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881A - Intraoral sensor - Google Patents

Intraoral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881A
KR20170018881A KR1020170019438A KR20170019438A KR20170018881A KR 20170018881 A KR20170018881 A KR 20170018881A KR 1020170019438 A KR1020170019438 A KR 1020170019438A KR 20170019438 A KR20170019438 A KR 20170019438A KR 20170018881 A KR20170018881 A KR 20170018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traoral
case
sensor panel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4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9606B1 (en
Inventor
허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1246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48280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이언스
Priority to KR102017001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606B1/en
Publication of KR2017001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8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6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 A61B6/14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As an intraoral sensor for X-ray photographing in an oral cavit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raoral sensor which is bent along a structure in the oral cavity in the X-ray photographing in the oral cavity, wherein the bending degree of a first region corresponding to a part toward a direction of a long axis is different from the bending degree of a second region which corresponds to the remaining reg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inconvenience of a patient by varying the bending degree of the intraoral sensor.

Description

인트라오랄 센서{Intraoral sensor}Intraoral sensor < RTI ID = 0.0 >

본 발명은 인트라오랄 센서(intraoral senso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내 X선 촬영 시 구강 내 구조물을 따라 휘어질 수 있는 X-선 인트라오랄 센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oral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X-ray intraoral sensor capable of bending along an intraoral structure during oral X-ray imaging.

구강 내 치아 및 치아주변조직의 X선 영상을 얻기 위한 구강 내 X선 촬영에서 기존에는 필름을 이용한 방식이 사용되었다. Oral x-rays were used to acquire X-ray images of oral tissues and surrounding tissues.

그런데, 필름 방식의 경우 구강 내에서 과도하게 휘어져 영상왜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촬영된 필름의 현상 및 보관상의 문제 등에 기인하여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비효율적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 방식의 인트라오럴 센서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film typ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mage distortion occurs in the oral cavity due to excessive bending, and it is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and time due to the phenomenon of development and storage of photographed film. In order to improve this, a digital type intralor sensor is widely used today.

디지털 방식의 인트라오럴 센서는 일반적으로 딱딱한(rigid) 재질의 구성품들로 이루어져 휘지 않는 특성을 갖게 된다. 때문에, 구강 내 X선 촬영 시 영상왜곡의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환자는 이물감이나 통증을 크게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Digital intraloral sensors are typically made of rigid materials and have non-warp properties. Therefore, although the possibility of image distortion is relatively low in the intraoral X-ray imaging, the patient has a problem of feeling a foreign body feeling or pain.

본 발명은 구강 내 X선 촬영 시 구강에 삽입되어 그에 접하는 치아 등 구강 내 구조물의 외형 내지는 위치 관계를 따라 휘어짐 정도가 가변될 수 있어 사용자의 이물감이나 통증을 경감할 수 있는 휘어짐 특성을 갖는 인트라오랄 센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oral device having intra-oral X-ray radiography, which is capable of varying the degree of warping according to the external shape or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intraoral structur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in contact with the oral cavity, Sensor.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강 내 X선 촬영을 위한 인트라오럴 센서로서, 구강 내 X선 촬영 시 구강 내 구조물을 따라 휘어지고, 장축 방향을 향한 일부에 해당하는 제 1 영역과 나머지에 해당되는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가 다른 인트라오랄 센서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raoral sensor for intraoral x-ray imaging, comprising: a first region that is bent along an intraoral structure during an intraoral x- The degree of warping of the secon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gion is different.

여기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장축 방향의 중심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2 영역보다 휘어짐 정도가 작을 수 있다.Here, the first region may include a center in the major axis direction, and the first region may have a degree of warpage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region.

상기 제 1 영역은 전체 영역의 30~70%일 수 있다.The first area may be 30 to 70% of the entire area.

구강 내 X선 촬영 시 상기 제 1 영역의 휘어짐 각도는 160°이상 180°이하일 수 있다.The angle of warping of the first region may be 160 ° or more and 180 ° or less when performing intraoral x-ray radiography.

구강 내 X선 촬영 시 상기 제 2 영역의 휨 각도는 110° 이상 180°이하일 수 있다.In the X-ray imaging in the oral cavity, the bending angle of the second region may be 110 ° or more and 180 ° or less.

X선 입사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배면의 상기 제 1 영역에 구비된 배면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back surface supporting part provided on the first area of the rear surface opposite to the X-ray incidence.

상기 배면 지지부는 상기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The rear surface supporting portion may be protruded from the back surface.

상기 배면 지지부를 제외한 두께는 2~8mm일 수 있다.The thickness excluding the back surface supporting portion may be 2 to 8 mm.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구강 내 X선 촬영을 위한 인트라오럴 센서로서, X선으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패널; 상기 센서패널의 상기 X선 입사측을 덮는 제1케이스; 상기 센서패널과 상기 제1케이스를 덮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구강 내 X선 촬영 시 구강 내 구조물을 따라 휘어지되, 장축 방향을 향한 일부에 해당하는 제 1 영역과 나머지에 해당되는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가 다른 인트라오랄 센서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raloral sensor for intraoral x-ray imaging, comprising: a sensor panel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in an x-ray; A first case covering the X-ray incidence side of the sensor panel; And a housing covering the sensor panel and the first case. The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raoral sensor having a different degree.

상기 센서패널은, 두께 100um이하의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광전변환소자; 상기 광전변환소자를 덮는 형광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panel comprising: a semiconductor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100um or less;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 phosphor layer covering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상기 형광체층 반대측의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플렉시블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lexible layer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opposite to the phosphor layer.

상기 센서패널의 상기 X선 입사 반대측을 덮는 탄성조절부재; 상기 탄성조절부재를 덮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 elasticity adjusting member covering the X-ray incidence side of the sensor panel;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vering the elastic regulating member.

상기 센서패널과 상기 탄성조절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접착제; 상기 탄성조절부재와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adhesive disposed between the sensor panel and the elastic control member; And a second adhesive disposed between the elastic regulating member an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는 배면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면 지지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을 수 있다.And a back surface supporting part located 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wherein the housing covers part or all of the back surface supporting part.

상기 배면 지지부는 배치위치를 통해 상기 제 1 영역의 휘어짐 정도를 상기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보다 작게 할 수 있다.The rear support portion can reduce the degree of warping of the first region through the placement position to be smaller than the degree of warping of the second region.

상기 배면 지지부를 통해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송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transmission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via the backside support part.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장축 방향 중심에서 단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전송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출력 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input / output pad unit provided along the minor axis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major axis direc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cable.

상기 제1케이스는 물리적인 형상을 통해 상기 제 1 영역의 휘어짐 정도를 상기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보다 작게 할 수 있다.The first case may have a physical shape so that the degree of warping of the first region is smaller than the degree of warping of the second region.

상기 센서패널의 X선 입사 반대측에 구비되어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하우징에 의해 덮이는 배면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rear surface supporting portion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X-ray incidence surface of the sensor panel and partially or wholly covered by the housing.

상기 배면 지지부는 배치위치를 통해 상기 제 1 영역의 휘어짐 정도를 상기 제 2 영역의 휘어짐 정도보다 작게 할 수 있다.The rear support portion can reduce the degree of warping of the first region through the placement position to be smaller than the degree of warping of the second region.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는 구강 내 구조물의 외형 내지는 위치관계에 따라 휘어짐 정도가 가변되어 환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The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by varying the degree of warp depending on the external shape or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intraoral structure.

그리고, 인트라오랄 센서는, 센서패널 전방에서 이를 수납하며 휨 특성을 제한적으로 갖는 제1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트라오랄 센서는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휘어지게 되어, 영상 왜곡을 최소하면서 환자 불편감을 상당 정도 완화할 수 있는 휘어짐 가능한 X-선 인트라오랄 센서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The intraloral sensor may use a first case that accommodates the sensor in front of the sensor panel and has a limited bending property. Accordingly, the intraoral sensor is bent within a limited range, and a bendable X-ray intraoral sensor capable of minimizing image distortion and alleviating a patient's uncomfortable feeling can be realized.

더욱이, 제1케이스의 측벽에 홈을 형성하여 위치에 따라 휨 특성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구강 내 촬영 시 영상 왜곡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불편감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groove can be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first case to adjust the bending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position, thereby minimizing the image distortion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in the oral cavity and more effectively alleviating the patient's discomfort.

또한, 센서패널 후방에 배면 지지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배면 지지부에 의해 눌려지는 센서패널의 중앙 부분은 주변 부분에 비해 휨 정도가 제한됨으로써, 구강 내 촬영 시 영상 왜곡을 최소화하고 환자 불편감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 since the rear surface supporting portion can be configured behind the sensor panel,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nsor panel pressed by the rear surface supporting portion is restricted in the degree of bending as compared with the peripheral portion, thereby minimizing image distortion during the oral image taking, .

또한, 제2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인트라오랄 센서의 구성들의 결합을 보다 더 견고하게 할 수 있게 된다. Further, the second case can be used, so that the combination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intraoral sensor can be made more robust.

또한, 연질 특성의 하우징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인트라오랄 센서의 외부를 덮어 씌움으로써, 구강 내 촬영시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을 상당한 정도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housing of the soft characteristic can be used,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discomfort felt by the patient when photographing in the oral cavity to a considerable degree by covering the outside of the intraoral sensor.

또한, 입출력 패드를 휨 발생시 응력이 최소화되는 인쇄회로기판의 가운데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할 수 있게 되어, 휨에 의한 입출력 패드의 결함을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pads can be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re the stress is minimized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bending, so that defects of the input / output pads due to warping can be minimized.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접지패턴을 형성하고 이와 접속하는 접지시트를 센서 어셈블리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정전기에 의한 결함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Further, it is possible to form a ground pattern at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o connect the ground sheet connected to the ground sheet to the sensor assembly, so that defects due to static electricity can be improved.

