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2354A - 엘리베이터의 문턱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문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2354A
KR20170012354A KR1020167035751A KR20167035751A KR20170012354A KR 20170012354 A KR20170012354 A KR 20170012354A KR 1020167035751 A KR1020167035751 A KR 1020167035751A KR 20167035751 A KR20167035751 A KR 20167035751A KR 20170012354 A KR20170012354 A KR 20170012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threshold
door
support member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고 야마모토
다카시 이시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문턱(10)은, 토대(12)에 고정된 제1 지지 부재(131)와, 제1 지지 부재(131)에 고정된 제1 표면 부재(132)가 별도의 부재로 되어 있으며, 토대(12)에 고정된 제2 지지 부재(141)와, 제2 지지 부재(141)에 고정된 제2 표면 부재(142)가 별도의 부재로 되어 있다. 또, 제1 표면 부재(132)는, 문턱(10)의 일방의 상면을 형성하는 일방의 상판부와, 문턱 홈(11)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판부와, 일방의 상판부와 저판부와의 사이를 연결하고 문턱 홈(11)의 일방의 측면을 형성하는 일방의 측판부를 가지며, 제2 표면 부재(142)는, 문턱(10)의 타방의 상면을 형성하는 타방의 상판부와, 타방의 상판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되고 문턱 홈(11)의 타방의 측면을 형성하는 타방의 측판부를 가지고 있다. 게다가, 타방의 측판부와 저판부와의 사이에는, 도어 패널(5)의 하부에 마련된 빠짐 방지구(8)가 삽입되는 공간(21)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문턱{ELEVATOR THRESHOLD}
본 발명은, 출입구(예를 들면 승강장 출입구 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 등)의 하부에 마련되며, 문턱 홈이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문턱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하부에 마련한 슈(shoe)가 문턱의 레일 홈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어의 하부에 걸림 브라켓을 마련하고, 걸림 브라켓의 선단이 삽입되는 걸림 홈을 레일 홈의 내측벽에 마련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및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표 제2011-520737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표 제2012-502865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2에 나타내어져 있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에서는, 레일 홈의 내측벽에 걸림 홈을 마련한 문턱이 단일재(單一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문턱의 재료가 예를 들면 압출 가공 또는 인발(引拔) 가공 등이 곤란한 재료인 경우, 단일재로부터 예를 들면 절삭(切削) 가공 또는 굽힘 가공 등에 의해서 문턱을 제조하지 않으면 안되어, 문턱의 제조가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도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문턱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문턱은, 도어 패널을 포함하는 도어의 이동에 의해서 개폐되는 출입구의 하부에 마련되며, 도어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문턱 홈이 형성되고, 문턱 홈의 폭방향 양측에 일방 및 타방의 상면이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문턱으로서, 토대(土台), 및 토대에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 문턱 부재를 구비하며, 제1 문턱 부재는, 토대에 고정된 제1 지지 부재와, 제1 지지 부재와 별도의 부재로 되어 있으며, 제1 지지 부재에 고정된 제1 표면 부재를 가지고, 제2 문턱 부재는, 토대에 고정된 제2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와 별도의 부재로 되어 있으며, 제2 지지 부재에 고정된 제2 표면 부재를 가지며, 제1 및 제2 표면 부재 중, 일방은, 일방의 상면을 형성하는 일방의 상판부(上板部)와, 문턱 홈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판부(底板部)와, 일방의 상판부와 저판부와의 사이를 연결하고 문턱 홈의 일방의 측면을 형성하는 일방의 측판부(側板部)를 가지고, 타방은, 타방의 상면을 형성하는 타방의 상판부와, 타방의 상판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되고 문턱 홈의 타방의 측면을 형성하는 타방의 측판부를 가지며, 타방의 측판부와 저판부와의 사이에는, 도어 패널의 하부에 마련된 빠짐 방지구(具)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문턱에 의하면, 타방의 측판부와 저판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빠짐 방지구가 걸리는 것에 의해, 도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표면 부재의 각각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고, 문턱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출입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승강장 문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승강장 도어 및 승강장 문턱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승강장 문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출입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1에서는, 승강로 내로부터 보았을 때의 승강장 출입구 장치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면에서, 각 층의 승강장에는, 승강로와 승강장과의 사이를 연통하는 승강장 출입구(1)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출입구(1)의 상부에는, 승강로의 내벽면에 고정된 행거 케이스(2)가 배치되어 있다. 행거 케이스(2)에는, 승강장 출입구(1)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도어 레일(3)이 지지되어 있다. 도어 레일(3)에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4)가 걸려져 있다.
