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001A -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with a detachably mountable secondary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with a detachably mountable secondary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001A
KR20170009001A KR1020150100277A KR20150100277A KR20170009001A KR 20170009001 A KR20170009001 A KR 20170009001A KR 1020150100277 A KR1020150100277 A KR 1020150100277A KR 20150100277 A KR20150100277 A KR 20150100277A KR 20170009001 A KR20170009001 A KR 20170009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auxiliary display
display device
screen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2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27504B1 (en
Inventor
박진우
박재용
최진호
Original Assignee
박진우
최진호
박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우, 최진호, 박재용 filed Critical 박진우
Priority to KR1020150100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504B1/en
Publication of KR20170009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0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5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detachable secondary display, to protect the mobile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which can be operated by touch. The protective case comprises: a base cover which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to be detachable; a hinge member which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cover to swivel-rotate or tilt-rotate; a secondary display device which is connected to the hinge member to configure a mirroring or division screen b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and swivel-rotates or tilt-rotates with respect to the mobile device; and an attachment/detachment member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hinge member and the secondary display, and allows the secondary display device to be detached from or attached to the mobile device. Accordingly, there is provided a secondary display device having the functions of swivel rotation and angle-adjustment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simply protecting an expensive mobile device and expressing a different design by the existing protective case, thereby providing a smart use environment suitable for sharing the screen of a mobile device with many people, working with documents, games, and the like, as well as the protective function of a mobile device.

Description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with a detachably mountable secondary display de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detach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와 같은 모바일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추가 장착하는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기기와 연동하는 보조디스플레이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스위블 회전 및 디스플레이 시야 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on case for protect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on case for detachably attaching a secondary display device, And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detach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adapted to adjust a display viewing angle.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과 같은 모바일기기는 고가의 제품으로서 외부 충격에 따른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케이스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re expensive products, and protection cases are widely used to prevent damage or damage due to external impact.

기존의 보호케이스는 모바일기기의 전체를 감싸면서 특히 표시화면을 볼 때 전면 커버를 열어 사용하고 보지지 않을 때 닫아 모바일기기 표시화면을 보호한다.The existing protective case wraps the entire mobile device and protects the mobile device display by closing the front cover when not in use, especially when viewing the display screen.

이러한 보호케이스의 전면커버 내측에는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또는 명함 등을 보관하도록 되어 있으며, 거울 등이 부착된 보호케이스 제품도 개시되어 있다.Inside the front cover of the protective case, a credit card, a traffic card, a business card or the like is stored, and a protective case with a mirror or the like is also disclosed.

그리고, 전면커버 전체가 도전성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일부 영역에만 투시창이 마련되어 전면커버를 닫은 상태에서도 터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보호케이스 제품도도 출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Also, a protective case product in which a front cover as a whole is made of a conductive transparent material or a transparent window is provided in only a part of the front cover so that the touch operation can be performed even when the front cover is closed is also widely used.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보호케이스는 주로 개인 혼자서만 표시화면의 내용을 볼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영화나 동영상 또는 인터넷 서핑을 두명 이상 하는 경우 모바일기기의 표시화면의 내용을 함께 보는데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Such various types of protection cases are mainly inconvenient for viewing contents of a display screen of a mobile device, especially when two or more persons are watching movies, videos, or surfing the Internet because the contents of the display screen can be seen only by a person alone.

예컨대 태블릿 PC(7인치 내지 10인치)와 같은 모바일기기를 주로 많이 사용하는 보험설계사나 기술 영업하는 사람들의 경우 태블릿pc는 화면을 터치 조작하면서 고객에게 영업 내용을 보여 주기가 불편하여 활용도가 높지 않은 상황이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insurance designer or a technology salesman who mainly uses a mobile device such as a tablet PC (7 to 10 inches), the tablet PC is not utilized because it is inconvenient to display the business contents to the customer while touching the screen It is a situation.

또한, 모바일기기를 통해 다양한 교육관련 컨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화면의 내용을 보면서 터치식으로 글씨를 표시화면에 직접 작성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작은 화면 내에 글씨 등을 기재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학습효과가 낮아 교육 관련 컨텐츠를 충분히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using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the mobile device, there is a case where the text is directly written on the display screen while touching the contents while viewing the contents of the screen. There was a limit to fully utilizing educational contents.

