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288A - An electrode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and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n electrode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and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288A
KR20170028288A KR1020160114080A KR20160114080A KR20170028288A KR 20170028288 A KR20170028288 A KR 20170028288A KR 1020160114080 A KR1020160114080 A KR 1020160114080A KR 20160114080 A KR20160114080 A KR 20160114080A KR 20170028288 A KR20170028288 A KR 20170028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resent
unit
roll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0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4014B1 (en
Inventor
김민경
김지우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70028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2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0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01M2/107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tationary device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and specifically, to an electrode assembly which has a large reaction area per unit area of an anode and a cathode, and includes an electrode with a low non-uniformity of reaction, depending on a position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minated by interpos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to have the height of the electrode increasing stage by stage and gradually, from one end part to the other end part of the electrodes respectively, and are laminated in a way that the area of the lamination interface is maximized.

Description

전기화학소자용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An electrode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and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and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화학소자용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위 면적당 양극과 음극의 반응 면적이 넓으며, 충방전시 위치에 따른 반응 불균일도가 낮은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and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large reaction area between a cathode and a cathode per unit area and a low reaction non-uniformity depending on a position at the tim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1차전지에 대해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 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온 이차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have increased,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demand for this primary battery as an energy source. Among such secondary batteries, they exhibit high energy density and operating potential, have a long cycle lif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have been commercialized and widely used.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의 삽입 및 탈리가 가능한 물질을 음극 및 양극으로 사용하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유기 전해액 또는 폴리머 전해액을 충전시켜 제조하며, 리튬 이온이 상기 양극 및 음극에서 삽입 및 탈리될 때의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이다.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by using a material capable of inserting and desorbing lithium ions as a cathode and an anode, filling an organic electrolytic solution or a polymer electrolyte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inserting and removing lithium ions from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generate electrical energy by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s at the time of oxidation.

최근에는 이러한 리튬 이온 이차전지를 전기자동차(EV) 등 운송 수단의 동력원으로 사용하거나 스마트그리드와 같은 전력저장시스템으로 사용하기 위해 보다 높은 에너지 밀도, 높은 방전 전압 및 출력 안정성을 갖는 리튬 이차전지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higher energy density, higher discharge voltage and output stability has been developed to use such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s a power source of an electric vehicle (EV) or a power storage system such as a smart grid. Studies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이차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전극의 단위 면적당 전극 로딩량을 늘릴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충방전시 집전체 및/또는 전극탭과 가까운 부분과 먼 부분의 전극 위치에 따라 리튬 이온의 탈리 및 삽입 반응이 일정하지 않고 이로 인해 전지 가역 용량의 퇴화가 가속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energy density of the secondary batter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lectrode loading per unit area of the electrode. However,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near the collector and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action is not constant and the degeneration of the reversible capacity of the battery is accelerated.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면서 전극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한 전극 개발이 요구된다.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electrode for increasing the energy density of the electrode while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극은 전극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음극과 양극의 반응 면적이 넓고 에너지 밀도 및 출력 효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극의 국소 위치에 따른 반응 불균일도가 낮은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외의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wherein the electrode has a larg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a large reaction area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high energy density and output efficiency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n electrode having a low reaction non-uniformity according to a local position of the electrode. It is to be easily understood that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means of the means shown in the claims and their combinations.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각각 전극의 일단부에서 이와 대향하는 타단부로 갈수록 전극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이며, 적층 계면의 면적이 최대가 되는 방식으로 1 전극과 제2 전극이 적층된 단위 전극 조립체이다.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laminated via a separation membrane, and the height of the electrode is gradually increased from one end of the electrode to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lamin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area of the lamination interface is maximized.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에 있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이격없이 포개어질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전극 표면의 형상이 점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shape of the electrode surface facing each other is point-symmetric so that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an be superimposed on each other in the first aspect.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기 제1 또는 제2 측면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의 형상이 평판 형상인 것이다.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first or second aspect, the shape of the unit electrode assembly is a flat plate shape.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적층 단면이 사선 또는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nit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wherein a cross s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in a slant or stepped shape.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형상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적층 계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In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aspects, the shape of the separation membran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amination interface shap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본 발명의 제6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5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높이가 높은 일단부측에 전극탭이 형성되는 것이다. In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aspects, the electrode tab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본 발명의 제7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6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타단부의 전극의 높이가 상기 일단부의 전극의 높이에 대해 최소 1.01배 이상인 것이다. In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one of the first to sixth aspects, the height of the electrode at the other end is at least 1.01 times the height of the electrode at the one end.