각 승강장 도어(4)는, 도어 레일(3)에 의해 안내되면서, 승강장 출입구(1)의 폭방향을 따라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승강장 출입구(1)는, 각 승강장 도어(4)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개폐된다.
각 승강장 도어(4)는, 도어 패널(5)과, 도어 패널(5)의 상부에 고정된 도어 행거(6)와, 도어 패널(5)의 하부에 고정되고 도어 패널(5)의 폭방향에 대해 서로 떨어져 배치된 한 쌍의 도어 가이드 슈(shoe)(7)와, 도어 패널(5)의 하부에 고정되어 한 쌍의 도어 가이드 슈(7) 사이에 배치된 빠짐 방지구(具)(8)를 가지고 있다.
도어 행거(6)는, 복수의 행거 롤러(9)를 가지고 있다. 각 승강장 도어(4)는, 복수의 행거 롤러(9)를 도어 레일(3) 상에 놓는 것에 의해 도어 레일(3)에 걸려져 있다. 각 승강장 도어(4)가 승강장 출입구(1)의 폭방향을 따라서 이동될 때에는, 각 행거 롤러(9)가 도어 레일(3) 상에서 전동(轉動)된다.
승강장 출입구(1)의 하부에는, 승강장의 바닥에 고정된 승강장 문턱(10)이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문턱(10)에는, 상부로 개방된 문턱 홈(11)이 각 승강장 도어(4)의 이동 방향(즉, 승강장 출입구(1)의 폭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출입구 장치는, 행거 케이스(2), 도어 레일(3), 승강장 도어(4) 및 승강장 문턱(10)을 가지고 있다.
문턱 홈(11)에는, 도어 가이드 슈(7) 및 빠짐 방지구(8)가 삽입되어 있다. 각 승강장 도어(4)는, 도어 가이드 슈(7) 및 빠짐 방지구(8)를 문턱 홈(11)에 삽입한 채로, 승강장 출입구(1)의 폭방향을 따라서 이동된다.
승강로 내의 엘리베이터 칸(도시하지 않음)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에 의해서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는,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도어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폭방향을 따라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는,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개폐된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바닥에 고정된 엘리베이터칸 문턱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문턱에는, 상부로 개방된 문턱 홈이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이동 방향(즉,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폭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는, 도어 패널과, 도어 패널의 상부에 고정된 도어 행거와, 도어 패널의 하부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 칸 문턱의 문턱 홈에 삽입된 도어 가이드 슈를 가지고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는, 도어 가이드 슈를 엘리베이터 칸 문턱의 문턱 홈에 삽입시킨 채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폭방향을 따라서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는, 엘리베이터 칸이 각 층 중 어느 하나에 정지했을 때에 승강장 출입구(1)에 대향한다. 엘리베이터 칸이 각 층 중 어느 하나에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승강장 도어와 걸리면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승강장 출입구(1)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동시에 개폐된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승강장 문턱(10)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승강장 문턱(10)의 상면은, 문턱 홈(11)을 경계로 하여 서로 이웃하는 일방 및 타방의 상면(10a, 10b)으로 나누어져 있다. 즉, 승강장 문턱(10)에는, 일방 및 타방의 상면(10a, 10b)이 문턱 홈(11)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일방의 상면(10a)이 문턱 홈(11)으로부터 보아 승강장측에 형성되고, 타방의 상면(10b)이 문턱 홈(11)으로부터 보아 승강로측에 형성되어 있다.
