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065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065A
KR20170016065A KR1020150109364A KR20150109364A KR20170016065A KR 20170016065 A KR20170016065 A KR 20170016065A KR 1020150109364 A KR1020150109364 A KR 1020150109364A KR 20150109364 A KR20150109364 A KR 20150109364A KR 20170016065 A KR20170016065 A KR 20170016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rice
cut
secondary battery
electrod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6065A/ko
Publication of KR20170016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0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01M2/34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전극 조립체의 제1 전극; 제2 전극 조립체의 제2 전극;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 및 상기 전극 연결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열에 의해 상기 전극 연결부 방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단절시킬 수 있는 전극 단절부;를 포함함으로써, 전극 연결부를 단절시키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기기 등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이차 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차 전지의 내부에는 각종 가연성 물질들이 내장되어 있어서, 과충전, 과전류, 외부 충격, 고온 환경 등의 이상 현상 발생 시 이차 전지의 과열 등으로 인해 이차 전지가 폭발할 수 있다. 더욱이, 휴대용 전자 기기의 성능 향상 등으로 말미암아 이차 전지의 에너지 밀도나 작동 전압이 높아지고 있어, 이차 전지와 관련된 안전 장치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배터리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배터리 내부의 전해액을 외부로 강제로 배출시키거나 과충전, 과전류 등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소자들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한국공개특허 제1998-044210호는 과방전 또는 과충전에 의해 전지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여 양압이 걸릴 경우 가스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지의 전면 상단부에 내파열성이 약한 재질을 갖는 가스방출구를 포함함으로써, 리튬 이차 전지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밸브를 통해서 안전하게 이차 전지 외부로 배출하여 우수한 안전성을 갖는, 가스 배기 장치가 장착된 리튬 이차 전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 의하더라도, 이차 전지의 폭발 등을 배제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998-044210호
본 발명은 이차 전지의 내외부의 이벤트에 의해 유발되는 열로 인해 전극 연결부가 단절될 수 있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 조립체의 제1 전극; 제2 전극 조립체의 제2 전극;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 및 상기 전극 연결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열에 의해 상기 전극 연결부 방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단절시킬 수 있는 전극 단절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가 제공된다.
상기 전극 단절부는, 상기 전극 연결부와 대향하여 구비되는 가격부;
상기 가격부를 지지하며, 상기 전극 연결부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팽창부; 및 상기 가격부 및 상기 팽창부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격부는 상기 전극 연결부 측에 상기 전극 연결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단면적 감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면적 감소부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 콘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격부 및 상기 고정부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절단부는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부는 연신 또는 절단될 수 있다.
상기 팽창부는 발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이차 전지 내의 전극 지지부, 파우치, 케이스, 프레임(Fram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연결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상기 전극 연결부에 가까운 부분이 더 좁은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단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극 연결부를 단절시키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팽창부의 함량 설정에 따라 전극 단절부의 팽창량이 설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부의 가격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이 단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및 전극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제1 전극 조립체의 제1 전극; 제2 전극 조립체의 제2 전극;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 및 상기 전극 연결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열에 의해 상기 전극 연결부 방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단절시킬 수 있는 전극 단절부;를 포함함으로써, 전극 연결부를 단절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전극 조립체(10)의 제1 전극(30); 제2 전극 조립체(20)의 제2 전극(40);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이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50); 및 전극 연결부(5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열에 의해 전극 연결부(50) 방향으로 팽창되어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을 단절시킬 수 있는 전극 단절부(10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전극 조립체(10), 제2 전극 조립체(20), 제1 전극(30) 및 제2 전극(40)의, 제1 및 제2의 의미는 전극 조립체 또는 전극의 개수를 한정하는 의미가 아니라, 서로 다른 전극 조립체를 구별하거나 서로 다른 전극을 구별하는 의미에 지나지 않고, 전극 조립체 또는 전극은 각각 복수 개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는 도면의 지면을 기준으로 정의 되며, 위쪽은 도면 지면의 위 방향을, 옆쪽은 지면의 좌측 방향, 우측 방향,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 및/또는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을, 아래쪽은 지면의 아래 방향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는 양극판, 음극판, 분리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조립체(10) 및 제2 전극 조립체(20)로부터 돌출되는 제1 및 제2 전극(40)은 각각 양극 판에 연결된 양극 탭 및 음극 판에 연결된 음극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양극 탭 및 음극 탭은 같은 전극 조립체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또는 제2 전극(40)은 후술할 전극 연결부(50)에 가까운 부분이 더 좁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전극(40)은 전극 연결부(50)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일 수도 있고,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일 수도 있다. 이로써, 후술할 전극 단절부(100)에 의해 전극 연결부(50)가 가격될 때, 전극 단절부(100, 도 3)의 보다 적은 팽창력으로도 전극이 단절될 수 있어, 이차 전지의 안전성이 보다 빠르고 확실하게 확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가격은 가격부(110)가 전극 단절부(100)에 충격을 급격하게 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충격을 서서히 가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 연결부(50)는 제1 전극(30) 및 제2 전극(40)이 맞닿아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로써, 제1 전극(30) 및 제2 전극(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극 조립체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극 단절부(100)는 상기 전극 연결부(50)를 가격함으로써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이 단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극 연결부(50)와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단절부(100)가 열에 의해 전극 연결부(50)를 향해 팽창될 경우 전극 연결부(50)를 가격하여,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을 단절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인접이란, 기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으며, '기결정된 거리'란 후술할 팽창부(120)의 팽창에 의해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의 물리적 연결이 단절될 수 있도록 결정된 거리를 의미한다.
