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420A - Switch For Opening Or Closing TailGate And Operating Method The Same - Google Patents

Switch For Opening Or Closing TailGate And Operating Method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420A
KR20170050420A KR1020150151924A KR20150151924A KR20170050420A KR 20170050420 A KR20170050420 A KR 20170050420A KR 1020150151924 A KR1020150151924 A KR 1020150151924A KR 20150151924 A KR20150151924 A KR 20150151924A KR 20170050420 A KR20170050420 A KR 20170050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ail gate
tailgate
sensing electrod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9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1648B1 (en
Inventor
윤관식
구자성
송봉기
신성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648B1/en
Publication of KR2017005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4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6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06Containing a capacitive switch or usable as su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tailgate switch. The switch comprises a circuit board including a front surface and a back surface, at least one sensing electrod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and sensing an object, and a switch controller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to control the sensing electrode, wherein the switch controller can control the tailgate to be opened or locked when a predetermined pattern is sensed through the sensing electrode. Accordingly, the efficiency of the devic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테일 게이트 스위치 및 그 구동 방법{Switch For Opening Or Closing TailGate And Operating Method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ilgate switch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전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테일 게이트를 개폐하기 위한 스위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system mounted on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 tail gat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전자제어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차량에서도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동작하던 각종 장치들이 운전자의 편리성 및 운행의 안전성 등의 이유로 전기적인 방법에 의해 구동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시스템은 점차 고도화되고 최첨단화되어 가고 있다.Due to the breakthrough of electronic control technology, various devices which were operated by mechanical methods in vehicles have been driven by electrical methods for reasons such as convenience of the driver and safety of operation, and automobile systems are gradually advanced and advanced It is going.

최근에 제조되는 차량의 도어는 전자식으로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도어의 특정 부위에 스위치가 배치되어 특정 명령이 상기 스위치에 입력되면 도어가 개폐되기도 한다.A door of a vehicle manufactured in recent years is generally driven electronically, and a door is opened or closed when a switch is disposed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door and a specific command is input to the switch.

종래의 트렁크 스위치는 별도의 스위치로 존재하거나 엠블럼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폐시 사람이 당기거나 누르는 직접적인 접촉으로 동작을 했다. 또한 별도의 스위치를 누를 수 있는 기구적인 구조 혹은 당기는 기구적인 구조를 구비하여 트렁크를 개폐하여야 했다. 이는 표면이 깨끗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조작 행위시 사용자의 손을 오염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람의 행위를 전달하기 위한 기구적인 구조를 구비하여 전기적 신호를 제어기로 전달하는 부재들을 필요로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반복된 동작으로 내구 기간이 짧다는 단점도 있다. The conventional trunk switch is either a separate switch or an emblem integrally formed and operated by a direct contact that the person pulls or presses when opening or closing. In addition, the trunk was required to be opened or closed with a mechanical structure capable of pressing a separate switch or a mechanical structure of pulling. This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user's hands are contaminated when the surface is not clean.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mechanical structure for conveying human actions and members for transferring electrical signals to the controller are requir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durability period is short due to repeated operation.

최근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시스템과 연동하여 근접 센서를 통한 신체의 모션을 감지하는 방법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이런 방법은 마이컴과 정전용량, 초음파 또는 적외선 등과 같은 근접센서(차량 후방 범퍼나 트렁크에 다수 배열)를 이용하고, 상기 마이컴과 센서는 와이어로 연결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 method of detecting a motion of a body through a proximity sensor in cooperation with a vehicle system has been provided. This method uses a microcomputer and a proximity sensor such as a capacitance, an ultrasonic wave or an infrared ray (a plurality of arrangements in a rear bumper or a trunk of a vehicle), and the microcomputer and the sensor are connected by a wire.

그러나, 이는 센서와 제어 유닛간의 상이한 장착 부위에서 오는 장착공수와 크기, 제조 비용, AS 비용 등에서 불리하다. 또한 감지면적을 넓게 가져가기 위하여 범퍼의 좌 또는 우에 배치되는 경우, 개, 고양이와 같은 외부요인으로 오 동작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However, this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the number of mountings and sizes, manufacturing costs, AS costs, etc., coming from different mounting sites between the sensor and the control unit. In addition, when it is plac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bumper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ing area, it is vulnerable to malfunction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dogs and cats.

