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104A -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를 이용한 재해 방지 방법 및 서비스 서버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를 이용한 재해 방지 방법 및 서비스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104A
KR20170037104A KR1020150136240A KR20150136240A KR20170037104A KR 20170037104 A KR20170037104 A KR 20170037104A KR 1020150136240 A KR1020150136240 A KR 1020150136240A KR 20150136240 A KR20150136240 A KR 20150136240A KR 20170037104 A KR20170037104 A KR 20170037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wearable device
biofeedback data
opera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근
권혁규
Original Assignee
(주)지오투유니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투유니츠 filed Critical (주)지오투유니츠
Priority to KR1020150136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7104A/ko
Publication of KR20170037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를 이용한 재해 방지 방법 및 서비스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작업자의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와 위치 관련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작업자를 기준으로 특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주변의 작업자들이 속한 모니터링 그룹의 작업자 중 신체 상태나 심리 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작업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를 이용한 재해 방지 방법 및 서비스 서버{WEARABLE DEVICE AND DISASTER PREVENTATION METHOD AND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재해 방지 방법 및 서비스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예기치 않은 재난, 사고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이러한 재난, 사고 등 위험 상황에 대하여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인적 재난(man-made disaster)은 공공 재난과 산업 재해에 있어서 행위에 따른 책임이 큰 영역이며, 그에 따른 여파가 확장되어 대형 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경우가 많다.
고용노동부의 통계에 따르면, OECD 34개 국가 중 우리나라의 산업 재해 사망률은 1위이며, 매년 9만 2천여 건으로 매일 253명 정도의 작업 관련 재해자가 발생하고, 그 중 5명이 사망할 만큼 피해가 심각한 수준이다.
또한, 산업 재해 원인 중 사망 재해의 원인에 대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통계에 따르면 복장과 보호 장비의 부적절한 사용, 작업 수행 소홀 및 절차 미준수, 구조물이나 그 밖의 위험 방치 및 미확인 등 작업자의 부주의가 1위를 차지하였다.
이에, 공공 재난과 산업 재해에 있어서 인적 재난의 예방 및 대처를 위한 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작업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관리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인적 재난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작업자의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와 위치 관련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작업자를 기준으로 특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주변의 작업자들이 속한 모니터링 그룹의 작업자 중 신체 상태 또는 심리 상태가 위험 상태로 설정한 기준에 도달하는 작업자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작업자에 대한 정보와 위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재해를 방지하는 서비스 서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와 위치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작업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주변의 작업자를 추출하여 모니터링 그룹을 생성하는 모니터링 그룹 생성부,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자의 모니터링 단말기로 제공하는 분석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석 결과 제공부는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작업자의 신체 상태 또는 심리 상태가 위험 상태로 설정한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그룹에 속한 주변 작업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상기 작업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작업자의 위험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가 작업자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재해를 방지하는 방법은 (a)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와 위치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b) 상기 파악된 작업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주변의 작업자를 추출하여 모니터링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자의 모니터링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d) 단계는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작업자의 신체 상태 또는 심리 상태가 위험 상태로 설정한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그룹에 속한 주변 작업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상기 작업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작업자의 위험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위험성을 미리 감지함으로써 인적 재난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해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해 방지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해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해 방지 시스템(이하, ‘재해 방지 시스템’이라 칭함)(1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서비스 서버(120) 및 모니터링 단말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간략히 설명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으며, 센서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착용한 사용자(이하, ‘작업자’라 칭함)의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bio-feedback data)를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센서로부터 주기적으로 획득된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중계기(예를 들어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등)(미도시)를 통해 서비스 서버(1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가 서비스 서버(120)와 통신한다는 것은 네트워크 중계기(미도시)의 개입을 의미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 시 자신의 식별자, 작업자의 식별자 및 위치 관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작업자의 뇌 활동, 눈의 깜박임, 호흡, 산소포화도, 맥박, 피부 온도, 혈당 등의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분리되어 작업자의 신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작업자 모두에게 동일한 센서가 부착될 수도 있고, 작업자의 신체 상태나 심리 상태에 따라서 작업자별로 다른 센서가 추가로 부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질병이 없는 작업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모든 작업자에게 부착되는 심박동 측정 센서와 체온 측정 센서, 뇌파 측정 센서 등이 부착될 수 있으나, 당뇨가 있는 작업자는 상기 센서 외에 혈당 측정 센서가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헬멧 거치형, 헤드 기어형 또는 작업자의 신체에 거치되는 밴드(band) 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손목 등에 착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하나의 셋트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도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하나의 셋트를 이루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작업 현장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이 영상 촬영부(미도시)와 작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소리를 녹음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된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 영상 촬영부(미도시)와 마이크로폰(미도시)으로부터 획득된 작업 현장의 영상 및 소리 중 하나 이상을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작업자의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부, 