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993A -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993A
KR20170047993A KR1020150148801A KR20150148801A KR20170047993A KR 20170047993 A KR20170047993 A KR 20170047993A KR 1020150148801 A KR1020150148801 A KR 1020150148801A KR 20150148801 A KR20150148801 A KR 20150148801A KR 20170047993 A KR20170047993 A KR 20170047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betes
data
diabetic
risk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훈
백진동
김종탁
판희준
문용일
최석우
이병문
강운구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엠에스피씨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엠에스피씨앤에스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48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7993A/ko
Publication of KR20170047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06F19/3418
    • G06F19/343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eth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은 신체 데이터를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복수 개의 측정기기로부터 복수 개의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당뇨 데이터 수집부, 상기 당뇨 데이터를 이용하여 당뇨 위험 정도를 정상 단계, 위험 단계 또는 경고 단계로 산출하는 당뇨 위험 산출부, 상기 당뇨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당뇨 데이터와, 상기 당뇨 위험 정도를 각각 전달받아 Spritz 암호와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고 MD5로 무결성 검사하는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 그리고 상기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에서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데이터 또는 당뇨 위험 정도를 외부로 송신하는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과, 상기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데이터 또는 당뇨 위험 정도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JUDGMENT SYSTEM FOR RISK OF DIABETES BY TRANSMITTING DATA SECURITY}
본 발명은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당뇨는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한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는 성인 질환 중 하나이다.
글루코스(glucose) 측정기는 당뇨 환자의 혈중 포도당을 측정하는 장치로, 글루코스 측정기는 조작이 간편하여 병원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이를 이용함으로써 환자가 용이하게 자가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써, 환자는 글루코스 측정기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치에 따라 측정 당시의 당뇨 위험 여부를 판단하여, 식이조절 또는 약물 복용 등의 조치를 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글루코스 측정기를 이용한 환자의 당뇨 위험 여부 자가 판단의 경우, 혈당만을 지표로서 활용하므로, 당뇨 위험 여부에 영향을 주는 다른 변수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판단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여러 가지 변수를 이용한 당뇨 위험 여부 자가 판단 장치 또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당뇨 위험 판단을 위해 사용자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서 이를 판단하는 경우,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가 해킹될 위험이 있어 보안성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당뇨 환자가 혈당, 고혈압 여부, 나이, 가족력 등의 여러 정보인 당뇨 데이터를 이용하여 당뇨 환자의 당뇨 위험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혈당만을 이용하여 당뇨 위험 상태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종래의 글루코스 측정기를 이용한 자가진단보다 구체적으로 당뇨 위험 상태를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이 당뇨 데이터를 당뇨 위험 판단부로 전송하여 이를 당뇨 위험 판단부에 저장함에 있어서, 당뇨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 및 저장함으로써, 당뇨 데이터의 전송 및 저장의 보안성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은 신체 데이터를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복수 개의 측정기기로부터 복수 개의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당뇨 데이터 수집부, 상기 당뇨 데이터를 이용하여 당뇨 위험 정도를 정상 단계, 위험 단계 또는 경고 단계로 산출하는 당뇨 위험 산출부, 상기 당뇨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당뇨 데이터와, 상기 당뇨 위험 정도를 각각 전달받아 Spritz 암호와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고 MD5로 무결성 검사하는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 그리고 상기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에서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데이터 또는 당뇨 위험 정도를 외부로 송신하는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과, 상기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데이터 또는 당뇨 위험 정도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한 예에서, 상기 당뇨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측정 데이터로서 수집하는 상기 신체 데이터는 혈압, 산소 포화도, 체중, 공복시 혈당, 무작위 혈당, 당화 헤모글로빈, 심전도 및 체온 중 적어도 