승강장 문턱(10)은, 승강장의 바닥에 고정된 토대(土台)인 기초 플레이트(12)와, 기초 플레이트(12)에 각각 마련된 제1 문턱 부재(13) 및 제2 문턱 부재(14)를 가지고 있다. 기초 플레이트(12), 제1 문턱 부재(13) 및 제2 문턱 부재(14)의 각각의 단면 형상은, 승강장 출입구(1)의 폭방향(승강장 문턱(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승강장 문턱(10)의 어느 위치에서도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기초 플레이트(12)는, 수평하게 배치된 수평판부(121)를 가지고 있다. 제1 문턱 부재(13) 및 제2 문턱 부재(14)는, 수평판부(121)의 상면에 문턱 홈(11)의 폭방향에 대해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2 문턱 부재(14)의 대부분이 제1 문턱 부재(13)보다도 승강로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문턱 부재(13)는, 수평판부(121)의 상면에 고정된 제1 지지 부재(131)와, 제1 지지 부재(131)에 고정된 제1 표면 부재(132)를 가지고 있다. 제1 지지 부재(131), 제1 표면 부재(132) 및 기초 플레이트(12)는, 서로 별도의 부재로 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131)는, 수평판부(121)의 상면에 겹쳐지는 제1 겹침판부(131a)와, 제1 겹침판부(131a)의 상부에 배치된 제1 받이판부(131b)와, 제1 겹침판부(131a)와 제1 받이판부(131b)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세로판부(131c)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예에서는, 제1 지지 부재(131)의 단면 형상이, 제2 문턱 부재(14)에 개방부를 향한 대략 C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제1 겹침부(131a)의 폭치수가 제1 받이판부(131b)의 폭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게다가, 이 예에서는, 제1 지지 부재(131)가 1매의 금속판을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131)는, 제1 겹침판부(131a)가 체결구(締結具)(예를 들면 나사 또는 볼트 등)에 의해 수평판부(121)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기초 플레이트(12)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131)는, 제1 겹침판부(131a)를 수평판부(121)에 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것에 의해 기초 플레이트(12)에 고정해도 괜찮다.
제1 표면 부재(132)는, 제1 받이판부(131b) 상에 겹쳐지고 승강장 문턱(10)의 일방의 상면(이 예에서는, 승강장측의 상면)(10a)을 형성하는 일방의 상판부(132a)와, 상판부(132a)보다도 하부에 위치하고 문턱 홈(11)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판부(132d)와, 상판부(132a)와 저판부(132d)와의 사이를 연결하고 문턱 홈(11)의 일방의 측면(이 예에서는, 승강장측의 측면)을 형성하는 일방의 측판부(132b)와, 문턱 홈(11)으로부터 보아 제1 지지 부재(131)보다도 먼 외측(이 예에서는, 승강장 측)에서 상판부(132a)로부터 하부로 돌출되고 제1 세로판부(131c)과 겹쳐지는 일방의 외판부(外板部)(132c)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표면 부재(132)는, 제1 지지 부재(131)를 덮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표면 부재(132)가 1매의 금속판을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의장성이 뛰어나고 압출 가공 또는 인발 가공이 곤란한(즉, 융점이 높은) 스테인리스강 또는 구리 합금(예를 들면 브라스(brass)(황동) 등)이, 제1 표면 부재(132)를 구성하는 재료로 되어 있다. 게다가, 이 예에서는, 상판부(132a) 및 외판부(132c)가 제1 지지 부재(131)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외판부(132c)가 제1 세로판부(131c)에 체결구(예를 들면 나사 또는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는 것에 의해, 제1 표면 부재(132)가 제1 지지 부재(131)에 고정되어 있다.
저판부(132d)는, 제1 겹침판부(131a)와 겹쳐져 있다. 즉, 수평판부(121)에는, 제1 겹침판부(131a) 및 저판부(132d)가 차례로 겹쳐져 있다. 저판부(132d) 및 제1 겹침판부(131a)는, 체결구(예를 들면 나사 또는 볼트 등)에 의해 수평판부(121)에 한꺼번에 체결되어 있다.
제2 문턱 부재(14)는, 수평판부(121)의 상면에 고정된 제2 지지 부재(141)와, 제2 지지 부재(141)에 고정된 제2 표면 부재(142)를 가지고 있다. 제2 지지 부재(141), 제2 표면 부재(142) 및 기초 플레이트(12)는, 서로 별도의 부재로 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141)는, 수평판부(121)의 상면에 겹쳐지는 제2 겹침판부(141a)와, 제2 겹침판부(141a)의 상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제2 받이판부(141b)와, 각 제2 받이판부(141b)의 각각 제2 겹침판부(141a)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세로판부(141c)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제2 받이판부(141b)는, 제2 문턱 부재(14)의 폭방향에 대해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세로판부(141c)는, 제2 겹침판부(141a)의 폭방향 양단부에 세워서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예에서는, 제2 지지 부재(141)의 단면 형상이, 개방부를 상부로 향한 대략 U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제2 지지 부재(141)가 1매의 금속판을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141)는, 제2 겹침판부(141a)가 체결구(예를 들면 나사 또는 볼트 등)에 의해 수평판부(121)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기초 플레이트(12)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141)는, 제2 겹침판부(141a)를 수평판부(121)에 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것에 의해 기초 플레이트(12)에 고정해도 괜찮다.
