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417A -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417A
KR20170064417A KR1020150170222A KR20150170222A KR20170064417A KR 20170064417 A KR20170064417 A KR 20170064417A KR 1020150170222 A KR1020150170222 A KR 1020150170222A KR 20150170222 A KR20150170222 A KR 20150170222A KR 20170064417 A KR20170064417 A KR 20170064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ink device
source device
indication mark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근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0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4417A/ko
Publication of KR20170064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와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발견하는 단계; 제1 입력 신호에 반응하여, 컨텐츠 공유 모드를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4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ENTS SHARING OF SOURC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 탭 또는 클릭 등의 간단한 동작만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복수의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의 발달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고 있다. 현재,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TV 등의 여러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컨텐츠를 활용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새로운 디바이스들을 통해 컨텐츠가 활용될 전망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컨텐츠의 종류와 서비스의 다양화에 따라 다른 디바이스와 컨텐츠를 공유하는 경우도 빈번하고 일상적인 일이 되었다.
이와 같이, 각종 디바이스들 상호간의 컨텐츠 공유에 대한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지만, 그것을 충족시키기 위한 환경은 잘 마련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공유하기 위해서는 공유되는 디바이스의 특성에 맞추어 별도의 설정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저장되어 있거나 재생중인 컨텐츠 외에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접속이 가능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다운로드 받은 뒤에 다시 공유하기 위한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디바이스와 다수의 컨텐츠를 보다 간편하고 원활하게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5158(발명의 명칭: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공개일자: 2008년 7월 11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스 디바이스가 터치 또는 탭 등과 같이 직관적이고 감각적인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 또는 컨텐츠의 식별자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공유할 수 있는 소스 디바이스의 간단하고 직관적인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와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발견하는 단계; 제1 입력 신호에 반응하여, 컨텐츠 공유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4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대상이 되는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지시마크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 중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와 공유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와 맞닿거나 겹쳐지는 경우,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 대한 이름, 종류, 생성시점, 가능 전송속도, 사용빈도, 사용자 지정 우선순위, 네트워크 종류, 가능 접속기술, 접속 가능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 상기 싱크 디바이스 각각의 속성 구성요소를 동반하여 추가로 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재생중인 컨텐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접속이 가능한 서버나 디바이스에 저장 또는 재생중인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은 전송 속도, 컨텐츠 종류, 컨텐츠 정보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의 종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와의 접속 가능 여부, 사용자 지정 사항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전송 우선순위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입력 신호는 키 입력, 터치 입력, 제스처 입력, 버튼 입력, 음성 입력, 영상 입력, 센서동작 입력, 외부 신호 입력,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 할 수 있는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소스 디바이스와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발견하는 발견부; 제1 입력 신호에 반응하여, 컨텐츠 공유 모드를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하는 공유모드 설정 및 지시마크 표시부;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부;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 및 제4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는 상기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대상이 되는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지시마크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선택부는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 중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와 공유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는 상기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가 상기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와 맞닿거나 겹쳐지는 경우,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전송 속도, 컨텐츠 종류, 컨텐츠 정보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의 종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와의 접속 가능 여부, 사용자 지정 사항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전송 우선순위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부여하는 우선순위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전송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에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지시마크 형태로 표시함과 동시에 관련 상태 정보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소스 디바이스 사용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보다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 탭 또는 클릭 입력과 같이 직관적이고 감각적인 단순한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함으로써, 결정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고, 별도의 집중력이나 위치 정확도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디바이스가 복수의 컨텐츠 및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함으로써,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가 다양한 컨텐츠들을 한꺼번에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소스 디바이스의 UI(User Interface)의 일례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탐색부(110), 컨텐츠 결정부(120),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130) 및 전송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탐색부(110)는 소스 디바이스와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발견한다.