본 발명의 제8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7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서로 점대칭을 이루도록 적층된 것이다. An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e first to seventh aspects,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laminated so as to have point-symmetry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제9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8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단위 전극 조립체가 둘 이상 적층되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분리막이 배치되어 전기적 절연 상태를 유지하는 전극 조립체이다. A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wo or more unit electrode assemblie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aspects are stacked and a separation membrane is disposed between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to maintain an electrically insulated state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9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ninth aspects.

본 발명의 제10 측면은 상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S1) 집전체의 표면에 전극 슬러리를 도포하는 단계; 및 (S2) 상기 도포된 전극 슬러리를 상부 롤러(R2)와 하부 롤러(R1)을 구비하는 한쌍의 가압 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가압 롤러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의 간격은 롤러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이다.A t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the method,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S1) applying an electrode slurry to a surface of a current collector; And (S2) passing the applied electrode slurry through a pair of pressure rollers including an upper roller (R2) and a lower roller (R1); In the pair of pressure roller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increases or decreases sequentially from one end of the roller to the other end.

또한, 본 발명의 제11 측면은 상기 제10 측면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의 회전축은 동일 평면상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n el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enth aspect, the rotation axes of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in parallel.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12 측면은 상기 제10 또는 제1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는 원추형이고, 상기 하부 롤러는 원주형인 것이다. Finally, a twel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e tenth or eleventh aspect, wherein the upper roller is conical and the lower roller is cylindrical.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전극 조립체는 이에 포함되는 전극의 표면적이 넓어 전극의 단위 면적 대비 출력 효율 및 에너지 밀도가 높다. 또한, 전극층의 높이가 순차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설계하여 충전/방전시 전극 내 활물질의 분포에 따른 따른 반응의 불균일도가 낮다. The unit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d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included therein and thus has a high output efficiency and energy density with respect to the unit area of the electrode.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electrode layer is designed to increase or decrease stepwise or stepwise, and the unevenness of the reaction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of the active material in the electrode during charging / discharging is low.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른 단위 전극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른 단위 전극 조립체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른 단위 전극으로서, 단위 전극 중 전극의 높이가 높은 측면부에 전극탭이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단위 전극 조립체가 적층되어 형성된 전극조립체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단위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below,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A and 1B are schematic diagrams of a unit electrod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schematically illustrate a unit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unit electrod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electrode tabs ar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a unit electrode, the height of which is high.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unit electrode assemblies are stack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illustrate a specific embodimen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unit 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all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기화학소자용 단위 전극에 대한 것이다. 상기 단위 전극은 일단부에서 이와 대향하는 타단부로 갈수록 전극의 높이가 순차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높이가 높은 측면부에 전극 탭이 형성된다.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unit electrode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The unit electrodes are form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electrodes gradually increases stepwis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ther end. Further, in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has an electrode tab formed on a side portion having a high height.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단위 전극을 포함하는 단위 전극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는 각각 전술한 특징을 갖는 단위 전극 한 쌍을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 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되는 것이다. 이때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적층 계면의 면적이 최대가 되는 방식으로 적층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전기적으로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unit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unit electrode. Each of the unit electrode assemblies has a pair of unit electrodes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as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laminated via a separator.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lamin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area of the lamination interface is maximized.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have a polarity that is electrically opposite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를 둘 이상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t least two unit electrode assemblies.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전극, 단위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는 전극의 표면적이 넓어 양극과 음극의 반응 면적이 넓으며 출력 효율이 높다. 또한, 단위 전극에서 전극의 높이가 높은 부분, 즉 전극 로딩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측면부에 전극 탭이 형성되기 때문에 충방전시 전극의 국소 위치에 따른 반응 불균일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The unit electrode, the unit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wid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a large reaction area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high output efficiency.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de tab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unit electrode where the height of the electrode is high, that is, the electrode loading amount is relatively large, the problem of non-uniformity of reaction depending on the local position of the electrod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can be solved.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2a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른 단위 전극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1A and 2A are schematic diagrams of a unit electrod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전극(10)은 집전체(120)와 상기 집전체의 일측면 상에 형성된 전극 활물질층(11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극(10)은 일측 단부에서 이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즉, 전극의 상부 표면이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평면이거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120)는 사각 평판 형태의 금속판일 수 있으며, 상기 집전체의 일측 표면상에 일측 모서리 단부에서 이와 대향하는 타측 모서리 단부로 갈수록 전극 활물질층의 높이가 증가하도록, 또는 감소하도록 전극 활물질이 로딩된다. 본 발명에서 특별한 표시가 없으면, 전극 중 국소 위치에 따라 전극 활물질의 로딩 밀도는 일정한 것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전극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단위 면적당 전극의 로딩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갖는다. 1A, an electrod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rent collector 120 and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110 formed on one side of the current collector. Here, the height of the electrode 10 is gradually increas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has a slope. In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as a flat surface or a curved surface. In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collector 120 may be a rectangular plate-shaped metal plate, and may have on one sid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loaded so as to increase or decrease the height. Unless otherwise indic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ing density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determined to be constant depending on the local position of the electrod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height of the electrode increases, the loading amount of the electrode per unit area tends to increase.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높이는 일측 단부에서 이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또는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전극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은 집전체(220)의 상부에 계단형식의 전극 활물질층(210)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단위 전극은 전극의 높이가 일정 간격에 따라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또는 감소하는 스텝(step)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Also, in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electrode may be formed so as to increase or decrease in height stepwis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ther end. 2A illustrates an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A, the electrode includes a current collector 220 having a stepped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210 formed thereon. The unit electrodes may be formed in a step shape in which the height of the electrodes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along a predetermined interval.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단위 전극은 전극의 상부 표면이 일정한 경사를 갖거나 스텝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높이 차이가 없이 형성된 전극에 비해 넓은 전극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단위 전극은 일측의 높이가 이와 대향하는 타측의 높이에 대해 최소 1.01배 이상인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or step, it can have a larger electrode surface area than the electrode formed without a height differenc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one side of the unit electrode is at least 1.01 times the height of the other side of the unit electrode.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극의 높이가 순차적으로 증감하는 단위 전극을 제1형 단위 전극으로(도 1a 참조), 전극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증감하는 단위 전극을 제2형 단위 전극(도 2a 참조)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unit electrode in which the height of the electrode sequentially increases or decreases is referred to as a first type unit electrode (see FIG. 1A) (See FIG. 2A).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전극을 포함하는 단위 전극 조립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a unit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unit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단위 전극 조립체는 전술한 특징을 갖는 두 개의 단위 전극, 즉,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적층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반응 면적이 최대가 되는 방식으로 적층된 것이다. 즉,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는 각 단위 전극에서 표면적이 가장 넓은 부분이 서로 대향하도록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적층된 것이다. The unit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stacking two unit electrodes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that is,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The unit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will be. That is, the unit electrode assembly is formed by stack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such that portions having the largest surface area in each unit electrode face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서 대향하는 면은 서로 점대칭을 이루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적층할 때 두 단위 전극이 서로 이격되지 않고 포개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lamin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opposing face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point-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two unit electrodes may be superposed .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점대칭의 관계이며, 적층시 점대칭을 대칭을 이루도록 적층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have a point-symmetrical relationship, and the point symmetry may be laminated symmetrically in the lamination.