나아가, 전극 단절부(100)는 전극 연결부(50)와 인접할 수 있기만 하면, 이차 전지 내의 어느 위치라도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치는 전극 단절부(100) 또는 팽창부(120)의 팽창력, 팽창 전 부피, 팽창 부피 또는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의 연결 강도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전극 단절부(100)는 전극, 파우치, 케이스, 지지대, 프레임 등과 같은 이차 전지의 다른 구성과는 별도로 제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단절부(100)가 제1 전극(30), 제2 전극(40) 또는 전극 연결부(5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도 1의 지면 기준으로 전극 연결부(50)의 아래쪽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전극 연결부(50)의 제조 과정에서 전극 단절부(100) 또는 팽창부(120) 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용접 등을 통해 제1 전극(30) 및 제2 전극(40)을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전극 단절부(100)의 팽창부(120)의 부피, 함량 등이 전극 연결부(50)나 기타 구성의 기능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의 안전성 및 제조 공정 상의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을 단절시킴으로써, 각 전극 조립체 간의 연결이 끊어지게 되고, 이로써, 전극 조립체의 전기적인 연결이 단절되어 이차 전지의 안정성이 담보될 수 있다.
전극 단절부(100)의 형상, 재질, 크기, 색상 및 배치 등은, 전극 단절부(100)가 전극 연결부(50)를 가격하여 제1 전극(30) 및 제2 전극(40)을 단절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전극 단절부(100)는 제1 전극(30) 또는 제2 전극(40)의, 양극 탭 및 음극 탭이 모두 한 번에 단절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그의 형상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차 전지는 복수 개의 전극 조립체를 가질 수 있고, 각 전극 조립체로부터 각각 양극 탭 및 음극 탭이 돌출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전극 조립체 사이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전극 조립체로부터 돌출된 탭 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전극 연결부(50)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전극 연결부(50)가 전극 조립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전극 단절부(100)가 상기 복수 개의 전극 연결부(50)를 단절시킬 수 있도록, 두 개의 전극 조립체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전극 연결부(50) 모두의 아래에 걸쳐 전극 단절부(100)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 내외부의 이벤트를 원인으로 인해 유도되는 열로 인하여 팽창되는 전극 단절부(100) 하나가 복수 개의 전극 연결부(50)를 단절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이차 전지의 구조가 보다 간단해질 수 있고, 안전성이 빠르게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단절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연결부(50)와 대향하여 구비되는 가격부(110); 가격부(110)를 지지하며, 전극 연결부(50)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팽창부(120); 및 가격부(110) 및 팽창부(120)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충격, 고온 환경 등의 이차 전지의 외부적 이벤트 또는 과방전, 과충전, 과전류 등의 내부적 이벤트로 인해 이차 전지 내에 이상(異常)이 발생할 경우, 이로 인해 유발되는 열에 의해 팽창부(120)가 팽창하게 된다. 팽창부(120)가 팽창부(120)를 지지하는 고정부(130)의 반대 방향으로 팽창함으로써, 팽창부(120)에 의해 지지되는 가격부(110)가 도 2에 도시된 방향(200)으로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가격부(110)는 대향하고 있던 전극 연결부(50)를 가격할 수 있다. 이러한 가격부(110)의 가격은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이 단절될 수 있을 정도의 충격량을 가지는 것이며, 이로써,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이 단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부(110)는 직접 전극 연결부(50)와 맞닿게 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전극 연결부(50)와 대향하여 구비되며 후술할 팽창부(120)에 의해 지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팽창부(120)의 팽창력이 가격부(110)에 작용하여 가격부(110)가 전극 연결부(50) 측으로 이동하여 가격함으로써,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이 단절될 수 있다.