따라서, 보다 개선된 차량 도어의 개폐를 위한 스위치의 대두가 요청된다.Therefore, the soybean of the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mproved vehicle door is requested.

공개특허공보 10-2015-0032919호(공개일자 2015.03.31)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32919 (published on March 31, 2015)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근접 센서를 통한 테일게이트 개폐를 위한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 tailgate via a proximity sens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착성, 조립성, 비용성에서 우수한 테일게이트 개폐를 위한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 tailgate which is superior in mountability, assemblability, and cos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단순하고, 외부 노이즈의 간섭을 방지하는 테일게이트 개폐를 위한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 tailgate which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prevents interference of external nois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 스위치는 전면부 및 배면부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상기 전면부 상에 배치되며,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전극; 및 상기 배면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센싱 전극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전극을 통해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 테일게이트가 오픈 또는 클로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 tailgate switch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it board including a front portion and a back portion; At least one sensing electrod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for sensing an object; And a switch control unit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and controlling the sensing electrode. The switch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tail gate to be opened or closed when a predetermined pattern is sensed through the sensing electrode.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can be understood and understoo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로, 회로 기판에 제어부와 센서가 일체로 구성되어 외부 노이즈에 강한 테일게이트 스위치가 제공됨으로써, 장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First, the control unit and the sensor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circuit board to provide a tail gate switch that is resistant to external noise, so that the device efficiency can be improved.

둘째로, 회로 기판 하나에 제어부와 센서가 일체로 구성되어, 비용 절감이 예상될 수 있다.Secondly, a control unit and a sensor are integrally formed on one circuit board, and cost reduction can be expected.

셋째로, 근접 센서를 통한 테일게이트 개폐를 위한 스위치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irdly, a switch for opening / closing a tailgate via a proximity sensor is provided, so that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넷째로, 비 접촉식이고, 구조가 단순한 스위치가 제공됨으로써, 스위치 내구성의 향상이 기대될 수 있다.Fourth, an improvement in switch durability can be expected by providing a switch which is non-contact type and has a simple structure.

다섯째, 회로 기판 오버 몰딩을 통한 센싱 전극이 제공됨으로써, 방수에 강한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Fifth, by providing a sensing electrode through circuit board overmolding, a switch resistant to waterproofing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 스위치가 차량의 테일게이트의 표면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전면과 배면 방향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전면부 및 배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 모듈과 테일게이트 스위치 모듈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유전체를 감지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를 감지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상태천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센싱 전극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at a tailgat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ttached to a surface of a tailgate of a vehicl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tailgate swit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 (a) and 3 (b) are views showing components inclu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tailgate swit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a) and 4 (b) are views showing a front portion and a back portion of the tail gate switch.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tailgate module and a tailgate switch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a) to 6 (e) show driving of a tail gate switch for sensing a dielectric.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transi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drive of a tailgate switch for sensing a dielect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8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sensing electrode disposed on a circuit boar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various methods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 스위치가 차량의 테일게이트의 표면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at a tailgat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ttached to a surface of a tailgate of a vehicle.

테일게이트(11, TailGate)는 트렁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차량 후면의 도어를 의미한다.The tail gate 11 is a concept including a trunk, which means a door on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테일게이트(11)의 표면에 테일게이트 스위치가 배치된다. 테일게이트 스위치는 제조사의 로고를 나타내는 "LOGO A"(15) 및 외관 지지대(13)를 구비할 수 있다.A tail gate switch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tail gate 11. The tailgate switch may have a "LOGO A" 15 indicative of the manufacturer's logo and an exterior support 13.

테일게이트 스위치는 테일게이트(11)의 표면에 부착되어 돌기형상의 후크 형태로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The tail gate switch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ail gate 11 and mounted on the vehicle in the form of a hook having a protruding shape.

여기서 제조사의 로고는 특정 상표, 차량 브랜드 명, 그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anufacturer's logo may include a specific trademark, a brand name, a picture, and the like.