그리고,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게임이나 동영상 등을 할 때 모바일기기의 표시화면을 보고 하게 되는데, 이때 전략 시물레이션 게임이나 RPG 온라인 게임을 하는 경우 게임화면과 조작화면이 표시화면에 동시에 표시될 수 밖에 없어 게임 조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게임 화면을 제대로 보지 못하게 되어 게임을 통한 흥미가 반감되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process of using a smartphone, when a game or a video is displayed, the display screen of the mobile device is displayed. At this time, when a strategic simulation game or an RPG online game is performed, the game screen and the operation screen can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the game is difficult and the game screen is not properly viewed and the interest through the game is halved.

또한, 테블릿PC의 화면을 옆사람이나 전방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볼 때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cumbersome problem when viewing the tablet PC's screen with people next to or in front of them.

그리고, 태블릿PC에 장착되는 유선 또는 무선키보드는 필요에 따라 분리시켜 테블릿PC만 사용할 수 있으나, 듀얼 모니터 기능을 제공할 수 없고, 유,무선 키보드에 대해 태블릿PC가 스위블 회전되지 않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사용자와 화면 내용을 공유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the wired or wireless keyboard mounted on the tablet PC can be used only by the tablet PC, it can not provide the dual monitor function, and since the tablet PC is not swiveled with respect to the wired and wireless keyboard, As such, there was a limit to sharing screen content with other user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244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8244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1306호Korean Patent No. 10-0841306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전면커버에 스위블 및 시야각도 조절 가능한 힌지부재를 구비하고, 이 힌지부재에 모바일기기와 연동하는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여 보호케이스 베이스커버에 수납되거나 장착되는 모바일기기와 연동시켜 모바일기기의 화면 내용을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미러링 또는 분할시켜 표시하도록 하고, 힌지부재와 보조디스플레이 사이에는 착탈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보호케이스의 주요 역할인 모바일기기의 손상 또는 파손 방지는 물론 듀얼 화면을 통해 게임이나 각종 동영상을 볼 때 보다 다양한 형태로 감상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보조디스플레이장치와 모바일기기를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having a hinge member capable of swiveling and a viewing angle on a front cover of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and having an auxiliary display device interlocked with the mobile device on the hinge member, The display contents of the mobile device are mirrored or divided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so as to be displayed and the detachable member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hinge member and the auxiliary display to prevent damage or breakage of the mobile device,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detach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which can be viewed in various forms when viewing a game or various moving pictures through a dual screen and can be used separately from a secondary display device and a mobile device as needed .

본 발명은 교육 관련 컨텐츠를 이용할 때 교육내용의 화면을 전면커버의 보조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모바일기기의 화면에는 학습내용을 필기하여 메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고, 다양한 게임의 화면을 조작부와 게임내용을 분할시켜 표시하고 보조디스플레이를 분리시켜 다른 사용자와 함께 화면 내용을 공유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실감나는 게임과 학습을 할 수 있는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ducation-related contents are used, the screen of the education contents is displayed on the secondary display of the front cover, and the learning contents can be memoriz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And to provide a protection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detach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capable of dividing a game content into separate parts and separating the auxiliary display and sharing screen contents with other users .

본 발명은 전면커버와 베이스커버의 틸트 각도를 일자형 또는 예각, 직각, 둔각 형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detach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tilt angle of a front cover and a base cover in a straight shape or an acute angle, a right angle and an obtuse angle.

본 발명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는 터치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모바일기기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커버; 상기 베이스커버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미러링 또는 분할화면을 구성하며 모바일기기에 대해 틸트 회전하는 보조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힌지부재와 보조디스플레이장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상기 모바일기기와 분리 또는 장착하는 착탈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detach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includes a base cover detachably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A hinge me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ase cover; An auxiliary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hinge member and configured to form a mirroring or split screen b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and tilted relative to the mobile device; And a detachabl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hinge member and the auxiliary display unit to separate or mount the auxiliary display unit from the mobile unit; And a control unit.

