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555A - Battery pack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555A
KR20170014555A KR1020150108140A KR20150108140A KR20170014555A KR 20170014555 A KR20170014555 A KR 20170014555A KR 1020150108140 A KR1020150108140 A KR 1020150108140A KR 20150108140 A KR20150108140 A KR 20150108140A KR 20170014555 A KR20170014555 A KR 20170014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electrode terminals
insertion portion
engag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1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주용
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8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4555A/en
Publication of KR20170014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5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16
    • H01M2/202
    • H01M2/3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The battery pack comprises: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having an insertion unit formed thereon to be formed on an adjacent arranged battery cell; first and second combining units inserted into insertion unit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respective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and an elastic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mbining unit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mbining units includes a combining piece extend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and a combin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ombining 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battery pack applies a bus bar in a new structure for binding adjacent battery cells, thereby simplifying a combining structure and reducing working processes.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 전지는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건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적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다수의 전지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로 묶은 모듈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Generally, 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unlike a primary battery which can not be charged. The secondary battery is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mobile devices, electric vehicles, hybrid vehicles, electric brakes,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xternal device,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as a single batter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unit.

휴대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는 단일 전지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하지만, 전력소모가 많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장시간 구동, 고전력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다수의 전지를 포함하는 모듈 형태가 선호되며, 내장된 전지의 개수에 따라 출력전압이나 출력전류를 높일 수 있다.A small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can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 the output and capacity of a single battery. However, in the case of driving for a long tim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vehicle with high power consumption and high power driving, A module type including a battery is preferred, and the output voltage and the output current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built-in batterie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서로 이웃한 배터리 셀을 결속하기 위한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를 적용함으로써 결합 구조의 단순화 및 작업 공수의 절감이 가능한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s bar having a novel structure for binding neighboring battery cells is applied, thereby providing a battery pack capable of simplifying a joining structure and reducing the number of workings.

상기와 같은 과제 및 그 밖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배터리 셀에 형성된 것으로, 각각 삽입부가 형성된 제1, 제2 전극 단자; 및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formed in battery cell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each having an insertion portion; And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것으로,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의 삽입부에 각각 끼워지는 제1,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제2 결합부 사이의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결합부 각각은 제1, 제2 전극 단자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를 포함한다.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respectively fitted to the insert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and an elastic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engaging portion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includes a coupling piece extending acros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and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oupling piece.

예를 들어,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제2 결합부 사이에서 굴곡된 형상을 갖는다.For example, the elastic portion has a bent shap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portions.

예를 들어,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제2 결합부의 결합돌기 사이를 신장/압축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For example, the elastic portion elastically connects between the engaging proj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so as to be stretchable / compressible.

예를 들어,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편의 상하 양면으로부터 돌출된다. For example, the engaging projections project from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ngaging pieces.

예를 들어,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편의 중앙위치에 형성된다. For example,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engaging piece.

예를 들어, 상기 삽입부는,For example,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의 일 단부로부터 전극 단자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And extends inward of the electrode terminal from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의 양 단부 중에서 배터리 셀의 중심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단부에 해당된다. For example,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corresponds to an end relatively closer to the center of the battery cell than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예를 들어,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의 단면에서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For example,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 a cross shape in a cross s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예를 들어, 상기 삽입부는,For example,

상기 결합편이 끼워지는 결합편 삽입부; 및A coupling piece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coupling piece is inserted; And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돌기 삽입부를 포함한다. And a coupling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coupling projection is inserted.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장변부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단변부를 포함하는 장방형 단면을 포함할 때. For example, wh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includ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cluding a pair of long side portions facing each other and a pair of short side portions facing each other.

상기 결합편 삽입부는 상기 장변부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을 갖고, Wherein the engagement piece insertion portion has a shape cut in a direction of the long side portion,

상기 결합돌기 삽입부는 상기 단변부 ◎향으로 절개된 형상을 갖는다.And the engaging projection inserting portion has a shape incised in the direction of the short side.

예를 들어, 상기 결합편 삽입부는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의 단면을 상기 장변부 방향으로 양분하고, 상기 결합편은 상기 양분된 결합편 삽입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한다.For example, the coupling piece insertion portion bisects the end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side, and the coupling piece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nested coupling piece insertion portion, respectively.

예를 들어, 상기 결합돌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의 단면을 상기 단변부 방향으로 양분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양분된 결합돌기 삽입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For example, the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bisects the end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in the direction of the short sid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예를 들어, 상기 결합편 삽입부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편의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다.For example, one end of the engagement piec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with a latching jaw for preventing the engagement piece from coming off.

