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568U -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568U
KR20170003568U KR2020160001868U KR20160001868U KR20170003568U KR 20170003568 U KR20170003568 U KR 20170003568U KR 2020160001868 U KR2020160001868 U KR 2020160001868U KR 20160001868 U KR20160001868 U KR 20160001868U KR 20170003568 U KR20170003568 U KR 201700035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older portion
formwork
fixing member
form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희
박정광
Original Assignee
박선희
박정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희, 박정광 filed Critical 박선희
Priority to KR2020160001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568U/ko
Publication of KR201700035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5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2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742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미콘이 주입 양생되는 콘크리트 거푸집을 고정 설치할 때 경사진 부분도 원만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 시공이 간편하고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위한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는 서로 대향(對向)하는 외측거푸집 및 내측거푸집을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유지 고정하고, 일단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슬롯 타입의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제1 홀더부와, 타단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슬롯 타입의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제2 홀더부와, 상기 제1 홀더부 및 제2 홀더부를 소정 각도 기울지게 연결하고 그 경계에 제1 절개홈 및 제2 절개홈이 형성된 플랫(flat) 타입의 몸체부가 포함된다.
또한, 외측거푸집 및 내측거푸집이 서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더라도 기울어진 상기 각도에 대응하여 몸체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제1 홀더부 및 제2 홀더부는 외측거푸집 및 내측거푸집 각각과 대응하여 직교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개홈은 외력에 의해 제1 홀더부가 몸체부에서 부분적으로 절단 가능하게 하며, 제2 절개홈은 외력에 의해 제2 홀더부가 몸체부에서 부분적으로 절단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FLAT TIE FOR CONCRETE FORM}
본 고안은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미콘이 주입 양생되는 콘크리트 거푸집을 고정 설치할 때 경사진 부분도 원만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 시공이 간편하고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위한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에 벽체의 양측으로 다수의 유로폼 패널(pannel)을 대향되게 설치한 후, 상기 양측 유로폼 패널 사이로 콘크리트 몰타르를 타설, 양생하여 축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양측 유로폼 패널은 간격 유지를 위해서 긴 철판 형태의 프레타이(Flat Tie)를 삽입 설치하는데, 일반적으로 유로폼과 같은 건축용 거푸집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1회성 철물인 프레타이는 통상적으로 납작한 평철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에 체결 장공을 형성하고, 가장자리에는 절단을 위한 절단홈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유로폼 패널(5)(5')에 대향 형성되는 삽입홈(6)(6)으로 프레타이(2)를 삽입하고, 상기 프레타이 양측의 절단부위에 형성된 홈부(3)(3)로 외지핀(7)을 삽입하여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프레타이(2) 양측의 절단부위는 콘트리트 타설, 양생 후 유로폼 패널 분리와 함께 절단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타이(2)를 양측 유로폼 패널(5)(5')에 대향 형성되는 삽입홈(6)(6)으로 삽입하기 위해 종래에는 작업자가 일측 유로폼 패널의 삽입홈을 통해 프레타이(2)를 삽입하여 타측 유로폼 패널의 삽입홈으로 삽입하기 때문에 유로폼 패널(5)(5') 상호 기울어져 설치될 경우, 프레타이(2)를 양측 유로폼 패널(5)(5')의 삽입홈(6)(6)으로 수평 삽입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용 프레타이(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되어 있어, 유로폼 패널(5)(5')이 사다리꼴로 경사지게 기울어졌을 때는 억지 끼움으로 고정하여야 하기에 쉽게 파손되거나 일일이 반복적으로 조립 및 분리하면서 거푸집을 설치하는 데, 작업이 번거롭고 공사기간이 많이 걸리거나 방해가 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02990호, 고안의 명칭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용 간격 유지구" (등록일 2005.12.01.) KR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52527호, 고안의 명칭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용 간격 유지구" (등록일 2011.02.25.)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레미콘이 주입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 거푸집을 설치된 기울기나 간격에 따라 간편하게 설치하여 작업의 편리성 및 건축 공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는 서로 대향(對向)하는 외측거푸집 및 내측거푸집을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유지 고정하고, 일단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슬롯 타입의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제1 홀더부와, 타단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슬롯 타입의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제2 홀더부와, 상기 제1 홀더부 및 제2 홀더부를 소정 각도 기울지게 연결하고 그 경계에 제1 절개홈 및 제2 절개홈이 형성된 플랫(flat) 타입의 몸체부가 포함된다.
