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360A -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 Google Patents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360A
KR20170025360A KR1020150121701A KR20150121701A KR20170025360A KR 20170025360 A KR20170025360 A KR 20170025360A KR 1020150121701 A KR1020150121701 A KR 1020150121701A KR 20150121701 A KR20150121701 A KR 20150121701A KR 20170025360 A KR20170025360 A KR 20170025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extract
improvem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7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여혜린
김도형
김효진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121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360A/en
Publication of KR20170025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36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gustri Fructus extract has following effects: promoting proliferation of skin stem cells; promoting collagen synthesis of skin fibroblasts; having excellent activation of PPAR alpha; and improving skin brightnes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manufacturing medicine, cosmetics, or food to regenerate skin, improve wrinkles, promote elasticity, and improve atopic dermatitis and skin texture.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the proliferation of skin stem cells, and shows stem cell retention effects, thereby being used for manufacturing cosmetics to promote growth of stem cells.

Description

피부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본 발명은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피부결 개선, 줄기세포 활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in improving composition exhibiting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improvement, atopy improvement, skin texture improvement, and stem cell activity promoting effect.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외 간질에 존재하고, 중요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 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 피부 노화에 대해 광범위한 연구가 발전되면서 피부에서의 콜라겐의 중요한 기능이 밝혀지고 있다.Collagen is a major substrate protein produced in fibroblasts of the skin and exists in extracellular epilepsy. Its important functions are mechanical rigidity of skin, resistance of connective tissues and binding force of tissues, support of cell adhesion, division of cells and differentiation Growth or wound healing) are known. Such collagen is reduced by aging and photo aging caus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which is known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wrinkling of the skin.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tensive research on skin aging in recent years, important functions of collagen in skin have been revealed.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레티노산(retinoic acid),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비특허문헌 1],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특허문헌 1], 베튤린산(betulinic acid)[특허문헌 2], 클로렐라 추출물[특허문헌 3, 4] 등이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로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유효성분들은 피부 적용 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Effective ingredients promoting collagen synthesis and exhibiting wrinkle-reducing effects are known. For example, retinoic acid,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non-patent document 1], animal placenta-derived protein [Patent document 1], betulinic acid [Patent document 2], chlorella extract [ Patent Documents 3 and 4] are known as collagen synthesis promoting substances. However, the above-mentioned effective ingredients are limited in the use amount due to safety problems such as irritation and reddening when applied to the skin, or have insufficient effect,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skin function by promoting collagen synthesis of skin substantially can not be expected.

또한, 현대 사회의 주요 질환의 하나로 여겨지는 피부 건조증은 피부 장벽 기능 이상에 의해 야기되는 증상의 하나로, 최근, 환경오염, 아파트, 고층 건물과 같은 건조한 환경의 증가, 사회적 스트레스의 증가, 우리나라 특유의 과도한 목욕 문화, 피부 노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점점 더 증가하고 있으며, 증세가 심하여 치료가 있어야 하는 경우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skin dryness, whi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ajor diseases of modern society, is one of symptoms caused by skin barrier function abnormality. Recently, environmental pollution, increase in dry environment such as apartments and high rise buildings, increase in social stress, Excessive bathing culture, skin aging, and the like, and it is also increasing steadily when the condition is serious and there is a need for treatment.

최근 소아의 10%에서 발병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역시 피부 건조증, 보다 근본적으로는 피부 장벽 기능의 이상을 주요 원인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피부 내 적절한 수분 유지에 중점을 두어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 보유 능력이 있는 세라마이드(ceramide) 또는 그의 유도체와 같은 보습제가 개발되어 제약 또는 화장품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Atopic dermatitis, which is present in 10% of children in recent years, is also known to be a cause of dry skin syndrome, and more fundamentally, abnormal skin barrier function. In order to treat such atopic dermatiti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supply water from the outside or minimize water loss from the body by focusing on proper moisture retention in the skin in the past. Actually, ceramide or derivatives thereof have been developed and are widely used in the pharmaceutical or cosmetic field.

그러나 이와 같은 보습제의 사용은 그 대부분이 근본적인 치료이기보다는 일시적인 증상의 완화에 불과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하는 피부 건조증 및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의 치료에 대해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손상된 피부 장벽을 근원적으로 재생시켜주는 물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However, most of the use of such a moisturizer is merely a temporary symptom relief rather than a fundamental treatment, and thus has not shown sufficient effect for treatment of dry skin and skin barrier function including atopic dermatitis.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substance that can restore the damaged skin barrier fundamentally.

최근 들어, 각질 형성 세포에 존재하는 PPAR 알파(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alpha)가 그 리간드(ligand)와 결합하여 활성화되면,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손상된 피부 장벽을 재구성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실제로 공지된 PPAR 알파의 작용제(agonist)인 클로파이브레이트(Clofibrate)[비특허문헌 2] 또는 WY14643[비특허문헌 3] 등을 피부 장벽이 손상된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가 촉진되고 피부 장벽의 회복이 촉진됨이 확인된 바 있다.Recently, it has been known that PPAR alpha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alpha) present in keratinocyte cells is activated by binding to its ligand, thereby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s and reconstructing damaged skin barrier. In the case of applying Clofibrate (non-patent document 2) or WY 14643 (non-patent document 3), which is an agonist of known PPAR alpha, to the skin of which skin barrier is damaged,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s is promoted And recovery of the skin barrier is promoted.