예를 들어, 상기 결합편은 상기 장변부 방향으로 긴 종횡비를 갖고, For example, the engagement piece has a long aspect ratio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side,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단변부 방향으로 긴 종횡비를 갖는다. The engaging projection has a long aspect ratio in the direction of the short side.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바는 상기 탄성부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For example, the bus bar is formed symmetrically about the elastic portion.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바의 결합부는 상기 제, 제2 전극 단자의 삽입부에 억지 끼움으로 조립된다.Fo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us bar is assemb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서로 이웃한 배터리 셀을 결합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버스 바 및 그 결합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과 대비되는 실시형태에서는, 버스 바와 배터리 셀을 체결하기 위해 별도의 볼트, 너트 등의 체결 부재가 요구되며, 이에 따른 체결 작업으로 공수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버스 바의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서로 이웃한 배터리 셀을 연결하게 되므로, 결합 구조가 단순화되며 별도의 체결 부재가 요구되지 않고 작업 공수가 절감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s bar and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us bar having a novel structure capable of coupling neighboring battery cells by sliding coupling are disclosed. In the embodiment in contrast to the present invention,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or nut is required to fasten the bus bar and the battery cell,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stening operation wastes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neighboring battery cells are connected by sliding coupling of the bus bar, the coupling structure is simplified, and no separate fastening member is required and the number of workings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버스 바가 연결대상이 되는 한 쌍의 배터리 셀 사이를 탄성적으로 결속함으로써, 배터리 셀의 스웰링을 허용하여 배터리 셀 간의 불필요한 응력 집중을 방지하면서도 탄성 회복력에 의해 스웰링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welling of a battery cell is allowed by elastically binding between a pair of battery cells to which a bus bar is to be connected,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stress concentration between battery cells, The swelling can be suppressed.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셀의 연결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버스 바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전극 단자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버스 바와 전극 단자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전극 단자의 걸림턱을 보여주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state of the battery cell shown in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us bar shown in Fig.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terminal shown in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the bus bar and the electrode terminal being connected.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jaws of the electrode terminal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배터리 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팩은, 다수의 배터리 셀(C)과 상기 배터리 셀(C)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 바(20)를 포함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battery pack includes a bus bar 2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 to the battery cells C.

상기 배터리 셀(C)은, 예컨대, 리튬-이온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배터리 셀(C)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제1, 제2 전극판(미도시)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하는 전극 집전체(미도시)를 포함하며, 고출력, 고용량의 배터리 셀(C)을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제1, 제2 전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cell C may include, for example, a lithium-ion batter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battery cell C includes an electrode collector (not shown) includ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not shown)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nd a separator (not show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and a separator to provide a high output, high capacity battery cell (C).

상기 배터리 셀(C)은 상기 전극 집전체(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배터리 셀(C)의 외부로 노출된 전극 단자(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C)은 제1, 제2 전극판(미도시)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 단자(1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attery cell C may include an electrode terminal 15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not shown)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ell C. The battery cell C may include an electrode terminal 15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not shown) and having polarities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배터리 팩은 둘 이상 다수의 배터리 셀(C)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배터리 셀(C)은 이웃하는 전극 단자(15)를 연결하는 버스 바(20)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배터리 셀(C)은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혼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battery pack may include two or more battery cells C and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us bar 20 connecting neighboring electrode terminals 15 .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erial, parallel, or serial-parallel combination manner.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셀(C)의 연결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버스 바(20)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전극 단자(15)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버스 바(20)와 전극 단자(15)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전극 단자(15)의 걸림턱(15c)을 보여주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state of the battery cell C shown in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us bar 20 shown in Fig.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shown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s bar 20 and the electrode terminal 15 are coupled.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latching jaw 15c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As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버스 바(20)는, 서로 이웃한 제1, 제2 배터리 셀(C1,C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버스 바(20)는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제1, 제2 배터리 셀(C1,C2)을 서로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스 바(20)는 서로 이웃한 제1, 제2 배터리 셀(C1,C2)의 제1, 제2 전극 단자(151,152)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제1, 제2 배터리 셀(C1,C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bus bar 20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adjacent to each other. The bus bar 20 connects a pair of adjacent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to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bus bar 20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1 and 152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C1, and C2 are electrically connected.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바(20)는 서로 같은 극성의 제1, 제2 전극 단자(151,152)를 연결함으로써 제1, 제2 배터리 셀(C1,C2)을 병렬 연결하거나, 또는 서로 반대 극성의 제1, 제2 전극 단자(151,152)를 연결함으로써 제1, 제2 배터리 셀(C1,C2)을 직렬 연결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bus bar 20 ma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in parallel b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1 and 152 having the same polarity to each other, B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1 and 152,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can be connected in series.