이때, 상기 탐색부(110)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위치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에 위치하거나 일정한 거리를 벗어난 곳에 위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탐색부(110)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접촉된 상태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발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센싱, 생성, 처리, 저장, 표시,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 디바이스로서, 컴퓨터, 스마트 TV, 스마트폰, 태블릿, 벽걸이형 또는 벽부착형 정보기기, 게임기, 가전장치, 자동차 전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소스 디바이스 및 상기 싱크 디바이스는 stand-alone 디바이스, 휴대형(portable) 디바이스, transportable 디바이스, 벽걸이형 디바이스(hang-on device), 벽부착형 디바이스(wall-mountable device), 웨어러블 디바이스, 임베디드 디바이스, 임플란트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센싱, 생성, 처리, 저장, 표시,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부착형 또는 착용형 디바이스로서, 신체 부착형 또는 신체 착용형, 의복 부착형 또는 의복 휴대형, 이동체 부착형 또는 이동체 착용형, 사물 부착형, 동물체 부착형 또는 동물체 착용형, 식물체 부착형 또는 식물체 착용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베디드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센싱, 생성, 처리, 저장, 표시,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내장형 디바이스로서, 시스템 내장형, 기기 내장형, 장치 내장형, 구조물 내장형, 지형지물 내장형, 사물 내장형, 환경 내장형, 분산 내장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센싱, 생성, 처리, 저장, 표시,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삽입형 디바이스로서, 인체 삽입형, 동물체 삽입형, 식물체 삽입형, 사물체 삽입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결정부(120)는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한다.
상기 컨텐츠 결정부(120)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와 연관된 복수의 컨텐츠를 구성요소로 하는 컨텐츠 리스트 또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한 컨텐츠를 구성요소로 하는 선호 컨텐츠 리스트를 추가적으로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결정부(120)는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리스트 또는 선호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와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리스트 및 상기 선호 컨텐츠 리스트는 이름, 생성시점, 가능 전송속도, 사용빈도, 사용자 지정 우선순위, 네트워크 종류, 컨텐츠 종류, 가능 접속 기술(access technology), 접속 가능 여부, 이외 컨텐츠 프로파일 구성요소와 속성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130)는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한다.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1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구성요소로 하는 싱크 디바이스 리스트 또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한 싱크 디바이스를 구성요소로 하는 선호 싱크 디바이스 리스트를 추가적으로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130)는 상기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싱크 디바이스 리스트 또는 선호 싱크 디바이스 리스트 중에서,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140)는 제4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부(140)는 상기 컨텐츠 결정부(120)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식별자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부(140)는 컨텐츠 식별자도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굳이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재생시키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전송이 이루어지고 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저장, 재생 또는 또 다른 디바이스와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 사이에 무선 AP(access point), 기지국, 중계기, 릴레이, 게이트웨이, 라우터, 교환기, 이외 통신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연결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전송부(140)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동작 또는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 요청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동작은 탭(tab), 플리크(flick), 드래그(drag), 드래그앤 드롭(drag & drop), 스와이프(swipe), 핀치(pinch), 터치앤 홀드(touch & hold), 세이크(shake), 로테이트(rotate), 클릭, 클릭 후 이동, 클릭 후 로테이트, 클릭 후 스크롤, 이외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인식 가능한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외부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 음성 신호에 의한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 영상 인식에 의한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전송부(140)는 상기 전송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식별자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앞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 자체적으로 버튼이나 프롬프트 등이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버튼이나 상기 프롬프트 등을 포함하는 박스 또는 팝업 창 형태와 같은 알림 창이 상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상기 버튼이나 상기 프롬프트 등에 입력 신호를 가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가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부(140)는 유선 통신 또는 전자파 통신을 이용하는 방식의 전송 방법, 광통신을 이용하는 방식의 전송 방법, 초음파를 이용하는 전송 방법, 자기장 통신을 이용하는 전송 방법, 분자 통신을 이용하는 전송 방법, 양자 통신을 이용하는 전송 방법, 오감(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 통신을 이용하는 전송 방법, 뇌파 통신을 이용하는 전송 방법, 생체 통신을 이용하는 전송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4 입력 신호는 키 입력, 터치 입력, 제스처 입력, 버튼 입력, 음성 입력, 영상 입력, 센서동작 입력, 외부 신호 입력,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 할 수 있는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는 단순히 컨텐츠를 공유하는 작업 이외에 다양한 추가적인 컨텐츠 관련 정보 검색, 실시간 SNS 공유, 별도의 인터렉션, 및 현재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재생중인 콘텐츠와 다른 별도의 콘텐츠를 재생 등의 추가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스마트 TV의 통신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검색한 스포츠 중계 컨텐츠를 스마트 TV와 공유하는 경우, 스포츠 중계는 스마트 TV를 통해서 시청하며 스마트폰에서는 여전히 스포츠 관련 검색 포탈에서 다른 검색 작업을 수행하거나 제3의 디바이스와 SNS에서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소스 디바이스의 UI(User Interface)의 일례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200)은 탐색부(210), 공유모드 설정 및 지시마크 표시부(220), 컨텐츠 결정부(230), 전송 우선순위 설정부(240),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250) 및 전송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탐색부(210)는 소스 디바이스(10)와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를 발견한다.
