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466A - 보행훈련장치 - Google Patents

보행훈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466A
KR20170021466A KR1020150115846A KR20150115846A KR20170021466A KR 20170021466 A KR20170021466 A KR 20170021466A KR 1020150115846 A KR1020150115846 A KR 1020150115846A KR 20150115846 A KR20150115846 A KR 20150115846A KR 20170021466 A KR20170021466 A KR 20170021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ee
foot
fixing member
training apparatus
cush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윤
박순영
Original Assignee
김도윤
박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윤, 박순영 filed Critical 김도윤
Priority to KR1020150115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1466A/ko
Publication of KR20170021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4Apparatus for helping babies to walk; Baby walkers or stroller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이 서툰 유아 등의 보행훈련을 위해 사용되는 보행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훈련자의 발을 훈련자의 발 위에 밀착시키되 피훈련자의 발 방향을 양방향으로 밀착시킬 수 있고 피훈련자의 체중에 의해 훈련자의 발 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줄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보행훈련장치는, 수평한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전단부의 좌우측 가장자리 상부에서 각각 제1결합부를 구비하며 후단부의 좌우측 가장자리 상부에서 각각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받침판; 상기 제1결합부 사이의 간격 및 제2결합부 사이의 간격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양단부가 상기 제1·2결합부와 맞물리게 형성되어 제1결합부 또는 제2결합부에 결합되는 탄성의 제1고정부재; 상기 받침판의 후단 하면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2고정부재; 및 받침판의 전단 하면에 연결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행훈련장치{Walking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보행이 서툰 유아 등의 보행훈련을 위해 사용되는 보행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훈련자의 발을 훈련자의 발 위에 밀착시키되 피훈련자의 발 방향을 양방향으로 밀착시킬 수 있고 피훈련자의 체중에 의해 훈련자의 발 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줄 수 있는 보행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아 및 유아의 발달상황은 월령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각 단계에 맞게 발달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보호자와의 상호작용 또는 훈련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근래에는 유아 등의 발달을 돕기 위한 기구나 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보행발달을 돕기 위한 것으로는 보행기, 보행보조슈트 등이 있다.
이중에서 보행기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보행훈련장치이지만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오히려 자연스러운 운동이 되지 않아 유아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
등록번호 10-1403024의 '보행 보조기능을 갖는 유아용 슈트'와 같은 보행보조슈트는 상기한 것과 같은 보행기의 단점은 가지지 않으나 보호자가 슈트를 지속적으로 당겨주어야 하므로 보호자가 쉽게 피로해질 수 있고 슈트를 당김에 의해 슈트가 유아의 신체에 너무 밀착되어 유아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450590 B1 KR 10-1403024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행훈련시 훈련자의 피로도 및 피훈련자의 불편함을 낮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훈련자의 발이 훈련자의 발 위에 밀착되어 보행훈련의 리듬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피훈련자의 하중이 훈련자의 발에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행훈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수평한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전단부의 좌우측 가장자리 상부에서 각각 제1결합부를 구비하며 후단부의 좌우측 가장자리 상부에서 각각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받침판; 상기 제1결합부 사이의 간격 및 제2결합부 사이의 간격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양단부가 상기 제1·2결합부와 맞물리게 형성되어 제1결합부 또는 제2결합부에 결합되는 탄성의 제1고정부재; 상기 받침판의 후단 하면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2고정부재; 및 받침판의 전단 하면에 연결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완충부재는 받침판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받침판의 전단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꺾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완충부재는 받침판과 별도로 이루어져 받침판의 전단 하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단면을 수평하게 관통하는 완충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고정부재의 좌측 외면에는 반타원형 이탈방지부재의 일단부가 힌지결합하고, 우측 외면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타단부가 힌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고정부재의 양단부 외면에는 마찰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보행훈련장치는 피훈련자의 발을 훈련자의 발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보행훈련을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훈련시 훈련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다.
보행훈련장치 상에 피훈련자의 발은 훈련자의 발과 같은 방향으로 놓이거나 마주보도록 놓여질 수 있고 피훈련자의 발이 훈련자의 발에 밀착되기 때문에 훈련자가 훈련의 리듬을 조절하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보행훈련을 할 수 있다.
상기 보행훈련장치를 구성하는 완충부재는 피훈련자의 체중이 훈련자에 그대로 가해지지 않도록 피훈련자의 발이 놓이는 받침판을 지지해주는 동시에 피훈련자가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받침판이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어 훈련시 피훈련자의 피로도 또한 덜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가 적용된 본 발명의 보행훈련장치이다.
도 2는 상기 보행훈련장치를 구성하는 제1고정부재의 위치에 따른 보행훈련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가 적용된 본 발명의 보행훈련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보행이 서툰 유아 등의 보행훈련을 위한 보행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훈련자의 발을 훈련자의 발 위에 밀착시킬 수 있어 보행훈련시 훈련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으며, 보행훈련의 리듬을 쉽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장치 상에서 피훈련자의 발 방향을 바꾸어 줄 수 있어 훈련의 효과가 우수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보행훈련장치(1)의 전체적인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행훈련장치(1)는 크게, 받침판(10), 제1고정부재(20), 제2고정부재(30) 및 완충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판(10)은 수평한 판형으로 이루어져 사용시 훈련자의 발 위에 위치하게 되고, 그 위에 피훈련자의 발이 위치하게 된다. 받침판(10)에서 피훈련자의 발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받침판(10)에는 제1고정부재(20)가 결합된다.
