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879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879A
KR20170002879A KR1020150092772A KR20150092772A KR20170002879A KR 20170002879 A KR20170002879 A KR 20170002879A KR 1020150092772 A KR1020150092772 A KR 1020150092772A KR 20150092772 A KR20150092772 A KR 20150092772A KR 20170002879 A KR20170002879 A KR 20170002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unit
processing apparatus
draw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960B1 (ko
Inventor
허광철
윤주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960B1/ko
Priority to PCT/KR2016/006966 priority patent/WO2017003182A1/en
Priority to US15/740,937 priority patent/US10697102B2/en
Priority to EP16818215.2A priority patent/EP3317453B1/en
Publication of KR20170002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드로워, 상기 제1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을 지지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 상기 제1드로워가 상기 제1캐비닛에서 인출된 때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캐비닛 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장치의 전방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장치에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과, 장치의 상부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장치에 투입하는 탑 로딩 방식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일정 양 이상의 의류를 처리(세탁, 건조 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했기 때문에 의류처리장치의 부피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의류처리장치의 부피를 줄이기 어려운 문제 때문에 두 대의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한 사용자는 두 대의 의류처리장치를 지면에 나란히 배치시켜 사용해야만 했는데, 이는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될 공간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의류처리 기능(의류의 세탁, 의류의 건조 등)이 구비된 다수의 처리장치가 적층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처리장치의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수용부에 의류의 처리를 위한 수단이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처리장치의 작동 시 상부에 위치된 처리장치가 추락하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드로워; 상기 제1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을 지지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을 연결하는 캐비닛 연결부; 상기 제1드로워가 상기 제1캐비닛에서 인출된 때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캐비닛 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제2캐비닛에서 상기 제1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2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에 접촉하는 바(bar) 또는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제2캐비닛에서 상기 제1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를 상기 제2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캐비닛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제2캐비닛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조절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조절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2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에 접촉하는 접촉바디;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바디를 수용하는 플랜지;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조절바디가 수용되는 슬릿;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후방면에 고정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제2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이나 상기 제2캐비닛이 설치된 공간의 벽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키는 제2처리장치 구동부; 상기 제2처리장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처리장치 제어부;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에 위치된 경우에만 상기 제2처리장치 제어부가 상기 제2처리장치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2처리장치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 접속부는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에 위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처리장치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 접속부는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에 안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처리장치 제어부와 상기 제2처리장치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어회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캐비닛에 구비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처리장치 접속부는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접속부 바디; 및 상기 접속부 바디의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 또는 상기 제어회로를 개폐하는 회로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연결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수용부를 회전시키는 제1처리장치 구동부; 상기 제1처리장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처리장치 제어부;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 접속부 바디; 상기 제1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처리장치 접속부 바디의 위치를 고정 가능한 위치고정부; 상기 위치고정부가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에 위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처리장치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를 개폐하는 회로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수용부를 회전시키는 제1처리장치 구동부; 상기 제1처리장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처리장치 제어부;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 접속부 바디; 상기 제1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처리장치 접속부 바디의 위치를 고정 가능한 위치고정부; 상기 위치고정부가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에 위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처리장치 제어부와 상기 제1처리장치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어회로를 개폐하는 회로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수용부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관; 상기 제2수용부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2급수관; 급수원에 상기 제1급수관 및 상기 제2급수관을 연결하는 급수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커넥터는 상기 급수원에 착탈 가능한 급수커넥터 바디; 상기 급수커넥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급수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착탈관; 상기 급수커넥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2급수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착탈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수용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제1배수관; 상기 제2수용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제2배수관; 실외에 연결된 하수관에 상기 제1배수관 및 상기 제2배수관을 연결하는 배수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커넥터는 상기 하수관에 착탈 가능한 배수커넥터 바디; 상기 배수커넥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1배수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관; 상기 배수커넥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2배수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드로워; 상기 제1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드로워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드로워; 상기 제2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 상기 제1드로워가 상기 제1캐비닛에서 인출된 때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캐비닛 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에 접촉하는 바(bar) 또는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를 상기 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에 고정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이나 상기 캐비닛이 설치된 공간의 벽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 기능(의류의 세탁, 의류의 건조 등)이 구비된 다수의 처리장치가 적층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처리장치의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수용부에 의류의 처리를 위한 수단이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처리장치의 작동 시 상부에 위치된 처리장치가 추락하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캐비닛 지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캐비닛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접속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급수커넥터, 배수커넥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제1처리장치(T)와 제2처리장치(L)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T)는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이고, 제2처리장치(L)는 상기 제1처리장치(T)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처리장치(T)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의류처리 기능도 구현 가능한 장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처리장치(T)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캐비닛(1), 상기 제1캐비닛(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드로워(2), 상기 제1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처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수용부(3, 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캐비닛(1)에는 제1개방면(11)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드로워(2)는 제1개방면(11)을 통해 제1캐비닛(1)에서 인출되거나 제1캐비닛(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닛(1)은 너비방향(X축 방향)의 길이가 높이방향(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드로워(2)는 상부면이 개방된 제1드로워 바디(21), 상기 제1드로워 바디의 개방면에 구비되는 제1드로워 커버(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드로워 바디(21)는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드로워 커버(25)는 제1드로워 바디(2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제1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된다.