또한, 외측거푸집 및 내측거푸집이 서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더라도 기울어진 상기 각도에 대응하여 몸체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제1 홀더부 및 제2 홀더부는 외측거푸집 및 내측거푸집 각각과 대응하여 직교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개홈은 외력에 의해 제1 홀더부가 몸체부에서 부분적으로 절단 가능하게 하며, 제2 절개홈은 외력에 의해 제2 홀더부가 몸체부에서 부분적으로 절단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슬롯 타입의 장공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경사진 거푸집과 수직되게 체결될 수 있는 몸체부를 구성하므로 거푸집 조립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기울어진 양측 거푸집의 삽입홈으로 간편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양측 거푸집이 사다리꼴로 경사지게 기울어졌을 때 종래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하여야 하기에 쉽게 파손되거나 일일이 반복적으로 조립 및 분리하면서 거푸집을 설치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을 해결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프레타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레타이를 유로폼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을 공사 현장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를 적용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간의 크기 비율이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하는 부품들 간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상에 나타나는 표현의 차이는 해당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 가능한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100)는 서로 대향(對向)하는 내측거푸집(210) 및 외측거푸집(220)을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유지 고정하고, 일단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슬롯 타입의 개구부(111)가 관통 형성된 제1 홀더부(110)와, 타단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슬롯 타입의 개구부(121)가 관통 형성된 제2 홀더부(120)와, 제1 홀더부(110) 및 제2 홀더부(120)를 소정 각도 기울지게 연결하고 그 경계에 제1 절개홈(113) 및 제2 절개홈(123)이 형성된 플랫(flat) 타입의 몸체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내측거푸집(210) 및 외측거푸집(220)이 서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설치될 경우, 상기 각도(θ)에 대응하여 몸체부가 곡률반경으로 절곡되어 내측거푸집(210) 및 제1 홀더부(110)가 상호 직교하게 체결되고 외측거푸집(220) 및 제2 홀더부(120)가 상호 직교하게 체결된다.
또한, 제1 절개홈(113)은 외력에 의해 제1 홀더부(110)가 몸체부(130)에서 부분적으로 절단 가능하게 하고, 제2 절개홈(123)은 외력에 의해 제2 홀더부(120)가 몸체부(130)에서 부분적으로 절단 가능하게 한다.
또한, 내측거푸집 및 외측거푸집은 유로폼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직선형의 프레타이(도 1 참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즉, 상호 대향(對向)하여 있는 거푸집이 수직하지 못하고 경사지게 기울어져 설치될 경우, 설치 작업이 불편하고 어려움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이 제안하는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하게 절곡되어 있는 곡선형의 프레타이(flat tie)를 제안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의 곡선형의 몸체부(130)와 상기 몸체부(130)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거푸집(유로폼)에 체결되는 홀더부(110, 12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30)와 홀더부(110, 120)의 경계부에는 양측에 노치가 형성된 절개홈(113, 123)이 구비된다.
더욱 자세하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100)는 서로 대향(對向)하는 내측거푸집(210) 및 외측거푸집(220)을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유지 고정하고자 홀더부(110, 120) 및 몸체부(130)로 구성된다.
홀더부(110, 120) 및 몸체부(130)는 일체로 연결되어 일정 두께 및 폭을 갖는 단면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다만, 몸체부(130)는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경사진 거푸집 간의 연결을 돈독히 하기 위해서 곡선형의 프레타이(flat tie)를 제안한다.
홀더부(110, 120)는 제1 홀더부(110), 제2 홀더부(120)로 구분할 수 있다.
홀더부(110, 120)는 거푸집과 결합되는 부분이고 차후에 분리 제거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슬롯 타입으로 관통되는 개구부(111, 121)가 형성된다.
즉, 후술하는 몸체부(130)를 기준으로 제1 홀더부(110)는 일단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슬롯 타입의 개구부(111)가 관통 형성되고, 제2 홀더부(120)는 타단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슬롯 타입의 개구부(121)가 관통 형성된다.
특히, 홀더부(110, 120)는 거푸집과 직교하게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홀더부(110, 120) 내에 형성된 슬롯 타입의 개구부(111, 121)는 내외측 거푸집(210, 220) 내에 삽입홈(212) 내에 형성된 개구부(211)와 일치되어 고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공의 개구부(111, 121)가 거푸집의 개구부(211)와 많은 부분이 겹치도록 하여 외지핀(230)이 확실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해야 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거푸집(210, 220)에 대향 형성되는 삽입홈(212)으로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100)를 삽입하고, 고정부재(100) 양측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개구부(111, 121)로 외지핀(230)을 삽입하여 고정되게 설치하기 때문이다.