또한, 피부 표면의 형태인 피부결은 미세한 선에 의해 형성된 3차원 미세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연령별·부위별로 유의하게 다르다. 피부결은 선의 깊이에 따라 1차(약 20-100 ㎛), 2차(약 5-40 ㎛), 3차(약 0.5 ㎛) 라인으로 구분되며, 좋은 피부일수록 각 라인들이 그물형태의 네트워크구조를 이루며 선들이 만나서 생기는 다각형과 별 모양(star formation)이 뚜렷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비특허문헌 4].In addition, the skin texture, which is the shape of the skin surface, is characterized by a three-dimensional microstructure formed by fine lines and i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and site. The skin texture is divided into primary (about 20-100 ㎛), secondary (about 5-40 ㎛), and tertiary (about 0.5 ㎛) lines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line. And has a distinctive polygonal shape and star formation due to the contact of the lines [Non-Patent Document 4].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또는 피부가 손상됨에 따라 촘촘하던 미세라인의 네트워크 구조가 무너져 미세 라인(2차, 3차 등)은 사라지고 1차 라인은 더욱 깊어져 주름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5,6]. 즉, 피부가 노화됨에 따라 나타나는 대표적인 징후인 주름은 이미 장기간에 걸쳐 일어나는 미세한 변화의 축적이다.However, as the age increases or the skin becomes damaged,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dense fine lines collapses and fine lines (secondary, tertiary, etc.) disappear and the primary lines become deeper and wrinkles are known to be produced 5,6]. In other words, wrinkles, a typical sign of skin aging, are accumulations of minute changes that have already occurr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발생학적으로 사람 피부의 모든 구성성분은 외배엽이나 중배엽에서 유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피, 모낭, 피지선 및 땀샘선 등은 외배엽에서 기원하며, 멜라닌 세포, 신경 및 특수 감각 수용체는 신경외배엽에서 유래된다. 발생학적 시기에 따라 배아의 줄기세포는 분화를 거듭하여 각각의 조직 기능에 맞는 특성의 세포가 되고, 성체가 된 후에도 일정수의 줄기세포는 조직에 남게 되는데 피부에서는 주로 두 곳에 줄기세포들이 존재한다. 첫째는 모낭(hair follicle)에 존재한다. 이곳은 세포분화가 일어나기 전의 세포로 표피의 재생과 관련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털의 재생과 성장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둘째는 표피의 기저층(the basal layer of epidermis)이다. 이곳에 자리하고 있는 줄기세포는 표피는 물론 진피층의 섬유아세포까지 관장하여 피부 건강을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곳의 줄기세포는 상대적으로 양이 많고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피부줄기세포 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피부는 지속적으로 재생(renew)되며, 피부의 상피에 존재하는 줄기세포 즉, 피부의 상피줄기세포(epidermal stem cells)는 상처 후 상피의 복구에 관여한다[비특허문헌 7]. 상기 피부의 상피줄기세포는 피부줄기세포(skin stem cells)로도 칭해지며, 상기 피부줄기세포를 활성화시킬 경우, 외상 등의 피부상처를 치료하거나 상처 치료를 촉진할 수 있으며 피부의 주름완화 또한 기대할 수 있다. 피부줄기세포의 지표로는 인테그린β1(integrin β1) 및 인테그린 α6(integrin α6)이 사용되고 있고, 상피 형태 형성 및 분화에 필요한 피부줄기세포의 유지는 p63 단백질에 의해 조절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Embryologically, all components of human skin are known to originate from ectoderm or mesodermal lobe. Epidermis, hair follicles, sebaceous glands and glands are originated from ectoderm, and melanocytes, nerves and special sensory receptors are derived from neuroepithelial cell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 the embryonic stem cells are repeatedly differentiated and become cel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issue function. After the embryo, a certain number of stem cells remain in the tissue. . The first is in the hair follicle. It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generation of the epidermis into cells before cell differentiation occur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hair regeneration and growth. The second is the basal layer of the epidermis. The stem cells found here play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skin health by administering not only the epidermis but also the fibroblasts of the dermal layer. The stem cells here are relatively large in quantity and easy to obtain, making them widely used in the study of skin stem cells. The skin is constantly renewed, and stem cells present in the epithelium of the skin, that is, epidermal stem cells of the skin, are involved in the repair of the epithelium after injury [Non-Patent Document 7]. The epithelial stem cells of the skin are also referred to as skin stem cells. When the skin stem cells are activated, it is possible to treat skin wounds such as trauma, promote wound healing, have. Integrin β1 and integrin α6 are used as indicators of dermal stem cells, and maintenance of skin stem cells necessary for epithelial morphogenesis and differentiation has been reported to be regulated by p63 protein.

피부줄기세포는 피부의 건강과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인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피부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도 노화의 영향으로 인하여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부의 항상성이 깨지면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줄기세포의 활성을 통하여 피부노화의 여러 현상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비특허문헌 8].Dermal stem ce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the health and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homeostasis of the skin. Stem cells present in the skin are also abnormally functioned due to the effect of aging, and thus various problems arise as the homeostasis of the skin is broke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various phenomena of skin aging through the activation of stem cells [Non-Patent Document 8].

또한,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며, 무엇보다도 기존의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있는 물질보다 효과가 우수한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 활성을 지닌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In addition, it is safe and effective in the living body, stable in the active ingredient, more effective than the existing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enhancement, atopic improvement and skin texture improvement effect,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improvement, atopy improvement And a component having skin-improving activity are strongly desired.

한편, 여정실은 제주광나무의 성숙한 열매를 건조한 것을 말한다. 물푸레나무과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제주광나무는(Ligustrum lucidum Aiton)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광나무의 일종으로 당광나무라고도 한다. 7∼8월에 꽃이 피고 10월에 열매가 성숙되며 핵과는 난상 원형이고 길이 7∼10mm 로서 자흑색으로 익으며 겨울에도 남아있다. 겨울에 과실이 성숙하였을 때 따서 지엽을 제거 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과실을 가볍게 증류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이용한다 여정자, 동청자라고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Jingo Zhuang refers to dried mature fruit of Jeju-do. Jeju gwangnamu dicotyledon belonging to the Oleaceae Oleaceae is gentianales (Ligustrum It is a kind of photic tree which is native to Jeju Island and is also known as. Flowers bloom in July-August, fruit matures in October, nucleus is ovate-shaped, length is 7 ~ 10mm and ripens in black color and remains in winter. When the fruit grows in the winter, the leaves are removed and dried in the sun or lightly distilled from the fruit and dried in the sun.

열매는 길고 둥근 핵과로 익을 수록자줏빛을 띤 검은색으로 변한다. 한방에서는 생약으로 열매를 말린 것을 강장약으로 쓰고, 민간에서는 잎을 삶아서 종기에 바른다. 주요 성분으로는 루티노사이드(rutinoside)류와 올레노익엑시드(Oleanolic acid), 큐에세틴(Quercetin), 우솔릭엑시드(Ursolic acid)등이 알려져 있다.Fruit grows into purplish black with the long and round nucleus. In one room, the dried fruit is used as a medicine for herbal medicine. In the private sector, the leaf is boiled and applied to the boil. As a main component, rutinoside, oleanolic acid, quercetin, and urusholic acid are known.

여정실은 강심, 이뇨작용과 간기능 보호작용, 건강한 사람의 모세포 전화작용 촉진, 황색 포도상구균 및 이질간균, 인플루엔자균, 녹농균, 대장균을 억제하는 작용, 항암효과에도 활성반응을 가졌음이 밝혀져 있으나, 피부와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It has been found that the laryngeal cavity has an active reaction to the action of inhibiting diarrhea and liver function, stimulating the mobilization of healthy human bovine callus, staphylococcus aureus, dysentery bacillus, influenza, pseudomonas and coliforms, And there is no research on stem cells.

