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509A - 슬관절 결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슬관절 결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509A
KR20170046509A KR1020150146946A KR20150146946A KR20170046509A KR 20170046509 A KR20170046509 A KR 20170046509A KR 1020150146946 A KR1020150146946 A KR 1020150146946A KR 20150146946 A KR20150146946 A KR 20150146946A KR 20170046509 A KR20170046509 A KR 20170046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bial
slide
tray
insert
tibial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4741B1 (ko
Inventor
유의식
강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to KR1020150146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7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9Tibi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67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621Features concerning the anatomical functioning or articulation of the prosthetic joint
    • A61F2002/30624Hinged joint, e.g. with transverse axle restricting the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경골 트레이의 일측에 슬라이드부가 돌출 형성되어 일측에 슬라이드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골 인서트의 상기 트레이로의 삽입 시 상기 슬라이드가 결합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하여 상기 인서트의 삽입 시작점을 별도로 찾을 필요가 없어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의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상호 슬라이드 결합된 이후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전방향으로 해제를 방지할 수 있어 더욱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트레이의 슬라이드부의 맞은편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일측에 후크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골 인서트와의 슬라이드 결합 이후 맞은편 일단을 후크결합하여 최종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른 상기 인서트와 트레이의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상호 해제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드 및 돌출부와 슬라이드수용부 및 후크결합부에 의한 결합으로 상기 인서트 삽입시 트레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삽입되는 것이 아닌 상기 트레이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될 수 있어 상호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관절 결합 시스템{Knee Combining System}
본 발명은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경골 트레이의 일측에 슬라이드부가 돌출 형성되어 일측에 슬라이드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골 인서트의 상기 트레이로의 삽입 시 상기 슬라이드가 결합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하여 상기 인서트의 삽입 시작점을 별도로 찾을 필요가 없어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의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상호 슬라이드 결합된 이후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전방향으로 해제를 방지할 수 있어 더욱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트레이의 슬라이드부의 맞은편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일측에 후크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골 인서트와의 슬라이드 결합 이후 맞은편 일단을 후크결합하여 최종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른 상기 인서트와 트레이의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상호 해제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드 및 돌출부와 슬라이드수용부 및 후크결합부에 의한 결합으로 상기 인서트 삽입시 트레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삽입되는 것이 아닌 상기 트레이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될 수 있어 상호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관절염, 외상 등에 의해 무릎관절이 제 기능을 상실하였을 때 손상된 관절을 대체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이식하여 정상적인 무릎관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술하게 된다.
통상의 인공관절 삽입 보철물은 경골의 절제된 근위단에 장착하는 경골요소, 대퇴골의 절제된 원위단에 장착하는 대퇴골요소, 상기 경골요소와 대퇴골요소 사이에 삽입 및 고정되는 경골 인서트를 포함한다. 경골요소 및 대퇴골요소는 통상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인서트는 통상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도 1은 슬관절에 인공관절 보철물이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인공관절 보철물의 참고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인공관절 보철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인공관절 보철물을 삽입하기 위해 슬관절에 형성된 절단면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1은 인공관절 치환술이 시술된 슬관절을 보여주고, 대퇴골(F)에 대퇴골요소(500)가 결합되고 경골(T)에는 경골요소(600)가 결합되며 상기 대퇴골요소(500)와 경골요소(600)의 사이에 경골 인서트(700)가 위치한다. 상기 대퇴골(F)과 경골(T)에 도 1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는 대퇴골요소(500)와 경골요소(600)를 이식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부를 형성하여야 한다.
경골(T)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절단블록을 사용하여 상기 경골(T)에 절단면(800)을 형성한 후 경골요소(600)의 포스트(620)와 킬(630)을 수용하는 안착홈(810)을 형성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경골(T)에 경골요소(600)의 포스트(620)를 수용하는 포스트홈(811)을 형성하고 그 후 상기 경골요소(600)의 킬(630)을 수용하는 킬홈(812)을 형성한다. 그에 의하여 절단면(800) 상에 경골요소(600)의 경골 트레이(610)가 안착된 이후, 상기 트레이(610)의 상부면에 경골 인서트(700)를 결합한다.