상기 제1드로워 바디(21)의 전방면에는 제1드로워 패널(23)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드로워 패널(23)은 제1캐비닛의 개방면(11)을 개폐하는 수단인 동시에 제1드로워 바디(21)를 제1캐비닛(1)에서 인출하거나 제1캐비닛(1)으로 삽입시키는 수단이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드로워 패널(23)에는 제1처리장치(T)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컨트롤패널(23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컨트롤패널(231)에는 상기 제1수용부(3, 4)에 세탁수를 급배수하기 위한 수단(급수부, 배수부), 의류를 회전시키는 수단(구동부), 의류에 스팀이나 열풍을 공급하는 수단(열풍공급부, 수분공급부)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제1처리장치의 제어부)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컨트롤패널(231)에는 사용자가 제1처리장치(T)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입력부(233), 상기 제1입력부(233)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의 확인이나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제1표시부(235, 제1처리장치의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수단)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드로워 커버(25)에는 상기 제1드로워 커버(2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제1드로워 바디(2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커버 제1관통홀(251, 제1관통홀) 및 제2커버 제2관통홀(253, 제2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로워(2) 내부에 구비되는 제1수용부(3, 4)는 상기 제1드로워 바디(21)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터브(3), 상기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제1드럼(4)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터브(3)는 제1터브지지부(31)에 의해 제1드로워(2)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1터브(3)의 상부면에는 제1터브(3) 내부를 제1터브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투입구(33)가 구비되고, 상기 제1투입구(33)는 제1도어(35)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1도어(35)는 제1터브(3)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데(제1터브의 상부면 일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제1도어(35)는 제1드로워 커버(25)에 구비된 제1관통홀(251)를 통해 제1드로워(2)의 외부로 인출(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드로워(2)를 제1캐비닛(1)에서 인출시킨 뒤 제1도어(35)를 열어 제1터브(3)에 의류을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터브(3)의 상부면에는 제1터브(3)로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제1유입구(37)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유입구(37)는 후술할 제1급수관(S11)에 연결된다.
상기 제1드럼(4)은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드럼(4)은 상기 제1터브(3)의 외부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 구동부(43, 제1구동부)에 의해 제1터브(3)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4)의 지름(X축 방향의 길이)은 상기 제1드럼(4)의 높이(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적어도 두 개의 처리장치(T, L)가 적층되어 구비되는 것이 특징인데, 각 처리장치에 구비된 투입구(33, 643)는 지면(G, gorund)에 나란한 평면에 위치하므로 각 처리장치의 높이가 높으면 높을수록 사용자가 제1투입구(33)에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드럼(4)의 지름을 상기 제1드럼(4)의 높이보다 길게 한 것은 의류처리장치(100)의 높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상부에 위치한 처리장치의 투입구(33)에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구동부(43)는 제1터브(3)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스테이터(431),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433), 상기 제1터브(3)를 관통하여 제1드럼(4)의 바닥면과 상기 로터(433)를 연결하는 제1드럼 회전축(435)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드럼 회전축(435)은 제1드로워(2)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로워(2)는 상기 제1드로워(2)가 제1캐비닛(1)에서 인출된 때 제1구동부(43)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드로워 바디(21)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구동부(43)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구멍이 없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드럼(4)의 외주면에는 제1드럼(4)의 내부를 제1터브(3) 내부와 연통시키는 제1드럼관통홀(41)이 구비된다.
제1수용부가 제1터브(3)와 제1드럼(4)으로 구비되는 것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T)가 세탁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처리장치(T)가 의류의 건조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려면 제1캐비닛(1) 내부에는 제1터브(3)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미도시)가 더 구비되면 된다.
