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760A - Multimedia device - Google Patents

Multimedia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760A
KR20170006760A KR1020150097905A KR20150097905A KR20170006760A KR 20170006760 A KR20170006760 A KR 20170006760A KR 1020150097905 A KR1020150097905 A KR 1020150097905A KR 20150097905 A KR20150097905 A KR 20150097905A KR 20170006760 A KR20170006760 A KR 20170006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multimedia device
unit
no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6984B1 (en
Inventor
박재영
홍현정
이지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7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984B1/en
Publication of KR20170006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7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9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2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identification purposes, e.g. storing user identification data, preferences, personal settings o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ultimedi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dedicated for a user in a standby mode.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for entering a standby mode when the multimedia device is turned off; a notifi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a broadcasting station, an external device, and an external server when the multimedia device enters a standby mode; a sensing unit for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user an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user when the multimedia device enters the standby mode; and a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activates a part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recognized user corresponds to the preset user and the obtaine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distance value based on the obtained user information and displays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user among the collected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activated partial area.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MULTIMEDIA DEVICE}[0001] MULTIMEDIA DEVICE [0002]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edia device.

TV는 점차 방송 수신 기능을 넘어 컴퓨터 지원 기능,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됨으로써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에는, 댁 내의 전자 제품과 정보통신 기기들 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환경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댁 내의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정보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TV is gradually being implemented in the form of multimedia device with complex functions by adding computer support function and internet function beyond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In recent years, home network environment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home electronic product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come increasingly common, and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to users in the hom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대기 모드의 상태일 때 사용자 별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medi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when a multimedia device is in a standby mode.

또한, 또 다른 목적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온 상태일 때 사용자 별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medi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user-specific information when the multimedia device is on.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오프되면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제어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대기 모드로 진입한 경우, 방송국, 외부 디바이스 및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집하는 알림 정보 수집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대기 모드로 진입한 경우,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사용자에 대응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의 값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고, 상기 수집된 알림 정보 중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상기 활성화된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media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enters a standby mode when the multimedia device is turned off; and a control unit that, when the multimedia device enters the standby mode, A sensing unit for acquir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servers and a sensing unit for acquir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user when the multimedia device enters the standby mode; The control unit activates a part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recognized user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user based on the acquired user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to the obtained user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distance value , And for the recognized user among the collected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activated partial area.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부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방송 신호의 수신이 완료된 후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동일한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다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다시 센싱하고, 상기 다시 센싱된 사용자의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와 다른 경우,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가 기 설정된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되도록 제어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media device including: a receiver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ideo data of a broadcast program included in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A sensing unit for sensing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senses information of a user viewing the broadcast program while video data of the broadcast program is displayed, And when the video data of the same broadcast program as that of the broadcast program is displayed again through the display unit after the reception of the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program is completed, Sensing again If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gain sensed is different from the information of the user stored in the memory, a signal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is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대기 모드의 상태일 때 사용자 별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media device that allows the multimedia device to provide user-specific custom information when the multimedia device is in the standby mo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온 상태일 때 사용자 별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media device that can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for each user when the multimedia device is on.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알림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UI가 출력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사용자 별 알림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사용자의 거리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알림 정보를 계속하여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이미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참조하여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별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통해 댁내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remote controller UI for controlling no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a multimedia device is output to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per-user notification information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per-user notification information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per-user notification information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ethod of continuously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of a user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a multimedia device and a user when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is displayed on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per-user notification information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outpu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by referring to information obtained from an image of a user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per-user notification information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5 and 1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on a user basis, based on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us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a home electronic device through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watch, a smart glass, 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hav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 digital signage, and the like, will b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1, a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ler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a mobile terminal, so that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server 100. [ Lt; RTI ID = 0.0 > wireless < / RTI >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 video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 audio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 touch key, a mechanical key, and the like).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by a user's control command.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sensor, a gyroscope sensor, a motion sensor, an RGB sensor, an infrared sensor, a finger scan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microphone 226, a battery gauge, an environmental sensor (for example, a barometer, a hygrometer, a thermometer, a radiation detection sensor, A thermal sensor, a gas sensor, etc.),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f the sensors.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an acoustic output unit 152, a haptic tip module 153, and a light output unit 154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can do. The display unit 151 may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may be integrally formed to realize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60 is connected to a device having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 / O port, a video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the mobile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terface unit 160, it is possible to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on the mobile terminal 100, data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lso, at least a part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the basic functions (e.g., telephone call receiving function, message receiving function, and calling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be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180 to perform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 unit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180 may process or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or may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to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특정 계좌를 이용한 거래를 위한 보안 정보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1A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FIG. Further, the control unit 180 may be configured to, as security information for transaction using at least a specific account among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wo or more can be combined and operated.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to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n internal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to implement a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A.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wo or more broadcast receiving modules may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simultaneous broadcast reception or broadcast channel switching for at least two broadcast channels.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 방송방식, 예를 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기 기술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broadcasting signal may be encod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echnical standar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igital broadcasting signal (or a broadcasting system, for example, ISO, IEC, DVB, ATSC, etc.)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digital broadcasting signal using a method conforming to the technical standard defined by the technical standards.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or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or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hat uses technology standards or a communication method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an external terminal, or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stablished according to a long term evolution (e. G., Long Term Evolution-Advanced).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ly attach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wireless signal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ireless LAN (WLAN), wireless 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113 transmit and receive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for performing a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used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by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or LTE- May be understood as a ki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wireless area networks,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 And the other mobile terminal 100 (or the external server).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short-rang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other mobile terminal 100 may be a wearable device (e.g., a smartwatch, a smart glass, etc.) capable of interchanging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detect (or recognize)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around the mobile terminal 100. [ If the detected wearable device is a device authenticated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transmit at least a part of the data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short- 114 to the wearable device. Therefore, the user of the wearable device can use the data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wearable device. For example, according to this, when a telephone is receiv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user performs a telephone conversation via the wearable device, or when a message is receiv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t is possible to check the message.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position (or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or a Wireless Fidelity (WiFi) module.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utilizes the GPS module, it can acquire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utilizes the Wi-Fi module, it can acquire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information of a wireless access point (AP) that transmits or receives the wireless signal with the Wi-Fi module. Optionall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may perform any of the other function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obtain data relating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or alternativel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used to obtain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s not limited to a module that directly calculates or obtains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Next, the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image information (or signal), audio information (or signal), data, or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For inputting image information, Or a plurality of cameras 121 may be provided.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or stored in the memory 170. [ A plurality of cameras 121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rranged to have a matrix structure and various angles or foci may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camera 121 having the matrix structure A plurality of pieces of image information can be input.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ameras 121 may be arranged in a stereo structure to acquire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for realizing a stereoscopic image.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processes the external acoustic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utilized variously according to a function (or a running appli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Meanwhile, the microphone 122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23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nd when the information is input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3, the control unit 18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 The user input unit 123 may include a mechanical input means (or a mechanical key such as a button located on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dome switch, a jog wheel, Jog switches, etc.) and touch-type input means. For example, the touch-type input means may comprise a virtual key, a soft key or a visual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rough software processing, The virtual key or the visual key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ith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virtual key or the visual key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 An icon, a video, or a combination thereof.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Meanwhile, the sensing unit 140 sens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sensing signal.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driving 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may perform data processing, function or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based on the sensing signal. Representative sensors among various sensor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First, the proximity sensor 141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the presence of an object in the vicinity of the detection surface, without mechanical contact by using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area of the mobile terminal or in proximity to the touch screen, which is covered by the touch screen.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141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In the case where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the proximity sensor 141 can be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object with a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object having conductivity.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or touch sensor) itself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object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n proximity with no object touching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an object on the screen is called a "contact touch. &Quot; The position at which the object is clos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object corresponds to the touch screen vertically when the object is touched. The proximity sensor 141 can detect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have. Meanwhile, the control unit 180 processes data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sensed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141 as described above, and further provides vis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data It can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80 can control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that different operations or data (or information) are processed according to whether the touch to the same point on the touch screen is a proximity touch or a touch touch .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The touch sensor uses a touch (or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r the display unit 151) by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ance film type, a capacitive type, an infrared type, an ultrasonic type, Detection.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screen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an area, a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a capacitance at the time of touch, and the like where a touch object touching the touch screen is touched on the touch sensor. Here, the touch object may be a finger, a touch pen, a stylus pen, a pointer, or the like as an object to which a touch is applied to the touch sensor.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Thus,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Thus, the control unit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or the like. Here, the touch controller may be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control unit 180, and may be the control unit 180 itself.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80 may perform different controls or perform the same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ouch object touching the touch screen (or a touch key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Whether to perform different controls or to perform the same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ouch objec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an appli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uch sensors and the proximity sensors discussed above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o provide a short touch (touch), a long touch, a multi touch, a drag touch ), Flick touch, pinch-in touch, pinch-out touch, swipe touch, hovering touch, and the like. Touch can be sensed.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The ultrasonic sensor can recogniz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be sensed by using ultrasonic waves. Meanwhile, the controller 180 can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wave generating source through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optical sensor and the plurality of ultrasonic sensors. The position of the wave sourc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fact that the light is much faster than the ultrasonic wave, that is, the time when the light reaches the optical sensor is much faster than the time the ultrasonic wave reaches the ultrasonic sensor.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wave generating sourc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time difference with the time when the ultrasonic wave reaches the reference signal.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camera 121 includes at least one of a camera sensor (for example, a CCD, a CMOS, etc.), a photo sensor (or an image sensor), and a laser sensor.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The camera 121 and the laser sensor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sense a touch of the sensing object with respect to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The photosensor can be laminated to the display element, which is adapted to scan the movement of the object to be detected proximate to the touch screen. More specifically, the photosensor mounts photo diodes and TRs (Transistors) in a row / column and scans the contents loaded on the photosensor using an electrical signal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applied to the photo diode. That is, the photo sensor performs coordinate calculation of the object to be sen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nge of light,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be sensed can be obtained through the calculation.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by the mobile terminal 100 or UI (User Interface) a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as a stereoscopic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In the stereoscopic display unit, a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such as a stereoscopic system (glasses system), an autostereoscopic system (no-glasses system), and a projection system (holographic system) can be applied.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Generally, 3D stereoscopic images consist of left image (left eye image) and right image (right eye image). A top-down method of arranging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in one frame according to a method in which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are combined into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A checker board system in which pieces of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are arranged in a tile form, a left-to-right (right-side) Or an interlaced method in which row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a time sequential (frame-by-frame) method in which right and left images are alternately displayed in time.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들이 합쳐짐에 따라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3D thumbnail image may generate a left image thumbnail and a right image thumbnail from the left image and right image of the original image frame, respectively, and may be generated as one image as they are combined. In general, a thumbnail means a reduced image or a reduced still image. The left image thumbnail and the right image thumbnail generated in this way are displayed on the screen with a difference of the left and right distance by the depth corresponding to the parallax between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thereby exhibiting a stereoscopic spatial feeling.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기준시점의 영상과 확장시점의 영상)을 입력 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설정하거나, 2D 영상을 입력 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The left and right images necessary for realizing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stereoscopic display unit by the stereoscopic processing unit. The stereoscopic processing unit receives a 3D image (an image at a reference time point and an image at an expansion point), sets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therefrom, or receives a 2D image and converts it into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7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unit 152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audio output unit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haptic module 153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3 may be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haptic module 153 can be controlled by the user's selection or the setting of the control unit. For example, the haptic module 153 may synthesize and output different vibrations or sequentially output the vibrations.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53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a pin arrangement vertically moving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spray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the air through the injection port or the suction port, a touch on the skin surface, And various tactile effects such as an effect of reproducing a cold sensation using an endothermic or exothermic element can be generated.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53 can transmit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direct contact, and the tactile effect can be felt by the user through the muscles of the finger or arm. The haptic module 153 may include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3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The light output unit 154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using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message reception, call signal reception, missed call, alarm, schedule notification, email reception, information reception through an application, and the like.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54 is implemented as the mobile terminal emits light of a single color or a plurality of colors to the front or rear surface. The signal output may be terminated by the mobile terminal detecting the event confirmation of the user.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6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equipped with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 audio I / O port, a video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60.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60. [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And various command signals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various command signals or the power source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7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and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moving picture, etc.). The memory 170 may store data on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ted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The memory 17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solid state disk type, an SDD type (Silicon Disk Drive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memory,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the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70 on the Internet.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oper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and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For example, when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meets a set condition, the control unit 180 can execute or release a lock state for restricting input of a user's control command to applications.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performs control and processing related to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all, or the like, or performs pattern recognition processing to recognize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 Further,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ny one or a plurality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the battery may be an internal battery configured to be chargeabl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for charging or the like.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n interface 160 through which an external charger for supplying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is electrically connected.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in a wireless manner without using the connection port.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use at least one of an inductive coupling method based on a 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a magnetic resonance coupling method based on an electro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Power can be delivered.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네트워크 TV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된 장치이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HBBTV(Hybrid Brodacast Broadband Television),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HDMI 2.0 버전을 지원하는 HDMI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The multimedia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an intelligent network TV that adds a computer support function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For example,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correspond to a network TV, a smart TV, a Hybrid Brodacast Broadband Television (HBBTV), an Internet TV, a Web TV, an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n addition,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include an HDMI port that supports the HDMI 2.0 versio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수신부(2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 메모리(240)(저장부), 디스플레이부(280), 오디오 출력부(286), 전원 공급부(290), 제어부(27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 센싱부(23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카메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multimedia device 200 includes a receiving unit 205,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5, a memory 240 (storage unit), a display unit 280, an audio output unit 286, a power supply unit 290, 270, a user interface unit 250, a sensing unit 237,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not shown).