도 5는 종래의 경골 인서트를 경골 트레이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술할 때 상기 경골 트레이(610) 상부면에 경골 인서트(700)을 삽입하여 결합하는 경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였다. 구체적으로, 경골 트레이(610)의 전방 측에 단(h)이 형성되어 있어 경골 인서트(700)가 상기 트레이(610)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삽입될 수밖에 없어 상호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에 비하여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점과, 상기 인서트(700)의 노치 부분에서 상기 인서트(700)와 트레이(610)가 상호 결합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호 결합시 별도의 가이드가 존재하지 않아 상기 트레이(610)로의 인서트(700)의 삽입 시작점을 찾아서 결합해야 하는 문제 역시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0-0033955호는 일치-불일치성 복합 인공 관절을 구비한 고정형 베어링 관절 내부 인공 삽입물로, 관절면을 형성하여 상기 관절면이 관절구들 중 하나만 선접촉 하도록 형성하여, 고정형 베어링 관절면을 개선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으나, 고정형 베어링이 경골요소의 상부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개시하지 않고 있으므로, 상기 베어링을 경골요소에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와, 상기 베어링이 경골요소에 결합된다 하여도 상기 베어링과 경골요소의 수직 방향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른 해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인공관절 치환술의 시술 시 시술시간이 지연되어 과다출혈 및 그에 따른 후유증 발생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경골 트레이의 상부면 일측에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경골 인서트의 하부면 일측에 슬라이드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드부 및 슬라이드수용부가 경골 트레이와 경골 인서트의 결합을 가이드하여 별도로 상기 인서트의 삽입 시작점을 찾을 필요가 없어 상호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드부에 헤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수용부에 헤드안착부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 상기 경골 트레이와 경골 인서트가 노치 부분에서 수직방향으로의 해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드수용부에 헤드밀착부와 지지수용부를 포함하여 결합된 상기 경골 트레이와 경골 인서트가 전술한 노치 부분에서 수직 방향으로의 해제되는 것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의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골 트레이의 상부면 일측에 돌출부를 포함하고 경골 인서트의 하부면 일측에 후크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경골 트레이와 경골 인서트가 슬라이드 결합 뿐만 아니라 후크 결합을 통해 최종 결합 되어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크결합부의 고정돌기 및 결합부에 의해 상기 돌출부의 수평방향 해제를 방지하여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와 일정 거리를 두고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양 측벽이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상기 돌출부가 보다 용이하게 결합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돌출부가 결합부에 안착된 이후에는 상기 결합부의 측벽이 돌출부의 양 측면을 압박할 수 있어 상기 돌출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트레이의 슬라이드 및 돌출부와, 상기 인서트의 슬라이드수용부 및 후크결합부에 의해 상기 인서트가 트레이에 결합될 때 일정 각도를 가지고 삽입되는 것이 아닌 수평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어 상호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의하면, 경골 트레이의 상부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경골 인서트의 상기 경골 트레이로의 슬라이드 결합을 가이드 하여 상기 인서트의 경골 트레이로의 삽입 시작점을 찾을 필요가 없어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여 슬라이드 결합 후 경골 인서트와 수평 이동과 수직 이동에 따른 해제를 방지하는 경골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의하면, 경골 트레이의 상부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경골 인서트와 후크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경골 인서트와 수평방향으로의 해제를 방지하는 경골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의하면, 경골 트레이의 상부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경골 인서트의 상기 경골 트레이로의 슬라이드 결합을 가이드 하여 상기 인서트의 경골 트레이로의 삽입 시작점을 찾을 필요가 없어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맞은편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경골 인서트와 후크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슬라이드 결합에 의해 상기 인서트와 수평 이동과 수직 이동에 따른 해제를 방지하고, 후크 결합에 따른 추가적인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인서트와 수평 이동에 따른 해제를 방지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와 돌출부에 의해 상기 인서트가 일정한 각도 없이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경골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부면에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경골 트레이의 상부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T'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부면에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경골 트레이의 상부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T'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경골 트레이의 슬라이드부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부면 일측에 함입 형성되는 슬라이드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경골 트레이로의 삽입 시작점을 찾을 필요가 없어 상기 트레이와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슬라이드 결합 후 상기 경골 트레이와 수평 이동과 수직 이동에 따른 해제를 방지하는 경골 인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경골 트레이의 돌출부를 수용하며 상기 돌출부가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면 일측에 함입 형성되는 