제1처리장치(T)에 구비되는 열풍공급부(미도시)는 제1터브(3)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비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제1터브에서 배출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한 열교환부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열풍공급부(미도시)는 제1터브 내부의 공기를 제1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 제1캐비닛(1) 외부의 공기를 제1터브(3)로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공급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달리 제1처리장치(T)가 의류의 건조만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면, 상술한 제1처리장치(T)의 구성 중 제1터브(3)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처리장치(T) 내부에는 상기 제1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되어야 하고, 상술한 제1열풍공급부는 제1드럼(4)으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1처리장치(T)가 의류를 세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처리장치(T)에는 제1급수부(S1)와 제1배수부(D1)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1급수부(S1)는 급수원과 상기 제1유입구(37)를 연결하는 제1급수관(S11), 제1처리장치의 제어부(C1, 제1제어부)에 의해 제1급수관(S11)을 개폐하는 밸브(S1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관(S11)은 제2관통홀(253)을 통해 상기 제1드로워 커버(25)를 관통하는데, 제1드로워의 운동범위를 고려할 때 신축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거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배수부(D1)는 상기 제1터브(3)에 저장된 세탁수를 제1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제1배수부(D1)는 제1터브(3) 내부의 세탁수를 제1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D11), 상기 제1배수관(D11)에 구비되어 제1터브(3)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펌프(D13, 제1제어부에 의해 제어됨)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관 역시 신축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거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처리장치(T)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처리장치의 높이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제1조절부(5)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조절부는 제1캐비닛(1)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바디(51), 상기 제1고정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조절바디(53), 상기 제1조절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처리장치(L)에 접촉하는 제1접촉바디(5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바디(53)는 수나사(external thread)로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바디(51)는 상기 수나사가 결합되는 암나사(internal thread)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조절부(5)는 상기 제1조절바디(53)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1접촉바디(55)와 제1고정바디(5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부(5)는 상기 제1캐비닛(1)의 바닥면에 3개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설치자는 제1캐비닛(1)의 수평이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제1처리장치(T)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처리장치(L)는 상술한 제1처리장치(T)와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처리장치(T)와 다른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제1처리장치(T)가 의류의 건조를 위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L)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장치 또는 의류의 건조 및 세탁을 모두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장치(T)가 의류의 세탁을 위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L)는 의류의 건조를 위한 장치 또는 의류의 건조 및 세탁을 모두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처리장치(T)가 의류의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L)는 의류의 건조를 위한 장치 또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제2처리장치(L)가 제1처리장치(T)와 동일한 기능(의류의 세탁)을 수행 가능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L)는 제2캐비닛(6), 상기 제2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드로워(63), 상기 제2드로워 내부에 구비되며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수용부(64, 65)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캐비닛(6)은 제2드로워(63)가 삽입되는 제2개방면(61)을 포함하며, 상기 제1처리장치(T)는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615)에 안착된다.
상기 제2드로워(63)는 제2드로워 바디(631), 상기 제2드로워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2드로워 커버(635), 상기 제2드로워 바디(631)에 고정되는 제2드로워 패널(6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드로워 패널(633)에는 제2컨트롤패널(6331)이 구비되며, 상기 제2컨트롤패널(6331)에는 제2처리장치 제어부(제2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2입력부(6333) 및 제2표시부(6335)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제2컨트롤패널(6331), 제2입력부(6333) 및 제2표시부(6335)의 기능은 제1처리장치에 구비된 제1컨트롤패널, 제1입력부 및 제1표시부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드로워 커버(635)에는 제2드로워(63)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커버 제1관통홀(637, 제3관통홀) 및 제2커버 제2관통홀(639, 제4관통홀)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T)가 의류의 세탁을 위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수용부(64, 65)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2터브(64) 및 상기 제2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65)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터브(64)는 제2터브 지지부(641)를 통해 제2드로워 바디(631)에 고정되는데, 상기 제2터브(64)의 상부면에는 제2투입구(643) 및 제2유입구(647)가 구비된다.
상기 제2투입구(643)는 상기 제3관통홀(637)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투입구(643)는 제2터브(6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도어(645)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2유입구(647)는 상기 제2터브(64)로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제2유입구(647)에는 후술할 제2급수관(S21)이 연결된다.
