W fed into the rough surface 20 is rotated 360 degrees and transported. In this embodiment, a posture changing portion 34 for dropping the work W while changing the posture of the work W is installed near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main portion 31 starts to accommodate the second main portion 32 . The posture maintaining section 35 for dropping the work W in the second main body 32 while maintaining the posture of the workpiece W in the normal posture N is provided at or near the end of the first main body 31 described above, . The posture changing section 34 and the posture maintaining section 35 will be described later.

제2 주로(3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주로(31)로부터 낙하한 워크 W의 저면 W3이 공급처 R로 반송해야 하는 정상 자세(N)에 있을 때 접하는 제2 측벽(32b)과, 저면 W3이 어느 면에도 접하고 있지 않은 부정 자세(X)에 있는 워크 W가 제1 주로(31)로부터 낙하할 때 자세 변경되어 저면 W3이 접하는 제2 저벽(32a)을 가진 것이다. 제2 저벽(32a)은, 제1 저벽(31a)에 저면 W3을 접하게 한 자세에 있는 워크 W의 낙하 시에 정상 자세(N)로 자세 변경시킬 수 있는 낙차(36)를 두고 형성된 것이고, 이 낙차(36)의 치수가 워크 W의 저면 W3의 외형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워크 W의 자세 변경을 원활히 행하게 할 수 있다.4 and 5, when the bottom W3 of the work W dropped from the first main body 31 is in the normal posture N to be conveyed to the supply source R, the second main body 32, The side wall 32b and the second bottom wall 32a where the bottom W3 is in contact with the work W when the work W in the wrong posture X where the bottom W3 does not contact any surface falls from the first main 31 I have. The second bottom wall 32a is formed with a foot 36 which can be changed in attitude N in a normal posture N when the work W is in a posture in which the bottom W3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ottom wall 31a, Since the dimension of the drop 36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external dimension of the bottom W3 of the work W, the posture of the work W can be smoothly changed.

제3 주로(33)는, 제2 저벽(32a)에 저면 W3이 접하고 있는 저면 W3이 접지하고 있지만, 정상 자세(N)에는 없는 워크 W를 제2 주로(32)로부터 저류부(2)에 안내하는 안내면(33a)을 갖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제3 주로(33)를 설치하고 있는 평면에서 본 위치에 빗금을 그어 나타내고 있다.The bottom W3 of the third main 3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W3 of the second bottom wall 32a is grounded but the work W not in the normal posture N is drawn from the second main 32 to the holding portion 2 And has a guiding surface 33a.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and 3, a hatched area is shown at a position seen from the plane on which the third main body 33 is provided.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주로(31)와 제2 주로(32)가 병주를 시작한 일 근방에서, 정상 자세(N)에는 없는 워크 W를 제1 주로(31)로부터 제2 주로(32)에 낙하시킴으로써 워크 W를 자세 변경시키기 위한 자세 변경부(34)를 설치하고 있다. 이 자세 변경부(34)는, 제1 주로(31)의 종단부가 호퍼 H를 설치한 위치로부터 워크 W가 360° 주회할 때까지의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점에서, 스스로 워크 W가 360° 주회할 때까지의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워크 W가 호퍼 H로부터 투입되는 위치로부터 220 내지 230° 호퍼 H가 주회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하, 자세 변경부(34)를 워크 W가 통과할 때의 워크 W의 거동을, 단면도인 도 4의 (a)의 Ⅳ부 확대 설명도인 도 4의 (b), 도 4의 (c) 및 도 4의 (d)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자세 변경부(34)란, 도 3 및 도 4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한 위치뿐만 아니라, 정상 자세(N) 이외의 자세를 취하고 있는 워크 W가 낙하할 수 있는 영역 전반을 가리키는 것임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work W which is not in the normal posture N is called the first main 31 (31) and the second main 32 To the second main body 32 so as to change the attitude of the work W. Since the posture changing section 34 is positioned at a position from the position where the hopper H is provided at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main body 31 until the work W is revolved 360 degrees, So that it is positioned at a position until the main circulation. Specifically, the work W is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hopper H spins around 220 to 230 ° from the position where the work W is fed from the hopper H. The behavior of the workpiece W when the workpiece W passes through the posture changing portion 34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 (b) and 4 (c), which are enlarged explanatory views of Fig. 4 (a) And Fig. 4 (d). Here, the attitude altering section 3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s specifically shown in Figs. 3 and 4, but also to the entire region where the work W taking a posture other than the normal attitude N can fall Of course.