제2 표면 부재(142)는, 각 제2 받이판부(141b) 상에 겹쳐지고 승강장 문턱(10)의 타방의 상면(이 예에서는, 승강로측의 상면)(10b)을 형성하는 타방의 상판부(142a)와, 상판부(142a)로부터 하부로 돌출되고 문턱 홈(11)의 타방의 측면(이 예에서는, 승강로측의 측면)을 형성하는 타방의 측판부(142b)와, 문턱 홈(11)으로부터 보아 제2 지지 부재(141)보다도 먼 외측(이 예에서는, 승강로측)에서 상판부(142a)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는 타방의 외판부(142c)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표면 부재(142)는, 제2 지지 부재(141)를 덮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제2 표면 부재(142)가 1매의 금속판을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의장성이 뛰어나고 압출 가공 또는 인발 가공이 곤란한(즉, 융점이 높은) 스테인리스강 또는 구리 합금(예를 들면 브라스(황동) 등)이, 제2 표면 부재(142)를 구성하는 재료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및 제2 표면 부재(132, 142)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이 예에서는, 상판부(142a)가 제2 받이판부(141b)에 접착제 및 체결구(예를 들면 나사 또는 볼트 등)에 의해 접착 및 체결되는 것에 의해, 제2 표면 부재(142)가 제2 지지 부재(141)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표면 부재(142)의 측판부(142b)는, 제1 표면 부재(132)의 저판부(132d)로부터 상부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측판부(142b)와 저판부(132d)와의 사이에는, 공간인 포켓(21)이 문턱 홈(11)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구(8)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패널(5)의 하부에 체결구(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고정되고 도어 패널(5)로부터 문턱 홈(11) 내에 삽입되는 장착판(81)과, 장착판(81)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문턱 홈(11) 내로부터 포켓(21)에 삽입되는 걸림부(82)를 가지고 있다. 빠짐 방지구(8)는, 걸림부(82)를 포켓(21)에 삽입한 채로 도어 패널(5)과 일체로 이동된다.
걸림부(82)는,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문턱 홈(11)의 폭방향에 대한 걸림부(82)의 치수는, 문턱 홈(11)의 폭치수(문턱 홈(11)의 일방 및 타방의 측면 사이의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승강장 문턱(10)에 대한 승강장 도어(4)의 상부로의 변위는, 걸림부(82)가 측판부(142b)에 걸리는 것에 의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각 도어 가이드 슈(7) 및 빠짐 방지구(8)가 문턱 홈(11)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문턱(10)에서는, 일방의 상면(10a), 문턱 홈(11)의 일방의 측면 및 문턱 홈(11)의 저면을 형성하는 제1 표면 부재(132)가 제1 지지 부재(131)와 별도의 부재로 되어 있고, 타방의 상면(10b) 및 문턱 홈(11)의 타방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2 표면 부재(142)가 제2 지지 부재(141)와 별도의 부재로 되어 있으며, 제2 표면 부재(142)의 측판부(142b)와 제1 표면 부재(132)의 저판부(132d)와의 사이에, 도어 패널(5)에 고정된 빠짐 방지구(8)가 삽입되는 포켓(공간)(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빠짐 방지구(8)와 측판부(142b)와의 걸림에 의해, 승강장 도어(4)가 문턱 홈(1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표면 부재(132, 142)를 제1 및 제2 지지 부재(131, 141)와는 별개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표면 부재(132, 142), 제1 및 제2 지지 부재(131, 141)의 각각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지지 부재(131, 141), 제1 및 제2 표면 부재(132, 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공하기 어려운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승강장 문턱(1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표면 부재(132, 142)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승강장 문턱(10)의 의장성이 뛰어난 재료 등의 선택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표면 부재(132, 142)는, 판을 구부려 형성되어 있으므로, 승강장 문턱(10)의 제조를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표면 부재(132, 142)를 구성하는 재료는, 의장성이 뛰어난 스테인리스강 또는 구리 합금이므로, 승강장 문턱(10)의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1 표면 부재(132)의 저판부(132d)가 제1 지지 부재(131)의 겹침판부(131a)에 겹쳐져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겹침판부(131a)의 폭치수를 짧게 하여, 저판부(132d)가 기초 플레이트(12)의 수평판부(121)에 직접 겹쳐지도록 해도 괜찮다. 이 경우, 저판부(132d)가 겹침판부(131a)를 피해 수평판부(121)에 체결구에 의해 체결된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승강장 도어(4) 및 승강장 문턱(10)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또, 도 5는, 도 4의 승강장 문턱(10)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또, 도 4 및 도 5는, 실시 형태 1에서의 도 2 및 도 3에 각각 대응하는 도면이다. 승강장 문턱(10)에는, 일방 및 타방의 상면(10a, 10b)이 문턱 홈(11)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일방의 상면(10a)이 문턱 홈(11)으로부터 보아 승강로측에 형성되고, 타방의 상면(10b)이 문턱 홈(11)으로부터 보아 승강장측에 형성되어 있다.
