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774A -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and ultra high voltage DC power cable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and ultra high voltage DC power cable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774A
KR20170035774A KR1020160109852A KR20160109852A KR20170035774A KR 20170035774 A KR20170035774 A KR 20170035774A KR 1020160109852 A KR1020160109852 A KR 1020160109852A KR 20160109852 A KR20160109852 A KR 20160109852A KR 20170035774 A KR20170035774 A KR 20170035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ductor
insulating layer
insulating
pow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8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4700B1 (en
Inventor
채병하
이수길
윤현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1011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52119A1/en
Publication of KR20170035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7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7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02Auxiliar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4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09Details relating to the conductive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6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to electrically interconnect conductors of a pair of ultra-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s including the conductor, an inner semiconductor layer, an insulation layer, and an outer semiconductor layer, and the ultra-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using the same.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can reduce local heating of an end unit of the conductor.

Description

도체 압착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초고압 직류 전력 케이블 시스템{Conductor compression sleeve and ultra high voltage DC power cable system using the same}Conductor compression sleeve and ultra high voltage DC power cable system using same

본 발명은 도체 압착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초고압 직류 전력 케이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or crimping sleeve and an ultr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using the same.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은 전력 케이블 내부의 도체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시스템로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말단을 서로 접속시키는 중간접속함(Joint box)이나, 또는 상기 전력케이블과 가공선을 접속시키는 종단접속함이 사용될 수 있다.The ultr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is a system for transmitting electric power by using a conductor inside a power cable, and includes an intermediate junction box for connecting the ends of the power cable to each other or a termination connection Can be used.

이 경우,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서로 연결시키는 도체 압착슬리브가 중간접속함에 구비된다. 그런데, 전력케이블의 하중 등에 의하여 전력케이블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므로 압착슬리브로 접속된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부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항장력이 요구된다. 하지만,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압착슬리브에 의해 압착하여 연결한 후, 압착슬리브의 표면을 일정 두께로 다듬질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압착슬리브의 단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항장력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압착슬리브 내부에 삽입된 도체 단부가 압착 시에는 서로 이격되어 전류가 통하는 통로(path)가 줄어들게 되어 국부적인 발열이 발생하여 열화에 의한 중간접속함의 수명 단축의 문제가 있게 된다.In this case, a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for connecting the conductors of the power cable to each other is provided i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However, since a tension of a certain level or more acts on the power cable due to the load of the power cable or the like, a conductor tension of a certain level or more is required in the conductor connection portion of the power cable connected by the compression sleeve. However, the conductor of the electric power cable is compressed and connected by the compression sleeve, and then the surface of the compression sleeve is processed to have a certain thickness. In this proces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pression sleeve is reduced. In addition, the conductor ends inserted into the compression sleev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time of pressing to reduce a path through which electric current flows, resulting in generation of local heat and shortening the service lif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due to deterioration.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압착슬리브의 외경을 확대하여 단면적을 크게할 수 있으나, 단순히 압착슬리브의 외경을 확장하는 방법은 중간접속함의 보강절연층의 두께를 현저히 늘리게 되므로 중간접속부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outer diameter of the compression sleeve can be enlarged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However, since the method of simply expand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compression sleeve significantly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insulation layer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간접속함의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항장력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도체 단부의 국부적인 발열을 줄일 수 있는 도체 압착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ductor crimp sleeve capable of improving the tensile strength while maintaining the siz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and further reducing the local heat generation at the end of the conductor and an ultr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using the conductor crimp sleev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는, 도체, 내부 반도전층, 절연층 및 외부 반도전층을 포함하는 한 쌍의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의 상기 도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도체 압착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는, 중공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도체가 수용되는 도체 수용부를 가지며,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름산과 상기 주름산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골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강부; 를 구비할 수 있다. A conductor crimp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ductor crimp sleev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conductors of a pair of super high voltage DC power cables including a conductor,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 And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has a conductor accommodating portion which is formed of a hollow body and has a conductor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conductor is accommodated, at least two corrugated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and at least one corrugated valley formed between the corrugated cores part; A reinforcing port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양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 portions of the reinforcing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의 양 단부가 각각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주름산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and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portion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where the corrugation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is 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may be formed of copper or aluminu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은, 도체, 내부반도전층, 절연층, 외부반도전층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전력케이블과, 상기 전력케이블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간접속함을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은, 상기 내부반도전층을 둘러싸며, 절연유에 함침된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을 둘러싸며, 절연유에 함침된 복합절연지로 이루어진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을 둘러싸며, 절연유에 함침된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제3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접속함은,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주름산과 상기 주름산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골을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및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최내층과 복합절연지로 이루어진 최외층을 가지며, 상기 전력케이블의 상기 도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내지 상기 절연층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보강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는 상기 주름골의 최소 두께가 상기 몸체부 양단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An ultr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power cables including a conductor,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and an intermediate connection box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wer cables to each other Wherein the insulation layer of the power cable comprises: a first insulation layer surrounding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and made of kraft paper impregnated with insulating oil; A second insulating layer surrounding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made of a composite insulating paper impregnated with insulating oil; And a third insulating layer surrounding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made of kraft paper impregnated with insulating oil, wherein the intermediate junction box electrically connects the conductors of the pair of electric power cables to each other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And a body portion having at least one corrugation formed between at least two corrugated acids formed and the corrugated acid; And a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having an outermost layer composed of a kraft paper and an outermost layer composed of a composite insulating paper and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or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And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valley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상기 도체는 원형의 중심소선과 상기 원형 중심소선을 감싸도록 연선된 평각소선으로 이루어진 1층 이상의 평각소선층을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평각도체이며, 상기 주름골의 최소 두께와 상기 몸체부 양단부의 두께 차이가 상기 평각소선층의 최외곽층 두께 이상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or of the power cable is a rectangular conductor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having at least one flat stranded wire layer composed of a circular center wire element and a rectangular wire element stranded to surround the circular center element wi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wrinkle corrugation and the thickness of both end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outermost layer thickness of the square wire stran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최외면이 상기 전력케이블의 상기 제1 절연층의 최외면 보다 상기 전력케이블의 중심축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may be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center axis of the power cable, which is less tha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상기 최내층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양 단부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사이에 권취된 크래프트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most layer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may include a kraft paper wound between both ends of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and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상기 최내층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최외면을 둘러싸는 크래프트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most layer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may further include a kraft paper surrounding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상기 최내층은 상기 최내층의 최외면이 상기 제1 절연층의 최외면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innermost layer of the innermost layer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may be dispos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center axis of the power cab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상기 최외층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외경 이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most layer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at an outer diameter or greater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과 최외층 사이에 복합절연지로 이루어진 중간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mediate layer made of composite insulating pap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innermost layer and the outermost layer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과 최외층 사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복합 절연지로 이루어진 제1 중간층과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제2 중간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intermediate layer made of composite insulating paper and a second intermediate layer made of kraft pap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innermost layer and the outermost layer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sequentiall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과 최외층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중간층과 제2 중간층은 각각 상기 전력케이블의 제2 절연층 및 제3 절연층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termediate layer and the second intermediate layer provided between the innermost layer and the outermost layer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They can be placed at the same dist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은, 도체, 내부반도전층, 절연층, 외부반도전층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전력케이블과, 상기 전력케이블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간접속함을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간접속함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상기 주름산을 압착하고, 외면을 다듬질하여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An ultr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power cables including a conductor,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and an intermediate connection box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wer cables to each other Wherei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is capable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ors of the pair of power cables by pressing the corrugation of the conductor crimp sleeve and finish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or crimp sleev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도체 압착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따르면, 도체 압착슬리브 및 중간접속함의 외경을 늘리지 않으면서 도체 접속부의 항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and the super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using the sam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nductor connecting portion can be maintained without increas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case.

나아가, 상기 중간접속부를 통해 전류가 흐르는 통로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도체 접속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부적인 발열을 줄일 수 있다.Further, by increasing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local heat generation that may occur in the conductor connection portion.

도 1은 전력케이블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내지 도 7은 내부 구성이 서로 상이 한 보강절연층을 갖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계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 및 도 9는 내부 구성이 서로 상이 한 보강절연층을 갖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의 전계분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 도체 압착슬리브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종래 도체 압착슬리브에 의한 허용장력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종래 도체 압착슬리브에 의한 전류 이동 통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에 의한 허용장력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에 의한 전류 이동 통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ower cable.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ultr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7 are graphs showing electric field distributions according to positions in an ultr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having a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whose internal structur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Figs. 8 and 9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n electric field distribution of an ultra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having a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whose internal configurat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onductor crimping sleeve.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llowable tension by a conventional conductor crimping sleeve.
FIG.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urrent path through a conventional conductor crimping sleeve. FIG.
13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ductor crimping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llowable tension by a conductor crimping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urrent path through a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ide view showing a conductor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는 먼저 다양한 실시예에 전력케이블의 구조를 살펴보고, 이어서 상기 전력케이블 복수개를 연결하여 구성한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ultr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constructed by examining the structure of a power cable in various embodiments and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 power cables will be described.

도 1은 초고압 직류 전력 케이블(2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n ultra-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200. As shown in FIG.

도 1을 참조하면, 전력케이블(200)은 도체(210), 내부반도전층(212), 절연층(214), 외부반도전층(216)을 포함하여, 도체(210)를 따라 케이블 길이 방향으로만 전력을 전송하고, 케이블 반경 방향으로는 전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케이블 코어부를 구비한다.1, the power cable 200 includes a conductor 210,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212, an insulating layer 214, and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216, which extend along the conductor 210 in the cabl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able core portion for preventing electric current from leaking in the cable radial direction.

상기 도체(210)는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전율이 우수하고 케이블 제조 및 사용에 적절한 강도와 유연성을 가진 소재,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ductor 210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a current flows to transmit electric power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and strength and flexibility suitable for cable manufacturing and use such as copper or aluminum ≪ / RTI >

상기 도체(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중심소선(210A)과 상기 원형 중심소선(210A)을 감싸도록 연선된 평각소선(210B)으로 이루어진 평각소선층(210C)을 구비하며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평각도체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복수개의 원형소선을 연선하여 원형으로 압축한 원형 압축도체일 수 있다. 상기 평각도체는 원형 압축도체에 비하여 점적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케이블 외경을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 the conductor 210 includes a circular central strand 210A and a rectangular strand 210C composed of a square strand 210B twisted to surround the circular center strand 210A, May be a rectangular conductor having an entirely circular cross section, and as another example, it may be a circular compression conductor in which a plurality of circular element wires are twisted and compressed in a circular shape. The rectangular conductor has an advantage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cable can be reduced because the dot rate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circular compressed conductor.

