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835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835A
KR20170028835A KR1020160104194A KR20160104194A KR20170028835A KR 20170028835 A KR20170028835 A KR 20170028835A KR 1020160104194 A KR1020160104194 A KR 1020160104194A KR 20160104194 A KR20160104194 A KR 20160104194A KR 20170028835 A KR20170028835 A KR 20170028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ub
water
inlet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4592B1 (ko
Inventor
김우성
이지홍
성기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28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06F39/082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detecting faulty draining operations, e.g. filter blockage, faulty pump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의 세척이 진행되는 도중 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부를 통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드로워; 상기 터브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터브 내부의 세척수를 터브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 상기 배수펌프로부터 배출된 세척수를 상기 캐비닛 외부로 안내하는 연결유로; 상기 캐비닛 외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유로와 연통하는 커넥터;및,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커넥터배출구가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커넥터유입구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및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장치의 전방면에 구비된 트입구를 통해 의류를 상기 터브에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타입과, 장치의 상부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상기 터브에 투입하는 탑 로딩 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종래 의류처리장치들 중에는 상기 터브가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경우가 있다. 상기 터브가 캐비닛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될 때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나 터브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하지만 상기 터브가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보조의류처리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터브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구비되었다.
또한, 보조의류처리장치로 사용되지 않더라도 상기 터브가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종래의류처리장치는 터브의 높이가 너비보다 작게 구비되었다.
종래의류처리장치는 터브의 상부면까지 물이 급수되어야 의류 세탁에 필요한 물의 양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류처리장치의 배수부는 상기 터브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때, 종래의류처리장치는 터브에 물이 상당히 높은 수위로 급수되고 드럼이 회전하여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터브에 수용된 물이 배수부를 통해 배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의류의 세척이 진행되는 도중 진동에 의해 물이 출렁이면서 배수부를 향하여 높이가 순간적으로 상승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높아진 압력차에 의해 일정량의 물이 터브에서 배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한번 배수되기 시작하면 사이펀 현상에 의해 터브 내부에 모든 물이 의도치 않게 배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세척이 진행되는 도중 터브 내부에 저장된 물이 드럼의 진동 등에 의해 의도치 않게 배수부를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의 세척이 진행되는 도중 터브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유지하여 세척효율을 향상시키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터브 내부의 물의 수위를 유지함으로써 세제의 농도를 유지하고, 의류에 과도한 기계력이 미치지 않도록 하여 의류의 손상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하수구의 악취가 터브로 유입되어 의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고 세척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 내부의 세척수를 상기 터브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 상기 배수펌프로부터 배출된 세척수를 상기 캐비닛 외부로 안내하는 연결유로, 상기 캐비닛 외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유로와 연통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커넥터유입구와 세척수가 배출되는 커넥터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배출구는 상기 커넥터유입구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터브가 저장 가능한 세척수의 최고 수위보다 높은 지점으로 설정된 기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배출구는 상기 커넥터유입구의 최대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배출구는 지면과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배출구는 상기 터브가 저장 가능한 세척수의 최고 수위보다 높은 지점으로 설정된 기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유입구와 체결 가능한 커넥터체결부, 상기 커넥터체결부의 주변부 및 상기 커넥터유입구에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유입구와 상기 커넥터체결부가 결합될 때, 상기 커넥터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안내부는, 상기 커넥터유입구에 구비된 제1위치안내부, 상기 커넥터체결부 주변부에 구비된 제2위치안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위치안내부 및 상기 제2위치안내부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커넥터유입구와 상기 커넥터체결부가 결합될 때, 상기 커넥터가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위치안내부는 상기 커넥터유입구의 가장자리 중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위치안내부는 상기 커넥터체결부 주변부의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유입구와 상기 커넥터체결부가 결합되면, 상기 제2위치안내부는 상기 커넥터유입구의 가장자리 중 나머지 일부를 채울 수 있다.