또한, 센서패널 후방 측에 X선 반사 방지막을 배치할 수 있게 되어, 백 스캐터링 현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X-ray anti-reflection film can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ensor panel, and backscattering phenomenon can be improv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휘어짐 특성을 갖는 인트라오랄 센서가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raoral sensor having a warping characteristic within a limited range capable of minimizing image distortion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thereby minimizing a patient's discomfo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인트라오랄 센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센서 어셈블리와, 제1케이스와, 배면 지지부의 결합 상태를 보이는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보인 인트라오랄 센서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에 금속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A" 부분에 대응되는 탄성조절부재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의 탄성조절부재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에 구성된 X선 반사 방지막의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의 배면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의 제2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가 구강내 위치에 따라 그 외형면이 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를 이용한 치근단 촬영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의 휨 특성을 나타낸 개략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raoral sensor of Fig. 1;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nsor assembly, the first case, and the backside support are engag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ra-oral sensor shown in FIG. 3, taken along line AA ';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nso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etal sheet is coupled to a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ity adjus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A" of Fig. 6; Fig.
11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an elasticity adjusting member of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examples of an X-ray antireflection film configured in a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ck support of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cond case of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and 18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A and 19B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chang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pical endoscopic photography using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 and 22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bending characteristics of the intraloral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트라오랄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센서 어셈블리와, 제1케이스와, 배면 지지부의 결합 상태를 보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보인 인트라오랄 센서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 및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190)이 생략된 인트라오럴 센서의 구조를 도시하였고, 또한 도 3에서는 제2케이스(200)가 생략된 인트라오럴 센서의 구조를 도시하였으며, 도 3의 구조를 갖는 인트라오럴 센서 구조에 대해 도면번호 100a를 부여하였고, 도 4의 구조를 갖는 인트라오럴 센서의 구조에 대해 도면번호 100b를 부여하였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raoral sensor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or assembly,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intraoral sensor shown in FIG. 3 and 4 illustrate the structure of an intralor sensor in which the housing 190 is omitt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Fig. 3, the structure of the intraloral sensor in which the second case 200 is omitted is shown in Fig. The intraloral sensor structure having the structure of FIG. 3 i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100a, and the structure of the intraoral sensor having the structure of FIG. 4 i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100b.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X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어셈블리(sensor assembly; 105)와, 센서 어셈블리(105)의 전방(즉, X선 입사 측)에 위치하는 제1케이스(170)와, 센서 어셈블리(102)의 후방(즉, X선 입사 반대측)에 위치하는 배면 지지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4, the intra-oral sens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assembly 105 for detecting X-rays to generate an electric signal, A first case 170 positioned on the X-ray incidence side (i.e., the X-ray incidence side) and a back support 180 positioned on the rear side (i.e., the X-ray incidence side) of the sensor assembly 102.

한편,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센서 어셈블리(105)와, 제1케이스(170)와, 배면 지지부(180)를 결합하여 모듈화하는 제2케이스(200)과, 제2케이스(200)를 덮어 감싸는 하우징(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traoral sensor 100 includes a second case 200 for modularizing the sensor assembly 105, the first case 170 and the backside support 180 by combining them, and a second case 200 for covering the second case 200 And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190 that encloses the housing.

센서 어셈블리(105)에 대해 도 5를 더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05)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The sensor assembly 10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nsor assembly 10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더 참조하면, 센서 어셈블리(105)는 센서패널(110)과, 탄성조절부재(120)와, 인쇄회로기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패널(100), 탄성조절부재(120), 인쇄회로기판(130)은 X선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5, the sensor assembly 105 may include a sensor panel 110, a resilient adjusting member 12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130.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panel 100,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are disposed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X-ra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센서패널(110)에는 X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유효영역, 즉 액티브 영역에 횡방향과 열방향을 따라 다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각 화소에는 포토다이오드와 같은 광전변환소자와 스위칭 소자가 구성되어, 입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 및 전송하게 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센서패널(110)의 일측에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패드들이 구성되어 있고, 스위칭 소자는 CMOS 트랜지스터 또는 TFT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sensor panel 110, a plurality of pixels are arranged in the form of a matrix in the effective region for obtaining the X-ray image, that is, along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column direction in the active region. Each pixel has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such as a photodiode and a switching element, and converts the incident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pads for outputting electrical signal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nsor panel 110, and the switching elements may be implemented as CMOS transistors or TFTs.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벤더블 특성 구현을 위해, 센서패널(110) 또한 벤더블 특성을 갖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센서패널(110)은 반도체, 세라믹, 유리 등의 취성 기판을 사용한 것을 전제로 기판의 두께가 100um 이하, 일례로 반도체 기판인 경우에 30um~90u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두께로 기판을 형성하게 되면, 센서패널(110)의 벤딩 강도(bending strength)가 최적화될 수 있다.The sensor panel 110 is also configured to have a Ben Double property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the Ben-Double characteristic of the intraoral sensor 100. For this purpose, the sensor panel 110 is assumed to be a brittle substrate such as semiconductor, ceramic,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s 100 mu m or less, for example, 30 mu m to 90 mu m in the case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By forming the substrate with such a thickness, the bending strength of the sensor panel 110 can be optimized.

위와 같은 두께의 센서패널(110)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면, 기판의 배면 측을 일정 두께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광전변환소자가 형성된 면과 반대되는 배면에 대해, 기계적 그라인딩(grinding), 화학적 연마, 플라즈마 에칭 등의 공정을 진행하여 기판의 두께를 전술한 바와 같은 정도로 얇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form the sensor panel 110 having the thicknes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method of remo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f the back side of the substrate may be used. That is, it is possible to form the substrate with a thickness as thin as described above by performing processes such as mechanical grinding, chemical polishing, and plasma etching on the back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s are formed.

한편, 센서패널(110)은 입사된 X선을 전기적 신호로 직접 변환하는 직접 변환 방식의 센서패널이나, 입사된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간접 변환 방식의 센서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nsor panel 110 includes a sensor panel of a direct conversion type that directly converts incident X-ray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ensor panel of an indirect conversion type that converts incident X-rays into visible light and converts the X- Can be used.

여기서, 간접 변환 방식의 센서패널(110)이 사용되는 경우에, 본 실시예의 센서패널(1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인 도 6을 더 참조하면, 센서패널(110)의 기판(115) 일면, 즉 광전변환소자 상에는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기 위한 형광체(scintillator)층(140)이 구비될 수 있다.6,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nsor panel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ensor panel 110 of the indirect conversion type is used. A scintillator layer 140 for converting X-rays into visible light may be provided on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도 6에서는, 센서패널(110)의 X선 입사면 측에 형광체층(140)이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와 다른 예로서 X선 입사면 측의 반대면에 형광체층(140)이 구성될 수도 있다.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hosphor layer 140 is formed on the X-ray incident surface side of the sensor panel 110. Alternatively, the phosphor layer 140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X- have.

형광체층(140)은, 예를 들면, 접착제(145)를 통해 기판(115)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형광체층(140) 상에는, 형광체층(140)을 보호하기 위한 방사선 투과성의 보호막(150)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145)는 광투과도가 높은 연성의 접착제, 일례로 OCA(Optically Clear Adhesive) 필름이 사용될 수 있고, 보호막(150)은 방사성 투과성과 습기 차단성이 높은 수지재질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접착제(145)는 기판의 취성을 완화할 수 있도록 5~50um, 바람직하게는 OCA 필름을 전제로 10~40um의 두께를 나타낼 수 있다.The phosphor layer 140 may be attached to the substrate 115 via an adhesive 145, for example. On the phosphor layer 140, a radiation-transmitting protective film 150 for protecting the phosphor layer 140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adhesive 145 may be a flexible adhesive having high light transmittance, for example, 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150 may be a resin material film having high radioresistance and moisture barrier property. For reference, the adhesive 145 may have a thickness of 5 to 50 μm, preferably 10 to 40 μm, based on the OCA film, so as to alleviate the brittleness of the substrate.

한편, 형광체층(140)을 구성하는 형광체로서는, 예를 들면, CsI를 사용한 형광체나, 개독스(Gadox: Gd2O2:Tb)를 사용한 형광체가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phosphor constituting the phosphor layer 140, for example, a phosphor using CsI or a phosphor using Gadox (Gd 2 O 2 : Tb) can be used.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벤더블 특성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주상 결정 구조의 CsI 형광체 보다 개독스를 사용한 형광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독스 형광체는 미립자 구조를 갖게 되므로, 인트라오랄 센서(100)가 휘게 되더라도 파손될 가능성은 매우 낮아 결함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개독스를 사용한 형광체층(140)은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Here, since the intra-oral sens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have the Ben-Double characteristic, it is preferable to use a phosphor using anodox rather than a CsI phosphor having a columnar crystal structure. Since the redox fluorescent material has a fine particle structure, even if the intraoral sensor 100 is bent, the possibility of breakage is very low, so that defects do not occur. Moreover, the phosphor layer 140 using the dopant has an advantage of being easy to manufacture.

참고로, 개독스를 사용한 형광체층(140)은 충분한 광량을 얻기 위해 50~300um, 바람직하게는 70~200u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형광체층(140)과 접착제(145) 사이에는 형광체층(140)을 보호 및 지지하기 위해 방사선 투과성과 습기 차단성이 높은 수지재질의 필름인 별도의 보호막이 추가될 수 있다. 참고로, 형광체층(140)과 보호막(150) 그리고 별도의 보호막을 포함한 전체 두께는 250~500um, 바람직하게는 300~450u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phosphor layer 140 using the dopant may have a thickness of 50 to 300 .mu.m, preferably 70 to 200 .mu.m in order to obtain a sufficient amount of light. In this case, the phosphor layer 140, In order to protect and support the layer 140, a separate protective film may be added, which is a film made of a resin material having high radiation permeability and moisture barrier property. For reference, the phosphor layer 140, the passivation layer 150, and a separate protective layer may have a total thickness of 250 to 500 um, preferably 300 to 450 um,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형광체층(140)이 형성된 기판(115)의 반대면에는 플렉서블층(15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플렉서블층(155)은 유연성을 지닌 수지재질,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polyimide: PI)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플렉서블층(155)은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휘어짐에 대해 센서패널(110), 특히 기판(115)의 취성을 완화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를 나타낼 수 있고, 예를 들면 50~150u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층(155)은 기판(115)에 소정의 접착물질, 일례로 DAF(Die Attach Film) 등으로 접착될 수 있으며, 접착물질의 두께는 10~30um 정도가 적절하다. The flexible layer 155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bstrate 115 on which the phosphor layer 140 is formed. The flexible layer 155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having flexibility, such as polyimide : PI). At this time, the flexible layer 155 can exhibit a sufficient thickness to relieve the brittleness of the sensor panel 110, particularly the substrate 115, against bending of the intraoral sensor 100 to prevent breakage. For example, And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50 to 150 um. The flexible layer 155 may be adhered to the substrate 115 with a predetermined adhesive material, for example, DAF (Die Attach Film), an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material is suitably about 10 to 30 μm.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회로패널인 인쇄회로기판(130)은 센서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며, 센서패널(110)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패널(11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고 또한 구동신호를 센서패널(110)에 전송하게 된다. 5,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which is a circuit panel, is positioned behind the sensor panel 1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nsor panel 110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sensor panel 110 And transmits a drive signal to the sensor panel 110.

인쇄회로기판(130)으로서, 센서 어셈블리(110)의 벤더블 특성 구현을 위해, 플렉서블(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진 소위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o-calle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s preferably used as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in order to realize the Ben-Double characteristic of the sensor assembly 110.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인 도 7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130)에는 패널 연결 패드부(131)와, 도전 배선 패턴부(133)와, 입출력 패드부(135)가 구성될 수 있다.7, which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is provided with a panel connection pad portion 131, a conductive wiring pattern portion 133, And an input / output pad unit 135 may be configured.