상기 도체(210)는 복수개의 소선이 연선되어 형성되므로 그 표면이 평활하지 않아 전계가 불균일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도체(210) 표면과 후술하는 절연층(214) 사이에 공극이 생기게 되면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Since the conductor 210 is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elemental wires,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210 may not be smooth, so that the electric field may be uneven and the corona discharge tends to occur partially. In addition, if a gap is form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210 and the insulating layer 214 described later, the insulating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도체(210) 외부에는 내부반도전층(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반도전층(212)은 절연성 물질에 카본블랙, 카본 나노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의 도전성 입자가 첨가되어 반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212 may be formed outside the conductor 210.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212 may have semiconducting properties by adding conductive particles such as carbon black, carbon nanotubes, carbon nanoplate, and graphite to an insulating material.

상기 내부반도전층(212)은 상기 도체(210)와 후술하는 절연층(214) 사이에서 급격한 전계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성능을 안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체면의 불균일한 전하분포를 억제함으로써 전계를 균일하게 하고, 도체(210)와 절연층(214)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코로나 방전, 절연파괴 등을 억제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212 functions to stabilize the insulation performance by preventing a sudden change in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conductor 210 and an insulation layer 214 described later. In addition, by suppressing the uneven distribution of electric charge on the conductor surface, the electric field is made uniform,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onductor 210 and the insulating layer 214, thereby suppressing corona discharge, dielectric breakdown, and the like .

상기 절연층(214)은 상기 내부반도전층(212)의 바깥쪽에 구비되어 도체(210)를 따라 흐르는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준다. The insulating layer 214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212 to electrically isolate the outer layer 214 from the outside so that a current flowing along the conductor 210 is not leaked to the outside.

상기 절연층(214)은 절연유에 함침된 절연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층(214)은 상기 내부반도전층(212)을 둘러싸도록 절연지가 다층으로 권취되고, 상기 케이블 코어부가 형성된 후 절연유에 함침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연유가 절연지에 흡수되는바, 절연층(214)의 절연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insulating layer 214 may be formed of insulating paper impregnated with insulating oil. That is, the insulating layer 214 may be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layers of insulating paper so as to surround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212 and impregnating the insulating oil after the cable core is formed. As the insulating oil is absorbed by the insulating paper, the insulating property of the insulating layer 214 can be improved.

상기 절연유는 상기 절연지 내부의 공극 및 상기 절연지를 권취하여 형성된 층간의 틈에 충진되어 절연특성을 향상시키며, 케이블의 굽힘시 상기 절연지간의 마찰력을 저감시켜 케이블의 굴곡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절연유는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상기 도체(210)를 구성하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접촉하여 열에 의해 산화되지 않아야 하며, 상기 절연지를 용이하게 함침할 수 있도록 함침온도, 예를 들어 100℃에서는 충분히 낮은 점도를 가지며, 60℃에서의 동점도가 10~500 센티스토크(centistoke)인 중점도 절연유 또는 60℃에서의 동점도가 500 센티스토크 이상인 고점도의 절연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sulating oil is filled in gaps between the voids inside the insulating paper and the gap formed between the layers formed by winding the insulating paper to improve the insulating property and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sulating paper at the time of bending the cable to improve the bending property of the cable. Although the type of the insulating oi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should be in contact with copper or aluminum constituting the conductor 210 and not be oxidized by heat. The insulating oil may be impregnated easily, for example, at 100 ° C It is preferable to use a medium-viscosity insulating oil having a sufficiently low viscosity and a kinematic viscosity at 60 DEG C of 10 to 500 centistokes or a high-viscosity insulating oil having a kinematic viscosity at 60 DEG C of 500 centistokes or more.

상대적으로 점도가 낮은 저점도 절연유를 사용하는 경우, 절연지가 절연유에 함침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절연유의 유동에 의해 절연층에 공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급유설비 등을 사용하여 절연유를 가압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중점도 또는 고점도 절연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연유의 유동이 적기 때문에 절연유를 가압하기 위한 급유설비가 필요없거나, 필요한 급유설비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케이블 연장길이를 길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유는 나프텐계 절연유, 폴리스틸렌계 절연유, 광유, 알킬 벤젠이나 폴리부텐계 합성유, 중질 알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절연유를 사용할 수 있다.When using a low-viscosity insulating oil with a relatively low viscosity, it is necessary to pressurize the insulating oil by using an oil supply facility or the like in order to keep the insulating paper impregnated with the insulating oil and to prevent pores in the insulating layer due to the flow of the insulating oil . However, when medium viscosity or high viscosity insulating oil is used, the flow of insulating oil is small, so there is no need for an oil supply device for pressurizing the insulating oil, or the number of required oil supply facilities can be reduced, thereby extending the cable extension length. For example, the insulating oil may be at least one insulating oi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phthenic insulating oil, polystyrene insulating oil, mineral oil, alkylbenzene, polybutene-based synthetic oil, heavy alkaline,

상기 절연지는 크래프트 펄프(Kraft pulp)를 원료로 하여 펄프 중의 유기 전해질을 제거한 크래프트지(Kraft paper) 또는 플라스틱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크래프트지를 접착한 복합절연지일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그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되는 크래프트지 보다 큰 저항률을 가져 함침공정 또는 케이블 작동시 절연유의 유동에 따라 크래프트지에 기포가 생성되더라도 그 기포에 분담되는 전압을 완화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Polyethyle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부틸렌(Polybutylen)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폴리프로필렌(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hylen-tetrafluoroethylene) 공중합체 등의 불소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sulating paper may be a kraft paper in which kraft pulp is used as a raw material and an organic electrolyte in the pulp is removed, or a composite insulating paper in which a kraft paper is adher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plastic film. The plastic film has a resistivity higher than that of the kraft paper adhered to one side or both sides thereof, so that even if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kraft paper due to the flow of the insulating oil during the impregnation process or cable operation, the voltage distributed to the bubbles can be relaxed, A polyolefin resin such as polypropylene or polybutylene, a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an ethylene-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an ethylene-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And a polypropylene homopolymer resin which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층(214)은 크래프트지만을 권취하고, 절연유에 함침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유가 케이블 하중방향으로 절연유가 유동하여 공극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복합 절연지를 권취하고, 절연유에 함침시켜 상기 절연층(214)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는 절연유에 함침되지 않으며, 케이블 제조시의 함침 온도 또는 케이블 작동시의 작동 온도에 따라 열팽창을 하게 된다. 열가소성 수지가 열팽창을 하게 되면 이에 적층된 크래프트지에 면압을 가하게 되어 절연유의 이동 통로를 협소하게 하므로 중력에 따른 절연유 유동 또는 온도에 따른 절연유의 수축/팽창에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복합 절연지는 크래프트지 보다 절연내력이 높아 케이블 외경을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pecifically, the insulating layer 214 may be formed by winding a kraft, and impregnating the insulating oil. In this case, the insulating oil may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cable load, and the gap may be gener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is wound and impregnated with the insulating oil to form the insulating layer 214, the thermoplastic resin such as the polypropylene resin is not impregnated with the insulating oil, and the impregnation temperature at the time of cable production or the operation The thermal expansion is caused by the temperature. When the thermoplastic resin thermally expands, a surface pressure is applied to the laminated kraft paper, thereby narrowing the passage of the insulating oil. Therefore, the flow of the insulating oil due to the gravity or the shrinkage / expansion of the insulating oil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duce the outer diameter of the cable because the dielectric insulating strength is higher than that of the craft paper.

한편, 상기 전력 케이블을 통전시키는 경우,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는 도체에 열이 발생하며, 케이블 반경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온도가 점차 낮아지게 되어 상기 절연층(214)에서도 온도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도체 직상구간에 속하는 절연층, 즉 내부반도전층(212) 상에 형성되는 절연층의 절연유는 점도가 낮아지고 열팽창을 하여 바깥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케이블 온도 하강시에는 이동한 절연유의 점도가 높아지고 원래대로 되돌아가지 않게 되어 도체 직상 구간의 절연층 부분에 공극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wer cable is energized, heat is generated in the conductor serving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urrent flows, and the temperatur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inside toward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able, do. Therefore, the insulating oil of the insulating layer, that is, the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212 belonging to the conductor straight-section is lowered in viscosity and thermally expanded to move outward. When the cable temperature is lowered, The viscosity becomes high and it does not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so that voids may be generated in the insulating layer portion of the conductor straight section.

또한, 상기 온도 차이에 따라 점차 전계가 역전되어 작용하는 전계가 점차 높아지는 금속시스 직하구간에 속하는 절연층, 즉 외부반도전층(216)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연층에는 높은 전계가 작용하게 된다. 상기 도체 직상구간 및 금속시스 직하구간은 공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케이블 내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고전계가 작용하는 영역으로 부분방전, 절연파괴 등의 기점이 되는 절연 취약부로 작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 high electric field acts on the insulating layer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216, which belongs to the section under the metal sheath in which the electric field gradually increases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The conductor straight section and the metal sheath lower section have a high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voids and can act as an insulation weak portion which is a starting point of partial discharge and dielectric breakdown as a region where a high electric field acts in accordance with a temperature change in the cabl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절연층(214) 중 상기 절연 취약부를 포함하는 영역에는 절연지로 크래프트지만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층(214)을 상기 내부반도전층(212)에서 후술하는 외부반도전층(216) 방향으로 제1 절연층, 제2 절연층 및 제3 절연층으로 구분하여 제1 절연층 및/또는 제3 절연층에는 크래프트지만을 사용하며, 제2 절연층에는 상기 복합 절연지를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nly a kraft may be used as an insulating paper in the region of the insulating layer 214 including the insulation weak portion. That is, the insulating layer 214 is divided into a first insulating layer, a second insulating layer, and a third insulating layer in the direction of the external semiconductive layer 21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internal semiconductive layer 212, Alternatively, only the kraft may be used for the third insulating layer, and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may be used for the second insulating layer.