상기 제1위치안내부는 고리 형상을 하고, 상기 제2위치안내부는 돌기 형상을 하며, 상기 커넥터유입구와 상기 커넥터체결부가 결합될 때 상기 제2위치안내부는 상기 제1위치안내부의 고리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안내부 및 상기 제2위치안내부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안내부는, 상기 커넥터유입구에 구비된 돌기부, 상기 커넥터체결부 주변부에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유입구가 안착가능한 원형홈, 상기 원형홈에 구비되고 상기 돌기부와 결합 가능한 돌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 및 상기 돌기홈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세척이 진행되는 도중 터브 내부에 저장된 물이 배수부를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세척이 진행되는 도중 터브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유지하여 세척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터브 내부의 물의 수위를 유지함으로써 세제의 농도를 유지하고, 의류에 과도한 기계력이 미치지 않도록 하여 의류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수구의 악취가 터브로 유입되어 의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드로워, 터브 및 드럼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드로워가 캐비닛 내부에 위치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캐비닛에서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드로워 후방면에 구비된 커넥터체결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커넥터체결부에 결합되는 커넥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커넥터가 커넥터체결부와 결합된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와 도 10은 커넥터와 커넥터체결부가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2), 상기 캐비닛(2)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3), 상기 드로워(3)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4) 및 상기 터브(4)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5)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2)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수단을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로워(3)를 수용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드로워(3)를 구비하는 경우, 캐비닛(2)으로부터 드로워의 입출입이 가능할 수 있도록 캐비닛(2)에 개방면(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는 드로워의 외관을 형성하고 캐비닛(2) 내부로부터 인출 가능한 드로워 바디(31), 드로워의 전방면을 형성하고 드로워의 입출입을 통해 개방면(21)을 개폐하는 드로워 패널(33),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35)로 구성된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은 컨트롤패널(331)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패널(331)은 드로워(3) 내부의 드럼(5)의 작동을 제어하고, 작동 상황을 사용자에게 표시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커버(35)에는 제1관통홀(351)과 제2관통홀(353)이 구비될 수 있다. 제1관통홀(351)은 세탁물 및 건조물 등의 출입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관통홀(353)은 세척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351)은 상기 의류가 출입되는 곳이며 상기 제2관통홀(353)은 물이 공급되는 곳이므로, 상기 제 1 관통홀(351)은 상기 제 2 관통홀(353)보다 크기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로워(3)가 전방으로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되고, 외부 급수원은 상기 캐비닛(2)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4)에 물을 공급하므로 상기 제 2 관통홀(353)은 상기 제 1 관통홀(351)보다 후방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홀(351)은 후술할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이므로 배면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양단에 연결된 곡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제1관통홀(351)은 반원형상으로 구비되거나,반트랙(Half track)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351)과 상기 제 2 관통홀(353)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4)는 터브의 외관을 형성하는 터브 바디(41), 상기 터브 바디(41)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터브 커버(43), 상기 터브(4)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고 세탁물의 입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41)는 드로워(3) 내부에 구비되고, 상부면이 일부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터브 바디(41) 내부에는 세척수 또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411)가 구비될 수 있다. 세척수의 가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히터(411)는 터브 바디(41)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바디(41)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터브 커버(43)에는 터브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투입구(431)와 공급구(433)가 구비될 수 있다. 투입구(431)는 세탁물 또는 건조물을 투입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며, 공급구(433)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투입구(431)와 제1관통홀(351)은 서로 연통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세탁물 및 건조물의 이동 통로가 되고, 상기 공급구(433)와 제2관통홀(353) 또한 서로 연통하여 상기 세척수가 공급되는 이동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터브(4) 내부에는 회전 가능한 드럼(5)이 구비된다.상기 드럼(5)은 드럼의 외관을 형성하는 드럼 바디(51)로 구성되며 드럼 바디(51)의 상부면은 개방된 개방면(53)으로 구성되어 있다. 터브에 구비된 투입구(431)와 개방면(53)은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세탁물 또는 건조물이 투입구(431)와 개방면(53)을 지나 드럼 바디(51)로 출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 바디(51)는 세척수가 출입할 수 있는 드럼 관통홀(5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5)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터브 바디(41)의 외부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스테이터(M1)와 상기 스테이터에서 발생되는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M2)로 구성되며, 구동축(M3)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터브 바디(41)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M3)은 터브 바디(41)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4)는 터브지지부(6)를 통해 드로워 바디(31)에 결합되며, 상기 터브지지부(6)는 드로워 바디(31)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61), 터브 바디(41)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63), 상기 제1지지부(61)와 상기 제2지지부(63)를 연결하는 연결부(65)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7)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 내부로 공급된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부(8)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7)는 터브(4) 내부로 물을 공급하며, 상기 배수부(8)는 터브 내부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2)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터브(4)는 상기 급수부(7)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는다. 이때, 일반적으로 상기 드럼(5)의 개방면(53)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까지 세척수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5)에는 의류가 수용되므로 상기 드럼(5)의 개방면(53) 까지 세척수를 공급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세척수가 상기 드럼(5)에서 상기 터브(4)로 넘치게 되기 때문이다.또한, 상기 드럼(5)의 개방면(53)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까지 세척수를 공급해야 드럼(5)이 회전하여 진동하여도 순간적으로 드럼(5)에 수용된 세척수의 가장 높은 수위가 상기 드럼(5)의 개방면(53)에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4)의 바닥면에서 드럼(5)의 개방면(53)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수위를 정상수위 또는 제1수위(1st level)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수위 이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면, 세척수가 드럼(5)에서 넘치게 된다. 상기 넘치는 세척수는 의류를 세탁하는데 사용될 수 없고, 터브(4)의 무게만 무거워지게 하므로 제1수위 까지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급수밸브의 이상동작, 수위센서의 고장, 제어부의 오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세척수가 상기 터브(4)에 상기 제1수위를 넘어 상기 드럼(5)의 개방면(53)에 이르기 까지 공급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제1수위를 넘어 상기 드럼(5)의 개방면(53)에 이르기 까지 세척수를 공급하면, 세척수가 필연적으로 터브(4)로 넘칠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 드럼(5)의 개방면(53)과 나란한 수위를 이상수위 또는 제2수위(2nd level)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위(2nd level)는 상기 드럼(5)에 의류가 수용되어 있지 않을 때나 상기 드럼(5)이 회전하지 않는다면 이론적으로 상기 드럼(5)에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수량이 된다.
