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230A -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230A
KR20170026230A KR1020160108595A KR20160108595A KR20170026230A KR 20170026230 A KR20170026230 A KR 20170026230A KR 1020160108595 A KR1020160108595 A KR 1020160108595A KR 20160108595 A KR20160108595 A KR 20160108595A KR 20170026230 A KR20170026230 A KR 20170026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sealing
sealing surface
secondary battery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최용수
정상석
황원필
김초롱
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6839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264488B8/en
Priority to PL16839668T priority patent/PL3264488T3/pl
Priority to PCT/KR2016/009550 priority patent/WO2017034380A1/ko
Priority to CN201680022215.0A priority patent/CN108012570B/zh
Priority to US15/563,396 priority patent/US10777840B2/en
Priority to JP2017556154A priority patent/JP6535388B2/ja
Publication of KR20170026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2/026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4Packaging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32Cooling, or cooling and pressing, package closures after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01M2/0275
    • H01M2/0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극조립체가 수용된 파우치의 실링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면을 냉각하는 냉각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의 실링장치{apparatus for sealing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우치의 실링면 열융착시 상기 실링면의 내측에 구비된 수지층이 상기 실링면의 외부로 흘러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 이차전지의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이러한 이차 전지는 폰,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0958649호
종래기술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파우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 분리막 및 음극으로 마련되고, 상기 파우치는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주면을 실링하는 실링면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파우치는 내부수지층, 금속층, 외부수지층으로 마련되며, 상기 내부 및 외부 수지층은 외부로부터 금속층을 보호하고, 금속층은 절연성을 높인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이차전지는 상기 전극조립체를 상기 파우치의 수용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파우치의 실링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데, 이때 상기 실링면의 내부수지층이 함께 용융되면서 상기 실링면의 외부로 흘러서 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용융된 내부수지층이 상기 수용부로 인출될 경우 전극조립체와 접촉되면서 전극조립체의 훼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파우치의 실링면을 열융착시 상기 실링면에 구비된 내측 수지층을 냉각하여 상기 파우치의 외부로 흘러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 이차전지의 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실링장치는 전극조립체가 수용된 파우치의 실링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면을 냉각하는 냉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실링면의 상면과 하면을 동시에 열융착하여 실링할 수 하는 있다.
상기 냉각부재는 상기 실링면의 상면과 하면을 동시에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재는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실링면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를 각각 냉각하는 내측 냉각부와 외측 냉각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냉각부와 상기 외측 냉각부는 서로 다른 냉각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실링면의 내측 단부에 마련된 상기 내측 냉각부는 상기 외측 냉각부 보다 높은 냉각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측 냉각부와 외측 냉각부는 서로 다른 냉각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실링면의 내측 단부에 마련된 상기 내측 냉각부는 상기 외측 냉각부 보다 큰 냉각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냉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는 밀착되지 않게 배치되면서 상기 냉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 사이에 단열 및 변형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 사이에는 단열재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실링부재와 냉각부재를 포함하는 실링장치를 마련함으로써 파우치의 실링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함과 동시에 실링면의 내측 수지층을 냉각하여 파우치 내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내측 수지층과 전극조립체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실링부재는 한 쌍으로 마련하여 실링면의 양면을 동시에 열융착하여 실링함으로써 실링력을 높일 수 있다.
셋째: 냉각부재는 한 쌍으로 마련하여 실링면의 양면을 동시에 냉각함으로써 내측 수지층의 용융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실링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실링장치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차전지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조립체(10), 전극조립체(10)를 수용한 상태로 상호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마련된 파우치(20)를 포함한다.
즉, 파우치(20)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면서 전극조립체(10)가 수용되는 수용부(21)와, 상기 수용부(21)의 테두리면에 구비되고 열융착하여 실링되는 실링면(22)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파우치(20)는 절연성과 안전성을 위해 내부수지층(20a), 금속층(20b), 외부수지층(20c)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이차전지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조립체(10)를 파우치(20)의 수용부(21)에 수용한 상태로 실링면(22)을 열융착하여 실링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장치(100)를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조립체(10)가 수용된 파우치(20)의 실링면(22)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실링부재(11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장치(100)는 고온으로 가열된 실링부재(110)를 이용하여 파우치(20)의 실링면(22)을 가압함과 동시에 열융착시켜서 실링한다.