기초 플레이트(12) 및 제2 지지 부재(141)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또, 제1 지지 부재(131)의 구성은, 제1 겹침판부(131a)의 폭치수가 제1 받이판부(131b)의 폭치수와 거의 동일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1에서의 제1 지지 부재(131)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2 표면 부재(142)는, 각 제2 받이판부(141b) 상에 겹쳐지고 승강장 문턱(10)의 일방의 상면(이 예에서는, 승강로측의 상면)(10a)을 형성하는 일방의 상판부(142a)와, 상판부(142a)보다도 하부에 위치하고 문턱 홈(11)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판부(142d)와, 상판부(142a)와 저판부(142d)와의 사이를 연결하고 문턱 홈(11)의 일방의 측면(이 예에서는, 승강로측의 측면)을 형성하는 일방의 측판부(142b)와, 문턱 홈(11)으로부터 보아 제2 지지 부재(141)보다도 먼 외측(이 예에서는, 승강로측)에서 상판부(142a)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는 일방의 외판부(142c)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표면 부재(142)는, 제2 지지 부재(141)를 덮고 있다.
저판부(142d)는, 수평판부(121)와 겹쳐져 있다. 저판부(142d)는, 체결구(예를 들면 나사 또는 볼트 등)에 의해 수평판부(121)에 체결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2 표면 부재(142)가 1매의 금속판을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스테인리스강 또는 구리 합금(예를 들면 브라스(황동) 등)이, 제2 표면 부재(142)를 구성하는 재료로 되어 있다. 게다가, 이 예에서는, 상판부(142a)가 제2 받이판부(141b)에 접착제 및 체결구(예를 들면 나사 또는 볼트 등)에 의해 접착 및 체결되는 것에 의해, 제2 표면 부재(142)가 제2 지지 부재(141)에 고정되어 있다.
제1 표면 부재(132)는, 제1 받이판부(131b) 상에 겹쳐지고 승강장 문턱(10)의 타방의 상면(이 예에서는, 승강장측의 상면)(10b)을 형성하는 타방의 상판부(132a)와, 상판부(132a)로부터 하부로 돌출되고 문턱 홈(11)의 타방의 측면(이 예에서는, 승강장측의 측면)을 형성하는 타방의 측판부(132b)와, 문턱 홈(11)으로부터 보아 제1 지지 부재(131)보다도 먼 외측(이 예에서는, 승강장측)에서 상판부(132a)로부터 하부로 돌출되고 제1 세로판부(131c)에 겹쳐지는 타방의 외판부(132c)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표면 부재(132)는, 제1 지지 부재(131)를 덮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표면 부재(132)가 1매의 금속판을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스테인리스강 또는 구리 합금(예를 들면 브라스(황동) 등)이, 제1 표면 부재(132)를 구성하는 재료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및 제2 표면 부재(132, 142)가 동일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이 예에서는, 상판부(132a) 및 외판부(132c)가 제1 지지 부재(131)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외판부(132c)가 제1 세로판부(131c)에 체결구(예를 들면 나사 또는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는 것에 의해, 제1 표면 부재(132)가 제1 지지 부재(131)에 고정되어 있다.