두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당뇨 위험 산출부는, 당화혈색소가 6.5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당뇨 수준 위험 단계로 산출하고, 상기 당화혈색소가 5.7보다 크거나 같고 동시에 6.5보다 작은 경우 당뇨 수준 경고 단계로 산출하고, 당화혈색소가 5.7보다 작은 경우 공복시 혈당을 100과 비교하고, 공복시 혈당이 100보다 크거나 같고 동시에 126보다 작은 경우, 당뇨 수준 경고 단계로 산출하며, 공복시 혈당이 126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당뇨 수준 위험 단계로 산출하며, 환자가 고혈당증 환자인 경우의 무작위 혈당값이 200보다 작은 경우 당뇨 수준 경고 단계로 산출하고, 무작위 혈당값이 20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당뇨 수준 위험 단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당뇨 데이터 수집부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또는 6LowPAN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측정기기들로부터 복수 개의 상기 신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예에서, 상기 당뇨 위험 산출부는 복수 개의 상기 측정 데이터 측정 값 중 당화혈색소에 첫 번째 우선순위, 공복시 혈당에 두 번째 우선순위를 각각 부여하여 당뇨 위험 정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당뇨 위험 산출부는, 환자가 고혈당증 환자가 아닌 경우, BMI 지수를 25와 비교하여, BMI가 25보다 작은 경우 당뇨 수준 정상단계로 산출하고, BMI가 25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나이를 45와 비교하여 나이가 45 이상인 경우 당뇨 수준 위험 단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당뇨 위험 산출부는, 나이가 45보다 작은 경우, 혈압을 140/90과 비교하여, 혈압이 140/9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당뇨 수준 경고 단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혈압이 140/90보다 작을 때 환자의 당뇨에 대한 가족력을 산출하여, 상기 환자가 가족력이 있는 경우 당뇨 수준 경고 단계로 산출하고, 상기 환자가 가족력이 없는 경우 당뇨 수준 정상단계로 산출하는 단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당뇨 위험 판단부는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에서 수집한 복수의 당뇨 데이터를 전달받아 당뇨 위험 상태를 판단하므로, 종래의 혈당 측정을 통한 당뇨 위험 판단보다 구체적인 당뇨 위험 정도를 산출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은 당뇨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위조 및 변조 탐지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당뇨 데이터를 가공하여 이를 당뇨 위험 판단부로 전송하므로, 당뇨 위험 판단부로 당뇨 데이터 전송 및 저장 시 데이터 보안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의 당뇨 위험 산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당뇨 위험 산출 장치 및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은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과 서버(200)를 구비한다.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은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를 통해 서버(200)의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에 접속하는 구조를 갖는데, 한 예에서,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의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는 서버(200)의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로서,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모듈 또는 이동통신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가 무선통신 모듈인 경우,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는 와이파이(wifi) 등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버(200)의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에 접속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가 이동통신 모듈인 경우,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는 3G망 또는 LTE망에 접속하여 서버(200)의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에 접속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가 무선통신망 또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서버(200)의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에 접속하는 구조를 갖는 것은, 서버(200)가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원격의 컴퓨터 또는 서버로 형성됨에 따른 것으로서, 이때, 서버(200)의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가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던 데이터를 외부의 요청에 따라 송신한다.
한 예에서,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대상은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이거나 또는 서버(200)에 접속하는 다른 단말일 수 있으며, 좀더 자세하게는, 환자 또는 환자의 건강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이 인터넷 망을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는 구조로 형성됨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과 서버(200)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은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와 같은 휴대용 단말이거나 컴퓨터로서, 사용자 단말 형태를 갖고, 당뇨 데이터 수집부(110),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120),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 당뇨 데이터 복호화부(140), 당뇨 위험 산출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은 스마트폰 형태의 휴대용 단말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당뇨 데이터 수집부(110)는 당뇨 데이터를 수집한다.