상기 보조디스플레이는 내부에는 상기 모바일기기와 근거리통신을 위한 박막형 무선통신모듈 또는 슬림한 두께의 배터리 및 제어회로부가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display may optionally include a thin-film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or a battery and control circuit portion of a slim thickness.

상기 힌지부재는 베이스커버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모바일기기와 포개진 상태의 ∠0°부터 ∠180°범위 내에서 전,후 방향의 틸트 시야각을 설정하기 위한 틸트각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member may include a tilt angle adjust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se cover to set a tilt angle of view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in a range of angle ∠0 ° to angle ∠180 ° with the mobile device in a collapsed state .

상기 틸트각도조절부는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모바일기기와 일자를 유지한 상태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180°범위 내에서 상기 모바일기기와 삼각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tilt angle adjus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 triangular shape with the mobile device within a range of 180 degrees in a backward direction from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maintains a straight line with the mobile device.

상기 힌지부재에는 상기 베이스커버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상기 모바일기기를 기준으로 ∠180°범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위블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swivel rotation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se cover for rotating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in a range of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obile device.

상기 모바일기기에는 디스플레이부와 보조디스플레이장치에 분할화면 또는 미러링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may include an application for displaying a divided screen or a mirrored screen on the display unit and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상기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에 표현되는 표시화면을 터치 조작하기 위한 콘트롤조작부 또는 터치패드부 또는 키보드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A control unit, a touch pad unit, or a keyboard unit for touching a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auxiliary display unit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device.

상기 베이스커버는 모바일기기의 배터리커버를 대신해서 상기 모바일기기 배면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커버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베이스커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대응하여 탈착 가능한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base cover i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in place of the battery cover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base cover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projection, which is detachab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engaging groov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 화면에는 터치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에 표현되는 표시화면은 모바일기기에 내장된 기울기센싱 기능에 의해 자동으로 화면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auxiliary display device screen may further include a touch operation unit, and the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unit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by a tilt sensing function built in the mobile device.

상기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와 보조디스플레이장치 화면 크기는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디스플레이화면 크기보다 보조디스플레이장치 화면크기가 더 크게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커버에는 웨이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auxiliary display unit of the mobile device may be the same or may be larger than the display screen size, and the base cover may include a weight member.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착탈부재 일측에는 감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모바일기기는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와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와의 개폐 유무 또는 보조디스플레이장치와 착탈부재와의 착탈 유무를 감지부재가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provided with a sensing member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or the detachable member and the mobile device detects whether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device are opened or closed or whether the detachable member is detached from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The display unit or the auxiliary display unit can be selectively operated.

본 발명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스위블 및 틸트 가능한 힌지부재에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케이스에 수납되거나 장착되는 모바일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기기의 화면 내용을 미러링 또는 분할시켜 스위블 회전과 각도조절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detach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vel and tiltable hinge member provided at one side of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and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display device, The screen contents of the mobile device can be mirrored or divided so as to be displayed in various forms through swivel rotation and angle adjustment.

또한, 힌지부재와 보조디스플레이장치 사이에 구비되는 착탈부재를 통하여 필요에 따라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분리시켜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어 영업 사원이나 학습 유저 및 게임 유저 등이 사용하기에 매우 활용도가 높다.Further,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can be separated and used in various forms through a detachabl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hinge member and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so that it is highly utilized for salespeople, learning users, and game users.

특히, 보호케이스 전면커버에 유기발광소자(아몰레드) 또는 투명디스플레이소자와 같은 보조디스플레이소자를 추가적으로 장착함으로써 보호케이스와 장착되는 모바일기기의 다양한 컨텐트 화면을 미러링 또는 듀얼 방식으로 화면 구성을 할 수 있어 영화, 교육 등의 동영상 시청이나 RPG게임 등을 할 때 매우 유용하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기기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Particularly, by additionally attaching an auxiliary display element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MOLED) or a transparent display element to the protective case front cover, it is possible to mirror the various contents screens of the protective case and the mobile apparatus to be mounted, It is very useful when watching videos such as movies, education, and RPG games. It also provide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mobile devices through various applications.