제1 표면 부재(132)의 측판부(132b)는, 제2 표면 부재(142)의 저판부(142d)로부터 상부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측판부(132b)와 저판부(142d)와의 사이에는, 공간인 포켓(21)이 문턱 홈(11)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구(8)의 구성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문턱 홈(11)의 폭방향에 대한 걸림부(82)의 치수는, 문턱 홈(11)의 폭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승강장 문턱(10)에 대한 승강장 도어(4)의 상부로의 변위는, 걸림부(82)가 제1 표면 부재(132)의 측판부(132b)에 걸리는 것에 의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각 도어 가이드 슈(7) 및 빠짐 방지구(8)가 문턱 홈(11)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승강장 문턱(10)의 일방의 상면(10a), 문턱 홈(11)의 일방의 측면 및 문턱 홈(11)의 저면을 제2 표면 부재(142)가 형성하고, 승강장 문턱(10)의 타방의 상면(10b) 및 문턱 홈(11)의 타방의 측면을 제1 표면 부재(132)가 형성하도록 해도, 제1 표면 부재(132)의 측판부(132b)와 제2 표면 부재(142)의 저판부(142d)와의 사이에, 도어 패널(5)에 고정된 빠짐 방지구(8)가 삽입되는 포켓(공간)(21)을 형성할 수 있고, 승강장 도어(4)가 문턱 홈(1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표면 부재(132, 142), 제1 및 제2 지지 부재(131, 141)의 각각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지지 부재(131, 141), 제1 및 제2 표면 부재(132, 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공하기 어려운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승강장 문턱(1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표면 부재(132, 142)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승강장 문턱(10)의 의장성이 뛰어난 재료 등의 선택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표면 부재(132, 142)를 구성하는 재료가 스테인리스강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제1 및 제2 표면 부재(132, 142)를 구성하는 재료가 서로 달라도 괜찮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표면 부재(132, 142)가 판을 구부려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판을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표면 부재(132, 142)를 형성해도 좋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장 문턱(10)에 1개의 문턱 홈(11)이 마련되어 있지만, 복수개의 문턱 홈이 승강장 문턱(10)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해도, 각 문턱 홈의 일방의 측면, 타방의 측면 및 저면을 제1 및 제2 표면 부재의 조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이 승강장 문턱(10)에 적용되어 있지만, 엘리베이터 칸 문턱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괜찮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도어 패널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문턱의 문턱 홈에 형성된 포켓(공간)에 삽입되는 빠짐 방지구가 고정된다.

Claims (3)

  1. 도어 패널을 포함하는 도어의 이동에 의해서 개폐되는 출입구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문턱 홈이 형성되고, 상기 문턱 홈의 폭방향 양측에 일방 및 타방의 상면(上面)이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문턱으로서,
    토대(土台), 및
    상기 토대에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 문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문턱 부재는, 상기 토대에 고정된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별도의 부재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고정된 제1 표면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2 문턱 부재는, 상기 토대에 고정된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별도의 부재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고정된 제2 표면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표면 부재 중,
    일방은, 상기 일방의 상면을 형성하는 일방의 상판부(上板部)와, 상기 문턱 홈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판부(底板部)와, 상기 일방의 상판부와 상기 저판부와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문턱 홈의 일방의 측면을 형성하는 일방의 측판부(側板部)를 가지고,
    타방은, 상기 타방의 상면을 형성하는 타방의 상판부와, 상기 타방의 상판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문턱 홈의 타방의 측면을 형성하는 타방의 측판부를 가지며,
    상기 타방의 측판부와 상기 저판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도어 패널의 하부에 마련된 빠짐 방지구(具)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문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면 부재는, 판을 구부려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문턱.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면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는, 스테인리스강 또는 구리 합금인 엘리베이터의 문턱.
