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782A - Wireless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reless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782A
KR20170026782A KR1020150121242A KR20150121242A KR20170026782A KR 20170026782 A KR20170026782 A KR 20170026782A KR 1020150121242 A KR1020150121242 A KR 1020150121242A KR 20150121242 A KR20150121242 A KR 20150121242A KR 20170026782 A KR20170026782 A KR 20170026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tage level
direct current
capacito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1876B1 (en
Inventor
박진식
김영도
유찬훈
김재현
문건우
임천용
김재국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KR1020150121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876B1/en
Publication of KR20170026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7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8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supply device comprises a direct current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a voltage level of inputted direct current power and an output uni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direct current converting unit. The output unit decreases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direct current converting unit if the voltage level of the direct current power is higher than a reference level.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 {WIRELESS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and a power supply system using the same.

전원 공급 장치는 전원이 공급되는 전자 장치에 따라 다양한 요구 사항이 존재한다.
The power supply has various requirements depending on the electronic device to which power is supplied.

특히 서버 등과 같이 고전압의 전력을 요구하는 경우, 해당 장치까지 전원 전송을 위하여 요구되는 장비도 다양하고 그에 따라 전력 전송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a high-voltage power is requested, such as a ser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various devices required for power transmission to the device.

종래에는 교류 전압의 형태로 전원을 분배하고, 분배된 교류 전압을 직류로 변환한 후 다시 부하에 맞춰서 직류 직류 변환을 수행하는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교류 전압으로 분배를 수행할 때 전력 전송의 효율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ly, a system has been used in which a power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an AC voltage, a DC voltage is converted into a DC voltage, and the DC voltage is converted to a DC voltag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power transmission is deteriorated when the AC voltage is distribute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입력된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직류 직류 변환 후에 추가적인 감압을 수행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supply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dditional depressurization after DC-to-DC conversion corresponding to a voltage level of an input DC power supply, and a power supply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전원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입력된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는 직류 직류 변환부 및 상기 직류 직류 변환부의 출력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이면, 상기 직류 직류 변환부의 출력을 감압하여 출력할 수 있다.
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device may include a DC direct current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a voltage level of the input DC power source and an output uni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output of the DC direct current converting unit. The output unit may reduce the output of the DC / DC converter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DC power supply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reference level.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전원 공급 시스템은, 교류 입력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 장치, 상기 정류 장치의 출력을 분배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분배 장치 및 상기 직류 전원을 입력받고, 부하에서 요구하는 전압 레벨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직류 전원은 소정의 범위 내에서 변동 가능하다.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이면 직류 직류 변환 이후에 감압을 수행할 수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proposes a power supply system. The power supply system includes a rectifier for rectifying AC input power, a power distributor for distributing an output of the rectifier and outputting a DC power,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DC power, converting the voltage into a voltage level required by the load, Lt; / RTI > power supply. The DC power source can be vari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power supply unit may perform the depressurization after the direct current direct current conversion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direct current power sourc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olu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does not list all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신호 전송 장치는, 입력된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직류 직류 변환 후에 추가적인 감압을 수행할 수 있어, 입력 전원의 범위가 넓은 경우에서도 높은 효율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The radio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dditional decompression after DC-to-DC conversion in accordance with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DC power source, so that even when the range of the input power source is wid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공진형 LLC 컨버터에서 k 값에 따른 이득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은 공진형 컨버터에서 k값에 따른 1차측 전류의 파형을 도시하는 그래프들이다.
도 7은 부하의 변화에 따른 효율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the gain according to the k value in the resonant LLC converter.
5 and 6 are graphs showing the waveform of the primary current according to the value k in the resonant converter.
FIG. 7 is a graph showing efficiency according to a change in loa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시스템(100)은 정류 장치(110), 전원 분배 장치(120) 및 전원 공급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ower supply system 100 may include a rectifier 110, a power distributor 120, and a power supply 130.

정류 장치(110)는 교류 전원(AC)을 입력받아 직류 전원(DC)으로 정류할 수 있다. The rectifier 110 receives the AC power AC and rectifies it to a DC power source.

전원 분배 장치(120)는 정류 장치(110)에서 출력된 직류 전원(DC)을 분배할 수 있다. 즉, 전원 분배 장치(120)는 정류 장치(110)의 출력을 분배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The power distributing apparatus 120 may distribute the DC power DC output from the rectifier 110. That is, the power distributing apparatus 120 can distribute the output of the rectifier 110 and output DC power.