수신부(205)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210), 복조부(2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수신부(205)는 튜너(210)와 복조부(220)는 구비하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또한, 수신부(205)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중화부(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튜너(210)를 거쳐 복조부(220)에서 복조된 신호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거쳐 수신된 신호를 다중화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수신부(205)는 역시 도시되진 않았으나, 역다중화부(de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상기 복조된 신호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거친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205 may include at least one tuner 210, a demodulating unit 220,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230. However, the receiving unit 205 may include the tuner 210 and the demodulating unit 220, but may not include the network interface unit 230, or vice versa. The receiving unit 205 may include a multiplexer to multiplex the signal demodulated by the demodulation unit 220 and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230 through the tuner 210, You may.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receiving unit 205 may include a demultiplexer to demultiplex the multiplexed signals or demultiplex the demodulated signals or the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230 .

튜너(2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튜너(210)는,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 혹은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한다.The tuner 210 tunes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ll pre-stored channels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receives RF broadcast signals. Also, the tuner 210 converts the received RF broadcast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signal or a baseband signal.

예를 들어, 수신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2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2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2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receiv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If the received RF broadcast signal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CVBS / SIF). That is, the tuner 210 can process both a digital broadcast signal and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 / SIF) output from the tuner 210 can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ler 270.

또한, 튜너(210)는, 싱글 캐리어(single carrier) 또는 멀티플 캐리어(multiple carrier)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2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로 튜닝 및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신호(DIF: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or baseband signal)로 변환할 수 있다.Also, the tuner 210 can receive RF broadcast signals of a single carrier or a multiple carrier. Meanwhile, the tuner 210 sequentially tunes and receives RF broadcast signals of all the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the channel memory function among the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converts the RF broadcast signals into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s or baseband signals (DIF: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or baseband signal).

복조부(220)는, 튜너(2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채널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2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거나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demodulation unit 220 may receive and demodulate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210 and perform channel decoding. For this, the demodulator 220 may include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 Reed-Solomon decoder, or a convolution decoder, a deinterleaver, - Solomon decoder and the like.

복조부(2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The demodulation unit 220 can demodulate and decode the channel, and output the stream signal TS. At this tim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or a data signal is multiplexed.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S (Transport Stream)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or the like.

복조부(2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2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280)를 통해 영상을, 오디오 출력부(285)를 통해 음성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220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270. The control unit 270 controls demultiplexing,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through the display unit 280 and audio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28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5 provides an interface environment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various external devices.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5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 디바이스, 카메라, 캠코더(Camcorder), 컴퓨터(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 블루투스 디바이스(Bluetooth device), 클라우드(Cloud)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 등과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는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미지, 영상, 음성 등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로 전달한다. 제어부(270)는 처리된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5 may be a digital versatile disk (DVD), a Blu-ray,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notebook), a tablet PC, a smart phone, device,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loud, or the lik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5 transmits a signal including data such as image, image, and voice input through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The control unit 270 may control the processed image, video, audio, and the like to be output to an external device to which the data signal is connected.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5 may further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V 입/출력부는,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 / V input / output unit includes a USB terminal, a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CVBS)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S-video terminal (analog), and a video signal input terminal so that video and audio signals of an external device can be input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 A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d the like.