이때, 상기 터브(4)에 제2수위 보다 세척수를 더 공급하여 상기 터브커버(43)까지 세척수가 이르게 되면, 상기 터브(4) 밖으로 세척수가 넘칠 수 있다.
즉, 상기 터브커버(43)까지 세척수가 도달하면 상기 드럼(5)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세척수는 상기 터브(4)를 넘치게 된다. 결과적으로 터브(4)에 수용된 세척수는 상기 터브커버(43) 상부로 넘쳐 상기 드로워(3) 내부로 유출될 수 있고, 배수부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이때의 수위를 넘치는 수위 또는 제3수위(3rd level)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3수위(3rd level)를 이론상 상기 터브(4)가 수용할 수 있는 세척수의 최대 수량이다.
한편, 상기 터브(4)에 상기 제3수위(3rd level)까지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상기 드럼(5)이 회전하여 진동이 발생하면 세척수는 상기 제3수위(3rd level)까지 순간적으로 이를 수 있다. 즉, 세척수는 상기 제3수위(3rd level)까지 공급되지 않더라도 터브(4) 외부로 넘치거나 배수될 수 있다.
즉, 상기 세척수가 상기 터브(4) 외부로 유출되면 상기 드로워(3)로 유출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배수유로로 상기 세척수가 배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터브(4)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세척수가 의도하지 않게 감소되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가 본래 목적했던 세척효과를 달성하지 못할 수 있고, 세제의 농도가 높아지거나 의류에 과도한 기계력이 미치게 되어 의류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4) 내부의 세척수가 외부로 넘치거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84)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 커버(43)에는 상기 투입구(431)를 개폐하는 도어(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45)는 힌지(453)를 통해 상기 터브 커버(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451),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터브 바디(41)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윈도우(455), 상기 프레임(451)을 상기 터브 커버(43)에 착탈 가능하게 돕는 도어 핸들(45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45)는 상기 힌지(453)를 통해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되며 상기 터브커버(43)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45)는 상기 터브커버(43)를 기준으로 상부에서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45)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터브(4) 내부에 세척수 및 의류 등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45)는 상기 터브커버(43)의 상부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45)는 상기 투입구(431)의 상부 외주면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351)은 상기 도어(45)가 상기 힌지(453)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투입구(43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45)의 형상과 같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45)는 상기 힌지(453)를 기준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453)가 설치된 곳은 직선으로 구비되고, 상기 힌지(453)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은 의류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곡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곡선의 양단이 상기 직선의 양단과 결합된다면 상기 곡선은 어떠한 곡률을 구비하더라도 무방하다.
예를들어, 상기 도어(45)는 반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트랙(track)형상의 절반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홀(351)은 상기 도어(45)와 형상은 같되 그 배율이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홀(351)은 사용자가 상기 핸들(457)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457)과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부(35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457)은 상기 도어(45)가 균형있게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451)의 전방면에 구비될 수 있다.즉, 상기 핸들(457)은 상기 프레임(451)의 전방 중심부에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45)가 개폐될 때 상기 핸들(457)을 중심으로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도어(45)의 자중이 쏠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관통홀(351)은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457)을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상기 도어 핸들(457)과 대응되는 곳에 절개부(3511)를 구비할 수 있다.상기 드로워 커버(35)는 양측면 말단에서 하부로 연장된 연장리브(35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장리브(352)는 상기 드로워바디(31)의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 커버(35)가 상기 드로워 바디(31)에 고정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연장리브(352)에는 도시하진 않았지만 볼트나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홀이 구성되거나, 상기 드로워바디(31)와 끼움결합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결합은 상기 드로워 바디(31) 또는 상기 연장리브(352) 내면 중 어느하나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미도시)와 상기 드로워 바디(31) 또는 상기 연장리브(352) 중 다른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가 결합되는 레일의 구성으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결합은 