테일게이트(11)는 후술할 근접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유전체(가령,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테일게이트(11)는 기 설정된 조건(가령, 기 설정된 유전체의 움직임 패턴이 인식)이 만족되는 경우, 테일게이트를 오픈 또는 잠금한다.The tail gate 11 is equipped with a proximity sensor to be described later, and can detect movement of a dielectric (e.g., a user's hand). The tail gate 11 opens or locks the tail gate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example, recognition of a movement pattern of a predetermined dielectric) is satisfied.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tailgate swit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테일게이트 스위치(100)는 테일게이트에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즉, 테일게이트 스위치(100)는 차량의 내 외부의 특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테일게이트 스위치(100)가 테일게이트에 부착된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tailgate switch 100 is generally, but not exclusively, attached to the tailgate. That is, the tailgate switch 100 can be disposed at a specific position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assumed that the tail gate switch 100 is attached to the tail gate.

테일게이트(100)는 외관 지지대(13), 회로기판(120), 회로기판 조립체(17), 접착 테이프(21), 로고 플레이트(15)를 포함할 수 있다. 로고 플레이트(15)는 비 전도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tailgate 100 may include an exterior support 13, a circuit board 120, a circuit board assembly 17, an adhesive tape 21, and a logo plate 15. The logo plate 15 may be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외관 지지대(13)의 후면은 테일게이트(100)에 부착될 수 있고, 회로기판(120)과 결합되어 회로기판 조립체(17)를 형성할 수 있다. 외관 지지대(13)는 수지에 도금된 크롬 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rear surface of the exterior support 13 can be attached to the tailgate 100 and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120 to form the circuit board assembly 17. [ The outer support rods 1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hrome ring plated with a resi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회로기판(120)은 유전체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싱 전극을 제어하고, 기 설정된 유전체의 동작 패턴을 인식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it board 120 may include a sensing electrode capable of sensing the operation of the dielectric, and may include a switch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nsing electrode and recognizing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predetermined dielectric.

회로기판(120)은 전면부와 배면부를 포함하고, 전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전극이 배치될 수 있고, 후면부에는 상기 센싱 전극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다. The circuit board 120 includes a front surface and a back surface, and at least one sensing electrode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20, and a switch control unit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ircuit substrate 120 to control the sensing electrode.

회로기판 조립체(17)는 회로기판(120)과 외관 지지대(13)의 결합체이다. 회로기판 조립체(17)는 수분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저압 사출 방식 -가령, 에폭시, 마크로멜트와 같은 공법-을 이용하여 회로기판(120)과 외관 지지대(13)를 결합시킬 수 있다.The circuit board assembly 17 is a combination of the circuit board 120 and the external support rods 13. The circuit board assembly 17 may be assembled with the circuit board 120 and the outer support 13 using a low pressure injection system such as epoxy or macromelt to prevent performance degradation that may be caused by moisture .

테일게이트 스위치(100)는 회로기판 조립체(17)와 로고가 새겨진 플레이트(15)를 접착테이프(21)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tailgate switch 100 can be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assembly 17 and the logo engraved plate 15 through the adhesive tape 21. [

도 3(a) 및 도 3(b)는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전면과 배면 방향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a) and 3 (b) are views showing components inclu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tailgate swit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3(a)에 따르면, 테일게이트 스위치(100)의 전면부 방향에서 로고 플레이트(15)와 회로기판 조립체(17)가 결합된다. 오버 몰딩으로 방수에 강한 스위치(100)가 구성될 수 있다.3 (a), the logo plate 15 and the circuit board assembly 17 are engaged in the front face direction of the tailgate switch 100. As shown in Fig. By overmolding, a water-resistant switch 100 can be constructed.

도 3(b)에 따르면, 테일게이트 스위치(100)의 배면부 방향에서 회로소자(133), 커넥터(131)가 포함될 수 있고, 오버 몰딩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131)는 테일게이트의 제어모듈과 연결되는 구성요소로 돌출되어 있다. 회로 소자(133)는 테일게이트 스위치(100)의 제어부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는 도 5에서 후술할 테일게이트의 제어 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3 (b), the circuit element 133 and the connector 131 may be included in the direc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tail gate switch 100, and may be configured in an overmolded form. The connector 131 is projected to a component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of the tailgate. The circuit element 133 may include a control unit of the tail gate switch 100. The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tail gate described later in Fig.

또한, 테일게이트 스위치(100)는 판넬 고정부(135)를 구비하여 테일게이트의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Further, the tailgate switch 100 can be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tail gate with the panel fixing portion 135. [

도 4(a) 및 도 4(b)는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전면부 및 배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a) and 4 (b) are views showing a front portion and a back portion of the tail gate switch.