이 경우, 복합절연지가 권취된 제2 절연층과 크래프트지가 권취된 제1 절연층 및/또는 제3 절연층 간에 저항률 차이가 발생하며, 저항률이 낮은 크래프트지가 권취된 상기 절연층(214)의 제1 절연층 및/또는 제3 절연층은 저항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상기 절연 취약부에 분담되는 전계를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구체적으로, 저항률에 따라 전계가 분포되는 직류 케이블의 저항성 전계분포 특성상 저항률이 높은 복합 절연지가 권취된 상기 제2 절연층에 높은 전계가 작용하며, 상기 제1 절연층 및/또는 제3 절연층에 포함된 도체 직상구간 및/또는 금속시스 직하구간에 상대적으로 낮은 전계가 작용하므로 절연 취약부에 작용하는 전계가 완화되어 절연 성능을 안정화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difference in resistivity occurs betwee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on which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is wound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 or the third insulating layer on which the kraft paper is wound, and the resistance of the insulating layer 214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 or the third insulating layer has a relatively low resistivity and acts to alleviate an electric field shared among the insulating fragile portions. Specifically, a high electric field acts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on which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having a high resistivity is wound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resistiv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of the DC cable in which the electric field i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resistivity, so that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 A relatively low electric field acts on the portion of the conductor directly above and / or below the metal sheath, so that the electric field applied to the insulation weak portion is relaxed and the insulation performance can be stabilized.

또한, 상기 절연층(214)은 제3 절연층을 제1 절연층 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214)의 외부에 후술하는 금속시스(220)를 형성하거나, 케이블 코어부가 내측부터 순차적으로 노출된 두 개의 전력 케이블을 접속한 후 금속시스(220)을 복원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가해지는 열이 상기 절연층(214)의 제2 절연층에 인가되어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절연층보다 제2 절연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제2 절연층의 플라스틱 필름을 열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절연층의 두께는 전력 케이블에 요구되는 임펄스 서지 전압 등을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layer 214 may have a larger thickness than the first insulating layer. When a metallic sheath 22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insulating layer 214 or when the metallic sheath 220 is recovered after connecting two power cables sequentially exposed from the inside of the cable core portion, Heat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insulating layer of the insulating layer 214 to cause deformation of the plastic film. Therefore, the second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thicker than the first insulating layer to prevent the plastic film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from heat It is desirable to protect them.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first insulation layer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impulse surge voltage required for the power cable.

상기 절연층(214)의 외부에는 외부반도전층(2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반도전층(216)은 내부반도전층과 같이 절연성 물질에 도전성 입자, 예를 들면 카본블랙, 카본나뉴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이 첨가되어 반도전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절연층(214)과 후술하는 금속시스(220) 사이의 불균일한 전하 분포를 억제하여 절연 성능을 안정화한다. 또한, 상기 외부반도전층(216)은 케이블에 있어서 절연층(214)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코로나 방전을 방지하며, 상기 절연층(214)을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반도전층(216)은 금속화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금속화지는 크래프트지에 알루미늄 박막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214)의 절연유 함침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천공이 존재할 수 있다.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216 may be provided outside the insulating layer 214.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216 is formed of a semiconductive material such as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by adding conductive particles such as carbon black, carbon nanotube, carbon nanoplate, or graphite to an insulating material, The distribution of uneven charge between the metal sheath 214 and a metal sheath 220 to be described later is suppressed to stabilize the insulation performance. In addition,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216 smoothes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214 in the cable to alleviate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thereby preventing corona discharge and also physically protecting the insulating layer 214 . In addition,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216 may further include a metalized paper. The metalized sheet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n aluminum foil on a kraft paper, and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to facilitate impregn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214 with insulating oil.

상기 케이블 코어부는 케이블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분 흡수부(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분 흡수부는 상기 도체(210)의 연선된 소선 사이 및/또는 상기 도체(210)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에 침투한 수분을 흡수하는 속도가 빠르고, 흡수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 우수한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를 포함하는 분말, 테이프, 코팅층 또는 필름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분 흡수부는 급격한 전계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The cable core unit may further include a moisture absorbing unit (not shown) for preventing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cable. The moisture absorbing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stranded strands of the conductor 210 and / or the outside of the conductor 210. The moisture absorbing portion may have a high rate of absorbing moisture permeated into the cable, Tape, a coating layer or a film including a super absorbent polymer (SAP) so as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ble. In addition, the water absorbing part may have a semiconductive property to prevent a sudden change in the electric field.

상기 케이블 코어부의 외부에는 케이블 보호부가 구비되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케이블은 케이블 외장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보호부 및 케이블 외장부는 케이블의 전력 전송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분침투, 기계적 외상, 부식 등의 다양한 환경요인으로부터 코어부를 보호한다. A cable protecting portion is provided outside the cable core portion, and a power cable installed in the seabed may further include a cable covering portion. The cable protector and cable protector protects the core from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moisture penetration, mechanical trauma, and corrosion which may affect the power transmission performance of the cable.

상기 케이블 보호부는 금속시스(220)와 고분자 시스(222)를 포함하여, 사고전류, 외력 내지 기타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한다.The cable protector includes a metal sheath 220 and a polymer sheath 222 to protect the cable from an accident current, an external force, or other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상기 금속시스(220)는 상기 코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력 케이블이 해저와 같은 환경에 포설되는 경우,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케이블 코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코어부를 실링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코어부 외부에 용융된 금속을 압출하여 이음새가 없는 연속적인 외면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차수성능이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금속으로는 납(Lead) 또는 알루미늄을 사용하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의 경우에는 해수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계적 성질을 보완하기 위해 금속 원소를 첨가한 합금연(Lead alloy)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시스(220)는 전력 케이블 단부에서의 접지되어 지락 또는 단락 등의 사고 발생시 사고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고, 전계가 케이블 외부로 방전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The metal sheath 22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core portion. In particular, when the power cable is installed in an environment such as a seabed, the cable core portion may be sealed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moisture from entering the cable core portion. The metal can be extruded to have a continuous outer surface having no seams, thereby improving the order performance. Lead or aluminum is used as the above metal. In the case of a power cable installed on the seabed, it is preferable to use lead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gainst seawater. To compensate for mechanical properties,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lead alloy. In addition, the metal sheath 220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a fault current flows when a ground fault or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ground at a power cable end, protects the cable from external impacts, and prevents an electric fiel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le .

또한, 상기 금속시스(220)는 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추가로 향상시키고 상기 고분자 시스(222)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에 부식 방지 컴파운드, 예를 들어, 블로운 아스팔트 등이 도포될 수 있다.The metal sheath 220 may be coated with a corrosion inhibiting compound such as a blown asphalt or the like on the surface of the metal sheath 220 to further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water repellency and the like of the cable and improve the adhesive strength with the polymer sheath 222 .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 시스(220)와 상기 케이블 코어부 사이에는 동선직입 테이프 내지 수분 흡수층(218)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선 직입테이프는 동선(Copper wire)과 부직포 테이프 등으로 구성되어 외부반도전층(216)과 금속시스(220)간의 전기적 접촉을 원활히 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수분흡수층은 케이블에 침투한 수분을 흡수하는 속도가 빠르고, 흡수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 우수한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를 포함하는 분말, 테이프, 코팅층 또는 필름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동선직입 테이프와 수분 흡수층은 급격한 전계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반도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전 및 수분흡수 작용을 모두 할 수 있도록, 수분 흡수층에 동선을 포함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pper wire-directing tape or a moisture absorbing layer 218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metal sheath 220 and the cable core portion. The copper wire drawing tape is composed of a copper wire and a nonwoven tape and acts to smooth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216 and the metal sheath 220. The moisture absorption layer absorbs moisture penetrating the cable A tape, a coating layer or a film including a super absorbent polymer (SAP) excellent in the ability to maintain the absorbent state at a high speed and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 the cable longitudinal direction It plays a role. The copper wire-directing tape and the water-absorbing layer preferably have a semiconducting property in order to prevent a sudden change in the electric field, and may include a copper wire in the water-absorbing layer so as to be capable of both conducting and absorbing water.

상기 고분자 시스(222)는 상기 금속시스(220)의 외부에 형성되어 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향상시키고, 기계적 외상 및 열, 자외선 등의 기타 외부 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시스(222)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의 경우에는 차수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난연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ymer sheath 222 is formed outside the metal sheath 220 to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and water repellency of the cable and to protect the cable from mechanical damage and other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heat and ultraviolet rays . The polymer sheath 222 may be formed of a resin such as polyvinyl chloride (PVC), polyethylene or the like. In the case of a power cable laid on the seabed, a polyethylene resin having excellent water repellency is preferably used. In the environment, polyvinyl chloride resin is preferably used.

상기 전력 케이블(200)은 상기 고분자 시스의 내측 또는 외측에 아연도금 처리된 강철 케이프 등으로 구성되는 금속 보강층(224)을 구비하여, 상기 절연유의 팽창에 의해 상기 금속시스(220)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보강층(224)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는 반도전성 부직포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져 전력 케이블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하는 베딩층(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폴리염화비닐 내지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구성되는 외부 시스(226)를 더 구비하여 전력 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더욱 향상시키고, 기계적 외상 및 열, 자외선 등의 기타 외부 환경 요인으로부터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The power cable 200 includes a metal reinforcing layer 224 formed of a steel cap or the like which is galvanized on the inner side or the outer side of the polymer sheath so that the metal sheath 220 is inflated by the expansion of the insulating oil . The upper and / or lower portions of the metal reinforcing layer 224 may be provided with a bedding layer (not shown) made of a semiconductive nonwoven tape or the like to buffer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ower cable, and may include polyvinyl chloride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the like of the electric power cable and to further protect the cable from other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mechanical trauma and heat and ultraviolet rays.

또한,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은 선박의 닻 등에 의해 외상을 입기 쉬우며, 해류나 파랑 등에 의한 굽힘력, 해저면과의 마찰력 등에 의해서도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하여 상기 보호 시스부의 외부에 케이블 외장부(230, 232)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cable installed on the seabed may be damaged by an anchor or the like of the ship, and may be damaged due to bending force due to currents or waves, frictional force with the sea floor, etc. Therefore, (230, 232).