후크(미도시)와 수용홈(미도시)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리브(352)와 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체결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후술할 급수유로(73)는 상기 드로워 커버(35)에 고정되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관(7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관(75)은 양단에 체결리브(75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커버(35)는 상기 체결리브(751)와 결합되는 체결홈(3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관(75)은 상기 터브(4)의 진동으로 인해 상기 드로워(3)가 진동할 때 상기 급수유로(73)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관(75)는 드로워(3)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급수유로(7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급수유로(7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5)는 제1지지부(61)에 안착되는 제1연결부(651), 제2지지부(63)를 지지하는 제2연결부(653),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연결하는 바(65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651)는 상기 제1지지부(61) 내부에 안착하되 제1지지부(61)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부(653)는 상기 제2지지부(63)를 지지하되 제2지지부(63)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제1연결부(651) 및 제2연결부(653)가 구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각 지지부에 접촉되는 면이 반구 형상으로 구비된 연결부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655)는 상기 캐비닛(2)의 바닥면에 대하여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3개 이상의 터브지지부(6)가 터브 바디(41)를 드로워 바디(31)에 결합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부(7) 및 상기 배수부(8)가 단순히 급수원과 공급구(433)를 연결하는 호스 및 터브 내부의 물을 캐비닛 외부로 안내하는 호스로 구비된다면 캐비닛(2) 내부에서 드로워(3)가 인출될 때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지 위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2)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부(7)와 배수부(8)의 원활한 이동을 돕는 가이더(9)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 내지 도 5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7), 배수부(8) 및 가이더(9)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가이더(9)는 제1바디(97)와 제2바디(9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바디(97)의 일단은 캐비닛(2)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부(95)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바디의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바디(99)의 타단은 드로워 커버(35)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바디(97)는 급수되는 물과 배수되는 세척수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베이스(97a)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을 밀봉하는 커버(97b)로 구성된다. 또한 급수되는 물과 배수되는 세척수가 섞이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97a) 내부에는 격벽(97c)이 추가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97c)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이동 통로가 되는 급수연결관(973)과 터브 내부의 세척수를 배출하는 통로가 되는 배수연결관(975)으로 상기 베이스(97a)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바디(97)의 일단은 지지부(95)와 제1축(97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축은 지면에 수직하게 구비된다. 제1바디의 타단과 연결된 제2바디(99)의 일단은 제2축(99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축 또한 지면에 수직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바디(99)의 타단은 드로워 커버(35)와 제3축(99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축은 지면에 수직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바디(97)와 상기 제2바디(99)는 상기 제1축(971), 상기 제2축(991) 및 상기 제3축(99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드로워 바디(31)는 캐비닛(2)으로부터 원활하게 인출입 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7) 및 상기 배수부(8)는 상술한 상기 가이더(9)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더(9)와 결합됨으로 인해 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캐비닛(2)으로부터 인출입이 되어도 파손되거나 서로 꼬일 염려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 급수부(7)는, 일단은 지지부(95)와 연결되고 타단은 급수연결관(973)과 연결되는 제1급수유로(71), 상기 제1급수유로(71)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급수밸브(79) 및 제2급수유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급수유로는 급수연결관(973)으로부터 공급된는 물을 터브(4) 내부로 공급하는 통로가 되는 제1급수관(73), 터브 커버(43)에 구비된 공급구(433)와 연결되고 주름관 형태로 구비되는 제2급수관(77) 및 상기 제1급수관과 제2급수관을 연결하는 체결관(7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급수관(77)이 주름관 형태로 구비된 이유는 터브(4)의 진동이 체결관(75)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급수유로(71)와 급수연결관(973)은 급수연결관 유입구(973a)를 통해서 연결되고, 상기 제1급수관(73)은 급수연결관(973)과 급수연결관 배출구(973b)를 통해서 연결된다.