후크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경골 트레이와의 결합 후 수평 이동에 따른 해제를 방지하는 경골 인서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경골 트레이의 슬라이드부가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면 일측에 함입 형성되는 슬라이드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골 트레이의 돌출부를 수용하여 상기 돌출부가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의 맞은 편 일측에 함입 형성되는 후크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경골 트레이와의 결합을 가이드하여 상기 트레이로의 삽입 시작점을 찾을 필요가 없어 상기 트레이와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슬라이드 결합 후 상기 트레이와 수평 이동과 수직 이동에 따른 해제를 방지하고, 상기 경골 트레이와 의 결합 후 수평 이동에 따른 해제를 방지하는 경골 인서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수용부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슬라이드수용부를 통해 슬라이드 결합하는 경우 상기 헤드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헤드밀착부와, 상기 헤드밀착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수용부의 내측을 향하여 일정 거리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수직 이동을 방지하는 헤드안착부와, 상기 헤드안착부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지지수용부를 포함하여, 'T' 단면 형상으로 일정 길이 함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후크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는 돌출수용부와, 상기 돌출수용부의 측벽 말단으로부터 내측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후크결합부의 후크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의 수평방향으로의 해제를 방지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의 말단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돌출부의 양 측면을 압박하여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후크결합부는 결합부의 양 측벽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결합부의 양 측벽을 따라 일정 부분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홈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의 양 측벽이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상기 돌출부가 결합부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의 양 측벽이 상기 돌출부의 양 측면을 탄성에 의해 압박할 수 있어 상기 돌출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부면에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경골 트레이의 상부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T'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수용부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슬라이드수용부를 통해 슬라이드 결합하는 경우 상기 헤드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헤드밀착부와, 상기 헤드밀착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수용부의 내측을 향하여 일정 거리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수직 이동을 방지하는 헤드안착부와, 상기 헤드안착부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지지수용부를 포함하여, 'T' 단면 형상으로 일정 길이 함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후크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는 돌출수용부와, 상기 돌출수용부의 측벽 말단으로부터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후크결합부의 후크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의 수평방향으로의 해제를 방지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의 말단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돌출부의 양 측면을 압박하여 상기 트레이 및 인서트의 전방향의 수평이동을 제한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후크결합부는 결합부의 양 측벽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결합부의 양 측벽을 따라 일정 부분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홈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의 양 측벽이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상기 돌출부가 결합부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의 양 측벽이 상기 돌출부의 양 측면을 탄성에 의해 압박할 수 있어 상기 돌출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결합부의 횡방향 폭이 상기 돌출수용부의 횡방향 폭 길이보다 작고, 상기 돌출부의 횡방향 폭 길이와 비슷하여,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양 측면을 압박하여 상기 돌출부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돌출수용부의 횡방향 폭은 상기 돌출부의 횡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돌출수용부 내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고정돌기까지의 수평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결합부의 횡방향 폭이 상기 돌출수용부의 횡방향 폭 길이보다 작고, 상기 돌출부의 횡방향 폭 길이와 비슷하여,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양 측면을 압박하여 상기 돌출부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수용부의 종방향 폭이 상기 슬라이드부와 돌출부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경골 인서트를 슬라이드부의 삽입 시작점에 정렬하고 삽입할 때에 상기 슬라이드수용부의 일부가 돌출부와 중첩되어 상기 인서트의 수평 삽입을 간섭받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서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경골 트레이의 상부면 일측에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경골 인서트의 하부면 일측에 슬라이드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드부 및 슬라이드수용부가 경골 트레이와 경골 인서트의 결합을 가이드하여 별도로 상기 인서트의 삽입 시작점을 찾을 필요가 없어 상호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드부에 헤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수용부에 헤드안착부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 