상기 케이블 외장부는 아머층(230) 및 써빙층(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머층(230)은 강철, 아연도금강, 구리, 황동, 청동 등으로 이루어지고 단면 형태가 원형, 평각형 등인 와이어를 횡권하여 적어도 1층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 케이블의 기계적 특성과 성능을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외력으로부터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보호한다. The cable enclosure may include an armor layer 230 and a covering layer 232. The armor layer 23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layer made of steel, zinc-plated steel, copper, brass, bronze, etc., And performance as well as additional protection from external forces.

폴리프로필렌 얀 등으로 구성되는 상기 써빙층(232)은 상기 아머층(23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1층 이상으로 형성되어 케이블을 보호하며, 최외곽에 형성되는 써빙층(232)은 색상이 다른 2종 이상의 재료로 구성되어 해저에서 포설된 케이블의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Polypropylene yarn or the like is formed in one or more layers on the upper and / or lower portions of the armor layer 230 to protect the cable and the outermost layer 232 of the cover layer is formed of color Can be made of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to ensure the visibility of the cable installed at the seabed.

이하, 상기와 같이 절연유에 함침된 절연지로 절연층을 형성한 한 쌍의 전력케이블을 중간 접속함으로 서로 접속하여 형성한 전력 케이블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power cable system formed by interconnecting a pair of power cables having an insulating layer formed of insulating paper impregnated with insulating oil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접속함(300)을 이용하여 한 쌍의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한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ultr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in which a pair of power cab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n intermediate connection box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은 도체(210), 내부반도전층(212), 절연층(214) 및 외부반도전층(216)이 순차적으로 노출된 한 쌍의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는 중간접속함(300)을 구비할 수 있다.2, the super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includes a pair of ultr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s in which a conductor 210,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212, an insulating layer 214 and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216 are sequentially exposed. And an intermediate connection box 300 connecting the pair of power cables to each other.

상기 절연층(214)은 상기 내부반도전층(212)을 둘러싸며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제1 절연층(214A), 상기 제1 절연층(214A)을 둘러싸며 복합 절연지로 이루어진 제2 절연층(214B) 및 상기 제2 절연층(214B)을 둘러싸며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제3 절연층(214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크래프트지 내지 상기 복합절연지를 절연유에 함침시켜 형성할 수 있다.The insulating layer 214 surrounds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212 and includes a first insulating layer 214A made of kraft paper, a second insulating layer 214B surrounding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4A, And a third insulating layer 214C surrounding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4B and made of kraft paper. The kraft paper or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may be impregnated with insulating oil.

상기 중간접속함(300)은 상기 노출된 한 쌍의 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체 압착슬리브(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접속함(300)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와, 상기 전력 케이블에서 노출된 한 쌍의 도체 내지 절연층을 감싸는 보강절연층(3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junction box 300 may include a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xposed pair of conductors.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300 may include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and a reinforcing insulation layer 310 surrounding a pair of conductors or insulation layers exposed from the power cable.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는 상기 한 쌍의 전력 케이블(200)에서 노출된 한 쌍의 도체(210)의 각 단부를 파지하여 상기 한 쌍의 전력 케이블(20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접속상태를 견고히 지지한다.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400 electrically connects the pair of power cables 200 by holding each end of a pair of conductors 210 exposed from the pair of power cables 200, Lt; / RTI >

상기 보강절연층(310)은 크래프트지 내지 복합 절연지를 권취하고, 절연유에 함침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절연층(310)은 크래프트지만을 권취한 최내층(310A)과 복합 절연지를 권취한 최외층(310D)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크래프트지 및 복합 절연지를 포함하는 보강절연층(310)을 구비하는 상기 중간접속함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may be formed by winding a kraft paper or a composite insulating paper and impregnating the insulating paper with insulating oil.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is formed by winding a composite insulating paper with the innermost layer 310A, And an outermost layer 310D. Hereinafter, the ultra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having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including the kraft paper and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실시예 1][Example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도체를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330)와 상기 케이블 절연층의 내층(214A)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잔존할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공간이 존재하여 후술하는 도체 압착슬리브(400)의 압착시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pair of conductors are connected to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to form an ultr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330 and the inner layer 214A of the cable insulation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sulation layer of the power cable from being damaged when the conductive compression sleeve 400 is compressed by a predetermined space.

이때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와 상기 케이블 절연층(214)의 내층(214A) 사이의 공간에 절연지를 권취하여 상기 보강절연층(310)의 최내층(310A)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330)와 상기 케이블 절연층(214)의 내층(214A) 사이의 공간에 크래프트지를 상기 케이블 절연층의 내층(214A)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권취하여 상기 보강절연층(310)의 최내층(310A)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절연층(310) 중 크래프트지만으로 구성된 최내층(310A)의 최외면은 상기 케이블 절연층(214)의 내층(214A)의 최외면과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대략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can be formed by winding insulating paper in a space between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and the inner layer 214A of the cable insulating layer 214. [ In this case, the kraft paper is wound in a space between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330 and the inner layer 214A of the cable insulation layer 214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inner layer 214A of the cable insulation layer, 310 may be formed. That is,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innermost layer 310A made of only the craft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inner layer 214A of the cable insulating layer 214 and the center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ble And is located at a distance.

또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의 외면에 불균일한 전계분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의 외면에 반도전 테이프를 권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도전 테이프의 최외면이 상기 제1 절연층(214A)의 최외면 보다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반도전 테이프의 최외면에 크래프트지를 추가로 권취하여 보강절연층(310)의 최내층(310A)을 형성함으로써 보강절연층(310)의 최내층(310A)의 최외면이 상기 전력케이블의 제1 절연층(214A)의 최외면과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대략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uneven electric field distribution from occurr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a semi-conductive tape may be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At this time, whe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semi-conductive tape is positioned closer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cable tha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4A, a kraft paper is further wound 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semi- The outermost layer of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is formed to have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4A of the power cable and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cable And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at substantially the same distance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만약, 상기 보강절연층(310)의 최내층(310A)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제1 절연층(214A)의 최외면이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대략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지 않아서 단차가 발생한다면, 상기 단차가 발생한 부분에는 전계가 집중되어 절연파괴를 야기할 수 있다.If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4A of the power cable are not located at substantially the same distance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cable, , The electric field is concentrated at the portion where the step is generated, which may cause dielectric breakdown.

한편, 상기 전력케이블 시스템의 작동시,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기 도체 및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에 열이 발생하며, 상기 보강절연층(310)에 온도 차이가 발생한다. 상기 도체 및 도체 압착슬리브(400)에 인접한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310A)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아져 함침되어 있는 절연유의 점도가 낮아지고 열팽창을 하여 바깥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케이블 온도 하강시에는 이동한 절연유의 점도가 높아지고 원래대로 되돌아가지 않게 되어 공극이 발생하게 되어 절연 취약부로 작용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power cable system is operated, heat is generated in the conductor and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serving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urrent flows,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occurs in the reinforcing insulation layer 310. The temperature of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adjacent to the conductor and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is relatively high and the viscosity of the impregnated insulating oil is lowered and thermally expanded to move outwardly. The viscosity of the moved insulating oil is increased and it does not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and a void is generated, which can act as an insulated weak por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보강절연층(310)의 최내층(310A)을 크래프트지로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제1 중간층(310B)의 복합 절연지와의 저항률 차이가 발생하며, 저항률이 낮은 크래프트지가 권취된 상기 최내층(310A)은 저항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상기 절연 취약부에 분담되는 전계를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by forming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with a kraft paper, a difference in resistivity between the first intermediate layer 310B and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nnermost layer 310A on which the ground wire is wound has a relatively low resistivity, so that it functions to alleviate the electric field shared by the insulation weak portion.

상기 보강절연층(310)의 최외층(310D)은 상기 케이블(200)의 노출된 절연층(214)의 외경 이상에서 형성된다. 상기 전력케이블 시스템은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210)가 압착슬리브(330)에 의해 접속되므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의 두께만큼 도체 구간의 높이가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 통전시 상대적으로 열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절연층(310)은 상기 케이블 절연층(214)과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전력케이블의 일부 절연층(214)을 제거하고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로 상기 한 쌍의 도체를 연결한 후 복수의 절연지 내지 복합절연지를 다시 권취하여 형성하므로, 상기 케이블 절연층(214)과 보강절연층(310)의 사이에 공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상대적으로 절연 성능이 취약한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보강 절연층(310)을 상기 케이블 절연층(214) 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상기 케이블(200)의 노출된 절연층(214)의 외경 이상에 상기 보강절연층(310)의 최외층(310D)을 형성하여 절연성능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The outermost layer 310D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is formed at an outer diameter of the exposed insulating layer 214 of the cable 200. Since the exposed conductor 210 of the cable is connected by the compression sleeve 330, the power cable system not only increases the height of the conductor section by the thickness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A lot occurs.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is not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cable insulating layer 214 but removes a part of the insulating layer 214 of the power cabl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ir of conductors A plurality of insulating paper sheets or composite insulating paper sheets are wound around the cable insulation layer 214 and the insulation insulation layer 310 is wound around the cable insulation layer 310. The gap between the cable insulation layer 214 and the reinforcing insulation layer 310 is relatively low.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may have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cable insulating layer 214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exposed insulating layer 214 of the cable 200 is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exposed insulating layer 214, It is necessary to form the outer layer 310D to reinforce the insulation performance.

또한,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외층(310D)은 크래프트지에 비해 저항률이 큰 복합 절연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 절연층(214)과 보강절연층(310)의 사이에 공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상대적으로 절연 성능이 취약한 영역에 집중되는 전계를 상기 보강절연층(310)의 최외층(310D)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most layer 310D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may be composed of a composite insulating paper having a resistivity higher than that of a kraft paper. In this case, an electric field concentrating in a region where the insulation performance is relatively weak due to a high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cable insulation layer 214 and the reinforcing insulation layer 310 is referred to as an outermost layer 310D of the reinforcing insulation layer 310 ).