무선 통신부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부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 및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모듈의 기능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digital device.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be, for example, a WLAN (Wireless LAN), a Wi-Fi (Wireless-Fidelity) ,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be a concept including the function of at least one of the configuration module of the network interface 23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5,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는, 셋톱-박스(STB)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톱-박스(STB)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Als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5 may be connected to the set-top box STB through at least one of the various terminals described above to perform input / output operations with the set-top box STB.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는, 인접하는 외부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application list)을 수신하여, 제어부(270) 또는 메모리(240)로 전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5 may receive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list in an adjacent external device, and may transmit the received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to the control unit 270 or the memory 2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230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multimedia device 200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unit 230 may include an Ethernet terminal or the like for connection to a wired network and may be a WLAN (Wireless LAN) (Wi- 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nd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ommunication standard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디지털 디바이스에,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230 can transmit or receive data to another user or another digital device via the network to which it is connected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transmit some content data stored in the multimedia device 200 to another user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multimedia device 200 or a selected one of the other digital devices or a selected digital device.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트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트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firmware)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interface unit 230 can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the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That is, it is possible to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network and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the server. In addition,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may be received. That is, it can receive content and related information of a movie, an advertisement, a game, a VOD, a broadcast signal, and the like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provider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it can receive update information and an update file of firmware provided by the network operator. It may also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network operator.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230 can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application from the open applications through the network.

메모리(240)는, 제어부(2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memory 240 may store a program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in the control unit 270, and may store signal 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s.

또한, 메모리(2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2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40 may also function to temporarily store video, audio, or data signal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5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230. The memory 240 may stor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메모리(2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40 may store a list of applications or application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5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230. [

또한, 메모리(24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240 may store various platforms to be described later.

메모리(2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메모리(2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240)는 제어부(270) 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The memory 24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an SD or XD memory Etc.), RAM (RAM), ROM (EEPROM, etc.), and the like.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reproduce and provide a content file (a moving image file, a still image file, a music file, a document file, an application file, etc.) stored in the memory 240 to a us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emory 240 may be included and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27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70)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The user interface unit 250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270 or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70 to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270)의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unit 250 receives control signals such as power on / off, channel selection, and screen setting from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n RF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Or may transmit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section 270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실시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는, 리모트 컨트롤러일 수도 있고, 도 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 단말기(100)일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device may be a remote controller or the mobile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치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70)에 전달할 수 있다.Also, the user interface unit 250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to the controller 27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센싱(sensing)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50)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160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sensing unit (not shown) that senses a gesture of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270 or transmit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50 to a sensing unit (Not shown). Here, 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touch sensor, an audio sensor, a position sensor, an operation sensor, and the like.

제어부(270)는, 튜너(210), 복조부(2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generates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by de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a stream input through the tuner 210, the demodulating unit 220,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5 And can output.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하여 외부 출력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27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28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 In addition,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2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235.

제어부(270)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may include a demultiplexing unit, an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like.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튜너(2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튜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70 may control the tuner 210 to control tuning of a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 previously stored channel.

제어부(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 내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may control the multimedia device 200 by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250. [ In particular, the user can access a network and allow a user to download a desired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into the multimedia device 200.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2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2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280) 또는 오디오 출력부(2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270 controls the tuner 210 to input a signal of a selected channe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hannel selection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250. And processes video, audio or data signals of the selected channel. The control unit 270 allows the display unit 280 or the audio output unit 285 to output the video or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user through the channel information or the like selected by the user.

다른 예로, 제어부(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280) 또는 오디오 출력부(2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27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5 according to the external device video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250. For example, , So that a video signal or a voice signal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280 or the audio output unit 285.

한편, 제어부(2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2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27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280 to display an image. For example, a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210, an external input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5, an image inpu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23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unit 280 to display the stored image. At this tim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8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또한, 제어부(270)는, 컨텐트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트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 내에 저장된 컨텐트,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트일 수 있다. 컨텐트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270 can control to reproduce the content. The content at this time may be content stored in the multimedia device 200, received broadcast content, or external input content input from the outside. The content may b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image, an external input image, an audio file, a still image, a connected web screen, and a document file.

한편, 제어부(2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entering the application viewing item, the control unit 270 can control to display a list of applications or applications that can be download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200 or from an external network.

제어부(27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can control, in addition to various user interfaces, to install and operate an application downloaded from an external network. Furth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unit 280 to display an image related to the executed application by the user's selection.

디스플레이부(280)는,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The display unit 280 converts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270 or an image signal and a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5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Thereby generating a driving signal.

디스플레이부(2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80 may be a PDP, an LCD, an OLED,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or the like.

한편, 디스플레이부(2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입력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unit 28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오디오 출력부(285)는, 제어부(2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2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285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270,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it as a voice. The audio output unit 285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제어부(270)로 전달될 수 있다.In order to detect the gesture of the user, a sensing unit (not shown) hav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n operation senso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multimedia device 200 . A signal sensed by a sensing unit (not show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70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250.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50)에 입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for photographing a user may be further provided.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in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50.

제어부(2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270 may sense a gesture of the user by combining the images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or the signals sensed by the sensing unit (not shown).

전원 공급부(29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90 supplies corresponding power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2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2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a control unit 270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a display unit 28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n audio output unit 285 for audio output .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2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backlight lamp)를 구비하는 액정 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동작 가능한 인버터(inverter)(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power supply unit 290 may include a converter (not shown) for converting AC power to DC power.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280 is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panel having a plurality of backlight lamps, an inverter (not shown) for PWM (Pulse Width Modulation) operation for variable luminance or dimming driving and an inverter (not shown).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 제어 장치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transmits the user input to the user interface unit 250. For this purpose, the remote control device can use Bluetooth,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infrared (IR)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or the like.

또한,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 제어 장치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Also, the remote control device can receive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250, display it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or output voice or vibration.

카메라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되거나 메모리(240)에 저장될 수 있다.The camera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80 or stored in the memory 240. [

센싱부(237)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 내 정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237)는, 근접센서, 조도 센서, 카메라,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237)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30) 및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The sensing unit 237 may sens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ultimedia device 200,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user information. The sensing unit 237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oximity sensor, a brightness sensor, a camera, and an environmental sensor (for example, a barometer, a hygrometer, a thermometer, a radiation sensor, a thermal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nsing unit 237 may include a function of at least one of the network interface unit 4230 a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5. [

상술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의 ATSC 방식 또는 DV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의 처리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be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apable of processing digital broadcasting signals of fixed or mobile type ATSC or DVB.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시된 구성 중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반대로 도시되진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술한 바와 달리, 튜너와 복조부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that omits some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device may not receive the tuner and the demodulator, and may receive and reproduce the conten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unlike the abov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mixer)(33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Frame Rate Converter)(350), 및 포맷터(formatter)(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270)는 음성 처리부와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multiplexing unit 310, an image processing unit 320, an OSD generating unit 340, a mixer 330, A frame rate converter (FRC) 350, and a formatter 360.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 unit 270 may further include a voice processing unit and a data processing unit.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MPEG-2 TS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 또는 복조부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The demultiplexer 310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For example, the demultiplexer 310 demultiplexes the input MPEG-2 TS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Here, the stream signal input to the demultiplexer 310 may be a stream signal output from a tuner, a demodulator, or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1) 및 스케일러(322)를 구비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performs imag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To this end, 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may include a video decoder 321 and a scaler 322.

영상 디코더(321)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하며, 스케일러(322)는 복호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한다.The video decoder 321 decodes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and the scaler 322 scales the decoded video signal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video signal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영상 디코더(321)는 다양한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디코더(321)는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MPEG-2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H.264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H.264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video decoder 321 may support various standards. For example, the video decoder 321 performs the function of an MPEG-2 decoder when the video signal is encoded in the MPEG-2 standard, and the video decoder 321 encodes the video signal in the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H.264 decoder.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는, 믹서(330)로 입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video signal decod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is input to the mixer 330.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각종 데이터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OSD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예를 들어, GUI),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widget), 아이콘(icon), 시청률 정보(viewing rate information)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The OSD generating unit 340 generates OSD data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by itself. For example, the OSD generation unit 340 generates data for displaying various data in the form of graphic or tex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8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user interface unit 250 . The generated OSD data includes various data such as a user interface screen (e.g., GUI)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various menu screens, a widget, an icon, and viewing rate information do. The OSD generating unit 340 may generate data for displaying broadcast information based on a caption of a broadcast image or an EPG.

믹서(33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데이터와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믹싱(mixing)하여 포맷터(360)로 제공한다. 복호된 영상 신호와 OSD 데이터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overlay) 되어 표시된다.The mixer 330 mixes the OSD data generated by the OSD generator 340 and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and provides the mixed image to the formatter 360. Since the decoded video signal and the OSD data are mixed, the OSD is overlaid on the broadcast image or the external input image.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입력되는 60Hz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주파수에 따라 예를 들어, 120Hz 또는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함으로써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기존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프레임 또는 예측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여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프레임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를 바이패스(bypass) 할 수도 있다.A frame rate conversion unit (FRC) 350 converts a frame rate of an input image. For example, the frame rate conversion unit 350 may convert the frame rate of an input 60 Hz image to have a frame rate of, for example, 120 Hz or 240 Hz according to the output frequency of the display unit.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converting the frame rate. For example, when the frame rate is changed from 60 Hz to 120 Hz, the frame rate conversion unit 350 may insert the same first fram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hree frames can be inserted. As another example, when converting the frame rate from 60 Hz to 240 Hz, the frame rate conversion unit 350 may insert and convert three or more identical or predicted frames between existing fram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frame conversion is not performed, the frame rate conversion unit 350 may be bypassed.