도 4의 (b)에서는, 정상 자세(N)가 아니라 저면 W3이 제1 저벽(31a)에 접지하고 있는 워크 W의 거동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저벽(31a)에 저면 W3을 접지시킨 워크 W는 미끄러져 떨어지듯 제2 측벽(32b)에 접지하도록 제2 주로(32)를 향하여 낙하한다. 이때 동 도면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제1 주로(31)에 있는 워크 W의 대부분은 제2 주로(32)에 낙하할 때 정상 자세(N)로 자세 변경된다. 이는, 낙차(36)의 치수가 적어도 워크 W의 외형 치수의 2분의 1 이상의 치수가 확보되고, 또한 제1 저벽(31a)과 제2 측벽(32b)이 둔각을 이뤄, 단면에서 보아 연속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4B shows the behavior of the work W in which the bottom W3 is grounded on the first bottom wall 31a instead of the normal posture N. In FIG. Thus, the work W having the bottom W3 grounded on the first bottom wall 31a slides down toward the second main 32 so as to be grounded to the second sidewall 32b. At this time, in the state shown in the figure, most of the work W in the first main body 31 is changed to the normal attitude N when falling on the second main body 32. This is because the dimension of the drop 36 is at least one-half the size of the outer dimensions of the work W, and the first bottom wall 31a and the second side wall 32b are obtuse-angled, It is caused by being.

도 4의 (c)에서는, 저면 W3이 어디에도 접지하고 있지 않으며, 렌즈 W9를 갖는 요보호면 W6이 제1 측벽(31b)에 접해 버리고 있는 부정 자세(X)를 취하고 있는 워크 W의 거동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측벽(31b)에 요보호면 W6이 접한 부정 자세(X)에 있는 워크 W는 제1 주로(31)로부터 굴러 떨어지듯 동작하면서 제2 주로(32)에 낙하한다. 당해 부정 자세(X)를 취하고 있는 워크 W의 대부분은,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저벽(32a)에 저면 W3을 접하게 한 상태로 된다. 이는, 제2 측벽(32b)의 치수 설정, 즉, 제1 측벽(31b)으로부터 제2 측벽(32b)까지의 사이에 형성된 낙차(36)의 치수가, 평면에서 보아 정사각형을 이루는 워크 W의 1변의 치수, 즉, 외형 치수보다도 약간 큰 소정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4C, the behavior of the work W in which the bottom W3 is not grounded at all, and the yaw protection surface W6 having the lens W9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wall 31b in the wrong posture X is shown . Thus, the workpiece W in the unstable posture X in which the abutment surface W6 touches the first sidewall 31b falls down to the second main body 32 while operating as it falls from the first main body 31. [ Most of the work W taking the unjust posture X is brought into a state in which the bottom W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bottom wall 32a as shown in the figure. This is because the dimension of the second sidewall 32b, that is, the dimension of the drop 36 formed between the first sidewall 31b and the second sidewall 32b is smaller than the dimension of the square of the work W That is, a predetermined dimension slightly larger than the external dimension.

도 4의 (d)에서는, 저면 W3이 제1 측벽(31b)에 접지한 정상 자세(N)로 이미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반송되어 온 워크 W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정상 자세(N)에 있는 워크 W는, 그대로 이 자세 변경부(34)에 의하여 자세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자세 유지부(35)까지 반송된다.4D shows the work W which has been transported in a state where the bottom W3 has already been positioned in the normal posture N grounded on the first sidewall 31b. The work W in the normal posture N is conveyed as it is to the posture maintaining section 35 without being changed in posture by the posture changing section 34 as it is.

