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126U - 모터 컨트롤 센터 - Google Patents

모터 컨트롤 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126U
KR20170003126U KR2020160001075U KR20160001075U KR20170003126U KR 20170003126 U KR20170003126 U KR 20170003126U KR 2020160001075 U KR2020160001075 U KR 2020160001075U KR 20160001075 U KR20160001075 U KR 20160001075U KR 20170003126 U KR20170003126 U KR 201700031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clip
shutter
spring
shut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531Y1 (ko
Inventor
송봉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1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531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1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1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5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4Shutters or gu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1Spring-retracted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된 모선과; 모선의 전방에 배치된 베리어 어셈블리와; 모선에 접속되는 클립을 갖는 MCC유닛을 포함하고, 베리어 어셈블리는 클립이 관통되는 클립 관통공이 형성된 베리어 바디와; 베리어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클립 관통공을 여닫는 셔터와; 셔터를 록킹하는 제1위치와 셔터를 록킹 해제하는 제2위치로 슬라이드되게 베리어 바디에 배치된 록커와; MCC유닛에 의해 후퇴되어 록커를 제2위치로 슬라이드시키는 록커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셔터가 MCC유닛에 밀려 회전되면서 클립 관통공을 개방하므로 셔터가 신뢰성 높게 작동되는 이점이 있고, 셔터와 베리어 바디가 함께 모선의 전방을 막아 모선으로 손이 침투되는 것을 막는 핑거 프루프로 기능할 수 있고, 안전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모터 컨트롤 센터{Motor control center}
본 고안은 모터 컨트롤 센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MCC유닛이 모선에 접속되는 모터 컨트롤 센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 컨트롤 센터(MCC: Motor control center)는 각종 산업설비에 설치되는 모터와 관련된 부하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시스템이다.
모터 컨트롤 센터는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저압의 전기를 모터로 배분할 수 있고,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시 및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모터 컨트롤 센터는 다수의 전기 제어장치(이하, MCC유닛 이라 칭함)를 캐비닛(예를 들면, 철재 외함)에 수납할 수 있고, MCC유닛은 유지보수를 위해 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모터 컨트롤 센터는 내부에 전기 공급을 위한 모선(부스바)가 설치될 수 있고, MCC유닛은 서랍식으로 이동되어 모선에 접속될 수 있다.
모터 컨트롤 센터는 MCC유닛을 캐비닛 외부로 인출하였을 때 모선이 노출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감전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그리고, 먼지 등의 이물질이 모선으로 침투되어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셔터의 개폐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모터 컨트롤 센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컨트롤 센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된 모선과; 상기 모선의 전방에 배치된 베리어 어셈블리와; 상기 모선에 접속되는 클립을 갖는 MCC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 어셈블리는 상기 클립이 관통되는 클립 관통공이 형성된 베리어 바디와; 상기 베리어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클립 관통공을 여닫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록킹하는 제1위치와 상기 셔터를 록킹 해제하는 제2위치로 슬라이드되게 상기 베리어 바디에 배치된 록커를 포함하며, 상기 MCC유닛에는 상기 MCC유닛에 의해 후퇴되어 상기 록커를 제2위치로 슬라이드시키는 록커 슬라이더가 배치된다.