포맷터(3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의 출력을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경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360)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포맷터(3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의 출력이 3D 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3D 형태로 구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280)를 통해 3D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The formatter 360 changes the output of the input frame rate converter 350 to match the output format of the display unit. For example, the formatter 360 may output R, G, and B data signals. The R, G, and B data signals may be output a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s (LVDS) or mini-LVDS . If the output of the frame rate conversion unit 350 is a 3D video signal, the formatter 360 configures the 3D format according to the output format of the display unit, and outputs the 3D service through the display unit 280 It can also support.

한편, 제어부(270)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 신호가 MPEG-2, MPEG-4, AAC, HE-AAC, AC-3, BSAC 등의 포맷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구비하여 처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270 can perform the audio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audio signal. Such a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may support processing various audio formats. For example, even when a voice signal is coded in a format such as MPEG-2, MPEG-4, AAC, HE-AAC, AC-3, or BSAC, a corresponding decoder can be provided.

또한, 제어부(270)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270 can process the base, the treble, the volume control, and the like.

제어부(270) 내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를 복호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로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 종료시각 등의 방송 정보가 포함된 EPG 정보일 수 있다. 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270 can perform data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For example, the data processing unit can decode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even when it is coded. Here, the encoded data signal may be EPG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broadcasted on each channel.

한편, 상술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로서,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multimedia device 200 i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component can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specifications of a display device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if necessary,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s and devices thereof do not limit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서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4 to 17, a method for providing per-user no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a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in the multimedia device 2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A method of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오프된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하고, 대기 모드의 상태에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410).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오프되었다는 의미는, 사용자의 전원 오프 명령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전원이 오프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어떠한 전력도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대기 모드에 진입되었다는 의미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기 설정된 최소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대기 전력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최소한의 기능이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구성 모듈의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enters the standby mode when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off and collects user information in the standby mode in operation S410. The turning off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eans that the power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turned off according to the power off command of the user and does not mean that no power is supplied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 The fact that the multimedia device 200 enters the standby mode means that a standby power for maintaining the predetermined minimum function is supplied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when the power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turned off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minimum function may mean a function of the configuration module that is required for the multimedia device 200 to provide predetermined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대기 모드에 진입한 경우, 사용자의 정보 및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도록 센싱부(237)를 제어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대기 모드에 진입한 경우, 사용자의 정보 및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센싱부(237)의 부분은 활성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control the sensing unit 237 to acquire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distance to the user when the multimedia device 200 enters the standby mode. When the multimedia device 200 enters the standby mode, the portion of the sensing unit 237 required to acquire the user's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user can be kept active.

예를 들어, 센싱부(237)는, 센싱부(237)에 포함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의 얼굴을 디텍트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센싱부(237)에 포함된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디텍트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ensing unit 237 may acquire the information of the user by detecting a predetermined user's face in the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237, The information of the user can be obtained by detecting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user b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또한, 예를 들어, 센싱부(237)는, 센싱부(237)에 포함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에 포함된 기 설정된 사용자의 크기를 디텍트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센싱부(237)에 포함된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지연 시간 등을 디텍트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센싱부(237)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Also,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237 may acquire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user by detecting the size of a predetermined user included in the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237 ,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user may be obtained by detecting the intensity and delay time of a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use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237,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user may be obtained using the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the proximity sensor 237.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237)는, 댁내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보 및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댁내 전자 디바이스들을 외부 통신망과 연결해주는 디바이스로서, 댁내 전자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홈 환경 컨트롤러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사용자와의 거리 정보,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의 무선 통신부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사용자와의 거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nsing unit 237 may acquire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home gateway device (not shown). The gateway device is a device for connecting home electronic devices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serve as a home environme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home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gateway device includes information of the user / distance to the user acquired by the camera of the gateway device, information of the user acquir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gateway device / .

그리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대기 모드의 상태에서, 센싱부(237)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can recognize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unit 237 in the standby mode have.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메모리(240)는, 센싱부(237)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The memory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previously store data necessary for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obtained by the sensing unit 237. [

한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대기 모드의 상태에서, 방송국, 외부 디바이스 및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튜너(2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 센싱부(237),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방송국, 외부 디바이스 및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알림 정보의 수집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대기 모드로 진입하기 전부터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무선 통신이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외출 후 댁 내로 들어온 경우, 이동 단말기(100)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무선 통신이 연결된 기 히스토리 정보가 있으면 이동 단말기(100)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자동으로 페어링되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collect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broadcasting statio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server in the standby mode (S42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receive, via at least one of the tuner 210, the network interface unit 23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5, the sensing unit 237, It is possible to collect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a broadcasting station, an external device, and an external ser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llection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before the multimedia device 200 enters the standby mode.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receiv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present.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enters the house after going out, i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multimedia device 200 have the past history information to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multimedia device 200 Are automatically paired, and the multimedia device 200 can receive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예를 들어, 알림 정보란, 튜너(21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수신 가능한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정보, 기 설정된 외부의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부재중 전화, 미확인 문자 메시지, 일정 등에 대한 정보, 댁내 전화기로부터 수신된 부재중 전화에 대한 정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카메라 또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댁 내 방문자에 대한 정보, 기 설정된 외부의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정보,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된 날씨, 교통 등에 대한 정보, 댁내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환경 정보(Ex: 습도, 온도, 먼지 농도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수집된 알림 정보를 기 등록된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program information included in broadcast signals receivable through the tuner 210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230, missed calls received from a predetermined external mobile terminal 100, unidentified text messages, Information on a schedule, etc., information on a missed call received from a home telephone, information on a house visitor obtained by a camera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or a camera of a gateway device, information of a reception from a predetermined external mobile terminal 100 Information about weather, traffic, etc.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server,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Ex: humidity, temperature, dust concentration, etc.) transmitted from the home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divide the collected notification information into pre-registered users and store the classified information in the memory 240.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메모리(240)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통해 시청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이력 정보,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The memory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stores data necessary for recognizing the user's face, viewing history information of a broadcast program viewed by the user through the multimedia device 200,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user, And so o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사용자에 대응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의 값에 대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80)의 일부 영역을 활성화한다(S430).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recognized user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user based on the obtained user information and the obtained distance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distance value, A certain area of the display unit 280 is activated (S430).

그리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수집된 알림 정보 중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상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280)의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S440).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display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user among the collected notification information on a part of the activated display unit 280 in operation S440.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근접한 경우, 디스플레이부(280)의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사용자 별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user is close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in a state where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off, a part of the display unit 280 is activated to output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vide the power of the device 200 and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for each user.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거리 정보의 값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알림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거리 정보의 값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커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알림 정보의 양(volumn)이 적어지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거리 정보의 값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작아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알림 정보의 양이 많아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ed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obtaine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value of the obtaine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user is increas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volume of the displayed notification information becomes small, and when the value of the obtaine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user is small within a preset range The amount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may increase.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알림 정보는, 세부 정보를 확인하거나, 상기 알림 정보와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거나, 상기 알림 정보를 기 설정된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확인하기 위한 메뉴 옵션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메뉴 옵션을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세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상기 알림 정보와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기 설정된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거나, 상기 알림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확인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기 설정된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ed notifica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menu option for checking detailed information,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associated with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or confirm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It is possible.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activate the func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for verifying the detail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mand for selecting the menu option or may be required to control the external device associated with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signal to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or a signal necessary for confirm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devic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will be omitted.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오프된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센싱부(237)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제1 사용자에 대응하고 센싱부(237)에서 획득된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의 값에 대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80)의 일부 영역(501)을 활성화하고, 수집된 알림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500)를 상기 일부 영역(5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거리의 값은, 제1 사용자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내인 경우의 값을 의미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enters a standby mode when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off. The control unit 27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recogniz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obtained in the sensing unit 237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first user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user obtained in the sensing unit 237 is preset The display unit 280 activates a partial area 501 of the display unit 280 and display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among the collected no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artial area 501 . Here, the value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a valu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user and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예를 들어, 상기 일부 영역(501)에 디스플레이되는 알림 정보(500)는,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부재중 전화에 대한 정보, 댁내 전화기로부터 수신된 부재중 전화에 대한 정보, 메모리(240)에 저장된 제1 사용자의 시청 이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 중 제1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displayed in the partial area 501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missed cal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information on missed calls received from the home phone, And information on a broadcast program preferred by the first user among broadcast programs currently being broadcast, based on information on the first user's viewing history stored in the memory 240. [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상단의 노티 바(notification bar)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노티 바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일부 영역(501)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부 영역(501)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구성이 상기 노티 바 영역과 유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receiv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notification bar area at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unit 151 of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 And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oti-bar area in the partial area 501.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partial area 501 may be similar to the Notiba area.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알림 정보(500)는, 적어도 일부가 선택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부 영역(501)에 디스플레이되는 알림 정보(500)는, 알림 정보의 세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메뉴 옵션(511), 알림 정보와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 옵션(512), 알림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 옵션(513) 및 알림 정보와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 옵션(5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can be implemented so that at least some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can be selected. Specifically,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displayed in the partial area 501 includes a menu option 511 for confirm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n external device 511 related to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 menu option 513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corresponding to the announcement information and a menu option 513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external device associated with the announcement information And menu options 514 for controlling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제1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기능이 구현된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 옵션(511~514)을 선택할 수 있다.The first user can select the menu options 511 to 514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in which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remote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implemented.