상기 경골 트레이와 경골 인서트가 노치 부분에서 수직방향으로의 해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드수용부에 헤드밀착부와 지지수용부를 포함하여 결합된 상기 경골 트레이와 경골 인서트가 전술한 노치 부분에서 수직 방향으로의 해제되는 것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의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골 트레이의 상부면 일측에 돌출부를 포함하고 경골 인서트의 하부면 일측에 후크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경골 트레이와 경골 인서트가 슬라이드 결합 뿐만 아니라 후크 결합을 통해 최종 결합 되어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크결합부의 고정돌기 및 결합부에 의해 상기 돌출부의 수평방향 해제를 방지하여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와 일정 거리를 두고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양 측벽이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상기 돌출부가 보다 용이하게 결합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돌출부가 결합부에 안착된 이후에는 상기 결합부의 측벽이 돌출부의 양 측면을 압박할 수 있어 상기 돌출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트레이의 슬라이드 및 돌출부와, 상기 인서트의 슬라이드수용부 및 후크결합부에 의해 상기 인서트가 트레이에 결합될 때 일정 각도를 가지고 삽입되는 것이 아닌 수평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어 상호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슬관절에 인공관절 보철물이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
도 2는 종래의 인공관절 보철물의 참고도
도 3은 종래의 인공관절 보철물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인공관절 보철물을 삽입하기 위해 슬관절에 형성된 절단면을 보여주는 참고도
도 5는 종래의 경골 인서트를 경골 트레이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의 사시도
도 7 및 8은 도 6에 따른 경골 트레이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골 인서트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수용부의 확대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결합부의 확대도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골 인서트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7 및 8은 도 6에 따른 경골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골 인서트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수용부의 확대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결합부의 확대도이고,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골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은, 경골에 결합되는 경골요소(tibial component)를 이식할 때에 경골 시술부의 절단면 상에 안착되는 경골요소의 경골 트레이(tibial tray)(1)와, 상기 경골 트레이(1)가 대퇴부 요소와 협력하여 슬관절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반월판인 경골 인서트(3)(tibial insert)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경골 트레이(1)에 결합하는 경골 인서트(3)의 전 부분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경골 트레이(1)와 경골 인서트(3)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경골 트레이(1)와 경골 인서트(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경골 트레이(1)는 경골 시술부의 절단면 상에 안착되며 경골 인서트(3)를 수용하여 상기 경골 인서트(3)와 결합하고 상기 경골 요소의 일부를 이루는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상승 엣지(11), 슬라이드부(13), 돌출부(15), 제 1 노치(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승 엣지(11)는 경골 트레이(1)의 상부면 후방(1'') 측 모서리를 따라 상측으로 일정 높이와 두께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경골 트레이(1)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경골 인서트(3)의 후방(3'') 측 일면에 형성되는 후술할 리세스(31)와 맞물려서 접촉하여, 상기 인서트(3)가 트레이(1)에 결합된 이후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인서트(3)는 고정형 인서트(3)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드부(13)는 상기 경골 트레이(1)의 상부면 일측, 바람직하게 상기 경골 트레이(1)의 상부면 후방(1'') 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승 엣지(11)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트레이(1)의 상부면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경골 인서트(3)의 경골 트레이(1)로의 결합을 가이드 하여 상기 트레이(1)와 인서트(3)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 후 상기 경골 트레이(1) 및 인서트(3)의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을 제한하여 상호 결합력을 강화시킨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부(13)와 후술할 슬라이드수용부(33)에 의해 제 1 및 제 2 노치(17, 37) 부분에서도 상기 트레이(1)와 인서트(3)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13)의 형상은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 그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부(13)는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후술할 경골 인서트(3)의 슬라이드수용부(33)를 통해 슬라이드 결합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부(13)는 헤드부(131)와 지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31)는 슬라이드부(13)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후술할 슬라이드 수용부(33)의 헤드밀착부(331)에 의해 양 측면 말단이 가이드되고 상기 트레이(1)와 인서트(3)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헤드안착부(333) 상에 양측 하부면이 안착되어 상기 인서트(3)와 트레이(1)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상호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33)는 헤드부(131)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경골 트레이(1)의 상부면까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상기 지지부(133)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지지수용부(335)에 의해 