1. 일본 특개 평8-231370호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8-231370 2. 일본 특개 평8-208424호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8-208424 3. 일본 특개 평9-40523호3. Japan Pyeonghwa 9-40523 4. 일본 특개 평10-36283호4. Japan Patent No. 10-36283

1. Cardinale G. et al, Adv. Enzymol., 41, p. 425, 19741. Cardinale G. et al, Adv. Enzymol., 41, p. 425, 1974 2. Feingold 외, J. Invest. Dermatol., 110, pp 368-375, 1998.2. Feingold et al., J. Invest. Dermatol., 110, pp 368-375, 1998. 3. Feingold 외, J. Invest. Dermatol., 115, pp 353-360, 2000.3. Feingold et al., J. Invest. Dermatol., 115, pp 353-360, 2000. 4.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12:103-114, 19994.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12: 103-114, 1999 5. The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10: 129-138, 19845. The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10: 129-138, 1984 6. Skin research and technology.5:189-194, 19996. Skin research and technology.5: 189-194, 1999 7. Epidermal Stem Cells of the Skin, Cedric Blanpain, Elaine Fuchs, Annual Review of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 November 2006, Vol. 22, Pages 339-3737. Epidermal Stem Cells of the Skin, Cedric Blanpain, Elaine Fuchs, Annual Review of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 November 2006, Vol. 22, Pages 339-373 8. Human skin stem cells and the ageing process, Catherin Niemann, Stem Cell Ag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November 2008, Pages 986-9978. Human skin stem cells and the aging process, Catherine Niemann, Stem Cell Ag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November 2008, Pages 986-997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여정실 추출물이 피부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여 피부의 재생을 촉진시키고,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주름을 개선하며 탄력을 증진시키고, PPAR 알파의 활성도 우수하여 아토피 개선 효과가 있으며, 피부 밝기 개선으로 인한 피부결 개선 효과와 더불어, 피부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줄기세포성 유지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줄기세포 활성 촉진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at the extract of the Lactobacillus japonica promotes the proliferation of dermal stem cells, promotes skin regeneration, promotes collagen synthesis of fibroblasts of the skin to improve wrinkles and elasticity, and has excellent activity of PPAR alpha,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by confirming the effect of promoting stem cell activity by promoting the proliferation of stem cells and exhibiting stem cell maintenance effect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improving skin texture due to the improvement of skin brightnes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정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improvement, atopic eczema, and skin texture improvement, which comprises a farnesylat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정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활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stimulating stem cell activity, which comprises an extract of a gerbil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의약, 화장료 또는 식품 제조를 위한, 여정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s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enhancement, atopic improvement and skin texture improvement, which comprises an extract of a gerberair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the production of medicines, cosmetics or food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화장료 제형 제조를 위한, 여정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활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s another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stimulating stem cell activity, comprising an extract of a gerbil, as an active ingredient, for the production of cosmetic formulations.

본 발명에 따른 여정실 추출물은 피부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여 피부의 재생을 촉진시키고,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주름을 개선하며 탄력을 증진시키고, PPAR 알파의 활성도 우수하여 아토피 개선 효과가 있으며, 피부 밝기 개선으로 인한 피부결 개선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의약, 화장료 또는 식품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 of the Enteric cham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the proliferation of skin stem cells, promotes skin regeneration, promotes collagen synthesis of fibroblasts of the skin to improve wrinkles and elasticity, and has excellent activity of PPAR alpha, And exhibit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kin texture due to the improvement of skin brightness, so that it can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medicines, cosmetics or foods.

또한, 여정실 추출물은 피부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줄기세포성 유지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줄기세포 활성 촉진용 화장료 제형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ract of the Lactobacillus japonica promotes the proliferation of dermal stem cells and exhibits a stem cell-retaining effect, and thus can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cosmetic formulations for promoting stem cell activity.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 성분이 실제 피부에 적용 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저농도에서 고활성의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 활성을 나타내고,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우수하고,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휘발성이 낮고, 조성물이나 피부 상에서 활성 성분이 안정하게 유지되고, 의약, 화장료 또는 식품 등으로의 제조가 용이하며, 또한 피부에 안전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지의 성분 중 상기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성분은 흔치 않다. 예를 들어, 몇몇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 성분들은 시험관 내 실험 시 저농도에서도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 활성은 우수하나,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떨어져 실제 피부에 적용하기엔 어렵다. 또 다른 활성 성분들은 친수성이 낮아 의약이나 화장품, 식품으로 제형화가 어렵다. 또한, 몇몇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 성분들은 열, 광, 또는 산소에 노출되었을 때 상기 활성 성분이 분해되거나 다른 화합물로 변형되어 피부에 적용하기 전에 이미 효과가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To regenerate skin, improve wrinkles, improve elasticity, improve atopy, and improve skin textu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improvement, atopy improvement and skin texture improving activity at low concentration And is low in volatility so as to be able to stay for a sufficient time to exhibit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improvement, atopic improvement and skin texture improving effect, and the active ingredient is stable And is easy to be manufactured into medicines, cosmetics, food or the like, and is preferably safe to the skin. However, among the known components, the components satisfying all of the above characteristics are not common. For example, some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enhancement, atopic improvement, and skin tone improving ingredients are excellent in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improvement, atopic improvement and skin tone improving activity even at low concentration in in vitro tes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real skin because of its ability to permeate and absorb. Other active ingredients have low hydrophilicity, making them difficult to formulate into medicines, cosmetics, and foods. In addition, some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enhancement, atopic improvement, and skin tone improvement components may be decomposed or converted into other compounds when exposed to heat, light, or oxygen, There are also cases.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여정실 추출물은 저농도에서 월등히 우수한 피부 줄기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PPAR 알파 활성 효과, 피부 밝기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을 위한 의약, 화장료 또는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extract of the Lactobacillus japonica extract exhibits remarkably excellent proliferation promoting effect on collagen synthesis, PPAR alpha activity, and skin brightness improvement at a low concentration, thereby improving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 Atopic dermatitis, and skin texture improvement.

따라서, 본 발명은 여정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improvement, atopic eczema, and skin texture improvement comprising an extract of a gerb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여정실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시판되고 있는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The extract of the above-mentioned control room can be extracted by a method known in the art, and the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lternatively, commercially available extracts can be used.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여정실 추출물은 여정실을 물 및/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극성 유기용매, 비극성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상기 극성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일 수 있으며, 비극성 유기용매는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extract of the above-mentioned laboratory room may be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the filtration chamber with water and / or an organic solvent. The organic solvent may be a polar organic solvent, a non-polar organic solvent or a mixture thereof. The polar organic solvent may be a lower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ethyl acetate or acetone, and the nonpolar organic solvent may be ether, chloroform, benzene, hexane or dichloromethane. For example, the lower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may be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or isopropanol.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여정실 추출물은 전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극성이 다른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분획한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정실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로 추출한 후, 에테르, 벤젠, 헥산 등의 극성이 다른 용매로 다시 분획한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 시 용매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여, 각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ltrate extract may contain a fraction obtained by fractionating the primary extract extracted using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solvent with an extraction solvent having a different polarity. For example, the filtrate extract may be a fraction obtained by extracting with an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then fractionating again with a solvent having a different polarity, such as ether, benzene or hexane. Two or more kinds of solvents may be used for the fractionation, and the solvent extracts may be sequentially used or mixed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solvent.