급수원으로부터의 물의 공급 경로를 살펴보면,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제1급수유로(71)로 유입되고 급수연결관 유입구(973a)을 통해 급수연결관(973)으로 유입된다. 급수연결관(973)으로 유입된 물은 급수연결관 배출구(973b)를 통해 제1급수관(73)으로 공급되고, 제1급수관으로 공급된 물은 체결관(75) 및 제2급수관(77)을 통해 최종적으로 터브 바디(41)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제1급수관(73)은 호스 형태의 고무 형태나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바디(99)는 제1급수관(7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바디(99)는 돌기 형태의 급수관 수용부(99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급수관(73)이 제2바디(99)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급수관(73)은 제2바디(99)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수용부(995)는 제3축(993)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받침대(9911)와 상기 받침대의 양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구비된 수용리브(9912), 상기 수용리브(9912)의 자유단에서 상기 받침대(9511)와 나란하게 서로 가까워 지도록 돌출되는 돌출부(99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수용부(995)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9911)과 상기 수용리브(9912)는 상기 제1급수관(73)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9913)은 상기 제1 급수관(73)이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하거나 위치를 변경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99)는 상기 제2축(991)과 연결되되 상기 제1 바디(97)와 이격되어 구비되도록 경사부(99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9991)는 상기 제1 바디(97)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터브(4)의 진동시 상기 제1바디(97)와 상기 제 2바디(99)가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관(73,77)이 상기 제2 바디(99)에서 상기 제 2 관통홀(353)까지 연장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99)는 상기 제1 바디(97)와 나란하게 구비된 제1직선부(999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9991)은 상기 제1직선부(9992)의 말단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수용부(995)는 상기 경사부(9991)의 말단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8)는 터브 바디(41)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배출시키고 드로워(3)의 후방면에 고정되는 배수펌프(82), 상기 배수펌프(82)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캐비닛(2) 외부로 안내하는 연결유로(83, 85, 87), 캐비닛(2)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유로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가 상기 배수펌프(82)가 작동하지 않을 때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커넥터(84) 및 상기 커넥터(84)와 연결되고 세척수를 최종적으로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유로(89, 도2참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는 배수펌프(82)가 구비된 배수챔버(81)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제1배수관(85)과 연결되는 제1연결유로(83), 상기 제1연결유로(83)와 상기 제1배수관(85)을 연결하는 유로연결부(86) 및 일단은 배수연결관(975)와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부(95)와 연결되는 제2배수관(87)으로 구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터브(4) 내부의 세척수는 배수펌프(82)를 통해 제1연결유로(83)를 지나 제1배수관(85)를 통해 배수연결관(975)으로 유입된다. 이 때 제1배수관(85)의 세척수는 배수연결관 유입구(975a)를 통해서 배수연결관(975)으로 유입된다. 배수연결관(975)로 유입된 세척수는 배수연결관 배출구(975b)를 통해 제2배수관(87)으로 배출되며 제2배수관(87)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캐비닛(2) 외부에 구비된 커넥터 (84)로 배출된다.
상기 커넥터(84)는 상기 배수관(87)으로 유입된 세척수가 터브(4)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8를 살펴보면, 상기 연결유로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2) 외부로 일부 돌출된 커넥터체결부(841)가 상기 커넥터(84)와 연결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유로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커넥터(84)의 입구에 해당하는 커넥터유입구(847)가 커넥터체결부(841)와 연결된다.
또한 커넥터(84)는 유입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출구인 커넥터배출구(849)를 포함한다. 즉, 연결유로로부터 커넥터유입구(847)로 유입된 세척수는 커넥터(84) 내부를 거쳐 커넥터배출구(849)로 배출된다.
상기 커넥터유입구(847) 또는 커넥터배출구(849)는 터브(4)에 저장 가능한 물의 최고 수위인 제3수위(3rd level)보다 높은 지점(S)에 구비될 수 있다. 터브(4) 내부의 세탁수가 세탁도중 상기 커넥터배출구(849)를 통해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배수부(8)의 경우, 작동 중이던 배수펌프(82)의 작동이 중단되는 경우, 커넥터(84) 및 연결유로 내부에 잔류하는 세척수가 자중에 의해 터브(4) 내부로 유입될 것이고, 터브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K)가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83, 85)보다 높으면 연결유로 내부에 물이 잔류하게 된다.
연결유로 내부에 물이 잔류하면, 겨울철 외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 세척수가 연결유로 내부에서 얼 수도 있고, 이로인해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 시 연결유로가 파손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유로가 상기 제3수위보다 높은지점(S)과 배수펌프(82) 사이에 저장된 물이 터브(4)로 이동함으로 인해 터브 내부에 형성된 수위(K)보다 높은 위치(H)에 구비되게 되면 연결유로 내에 물이 잔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수위(K)와 위치(H)의 측정 기준위치는 동일한 것을 전재로 하며, 도 4를 살펴보면 챔버연통관(811)을 기준위치인 경우가 일례가 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세탁 시 드럼(5)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드럼(5)의 회전으로 인해 터브 바디(41) 내부의 세척수에 수류가 발생하고, 발생된 수류는 터브 뿐만 아니라 인접하고 있는 배수부(8) 및 가이드(9)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수류, 상기 진동 또는 상기 수류와 진동의 공동 영향으로 인해 커넥터(84)와 연결되어 있는 제2배수관(87) 및 상기 제2배수관과 인접하고 있는 배수연결관(975)에 잔류하고 있던 세척수가 연결유로 끝단에 구비된 커넥터체결부(841)를 통해서 캐비닛 외부로 새어나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7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배출구(849)는 상기 커넥터유입구 (847)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유입구(847) 또는 커넥터배출구(849)는 터브 바디(41)가 수용할 수 있는 세척수의 최대 높이(F)보다 같거나 더 높은 지점(S)에 구비되기 때문에(도 2 참고) 일반적인 경우 세척수가 새어나갈 일이 없으나 상술한 상황에서는 세척수가 일부 새어나갈 수 있다. 