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700A -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 Google Patents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700A
KR20170040700A KR1020150140002A KR20150140002A KR20170040700A KR 20170040700 A KR20170040700 A KR 20170040700A KR 1020150140002 A KR1020150140002 A KR 1020150140002A KR 20150140002 A KR20150140002 A KR 20150140002A KR 20170040700 A KR20170040700 A KR 20170040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p
air
layer
ma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5862B1 (ko
Inventor
안정배
Original Assignee
안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배 filed Critical 안정배
Priority to KR1020150140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862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06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protect the underlying surface, e.g. temporary covers, disposable carpets, absorbent pads, wheelchair pads, hearth ru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1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support or 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층간소음을 감소시키는 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어린이나 아동 등의 활동공간에 깔아둠으로써 어린이 등의 활동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층간소음을 방지하는데 획기적인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매트의 표면을 형성하며, 테두리부가 서로 부착되어 내부에 완충공간이 형성되는 상측표면부재와 하측표면부재; 및 상기 완충공간 내부에 형성되어 충간소음을 차단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로서,
상기 완충부재는 공기층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층은 다수 개의 에어캡이 형성된 에어캡층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캡층은 상기 에어캡이 형성되도록 공기가 내재되는 공기채움밀폐공간을 제공하도록 복수개의 볼록한 돌출부를 갖는 제1 시트와; 상기 복수의 돌출부에 공기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공기채움밀폐공간을 밀실토록 상기 제1 시트에 부착되어 상기 돌출부를 폐쇄하는 제2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AIR MAT FOR PREVENTION NOISE BETWEEN FLOORS}
본원발명은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매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캡을 포함하는 적층된 매트를 이용하여 상층의 바닥면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음을 감소시켜, 하층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배제하는 효과를 지닌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원발명에 의한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는 어린이나 아동 등의 활동공간에 깔아둠으로써 어린이 등의 활동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층간소음을 방지하는데 획기적인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에어캡'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으나, 이는 '에어백', '에버포켓' 또는 단순히 '에어'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은 위층 바닥과 아래층 천장이 층간 슬래브라는 동일한 구조체로 공유되기 때문에 위층에서 발생된 각종 소음들이 층간 슬래브를 통하여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바닥을 이웃세대와 공유해야 하는 공동주택의 경우 보행이나 아이들의 뜀박질, 물체의 낙하, 기타 가구 등의 이동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이 이웃 세대로 전달되면서 이웃 간에 불미스러운 일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등 층간소음 문제 해결을 위해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관련 규제가 반영되어 있다. 이 규정에 의하여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방지기준이 설정되어 있다.
이 규정에서는 특히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으로 경량 바닥충격음(낙하 및 의자 끄는 소리 등에 의한 중고주파수 대역 위주의 소음)은 58dB 이하, 중량 바닥충격음(보행이나 아이들의 뜀박질 등에 의해 발생하는 저주파수 대역 위주의 소음)은 50dB 이하로 정하고 있다.
이러한 층간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단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0822호(이하 '선행발명 1'이라 함.)는 건축물의 시공 시에 바닥면에 완충제를 포함하여 층간소음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선행발명 1은 발생되는 진동에너지가 다단으로 적층된 구조물을 통과함으로써 진동을 균등 분산하고, 진동의 방향을 회전시켜 바닥 슬래브에 전달되는 최종 진동을 약화시키며, 상부의 진동을 재질에 변화를 주어 전달 시 주파수를 변환되어 소음을 저감시키는 공동주택용 층간진동소음 저감재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발명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5410호(이하 '선행발명 2'라 함.)가 있다. 선행발명 2는 건축물의 바닥슬래브에 설치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방지구조에 있어서, 일면의 전 영역에 걸쳐 에어캡이 촘촘히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캡의 내부에 전체 부피를 100%라고 할 때 공기보다 큰 질량의 기체의 부피가 50% 이상이 되도록 공기와 공기보다 큰 질량의 기체가 혼합된 기체가 충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체충전 에어캡 매트와 상기 기체충전 에어캡 매트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매트 보호층을 가지고, 상기 바닥슬래브의 상면에 설치되는 에어캡 매트 기반소음방지층과; 상기 에어캡 매트 기반 소음방지층의 상측에 배치된 바닥 마감재층과; 상기 에어캡 매트 기반 소음방지층과 상기 바닥 마감재층 사이에 배치된 지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에어캡 매트의 차음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선행발명 중 후자의 경우는 본원발명이 개시하고자 하는 공기층을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발명은 모두 바닥슬래브의 시공 시에 바닥슬래브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서 본원발명과 같이 필요한 곳에 추가로 위치시켜 층간소음을 제거할 수 있는 매트형이 아니다. 즉,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발명들과 더불어 층간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매트에 적용되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상술한 선행발명들과는 차이가 있는 것이다.