상기 제2드럼(65)은 제2처리장치 구동부(66, 제2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2터브(64)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데, 상기 제2드럼(65)의 구조 및 상기 제2구동부(66)의 구조는 앞서 설명한 제1처리장치의 제1드럼(4) 및 제1구동부(43)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구동부(66) 역시 스테이터, 로터, 상기 로터와 상기 제2드럼(65)을 연결하는 제2드럼 회전축(66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터브(64)는 제2급수부(S2)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고, 제2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는 제2배수부(D2)를 통해 제2캐비닛(6)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2급수부(S2) 및 제2배수부(D2)의 구조는 제1처리장치에 구비된 제1급수부(S1) 및 제1배수부(D1)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급수부(S2)는 급수원과 상기 제2유입구(647)를 연결하는 제2급수관(S21) 및 상기 제2급수관을 개폐하는 제2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급수관(S21)은 상기 제4관통홀(639)을 통해 상기 제2드로워 커버(635)를 관통하며, 제2드로워의 동작범위를 고려할 때 신축 가능한 구조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배수부(D2)는 제2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제2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D21) 및 상기 제2배수관에 구비되는 펌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배수관(D21) 역시 신축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거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캐비닛(6)의 바닥면에는 제2처리장치(L)의 높이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제2조절부(6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조절부(67)는 제2캐비닛(6)의 바닥면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671), 상기 제2고정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 제2조절바디(673), 상기 제2조절바디에 구비되어 제2처리장치(L)가 설치되는 면(지면 등)에 접촉하는 제2접촉바디(6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바디(671), 제2조절바디(673), 제2접촉바디(675)의 구조는 제1조절부에 구비된 제1고정바디(51), 제1조절바디(53) 및 제1접촉바디(55)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제1처리장치(T)는 제1캐비닛(1)에서 인출되는 제1드로워(2)를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1수용부(3, 4)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제1수용부에서 의류를 인출할 때 제1처리장치(T)가 제2처리장치(L)에서 추락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세탁이나 건조가 완료된 의류를 제2처리장치에서 인출하려면 사용자는 제2드로워(63)를 제2캐비닛(6)에서 인출해야만 하는데, 상기 제2드로워(63)가 제2캐비닛(6)에서 인출되면 제2처리장치(L)의 무게중심이 제2캐비닛(6)의 전방으로 이동할 것이므로 제2처리장치(L)의 후방면이 지면(G)에서 분리되는 문제(제2드로워의 전방면이 지면에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2처리장치에 발생 가능한 이와 같은 문제는 상기 제1처리장치(T)가 제2처리장치(L)의 상부면(615)에 위치되어 있으면 해결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제1처리장치(T)를 제2처리장치(L)의 상부면에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제2처리장치(L)의 상부에 제1처리장치(T)가 안착 될 수 있다는 점만으로 상술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는다.
또한, 제2처리장치(L)의 상부에 제1처리장치(T)가 위치된 경우라도, 제1처리장치의 높이와 제2처리장치의 높이의 합이 제2처리장치의 너비방향 길이보다 길면 제1드로워(2)를 제1캐비닛(1)에서 인출했을 때 의류처리장치(100) 전체가 쓰러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제1처리장치(T)가 제2처리장치(L)의 상부에서 낙하되거나 의류처리장치(100) 전체가 넘어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캐비닛 연결부(81), 캐비닛 지지부(83, 85, 87), 상기 제1처리장치가 제2처리장치의 상부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만 제2처리장치(L)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부(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상기 캐비닛 연결부 및 캐비닛 지지부의 다양한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캐비닛 연결부(81)는 제1캐비닛(1)과 제2캐비닛(6)을 결합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제2처리장치(L)의 전방에 위치하여 의류처리장치(100)를 지지하는 수단(제1지지부, 83), 제2처리장치(L)의 후방에 위치하여 의류처리장치(100)를 지지하는 수단(제2지지부, 85), 제1처리장치(T)의 배면에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100)를 지지하는 수단(제3지지부, 8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연결부(81)는 상기 제1캐비닛과 제2캐비닛이 각각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한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 각각에 구비되어 서로 결합하는 브라켓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후자의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 연결부(81)는 제1캐비닛(1)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817), 제2캐비닛의 상부면(615)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817)에 결합하는 제2연결부(81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연결부(81)는 캐비닛들(1, 6)을 결합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제1조절부(5)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비닛 연결부(81)는 제2캐비닛의 상부면(615)에 고정되며 상기 제2연결부(819)가 위치하는 바디(811),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조절부의 제1접촉바디(55)가 수용되는 조절부 수용부(813)를 더 포함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연결부(817)와 제2연결부(819)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바디(811)에는 상기 제1연결부(817)의 자유단이 수용되는 수용부(8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815)는 상기 바디(811)를 관통하는 홀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바디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캐비닛 연결부(81)를 통해 제1처리장치(T)가 제2처리장치(L)에 고정되면, 제2처리장치(L)의 무게 때문에 상기 제1드로워(2)가 제1캐비닛(1)에서 인출되더라도 제1처리장치(T)가 제2처리장치(L)에서 낙하할 가능성은 크게 줄어 들것이다.