도 4(a)에 따르면,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전면부는 복수의 센싱 전극(133)을 포함한다. 복수의 센싱 전극(133)은 유전체(가령, 사람 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센싱 전극은 유전체의 접근에 따라 회로기판(120)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정전용량은 유전체의 모션에 따라 증감된다. According to Fig. 4 (a), the front portion of the tail gate switch includes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133. Fig.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133 can sense the operation of the dielectric (e.g., a human hand).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sense changes in the capacitance of the circuit board 120 as the dielectric approaches. The capacitance is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dielectric.

도 4(b)에 따르면, 제어부는 회로기판 배면부(123)에 배치되고, 회로기판 전면부(121)에 배치된 복수의 센싱 전극(133)을 제어하여 유전체의 접근으로 인한 정전용량의 변화량, 증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133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121 of the circuit board 121 to detect a change amount of the capacitance due to the approach of the dielectric, Change information can be received.

스위치 제어부는 복수의 센싱 전극(133)으로부터 감지되는 정전용량의 증감하는 순서, 속도, 유지 시간을 판단하여 사용자의 테일게이트 개폐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The switch control unit can recognize the tail gate open / close command of the user by determining the order of increasing / decreasing the electrostatic capacity sensed from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133, the speed, and the holding time.

회로 소자(133)는 상술한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it element 133 may include the switch control section described above.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 모듈과 테일게이트 스위치 모듈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tailgate module and a tailgate switch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에 따르면, 테일게이트 모듈은 테일게이트 제어유닛(610), 테일게이트 래치(620), 테일게이트 액추에이터(630)를 포함한다. 테일게이트 제어유닛(610)은 테일게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닛(610)을 의미한다. 테일게이트 래치(620)는 걸쇠로 테일게이트가 오픈 또는 클로즈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모듈이다. 테일게이트 액추에이터(630)는 전자적 신호가 입력되면 기계적 동작으로 나타나게하는 모듈로, 차량 개폐 명령이 입력되는 이에 따라 수행하는 모듈이다.According to FIG. 5, the tailgate module includes a tailgate control unit 610, a tailgate latch 620, and a tailgate actuator 630. The tail gate control unit 610 means a unit 61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ail gate. The tailgate latch 620 is a module that keeps the tailgate open or closed with a latch. The tail gate actuator 630 is a module that causes a mechanical operation to be performed when an electronic signal is input, and is a module that is executed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vehicle open / close command.

테일게이트 스위치(100)는 테일 게이트를 오픈 또는 클로즈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테일게이트 스위치(100)는 복수의 센싱 전극(510), Touch IC(520), MCU(53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IC(520)는 복수의 센싱 전극(510)으로부터 수신되는 유전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모듈이고, MCU(530)의 제어를 받는다. 여기서 Touch IC(520) 및 MCU(530)가 상술한 스위치 제어부에 해당될 수 있다.The tail gate switch 100 is a switch for opening or closing the tail gate. The tail gate switch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510, a touch IC 520, and an MCU 530. The touch IC 520 is a module for sensing the operation of the dielectric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510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MCU 530. Here, the Touch IC 520 and the MCU 530 may correspond to the switch control section described above.

테일게이트 스위치(100)는 유전체를 감지할 수 있다. 스위치 제어부(520, 530)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전극(510) 각각을 통해 감지된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수치를 넘는 경우, 오브젝트가 인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a) 내지 도 6(e)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tail gate switch 100 can sense the dielectric. The switch control units 520 and 530 can determine that the object is recognized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sensed through each of the at least one sensing electrode 510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6 (a) to 6 (e).

도 6(b)에 따르면, 회로기판(전면)에 복수의 센싱 전극(650-1, 650-2, 650-3)이 배치된다. 6B,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650-1, 650-2, and 650-3 are disposed on a circuit board (front surface).

복수의 센싱 전극(650-1, 650-2, 650-3)은 유전체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가령, 유전체가 소정 시간 (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6(a)), 스위치 제어부는 제1 센싱 전극(650-1)을 통해 유전체를 감지한다. 이때, 정전용량의 변화량은 도 6(e)의 (1)과 같게 된다. 즉, 스위치 제어부(520, 530)는 제1 센싱 전극(650-1)으로부터 수신되는 정전 용량을 측정하여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650-1, 650-2, and 650-3 can sense the operation of the dielectric. For example, when the dielectric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time (1) (6 (a)), the switch control unit senses the dielectric through the first sensing electrode 650-1. At this tim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electrostatic capacity becomes equal to (1) in Fig. 6 (e). That is, the switch control units 520 and 530 can sense the object by measuring the capacitance received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650-1.