여기서 실링부재(1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실링면(22)의 상면과 하면을 동시에 가압하면서 열융착하며, 이에 실링면(22)의 실링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장치(100)는 실링부재(110)를 이용하여 실링면(22)을 열융착할 시 실링부재(110)의 열원에 의해 실링면(22) 내측의 내부수지층(20a)이 용융되고, 용융된 내부수지층(20a)은 실링면(22) 외부로 흘러서 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내부수지층(20a)이 수용부(21)로 인출될 경우 내부수지층(20a)과 전극조립체(10)가 접촉되면서 전극조립체(10)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실링장치(100)는 실링부재(110)에 의해 용융된 내부수지층(20a)이 실링면(22) 외부로 흘러서 인출되지 않도록 냉각하는 냉각부재(120)를 구비한다. 즉, 냉각부재(120)는 실링면(22)의 내측 단부(도 3에서 보았을 때 실링면의 우측 단부)와 외측 단부(도 3에서 보았을 때 실링면의 좌측 단부)를 각각 냉각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냉각부재(120)는 실링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실링면(22)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를 각각 냉각하는 내측 냉각부(121)와 외측 냉각부(122)로 마련된다. 즉 실링부재(110)는 실링면(22) 내측의 내부수지층(20a)을 용융하여 실링하는 한편, 내측 냉각부(121)와 외측 냉각부(122)는 실링면(22)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를 냉각하여 용융된 내부수지층(20a)이 실링면(22)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냉각부재(120)는 실링면(22)의 외측방향과 수용부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모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냉각부재(1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실링면(22)의 상면과 하면을 동시에 냉각하며, 이에 실링면(22)을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한편, 냉각부재(120)에서 내측 냉각부(121)와 외측 냉각부(122)는 서로 다른 냉각 온도를 가진다. 즉, 실링면(22)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있으며,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의 두께 차이에 따라 내측 냉각부(121)와 외측 냉각부(122)의 냉각 온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실링면(22) 내측의 내부수지층(20a)을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첫번째 예로, 실링면(22)의 내측 단부에 마련된 내측 냉각부(121)는 실링면(22)의 외측 단부에 마련된 외측 냉각부(122) 보다 높은 냉각 온도를 가지며, 이에 실링면(22)의 내측 단부에 위치한 내부수지층(20a)를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하여 수용부방향으로 내부수지층(20a)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두번째 예로, 실링면(22)은 내측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이에 실링면(22)의 내측 단부를 냉각하는 내측 냉각부(121)의 냉각 온도는 실링면(22)의 외측 단부를 냉각하는 외측 냉각부(122)의 냉각 온도 보다 높게 설정하여 냉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실링면(22)의 내측 단부에 마련된 내측 냉각부(121)는 외측 냉각부(122) 보다 큰 냉각 면적을 가진다. 즉, 실링면(22)의 내측 단부로 내측 수지층(20a)이 인출될 경우 전극조립체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내측 냉각부(121)의 냉각 면적을 외측 냉각부(122)의 냉각 면적 보다 크게 형성하여 실링면(22)의 내측 단부에 위치한 내측 수지층(20a)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이에 수용부 방향으로 내부수지층(20a)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한편, 냉각부재(120)와 실링부재(11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밀착되지 않게 배치되며, 이에 냉각부재(120)와 실링부재(110) 사이에 단열 및 변형공간을 확보한다. 즉, 상기 단열 및 변형공간에 의해 냉각부재(120)와 실링부재(110)의 열 또는 냉기 교환을 방지할 수 있다. 예로 실링부재(110)의 고온이 냉각부재(120)에 전달되면서 냉각 온도가 상승할 수 있지만, 단열 및 변형공간을 통해 열 전달을 차단하여 냉각부재(120)의 냉각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실링부재(110)와 냉각부재(120) 사이의 상기 단열 및 변형공간으로 용융된 내측 수지층(20a)을 포함하는 실링면(22)이 밀려나옴으로써 내측 수지층(20a)의 외부 인출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냉각부재(120)와 실링부재(110) 사이의 단열 및 변형공간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단열재(13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단열재(130)는 냉각부재(120)와 실링부재(110)의 열 또는 냉기 교환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실링장치(100)는 파우치의 실링면을 열융착하더라도 실링면 내측의 내부수지층(20a)이 용융하여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내부수지층(20a)과 전극조립체(10)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극조립체(20a)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실링장치(100)는 실링공정 시 실링부재(110)가 파우치를 실링함과 동시에 내측 냉각부(121)와 외측 냉각부(122)를 포함하는 냉각부재(120)가 실링면의 양단부를 냉각하며, 이에 실링부재(110)의 양단부의 수지는 냉각부재(120)에 의해 냉각되어 고화되므로 중앙부의 수지가 용융되더라도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실링장치