상기 버스 바(20)는 전체적으로, 판 상의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바(20)는 제1, 제2 전극 단자(151,152)를 가로질러 제1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향(전후 방향)은, 배터리 셀(C1,C2)의 배열 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The bus bar 20 may be formed in a plate-like strip shape as a whole. For example, the bus bar 20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cros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1 and 152. For example, the first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s C1 and C2.

상기 버스 바(20)는, 제1, 제2 전극 단자(151,152)에 결합되기 위한 제1, 제2 결합부(21,22)와, 상기 제1, 제2 결합부(21,22)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결합부(21,22)는 제1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버스 바(20)의 일 단부 및 타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결합부(21,22)는 각각 제1, 제2 전극 단자(151,152)와 결합을 형성한다. 상기 탄성부(25)는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151,152) 사이로 노출될 수 있다. The bus bar 20 includes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21 and 22 for coupling to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1 and 152 and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21 and 22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21 and 22, And an elastic portion 25 interposed between the elastic portion 25 and the elastic portion 25.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21 and 22 may b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us bar 20 along the first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21 and 22 form a coupl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1 and 152, respectively. The elastic portion 25 may be ex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1 and 152.

본 명세서를 통하여, 결합부(21,22)란, 제1, 제2 결합부(21,22) 중 어느 한 결합부(21,22)만을 지칭하거나 또는 제1, 제2 결합부(21,22) 모두를 포괄적으로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결합부(21,22)는 탄성부(25)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한 결합부(21,22)에 관한 기술적 사항은, 다른 결합부(21,22)에 대해서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전극 단자(15)란, 제1, 제2 전극 단자(151,152) 중에서 어느 한 전극 단자(151,152)만을 지칭하거나 또는 제1, 제2 전극 단자(151,152) 모두를 포괄적으로 지칭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engaging portions 21 and 22 refer to only one of the engaging portions 21 and 22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21 and 22 or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21 and 22, 22) can be referred to collectively. For examp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21 and 22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elastic portion 25. At this time, the technical matters relating to any one of the engaging portions 21 and 22 can be commonly applied to the other engaging portions 21 and 22 as well.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lectrode terminal 15 refers to ei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1 and 152, or bot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1 and 152 as a whole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21,22)는, 전극 단자(15)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결합편(20a)과, 상기 결합편(20a)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20b)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편(20a)은, 각각 제1, 제2 전극 단자(151,152)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제2 전극 단자(151,152)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편(20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일 결합편(20a)은, 제1 배터리 셀(C1)의 전극 단자(151)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다른 결합편(20a)은 제2 배터리 셀(C2)의 전극 단자(152)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편(20a)은 제1, 제2 전극 단자(151,152)를 가로질러 연장되면서, 제1, 제2 전극 단자(151,152)와 연결된 전류 패스를 형성할 수 있다.2 and 3, the coupling portions 21 and 22 include coupling portions 20a extending across the electrode terminals 15 and coupling projections 20b projecting from the coupling portions 20a. . The coupling piece 20a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1 and 152 and includes a pair of coupling pieces 20a extending acros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1 and 152 . That is, the one coupling piece 20a extends across the electrode terminal 151 of the first battery cell C1 and the other coupling piece 20a extends to the electrode terminal 152 of the second battery cell C2 Lt; / RTI > The coupling piece 20a may extend acros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1 and 152 to form a current path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1 and 152.

상기 버스 바(20)는, 결합편(20a)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20b)는, 결합편(20a)의 대략 중앙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편(20a)은 제1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제1 방향(전후 방향)으로 긴 종횡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20b)는, 상기 결합편(20a)의 상하 양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돌기(20b)는, 제1 방향(전후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2 방향(상하 방향)으로 긴 종횡비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편(20a)과, 제2 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돌기(20b)를 포함하는 결합부(21,22)는 전체적으로 십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us bar 20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20b projecting from the coupling piece 20a. The engaging projection 20b may be form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sition of the engaging piece 20a. For example, the engaging piece 20a may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e a long aspect ratio in the first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The engaging projection 20b may protrude from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ngaging piece 20a. For example, the engaging projection 20b may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have a long aspect ratio in the second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The engaging portions 21 and 22 including the engaging pieces 20a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the engaging projections 20b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the up and down direction) have.