가격부(110)의 형상, 재질, 크기 및 색상 등은, 가격부(110)가 팽창부(120)에 의해 지지되고 전극 연결부(50)에 압력을 가하여, 제1 전극(30) 및 제2 전극(40)을 단절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부(110)는 전극 연결부(50) 측에 전극 연결부(50)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단면적 감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면적 감소부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 콘형상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원형은 원뿔대, 상기 타원형은 타원뿔대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다각 콘 형상은 삼각뿔, 사각뿔 등의 다각뿔뿐만 아니라 삼각뿔대, 사각뿔대 등의 다각뿔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이 사용됨으로써, 팽창부(120)의 팽창력이 보다 좁은 면적으로 집중될 수 있어 제1 전극(30) 및 제2 전극(40)이 효과적으로 단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부(110)는 고정부(130) 또는 팽창부(120)와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접합의 방법은 별다른 제한이 없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격부(110)는 팽창부(120)의 팽창에 의해 고정부(1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가격부(110)와 고정부(130)가 초기 접합되어 있는 경우, 후술할 팽창부(120)가 팽창할 경우 가격부(110)는 고정부(130)와 분리되어 전극 연결부(50)를 가격할 수 있도록 고정부(1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단절부(100)는, 분리부(140)를 더 포함하고, 분리부(140)를 경유하여 가격부(110)와 고정부(13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분리부(140)는 가격부(110)와 고정부(13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가격부(110)와 고정부(130)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 형상, 재질, 크기 및 색상 등에 별다른 제한이 없다. 다만, 팽창부(120)가 팽창할 경우, 분리부(140)는 연신될 수 있으며, 분리부(140)의 재질은 분리부(140)가 연신될 수 있도록 신축성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무일 수 있다. 이 경우, 가격부(110)와 고정부(130)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팽창부(120)가 전극 연결부(50)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팽창하는 것을 제한할 수도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팽창부(120)가 기결정된 수준 이상으로 팽창할 경우, 분리부(140)는 절단될 수 있으며, 분리부(140)의 재질은 분리부(140)가 팽창부(120)의 팽창력에 의해 절단될 수 있을 정도의 내구성을 가지는 재질일 수 있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140)는 팽창부(120)의 팽창 방향을 전극 연결부(50) 측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가격부(110), 타측에 고정부(130)와 연결되어, 팽창부(120)의 옆쪽에 포함될 수 있다. 즉, 팽창부(120)는 아무런 제약이 없으면 사방으로 팽창하게 되는데, 팽창부(120)의 옆쪽에 포함되는 분리부(140)가 팽창부(120)가 도 1의 옆 방향으로 팽창하는 것을 제한하고, 전극 연결부(50) 방향의 팽창력이 증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력을 분리부(140)가 제한하지 않도록 분리부(140)가 기결정된 힘의 크기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여기서 기결정된 힘의 크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격부 진행 방향(200)으로 팽창부(120)의 팽창력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부(140)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팽창부(120)의 팽창력이 최대한 가격부(110)에 의해 전극 연결부(50)에 전달될 수 있게 분리부(140)가 절단되게 하는 힘의 크기일 수 있다. 또는, 기결정된 힘의 크기는, 팽창부(120)의 팽창력을 이용해 전극 연결부(50) 방향으로 진행할 가격부(110)가 전극 연결부(50)를 단절시키기에 충분한 충격량을 확보할 때까지 가격부(110)가 고정부(130)에 연결되어 전극 연결부(50) 방향으로 진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힘의 한계 값에 해당하는 크기일 수 있다. 이 경우, 가격부(110)의 전극 연결부(50)를 가격하는 힘이 일시적으로 더 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부(120)는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으며, 가격부(110) 및 고정부(130)의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팽창부(120)의 부피 또는 중량 등의 함량은 팽창력의 크기 설정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팽창부(120)의 소재는 이차 전지 내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게 되고 팽창력을 가격부(110)에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소재이면 별다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포제일 수 있는데, 100 내지 130℃에서 발포되어 질소 및 이산화 탄소를 분출시키면서 팽창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팽창부(120)에 의해 발생되는 팽창력을 통해, 가격부(110)가 전극 연결부(50)를 가격할 수 있는 힘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팽창부(120)는 가격부(110)를 지지할 수도 있다.
고정부(130)는 팽창부(12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형상, 재질, 크기 및 색상 등에 별다른 제한이 없다. 다만, 고정부(130)는 전극 연결부(50)와 전극 단절부(100)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차 전지 구성 중 하나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전극 지지부, 파우치, 케이스, 프레임(Frame) 등일 수도 있다.