여기서, 상기 탐색부(2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탐색부(1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공유모드 설정 및 지시마크 표시부(220)는 제1 입력 신호에 반응하여, 컨텐츠 공유 모드를 설정한다. 참고로, 상기 제1 입력 신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2 내지 제4 입력 신호와 마찬가지로, 키 입력, 터치 입력, 제스처 입력, 버튼 입력, 음성 입력, 영상 입력, 센서동작 입력, 외부 신호 입력,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 할 수 있는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입력 신호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화면의 특정 영역 또는 임의 영역(전체 화면도 가능), 특정 부분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공유모드 설정 및 지시마크 표시부(220)는 하기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대상이 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유모드 설정 및 지시마크 표시부(220)는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반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에 대응되는 가상의 싱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지시마크를 의미한다.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는 하기에서 후술하고자 하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250)의 결정에 따라, 활성화된 상태 또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는 색깔, 무늬, 크기 등의 차이로 그 상태(활성화/비활성화)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깜박임 여부로 그 상태가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공유모드 설정 및 지시마크 표시부(220)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에 대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사용자의 추가 동작 또는 외부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르거나 환경 설정을 통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20)에 대한 이름, 종류, 생성시점, 가능 전송속도, 사용빈도, 사용자 지정 우선순위, 네트워크 종류, 가능 접속기술, 접속 가능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 싱크 디바이스(20) 각각의 속성 구성요소를 동반하여 추가로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공유모드 설정 및 지시마크 표시부(220)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에서,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가상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나타내는 지시마크로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의 공유 여부에 따라 활성화된 상태 또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에 저장된 컨텐츠,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에 의해 접속이 가능한 서버나 디바이스에 저장 또는 재생중인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의 경우, 상기 공유모드 설정 및 지시마크 표시부(220)는 해당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지시마크(224)로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에 의해 접속이 가능한 서버나 디바이스에 저장 또는 재생중인 컨텐츠의 경우, 상기 공유모드 설정 및 지시마크 표시부(220)는 해당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로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는 정보 또는 데이터 그 자체이거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가공하여 얻어지는 결과물 또는 파생물, 즉 정보 또는 데이터의 이용, 처리, 또는 결합으로 얻어지거나 파생되는 또 다른 정보 또는 데이터, 정보 서비스의 요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는 미디어 컨텐츠, 웹 컨텐츠, 의료 컨텐츠, 모바일 컨텐츠, 사물 컨텐츠, 지리 정보, 게임, 포털,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음악, 정보 데이터, 정보 아이템, 데이터베이스, 정보 플레이어, 미디어 플레이어, 디지털 솔루션, 정보 처리 실행자, 장치 실행자, 장치 구동자, 프로그램, 문서, 정보 객체 등 각종 컨텐츠, 데이터, 웹, 포털, 정보 클라우드, 게임, 실행자, 문서, 정보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식별자는 정보 요소를 포함한 콘텐츠를 구분 또는 식별하거나, 접속을 위하여 사용되는 이름, 식별자, 주소, 접속 방법, 접속 프로토콜을 포함
또한, 상기 컨텐츠 식별자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L(Uniform Resource Locator), URN(Uniform Resource Name), IRI(Internationalized Resource Identifier)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는 하기에서 후술하고자 하는 상기 컨텐츠 결정부(230)의 결정에 따라, 활성화된 상태 또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와 마찬가지로, 색깔, 무늬, 크기 등의 차이로 그 상태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깜박임 여부로 그 상태가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공유모드 설정 및 지시마크 표시부(220)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사용자의 추가 동작 또는 외부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에 가해지거나 환경 설정을 통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이름, 종류, 용량, 생성시점, 사용자 지정 우선순위를 포함한 컨텐츠 및 컨텐츠 식별자의 속성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동반하여 추가로 더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 상기 컨텐츠 지시마크(224) 및 상기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는 아이콘, 버튼, 바, 위젯, 배너, 이외의 표시 개체 또는 마크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1차원 배열, 2차원 배열, 다차원(multi-dimensional) 배열 (홀로그램 포함), 대각선 배열, 원형 배열, 다각형 배열, 랜덤 배열, 표 배열, 폴더(디렉토리, 단계적 배열(트리 구조 등)) 형식, 이외 배열 형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화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화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를 지시마크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디바이스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를 보다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결정부(230)는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한다.