한 예에서, 당뇨 데이터는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와, 외부의 측정기기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인 측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당뇨 데이터에서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는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에 구비된 입력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입력한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이때, 입력부는 출력부(160)인 터치 입출력부이거나 키패드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직접 입력하여 발생되며,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는 이름, 성별, 키, 몸무게, 혈액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예에서,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는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인 당뇨 위험 판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당뇨 위험 판단 어플리케이션 초기 구동 시 수집되는 데이터인 것이 좋다.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당뇨 위험 판단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는 회원가입 절차 등을 통한 계정 생성 시 최초 1회 입력받는 것이 좋으며, 키 또는 몸무게는 변경 여부에 따라 수정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때,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당뇨 위험 판단 어플리케이션은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 제작 시 설치되어 제공되거나, 또는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프로그램 제공서버에서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당뇨 데이터에서 측정 데이터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외부의 측정기기들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로서, 혈압, 산소 포화도, 체중, 혈당, 당화 헤모글로빈(당화 혈색소, 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심전도, 체온, 활동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활동량은 소모한 칼로리(cal) 수치인 것이 좋다.
그리고,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에 입력되는 측정 데이터를 발생하는 외부의 측정기기는 혈압계, 산소 포화도 측정기, 체중계, 혈당 측정기, 당화 혈색소 검사장비, 심전도 측정기, 체온계, 활동량 수집부일 수 있다.
한 예에서, 활동량 수집부는 활동량 센서들로부터 활동량을 수집하여 활동량을 산출하는 게이트웨이(gateway)일 수 있고, 한 예에서, 액티비티 허브(activity hub)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외부의 측정기기는 당뇨 상태 산출에 사용되는 신체정보를 측정하는 측정기기라면 제시된 측정기기의 예시 이외의 측정기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측정 데이터를 발생하여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로 이를 전달하는 외부의 측정기기는 사물 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을 이용하여 측정 데이터를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의 당뇨 데이터 수집부(110)로 전달한다.
좀더 자세하게는, 무선통신 모듈인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의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가 사물 인터넷을 수행하는 외부의 측정기기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당뇨 데이터 수집부(110)로 전달한다.
그리고 이때, 한 예에서, 외부의 측정기기가 사물 인터넷을 통해 측정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외부의 측정기기는 사물 인터넷으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또는 6LowPAN을 이용할 수 있다.
외부의 측정기기가 위와 같은 사물 인터넷을 수행하기 위해, 외부의 측정기기는 각 사물 인터넷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고, 따라서,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의 당뇨 데이터 수집부(110)가 외부의 측정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도 외부의 측정기기가 구비한 무선통신 모듈과 대응되는 무선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처럼, 당뇨 데이터 수집부(110)는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 및 측정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당뇨 데이터로서 수집하고, 이를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120)로 전달한다.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120)는 당뇨 데이터 수집부(110)로부터 전달받은 당뇨 데이터를 암호화(encryption) 처리한다.
한 예에서,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120)는 Spritz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당뇨 데이터 수집부(110)로부터 전달받은 당뇨 데이터인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와 측정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당뇨 데이터를 128비트의 메시지 축약 해쉬(hash) 알고리즘인 MD5(Message Digest 5)로 축약한다.
이처럼,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120)가 Spritz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당뇨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MD5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위조 및 변조를 탐지하는 무결성 검사를 수행하여, 당뇨 데이터의 보안성을 향상한다.
그리고,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이동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서버(200)의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에 접속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120)에서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데이터를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120)로부터 전달받아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로 송신한다.
이처럼, 외부의 측정기기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전달받거나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120)에서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데이터를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로 송신하는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는, 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당뇨 데이터 복호화부(140)로 전달하기도 한다.
이때, 당뇨 데이터 복호화부(140)가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를 통해 전달받는 데이터는 서버(200)에 저장되었던 데이터로서,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데이터이므로, 당뇨 데이터 복호화부(140)는 이를 무결성 검사 및 복호화(decryption)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이때, 당뇨 데이터 복호화부(140)가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로부터 수신하여 복호화 처리하는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데이터는 사용자의 당뇨 데이터인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와 측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당뇨 데이터 복호화부(140)는 수신한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사한 다음, 복호화하여 당뇨 데이터를 추출한다.
