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169A - Smart 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rising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Smart 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rising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169A
KR20170065169A KR1020150171278A KR20150171278A KR20170065169A KR 20170065169 A KR20170065169 A KR 20170065169A KR 1020150171278 A KR1020150171278 A KR 1020150171278A KR 20150171278 A KR20150171278 A KR 20150171278A KR 20170065169 A KR20170065169 A KR 20170065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leep state
body information
smar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2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승진
Original Assignee
오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진 filed Critical 오승진
Priority to KR1020150171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5169A/en
Publication of KR20170065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1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05B37/022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알람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되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기기(100), 상기 스마트기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200), 상기 판단부(200)가 판단한 사용자의 수면상태에 따라 조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기상을 유도하는 조명부(300) 및 상기 판단부(200)가 판단한 사용자의 수면상태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기상을 유도하는 음향출력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알람장치를 이용한 기상방법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측정하는 스마트기기(10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전송받는 신체정보 전송단계(S10), 상기 신체정보 전송단계(S10)에서 전송받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이용해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렘(REM, Rapid Eye Movement)수면 또는 비렘(Non-REM)수면으로 판단하는 수면상태 판단단계(S20) 및 상기 수면상태 판단단계(S20)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수면상태에 따라 조명을 켠 후 조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음악, 음성 또는 알람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기상을 유도하는 기상유도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mart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device 100 attached to or worn by a user's body to transmit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a user's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smart device 100, An illumination unit 300 for adjusting the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sleep state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00 to guide the user to a weather condition, And an acoustic output unit 400 for outputting sound according to the state to induce user's wakeup.
In addition, the method of using the smart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0) of receiving user's body information through a smart device (100) for measuring user's body information, a body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A sleep state determination step S20 for determining a sleep state of the user as a REM (Rapid Eye Movement) sleep or a non-REM sleep state us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leep state determining step S20 (S30) for adjusting the illuminance after turning on the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leep state determined by the user, or outputting music, voice, or alarm sound to guide the user's weather.

Description

스마트 알람장치 및 스마트 알람장치를 이용한 기상 방법{Smart 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rising using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alarm apparatus and a smart alarm apparatus,

본 발명은 스마트 알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사용자의 수면패턴에 따라 알람방법을 달리하여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기상을 유도할 수 있는 스마트 알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alarm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alarm device capable of inducing a natural weather of a user by changing an alarm method according to a user's sleep pattern.

수면은 사람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질 좋은 수면을 잘 하면 몸의 피로가 쉽게 풀리고, 질 나쁜 수면을 하면 몸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최대의 적이 된다. 수면은 렘수면과 비렘수면으로 나뉘는데, 렘수면은 얕은수면, 비렘수면은 깊은수면으로 나뉘며, 일반적으로 수면은 렘수면과 비렘수면이 반복되어 나타나게 된다. 최근들어, 이렇게 수면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질 좋은 수면을 위한 각종 제품 및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한국공개특허 제2014-0106090호("자연스런 수면 및 기상 유도 기능을 갖는 스탠드", 2014.09.03., 이하 선행기술 1)에는 자연스런 수면 및 기상 유도 기능을 갖는 스탠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보다 자세히 선행기술 1은, 조도조절을 통해 취침시 조광이 일몰과 동일한 환경을 이루도록 조도를 조절하고, 기상시 주변 조광이 일출과 동일한 환경이 되도록 조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취침 및 기상에 따른 생체리듬을 조절할수 있게 한 자연스런 수면 및 기상 유도 기능을 갖는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 1은 사용자를 수면 및 기상을 유도하는데 있어서 조도를 조절하여 일출 및 일몰 환경을 유도하여 사용자의 생체리듬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수면 및 기상 수단이 빛으로서, 시각 하나만을 사용하여 기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Sleep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people. If you sleep well, you can easily relax your body. If you sleep poorly, it becomes your biggest enemy. The sleep surface is divided into REM and REM. The REM is divided into shallow water, and the BEM is divided into deep water. In general, water is repeatedly shown in REM and BEM. In recent years, as the importance of sleep has increased, various products and technologies for quality sleep have been develope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4-0106090 ("stand having a natural sleep and weather induction function", 2014.09.0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discloses a stand having a natural sleep and weather induction function . More precisely, Prior Art 1 adjusts the illuminance so that the dimming of the sleeping state is the same as that of the sunset by adjusting the illuminance, and adjusts the illuminance so that the ambient dimming becomes the same as the sunrise at the time of the weather, To a stand having natural sleep and weather induction functions. Prior art 1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biorhythm of the user by guiding the sunrise and sunset environment by adjusting the illuminance in inducing the user to sleep and the weather, but the sleep and weather means are l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is lowered.

