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868A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868A
KR20170003868A KR1020150093810A KR20150093810A KR20170003868A KR 20170003868 A KR20170003868 A KR 20170003868A KR 1020150093810 A KR1020150093810 A KR 1020150093810A KR 20150093810 A KR20150093810 A KR 20150093810A KR 20170003868 A KR20170003868 A KR 20170003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meth
linear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윤
권기혜
홍창민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50093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868A/ko
Priority to US15/195,178 priority patent/US20170002198A1/en
Publication of KR20170003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6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08K3/0041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 내지 95 중량% 및 (B) 폴리에스테르 수지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 및 (C)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 0.5 내지 6 중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유리 및 금속에 비해 비중이 낮고, 성형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 제품의 하우징, 자동차 내/외장재, 건축용 외장재 등에 유용하다. 특히, 최근 전기/전자 제품의 대형화, 경량화 추세에 따라,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플라스틱 제품이 기존의 유리 및 금속의 영역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그 중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혼합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높은 기계적 강도 및 우수한 성형성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뛰어난 내열성, 내충격성, 및 치수 안정성 등의 장점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최근 성형품의 수명을 늘리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높은 내피로도가 요구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수요가 늘고 있다. 그러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피로도를 높이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을 늘리는 경우 내열도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 기술은 한국 공개특허 제1995-001827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피로도 및 내열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 내지 95 중량% 및 (B) 폴리에스테르 수지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 및 (C)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 0.5 내지 6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B)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1 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r은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렌기이고, R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알킬렌기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B)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60 내지 99 몰%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1 내지 40 몰%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Ar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렌기이고,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알킬렌기이며, R 및 R'는 서로 상이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B)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C)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가 2 종 이상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C)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부틸아크릴레이트(BA)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C)는 유리전이온도(Tg)가 100 내지 150℃일 수 있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부틸아크릴레이트(BA)의 공중합체는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BA)의 몰 비율이 1:9 내지 9:1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로 항균제, 열안정제, 이형제, 광안정제, 염료,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가소제, 혼화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안료, 조색제, 난연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충전제, 핵 형성제, 접착 조제 및 점착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ASTM D648 규격으로 18.56 kgf/cm2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eat Deflection Temperature, HDT)가 10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ASTM D7791 규격으로 시편 중앙에 웰드라인(weld line)이 있는 두께 3.2 mm의 인장강도 측정용 시편에 대해 진동수 10 Hz 및 하중 0.8 kN의 조건에서 측정한 내피로도(fatigue properties)가 40,000 사이클(cycle)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내피로도 및 내열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중합체"는 올리고머, 폴리머 또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메트)아크릴계 교대 공중합체, (메트)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및 (메트)아크릴계 불규칙 공중합체 등을 의미할 수 있고, 그라프트되지 않거나 분지형이 아닌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 중 디올 성분이 다른 디올 성분으로 일부 치환된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내피로도"는 ASTM D7791 규격으로 시편 중앙에 웰드라인(weld line)이 있는 두께 3.2 mm의 인장강도 측정용 시편에 대해 진동수 10 Hz 및 하중 0.8 kN의 조건에서 측정한 것으로써, 0.1초의 시간동안 시편에 하중이 최대 0.8 kN으로 가해졌다 소멸하는 1회의 주기를 1 사이클(cycle)로 하며, 시편에 크랙(crack)이 발생하거나 파단될 때까지의 사이클 수가 내피로도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설명한다.