스위블회전이 180도와 360도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옆 사람이나 전방이 있는 사람들과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화면 내용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swivel rotation can be rotated by 180 degrees and 360 degrees,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share the contents of the display screen with people next to each other or people with the front.

또한, 보조디스플레이 화면에 주요 문서 내용이나 게임화면을 미러링 시켜 놓고 모바일기기 화면에는 문자 입력 터치 자판이나 게임 조작키 등을 모바일기기 화면에 표시하여 터치 키보드 입력이나 게임 조작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블루투스 키보드 없이도 문서 입력이나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보조디스플레이와 모바일기기를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document content or the game screen is mirrored on the secondary display screen and the character input touch panel or the game operation key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by touching the keyboard or game operation, You can enter documents or play games, and you can use the secondary display and mobile device separately.

또한, 보조디스플레이는 외부 디지털기기 등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기기의 화면 내용을 미러링 또는 분할시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두 개의 표시화면을 통해 게임이나 동영상을 보다 다양한 형태로 시청할 수 있으며, 특히 교육 관련 컨텐츠를 이용할 때 전면커버의 보조디스플레이에 교육 내용을 표시하고 모바일기기 화면에 학습내용을 필기하여 반복학습 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ary display can be wired or wirelessly linked to an external digital device to display the contents of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in a mirrored or divided manner to display a game or a moving picture in various forms through two display screens.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contents of training on the secondary display of the front cover when the contents are used and repeatedly learn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thereby maximizing the learning effect.

또한, RPG 온라인 모바일 게임 등 다양한 게임을 할 때에도 조작부와 게임내용을 두 개의 화면에 게임화면과 조작화면으로 분할시켜 표시함으로써 보다 실감나는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playing various games such as an RPG online mobile game, it is possible to enjoy a more realistic game by dividing the operation part and the game content into two screens, a game screen and an operation screen.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존의 보호케이스가 단순히 고가의 모바일기기를 보호하고 색다른 디자인을 연출하는 기능 외에 스위블회전 및 각도조절 기능과 착탈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기기의 보호 기능은 물론 모바일기기의 화면을 여러 사람과 공유하거나 학습 문서작업 게임 등에 적합한 스마트 이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condary display device capable of swiveling and adjusting a swivel and an angle, as well as a function of protecting an expensive mobile device and designing an unusual desig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art use environment suitable for sharing a screen with various people or playing a game for learning a documen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use case of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detach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detach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additio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use case of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detach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detach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mbodiments of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detach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는 터치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모바일기기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커버; 상기 베이스커버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미러링 또는 분할화면을 구성하며 모바일기기에 대해 틸트 회전하는 보조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힌지부재와 보조디스플레이장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상기 모바일기기와 분리 또는 장착하는 착탈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detach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includes a base cover detachably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A hinge me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ase cover; An auxiliary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hinge member and configured to form a mirroring or split screen b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and tilted relative to the mobile device; And a detachabl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hinge member and the auxiliary display unit to separate or mount the auxiliary display unit from the mobile unit; And a control unit.

상기 보조디스플레이는 내부에는 상기 모바일기기와 근거리통신을 위한 박막형 무선통신모듈 또는 슬림한 두께의 배터리 및 제어회로부가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display may optionally include a thin-film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or a battery and control circuit portion of a slim thickness.

상기 힌지부재는 베이스커버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모바일기기와 포개진 상태의 ∠0°부터 ∠180°범위 내에서 전,후 방향의 틸트 시야각을 설정하기 위한 틸트각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member may include a tilt angle adjust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se cover to set a tilt angle of view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in a range of angle ∠0 ° to angle ∠180 ° with the mobile device in a collapsed state .

상기 틸트각도조절부는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모바일기기와 일자를 유지한 상태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180°범위 내에서 상기 모바일기기와 삼각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tilt angle adjus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 triangular shape with the mobile device within a range of 180 degrees in a backward direction from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maintains a straight line with the mobile device.