특히, 상기 제2처리장치(L)가 제1처리장치(T)보다 무겁게 구비된 경우(제1처리장치는 의류의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로 구비되고, 제2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거나 의류의 세탁 및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로 구비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 전체가 넘어지는 문제(의류처리장치가 제2캐비닛(6)의 전방에 구비된 제2조절부(67)를 지지점으로 회전하는 문제)도 방지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1처리장치(T)의 무게가 상기 제2처리장치(L)의 무게와 동일하거나 제1처리장치(T)가 제2처리장치(L)보다 무거운 경우(제1처리장치에만 의류가 투입된 경우 등), 상술한 캐비닛 연결부(81)는 제1처리장치(T)가 제2처리장치(L)에서 추락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지만 의류처리장치(100) 전체가 쓰러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없다. 상기 캐비닛 지지부(83, 85, 87)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제1지지부(83)는 상기 제2캐비닛(6)의 전방에 위치된 제2조절부(67)에서 상기 제1드로워(2)가 인출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plate) 또는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83)는 제2캐비닛(6)에서 상기 제1드로워(2)가 인출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2캐비닛(6)이 설치되는 설치 면(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면, 지면 등)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83)는 상기 제2캐비닛(6)의 전방에 위치된 제2조절부(67)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2조절부(67)에 구비된 제2접촉바디(675)가 상기 제1드로워(2)가 인출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제2캐비닛(6)의 전방면에서 상기 제1지지부(83)의 자유단까지의 거리(Z1, 도 2 참고)는 제2캐비닛(6)의 전방면에서 상기 제1드럼 회전축(435)까지의 거리(Z2)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드로워(2)의 무게중심이 제1드럼 회전축(435) 부근에 형성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2지지부(85)는 상기 제2캐비닛(6)의 후방에서 상기 제1드로워(2)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디(851), 상기 지지바디(851)에 구비되며 상기 제2조절바디(673)가 수용되는 슬릿(853), 상기 지지바디(851)를 상기 제2처리장치(L)가 설치되는 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8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851)는 상기 슬릿(853)을 통해 상기 제2조절부(67)에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857)는 관통홀(855)에 삽입되어 설치 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바디(851)를 설치 면에 고정한다.
상기 제2조절부(67)에 제2접촉바디(675)가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지지부(85)는 지지바디(851)의 길이방향(Z)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지지바디(85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플랜지(8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859)는 상기 제2접촉바디(675)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플랜지들(859) 사이의 간격은 제2접촉바디(675)의 너비방향 길이(X축 방향 길이)보다 넓게 구비되고, 각 플랜지(859)의 높이는 상기 제2첩촉바디(675)의 높이방향 길이(Y축 방향 길이)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술한 제2지지부(85)는 제2조절부에 구비된 제2접촉바디(675)에 고정되되 상기 제1드로워(2)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디(851), 상기 지지바디를 제2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857)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지지부(87)는 제1처리장치(T)의 후방면을 의류처리장치(100)가 설치되는 공간(벽이나 지면)에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제3지지부(87)는 상기 제1캐비닛(1)의 후방면에 고정되는 와이어(871), 상기 와이어(871)를 설치 면이나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의 벽에 고정하는 체결부재(87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캐비닛 지지부를 통해 본 발명은 제1처리장치(T)가 제2처리장치(L)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드로워(2)가 제1캐비닛(1)에서 인출될 때 의류처리장치(100)가 넘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이 캐비닛 연결부(81), 제1지지부(83), 제2지지부(85), 및 제3지지부(87)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 연결부(81), 제1지지부(83), 제2지지부(85) 및 제3지지부(87)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지지부(83), 제2지지부(85) 및 제3지지부(87) 중 어느 하나와 캐비닛 연결부(81)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처리장치(T)가 제2처리장치(L)의 상부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만 제2처리장치(L)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부(9)에 대해 살펴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9, 제2처리장치 접속부)는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각 구성요소들(전력공급이 요구되는 구성요소, C, 66, S2, D2, 6333, 6335 등)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제1회로(L1)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L1)는 제2처리장치(L)의 구성요소들 중 제2제어부(C) 및 제2표시부(6335)를 제외한 구성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제어부(C)는 제2회로(L2)를 통해 항상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제2표시부(6335)는 제3회로(L3)를 통해 항상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의 접속부(9)는 제1처리장치(T)가 제2처리장치(L)의 상부면(615)에 안착하면 상기 제1회로(L1)를 폐쇄하고, 제1처리장치(T)가 제2처리장치의 상부면(615)에서 분리되면 제1회로(L1)를 개방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접속부(9)는 제2캐비닛의 상부면(615)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접속부 바디(91), 상기 접속부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로(L1)를 개폐하는 회로연결부(93), 상기 회로연결부(93)를 상기 제1회로(L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9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캐비닛에는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에 안착된 때 상기 접속부 바디(91)를 가압하는 가압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의 기능은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에 안착된 때 상기 접속부 바디(91)를 가압할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연결부(81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 바디(91)는 접속부 관통홀(P1)을 통해 제2캐비닛의 상부면(615)을 관통하며, 상기 접속부 관통홀(P1)에 삽입된 접속부 바디(91)는 상기 캐비닛 연결부(81)에 구비된 수용부(815)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처리장치(T)와 