받침판(10) 전단부의 좌우측 가장자리 상부에는 제1결합부(11)가 형성되고, 후단부의 좌우측 가장자리 상부에는 제2결합부(12)가 형성되어 받침판(10)에 제1고정부재(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20)는 그 양단부가 제1결합부(11) 또는 제2결합부(12)에 결합될 수 있는데, 도 2에는 제1고정부재(20)의 결합 위치에 따른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고정부재(20)가 받침판(10) 전단부의 제1결합부(11)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훈련자와 피훈련자가 같은 방향을 바라보고 서게 되고, 도 2의 (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고정부재(20)가 받침판(10) 후단부의 제2결합부(12)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훈련자와 피훈련자가 서로 마주보며 서게 된다.
이에 따라, 피훈련자의 발 방향, 즉 피훈련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보행훈련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20)는, 제1결합부(11) 사이의 간격 및 제2결합부(12) 사이의 간격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결합부(11) 또는 제2결합부(12)에 결합할 때에는 휘어져 아치형을 이루게 되므로, 받침판(10)의 상면과 제1고정부재(20)의 하면 사이에서 피훈련자의 발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20)의 양단부는 제1·2결합부(11, 12)와 맞물리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2결합부(11, 12)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2결합부(11, 12) 각각에 끼움공(h)이 형성되고 제1고정부재(20)의 양단부에는 위 끼움공(h)과 맞물리는 끼움돌기(b)가 형성되어 끼움돌기(b)가 끼움공(h)에 삽입됨으로써 제1고정부재(20)가 제1·2결합부(11, 12)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b)의 말단은 다른 부분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끼움공(h)에 억지끼움결합된 끼움돌기(b)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받침판(10)에 제1고정부재(20)가 결합했을 때 제1고정부재(20)의 말단면이 닿게 되는 받침판(10)의 상면에는 도 1 (b)의 부분 단면도에서와 같이 홈(g)을 형성하여 제1고정부재(20)의 말단부가 피훈련자의 발 등에 걸리어 제1고정부재(20)가 받침판(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20)의 양단부 외면에는 마찰돌기(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했던 바와 같이 훈련방법에 따라 받침판(10) 상에서 제1고정부재(20)의 위치를 바꾸어줄 필요가 있는데, 상기 마찰돌기(21)는 제1고정부재(20)의 위치를 바꾸어주기 위해 제1고정부재(20)를 제1·2결합부(11, 12)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손에서 제1고정부재(20)가 미끄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마찰돌기(21)는 하나의 큰 돌기로 형성되거나 다수 개의 큰 돌기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 등에는 큰 마찰돌기(21)의 외면에 다수 개의 작은 돌기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30)는 받침판(10)의 하면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의 관통공(31)을 구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보행훈련장치가 훈련자의 발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후방향의 관통공(31)에는 훈련자의 발이 끼워지게 된다.
완충부재(40)는 받침판(10)의 전단 하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받침판(10)의 전단부를 지지함으로써 피훈련자의 하중이 훈련자에게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훈련자의 움직임에 따라 받침판(10)이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훈련시 피훈련자의 발이 쉽게 피로해지는 것 또한 방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보행훈련장치에는 제1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40A)가 적용되어 있는데, 제1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40A)는 받침판(10)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받침판(10)의 전단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꺾이어 형성된다. 이러한 완충부재(40A)는 받침판(10)을 통해 피훈련자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받침판(10)과 이루는 각도가 약간씩 달라지면서 완충작용을 한다.
상기 완충부재(40A)의 하부는 다른 부분보다 단면을 크게 형성하여 바닥면과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외면을 둥글게 형성하여 완충부재(40A)가 받침판(10)과 이루는 각도가 약간씩 달라지는 경우에도 바닥면과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40A)는, 도 1의 (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수평하게 다수 회 완만히 절곡함으로써 완충의 효과를 높여주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는 제2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40B)가 적용된 보행훈련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40B)는 받침판(10)과 별도로 이루어져 받침판(10)의 전단 하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단면을 수평하게 관통하는 완충공간(41)을 구비한다.
제2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40B)의 상면에는 끼움돌기(b)가 형성되고, 받침판(10)의 하면에는 끼움공(h)이 형성되어 완충부재(40B)의 끼움돌기(b)를 끼움공(h)에 삽입함으로써 완충부재(40B)를 받침판(10)에 접합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완충부재(40B)는 완충공간(41)을 구비하므로 받침판(10)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납작해지면서 완충작용을 한다. 이러한 완충공간(41)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후방향으로 크게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작게 다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고, 좌우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행훈련장치는 훈련자의 발이 보행훈련장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50)는 반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일단부는 제2고정부재(30)의 좌측 외면에 힌지결합하고 타단부는 제2고정부재(30)의 우측 외면에 힌지결합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50)는 훈련자의 발 뒷꿈치에 걸리게 되어 훈련자의 발이 보행훈련장치 내에서 전후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50)에는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결합공(51)을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하여 어느 위치의 힌지결합공(51)에서 힌지결합이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이탈방지부재(50)와 제2고정부재(30) 사이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훈련자의 발 크기에 맞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청구범위의 기재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보행훈련장치 10 : 받침판
11 : 제1결합부 12 : 제2결합부
20 : 제1고정부재 21 : 마찰돌기
30 : 제2고정부재 31 : 관통공
40 : 완충부재 41 : 완충공간
50 : 이탈방지부재