또한,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완충제가 바닥슬래브 자체에 포함되지 않는 기존 건축물들에 이러한 완충제를 시공하는 것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바닥 자체를 다시 시공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발포성 합성수지 등을 이용한 매트를 상층의 바닥에 배치하여 층간소음을 배제하기 위하여 노력하지만, 단순한 매트로는 진동과 충격음을 배제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본원발명과 같이 적절한 장소에 추가적으로 깔아서 층간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매트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4899호(이하 '선행발명 3'이라 함.)에 의하여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발명 3은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에 있어서, 완충 및 흡음이 가능한 발포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상측 완충부재와 하측 완충부재가 적층되어 테두리가 융착된 완충부; 상기 상측 완충부재와 하측 완충부재 사이에 적층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길이 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폐쇄되지 않도록 양측이 융착된 에어튜브가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열된 에어튜브부;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를 개시한다. 상기 선행발명 3은 본원발명과 같이 매트형이며, 에어층을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나, 본원발명과 달리 매트의 평판성이 유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단순히 에어층만을 형성할 뿐이어서 소음발생 원인 에너지를 적절하게 소산시키는 데에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원발명은 상기 선행발명 3과 달리 매트의 평판성이 유지되며, 에어층과 합성수지제 폼층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층간 소음 차단효과를 증진시키는 효율적인 구조를 가진다는 점에서 선행발명 3과는 차이점이 있다. 선행발명 3이 '에어튜브'를 이용한 것이라면 본원발명은 '버블랩(bubble wrap)'과 같은 형상을 이용한다는 점에 큰 차이가 있다. 상기 버블랩(bubble wrap)은 반구형폼(hemispherical form)에 의한 밀폐공간에 공기가 충전된 것으로서, 선행발명 3과 같이 길게 형성된 에어튜브를 사용하지 않아 매트의 평판성 유지에 유리하다.
이와 같이 반구형폼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43664호(이하 '선행발명 4'라고 함.)에 의하여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오로지 단열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일 뿐 본원발명과는 목적과 효과를 달리한다. 후술하는 효율성 증대를 위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도 않다.
KR 등록특허공보 B1 제10-1530822호 (2015.06.16.) KR 등록특허공보 B1 제10-1465410호 (2014.11.20.) KR 등록특허공보 B1 제10-1474899호 (2014.12.19.) KR 공개특허공보 A 제10-2014-0143664호 (2014.12.17.)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발명의 목적은 위층에서 발생한 진동 및 충격을 에어캡을 포함하는 매트를 이용하여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배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공기층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재질의 층을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함으로써 층간 소음 내지 진동 전달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적층된 각 층이 구조적으로 또는 형태적으로 상호 관련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매트의 평판성이 유지되도록 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적층된 각 층이 구조적으로 또는 형태적으로 상호 관련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매트의 효율은 증대시키면서도 그 높이는 낮추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밀도를 조절한 폴리에틸렌 폼층과 폴리우레탄 폼층을 이용하여 매트의 제작단가를 낮추고 효율적으로 진동과 층간소음을 배제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트의 표면을 형성하며, 테두리부가 서로 부착되어 내부에 완충공간이 형성되는 상측표면부재와 하측표면부재 및 상기 완충공간 내부에 형성되어 충간소음을 차단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로서, 상기 완충부재는 공기층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층은 다수 개의 에어캡이 형성된 에어캡층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캡층은 상기 에어캡이 형성되도록 공기가 내재되는 공기채움밀폐공간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볼록한 돌출부를 갖는 제1 시트와; 상기 복수의 돌출부에 공기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공기채움밀폐공간을 밀실토록 상기 제1 시트에 부착되어 상기 반구형돌출부를 폐쇄하는 제2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를 개시한다.