상기 록커를 제1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록커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록커 스프링을 지지하는 록커 스프링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 바디는 상기 록커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고 상기 록커가 슬라이드 안내되는 록커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커 가이드부는 상기 클립 관통공의 좌우 중 일측에 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셔터는 상기 클립 관통공을 분할하여 개폐하는 한 쌍의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셔터 중 어느 하나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셔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클립 관통공을 막는 위치로 회전되게 상기 제1회전축을 탄성 지지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베리어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셔터 중 다른 하나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셔터 중 다른 하나가 상기 클립 관통공을 막는 위치로 회전되게 상기 제2회전축을 탄성 지지하는 제2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 바디의 배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회전축 지지부와, 상기 제2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전축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커는 상기 록커 슬라이더의 후단이 슬라이드되는 구배부가 형성된 록커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커는 상기 록커 바디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셔터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1핀삽입부에 삽입되는 제1핀과; 상기 록커 바디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셔터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제2핀삽입부에 삽입되는 제2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 바디는 후면에 절단 홈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셔터가 MCC유닛에 밀려 회전되면서 클립 관통공을 개방하여, 셔터가 신뢰성이 높게 작동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셔터와 베리어 바디가 함께 모선의 전방을 막아 모선으로 손이 침투되는 것을 막는 핑거 프루프로 기능할 수 있고, 안전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한 쌍의 셔터가 클립 관통공을 분할하여 개폐하면서 그 각각이 회전될 수 있어, 크기가 큰 하나의 셔터가 회전되면서 클립 관통공을 개폐하는 경우 보다,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모터 컨트롤 센터의 컴팩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클립을 클립 관통공의 전방으로 빼내면 한 쌍의 셔터가 제1스프링 및 제2스프링에 의해 클립 관통공을 막는 위치로 자동 복귀되므로, 한 쌍의 셔터 중 적어도 하나가 오작동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이물질 출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록커가 한 쌍의 셔터를 모두 록킹할 수 있어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절단 홈에 의해 베리어 바디의 부품 공용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컨트롤 센터의 내부가 도시된 ,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컨트롤 센터의 MCC유닛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컨트롤 센터의 MCC유닛에 설치된 클립이 모선에 접속된 상태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리어 어셈블리의 셔터가 록킹 되었을 때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베리어 어셈블리의 셔터가 록킹 되었을 때의 배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베리어 어셈블리의 셔터가 모터 컨트롤 유닛에 의해 록킹 해제되었을 때의 정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베리어 어셈블리의 셔터가 모터 컨트롤 유닛에 의해 록킹 해제되었을 때의 배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베리어 어셈블리의 셔터가 모터 컨트롤 유닛에 의해 록킹 해제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록커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베리어 어셈블리의 셔터가 록킹 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베리어 어셈블리의 셔터가 록킹 해제 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컨트롤 센터의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컨트롤 센터의 MCC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컨트롤 센터의 MCC유닛에 설치된 클립이 모선에 접속된 상태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다.
모터 컨트롤 센터는 캐비닛(1)과, 모선(2)과, MCC유닛(3) 및 베리어 어셈블리(4)를 포함한다.
캐비닛(1)은 모터 컨트롤 센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캐비닛(1)은 내부에 모선(2)과, MCC유닛(3)과, 베리어 어셈블리(4)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은 일면이 개방될 수 있다. MCC유닛(3)은 캐비닛(1)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출입될 수 있다.
캐비닛(1)은 베이스(11)와, 베이스(11) 상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바디(12) 및 리어 바디(13)와, 한 쌍의 사이드 바디(12) 및 리어 바디(13)의 상부에 배치된 탑 커버(14)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에는 공간(S)을 여닫는 도어(15)가 회전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어(15)는 복수개가 공간(S)을 분할하여 개폐하게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1)의 내부에는 공간(S)을 상하 구획하는 구획판(16)이 배치될 수 있다. 구획판(16)은 캐비닛(1)의 내부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의 구획판(16)은 공간(S)에 상하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획판(16)은 후단이 리어 바디(13)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고, 구획판(16)의 후단과 리어 바디(13)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구획판(16)은 그 후단이 모선(2)에 접촉되지 않게 설치될 수 있다.
모선(2)은 캐비닛(1)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모선(2)은 도어(15)와 리어 바디(13) 중 리어 바디(13)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모선(2)은 캐비닛(1)의 내측 전방과 내측 후방 중 내측 후방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모선(2)은 MCC유닛(3)과 접속될 수 있다. 모선(2)은 캐비닛(1)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고, MCC유닛(3)이 모선(2)의 전방에서 모선(2)을 향해 이동되어 모선(2)에 접속될 수 있다. 모선(2)은 공간(S)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수직 모선일 수 있다. 모선(2)은 공간(S)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모선(2)은 캐비닛(1)의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모선(2) 각각은 MCC유닛(3)과 접속될 수 있다.
MCC유닛(3,Motor control center unit)은 모터에 필요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전원의 공급 방향을 전환하는 등의 방법으로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 컨트롤 유닛일 수 있다.