일례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메뉴 옵션(511)을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부재중 전화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부재중 전화의 발신 번호, 부재중 전화의 발신자, 부재중 전화의 수신 시각 등에 대한 세부 정보를 상기 일부 영역(5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missed cal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to select the menu option 511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alling number of the missed call, the caller of the missed call, the reception time of the missed call,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in the partial area 501.

다른 일례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메뉴 옵션(512)을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부재중 전화의 발신 번호에 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1 신호가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부재중 전화의 발신 번호에 호 신호를 전송하도록 이동통신 모듈(112)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부재중 전화가 두 통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신호는, 가장 마지막에 수신된 부재중 전화에 대응하는 발신 번호,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수신된 부재중 전화에 대응하는 발신 번호 등에 대응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first signal for transmitting the call signal to the calling number of the missed call is the first user's movement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The firs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control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o transmit a call signal to the calling number of the missed call based on the first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re are two or more missed calls, the first signal may correspond to a calling number corresponding to the last missed call received, a calling number corresponding to a missed call received ov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so on.

또 다른 일례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메뉴 옵션(513)을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전력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 모드란,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전원을 온 하였을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일반적으로 구동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알림 정보(500)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채널로 튜닝하도록 튜너(210)를 제어하고, 튜너(21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switch the power mode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normal mode according to a command to select the menu option 513. [ Here, the normal mode may mean a mode in which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generally driven when the user turns on the power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controls the tuner 210 to tune the broadcasting program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to the broadcasting channel, And output the video data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program included in the signal to the display unit 280. [

또 다른 일례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메뉴 옵션(514)을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알림 정보(500)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을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시청하기 위한 제2 신호가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DMB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DMB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transmits the broadcasting program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to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first user 100 according to a command to select the menu option 514. [ )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first user. The control unit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tivates the DMB application based on the second signal, receives the video data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program through the DMB application, (151).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알림 정보(500)가 상기 일부 영역(501)에 디스플레이되는 중에, 센싱부(237)를 통해 제1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재 획득하고, 재 획득된 제1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거리의 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알림 정보(500)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일부 영역(501)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store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user through the sensing unit 237 whil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is being displayed in the partial area 501 The output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may be stopped and the partial area 501 may be deactivated if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re-acquired first user is out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valu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대기 모드의 상태에서 특정 사용자에 맞춤화된 알림 정보(500)가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된 경우, 상기 알림 정보(500)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UI가 기 설정된 이동 단말기(100)에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ultimedia device 200 output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customized to a specific user in the standby mode to the display unit 280,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The remote controller UI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related multimedia device 200 may be automatically output to the predetermined mobile terminal 100.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알림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UI가 출력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remote controller UI for controlling no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a multimedia device is output to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will be omitted.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알림 정보(500)가 디스플레이부(280)의 활성화된 일부 영역(501)에 디스플레이된 경우, 상기 알림 정보(500)에 대응하는 제1 신호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500)의 정보 및 상기 알림 정보(500)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과 관련된 리모트 컨트롤러 UI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displays a fir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whe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is displayed in the activated partial area 501 of the display unit 280 To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first user. The first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500 and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UI related to the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알림 정보(500)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과 관련된 리모트 컨트롤러 UI(60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UI(60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기능들 중 상기 알림 정보(500)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UI(60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각 기능에 대응하는 가상의 메뉴 버튼(61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메뉴 버튼(610)에는 각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의 코드값이 맵핑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ecutes the remote controller application based on the first signal and displays the remote controller UI 600 related to the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on the display unit 151). The remote controller UI 600 may be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or for controlling functions related to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among the functions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 The remote controller UI 600 may include a virtual menu button 610 corresponding to each func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Each menu button 610 may have a code value of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function mapped.

제1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리모트 컨트롤러 UI(600)를 이용하여 상기 알림 정보(500)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리모트 컨트롤러 UI(600)를 이용하여 상기 알림 정보(500) 내 메뉴 옵션들(511~514)을 선택할 수 있다.The first user can select at least a part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UI 600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of the mobile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first user can select the menu options 511 to 514 i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50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UI 600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of the mobile terminal 100 have.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리모트 컨트롤러 UI(600)를 이용하여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의 코드값을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수신된 코드값에 기초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기능에 대한 설명은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trol unit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transmit the code value of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unction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UI 600. [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can execute the corresponding function based on the received code value. The description of the functions performed in the multimedia device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per-user notification information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will be omitted.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오프된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센싱부(237)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제2 사용자에 대응하고 센싱부(237)에서 획득된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의 값에 대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80)의 일부 영역(701)을 활성화하고, 수집된 알림 정보 중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700)를 상기 일부 영역(5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enters a standby mode when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off. The control unit 27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recogniz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obtained in the sensing unit 237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second user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user obtained in the sensing unit 237 is preset If the value corresponds to the distance value, the partial area 701 of the display unit 280 is activated, and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70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among the collected no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partial area 501 .

예를 들어, 상기 일부 영역(501)에 디스플레이되는 알림 정보(700)는, 제2 사용자의 보호자인 제1 사용자의 제1 이동 단말기(100A)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 또는 제1 이동 단말기(100A)를 통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대기 모드인 상태에서 제2 사용자가 인식될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통해 기 설정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For exampl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700 displayed in the partial area 501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message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of the first user who is the protector of the second user. The first user can transmit a predetermined message via the multimedia device 200 when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in the standby mode and the second user is recognized through the multimedia device 200 or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It can be preset to output.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알림 정보(700)는, 상기 알림 정보(700)에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한 제1 사용자의 제1 이동 단말기(100A)에 전화를 연결하기 위한 메뉴 옵션(7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700 further includes a menu option 710 for connecting a telephone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of the first user who has transmitted the message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700 .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메뉴 옵션(710)을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제1 사용자의 제1 이동 단말기(100A)의 정보를 제2 사용자의 제2 이동 단말기(100B)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이동 단말기(100B)의 제어부(180)는, 상기 전송된 제1 이동 단말기(100A)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이동 단말기(100A)에 호 신호가 전송되도록 이동통신 모듈(112)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of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of the second user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to select the menu option 710,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ler 180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B transmits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so that a cal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based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A Can be controlled.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대기 모드의 상태일 때, 인식된 사용자 별로 맞춤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in the standby mode,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for each recognized us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기 설정된 사용자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내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의 시선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향하고 있지 않다면 알림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기 설정된 사용자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벗어났지만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의 시선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향하고 있다면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the predetermined user is within a preset distanc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not be provided if the predetermined user's gaze is not directed to the multimedia devic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the preset user is out of a predetermined distance but the gaze of the predetermined user is directed to the multimedia devic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per-user notification information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will be omitted.

도 8의 (a)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오프된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센싱부(237)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제2 사용자에 대응하고 센싱부(237)에서 획득된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의 값에 대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80)의 일부 영역(801)을 활성화하고,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1 정보(810)를 상기 제1 영역(8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enters a standby mode when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off. The control unit 27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recogniz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obtained in the sensing unit 237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second user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user obtained in the sensing unit 237 is preset Activates a partial area 801 of the display unit 280 and displays first information 810 indicating that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exists in the first area 801 ). ≪ / RTI >

그리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카메라를 활성화하고(실시예에 따라, 이미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도 있음),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제1 영역(801)을 향하고 있는지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제2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제1 영역(801)을 향하고 있음이 디텍트된 경우, 상기 제1 영역(801)에 인접한 제2 영역(502)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제1 영역(801) 및 제2 영역(802)에,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8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n,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activates the camera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may be already activated), and based on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1 area 801, as shown in FIG.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control the second area 502 adjacent to the first area 801 to be the second area 502 when the second user's gaze is detected to be directed toward the first area 801 And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82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can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801 and the second area 802 that are activated.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알림 정보(820)가 상기 제1 영역(801)에서부터 상기 제2 영역(802)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과 같은 시각 효과가 적용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visual effect may be applied such that the announcement information 820 is extended from the first area 801 to the second area 802 and displayed.