한편, 상기 보강절연층(310)의 최내층(310A)과 최외층(310D) 사이에 복합절연지층로 이루어진 중간층(310B, 310C)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절연층(310)의 중간층은 상기 최내층(310A)과 최외층(310D) 사이에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제1 중간층(310B)과 제2 중간층(310C)을 구비할 수 있다. Intermediate layers 310B and 310C made of a composite insulation lay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most layer 310A and the outermost layer 310D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 The intermediate layer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may include a first intermediate layer 310B and a second intermediate layer 310C sequentially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between the innermost layer 310A and the outermost layer 310D .

본 '실시예 1'에서 상기 보강절연층(310)의 최내층(310A)만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절연층(310)의 제1 중간층(310B), 제2 중간층(310C) 및 최외층(310D)은 모두 복합절연지로 구성된다. Only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is made of kraft paper and the first intermediate layer 310B and the second intermediate layer 310C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and the outermost layer (310D) are all composed of composite insulating paper.

즉, 상기 보강절연층(310)의 최내층(310A)이 절연지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중간층(310B) 및 제2 중간층(310C)이 복합절연지로 구성된 경우, 저항율에 따라 전계가 분포되는 DC 케이블의 저항성 전계분포 특성에 따라 보강절연층의 최내층(310A)의 크래프트지보다 저항율이 상대적으로 큰 복합절연지로 형성되는 상기 제1 중간층(310B), 제2 중간층(310C) 및 최외층(310D)에 전계가 많이 분포된다. 따라서, 케이블 작동시 상대적으로 고온이 되어 절연유의 수축/팽창이 비교적 활발히 발생함에 따라 기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전계 강도가 커서 상대적으로 절연에 취약한 보강절연층(310)의 최내층(310A)에 분담되는 전계를 완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절연성능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is composed of an insulating layer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layers 310B and 310C are composed of composite insulating paper, an electric field i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resistivity The first intermediate layer 310B, the second intermediate layer 310C and the outermost layer 310B, which are formed of composite insulating paper having a relatively higher resistivity than the kraft paper of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according to the resistiv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DC cable, 310D). Accordingly, since the insulation oil is relatively shrunk / expanded due to the relatively high temperature in the operation of the cabl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bubbles will be generated, and it is divided into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It is possible to stabilize the insulation performance.

또한, 보강절연층(310)의 최내층(310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310B ~ 310D)을 모두 복합 절연지로 지권하게 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ll of the regions 310B to 310D except for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are covered with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work efficiency is improved, productiv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defect rate can be further reduced .

[실시예 2][Example 2]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절연층(310)은 복합절연지로 이루어진 제1 중간층(310B)과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제2 중간층(310C)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may include a first intermediate layer 310B made of composite insulating paper and a second intermediate layer 310C made of kraft paper.

이때, 상기 보강절연층(310)의 최내층(310A)과 최외층(310D)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중간층(310B)과 제2중간층(310C)은 각각 상기 케이블(200)의 절연층(214)의 제2 절연층(214B) 및 제3 절연층(214C)과 상기 케이블(200)의 중심에서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다. 결국, '실시예 2'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200)의 노출된 절연층(214)의 외경 이하에서 상기 보강절연층(310)은 상기 케이블(200)의 절연층(214)과 동일한 재질 및/또는 구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200)의 최내층(310A)과 최외층(310D)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각 크래프트지와 복합 절연지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first intermediate layer 310B and the second intermediate layer 310C provided between the innermost layer 310A and the outermost layer 310D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sulating layer (not shown) of the cable 200 214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214C of the cable 200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able 200. [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insulating layer 214 of the cable 200 under the outer diameter of the exposed insulating layer 214 of the cable 200, And / or configuration. On the other hand, the innermost layer 310A and the outermost layer 310D of the cable 200 are formed of a kraft paper and a composite insulating paper, respectively, as in the first embodiment.

이 경우, 상기 보강절연층(310)의 최내층(310A)은 크래프트지만을 권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간층(310B)과 상기 최외층(310D)이 복합절연지로 구성되므로, 저항율에 따라 전계가 분포되는 DC 케이블의 저항성 전계분포 특성에 따라 보강절연층의 최내층(310A)의 크래프트지보다 저항율이 상대적으로 큰 복합절연지로 형성되는 상기 제1 중간층(310B) 및 상기 최외층(310D)에 전계가 많이 분포된다. 따라서, 케이블 작동시 상대적으로 고온이 되어 절연유의 수축/팽창이 비교적 활발히 발생함에 따라 기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전계 강도가 커서 상대적으로 절연에 취약한 보강절연층의 최내층(310A)에 분담되는 전계를 완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절연성능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is formed by winding only the kraft, and since the first intermediate layer 310B and the outermost layer 310D are formed of composite insulating paper, The first intermediate layer 310B and the outermost layer 310D, which are formed of composite insulating paper having a relatively higher resistivity than the kraft paper of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The electric field is distributed widely. Accordingly, since the insulation oil is relatively shrunk / expanded due to relatively high temperatur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abl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ir bubbles are generated, and an electric field shared among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So that it is possible to stabilize the insulation performance.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구성을 정리하면 아래 [표 1]과 같다.The structur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are summarized in Table 1 below.


보강절연층Reinforced insulation layer
최내층The innermost layer 제1 중간층The first intermediate layer 제2 중간층The second middle layer 최외층Outermost layer 실시예1Example 1 크래프트지Kraft paper 복합절연지Composite insulating paper 복합절연지Composite insulating paper 복합절연지Composite insulating paper 실시예2Example 2 크래프트지Kraft paper 복합절연지Composite insulating paper 크래프트지Kraft paper 복합절연지Composite insulating paper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복합절연지Composite insulating paper 복합절연지Composite insulating paper 복합절연지Composite insulating paper 복합절연지Composite insulating paper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크래프트지Kraft paper 복합절연지Composite insulating paper 크래프트지Kraft paper 크래프트지Kraft paper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크래프트지Kraft paper 크래프트지Kraft paper 크래프트지Kraft paper 크래프트지Kraft paper

상기 [표 1]에서 비교예는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한 구성으로 '비교예 1'은 보강절연층(310)이 모두 복합절연지로 이루어진 구성이며, '비교예 2'는 '실시예 2'와 비교하여 최외층이 크래프트지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비교예 3'은 보강절연층(310)이 모두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다.In Comparative Example 1,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is composed of a composite insulating paper, and the comparative example 2 is the same as that of the examples 2 and 3, In comparison,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is made of kraft paper in 'Comparative Example 3'.

한편, 도 2에서 ①, ② 및 ③은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 구성에서 전계를 측정한 지점을 도시한다. ① 지점은 케이블 절연층(214)의 제1 절연층(214A), 제2 절연층(214B)과 제3 절연층(214C) 및 보강절연층(310)을 통한 전계를 측정하는 지점이다. 상기 ① 지점에서 상기 보강절연층(310)은 복합절연지를 포함하는 최외층(310D)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FIG. 2, (1), (2) and (3) show points at which electric fields are measured in each configuration in order to compare the embodiment and the comparative example. The point (1) is a point at which the electric field is measured through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4A,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4B, the third insulating layer 214C, and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of the cable insulating layer 214. At the point (1),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may be composed of an outermost layer 310D including a composite insulating paper.

또한, ② 지점은 케이블 절연층(214)의 제1 절연층(214A), 제2 절연층(214B)의 일부 및 보강절연층(310)을 통한 전계를 측정하는 지점이다. 이때, 상기 보강절연층(310)은 '실시예1'에서 복합절연지로 모두 구성되거나, 또는 '실시예2'에서 복합절연지로 구성된 제1 중간층(310B)과 크래프트지로 구성된 제2 중간층(310C)과 복합절연지로 구성된 최외층(310D)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int 2 is a point at which the electric field is measured through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4A of the cable insulating layer 214, a part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4B, and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 In this case,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is composed of all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in Example 1, or the second intermediate layer 310C made of kraft paper and the first intermediate layer 310B made of composite insulating paper in Example 2, And an outermost layer 310D composed of a composite insulating paper.

한편, ③ 지점은 상기 케이블 절연층(214)의 제1 절연층(214A) 및 보강절연층(310)을 통한 전계를 측정하는 지점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보강절연층(310)은 '실시예1'에서 복합절연지로 모두 구성되거나, 또는 '실시예2'에서 복합절연지로 구성된 제1 중간층(310B)과 크래프트지로 구성된 제2 중간층(310C)과 복합절연지로 구성된 최외층(310D)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int (3) corresponds to the point where the electric field is measured through the first insulation layer 214A and the reinforcing insulation layer 310 of the cable insulation layer 214. [ In this case,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is composed of all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in Example 1, or the second intermediate layer 310C made of kraft paper and the first intermediate layer 310B made of composite insulating paper in Example 2, And an outermost layer 310D composed of a composite insulating paper.

도 3 내지 도 7은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에 있어서, 전술한 ①, ② 및 ③ 지점에서 전계를 측정하여 중간접속함의 내부에서 외부로의 전계 분포를 도시한 각 그래프를 나타낸다. 각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케이블의 중심축에서 외부로 향하는 거리(mm)를 도시하며, 세로축은 전계값(kV/mm)을 도시한다.Figs. 3 to 7 show electric field distribution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by measuring the electric field at the points 1, 2, and 3 in the case of Example 1,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Each graph is shown. In each graph, the horizontal axis shows the distance (mm) from the center axis of the cable to the outside, and the vertical axis shows the electric field value (kV / mm).

도 3은 '실시예 1'의 경우에 전술한 ①, ② 및 ③ 지점에서 전계를 측정하여 중간접속함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계 분포를 도시한 각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3의 (a)가 ① 지점, 도 3의 (b)가 ② 지점, 도 3의 (c)가 ③ 지점에서 각각 전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다. 3 is a graph showing electric field distribution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by measuring the electric field at points 1, 2, and 3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Example 1. 3 (a), 3 (b), and 3 (c) show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electric field at the points 1, 2, and 3, respectively.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경우에 ①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4 kV/mm, ②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44 kV/mm, ③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96 kV/mm에 해당하여 매우 양호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the case of Example 1, the maximum electric field is about 8.4 kV / mm at point ①, the maximum electric field is about 8.44 kV / mm at point ②, and the maximum electric field is about 8.96 kV / mm at point ③ It can be seen that it is very good.