그 다음으로, 유전체가 소정 시간 (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6(a)), 스위치 제어부는 제2 센싱 전극(650-2)을 통해 유전체를 감지한다. 이때, 정전용량의 변화량은 도 6(e)의 (2)와 같게 된다. Next, when the dielectric is positioned at the predetermined time (2) (6 (a)), the switch control unit senses the dielectric through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650-2. At this tim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electrostatic capacity becomes equal to (2) of Fig. 6 (e).

그 다음으로, 유전체가 소정 시간 (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6(a)), 스위치 제어부는 제3 센싱 전극(650-3)을 통해 유전체를 감지한다. 이때, 정전용량의 변화량은 도 6(e)의 (3)와 같게 된다. Next, when the dielectric is positioned at the predetermined time (3) (6 (a)), the switch control unit senses the dielectric through the third sensing electrode 650-3. At this time, the change amount of the electrostatic capacity becomes as shown in (3) of Fig. 6 (e).

이와 같이, 유전체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 6(a)의 (1)에서 (3)으로 이동되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520, 530)는 도 6(e)와 같이 (1)에서 (3)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스위치 제어부는 미리 테일게이트 오픈/잠금 패턴이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해당 패턴은 스위치(100)의 저장소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6 (a) (1) to (3) according to the time of the dielectric, the switch control units 520 and 530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1) to (3) Can be measured. The switch control unit can judge in advance whether a tail gate open / lock pattern is input. The patter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of the switch 100 in advance.

스위치 제어부(520, 530)는 도 6(e)의 (1) ~ (3)의 경우처럼, 정전용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기준을 넘는 경우, 테일게이트 오픈 또는 클로즈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테일게이트 제어 유닛(610)으로 해당 명령을 전달하고, 테일게이트 제어 유닛(610)은 액추에이터(630) 및 래치(620)를 제어하여 테일게이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The switch control units 520 and 530 determine that a tail gate open or close command is inputted when the change amount of the electrostatic capacity exceeds the preset reference as in the cases of (1) to (3) The tail gate control unit 610 may control the actuator 630 and the latch 62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ail gate.

스위치 제어부(520, 530)는 복수의 센싱 전극 각각에 시간 차를 두고 오브젝트가 감지되는 경우, 테일게이트 오픈/잠금 명령이라고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The switch control units 520 and 530 judge that an object is detected with a time difference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that the tail gate is opened / locked.

한편, 센싱 전극은 옆으로 배열된 것 뿐 아니라 상하로 배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electrodes can be arranged vertically as well as laterally.

도 6(d)를 참고하면, 제4 센싱 전극(650-4) 내지 제6 센싱 전극(650-6)은 상하로 배열된다.Referring to FIG. 6 (d), the fourth to sixth sensing electrodes 650-4 to 650-6 are arranged vertically.

복수의 센싱 전극(650-4, 650-5, 650-6)은 유전체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가령, 유전체가 소정 시간 (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6(c)), 스위치 제어부는 제4 센싱 전극(650-4)을 통해 유전체를 감지한다. 이때, 정전용량의 변화량은 도 6(e)의 (1)과 같게 된다.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650-4, 650-5, and 650-6 may sense the operation of the dielectric. For example, when the dielectric is position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1) (6 (c)), the switch control unit senses the dielectric through the fourth sensing electrode 650-4. At this tim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electrostatic capacity becomes equal to (1) in Fig. 6 (e).

그 다음으로, 유전체가 소정 시간 (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6(c)), 스위치 제어부는 제5 센싱 전극(650-5)을 통해 유전체를 감지한다. 이때, 정전용량의 변화량은 도 6(e)의 (2)와 같게 된다. Next, when the dielectric is positioned at the predetermined time (2) position (6 (c)), the switch control unit senses the dielectric through the fifth sensing electrode 650-5. At this tim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electrostatic capacity becomes equal to (2) of Fig. 6 (e).