또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최종 단위 전극 조립체의 형상은 평판 형상 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의 형상은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가 적용되는 최종 제품의 형상에 최적화되도록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nal unit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laminat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have a flat plate shape o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unit electrode assembly i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hape, and may be appropriately shaped to optimize the shape of the final product to which the unit electrode assembly is applied.

도 1b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전극 조립체(100, 200)의 구체적인 실시양태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전극은 집전체(120a, 120b)와 집전체의 표면에 전극 활물질층(110a, 110b)이 형성된 제1형의 제1 전극과 제2전극 한 쌍이 분리막(130)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단위 전극 조립체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전극 표면의 형상이 점대칭 관계에 있어 적층시 전극간 이격되는 부분없이 포개어질 수 있다. Figures 1B and 2B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of unit electrode assemblies 100 an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B, a unit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rent collector 120a and a pair of first electrodes of a first type formed with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s 110a and 110b on the surface of a current collector, And a unit electrode assembly is formed.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e point-symmetrical relationship in the shape of the electrode surface without overlapping portions between the electrodes in the stacking.

제1형의 단위 전극은 전극의 상부 표면이 일정한 경사를 가지므로 전극 표면적이 증가되며 이에 따라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대응 면적이 증가되므로 전극 활물질 로딩량 대비 에너지 밀도가 높은 단위 전극 조립체를 얻을 수 있다. The first type unit electrode has a uniform inclina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so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is increased and accordingly the area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increased. Therefore, the unit electrode assembly having a higher energy density tha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oading amount Can be obtained.