도 4는 '실시예 2'의 경우에 전술한 ①, ② 및 ③ 지점에서 전계를 측정하여 중간접속함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계 분포를 도시한 각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4의 (a)가 ① 지점, 도 4의 (b)가 ② 지점, 도 4의 (c)가 ③ 지점에서 각각 전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다.4 is a graph showing an electric field distribution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intermediate junction by measuring the electric field at the points 1, 2, and 3 in the case of Example 2. 4 (a), 4 (b), and 4 (c) show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electric field at the points (a), (b), and (c), respectively.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2'의 경우에 ①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56 kV/mm, ②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69 kV/mm, ③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93 kV/mm에 해당하여 매우 양호함을 알 수 있다.4, the maximum electric field is about 8.56 kV / mm at the point ①, the maximum electric field is about 8.69 kV / mm at the point ②, and the maximum electric field is about 8.93 kV / mm at the point ③ in the case of Embodiment 2 It can be seen that it is very good.

한편, 도 5는 '비교예 1'의 경우에 전술한 ①, ② 및 ③ 지점에서 전계를 측정하여 중간접속함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계 분포를 도시한 각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5의 (a)가 ① 지점, 도 5의 (b)가 ② 지점, 도 5의 (c)가 ③ 지점에서 각각 전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다.FIG. 5 is a graph showing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by measuring the electric field at the points 1, 2, and 3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5 (a), 5 (b), 5, and 5 (c) show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electric field at each point.

도 5를 참조하면, '비교예 1'의 경우에 ①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43 kV/mm, ②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44 kV/mm, ③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96 kV/mm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5, the maximum electric field is about 8.43 kV / mm at point ①, the maximum electric field is about 8.44 kV / mm at point ②, and the maximum electric field is about 8.96 kV / mm at point ③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Can be found.

하지만, '비교예 1'의 경우에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제1 절연층(214A) 사이 공간에 복합 절연지를 권취하여 상기 보강절연층(310)의 최내층(310A)을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330)와 케이블 절연층(214)의 제일 안쪽에 위치한 제1 절연층(214A)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폭으로 복합절연지를 잘라서 권취해야 하므로 그 작업능률이 현저히 떨어져서 생산성이 저하된다. 나아가, 상기 복합절연지는 크래프트지와 같은 절연지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가 적층되어 구성되므로 상기 복합절연지를 소폭으로 자르는 경우 상기 크래프트지와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박리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1,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is wound in a space between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214A of the power cable to form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 Therefore, the composite insulation paper must be cut and wound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space between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330 and the first insulation layer 214A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cable insulation layer 214, so that the operation efficiency is remarkably decreased, . Furthermore, since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is formed by laminating thermoplastic resin such as an insulating paper such as a kraft paper and a polypropylene resin, the kraft paper and the polypropylene resin are peeled off when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is cut to a small width.

또한, 상기 '비교예 1'의 경우에 상기 보강절연층(310)의 최내층(310A)이 복합절연지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중간층을 형성하는 복합절연지와 저항률 차이가 없으므로 저항성 전계분포 특성에 의한 전계 완화 효과가 없기 때문에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 내지 상기 노츨된 한 쌍의 도체의 직상 전계를 측정하는 경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310A)을 크래프트지로 구성한 경우에 비하여 전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게 되므로 절연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since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is composed of composite insulating paper, there is no difference in resistivity between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forming the first intermediate layer and resistiv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hen the direct-current electric field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or the exposed pair of conductors is measured because there is no electric field relaxation effect, the electric field is relatively higher than when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on layer is formed of kraft paper The insulation stability is lowered.

한편, 도 6은 '비교예 2'의 경우에 전술한 ①, ② 및 ③ 지점에서 전계를 측정하여 중간접속함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계 분포를 도시한 각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6의 (a)가 ① 지점, 도 6의 (b)가 ② 지점, 도 6의 (c)가 ③ 지점에서 각각 전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다.6 is a graph showing an electric field distribution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intermediate junction by measuring the electric field at the points ①, ②, and ③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2". 6 (a), 6 (b) and 6 (c) show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electric field, respectively.

도 6을 참조하면, '비교예 2'의 경우에 ①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26.0 kV/mm, ②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26.0 kV/mm, ③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26.2 kV/mm에 해당하여, 상기 측정한 전계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아 절연 안정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6, the maximum electric field is about 26.0 kV / mm at point ①, the maximum electric field is about 26.0 kV / mm at point ②, and the maximum electric field is about 26.2 kV / mm at point ③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measured electric field value is relatively high and the insulation stability is deteriorated.

상기 '비교예 2'의 경우, 보강절연층의 최외층(310D)을 절연지로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DC 케이블의 저항성 분포에 따르면 전계 분포는 재질의 저항률에 의존하게 되므로, 전계 분포를 보면 저항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절연지로 구성된 보강절연층(310)의 최외층(310D)이 절연 보강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저항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합절연지로 구성된 보강절연층의 제1 중간층(310B) 및 케이블 절연층(214)의 제2 절연층(214B)에 전계가 국부적으로 집중되므로 절연 안정성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the outermost layer 310D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is made of insulating paper. According to the resistance distribution of the DC cable,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depends on the resistivity of the material. Therefore, the outermost layer 310D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made of insulating paper having a relatively low resistivity in terms of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plays a role of insulating reinforcement Since the electric field is locally concentrated in the first intermediate layer 310B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4B of the cable insulating layer 214, which are made of composite insulating paper having a relatively high resistivity, the insulation stability is very poor.

한편, 도 8은 '비교예 2'의 경우에 전계 분포를 시각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계 분포가 케이블 절연층의 제2 절연층(214B) 및 보강절연층(310)의 제1 중간층(310B)에 집중됨을 알 수 있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visually showing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2, in which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is formed i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4B of the cable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4B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Lt; RTI ID = 0.0 > 310B. ≪ / RTI >

나아가, 도 7은 '비교예 3'의 경우에 전술한 ①, ② 및 ③ 지점에서 전계를 측정하여 중간접속함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계 분포를 도시한 각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7의 (a)가 ① 지점, 도 7의 (b)가 ② 지점, 도 7의 (c)가 ③ 지점에서 각각 전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다.7 is a graph showing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intermediate junction by measuring the electric field at the points ①, ②, and ③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7 (a), 7 (b), and 7 (c) show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electric field at the points 1, 2, and 3, respectively.

도 7을 참조하면, '비교예 3'의 경우에 ①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8.59 kV/mm, ②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31.5 kV/mm, ③ 지점에서 최대 전계가 대략 26.2 kV/mm에 해당하여, 상기 측정한 전계값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아 절연 안정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7, the maximum electric field is about 8.59 kV / mm at the point ①, the maximum electric field is about 31.5 kV / mm at the point ②, and the maximum electric field is about 26.2 kV / mm at the point ③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3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measured electric field value is relatively high and the insulation stability is deteriorated.

상기 '비교예 3'의 경우에 모든 보강절연층(310)을 크래프트지로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계 분포가 재질의 저항률에 의존하는 DC 케이블의 저항성 분포에 따라 전계 분포가 저항률이 높은 복합 절연지로 구성된 케이블 절연층(214)의 제2 절연층(214B)에 집중되므로 절연 안정성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3', all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s 310 are formed of kraft paper. Accordingly, as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is concentrated on the second insulation layer 214B of the cable insulation layer 214 constituted by the composite insulation paper having a high resistivity according to the resistivity distribution of the DC cable whose resistivity depends on the resistivity of th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he stability becomes very poor.

한편, 도 9는 '비교예 3'의 경우에 전계 분포를 시각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계 분포가 케이블 절연층의 제2 절연층(214B)에 집중됨을 알 수 있다.Meanwhile,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visually showing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and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is concentrated i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14B of the cable insulating layer as described above.

도 10 내지 도 18은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있어서, 도체 압착슬리브로 한 쌍의 도체(210, 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0 to 18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conductors 210 and 2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ductor crimping sleeve in an ultr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한 쌍의 도체(210, 2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경우, 도체 압착슬리브(330)의 도체 수용부에 상기 한 쌍의 도체(210, 210')의 각 단부가 끼워지며, 도 11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외면이 압착 장치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한 쌍의 도체를 파지함으로써 접속 상태를 견고히 지지하게 되며, 압착 후에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외면이 고르게 다듬질되어 평평한 표면이 형성된다.10, when the pair of conductors 210 and 2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ends of the pair of conductors 210 and 2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or receiving portion of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330 11 to 12,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is pressed by the crimping device to grip the pair of conductors to firmly support the connection state. After the crimp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is uniformly A flattened surface is formed.

구체적으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3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름산(332)과 상기 주름산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골(334)을 면에 구비하고,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름산(332)이 형성된 영역이 상기 압착 장치에 의하여 압착되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330)의 내측으로 돌출됨으로써 각 도체의 단부를 파지하게 되며, 압착에 의해 불균일해진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330)의 외면은 평탄하게 다듬질되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외면의 전계집중 내지 코로나 방전 등을 방지할 수 있다.10,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330 includes at least two corrugated bristles 332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and at least one corrugated bridges 334 formed between the corrugated bristles. 11 to 12, the region where the corrugation 332 is formed is pressed by the compression device and protruded to the insid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330 to grip the end of each conducto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330, which is uneven due to the pressing, can be flattened to prevent the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and the corona discharge.

한편, 상기 한 쌍의 전력 케이블(200)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상기 전력케이블 시스템은 케이블을 포설하는 경우 등에 있어 상기 전력케이블(200)의 하중 등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200)에 장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330)로 접속된 상기 케이블(200)의 도체(210, 210')의 접속부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항장력이 요구된다. Meanwhile, in the power cable system formed by connecting the pair of power cables 200 to each other, a tensile force acts on the cable 200 due to a load of the power cable 200 or the like when a cable is laid A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ductors 210 and 210 'of the cable 200 connected by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330 is required to have a tensile strength higher than a certain level.