도시된 예에서는 전원 분배 장치(120)가 하나의 전원으로 분배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원 분배 장치(120)는 입력받은 직류 전원을 다수의 전원 공급 장치에 분배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power distributing apparatus 120 is distributed to one power source, but this is an example, and the power distributing apparatus 120 may distribute the received DC power to a plurality of power supplying apparatuses .

전원 공급 장치(130)는 전원 분배 장치(120)에서 제공된 직류 전원을 입력받고, 이를 부하에서 요구하는 전압 레벨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130 receives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distributing device 120, converts the DC power into a voltage level required by the load, and outputs the converted voltage.

전원 공급 장치(130)는 넓은 전압 입력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즉, 전원 공급 장치(130)에 입력되는 직류 전원은 소정의 범위 내에서 변동 가능하다.Power supply 130 may have a wide voltage input range. That is, the DC power input to the power supply 130 can be vari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전원 공급 장치(130)는 넓은 전압 입력 범위에 대하여 높은 효율을 가지도록,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에 따라 전압직류 직류 변환 후에 별도의 감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이면 직류 직류 변환 이후에 감압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perform a separate depressurization after voltage DC direct current conversion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DC power source so as to have a high efficiency with respect to a wide voltage input range. For example,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DC power supply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reduced pressure can be performed after the DC to DC conversion.

종래의 전원 공급 시스템의 경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 후, 이를 다시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원을 분배하였으나, 이러한 종래 방식은 본 발명과 같이 직류 전원으로 전원을 분배하는 방식 보다 변환이 다수 이루어지므로 그로 인한 효율이 낮다. In the conventional power supply system, the AC power is converted into the DC power and then the AC power is converted to the AC power to distribute the power.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ystem, And thus the efficiency is low.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 후 그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분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보다 변환 횟수가 줄어들어 전원 변환의 효율이 높다. According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AC power is converted into the DC power, the power can be distributed using the DC power. As a result, the number of conversion times is reduced and the efficiency of power conversion is higher than in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로서 전원 공급 장치(130)는, 분배되는 직류 전원, 즉, 전원 공급 장치(130)에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전압 범위가 넓은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전원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device 130 can efficiently supply power even when the voltage range of the DC power to be distributed, that is, the DC power input to the power supply device 130 is wide .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130)는 직류 직류 변환부(210) 및 출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ower supply 130 may include a DC / DC converter 210 and an output unit 220.

직류 직류 변환부(210)는 입력된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환할 수 있다. DC / DC converter 210 may convert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DC power.

출력부(220)는 직류 직류 변환부(210)의 출력을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20 can convert and output the output of the DC / DC converter 21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넓은 입력 범위에서도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출력부(220)는 상기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에 따라 별도의 감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separate depressuriz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 of the DC power supply, so that the power supply unit can operate efficiently even over a wide input range. have.

예를 들어, 출력부(220)는 상기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이면, 직류 직류 변환부(210)의 출력을 감압하여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put unit 220 can reduce the output of the DC / DC converter 210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DC power supply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다른 예를 들어, 출력부(220)는 상기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이 기준 레벨 미만이면, 직류 직류 변환부(210)의 출력에 대하여 감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voltage level of the DC power supply is less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output unit 220 may not perform the decompression with respect to the output of the DC-DC converter 21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는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직류 직류 변환부(310)는 공진형 LL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직류 직류 변환부(310)는 교류 전압(Vin)을 입력받고, 1차측의 주 스위치(Q1, Q2)의 교번적인 스위칭 동작에 따라, 공진 회로(Lr, Lm, Cr)을 통하여 1차측의 전원을 2차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2차측에는 동기 정류기(SR1, SR2)의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직류 전압을 교류로 변환하여 부하 전압(Vo)를 부하(Ro)에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DC / DC converter 310 may include a resonant LLC converter. The DC / DC converter 310 receives the AC voltage Vin and receives power from the primary power source through the resonance circuits Lr, Lm, and Cr according to the alternating switching operation of the primary switches Q1 and Q2 on the primary side. To the second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can be supplied with the load Ro by converting the DC voltage into AC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ynchronous rectifiers SR1 and SR2.

직류 직류 변환부(310)에 일벽되는 직류 전원의 전압 범위가 넓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직류 직류 변환부(310)의 k 값의 범위가 넓게 설정될 수 있다. k값은 인덕터 Lm에 대한 인덕터 Lr의 비율과 관련된 값으로서, k값의 크기에 따라 주파수 변동에 따른 컨버터의 전압 이득의 범위가 다르게 설정된다.The voltage range of the dc power source which is one wall can be set wide in the dc dc converter 310 so that the range of the k value of the dc dc converter 310 can be set wide. The k value is a value related to the ratio of the inductor Lr to the inductor Lm. The range of the voltage gain of the convert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variation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k value.