본 명세서를 통하여, 상기 제1 방향(전후 방향)이란, 배터리 셀(C)의 배열 방향 또는 버스 바(20)의 연장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방향(상하 방향)이란 제1 방향(전후 방향)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향(전후 방향)과 제2 방향(상하 방향)은 각각 전극 단자(15)의 단면에서 장변부 방향과 단변부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편(20a) 및 결합돌기(20b)의 제1, 제2 방향 종횡비란, 결합편(20a) 및 결합돌기(20b)의 단면에서 제1, 제2 방향으로 측정된 종횡비를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first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may mea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s C or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us bar 20. [ The second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s described later, the first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long side direction and the short side direction, respectively, in the cross sec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 aspect ratios of the engaging piece 20a and the engaging projection 20b are the aspect ratio measured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engaging piece 20a and the engaging projection 20b . ≪ / RTI >

상기 결합부(21,22)는 전극 단자(15)의 삽입부(15`)에 끼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21,22) 중에서 제1 방향(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결합편(20a)은, 제2 방향(상하 방향)의 결합력을 제공하고, 제2 방향(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결합돌기(20b)는, 제1 방향(전후 방향)의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합편(20a) 및 결합돌기(20b)는 삽입부(15`)와의 견고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The coupling portions 21 and 22 are fitted to the insertion portion 15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The engaging pieces 20a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engaging portions 21 and 22 provide a coupling force in the second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The elongated engagement protrusions 20b can provide a binding force in the first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engaging piece 20a and the engaging projection 20b can form a rigid connection with the inserting portion 15 '.

상기 결합부(21,22)와 삽입부(15`)는 억지 끼움으로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 바(20)의 결합부(21,22)는 전극 단자(15)의 삽입부(15`)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는데, 억지 끼움으로 조립됨으로써 이들 간의 결합을 매개하는 다른 체결 수단 없이도 견고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The engaging portions 21 and 22 and the inserting portion 15 'can be assembled by interference fit. Fo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s 21 and 22 of the bus bar 20 can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5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A rigid coupling can be formed without any other fastening means.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전극 단자(15)에는 결합부(21,22)가 끼워지는 삽입부(15`)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5`)는 버스 바(20) 조립방향을 따라 전극 단자(15)의 일 단부로부터 전극 단자(15)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부(15`)는 전극 단자(15)의 양 단부 중에서 어느 일 단부,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셀(C)의 중앙위치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단부로부터 전극 단자(15)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electrode terminal 15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15 'into which the coupling portions 21 and 22 are inserted. The insertion portion 15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toward the inside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along the assembling direction of the bus bar 20. More specifically, the inserting portion 15 'extends from one end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for example, from an end relatively adjacent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battery cell C, And may extend toward the inside.

삽입부(15`)의 연장 방향은 버스 바(20)의 조립방향에 해당된다. 즉, 상기 버스 바(20)는 전극 단자(15)의 일 단부로부터 전극 단자(15)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삽입부(15`)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버스 바(20)는 배터리 셀(C)의 중앙위치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단부로부터 조립됨으로써, 버스 바(20)의 이탈이나 정렬 오차가 다소 존재하는 경우에도, 버스 바(20)가 전극 단자(15)의 외측, 그러니까 배터리 셀(C)의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바(20)가 전극 단자(15)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버스 바(20)가 외부 단락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5 'corresponds to the assembling direction of the bus bar 20. That is, the bus bar 2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5 'while sliding from one end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to the inside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The bus bar 20 is assembled from an end portion relatively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battery cell C so that even when there is a slight deviation or misalignment of the bus bar 20, It may not protrude outside the terminal 15, that is, outside the battery cell C. For example, if the bus bar 2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us bar 20 is short-circuited.

예를 들어, 상기 삽입부(15`)는 버스 바(20)의 결합편(20a)이 끼워지는 결합편 삽입부(15a)와, 버스 바(20)의 결합돌기(20b)가 끼워지는 결합돌기 삽입부(1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편 삽입부(15a)와 결합돌기 삽입부(15b)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편 삽입부(15a) 및 결합돌기 삽입부(15b)는, 전극 단자(15)의 일 단부로부터 전극 단자(15)의 내측을 향하여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고, 버스 바(20) 조립방향으로 끼워지는 결합편(20a) 및 결합돌기(20b)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sertion portion 15 'may be formed by a coupling piece insertion portion 15a in which the coupling piece 20a of the bus bar 20 is inserted and a coupling piece 15b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20b of the bus bar 20 is fitted And a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15b. The engagement piece insertion portion 15a and the engagement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15b may exten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at is, the coupling piece insertion portion 15a and the coupling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15b can extend in parallel from one end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toward the inside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It can be joined at the same time with the engaging piece 20a and the engaging projection 20b fitted in the assembling direction.