한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 내지 95 중량% 및 (B) 폴리에스테르 수지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 및 (C)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 0.5 내지 6 중량부를 포함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는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다. 예를 들면, 디페놀류(방향족 디올 화합물)를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탄산 디에스테르 등의 전구체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디페놀류로는 4,4'-비페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비스페놀-A 라고 불리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는 분지쇄가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중합에 사용되는 디페놀류 전체에 대하여, 0.05 내지 2 몰%의 3가 또는 그 이상의 다관능 화합물, 구체적으로, 3가 또는 그 이상의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는 호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블렌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는 에스테르 전구체(precursor), 예컨대 2관능 카르복실산의 존재 하에서 중합 반응시켜 얻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로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200,000 g/mol, 예를 들면, 15,000 내지 40,000 g/mo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는 ISO 1133에 의거하여, 250℃, 10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가 2 내지 40 g/10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용융흐름지수가 다른 2종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혼합물일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기초수지 중 70 내지 95 중량%, 구체적으로 75 내지 95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80 내지 9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성형품은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B) 폴리에스테르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B)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1 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Ar은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렌기이고, R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알킬렌기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B)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알킬렌기를 포함하는 디올 성분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사용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탄소수 8 내지 20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선형 및/또는 환형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프탈산(phthalic acid), 1,2-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1,4-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1,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1,7-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1,8-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2,3-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2,7-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 DMT),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dimethyl isophthalate), 디메틸-1,2-나프탈레이트, 디메틸-1,5-나프탈레이트, 디메틸-1,7-나프탈레이트, 디메틸-1,7-나프탈레이트, 디메틸-1,8-나프탈레이트, 디메틸-2,3-나프탈레이트, 디메틸-2,6-나프탈레이트, 디메틸-2,7-나프탈레이트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테레프탈산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올 성분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알킬렌기를 포함하는 디올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성형 가공성,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하다.
예를 들면, 상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렌기를 포함하는 디올은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4-펜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3-메틸펜탄-2,4-디올, 2-메틸펜탄-1,4-디올, 2,2,4-트리메틸펜탄-1,3-디올, 2-에틸헥산-1,3-디올, 2,2-디에틸프로판-1,3-디올, 사이클로헥산디올 및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CHDM)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B)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B)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60 내지 99 몰%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1 내지 40 몰%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화학식 2]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Ar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렌기이고,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알킬렌기이며, R 및 R'는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2의 R'는 1,4-시클로헥산디메틸렌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화학식 2의 R'가 1,4-시클로헥산디메틸렌기인 경우 수지 조성물 성분간의 혼화성(miscibility)을 향상시켜, 형성된 성형품의 후변형 및 후수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60 내지 99 몰%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1 내지 40 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B)는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렌 글리콜 60 내지 99 몰%, 구체적으로 70 내지 99 몰%, 더욱 구체적으로 80 내지 99 몰%,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CHDM) 1 내지 40 몰%, 구체적으로 1 내지 30 몰%, 더욱 구체적으로 1 내지 20 몰%를 포함하는 디올 성분을 중축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60 내지 99 몰%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1 내지 40 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B)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중 0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0 내지 15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0 내지 10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성분 간의 혼화성이 향상되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성형품의 내충격성, 유동성, 치수 안정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B)는 o-클로로 페놀 용액(농도: 0.5 g/dl)을 사용하여 35℃에서 측정한 고유점도가 0.4 내지 1.5 dl/g, 예를 들면 0.5 내지 1.4 dl/g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성분 간의 혼화성이 향상되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성형품의 내충격성, 유동성, 치수 안정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60 내지 99 몰%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1 내지 40 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B)는 o-클로로 페놀 용액(농도: 0.5 g/dl)을 사용하여 35℃에서 측정한 고유점도가 0.5 내지 1.0 dl/g, 예를 들면 0.6 내지 0.9 dl/g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성분 간의 혼화성이 향상되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성형품의 내충격성, 유동성, 치수 안정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B)는 기초수지 중 5 내지 30 중량%, 구체적으로 5 내지 25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과 유동성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하다.