한국공개특허 제2014-0106090호("자연스런 수면 및 기상 유도 기능을 갖는 스탠드", 2014.09.03.)Korean Patent Laid-Open No. 2014-0106090 ("stand having natural sleep and weather induction function ", 2014.09.0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기상 또는 수면을 유도하는데 있어서, 시각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를 고려하여 자연스러운 기상 또는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스마트 알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air conditioner which can induce a natural weather or a sleep And an alarm devic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알람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되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기기(100), 상기 스마트기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200), 상기 판단부(200)가 판단한 사용자의 수면상태에 따라 조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기상을 유도하는 조명부(300) 및 상기 판단부(200)가 판단한 사용자의 수면상태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기상을 유도하는 음향출력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alarm device including a smart device that is attached to or worn on a user's body and transmits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a user who is transmitted from the smart device, A lighting unit 300 for adjusting the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sleep state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00 to guide the user's weather, And an acoustic output unit (400) for outputting sound according to the sleep state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unit (200) and guiding the user's wakeup.

또한, 상기 음향출력부(400)는 음악, 음성 또는 알람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 400 outputs music, voice, or alarm sound.

또한, 상기 스마트 알람장치는 상기 판단부(200)를 통해 판단된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alarm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500 for transmitting the sleep state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00 to an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는 적어도 뇌파, 혈압, 근전도, 호흡수, 맥박, 체온 및 심전도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ser's body informa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at least EEG, blood pressure, electromyogram, respiratory rate, pulse rate, body temperature, and electrocardiogram.

또한, 상기 조명부(300)는 상기 음향출력부(400)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llumination unit 300 is integrated with the sound output unit 400.

스마트 알람장치를 이용한 기상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측정하는 스마트기기(10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전송받는 신체정보 전송단계(S10), 상기 신체정보 전송단계(S10)에서 전송받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이용해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렘(REM, Rapid Eye Movement)수면 또는 비렘(Non-REM)수면으로 판단하는 수면상태 판단단계(S20) 및 상기 수면상태 판단단계(S20)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수면상태에 따라 조명을 켠 후 조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음악, 음성 또는 알람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기상을 유도하는 기상유도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alarm device includes a body information transmitting step (S10) of receiving body information of a user through a smart device (100) for measuring body information of a user, a step of transmitting a body information of a user A sleep state judgment step (S20) for judging a user's sleep state using a body information as a REM (Rapid Eye Movement) sleep or a non-REM sleep state; and a sleeping state judging step (S30) of adjusting the illuminance after turning on the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r outputting music, voice, or alarm sound to induce user's wakeup.

또한, 상기 기상유도단계(S30)는 사용자의 수면상태가 비렘수면일 경우, 상기 조명의 조도를 미리 정해진 제1기준조도까지 점진적으로 향상시키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음향을 제1기준데시벨의 크기로 출력하여 렘수면으로 유도하는 제1기상유도단계(S31) 및 사용자의 수면상태가 렘수면일 경우 상기 조명을 점등하고, 상기 제1기준조도보다 높은 제2기준조도까지 점진적으로 향상시키거나, 또는 상기 음향출력부에서(400)에서 미리 정해진 음향을 상기 제1기준데시벨보다 높은 제2기준데시벨로 출력하는 제2기상유도단계(S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the sleep state of the user is a non-REM surface level, the step of inducing the temperature (S30) may gradually improve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to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illuminance, or increase the predetermined sound to a size of the first reference decibel (S31) for guiding the light to the REM level if the sleep state of the user is REM, and gradually increasing the second reference illuminance to a second reference illuminance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illuminance, And a second wake-up step (S32) of outputting a predetermined sound in the output unit (400) to a second reference decibel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decibel.