패널 연결 패드부(13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30)의 일측에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다수의 패드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패널 연결 패드부(131)의 패드들은 센서패널(110) 즉 기판(115)의 일측에 구성된 대응되는 패드들과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솔더링(soldering) 또는 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패널(110)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The panel connection pad portion 13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as shown in FIG. The pads of the panel connection pad unit 131 may be connected to corresponding pad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nsor panel 110 or the substrate 115 by wire bonding, soldering or 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sensor panel 110. [0033]

도전 배선 패턴부(133)에는, 양단에 위치하는 패널 연결 패드부(131)와 입출력 패드부(135)를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 패턴이 형성된다. 배선 패턴의 일끝단은 패널 연결 패드부(131)에 연결되고 타끝단은 입출력 패드부(135)에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The conductive wiring pattern portion 133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wiring patterns that connect the panel connection pad portion 131 and the input / output pad portion 135 located at both ends. One end of the wiring pattern is connected to the panel connecting pad part 13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pad part 135 to transmit a signal.

입출력 패드부(135)는 외부와의 전기적 신호 전송을 위한 전송 케이블(도 1 내지 4의 210 참조)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출력 패드부(135)가 전송 케이블(210)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든다. 이 경우에, 전송 케이블(210)은 입출력 패드부(135)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솔더링(soldering) 방식이나 커넥터(connector) 방식 또는 전도성 필름(Conductive Film)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input / output pad unit 135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a transmission cable (see 210 in FIGS. 1 to 4) for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to the outside.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ase where the input / output pad portion 135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cable 21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cable 210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pad unit 135 in various ways, for example, by a soldering method, a connector method, or a conductive film .

다른 예로서, 인쇄회로기판(130)의 후방에는 플렉서블 특성의 연성회로필름이 부착될 수 있고, 연성회로필름은 입출력 패드부(135)에 접속되는 범프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송 케이블(210)은 연성회로필름에 연결되며, 연성회로필름을 통해 입출력 패드부(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성회로필름은 인쇄회로기판(130)에 비해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nother example, a flexible circuit film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can be attached to the rea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and the flexible circuit film can have bumps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pad portion 135.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cable 210 is connected to the flexible circuit film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pad portion 135 through the flexible circuit film.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lexible circuit film is formed to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입출력 패드부(135)가 센서 어셈블리(105)의 가운데 영역(CA)으로서 단축 방향을 따르는 가운데 영역(CA)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입출력 패드들(135a)이 인쇄회로기판(130)의 단축 방향을 따라 정의된 가운데 영역(CA)에 배열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 output pad unit 135 is formed as a center area CA of the sensor assembly 105 and extends along the area CA along the minor axis direction.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 output pads 135a are arranged in the area CA defined along the minor axis direc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

이와 관련하여, 센서 어셈블리(105)가 평면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의 길이가 이와 수직한 y축 방향의 길이 보다 긴 장방형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 있어, 환자 불편감 완화 등 여러 요소를 감안하여, 센서 어셈블리(105)는 장축 방향인 x축 방향에서의 휨 특성이 단축 방향인 y축 방향에 비해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x축 방향 상에서 전후방으로 휘는 정도가 y축 방향 상에서 전후방으로 휘는 정도에 비해 큰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regard, in the case where the sensor assembly 105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er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than a length in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ane, considering various factors such as alleviation of patient inconvenience, The assembly 105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the flexural characteristic in the x-axis direction, which is the major axis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y axis direction which is the minor axis direction.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degree of warp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the x-axis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degree of warp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the y-axis direction.

이때,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센서 어셈블리(105)의 가운데 영역(CA)이 휨 발생시 응력이 최소화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이에 따라, x축 방향의 가운데 영역(CA)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입출력 패드부(135)를 배치하게 되면, 입출력 패드부(135)에 작용하는 응력과 변위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되므로, 휨에 의한 입출력 패드부(135)의 결함 또한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center area CA of the sensor assembly 105 with respect to the x-axis direction corresponds to a portion where the stress is minimized when bending occurs. Accordingly, if the input / output pad portions 135 are disposed along the y-axis direction in the center region CA in the x-axis direction, the stress and displacement acting on the input / output pad portions 135 can be minimiz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fects of the input /

한편, 인쇄회로기판(130)의 일면에는, 패널 연결 패드부(131)와, 도전 배선 패턴부(133)와, 입출력 패드부(135)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의 금속박막(137)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속박막(137)은, 예를 들면, 구리(Cu)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금속박막(137)은 메쉬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On the other hand, a metal thin film 137 in a state of being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panel connection pad portion 131, the conductive wiring pattern portion 133, and the input / output pad portion 135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 The metal thin film 137 may be made of, for example, copper (Cu),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etal thin film 137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esh pattern, but is not limited thereto.

금속박막(137)은 전술한 구성들인 패널 연결 패드부(131)와, 도전 배선 패턴부(133)와, 입출력 패드부(135)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필요하다면 금속박막(137)은 패널 연결 패드부(131), 도전 배선 패턴부(133), 입출력 패드부(135)와 절연된 인쇄회로기판(130) 내 다른 층의 전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후술하는 백 스캐터링을 개선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금속박막(137)은 W, Ti 등 원자번호가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etal thin film 137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excluding the region where the panel connecting pad portion 131, the conductive wiring pattern portion 133, and the input / output pad portion 135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metal thin film 137 is formed in all the regions of the other layers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insulated from the panel connection pad portion 131, the conductive wiring pattern portion 133, and the input / output pad portion 135 And can also serve to improve the back scatter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metal thin film 137 may be made of a metal having a high atomic number such as W, Ti, or the like.

이와 같은 금속박막(137)은 인쇄회로기판(130)의 접지 수단과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차폐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The metal thin film 137 may function as a grounding mean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and an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means.

특히, 금속 박막(137)은 인쇄회로기판(130)의 벤더블 특성을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etal foil 137 can serve as a means for adjusting the Ben Double characteristic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이와 관련하여, 금속박막(137)이 없는 경우에는 패널 연결 패드부(131)와, 도전 배선 패턴부(133)와, 입출력 패드부(135)가 형성된 영역과 그 외의 영역 간의 휘는 정도가 큰 차이를 보이지만, 금속박막(137)을 형성함에 따라 그 차이를 완화시켜 인쇄회로기판(130)의 전체적인 휘어짐 정도를 영역별로 고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금속박막(137)의 재료나, 형성 면적, 두께 등을 조절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130)의 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When there is no metal thin film 137, a difference in degree of warping between the region where the panel connecting pad portion 131, the conductive wiring pattern portion 133, and the input / output pad portion 135 are formed and the other region is large However, as the metal thin film 137 is formed, the difference may be alleviated so that the overall degree of warpag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can be made uniform in each area. The degree of warpag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material, forming area,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metal thin film 137.

또한, 인쇄회로기판(130)의 후방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접지패턴(139)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지패턴(139)은 금속 박막(137)과 함께 인쇄회로기판(130)의 접지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어, 정전기에 기인한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불량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 ground pattern 139 made of a metal material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along the edge thereof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ground pattern 139 can function together with the metal thin film 137 as a ground terminal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and can prevent the failure of the intraoral sensor 100 due to the static electricity.

이와 같은 접지패턴(139)의 방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트라오랄 센서(100)에는 접지 패턴(139)과 접촉하는 금속시트(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을 더 참조하면, 금속시트(160)는 센서 어셈블리(105)의 전면과 측면을 모두 감싸고, 특히 센서 어셈블리(105) 후방 가장자리 즉 인쇄회기판(130) 후면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지패턴(139)은 금속시트(160)에 접속되어, 정전기는 접지패턴(139)을 통해 금속시트(160)로 유입될 수 있게 됨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결함이 완화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improve the discharge characteristic of the ground pattern 139, the intraoral sensor 100 may be provided with a metal sheet 160 which contacts the ground pattern 139. [ 8, the metal sheet 160 surrounds both the front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nsor assembly 105 and particularly covers the rear edge of the sensor assembly 105, that is, the rear edg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 Accordingly, the ground pattern 139 is connected to the metal sheet 160, so that the static electricity can flow into the metal sheet 160 through the ground pattern 139,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alleviate defects due to static electricity.

금속시트(160)는 방사선 투과특성을 갖는 금속물질로 형성되는데, 일예로 Au, Al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금속시트(160)와 결합된 상태의 센서 어셈블리(105)는 제1케이스(170) 내부에 수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etal sheet 16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radiation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such as Au or 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nsor assembly 105 coupled with the metal sheet 160 may be configured to be housed in the first case 170. [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패널(11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인쇄회로기판(130)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이와 다른 예로서, 센서패널(110)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패널 연결 패드부(131)와, 도전 배선 패턴부(133)와, 입출력 패드부(135)를 갖고 금속박막(137)이 구비되지 않은 형태의 인쇄회로기판(130)이 사용될 수도 있다. 참고로, 이 같은 본 실시예의 인쇄회로기판(130)의 두께는 150~400um, 바람직하게는 200~350um의 두께를 나타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rinted circuit board 130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ensor panel 110 is used. As another example, the metal thin film 137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sensor panel 110 and substantially having the panel connecting pad portion 131, the conductive wiring pattern portion 133, and the input / output pad portion 135 A printed circuit board 130 of a non-provided type may be used. For reference, the thicknes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of this embodiment may show a thickness of 150 to 400um, preferably 200 to 350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탄성조절부재(120)에 대해 도 9를 더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탄성조절부재(120)는 일례로 센서패널(110)과 인쇄회로기판(130) 사이에 위치하고, 센서패널(1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센서패널(110) 후방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조절부재(120)는 센서패널(110) 또는 인쇄회로기판(130) 이상의 탄성도를 나타내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탄성조절부재(120)는 센서패널(110)과 인쇄회로기판(130)의 휘어짐 정도 즉, 센서패널(110)과 인쇄회로기판(130)의 탄성도를 자신의 휘어짐 정도 이하 즉, 탄성조절부재(120)의 탄성도 이상으로 조절하여 탄성조절부재(120)의 탄성한도 내에서 센서 어셈블리(105)가 벤더블 특성과 복원력을 갖도록 하는 동시에, 센서 어셈블리(105)의 휘어짐에 대해 센서패널(110)의 취성을 완화시켜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elastic regulating member 120 is preferably disposed between the sensor panel 11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and is formed to cover the entire rear of the sensor panel 110 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nsor panel 110 .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howing elasticity of more than the sensor panel 110 or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adjusts the degree of warpage of the sensor panel 11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that is, the degree of elasticity of the sensor panel 11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is controlled to be greater than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so that the sensor assembly 105 has the ben double characteristic and the restoring force within the elastic limit of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Thereby mitigating the brittleness of the panel 110 and protecting it.