그리고 도 3, 그리고 도 5에 특히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세 변경부(34)로부터 각도 위상에 있어서 30° 내지 40° 더 경과한 위치에는 자세 유지부(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자세 유지부(35)는, 동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위치뿐만 아니라, 제1 저벽(31a)이 워크 W의 기판 W1의 두께와 동일한 정도나 작은 치수로 됨으로써, 정상 자세(N)에 있는 워크 W가 낙하할 수 있는 영역 전반을 나타내고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5 in particular, the posture maintaining section 35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angular phase has further elapsed from 30 to 40 degrees from the posture changing section 34. The posture maintaining section 35 has not only the position specifically shown in the figure but also the first bottom wall 31a has a dimension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W1 of the workpiece W, And shows the entire area in which the work W can fall.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주로(31) 종단부 또는 그 근방에서는, 제1 저벽(31a)의 치수가 어떠한 자세에 있는 워크 W도 지지할 수 없을 때까지 작아져 있음과 함께, 제1 측벽(31b)이 이루는 각도가 도 4에 도시한 그것보다도 경사져서 상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Ⅴ부 확대도인 동 도면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워크 W의 대부분은 정상 자세(N)가 유지된 채, 동 도면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벽(32b)에 저면 W3이 접지하도록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듯 낙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t the end of the first main 31, or in the vicinity thereof, the dimension of the first bottom wall 31a is small until it can not support the work W in any posture, The angle formed by the side wall 31b is inclined to be higher than that shown in Fig. As a result, most of the work W as shown in (b) of FIG. 5 (a), which is an enlarged view of FIG. 5, So that the bottom W3 can be slid downward so as to be grounded.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도 4의 (c)에 도시한 워크 W는, 그 후, 제2 주로(32)로부터 제3 주로(33)에 안내되고, 이러한 제3 주로(33) 상의 안내면(33a)을 경유하여 다시 미가공면(20)에 복귀되게 된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주로(33)가 설치된 위치에서는, 제2 저벽(32a)의 치수도 정상 자세(N)에 있는 워크 W 이외에는 지지할 수 없는 자세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도 4의 (c)의 상태에 있는 워크 W는 미가공면(20)으로 복귀되는데, 저면 W3이 접지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다시 주회하여, 상술한 도 4의 (b)에 도시하는 거동을 채용하면서 정상 자세(N)로 자세 변경되고, 제2 주로(32)에 의하여 공급처 R까지 반송된다.6, the work W shown in Fig. 4 (c) is then guided from the second main 32 to the third main 33, and the third main 33 And then returned to the raw surface 20 again via the guide surface 33a. As shown in the figure, at the position where the third main body 33 is provided, the dimension of the second bottom wall 32a is also in a posture that can not be supported other than the work W in the normal posture N. Thus, the work W in the state of FIG. 4 (c) is returned to the raw surface 20, while the bottom W3 is kept in a grounded state and is turned around again. As shown in FIG. 4 (b) The posture is changed to the normal attitude N while the behavior is adopted, and is conveyed to the supply destination R by the second main 32. [

그리고 제1 주로(31), 제3 주로(33)를 통과한 워크 W는 제2 주로(32)에 의하여, 상술한 자세 변환 장치(5) 및 배제부 E를 경유하여, 소정의 정방향의 자세인 것이 확인된 워크 W만이 공급처 R을 향하여 공급된다.The work W having passed through the first main 31 and the third main 33 is guided by the second main 32 through the posture changing device 5 and the exclusion part E described above to a predetermined forward posture Only the work W that has been confirmed to be supplied to the supply source R is supplied.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부품 피더는, 폭 치수를 점차 좁게 형성한 제1 저벽(31a)을 갖는 제1 주로(31)와, 제1 주로(31)로부터 낙하한 워크 W의 저면 W3이 공급처 R로 반송해야 하는 정상 자세(N)에 있을 때 접하는 제2 측벽(32b) 부정 자세(X)에 있는 워크 W가 제1 주로(31)로부터 낙하할 때 자세 변경되어 저면 W3이 접하는 제2 저벽(32a)을 갖고, 정상 자세(N)에 있는 워크 W를 공급처 R로 반송하는 제2 주로(32)와, 제2 저벽(32a)에 저면 W3이 접하고 있는 워크 W를 제2 주로(32)로부터 저류부(2)에 안내하는 제3 주로(33)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ponent feeder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first main body 31 having the first bottom wall 31a having the gradually narrower width dimension and the bottom W3 of the work W dropped from the first main body 31, The second sidewall 32b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wall W3 when the work W in the unstable posture X falls from the first main body 31 when the work W is in the normal posture N to be conveyed to the rear wall R, A second main 32 having a first bottom wall 32a and carrying a workpiece W in a normal position N to a supply source R and a second workpiece W having a bottom W3 in contact with the second bottom wall 32a, And a third main body 33 for guiding from the first main body 3 to the storage portion 2.