한 예에서, 당뇨 데이터 복호화부(140)는 MD5 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신한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Spritz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 처리된 당뇨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이처럼, 당뇨 데이터 복호화부(140)는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120)에서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 한 당뇨 데이터가 서버(200)에 저장되었다가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 및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를 통해 당뇨 데이터 복호화부(140)에서 무결성 검사 및 복호화 처리됨으로써, 서버(20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데이터이고,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에서는 당뇨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또는 암호화된 당뇨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복호화 처리한 당뇨 데이터를 당뇨 위험 산출부(150)로 전달한다.
따라서, 서버(200)에는 암호화되고 무결성 검사 수행된 당뇨 데이터가 저장되므로, 서버(200)에 저장된 당뇨 데이터의 보안성이 향상되며,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에서 서버(200)로 당뇨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데이터 보안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당뇨 위험 산출부(150)는 당뇨 데이터 복호화부(140)로부터 복호화 처리된 당뇨 데이터를 전달받아 당뇨 위험 여부를 산출하며, 이를 도 2의 흐름도를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당뇨 위험 데이터 수집 단말(100)의 데이터 수집부(110)에서 제1 당뇨 데이터를 수집한다(S110).
제1 당뇨 데이터는 당뇨 위험 산출의 기준이 되는 신체 데이터 측정 값 중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당화혈색소 수치이다.
이때, 당뇨 위험 산출부(150)는 수집된 제1 당뇨 데이터인 당화혈색소(HbA1c) 수치를 5.7과 비교하여(Q11), 당화혈색소 수치가 5.7보다 큰 경우(Q11의 화살표 NO 방향), 당화혈색소 수치를 6.5와 다시 비교하며(Q12), 당화혈색소 수치가 5.7보다 크고 6.5보다 작은 경우(Q12의 화살표 YES 방향), 당뇨 수준 경고 단계로 산출한다(S210).
그리고 이때, 당화혈색소 수치가 6.5보다 큰 경우(Q12의 화살표 NO 방향), 당뇨 수준 위험 단계로 산출한다(S220).
그리고, 당화혈색소 수치를 5.7과 비교하는 단계(Q11)에서 당화혈색소 수치가 5.7보다 작은 경우(Q11의 화살표 YES 방향), 당뇨 위험 산출 장치의 당뇨 데이터 수집부(110)에서 제2 당뇨 데이터를 수집한다(S120).
제2 당뇨 데이터는 당뇨 위험 산출 기준이 되는 신체 데이터 측정 값 중에서 우선순위가 두 번째로 높은 혈당 수치이다.
이때, 당뇨 위험 산출부(150)는 수집된 제2 당뇨 데이터인 혈당, 예로써 공복시 혈당(FPG; fasting plasma glucose) 수치를 100과 비교하여(Q21), 공복시 혈당 수치가 10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Q21의 화살표 NO 방향), 공복시 혈당 수치를 126과 다시 비교하고(Q22), 공복시 혈당 수치가 126보다 작은 경우(Q22의 화살표 YES 방향), 당뇨 수준 경고 단계로 산출한다(S211).
그리고 이때, 공복시 혈당 수치가 126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Q22의 화살표 NO 방향), 당뇨 수준 위험 단계로 산출한다(S221).
그리고, 공복시 혈당 수치가 100보다 작은 경우(Q21의 화살표 YES 방향), 당뇨 데이터 수집부(110)에서 제3 당뇨 데이터를 수집한다(S130).
제3 당뇨 데이터는 당뇨 위험 산출 기준이 되는 데이터인 고혈당증, BMI 지수, 무작위 혈당값, 나이, 혈압, 가족력에 대한 정보로서, 그 우선순위에 따라 순서대로 비교 산출된다.
따라서, 제3 당뇨 데이터가 수집됨(S130)에 따라, 당뇨 위험 산출부(150)는 고혈당증 여부를 산출(Q31)하는데, 고혈당증이 아닌 경우(Q31의 화살표 YES 방향), 무작위 혈당값을 200과 비교하고(Q32), 무작위 혈당값이 200보다 작은 경우(Q32의 화살표 YES 방향), 당뇨 수준 경고 단계로 산출하고(S212), 무작위 혈당값이 20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Q32의 화살표 NO 방향), 당뇨 수준 위험 단계로 산출한다(S222).