즉, 사이즈나 두께 등에 따라 각각의 탄성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임의로 센서패널(110)의 탄성도를 제1탄성도, 인쇄회로기판(130)의 탄성도를 제2탄성도라 가정하면, 센서패널(110)이 도 5의 구조 및 두께를 나타내는 것을 전제로 제1탄성도는 통상 제2탄성도 이상이다. 그리고, 탄성조절부재(120)는 제1탄성도 이상의 제3탄성도를 나타내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는바, 이로써 센서패널(110)과 인쇄회로기판(130)의 탄성도를 제3탄성도 이상으로 조절하여 센서 어셈블리(105)가 탄성조절부재(120)의 탄성한계 내에서 휘어짐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탄성조절부재(120)의 탄성도에 의해 탄성조절부재(120)의 탄성한계 내에서 인트라오랄 센서(100)가 휘어진 후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 형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In other words, if the elasticity of the sensor panel 110 is assumed to be the first elasticity and the elasticity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is assumed to be the second elasticity, if the elasticity of the sensor panel 110 is arbitrarily set, Assuming that the sensor panel 110 exhibits the structure and thickness of Fig. 5, the first elasticity is usually the second elasticity or more. The elasticity regulating member 12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exhibiting a third elasticity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irst elasticity so that the elasticity of the sensor panel 11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is higher than the elasticity of the third elasticit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regulating member 120 allows the sensor assembly 105 to be bent within the elastic limit of the elastic regulating member 120 while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regulating member 120 allows the sensor assembly 105 to flex within the elastic limit of the elastic regulating member 120, (100) is bent and then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when an external force is removed.

이를 위해 탄성조절부재(120)는 수지재질, 특히 2종류 이상의 소재가 조합된 복합재료의 수지재질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강화재와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수지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in particular, a composite material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of materials, preferably a composite resin material including a reinforcement material and a resin.

더 나아가, 탄성조절부재(120)는 평면적으로 볼 때 제1방향의 휨 특성과 이와 수직한 제2방향의 휨 특성이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ending characteristic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bending characteristic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viewed from the top.

이와 관련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센서 어셈블리(105)가 평면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의 길이가 이와 수직한 y축 방향의 길이 보다 긴 장방형 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 때, 탄성조절부재(120)는 장축 방향인 x축 방향의 휨 특성이 단축 방향인 y축 방향의 휨 특성 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센서 어셈블리(105)가 실질적으로 정방형의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도, x축과 y축 방향의 휨 특성이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nsor assembly 105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the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being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120) is preferably configured so that the flexural characteristic in the x-axis direction, which is the major axis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flexural characteristic in the y axis direction, which is the minor axis direction.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sensor assembly 105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deflection characteristics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와 같은 휨 특성에 따라, 센서 어셈블리(105)는 단축 방향에 비해 장축 방향으로 더욱 잘 휘게 되어, 센서 어셈블리(105)를 사용한 구강 내 촬영 시 환자의 불편감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such a bending characteristic, the sensor assembly 105 is more warped in the long axis direction than the short axis direction, and the patient's discomfort during the oral cavity photographing using the sensor assembly 105 can be effectively mitigated.

이와 관련하여, 구강 내 촬영 시에는, 센서 어셈블리(105)의 모서리 부분에 의해 환자의 불편감이 유발되며, 특히 장축 방향의 끝단 부분이 환자의 불편감 유발에 매우 큰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바, 센서 어셈블리(105)에 휨 특성, 특히 장축 방향에 보다 큰 휨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을 상당한 정도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is regard,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in the oral cavity, the edge portion of the sensor assembly 105 causes the patient's discomfort, and particularly, the end portion in the long axis direction has a great effect on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Thus, by giving the sensor assembly 105 a flexural characteristic, particularly a greater flexural characteristic in the long axis direction, the discomfort felt by the patient can be alleviated to a considerable extent.

또한, 탄성조절부재(120)는 장축 방향인 x축 방향의 휨 특성이 단축 방향인 y축 방향의 휨 특성 보다 크므로 비틀림 응력을 x, y축 방향으로 분산시키되 그 대부분을 x축 방향으로 전환시켜 센서패널(110), 특히 기판(11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elastic regulating member 120 has a larger bending property in the x-axis direction than the y-axis direction, which is the minor axis direction, the torsional stress is dispersed in the x- and y-axis directions, Thereby preventing the sensor panel 110, particularly the substrate 115, from being damaged.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상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휨 특성을 갖는 탄성조절부재(120)는, 복합재료의 수지재질로서 예를 들면, 섬유강화재를 포함하는 FRP(fiber reinforced polym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FRP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에폭시, 페놀, 폴리이미드 등의 열경화성 수지나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ABS, PBT, PP, SAN 등의 열가소성 수지 기재에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붕소 섬유 등의 무기계 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케블라(Keblar) 섬유 등의 유기계 섬유가 강화재로 포함된 물질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regulating member 120 having different flexural characteristics along the plane direction may be made of FRP (fiber reinforced polymer) including a fiber reinforced material as a resin material of the composite material. FRP is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thermosetting resin such as unsaturated polyester, epoxy, phenol, and polyimide, inorganic fiber such as glass fiber, carbon fiber and boron fiber, or aramid fiber such as polyamide, polycarbonate, ABS, PBT, Fiber, polyester fiber, Keblar fiber, and the like.

이와 같은 탄성조절부재(120)와 관련하여 도 10을 더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도 9의 "A" 부분에 대응되는 탄성조절부재(120) 부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탄성조절부재(120)의 단면이 도시된다.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portion of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A" of Fig. 9,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is shown.

도 10을 더 참조하면, 탄성조절부재(120)에는 제1방향 즉 x 방향을 따라 제1원사(FT1)가 배열된 제1원사층(121)과, 제2방향 즉 y 방향을 따라 제2원사(FT2)가 배열된 제2원사층(122)이 각각 수지기재에 함침된 상태로 두께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및 제2원사(FT1, FT2)는 전술한 섬유를 결집하여 일방향으로 엮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게 된다. 10, the elastic regulating member 120 is provided with a first yarn layer 121 on which a first yarn FT1 i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an x direction, and a second yarn layer 121 on the second yarn layer 121 along a y- And the second yarn layer 122 in which the yarn FT2 is arranged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impregnated in the resin base material. Here, the first and second yarns FT1 and FT2 can be formed by assembling the above-described fibers and knitting them in one direction.

특히, 도 10에서는 x축 즉 장축 방향으로 제1원사(FT1)가 배열된 제1원사층(121)의 수가, y축 즉 단축 방향으로 제2원사(FT2)가 배열된 제2원사층(122)의 수에 비해 적게 형성되는데,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원사층(121)은 1개, 제2원사층(122)은 2개가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리고 제1및 제2원사(FT1, FT2)는 카본재질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부재(120)는 CFR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the number of the first yarn layers 121 in which the first yarn FT1 is arranged in the x-axis, that is, in the major axis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second yarn layers FT2 arranged in the y- 122, the number of the first yarn layer 121 is two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yarn layer 122 is two in FIG. 1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yarns FT1 and FT2 are carbon materials, and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CFRP.

이와 같이, 장축 방향의 제1원사층(121)이 단축 방향의 제2원사층(122)에 비해 적은 수로 형성됨으로써, 장축 방향이 상대적으로 낮은 탄성도 즉 높은 휨 특성을 갖게 되고 단축 방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도 즉 낮은 휨 특성을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yarn layer 121 in the long axis direction is formed in a smaller number than the second yarn layer 122 in the uniaxial direction, the long axis direction has a relatively low elasticity, that is, a high bending property, So that it has a high elasticity, that is, a low bending property.

여기서, 장축 방향의 탄성도와 단축 방향의 탄성도의 비는 대략 1:1.5~1:6 정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조절부재(120)는 대략 100~400um, 바람직하게는 150~300u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ratio of elasticity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o elasticity in the minor axis direction may be about 1: 1.5 to 1: 6.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is preferably formed to a thickness of about 100 to 400 袖 m, preferably 150 to 300 袖 m.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원사 배열 방향이 서로 교차하는 원사층(121, 122)의 적층수를 달리함으로써, 장축 방향이 단축 방향에 비해 높은 휨 특성을 갖는 탄성조절부재(12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By varying the number of layers of the yarn layers 121 and 122 whose yarn arranging directions cross each other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having a higher warping characteristic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han in the minor axis direction .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부재(120)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도 10과는 다른 구조의 탄성조절부재(120)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제1방향 즉 x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원사(FT1)와 제2방향, 즉 y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원사(FT2)가 교차된 상태로 수지기재에 함침되어 있고, 특히 x축 즉 장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1원사(FT1)의 밀도(즉, 이격 간격)가 y축 즉 단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2원사(FT2)의 밀도(즉, 이격 간격)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및 제2원사(FT1, FT2)는 카본재질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부재(120)는 CFR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having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FIG. Referring to FIG. 1, a first yarn FT1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an x direction, and a second yarn FT2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a y direction, In particular, the density (i.e., spacing distance) of the first yarns FT1 arranged in the x axis, i.e., the major axis direction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density (i.e., spacing distance) of the second yarns FT2 arranged in the y axis, hav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yarns FT1 and FT2 are carbon materials, and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CFRP.

이와 같이, 장축 방향을 향하는 제1원사(FT1)의 밀도가 단축 방향을 향하는 제2원사(FT2)의 밀도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장축 방향이 상대적으로 낮은 탄성도 즉 높은 휨 특성을 갖게 되고 단축 방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도 즉 낮은 휨 특성을 갖게 된다.Thus, the density of the first yarn FT1 directed toward the major axis direction is made lower than the density of the second yarn FT2 directed toward the minor axis direction, so that the major axis direction has a relatively low elasticity, that is, a high bending property, Has a relatively high elasticity, that is, a low bending property.

여기서, 앞서와 마찬가지로 장축 방향의 탄성도와 단축 방향의 탄성도의 비는 대략 1:1.5~1:6 정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조절부재(120)는 대략 100~400um, 바람직하게는 150~300u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s described above, the ratio of the elasticity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o the minor axis direction may be about 1: 1.5 to 1: 6.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is preferably formed to a thickness of about 100 to 400 袖 m, preferably 150 to 300 袖 m.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서로 교차하는 제 1 및 제 2 원사(FT1, FT2)의 밀도를 달리하여 장축 방향이 단축 방향에 비해 높은 휨 특성을 갖는 탄성조절부재(12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e elastic regulating member 120 having a higher flexural characteristic than the minor axis direction can be realized by varying the dens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yarns FT1 and FT2 crossing each other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조절부재(120)는 그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센서패널(110) 및 인쇄회로기판(130) 각각과 접착제(161, 162)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탄성조절부재(120)와 센서패널(110) 사이의 접착제(161)는 제1접착제(161), 탄성조절부재(120)와 인쇄회로기판(130) 사이의 접착제(162)는 제2접착제(162)라고 한다. 5,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may be coupled to the sensor panel 11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through the adhesives 161 and 162, respectively . The adhesive 161 between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and the sensor panel 110 is bonded to the first adhesive 161 and the adhesive agent 162 between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Is referred to as a second adhesive 162.

제1 및 2접착제(161, 162)로는 연성이 우수한 접착제로서, 예를 들면, OCA(optically clear adhesive)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s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161 and 162, for example, OCA (optically clear adhesive) may be used as an adhesive excellent in ductilit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처럼 연성이 우수한 제1 및 2접착제(161, 162)를 사용함으로써 인트라오랄 센서(100)가 휘어질 때 발생하는 층간 응력이 효과적으로 완화될 수 있다.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161 and 162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the interlayer stress generated when the intraoral sensor 100 is bent can be effectively mitigated.