상기 힌지부재에는 상기 베이스커버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상기 모바일기기를 기준으로 ∠180°범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위블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swivel rotation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se cover for rotating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in a range of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obile device.

상기 모바일기기에는 디스플레이부와 보조디스플레이장치에 분할화면 또는 미러링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may include an application for displaying a divided screen or a mirrored screen on the display unit and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상기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에 표현되는 표시화면을 터치 조작하기 위한 콘트롤조작부 또는 터치패드부 또는 키보드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A control unit, a touch pad unit, or a keyboard unit for touching a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auxiliary display unit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device.

상기 베이스커버는 모바일기기의 배터리커버를 대신해서 상기 모바일기기 배면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커버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베이스커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대응하여 탈착 가능한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base cover i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in place of the battery cover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base cover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projection, which is detachab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engaging groov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

상기 베이스커버는 모바일기기를 감싸는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모바일기기 분리형 배터리커버를 대신하여 모바일기기후면에 조립되는 배터리커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base cover may be formed as a case enclosing the mobile device, or may be configured as a battery cover that is assembled to the back of the mobile device instead of the mobile device detachable battery cover.

상기 베이스커버와 보조디스플레이장치는 스위블 회전과 각도 조절 가능한 힌지부재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에 따라 힌지부재 내부에 모바일기기로부터 보조디스플레이로 표시화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연성회로가(예: 플렉시블케이블)이 힌지부재를 관통하여 착탈부재에 유선상으로 연결되고 보조디스플레이장치와 착탈부재는 커넥터단자로 접촉되어 모바일기기가 유선 방식을 연결될 수 있다.The base cover and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re connected by a swivel rotation and angle adjustable hinge member so that a flexible circuit (e.g., a flexible cable) for providing display scree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to the auxiliary display within the hinge member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the detachable member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or terminal through the hinge member so that the mobile device can be connected in a wired manner.

상기 베이스커버 내측 또는 일측 가장자리에는 연결회로의 단부에 연결된 커넥터단자가 마련되어 베이스커버에 모바일기기를 장착할 때 모바일기기 후면에 마련되는 접속단자와 회로적으로 연결되게 하여 보조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고 표시화면 내용을 미러링할 수 있다.A connector terminal connected to an end of the connection circuit is provided at an inner side or an edge of the base cover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display when the mobile device is mounted on the base cover in a circuit connection with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obile device, The screen contents can be mirrored.

그리고, 보조디스플레이장치 후면에 박막형태의 무선통신모듈을 장착하고 힌지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 및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여 본인의 모바일기기와 연동하게 하거나 다른 사람의 디지털기기와도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미러링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thin-film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mounted on the back side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unit and the power supply are supplied through the hinge unit, so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n be interlocked with the user's mobile device, Can be configured.

필요에 따라 보조디스플레이장치 후면에 두께가 슬림하고 넓은 면적의 보조배터리를 장착하여 모바일기기 사용과 무관하게 보조모니터로 사용하게 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need, a slim and wide area secondary battery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secondary display devic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secondary monitor regardless of the use of mobile devices.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 화면에는 터치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에 표현되는 표시화면은 모바일기기에 내장된 기울기센싱 기능에 의해 자동으로 화면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auxiliary display device screen may further include a touch operation unit, and the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unit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by a tilt sensing function built in the mobile device.

상기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와 보조디스플레이장치 화면 크기는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디스플레이화면 크기보다 보조디스플레이장치 화면크기가 더 크게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커버에는 웨이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auxiliary display unit of the mobile device may be the same or may be larger than the display screen size, and the base cover may include a weight member.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착탈부재 일측에는 감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모바일기기는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와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와의 개폐 유무 또는 보조디스플레이장치와 착탈부재와의 착탈 유무를 감지부재가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provided with a sensing member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or the detachable member and the mobile device detects whether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device are opened or closed or whether the detachable member is detached from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The display unit or the auxiliary display unit can be selectively oper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베이스커버 20: 힌지부재
21: 스위블조절부 22: 틸트각도조절부
30: 보조디스플레이장치
40: 배터리 41: 제어회로부
50: 모바일기기 51: 디스플레이부
60: 착탈부재 100: 보호케이스
10: base cover 20: hinge member
21: swivel adjuster 22: tilt angle adjuster
30: Secondary display device
40: battery 41: control circuit
50: mobile device 51: display part
60: detachable member 100: protective case