MCC유닛(3)은 구획판(16)에 올려질 수 있다. 모터 컨트롤 센터는 캐비닛(1)에 복수개의 MCC유닛(3)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MCC유닛(3) 중 일부는 상하 이격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구획판(16) 사이로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MCC유닛(3)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MCC유닛은 복수개의 구획판(16)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구획판(16)과 탑 커버(14)의 사이로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MCC유닛(3)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MCC유닛은 베이스(11)와, 복수개의 구획판(16)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구획판(16)의 사이로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MCC유닛(3)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MCC유닛(3)은 전기회로를 차단하는 차단기(31)와, 차단기(31)가 설치되는 드로워(32)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31)는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로 구성될 수 있다.
드로워(32)는 전면과 상면과 후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드로워(32)는 저면과 좌,우 양측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다. 드로워(32)는 로어 플레이트(33)와, 로어 플레이트(33)에 세워진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34a)(34b)를 포함할 수 있다.
MCC유닛(3)은 드로워(32)의 전면을 개폐하는 프론트 도어(3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35)는 드로워(32)의 좌,우 중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연결될 수 이다.
MCC유닛(3)은 드로워(32)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6)는 MCC유닛(3)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MCC유닛(3)은 모선(2)에 접속되는 클립(37)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3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선(2)에 접속되는 클립부재(38)와, 클립부재(38)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클립케이스(39)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37)은 드로워(32)의 내측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MCC유닛(3)은 구획판(16)에 올려지고 모선(2)이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클립(37)이 모선(2)과 접속될 수 있다. MCC유닛(3)은 클립(37)이 베리어 어셈블리(4)에 형성된 클립 관통공을 관통하여 모선(2)에 접속될 수 있다.
베리어 어셈블리(4)은 모선(2)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베리어 어셈블리(4)는 모선(2)의 전방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베리어 어셈블리(4)는 작업자 등의 손이 모선(2)에 닿지 않게 막는 핑거 프루프(Finger Proof)일 수 있다.
베리어 어셈블리(4)는 MCC유닛(3)이 모선(2)에 접속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베리어 어셈블리(4)는 MCC유닛(3)에 구비된 클립이 베리어 어셈블리(4)를 관통하는 클립 관통공(41)이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 어셈블리(4)는 이러한 클립 관통공(41)을 개폐하는 셔터(50,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리어 어셈블리의 셔터가 록킹 되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베리어 어셈블리의 셔터가 록킹 되었을 때의 배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베리어 어셈블리의 셔터가 모터 컨트롤 유닛에 의해 록킹 해제되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베리어 어셈블리의 셔터가 모터 컨트롤 유닛에 의해 록킹 해제되었을 때의 배면도이며,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베리어 어셈블리의 셔터가 모터 컨트롤 유닛에 의해 록킹 해제되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록커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베리어 어셈블리(4)는 베리어 바디(40)와, 셔터(50)와, 록커(60)를 포함한다.
베리어 바디(40)는 캐비닛(1)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 베리어일 수 있다. 베리어 바디(4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 바디(40)는 도어(15)를 열고 MCC유닛(3)을 외부로 인출하였을 때, 모터 컨트롤 센터의 전방에서 공간(S)을 통해 보일 수 있다.
베리어 바디(40)에는 클립(37)이 관통되는 클립 관통공(41)이 형성될 수 있다. 클립 관통공(41)은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립 관통공(41)은 베리어 바디(40)에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 바디(40)는 후면에 절단 홈(46)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절단 홈(46)은 베리어 바디(4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절단 홈(46)은 베리어 바디(4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절단 홈(46)은 베리어 바디(40)의 클립 관통공(41)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절단 홈(46)은 클립 관통공(41)의 상측에 형성되거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 바디(40)는 모터 컨트롤 센터의 크기나 모델 유형에 무관하게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절단 홈(46)을 기준으로 베리어 바디(40)를 2등분하여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셔터(50)는 베리어 바디(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클립 관통공(41)을 여닫을 수 있다. 셔터(50)는 클립 관통공(41)을 분할하여 개폐하는 복수개의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셔터 각각은 베리어 바디(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셔터(50)는 한 쌍의 셔터(52)(5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셔터(52)(53)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셔터(52)(53)는 서로 멀어지면서 클립 관통공(41)을 개방할 수 있고, 서로 가깝게 모아지면서 클립 관통공(41)을 차폐할 수 있다.