그 다음으로, 유전체가 소정 시간 (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6(c)), 스위치 제어부는 제6 센싱 전극(650-6)을 통해 유전체를 감지한다. 이때, 정전용량의 변화량은 도 6(e)의 (3)와 같게 된다. Next, when the dielectric is positioned at the predetermined time 3 position (6 (c)), the switch control unit senses the dielectric through the sixth sensing electrode 650-6. At this time, the change amount of the electrostatic capacity becomes as shown in (3) of Fig. 6 (e).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를 감지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상태천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transi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drive of a tailgate switch for sensing a dielect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도 7에 따르면, 최초에 센싱(S710)이 수행된 후, 센서의 오른쪽에서 센싱되었다면(S720), 그 다음 왼쪽 방향으로 센싱(S730)이 수행되어야 한다. 각각의 센싱에는 소정의 타임 구간이 할당된다. 만약 각각의 센싱시에 타임 구간을 오버하면 다시 센싱(S710)부터 다시 시작된다.According to FIG. 7, if sensing is performed from the right side of the sensor (S720) after the sensing (S710) is performed for the first time, then sensing (S730)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s assigned to each sensing. If the time interval is exceeded at the time of each sensing, the sensing starts again from S710.

또한, 만약 센서의 왼쪽에서 센싱되었다면(S740), 그 다음 오른쪽 방향으로 센싱(S750)이 수행되어야 한다. Also, if it is sensed from the left side of the sensor (S740), then sensing to the right side (S750) should be performed.

센싱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스위치 제어부는 테일게이트 개 또는 폐 명령을 테일게이트 제어유닛에 전달한다.When the sensing is normally performed, the switch control unit transmits a tail gate open or close command to the tail gate control unit.

센싱 전극의 배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와 같이 센싱 전극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arrangement of the sensing electrodes may be variously configured. 8 (a) to 8 (d), the sensing electrode is not limited thereto.

센싱 전극의 모서리는 전하 집중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균일한 센싱을 위해 둥근 형태로 끝단을 형성하여 상기 전하 집중 현상을 방지될 수 있다.Since the charge concentration phenomenon may occur at the edge of the sensing electrode, the charge concentration phenomenon can be prevented by forming the end in a round shape for uniform sensing.

또한, 센싱 전극은 회로기판의 전면에만 배치되어 유전체 접근에 따른 정전 용량 변화량이 커질 수 있다. 정전용량은 면적과 재질의 비유전율에 비례하고 거리에 반비례하는 특성을 가지기에(C=εA/t) 회로 기판 상부면에 센서 전극을 배열하고 전기소자 및 커넥터를 후면에 배치 함으로써 면적을 극대화하여 유전체 접근에 따른 변화량이 높게 측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electrode is disposed on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due to the dielectric approach can be increased. Since the capacitance is proportional to the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of the area and the material and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C = εA / t), the sensor electrodes ar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electric elements and connectors are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The amount of change due to the dielectric approach can be measured to be high.

또한, 엠블럼(로그 플레이트) 내부에 전극 센서가 배치되고, 스위치의 제어부와 센서가 하나의 회로기판에 구성되어 단순하며, 외부 노이즈로부터 안정된 센서값을 얻는 구조가 채택된다.Further, a structure is adopted in which an electrode sensor is disposed in an emblem (log plate), a control section of the switch and a sensor are formed on a single circuit board, and a stable sensor value is obtained from external noise.

또한 회로기판 표면에 다수개의 센서를 배열함으로써 유전체의 약속된 행위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량을 인지하여 근접, 제스처, 단순 터치만으로 트렁크 조작이 가능하다.In addition, by arranging a plurality of sensors on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it is possible to operate trunks by proximity, gesture, and simple touch by recognizing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caused by the promised behavior of the dielectric.

추가적으로, 스위치 제어부(520, 530)는 우적 센서, 스마트 키 인식 여부, 차량 주행 여부에 기초하여 테일게이트 개폐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 control units 520 and 530 can determine whether the tailgate is opened or close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driver has recognized the smart key, whether the smart key has been recognized, and whether the vehicle is traveling.