Claims (11)

터치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모바일기기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커버;
상기 베이스커버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미러링 또는 분할화면을 구성하며 모바일기기에 대해 틸트 회전하는 보조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힌지부재와 보조디스플레이장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상기 모바일기기와 분리 또는 장착하는 착탈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A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a mobile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capable of touch operation,
A base cover detachably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A hinge me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ase cover;
An auxiliary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hinge member and configured to form a mirroring or split screen b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and tilted relative to the mobile device; And
A detachabl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hinge member and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to separate or mount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from the mobile device;
And a detach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detach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디스플레이는 내부에는 상기 모바일기기와 근거리통신을 위한 박막형 무선통신모듈 또는 슬림한 두께의 배터리 및 제어회로부가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display selectively includes a thin-film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or a battery and a control circuit portion of a slim thickn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베이스커버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모바일기기와 포개진 상태의 ∠0°부터 ∠180°범위 내에서 전,후 방향의 틸트 시야각을 설정하기 위한 틸트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inge member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se cover and includes a tilt angle adjusting unit for setting a tilt viewing angl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in an angle range of from 0 deg. To 180 deg. Wherein the protective case has a detach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각도조절부는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모바일기기와 일자를 유지한 상태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180°범위 내에서 상기 모바일기기와 삼각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maintains a triangular shape with the mobile device within a range of 180 degrees in a rear direction from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maintains the position with the mobile device. Protective case for machi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에는 상기 베이스커버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상기 모바일기기를 기준으로 ∠180°범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위블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inge member further comprises a swivel rotation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se cover for rotating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in a range of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obile device, With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에는 디스플레이부와 보조디스플레이장치에 분할화면 또는 미러링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bile device includes an application for displaying a divided screen or a mirrored screen on the display unit and the auxiliary display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에 표현되는 표시화면을 터치 조작하기 위한 콘트롤조작부 또는 터치패드부 또는 키보드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the touch pad unit, or the keyboard unit for selectively touching the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auxiliary display unit is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device by the application. Protective case for machi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커버는 모바일기기의 배터리커버를 대신해서 상기 모바일기기 배면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커버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베이스커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대응하여 탈착 가능한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cover is coupled to the back of the mobile device instead of the battery cover of the mobile device,
Wherein the base cover is formed with an engaging protrusion that is detachable at an inner edge of the base cover in correspondence with an engaging groove formed on a back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 화면에는 터치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에 표현되는 표시화면은 모바일기기에 내장된 기울기센싱 기능에 의해 자동으로 화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screen further includes a touch operation unit,
Wherein the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unit is automatically switched by a tilt sensing function built in the mobil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와 보조디스플레이장치 화면 크기는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디스플레이화면 크기보다 보조디스플레이장치 화면크기가 더 크게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커버에는 웨이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size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are the same size or the size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with a device.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착탈부재 일측에는 감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모바일기기는 상기 보조디스플레이장치와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와의 개폐 유무 또는 보조디스플레이장치와 착탈부재와의 착탈 유무를 감지부재가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 sensing memb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display device or the detachable member,
The mobile device selectively operates the display unit or the auxiliary display unit depending on whether the auxiliary display unit and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device are opened or closed or whether the detachable member is detached from the auxiliary display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achable auxiliary display device.
KR1020150100277A 2015-07-15 2015-07-15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with a detachably mountable secondary display device KR1024275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277A KR102427504B1 (en) 2015-07-15 2015-07-15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with a detachably mountable secondary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277A KR102427504B1 (en) 2015-07-15 2015-07-15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with a detachably mountable secondary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001A true KR20170009001A (en) 2017-01-25
KR102427504B1 KR102427504B1 (en) 2022-08-02