110: 실링부재
120: 냉각부재
121: 내측 냉각부
122: 외측 냉각부
130: 단열재

Claims (10)

  1. 전극조립체가 수용된 파우치의 실링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면을 냉각하는 냉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실링면의 상면과 하면을 동시에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재는 상기 실링면의 상면과 하면을 동시에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재는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실링면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를 각각 냉각하는 내측 냉각부와 외측 냉각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측 냉각부와 상기 외측 냉각부는 서로 다른 냉각 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링면의 내측 단부에 마련된 상기 내측 냉각부는 상기 외측 냉각부 보다 높은 냉각 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측 냉각부와 외측 냉각부는 서로 다른 냉각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실링면의 내측 단부에 마련된 상기 내측 냉각부는 상기 외측 냉각부 보다 큰 냉각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는 밀착되지 않게 배치되면서 상기 냉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 사이에 단열 및 변형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 사이에는 단열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KR1020160108595A 2015-08-27 2016-08-25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KR20170026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839668.7A EP3264488B8 (en) 2015-08-27 2016-08-26 Secondary battery sealing device
PL16839668T PL3264488T3 (pl) 2015-08-27 2016-08-26 Urządzenie uszczelniające baterię akumulatorową
PCT/KR2016/009550 WO2017034380A1 (ko) 2015-08-27 2016-08-26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CN201680022215.0A CN108012570B (zh) 2015-08-27 2016-08-26 用于密封二次电池的装置
US15/563,396 US10777840B2 (en) 2015-08-27 2016-08-26 Apparatus for sealing secondary battery
JP2017556154A JP6535388B2 (ja) 2015-08-27 2016-08-26 二次電池のシール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184 2015-08-27
KR20150121184 2015-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230A true KR20170026230A (ko) 2017-03-08

Family

ID=5840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595A KR20170026230A (ko) 2015-08-27 2016-08-25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77840B2 (ko)
EP (1) EP3264488B8 (ko)
JP (1) JP6535388B2 (ko)
KR (1) KR20170026230A (ko)
CN (1) CN108012570B (ko)
PL (1) PL326448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4382B2 (ja) * 2017-05-16 2020-12-23 Ckd株式会社 シール装置
JP2020053116A (ja) * 2018-09-21 2020-04-0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ラミネート型二次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封止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649B1 (ko) 2002-12-27 2010-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부와, 이의 감는 방법과, 이를 채용하여 제조된 리튬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503U (ja) * 1981-08-05 1983-02-0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冷却装置付ヒ−トシ−ラ−
US4630429A (en) * 1985-02-01 1986-12-23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a web of film in a form, fill, and seal packaging system
JPH01320753A (ja) * 1988-06-22 1989-12-26 Hitachi Maxell Ltd 薄形電池の製造方法
FR2714264A1 (fr) * 1993-12-29 1995-06-30 Maurice Fradin Procédé pour la préparation de pains de viande ou analogue, utilisables pour la fabrication de viande feuilletée.