이 때 커넥터배출구(849)가 커넥터유입구(847)보다 소정거리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되면 세척수가 새어나가는 것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7은 상기 커넥터배출구(849)가 상기 커넥터유입구(847)의 최상부보다 L만큼 높게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다만, 이는 일실시예일뿐 상기 커텍너 배출구(849)가 상기 커넥터유입구(847)보다 높게 구비되어 있으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커넥터배출구(849)는 커넥터유입구(847)보다 높게 위치하면 어느 방향으로 향해도 무관하나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위쪽 방향을 향해 있다. 즉, 상기 커넥터배출구(849)는 지면과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세척수가 새어나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커넥터배출구(849)는 커넥터유입구(847)의 최대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L)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커넥터배출구(849)에는 배수유로(89)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배수유로(89)는 커넥터(84)와 일체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배수유로(89)는 어떠한 소재를 이용하여도 무관하나, 배수하고자 하는 방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호스 형태의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84)가 상술한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유입구(847)와 상기 커넥터체결부(841)에는 위치안내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커넥터(84)가 결합 후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를 참고하여 커넥터(84)가 캐비닛(2) 외부로 돌출된 연결유로의 끝단에 해당하는 커넥터체결부(841)과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터유입구(847)의 가장자리 중 일부에는 제1위치안내부(84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체결부(841) 주변부 캐비닛(2)에 제2위치안내부(8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유입구(847)와 상기 커넥터체결부(841)가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제1위치안내부(843)와 제2위치안내부(845)가 서로 접하게 된다. 즉, 상기 제2위치안내부(845)는 상기 커넥터유입구(847)의 가장자리 중 제1위치안내부가(843) 구비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84)는 커넥터체결부 (841)에 결합되었을 때, 회전하여 커넥터배출구(849)가 커넥터유입구(847)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할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커넥터유입구(847)에는 상기 커넥터유입구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고리 형태를 가진 제1위치안내부를 구비하고, 커넥터 체결부(841) 주변부에 위치한 제2위치안내부는 돌기 형상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유입구(847)가 상기 커넥터 체결부(841)에 결합되면 돌기 형상을 가진 상기 제2위치안내부(845)는 상기 제1위치안내부의 고리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위치안내부와 제2위치안내부의 결합으로 상기 커넥터(84)가 결합되어도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위치안내부 및 제2위치안내부는 쌍으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살펴보면, 위치안내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위치안내부 이외에 구조는 상술한 다른 실시예와 같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커넥터유입구(847)에는 돌기부(843a)가 상기 커넥터유입구(847)와 동일 평면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843a)와 대응되는 돌기홈(845a)이 커넥터체결부(841) 주변부 캐비닛(2)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체결부 주변부에는 돌기홈(845a)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고 커넥터유입구(847)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형홈(845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유입구(847)가 커넥터체결부(841)에 결합될 때 상기 돌기부(843a)는 상기 돌기홈(845a)에, 상기 커넥터유입구(847)은 상기 원형홈(845b)에 결합되며, 결합 후에는 커넥터(84)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돌기부(843a)와 돌기홈(845a)은 쌍으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유입구(847)가 커넥터체결부(841)에 좀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커넥터유입구(847)와 커넥터체결부(841)의 결합부위에 각각 자석(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도11은 상기 터브(4)의 세척수가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배수펌프(83)와, 상기 연결유로(83,85,87)와, 상기 커넥터(8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펌프(83)와, 상기 연결유로(83,85,87)와, 상기 커넥터(84)를 통과하는 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88)를 구비하여 능동적으로 상기 터브(4)의 세척수가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터브(4)의 세척수가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밸브(88)는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에서 배수신호를 기다려 상기 배수펌프(83)와, 상기 연결유로(83,85,87)와, 상기 커넥터(8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펌프(83)와, 상기 연결유로(83,85,87)와, 상기 커넥터(84) 중 어느하나를 개방할 수 있다.
도11은 상기 연결유로 중 제2배수관(87)에 밸브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나 이는 전술한 다른 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12는 상기 터브(4)의 세척수가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연결유로(83,85,87)는 상기 배수펌프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연결유로(83)와, 상기 제1연결유로의 말단과 상기 커넥터유입구(843)를 연통하는 제2배수관(87b)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배수관(87b)은 상기 터브의 상부면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일정 지름을 구비하며 적어도 1번이상 회전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관(87b)은 꽈배기 또는 연속되는 고리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배수관(87b)은 유로가 길어지게 구비되어 유로저항이 더 극대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배수관(87b)을 통과하는 세척수는 상기 유로저항으로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잔류하거나 자중에 의해 되돌아 올 수 있다.
즉, 상기 유로저항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수펌프(82)에서 발생하는 압력이 필요하다.
다시말해, 상기 배수펌프(82)가 구동할 경우에만 상기 터브(4)의 세척수는 커넥터(84)로 배수 될 수 있고, 터브(4) 및 드럼(5)의 진동만으로는 상기 제2배수관(87)을 통과하지 못할 수 도 있다.