또한, 상기 제1기상유도단계(S31)는 조명을 상기 제1기준조도까지 향상시키거나, 음향을 제1기준데시벨의 크기까지 출력했을 때, 사용자의 수면상태가 비렘수면으로 유지될 경우, 조명을 점멸하거나 음향을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sleep state of the user is maintained at the non-REM level when the illumination is increased to the first reference illuminance or when the sound is output to the first reference decibel size, And the sound is periodically output.

본 발명에 의하면, 조도 및 음향을 서서히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기상 및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s natural weather and water surface by gradually outputting the illuminance and the soun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사용자, 사용자의 보호자 또는 의료진이 실시간이나 또는 별도로 마련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건강관리 및 의료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p state of the user can be confirmed by a user, a guardian of a user, or a medical staff through a database provided separately or in real time, so that the system can be utilized for healthcare and medical activiti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알람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알람장치를 이용한 기상방법의 순서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mart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a method of using a smart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알람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mart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알람장치(10)의 일실시예는, 스마트기기(100), 판단부(200), 조명부(300), 음향출력부(400) 및 통신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n embodiment of the smart alarm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device 100, a determination unit 200, an illumination unit 300, an acoustic output unit 400, and a communication unit 500).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되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별도의 센싱부가 구비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 또는 의류에 적용된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스마트 알람장치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스마트 워치이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웨어러블 기기나 스마트 디바이스가 아닌, 사용자의 신체에 센서가 직접 부착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직접 측정하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100)가 측정하는 상기 생체신호는 뇌파, 혈압, 근전도, 호흡수, 맥박, 체온 및 심전도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일 수 있다.The smart device 100 is attached or worn to the user's body, and transmits the user's body information. The smart device 100 may be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 separate sensing unit, a smart watch or a wearable device applied to clothes. In one embodiment of the smart alarm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the smart device 100 is a smart watch. The smart device 100 may be a method of directly measuring a user's biomedical signal by attaching a sensor directly to a body of a user rather than a wearable device or a smart device. The bio-signal measured by the smart device 100 may be at least one bio-signal selected from brain waves, blood pressure, electromyogram, respiration rate, pulse rate, body temperature and electrocardiogram.

상기 판단부(200)는 상기 스마트기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부(200)는 상기 스마트기기(100)로부터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이동통신망,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전달 받으며, 상기 스마트기기(100)가 측정한 뇌파, 혈압, 근전도, 호흡수, 맥박, 체온 및 심전도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깊은 수면인 렘(REM, Rapid Eye Movement)수면을 하고 있는지, 비렘(Non-REM)수면을 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수면의 종류는 크게 상기한 바와 같은 렘수면과 비렘수면으로 나누어지는데, 렘수면은 일반적으로 얕은수면, 비렘수면의 경우 깊은수면이며, 비렘수면의 경우 1단계에서 4단계로 구분된다. 비렘수면의 경우 단계 1단계가 가장 얕은수면, 4단계가 깊은 수면으로, 특히 3단계 또는 4단계의 수면은 깨우기가 힘들고 깨우는데 오래 걸리게 된다.The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the sleep state of the user through the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smart device 100. [ The determination unit 200 receives user's body information from the smart device 1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Zigbee, Bluetooth,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Wi-fi in real time, (Rapid Eye Movement) sleep by the user through at least one or more biological signals selected from brain waves, blood pressure, electromyogram, respiratory rate, pulse, body temperature and electrocardiogram measured by the user 100, (Non-REM) sleep. The type of sleep is largely divided into REM and non-REM as mentioned above. REM is generally shallow water, deep sleep in the case of non-REM, and non-REM in the first to fourth stages. In the case of non-REM sleep, stage 1 is the shallowest and sleeping 4 is deep, especially in the third or fourth stage, which is difficult to wake up and takes a long time to awaken.