상기 볼록한 돌출부는 반구형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에어캡층은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연속하여 부착되는 보강시트를 더 포함하여, 누름작용이 있는 경우 인접하는 상기 에어캡이 연동하여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강시트는 탄성재질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에어캡층이 2개 이상 적층되되, 상기 제2 시트는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에어캡층의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연속하여 부착되어, 누름작용이 있는 경우 인접하는 상기 에어캡이 연동하여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합성수지제 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제 폼층은 폴리우레탄 폼층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측표면부재와 하측표면 부재는 단일 또는 2개 층 이상의 폴리에틸렌 폼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제 폼층은 상기 에어캡층의 제1 시트 위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캡에 대응하여 오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캡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오목홈 내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캡층과 상기 합성수지제 폼층이 적층됨에 있어서 그 두께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에어캡층이 2개 이상 적층되되, 2개의 에어캡층이 서로 마주보며 적층되고, 서로 마주보는 에어캡층의 에어캡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에어캡이 마주보는 에어캡층의 에어캡과 에어캡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마주보며 적층되는 에어캡층 사이에, 에어캡이 원위치로 회복되도록 하는 복원시트가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층간소음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로써 어린이나 아동 등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공기층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재질의 층을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함으로써 층간 소음 내지 진동 전달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적층된 각 층이 구조적으로 또는 형태적으로 상호 관련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매트의 평판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본원발명은 적층된 각 층이 구조적으로 또는 형태적으로 상호 관련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매트의 효율은 증대시키면서도 그 높이는 낮출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밀도를 조절한 폴리에틸렌 폼층과 폴리우레탄 폼층을 이용하여 매트의 제작단가를 낮추고 효율적으로 진동과 층간소음을 배제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를 제공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원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일부 절개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 2는 조립 분해 사시도를 보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일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절개된 부분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대응하여 원기둥형 에어캡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선행발명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종래 선행발명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원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작용을 보이기 위하여 일부를 투명하게 표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원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보강된 에어캡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원발명의 제3 실시 예로서 보강되어 적층된 에어캡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합성수지제 폼층과 에어캡층이 적층된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을 보인 것으로, 도 13은 합성수지제 폼층의 위 아래로 에어캡층이 형성된 것을 보인 것이고, 도 14는 합성수지제 폼층이 복수로 적층된 것을 보인 것이며, 도 15는 합성수지제 폼층과 에어캡층이 대응하는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6은 엇갈리게 마주보는 에어캡층을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마주보는 에어캡층 사이에 복원시트가 형성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 예는 본원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원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일부 절개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 2는 조립 분해 사시도를 보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일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절개된 부분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는 기본적으로 매트의 표면(s)을 형성하며, 테두리부(11)가 서로 부착되어 내부에 완충공간(12)이 형성되는 상측표면부재(10)와 하측표면부재(20)로 이루어진다. 본원발명의 특징은 상기 완충공간(12) 내부에 형성되어 충간소음을 차단하는 완충부재(30)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이다. 상기 매트는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는데, 예를 들면 가로 130cm, 세로 170cm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크기는 단순한 예시이며, 어떠한 크기이더라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30)는 공기층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층은 다수 개의 에어캡(41)이 형성된 에어캡층(40)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캡층은 상기 에어캡이 형성되도록 공기가 내재되는 공기채움밀폐공간(42)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볼록한 돌출부를 갖는 제1 시트(44)와; 상기 복수의 돌출부에 공기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공기채움밀폐공간을 밀실토록 상기 제1 시트(44)에 부착되어 상기 돌출부를 폐쇄하는 제2 시트(45)를 포함한다.
상기 볼록한 돌출부는 반구형돌출부(43)이다.