도 4는 공진형 LLC 컨버터에서 k 값에 따른 이득을 도시하는 그래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k값을 작게 설계 할수록 주파수 변동에 따른 컨버터의 전압 이득의 범위가 넓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는 k값을 작게 설계하여 출력 전압의 레귤레이션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gain according to the k value in the resonant LLC converter. As shown in FIG. 4, as the k value is designed smaller, the range of the voltage gain of the converter increas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variation.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k value is designed to be small to ensure the regulation of the output voltage.

그러나, k값이 작은 경우, 변환시의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공진형 컨버터에서 k값에 따른 1차측 전류의 파형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k값에 따른 변환 효율을 설명한다. However, when the value of k is small, the efficiency at the time of conversion is low. 5 and 6 show the waveform of the primary current according to the k value in the resonant converter, and the convers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k valu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도 5는 k값이 크게 설정된 경우, 즉, 인덕터 Lm의 값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의 1차측 전류 ILm과 Ir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6은 k값이 작게 설정된 경우, 즉, 인덕터 Lm의 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의 1차측 전류 ILm과 Ir을 도시하고 있다. 5 shows the primary side currents I Lm and I r when the value of k is set to a large value, that is, when the value of the inductor Lm is relatively large. On the other hand, FIG. 6 shows the primary-side currents I Lm and I r when the value of k is set small, that is, when the value of the inductor Lm is relatively small.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형 컨버터의 k값이 작은 경우, 1차측에 흐르는 전류의 실효값(RMS, Root mean square)이 커지고, 주 스위치(Q1, Q2)의 턴-오프 시의 전류량이 많아 지게 된다. 이러한 많은 전류량에 의하여 공진형 컨버터의 도통 손실과 스위칭 손실이 증가되게 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전체적인 변환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As shown in FIGS. 5 and 6, when the k value of the resonant converter is small, the root mean square (RMS)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primary side increases, and when the main switches Q1 and Q2 are turned off The amount of current at the time is increased. The conduction loss and the switching loss of the resonant converter may be increased by such a large amount of current, thereby lowering the overall conversion efficiency.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k값의 범위를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변환 효율을 높이고, 높은 k값에 의하여 넓은 입력 범위에서도 레귤레이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출력부(220)는 필터 및 감압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Therefo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rsion efficiency by relatively increasing the range of the k valu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and to increase the regulation efficiency even in a wide input range by the high k value, Circuit.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출력부(220)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utput unit 2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220)는 필터 및 감압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output section 220 may include a filter and a decompression circuit.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인턱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출력부(220)는 CLC 필터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다른 필터의 종류로서도 대체 가능하다.The filter may include at least one inductor and at least one capacitor.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the output unit 220 includes a CLC filter, but it can be replaced with another kind of filter.

출력부(220)는 또한 감압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감압 회로는 필터의 소자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출력부(220)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필터의 적어도 일부 소자를 동작시켜 감압을 수행하는 감압형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put section 220 may also include a decompression circuit and the decompression circuit may be constructed using at least some of the elements of the filter. For example, the output section 220 may include a reduced-pressure converter that uses a switch to operate at least some of the elements of the filter to effect a reduced pressure.

일 실시예에서, 출력부(220)는, 직류 직류 변환부(210)의 출력단에 병렬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Co1), 일단이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출력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 인덕터(Lo) 및 일단이 상기 제1 인턱터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커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Co2)로 구성된 CLC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utput unit 220 includes a first capacitor Co 1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DC / DC converter 210,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a first inductor (Lo) coupled to one end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other end is to include the CLC filter composed of a second capacitor (Co 2)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capacitor.

일 실시예에서, 제1 커패시터(Co1)는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일 수 있고, 제2 커패시터(Co2)는 전해형 커패시터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필터의 앞 단에서 전류 용량이 큰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전류 리플을 흡수하고, 뒷 단에 큰 용량의 전해 캐패시터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밀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큰 출력 전류에서도 안정적인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capacitor Co 1 may be a stacked ceramic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Co 2 may be an electrolytic capacitor. This embodiment can greatly improve the power density by absorbing the current ripple by using a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having a large current capacity at the front end of the filter and by using a large capacity electrolytic capacitor at the rear end. Therefore, stable output can be provided even at a large output current.

일 실시예에서, 출력부(220)는 벅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벅 컨버터는 벅 스위치(QA)와 다이오드(DA)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utput 220 may include a buck converter. The buck converter may include a buck switch (Q A ) and a diode (D A ).