이와 관련하여, 센서패널(110), 탄성조절부재(120), 인쇄회로기판(130)은 서로 이종 특성을 갖는 별개의 구성들로서, 특히 인장(tensile) 특성이 서로 상이하다. 이에 따라, 인트라오랄 센서(100)가 휘는 경우에, 위와 같은 이종 구성들 사이에는 변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장 응력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이종 구성들 사이에 연성의 접착제(161, 162)를 사용함으로써, 인장 응력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is regard, the sensor panel 110,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are different component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each other, and in particular, have different tensile characteristics. Accordingly, when the intraoral sensor 100 is bent, a displacement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above-described heterogeneous structures, and thus a tensile stress is generated. In such a case, by using the soft adhesives 161 and 162 between the different configurations, the tensile stress can be effectively mitigated.

한편, 여러 가지 제반 특성을 고려할 때, 제 1 및 제 2 접착제(161,162)는 OCA 필름을 예로 들면 대략 30um~150um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consideration of various characteristics,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s 161 and 162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about 30 to 150 袖 m, for example, an OCA film.

한편, 본 실시예의 센서 어셈블리(105)에는, 센서패널(110) 후방 측에 배치되어, 센서패널(110) 후방 측에서 X선이 반사되어 센서패널(110)로 입사되는 소위 백 스캐터링(back scattering)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X선 반사방지막이 구성될 수 있다.In the sensor assembly 105 of the present embodiment, a so-called back scattering (back) sensor, which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ensor panel 110 and is incident on the sensor panel 110 by reflecting X- an X-ray antireflection film for improving the scattering phenomenon can be constructed.

이와 관련하여 도 12 및 13을 참조할 수 있는데,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05)에 구성된 X선 반사 방지막의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2 and 13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examples of the X-ray anti-reflection film configured in the sensor assembly 10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서는 X선 반사방지막(165a)이 인쇄회로기판(130)의 일면으로서 전방면에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3에서는 X선 반사방지막(165b)이 탄성조절부재(120)를 대신하여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12 shows a case where the X-ray antireflection film 165a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as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In FIG. 13, the X-ray antireflection film 165b is used instead of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12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X선 반사방지막(165a, 165b)은 조사된 X선 중 센서패널(110)을 통과한 X선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져, 이 X선이 센서패널(110)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센서패널(110) 후방에서 반사된 X선에 의해 X선 영상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반사방지막(165a, 165b)로서는 X선을 흡수하는 물질로서, 예를 들면, W, Ti 등의 원자번호가 높은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X-ray antireflection films 165a and 165b absorb X-ray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sensor panel 110 among the irradiated X-rays and prevent the X-rays from entering the sensor panel 11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X-ray image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the X-rays reflected at the back of the sensor panel 110. The antireflection films 165a and 165b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atomic number such as W and Ti as a substance absorbing X ray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12 및 13에 도시된 반사방지막(165a, 165b)의 위치는 일예로서, 센서패널(110) 후방의 어느 위치에나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s of the anti-reflection films 165a and 165b shown in FIGS. 12 and 13 may be formed at any position behind the sensor panel 110 as an example.

이하, 도 14를 더 참조하여 제1케이스(17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케이스(17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Hereinafter, the first case 17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case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더 참조하면, 센서패널(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케이스(170)는 후방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X선을 투과하는 윈도우 커버(window cover)의 역할을 한다. 제1케이스(170)의 바닥면 상의 내부 공간에는 센서 어셈블리(105)가 수납될 수 있다. 14, the first case 170 located in front of the sensor panel 110 is formed as a box with the rear open, and serves as a window cover that transmits X-rays. The sensor assembly 105 may be housed in the inner spac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se 170.

제1케이스(170)는 센서 어셈블리(105)와 방사선 투과성의 접착제(113)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제(113)로서, 예를 들면, OCA나 폼 테이프(foam tape)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first case 17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radiation-sensitive adhesive 113 and the sensor assembly 105. Here, as the adhesive 113, for example, OCA or foam tape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케이스(170)는 센서 어셈블리(105)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특히 센서패널(110)의 전방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case 1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tects the sensor assembly 105 from the outside, and in particular, can protect the front of the sensor panel 110.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케이스(170)는 그 재질/형상 등의 물리적 구조에 따라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전체적인 벤더블 특성을 정의하고 제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first case 17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nd limits the overall Ben Double characteristics of the intraoral sensor 100 according to the physical structure such as the material / shape thereof.

이와 관련하여, 제1케이스(170)는 휨 특성을 가지면서도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케이스(170)는 수지재질, 플렉서블 유리(flexible glass) 재질이나, FRP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제1케이스(170)는 대략 0.1mm~0.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is regard, the first case 17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rigidity while having a bending property. For example, the first case 170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a flexible glass material, or an FRP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case 170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0.1 mm to 0.5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은 재질로 제1케이스(170)를 형성함에 따라, 센서 어셈블리(105)는 제1케이스(170)의 벤더블 특성 이내로 그 휨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센서 어셈블리(105)가 과도하게 휘어짐으로써 주요 구성인 센서패널(110)이 파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휘게 되는바, 영상의 왜곡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By forming the first case 170 with such a material, the warpage of the sensor assembly 105 can be restricted within the Ben double characteristic of the first case 170. As a result, the sensor assembly 105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by the excessive bending of the sensor assembly 105. Since the intraoral sensor 100 warps within a limited range, the distortion of the image can be minimized.

이와 같은 제1케이스(170)는 기저부(171)와 기저부(171)의 가장자리 측변에서 후방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의 측벽(17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ase 170 may include a side wall 173 protruding from the side edge of the base 171 and extending in the backward direction.

여기서, 기저부(171)는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측벽(173)은, 기저부(171)의 모서리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 이웃하는 가장자리 측변의 측벽들(173)은 모서리 부분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 즉 이웃하는 측벽(173) 사이에는 틈새공간(179)이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base portion 171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nar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wall 173 is not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71. That is, the sidewalls 173 adjacent to each other may not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corner portions, bu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between the neighboring sidewalls 173.

이처럼, 측벽(173)이 가장자리 측변 전체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측변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틈새공간(179)이 마련됨으로써, 인트라오랄 센서(100)가 휘는 경우에 제1케이스(170)의 모서리 부분에서 유발되는 구조적인 저항력을 줄이고 해당 부분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제1케이스(17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since the side wall 173 is not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entire side edge, and a gap space 179 is provided at an edge portion where side edges mee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ructural resistance caused at the corner portion and to prevent the first case 170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stress concentrated at the corresponding portion.

한편, 측벽(173)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홈(175)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ide wall 173 may be formed with a groove 175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장방 형상의 제1케이스(170)에 있어 장축 방향인 x 방향을 따라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벽(173)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홈(175)이 구성되는데, 특히 이와 같은 홈(175)은 해당 측벽(173)의 중심에서 양단 방향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in the first case 170 as a whole, grooves 175 are formed in the two sidewalls 173 facing each other, which are located along the x direction in the long axis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grooves 175 is narrower toward the both ends from the center of the corresponding side wall 173.

이와 같이 홈(175)을 구성하게 되면,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위치에 따라 휘는 정도가 변화하게 된다. 즉, 홈(175)의 간격이 좁을수록 해당 부분은 더 휘게 되고, 홈(175)의 간격이 넓을수록 해당 부분은 덜 휘게 된다. When the grooves 175 are formed in this way, the degree of warping changes with respect to the x-axis direction. That i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grooves 175 is narrower, the corresponding portion is further bent, an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grooves 175 is wider, the portion is less bent.

이로 인해, 제1케이스(170)는 x축 방향에 있어 중심으로부터 양단으로 갈수록 휨 정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갖게 되며, 이와 같은 휨 특성이 인트라오랄 센서(100)에 부여된다.As a result, the first case 170 has a property of increasing the degree of bending from the center to both ends in the x-axis direction, and such a bending characteristic is imparted to the intraoral sensor 100.

이처럼, 위치에 따라 휨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구강 내 촬영시 환자의 불편감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Thus, by adjusting the bending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position,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relieve the patient's discomfort during the oral cavity photographing.

즉, 구강 내 촬영 시에는,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중심 부분에 비해 양단 부분이 구강 내 조직과 대부분 접촉하여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바, 양단 부분이 보다 더 잘 휘는 특성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불편감을 더욱 더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심 부분으로 갈수록 보다 덜 휘는 특성을 갖게 되는바, 전체적으로 볼 때 휨에 의한 영상 왜곡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at the time of imaging in the oral cavity, the both end portions of the intraoral sensor 100 mostly come in contact with the tissue in the mouth, resulting in pain. By configuring such a bar so that the both end portions have better warping characteristics, the patient's discomfort can be further alleviated. In addition, since it has less bending characteristics toward the central portion, the image distortion due to bending can be minimized as a whole.

한편, 전술한 바에서는 장축 방향의 측벽(173)에 홈(175)이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필요에 따라 단축 방향의 측벽(173)에도 홈(175)이 형성되고 홈(175)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Although the grooves 175 are formed in the side wall 173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grooves 175 may be formed in the minor axis side wall 173, Can be adjusted.

측벽(173)에 형성된 홈(175)은 측벽(173)의 상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홈(175)은, 상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실질적으로 일정한 제1폭(w1)을 갖는 제1홈부(175a)와, 제1홈부(175a)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2홈부(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홈부(175b)의 적어도 일부는 제1홈부(175a)의 제1폭(w1)에 비해 넓은 제2폭(w2)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groove 175 formed in the side wall 173 has a sha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73. The groove 175 may include a first groove portion 175a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and having a substantially constant first width w1 and a second groove portion 125b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groove portion 175a. ). Here,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175b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econd width w2 which is wider than the first width w1 of the first groove portion 175a.

이와 같은 제2홈부(175b)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홈부(175b)가 둥근 원의 형태를 갖는 경우를 예로 든다. The second groove portion 175b may have various shape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where the second groove portion 175b has a circular round shape is taken as an example.

이처럼, 측벽(173)의 제2홈부(175b)를 상대적으로 넓은 폭(w2)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인트라오랄 센서(100)가 휘는 경우에 측벽(173)의 홈(175)의 하단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인트라오랄 센서(100)가 휘는 경우에 홈(175)이 보다 더 벌어질 수 있게 되어 휨 특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groove portion 175b of the side wall 173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wide width w2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groove 175 of the side wall 173 is damaged when the intra- In addition, when the intraoral sensor 100 is bent, the groove 175 can be further expanded, and the bending property can be improved.