상기 상측표면부재(10)와 하측표면부재(20)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표면부재(10)와 하측표면부재(20)는 그 자체로도 일정한 두께를 가지거나 발포성 합성수지 등을 이용함으로써 층간소음 방지에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다만, 본원발명의 특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표면부재(10)와 상기 하측표면부재(2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완충부재(30)의 구조 등에 관한 것이며, 상기 상측표면부재(10)나 상기 하측표면부재(20)의 재질 무엇이더라도 본원발명이 개시하는 상기 완충부재(30)을 포함하는 한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하는 것이 된다.
상기 테두리부(11)는 융착에 의하여 상기 상측표면부재(10)와 상기 하측표면부재(20) 상호 간에 접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기층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하나의 평면에 반구형돌출부(43)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에어캡(41)이 형성되어 있는 에어캡층(40)이 공기층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볼록한 돌출부의 형태는 반구형돌출부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의 에어캡을 형성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도 4에 대응하여 원기둥형 에어캡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5의 도면부호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하였다.
상기 제1 시트(44)와 상기 제2 시트(45)는 서로 맞대어져 융착이 되되, 상기 반구형돌출부(43) 부분에는 공기채움밀폐공간(42)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시트(sheet)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통상 시트는 얇은 판을 의미한다. 본원발명의 경우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의 유동 가능한 얇은 판을 의미한다. 필름(film) 또는 막(膜) 등 용어를 사용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하여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도면에 의하면 상기 제1 시트(44)는 상부시트가 되는 것이고, 상기 제2 시트(45)는 하부시트가 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채움밀폐공간(42)은 독립적으로 공기가 충전(充塡)되어 있다. 상기 상부시트(44)와 상기 하부시트(45)는 상기 공기채움밀폐공간(42)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원발명을 직관적으로 설명하면 소위 '버블랩(bubble wrap)' 형상을 이용한 것이다. 상기 버블랩(bubble wrap) 형상은 일반적으로 '뽁뽁이'라고도 불리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온 등의 기능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나 본원발명은 이의 재질을 강화하여 층간 소음 방지 기능을 구현토록 한 것이다.
앞의 선행발명 4에 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공기층은 튜브 형태와 반구형돌출부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돌출부를 '에어캡'이라 칭한다. 이미 설명한 같이 상기 돌출부의 대표적인 유형은 반구형돌출부(43)이다. 도 6은 종래 선행발명 4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선행발명 4에 관한 도면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보온 등의 목적으로 튜브 형태나 에어캡 형태의 공기층은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이 층간 소음을 저감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며, 본원발명과 같은 구성이 당업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선행발명 3은 2014. 12. 15. 특허된 선행발명인데, 상술한 공기층을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에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기술적인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원발명은 상기 선행발명 3과 달리 에어캡을 통하여 매트의 평판성이 유지되며, 에어층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층간 소음 차단효과를 증진시키는 효율적은 구조를 가진다는 점에서 앞에서 설명한 선행발명 3과는 구별된다.
도 7은 종래 선행발명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선행발명 3이 이용한 '에어튜브'의 작용을 보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발명 3은 공기층이 길게 튜브(a) 형태로 형성되어 아래 방향 화살표와 같은 충격(p)이 발생하는 경우 위 방향 화살표와 같이 반동(도면부호 r, 反動)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반동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매트의 평판성이 유지되고 못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시각적으로도 울퉁불퉁한 면이 형성되어 좋지 않게 된다. 즉, 선행발명 3은 매트를 사용함에 따라 면이 고르지 않게 여기저기 나오고 들어간 데가 생기게 되고 이는 심미적인 면에서나 기능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나아가 선행발명 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 형태(a)가 접합부(b)에서 연통되어 있다. 이는 도 7에서 반동(r) 화살표가 2개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매트 전체에서 울퉁불퉁한 면이 생기는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본원발명은 점 단위의 반구형돌출부인 에어캡(41)을 적용함으로써 상술한 선행발명 3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도 8은 본원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작용을 보이기 위하여 일부를 투명하게 표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충격(p)이 가해지면, 선행발명 3과 달리 다수의 반구형돌출구가 독립적으로 작용하여, 충격(p)이 가해지는 부분만 변형이 발생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반구형돌출부는 반구형폼(hemispherical form)에 의한 밀폐공간에 기체(예를 들면 공기)가 충전된 것으로서, 선행발명 3과 같이 길게 형성된 에어튜브를 사용하지 않아 매트의 평판성 유지에 유리하다.