한 쌍의 셔터(52)(53)는 중 어느 하나(52)는 상측에 위치되는 어퍼 셔터(52)일 수 있고, 둘 중 다른 하나(53)는 어퍼 셔터(52)의 하측에 위치하는 로어 셔터(53)일 수 있다.
한 쌍의 셔터(52)(53)는 어느 하나가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셔터일 수 있고, 다른 하나가 좌측 셔터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셔터일 수 있다.
한 쌍의 셔터(52)(53)는 그 회전궤적을 최소화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립 관통공(41)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경우, 한 쌍의 셔터(52)(53)는 어퍼 셔터(52)와 로어 셔터(53)로 구성될 경우 그 회전궤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록커(60)는 셔터(50)를 록킹하는 제1위치(P1)와 셔터(50)를 록킹 해제하는 제2위치(P2)로 슬라이드되게 베리어 바디(40)에 배치될 수 있다.
록커(60)는 셔터(50)로 삽입되어 셔터(50)를 구속하고 셔터(50)에서 분리되어 셔터(50)를 구속 해제하는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셔터(50)가 하나의 셔터일 경우 록커(60)는 하나의 셔터를 구속,해제하는 하나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셔터(50)가 복수의 셔터일 경우 록커(60)는 복수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셔터의 개수가 N일 경우, 핀은 하나의 록커에 N개 구비될 수 있고, 록커의 개수와, 셔터의 개수와, 핀의 개수는 1:N:N 일 수 있다.
MCC유닛(3)에는 록커(60)을 슬라이드 동작시키는 록커 슬라이더(70)가 배치될 수 있다. 록커 슬라이더(70)는 MCC유닛(3)에 의해 후퇴되어 록커(60)를 제2위치(P2)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록커 슬라이더(7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록커 슬라이드(70)는 록커(60)의 전방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MCC유닛(3)이 후방 방향으로 이동되면 MCC유닛(3)과 함께 후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록커 슬라이더(70)는 클립(37)의 옆에 배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클립(37)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무빙될 수 있다.
베리어 어셈블리(4)는 록커(60)를 제1위치(P1)로 탄성 지지하는 록커 스프링(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리어 어셈블리(4)는 베리어 바디(40)에 장착되고 록커 스프링(80)를 지지하는 록커 스프링 서포터(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리어 바디(40)는 록커(6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고 록커(60)가 슬라이드 안내되는 록커 가이드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록커 가이드부(42)는 클립 관통공(41)의 좌우 중 일측에 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한 쌍의 셔터(52)(53)는 어퍼 셔터(52)와 로어 셔터(53)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베리어 어셈블리(4)는 제1회전축(A1)과 제1스프링(S1)을 포함할 수 잇다.
제1회전축(A1)은 베리어 바디(40)에 배치되어 한 쌍의 셔터(52)(53) 중 어느 하나(5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1회전축(A1)은 어퍼 셔터(52)의 후술하는 제1회전축 삽입부(57)에 삽입될 수 있다. 제1회전축(A1)은 수평방향으로 긴 수평회전축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스프링(S1)은 한 쌍의 셔터(52)(53) 중 어느 하나(52)가 클립 관통공(41)을 막는 위치로 회전되게 제1회전축(A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1스프링(S1)은 제1회전축(A1)을 둘러싸게 배치된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베리어 어셈블리(4)는 제2회전축(A2)와 제2스프링(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축(A2)은 베리어 바디(40)에 배치되어 한 쌍의 셔터(52)(53) 중 다른 하나(5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회전축(A2)은 로어 셔터(53)의 후술하는 제2회전축 삽입부(58)에 삽입될 수 있다. 제2회전축(A2)은 수평방향으로 긴 수평회전축일 수 있다.