가이드 되어 상기 경골 트레이(1)와 경골 인서트(3)가 슬라이드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슬라이드수용부(33)의 지지수용부(335)와 밀착되어 상기 트레이(1)와 인서트(3)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트레이(1)와 인서트(3)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3)의 단면 형상에는 제한이 없고, 임의의 형상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폭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15)는 상기 경골 트레이(1)의 상부면 일측, 바람직하게 상기 경골 트레이(1)의 상부면 전방(1') 측 모서리의 중앙에 상기 슬라이드부(13)와 일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며 형성되는 구성으로, 경골 인서트(3)의 후크결합부(35)에 수용 및 고정되어 상기 경골 인서트(3)와 경골 트레이(1)의 슬라이드 결합 후 최종결합에 따른 상기 경골 인서트(3)와의 수평 방향으로의 해제를 방지하여 상기 트레이(1)와 인서트(3)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돌출부(15)는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일정한 횡방향 폭(w)을 가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노치(17)는 상기 경골 트레이(1) 상부면의 후방(1'') 일측에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후방 십자인대의 통로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경골 트레이(1)의 후방(1'') 측에 내측으로 굴곡지게 일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경골 인서트(3)는 상기 경골 트레이(1)가 대퇴부 요소와 협력하여 슬관절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경골 트레이(1)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상기 트레이(1)와 결합하고 일정 형상, 바람직하게 상기 트레이(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리세스(31), 슬라이드수용부(33), 후크결합부(35)와, 제 2 노치(3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리세스(31)는 상기 경골 인서트(3)의 하부면 일측, 바람직하게 하부면 후방(3'') 측 말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두께 및 일정 높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상기 제 1 상승엣지(11)를 수용하고 상기 엣지(11)와 밀착하여 상기 경골 트레이(1)와 결합하여 상기 인서트(3)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여 상기 트레이(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리세스(31)는 상기 엣지(11)와 밀착 결합하기 위해 상기 엣지(11)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승엣지(11)가 리세스(31)와 밀착 결합되어 상기 경골 인서트(3)가 경골 트레이(1) 상에서 회전 등 수평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경골 인서트(3)는 고정형 경골 인서트(3)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수용부(33)는 상기 경골 트레이(1)와 경골 인서트(3)가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경골 인서트(3)의 하부면 일측, 바람직하게 하부면 후방(3'')에 함입 형성되는 구성으로,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 상기 리세스(31)의 내측 말단에 'T' 단면 형상으로 일정 길이 함입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수용부(33)가 슬라이드부(13)를 통해 가이드 되어 별도의 결합 위치를 파악할 필요 없이 상기 경골 트레이(1)와 인서트(3)가 결합될 수 있어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슬라이드 결합된 이후 상기 트레이(1)와 인서트(3)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의 해제를 방지하여 노치(17, 37) 부분에서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7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수용부(33)의 종방향 폭(l)은 상기 슬라이드부(13)와 돌출부(15)의 간격(d)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경골 인서트(3)를 경골 트레이(3)의 슬라이드부(13)의 삽입 시작점에 정렬하고 삽입할 때에 상기 슬라이드수용부(33)의 일부가 돌출부(15)와 중첩되어 상기 인서트(3)의 수평 삽입을 간섭받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수용부(33)는 헤드밀착부(331), 헤드안착부(333)와, 지지수용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밀착부(331)는 상기 슬라이드부(13)의 헤드부(131)가 슬라이드 되어 고정되도록 하측으로 일정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양 측에 상기 헤드부(131)의 양 측면 말단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구성으로, 상기 헤드부(131)가 헤드밀착부(331)를 통해 슬라이드 결합하는 경우 상기 헤드밀착부(331)가 상기 헤드부(131)와 밀착하여 상기 헤드부(131)의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상기 트레이(1)와 인서트(3)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헤드안착부(333)는 상기 헤드밀착부(331)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수용부(33)의 내측을 향하여 일정 거리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슬라이드부(13)의 헤드부(131)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여 상기 경골 트레이(1)와 경골 인서트(3)의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트레이(1)와 인서트(3)의 수직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상기 트레이(1)와 인서트(3)가 서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수용부(335)는 상기 헤드안착부(333)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슬라이드부(13)의 지지부(133)와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133)의 슬라이드 결합을 가이드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수용부(335)의 단면 형상에는 제한이 없고, 임의의 형상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폭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상기 지지부(133)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다. 