한편, 상술한 반구형돌출부(43)로 형성되는 에어캡(41)을 이용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보다 저항 강도를 높여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새롭게 에어캡층(40)을 설계하여 형성토록 한다면 비용이 별도로 발생하고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기 에어캡(41)을 보강하여 충격(p)에 대하여 보다 강하게 저항하는, 즉 같은 강도로 눌러지는 경우 보다 적게 눌러지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원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보강된 에어캡층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제1 시트(44), 제2 시트(45) 및 보강시트(51)는 투명재질일 수도 있다. 다만, 도면의 이해를 위하여 투명부분을 통하여 투시되는 것은 생략하였다.
보강된 에어캡층의 구성은, 상기 에어캡층(40)의 상기 돌출부의 상부(50)에 연속하여 부착되는 보강시트(51)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누름작용이 있는 경우 인접하는 상기 에어캡(41)이 연동하여 변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시트(51)는 탄성재질의 시트이다.
상기 돌출부의 상부(50)는 상기 제1 시트(44)의 일부이다. 상기 제1 시트의 일부인 상기 돌출부 상부(50)에 상기 보강시트(51)가 부착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캡(41)이 누름작용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인근 에어캡(41)과 상기 보강시트에 의하여 함께 작용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보강시트(51)가 없는 경우보다 좀 더 누름에 대하여 적게 눌러지며 강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보강시트(51)은 탄성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보강시트(51)의 탄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면 상기 에어캡층(40)의 충격에 대한 저항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쿠션 효과를 증진하는 등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에어캡층(40)을 복수로 적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보강시트(51)의 역할은 상층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시트가 수행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원발명의 제3 실시 예로서 보강되어 적층된 에어캡층을 도시한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상기 에어캡층(40)은 필요에 따라 2개 이상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시트(45)는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에어캡층(40)의 상기 돌출부의 상부(50)에 연속하여 부착되어, 누름작용이 있는 경우 인접하는 상기 에어캡(41)이 연동하여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상기 보강시트(51)과 유사한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원발명은 상기 에어층과 더불어 합성수지제 폼을 함께 적층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의 층간 소음 방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합성수지제 폼층과 에어캡층이 적층된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을 보인 것으로, 도 13은 합성수지제 폼층의 위 아래로 에어캡층이 형성된 것을 보인 것이고, 도 14는 합성수지제 폼층이 복수로 적층된 것을 보인 것이며, 도 15는 합성수지제 폼층과 에어캡층이 대응하는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15는 상기 대응하는 구조를 명확히 보이기 위해 합성수지제 폼층 내의 에어캡과 후술하는 오목홈이 결합된 상태를 파선으로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이미 설명한 상기 에어캡층(40) 이외에 합성수지제 폼층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완충부재(30)는 합성수지제 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폼층은 폴리우레탄 폼층(60)이다.
상기 합성수지제 폼(foam)층에서 '폼(foam)'은 '거품'이란 뜻으로 발포제를 의미한다.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층은 발포(發泡)시켜서 기포(氣泡)와 격막(隔膜)으로 구성된 상태로 이루어진 우레탄 수지를 말하며, 비중은 작고 가벼워 상기 완충부재(30)로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경우 10mm 두께의 고밀도 폴리우레탄 폼층을 형성토록 하였다.
한편, 상기 상측표면부재(10)와 상기 하측표면부재(20)는 단일 또는 2개 층 이상의 폴리에틸렌 폼층(70)으로 형성한다. 폴리에틸렌(PE)은 곁사슬의 정도에 따라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E) 등으로 구분된다.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경우 내한성이 크며 투명하고 유연성이 좋은 특성이 있어 연포장용 필름이나 일회용 장갑, 일회용 봉지, 마요네즈 및 케찹류의 연질성 용기, 라미네이트 포장재 내층으로 사용되며,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의 경우 불투명하며 유연성이 부족한 면이 있으나, 내열온도가 높아 고온가열 살균된 식품의 포장재 등에도 사용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10mm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폼층을 1층 또는 2층으로 적용하였다.