제2스프링(S2)는 한 쌍의 셔터 중 다른 하나(53)가 클립 관통공(41)을 막는 위치로 회전되게 제2회전축(A2)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2스프링(S2)은 제2회전축(A2)을 둘러싸게 배치된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한편, 베리어 바디(40)의 배면에는 제1회전축(A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회전축 지지부(43)와, 제2회전축(A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전축 지지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셔터(52)는 제1핀(63)이 삽입되는 제1핀삽입부(56)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셔터(52)에는 제1회전축(A1)이 삽입되는 제1회전축 삽입부(57)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셔터(53)는 제2핀(64)이 삽입되는 제2핀삽입부(58)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셔터(53)에는 제2회전축(A2)이 삽입되는 제2회전축 삽입부(59)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축(A1)은 제1회전축 삽입부(57)에 고정될 수 있고, 제1회전축 지지부(4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스프링(S1)은 일측이 제1회전축 지지부(43)에 형성된 홈부 또는 돌기부에 걸릴 수 있고, 타측이 제1회전축(A1)과 제1회전축 삽입부(57)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홈부 또는 돌기부에 걸릴 수 있다. 제1스프링(S1)은 어퍼 셔터(52)가 후방으로 회전되었을 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제1스프링(S1)은 어퍼 셔터(52)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되면서 어퍼 셔터(52)가 클립 관통공(41)을 닫는 방향으로 제1회전축(A1)과 제1회전축 삽입부(57)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회전축(A2)은 제2회전축 삽입부(59)에 고정될 수 있고, 제2회전축 지지부(4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2스프링(S2)은 일측이 제2회전축 지지부(44)에 형성된 홈부 또는 돌기부에 걸릴 수 있고, 타측이 제1회전축(A2)과 제2회전축 삽입부(59)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홈부 또는 돌기부에 걸릴 수 있다. 제2스프링(S2)은 로어 셔터(53)가 후방으로 회전되었을 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제2스프링(S2)SMS 로어 셔터(53)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되면서 로어 셔터(53)가 클립 관통공(41)을 닫는 방향으로 제2회전축(A2)과 제2회전축 삽입부(59)을 회전시킬 수 있다.
록커(60)는 록커 바디(61)를 포함할 수 있다. 록커 바디(61)에는 록커 슬라이더(70)의 후단이 슬라이드되는 구배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록커(60)는 록커 바디(61)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한 쌍의 셔터(52)(53) 중 어느 하나(52)에 형성된 제1핀삽입부(56)에 삽입되는 제1핀(63)과; 록커 바디(61)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한 쌍의 셔터(52)(53) 중 다른 하나(53)에 형성된 제2핀삽입부(58)에 삽입되는 제2핀(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록커(60)는 록커 가이드부(42)에 위치될 수 있고, 구배부(62) 이외가 록커 가이드부(42)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제1핀(63)과 제2핀(64)는 록커 가이드부(42)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구배부(62)가 록커 슬라이드(70)에 의해 옆으로 밀리면 제1핀(63)과 제2핀(64)는 셔터(52)(53)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제1핀(63)과 제2핀(64)는 록커 스프링(80)에 의해 록커(60)가 록커 스프링 서포터(9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때 셔터(52)(53)로 삽입되어 셔터(52)(53)를 록킹할 수 있다.
제1핀(63)은 어퍼 셔터(52)의 제1핀삽입부(56)에 삽입되어 구속되는 제1록킹돌기부와, 록커 바디(61)에 제1록킹돌기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제1록커스프링의 임의 이탈을 막는 제1록커스프링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핀(64)은 로어 셔터(53)의 제2핀삽입부(58)에 삽입되어 구속되는 제2록킹돌기부와, 록커 바디(61)에 제2록킹돌기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제2록커스프링의 임의 이탈을 막는 제2록커스프링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록커 슬라이더(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37) 옆에 위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록커 슬라이더(70)는 클립(37)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록커 슬라이더(70)는 클립(37)과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록커 슬라이드(70)는 클립(37)의 측면에 돌출된 가압부(37a)에 접촉되는 클립 접촉부(71)와, 클립 접촉부(71)에서 후방 방향으로 돌출된 조작 돌기(72)를 포함할 수 있다.
록커 스프링(80)은 일단이 록커 바디(61)의 측면에 접촉되고, 타단이 록커 스프링 서포터(90)에 접촉될 수 있다. 록커 스프링(80)은 옆으로 ?똑?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록커 스프링(80)는 록커 바디(61)가 록커 스프링 서포털(90)와 가까워지게 이동될 때 압축될 수 있고, 록커 바디(61)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록커 바디(61)를 록커 스프링 서포터(90)와 멀어지게 록커 바디(61)를 밀어 낼 수 있다.