그로 인하여, 상기 지지수용부(335)는 상기 지지부(133)의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상기 트레이(1)와 인서트(3)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후크결합부(35)는 상기 경골 인서트(3)의 일측, 바람직하게 하부면 전방(3')으로, 상기 슬라이드수용부(33)의 맞은 편 일측에 함입 형성되는 구성으로,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 직육면체의 함입 형성된 공간과, 상기 함입 형성된 공간의 양 측면의 일측에 일정 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절개홈(35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결합부(35)에 내에 돌출부(15)가 수용된 이후 후크 결합되어 상기 경골 트레이(1)와 경골 인서트(3)의 최종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결합의 수평방향으로의 해제를 방지하여 상기 경골 인서트(3)와 경골 트레이(1)의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후크결합부(35)는 돌출수용부(351), 고정돌기(353), 결합부(355)와, 절개홈(35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수용부(351)는 상기 경골 인서트(3)의 하부면 전방(3') 일측에 함입 형성되는 구성으로,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 직육면체의 함입 형성된 공간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5)가 돌출수용부(351)를 통해 최종 결합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수용부(351)의 횡방향 폭(W1)은 돌출부(15)의 횡방향 폭(w)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수용부(351) 내에 위치하는 돌출부(15)의 일정 수준 이상의 좌우 이동은 상기 돌출수용부(351)의 측벽에 의해 제한되지만 상기 돌출부(15)가 상기 돌출수용부(351)의 측벽에 끼워져 방해받지 않으므로 후술할 고정돌기(353)까지의 상기 돌출부(15)의 전후 방향의 수평 이동은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5)의 최종 결합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353)는 돌출수용부(351)의 측벽 말단으로부터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로, 상기 돌출부(15)와 후크결합부(35)의 후크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트레이(1)와 경골 인서트(3)의 최종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경골 트레이(1)와 경골 인서트(3)의 수평 방향으로의 해제를 방지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돌기(353)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수용부(351)로부터 이어지는 측은 내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면(353a)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53a)의 말단에는 후술할 결합부(355)의 측벽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면(353b)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5)의 돌출수용부(351)로부터 후술할 결합부(355)로의 이동은 가능하지만, 반대로 상기 결합부(355)로부터 돌출수용부(351)로의 이동은 상기 돌출부(15)가 상기 수직면(353b)에 걸리게 되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돌기(353)는 상기 돌출부(15)의 결합부(355) 내에서의 후크 결합에 따른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결합부(355)는 후크결합부(35)의 양 측벽에 형성되는 고정돌기(353)의 수직면(353b)의 말단으로부터 이어지는 공간으로,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 직육면체의 함입 형성된 공간을 가진다. 또한, 상기 결합부(355)의 횡방향 폭(W2)은 상기 돌출수용부(351)의 횡방향 폭(W1)보다 작고, 상기 돌출부(15)의 횡방향 폭(w)과 비슷하여, 상기 결합부(355)는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돌출부(15)의 양 측면을 압박하여 상기 돌출부(15)의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355) 내부의 돌출부(15)는 결합부(355)에 의해 압박을 받음과 동시에 상기 고정돌기(353)에 의해 후크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1) 및 인서트(3)의 전방향 수평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353)와 결합부(355)에 의해 상기 트레이(1)와 인서트(3)의 최종 결합이 가능하고, 상호 수평 방향으로의 해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절개홈(357)은 결합부(355)의 양 측벽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결합부(355)의 양 측벽을 따라 일정 부분 절개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5)의 횡방향 폭(w)과 결합부(355)의 횡방향 폭(W2)이 상호 비슷하므로 상기 돌출부(15)가 결합부(355)에 안착되어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부(355)의 재료 자체의 탄성만으로는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절개홈(357)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합부(355)의 양 측벽이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상기 돌출부(15)가 보다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돌출부(15)가 결합부(355)에 안착된 이후에는 상기 결합부(355)의 측벽이 상기 돌출부(15)의 양 측면을 탄성에 의해 압박할 수 있어 상기 돌출부(15)를 견고하게 고정 시킴으로써 상기 트레이(1)와 인서트(3)의 견고한 최종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노치(37)는 후방 십자인대의 통로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경골 인서트(3)의 후방(3'') 측에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경골 인서트(3)와 결합하는 경골 트레이(1)의 제 1 노치(17)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상기 경골 인서트(3)의 후방(3'') 일측 및 리세스(31)의 일측이 제 1 노치(17)와 상응하는 제 2 노치(37)를 형성하기 위해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포스트(39)는 상기 경골 인서트(3)의 상부면 일측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인공슬관절 시술에는 CR 타입과 PS 타입의 시술이 있는데, CR 타입이란 후방 십자인대를 제거하지 아니한 상태에서의 인공슬관절을 시술하는 경우의 인공슬관절의 유형이고, PS 타입이란 후방 십자인대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후방십자인대를 상기 인서트(3)의 포스트(39)로 대체하는 인공슬관절의 유형을 말한다. 상기 PS 타입의 인공슬관절의 경우에는 상기 인서트(3)의 포스트(39)와 대퇴골 결합부재의 캠으로 인하여 제거된 후방십자인대를 대신하게 된다. 따라서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포스트(39)는 후방 십자인대를 제거한 경우에만 필요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필수적 구성은 아니고, 시술 방식에 따라 상기 경골 인서트(3)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관절 결합 시스템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이하에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골 트레이(1)와 인서트(3)의 결합과정을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경골 인서트(3)는 경골 트레이(1)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경골 트레이(1)에 일정 각도를 가지고 삽입되지 않고 상기 경골 트레이(1)의 상부면에 안착된다. 그 후, 상기 경골 트레이(1)의 슬라이드부(13)가 인서트(3)의 슬라이드수용부(33)를 통해 가이드 되어 슬라이드 결합되므로 경골 인서트(3)의 삽입 시작점을 따로 찾을 필요가 없고 수평 결합 가능하여 상기 경골 인서트(3)의 용이한 삽입 및 결합과 상기 트레이(1)와 인서트(3)의 결합 후 증진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상기 경골 트레이(1)의 돌출부(15)가 인서트(3)의 후크 결합부(35)의 돌출수용부(351)를 통해 가이드 된 후 고정돌기(353)와 결합부(355)를 통해 후크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1)와 인서트(3)가 최종 결합되므로 상기 트레이(1)와 인서트(3) 상호 간 전방향의 수평방향의 해제를 방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경골 트레이