상기 결합편 삽입부(15a)와 결합돌기 삽입부(15b)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편 삽입부(15a)는 제1 방향(전후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 삽입부(15b)는 제1 방향(전후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방향(상하 방향)은 제1 방향(전후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편 삽입부(15a)는 제1 방향(전후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긴 종횡비를 갖는 결합편(20a)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방향(전후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 삽입부(15b)는 제2 방향(상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긴 종횡비를 갖는 결합돌기(20b)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제2 방향(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engagement piece insertion portion 15a and the engagement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15b may be formed in a shape cut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the coupling piece inserting portion 15a is formed in an incision shape in a first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the engaging projection inserting portion 15b is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s). For example, the second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may correspond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hat is, the engagement piece insertion portion 15a is for receiving the engagement piece 20a having a relatively long aspect ratio in the first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has a shape that is incised in the first direction have. The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15b is for receiving the coupling protrusion 20b having a relatively long aspect ratio in the second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and may have a shape cut in the second direction have.

상기 삽입부(15`)는, 제1 방향(전후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의 결합편 삽입부(15a)와 제2 방향(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의 결합돌기 삽입부(15b)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십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15 'includes a coupling piece insertion portion 15a cut in a first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a coupling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15b having a shape cut in a second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And may be formed in a cross shape as a whol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단자(15)의 단면이,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장변부와 서로 나란한 한 쌍의 단변부를 포함하는 장방형 단면을 갖는다면, 상기 결합편 삽입부(15a)는 장변부 방향(제1 방향, 전후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을 갖고, 상기 결합돌기 삽입부(15b)는 단변부 방향(제2 방향,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5, if the cross-sec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cluding a pair of long sides aligned with each other and a pair of short sides parallel to each other, the engagement piece insertion portion 15a (The first direction, the back-and-forth direction), and the engaging projection inserting portion 15b may have a shape cut in the short side direction (second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전극 단자(15)의 단면에서, 상기 삽입부(15`)는 전체적으로 십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 단자(15)의 삽입부(15`)는 결합편 삽입부(15a)와 결합돌기 삽입부(15b)가 서로 교차하는 중심을 갖는 십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ross sec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the insertion portion 15 'may be formed in a cross shape as a whole. More specifically, the insertion portion 15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may be formed in a cross shape having a center where the engagement piece insertion portion 15a and the engagement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15b intersect each other.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버스 바(20)와 전극 단자(15) 간의 조립에 대해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즉, 버스 바(20)를 전극 단자(15)에 끼우는데, 버스 바(20)의 결합부(21,22)를 전극 단자(15)의 삽입부(15`)에 끼운다. 이때, 버스 바(20)를 전극 단자(15)의 일 단부로부터 전극 단자(15)의 내측을 향하여 밀어넣으면서 결합부(21,22)를 삽입부(15`) 내에 끼운다. 버스 바(20)의 결합부(21,22)가 전극 단자(15)의 삽입부(15`)에 끼워질 때, 결합편(20a)은 결합편 삽입부(15a)에 끼워지는 한편으로, 결합돌기(20b)는 결합돌기 삽입부(15b)에 끼워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assembly between the bus bar 20 and the electrode terminal 15 will be described below. That is, the coupling portions 21 and 22 of the bus bar 20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s 15 'of the electrode terminals 15 to sandwich the bus bar 20 with the electrode terminals 15. At this time, the bus bar 20 is pushed inwardly from the one end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toward the inside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so that the engaging portions 21 and 22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 15 '. When the engaging portions 21 and 22 of the bus bar 20 are fit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s 15 'of the electrode terminals 15, the engaging pieces 20a are fitted into the engaging piece inserting portions 15a, The engaging projection 20b can be fitted into the engaging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15b.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결합편 삽입부(15a)는 전극 단자(15)의 장변부 방향(제1 방향, 전후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을 갖고, 전극 단자(15)를 장변부 방향(제1 방향, 전후 방향)으로 양분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결합돌기 삽입부(15b)는 전극 단자(15)의 단변부 방향(제2 방향,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을 갖고, 전극 단자(15)를 단변부 방향(제2 방향, 상하 방향)으로 양분할 수 있다. 상기 결합편 삽입부(15a) 및 결합돌기 삽입부(15b)는 상기 전극 단자(15)를 장변부 방향 및 단변부 방향으로 양분하고, 상기 결합편(20a) 및 결합돌기(20b)는 전극 단자(15)의 양분된 부분들과 모두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하게 된다. 6,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ement piece inserting portion 15a has a shape cut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side (the first direction,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1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direction, front-rear direction). Similarly, the engaging projection inserting portion 15b has a shape cut in the short side direction (second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and the electrode terminal 15 in the short side direction (second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s). The coupling piece insertion portion 15a and the coupling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15b divide the electrode terminal 15 into a long side direction and a short side direction and the coupling piece 20a and the coupling projections 20b are divided into electrode terminals Both of which form electrical contact with the bisecting portions of the electrode 15.