이와 같은 구성이면, 제2 주로(32)에 워크 W가 도달할 때는 적절히 자세 변경이 이루어짐으로써, 저면 W3이 제2 측벽(32b) 또는 제2 저벽(32a) 중 어느 하나에 접한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저벽(32a)에 워크 W가 도달할 때는 부정 자세(X)에 있는 워크 W의 비율을 크게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종래이면 부정 자세(X)에 있는 워크 W는 에어 등에 의하여 반송로(3)로부터 제외한다는 바와 같이, 워크 W에 대하여 큰 동작이나 충격을 강요하고 있었던 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동작이나 충격을 회피하면서, 워크 W를 평행한 주로에 낙하시킨다는 작은 동작만에 의하여 워크 W의 자세 변경을 실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반송로(3)가 짧게 설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워크 W를 정렬시켜 공급 효율을 높게 하면서, 반송 중인 워크 W의 품질의 저하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는 부품 피더가 실현되어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work W reaches the second main body 32, the attitude is appropriately changed so that the bottom W3 can be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second side wall 32b or the second bottom wall 32a have. As a result, when the work W reaches the second bottom wall 32a, the ratio of the work W in the unstable posture X can be greatly reduced. The work W in the undefined posture X is forced from the conveying path 3 by air or the like so as to cause a large motion or impact on the work W. In this embodiment, The attitude change of the work W is realized by only a small operation of dropping the work W to the parallel main body while avoiding it. Thus, a component feeder capable of effectively avoiding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workpiece W during transportation while realizing stable supply of workpieces by aligning the workpieces W in a stable manner despite the fact that the transport path 3 is set short have.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주로(31)를 미가공 영역인 저류부(2)의 외측 테두리의 외측을 주회하도록 설치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반송로(3)의 구성으로부터 큰 사양 변경을 요하지 않고 워크 W를 공급처 R까지보다 빠르게 도달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rst main body 31 is provided so as to circulate outside the outer edge of the storage section 2 which is an unprocessed area,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transport path 3 is not required to be changed, W can reach the source R more quickly.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호퍼 H로부터 투입된 워크 W가 360° 주회할 때까지의 위치에 자세 변경부(34)를 설치함으로써, 요보호면 W6이 접지해 버린 부정 자세(X)에 있는 워크 W의 자세를 빠르게 변경시킬 수 있어, 요보호면 W6의 보호에 한층 더 기여하게 하고 있다.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by providing the posture changing portion 34 at a position until the work W entered from the hopper H revolves around 360 degrees, the posture changing portion 34 is provided in the posture changing portion 34, The posture can be changed quickly, contributing further to the protection of the yaw protection surface W6.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저벽(32a)을, 제1 저벽(31a)에 저면 W3을 접하게 한 자세에 있는 워크 W의 낙하 시에 정상 자세(N)로 자세 변경시킬 수 있는 낙차(36)를 두고 형성된 것으로 하고, 정상 자세(N)에 있는 워크 W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제1 주로(31)로부터 제2 주로(32)에 워크 W를 낙하시키기 위한 자세 유지부(35)를 설치함으로써, 제1 주로(31)로부터 제2 주로(32)에 이르는 워크 W가 더 많은 비율로 확실히 정상 자세(N)로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bottom wall 32a is provided with a drop 36 which can be changed in attitude N in the normal posture N when the work W is in a posture in which the bottom W3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ottom wall 31a, By providing the posture maintaining section 35 for dropping the work W from the first main body 31 to the second main body 32 while maintaining the posture of the workpiece W in the normal posture N, The work W from the first main body 31 to the second main body 32 is reliably brought to the normal attitude N in a larger ratio.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저벽(31a)과 제2 저벽(32a) 사이에 형성되는 낙차(36)의 치수를 워크 W의 저면 W3의 외형 치수보다도 크도록 함으로써, 부정 자세(X)에 있는 워크 W를 더 확실히 부정 자세(X) 이외의 자세로 자세 변경시킬 수 있도록 워크 W를 낙하시키고 있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making the dimension of the drop 36 formed between the first bottom wall 31a and the second bottom wall 32a larger than the outer dimension of the bottom W3 of the work W, The work W is dropped so that the work W can be positively changed to a posture other than the incorrect posture (X).