본 발명에서, 상기 제조된 추출물 또는 상기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분획물에 대해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고, 농축은 감압 농축기 등을 이용하여 감압 농축할 수 있으며, 건조는 동결건조법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ed extract or the fraction obtained by performing the fractionation process may be filtered, concentrated or dried to remove the solvent, and the filtration, concentration, and drying may all be performed. Specifically, the filtr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filter paper or a vacuum filter, and the concentration can be reduced by using a reduced pressure concentrator or the like, and the freeze-drying method can be carried out for drying.

또한, 상기 제조된 추출물 또는 상기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분획물에 대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또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의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 있다. The fractions obtained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extract or the fractionation process can be further purifi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or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urther purification can be achieved by purification using various chromatographic techniques.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 제형 제조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formulations.

상기 의약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의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의 형태일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formulations may be in the form of solutions, suspensions or emulsions in oils or aqueous media, or in the form of excipients, powders, granules, tablets or capsules.

또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공지의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 성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성분 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피부 재생 성분으로서, 레티노산, TGF,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튤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 당업계에 공지된 항산화 성분으로서, 토코페롤, 셀레늄, 비타민 C 및 페놀성 화합물, 당업계에 공지된 미백 성분으로서,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C(L-Ascorbic acid)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성분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함량 범위는 피부 안전성, 상기 여정실 추출물의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one or more active ingredients show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For example, it may contain known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enhancement, atopic improvement, and skin tone improving ingredient. The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improvement, atopic improvement and skin texture improving effec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rther enhanced if the composition further includes additional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improvement, atopic improvement and skin texture improvement. When the above ingredients are added, skin safety, easiness of formulation, and stability of effective ingredients can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combined us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is a skin regeneration component known in the art comprising retinoic acid, TGF, protein from animal placenta, betulinic acid and chlorella extract, antioxidant components known in the art, such as tocopherol, selenium , Vitamin C and phenolic compounds, whitening ingredients known in the art, substances inhibiting the activity of tyrosinase enzymes such as kojic acid and arbutin, hydroquinone, vitamin C (L- Ascorbic acid, derivatives thereof, and various plant extracts. The additional ingredi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nd the content of the ingredien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requirements such as skin safety, easiness in formulating the extract of the control room.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완충액, 주사용 멸균수, 일반 식염수 또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 슈크로스, 히스티딘, 염 및 폴리솔베이트 등과 같은 여러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may contain a variety of ingredients such as buffer, injectable sterile water, normal saline or phosphate buffered saline, sucrose, histidine, salts and polysorbates, and the like.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일반 약학 제제의 형태, 예를 들어, 임상 투여 시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can be administered in the form of a general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example, various forms of oral and parenteral administration at the time of clinical administration. In the case of formulation, a filler, ,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a surfactant, and the like.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Sol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These solid preparations can be prepared by mix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can be prepared.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talc are also used. Examples of liqu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and the like.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water and liquid paraffin, which are simple diluents commonly used.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sion agent. Examples of the suppository base include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재생 효과'라 함은 피부 외부 및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에 대하여 피부 조직이 회복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외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자외선, 외부 오염 물질, 창상, 외상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skin regeneration effect " refers to restoration of skin tissue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or internal causes of the skin. Damage due to external causes may include ultraviolet rays, external contaminants, wound, trauma, etc. The damage caused by the internal causes may be stress.

본 발명에 있어서, '주름 개선 효과'라 함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wrinkle-reducing effect " refers to inhibiting or inhibiting the generation of wrinkles on the skin, or alleviating already-generated wrinkles.

본 발명에 있어서, '탄력 증진 효과'라 함은 피부에 대한 탄력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피부 탄력의 손실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감소된 탄력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ity-enhancing effect' refers to an increase in elasticity to the skin, which suppresses or inhibits the loss of elasticity of the skin, or alleviates the already-reduced elasticity.

본 발명에 있어서, '아토피 개선 효과'라 함은 아토피, 피부건조증과 같은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아토피 증상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topic improvement effect' refers to the effect of preventing and treating skin diseases such as atopy and dry skin, and is to inhibit, inhibit, or alleviate atopic symptoms.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결 개선 효과'라 함은 노화, 스트레스 등의 영향으로 피부 표면이 거칠어지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함으로써 피부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광택을 부여하며, 피부 톤을 밝게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skin texture improving effect " refers to smoothing the skin surface, imparting gloss, and brightening the skin tone by inhibiting or inhibiting roughness of the skin surface due to aging, stress, .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량'이라 함은 손상된 피부의 재생을 촉진하거나, 주름을 개선하거나, 탄력을 증진시키거나, 아토피와 같은 피부건조증을 개선하거나, 피부결을 개선할 수 있는 추출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유효량의 상기 여정실 추출물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피부 재생 효과, 주름 개선 효과, 탄력 증진 효과, 아토피 개선 효과 및 피부결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여정실 추출물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이 약학 제형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상기 여정실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일 투여량은 상기 여정실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mg/kg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effective amount " refers to an amount of an extract capable of promoting regeneration of damaged skin, improving wrinkles, improving elasticity, improving skin dryness such as atopy, it means.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effective amount of the abovementioned alfalfa extract, it is possible to provide desirable skin regeneration effect, wrinkle improving effect, elasticity improving effect, atopic improvement effect and skin texture improving effect. The effective amount of the abovementioned alfalfa extrac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vary depending on the form in which the composition is commercialized, how the compound is applied to the skin, and the time on the skin. For example, when the composition is commercialized as a pharmaceutical formulation, it may contain a higher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than the cosmetic product that is routinely applied to the skin. Therefore, the daily dosage is 0.1 to 100 mg / kg, preferably 30 to 80 mg / kg, more preferably 50 to 60 mg / kg, based on the amount of the abovementioned room extract, ≪ / RTI >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methods using surgery, radiation therapy, hormone therapy, chemotherapy, and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본 발명의 의약 제형은 피부 외용제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상기 여정실 추출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When the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is used as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it may further conta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atty substances, organic solvents, solubilizers, thickening and gelling agents, softening agents, antioxidants, suspending agents, stabilizing agents, foaming agents, , Ionic or nonionic emulsifiers, fillers, sequestering agents and chelating agents, preservatives, vitamins, barrier agents, wetting agents, essential oils, dyes, pigments, hydrophilic or lipophilic active agents, lipid vesicles or external preparations for skin ≪ / RTI > any other ingredients that are commonly used in the skin sciences. The components can also be introduced in amounts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dermatology.

상기 여정실 추출물이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와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labial extract is provided as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it may have a formulation such as, but not limited to, ointments, patches, gels, creams or sprays.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은 화장료 제형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Further, the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improvement, atopic improvement and skin texture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cosmetic formulations.

상기 화장료 제형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The cosmetic formulation may be in the form of a conventional emulsion formulation and a solubilized formulation. For example, creams, essences, cosmetic creams, sprays, gels, packs, sunscreens, make-up bases, liquids such as lotions such as lotion, facial lotion, body lotion, A powder, a cleansing lotion, a makeup removing agent such as a cleansing oil, a cleansing foam, a soap, a body wash, and the like.