가령, 비가 오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520, 530)는 우적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테일게이트 개폐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차량 개폐 명령이 수신되었으나 근처에 스마트 키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스위치 제어부(520, 530)는 테일게이트 개폐 구동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주행 중에는 스위치 제어부(520, 530)가 테일 게이트를 구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in case of rain, the switch control units 520 and 530 can determine the tail gate opening / closing based 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right sensor. Accordingly, a malfunction can be prevented. Similarly, when the vehicle open / close command is received but the smart key is not recognized in the vicinity, the switch control units 520 and 530 may not perform the tail gate open / close operation. Further, the switch control units 520 and 530 may not drive the tail gat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to be executed in a computer, and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CD-ROMs, magnetic tapes,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as well as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 code,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3)

테일게이트 스위치에 있어서,
전면부 및 배면부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상기 전면부 상에 배치되며,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전극; 및
상기 배면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센싱 전극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전극을 통해 기 설정된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 테일게이트가 오픈 또는 잠금되도록 제어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
In the tailgate switch,
A circuit board including a front portion and a back portion;
At least one sensing electrod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for sensing an object; And
And a switch control unit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and controlling the sensing electrode,
The switch control unit,
And controls the tail gate to be opened or locked when a predetermined pattern is sensed through the sensing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배면부 방향에 결합되는 외관 지지대;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부 방향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제조사의 로고 또는 상표를 포함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uter support coupled to the backside of the circuit board;
And a plat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Said plate comprising a manufacturer ' s logo or trademar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지지대와 상기 회로기판은 저압 사출 공법을 통해 결합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xterior support and the circuit board are coupled through a low pressure injection proces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전극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 상에 위치한 오브젝트의 직접 터치 또는 간접 터치를 인식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witch control unit,
Through the at least one sensing electrode, a direct or indirect touch of an object located on the pl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전극 각각을 통해 감지된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수치를 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witch control unit,
And recognizes the object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sensed through each of the at least one sensing electrode exceeds a preset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전극은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부에 나란히 상하 배치 또는 좌우 배치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sensing electrode is arranged vertically side by side or side by side in the front side of the circuit boar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지지대의 외관은 곡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전극 중 상기 외관 지지대와 인접한 부분은 곡면으로 구성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tube support comprises a curved surface,
Wherein a portion of the at least one sensing electrode adjacent the exterior support is a curved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우적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우적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고려하여, 테일게이트가 오픈 또는 잠금되도록 제어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witch control unit,
Wherein the tail gate is controlled to open or lock the tail gate in consideration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proprietary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스마트 키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한 경우, 테일게이트가 오픈 또는 잠금되도록 제어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 control unit,
A tailgate switch that controls the tailgate to be open or locked when the smart key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테일게이트 스위치가 탑재된 차량의 주행 상태를 고려하여, 테일게이트가 오픈 또는 잠금되도록 제어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 control unit,
And controls the tail gate to be opened or locked in consideration of the traveling state of the vehicle on which the tail gate switch is moun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테일게이트에 장착된, 테일게이트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 being mounted to the tailg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비전도성 소재로 구성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ate is compris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전극은 상기 전면부의 표면에 배치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sensing electrode is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portion.
테일게이트 개폐 조작을 수행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전극을 통해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패턴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테일게이트를 오픈 또는 잠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구동 방법.
A method of driving a tailgate switch for performing a tailgate opening / closing operation,
Sensing an object through at least one sensing electrode included in the switch; and
And opening or locking the tail gate when the object is sens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에 상기 오브젝트가 직접 터치 또는 간접 터치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구동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nsing the object comprises:
And sensing the object when the object is directly or indirectly touched to the switch.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오픈 또는 잠금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전극 각각을 통해 감지된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수치를 넘는 경우, 상기 테일게이트를 오픈 또는 잠금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구동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opening or locking the tail gate comprises:
Wherein the tail gate is opened or locked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sensed through each of the at least one sensing electrod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전극은 상기 스위치에 포함된 회로기판의 전면부에 나란히 상하 배치 또는 좌우 배치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구동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at least one sensing electrode is arrang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side by side in a front portion of a circuit board included in the switch.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오픈 또는 잠금하는 단계는,
우적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고려하여, 테일게이트를 오픈 또는 잠금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구동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opening or locking the tail gate comprises:
A method of driving a tailgate switch that opens or locks a tailgate, taking into account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property senso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오픈 또는 잠금하는 단계는,
스마트 키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한 경우, 테일게이트를 오픈 또는 잠금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구동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opening or locking the tail gate comprises:
A method of driving a tailgate switch that opens or locks a tailgate when the smart key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오픈 또는 잠금하는 단계는,
상기 테일게이트 스위치가 탑재된 차량의 주행 상태를 고려하여, 테일게이트를 오픈 또는 잠금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구동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opening or locking the tail gate comprises:
Wherein the tail gate is opened or locked in consideration of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on which the tail gate switch is mounte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테일게이트에 장착된,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구동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witch is mounted to the tail gate.
제14항에 기재된 테일게이트 스위치의 구동 방법을 실현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A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for realizing a method of driving a tail gate switch according to claim 14. 제22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according to claim 22 is recorded.
KR1020150151924A 2015-10-30 2015-10-30 Switch For Opening Or Closing TailGate And Operating Method The Same KR1022816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924A KR102281648B1 (en) 2015-10-30 2015-10-30 Switch For Opening Or Closing TailGate And Operating Method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924A KR102281648B1 (en) 2015-10-30 2015-10-30 Switch For Opening Or Closing TailGate And Operating Method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420A true KR20170050420A (en) 2017-05-11
KR102281648B1 KR102281648B1 (en) 2021-07-29