록커 스프링(80)는 록커 바디(61)와 록커 스프링 서퍼터(90) 사이에 단수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록커 스프링(80)이 복수개 구비될 경우, 록커 스프링(80)은 제1핀(63)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1록커스프링과, 제2핀(64)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2록커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록커스프링은 제1핀(63)의 제1록커스프링 홀더부를 에워싸게 록커 바디(61)와 록커 스프링 서포터(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그 사이에서 압축,인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록커스프링은 제2핀(64)의 제2록커스프링 홀더부를 에워싸게 록커 바디(61)와 록커 스프링 서포터(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그 사이에서 압축,인장될 수 있다.
록커 스프링 서포터(90)는 록커 가이드부(42)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록커 스프링 서포터(90)와 록커 가이드부(42)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91)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후크(91)가 삽입되어 걸리는 후크홀(43a)이 형성될 수 있다.
록커 스프링 서포터(90)는 클립 관통공(41)의 옆에 클립 관통공(41)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록커 스프링(70)이 클립 관통공(41)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되게 록커 스프링(7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베리어 어셈블리의 셔터가 록킹 되었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베리어 어셈블리의 셔터가 록킹 해제 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록커 슬라이드(70)의 조작 돌기(72)는 후단이 뾰죡하게 형성될 수 있다. 조작돌기(72)는 후단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작돌기(72)의 후단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배진 한 쌍의 구배단(73)(74)을 갖을 수 있다. 한 쌍의 구배단(73)(74) 중 어느 하나는 록커(60)의 구배부(62)의 전면에 접촉될 수 있고, 록커(60)의 구배부(62)를 타고 미끄러질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MCC유닛(3)을 모터 컨트롤 센터에 장착할 때, MCC유닛(3)을 구획판(16)에 올리고 모선(2)이 위치하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 시킬 수 있다.
MCC유닛(3)은 클립(37)이 모선(2)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모선(2)의 전방에서 모선(2)을 향해 후퇴될 수 있고, 록커 슬라이드(70)는 록커(60)의 전방에서 록커(60)를 향해 후퇴될 수 있다.
록커 슬라이드(70)의 조작돌기(72) 후단은 록커(60)의 구배부(62)에 접촉될 수 있고, 록커 슬라이드(70)가 점차 후방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록커(60)의 구배부(62)를 따라 미끌어질 수 있고, 록커(60)의 구배부(62)를 셔터 관통공(4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 수 있다. .
록커(60)는 상기와 같이 록커 슬라이드(70)에서 가해진 외력에 의해 셔터 관통공(41)과 점차 멀어지게 슬라이드될 수 있고, 이때, 베리어 바디(40)의 록커 가이드부(42)에 안내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록커(60)의 이동시, 제1핀(63)은 제1핀삽입부(56)에서 빠져나올 수 있고, 제2핀(64)는 제2핀삽입부(58)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제1핀(63)이 제1핀삽입부(56)에서 빠져나왔을 때 어퍼 셔터(52)는 록커(60)에서 록킹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핀(64)이 제2핀삽입부(58)에서 빠져나왔을 대, 로어 셔터(53)은 록커(60)에서 록킹 해제될 수 있다.