또한, 상기 화장품은 여정실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in addition to the filtering agent extract, a lipid, an organic solvent, a solubilizer, a thickener and a gelling agent, a softener, an antioxidant, a suspending agent, a stabilizer, a foaming agent, a fragrance, Or any other conventionally used in cosmetics such as nonionic emulsifiers, fillers, sequestering and chelating agents, preservatives, vitamins, barrier agents, wetting agents, essential oils, dyes, pigments, hydrophilic or lipophilic active agents, ≪ RTI ID = 0.0 > ingredients. ≪ / RTI >

상기 화장료 제형은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쉬-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상기 여정실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쉬-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상기 여정실 추출물을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여정실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바람직하게는 0.0001 중량% 내지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기 여정실 추출물을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cosmetic formulation may contain a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the clarinellar extract in the case of a wash-off type cosmetic such as a make-up remover, a detergent, etc. in which the active ingredient remains on the skin in a short period of tim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leave-on type cosmetics such as cosmetics, milky lotions, creams, and essences whose effective ingredients stay on the skin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will be acceptab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composition may contain 0.0001 wt% to 10 wt% (preferably 0.0001 wt% to 1 wt%) of the abovementioned extract in the composition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less than 0.0001% by weight of the extract of the above-mentioned laboratory room, sufficient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improvement, atopy improvement and skin texture improvement effect can not be expected. It is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unwanted reactions such as allergies or skin safety problems.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은 식품 제형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improvement, atopic improvement and skin texture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food formulations.

상기 식품 제형은 상기 여정실 추출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 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을 의미한다. The food formulation refers to food prepared by adding the abovementioned LAB extract to food materials such as beverage, tea, spice, gum, confectionery, etc., or by encapsulation, powdering, suspension or the like.

상기 식품 제형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탄력 증진, 아토피 개선 및 피부결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Since the food formulation can be ingested routinely, it is very useful because it can expect high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improvement, atopy improvement and skin texture improvement effect.

상기 여정실 추출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여정실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laboratory room extract is used as a food additive, the above-mentioned laboratory room extract can be directly added or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 or food ingredients, and can be suitab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h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to be mixed can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its intended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Generally,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in an amount of not more than 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not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raw material, when the food or beverage is produced. However, in the case of long-term intake intended for health and hygiene purposes or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health, the amount may be less than the above range, and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exceeding the above range.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kind of the food. Examples of foods to which the above substances can be added include dairy products including meats, sausages, breads, chocolates, candies, snacks, confections, pizza, ramen noodles, gums, ice cream, soups, drinks, tea,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ll of which include health foods in a conventional sense.

식품 제형이 음료인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When the food is a beverage,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may be added as an additional ingredient such as a normal drink. The above-mentioned natural carbohydrates are sugar alcohols such as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Examples of sweeteners include natural sweeteners such as tau martin and stevia extract,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and the like.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0.01 to 0.04 g, preferably about 0.02 to 0.03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외에 식품 제형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식품 제형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food formulations may contain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nd the like. Other food formulations may contain flesh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fruit juice drinks and vegetable drink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such additives is not critical,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0.1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여정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활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osition for stimulating stem cell activity, which comprises the above-mentioned LAB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에서 용어 ‘줄기세포’는 스스로 세포 분열을 할 수 있고, 매우 다양한 형태의 특이 세포 타입(specific cell type)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세포이다. 이러한 줄기세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한 구체예에서, 상기 줄기세포는 피부줄기세포일 수 있다. 상기 ‘피부줄기세포’는 피부(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를 이루는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줄기세포를 의미한다. 상기 피부를 이루는 세포는 표피에 존재하는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및 진피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생합성을 주로 담당)를 포함한다. The term 'stem cell'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ll capable of cell division by itself and capable of differentiating into a very specific type of specific cell type. The type of such stem cell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 one embodiment, the stem cells may be dermal stem cells. The term 'dermal stem cells' refers to stem cells that can be differentiated into cells constituting the skin (epidermis, dermis and subcutaneous fat layer). The cells that make up the skin include keratinocytes, melanocytes, and fibroblasts (mainly responsible for biosynthesis of collagen and elastin) present in the epidermis.

상기 피부줄기세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부줄기세포는 그것이 어디로부터 유래한 것인지 관계없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줄기세포는 공지의 피부줄기세포 공급원, 예를 들어, 모낭 또는 표피의 기저층에서 얻을 수 있으며, 채취 대상인 동물은 포유동물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포유동물은 인간, 마우스, 랫트, 기니어 피그, 토끼, 원숭이, 돼지, 말, 소, 양, 영양, 개 또는 고양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포유동물은 인간일 수 있다. 이러한, 피부줄기세포 공급원으로부터 피부줄기세포를 수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당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다.The kind of the skin stem cel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dermal stem cell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rrespective of where they originate from. For example, dermal stem cells may be obtained from a known source of dermal stem cells, e. G., From the basal layer of hair follicles or epidermis, and the animal to be harvested may be a mammal. In one embodiment, the mammal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human, a mouse, a rat, a guinea pig, a rabbit, a monkey, a pig, a horse, a cattle, a sheep, Preferably the mammal can be human. Such methods of obtaining dermal stem cells from dermal stem cell sources are well known in the art.

본 발명에 있어서, '줄기세포 활성 촉진 효과'라 함은 줄기세포 증식 촉진 효과 및/또는 줄기세포성 유지 효과를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tem cell activity promoting effect' refers to a stem cell proliferation promoting effect and / or a stem cell maintaining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제형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화장료 제형에 대해서는 앞서 여정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형에 관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cosmetic formulations. These cosmetic formulation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osmetic formula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control room.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  One: 여정실An operation room 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extract

여정실을 세척하고, 분말화한 뒤, 10 배의 에탄올(w/v)에서 5 일간 냉침한 후 추출 원액을 여과, 농축한 엑기스를 얻었다. 여기에 정제수 및 에탄올의 혼합용액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다음 여과하여 최종 추출물을 제조하였다.The filtration chamber was washed, pulverized, and then cooled in 10 times ethanol (w / v) for 5 days. The extract solution was filtered and concentrated to obtain an extract. To this was added a mixed solution of purified water and ethanol to dissolve and then filtered to prepare a final extract.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2:  2: 무혈청Serum-free 배지조건에서Under medium conditions 피부줄기세포의Of dermal stem cells 배양 culture