Family

ID=5799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277A KR102427504B1 (en) 2015-07-15 2015-07-15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with a detachably mountable secondary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504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1745A (en) * 2019-07-08 2019-11-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Foldable terminals equipment
WO2020017711A1 (en) * 2018-07-17 2020-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0209444A1 (en) * 2019-04-11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auxiliary device coupled thereto
WO2021006391A1 (en) * 2019-07-10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auxiliary device coupled thereto
WO2021006390A1 (en) * 2019-07-10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auxiliary device coupled thereto
WO2021006392A1 (en) * 2019-07-10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device and assistance device attached to same
KR20210041928A (en) * 2019-10-08 2021-04-16 홍정윤 A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WO2021112290A1 (en) * 2019-12-05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auxiliary device coupled theret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501A (en) * 2004-03-19 2005-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Sliding type mobile phone
KR100841306B1 (en) 2002-12-26 200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ultiple display
KR20100125927A (en) * 2009-05-22 2010-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switching in portable terminal
KR20120130415A (en) * 2011-05-23 2012-12-03 둘툰 주식회사 Case Exchangeable Display Auxiliary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KR20130082443A (en) 2010-06-07 2013-07-19 타거스 그룹 인터내셔널, 인크.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essori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20130131749A (en) * 2012-05-24 2013-1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ual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359267B1 (en) * 2012-12-31 2014-02-07 김삼녀 Functional smart phone case
KR20150071091A (en) * 2013-12-17 2015-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Protection case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306B1 (en) 2002-12-26 200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ultiple display
KR20050093501A (en) * 2004-03-19 2005-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Sliding type mobile phone
KR20100125927A (en) * 2009-05-22 2010-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switching in portable terminal
KR20130082443A (en) 2010-06-07 2013-07-19 타거스 그룹 인터내셔널, 인크.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essori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20120130415A (en) * 2011-05-23 2012-12-03 둘툰 주식회사 Case Exchangeable Display Auxiliary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KR20130131749A (en) * 2012-05-24 2013-1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ual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359267B1 (en) * 2012-12-31 2014-02-07 김삼녀 Functional smart phone case
KR20150071091A (en) * 2013-12-17 2015-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Protection case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711A1 (en) * 2018-07-17 2020-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528056B2 (en) 2018-07-17 2022-12-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0209444A1 (en) * 2019-04-11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auxiliary device coupled thereto
CN110401745A (en) * 2019-07-08 2019-11-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Foldable terminals equipment
CN110401745B (en) * 2019-07-08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Folding terminal device
WO2021006391A1 (en) * 2019-07-10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auxiliary device coupled thereto
WO2021006390A1 (en) * 2019-07-10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auxiliary device coupled thereto
WO2021006392A1 (en) * 2019-07-10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device and assistance device attached to same
KR20210041928A (en) * 2019-10-08 2021-04-16 홍정윤 A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WO2021112290A1 (en) * 2019-12-05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auxiliary device coupled there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504B1 (en)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9001A (en)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with a detachably mountable secondary display device
US2007011520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dual view displays
US9451818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case convertible to upright stand
US6437974B1 (en) Freestanding electronic presentation system
US91187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displaying content on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US8766921B2 (en) Apparatus cover with keyboard
JP6033866B2 (en) Wearable device having input / output structure
US20200341515A1 (en) Advanced Laptop Hardware and Software Architecture
EP35009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case magnets
US20130170110A1 (en) Prop stand and protective case structure for electronic product
US97533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on transparent screen
KR101728845B1 (en) Display device, packaging box, and packaging device
KR102158297B1 (en) Protective cases for smart devices with a rotating swivel and tilt angle adjustable secondary display device
US9753293B2 (en) Three-dimensional (3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comprising a two-dimensional (2D) display terminal, light-splitting device, and transflective device
US9720308B2 (en) Electronic device
KR101579887B1 (en)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with a secondary display
US9733504B2 (en) Mobile computer with a detachable frame
US11528820B2 (en) Low profile computer support
USD607035S1 (en) Portable front projection screen
KR20150009065A (en) Cover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8371704B1 (en) Display unit with movable filter
TWI585464B (en) Expansion display device and expansion display system
KR101278626B1 (en) Partition display
KR20130120835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hologram image
CN113271807A (en) Protective cov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