진동부, 스피커,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 진동부, 스피커 및 램프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의 이상 유무를 외부로 알릴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다른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에 대한 위험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작업자(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이상이 있는 작업자)의 이름, 위험 발생의 종류 및 대처 매뉴얼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만일, 웨어러블 디바이스(110)가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와 하나의 셋트를 이루는 경우, 전술한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와 주변 작업자에 대한 위험 알림 메시지는 손목 등에 착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120)는 작업자와 해당 작업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각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각 작업자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작업자로부터 특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주변 작업자를 파악하고, 이들을 하나의 모니터링 그룹으로 관리할 수 있다.
모니터링 그룹은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는데, 이때, 모니터링 그룹에 속한 작업자의 이동에 따른 모니터링 그룹의 구성원들의 변경이 반영될 수 있다.
참고로, 서비스 서버(120)는 작업자의 위치 파악 시, 실외의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의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가 접속 중인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영역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액세스 포인트간의 신호 세기에 따른 위치를 표시한 핑거프린팅 정보(fingerprinting database)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작업자의 위치,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 여부 판단은 각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기준 수치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기준 수치는 ‘정상 ? 주의 ? 위험’ 등과 같이 단계별로 관리될 수 있다.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주의 또는 위험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120)는 해당 작업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및 해당 작업자의 주변에 위치한 다른 작업자, 즉 모니터링 그룹에 속한 주변 작업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 해당 작업자의 이름, 이상 증상의 종류 및 대처 매뉴얼 중 하나 이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관리자의 모니터링 단말기(130)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각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를 항시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단말기(130)는 관리자가 각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각 작업자에 대한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에 따른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 및 이상 여부 등)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단말기(130)는 작업 현장(장소, 영역), 팀별로 작업자를 조회할 수도 있고, 작업자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특정 작업자를 조회할 수도 있다.
관리자가 특정 작업자를 선택 시 모니터링 단말기(130)는 해당 작업자의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는 모니터링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특정 작업자, 복수의 작업자 또는 모니터링 그룹에 속한 모든 작업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 문자 또는 음성 등을 전송하여 작업자의 상태를 파악하거나 휴식 등을 제안할 수 있고, 기타 공지 사항을 전달할 수도 있다.
참고로, 모니터링 단말기(130)는 네트워크 중계기(예를 들어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등)(미도시)를 통해 서비스 서버(1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모니터링 단말기(130)가 서비스 서버(120)와 통신한다는 것은 네트워크 중계기(미도시)의 개입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단말기(130)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등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120)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메모리에는 프로세서에 의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동작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센서부(111), 통신부(112), 출력부(113), 비상 알림 입력부(114) 및 전원 공급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센서부(11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내에 배치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분리되어 작업자의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가 헤드 기어형인 경우, 작업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내에 배치되되, 작업자의 이마와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해당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착용하면 작업자의 이마에 접촉하여 뇌파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분리된 심박동을 감지하는 센서가 작업자의 손목이나 가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해당 센서로부터 작업자의 심박동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2)는 센서부(111)로부터 작업자의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식별자 및 위치 관련 정보를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관련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 포함된 GPS(미도시)를 통해 획득된 GPS 좌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가 접속 중인 네트워크 중계기의 식별자 및 네트워크 중계기간 신호 세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2)는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해당 작업자의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그룹에 속한 주변 작업자의 신체 상태 또는 심리 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그에 대한 위험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13)는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13a),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113b) 및 램프(113c)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13)는 센서부(111)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연결 상태,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따른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 그에 따른 이상 유무, 모니터링 그룹에 속한 주변 작업자에 대한 위험 알림 메시지, 관리자의 메시지, 전원 공급부(115)의 잔여 전원 공급량, 통신부(112)의 연결 상태 등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13a), 스피커(113b) 및 램프(113c)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3a)는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 그에 따른 이상 유무를 출력 시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따른 수치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신체 상태 또는 심리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고열이 지속되거나 호흡 곤란의 상태), 위험 알림 메시지와 함께 위험 상태의 종류(고열, 호흡 곤란, 심박동 이상 등)와 해당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매뉴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3a)는 주변 작업자에 대한 위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는데, 이는 주변 작업자 중 위험 상황이 발생한 동료가 있음을 알리는 것으로서, 해당 주변 작업자의 이름과 위험 상태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스피커(113b)는 디스플레이부(113a)에 표시되는 정보들이 청각적으로 전달되도록 각 정보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작업자에 대한 위험 상태 알림에 있어서 해당 주변 작업자의 이름과 위험 상태의 종류, 해당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간단한 매뉴얼 등이 스피커(114)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위험 상태를 모니터링 중인 관리자의 전달 사항 등이 출력될 수도 있다.