또한, 도 2b는 제2형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개어 적층한 것으로 각 스텝의 높이만큼 표면적 증가의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제2형 단위 전극을 이용하여 단위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는 경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표면의 형상이 점대칭 관계에 있어 전극간 이격되는 부분이 없도록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 2B show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urface area by the height of each step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f the second type are stacked and laminated. When the unit electrode assembly is formed using the second type unit electrod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have a point-symmetrical shape and there is no part where the electrod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적층되어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극 조립체를 둘 이상 적층하여 전지를 제조하는 경우 각 전극 조립체가 서로 평행하게 적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laminated to form a flat plate. Accordingly, when two or more electrode assemblies are stacked to manufacture a battery, each electrode assembly can be stack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또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되는데, 이때 분리막(130, 230)은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계면 형상에 부합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이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다공성 필름 재질인 경우 상기 필름을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사이에 배치하고 외부에서 압력을 가함으로써 분리막이 상기 계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laminated via a separation membrane. At this time, the separation membranes 130 and 230 are formed to conform to the interface shap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paration membrane is a porous film material including a polymer res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pressure is externally applied to the separation membrane, It is possible to have a corresponding shape.

또는 상기 분리막은 액상으로 전극의 계면에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 수지와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는 분리막을 상기 전극 조립체에 도입하는 경우에는 고분자 수지와 무기물 입자가 적절한 분산매와 혼합된 분리막 형성용 슬러리를 제1 전극의 표면에 도포한 후 제2 전극을 포개어 덮어 슬러리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계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으로 외부에서 열을 가함으로써 분산매가 제거되어 분리막을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압력을 가함으로써 분리막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Or the separato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face of the electrode in a liquid phase. For example, in the case of introducing a separation membrane containing a polymer resin and inorganic particles into the electrode assembly, a slurry for separation membrane formation, in which a polymer resin and inorganic particles are mixed with an appropriate dispersion medium,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lurry is covered so as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shap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t this time, by additionally applying heat to the outside, the dispersion medium can be removed and the separation membrane can be dried. Further, by applying pressure from the outside, the separation membrane can be adjust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상기 분리막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다공성 필름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내열성 분리막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무기물 입자와 고분자 바인더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다공서 코팅층 내 무기물 입자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서 다공성 코팅층이 적절한 통기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 상기 복합 분리막을 개재시키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다공성 필름의 일측 표면에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분리막 형성용 슬러리를 도포한 후 이를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계면에 도입할 수 있다. 상기 슬러리가 상기 다공성 필름의 양측 표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필름의 양면에 딥코팅의 방법으로 슬러리를 도포시킨 후 용매를 일부 제거하여 슬러리를 적절히 고화시킨 후 전극 계면 사이에 도입하는 방법으로 상기 복합 분리막을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 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합 분리막이 전극 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슬러리가 완전히 건조 되기 전 전극 사이에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슬러리가 완전히 고화된 이후에는 복합 분리막의 유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 제조시 전극과 분리막을 라미네이션 하기 위해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는 경우 분리막이 계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유연하게 변형되는 것이 어려우며, 분리막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The separation membrane may be a heat-resistant separation membrane having a porous coating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rous film containing the polymer resin. The porous coating layer includes a mixture of inorganic particles and a polymeric binder.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inorganic particles in the porous coating layer, the porous coating layer can have a proper air permeability. As a method for interposing the composite separator in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method may be employed in which the slurry for forming a separation membrane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porous film, . When the slurry is disposed on both surfaces of the porous film, the slurry is coated on both surfaces of the film by dip coating method, and then the solvent is partially removed to appropriately solidify the slurry and introduced between the electrode interfaces. Can be introduced into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lurry is introduced between the electrodes before the slurry is completely dried so that the composite separator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interface. If the pressure is externally applied to laminate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it is difficult for the separator to flexibly deform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terface shape, since the flexibility of the composite separator is lowered after the slurry is completely solidified. There is a concern.