수면은 갑자기 깊이 잠들었다가 갑자기 깨는 것이 아닌 일정한 단계와 이 단계들이 반복되는 데, 일반적으로 렘수면과 비렘수면이 반복되게 되며, 렘수면을 할 때와 비렘수면을 할 때 상기 스마트기기(100)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신체정보의 특성은 하기 표 1과 같다.The sleep surface suddenly falls asleep but does not suddenly wake up, but a certain level and these steps are repeated. In general, the REM level and the REM level are repeated. When the REM level and the REM level are measu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body information are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렘수면의 경우, 뇌가 일하는 수면으로 실제로 렘수면 때 뇌파를 보면 깨어있을 때의 뇌파랑 상당히 비슷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렘수면은 얕은 수면으로 비교적 사용자를 기상 유도하기가 쉬워지고, 반대로 비렘수면, 특히 3단계 및 4단계 수면은 깊은 수면으로 사용자를 기상 유도하기가 어려워진다.In the case of REM sleeping, the sleeping surface of the brain is actually quite similar to that of the brain when awake when looking at EEG when actually sleeping.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REM level is relatively shallower to induce the user to wake up relatively. On the contrary, the REM sleep level, especially the third and fourth stages, becomes difficult to induce the user to the deep sleep.

상기 판단부(200)가 판단한 사용자의 수면상태는, 후술할 상기 조명부(300) 및 음향출력부(400)의 작동의 기준이 되며, 상기 판단부(200)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수면상태는, 사용자 개개인의 수면시간 및 기상시간을 측정하고, 사용날짜 각각에 이 정보가 저장되어 별도의 수면 및 기상 데이터베이스로 활용 가능하다. 상기 수면 및 기상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의 수면 사이클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며, 후술할 상기 조명부(300) 및 음향출력부(400) 작동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200)가 판단한 사용자의 수면상태는 시간대별로 기록될 것이므로, 이 또한 상기 수면 및 기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The sleep state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00 is a reference of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unit 300 and the sound output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Each person's sleep time and weather time are measured and this information is stored for each date of use and can be used as a separate sleep and weather database. The sleep and weather database helps to understand the sleep cycle of the user and can be a reference for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unit 300 and the sound output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The sleep state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00 may be stored in the sleep and weather database since the sleep state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00 will be recorded in the time zone.

상기 판단부(200)에서 전송받는 정보는 상기 스마트기기(100)에서 전송받는 사용자의 신체정보 뿐만 아니라, 날씨정보일 수 도 있다. 그날의 날씨는 온도, 습도 및 기상변화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수면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판단부(200)에서는 온도, 습도 및 기상변화를 참고로 하여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파악한다.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termination unit 200 may be weather information as well as body information of a user to be transmitted from the smart device 100. The weather of the day includes temperature, humidity, and weather changes, which is a factor affecting the user's sleep state. Therefore, the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the sleep state of the user with reference to temperature, humidity, and weather change.

상기 조명부(300)는 상기 판단부(200)가 판단한 사용자의 수면상태에 따라 조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기상을 유도한다. 실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수면관련 제품 중 수면안대가 유통되고, 많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잠을 잘 때 조명을 끄거나 수면등과 같은 미등을 켜고 잠을 자듯이, 수면에 있어서 시각, 특히 빛은 중요한 요소이다. 상기 조명부(300)는 상기 판단부(200)가 파악한 사용자의 수면상태에 따라, 조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단계적인 기상을 유도한다. 즉, 깊은 수면인 비렘수면에서 렘수면으로 유도하고, 깨우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보다 자세한 실시예는, 스마트 알람장치를 이용한 기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때, 함께 후술한다.The illumination unit 300 adjusts the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sleep state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00 to guide the user's weather. Among sleep-related products commonly used in the real world, the sleeping eye is circulated, and in many cases, the sleep, the light, especially the light, is an important factor to be. The illumination unit 300 adjusts the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sleep state of the user, which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00, to guide the user's stepwise weather. In other words, it uses a method of inducing and awakening from a deep sleep to a REM level. A more detail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hen describing a method of using a smart alarm device.

상기 음향출력부(400)는 상기 판단부(200)가 판단한 사용자의 수면상태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기상을 유도한다. 상기 음향출력부(400)에는 별도의 USB, SD card 또는 기타 저장장치의 데이터를 입력 가능한 포트가 구비되어, 상기 USB, SD card 또는 기타 저장장치를 상기 포트에 삽입하고, 그 안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음악 또는 알람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출력부(400)에 별도의 녹음기능이 구비되어, 출력하는 음향을 직접 녹음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The sound output unit 400 outputs sound according to the sleep state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00 to guide the user's weather. The audio output unit 400 is provided with a port through which data of a separate USB, SD card or other storage device can be input. The USB, SD card or other storage device is inserted into the port, , Music or alarm sound can be output.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ound output unit 4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recording function to directly record sound to be output.