한편, 고정부(130) 또는 전극 단절부(100)는 제1 전극(30) 및 제2 전극(40)의 연결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전극 지지부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연결부(50)의 아래쪽에 포함되어, 고정부(130)의 옆쪽과 제1 전극(30) 및 제2 전극(40)이 맞닿거나 전극 단절부(100)의 위쪽 또는 옆쪽과 제1 전극(30) 및 제2 전극(40)이 맞닿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차 전지, 제1 전극(30), 제2 전극(40) 또는 전극 연결부(50)에 외력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고정부(130) 또는 전극 단절부(100)가 이에 대해 보다 향상된 지지력을 제1 전극(30), 제2 전극(40)에 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외력이 있더라도, 제1 전극(30), 제2 전극(40) 및 전극 연결부(50)의 형상이 뒤틀리거나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의 연결이 끊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제1 전극 조립체
20 : 제2 전극 조립체
30 : 제1 전극
40 : 제2 전극
50 : 전극 연결부
100 : 전극 단절부
110 : 가격부
120 : 팽창부
130 : 고정부
140 : 분리부
200 : 가격부 진행 방향

Claims (10)

  1. 제1 전극 조립체의 제1 전극;
    제2 전극 조립체의 제2 전극;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 및
    상기 전극 연결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열에 의해 상기 전극 연결부 방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단절시킬 수 있는 전극 단절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단절부는, 상기 전극 연결부와 대향하여 구비되는 가격부;
    상기 가격부를 지지하며, 상기 전극 연결부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팽창부; 및
    상기 가격부 및 상기 팽창부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격부는 상기 전극 연결부 측에 상기 전극 연결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단면적 감소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면적 감소부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 콘형상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격부 및 상기 고정부는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이차 전지.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절단부는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부는 연신 또는 절단될 수 있는, 이차 전지.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발포제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이차 전지 내의 전극 지지부, 파우치, 케이스, 프레임(Frame) 중 어느 하나인, 이차 전지.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연결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인, 이차 전지.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상기 전극 연결부에 가까운 부분이 더 좁은 형상인, 이차 전지.
KR1020150109364A 2015-08-03 2015-08-03 이차 전지 KR20170016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364A KR20170016065A (ko) 2015-08-03 2015-08-03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364A KR20170016065A (ko) 2015-08-03 2015-08-03 이차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065A true KR20170016065A (ko) 2017-02-13

Family

ID=58156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364A KR20170016065A (ko) 2015-08-03 2015-08-03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606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2468B2 (en) 2017-06-27 2021-01-12 Lg Chem, Ltd. Battery module with short-circuit unit,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0998597B2 (en) 2017-08-31 2021-05-04 Lg Chem, Ltd. Battery module provided with connector breaking device
US11011802B2 (en) 2017-06-15 2021-05-18 Lg Chem, Ltd. Battery module with short-circuit unit,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ame
US11121434B2 (en) 2017-05-26 2021-09-14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607A (ko) 1998-10-21 2000-05-15 이형도 2유체 분사 인젝터용 어댑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607A (ko) 1998-10-21 2000-05-15 이형도 2유체 분사 인젝터용 어댑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1434B2 (en) 2017-05-26 2021-09-14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US11011802B2 (en) 2017-06-15 2021-05-18 Lg Chem, Ltd. Battery module with short-circuit unit,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ame
US10892468B2 (en) 2017-06-27 2021-01-12 Lg Chem, Ltd. Battery module with short-circuit unit,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0998597B2 (en) 2017-08-31 2021-05-04 Lg Chem, Ltd. Battery module provided with connector break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215B1 (ko) 배터리 셀 조립체의 스웰링 현상을 감지하는 배터리 모듈
US8547069B2 (en) Safety switch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for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for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CN103931019B (zh) 改善安全性的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JP5804540B2 (ja) 安全性の向上した電池パック
JP5575761B2 (ja) 安全性を改良した中型又は大型バッテリーパック
JP5186650B2 (ja) 電池モジュール
JP2017004968A (ja) 安全性の向上した電池パック
KR101500222B1 (ko)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KR101664590B1 (ko) 배터리 시스템의 전류차단구조
KR20170016065A (ko) 이차 전지
US9577241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charge of battery
JP5666635B2 (ja) 車両用電池パック
KR101649552B1 (ko) 과충전 방지장치가 장착된 배터리모듈 및 배터리모듈용 과충전 방지장치
US9300013B2 (en) Battery module
CN106716677B (zh) 电池袋,电池单元以及制造袋或电池单元的方法
KR101792820B1 (ko) 파단 유도부가 형성된 단자 접속부재 및 댐핑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441205B1 (ko) 차량용 배터리의 셀 모듈 조립체
KR20180129433A (ko)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180118607A (ko) 배터리 보호 디바이스
KR20180136803A (ko)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150080123A (ko)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KR20090013867A (ko) 전기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의 안전장치
KR101927398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18528580A (ja) 電池パック
JP2013003136A (ja) バッテリー過充電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