상기 알림 정보(820)에 대한 설명은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알림 정보(700)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notification information 820 is similar to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7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제2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제1 영역(801)을 향하고 있지 않음이 디텍트된 경우, 기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제1 영역(801)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deactivate the first area 801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the second user's eyes are not facing the first area 801, can do.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제2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제1 영역(801)을 향하고 있지 않음이 디텍트된 경우, 기 설정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285)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제2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output predetermined audio data to the audio output unit 285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second user's eyes are not facing the first area 801 ), So that the second user can be aler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통해 사용자 별 알림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multimedia device 200 operates in the normal mod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may be provided through the multimedia device 200. [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explanations of the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대기 모드가 아닌 정상 모드의 상태에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80)에 소정 컨텐트의 비디오 데이터(900)가 출력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in the normal mode, not in the standby mode, and the video data 900 of predetermined content is being output to the display unit 280.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부(280)에 비디오 데이터(900)가 출력되고 있는 중에, 센싱부(237)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제1 사용자에 대응하고 센싱부(237)에서 획득된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의 값에 대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80)의 일부 영역(901)에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1 정보(9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recognized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nsing unit 237 while the video data 900 is being output to the display unit 280, 1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to the user obtained in the sensing unit 237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value, The first information 910 can be displayed.

그리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카메라를 활성화하고(실시예에 따라, 이미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도 있음),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일부 영역(901)을 향하고 있지 않음이 디텍트된 경우, 또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일부 영역(901)을 향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 기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제1 정보(910)가 상기 일부 영역(901)에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activates the camera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may be already activated), and based on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If the time when the first user's gaze toward the partial area 901 is less than the preset time based on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is detected at a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information 910 may disappear from the partial area 901.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per-user notification information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explanations of the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will be omitted.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오프된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센싱부(237)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제1 사용자에 대응하고 센싱부(237)에서 획득된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의 값에 대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80)의 일부 영역(1001)을 활성화하고, 수집된 알림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1000)를 상기 일부 영역(5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수집된 알림 정보 중, 현재 시간, 현재 날짜 및 현재 요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enters a standby mode when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off. The control unit 27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recogniz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obtained in the sensing unit 237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first user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user obtained in the sensing unit 237 is preset When the value corresponds to the distance value, the partial area 1001 of the display unit 280 is activated and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10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among the collected no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partial area 501 . At this time,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extrac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urrent time, the current date, and the current day among the collected notification information.

일례로, 현재 요일이 평일이고 현재 시간이 제1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출근 시간에 대응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수집된 알림 정보 중 제1 사용자가 출근 전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알림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알림 정보(1000)를 상기 일부 영역(5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알림 정보(1000)는,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날씨의 정보, 제1 사용자의 오늘 하루의 일정 정보,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 오늘의 주요 뉴스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urrent day is a weekday and the current tim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work time set by the first user,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user And display the extracted announcement information 1000 in the partial area 501. [0050] FIG. That i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1000 may include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schedule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oday,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of today's major news, and the like.

다른 일례로, 현재 요일이 일요일이고 현재 시간이 오전 시간에 대응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수집된 알림 정보 중 제1 사용자가 일요일 오전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알림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알림 정보를 상기 일부 영역(5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출근 전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알림 정보, 제1 사용자가 일요일 오전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알림 정보 등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메모리(240)에 기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도 있고,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예를 들어,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f the current day is Sunday and the current time corresponds to the morning time,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notify the first user of the collected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 the extracted announcement information in the partial area 501. [0053] FI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suitable for use by the first user before going to work,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suitable for use by the first user in the morning on the morning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24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may determine based on information (for example, certai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first user.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알림 정보(1000)는, 적어도 일부가 선택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부 영역(1001)에 디스플레이되는 알림 정보(1000)는, 알림 정보의 세부 정보를 확인하거나, 알림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알림 정보와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 옵션(10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 옵션(1010)과 관련된 설명은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1000 can be implemented so that at least a part thereof is selectable. Specifically,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1000 displayed in the partial area 1001 may be configured to check detailed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E.g.,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first user).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menu option 1010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사용자 별 알림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이후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정도보다 멀어진 경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알림 정보를 계속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the user is greater than a preset distance after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is displayed on the multimedia device 200, 100) to provid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continuously.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사용자 별 알림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사용자의 거리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알림 정보를 계속하여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ethod of continuously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of a user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a multimedia device and a user when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is displayed on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1 will be omitted.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대기 모드의 상태에서,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80)의 일부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센싱부(237)를 통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사용자와의 거리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 주기적으로 계속하여 센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can outpu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user to a partial area of the display unit 280 in the standby mode. The control unit 270 may continuously sense the distance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the user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through the sensing unit 237. [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80)의 일부 영역에 출력된 알림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신호를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알림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알림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가 획득하는데 필요한 접속 정보, 획득 방법, 획득 경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the user exceeds a preset value or not,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first signal may includ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may include connec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cquisition path,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mobile terminal 100 to acquir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전송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확인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알림 메시지(111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1110 to the display unit 110 so that the user can select whether to confirm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based on the transmitted first signal 151).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알림 메시지(1110) 내 확인 메뉴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알림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51 as the confirmation menu in the notification message 1110 is selected.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통해 알림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가 댁을 벗어난 경우, 상기 알림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계속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강조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user who is provided with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out of the hom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continuously provid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thereby enhancing user convenien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출력함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사용자 간의 거리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다른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output at least part of different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the user in outputt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per-user notification information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1 will be omitted.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오프된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센싱부(237)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제1 사용자에 대응하고 센싱부(237)에서 획득된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의 값에 대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80)의 일부 영역(1201)을 활성화하고, 수집된 알림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상기 일부 영역(12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거리 정보의 값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알림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거리 정보의 값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커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알림 정보의 양(volumn)이 적어지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거리 정보의 값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작아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알림 정보의 양이 많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알림 정보는 오늘의 날씨 정보인 것으로 가정한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enters a standby mode when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off. The control unit 27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recogniz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obtained in the sensing unit 237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first user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user obtained in the sensing unit 237 is preset It is possible to activate the partial region 1201 of the display unit 280 and display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among the collected no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artial region 1201.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ed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obtained value of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value of the obtaine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user is increas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volume of the displayed notification information becomes small, and when the value of the obtaine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user is small within a preset range The amount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may increas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displayed alert information is today's weather information.

일례로, 도 12의 (a)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사용자의 거리 정보의 값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제1 기준보다 큰 경우, 제1 알림 정보(1210)를 상기 일부 영역(12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알림 정보(1210)는, 오늘의 전체 평균 날씨에 대응하는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12 (a), when the value of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user is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transmits the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1210) in the partial area (1201). The first announcement information 1210 may correspond t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oday's total average weather.