그리고, 고혈당증 산출 단계(Q31)에서, 고혈당증이 아닌 경우(Q31의 화살표 NO 방향), BMI 지수를 25와 비교하여(Q41), BMI 지수가 25보다 작은 경우(Q41의 화살표 YES 방향), 당뇨 수준 정상단계로 산출하고(S230), BMI 지수가 25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Q41의 화살표 NO 방향), 나이 비교 단계(Q51)로 이동한다.
이때, 나이 비교 단계(Q51)에서는 나이를 45와 비교하여, 나이가 45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Q51의 화살표 NO 방향), 당뇨 수준 위험 단계로 산출하고(S221), 나이가 45보다 작은 경우(Q51의 화살표 YES 방향), 혈압 비교 단계(Q61)로 이동한다.
혈압 비교 단계(Q61)에서는 혈압이 140/90, 즉 수축기 혈압이 140이고, 이완기 혈압이 90인 경우와 비교하는 단계로서, 혈압이 140/9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Q61의 화살표 NO 방향), 당뇨 수준 경고 단계로 산출하고(S213), 혈압이 140/90보다 작은 경우(Q61의 화살표 YES 방향), 가족력 비교 단계(Q71)를 수행한다.
이때, 가족력 비교 단계(Q71)에서는 직계 가족의 당뇨 질환 여부를 산출하여, 직계 가족이 당뇨 질환을 겪은 적이 있는 경우(Q71의 화살표 YES 방향), 당뇨 수준 경고 단계로 산출하고(S213), 직계 가족 중 당뇨 질환을 겪은 사람이 없는 경우(Q71의 화살표 NO 방향), 당뇨 수준 정상 단계로 산출한다(S230).
이처럼, 당뇨 위험 산출부(150)는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당뇨 위험 산출 방법을 이용하여 당뇨 위험 정도를 산출하므로, 당뇨 위험 산출부(150)를 구비하는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 및 이로부터 당뇨 데이터 및 당뇨 위험 정도를 전달받는 서버(200)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에서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을 소지하는 환자가 당뇨 위험 정도를 용이하게 산출하여 자가 진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당뇨 위험 여부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신체 데이터 측정 값으로서, 혈압, 산소 포화도, 체중, 혈당, 당화 헤모글로빈, 심전도, 체온, 가족력 등을 포함하고, 이들 신체 데이터 측정 값 중에서도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당뇨 위험 여부를 산출하므로, 당뇨 환자들이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단순히 혈당 측정 값만을 이용하여 당뇨 위험 여부를 산출함에 따른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2의 흐름도로 당뇨 위험 정도를 산출하는 당뇨 위험 산출부(150)는 산출된 당뇨 위험 정도, 즉, 당뇨 수준 정상단계, 경고 단계 또는 위험 단계 중 어느 하나의 결과를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를 통해 서버(200)의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로 전달한다.
이때, 당뇨 위험 산출부(150)에서 산출한 결과인 당뇨 위험 정도가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를 통해 서버(200)의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로 전달됨에 있어서,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120)가 당뇨 위험 정도를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하여 서버(200)로 송신한다.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의 출력부(160)는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에 형성된 터치 입출력부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일 수 있으며, 당뇨 데이터 수집부(110)가 수집하는 당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하거나, 당뇨 위험 산출부(150)의 당뇨 위험 정도 산출 결과를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140)는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에 설치된 당뇨 위험 판단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처럼,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이 당뇨 데이터 수집부(110),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120),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 당뇨 데이터 복호화부(140), 당뇨 위험 산출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당뇨 데이터인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와 측정 데이터를 각각 발생하여 이를 암호화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의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당뇨 위험 정도를 산출하고 이를 암호화하여 서버(200)로 전송하므로, 데이터 전송 시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로부터 암호화된 당뇨 데이터 및 당뇨 위험 정보를 전달받는 서버(200)의 구조를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서버(200)는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 및 데이터베이스부(220)를 포함한다.