상기 음향출력부(400)는 상기 조명부(300)와 마찬가지로 출력하는 음향의 크기, 종류 등을 상기 판단부(200)가 판단한 사용자의 수면상태에 따라 달리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조명부(300)와 마찬가지로 보다 자세한 실시예는, 스마트 알람장치를 이용한 기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때, 함께 후술한다. The sound output unit 400 can output the size and type of the sound to be outpu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leep state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00 as in the case of the illumination unit 300, Similarly, a more detail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hen describing a method of using a smart alarm device.

상기 통신부(500)는 상기 판단부(200)를 통해 판단된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외부의 기기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500)가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은 사용자가 환자, 장애인, 고령자 또는 아이와 같이 보살핌이 필요한 경우 치료목적 또는 보살피는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판단부(200)를 통해 판단된 사용자의 수면상태는 상기 사용자의 종류에 따라 의료진 또는 보호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500 transmits the sleep state of the user determined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200 to an external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500 transmits the sleep state of the user to an external device in order to use the device for a therapeutic purpose or caring when a user needs care such as a patient, a disabled person, an elderly person, or a child. The sleep state of the user determined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200 may be transmitted to the medical staff or the guardia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user.

상술한 상기 스마트기기(100), 판단부(200), 조명부(300), 음향출력부(400) 및 통신부(500)는 사용자의 기상에 초점을 맞췄지만, 이와 반대로 사용자의 숙면을 위해 작동할 수도 있다.
The smart device 100, the determination unit 200, the illumination unit 300, the sound output unit 400, and the communication unit 500 described above focus on the weather of the user, but conversely, It is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알람장치를 이용한 기상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smart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알람장치를 이용한 기상방법은, 신체정보 전송단계(S10), 수면상태 판단단계(S20) 및 기상유도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method of using a smart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0), a sleep state determination step (S20), and a weather induction step (S30).

도 2에 도시된 상기 신체정보 전송단계(S10)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측정하는 스마트기기(10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전송받는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알람장치를 이용한 기상방법은 상술한 스마트 알람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상기 신체정보 전송단계(S10)를 수행하는 주체는 스마트기기(100)이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기기(100)가 전송받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는 상술했듯 적어도 뇌파, 혈압, 근전도, 호흡수, 맥박, 체온 및 심전도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이다.The body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 10 shown in FIG. 2 receives the user's body information through the smart device 100 that measures the user's body information. Since the method of using the smart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above-described smart alarm device, the subject performing the physical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0) is the smart device 100. [ Accordingly, the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to which the smart device 100 is transmitted is one or more bio-signals selected from at least EEG, blood pressure, electromyogram, respiratory rate, pulse, body temperature and electrocardiogram.

도 2에 도시된 상기 수면상태 판단단계(S20)는 상기 신체정보 전송단계(S10)에서 전송받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이용해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렘(REM, Rapid Eye Movement)수면 또는 비렘(Non-REM)수면으로 판단한다. 상기 수면상태 판단단계(S20)에서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생체신호의 종류를 측정하고, 상기 표 1에 개시된 특성에 따라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파악한다.The sleep state determination step S20 shown in FIG. 2 is a step of determining a sleep state of a user by using a body information of a user transmitted in the body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lO) to a sleep (REM) REM). Determining the sleep state of the user in the sleep state determination step (S20) measures the type of the bio-signal and grasps the sleep stat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described in Table 1.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상유도단계(S30)는 상기 수면상태 판단단계(S20)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수면상태에 따라 조명을 켠 후 조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음악, 음성 또는 알람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기상을 유도하는 단계로, 제1기상유도단계(S31) 및 제2기상유도단계(S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상유도단계(S30)에서 켜는 조명은 상기 조명부(300)이며, 음향을 출력하는 것은 상기 음향출력부(400)이다.As shown in FIG. 2, the wake-up step S30 may be performed by adjusting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sleep state of the user determined in the sleep state determination step S20, or outputting music, voice or alarm sound Thereby inducing a user's meteorological operation, including a first meteorological induction step S31 and a second meteorological induction step S32. The illumination turned on in the vapor phase induction step S30 is the illumination unit 300 and the sound output unit 400 is the sound output unit.