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전극 조립체(300)는 집전체(320a, 320b)를 적절하게 타발하여 전극 탭을 형성하는데 이때 집전체 중 전극 활물질층의 높이가 높은 측면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탭(a', b')을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른 것으로서, 전극 활물질층(310a, 310b)의 높이가 높은 측면부 측으로 전극탭이 형성된 단위 전극 조립체를 나타낸 것이다. Meanwhile,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electrode assembly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electrode tabs by appropriately tapping the current collectors 320a and 320b.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he tabs a 'and b'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igh side portions. FIG. 3 illustrates a unit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electrode tabs are formed on side surfaces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s 310a and 310b having a high height.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탭이 전극 활물질 고로딩 부분에 가깝게 위치함으로써 전극 활물질층에서 전극 탭으로 전자의 이동 경로가 단축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전극 활물질의 로딩량이 적은 부분은 전극 탭까지 이동 경로가 고로딩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더라도 이동되는 전자의 수가 감소되어 저항에 감소되는 효과가 있어 전자의 이동 속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즉, 충전/방전 반응시 전극 내 전극 활물질이 분포하는 위치에 따른 반응의 불균일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lectrode tab is located close to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oading portion, the path of electron movement from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o the electrode tab can be shortened. In addition, the portion where the loading amount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small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f electrons to be moved even though the movement path to the electrode tab is relatively longer than that of the high loading portion, thereby reducing the resistance. That is, the unevenness of the reaction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the electrode is distributed during the charge / discharge reaction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특징을 갖는 단위 전극 조립체를 둘 이상 적층한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 한편, 단위 전극 조립체 적층시 반대되는 극성의 전극과 전기적 절연을 위해 반대 되는 극성의 전극 사이에는 분리막을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전극 조립체(5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따르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분리막(530)을 개재하여 적층된 단위 전극 조립체가 다수 적층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 사이에는 상층부 단위 전극 조립체의 제1 전극과 하층부 단위 전극 조립체의 제2 전극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분리막(530)이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단위 전극은 고로딩 부분에서 전극 탭이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각각 제1 전극의 전극탭들과 제2 전극의 전극탭들이 연결되어 별도의 전극 리드(미도시)와 용접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wo or more unit electrode assemblies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are stacked.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ion membrane is interposed between electrodes of opposite polarities in the stacking of unit electrode assemblies and electrodes of opposite polarities for electrical insulation. FIG. 4 illustrates a specific embodiment of an electrode assembly 500 according to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 plurality of unit electrode assemblies are stacked in which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re stacked via a separator 530. A separation membrane 530 is interposed between the unit electrode assemblies so that the first electrode of the upper unit electrode assembly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lower unit electrode assembly do not directly contact each other. The electrode tabs of the first electrodes and the electrode tabs of the second electrod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welded to a separate electrode lead (not show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음극 또는 양극일 수 있으며, 제2 전극은 제1 전극의 극성과 반대의 극성을 갖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may be a cathode or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have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electrod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전극은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한 쌍의 가압 롤러(R1, R2))에 의해 연속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5는 본원 발명에 따른 단위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가압 공정에 제공되는 상기 가압 롤러는 전극을 상방 지지하는 지지 롤러(R1)와 상기 지지 롤러에 지지되어 이송되는 전극을 하방 가압하여 전극을 특정 모양으로 형성하고 적절하게 압연하는 상부 롤러(R2)를 포함한다. The unit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a continuous process by a pair of pressure rollers (R1, R2)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shape). 5 schematically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unit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roller provided in the pressurizing process includes a support roller (R1) for supporting the electrode upward, and an upper roller (11) formed by pressing down the transported electrode by the support roller to form the electrode in a specific shape, (R2).