제2처리장치(L)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817)를 수용부(815)에 삽입하면, 상기 회로연결부(93)는 제1회로(L1)를 폐쇄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접속부(9)는 제2처리장치(L)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다수 개가 제2처리장치(L)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접속부(9)는 전력공급이 요구되는 모든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회로(L5)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회로(L5)는 전원(P)을 제1회로(L1), 제2회로(L2) 및 제3회로(L3)에 연결하는 회로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속부(9)는 상기 제2제어부(C2)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제어회로(L4)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제2처리장치 접속부(9)만 도시하였지만, 제1처리장치(T)와 제2처리장치(L)는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제1처리장치(T)에도 제2처리장치 접속부(9)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접속부(제1처리장치 접속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처리장치 접속부는 제1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 접속부 바디, 상기 제1처리장치 접속부 바디에 구비되어 전력회로(제1처리장치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 또는 제어회로(제1처리장치 제어부와 상기 제1처리장치 구동부를 연결하는 회로)를 개폐하는 회로연결부, 상기 회로연결부를 가압하는 탄성지지부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부에는 다른 처리장치가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제1처리장치(T)에는 제1처리장치 접속부 바디를 눌러주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처리장치(T)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처리장치 접속부 바디를 눌러주는 위치고정부(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처리장치의 캐비닛에는 접속부 바디(91)가 관통하도록 구비된 접속부 관통홀(P1)이 구비되는데, 상기 위치고정부(P2)는 상기 접속부 관통홀(P1)에 삽입되어 상기 접속부 바디(91)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L)의 상부면에 제1처리장치(T)를 위치시키는 특징은 다음과 같은 불리한 효과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제1처리장치에는 제1드럼 회전축(435)에 의해 회전하는 제1드럼(4)이 있고, 상기 제2처리장치에는 제2드럼 회전축(665)에 의해 회전하는 제2드럼(65)이 있기 때문에 제1드럼(4)과 제2드럼(65)의 회전방향이 동일할 경우 제1처리장치(T)와 제2처리장치(L)가 함께 쓰러질 위험이 있다.
한편, 제1드럼(4)과 제2드럼(65)의 회전방향이 다르다 하더라도 제1드럼(4)의 회전중심과 제2드럼(65)의 회전중심이 다르면, 각 드럼의 회전 시 제1처리장치(T)와 제2처리장치(L)에 발생하는 진동이 증폭될 가능성이 있다.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드럼의 회전중심과 제2드럼 회전중심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제어부(C1)와 제2제어부(C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두 드럼(4, 65)의 회전방향이 일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각 드럼 회전축(435, 665)의 회전방향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두 드럼의 회전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1드럼 회전축(435)과 제2드럼 회전축(665)은 지면에 수직한 하나의 직선상에 배치(수직선상에 배치)되면 된다.
한편, 상기 두 드럼(4, 65)의 회전방향이 일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1제어부(C1)와 제2제어부(C2)가 서로 통신 가능해야 하는데, 도 5는 각 제어부(C1, C2)가 제1처리장치(1)에 구비되는 제1통신부(C11)와 제2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제2통신부(C21)를 통해 통신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제1제어부(C1)와 제2제어부(C2)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는 나머지 하나의 제어부에서 전송하는 드럼의 회전방향을 확인 가능하므로 두 드럼(4, 65)이 동시에 회전할 때 두 드럼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제1처리장치는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제2처리장치는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하나의 캐비닛 내부에 제1처리장치와 제2처리장치가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나의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드로워, 상기 제1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드로워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제2드로워, 상기 제2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 상기 제1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된 때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전복(캐비닛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캐비닛 지지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와 제2처리장치가 하나의 캐비닛 내부에 구비될 경우, 앞서 설명한 캐비닛 연결부는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제1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될 때 의류처리장치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캐비닛 지지부(83, 85, 87)는 도 3이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에 접촉하는 바 또는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를 상기 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에 고정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이나 상기 캐비닛이 설치된 공간의 벽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제1처리장치(T)와 제2처리장치(L)만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3개 이상의 처리장치가 적층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은 의류처리장치(100)가 최하부에 위치하는 제3처리장치(F), 제3처리장치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제2처리장치(L), 상기 제2처리장치(L)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제1처리장치(T)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제3처리장치(F)는 제1지지부(83)와 제2지지부(8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지면(G) 등의 설치 면에 고정되고, 제1처리장치, 제2처리장치 및 제3처리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3지지부(87, 도 4 참고)를 통해 설치공간의 벽에 고정될 수 있다.된다.
상기 제2처리장치(L)는 제3처리장치의 상부면에 구비된 캐비닛 연결부(81)를 통해 제3처리장치(F)에 고정되며, 상기 제1처리장치(T)는 제2처리장치(L)의 상부면에 구비된 캐비닛 연결부(81)를 통해 제2처리장치(L)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처리장치, 제2처리장치 및 제3처리장치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경우, 제3처리장치(F)에 구비된 접속부 바디는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캐비닛 연결부(81)에 의해 가압되고, 제2처리장치(L)에 구비된 접속부 바디(91)는 제1처리장치에 구비된 캐비닛 연결부(81)에 의해 가압된다.