11 : 상승 엣지
13 : 슬라이드부
131 : 헤드부 133 : 지지부
15 : 돌출부 17 : 제 1 노치
3 : 경골 인서트
31 : 리세스
33 : 슬라이드수용부
331 : 헤드밀착부 333 : 헤드안착부 335 : 지지수용부
35 : 후크결합부
351 : 돌출수용부
353 : 고정돌기 353a : 경사면 353b : 수직면
355 : 결합부 357 : 절개홈
37 : 제 2 노치 39 : 포스트

Claims (18)

  1. 경골 트레이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어 경골 인서트의 상기 경골 트레이로의 슬라이드 결합을 가이드 하여 상기 인서트의 트레이로의 삽입 시작점을 찾을 필요가 없어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여 슬라이드 결합 후 경골 인서트와 수평 이동과 수직 이동에 따른 해제를 방지하는 경골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2. 경골 트레이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어 경골 인서트와 후크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경골 인서트와 수평방향으로의 해제를 방지하는 경골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3. 경골 트레이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어 경골 인서트의 상기 경골 트레이로의 슬라이드 결합을 가이드 하여 상기 인서트의 트레이로의 삽입 시작점을 찾을 필요가 없어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맞은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경골 인서트와 후크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슬라이드 결합에 의해 상기 인서트와 수평 이동과 수직 이동에 따른 해제를 방지하고, 후크 결합에 따른 추가적인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인서트와 수평 이동에 따른 해제를 방지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와 돌출부에 의해 상기 인서트가 일정한 각도 없이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경골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부면에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경골 트레이의 상부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T'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부면에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경골 트레이의 상부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T'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 트레이의 슬라이드부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부면 일측에 함입 형성되는 슬라이드수용부를 포함하여 상기 경골 트레이로의 삽입 시작점을 찾을 필요가 없어 상기 트레이와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슬라이드 결합 후 상기 경골 트레이와 수평 이동과 수직 이동에 따른 해제를 방지하는 경골 인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 트레이의 돌출부를 수용하며 상기 돌출부가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면 일측에 함입 형성되는 후크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경골 트레이와의 결합 후 수평 이동에 따른 해제를 방지하는 경골 인서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 트레이의 슬라이드부가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면 일측에 함입 형성되는 슬라이드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골 트레이의 돌출부를 수용하여 상기 돌출부가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수용부의 맞은 편 일측에 함입 형성되는 후크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경골 트레이와의 결합을 가이드하여 상기 트레이로의 삽입 시작점을 찾을 필요가 없어 상기 트레이와의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슬라이드 결합 후 상기 트레이와 수평 이동과 수직 이동에 따른 해제를 방지하고, 상기 경골 트레이와 의 결합 후 수평 이동에 따른 해제를 방지하는 경골 인서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수용부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슬라이드수용부를 통해 슬라이드 결합하는 경우 상기 헤드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헤드밀착부와,
    상기 헤드밀착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수용부의 내측을 향하여 일정 거리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수직 이동을 방지하는 헤드안착부와,
    상기 헤드안착부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지지수용부를 포함하여, 'T' 단면 형상으로 일정 길이 함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후크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는 돌출수용부와,
    상기 돌출수용부의 측벽 말단으로부터 내측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후크결합부의 후크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의 수평 이동에 따른 해제를 방지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의 말단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돌출부의 양 측면을 압박하여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결합부는 결합부의 양 측벽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결합부의 양 측벽을 따라 일정 부분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홈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의 양 측벽이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상기 돌출부가 결합부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의 양 측벽이 상기 돌출부의 양 측면을 탄성에 의해 압박할 수 있어 상기 돌출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부면에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경골 트레이의 상부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T'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수용부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슬라이드수용부를 통해 슬라이드 결합하는 경우 상기 헤드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헤드밀착부와,