Family

ID=5874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924A KR102281648B1 (en) 2015-10-30 2015-10-30 Switch For Opening Or Closing TailGate And Operating Method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6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502A (en) * 2018-07-30 2020-02-07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A trunk switch assembly of integrated type with emblem for an automobi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140A (en) 2021-10-12 2023-04-19 주식회사 경신 Openning and shutting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ail gate of vehic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8534A (en) * 2006-10-25 2008-05-08 Fujikura Ltd Human body approach detection device
KR20080109399A (en) * 2007-06-13 2008-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he method of safe stopping after engine starting using a smart key
JP2010239587A (en) * 2009-03-31 2010-10-21 Fujikura Ltd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vehicular door
KR20120054821A (en) * 2010-11-22 2012-05-31 (주)모토닉 Collision protect apparatus for vehicle's do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32919A (en) 2013-09-12 2015-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Open switch integrated with logo
KR20150102763A (en) * 2013-10-07 2015-09-08 주식회사 대동 Tailgate switch assembly having Logo for vehicel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8534A (en) * 2006-10-25 2008-05-08 Fujikura Ltd Human body approach detection device
KR20080109399A (en) * 2007-06-13 2008-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he method of safe stopping after engine starting using a smart key
JP2010239587A (en) * 2009-03-31 2010-10-21 Fujikura Ltd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vehicular door
KR20120054821A (en) * 2010-11-22 2012-05-31 (주)모토닉 Collision protect apparatus for vehicle's do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32919A (en) 2013-09-12 2015-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Open switch integrated with logo
KR20150102763A (en) * 2013-10-07 2015-09-08 주식회사 대동 Tailgate switch assembly having Logo for vehice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502A (en) * 2018-07-30 2020-02-07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A trunk switch assembly of integrated type with emblem for an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648B1 (en)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8685B1 (en) Human body detecting device for vehicles
US9797179B2 (en) Vehicle assembly having a capacitive sensor
US11542731B2 (en) Smart handle assembly with force-based sensor and backup energy source
EP3250421B1 (en) Vehicle emblem incorporating capacitive switch and led lighting
US7283034B2 (en) Object sensor and controller
US11634937B2 (en) Vehicle assembly having a capacitive sensor
US20120133159A1 (en) Door handle apparatus
US8796575B2 (en)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ground layer
US9103861B2 (en) Multi-function sensor and method
EP3375960B1 (en) Power locking door handle with capacitive sensing
US10954709B2 (en) Vehicle assembly having a capacitive sensor
US20100187838A1 (en) Door handle device
EP3054071A1 (en) Opening/closing member opening/closing apparatus
US11808062B2 (en) Handle assembly for vehicular closure panels having integrated antenna and force sensor configuration
KR20170050420A (en) Switch For Opening Or Closing TailGate And Operating Method The Same
EP2793398A2 (en) Non-contact operation detection device for vehicle
US10461746B2 (en)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US20230101679A1 (en) Vehicle assembly having a capacitive sensor
CN116027434A (en) Proximity sensing system for a lamp assembly
JP2006294538A (en) Holder cover, door handle device equipped with it, door member and smart entry system equipped with it
DE102021119835A1 (en) OBJECT RECOGNITION AND ANTI-PINCHING FOR VEHICLES
DE102023128663A1 (en) VEHICLE ARRANGEMENT WITH A CAPACITIVE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