(C)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C)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어 내열성 및 내피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C)는 (메트)아크릴계 교대 공중합체, (메트)아크릴계 블록 공중합체, 및 (메트)아크릴계 불규칙 공중합체 등을 의미할 수 있고, 그라프트되지 않거나 분지형이 아닌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내피로도는 증가하지만, 내열도 등의 물성이 크게 저하된다. 이에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C)를 포함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낮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에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성형품은 내피로도 뿐만 아니라 내열성이 우수하다.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C)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가 2 종 이상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iso-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C)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부틸아크릴레이트(BA)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부틸아크릴레이트(BA)의 공중합체는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BA)의 몰비율이 1:9 내지 9:1, 구체적으로 2:8 내지 8:2, 더욱 구체적으로 3:7 내지 7:3일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성형품은 내피로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C)는 통상의 라디칼 중합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이상의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라디칼 중합 개시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 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는 과산화물, 과황산염, 시아노화 아조 화합물, 레독스계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100 내지 150℃, 구체적으로 110 내지 140℃, 더욱 구체적으로 120 내지 130℃일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C)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6 중량부, 구체적으로 0.5 내지 5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1 내지 5 중량부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성형품의 내피로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첨가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각 용도에 따라 항균제, 열안정제, 이형제, 광안정제, 염료,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가소제, 혼화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안료, 조색제, 난연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충전제, 핵 형성제, 접착 조제 및 점착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구성성분과 첨가제를 헨셀믹서, V 블렌더, 텀블러 블렌더, 리본 블렌더 등으로 혼합하고, 이를 일축 압출기 또는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150 내지 350℃ 온도에서 용융 압출하여 펠렛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D=29, Φ=36 mm의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250 내지 310℃ 온도 조건 하에서 압출하여 펠렛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성형, 블로우성형, 압출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공지된 성형 방법으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ASTM D648 규격으로 18.56 kgf/cm2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eat Deflection Temperature, HDT)가 105℃ 이상, 구체적으로 105 내지 110℃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ASTM D7791 규격으로 시편 중앙에 웰드라인(weld line)이 있는 두께 3.2 mm의 인장강도 측정용 시편에 대해 진동수 10 Hz 및 하중 0.8 kN의 조건에서 측정한 내피로도(fatigue properties)가 40,000 사이클(cycle) 이상, 구체적으로 45,000 사이클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 50,000 사이클 이상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1) 중량평균 분자량이 28,000 g/mol, 용융흐름지수(MI, ISO 1133에 의거하여, 250℃, 10 kg 하중 조건)가 12 g/10min인 삼성SDI社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a2) 중량평균 분자량이 32,000 g/mol, 용융흐름지수(MI, ISO 1133에 의거하여, 250℃, 10 kg 하중 조건)가 5 g/10min인 LG화학社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B) 폴리에스테르 수지
(b1) 고유점도가 1.2±0.2 dl/g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신콩(SHINKONG)社의 shinite DHK011 제품을 사용하였다.
(b2) 고유점도가 1.1±0.2 dl/g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신콩(SHINKONG)社의 Shinite K006 제품을 사용하였다.
(b3) 고유점도가 0.77±0.2 dl/g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SK 케미칼社의 BL-8050 제품을 사용하였다.
(C)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부틸아크릴레이트(BA)의 선형 공중합체(유리전이온도(Tg): 125.5℃)인 ARKEMA社의 Plastistrength 552 제품을 사용하였다.
(C') 코어-쉘 구조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코어가 부틸아크릴레이트(BA) 고무, 쉘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인 코어-쉘 공중합체인 KAKEKA社의 Kane Ace FM-40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표 1과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a1) 30 중량% 및 (a2) 60 중량%,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b1) 10 중량% 및 (C)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 1.5 중량부를 혼합한 후, L/D=36, Φ=32mm인 이축 압출기에서 260℃의 온도에서 압출하고, 펠렛타이저를 이용하여 펠렛 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펠렛 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120℃ 오븐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사출기(제조사: 동신유압, 장치명: DHC 120WD)에서 성형 온도 270℃, 금형 온도 70℃ 조건으로 사출성형하여 시편 중앙에 웰드라인이 있는 두께 3.2mm의 인장강도 측정용 시편 및 열변형 온도 측정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
표 1과 같이 각 구성성분별 함량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A) (a1) 30 10 50 65 30 30 50 30 65
(a2) 60 80 25 20 60 35 25 40 20
(B) (b1) 10 - 15 5 10 35 15 15 5
(b2) - 10 - - - - - - -
(b3) - - 10 10 - - 10 15 10
(A)+(B) 합계 (중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C) (중량부) 5 5 1.5 3 - - - 7 -
(C') (중량부) - - - - - - - - 3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편에 대해 하기와 같은 물성을 평가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평가 방법
(1) 내열성(열변형 온도, 단위: ℃): ASTM D648 규격으로 18.56 kgf/cm2의 조건에서 열변형 온도(Heat Deflection Temperature, HDT)를 측정하였다.