    상기 헤드밀착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수용부의 내측을 향하여 일정 거리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수직 이동을 방지하는 헤드안착부와,
    상기 헤드안착부의 내측 말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지지수용부를 포함하여, 'T' 단면 형상으로 일정 길이 함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13. 제8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후크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는 돌출수용부와,
    상기 돌출수용부의 측벽 말단으로부터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후크결합부의 후크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트레이와 인서트의 수평방향으로의 해제를 방지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의 말단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돌출부의 양 측면을 압박하여 상기 트레이 및 인서트의 전방향의 수평이동을 제한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결합부는 결합부의 양 측벽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결합부의 양 측벽을 따라 일정 부분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홈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의 양 측벽이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상기 돌출부가 결합부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의 양 측벽이 상기 돌출부의 양 측면을 탄성에 의해 압박할 수 있어 상기 돌출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수용부의 횡방향 폭은 상기 돌출부의 횡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돌출수용부 내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고정돌기까지의 수평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횡방향 폭이 상기 돌출수용부의 횡방향 폭 길이보다 작고, 상기 돌출부의 횡방향 폭 길이와 비슷하여,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양 측면을 압박하여 상기 돌출부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수용부의 횡방향 폭은 상기 돌출부의 횡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돌출수용부 내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고정돌기까지의 수평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결합부의 횡방향 폭이 상기 돌출수용부의 횡방향 폭 길이보다 작고, 상기 돌출부의 횡방향 폭 길이와 비슷하여,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양 측면을 압박하여 상기 돌출부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18. 제8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수용부의 종방향 폭이 상기 슬라이드부와 돌출부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경골 인서트를 슬라이드부의 삽입 시작점에 정렬하고 삽입할 때에 상기 슬라이드수용부의 일부가 돌출부와 중첩되어 상기 인서트의 수평 삽입을 간섭받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관절 결합 시스템.
KR1020150146946A 2015-10-21 2015-10-21 슬관절 결합 시스템 KR101744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946A KR101744741B1 (ko) 2015-10-21 2015-10-21 슬관절 결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946A KR101744741B1 (ko) 2015-10-21 2015-10-21 슬관절 결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509A true KR20170046509A (ko) 2017-05-02
KR101744741B1 KR101744741B1 (ko) 2017-06-20

Family

ID=58742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946A KR101744741B1 (ko) 2015-10-21 2015-10-21 슬관절 결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7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134A (ko) *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코렌텍 인공 슬관절
WO2021049690A1 (ko) * 2019-09-11 2021-03-18 코렌텍 인공 슬관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1271A1 (en) * 2006-10-13 2008-04-17 Bonitati John A Mobile/fixed prosthetic knee systems
US8764840B2 (en) * 2010-07-24 2014-07-01 Zimmer, Inc. Tibial prosthesis
US8603101B2 (en) 2010-12-17 2013-12-10 Zimmer, Inc. Provisional tibial prosthesis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134A (ko) *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코렌텍 인공 슬관절
WO2021049690A1 (ko) * 2019-09-11 2021-03-18 코렌텍 인공 슬관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741B1 (ko)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2545B2 (en) Knee arthroplasty prosthesis method
CA2806323C (en) Tibial prosthesis
US7695519B2 (en) Modular tibial baseplate
US7357817B2 (en) Modular keel tibial component
JP6117300B2 (ja) 脛骨のインプラントベース
US9763794B2 (en) Tibial prosthesis
US6827739B2 (en) Easily assembled provisional orthopaedic implant
US20140114427A1 (en) Revision knee tibial locking mechanism
KR101744741B1 (ko) 슬관절 결합 시스템
US9005300B2 (en) Tibial insert locking mechanism
KR101744737B1 (ko) 슬관절 트라이얼 시스템
AU2014250709B2 (en) Tibial prosth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