벅 스위치(QA)는 일단이 제1 커패시터(Co1)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인덕터(Lo)의 일단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The buck switch Q A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Co 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inductor Lo.

다이오드(DA)는 일단이 벅 스위치(QA)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커패시터(Co1)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The diode D A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uck switch Q A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Co 1 .

실시예에 따라, 출력부(220)는 벅 컨버터 외의 다른 감압형 컨버터를 이용할 수 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output section 220 may use a reduced-pressure converter other than the buck converter.

출력부(220)는 넓은 입력 전압 범위에서 높은 입력 전압(예컨대, 기준 레벨 이상의 입력 전압)이 입력되면 경우, 벅 컨버터를 이용하여 감압을 수행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정상 상태의 입력 전압(예컨대, 기준 레벨 이상의 입력 전압)이 입력되게 되면, 벅 스위치(QA)를 턴 온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감압을 수행하지 않고 출력할 수 있다.
When a high input voltage (for example, an input voltage higher than a reference level) is input in a wide input voltage range, the output unit 220 can perform the depressurization using the buck converter and output the output. On the other hand, when a steady state input voltage (for example, an input voltage equal to or higher than a reference level) is input, the buck switch Q A is maintained in a turned-on stat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래의 공진형 컨버터에 비하여 k값을 더 크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변환에 의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the k value to be larg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resonance type converter, so that the loss due to the conversion can be reduced.

도 7은 부하의 변화에 따른 효율을 도시하는 그래프로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종래 방식의 효율을 비교하여 설명한다.FIG. 7 is a graph showing the efficiency according to a change in load. Referring to FIG. 7, efficiency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 system.

도시된 그래프는 입력 전압은 260V 내지 400V 이고 기준 전압은 336V, 출력 전력은 750W인 예의 경우의 부하 대비 성능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래의 비교예보다 높은 k값으로 설계되어 있다. The graph shown illustrates the load versus performance for an example where the input voltage is 260V to 400V, the reference voltage is 336V, and the output power is 750W.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with a higher k value than the conventional comparative exampl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 부하에서 종래의 비교예보다 높은 효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래의 비교예보다 높은 k값을 가지고 있으며, 출력부의 감압 컨버터를 활용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As can be see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higher efficiency at full load than the conventional comparative example.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er k value than the conventional comparative example and utilizes the decompression converter of the output section to generate the output voltage.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I will say.

100 : 전원 공급 시스템
110 : 정류 장치
120: 전원 분배 장치
130 : 전원 공급 장치
210, 310 : 직류 직류 변환부
220, 320 : 출력부
100: Power supply system
110: rectifier
120: Power distribution unit
130: Power supply
210, and 310: DC direct current conversion unit
220, 320: output section

Claims (10)