US5775065A (en) * 1997-05-01 1998-07-07 Ossi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verse cutting and sealing film wrapped around a product
US6862867B2 (en) * 2003-01-16 2005-03-08 Pack-Tech, L.L.C. Bag sealing system and method
WO2005015659A1 (ja) * 2003-08-08 2005-02-17 Nec Lamilion Energy, Ltd. フィルム外装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36223B2 (ja) * 2003-09-30 2011-02-23 日本電気株式会社 ラミネートフィルムの熱融着方法、フィルム外装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ラミネートフィルム用熱融着装置
JP4453454B2 (ja) 2004-06-16 2010-04-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ラミネート型二次電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028986B2 (ja) 2006-12-07 2012-09-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薄型電池、薄型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4923064B2 (ja) * 2007-01-16 2012-04-25 オリヒ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充填包装機および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9242000A (ja) * 2008-03-10 2009-10-22 Toppan Printing Co Ltd ヒートシール部冷却装置およびヒートシール装置
US20110311862A1 (en) 2010-06-21 2011-12-2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209560B1 (ko) 2010-08-25 2012-12-07 장영석 고속 형상 파우치 성형기
US9005805B2 (en) * 2010-08-30 2015-04-14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of novel structure
KR101304870B1 (ko) * 2010-12-02 2013-09-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전지셀
KR101471765B1 (ko) * 2012-06-14 2014-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실링방법,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412407B (zh) * 2012-06-18 2018-04-10 Nec能源元器件株式会社 覆膜电池
CN104584259B (zh) * 2012-12-28 2017-03-15 株式会社Lg 化学 用于密封二次电池的袋状壳体的设备和方法
US10347877B2 (en) * 2013-02-06 2019-07-09 Dai Nippon Printing Co., Ltd. Battery packaging material
KR101508529B1 (ko) 2013-12-05 2015-04-07 주식회사 신화아이티 이차전지 리드탭의 필름 열융착 장치
WO2016002059A1 (ja) * 2014-07-03 2016-01-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複合材の接合方法および複合材の接合装置
KR102191499B1 (ko) 2014-08-11 2020-12-1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실링 장치
CN104393226B (zh) 2014-12-10 2015-08-26 连云港德立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极耳热压成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649B1 (ko) 2002-12-27 2010-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부와, 이의 감는 방법과, 이를 채용하여 제조된 리튬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77840B2 (en) 2020-09-15
EP3264488A4 (en) 2018-02-21
CN108012570A (zh) 2018-05-08
JP6535388B2 (ja) 2019-06-26
PL3264488T3 (pl) 2022-03-21
CN108012570B (zh) 2020-12-11
EP3264488A1 (en) 2018-01-03
EP3264488B8 (en) 2022-02-09
JP2018515881A (ja) 2018-06-14
EP3264488B1 (en) 2022-01-05
US20180090780A1 (en)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525B1 (ko) 전지 팩의 제조방법
EP3567649B1 (en) Method of sealing side portion of pouch-shaped battery including two-step sealing process
US8852783B2 (en) Battery cell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attery cell assembly
KR10127079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
KR20160133041A (ko) 파우치 실링 장치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JP2011508395A (ja) 各々が複数の電気化学的蓄電池を有する、相互接続されたバッテリパックを有するバッテリシステム
KR102191499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실링 장치
KR20170026230A (ko)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US9048463B2 (en) Pouch-cell battery arrangement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and use
JP6186209B2 (ja) 組電池の冷却兼加熱構造
EP3297057B1 (en) Method for sealing a sealing part of a battery case
US20130011722A1 (en) Secondary battery
US20230369690A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7034380A1 (ko)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KR102252335B1 (ko) 연장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KR101390139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CN108292775B (zh) 用于二次电池的密封设备
KR20170082019A (ko) 파우치 외장재,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8042B1 (ko) 탭 필름이 적용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탭 및 탭 필름 적용 방법
CN114976377A (zh) 电池模块及包括其的电池组
KR20230029539A (ko) 이차전지, 그의 제조방법 및 전지팩
JP2013218809A (ja) 温度ヒュー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164859A (ja) 電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