그리고 본 발명에 이러한 부품 피더는, 워크 W가, 저면 W3의 반대측에 형상을 팽출시켜 형성한 팽출면인 요보호면 W6을 갖는 것이며, 저면 W3이 대략 정사각형을 이루는 것에 대하여 워크 W의 낙하에 의한 자세 변경을 행함으로써, 요보호면 W6의 보호를 간소한 구성으로 재촉하면서 더 유효하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요보호면 W6에 있는 렌즈 W9를 유효하게 보호하면서 워크 W를 안정적으로 반송시키고 있다.The component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urine protection surface W6 which is an expanded surface formed by expanding the shape of the work W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ttom surface W3. The bottom surface W3 is substantially square, By changing the posture, it is possible to exert more effective effects while urging the protection of the urine protection surface W6 to a simple configuration.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ork W is stably transported while effectively protecting the lens W9 on the urine protection surface W6.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저류부를, 워크에 대하여 전혀 자세 변경을 행하지 않는 미가공 영역으로 설정하고, 공급처에 이르기까지 위치 결정된 반송로에 제1 주로, 제2 주로 및 제3 주로를 구성했지만, 물론 저류부의 일부에 이들 제1 주로, 제2 주로 및 제3 주로를 구성해도 된다. 달리 말하면, 반송로에 이르기까지에 모든 워크의 저면이 접지하고 있는 형태여도 된다. 단, 이러한 형태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저류부에 있어서 모든 워크를 빠짐없이 제1 주로에 도달시키기 위한 각별한 구성이 필요해진다. [0051]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torage section is set as an unprocessed area which is not subjected to attitude change at all to the workpiece,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main points are configured in the transport path positioned until reaching the supply destina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main parts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storage part. In other words, the bottom of all the workpieces may be grounded until reaching the carrying path. However, in order to apply this form, it is necessary to have a specific structure for reaching the first main body of all the work in the storage portion.

그 외의 구성도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Other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2: 미가공 영역(저류부)
31: 제1 주로
31a: 제1 저벽
31b: 제1 측벽
32: 제2 주로
32a: 제2 저벽
32b: 제2 측벽
33: 제3 주로
33a: 안내면
34: 자세 변경부
35: 자세 유지부
36: 낙차
W: 워크
W3: 저면
W6: 팽출면(요보호면)
W9: 렌즈
N: 정상 자세
X: 부정 자세
H: 호퍼
R: 공급처
2: Unprocessed area (storage part)
31: First week
31a: first bottom wall
31b: first side wall
32: Second week
32a: second bottom wall
32b: second side wall
33: Third week
33a:
34:
35:
36: Fallout
W: Walk
W3: The bottom
W6: Expanded surface (Protective surface)
W9: Lens
N: Normal posture
X: Negative posture
H: Hopper
R: Supply source

Claims (7)