몸체부(130)는 제1 홀더부(110) 및 제2 홀더부(120)를 소정 각도 기울지게 연결하고 그 경계에 제1 절개홈(113) 및 제2 절개홈(123)이 형성된 평편한 플랫(flat) 타입이면서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각도 절곡된 곡선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30)는 내측거푸집(210) 및 외측거푸집(220)이 서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설치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θ)에 대응하여 곡률반경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내측거푸집(210) 및 제1 홀더부(110)가 상호 직교하게 체결되고 외측거푸집(220) 및 제2 홀더부(120)가 상호 직교하게 체결된다.
몸체부(130) 및 제1 홀더부(110)의 경계에 형성된 제1 절개홈(113)은 외력에 의해 제1 홀더부(110)가 몸체부(130)에서 부분적으로 절단 가능하게 한다.
몸체부(130) 및 제1 홀더부(110)의 경계에 형성된 제2 절개홈(123)은 외력에 의해 제2 홀더부(120)가 몸체부(130)에서 부분적으로 절단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에서 거푸집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사용되는 합판이나 철판 등과 같은 패널로 구성할 수 있으나, 공사 현장에서 널리 보급된 유로폼일 수 있다.
또한, 내측거푸집(210) 및 외측거푸집(220)은 본 고안을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부여한 명칭이고 내측 또는 외측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100)는 몸체부(130)의 양단부에 각각 내측거푸집(210)과 외지핀(23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개구부(111)가 형성된 제1 홀더부(110) 및 외측거푸집(220)과 외지핀(23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개구부(121)가 형성된 제2 홀더부(120)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내측 및 외측 거푸집이 소정 각도 기울어져 설치될 경우 내측 및 외측거푸집(210, 220) 및 제1, 2 홀더부(110, 120)가 상호 직교하게 체결되도록 소정 각도(θ) 휘어진 곡률반경을 갖도록 절곡되어 있다.
도 8은 도 5를 적용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제안한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100)의 설치 및 작동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100)를 이용하여 대향하는 내측 및 외측거푸집(210, 220)을 상호 소정 각도 기울어져 설치할 경우.
먼저, 제1 홀더부(110) 부위를 내측거푸집(210)의 삽입홈(212)을 끼운 다음 일치되는 제1 홀더부(110)의 개구부(111)와 내측거푸집(210)의 개구부(211)에 외지핀(230)을 끼워 고정함으로써 제1 홀더부(110)를 내측거푸집(210)에 지지 고정한다.
다음, 제2 홀더부(120) 부위를 외측거푸집(220)의 삽입홈을 끼운 다음 일치되는 제2 홀더부(120)의 개구부(121)와 외측거푸집(220)의 개구부에 외지핀(230)을 끼워 고정함으로써 제2 홀더부(120)를 외측거푸집(220)에 지지 고정하면 거푸집의 설치 작업이 신속하게 완료된다.
한편, 상기 양 내외측 거푸집(210, 220) 사이에 레미콘이 주입된 후 일정시간 양생되어 성형된 콘트리트에서 양 거푸집을 해체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외지핀(230)을 제1, 2 홀더부의 개구부(111, 121)에서 빼내어 제거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된 제1, 2 홀더부(110, 120) 부위를 망치로 타격하거나 기타 공구로 비틀어 고정부재(100)의 제1 ,제2 절개홈(113, 123)을 경계로 하여 절단되도록 한다.
이후 양측 거푸집을 외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양측 거푸집이 본 고안이 제안하는 고정부재(100)에서 빠져 나감과 아울러 양생된 콘크리트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후 콘크리트에 매입되어 부분적으로 노출된 제1, 2 홀더부 부위를 망치로 타격하거나 기타 공구로 비틀어 제1, 2 홀더부(110, 120) 부분이 제1, 제2 절개홈(113, 123)을 경계로 하여 절단되도록 하면 거푸집의 해체 작업이 신속하게 완료된다.