다른 일례로, 도 12의 (b)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사용자의 거리 정보의 값이 상기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기준 미만인 경우, 제2 알림 정보(1220)를 상기 일부 영역(12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알림 정보(1220)는, 오늘의 시간 대 별 세부 날씨의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12 (b), when the value of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user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within the preset range,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transmits a second notification Information 1220 can be displayed in the partial area 1201. [ The second announcement information 1220 may correspond to detailed weather information of today's time.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세부 정보를 제공하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간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distance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the user gets closer to each other, detailed information is provided, an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the user becomes longer, brief information can be provid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출력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미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outpu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by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s image in outputt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이미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참조하여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outpu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by referring to information obtained from an image of a user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2 will be omitted.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오프된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센싱부(237)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제1 사용자에 대응하고 센싱부(237)에서 획득된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의 값에 대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80)의 일부 영역(1301)을 활성화하고, 수집된 알림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1310)를 상기 일부 영역(13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수집된 알림 정보에 포함된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정보 중에서, 제1 사용자의 이미지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정보(1310)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의 이미지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내장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것일 수도 있고, 댁내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전송된 것일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enters a standby mode when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off. The control unit 27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recogniz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obtained in the sensing unit 237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first user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user obtained in the sensing unit 237 is preset When the value corresponds to the distance value, a part of the area 1301 of the display unit 280 is activated and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13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is displayed on the partial area 1301 . At this time,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extract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1310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mage of the first user among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included in the collected notification information can do. The image of the first user may be obtained by a camera built in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may be acquired by a camera provided in the home gateway device and the acquir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It may be.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현재 날씨가 비오는 날씨에 해당하고 제1 사용자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가 우산을 들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제1 사용자에게 우산을 상기시키기 위한 정보 및 현재의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1310)를 상기 일부 영역(13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오브젝트 검출 및 에지 디텍션 방법 등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이미지에서 우산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weather is rainy and the first user is not holding an umbrella based on the image of the first user, And display information 1310 including information for reminding the user and current weather information in the partial area 1301.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can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mbrella in the image of the first user by using the object detection method and the edge detection metho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알림 정보를 통해, 댁내 각 공간의 환경을 설정 및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set and control the environment of each house space through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multimedia devic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별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providing per-user notification information in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3 will be omitted.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가 오프된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센싱부(237)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제1 사용자에 대응하고 센싱부(237)에서 획득된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의 값에 대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80)의 일부 영역(1401)을 활성화하고, 수집된 알림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1400)를 상기 일부 영역(14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enters a standby mode when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off. The control unit 27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recogniz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obtained in the sensing unit 237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first user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user obtained in the sensing unit 237 is preset The display unit 280 activates a partial area 1401 of the display unit 280 and displays notification information 14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in the collected no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artial area 1401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알림 정보(1400)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센싱부(237)에서 센싱된 데이터에 기초한 환경 정보(Ex: 습도, 온도, 먼지 농도, CO2 농도 등) 또는 댁내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1400 includes environment information (Ex: humidity, temperature, dust concentration, CO 2 concentration, etc.) based on data sensed by the sensing unit 237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And may include environ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evice.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알림 정보(1400)는, 댁내 환경을 추천 환경으로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메뉴 옵션(1410)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메뉴 옵션(1410)을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댁내 환경을 기 설정된 추천 환경으로 변경하는데 필요한 제어 신호(예를 들어, 기 설정된 환경 설정 값에 대응하는 신호)를 댁내 전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메뉴 옵션(1410)을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댁내 환경을 기 설정된 추천 환경으로 변경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댁내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통해 댁내 환경을 기 설정된 추천 환경으로 변경하는데 필요한 제어 신호가 댁내 전자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도 있다. 여기서, 댁내 전자 디바이스란, 가습기, 제습기, 보일러, 공기청정기 등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1400 may include a menu option 1410 for changing the setting of the home environment to the recommended environment.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home environment to a preset recommended environment according to a command to select the menu option 1410 To the home electronic device.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transmit to the home gateway device a signal necessary to change the home environment to a predetermined recommended environment according to a command to select the menu option 1410, A control signal necessary for changing the home environment to a preset recommended environm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home electronic device. Here, the domestic electronic device may be a humidifier, a dehumidifier, a boiler, an air purifier, or the like.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알림 정보(1400)는,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댁내 공간(제1 사용자의 방)의 환경을 추천 환경 또는 제1 사용자가 선호하는 환경으로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메뉴 옵션(1420)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메뉴 옵션(1420)을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댁내 공간을 기 설정된 추천 환경 또는 기 저장된 제1 사용자의 선호 환경으로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댁내 공간에 존재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1400 includes a menu for changing the environment of the premises space (the room of the first us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to the recommended environment or an environment preferred by the first user Option 1420 may be included.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sets the home sp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to the preset recommended environment or the preference environment of the previously stored first user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to select the menu option 1420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an electronic device existing in the home sp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알림 정보(1400)는, 댁내 여러 공간의 환경 설정을 각각 변경하기 위한 GUI(14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GUI(1430)는, 댁내 여러 공간에 대한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하고, 각 공간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UI(1430)는, 각 공간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옵션(1431, 14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상기 GUI(1430) 내 메뉴 옵션(1431, 1432)을 통해, 각 공간 별로 환경을 제어하거나 환경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1400 may include a GUI 1430 for changing environment settings of various spaces in the house. For example, the GUI 1430 may include a graphic image for a plurality of spaces in a house, and may include information of a user corresponding to each space. Also, the GUI 1430 may include menu options 1431 and 1432 for setting the environment of each space. The first user can control the environment or change the environment setting value for each space through the menu options 1431 and 1432 in the GUI 143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별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stomiz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or each user based on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using the multimedia devic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and 16. Fig.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별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5 and 16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on a user basis, based on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us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수신부205)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센싱부(237)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280)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센싱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정보의 정의 및 센싱 방법은 도 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displays the video data of the broadcast program included i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205 on the display unit 280. [ Meanwhile, the sensing unit 237 senses information of a user who watches the broadcast program while the video data of the broadcast progra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80. Here, the definition and the sensing method of the user information are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센싱된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메모리(240)에 저장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방송 신호의 수신이 완료된 이후,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동일한 방송 프로그램(즉,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동일한 명칭을 갖는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1510)가 디스플레이부(280)를 통해 다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다시 센싱하고, 다시 센싱된 사용자의 정보가 메모리(2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와 다른 경우,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가 기 설정된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sensed user in the memory 240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program.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transmits the video data of the same broadcasting program as the broadcasting program (that is, the broadcasting program having the same name as the broadcasting program) after the reception of the broadcast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ing program is completed If the information of the user who is sensed is again different from the information of the user stored in the memory 24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ignal for providing the notific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일례로, 도 15의 실시예에서, 센싱부(237)에서 센싱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제1 사용자(User 1), 제2 사용자(User 2) 및 제2 사용자(User 3)가 즐겨 시청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메모리(240)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제1 사용자 내지 제3 사용자의 시청 이력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FIG. 15,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sensed by the sensing unit 237, the broadcasting program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User 1), the second user (User 2) 3). Accordingly, in the memory 240, the viewing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o the third user may be stored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program.

도 15의 (a)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다시 센싱된 사용자의 정보에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제3 사용자(User 3)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제1 신호가 상기 제3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의 (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152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림 메시지(1520)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DMB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청하기 위한 제1 메뉴 옵션(1521)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통해 녹화하기 위한 제2 메뉴 옵션(15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메뉴 옵션(1510)을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DMB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DMB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2 메뉴 옵션(1522)을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기 위한 명령어에 대응하는 신호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통해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던 사용자가 상기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에 상기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15A,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adds a third user (User 3)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user stored in the memory 240 to the information of the sensed user, The first signal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of the broadcast program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third user. Referring to FIG. 15B,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notification message 1520 inclu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broadcast program on the display unit 151 ). ≪ / RTI >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message 1520 includes a first menu option 1521 for viewing the broadcast program through the DMB application and a second menu option 1520 for recording the broadcast program through the multimedia device 200 1522 < / RTI > The control unit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ecutes the DMB application according to a command to select the first menu option 1510 and transmits the video data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program received through the DMB application to the display unit 160. [ (151). The control unit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a command for recording the broadcast program to the multimedia device 200 according to a command to select the second menu option 1522.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user who is watching a specific broadcast program through the multimedia device 200 is not viewing the specific broadcast program,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program is provided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I can do it.

다른 일례로, 도 16의 실시예에서, 센싱부(237)에서 센싱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제1 사용자(User 1) 및 제2 사용자(User 2)가 즐겨 시청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메모리(240)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시청 이력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16, the first user (User 1) and the second user (User 2) can enjoy the broadcast program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of the user sensed by the sensing unit 237 I suppose. Accordingly, in the memory 240, the viewing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may be stored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program.

도 16의 (a)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다시 센싱된 사용자의 정보에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제3 사용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메모리(240)에 저장된 사용자 별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이력 정보 중에서 상기 제3 사용자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이력 정보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시청 이력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가 상기 제3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텍트된 시청 이력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153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메시지(1530)는, 제3 사용자가 즐겨 시청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다른 채널, 다른 소스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림 메시지(1530)는, 제3 사용자가 즐겨 시청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DMB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청하기 위한 제1 메뉴 옵션(1531), 제3 사용자가 즐겨 시청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를 통해 녹화하기 위한 제2 메뉴 옵션(1532) 및 제3 사용자가 즐겨 시청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댁내 다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통해 시청하기 위한 제3 메뉴 옵션(15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A, the controller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adds information of a third user, which does not correspond to information of a user stored in the memory 240,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third user is detected from the viewing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specific broadcasting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240, and the broadcasting history information of the broadcast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viewing history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third user. Referring to FIG. 16B, the control unit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generates a notification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f a broadcast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detained viewing history information, based on the second signal 1530 on the display unit 151. [ The notification message 1530 may include information on other channels, other sources, and the like that output a broadcast program that the third user is watching.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message 1530 may include a first menu option 1531 for viewing a broadcast program that a third user enjoys through a DMB application, a broadcast program broadcasted by a third user through a multimedia device 200), and a third menu option 1533 for viewing a broadcast program that the third user may enjoy through other multimedia devices in the hom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통해 댁내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of the home electronic device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multimedia devic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통해 댁내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a home electronic device through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의 (a)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80)는 소정 컨텐트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1700)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170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중에, 센싱부(237)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컨텐트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의 시선을 디텍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A, the display unit 28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displays video data 1700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ntent. The control unit 27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viewing the predetermined content based on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237 while the video data 1700 is being displayed Can be detected.