한편, 램프(113c)는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따른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 그에 따른 이상 유무를 특정 색상의 빛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작업자의 현재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가 정상인 경우, 램프(113c)는 파란색으로 점멸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현재 신체 상태 또는 심리 상태가 위험 상태인 경우 빨간색으로 점멸될 수 있다.
참고로, 램프(113c)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표면에 단순히 특정 색상의 빛을 출력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푸쉬 버튼(push button)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푸쉬 버튼(push button)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램프(113c)는 후술하는 비상 알림 입력부(116)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비상 알림 입력부(114)는 작업자 스스로 자신 또는 주변 동료의 위험 상황을 수동으로 알리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푸쉬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비상 알림 입력부(116)는 두 개의 푸쉬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개의 푸쉬 버튼이 모두 선택된(눌려진) 경우에만 비상 알림 요청이 입력될 수 있다.
참고로, 램프(113c)가 비상 알림 입력부(114)로 사용되는 경우, 비상 알림 요청이 입력되면 램프(113c)는 빨간색으로 점멸하면서 비상 상태임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15)는 상기 센서부(111), 통신부(112), 출력부(113)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1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용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20)는 작업자 정보 저장부(121), 위치 정보 저장부(122), 모니터링 그룹 생성부(123),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 분석부(124) 및 분석 결과 제공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작업자 정보 저장부(121)는 작업자의 이름, 성별, 나이, 소속 팀, 업무, 관찰 대상인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 분석에 따른 관찰 대상인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에 대한 경고 수치 및 각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에 대한 위험 상태 시 대처 매뉴얼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관찰 대상인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는 과거에 치료를 받았거나 현재 치료중인 또는 의심되는 질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작업자 정보 저장부(121)는 작업자별 관찰 대상인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 이외에도 모든 작업자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질병과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 분석에 따른 해당 질병에 대한 경고 수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온이 38도이면 주의를, 39도이면 경고를, 40도 이상이면 위험 상태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정보 저장부(121)는 각 작업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식별자와 해당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내에 배치되거나 분리되어 연결된 센서부(111)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 모두에게 동일한 센서가 부착될 수도 있으나, 작업자의 신체 상태나 심리 상태에 따라서 작업자별로 다른 센서가 추가로 부착되는 경우를 관리하기 위함이다.
한편, 위치 정보 저장부(12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 위치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작업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 정보 저장부(122)는 GPS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작업 장소의 세부 위치와, 작업 장소에 설치된 네트워크 중계기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작업 장소의 세부 위치 및 작업 장소에 설치된 네트워크 중계기의 신호 세기에 따른 작업 장소의 세부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그룹 생성부(123)는 작업자의 현재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작업자를 기준으로 특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주변 작업자를 파악하고, 이들을 하나의 모니터링 그룹으로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 그룹’은 특정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 시 해당 작업자의 위험 상황을 신속하게 살피고 대처할 수 있는 주변 작업자들을 의미할 수 있다.