(2) 내피로도(단위: 사이클(cycle)): Instron社 내피로 측정시험기(모델명: 8872)를 이용하여 ASTM D7791 규격으로 시편 중앙에 웰드라인(weld line)이 있는 두께 3.2 mm의 인장강도 측정용 시편에 대해 진동수 10 Hz 및 하중 0.8 kN의 조건에서 내피로도를 측정하여 시편에 크랙(crack)이 발생하거나 파단될 때까지의 사이클 수를 측정하였다. 여기에서 0.1초의 시간동안 시편에 하중이 최대 0.8 kN으로 가해졌다 소멸하는 1회의 주기를 1 사이클로 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열변형온도
(℃)
105.5 105.8 105.5 106.1 104.8 96.5 102.1 102.6 103.0
내피로도
(사이클)
55,871 57,671 68,556 53,138 22,450 56,521 26,776 32,885 26,186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실시예는 내피로도 뿐만 아니라, 내열도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2)

  1.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70 내지 95 중량% 및 (B) 폴리에스테르 수지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 및
    (C)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 0.5 내지 6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B)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1 종 이상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Ar은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렌기이고, R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알킬렌기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B)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60 내지 99 몰%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1 내지 40 몰%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8

    [화학식 2]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Ar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렌기이고,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알킬렌기이며, R 및 R'는 서로 상이하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B)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C)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가 2 종 이상 공중합된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C)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부틸아크릴레이트(BA)의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메트)아크릴계 수지(C)는 유리전이온도(Tg)가 100 내지 150 ℃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부틸아크릴레이트(BA)의 공중합체는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BA)의 몰비율이 1:9 내지 9:1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로 항균제, 열안정제, 이형제, 광안정제, 염료,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가소제, 혼화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안료, 조색제, 난연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충전제, 핵 형성제, 접착 조제 및 점착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ASTM D648 규격으로 18.56 kgf/cm2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eat Deflection Temperature, HDT)가 105℃ 이상인 성형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ASTM D7791 규격으로 시편 중앙에 웰드라인(weld line)이 있는 두께 3.2 mm의 인장강도 측정용 시편에 대해 진동수 10 Hz 및 하중 0.8 kN의 조건에서 측정한 내피로도(fatigue properties)가 40,000 사이클 이상인 성형품.

KR1020150093810A 2015-06-30 2015-06-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70003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810A KR20170003868A (ko) 2015-06-30 2015-06-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US15/195,178 US20170002198A1 (en) 2015-06-30 2016-06-28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810A KR20170003868A (ko) 2015-06-30 2015-06-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68A true KR20170003868A (ko) 2017-01-10

Family

ID=5768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810A KR20170003868A (ko) 2015-06-30 2015-06-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002198A1 (ko)
KR (1) KR201700038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073A (ko) * 2017-12-29 2019-07-09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0635B2 (en) 2014-12-31 2018-06-19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automotive interior components and molded article for automotive interior components using the same
US9765210B2 (en) * 2015-04-17 2017-09-19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541B1 (ko) * 1993-06-30 1999-06-15 이형도 드럼모터 특성 검사장치
KR100767428B1 (ko) * 2006-04-14 2007-10-17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367461B1 (ko) * 2009-05-08 2014-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광특성 및 내열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6100063B2 (ja) * 2013-04-01 2017-03-22 テクノポリマー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073A (ko) * 2017-12-29 2019-07-09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02198A1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15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29677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65472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JP2010001363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KR2013007874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72757B1 (ko) 열안정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얼로이 수지 조성물
KR2017000386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25255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48656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0822492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containing same
KR10185401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82995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S61252268A (ja) ポリカ−ボネ−ト組成物
KR10182373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362662B1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JP5334779B2 (ja) 樹脂組成物及び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
KR101786185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31147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29117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34010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3007436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22012212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2021066787A (ja)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2003096283A (ja) 半透明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
JPS60233149A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ト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