그러나, 제1처리장치(T)의 상부에는 다른 처리장치가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제1처리장치(T)에는 제1처리장치에 구비된 접속부 바디를 눌러주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처리장치(T)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처리장치의 접속부 바디를 눌러주는 위치고정부(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처리장치의 캐비닛에는 접속부 바디(91)가 관통하도록 구비된 접속부 관통홀(P1)이 구비되는데, 상기 위치고정부(P2)는 상기 접속부 관통홀(P1)에 삽입되어 상기 접속부 바디(91)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회로연결부(93)가 제1회로를 폐쇄하게 하는 수단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처리장치(T)의 상부면에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워크보드(P3)가 구비될 경우, 상기 위치고정부(P2)는 상기 워크보드(P3)의 하부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다수의 처리장치(T, L, F)가 적층된 의류처리장치(100)는 급수원을 각 처리장치의 급수관에 연결하는 급수커넥터(71), 실외로 세탁수를 배출하는 하수관(DS)에 각 처리장치의 배수관을 연결하는 배수커넥터(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커넥터(71)는 급수커넥터 바디(711), 상기 급수커넥터 바디(711)를 급수원(WS)에 연결하는 공급관(719), 제1처리장치의 급수관(S11)을 급수커넥터 바디(711)에 연결하는 제1착탈관(713), 제2처리장치의 급수관(S21)을 급수커넥터 바디(711)에 연결하는 제2착탈관(715), 제3처리장치의 급수관(S31)을 급수커넥터 바디(711)에 연결하는 제3착탈관(71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커넥터(75)는 배수커넥터 바디(751), 상기 배수커넥터 바디(751)를 하수관(DS)에 연결하는 연결관(759), 제1처리장치의 배수관(D11)을 배수커넥터 바디(751)에 연결하는 제1관(753), 제2처리장치의 배수관(D21)을 배수커넥터 바디(751)에 연결하는 제2관(755), 제3처리장치의 배수관(D31)을 배수커넥터 바디(751)에 연결하는 제3관(757)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T: 제1처리장치 1: 제1캐비닛
2: 제1드로워 3: 제1터브 4: 제1드럼
S1: 제1급수부 D1: 제1배수부 5: 제1조절부
L: 제2처리장치 6: 제2캐비닛 63: 제2드로워
64: 제2터브 645: 제2도어 65: 제2드럼
S2: 제2급수부 D2: 제2배수부 C: 제2제어부
67: 제2조절부 71: 급수커넥터 73: 배수커넥터
81: 캐비닛 연결부 83: 제1지지부 85: 제2지지부
87: 제3지지부 9: 접속부 91: 접속부 바디
93: 회로연결부 95: 탄성지지부

Claims (19)

  1.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드로워;
    상기 제1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을 지지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을 연결하는 캐비닛 연결부;
    상기 제1드로워가 상기 제1캐비닛에서 인출된 때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캐비닛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제2캐비닛에서 상기 제1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2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에 접촉하는 바(bar) 또는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제2캐비닛에서 상기 제1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를 상기 제2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캐비닛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제2캐비닛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조절바디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2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에 접촉하는 접촉바디;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바디를 수용하는 플랜지;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조절바디가 수용되는 슬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후방면에 고정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제2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이나 상기 제2캐비닛이 설치된 공간의 벽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키는 제2처리장치 구동부;
    상기 제2처리장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처리장치 제어부;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에 위치된 경우에만 상기 제2처리장치 제어부가 상기 제2처리장치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2처리장치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 접속부는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에 위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처리장치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 접속부는 상기 제1캐비닛이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에 안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처리장치 제어부와 상기 제2처리장치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어회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비닛에 구비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처리장치 접속부는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접속부 바디; 및 상기 접속부 바디의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 또는 상기 제어회로를 개폐하는 회로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연결부는
    상기 제1캐비닛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캐비닛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를 회전시키는 제1처리장치 구동부;
    상기 제1처리장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처리장치 제어부;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 접속부 바디;
    상기 제1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처리장치 접속부 바디의 위치를 고정 가능한 위치고정부;
    상기 위치고정부가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에 위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처리장치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를 개폐하는 회로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를 회전시키는 제1처리장치 구동부;
    상기 제1처리장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처리장치 제어부;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 접속부 바디;
    상기 제1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처리장치 접속부 바디의 위치를 고정 가능한 위치고정부;
    상기 위치고정부가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에 위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처리장치 제어부와 상기 제1처리장치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어회로를 개폐하는 회로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관;
    상기 제2수용부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2급수관;
    급수원에 상기 제1급수관 및 상기 제2급수관을 연결하는 급수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커넥터는
    상기 급수원에 착탈 가능한 급수커넥터 바디;
    상기 급수커넥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급수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착탈관;
    상기 급수커넥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2급수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착탈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제1배수관;
    상기 제2수용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제2배수관;
    실외에 연결된 하수관에 상기 제1배수관 및 상기 제2배수관을 연결하는 배수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커넥터는
    상기 하수관에 착탈 가능한 배수커넥터 바디;
    상기 배수커넥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1배수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관;
    상기 배수커넥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2배수관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드로워;