한편, 도면과 달리 홈(175)은 기저부(171)의 일부까지 연장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그 작용은 동일하다. 아울러, 필요하다면 기저부(171)의 내외면 중 적어도 하나, 즉 센서 패널(110)이 접하는 면과 그 반대측 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복수의 추가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 역시 중앙부분에서 양단 방향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추가홈은 기저부(171)을 관통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특히 기저부(171)의 내면에 형성되는 경우 기저부(171)의 두께 이하의 깊이를 나타내면서 기저부(171)의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일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figure, the groove 175 can extend to a part of the base 171, and the action is the same in this case. If necessary, at least one of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base 171, that is, at least one of the surface contacting the sensor panel 110 and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ensor panel 1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additional groove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raoral sensor 100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ral portion to the both ends can be narrowed. In this case, the additional groove does not have to pass through the base portion 171. In particular, when the base portion 17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71, the additional groove has a depth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base portion 171, Or may have a tapered shape with a wider width.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배면 지지부(180)는 센서 어셈블리(105)의 후방에 위치하고, 구강 내 X선 촬영시 인트라오랄 센서(100)를 지지하는 그립 포스트로 기능하여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되거나 XCP(extension cone paralleling) 등의 기구물에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S. 1-4, the backside support 18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ositioned behind the sensor assembly 105 and functions as a grip post that supports the intraoral sensor 100 during intraoral X-ray imaging, It can be contacted with a finger or connected to a device such as extension cone paralleling (XCP).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지지부(180)는 몸체(181)와, 몸체(181) 하부에 위치하며 몸체(181)와 연결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판 형상의 밀착단(183)과, 몸체(181)의 일측에서 밀착단(183)까지 배면 지지부(180)를 관통하는 인입구(18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면 지지부(180)는 강도가 높은 PC, ABS 등의 수지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4, the rear supporting portion 180 includes a body 181, a plate-like tightening end 183 located under the body 181 and connected to the body 181 and extending outward, And an inlet 185 through the backside support 180 from one side of the base 181 to the proximal end 183. The backside support unit 180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such as PC or ABS having high strength,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몸체(181)는 상부(181a)와, 그 아래에 위치하며 내측으로 요입된 하부(181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181a)의 폭이 하부(181b)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어 배면 지지부(180)의 측면은 단차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body 181 may include an upper portion 181a and a lower portion 181b recessed inwardly of the upper portion 181a.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181a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portion 181b, 180 may have a stepped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밀착단(183)은 몸체(181)의 하부(181b)와 연결되며, 센서 어셈블리(105)의 중심 부분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경우에 따라 중심 부분에서 벗어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밀착단(183)의 전면은 센서 어셈블리(105)의 배면에 밀착되어 센서 어셈블리(105)의 후방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밀착단(183)에 의해 지지되는 센서 어셈블리(105)의 중앙 부분의 휨 정도가 다른 부분, 특히 장축 방향의 양단 부분 보다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밀착단(183)은 센서 어셈블리(105)의 배면에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되거나, 결합홀을 밀착단(183)과 센서 어셈블리(105)의 배면(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130))에 형성하고 이 결합홀에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다. The contact end 183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181b of the body 181 and can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sensor assembly 105. The contact end 183 is not limited thereto, You may. The front surface of the tight contact end 18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ensor assembly 105 to support the rear of the sensor assembly 105. Thus,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nsor assembly 105 supported by the tight contact end 183 can be restricted more than other portions, particularly, both end portions in the major axis direction. Such a tight contact end 183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nsor assembly 105 through a coupling member such as an adhesive or a coupling hole formed between the close contact end 183 and the sensor assembly 105, (For example,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and inserting a fastening member into the fastening hole.

그 결과 밀착단(183)에 대응되는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중심 부분은 덜 휘어지고 그 주변 부분은 상대적으로 더 휘는 특성을 갖게 되어, 환자의 불편감이 완화되고 영상 왜곡 또한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배면 지지부(180)는 그 배치위치를 통해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휘어짐 정도를 제한하고 또한 위치에 따라 휘어짐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traoral sensor 100 corresponding to the closely adhered end 183 is less bent and the peripheral portion thereof has a relatively more warped characteristic, so that the patient's discomfort can be alleviated and the image distortion can be minimized do. As described above,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intraoral sensor 100 can be limited through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backside support unit 180, and the degree of bending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sition.

인입구(185)에는 전송 케이블(210)이 삽입된다. 인입구(185)의 일단은 몸체(181)의 일측에 위치하고, 인입구(185)의 타단은 밀착단(183)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입구(185)의 타단은 입출력 패드부(135)에 대응하여 위치하게 된다. A transmission cable 210 is inserted into the inlet 185. One end of the inlet 185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body 181 and the other end of the inlet 185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close end 183. Here, the other end of the inlet 185 corresponds to the input / output pad 135.

인입구(185)에 삽입된 전송 케이블(210)은, 인입구(185)의 타단에서 입출력 패드부(1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cable 210 inserted into the inlet 18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pad 135 at the other end of the inlet 185.

전송 케이블(210)과 입출력 패드부(135)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ng Film, ACF),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솔더링(solderin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Anisotropic Conducting Film (ACF), wire bonding, soldering, or the like may be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cable 210 and the input / output pad portion 135.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밀착단(183)은 센서 어셈블리(105)의 배면에 밀착되어 그 후방을 지지하게 되는바, 전송 케이블(210)과 센서 어셈블리(105) 사이의 전기적 접속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lose contact end 183 closely contacts the rear surface of the sensor assembly 105 to support the rear side of the sensor assembly 105,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cable 210 and the sensor assembly 105 can be stably performed .

한편, 배면 지지부(180)는 전술한 바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연통하는 내부 공간(S)이 정의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배면 지지부(180)는 내부 공간(S)을 정의하는 덮개부(182) 및 측벽부(184)와, 측벽부(184)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밀착단(186)을 포함하여, 하방으로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면 지지부(180)의 적어도 일측은 외측과 연통하는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일측을 통해 전송 케이블(210)은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공간(S)은 전송 케이블(210)과 입출력 패드부(131)의 연결 후 절연물질이 충진되어 전송 케이블(210)과 입출력 패드부(131)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동시에 배면 지지부(180)를 센서 어셈블리(105)에 고정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backside support 180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from that described above. In this regar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an internal space S communicating downwardly is formed in a defined shape . That is, the backside support 180 includes a lid 182 and a side wall 184 defining an interior space S and a tight end 186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ide wall 184 And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opened downward. At least one side of the backside support part 180 may be formed in an open form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the transmission cable 210 may be configured to be pulled out to the outside through one opened side. The inner space S is fill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after the transmission cable 210 and the input / output pad portion 131 are connected to protec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cable 210 and the input / output pad portion 131, Can be fixed to the sensor assembly 105.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로서, 센서패널(110)과 그 전방의 제1케이스(170) 그리고 센서패널(110) 후방의 배면 지지부(180)는 서로 결합되어 모듈화된다. 이들 구성들의 결합을 보다 더 견고하게 하기 위해, 제2케이스(200)가 사용될 수 있다. 제2케이스(200)는 몰드 케이스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케이스(200)는 제1케이스(170)의 전면 및 외측면과, 센서 어셈블리(105)의 배면과, 밀착단(183)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200)는 밀착단(183)의 배면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를 가져 하부(181b) 측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면 지지부(180)의 하부(181b) 일부를 제외한 부분은 노출되도록 제2케이스(2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5의 배면 지지부(180)의 경우 제2케이스(200)는 밀착단(186)의 일부 또는 전부와 필요하다면 측벽부(184)의 일부를 덮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nsor panel 110, the first case 170 in front of the sensor panel 110, and the backside support unit 180 at the back of the sensor panel 11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be modularized. In order to make the combination of these configurations more robust, the second case 200 can be used. The second case 200 may be a molded case. 4, the second case 200 may be formed to cover a front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ase 170, a rear surface of the sensor assembly 105, and a part or all of the close end 183 have. The second case 200 preferably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lose end 183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bottom 181b. That is, the second case 200 may be form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supporting portion 180 except for a part of the lower portion 181b is exposed. 15, the second case 200 may cover a part or all of the fastening end 186 and a part of the side wall part 184 if necessary.

제2케이스(200)는, 예를 들면,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히, 제한된 범위에서 휘어지는 특성을 고려하여, 제2케이스(200)를 구성하는 재질로서 쇼어 경도(shore hardness)가 대략 D 10~20인 물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second case 200 is preferably made of,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bending in a limited range, it is preferable that a material having a shore hardness of approximately D 10 to 20 is used as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case 2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제2케이스(200)를 구비함으로써, 센서 어셈블리(105)와 제1케이스(170)와 배면 지지부(180)를 보다 더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센서 어셈블리(105)과 전송 케이블(210) 간의 전기적 접속은 보다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제한된 범위 내에서 휘어지는 특성을 갖는 재질로 제2케이스(200)를 형성하게 되면,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전체적인 휘어짐 정도를 목적에 따라 제한할 수 있게 된다.The sensor assembly 105 and the first case 170 and the backside support 180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ensor assembly 105 and the transmission cable 210 can be more stably fixed. When the second case 20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bending characteristic within a limited range, the overall degree of bending of the intraoral sensor 100 can be limited depending on the purpose.

한편, 다른 예로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케이스(200)는 제1케이스(170) 전체를 감싸면서 센서 어셈블리(105)의 배면 가장자리를 덮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케이스(200)는 실리콘 등의 연질재질로서 쇼어 경도가 대략 A 30~50인 물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2케이스(200)는 금속시트(도 8의 160 참조)를 덮는 정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6, the second case 200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sensor assembly 105 while covering the entire first case 17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ase 200 is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e and has a shore hardness of about A 30 to 50. However, the second case 200 is not limited to the metal sheet 160 of FIG. 8).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위와 같이 제2케이스(200)가 적용된 인트라오랄 센서(100)에 대해 몰딩 방법 등을 적용하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가 하우징(190)으로 덮여진 인트라오랄 센서(100)가 제작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2, the intraoral sensor 100, which is covered with the housing 190, is applied to the intraoral sensor 100 to which the second case 200 is applied, .

하우징(190)은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외부를 둘러싸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190)은, 제2케이스(200)를 모두 덮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우징(190)은 제1케이스(170) 외부와, 센서 어셈블리(110) 후방을 모두 감싸게 구성되며, 필요하다면 배면 지지부(180)를 함께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housing 190 surrounds and protects the outside of the intraoral sensor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housing 190 is configured so as to cover all of the second case 200. Accordingly, the housing 190 is configured to enclose both the outside of the first case 170 and the rear of the sensor assembly 110, and may be configured to wrap the backside support 180 together if necessary.

하우징(190)은 배면 지지부(180)의 인입구(185)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9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지지부(180)의 일측에 위치하는 인입구(185)의 일단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90)은 인입구(185)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전송 케이블(210)에 대해, 인입구(185) 일단에서 일정 길이까지의 전송 케이블(210)의 일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90)은, 전송 케이블(210)을 감싸는 연장부(19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190 may be configured to fill at least a portion of the inlet 185 of the back support 180. For example, the housing 190 may be configured to cover one end of the inlet 185 located at one side of the backside support portion 180, as shown in Fig. The housing 190 may also be configured to extend over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able 210 to a certain length at one end of the inlet 185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cable 210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inlet 185 . That is, the housing 190 may include an extension 191 that surrounds the transmission cable 210.