Claims (5)

  1. 수평한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전단부의 좌우측 가장자리 상부에서 각각 제1결합부(11)를 구비하며 후단부의 좌우측 가장자리 상부에서 각각 제2결합부(12)를 구비하는 받침판(10);
    상기 제1결합부(11) 사이의 간격 및 제2결합부(12) 사이의 간격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양단부가 상기 제1·2결합부(11, 12)와 맞물리게 형성되어 제1결합부(11) 또는 제2결합부(12)에 결합되는 탄성의 제1고정부재(20);
    상기 받침판(10)의 후단 하면에 연결되고 전후방향의 관통공(31)을 구비하는 제2고정부재(30); 및
    받침판(10)의 전단 하면에 연결되는 완충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40A)는 받침판(10)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받침판(10)의 전단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꺾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40B)는 받침판(10)과 별도로 이루어져 받침판(10)의 전단 하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단면을 수평하게 관통하는 완충공간(4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30)의 좌측 외면에는 반타원형 이탈방지부재(50)의 일단부가 힌지결합하고, 우측 외면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재(50)의 타단부가 힌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20)의 양단부 외면에는 마찰돌기(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장치.
KR1020150115846A 2015-08-18 2015-08-18 보행훈련장치 KR20170021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46A KR20170021466A (ko) 2015-08-18 2015-08-18 보행훈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46A KR20170021466A (ko) 2015-08-18 2015-08-18 보행훈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466A true KR20170021466A (ko) 2017-02-28

Family

ID=5854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46A KR20170021466A (ko) 2015-08-18 2015-08-18 보행훈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146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024B1 (ko) 2013-04-04 2014-06-03 유봉준 보행 보조기능을 갖는 유아용 슈트
KR101450590B1 (ko) 2013-07-18 2014-10-1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기 및 이를 이용한 보행 훈련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024B1 (ko) 2013-04-04 2014-06-03 유봉준 보행 보조기능을 갖는 유아용 슈트
KR101450590B1 (ko) 2013-07-18 2014-10-1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기 및 이를 이용한 보행 훈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2351B2 (en) Crawling aid for handicapped infants
Skoyles Human balance, the evolution of bipedalism and dysequilibrium syndrome
US20120197168A1 (en) Pelvic orthosis systems and methods
US20170105561A1 (en) Dressing Assistance Device
Rachwani et al. Behavioral flexibility in learning to sit
US11324995B2 (en) Rehabilitation aid
US20200390259A1 (en) Dressing Assistance Device
US9314114B2 (en) Device for assisted walking
JP2019506986A (ja) 便器用足置き台
JP2007082798A (ja) 障害者用姿勢補助具
Kuramatsu et al. Influence of constrained visual and somatic senses on controlling centre of mass during sit-to-stand
KR20170021466A (ko) 보행훈련장치
KR20150104749A (ko) 입 운동 장치
KR20140032030A (ko) 교정용 젓가락
US8733379B2 (en) Walking supporter
US10092476B2 (en) Mobility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toddler
US20180186396A1 (en) Miniaturized baby walker
CN210852755U (zh) 一种儿童学步车
US20150366741A1 (en) Suspended baby walker
KR20170133647A (ko) 파킨슨병 환자용 보행 보조기
KR200468054Y1 (ko) 척추 기립근 단련 보조구
JP7232551B1 (ja) トレーニング器具
TWM463113U (zh) 多功能救援背架組
JP3236442U (ja) ランドセル用背負いベルト
Rachwani et al. Dynamic sitting in infants: Limits of st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