어퍼 셔터(52)는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고, 로어 셔터(53)은 제2회전축(A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MCC유닛(3)은 클립(37)의 후단이 어퍼 셔터(52) 및 로어 셔터(53)와 접촉될 수 있고, 클립(37)이 점차 후방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어퍼 셔터(52) 및 로어 셔터(53)를 회전시키면서 모선(2)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어퍼 셔터(52)와 로어 셔터(53)는 상기와 같은 클립(37)의 이동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후방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어퍼 셔터(52)와 로어 셔터(53)의 회전시, 베리어 바디(40)의 클립 관통공(41)은 개방될 수 있고, 클립(37)은 어퍼 셔터(52) 및 로어 셔터(53)에 방해받지 않고 모선(2)으로 이동되어 모선(2)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MCC유닛(3)의 장착시, 록커 스프링(80)은 압축된 상태에서 록커 스프링 서포터(90)에 지지될 수 있고, 제1스프링(S1)은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제1회전축(A1)을 지지할 수 있으며, 제2스프링(S2)는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제2회전축(A2)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MCC유닛(3)은 유지보수를 위해 서비스를 위해 모터 컨트롤 센터에서 분리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작업자는 MCC유닛(3)을 모선(2)의 전방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MCC유닛(3)을 모선(2)의 전방으로 잡아당길 경우, 클립(37)은 모선(2)에서 분리될 수 있고, 클립 관통공(41)을 통과해 클립 관통공(41)의 전방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클립(37)의 분리시, 제1스프링(S1)은 탄성 복원되면서 제1회전축(A1)을 역회전시킬 수 있고, 제2스프링(S2)는 탄성 복원되면서 제2회전축(A2)을 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회전축(A1)과 제2회전축(A2)의 역회전시, 어퍼 셔터(52)는 클립 관통공(41) 중 상부측 영역을 막는 위치로 회전되고, 로어 셔터(53)는 클립 관통공(41) 중 하부측 영역을 막는 위치로 회전되며, 어퍼 셔터(52)와 로어 셔터(53)는 함께 클립 관통공(41)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어퍼 셔터(52)의 제1핀삽입부(56)은 제1핀(63)의 옆에 위치될 수 있고, 로어 셔터(53)의 제2핀삽입부(58)은 제2핀(64)의 옆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MCC유닛(3)의 전방 인출시, 록커 슬라이드(70)는 MCC유닛(3)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조작돌기(72)는 베리어 바디(40)의 전방으로 빠져 나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록커 슬라이드(70)의 이동시, 록커 스프링(80)은 압축된 상태에서 탄성 복원되면서 록커(60)를 밀어낼 수 있고, 록커(60)는 클립 관통공(4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록커(60)의 제1핀(63)은 어퍼 셔터(52)의 제1핀삽입부(56)로 삽입되어 어퍼 셔터(52)를 구속할 수 있고, 록커(60)의 제2핀(64)는 로어 셔터(53)의 제2핀삽입부(58)로 삽입되어 로어 셔터(53)을 구속할 수 있다.
어퍼 셔터(52)와 로어 셔터(53)는 하나의 록커(60)에 의해 구속될 수 있고, 이때, 어퍼 셔터(52)와 로어 셔터(53)는 그 임의 회전이 제한되는 상태가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2: 모선
3: MCC유닛 4: 베리어 어셈블리
40: 베리어 바디 41: 클립 관통공
46: 절단홈 42: 록커 가이드부
50: 셔터 52: 어퍼 셔터
53: 로어 셔터 60: 록커
62: 제1핀 64: 제2핀
70: 록커 슬라이더 80: 록커 스프링
90: 록커 스프링 서포터 A1: 제1회전축
S1: 제1스프링 A2: 제2회전축
S2: 제2스프링 P1: 제1위치
P2: 제2위치

Claims (11)

  1.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된 모선과;
    상기 모선의 전방에 배치된 베리어 어셈블리와;
    상기 모선에 접속되는 클립을 갖는 MCC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 어셈블리는
    상기 클립이 관통되는 클립 관통공이 형성된 베리어 바디와;
    상기 베리어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클립 관통공을 여닫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록킹하는 제1위치와 상기 셔터를 록킹 해제하는 제2위치로 슬라이드되게 상기 베리어 바디에 배치된 록커를 포함하며,
    상기 MCC유닛에는 상기 MCC유닛에 의해 후퇴되어 상기 록커를 제2위치로 슬라이드시키는 록커 슬라이더가 배치된 모터 컨트롤 센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를 제1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록커 스프링를 더 포함하는 모터 컨트롤 센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록커 스프링을 지지하는 록커 스프링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모터 컨트롤 센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 바디에는 상기 록커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고 상기 록커가 슬라이드 안내되는 록커 가이드부가 형성된 모터 컨트롤 센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 가이드부는 상기 클립 관통공의 좌우 중 일측에 후방 방향으로 돌출된 모터 컨트롤 센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클립 관통공을 분할하여 개폐하는 한 쌍의 셔터를 포함하는 모터 컨트롤 센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셔터 중 어느 하나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셔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클립 관통공을 막는 위치로 회전되게 상기 제1회전축을 탄성 지지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베리어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셔터 중 다른 하나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셔터 중 다른 하나가 상기 클립 관통공을 막는 위치로 회전되게 상기 제2회전축을 탄성 지지하는 제2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모터 컨트롤 센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 바디의 배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회전축 지지부와,
    상기 제2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전축 지지부가 형성된 모터 컨트롤 센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는 상기 록커 슬라이더의 후단이 슬라이드되는 구배부가 형성된 록커 바디를 포함하는 모터 컨트롤 센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는 상기 록커 바디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셔터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1핀삽입부에 삽입되는 제1핀과;
    상기 록커 바디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셔터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제2핀삽입부에 삽입되는 제2핀을 더 포함하는 모터 컨트롤 센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 바디는 후면에 절단 홈이 길게 형성된 모터 컨트롤 센터.