제어부(270)는, 상기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1700)를 향하고 있던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비디오 데이터(1700)를 벗어나 댁내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조명(1710))을 향하고 있음을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눈 및 조명(1710)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조명(1710)을 향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조명(1710)으로부터 상기 비디오 데이터(1700)로 다시 이동하는 것을 디텍트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determines that the user's line of sight toward the video data 1700 is directed to the hom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light 1710) out of the video data 1700 based on the image Can be detect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70 may sense that the user's gaze is pointing at the light 1710 based on the user's eyes and lights 1710 included in the image. Then, the control unit 270 can detect that the user's line of sight is moved from the illumination 1710 to the video data 1700 again.

도 17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270)는, 사용자의 시선이 비디오 데이터(1700)에서 조명(1710)을 향해 이동한 후 다시 상기 조명(1710)에서 비디오 데이터(1700)로 이동한 경우, 상기 조명(1710)의 기능(예를 들어, 밝기 조절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GUI(172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8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GUI(1720)는, 조명(1710)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지시자(172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GUI(1710)의 지시자(1721)를 이동시킴으로써 조명(1710)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포함된 볼륨 업/다운 버튼 또는 채널 업/다운 버튼을 이용하여 조명(1710)의 밝기를 업/다운 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조명(1710)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상기 조명(1710)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7B, when the user's gaze moves from the video data 1700 toward the illumination 1710 and then from the illumination 1710 to the video data 1700, A GUI 1720 for adjusting the function (e.g., brightness control function) of the illumination 1710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80. [ The GUI 1720 may include an indicator 1721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1710. The user can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1710 by moving the indicator 1721 of the GUI 1710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capable of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multimedia device 200. [ For example, the user can up / down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1710 using a volume up / down button or a channel up / down button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ler. The control unit 270 can control so tha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1710 is transmitted to the illumination 1710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mobile terminal 100. [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조명(1710)의 밝기의 값이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180)는, 센싱부(237)에서 센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가 선호하는 밝기의 값에 따라 상기 조명(1710)의 밝기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80 of the multimedia device 200 may control the user based on the sensed data in the sensing unit 237. In this case, And may automatically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light 1710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brightness of the identified user.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대기 모드의 상태일 때 사용자 별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온 상태일 때 사용자 별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medi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for each user when the multimedia device is in a standby mode. 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media device that can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for each user when the multimedia device is on.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상술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the control unit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 단말기
200: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00: mobile terminal
200: Multimedia device

Claims (1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오프되면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제어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대기 모드로 진입한 경우, 방송국, 외부 디바이스 및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집하는 알림 정보 수집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대기 모드로 진입한 경우,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사용자에 대응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의 값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을 활성화하고, 상기 수집된 알림 정보 중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상기 활성화된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In a multimedia device,
A controller for entering a standby mode when the multimedia device is turned off;
A notifi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a broadcasting station, an external device, and an external server when the multimedia device enters a standby mode;
A sensing unit for acquiring information of the user and distance information to the user when the multimedia device enters the standby mode; And
And a display unit,
Wherein,
Activates a partial area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recognized user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user based on the acquired user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to the obtained user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distance value, And displays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user amo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activated partial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알림 정보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거리 정보의 값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달라지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ctivated partial area is at least parti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obtaine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된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알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알림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가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notifica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user according to a command to select at least one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ctivated partial area,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중에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재 획득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고,
상기 재 획득된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거리의 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상기 활성화된 일부 영역을 비활성화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Controls the sensing unit to reacquire the distance information to the user whil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user is being displayed,
Stops the display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user and deactivates the activated partial area when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re-acquired user is out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을 센싱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사용자에 대응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의 값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을 활성화하고, 알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제1 영역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센싱된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접하는 제2 영역을 활성화하고, 상기 수집된 알림 정보 중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camera for sensing a line of sight of the user,
Wherein,
Activates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recognized user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user based on the obtained user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to the obtained user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value, To display the first information in the first area,
Activating a second area in contact with the first area when the user's sight line is sensed to be heading toward the first area by the camera and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user among the collected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을 센싱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사용자에 대응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의 값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을 활성화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가 존재함을 나타내기 위한 제1 정보를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제1 영역을 향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센싱된 경우, 상기 제1 영역을 비활성화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camera for sensing a line of sight of the user,
Wherein,
Activates a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recognized user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user based on the acquired user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obtained user corresponds to a value of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irst area, first information for indicating that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exists,
And deactivates the first area when the user's line of sight is not detected by the camera to be directed to the first area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알림 정보는 현재 시간, 현재 날짜, 현재 계절 및 현재 요일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라지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ctivated partial area varies depending on at least one of a current time, a current date, a current season, and a current d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알림 정보는, 기 설정된 공간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옵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옵션을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공간의 환경 설정 값에 대응하는 신호가 기 설정된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ctivated partial area includes a menu option for setting an environment of a predetermined spac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nvironment setting value of the predetermined space to be transmitted to the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 command to select the menu option.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방송 신호의 수신이 완료된 후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동일한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다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다시 센싱하고,
상기 다시 센싱된 사용자의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와 다른 경우,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가 기 설정된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In a multimedia device,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ideo data of a broadcast program included in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A sensing unit for sensing user information; And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information of a user viewing the broadcast program is sensed while the video data of the broadcast program is displayed,
Storing information of the sensed user in a memory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program,
When the video data of the same broadcasting program as that of the broadcasting program is displayed again through the display unit after the reception of the broadcast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ing program is completed, the information of the user watching the broadcasting program is again sensed,
And controls a signal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to be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whe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gain sensed is different from information of the user stored in the memor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시 센싱된 사용자의 정보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가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f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user stored in the memory is not included in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who is sensed again, To the multimedia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사용자 별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이력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시 센싱된 사용자의 정보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제2 사용자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별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이력 정보 중에서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이력 정보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시청 이력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상기 제2 사용자에 대응하는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emory further stores the viewing history information of the broadcasting program for each user,
Wherein,
If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information of the user stored in the memory i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gain sensed, The viewing history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program is detected,
And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f a broadcast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detained viewing histor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KR1020150097905A 2015-07-09 2015-07-09 Multimedia device KR1023369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905A KR102336984B1 (en) 2015-07-09 2015-07-09 Multimedi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905A KR102336984B1 (en) 2015-07-09 2015-07-09 Multimedia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760A true KR20170006760A (en) 2017-01-18
KR102336984B1 KR102336984B1 (en) 2021-12-08

Family

ID=5799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905A KR102336984B1 (en) 2015-07-09 2015-07-09 Multimedia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984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2255A1 (en) * 2018-03-22 2019-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Video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067771A1 (en) * 2018-09-27 2020-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979779A (en) * 2022-05-09 2022-08-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23074945A1 (en)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163334A1 (en) * 2022-02-23 2023-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Low-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s theref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4496A (en) * 2012-08-24 2014-03-13 Sanyo Electric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20140098516A (en) * 2013-01-31 2014-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40135029A (en) * 2013-05-15 2014-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4496A (en) * 2012-08-24 2014-03-13 Sanyo Electric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20140098516A (en) * 2013-01-31 2014-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40135029A (en) * 2013-05-15 2014-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2255A1 (en) * 2018-03-22 2019-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Video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067771A1 (en) * 2018-09-27 2020-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958474A (en) * 2018-09-27 2020-04-03 三星电子株式会社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35788A (en) * 2018-09-27 2020-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of a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US11036451B2 (en) 2018-09-27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958474B (en) * 2018-09-27 2022-01-18 三星电子株式会社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074945A1 (en)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163334A1 (en) * 2022-02-23 2023-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Low-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s therefor
CN114979779A (en) * 2022-05-09 2022-08-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984B1 (en)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7317B2 (en) Sink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613591B2 (en) Method for remov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device
KR102245365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40230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wo devices and apparatus for the same
CN107018434B (en) System including digital device and extern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reof
US20230089981A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said digital device
KR20150069355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324595B2 (en) Digital device configured to connect with plurality of operation devices and method of displaying second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second operation device in response to dragging of first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first operation device in the same
KR20160031724A (en) Method for screen mirroring and device for the same
KR102336984B1 (en) Multimedia device
US1143037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thereof
KR20150069760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190838B2 (en) Multimedia device with standby mode and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KR20180041961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KR2017003098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271436B1 (en) Methof for remov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device
KR102340231B1 (en)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31898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69588B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KR20160095825A (en) Digital signage
KR20160010250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42159A (en) Image out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89466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112365A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101970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Digital Signag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