하지만, 압착 후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330)의 외면을 평탄하게 다듬질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330)는 단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330)를 압착하는 경우에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330) 내부에 삽입된 한 쌍의 도체(210, 210')의 단부가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다.However, in the process of flatten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330 after the pressing,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330 has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The ends of the pair of conductors 210 and 210 'inserted into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330 due to the force acting upon pressing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330 are shown in FIGS. 11 to 12 As shown in FIG.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도체가 서로 이격되며, 다듬질에 의해 도체 압착슬리브(330)의 단면적이 감소된 'A' 영역에 국부적으로 장력이 집중되어 항장력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도체(210)에서 타측의 도체(210)로 전류가 이동하는 경로가 상기 압착슬리브(330)의 'A' 영역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도체가 서로 이격되고, 압착슬리브(330)의 단면적이 감소하여 전류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줄어들게 되어 결국 'A' 영역에 국부적인 발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열화에 의한 중간접속함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1, the pair of conducto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tension is locally concentrated in the 'A' region wher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330 is reduced by the finishing, thereby reducing the tensile strength. 12, a path through which current flows from the conductor 210 on one side to the conductor 210 on the other side is formed in the 'A' region of the compression sleeve 330. In this case, the pair of conducto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pression sleeve 330 is reduced, and the path through which the current can move is reduced, so that local heat generation may occur in the 'A' reg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service lif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체 압착슬리브의 외경을 단순히 확대하여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나, 압착슬리브의 외경을 확장하는 경우 중간접속함의 보강절연층을 두껍게 설계해야 하므로 중간접속부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하, 중간접속함의 크기를 종래와 같이 유지하면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도체 압착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can be simply enlarged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However,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mpression sleeve is expanded, the reinforcing insulation layer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must be designed to be thick. have. Hereinafter, a conductor crimp sleeve and an ultr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keeping the siz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ase as it is.

도 13 내지 도 15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400)로 한 쌍의 도체(210, 210')를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3 to 15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conductors 210 and 210 'are connected to a conductor crimping sleev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ltr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는 중공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도체 수용부를 구비하여 상기 도체 수용부에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가 각각 수용되며,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름산(430)과 상기 주름산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골(440)을 포함하는 몸체부(450)와 상기 몸체부(45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45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강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is formed of a hollow body and has a conductor accommodating portion therein. The conductors of the pair of power cables are accommodated in the conductor accommodating portion, A body portion 450 including at least one wrinkle cores 440 formed between two or more wrinkled mountains 430 and the wrinkled mountains and a body portion 450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450, And a reinforcing portion 410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portion 410. In addition,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may be made of copper or aluminum,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any one of the pair.

상기 보강부(410)는 두께가 상기 한 쌍의 도체(210, 210')의 최외곽층 두께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도체(210, 210')의 최외곽층 두께의 의미는 상기 도체(210, 2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각도체로 이루어진 경우에 최외곽에 위치한 단일 평각소선층(210C)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체(210, 210')가 다수의 원형 소선을 연선하여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도체(210, 210')의 최외곽에 연선된 단일 소선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portion 410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equal to or greater than an outermost layer thickness of the pair of conductors 210 and 210 '. The thickness of the outermost layers of the pair of conductors 210 and 210 'means that when the conductors 210 and 210' are made of a rectangular conductor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ductor 210 and 210 'may be defined as a single stranded wire stranded at the outermost of the conductors 210 and 210' when a plurality of circular strands are stranded .

또한, 상기 보강부(410)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의 양 단부가 각각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의 양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름산(430)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의 내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름산(430)을 가압하여 도체 압착슬리브(330)를 압착하는 경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와 상기 한 쌍의 도체(210, 210')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ortion 410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both ends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corrugation 430 is formed. In this case, when the crimping sleeve 330 is pressed by pressing the crimp mountain 430, a gap is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between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400 and the pair of conductors 210 and 210 ' can do.

뿐만 아니라, 상기 보강부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부(410)를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의 내면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항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That is, by forming the reinforcing portion 410 integrally with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so as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can be improved.

상기 보강부(410)를 구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400)로 상기 한 쌍 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각 단부에 상기 보강부(410)의 두께만큼의 단차가 형성된 상기 한 쌍의 도체(210, 210')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에 끼워지고,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의 외면을 압착 장치로 압착하여 내면에 주름산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도체를 파지하여 접속 상태를 견고히 지지하게 되며, 압착 후에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외면이 고르게 다듬질되어 평평한 표면이 형성된다.When the pair of conductor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reinforcing portion 410, a step difference of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portion 410 is formed at each end The pair of conductors 210 and 210 'formed are fitted into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is compressed by a compression device to form a corrugated acid on the inner surface, The conductor is gripped to firmly support the connection state. After the compressi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is evenly trimmed to form a flat surfac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400)를 구비한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은 상기 한 쌍의 도체(210, 210') 각 단부에서 각 도체(210, 210')를 구성하는 평각소선층 내지 소선층이 상기 보강부(410)의 두께 'D'에 대응하는 만큼 제거되고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에 삽입된다. 즉, 상기 도체(210, 210')가 다수의 원형소선을 연선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외곽의 적어도 1층이 제거되고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에 삽입되며, 상기 도체(210, 210')가 평각도체로 이루어진 경우에 외곽의 적어도 하나의 평각소선층(210C)이 제거되고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에 삽입된다.Specifically, an ultr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having a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ductors 210 and 210 'at each end of the pair of conductors 210 and 210' The stranded stranded wire or stranded wire is removed by the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D' of the reinforced portion 410 and inserted into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That is, when the conductors 210 and 210 'are formed by stranding a plurality of circular strands, at least one layer of the outer layer is removed and inserted into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and the conductors 210 and 210' At least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tranded strands 210C is removed and inserted into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

상기 한 쌍의 도체, 즉, 각 단부에서 평각소선층 내지 소선층의 일부가 제거된 한 쌍의 도체(210, 210')가 삽입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의 상기 주름산(430)이 형성된 영역을 압착 장치로 압착하면,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주름산(430') 및 상기 주름산(430') 사이에 형성되는 주름골(440')이 형성되어 각 도체의 단부를 파지하게 되며, 압착에 의해 불균일해진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의 외면은 평탄하게 다듬질되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외면의 전계 집중 내지 코로나 방전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rrugation 430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into which the pair of conductors, that is, a pair of conductors 210 and 210 'from which a part of the flat stranded wire layer or the stranded wire layer is removed at each end, When the formed region is squeezed by the squeezing device, as shown in Figs. 14 to 15, the corrugated fins 430 'protruding inward of the conductive squeeze sleeve 400 and the corrugations 430' formed between the corrugated fins 430 '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which is uneven due to the compression, is flattened to prevent the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and the corona discharge, etc. can do.

상기 보강부(410)를 구비하게 되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를 압착하고 외면을 다듬질한 경우에도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의 두께가 감소하여 항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부(410)를 구비한 도체 압착슬리브(400)를 압착하고 외면을 다듬질하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 내면 중 상기 보강부(410)가 형성되어 있는 주름골(440')에서 두께가 상기 보강부(410)가 형성되지 않은 양단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도 11 내지 도 12의 경우에 비해 상기 한 쌍의 도체가 이격되어 장력이 집중되고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의 주름골(440')이 최소 두께를 가지게 되어 항장력이 약한 상기 주름골(440')에서의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410)에 의해 상기 도체(210, 210')의 접속부에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지지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허용인장하중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410)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경로의 면적이 증가하여 종래에 비해 발열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The provision of the reinforcing portion 410 can prevent the tensile strength from being lowered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even when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is compressed and the outer surface is finished. That is, when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400 having the reinforcing portion 410 is pressed and the outer surface is finished, the wrinkle trough 440 'having the reinforcing portion 41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400, 11 to 12, the pair of conducto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tensile force is concentrated and the thickness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rinkle trough 440 'having a low tensile strength because the wrinkle trough 440' has a minimum thickness.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4, when the tensile force acts on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conductors 210 and 210 'by the reinforcing portion 410, the area supported increases and the allowable tensile load increases.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 the area of the path through which the current flows by the reinforcing portion 410 is increased, so that heat generation can be remarkab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허용인장하중에 대한 본 출원인의 기준은 7kg/mm2 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500kV급 전력케이블의 도체의 단면적을 2500mm2라 하면 허용인장하중은 17.5톤(ton)에 해당한다.The Applicant's criterion for the allowable tensile load of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is 7 kg / mm 2 . For example,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ductor of the power cable 500kV class la 2500mm 2 allow the tensile load is equivalent to 17.5 ton (ton).

이때, 도 10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의 경우 압착 및 외면을 다듬질하기 전에 허용인장하중이 17.68톤이지만, 압착 후에 15.35톤으로 감소하여 상기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도 13에 따른 도체 압착슬리브의 경우 허용인장하중이 압착 및 외면을 다듬질하기 전에 34.60톤이고, 압착 후에 32.27톤으로 상기 기준을 만족시키며 도 10의 구조에 비해 월등히 향상된 수치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10, the allowable tensile load is 17.68 tons before crimping and outer surface finishing, but it is reduced to 15.35 tons after crimping, so that the above criteria can not be satisfi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ductor crimp sleeve according to FIG. 13, the allowable tensile load is 34.60 tons before crimping and outer surface finishing, 32.27 tons after compression, satisfying the above criteria, .

뿐만 아니라,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는 압착 후 외면이 다듬질된 경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는 최외면이 상기 전력케이블의 제1 절연층(214A)의 최외면보다 상기 전력케이블의 중심축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is finished after the compressi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on layer 214A of the power cable And is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center axis of the power cabl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와 상기 제1 절연층(214A) 사이의 공간 내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크래프트지를 권취하여 보강절연층(310)의 최내층(310A)을 형성함으로써, 절연취약부에 작용하는 전계를 완화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400)의 최외면이 상기 전력케이블의 제1 절연층(214A)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310A)의 최외면과 상기 제1 절연층(214A)의 최외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면, 상기 단차가 발생한 부분에는 전계가 집중되어 절연파괴를 야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ltr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the space between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and the first insulation layer 214A or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By forming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310 by winding up the kraft paper,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electric field acting on the insulating weakened porti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400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first insulation layer 214A of the power cable so that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innermost layer 310A of the reinforcing insulation layer and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on layer 214A , The electric field is concentrated on the portion where the stepped portion is generated, which may cause dielectric breakdown.