상기 제1기상유도단계(S31)는 사용자의 수면상태가 비렘수면일 경우, 상기 조명의 조도를 미리 정해진 제1기준조도까지 점진적으로 향상시키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음향을 제1기준데시벨로 출력한다. 즉, 상기 제1기상유도단계(S31)는 사용자의 수면상태가 비렘수면 즉, 깊은 수면상태일 경우, 상기 조명부(300)의 조도를 서서히 증가시키는 식으로 수면상태를 깊은 수면에서 얕은 수면(렘수면)으로 끌어올리는 단계이다. 상기 제1기상유도단계(S31)에서 증가시키는 조도의 최대치는 미리 정해진 상기 제1기준조도이고, 이는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기준조도는 10룩스일 수 있다.If the sleep state of the user is a non-REM level, the first wake-up step S31 gradually increases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to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illuminance, or outputs a predetermined sound to the first reference illuminance . That is, when the user's sleep state is a non-REM level, i.e., a deep sleep state, the first wake-up induction step S31 gradually increases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unit 300 so that the sleep state is changed from a deep sleep to a shallow sleep ). The maximum value of the illuminance to be increased in the first meteorological induction step (S31) is the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illuminance, which can be obtained experimentally, and the first reference illuminanc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0 lux .

상기 제1기상유도단계(S31)에서 깊은 수면에서 얕은 수면으로 유도하는 주체는 상기 조명부(300)가 아닌 상기 음향출력부(400)가 될 수 있으며, 이때는 음향을 출력하여 이 음향 또한 서서히 음향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서서히 증가하는 음향의 크기 최대치는 미리 정해진 상기 제1기준데시벨이며, 이때, 상기 음향출력부(4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비교적 잔잔한 클래식, 재즈, 뉴에이지와 같은 음악이나 비오는 소리와 같은 백색소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1기준데시벨은 40데시벨일 수 있다.In the first vapor-phase induction step S31, the main body for guiding from the deep water to the shallow water may be the acoustic output unit 400 instead of the illumination unit 300. In this case, the acoustic output unit 400 outputs sound, It uses a method of increasing the size.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400 may be white noise such as music or rainy sound such as a classical, jazz, or new-age sound that is relatively calm. In this case, . The first reference decibel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40 decibels.

상기 조명부(300)와 음향출력부(400)는 각각 단독으로 작동했을 때, 사용자의 수면상태가 변하지 않거나 비교적 덜 얕은 수면으로 유도되었을 때,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300)와 음향출력부(400)가 작동하여도 사용자의 수면상태가 비렘수면으로 유지 될 경우, 상기 조명부(300) 및 음향출력부(400)의 작동을 반복하여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렘수면 상태로 유도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부(300)는 조명을 점멸하거나, 상기 음향출력부(400)는 음향을 켰다가 끄는 것을 반복하는 방식이다.The illuminating unit 300 and the sound output unit 400 can be used together when they are operated singly, when the user's sleeping state is not changed or is led to a relatively shallow water surface. If the sleep state of the user is maintained at a non-REM level even if the illumination unit 300 and the sound output unit 400 operate, the operations of the illumination unit 300 and the sound output unit 400 are repeated, State to a REM surface state. That is, the illumination unit 300 may blink the illumination, and the sound output unit 400 may repeat turning on and off the sound.

상기 제1기상유도단계(S31)는 사용자의 수면상태가 비렘수면일 때 수행되는 단계로, 사용자의 수면상태가 렘수면 상태일 경우에는 수행되지 않고, 후술할 상기 제2기상유도단계(S32)가 바로 수행될 수 있다.The first weather-inducing step S31 is performed when the user's sleeping state is a non-REM surface, and is not performed when the user's sleeping state is a REM surface state, and the second weather-inducing step S32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상기 제2기상유도단계(S32)는 사용자의 수면상태가 렘수면일 경우 상기 조명을 점등하고, 상기 제1기준조도보다 높은 제2기준조도까지 점진적으로 향상시키거나, 또는 상기 음향출력부에서(400)에서 미리 정해진 음향을 상기 제1기준데시벨보다 높은 제2기준데시벨로 출력한다. 상기 제2기상유도단계(S32)의 목적은 얕은 수면상태인 사용자를 완전하게 기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기상유도단계(S32)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기상유도단계(S3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며, 상기 제2기상유도단계(S32)의 주체 또한 상기 조명부(300) 또는 음향출력부(400)로 동일하다.The second wake-up step S32 may illuminate the illumination if the sleep state of the user is REM level and gradually improve the illumination to a second reference illumination level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illumination, ) To a second reference decibel that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decibel. The second meteorological induction step S32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first meteorological induction step S32, except that the second meteorological induction step S32 is for completely raising a user in a shallow sleep state. And the subject of the second vapor phase induction step S32 is also the same as the illumination unit 300 or the sound output unit 400. [