모니터링 그룹 생성부(123)는 주기적으로 각 작업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모니터링 그룹을 갱신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그룹 생성부(123)는 모니터링 그룹에 속한 작업자의 이동을 반영하여 모니터링 그룹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자업자가 이동하는 경우, 해당 작업자를 기준으로 하는 모니터를 그룹은 갱신될 수 있으며, 해당 작업자을 주변 작업자로 하는 다른 작업자의 모니터링 그룹 또한 갱신될 수 있다.
만일, 모니터링 그룹에 속하는 작업자들 중 특정 작업자가 위험 상태에 있는 경우, 위험 상태에 있는 작업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뿐만 아니라 모니터링 그룹에 속한 모든 작업자들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 위험 알림 메시지가 전송됨으로써, 특정 작업자에게 발생하는 위험 상황에 주변의 작업자들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한편,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 분석부(124)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작업자의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를 분석하고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 분석부(124)는 뇌파와 눈의 깜빡임을 측정한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집중력 상태와 졸음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호흡, 산소포화도, 맥박을 측정한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호흡 곤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온도를 측정한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각성 상태, 고열 증상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혈당을 측정한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이용하여 당뇨가 있는 작업자의 혈당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 분석부(124)는 이러한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각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기준 수치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기준 수치는 ‘정상 - 주의 - 위험’ 등과 같이 단계별로 관리될 수 있다.
한편, 분석 결과 제공부(125)는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 분석부(124)에서 분석된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를 해당 작업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관리자의 모니터링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일, 작업자의 신체 상태 또는 심리 상태가 위험 상태로 판단된 경우, 분석 결과 제공부(125)는 해당 작업자뿐만 아니라, 해당 작업자의 모니터링 그룹에 속한 모든 주변 작업자들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 위험 상태인 작업자의 이름과 위험 상태 종류 및 대처 매뉴얼 중 하나 이상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해 방지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서, 작업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신체에 착용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서비스 서버(120)는 서로 연결된 상태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센서부(111)를 통해 획득된 작업자의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 및 작업자의 위치 관련 정보를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한다(S401).
S401 후, 서비스 서버(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신체적 상태와 심리적 상태를 분석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 위치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주변의 다른 작업자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그룹을 생성한다(S402).
S402 후, 서비스 서버(120)는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분석하여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의 위험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S403).
S403 후 위험 상태가 아니면, 서비스 서버(120)는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관리자의 모니터링 단말기(130)와 해당 작업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 전송한다(S404).
S403 후, 해당 작업자가 위험 상태라고 판단되면, 서비스 서버(120)는 관리자의 모니터링 단말기(130)와 해당 작업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및 모니터링 그룹에 속한 주변 작업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 해당 작업자의 위험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405).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재해 방지 시스템
110 : 웨어러블 디바이스
111 : 센서부
112 : 통신분
113 : 출력부
113a : 디스플레이부
113b : 스피커
113c : 램프
114 : 비상 알림 입력부
115: 전원 공급부
120 : 서비스 서버
121 : 작업자 정보 저장부
122 : 위치 정보 저장부
123 : 모니터링 그룹 생성부
124 :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 분석부
125 : 분석 결과 제공부
130 : 모니터링 단말기

Claims (10)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작업자의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와 위치 관련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작업자를 기준으로 특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주변의 작업자들이 속한 모니터링 그룹의 작업자 중 신체 상태 또는 심리 상태가 위험 상태로 설정한 기준에 도달하는 작업자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작업자에 대한 정보와 위험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자의 신체에 접촉되거나,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분리되어 상기 작업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또는 상기 주변의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비상 상황 알림을 출력하기 위한 비상 상황 알림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상황 알림 입력부는
    두 개의 입력부가 존재하며, 상기 두 개의 입력부가 모두 선택된 경우 상기 비상 상황 알림이 요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작업자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재해를 방지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와 위치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작업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주변의 작업자를 추출하여 모니터링 그룹을 생성하는 모니터링 그룹 생성부;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자의 모니터링 단말기로 제공하는 분석 결과 제공부
    를 포함하되,
    상기 분석 결과 제공부는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작업자의 신체 상태 또는 심리 상태가 위험 상태로 설정한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그룹에 속한 주변 작업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상기 작업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작업자의 위험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의 이상 발생 시, 상기 이상 발생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분석 결과 제공부는