서버(200)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으로부터 원격에 위치하는 컴퓨터 또는 서버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무선 인터넷 및 유선 인터넷을 통해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의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로부터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부(220)에 저장하거나, 외부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부(220)에 저장된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한다.
이때,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가 데이터베이스부(220)에 저장된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함에 있어서, 이를 요청 및 수신하는 기기는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일 수 있으며, 한 예에서, 환자가 소지하여 환자의 당뇨 데이터를 발생하는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일 수도 있지만, 환자의 건강을 관리하는 관리사, 예로써, 의사가 소지하는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100)일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130)로부터 수신한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위험 정도를 데이터베이스부(220)에 저장하였다가 이를 외부의 요청에 따라 송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때,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210)의 동작에 따라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데이터 또는 당뇨 위험 정도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220)에 저장되는 관련 데이터는 복호화 처리하지 않고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상태로 저장됨으로써, 서버(200)에 저장된 환자의 당뇨 관련 데이터의 보안성을 향상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 110 : 당뇨 데이터 수집부
120 :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 130 :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
140 : 당뇨 데이터 복호화부 150 : 당뇨 위험 산출부
160 : 출력부 200 : 서버
210 : 제2 당뇨 송수신부 220 :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8)

  1. 신체 데이터를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복수 개의 측정기기로부터 복수 개의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당뇨 데이터 수집부,
    상기 당뇨 데이터를 이용하여 당뇨 위험 정도를 정상 단계, 위험 단계 또는 경고 단계로 산출하는 당뇨 위험 산출부,
    상기 당뇨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당뇨 데이터와, 상기 당뇨 위험 정도를 각각 전달받아 Spritz 암호와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고 MD5로 무결성 검사하는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 그리고
    상기 당뇨 데이터 암호화부에서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데이터 또는 당뇨 위험 정도를 외부로 송신하는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당뇨 데이터 수집 단말과,
    상기 제1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된 당뇨 데이터 또는 당뇨 위험 정도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제2 당뇨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측정 데이터로서 수집하는 상기 신체 데이터는 혈압, 산소 포화도, 체중, 공복시 혈당, 무작위 혈당, 당화 헤모글로빈, 심전도 및 체온 중 적어도 두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 위험 산출부는,
    당화혈색소가 6.5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당뇨 수준 위험 단계로 산출하고, 상기 당화혈색소가 5.7보다 크거나 같고 동시에 6.5보다 작은 경우 당뇨 수준 경고 단계로 산출하고,
    당화혈색소가 5.7보다 작은 경우 공복시 혈당을 100과 비교하고, 공복시 혈당이 100보다 크거나 같고 동시에 126보다 작은 경우, 당뇨 수준 경고 단계로 산출하며, 공복시 혈당이 126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당뇨 수준 위험 단계로 산출하며,
    환자가 고혈당증 환자인 경우의 무작위 혈당값이 200보다 작은 경우 당뇨 수준 경고 단계로 산출하고, 무작위 혈당값이 20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당뇨 수준 위험 단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당뇨 데이터 수집부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또는 6LowPAN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측정기기들로부터 복수 개의 상기 신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
  5. 제3항에서,
    상기 당뇨 위험 산출부는 복수 개의 상기 측정 데이터 측정 값 중 당화혈색소에 첫 번째 우선순위, 공복시 혈당에 두 번째 우선순위를 각각 부여하여 당뇨 위험 정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 위험 산출부는,
    환자가 고혈당증 환자가 아닌 경우, BMI 지수를 25와 비교하여, BMI가 25보다 작은 경우 당뇨 수준 정상단계로 산출하고,
    BMI가 25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나이를 45와 비교하여 나이가 45 이상인 경우 당뇨 수준 위험 단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 위험 산출부는,
    나이가 45보다 작은 경우, 혈압을 140/90과 비교하여, 혈압이 140/9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당뇨 수준 경고 단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혈압이 140/90보다 작을 때 환자의 당뇨에 대한 가족력을 산출하여, 상기 환자가 가족력이 있는 경우 당뇨 수준 경고 단계로 산출하고, 상기 환자가 가족력이 없는 경우 당뇨 수준 정상단계로 산출하는 단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