상기 제2기상유도단계(S32)와 제1기상유도단계(S31)가 다른 점은, 상기 조명부(300)가 조절하는 조도의 최대치가 상기 제2기준조도로, 상기 제1기준조도보다 조도가 높은 것과, 상기 음향출력부(400)에서 출력하는 음향의 크기 최대치인 상기 제2기준데시벨이 상기 제1기준데시벨보다 높은 것 이며, 상기 음향출력부(400)에서 출력하는 음향이 음악일 경우, 댄스, 힙합과 같은 빠른 음악 또는 시끄러운 음향인 점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2기준조도는 20룩스일 수 있고, 상기 제2기준데시벨은 80데시벨일 수 있다. 상기한 제1기준조도, 제2기준도조, 제1기준데시벨 및 제2기준데시벨은 임의로 제시하는 것으로써, 상황에 따라 변동 될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vapor phase induction step S32 and the first vapor phase induction step S31 is that the maximum value of the illuminance controlled by the illumination unit 300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illuminance And the second reference decibel which is the maximum magnitud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400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decibel. When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400 is music, Dance, fast music such as hip-hop, or loud sound. The second reference illuminanc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20 lux, and the second reference decibel may be 80 decibels. The first reference illuminance, the second reference illuminance, the first reference decibel, and the second reference decibel may be arbitrarily presented,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상기 제2기상유도단계(S32) 또한 상기 제1기상유도단계(S31)와 마찬가지로 상기 조명부(300)와 음향출력부(400)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In the second vapor phase induction step S32, the illumination unit 300 and the sound output unit 400 may be used together as in the first vapor phase induction step S31.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 알람장치를 이용한 기상 방법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같이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기상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를 응용하여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수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using the smart alarm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the natural weather of the us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but can be applied to the natural sleep of the user by applying it.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스마트 알람장치
100 : 스마트기기
200 : 판단부
300 : 조명부
400 : 음향출력부
500 : 통신부
S10 : 신체정보 전송단계
S20 : 수면상태 판단단계
S30 : 기상유도단계
S31 : 제1기상유도단계
S32 : 제2기상유도단계
10: Smart alarm device
100: Smart devices
200:
300:
400: sound output section
500:
S10: Body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0: sleep state determination step
S30:
S31: first vapor phase induction step
S32: Second phase induction phase