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편 삽입부(15a)는 상기 전극 단자(15)를 장변부 방향(제1 방향, 상하 방향)으로 양분하고, 상기 결합편(20a)은 결합편 삽입부(15a)에 의해 양분된 전극 단자(15)의 두 부분과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 삽입부(15b)는 상기 전극 단자(15)를 단변부 방향(제2 방향, 상하 방향)으로 양분하고, 상기 결합돌기(20b)는 결합돌기 삽입부(15b)에 의해 양분된 전극 단자(15)의 두 부분과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coupling piece inserting portion 15a bisects the electrode terminal 15 in the long side direction (first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and the engaging piece 20a is divided into the engaging piece inserting portion 15a Thereby forming electrical contact with the two portions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divided by the electrode terminal 15. The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15b divides the electrode terminal 15 in the short side direction (second direction and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0b is divided by the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15b Thereby forming electrical contact with the two portions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버스 바(20)와 전극 단자(15) 간의 접촉 면적은 버스 바(20)와 전극 단자(15)가 단순히 서로에 대해 겹쳐지는 구조에 비해, 몇 배로 증대될 수 있다. 이것은,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삽입부(15`)를 따라서, 그러니까 장변부 방향(제1 방향, 전후 방향)으로 절개된 결합편 삽입부(15a)를 따라 양편으로 접촉 면적이 배가되고, 단변부 방향(제2 방향,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결합돌기 삽입부(15b)를 따라 양편으로 접촉 면적이 배가되기 때문이다.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us bar 20 and the electrode terminal 15 can be increased several times as compared with the structure in which the bus bar 20 and the electrode terminal 15 are simp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have. This is because the contact area is doubled along the inserting portion 15 'formed in a cross shape, that is, along the engaging piece inserting portion 15a cut in the long side direction (first direction, front and back direction) The contact area is doubled along both the engaging projection inserting portions 15b cut in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도 7을 참조하면, 전극 단자(15)의 삽입부(15)에는 버스 바(20)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걸림턱(15c)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 삽입부(15b)에는 걸림턱(15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 삽입부(15b)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걸림턱(15c)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insertion portion 15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may be formed with a latching protrusion 15c for firmly holding the connection with the bus bar 20.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drawing, a locking protrusion 15c may be formed on the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15b. The engaging protrusions 15b may be formed with a pair of engaging protrusions 15c protruding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상기 걸림턱(15c)은 결합돌기(20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돌기(20b)가 끼워지는 전극 단자(15)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5c)은, 일단 걸림턱(15c)을 통하여 끼워진 결합돌기(20b)가 임의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이탈을 저지하게 된다. 즉, 상기 걸림턱(15c)은 삽입부(15`)의 폭을 협소하게 제한함으로써 결합돌기(20b)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The latching protrusion 15c is provided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coupling protrusion 20b and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electrode terminal 15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20b is fitted. The engagement protrusion 15c prevents the engagement protrusion 20b,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one-end engagement protrusion 15c,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engagement protrusion 20b. That is, the engagement protrusion 15c can restrict the width of the insertion portion 15 'to be narrowed to prevent the engagement protrusion 20b from escapin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버스 바(20)의 제1, 제2 결합부(21,22)는, 서로 다른 제1, 제2 배터리 셀(C1,C2)과 결합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제2 결합부(21,22) 사이의 탄성부(25)는, 제1, 제2 배터리 셀(C1,C2) 사이에 개재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25)는, 제1, 제2 배터리 셀(C1,C2)을 탄성적으로 연결해줄 수 있다. 2 and 3,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21 and 22 of the bus bar 20 form a coupl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respectively, The elastic portion 25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21 and 22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At this time, the elastic portion 25 can elasticall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상기 제1, 제2 배터리 셀(C1,C2)은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수반하는 전극 조립체(미도시)를 포함하고, 전극 조립체(미도시)의 팽창에 따라 스웰링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제2 배터리 셀(C1,C2)이 서로 간의 거리가 완전히 구속된 상태이면, 제1, 제2 배터리 셀(C1,C2) 중의 어느 한 배터리 셀(C)의 팽창은, 다른 배터리 셀(C)에 대한 압박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탄성부(25)를 통하여 제1, 제2 배터리 셀(C1,C2)을 탄성적으로 연결해줌으로써 어느 일 배터리 셀(C)이 팽창하더라도 제1, 제2 배터리 셀(C1,C2) 사이의 탄성부(25)가 제1, 제2 배터리 셀(C1,C2) 간의 거리 팽창을 흡수하고 다른 배터리 셀(C)에 대한 압박을 완충해줄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accompanied by an electrochemical reaction, and swelling may be caused by the expans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At this time, if the distanc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are completely constrained, the expansion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can be prevented, And can act as a pressure against the other battery cell (C).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are elas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elastic portion 25 so that no matter which battery cell C expands, The elastic portion 25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absorbs the distance expans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and buffers the pressure against the other battery cell C. [