도 16 내지 18은 중간접속함의 크기를 종래와 같이 유지하면서 항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체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다.Figs. 16 to 18 show a state in which conductors are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tensile strength can be improved while keeping the siz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as is conventional. Fig.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접속함은 상기 한 쌍의 도체(210, 210')를 연결하는 도체 압착슬리브(500)를 구비하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500)의 내측에서 상기 한 쌍의 도체(210, 210')가 서로 접하는 도체연결부(6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체연결부(600)는 상기 도체(210, 210')의 각 단부가 서로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서로 접촉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 도체(210)가 돌출부(2100)를 구비하고 타측 도체(210')는 상기 돌출부(2100)에 대응하는 오목부(22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며 상기 한 쌍의 도체(210, 210')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할 수 있다.16, the intermediate junction box includes a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500 for connecting the pair of conductors 210 and 210 ', and the pair of conductors 210 and 210' are disposed inside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500, And a conductor connection part 600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210 and 2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ductor connection part 6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nds of the conductors 210 and 210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an area of contact between the conductors 210 and 210' may be widened. For example, one side conductor 210 may have a protrusion 2100 and the other side conductor 210 'may have a recess 2200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2100. This structure is merely an example, and various structures for widening the contact area of the pair of conductors 210 and 210 'may be possible.

이 경우, 상기 돌출부(2100)(또는 상기 오목부(2200))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500)의 'T1'과 'T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T1'과 'T2'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500)의 외면에 형성된 주름산(530)의 중앙부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500)의 주름골(540)은 상기 돌출부(2100)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주름골(540)은 상기 돌출부(2100)의 선단부(2105)에 대응하도록 위치한다.In this case, the protrusion 2100 (or the recess 2200) may be located between the 'T 1 ' and the 'T 2 '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500. Here, 'T 1 ' and 'T 2 ' may be defined as the center of the corrugation 53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500. The corrugated trough 540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500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protruding portion 2100 and preferably the corrugated trough 540 may correspond to the distal end 2105 of the protruding portion 2100 .

따라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500)의 압착 시에 상기 도체(210, 210')의 말단부가 서로 이격되는 경우에도 상기 도체(210, 210')의 상기 돌출부(2100)와 오목부(2200)의 접촉면적에 의해 전류가 이동하는 경로의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국부적인 발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210, 210')의 접속부에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지지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허용인장하중이 증가하게 된다.Therefore, even when the ends of the conductors 210 and 21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the time of pressing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500, the protrusions 2100 and the recesses 2200 of the conductors 210 and 210' The area of the path through which the current moves is increased by the contact area, so that local heat generation can be reduced. In addition, when tensile force acts on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conductors 210 and 210 ', the area supported increases, and the allowable tensile load increases.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basically includ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210...도체
212...내부 반도전층
214...절연층
216...외부반도전층
300...중간 접속함
310...보강절연층
400...도체 압착슬리브
210 ... conductor
212 ... inner semiconductive layer
214 ... insulating layer
216 ... outer semiconductive layer
300 ... medium connection
310 ... reinforced insulation layer
400 ... conductor crimp sleeve

Claims (16)

도체, 내부 반도전층, 절연층 및 외부 반도전층을 포함하는 한 쌍의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의 상기 도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도체 압착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는,
중공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도체가 수용되는 도체 수용부를 가지며,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름산과 상기 주름산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골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강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A conductor crimping sleev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ors of a pair of ultra-high voltage DC power cables including a conductor,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The conductor crimp sleeve
A body portion having a conductor accommodating portion which is formed as a hollow body and accommodates the conductor therein and has at least one corrugation formed between at least two corrugated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and the corrugated body; And
A reinforcing port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conductor crimping slee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양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3. The method of claim 2,
And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portion are formed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의 양 단부가 각각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주름산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and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portion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where the corrugation of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is form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is formed of copper or aluminum.
도체, 내부반도전층, 절연층, 외부반도전층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전력케이블과, 상기 전력케이블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간접속함을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은,
상기 내부반도전층을 둘러싸며, 절연유에 함침된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을 둘러싸며, 절연유에 함침된 복합절연지로 이루어진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을 둘러싸며, 절연유에 함침된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제3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접속함은,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주름산과 상기 주름산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골을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도체 압착슬리브; 및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최내층과 복합절연지로 이루어진 최외층을 가지며, 상기 전력케이블의 상기 도체,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 내지 상기 절연층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보강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는 상기 주름골의 최소 두께가 상기 몸체부 양단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압착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comprising a pair of power cables including a conductor,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and an intermediate connection box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wer cables to each other,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comprises:
A first insulating layer surrounding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and made of kraft paper impregnated with insulating oil;
A second insulating layer surrounding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made of a composite insulating paper impregnated with insulating oil; And
And a third insulating layer surrounding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made of kraft paper impregnated with insulating oil,
The intermediate junction box includes:
A conductor crimping sleeve electrically connecting conductors of the pair of power cables to each other and having at least one corrugation formed between at least two corrugations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and the corrugation; And
And a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having an outermost layer made of a kraft paper and an outermost layer composed of a composite insulating paper and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or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Wherein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has a minimum thickness of the wrinkle core that is thicker than a thickness of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케이블의 상기 도체는 원형의 중심소선과 상기 원형 중심소선을 감싸도록 연선된 평각소선으로 이루어진 1층 이상의 평각소선층을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평각도체이며,
상기 주름골의 최소 두께와 상기 몸체부 양단부의 두께 차이가 상기 평각소선층의 최외곽층 두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ductor of the power cable is a rectangular conductor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having at least one flat stranded wire layer composed of a circular central wire strand and a square wire strand stranded to surround the circular center wire strand,
Wherein a difference between a minimum thickness of the wrinkle corrugation and a thickness of both end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n outermost layer thickness of the square wire strand lay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최외면이 상기 전력케이블의 상기 제1 절연층의 최외면 보다 상기 전력케이블의 중심축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is positioned closer to the center axis of the power cable tha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상기 최내층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양 단부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사이에 권취된 크래프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Wherein the innermost layer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includes a kraft paper wound between both ends of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and the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상기 최내층은 상기 도체 압착슬리브의 최외면을 둘러싸는 크래프트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nnermost layer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further comprises a kraft paper surrounding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conductor crimping sleev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상기 최내층은 상기 최내층의 최외면이 상기 제1 절연층의 최외면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nermost layer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is disposed such that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innermost layer is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center axis of the power cab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상기 최외층은 상기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외경 이상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utermost layer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is formed at an outer diameter or greater of an insulation layer of the power cab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과 최외층 사이에 복합절연지로 이루어진 중간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layer made of composite insulating paper between the innermost layer and the outermost layer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과 최외층 사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복합 절연지로 이루어진 제1 중간층과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제2 중간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first intermediate layer between the innermost layer and the outermost layer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sequentiall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consisting of a composite insulating paper and a second intermediate layer comprising a kraft pap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의 최내층과 최외층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중간층과 제2 중간층은 각각 상기 전력케이블의 제2 절연층 및 제3 절연층과 상기 전력케이블의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intermediate layer and the second intermediate layer provided between the innermost layer and the outermost layer of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are dispos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axis of the power cable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of the power cable, Wherein said power cable system comprises:
도체, 내부반도전층, 절연층, 외부반도전층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전력케이블과, 상기 전력케이블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간접속함을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간접속함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도체 압착슬리브의 상기 주름산을 압착하고, 외면을 다듬질하여 상기 한 쌍의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comprising a pair of power cables including a conductor,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and an intermediate connection box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wer cables to each other,
Wherei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box is formed by pressing the corrugated material of the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ors of the pair of power cables with each other by finishing the outer surface thereof. DC power cable system.
KR1020160109852A 2015-09-23 2016-08-29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and ultra high voltage DC power cable system using the same KR1025947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0114 WO2017052119A1 (en) 2015-09-23 2016-09-08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and ultra-high-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457 2015-09-23
KR20150134457 2015-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774A true KR20170035774A (en) 2017-03-31
KR102594700B1 KR102594700B1 (en) 2023-10-26

Family

ID=58500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852A KR102594700B1 (en) 2015-09-23 2016-08-29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and ultra high voltage DC power cable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7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6242A1 (en) * 2018-11-07 2020-05-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5956A (en) * 1996-11-06 1998-05-29 Mitsubishi Cable Ind Ltd Connection of power cable and method for connecting power cable
JP2010097775A (en) * 2008-10-15 2010-04-30 Sumitomo Electric Ind Ltd Intermediate connection structure of solid cab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5956A (en) * 1996-11-06 1998-05-29 Mitsubishi Cable Ind Ltd Connection of power cable and method for connecting power cable
JP2010097775A (en) * 2008-10-15 2010-04-30 Sumitomo Electric Ind Ltd Intermediate connection structure of solid cab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6242A1 (en) * 2018-11-07 2020-05-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structure
US11476595B2 (en) 2018-11-07 2022-10-18 Ls Cable & System Ltd.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700B1 (en)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030B1 (en) Jointing power cable system using joint box and joint box for power cable
US4256921A (en) Moisture resistant cable
KR101603879B1 (en) Mixed solid insulation material for a transmission system
KR102416896B1 (en) Joint box
KR20150099373A (en) Termination connection box for DC cable
KR101998944B1 (en) Power cable
KR10263886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aensating pressure of joint box
KR1022161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jointing power cable using joint box
KR20170035774A (en)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and ultra high voltage DC power cable system using the same
KR102499648B1 (en) High voltage DC power cable joint system
KR102386728B1 (en) Joint for ultra high voltage cable and ultra high voltage cable joi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256323B1 (en)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KR102256351B1 (en)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KR102342534B1 (en) Apparatus for trimming compressing sleeve
KR101830032B1 (en) Jointing power cable system using joint box and joint box for power cable
WO2017052119A1 (en) Conductor compression sleeve and ultra-high-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using same
KR102216120B1 (en) Jointing power cable system using joint box
US20240047956A1 (en) Jointing system of power cable
EP3879653A1 (en) Joint system of power cable
KR101830033B1 (en) Jointing power cable system using joint box
KR101810360B1 (en) Jointing power cable system using joint box
KR101810359B1 (en) Jointing power cable system using joint box
KR101839725B1 (en) Jointing power cable system using joint box
CN210925520U (en) Reinforced flat pipe aluminum sheath copper core waterproof cable
KR1018103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jointing power cable using joint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