Claims (8)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되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기기(100);
상기 스마트기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200);
상기 판단부(200)가 판단한 사용자의 수면상태에 따라 조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기상을 유도하는 조명부(300); 및
상기 판단부(200)가 판단한 사용자의 수면상태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기상을 유도하는 음향출력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알람장치.
A smart device 100 attached to or worn by a user's body to transmit user's body information;
A determination unit (200) for determining a sleep state of a user through body information of a user transmitted from the smart device (100);
An illumination unit 300 for adjusting the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sleep state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00 to guide the user's weather; And
An acoustic output unit 400 for outputting sound according to the sleep state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00 and guiding the user's wakeup;
And the smart alarm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부(400)는
음악, 음성 또는 알람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알람장치.
The sound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output unit (400)
And outputs music, voice, or alarm sou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알람장치는
상기 판단부(200)를 통해 판단된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알람장치.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smart alarm device
And a communication unit (500) for transmitting the sleep state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200) to an externa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는
적어도 뇌파, 혈압, 근전도, 호흡수, 맥박, 체온 및 심전도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알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er's body information is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brain waves, blood pressure, electromyogram, respiratory rate, pulse, body temperature and electrocardiogra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300)는
상기 음향출력부(400)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알람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llumination unit (300)
And the sound output unit (400).
스마트 알람장치를 이용한 기상 방법으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측정하는 스마트기기(10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전송받는 신체정보 전송단계(S10);
상기 신체정보 전송단계(S10)에서 전송받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이용해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렘(REM, Rapid Eye Movement)수면 또는 비렘(Non-REM)수면으로 판단하는 수면상태 판단단계(S20); 및
상기 수면상태 판단단계(S20)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수면상태에 따라 조명을 켠 후 조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음악, 음성 또는 알람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기상을 유도하는 기상유도단계(S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알람장치를 이용한 기상 방법.
With the smart alarm method,
A body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0) of receiving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smart device (100) measuring the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A sleep state determination step (S20) of determining a sleep state of the user as a sleep (REM) or a bareem (Non-REM) sleep state us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transmitted in the body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0); And
A step S30 for adjusting the illuminance after turning on the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sleep state of the user determined in the sleep state determination step S20, or outputting music, voice, or alarm sound to induce user's weather;
Wherein the smart alarm device comprises a smart alarm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유도단계(S30)는
사용자의 수면상태가 비렘수면일 경우, 상기 조명의 조도를 미리 정해진 제1기준조도까지 점진적으로 향상시키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음향을 제1기준데시벨의 크기로 출력하여 렘수면으로 유도하는 제1기상유도단계(S31) 및
사용자의 수면상태가 렘수면일 경우 상기 조명을 점등하고, 상기 제1기준조도보다 높은 제2기준조도까지 점진적으로 향상시키거나, 또는 상기 음향출력부에서(400)에서 미리 정해진 음향을 상기 제1기준데시벨보다 높은 제2기준데시벨로 출력하는 제2기상유도단계(S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알람장치를 이용한 기상 방법.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 (S30)
A first watt-hour induction method for gradually increasing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to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illuminance when the user's sleep state is a non-REM surface level, 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sound to a level of the first reference decibel, Steps S31 and
The illumination is turned on when the sleep state of the user is the REM level and is gradually increased to a second reference illuminance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illuminance or the predetermined sound is illuminated to the first reference illuminance A second wake-up step (S32) of outputting a second reference decibel,
Wherein the smart alarm device comprises a smart alarm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상유도단계(S31)는
조명을 상기 제1기준조도까지 향상시키거나, 음향을 제1기준데시벨의 크기까지 출력했을 때, 사용자의 수면상태가 비렘수면으로 유지될 경우, 조명을 점멸하거나 음향을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알람장치를 이용한 기상 방법.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step (S31)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leep state of the user is maintained at a non-REM level when the illumination is improved to the first reference illuminance or when the sound is output to the first reference decibel size, the illumination is blinked or the sound is periodically output A method of weathering using a smart alarm device.
KR1020150171278A 2015-12-03 2015-12-03 Smart 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rising using thereof KR201700651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278A KR20170065169A (en) 2015-12-03 2015-12-03 Smart 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rising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278A KR20170065169A (en) 2015-12-03 2015-12-03 Smart 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rising us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169A true KR20170065169A (en) 2017-06-13

Family

ID=5921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278A KR20170065169A (en) 2015-12-03 2015-12-03 Smart 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rising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516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198A (en) * 2019-05-16 2020-11-25 주식회사 엔플러그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elderly people living alone using lighting device based on Io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198A (en) * 2019-05-16 2020-11-25 주식회사 엔플러그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elderly people living alone using lighting device based on I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660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leep management
KR101687321B1 (en) Apparatus for inducing sleep and sleep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EP3138480B1 (en) Method and system to optimize lights and sounds for sleep
US10610153B2 (en) System and method to monitor and assist individual's sleep
US112028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wakefulness
US20190231256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adjusting a user's sleep
KR1021143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ucing sleep based on auditory stimulation
US20140330396A1 (en) Device control system by physiological signals and method thereof
US20200281525A1 (en) Apparatus for sensing
US1164837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leep management
KR101617697B1 (en) Smart pillow having alarm function and alarm system using the same
KR20170065169A (en) Smart 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rising using thereof
JPWO2018147455A1 (en) Wake-up method and device using the same
JP2009082263A (en) Biological rhythm adjustment method and adjusting device
US1017922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nducing sleep
GB2604779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ctive-biofeedback
JP2022176453A (en) Stimulus output system and stimulus output method
NZ75519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leep Management
NZ755198A (en) Methods and systems for sleep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