도13는 상기 터브(4)의 세척수가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배수펌프(83)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연결유로(83)와, 상기 제1연결유로(83)의 말단과 상기 커넥터유입구를 연통하는 제2배수관(87)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배수관(87)은 상기 터브의 상부면보다 높은 곳에 구비될 수 있다.즉, 상기 제2배수관(87)이 상기 터브(4)의 터브커버(43)보다 H' 만큼 더 높은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배수관(87) 및 상기 제2배수관(87)에 연결된 커넥터(84)의 수두가 높아지게 되어 터브(4)에 수용된 세척수가 상기 커넥터(84)로 유출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2: 캐비닛 3: 드로워 31: 드로워 바디 35: 드로워 커버
4: 터브 41: 터브 바디 43: 터브 커버 45: 도어
5: 드럼 51: 드럼 바디 53: 개방면
6: 터브지지부 65: 연결부
7: 급수부 71: 제1급수유로 73: 제1급수관 77: 제2급수관
8: 배수부 82: 배수펌프 83: 제1연결유로 85: 제1배수관
87: 제2배수관 86: 유로연결부 89: 배수유로
84: 커넥터 841: 커넥터체결부 843: 제1위치안내부 845: 제2위치안내부
847: 커넥터유입구 849: 커넥터배출구
9: 가이더 97: 제1바디 99: 제2바디 95: 지지부
973: 급수연결관 975: 배수연결관 995: 급수관 수용부

Claims (19)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세척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 내부의 세척수를 상기 터브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
    상기 배수펌프로부터 배출된 세척수를 상기 캐비닛 외부로 안내하는 연결유로;
    상기 연결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연결유로에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캐비닛 외부로 안내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커넥터유입구와 세척수가 배출되는 커넥터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배출구는 상기 커넥터유입구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터브가 저장 가능한 세척수의 최고 수위보다 높은 지점으로 설정된 기준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배출구는 상기 커넥터유입구의 최대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배출구는 지면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배출구는 상기 터브가 저장 가능한 세척수의 최고 수위보다 높은 지점으로 설정된 기준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유입구와 체결 가능한 커넥터체결부;
    상기 커넥터체결부의 주변부 및 상기 커넥터유입구에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유입구와 상기 커넥터체결부가 결합될 때, 상기 커넥터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안내부는,
    상기 커넥터유입구에 구비된 제1위치안내부;
    상기 커넥터체결부 주변부에 구비된 제2위치안내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위치안내부 및 상기 제2위치안내부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커넥터유입구와 상기 커넥터체결부가 결합될 때, 상기 커넥터가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안내부는 상기 커넥터유입구의 가장자리 중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위치안내부는 상기 커넥터체결부 주변부의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유입구와 상기 커넥터체결부가 결합되면, 상기 제2위치안내부는 상기 커넥터유입구의 가장자리 중 나머지 일부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안내부는 고리 형상을 하고, 상기 제2위치안내부는 돌기 형상을 하며, 상기 커넥터유입구와 상기 커넥터체결부가 결합될 때 상기 제2위치안내부는 상기 제1위치안내부 고리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안내부 및 상기 제2위치안내부는 다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안내부는
    상기 커넥터유입구에 구비된 돌기부;
    상기 커넥터체결부 주변부에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유입구가 안착 가능한 원형홈; 및,
    상기 원형홈에 구비되고, 상기 돌기부와 결합 가능한 돌기홈;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및 상기 돌기홈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출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가능하고 상기 터브를 수용하는 드로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과 상기 드럼의 회전축은 서로 다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캐비닛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배수펌프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연결유로와, 상기 제1연결유로의 말단과 상기 커넥터유입구를 연통하는 제2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배수관은 상기 터브의 상부면보다 높은 곳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배수펌프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연결유로와, 상기 제1연결유로의 말단과 상기 커넥터유입구를 연통하는 제2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배수관은 상기 터브의 상부면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일정 지름을 구비하며 적어도 1번이상 회전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커넥터를 통과하는 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비되는 것을 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04194A 2015-09-04 2016-08-17 의류처리장치 KR102604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729 2015-09-04
KR20150125729 2015-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835A true KR20170028835A (ko) 2017-03-14
KR102604592B1 KR102604592B1 (ko) 2023-11-22

Family

ID=56853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194A KR102604592B1 (ko) 2015-09-04 2016-08-17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294601B2 (ko)
EP (1) EP3138949A1 (ko)
KR (1) KR102604592B1 (ko)
CN (2) CN106498652B (ko)
AU (2) AU2016317899B2 (ko)
WO (1) WO20170393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599A (ko) * 2021-11-11 2023-05-18 뉴모텍(주) 세탁기용 모터
KR20230071255A (ko) * 2021-11-16 2023-05-23 뉴모텍(주) 세탁기용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7654B1 (en) * 2018-06-27 2021-03-10 LG Electronics Inc. -1- Washing machine
CN110846848A (zh) * 2018-08-20 2020-02-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抽拉式洗衣机
KR102676856B1 (ko) * 2019-04-25 2024-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220049766A (ko) * 2020-10-1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984B1 (ko) * 2007-11-27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20150025083A (ko) * 2013-08-28 201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5437A (en) * 1967-02-02 1969-02-04 Fedders Corp Fluid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laundry machines
DE3627732A1 (de) * 1986-08-16 1988-02-18 Ego Italiana Foerdereinrichtung fuer fliessstoffe, insbesondere waschloesungen
JPH105477A (ja) * 1996-06-25 1998-01-13 Sanyo Electric Co Ltd 二槽式洗濯機
GB9910623D0 (en) 1999-05-07 1999-07-07 Notetry Ltd Domestic appliance
KR100413459B1 (ko) * 2001-10-15 200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세탁기의 유로구조
AU2003202816B2 (en) * 2002-01-11 2006-05-11 Lg Electronics Inc. A washing machine and dryer having being improved duct structure thereof
CN1234931C (zh) * 2002-03-13 2006-01-04 金羚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
ES2208069B1 (es) 2002-04-03 2005-10-01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Dispositivo de evacuacion de agua para una maquina de lavar.