이를 참조하면, 우선 집전체(601)의 일측 표면상에 전극 제조용 슬러리(602)가 도포되어 이송 롤러(604)에 의해 상기 가압 롤러(R1, R2)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통상적으로 전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고분자 수지를 적절한 용매에 분산시켜 준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 롤러를 통과하면서 상기 슬러리는 상부 롤러(R2)와 하부 롤러(R1)의 간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압된다. The electrode slurry 602 is applied onto on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601 and transported to the pressure rollers R1 and R2 by the transport roller 604. [ In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urry is usually prepared by dispersing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 conductive material, and a binder polymer resin in an appropriate solvent. Next, while passing through the pressure roller, the slurry is press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roller (R2) and the lower roller (R1).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R2)는 롤러 양측의 단면이 원형이며, 상기 원형의 단면은 서로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심원인 것이다. 또한, 상기 롤러의 일측 단면의 동심원은 타측 단면의 동심원에 비해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다. 따라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사다리꼴은 바람직하게는 등변 사다리꼴인 것이다. 또한 상기 삼각형은 이등변 삼각형인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상부 롤러(R2)는 원추형일 수 있다. 또한, 하부 롤러(R1)은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롤러 양단의 단면의 크기가 동일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R2)의 회전축과 하부 롤러(R1)의 회전축은 동일 평면상 평행하게 위치하므로 전술한 형상을 갖는 상부 롤러에 의해 상기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의 간격은 일정하지 않고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In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roller R2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t both sides of the roller, and the circular cross-section is a concentric circle rotating around the same rotation axis. Further, the concentric circle of one end surface of the roller is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concentric circle of the other end surface. Therefore,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centering on the rotation axis may have a trapezoidal or triangular shape. The trapezoid is preferably an isosceles trapezoid. The triangle is an isosceles triangl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roller R2 may be conical. Further, the lower roller R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cross-sectional size of both ends of the roller is the sam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on axis of the upper roller (R2)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lower roller (R1)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parallel to each other,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is not constant by the upper roller having the abov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도 6은 전술한 특징을 갖는 가압 롤러(R)을 통과하는 전극 슬러리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상부 롤러(R2)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을 갖는 것으로서, 이때 전극은 전극의 일단부가 타단부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증감하는 형태인 제1형으로 형성된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slurry passing through a pressure roller R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The upper roller R2 has a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including a rotation axis, and the electrode is formed as a first type in which one end of the electrode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toward the other end.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상부 롤러(R2)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의 형상이 도 7과 같이 계단형으로 증감하는 다각형의 형상을 할 수 있다. 즉, 상부 롤러(R2)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롤러의 반지름이 단계적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한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상부 롤러(R2)를 이용하여 전극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전극은 전극의 일단부가 타단부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증감하는 형태인 제2형으로 형성된다.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roller R2 may have a polygonal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hape including the rotation axis increases or decreases in a stepwise manner as shown in FIG. That is, the radius of the roller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roller R2 gradually decreases or increases. When the electrode is manufactured using the upper roller R2 having such a shape, the electrode is formed as a second type in which one end of the electrode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toward the other end.

상기 가압 롤러(R)를 통과한 전극은 적절한 크기로 절단되고 건조되어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전술한 형태의 단위 전극(제1형 및 제2형 전극)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전극 슬러리 도포 후 상기 가압 롤러로 가압하기 전에 나이프(603)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전극 슬러리의 표면을 집전체와 평행하도록 고를 수 있다. The electrode having passed through the pressure roller R may be cut to an appropriate size and dried to remove the solvent, thereby forming the unit electrode (the first type and the second type electrode) of the above-described type.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electrode slurry,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slurry can be selected to be parallel to the current collector by using a tool such as a knife 603 before being pressed by the pressure roller.

상기 가압 롤러 이외에도 전극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가압 지그에 의해 비연속 공정으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전극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특징을 갖는 형상으로 전극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ressure roller,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it in a discontinuous process by a pressing jig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shape of the electrode. However,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unit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s long as the electrode can be manufactured in a shape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상기 음극은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음극 재료를 도포하고 건조 및 압축하여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도전재와 충진제 등의 성분들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도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is manufactured by applying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binder on a current collector, and drying and compressing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Optionally, the negative electrode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such as a conductive material and a filler.

상기 음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 등의 탄소; LixFe2O3 (0≤≤x≤≤1), LixWO2(0≤≤x ≤≤1), SnxMe1 -x 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및 Bi2O5 등의 금속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 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include, for example, carbon such as non-graphitized carbon or graphite carbon; Li x Fe 2 O 3 (0? X ?? 1), Li x WO 2 (0? X? 1 ), Sn x Me 1 -x Me y y z (Me: Mn, Fe, Pb, Ge, Me ': Al, B, P, Si, Group 1, Group 2, Group 3 elements of the periodic table, Halogen; 0? X? 1; 1? Y? ; Lithium metal; Lithium alloy; Silicon-based alloys; Tin alloy; SnO, SnO 2, PbO, PbO 2, Pb 2 O 3, Pb 3 O 4, Sb 2 O 3, Sb 2 O 4, Sb 2 O 5, GeO, GeO 2, Bi 2 O 3, Bi 2 O 4, And Bi 2 O 5 ; Conductive polymers such as polyacetylene; Li-Co-Ni-based materials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며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된다. 분리막의 기공 직경은 일반적으로 0.01 ~ 10 ㎛이고, 두께는 일반적으로 5 ~ 300 ㎛이다. 이러한 분리막으로는, 예를 들어, 내화학성 및 소수성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들어진 시트나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분리막의 최외곽면에 분리막의 내열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다공성 코팅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The separator is an insulating thin film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having high ion perme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The pore diameter of the separator is generally 0.01 to 10 mu m and the thickness is generally 5 to 300 mu m. As such a separation membrane, for example, a sheet or a nonwoven fabric made of an olefin-based polymer such as polypropylene which is chemically resistant and hydrophobic, glass fiber, polyethylene or the like is used. In some cases, a porous coating layer including inorganic particles and a binder resin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in order to increase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separation membrane.