Cellntec 사에서 구입한 인간 피부줄기세포(Human epidermal stem cell)를 96-웰 플레이트(5×103 cells/well)에,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과 유사한 BPE(Bovine pituitary extract)가 첨가된 CNT-57 배지(Cellntec 사)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5% CO2 및 37℃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흡입관을 통하여 제거한 다음, PBS 용액(GibcoBRL 사)을 이용하여 배지 성분을 제거하고, BPE가 포함되지 않은 CNT-57 배지에 여정실 추출물 5㎍/ml을 처리하여 5% CO2 및 37℃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Human epidermal stem cells purchased from Cellntec were added to a 96-well plate (5 x 10 3 cells / well) supplemented with BPE (bovine pituitary extract) similar to fetal bovine serum And cultured for 24 hours at 5% CO 2 and 37 ° C using CNT-57 medium (Cellntec). Then, the culture fluid removed through the suction pipe, and then, PBS solution used to remove the medium components (GibcoBRL Co.), and the process to extract yeojeongsil 5㎍ / ml in the CNT-57 medium that does not contain a 5% CO 2 and BPE And cultured at 37 ° C for 72 hours.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One: CCKCCK -8 평가법을 통한 -8 Through evaluation method 피부줄기세포Dermal stem cells 증식 촉진 효과 Proliferation promoting effect

상기 제조예 2에서 배양된 피부줄기세포에 CCK-8(Cell counting kit-8) 평가를 실시하였다. CCK-8 평가는 세포 내 전자전달계 내의 탈수소효소(Dehydrogenase)가 테트라졸리움 염(Tetrazolium Salt)를 분해하여 생성하는 포르마잔(Formazan)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밀도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분석방법이다. The skin stem cells cultured in Preparation Example 2 were evaluated for CCK-8 (Cell counting kit-8). The CCK-8 assay is an indirect method of measuring the density of living cells by measuring the absorbance of Formazan, a dehydrogenase in the intracellular electron transport system, produced by the decomposition of tetrazolium salt.

세포에 CCK-8 용액(배지부피의 1/10을 처리)을 37℃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한 후, 파장 45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분광학적으로 측정하였다. 여정실 추출물의 피부줄기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는 측정된 흡광도 값으로부터 대조군(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CNT-57 배지) 대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증식율(%)을 구하고, 그 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냈다.Cells were spectrophotometrically measured by treating CCK-8 solution (treated with 1/10 of the medium volume) at 37 ° C for 2 hours and then measuring the absorbance at 450 nm. From the measured absorbance values, the proliferation rate (%) of the extract of the control room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1)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CNT-57 medium without extract) .

[수학식 1][Equation 1]

증식율(%) = (시료처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 100Growth rate (%) = (absorbance of sample-treated group / absorbance of control group) x 100

피부줄기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 (반복수 = 3)Promoting the proliferation of skin stem cells (number of repetitions = 3) 첨가시료Additive sample 농도density 대조군 대비 세포 증식율(%)Cell proliferation (%) versus control 여정실 추출물Extract 5㎍/ml5 / / ml 136%136% 대조군Control group -- 100%100%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정실 추출물을 처리한 배지조건에서의 피부줄기세포는 우수한 증식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As shown in Table 1, the skin stem cells in the medium treated with the extract of the gerbil showed excellent growth promoting effec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2: 피부줄기세포의Of dermal stem cells 줄기세포성( Stem cell ( stemnessstemness ) 유지 효과 확인) Confirm maintenance effect

상기 제조예 2에서 배양된 피부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유지 효과 확인을 위해 p63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p63은 세포 내 전사인자로서 피부줄기세포의 유지 마커로 잘 알려져 있다. 세포의 RNA를 분리하여 cDNA를 합성한 다음, Taqman 염색액으로 실시간-PCR을 수행하여 p63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RNA의 농도는 S16 리보솜 RNA로 표준화하였다.The expression level of p63 was evaluated in order to confirm the stem cell maintenance effect of the dermal stem cells cultured in Production Example 2 above. p63 is an intracellular transcription factor and is well known as a maintenance marker for dermal stem cells. Cells were isolated and cDNA was synthesized. Then, real-PCR was performed with Taqman staining solution to measure the expression level of p63. The concentration of RNA in this experiment was normalized to S16 ribosomal RNA.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p63 증가 배수의 수치는 대조군(BPE 첨가한 CNT-57 배지) 대비 배수를 의미한다.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In Table 2 below, the numerical value of the increase in p63 is a multiple of the control group (CNT-57 medium supplemented with BPE).

줄기세포성(stemness) 유지 효과(반복수 = 3) Stem cell (stem cell) maintenance effect (number of repeats = 3) 첨가시료 Additive sample 농도 density p63 증가 배수(배) p63 Incremental multiple (times) 여정실 추출물Extract 5 ㎍/mL5 / / mL 2.29 2.29 대조군 Control group - - 1.0 1.0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정실 추출물을 처리한 배지 조건은 피부줄기세포의 p63 발현을 촉진하여 줄기세포성 유지 효과가 우수하다.As shown in Table 2, the medium conditions treated with the LPS extract promoted p63 expression of the dermal stem cells, and thus the stem cell-retaining effect was excellent.

실시예Example 1: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1: Promoting collagen synthesis

여정실 추출물을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실험하였다. 생합성된 콜라겐의 측정은 PICP EIA kit (Procollagen Type I C-Peptide Enzyme 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The effect of collagen synthesis on the cellular level was investigated by adding the extract from the control room to the culture medium of human fibroblasts. The biocompatible collagen was quantitated using a PICP EIA kit (Procollagen Type I C-Peptide Enzyme Immunoassay Kit).

여정실 추출물을 최종 농도 10 ㎍/mL, 20 ㎍/mL가 되도록 하여 비타민 C와 대조군(무첨가)과 함께 각각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7×104 cells/cm2)의 배양 배지에 첨가하여 1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PICP EIA Kit로 각 농도에서 콜라겐 생합성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합성능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합성능으로 증가율을 계산하고 결과를 하기 표 3에 정리하였다. (7 × 10 4 cells / cm 2 ) of human fibroblasts, together with vitamin C and a control (no supplement), to a final concentration of 10 μg / mL and 20 μg / After culturing, the culture was taken and the degree of collagen biosynthesis at each concentration was measured at 450 nm using a spectrophotometer with a PICP EIA Kit. The collagen biosynthesis performance was calculated by the relative performance relative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able 3 below.

농도에 따른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반복수 = 3)Promotion of collagen synthesis by concentration (number of repeats = 3) 첨가 시료Additive sample 적용 농도(㎍/ml)Application concentration (/ / ml) 대조군 대비 콜라겐 합성증가율(%)Increase in collagen synthesis (%) compared to control 여정실 추출물Extract 10 ㎍/ml10 [mu] g / ml 37.5%37.5% 여정실 추출물Extract 20 ㎍/ml20 ug / ml 68.5%68.5% 비타민 CVitamin C 50 ㎍/ml50 ug / ml 35.6%35.6%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정실 추출물은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우수한 콜라겐 합성능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콜라겐 합성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비타민 C를 적용한 경우보다 적은 농도로 더 우수한 콜라겐 합성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3, the extract of the Lactobacillus japonica extract possesses excellent collagen synthesis ability against human fibroblasts and can obtain a better collagen synthesis effect at a lower concentration than that of vitamin C, which is generally known to have collagen synthesis ability .