다음 거푸집의 해체 후에, 몸체부(130)는 양생된 콘크리트에 매립 상태로 잔류하게 되고, 콘크리트의 외부로 돌출된 제1, 제2 홀더부(110, 120)는 제거하는데, 망치 등으로 제1, 제2 홀더부(110, 120)를 가격하여 양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절곡시킴으로써 노치(notch)가 형성된 제1, 제2 절개홈(113, 123)을 경계로 파단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슬롯 타입의 장공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경사진 거푸집과 수직되게 체결될 수 있는 몸체부(130)를 구성하므로 거푸집 조립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기울어진 양측 거푸집의 삽입홈으로 간편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양측 거푸집이 사다리꼴로 경사지게 기울어졌을 때 종래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하여야 하기에 쉽게 파손되거나 일일이 반복적으로 조립 및 분리하면서 거푸집을 설치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을 해결하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 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 개념과 실시 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본 고안이 제안하는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
110 : 제1 홀더부
120 : 제2 홀더부
130 : 몸체부

Claims (2)

  1. 서로 대향(對向)하는 내측거푸집 및 외측거푸집을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유지 고정하는 거푸집 연결고정부재에 있어서,
    일단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슬롯 타입의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제1 홀더부와,
    타단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슬롯 타입의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제2 홀더부와,
    상기 제1 홀더부 및 제2 홀더부를 소정 각도 기울지게 연결하고 그 경계에 제1 절개홈 및 제2 절개홈이 형성된 플랫(flat) 타입의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거푸집 및 외측거푸집이 서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설치될 경우, 상기 각도에 대응하여 몸체부가 곡률반경으로 절곡되어 상기 내측거푸집 및 제1 홀더부가 상호 직교하게 체결되고 상기 외측거푸집 및 제2 홀더부가 상호 직교하게 체결되며,
    상기 제1 절개홈은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홀더부가 상기 몸체부에서 부분적으로 절단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절개홈은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홀더부가 상기 몸체부에서 부분적으로 절단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거푸집 및 외측거푸집은 유로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
KR2020160001868U 2016-04-06 2016-04-06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 KR201700035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68U KR20170003568U (ko) 2016-04-06 2016-04-06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68U KR20170003568U (ko) 2016-04-06 2016-04-06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568U true KR20170003568U (ko) 2017-10-16

Family

ID=6040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868U KR20170003568U (ko) 2016-04-06 2016-04-06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568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990A (ko) 2001-05-21 2004-01-07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C1 탄화수소의 할로겐화 c1 탄화수소로의 산화적할로겐화 및 그와 관련된 결합된 공정
KR20040052527A (ko) 2004-02-18 2004-06-23 박상윤 진동주파수를 동영상파일에 함께 저장하고 재생하게 하는 기술과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990A (ko) 2001-05-21 2004-01-07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C1 탄화수소의 할로겐화 c1 탄화수소로의 산화적할로겐화 및 그와 관련된 결합된 공정
KR20040052527A (ko) 2004-02-18 2004-06-23 박상윤 진동주파수를 동영상파일에 함께 저장하고 재생하게 하는 기술과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3568U (ko) 거푸집 연결 고정부재
KR102212514B1 (ko) 결합위치의 조절이 자유로운 거푸집판넬
KR20110001140U (ko)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KR101965515B1 (ko) 거푸집들간 간극 마감구조
KR200485666Y1 (ko) 조적용 단열재 고정구
KR101848560B1 (ko) 거푸집 고정구조
KR101700090B1 (ko) 벽체형 조립식 패널 연결장치
CA2621024C (en) Wall forming system
RU190658U1 (ru) Стяжка строительная
KR20010106108A (ko) 지지 부재
KR20080005708A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JP3392132B1 (ja) 型枠用セパレータ、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システム並びに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KR20190104668A (ko) 거푸집용 지지대 고정구
KR20110058321A (ko)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KR200403203Y1 (ko) 차음 펜스용 플라스틱 패널
KR10034468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너성형부재
KR200246051Y1 (ko) 건축용 받침파이프 고정부재
KR20150109876A (ko)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30087953A (ko)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FI128866B (en) Arrangements comprising a wire link and a base and a method of attaching a wire link to a base
KR200397242Y1 (ko) 유로폼 패널용 플렛타이
KR200354549Y1 (ko) 건축용 플레이트 타이
KR200334656Y1 (ko) 접속함용 고정구
KR20100011504U (ko) 면취부를 갖는 콘크리트기둥형성용 판넬 조립구
KR20150110132A (ko)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