인입구(185)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전송 케이블(210)의 일부가 하우징(190)과 동종 계열의 수지 물질로 이루어진 피복으로 덮힐 경우, 이 피복은 연장부(191)에 의해 둘러싸여질 수 있게 된다. 피복은 전송 케이블(210)과 센서 어셈블리(105)의 접속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송 케이블(210) 중 센서 어셈블리(105)의 접속부분으로부터 인입구(185)를 지나는 전송 케이블(210)의 일부 길이는 피복으로 덮힐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송 케이블(210)은 그 전부가 피복으로 둘러싸여지는 것도 가능하다. When a part of the transmission cable 210 extending outward from the inlet 185 is covered with a covering made of a resin material of the same kind as the housing 190, the covering can be surrounded by the extension 191. The cover may be formed to exten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able 210 and the sensor assembly 105. That is, a part of the transmission cable 210 from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ensor assembly 105 through the inlet 185 may be covered with a covering. Alternatively, the entire transmission cable 210 may be surrounded by a covering.

하우징(190)과 피복이 동종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는 경우에, 하우징(190)과 피복의 접합 특성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전송 케이블(210)과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접속은 더욱 안정화될 수 있다. When the housing 190 and the cover are made of the same kind of material, the joining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190 and the covering are improved, and consequent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cable 210 and the intraoral sensor 100 is more stabilized .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90)은 연질 특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이나 우레탄(uretha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하우징(190)을 구성하는 연질 재질로서 쇼어 경도(shore hardness)가 대략 A 30~50인 물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19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soft properties, for example, silicone or urethane. In particular, a material having a shore hardness of approximately A 30 to 50 is preferably used as the soft material constituting the housing 19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전술한 바와 같이 연질 특성을 갖는 하우징(190)을 사용하게 되면, 구강내 촬영시 환자가 느끼는 고통이 상당한 정도로 완화될 수 있게 된다. 즉, 구강내 조직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최외부 구성인 하우징(190)에 대해 연질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인트라오랄 센서(100)와의 접촉시 환자는 부드러운 질감을 느끼게 되어, 환자가 느끼는 고통이 효과적으로 완화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90)으로 덮어 싸여진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그 특성을 감안하여, 배면 지지부(180)를 제외하고 대략 5mm 내외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use of the housing 190 having the soft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can relieve the pain felt by the patient in the oral cavity to a considerable degree. That is, by imparting the softness characteristic to the housing 190, which is the outermost configuration of the intraoral sensor 100,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intraoral tissue, the patient feels soft texture upon contact with the intraoral sensor 100 , The pain felt by the patient can be effectively alleviated.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the intraoral sensor 100 covered with the housing 190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about 5 mm or less except for the backside support 18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그 구조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도 17 및 18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Meanwhile, the structure of the intraoral sensor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FIG.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17 and 18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raoral senso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및 18의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일부 구성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의 인트라오랄 센서와 동일 유사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동일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The intraoral sensor 100 of FIGS. 17 and 18 may include similar configurations to those of the intraoral sensor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for some configuration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se same and similar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

본 실시예의 인트라오랄 센서(200)는 센서 어셈블리(105)와 제1케이스(170)와 하우징(190)을 구비할 수 있다. The intraoral sensor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ensor assembly 105, a first case 170, and a housing 190.

더욱이,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센서 어셈블리(105) 후방의 보호커버(220)를 구비할 수 있다. 보호커버(220)는 실질적으로 평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Furthermore, the intraoral sensor 100 may include a protective cover 220 behind the sensor assembly 105. The protective cover 220 may be substantially fla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구성된 보호 커버(220)는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구성들을 후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The protective cover 220 thus configured can protect the configurations of the intraoral sensor 100 from the rear side.

또한, 보호커버(220)는 제1케이스(170)와 함께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전체적인 벤더블 특성을 정의하고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cover 220 may be configured to define and limit the overall Ben Double characteristics of the intraoral sensor 100 with the first case 170.

이를 위해, 보호커버(220)는 고강도의 재질로서, 예를 들면, 0.1mm~0.5mm 두께의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For this purpose, the protective cover 220 may be made of high strength material, for example, polycarbonate (PC) having a thickness of 0.1 mm to 0.5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보호커버(220)의 가운데 부분에는 전송 케이블(210)이 관통하는 개구부(221)가 구성될 수 있다.An opening 221 through which the transmission cable 210 passes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otective cover 220.

보호커버(220)의 개구부(221)를 통해, 전송 케이블(210)은 내부로 인입되어 센서 어셈블리(105)의 인쇄회로기판(도 7의 130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cable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221 of the protective cover 220 and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sensor assembly 105 (see 130 in FIG. 7).

한편, 보호커버(220)와 센서 어셈블리(105) 사이는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보호 커버(220)과 센서 어셈블리(105) 사이에는 이격공간(215)이 형성되며, 이격공간(215)은 개구부(221)과 연결되어 전송 케이블(210)은 개구부(221)을 통해 내부공간(215)로 인입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otective cover 220 and the sensor assembly 105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pacing 215 is formed between the protective cover 220 and the sensor assembly 105. The spacing space 215 is connected to the opening 221 so that the transmission cable 21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221, A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space 215.

이와 같은 경우에, 이격공간(215)은 충진제(230)로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충진제(230)는 개구부(221) 부분까지 충진될 수 있다.In such a case, the spacing space 215 is preferably filled with the filler 230. Further, the filler 230 can be filled up to the opening 221 portion.

충진제(230)로서는 열이나 UV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로서, 예를 들면, 에폭시(epoxy)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진제(230)는 이격공간(215)에 주입되고, 그 후에 열이나 UV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As the filler 230, for example, an epoxy resin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resin which is cured by heat or UV. Such a filler 230 may be injected into the spacing space 215 and then cured by heat or UV.

이처럼, 이격공간(215)을 충진제(230)로 충진함에 따라, 전송 케이블(210)의 전기적 접속은 보다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spacing space 215 is filled with the filler 230,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transmission cable 210 can be more stably fixed.

한편, 다른 예로서, 충진제(230) 대신에 접착제가 이격공간(215)을 채우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는 센서 어셈블리(105)와 보호커버(220)를 서로 부착시키는 구성으로서, 접착제를 통해 전송 케이블(210)은 센서 어셈블리(105)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면부호 211은 전송 케이블(210)의 일부를 감싸는 동시에 하우징(190)에 의해 그 일부 또는 전부가 감싸지는 피복을 나타내며, 이는 하우징(190)과 동일 계열의 수지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xample, instead of the filler 230, an adhesive may be used to fill the spacing space 215. Such an adhesive is configured to attach the sensor assembly 105 and the protective cover 220 to each other, and the transmission cable 210 can be stably fixed to the sensor assembly 105 through the adhesive. Reference numeral 211 denotes a cover for covering a part of the transmission cable 210 and at the same time covering part or all of the cable 210 by a housing 190. The housing 210 may be made of resin material of the same series as the housing 190.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인트라오랄 센서는 구강 내 구조물, 즉 치아 및 주변조직의 X선 촬영을 위해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구강 내 구조물의 외형 내지는 위치관계에 따라 휘어질 수 있고, 그 결과 구강 내 위치에 따라 외형면이 변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19a 및 19b를 참조할 수 있다.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 상기 구조물을 향하여 가하지는 외력과 구강 내 구조물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위치 별로 휘어짐 정도가 가변되는데,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구강 내 구조물의 위치별 배열관계에 따라 탄성한계 내에서 휘어짐 정도가 가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환자가 느낄 수 있는 이물감과 고통은 크게 경감되고, 이미지 왜곡의 가능성도 낮다.The intra-oral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for X-ray imaging of an intraoral structure, that is, teeth and surrounding tissues, And as a result, the outer surface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the oral cavity, which can be referred to Figs. 19A and 19B. The degree of warpage of the intraoral sensor 100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tructure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and a repulsive force of the intraoral structure. The intraoral sensor 100 has an arrangement The degree of warpage can be varied within the elastic limit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Therefore, the foreign body sensation and the pain that the patient can feel are greatly alleviated, and the possibility of image distortion is also low.

도 19a, 도 19b, 도 2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100)를 사용하여 구강 내 X선 촬영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도 19a와 도 19b는 각각 상악과 하악의 구강 내 X선 촬영의 경우를 나타내고, 도 20은 치근단 X선 촬영의 경우를 나타낸다. FIGS. 19A, 19B, and 20 are views showing the case of intraoral x-ray imaging using the intraoral sens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9A and 19B show the case of the in-mouth X-ray imaging of the maxilla and mandible, respectively, and FIG. 20 shows the case of the apical X-ray imagin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100)는 구강 내 X선 촬영 시 구강 내 구조물을 따라 휘어져 그 전면의 실질적인 전부가 구강 내 구조물, 예를 들면 치아(T) 및 치근(R)을 덮는 잇몸(G)을 따라 밀착된다. 이때, 인트라오럴 센서(100)의 일부는 X선 촬영위치에 따라 구강 내 구조물과 일부 이격될 수 있으나, 그 간격은 3mm 이하이다. As shown in FIG. 1, the intraoral sens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along an intraoral structure at the time of X-ray imaging of the oral cavity, and substantially all the front surface of the intraoral sensor 100 is covered with an intraoral structure such as a tooth T and a root R, And the gums G covering the gums. At this time, a part of the intraoral sensor 100 may be partially separated from the intraor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X-ray imaging position, but the interval is 3 mm or less.

따라서, 일반적인 딱딱한 재질의 인트라오럴 센서와 비교하면 X선 촬영시 촬영대상인 치근단(R) 등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될 수 있으면서도 환자의 고통을 경감할 수 있는바, 정확한 X선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compared with an intraloral sensor of a general rigid material, it is possible to arrange relatively close to the apical root (R) to be imaged during X-ray photographing, and to alleviate the suffering of the patient, so that an accurate X-ray image can be obtained.

아울러, 앞서 도 19a 및 19b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100)는 상하악 및 교합상태의 X선 촬영 시 구강 내 구조물을 따라 휘어져 그 전면의 실질적인 전부가 구강 내 구조물의 외면을 따라 밀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비록 인트라오럴 센서(100)의 전면의 일부가 구강 내 구조물로부터 이격되더라도 그 간격은 3mm 이하이다.19A and 19B, the intraloral sens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along the intraoral structure at the time of X-ray imaging of the upper and lower jaws and the occlusal state, and substantially all of the front surface of the intra- And even if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intraloral sensor 100 is separated from the intraoral structure, the interval is 3 mm or less.

따라서, 일반적인 딱딱한 재질의 인트라오럴 센서와 비교하면 촬영대상인 치아들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으면서도 환자의 고통을 경감할 수 있는바, 교합에 대해 보다 정확한 X선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compared to a general rigid-substance intraoral sensor, it is possible to arrange it close to the teeth to be imaged and alleviate the suffering of the patient, so that a more accurate X-ray image can be obtained for occlusion.