KR2020160001075U 2016-02-26 2016-02-26 모터 컨트롤 센터 KR2004845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075U KR200484531Y1 (ko) 2016-02-26 2016-02-26 모터 컨트롤 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075U KR200484531Y1 (ko) 2016-02-26 2016-02-26 모터 컨트롤 센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126U true KR20170003126U (ko) 2017-09-05
KR200484531Y1 KR200484531Y1 (ko) 2017-09-18

Family

ID=6057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075U KR200484531Y1 (ko) 2016-02-26 2016-02-26 모터 컨트롤 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5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828A1 (ko) * 2021-08-03 2023-02-09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1042A (ko) * 2009-02-09 2010-08-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제어반
KR20130026749A (ko) * 2011-09-06 2013-03-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파워플러그용 오토셔터
KR20150086066A (ko) * 2014-01-17 2015-07-27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모터 컨트롤 센터의 셔터 배리어
KR20150096878A (ko) * 2014-02-17 2015-08-26 주식회사 엘스콤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1042A (ko) * 2009-02-09 2010-08-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제어반
KR20130026749A (ko) * 2011-09-06 2013-03-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파워플러그용 오토셔터
KR20150086066A (ko) * 2014-01-17 2015-07-27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모터 컨트롤 센터의 셔터 배리어
KR20150096878A (ko) * 2014-02-17 2015-08-26 주식회사 엘스콤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828A1 (ko) * 2021-08-03 2023-02-09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셔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531Y1 (ko) 201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6223B1 (en) Cradle with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withdrawable vacuum circuit breaker
EP2228878B1 (en) Circuit breaker with apparatus for preventing withdrawing or inserting of carriage of circuit breaker
US10742004B2 (en) Motor control center (MCC) units with retractable power connector and interlocks including a power connector position interlock
US9515462B2 (en) Shutter device for an electrical switchgear panel, and related switchgear panel
CN103380553A (zh) 用于电开关装置的可抽出单元
US7903393B2 (en) Lockable shutter for withdrawable racks of low-voltage power circuit breakers
EP2684265B1 (en) Flexible cover for contacts of a plug-in or withdrawable unit
KR200484531Y1 (ko) 모터 컨트롤 센터
RU2470431C2 (ru) Выдвижной приборный блок и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шкаф с большим числом выдвижных приборных блоков
CN209071929U (zh) 机械联锁机构
KR101602920B1 (ko)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KR101756726B1 (ko) 비상 인터록 해제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KR20150089777A (ko) 배전반
BR102012006128A2 (pt) Disjuntor a vácuo
KR102517740B1 (ko) 배전반의 도어 잠금 장치
KR101608928B1 (ko) 모터 컨트롤 센터의 셔터 배리어
KR100852436B1 (ko) 진공차단기의 도어 및 투입 인터록장치
EP3453041B1 (en) Combination of a panel for accommodating a draw-out device and the draw-out device
CN204441136U (zh) 开关设备的互锁机构及相应的中压开关设备
CN102779669B (zh) 联锁装置及电控箱
EP2482399B1 (en) Interlocks for withdrawable circuit breakers
CN102543510A (zh) 串联安装设备
KR20100019043A (ko)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동작표시형 배전반
CN214956474U (zh) 开关电器操作手柄
AU2015276408B2 (en) Retraction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