상기 제1, 제2 결합부(21,22), 특히 결합돌기(20b)는, 제1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제2 배터리 셀(C1,C2)의 조립 위치를 정의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25)가 버스 바(20)의 제1, 제2 결합부(21,22)를 탄성적으로 연결한다는 것은, 상기 제1, 제2 배터리 셀(C1,C2)의 조립 위치가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탄성부(25)는 제1, 제2 배터리 셀(C1,C2)의 조립 위치를 서로에 대해 접근시키려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킴으로써, 제1, 제2 배터리 셀(C1,C2)을 서로에 대해 밀착시킬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제1, 제2 배터리 셀(C1,2)이 서로에 대해 밀착됨으로써 스웰링을 억제할 수 있고, 제1 제2 배터리 셀(C1,C2)의 변형에 따른 전기적인 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21 and 22 and particularly the engaging protrusion 20b define the assembling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along the first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he resilient portion 25 elastically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21 and 22 of the bus bar 20 to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It means that the position can be elastically biased. That is, the elastic portion 25 elastically biases the assembly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toward each other, thereby elastically biasing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toward each other As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suppress swelling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상기 탄성부(25)는 제1, 제2 결합부(21,22)의 결합돌기(20b) 사이를 신장/압축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연결해줄 수 있다. 상기 탄성부(25)는 결합돌기(20b)에 조립된 제1, 제2 배터리 셀(C1,C2) 간의 거리 변화를 흡수할 수 있고, 상기 제1, 제2 배터리 셀(C1,C2)을 서로에 대해 근접시키려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elastic portion 25 can elastically connect the coupling protrusions 20b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21 and 22 to each other in a stretchable / compressible manner. The elastic portion 25 can absorb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assemb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20b and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C1 and C2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astic bias in a direction to bring it closer to each other.

예를 들어, 상기 탄성부(25)는, 상기 제1, 제2 결합부(21,22) 사이에서 굴곡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25)는, 굴곡된 형상을 포함하여, 상기 굴곡된 형상이 탄성적으로 굽혀지거나 펴지면서 제1, 제2 결합부(21,22) 사이를 신장/압축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연결해줄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astic portion 25 may include a curved shap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21 and 22. The elastic part 25 includes a bent shape and is elastically bent or extended to flexibly and elasticall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parts 21 and 22 to each other so as to be stretchable / compressible I can do it.

상기 탄성부(25)는 제1, 제2 결합부(21,22)의 사이, 그러니까, 버스 바(20)의 대략 중앙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25)는, 제1, 제2 결합부(21,22)에 조립된 제1, 제2 전극 단자(151,152) 사이에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버스 바(20)는 탄성부(25)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탄성부(25)를 중심으로 양편의 제1, 제2 결합부(21,22)는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elastic portion 2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21 and 22, that is,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sition of the bus bar 20. The elastic portion 25 may be ex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151 and 152 assemb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21 and 22. [ The bus bar 20 may be symmetrically formed around the elastic part 25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21 and 22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part 25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Lt; / RTI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5: 전극 단자 15`: 전극 단자의 삽입부
15a: 결합편 삽입부 15b: 결합돌기 삽입부
15c: 걸림턱 20: 버스 바
20a: 결합편 20b: 결합돌기
21: 제1 결합부 22: 제2 결합부
25; 탄성부 151: 제1 전극 단자
152: 제2 전극 단자 C: 배터리 셀
C1: 제1 배터리 셀 C2: 제2 배터리 셀
15: electrode terminal 15 ': insertion por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15a: engaging piece inserting portion 15b: engaging projection inserting portion
15c: hanging chin 20: bus bar
20a: Coupling piece 20b: Coupling projection
21: first coupling portion 22: second coupling portion
25; Elastic portion 151: first electrode terminal
152: second electrode terminal C: battery cell
C1: first battery cell C2: second battery cell