상기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을 도포, 건조하여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바인더 및 도전재 등의 성분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도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apply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and drying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Optionally, the binder may further include a component such as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 ㎛의 두께로 만든다. 이러한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generally has a thickness of 3 to 500 mu m. Such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high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sintered carbon, or a surface of aluminum or stainless steel Carbon, nickel,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는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Titanium, silver, or the like may be used. In addition,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may have fine unevenness on the surface thereof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various forms such as a film, a sheet, a foil, a net, a porous body, a foam, and a nonwoven fabric are possible.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인산철(LiFePO4),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 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 1+ xMn2 - xO4 (여기서, x 는 0 ~ 0.33 임), LiMnO3, LiMn 2O3, 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2CuO2); LiV3O8, LiFe3O4,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 - xMxO2(여기서, M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x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 - xMxO2 (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x = 0.01 ~ 0.1임) 또는 Li2Mn3MO8(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athode active material may be a layered compound such as lithium iron phosphate (LiFePO 4 ), lithium cobalt oxide (LiCoO 2 ), lithium nickel oxide (LiNiO 2 ), or a compound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transition metal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Li 1 + x Mn 2 - x O 4 (where x is 0 to 0.33), LiMnO 3 , LiMn Lithium manganese oxides such as 2 O 3 and LiMnO 2 ; Lithium copper oxide (Li 2 CuO 2 ); Vanadium oxides such as LiV 3 O 8 , LiFe 3 O 4 , V 2 O 5 and Cu 2 V 2 O 7 ; A Ni-site type lithium nickel oxide represented by the formula LiNi 1 - x M x O 2 (where M Co, Mn, Al, Cu, Fe, Mg, B or Ga and x = 0.01 to 0.3); Formula LiMn 2 - x M x O 2 ( where, M = Co, Ni, Fe , Cr, and Zn, or Ta, x = 0.01 ~ 0.1 Im) or Li 2 Mn 3 MO 8 (where, M = Fe, Co, Ni, Cu, or Zn); LiMn 2 O 4 in which a part of Li in the formula is substituted with an alkaline earth metal ion; Disulfide compounds; Fe 2 (MoO 4 ) 3 ,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 외에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상술하지 않은 전지 소자들에 대해서는 전지 등 전기화학소자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지 소자들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for battery devices not specifically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battery devices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electrochemical devices such as batteries can be used.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전기화학소자는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인 것이다.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전술한 특징을 갖는 단위 전극 조립체 및/또는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적절한 전지 케이스에 장입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차 전지를 단위 전지로 포함하는 전지 모듈, 및 상기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팩은 고온 안정성 및 긴 사이클 특성과 높은 레이트 특성 등이 요구되는 중대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unit electrode assembly. The electrochemical device is preferably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ay be one in which the unit electrode assembly and / or the electrode assembly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and the electrolyte solution are charged into a suitable battery case.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econdary battery as a unit battery,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The battery pack can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a medium and large-sized device requiring high temperature stability, long cycle characteristics, and high rate characteristics.

상기 중대형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예로는 전지적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력저장용 시스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Preferred examples of the above medium to large devices include a power tool that is powered by an electric motor and moves;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EV),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and the like; An electric motorcycle including an electric bike (E-bike) and an electric scooter (E-scooter); An electric golf cart; And a power storage syste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200 전극 조립체
210a, 210b, 510b 전극 활물질층
220a, 220b, 520a, 520b 집전체,
230, 130 분리막
200 electrode assembly
210a, 210b, and 510b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220a, 220b, 520a, 520b collector,
230, 130 separator