    상기 이상 발생의 종류 및 그에 대처할 수 있는 매뉴얼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위험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에 포함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련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GPS 좌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접속 중인 네트워크 중계기의 식별자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중계기간의 신호 세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그룹 생성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GPS 좌표, 상기 네트워크 중계기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커버 영역 및 상기 신호 세기에 따른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상기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그룹 생성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모니터링 그룹을 갱신하되,
    상기 작업자의 위치 변경 및 상기 주변의 작업자의 위치 변경 중 하나 이상이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9. 서비스 서버가 작업자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재해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와 위치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 관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b) 상기 파악된 작업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주변의 작업자를 추출하여 모니터링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작업자의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자의 모니터링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d) 단계는
    상기 바이오 피드백 데이터의 분석 결과, 상기 작업자의 신체 상태 또는 심리 상태가 위험 상태로 설정한 기준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그룹에 속한 주변 작업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상기 작업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작업자의 위험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해 방지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주기적으로 상기 모니터링 그룹을 갱신하되,
    상기 작업자의 위치 변경 및 상기 주변의 작업자의 위치 변경 중 하나 이상을 반영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해 방지 방법.
KR1020150136240A 2015-09-25 2015-09-25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를 이용한 재해 방지 방법 및 서비스 서버 KR201700371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240A KR20170037104A (ko) 2015-09-25 2015-09-25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를 이용한 재해 방지 방법 및 서비스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240A KR20170037104A (ko) 2015-09-25 2015-09-25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를 이용한 재해 방지 방법 및 서비스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104A true KR20170037104A (ko) 2017-04-04

Family

ID=5858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240A KR20170037104A (ko) 2015-09-25 2015-09-25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를 이용한 재해 방지 방법 및 서비스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71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889A1 (ko) * 2017-05-30 2018-12-06 주식회사 선테크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9841A (ko) * 2019-02-15 2020-08-25 주식회사 엠디알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산업안전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889A1 (ko) * 2017-05-30 2018-12-06 주식회사 선테크 관제 시스템 및 방법
JP2019526187A (ja) * 2017-05-30 2019-09-12 サン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untech Co.,Ltd 管制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665087B2 (en) 2017-05-30 2020-05-26 Suntech Co., Ltd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200099841A (ko) * 2019-02-15 2020-08-25 주식회사 엠디알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산업안전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925B1 (ko) 현장작업자 안전감시시스템
CN107490999B (zh) 用于感测环境状况并向用户发出警报的***、方法和装置
CN108986398A (zh) 可穿戴设备报警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959615B1 (ko)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근로자 건강관리 방법
JP2011245316A (ja) リアルタイム生理学的監視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203815444U (zh) 人体体征监护报警器及***
US11113942B1 (en) Human awareness telemetry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KR20200095630A (ko) 작업자와 작업환경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JP2019185386A (ja) 作業負担推定方法、体調評価方法、熱中症発症リスク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3000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user behavior safety
CN108937886A (zh) 一种医院患者安全管理方法及***
CN112309552A (zh) 一种基于ai的手环式放疗安全智能化全程管理***及方法
KR102047341B1 (ko) 사용자 위기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7104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를 이용한 재해 방지 방법 및 서비스 서버
CN207587139U (zh) 穿戴式预警救援设备及预警救援***
KR20150101892A (ko)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KR20220135051A (ko)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CN110084081B (zh) 一种跌倒预警实现方法及***
KR20090123041A (ko) 헬멧 형 유비쿼터스 안전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JP7407419B2 (ja) 体調評価方法、および、体調評価システム
Abtahi et al. Big data & wearable sensors ensuring safety and Health@ Work
CN105286822A (zh) 供轨道交通列车工作人员穿戴的智能设备
KR20110042811A (ko) 관리 대상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Melnyk et al. Health supervisor: Mobile application for round-the-clock remote monitoring of the human functional state
JP2014092945A (ja) 身体状況判定システム及び身体状況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