Claims (16)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배터리 셀에 형성된 것으로, 각각 삽입부가 형성된 제1, 제2 전극 단자; 및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것으로,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의 삽입부에 각각 끼워지는 제1,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제2 결합부 사이의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결합부 각각은 제1, 제2 전극 단자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formed in battery cell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each having an insertion portion; An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respectively fitted to the insert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and an elastic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engaging portions,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includes a coupling piece extending acros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and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ed from the coupling pie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제2 결합부 사이에서 굴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portion has a bent shap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제2 결합부의 결합돌기 사이를 신장/압축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portion elastically connects between the engaging proj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so as to be stretchable / compressi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편의 상하 양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projection is protruded from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ngaging pie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편의 중앙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engaging pie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의 일 단부로부터 전극 단자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sertion portion
And extending inward from the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의 양 단부 중에서 배터리 셀의 중심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is an end relatively closer to the center of the battery cell than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의 단면에서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serting portion is formed in a cross shape in a cross s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결합편이 끼워지는 결합편 삽입부; 및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돌기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insertion portion
A coupling piece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coupling piece is inserted; And
And a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 삽입부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돌기의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engaging projection inserting portion to prevent the engaging projection from separating from the engaging proj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장변부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단변부를 포함하는 장방형 단면을 포함할 때.
상기 결합편 삽입부는 상기 장변부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을 갖고,
상기 결합돌기 삽입부는 상기 단변부 ◎향으로 절개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include a pair of long side portions facing each other and a pair of short side portions facing each other.
Wherein the engagement piece insertion portion has a shape cut in a direction of the long side portion,
Wherein the engaging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has a shape incised in the direction of the short si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 삽입부는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의 단면을 상기 장변부 방향으로 양분하고, 상기 결합편은 상기 양분된 결합편 삽입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upling piece insertion portion bisects the end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side portion, and the coupling piece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nested coupling piece insertion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제2 전극 단자의 단면을 상기 단변부 방향으로 양분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양분된 결합돌기 삽입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bisects the end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in the direction of the short side port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nested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respectivel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은 상기 장변부 방향으로 긴 종횡비를 갖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단변부 방향으로 긴 종횡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ngagement piece has a long aspect ratio in the long side direction,
And the engaging projection has a long aspect ratio in the direction of the short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는 상기 탄성부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s bar is symmetrically formed around the elastic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의 결합부는 상기 제, 제2 전극 단자의 삽입부에 억지 끼움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us bar is assemb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erminals.
KR1020150108140A 2015-07-30 2015-07-30 Battery pack KR201700145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140A KR20170014555A (en) 2015-07-30 2015-07-30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140A KR20170014555A (en) 2015-07-30 2015-07-30 Battery pa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555A true KR20170014555A (en) 2017-02-08

Family

ID=58154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140A KR20170014555A (en) 2015-07-30 2015-07-30 Battery p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455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396A (en) * 2018-03-12 2019-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oupling structure between busbar and electrode lead,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CN112421164A (en) * 2020-11-18 2021-02-26 西安电子科技大学芜湖研究院 Battery module fast assembly and quick heat radiation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396A (en) * 2018-03-12 2019-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oupling structure between busbar and electrode lead,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CN112421164A (en) * 2020-11-18 2021-02-26 西安电子科技大学芜湖研究院 Battery module fast assembly and quick heat radiation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9166B2 (en) Optimization module suppression system
EP3734709A1 (en) Battery pack
KR102330872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EP2690684B1 (en) Battery cell holder having connection reliabilit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JP5242171B2 (en) Battery cartridge connection system for battery modules
EP2919296A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CN108963123B (en) Battery cell securing assembly and method
KR20100036992A (en) Battery connection device
CN103367686A (en) Battery module
US20200044211A1 (en) Drawer-type battery pack
KR20150033783A (en) Battery module having holder
KR20150031095A (en) Battery pack
JP2013098032A (en) Connection structure of voltage detection terminal
US20150140380A1 (en) Battery module equipped with sensing modules having improved coupling structure
KR20160103846A (en) Battery pack
KR102331726B1 (en) Battery module
KR20140123693A (en) Battery Pack
KR20170028069A (en) Battery module
KR20160139807A (en) Battery pack
KR101783333B1 (en) Terminal for module
KR20170014555A (en) Battery pack
US10461300B2 (en) Battery Module
KR20210026947A (en) Connector
KR20200068593A (en) Battery module including connector having bidirectional coupling structure
US11133553B2 (en) Battery p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