KR1020150148801A 2015-10-26 2015-10-26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 KR20170047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801A KR20170047993A (ko) 2015-10-26 2015-10-26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801A KR20170047993A (ko) 2015-10-26 2015-10-26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993A true KR20170047993A (ko) 2017-05-08

Family

ID=6016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801A KR20170047993A (ko) 2015-10-26 2015-10-26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79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6258A (zh) * 2018-08-10 2019-01-29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基于dtw的血糖趋势预测方法、***及医疗设备
KR20210004993A (ko) * 2018-04-23 2021-01-13 메드트로닉 미니메드 인코포레이티드 환자의 디지털 트윈을 이용하는 개인화된 폐루프 약물 전달 시스템
WO2022114793A1 (ko) * 2020-11-26 2022-06-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 기반의 당뇨병 발병 위험도 예측 시스템, 예측 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993A (ko) * 2018-04-23 2021-01-13 메드트로닉 미니메드 인코포레이티드 환자의 디지털 트윈을 이용하는 개인화된 폐루프 약물 전달 시스템
CN109276258A (zh) * 2018-08-10 2019-01-29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基于dtw的血糖趋势预测方法、***及医疗设备
CN109276258B (zh) * 2018-08-10 2021-08-03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基于dtw的血糖趋势预测方法、***及医疗设备
WO2022114793A1 (ko) * 2020-11-26 2022-06-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 기반의 당뇨병 발병 위험도 예측 시스템, 예측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20075049A (ko) 2020-11-26 2022-06-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 기반의 당뇨병 발병 위험도 예측 시스템, 예측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166054A (ko) 2020-11-26 2023-12-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학습 모델을 이용한 당뇨병 발병 위험도 예측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7999A1 (en) Analyte data retriever
JP6817203B2 (ja) 検体メータ
US8667293B2 (en) Cryptographic data distribution and revocation for handheld medical devices
US9811633B2 (en) Medical software download to mobile phone
US8687811B2 (en) Diabetes care kit that is preconfigured to establish a secur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link between a blood glucose meter and insulin pump
EP2628104B1 (en) Use of a handheld medical device as a communications mediator between a personal computer-based configurator and another networked medical device
EP2628118B1 (en) Efficient procedure for pairing medical devic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limited user interaction
JP2018514826A (ja) 連続的グルコースデータを配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30082698A (ko) 건강 관리 서버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202101185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private, and trusted medical information monitoring and semi-autonomous prescription management
CN111768824A (zh) 基于区块链的健康信息辅助医疗方法、节点及***
KR20170047993A (ko) 데이터 보안 전송을 통한 당뇨 위험 산출 시스템
US20180263495A1 (en) Secure pulse oximeter, monitor and cloud connection
El Zouka An authentication scheme for wireless healthcare monitoring sensor network
CA2981939C (en) Measurement system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n analyte with a subcutaneous analyte sensor
US202104076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health monitoring, analyzing, and response
US20230088697A1 (en) Trusted data provenance
Caldwell The case for a security metric framework to rate cyber security effectiveness for Internet of Medical Things (IoMT)
Carrizales-Villagómez et al. A Platform for e‐Health Control and Location Services for Wandering Patients
US20220366027A1 (en) Using Continuous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For Security
US20240156395A1 (en) Tracking, reporting, and visualizing pregnancy-related analyte data
WO201809215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health of a subject.
US202400964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wound therapy
CA3238339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wellness monitoring with physiological sensors
IT202100011624A1 (it) Sistema e metodo per il monitoraggio a distanza di parametri fisiologici dell’apparato respiratorio di una perso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