상기 컨텐츠 결정부(230)는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가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된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20)와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로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사용자가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순서에 배열된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를 터치하는 경우, 상기 순서에 배열된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는 테두리가 굵게 변함으로써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텐츠 결정부(230)는 상기 굵은 테두리로 표시된,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순서에 배열된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와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로서 선택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컨텐츠 결정부(230)는 상기 제1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표시 상태에 변화가 없는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를 비활성화된 지시마크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송 우선순위 설정부(240)는 상기 컨텐츠 결정부(230)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전송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전송 우선순위는 전송 속도, 컨텐츠 종류, 컨텐츠 정보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의 종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와의 접속 가능 여부, 사용자 지정 사항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는 상기 전송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는 상기 전송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않고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의 전송 동작은 하기에서 후술하고자 하는 상기 전송부(26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250)는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를 결정한다.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250)는 상기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가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된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20)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로서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250)는 상기 컨텐츠 결정부(230)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공유 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를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사용자가 두 번째, 네 번째 및 다섯 번째 순서에 배열된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를 손가락으로 누르는 경우, 상기 순서에 배열된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는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민무늬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250)는 상기 민무늬로 표시된, 두 번째, 네 번째 및 다섯 번째 순서에 배열된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각각을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싱크 디바이스(20)로서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250)는 상기 제2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표시 상태에 변화가 없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를 비활성화된 지시마크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250)는 상기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화면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와 맞닿거나 겹쳐지는 경우,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20)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로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를 이동하는 방법은 드래그 제스처, 플리크 제스처, 스와이프 제스처, 드래그앤 드롭 제스처, 클릭 후 이동 제스처, 클릭 후 스크롤 제스처, 음성입력, 영상인식, 이외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를 이동시킬 수 있는 신호입력과 동작 중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사용자가 보조 펜을 사용하여 첫 번째 순서에 배열된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는 두 번째 및 네 번째 순서에 배열된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로, 두 번째 순서에 배열된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는 네 번째 순서에 배열된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로, 세 번째 순서에 배열된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는 다섯 번째 순서에 배열된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로 끌어다 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250)는 상기 두 번째, 네 번째 및 다섯 번째 순서에 배열된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 탭 또는 클릭 입력과 같이 직관적이고 감각적인 단순한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결정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고, 별도의 집중력이나 위치 정확도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10)가 복수의 컨텐츠 및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가 다양한 컨텐츠들을 한꺼번에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260)는 제4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부(2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송부(14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입력 신호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입력시킨 설정 모드를 통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에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10)에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탐색부(110)는 소스 디바이스와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발견한다.
다음으로, 단계(420)에서 상기 컨텐츠 결정부(120)는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컨텐츠 결정부(120)는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복수의 컨텐츠를 구성요소로 하는 컨텐츠 리스트 또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한 컨텐츠를 구성요소로 하는 선호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와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430)에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130)는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130)는 상기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구성요소로 하는 싱크 디바이스 리스트 또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한 싱크 디바이스를 구성요소로 하는 선호 싱크 디바이스 리스트 중에서,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440)에서 상기 전송부(140)는 제4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510)에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탐색부(210)는 소스 디바이스(10)와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를 발견한다.