Claims (12)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분리막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각각 전극의 일단부에서 이와 대향하는 타단부로 갈수록 전극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이며, 적층 계면의 면적이 최대가 되는 방식으로 1 전극과 제2 전극이 적층된 것인, 단위 전극 조립체.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laminated via a separator,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electrode increases stepwise or sequentially from one end of the electrode to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ther end, Two electrodes are stacked.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이격없이 포개어질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전극 표면의 형상이 점대칭이 되도록 형성된 것인, 단위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such that the shapes of the electrod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re point-symmetrical so that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an be superimposed without a g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는 평판 형상인 것인, 단위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it electrode assembly i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극 조립체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적층 단면이 사선 또는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단위 전극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nit electrode assembly has a laminated cross-s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formed in an oblique or stepped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형상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적층 계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인, 단위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pe of the separation membrane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lamination interface shap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높이가 높은 일단부측에 전극탭이 형성되는 것인, 단위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have an electrode tab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having a high h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단부의 전극의 높이는 상기 일단부의 전극의 높이에 대해 최소 1.01배 이상인 것인, 단위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height of the electrode at the other end is at least 1.01 times the height of the electrode at the one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서로 점대칭을 이루도록 적층된 것인, 단위 전극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stacked to form point-symmetry with respect to each other.
제1항에 따른 단위 전극 조립체가 둘 이상 적층되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분리막이 배치되어 전기적 절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wo or more unit electrode assemblies are stacked, and a separation membran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maintain an electrically insulated state.
(S1) 집전체의 표면에 전극 슬러리를 도포하는 단계; 및
(S2) 상기 도포된 전극 슬러리를 상부 롤러(R2)와 하부 롤러(R1)을 구비하는 한쌍의 가압 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가압 롤러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의 간격은 롤러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인,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S1) applying an electrode slurry to th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And
(S2) passing the applied electrode slurry through a pair of pressure rollers having an upper roller (R2) and a lower roller (R1); / RTI &gt;
Wherein in the pair of pressure rollers, the gap between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increases or decreases gradually from one end of the roller to the other end stepwise or stepwis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의 회전축은 동일 평면상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인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rotation axis of the upper roller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lower roller are positioned in parallel on the same plan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는 원추형이고, 상기 하부 롤러는 원주형인 것인,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upper roller is conical and the lower roller is circumferential.
KR1020160114080A 2015-09-03 2016-09-05 An electrode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and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15401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24983 2015-09-03
KR1020150124983 2015-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288A true KR20170028288A (en) 2017-03-13
KR102154014B1 KR102154014B1 (en) 2020-09-09

Family

ID=5841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080A KR102154014B1 (en) 2015-09-03 2016-09-05 An electrode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and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0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137A1 (en)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3251A (en) * 1998-10-26 2000-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oller press device for machining battery electrode material
JP2001167743A (en) * 1999-12-09 2001-06-22 Sharp Corp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0102962A (en) * 2008-10-23 2010-05-06 Mazda Motor Corp Secondary battery
KR20110112241A (en) * 2010-04-06 2011-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Improved stack-type cell and bi-cell, electrod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utiliz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3251A (en) * 1998-10-26 2000-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oller press device for machining battery electrode material
JP2001167743A (en) * 1999-12-09 2001-06-22 Sharp Corp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0102962A (en) * 2008-10-23 2010-05-06 Mazda Motor Corp Secondary battery
KR20110112241A (en) * 2010-04-06 2011-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Improved stack-type cell and bi-cell, electrod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utiliz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137A1 (en)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US11749830B2 (en) 2017-12-26 2023-09-05 Lg Energy Solution,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014B1 (en)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7885B2 (en) Lithium ion battery and capacitor hybrid system in a single pouch
KR101510518B1 (en) Fabricating method of electrode assembly
KR101543065B1 (en)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cell containing the same
KR101523427B1 (en) Fabricating method of electrode assembly
US9246186B2 (en) Electrode assembly, fabricating method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cell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US11380939B2 (en) Hybrid lithium ion capacitor battery having a carbon coated separate lay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140004015A (en)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cell containing the same
KR20140014839A (en) Secondary battery
JP2019053862A (en) Laminated electrode body and power storage element
JPWO2018138977A1 (en) Stacked secondary batter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evice
JPWO2018138976A1 (en) Stacked secondary batter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evice
CN108335915B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cell including the same
US20130230756A1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54014B1 (en) An electrode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and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18155175A1 (en) Secondary battery production method
JP2018107125A (en)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stack for battery cell, and battery cell
KR102197360B1 (e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One-sided Coating Electrode of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WO2018154987A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40034340A (en)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cell containing the same, and cell moudle with the same
WO2019021863A1 (en)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JP2018181705A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018136A (en)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cell containing the same
JP2015128018A (en) Battery pack
CN118056330A (en) Accumulator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90054516A (en)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d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