입력된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는 직류 직류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입력받아 전압 레벨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이면,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감압하여 출력하고,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레벨 미만이면,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감압하지 않고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
A direct current (DC) direct current (DC) converter for converting a voltage level of an input DC power; And
And an output unit for receiving the converted DC power, converting the voltage leve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voltage level,
The output unit includes: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converted direct current power source is reduced and outputted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converted direct current power sourc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and if the voltage level of the converted direct current power sour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And outputs the voltage level without decompressing the power supp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직류 변환부는,
교번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입력된 직류 전원을 2차측으로 전달하는 공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 회로는,
상기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자화 인덕터(Lm), 누설 인덕터(Lr) 및 공진 커패시터(Cr)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rect current (DC)
A switch unit for alternately switching; And
And a resonance circuit for transmitting the input DC power to the secondary side according to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Wherein the resonant circuit comprises:
(Lm), a leakage inductor (Lr), and a resonant capacitor (Cr)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oper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직류 변환부는,
상기 누설 인덕터(Lr)의 인덕턴스 값보다 상기 자화 인덕터(Lm)의 인덕턴스 값이 크도록 설정되는, 전원 공급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rect current (DC)
And the inductance value of the magnetizing inductor (Lm)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inductance value of the leakage inductor (L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필터; 및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감압하는 감압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unit includes:
A filter including at least one inductor and at least one capacitor; And
And a decompression circuit for decompressing the voltage level of the converted DC pow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직류 직류 변환부의 출력단에 병렬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Co1), 상기 제1 커패시터(Co1)의 일단과 상기 출력부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인덕터(Lo) 및 상기 제1 인덕터(Lo)의 일단과 상기 제1 커패시터(Co1)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Co2)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lter includes:
A first inductor Lo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Co1 and an output end of the output unit, and a second inductor Lo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output end of the DC inductively coupled unit And a second capacitor (Co2) connected between one end and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Co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패시터(Co1)는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이고, 상기 제2 커패시터(Co2)는 전해형 커패시터인, 전원 공급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capacitor Co1 is a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Co2 is an electrolytic capaci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회로는,
상기 필터의 일부 소자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voltage-
And some elements of the filter.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 장치;
상기 정류 장치에서 정류된 직류 전원을 분배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원 공급 장치로 상기 분배된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분배 장치;
상기 분배된 직류 전원을 입력받고, 부하에서 요구하는 전압 레벨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입력된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는 직류 직류 변환부,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입력받아 전압 레벨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이면,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감압하여 출력하고,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레벨 미만이면, 상기 변환된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감압하지 않고 출력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A rectifier for receiving an AC power source and rectifying the AC power source;
A power distributing device for distributing rectified DC power from the rectifier and outputting the divided DC power to at least one power supply;
And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the distributed DC power, converting the DC power to a voltage level required by the load,
The power supply device includes:
A direct current (DC) direct current (DC) converter for converting a voltage level of an input DC power source, and an output unit for receiving the converted direct current power and converting the voltage leve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voltage level, And outputs the converted voltage level of the converted direct current power without reducing the voltage if the voltage level of the converted direct current pow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교번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입력된 직류 전원을 2차측으로 전달하는 공진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진 회로는 상기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자화 인덕터(Lm), 누설 인덕터(Lr) 및 공진 커패시터(Cr)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ower supply device includes:
And a resonance circuit for transmitting the input DC power to the secondary side in accordance with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wherein the resonance circuit is configured to switch the magnetizing inductor Lm, the leakage inductor Lm, (Lr) and a resonant capacitor (C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누설 인덕터(Lr)의 인덕턴스 값보다 상기 자화 인덕터(Lm)의 인덕턴스 값이 크도록 설정되는, 전원 공급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ower supply device includes:
And the inductance value of the magnetizing inductor (Lm)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inductance value of the leakage inductor (Lr).
KR1020150121242A 2015-08-27 2015-08-27 Wireless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4318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242A KR102431876B1 (en) 2015-08-27 2015-08-27 Wireless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242A KR102431876B1 (en) 2015-08-27 2015-08-27 Wireless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782A true KR20170026782A (en) 2017-03-09
KR102431876B1 KR102431876B1 (en) 2022-08-12

Family

ID=5840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242A KR102431876B1 (en) 2015-08-27 2015-08-27 Wireless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87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2577A (en) * 2009-07-03 2012-12-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Low cost power supply circuit and method
KR20130013092A (en) * 2011-07-27 2013-02-06 한국전기연구원 Symmetric and bidirectional resonant converter
KR20130047800A (en) * 2011-10-28 2013-05-0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KR20150081105A (en) * 2014-01-03 2015-07-13 삼성전기주식회사 Power factor correction app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2577A (en) * 2009-07-03 2012-12-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Low cost power supply circuit and method
KR20130013092A (en) * 2011-07-27 2013-02-06 한국전기연구원 Symmetric and bidirectional resonant converter
KR20130047800A (en) * 2011-10-28 2013-05-0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KR20150081105A (en) * 2014-01-03 2015-07-13 삼성전기주식회사 Power factor correction app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876B1 (en)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9752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using current sharing transformer
US9660520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power conversion with high power factor
EP2884646B1 (en) Multiple-output DC/DC converter and power supply having the same
US9547351B2 (en) Power supply apparatus
US9030049B2 (en) Alternating current (AC) to direct current (DC) converter device
US20130162048A1 (en) Power module and multi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WO2009011091A1 (en) Switching power supply
JP2011072076A (en) Dc conversion device
CA281118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eries resonant dc/dc converter
US9071161B2 (en) Single stage PFC power supply
JP2017034961A (en) Multi-output-type dc-dc converter
US20150194897A1 (en) Power supply apparatus
KR20130013092A (en) Symmetric and bidirectional resonant converter
US20150092455A1 (en) Integrated magnetic circuit and method of reducing magnetic density by shifting phase
JP6388154B2 (en) Resonant type DC-DC converter
US9118257B2 (en) LLC single stage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TW201414153A (en) Voltage supply system and converter therein, and voltage regulating method
US9768702B2 (en) Converter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KR100966966B1 (en) Dc/dc converter with multi-output
KR100980406B1 (en) AC-DC converter comprising a multi-feedback control circuit
KR100966965B1 (en) Dc/dc converter with multi-output
US20200274452A1 (en) Resonant dc-dc converter
KR20170064076A (en) Shared flux type of power supply device
US8159845B2 (en) Current-sharing power supply apparatus
US9413226B1 (en) Power factor corr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