다음으로, 단계(520)에서 상기 공유모드 설정 및 지시마크 표시부(220)는 제1 입력 신호에 반응하여, 컨텐츠 공유 모드를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에 대응되는 가상의 싱크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지시마크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공유모드 설정 및 지시마크 표시부(220)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에서,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에 저장된 컨텐츠,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에 의해 접속이 가능한 서버나 디바이스에 저장 또는 재생중인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530)에서 상기 컨텐츠 결정부(230)는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컨텐츠 결정부(230)는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된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와 공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로서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540)에서 상기 전송 우선순위 설정부(24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전송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 우선순위는 전송 속도, 컨텐츠 종류, 컨텐츠 정보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의 종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와의 접속 가능 여부, 사용자 지정 사항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송부(260)는 상기 전송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550)에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250)는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250)는 상기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가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된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20)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250)는 상기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지시마크(224) 또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226)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10)의 화면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와 맞닿거나 겹쳐지는 경우,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222)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20)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로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560)에서 상기 전송부(260)는 제4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20)로 전송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소스 디바이스
20 : 싱크 디바이스
110, 210 : 탐색부
120, 230 : 컨텐츠 결정부
130, 250 :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
140, 260 : 전송부
220 : 공유모드 설정 및 지시마크 표시부
222 :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
224 : 컨텐츠 지시마크
226 :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
240 : 전송 우선순위 설정부

Claims (13)

  1. 소스 디바이스와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발견하는 단계;
    제1 입력 신호에 반응하여, 컨텐츠 공유 모드를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4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대상이 되는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지시마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 중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와 공유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와 맞닿거나 겹쳐지는 경우,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에 대한 이름, 종류, 생성시점, 가능 전송속도, 사용빈도, 사용자 지정 우선순위, 네트워크 종류, 가능 접속기술, 접속 가능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 상기 싱크 디바이스 각각의 속성 구성요소를 동반하여 추가로 더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재생중인 컨텐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접속이 가능한 서버나 디바이스에 저장 또는 재생중인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전송 속도, 컨텐츠 종류, 컨텐츠 정보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의 종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와의 접속 가능 여부, 사용자 지정 사항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전송 우선순위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부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입력 신호는
    키 입력, 터치 입력, 제스처 입력, 버튼 입력, 음성 입력, 영상 입력, 센서동작 입력, 외부 신호 입력,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 할 수 있는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
  9. 소스 디바이스와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발견하는 탐색부;
    제1 입력 신호에 반응하여, 컨텐츠 공유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 화면에 표시하는 공유모드 설정 및 지시마크 표시부;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결정부;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 및
    제4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는
    상기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대상이 되는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지시마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컨텐츠 결정부는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스 디바이스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 중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와 공유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 결정부는
    상기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지시마크 또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 지시마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와 맞닿거나 겹쳐지는 경우, 상기 싱크 디바이스 지시마크에 대응되는 싱크 디바이스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전송 속도, 컨텐츠 종류, 컨텐츠 정보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의 종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와의 접속 가능 여부, 사용자 지정 사항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전송 우선순위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부여하는 우선순위 설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전송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 식별자를 상기 공유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
KR1020150170222A 2015-12-01 2015-12-01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64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222A KR20170064417A (ko) 2015-12-01 2015-12-01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222A KR20170064417A (ko) 2015-12-01 2015-12-01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417A true KR20170064417A (ko) 2017-06-09

Family

ID=5922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222A KR20170064417A (ko) 2015-12-01 2015-12-01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44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9030A1 (ko) * 2018-04-11 2019-10-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200050578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케이티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9030A1 (ko) * 2018-04-11 2019-10-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11537360B2 (en) 2018-04-11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and control method of same
KR20200050578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케이티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3226B (zh) 用于识别周边设备的电子装置及其方法
JP6353985B2 (ja) モバイル端末の知能的な機器に対する制御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7003818B (zh) 在设备之间共享屏幕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设备
CN104823132B (zh) 运行应用的方法、控制内容共享的方法以及显示设备
KR101276846B1 (ko)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JP5728227B2 (ja) サービス配信プラットフォームへの接続性を有するデバイスのため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CA283509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between different network devices
KR1019249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634881B (zh) 应用场景推荐方法及装置
EP239541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60134942A1 (en) Multimedia playing system, multimedia file shar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358850B1 (en) Content playing apparatus, method for providing ui of content playing apparatus, network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by network server
US20150256957A1 (en) User terminal device, audio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aker thereof
KR101921926B1 (ko)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동작 방법
US20150100463A1 (en) Collaborative home retailing system
US10108392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nected to user terminal apparatus, server, connected system,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963935A1 (en) Multi screen display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s
US107687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n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icons on a display screen
US10397760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service thereof
JP2015092304A (ja) 情報表示装置
US20170147129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4508699A (zh) 内容传输方法和使用该方法的***、装置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AU2013309655B2 (en) Device and content searching method using the same
US1077914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first electronic device
KR20170064417A (ko) 소스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