KR1020167035751A 2014-06-03 2014-06-03 엘리베이터의 문턱 KR201700123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64733 WO2015186189A1 (ja) 2014-06-03 2014-06-03 エレベータの敷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354A true KR20170012354A (ko) 2017-02-02

Family

ID=5476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751A KR20170012354A (ko) 2014-06-03 2014-06-03 엘리베이터의 문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043980A1 (ko)
JP (1) JP6165336B2 (ko)
KR (1) KR20170012354A (ko)
CN (1) CN106414303B (ko)
DE (1) DE112014006720T5 (ko)
WO (1) WO20151861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32670T3 (es) * 2014-11-27 2019-11-25 Sematic S P A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 un umbral para una puerta de ascensor y umbral
CN207986473U (zh) * 2017-12-11 2018-10-19 奥的斯电梯公司 电梯厅门***下导向总成和电梯***
CN107954300B (zh) * 2017-12-15 2024-04-16 天津市奥瑞克电梯有限公司 一种防脱落电梯厅门***
CN110482388B (zh) * 2019-09-18 2024-07-12 高宪立 一种导轨槽内置的增强型防尘地坎
US11459211B2 (en) * 2020-06-25 2022-10-04 Otis Elevator Company Narrow groove elevator doorsill
NL2026417B1 (nl) * 2020-09-07 2022-05-04 Hagen Nieman Oscar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opzetdorpel voor een lift
WO2022104084A1 (en) 2020-11-12 2022-05-19 Nationwide Architectural Metals Inc. Modular sills for elevators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CN113844994B (zh) * 2021-10-29 2023-10-24 重庆迈高电梯有限公司 一种分体式电梯地坎及电梯门板安装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0737A (ja) 2008-06-10 2011-07-21 韓国三菱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離脱防止構造
JP2012502865A (ja) 2008-09-17 2012-02-02 韓国三菱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離脱及び異物挿入防止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9167A (en) * 1955-11-25 1960-06-07 Acme Appliance Mfg Company Sliding door guide
JPS573979A (en) * 1980-06-06 1982-01-09 Tokyo Shibaura Electric Co Elevator sill
JPS5988186U (ja) * 1982-12-07 1984-06-14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用敷居
US4781270A (en) * 1987-03-02 1988-11-01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Elevator door arrangement
IT1285848B1 (it) * 1996-04-22 1998-06-24 Kone Oy Soglia per una porta di pianerottolo per un elevatore.
JPH11263565A (ja) * 1998-03-17 1999-09-2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敷居
JP2001271560A (ja) * 2000-03-24 2001-10-05 Hatsupoo Kagaku Kogyo Kk 開口部材用下枠材
DE50304283D1 (de) * 2003-01-14 2006-08-31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Schwelle für Aufzuganlage
US20060236613A1 (en) * 2004-04-22 2006-10-26 Ewing K B Thermally broken hanging panel system
KR100956924B1 (ko) * 2008-04-18 2010-05-11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IT1395871B1 (it) * 2009-10-09 2012-10-26 Wittur Spa Dispositivo antideragliamento per ante di porte di ascensori o elevatori
CN201598084U (zh) * 2009-12-31 2010-10-06 褚雪华 电梯轿门和层门的不锈钢地坎
CN103010907A (zh) * 2012-12-25 2013-04-03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电梯门扇脱轨的结构
CN203428712U (zh) * 2013-08-07 2014-02-12 杭州奥弗德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型电梯轿门和层门地坎***
ES2732670T3 (es) * 2014-11-27 2019-11-25 Sematic S P A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 un umbral para una puerta de ascensor y umbr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0737A (ja) 2008-06-10 2011-07-21 韓国三菱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離脱防止構造
JP2012502865A (ja) 2008-09-17 2012-02-02 韓国三菱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離脱及び異物挿入防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6720T5 (de) 2017-02-23
US20170043980A1 (en) 2017-02-16
CN106414303A (zh) 2017-02-15
CN106414303B (zh) 2018-08-28
WO2015186189A1 (ja) 2015-12-10
JPWO2015186189A1 (ja) 2017-04-20
JP6165336B2 (ja)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2354A (ko) 엘리베이터의 문턱
KR20100101411A (ko)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CN113574003A (zh) 电梯的门装置
JP4694503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KR101784701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장치
KR100926956B1 (ko) 엘리베이터의 외부도어 이탈방지구조
JP6439423B2 (ja) 車両用リアドア
KR101851251B1 (ko) 자동문의 안내 레일장치
JP6026633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689242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920675B2 (ja) エレベータの幕板組立体およびリニューアルエレベータの新設幕板の取付方法
EP3231759A1 (en) Elevator landing door assembly and elevator system
JP5951813B1 (ja) 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
KR20190079019A (ko) 문짝용 이동브라켓
JP6249284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JP6088353B2 (ja) エレベーター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
JP695692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
EP3929135A1 (en) Narrow groove elevator doorsill
JP7435858B1 (ja) 乗場ドア
JP5458930B2 (ja) ドア装置
JP5344428B2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3150564U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
JP2010023984A (ja) エレベータの戸装置
JP2015168497A (ja) エレベータ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
CN111032559B (zh) 电梯层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77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29

Effective date: 2019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