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638U - 온열 침대 - Google Patents

온열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638U
KR20170002638U KR2020160000222U KR20160000222U KR20170002638U KR 20170002638 U KR20170002638 U KR 20170002638U KR 2020160000222 U KR2020160000222 U KR 2020160000222U KR 20160000222 U KR20160000222 U KR 20160000222U KR 20170002638 U KR20170002638 U KR 201700026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plate
frame
heating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혜
Original Assignee
이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혜 filed Critical 이은혜
Priority to KR2020160000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638U/ko
Publication of KR201700026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63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온열 침대가 개시된다. 온열 침대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드 프레임과, 베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제1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골격 프레임과, 골격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설정된 온도로 발열하는 발열부와, 발열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편백 나무 재질의 베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열 침대{HEATING BED}
본 고안은 돌침대의 차갑고 딱딱한 느낌을 개선하기 위하여 편백나무 재질을 사용하여 그 촉감을 바꾸고, 항균 작용도 함께 가능한 온열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의 생활이 바쁘고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숙면과 휴식의 중요성이 주요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편리한 기능을 갖춘 침대가 많이 보급되고 있지만,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 온돌 문화의 유익함을 침대에 접목시키는 다양한 연구와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돌침대는 목재 틀에 인조가죽을 덮어씌운 후 그 틀(보료 또는 매트리스) 내부에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열선을 배선하고, 그 위에 석판을 깔아 일정한 온도로 가열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울 수 있게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돌침대 매트리스(돌판) 또는 보료의 온열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때는 차갑고 딱딱한 느낌을 갖는 것이었으며, 또한 석판 매트리스(돌판)는 일체로 형성되므로 상당한 무게를 가질 수밖에 없어 이송 또는 운반이 어려움은 물론 취급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고가이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다.
그래서 그 차갑고 딱딱한 느낌을 개선하고자 특정 나무판을 돌침대 보료의 돌판을 대체하여 깔고 돌침대의 온열기능을 작동시킬 경우, 나무의 특성상 나무가 불특정 모양으로 변형을 일으켜 본래 목적대로 일정 형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5-012929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편백 나무 재질을 이용하여 항균 작용이 가능하고, 발열 기능의 작동시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온열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드 프레임과, 베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제1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골격 프레임과, 골격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설정된 온도로 발열하는 발열부와, 발열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편백 나무 재질의 베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골격 프레임은, 제1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과, 한 쌍의 제1 프레임에 양단이 연결되며 제1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베드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의 상측에 복수개가 서로간에 인접한 상태로 배치된 상태로 제2 플레이트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베드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하중 센서와, 하중 센서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설정 하중 이상의 센싱 신호가 입력되면 발열부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발열되도록 작동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열부를 사이에 두고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와 골격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내구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편백 나무 재질의 베드 플레이트가 복수개의 베드 패널에 의해 설치되는 바, 발열부의 발열에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열 침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온열 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온열 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온열 침대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 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열 침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온열 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온열 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온열 침대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열 침대(100)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드 프레임(10)과, 베드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20)와, 제1 플레이트(20)의 상측에 설치되는 골격 프레임(30)과, 골격 프레임(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설정된 온도로 발열하는 발열부(40)와, 발열부(4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50)와, 제2 플레이트(50)의 상측에 설치되며 편백 나무 재질의 베드 플레이트(60)를 포함한다.
베드 프레임(10)은 바닥면에 지지되는 부분으로 바닥면에 직접 지지되거나 복수개의 지지부재(미도시)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베드 프레임(10)의 상측에는 제1 플레이트(20)가 설치된다.
제1 플레이트(20)는 베드 프레임(10)의 상측에 일측이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직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베드 프레임(10)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0)는 직사각 형상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침대의 다양한 형상 구현을 위해 가장자리의 일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상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 플레이트(20)의 타측에는 골격 프레임(30)이 설치될 수 있다.