평면에서 보아 개략 원형을 이루는 미가공 영역으로부터 워크를 주회시키면서 상방으로 반송하고, 워크를 어느 한 개소에서 하방에 낙하시키기 위하여 폭 치수를 점차 좁게 형성한 제1 저벽을 갖는 제1 주로와,
이 제1 주로로부터 낙하한 워크의 저면이 공급처로 반송해야 하는 정상 자세에 있을 때 접하는 제2 측벽, 및 상기 저면이 어느 면에도 접하고 있지 않은 부정 자세에 있는 상기 워크가 상기 제1 주로로부터 낙하할 때 자세 변경되어 상기 저면이 접하는 제2 저벽을 갖고, 상기 정상 자세에 있는 상기 워크를 상기 공급처로 반송하는 제2 주로와,
상기 제2 저벽에 상기 저면이 접하고 있는 상기 워크를 상기 제2 주로로부터 상기 미가공 영역에 안내하는 제3 주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피더.
A first main body having a first bottom wall having a width gradually reduced in width to allow the workpiece to be transported upwardly from an uncut area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in plan view and falling downward at a certain position,
A second sidewall which abuts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dropped from the first main body is in a normal posture in which it should be conveyed to the supply source and a second sidewall that falls from the first main body in a wrong postur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not in contact with any surface A second main body having a second bottom wall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changed in posture and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a third main body for guiding the work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o the second bottom wall from the second main body to the raw area
And a component feeder for feeding the component fee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로가 상기 미가공 영역의 외측 테두리의 외측을 주회하고 있는, 부품 피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ain body is wrapped around an outer edge of the raw are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가공 영역에 상기 워크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를 갖는 것이고, 상기 제1 주로를 상기 부정 자세로 반송되고 있는 상기 워크를 자세 변경시키는 개소가, 상기 호퍼로부터 투입된 상기 워크가 360° 주회할 때까지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부품 피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portion for changing the attitude of the workpiece being transported in the unstable posture of the first main body is a portion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workpiece fed from the hopper The component feeder being formed in the posi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벽이, 상기 제1 저벽에 저면을 접하게 한 자세에 있는 상기 워크의 낙하 시에 상기 정상 자세로 자세 변경시킬 수 있는 낙차를 두고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1 주로가, 상기 정상 자세에 있는 상기 워크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주로에 상기 워크를 낙하시키기 위한 자세 유지부를 갖고 있는, 부품 피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cond bottom wall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change posture in the normal posture at the time of falling of the work in a postur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ottom wall,
Wherein the first main body has an attitude maintaining portion for dropping the work on the second main body while maintaining the attitude of the work in the normal attitu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벽과 상기 제2 저벽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낙차의 치수가 상기 워크의 상기 저면의 외형 치수보다도 큰, 부품 피더.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dimension of the dropout formed between the first bottom wall and the second bottom wall is larger than an outer dimens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가, 상기 저면의 반대측에 형상을 팽출시켜 형성한 팽출면을 갖는 것이고,
상기 저면이 대략 정사각형을 이루는, 부품 피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work has a bulging surface formed by bulging a shap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bottom surface is substantially squa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면이, 부분 구면형으로 팽출된 광학 기계 부품을 구성하기 위한 렌즈인, 부품 피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bulging surface is a lens for constituting an optical mechanical part bulged into a partially spherical shape.
KR1020160148651A 2015-12-10 2016-11-09 Parts feeder KR1026160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41457 2015-12-10
JP2015241457A JP6593142B2 (en) 2015-12-10 2015-12-10 Parts fee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142A true KR20170069142A (en) 2017-06-20
KR102616090B1 KR102616090B1 (en) 2023-12-21