실시예Example 2:  2: PPARPPAR 알파 활성화 촉진 효과 검증 Verification of Alpha Activation Promotion Effect

여정실 추출물의 PPAR 알파 활성화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여정실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우스 유래의 근아세포(myoblast) 세포주인 C2C12 세포(ATCC CRL-1772)를 10%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계대 배양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벡터로는, In order to confirm the PPAR alpha activation promoting effect of the extract of the control room,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the extract of the control room. C2C12 cells (ATCC CRL-1772), a mouse myoblast cell line, were subcultured in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As the vector used herein,

1) pZEO 벡터 (Invitrogen)의 SV40 프로모터에 효모의 전사 인자인 GAL4-DBD(DNA Binding Domain)과 인간 PPAR 알파 LBD(Ligand Binding Domain)에서 Ser167 내지 Tyr468을 암호화하는 DNA 단편(유전자은행 정보, NM 005036)을 포함하는 벡터; 1) A DNA fragment encoding GAL4-DBD (DNA Binding Domain), which is a transcription factor of yeast, and Ser 167 to Tyr 468 in human PPAR alpha LBD (Ligand Binding Domain), into a SV40 promoter of pZEO vector (Invitrogen) NM 005036);

2) GAL4 응답 서열을 루시퍼라이제 (Luciferase)를 발현하는 pGL3 벡터(Promega)의 다중 제한 효소 인지 부위에 삽입된 벡터, 및 2) the GAL4 response sequence is inserted into the multiple restriction enzyme recognition site of pGL3 vector (Promega) expressing luciferase, and

3) 트랜스팩션 대조군(transfection internal control)으로 β-갈락토시다아제(β-galactodisase)를 발현하는 벡터를 사용하였다.3) A vector expressing? -Galactodisase as a transfection internal control was used.

상기 배양한 세포를 4×104 cell로 24웰 플레이트에 도말한 후, 12시간 동안 배양하고, 상기 세 종류의 플라스미드 유전자를 일시적인 리포팩타민(Lipopectamine)을 이용하여 트랜스팩션(transient transfection)하였다. 8시간 후, 여정실 추출물을 희석하여 처리하고 1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1×PBS로 세척하고 1×리포터 용해 버퍼(reporter lysis buffer)로 세포를 용해시킨 후, 루시퍼라아제 분석 키트(Promega) 및 β-갈락토시다아제 분석 키트(Promega)를 사용하여 루시퍼라아제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PPAR 알파 활성도는 '루시퍼라아제 활성/β-갈락토오스 활성'으로 측정하였다.The cultured cells were plated on a 24-well plate at 4 × 10 4 cells and cultured for 12 hours. The three types of plasmid genes were transiently transfected using lipopectamine. After 8 hours, the clarithromycin extract was diluted and cultured for 12 hours, washed with 1x PBS, lysed with 1x reporter lysis buffer, and luciferase assay kit (Promega) and The activity of luciferase was measured using? -galactosidase assay kit (Promega). That is, the PPAR alpha activity was measured as " luciferase activity / beta -galactose activity ".

본 실험에서 양성 대조군으로는 PPAR 알파의 리간드 중 가장 강력한 것으로 알려진 Wy-14,643(Calbiochem)을 사용하였고, 음성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녹일 때 사용한 DMSO 0.05%를 사용하였다.Wy-14,643 (Calbiochem), the most potent ligand of PPAR alpha,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in this experiment, and DMSO 0.05%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상기 실험 방법에 따라, 여정실 추출물을 C2C12 세포에 처리하여 농도 변화에 따른 PPAR 알파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서 PPAR 알파 활성도의 수치는 음성 대조군(DMSO 0.05%) 대비 백분율을 의미한다.According to the above experimental method, the activity of PPARalpha was measured by C2C12 cells treated with the extract of the control room.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The values of PPAR alpha activity in Table 4 below represent percentages relative to negative control (0.05% DMSO).

PPAR 알파의 활성Activity of PPAR alpha 시료sample PPAR 알파 활성도 (%)PPAR alpha activity (%) DMSO (0.05%)DMSO (0.05%) 100100 Wy-14,643 (0.5 μM)Wy-14,643 (0.5 [mu] M) 335335 Wy-14,643 (1 μM)Wy-14,643 (1 [mu] M) 927927 여정실 추출물 (0.05%)Extract of the control room (0.05%) 593593 여정실 추출물 (0.5%)Extract of the control room (0.5%) 932932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여정실 추출물은 매우 강력한 PPAR 알파 활성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4, compared with the positive contro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 of the control room showed a very strong PPAR alpha activity.

실시예Example 3:  3: 각질박리(turn-over)개선에To improve the turn-over of the skin 대한  About 효능성Efficacy

하기 제제예 2의 영양크림에 대해서 건강한 20대에서 50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각질 박리 개선 효과를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About the nutritional cream of the following formulation example 2, the effect of the improvement of the exfoliation of the skin in the healthy twenties to 50 women was tested as follows.

20세에서 50세까지의 여성 20명의 시험 부위에 DHA(Dihydroxyacetone, Sigma Aldrich, USA) 1.5% 용액을 8시간 동안 폐쇄첩포하여 침착시킨 후 제제예 2의 영양크림을 매일 2회 시험 부위에 도포하였다. 도포 4일 후, 도포 8일 후, 도포 12일 후에 Chromameter CR-400(Minolta, Japan)을 이용하여 침착 부위의 피부 밝기에 대한 기기측정과 DSLR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실시하였다. 측정값은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회의 평균값을 구하여 평가하였으며, 침착 부위의 피부 밝기 개선이 높을수록 각질 박리 개선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Twenty test tubes of 20 women aged 20 to 50 years were coated with 1.5% solution of DHA (Dihydroxyacetone, Sigma Aldrich, USA) for 8 hours, and then the nutritional cream of Preparation Example 2 was applied to the test site twice daily . After 4 days of application, 8 days after application, 12 days after application, photographs were taken using instrument Chromameter CR-400 (Minolta, Japan) and skin lightness of DSLR and DSLR. The measured values were evaluated by three mean values excluding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The higher the improvement in the skin brightness of the deposition site, the better the improvement of the exfoli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below.

피부 밝기 개선 효과Skin brightness improvement effect 구분division 도포 4일 후Four days after application 도포 8일 후Eight days after application 도포 12일 후After 12 days of application 개선율(%)Improvement rate (%) 1.671.67 4.884.88 13.2413.24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양크림을 사용한 경우 각질 박리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As shown in Table 5, when the nutritional cr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it was found that the exfoliation of the skin was improved.

제제예Formulation example 1: 의약 제제의 제조 1: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preparations

1. 정제의 제조1. Preparation of tablets

여정실 추출물 0.2㎎0.2 ml

옥수수전분 100㎎100 mg of corn starch

유 당 100㎎100 mg of milk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2 mg of magnesium stearate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After mixing the above components, tablets were prepared by tablet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tablets.