상기 완충부재에 상기 에어캡층(40)과 상기 합성수지제 폼층이 적층되는 경우 층간 소음 방지 효과가 증진되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향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형태인 상기 에어캡층(40)과 상기 합성수지제 폼층을 모두 사용하면서도 두께를 낮추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에어캡층과 상기 합성수지제 폼층의 대응 구조를 보인 것이다.
상술한 상기 합성수지제 폼층(폴리우레탄 폼층, 도면부호 60)은 상기 에어캡층(40)의 제1 시트 위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캡(41)에 대응하여 오목홈(80)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캡(41)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오목홈(80) 내에 위치토록 하는 경우, 상기 에어캡층(40)과 상기 합성수지제 폼층과 결합됨으로써 그 두께가 감소된다. 즉, 서로 다른 2개의 형태로서 다양한 형태의 충격에 적절히 대응하면서도 그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6은 엇갈리게 마주보는 에어캡층을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마주보는 에어캡층 사이에 복원시트가 형성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는 상기 에어캡층이 2개 이상 적층되되, 2개의 에어캡층이 서로 마주보며 적층되고, 서로 마주보는 에어캡층의 에어캡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에어캡이 마주보는 에어캡층(40)의 에어캡(41)과 에어캡(41)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마치 앞에서 설명한 상기 에어캡층과 상기 합성수지제 폼층의 대응 구조와 같은 형태가 된다.
이 경우 소음 저감 효율이 매우 좋아지는데, 이는 에어캡에 의한 충격흡수뿐만 아니라 마주보는 에어캡층의 에어캡과 에어캡 사이로 에어캡이 좀 더 들어가면서 충격흡수를 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마주보며 적층되는 에어캡층 사이에, 에어캡이 원위치로 회복되도록 하는 복원시트(90)가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 작용에 의하여 좀 더 들어간 에어캡(41)이 다시 원위치로 회복되는 것을 상기 복원시트(90)가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복원시트(90)가 없더라도 누름 작용이 제거되면 상기 에어캡(41)의 강도를 적절히 하여 회복시킬 수도 있다.
본원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원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상측표면부재
11: 테두리부
12: 완충공간
20: 하측표면부재
30: 완충부재
40: 에어캡층
41: 에어캡
42: 공기채움밀폐공간
43: 반구형돌출부
44: 제1 시트
45: 제2 시트
50: 돌출부의 상부
51: 보강시트
60: 폴리우레탄 폼층
70: 폴리에틸렌 폼층
80: 오목홈
90: 복원시트
s: 표면
p: 충격
r: 반동
a: 튜브
b: 접합부

Claims (11)

  1. 매트의 표면(s)을 형성하며, 테두리부(11)가 서로 부착되어 내부에 완충공간(12)이 형성되는 상측표면부재(10)와 하측표면부재(20); 및
    상기 완충공간 내부에 형성되어 충간소음을 차단하는 완충부재(30)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로서,
    상기 완충부재는 공기층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층은 다수 개의 에어캡(41)이 형성된 에어캡층(40)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캡층은 상기 에어캡이 형성되도록 공기가 내재되는 공기채움밀폐공간(42)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볼록한 돌출부를 갖는 제1 시트(44)와; 상기 복수의 돌출부에 공기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공기채움밀폐공간을 밀실토록 상기 제1 시트에 부착되어 상기 돌출부를 폐쇄하는 제2 시트(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한 돌출부는 반구형돌출부(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캡층(40)은 상기 돌출부의 상부(50)에 연속하여 부착되는 보강시트(51)를 더 포함하여,
    누름작용이 있는 경우 인접하는 상기 에어캡(41)이 연동하여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시트(51)는 탄성재질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캡층(40)이 2개 이상 적층되되,
    상기 제2 시트는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에어캡층(40)의 상기 돌출부의 상부(50)에 연속하여 부착되어,
    누름작용이 있는 경우 인접하는 상기 에어캡(41)이 연동하여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은 합성수지제 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폼층은 폴리우레탄 폼층(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표면부재와 하측표면 부재는 단일 또는 2개 층 이상의 폴리에틸렌 폼층(7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폼층은 상기 에어캡층(40)의 제1 시트 위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캡(41)에 대응하여 오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캡(41)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오목홈 내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캡층(40)과 상기 합성수지제 폼층이 적층됨에 있어서, 그 두께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캡층이 2개 이상 적층되되,