골격 프레임(30)은 제1 플레이트(2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접착제에 접착된 상태로 제1 플레이트(2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골격 프레임(30)은 제1 플레이트(20)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스부재 또는 볼트부재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골격 프레임(30)은, 제1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 프레임(31)과, 제1 프레임(31)에 양단이 연결되며 제1 프레임(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제2 프레임(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31)은 제1 플레이트(20)의 상측에서 제1 플레이트(20)의 대향하는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1)은 목재 재질 또는 목재질 이상의 내구성을 갖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프레임(31)은 다각 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의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1)은 본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의 대향하는 양측에 2개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침대의 크기에 대응하여 3개 이상으로 적절한 개수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 프레임(31)에는 제2 프레임(33)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33)은 제1 프레임(31)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단이 각각 제1 프레임(3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프레임(33)은 본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31)과 동일 재질의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길이만 달리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2 프레임(33)은 제1 프레임(31)과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프레임(31)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프레임(33)은 제1 프레임(31)이 제1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양단이 제1 프레임(3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 프레임(33)의 양단은 제1 프레임(31)에 볼트부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분해 조립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온열 침대(100)의 이동 과정에서 분해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동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 프레임(33)은 제1 프레임(31)들의 사이에 복수개가 등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골격 프레임(30)은 한 쌍의 제1 프레임(31)과 제1 프레임(31)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2 프레임(33)으로 형성되어, 제1 플레이트(2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골격 프레임(30)이 제1 플레이트(2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은, 온열 침대(100)의 계속적인 사용 과정에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골격 프레임(30)은 내구성의 향상을 위해 제1 프레임(31)과 제2 프레임(33)들 사이에 엇갈리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프레임(미도시)들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골격 프레임(30)의 상측에는 발열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발열부(40)는 골격 프레임(30)의 상측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 온도로 설정 시간 동안 발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열부(40)는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히트 파이프로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발열부(40)는 히트 파이프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전열 기기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발열부(40)가 설치되는 것은 후술하는 베드 플레이트(60) 방향으로 발열되어, 베드 플레이트(60)를 설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발열부(40)는 발열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 패널(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설정 온도 및 설정 시간 동안 발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발열부(40)의 상측에는 제2 플레이트(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50)는 골격 프레임(3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골격 프레임(30)의 상측의 전체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50)는 본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20)와 동일 형상의 동일 크기로 형성되어 발열부(4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플레이트(50)는 일측은 발열부(40)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베드 플레이트(60)에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50)는 발열부(40)에서 발열된 열을 베드 플레이트(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플레이트(50)는 발열부(40)와 베드 플레이트(60)의 사이에 설치되는 바, 발열부(40)의 고온의 열이 베드 플레이트(6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베드 플레이트(60)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드 플레이트(60)는 제2 플레이트(5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앉거나 눕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드 플레이트(60)는 편백 나무 재질로 형성되는 바, 피톤치드 발산에 의해 항균 작용이 가능하고, 살균 작용에 의해 피부 질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편백 나무의 향에 의해 중추 신경계를 자극시켜 스트레스를 줄이고 심리적인 안정을 주는 것이 가능하여 수면을 유도하여 면역력의 향상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베드 플레이트(60)는, 온열 침대의 외관을 형성하는 베드 바디(61)와, 베드 바디(61)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베드 패널(63)을 포함할 수 있다.
베드 프레임(10)은 온열 침대(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베드 프레임(10)과 제1 플레이트(20)와 골격 프레임(30)과 발열부(40) 및 제2 플레이트(50)가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드 프레임(10)에는 복수개의 베드 패널(63)이 설치될 수 있다.
베드 패널(63)은 편백 나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베드 프레임(10)에 복수개가 서로간에 인접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드 패널(63)이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은 발열부(40)에서 발열된 열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베드 패널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발열부(40)의 발열에 의해 가장자리 부분이 굴곡되게 변형되지만, 본 실시예의 베드 패널(63)을 복수개로 설치하는 바, 복수개의 베드 패널(63)의 사이 부분에서 형상 변형 부분의 보상이 가능한바, 베드 패널(63)의 설치된 상태를 편평하게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온열 침대(100)는, 제1 플레이트(20) 및 제2 플레이트(50)와, 골격 프레임(30)의 순차적인 설치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편백 나무 재질의 베드 플레이트(60)가 복수개의 베드 패널(63)에 의해 설치되는 바, 발열부(40)의 발열에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 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 침대(200)는, 베드 플레이트(60)에 설치되는 하중 센서(110)와, 하중 센서(110)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설정 하중 이상의 센싱 신호가 입력되면 발열부(40)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발열되도록 작동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하중 센서(110)는 베드 플레이트(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 이상의 복수개가 등간격을 이루며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중 센서(110)는 사용자가 베드 플레이트(60)에 앉거나 눕는 등의 사용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하중 센서(110)의 센싱 신호는 제어부(120)로 전송된다.
제어부(120)는 하중 센서(110)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베드 플레이트(60)의 상면에 위치한 사용 상태로 확인하면 발열부(40)를 작동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온열 침대의 사용 상태에서는 항상 발열부(40)가 작동되도록 하고, 미사용 상태에서는 발열부(40)가 작동 정지되도록 하여, 미사용 상태에서 발열부(40)의 작동에 의해 전력 소모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베드 프레임 20...제1 플레이트
30...골격 프레임 31...제1 프레임
33...제2 프레임 40...발열부
50...제2 플레이트 60...베드 플레이트
61...베드 바디 63...베드 패널
110..하중 센서 120..제어부