Family

ID=59058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651A KR102616090B1 (en) 2015-12-10 2016-11-09 Parts feed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93142B2 (en)
KR (1) KR102616090B1 (en)
CN (1) CN106865167B (en)
TW (1) TWI694961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231B1 (en) 2023-01-25 2023-09-15 (주)세진에스엠티 Parts Feed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5044B (en) * 2017-03-21 2019-07-26 北京领邦智能装备股份公司 Vibration feeding device
CN107891698B (en) * 2017-11-09 2019-10-01 泰州文杰数控设备有限公司 A kind of point boring device that can improve point drilling speed degree
JP7360926B2 (en) * 2019-12-16 2023-10-13 日特コーセイ株式会社 Parts feeder hopper and parts feeder equipped with i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5511A (en) * 1988-12-27 1990-07-06 Shinko Electric Co Ltd Parts transfer device in vibrating parts feeder
JP2508714Y2 (en) * 1989-06-07 1996-08-28 神鋼電機株式会社 Vibration control device for rubber products
JP2000264431A (en) * 1999-03-18 2000-09-26 Ntn Corp Micro component feeder
JP2000335735A (en) * 1999-05-28 2000-12-05 Nittoku Eng Co Ltd Supply device for parts
JP2001335142A (en) * 2000-05-23 2001-12-04 Shinko Electric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arrying parts in order
WO2009150960A1 (en) * 2008-06-09 2009-12-17 第一実業ビスウィル株式会社 Aligning and feeding device
JP2012066894A (en) * 2010-09-22 2012-04-05 Daiichi Jitsugyo Viswill Co Ltd Aligning and feeding device
JP2013173611A (en) 2012-02-27 2013-09-05 Sinfonia Technology Co Ltd Workpiece feed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5971A (en) * 1952-08-21 1955-12-06 Northern Electric Co Device for feeding and orienting articles
JPS63180618A (en) * 1987-01-20 1988-07-25 Shinko Electric Co Ltd Vibration type part feed device
JPH0183719U (en) * 1987-11-20 1989-06-05
JPH02225207A (en) * 1989-02-23 1990-09-07 Toko Inc Automatic supply device of chip parts
JP3269952B2 (en) * 1995-10-30 2002-04-02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Parts posture holding feeder
JP2001114412A (en) * 1999-10-15 2001-04-24 Shinko Electric Co Ltd Vibrating parts feeder
JP4005530B2 (en) * 2003-04-07 2007-11-07 株式会社小寺電子製作所 Parts feeder and terminal crimping device
CN101905800B (en) * 2009-06-08 2014-11-12 花王株式会社 Article conveying device
CN201534702U (en) * 2009-06-19 2010-07-28 苏锦波 Water tap valve core silica gel pad vibration collator
KR101989625B1 (en) * 2011-09-06 2019-06-14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Apparatus for aligning and conveying work
JP5904029B2 (en) * 2011-09-06 2016-04-13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Work aligning and conveying device
JP2013086907A (en) * 2011-10-17 2013-05-13 Sinfonia Technology Co Ltd Part receiving vessel of vibration part feeder
TW201414652A (en) * 2012-10-01 2014-04-16 Boltun Corp High speed direction selection output machine for nuts
CN204549216U (en) * 2015-04-29 2015-08-12 福建省将乐县长兴电子有限公司 Long lead crystal oscillator detector vibrating disk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5511A (en) * 1988-12-27 1990-07-06 Shinko Electric Co Ltd Parts transfer device in vibrating parts feeder
JP2508714Y2 (en) * 1989-06-07 1996-08-28 神鋼電機株式会社 Vibration control device for rubber products
JP2000264431A (en) * 1999-03-18 2000-09-26 Ntn Corp Micro component feeder
JP2000335735A (en) * 1999-05-28 2000-12-05 Nittoku Eng Co Ltd Supply device for parts
JP2001335142A (en) * 2000-05-23 2001-12-04 Shinko Electric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arrying parts in order
WO2009150960A1 (en) * 2008-06-09 2009-12-17 第一実業ビスウィル株式会社 Aligning and feeding device
JP2012066894A (en) * 2010-09-22 2012-04-05 Daiichi Jitsugyo Viswill Co Ltd Aligning and feeding device
JP2013173611A (en) 2012-02-27 2013-09-05 Sinfonia Technology Co Ltd Workpiece feed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231B1 (en) 2023-01-25 2023-09-15 (주)세진에스엠티 Parts Fee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090B1 (en) 2023-12-21
CN106865167B (en) 2020-01-31
CN106865167A (en) 2017-06-20
JP2017105606A (en) 2017-06-15
TWI694961B (en) 2020-06-01
JP6593142B2 (en) 2019-10-23
TW201720734A (en)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9142A (en) Parts feeder
JP5920456B2 (en)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rocessed product
KR102252839B1 (en) Plate-shaped object carrying device and processing device
KR20160087350A (en) Conveyance apparatus
JP2008179466A (en) Tablet carrying device
TWI604518B (en) Substrate separation apparatus
JP2008260594A (en) Part conveying device
TW201607866A (en) Vibration parts feeder
JP7344656B2 (en) Conveyance device
JP2018048012A (en) Aligning and conveying device
JP6016101B2 (en) Parts feeder
JP2007031131A (en) Work aligning supplying device
JP4915168B2 (en) Parts supply apparatus and track adjustment method
JP6579929B2 (en) Processing equipment
JP6482933B2 (en) Alignment device and alignment / conveyance device
KR20170113189A (en) Handling method of a package substrate
JP2020047900A (en) Transport unit and transport method
TWI833868B (en) bowl feeder
JP5804351B2 (en) Vibration feeder and trough
JP5802083B2 (en) Alignment and transfer device for workpieces
JP2007238283A (en) Component supply device
JP2008156025A (en) Part supply device
JP5168622B2 (en) Parts supply device
JP2005212908A (en) Conveyor belt
JP2020164324A (en) Part fee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