    2개의 에어캡층이 서로 마주보며 적층되고,
    서로 마주보는 에어캡층의 에어캡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에어캡이 마주보는 에어캡층(40)의 에어캡(41)과 에어캡(41)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보며 적층되는 에어캡층 사이에,
    에어캡이 원위치로 회복되도록 하는 복원시트가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KR1020150140002A 2015-10-05 2015-10-05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KR101745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002A KR101745862B1 (ko) 2015-10-05 2015-10-05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002A KR101745862B1 (ko) 2015-10-05 2015-10-05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700A true KR20170040700A (ko) 2017-04-13
KR101745862B1 KR101745862B1 (ko) 2017-06-12

Family

ID=5858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002A KR101745862B1 (ko) 2015-10-05 2015-10-05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8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902B1 (ko) * 2022-04-07 2023-01-10 (주)더블에스코리아 층간 소음 방지 기능을 구비한 건물 슬래브 시공용 플레이트
KR102527869B1 (ko) * 2022-02-17 2023-05-02 이윤희 층간소음 방지용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174A (ko) 2017-12-22 2019-07-02 김성용 층간소음방지 메쉬에어볼매트
KR102153706B1 (ko) 2019-09-17 2020-09-09 윤원호 충격 차단용 이중 쿠션 침대
KR102366169B1 (ko) 2020-04-28 2022-02-22 이소헌 층간소음 방지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410B1 (ko) 2014-02-27 2014-11-26 권혁림 건축물의 층간소음방지구조 및 층간소음방지구조용 기체충진에어캡매트
KR20140143664A (ko) 2013-06-08 2014-12-17 양혜지 에어 캡 또는 에어 튜브가 탈부착 되는 비닐 하우스
KR101474899B1 (ko) 2014-08-07 2014-12-19 이동훈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
KR101530822B1 (ko) 2014-06-12 2015-07-06 박재남 공동주택용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3664A (ko) 2013-06-08 2014-12-17 양혜지 에어 캡 또는 에어 튜브가 탈부착 되는 비닐 하우스
KR101465410B1 (ko) 2014-02-27 2014-11-26 권혁림 건축물의 층간소음방지구조 및 층간소음방지구조용 기체충진에어캡매트
KR101530822B1 (ko) 2014-06-12 2015-07-06 박재남 공동주택용 층간진동소음 저감재
KR101474899B1 (ko) 2014-08-07 2014-12-19 이동훈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869B1 (ko) * 2022-02-17 2023-05-02 이윤희 층간소음 방지용 패널
KR102486902B1 (ko) * 2022-04-07 2023-01-10 (주)더블에스코리아 층간 소음 방지 기능을 구비한 건물 슬래브 시공용 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862B1 (ko) 201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862B1 (ko)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KR100743984B1 (ko) 조립식 매트블럭
EP1135250A4 (en) BARRIER MITIGATING SHOCK
KR101890416B1 (ko) 층간 소음 방지 패드
US8474574B1 (en) Sound absorbing structure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10146541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방지구조 및 층간소음방지구조용 기체충진에어캡매트
KR101641838B1 (ko)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KR100762925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KR101429754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KR101462830B1 (ko)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1985517B1 (ko) 공동주택의 층간구조 보강패널
KR20090087772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539654B1 (ko) 소음, 진동 차단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TW201628840A (zh) 具有改良式降噪及吸震的多層墊
KR101564207B1 (ko)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패널
JP2015202364A (ja) 緩衝構造ユニット、及び、緩衝フェンス
KR200277814Y1 (ko) 소음, 진동 차단용 바닥재
JP2006161553A (ja) 衝撃及び騒音吸収用複合構造物、建築物の層間床構造
KR200422314Y1 (ko) 조립식 매트블럭
KR101043501B1 (ko) 완충재
KR20130008885A (ko) 충격흡수용 바닥재
KR20050091857A (ko) 바닥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및 그 바닥 구조
JP6862663B2 (ja) 防音床材の施工構造
JP6944057B2 (ja) 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