도 21과 도 2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의 휨 특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참고도 도 21과 2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의 장축방향에 대한 평면도이다. 21 and 22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bending characteristics of the intraloral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21 and 22 are plan views of the intraloral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n the major axis direction.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는 특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21과 같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며, 배면 지지부를 제외한 두께(t)는 2~8mm, 바람직하게는 3~7mm 정도를 나타낸다.As shown in FIG. 21, the intraloral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flat state as shown in FIG. 21 when no special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the thickness t of the rear support except for the back support is about 2 to 8 mm, preferably about 3 to 7 mm .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는 구강 내 X선 촬영 시 구강 내 구조물을 따라 휘어지는데, 앞서 살펴본 것처럼 인트라오럴 센서는 장축 방향을 기준으로 배면 지지부에 대응되는 중앙 영역, 즉 제 1 영역(M)의 휨 정도가 그 양단 영역, 즉 제 1 영역(M)을 제외한 제 2 영역(E) 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이때, 제 1 영역(M)이 차지하는 면적은 전체 영역 대비 30~70% 정도가 된다. The intraloral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along the intraoral structure during the intraoral X-ray imaging. As described above, the intraloral sensor has a centr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ack support portion, that is, a first region M )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both end regions, that is, the second region (E) excluding the first region (M). At this time, the area occupied by the first area M is about 30 to 70% of the entire area.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는 구강 내 X선 촬영 시 제 1 영역(M)과 제 2 영역(E)의 휘어짐 각도가 서로 다른데, 구체적인 수치는 X 선 촬영 위치, 예컨대 구강 내 구조물의 외형 내지는 위치관계 그리고 인트라 오럴 센서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구강 내 X선 촬영 시를 기준으로 할 때 제 1 영역(M)의 휨 각도 α1은 160° 이상 180° 이하, 바람직하게는 170° 이상 180°이하를 나타내고, 제 2 영역(E)의 휨 각도 α2는 110° 이상 180°이하,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180°이하를 나타낸다. Therefore, in the intraloral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s of deflection of the first region M and the second region 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uring intraoral x-ray radiography, and the specific values are X-ray photographing positions, Positional relationship and the external force exerted on the intraoral sensor. However, the bending angle? 1 of the first region M when the intraoral x-ray radiography is taken as a reference is 160 ° or more and 180 ° or less, preferably 170 ° And the bending angle alpha 2 of the second area E is not less than 110 degrees and not more than 180 degrees, preferably not less than 120 degrees and not more than 180 degree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는 구강내 구조물과의 위치관계에 따라 휘어짐 정도가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환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traaural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egree of warp va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intraoral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그리고, 본 실시예의 인트라오랄 센서는, 센서패널 전방에 이를 수납하며 휨 특성을 제한적으로 갖는 제1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트라오랄 센서는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휘어지게 되어, 영상 왜곡을 최소하면서 환자 불편감을 상당 정도 완화할 수 있는 휘어짐 가능한 X-선 인트라오랄 센서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The intralor sensor of this embodiment can use a first case that accommodates the sensor in front of the sensor panel and has a limited bending characteristic. Accordingly, the intraoral sensor is bent within a limited range, and a bendable X-ray intraoral sensor capable of minimizing image distortion and alleviating a patient's uncomfortable feeling can be realized.

더욱이, 제1케이스의 측벽에 홈을 형성하여 위치에 따라 휨 특성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구강 내 촬영 시 영상 왜곡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불편감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groove can be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first case to adjust the bending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position, thereby minimizing the image distortion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in the oral cavity and more effectively alleviating the patient's discomfort.

또한, 센서패널 후방에 배면 지지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배면 지지부에 의해 눌려지는 센서패널의 중앙 부분은 주변 부분에 비해 휨 정도가 제한됨으로써, 구강 내 촬영 시 영상 왜곡을 최소화하고 환자 불편감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 since the rear surface supporting portion can be configured behind the sensor panel,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nsor panel pressed by the rear surface supporting portion is restricted in the degree of bending as compared with the peripheral portion, thereby minimizing image distortion during the oral image taking, .

또한, 몰드 방식의 제2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인트라오랄 센서의 구성들의 결합을 보다 더 견고하게 하고, 이에 따라 전송 케이블과 인트라오랄 센서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Further, it becomes possible to use the second case of the mold type, so that the combination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intraoral sensor becomes more robust, and thu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cable and the intraoral sensor can be stably achieved.

또한, 연질 특성의 하우징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인트라오랄 센서의 외부를 덮어 씌움으로써, 구강 내 촬영시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을 상당한 정도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housing of the soft characteristic can be used,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discomfort felt by the patient when photographing in the oral cavity to a considerable degree by covering the outside of the intraoral sensor.

또한, 입출력 패드를 휨 발생시 응력이 최소화되는 인쇄회로기판의 가운데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할 수 있게 되어, 휨에 의한 입출력 패드의 결함을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pads can be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re the stress is minimized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bending, so that defects of the input / output pads due to warping can be minimized.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접지패턴을 형성하고 이와 접속하는 접지시트를 센서 어셈블리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정전기에 의한 결함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Further, it is possible to form a ground pattern at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o connect the ground sheet connected to the ground sheet to the sensor assembly, so that defects due to static electricity can be improved.

또한, 센서패널 후방 측에 X선 반사 방지막을 배치할 수 있게 되어, 백 스캐터링 현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X-ray anti-reflection film can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ensor panel, and backscattering phenomenon can be improv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휘어짐 특성을 갖는 인트라오랄 센서가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raoral sensor having a warping characteristic within a limited range capable of minimizing image distortion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thereby minimizing a patient's discomfort.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본 발명의 정신에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등가되는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invention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인트라오랄 센서 105: 센서 어셈블리
110: 센서패널 120: 탄성조절부재
130: 인쇄회로기판 135a: 입출력 패드
139: 접지패턴 160: 금속시트
165a, 165b: 반사방지막
170: 제1케이스 180: 배면 지지부
190: 하우징 200: 제2케이스
210: 전송 케이블
100: Intraoral sensor 105: Sensor assembly
110: sensor panel 120: elastic control member
130: printed circuit board 135a: input / output pad
139: ground pattern 160: metal sheet
165a, 165b: antireflection film
170: first case 180: rear support
190: housing 200: second case
210: Transmission cable

Claims (4)

구강 내 X선 촬영을 위한 인트라오럴 센서로서,
X선으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패널;
상기 센서패널의 상기 X선 입사 반대측에 배치되는 탄성조절부재;
상기 센서패널의 상기 X선 입사측을 덮는 제1케이스;
상기 센서패널과 상기 탄성조절부재를 덮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상기 센서패널을 덮는 금속 또는 복합수지재질의 시트 형태인 인트라오럴 센서.
As an intraoral sensor for intraoral x-ray imaging,
A sensor panel for generating electrical signals by X-rays;
An elastic adjustment member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X-ray incidence of the sensor panel;
A first case covering the X-ray incidence side of the sensor panel;
And a housing covering the sensor panel and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Wherein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is in the form of a sheet of metal or a composite resin covering the sensor pane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절부재를 덮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함게 덮는 인트라오럴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vering the elasticity adjusting member, wherein the housing covers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oge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덮는 배면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면 지지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인트라오럴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ack surface support portion covering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wherein the housing covers part or all of the back surface support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패널은, 두께 100㎛ 이하의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광전변환소자;
상기 광전변환소자를 덮는 형광체층을 포함하는 인트라오럴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panel includes: a semiconductor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100 占 퐉 or less;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 phosphor layer covering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KR1020170019438A 2015-08-10 2017-02-13 Intraoral sensor KR1023396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438A KR102339606B1 (en) 2015-08-10 2017-02-13 Intraoral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461A KR101748280B1 (en) 2015-08-10 2015-08-10 Intraoral sensor
KR1020170019438A KR102339606B1 (en) 2015-08-10 2017-02-13 Intraoral sens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461A Division KR101748280B1 (en) 2015-08-10 2015-08-10 Intraoral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881A true KR20170018881A (en) 2017-02-20
KR102339606B1 KR102339606B1 (en) 2021-12-16

Family

ID=7903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438A KR102339606B1 (en) 2015-08-10 2017-02-13 Intraoral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60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936A (en) * 2019-11-18 2021-05-26 (주)피코팩 Curved intraoral sensor
KR20210121761A (en) 2020-03-31 2021-10-08 신정훈 Intraoral X-ray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30072148A (en) 2021-11-17 2023-05-24 신정훈 Intraoral X-ray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821Y1 (en) * 2005-07-04 2005-09-27 주식회사바텍 Intraoral sensor
EP1699232A2 (en) * 2005-03-03 2006-09-06 E2V Technologies (UK) Limited Non-planar x-ray image sensor
US20070053498A1 (en) * 2005-09-08 2007-03-08 Schick Technologies, Inc. Flexible intra-oral x-ray imaging device
KR20100043654A (en) * 2008-10-20 2010-04-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lexible x-ray image sensor
KR20140067257A (en) * 2012-11-26 2014-06-05 한국전기연구원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x-ray detector and radiation detection with flexible x-ray detec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99232A2 (en) * 2005-03-03 2006-09-06 E2V Technologies (UK) Limited Non-planar x-ray image sensor
KR200396821Y1 (en) * 2005-07-04 2005-09-27 주식회사바텍 Intraoral sensor
US20070053498A1 (en) * 2005-09-08 2007-03-08 Schick Technologies, Inc. Flexible intra-oral x-ray imaging device
KR20100043654A (en) * 2008-10-20 2010-04-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lexible x-ray image sensor
KR101003693B1 (en) * 2008-10-20 2010-12-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lexible X-ray Image Sensor
KR20140067257A (en) * 2012-11-26 2014-06-05 한국전기연구원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x-ray detector and radiation detection with flexible x-ray detec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936A (en) * 2019-11-18 2021-05-26 (주)피코팩 Curved intraoral sensor
KR20210121761A (en) 2020-03-31 2021-10-08 신정훈 Intraoral X-ray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30072148A (en) 2021-11-17 2023-05-24 신정훈 Intraoral X-ray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606B1 (en)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93995B (en) Intraoral sensor
KR102325337B1 (en) Intraoral sensor
KR101963121B1 (en) Intraoral sensor
KR20170018881A (en) Intraoral sensor
KR102336211B1 (en) Intraoral sensor apparatus
KR101748280B1 (en) Intraoral sensor
KR102301941B1 (en) Image sensor and intraoral sensor device using the same
KR102554082B1 (en) Intraoral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traoral sensor
KR102294934B1 (en) Intraoral sensor apparatus
KR20160018136A (en) Intraoral sensor apparatus
KR102361124B1 (en) X-ray image sensor device
KR102517677B1 (en) Intraoral sensor apparatus
KR20170045562A (en) X-ray detector
KR20160014267A (en) Intraoral sensor apparatus
KR102019259B1 (en) Intraoral sensor
KR102207724B1 (en) X-ray sensor
KR20170045563A (en) X-ray detector and system of detecting bend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