제제예Formulation example 2: 화장품의 제조 2: Manufacture of cosmetics

1. 영양크림의 제조1. Manufacture of nutritional cream

하기 조성과 같이, 여정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As shown in the following composition, a nutritive cream containing an extract of the clarithromycin as an active ingredient was prepared by a conventional method.

여정실 추출물 0.2중량%0.2%

베타-1,3-글루칸 5.0 중량%Beta-1,3-glucan 5.0 wt%

밀납 10.0 중량%Wax 10.0 wt%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Polysorbate 60 1.5 wt%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tb > < tb > < tb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0.5% by weight of sorbitan sesquioleate

유동파라핀 10.0 중량%Liquid paraffin 10.0 wt%

스쿠알란 5.0 중량%Squalane 5.0 wt%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Caprylic / capric triglyceride 5.0 wt%

글리세린 5.0 중량%Glycerin 5.0 wt%

부틸렌글리콜 3.0 중량%3.0% by weight of but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3.0% by weight of propylene glycol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0.2% by weight triethanolamine

방부제 0.05 중량%Preservative 0.05 wt%

색소 0.05 중량%0.05% by weight of pigment

향료 0.05 중량%0.05% by weight fragrance

정제수 to 100 중량%Purified water to 100%

제제예Formulation example 3: 피부 외용제의 제조 3: Preparation of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1. 연고의 제조1. Manufacture of ointment

하기 조성과 같이, 여정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연고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As shown in the following composition, an ointment containing an extract of the clarithromycin as an active ingredient was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여정실 추출물 0.5 중량%Lt; RTI ID = 0.0 > 0.5%

베타-1,3-글루칸 10.0 중량%Beta-1,3-glucan 10.0 wt%

밀납 10.0 중량%Wax 10.0 wt%

폴리솔베이트60 5.0 중량%Polysorbate 60 5.0 wt%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tb > < tb > < tb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0.5% by weight of sorbitan sesquioleate

바셀린 5.0 중량%Vaseline 5.0 wt%

유동파라핀 10.0 중량%Liquid paraffin 10.0 wt%

스쿠알란 5.0 중량%Squalane 5.0 wt%

쉐어버터 3.0 중량%SHARE BUTTER 3.0 wt%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Caprylic / capric triglyceride 5.0 wt%

글리세린 10.0 중량%Glycerin 10.0 wt%

프로필렌글리콜 10.2 중량%Propylene glycol 10.2 wt%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0.2% by weight triethanolamine

방부제 0.05 중량%Preservative 0.05 wt%

색소 0.05 중량%0.05% by weight of pigment

향료 0.05 중량%0.05% by weight fragrance

정제수 to 100 중량%Purified water to 100%

Claims (13)

여정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regenerating skin comprising an extract of a gerbil as an active ingredient.
제1항에 있어서,
여정실 추출물은 여정실을 물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인 피부 재생용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is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d an organic solvent.
제2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을 포함하는 극성용매;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또는 디클로로헥산을 포함하는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피부 재생용 조성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rganic solvent may be a polar solvent containing a lower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ethyl acetate, or acetone; A nonpolar solvent comprising ether, chloroform, benzene, hexane or dichlorohexane; Or a mixed solvent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피부 재생용 의약, 화장료 또는 식품 제조를 위한 것인, 피부 재생용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osition is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skin regeneration, a cosmetic preparation or a food product.
여정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elasticity or improving wrinkles, the composition comprising an alfalf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제5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의약, 화장료 또는 식품 제조를 위한 것인,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mposition is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enhancement of skin elasticity or wrinkle, a cosmetic preparation or a food product.
여정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y, comprising an extract of a gerbil as an active ingredient.
제7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아토피 개선용 의약, 화장료 또는 식품 제조를 위한 것인,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mposition is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improvement of atopy, a cosmetic preparation or a food product.
여정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texture comprising an extract of a gerbil as an active ingredient.
제9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피부결 개선용 의약, 화장료 또는 식품 제조를 위한 것인,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mposition is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improvement of skin texture, a cosmetic preparation or a food product.
여정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활성 촉진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stimulating stem cell activity comprising an extract of a gerbil as an active ingredient.
제1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줄기세포 증식 촉진 또는 줄기세포성 유지를 위한 것인, 줄기세포 활성 촉진용 조성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mposition is for promoting stem cell proliferation or stem cell retention.
제1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줄기세포 활성 촉진용 화장료 제조를 위한 것인, 줄기세포 활성 촉진용 조성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mposition is for the production of a cosmetic for promoting stem cell activity.
KR1020150121701A 2015-08-28 2015-08-28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700253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701A KR20170025360A (en) 2015-08-28 2015-08-28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701A KR20170025360A (en) 2015-08-28 2015-08-28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360A true KR20170025360A (en) 2017-03-08

Family

ID=5840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701A KR20170025360A (en) 2015-08-28 2015-08-28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360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8424A (en) 1994-12-20 1996-08-13 Unilever Nv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etulinic acid
JPH08231370A (en) 1995-02-23 1996-09-10 Taiyo Kagaku Co Ltd Skin cosmetic
JPH0940523A (en) 1995-07-28 1997-02-10 Ichimaru Pharcos Co Ltd Fibroblast proliferation promoter containing water extract form chlorella
JPH1036283A (en) 1996-07-18 1998-02-10 Ichimaru Pharcos Co Ltd Fibroblast proliferation promoting ag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8424A (en) 1994-12-20 1996-08-13 Unilever Nv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etulinic acid
JPH08231370A (en) 1995-02-23 1996-09-10 Taiyo Kagaku Co Ltd Skin cosmetic
JPH0940523A (en) 1995-07-28 1997-02-10 Ichimaru Pharcos Co Ltd Fibroblast proliferation promoter containing water extract form chlorella
JPH1036283A (en) 1996-07-18 1998-02-10 Ichimaru Pharcos Co Ltd Fibroblast proliferation promoting agent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Cardinale G. et al, Adv. Enzymol., 41, p. 425, 1974
2. Feingold 외, J. Invest. Dermatol., 110, pp 368-375, 1998.
3. Feingold 외, J. Invest. Dermatol., 115, pp 353-360, 2000.
4.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12:103-114, 1999
5. The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10: 129-138, 1984
6. Skin research and technology.5:189-194, 1999
7. Epidermal Stem Cells of the Skin, Cedric Blanpain, Elaine Fuchs, Annual Review of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 November 2006, Vol. 22, Pages 339-373
8. Human skin stem cells and the ageing process, Catherin Niemann, Stem Cell Ag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November 2008, Pages 986-99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5375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102360881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70025367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50087145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60128764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102472978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50087146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70025352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101661288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70025355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70025363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80041108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102245188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50088973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70025371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70025364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70025353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101872919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102013164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70025356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70025370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70025373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70025365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70025360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20160128765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