CN100510239C (zh) * 2004-11-04 2009-07-08 金羚电器有限公司 一种上排水洗衣机
CA2628450A1 (en) 2005-11-04 2007-05-10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Integrated washing machine pump
NL1033131C1 (nl) * 2006-12-22 2008-06-24 Alfa Techniek B V Wasinrichting met terugslaginrichting.
AU2007342790B2 (en) 2007-01-10 2010-08-26 Lg Electronics Inc. Laundry device
KR101328953B1 (ko) 2007-01-10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JP4928373B2 (ja) * 2007-07-12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EP2063014B1 (en) * 2007-11-21 2013-09-1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1491574B1 (ko) * 2008-10-31 2015-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ES2347114B1 (es) 2008-12-12 2011-08-18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Maquina lavadora.
IT1398060B1 (it) * 2010-02-04 2013-02-07 Wilic Sarl Impianto e metodo di raffreddamento di un generatore elettrico di un aerogeneratore, e aerogeneratore comprendente tale impianto di raffreddamento
DE112011101522B4 (de) * 2010-04-30 2020-09-03 Lg Electronics Inc. Wäschevorrichtung
US9603503B2 (en) 2010-05-18 2017-03-28 Edward A. Chilcoat Liquid leak control appliance pedestal
US9057457B2 (en) * 2011-04-06 2015-06-16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Drain hose clip for a washer
EP2705187B1 (en) * 2011-05-02 2016-02-24 Indesit Company S.p.A. Appliance for treating textile items and auxiliary washing device
US9758918B2 (en) 2012-09-28 2017-09-12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Washing machine
US9260147B2 (en) * 2013-06-26 2016-02-16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Dynamic predictor for articulated mechanisms
KR102487097B1 (ko) * 2014-05-30 2023-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60014973A (ko) * 2014-07-30 2016-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TW201702453A (zh) * 2015-06-30 2017-01-16 Lg電子股份有限公司 洗衣處理裝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984B1 (ko) * 2007-11-27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20150025083A (ko) * 2013-08-28 201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599A (ko) * 2021-11-11 2023-05-18 뉴모텍(주) 세탁기용 모터
KR20230071255A (ko) * 2021-11-16 2023-05-23 뉴모텍(주) 세탁기용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67200A1 (en) 2017-03-09
AU2019204618A1 (en) 2019-07-18
CN106498652A (zh) 2017-03-15
AU2016317899B2 (en) 2019-03-28
KR102604592B1 (ko) 2023-11-22
US10294601B2 (en) 2019-05-21
CN106498652B (zh) 2019-06-11
WO2017039375A1 (en) 2017-03-09
US20210404105A1 (en) 2021-12-30
CN110106658A (zh) 2019-08-09
US20190242049A1 (en) 2019-08-08
AU2016317899A1 (en) 2018-03-22
AU2019204618B2 (en) 2021-07-01
EP3138949A1 (en)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8835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6501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2508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49338A (ko) 의류처리장치
KR20130016932A (ko) 세탁기
CA2956254C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350317B1 (ko) 세탁기
KR10216391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014974A (ko) 의류처리장치
EP3540113A1 (en) Clothes-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treatment apparatus
KR20220071166A (ko) 의류처리장치
EP369011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90009620A (ko) 의류처리장치
KR10240103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0207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03396A (ko) 의류처리장치
US20190276974A1 (en) Detergent box and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cluding same
KR2017008679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31608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0373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2978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9488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92198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10262145A1 (en) Washing machine
KR20170006644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