    상기 제1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드로워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드로워;
    상기 제2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
    상기 제1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될 때 상기 캐비닛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캐비닛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에 접촉하는 바(bar) 또는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를 상기 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에 고정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캐비닛이 설치되는 면이나 상기 캐비닛이 설치된 공간의 벽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50092772A 2015-06-30 2015-06-30 의류처리장치 KR102486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772A KR102486960B1 (ko) 2015-06-30 2015-06-30 의류처리장치
PCT/KR2016/006966 WO2017003182A1 (en) 2015-06-30 2016-06-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5/740,937 US10697102B2 (en) 2015-06-30 2016-06-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16818215.2A EP3317453B1 (en) 2015-06-30 2016-06-2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772A KR102486960B1 (ko) 2015-06-30 2015-06-30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79A true KR20170002879A (ko) 2017-01-09
KR102486960B1 KR102486960B1 (ko) 2023-01-11

Family

ID=5760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772A KR102486960B1 (ko) 2015-06-30 2015-06-30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97102B2 (ko)
EP (1) EP3317453B1 (ko)
KR (1) KR102486960B1 (ko)
WO (1) WO201700318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942A (ko) * 2017-07-31 201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9160245A1 (ko) * 2018-02-13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1235821A1 (ko) * 2020-05-18 202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193234B2 (en) 2017-07-19 2021-12-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888A (ko) *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670727B1 (en) * 2018-12-21 2023-10-04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Coupling structure for laundry treatment appliances
EP3872248A1 (en) * 2020-02-26 2021-09-01 LG Electronics Inc. Stack-type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872249A1 (en) * 2020-02-26 2021-09-01 LG Electronics Inc. Stack-type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20049839A (ko) * 2020-10-15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591A (ko) * 1998-12-26 2000-07-15 구자홍 서랍형 냉장고의 구조
KR100710315B1 (ko) * 2006-07-25 200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의류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의류 처리장치
KR20080109488A (ko) * 2007-06-13 200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세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12503A (en) * 2000-11-13 2002-11-26 Lg Electronics Inc Drawer-type washing machine and locking method thereof
KR20060005849A (ko) * 2004-07-14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하체결구조를 갖는 가전제품 및 그 체결방법
CA2659186C (en) 2006-07-25 2012-05-22 Lg Electronics Inc. Auxiliary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ATE550475T1 (de) 2006-08-23 2012-04-15 Lg Electronics Inc Mehrfachwäschebehandlungsmaschine
US20080110214A1 (en) 2006-11-10 2008-05-15 Snider Lowell L Laundry appliance mount
RU2407830C1 (ru) * 2007-01-10 2010-12-27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0873142B1 (ko) 2007-04-13 2008-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DE102007057512A1 (de) * 2007-11-29 2009-06-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KR20110019082A (ko) * 2009-08-19 2011-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2114B1 (ko) * 2009-08-24 2015-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591A (ko) * 1998-12-26 2000-07-15 구자홍 서랍형 냉장고의 구조
KR100710315B1 (ko) * 2006-07-25 200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의류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의류 처리장치
KR20080109488A (ko) * 2007-06-13 200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세탁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3234B2 (en) 2017-07-19 2021-12-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90012942A (ko) * 2017-07-31 201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9160245A1 (ko) * 2018-02-13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US11566360B2 (en) 2018-02-13 2023-01-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WO2021235821A1 (ko) * 2020-05-18 202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17453A1 (en) 2018-05-09
US20180195224A1 (en) 2018-07-12
KR102486960B1 (ko) 2023-01-11
EP3317453B1 (en) 2021-01-20
EP3317453A4 (en) 2019-02-27
WO2017003182A1 (en) 2017-01-05
US10697102B2 (en)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2879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65078B1 (ko) 의류처리장치
US970875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6508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137652A (ko) 의류처리장치
JP6535086B2 (ja) 衣類処理装置
KR10236265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7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16686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6088B1 (ko) 의류처리장치
EP3317451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2016111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71166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2118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6A (ko) 의류처리장치
EP3265600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31608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05370A (ko) 의류처리장치
EP3265601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67496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76938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06644A (ko) 의류처리장치
EP4101972A1 (en)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KR20180052401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6087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