Claims (4)

  1.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드 프레임;
    상기 베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골격 프레임;
    상기 골격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설정된 온도로 발열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편백 나무 재질의 베드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온열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 프레임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 및
    한 쌍의 상기 제1 프레임에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는 제2 프레임;
    을 포함하는 온열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측에 복수개가 서로간에 인접한 상태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접착 고정되는 온열 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하중 센서; 및
    상기 하중 센서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설정 하중 이상의 센싱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발열부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발열되도록 작동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온열 침대.

KR2020160000222U 2016-01-14 2016-01-14 온열 침대 KR201700026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22U KR20170002638U (ko) 2016-01-14 2016-01-14 온열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22U KR20170002638U (ko) 2016-01-14 2016-01-14 온열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638U true KR20170002638U (ko) 2017-07-24

Family

ID=5939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222U KR20170002638U (ko) 2016-01-14 2016-01-14 온열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63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2929A (ko) 2013-07-26 2015-02-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극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2929A (ko) 2013-07-26 2015-02-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극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381B1 (ko) 전신욕 사우나기
AU2014214428B2 (en) Mattress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technical feature thereof to help user to learn about use of mattress structure and determine whether user can adjust to mattress structure
KR101739856B1 (ko) 원터치형 착탈식 지압볼을 구비한 지압보료
KR20170002638U (ko) 온열 침대
KR101159200B1 (ko) 라텍스 쿠션부재와 온수호스에 의한 발열수단이 내장된 침대용 스프링 매트리스
KR20170029811A (ko) 다기능 건강 침대
KR100993325B1 (ko) 안마 침대
EP1495699A1 (en) Sofa equipped with radiant heating mattress for fomentation and massage
KR200240426Y1 (ko) 온돌을 이용한 난방침대
CA2815284C (en) Accessory bar for a treatment bed
KR100988861B1 (ko) 웰빙 베개
KR20050006014A (ko) 찜질 및 마사지를 위한 온돌판이 구비된 쇼파
CN205795367U (zh) 一种玉石加热板床
KR20120062175A (ko) 찜질 기능을 구비한 온열 매트
JP3138879U (ja) 椅子
KR20090116323A (ko) 스프링 침대용 온수 매트리스
KR20190000011U (ko) 침대용 온열 깔판
KR101634112B1 (ko) 스톤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및 그 매트리스
JP3178838U (ja) 岩盤浴装置
KR20090008324U (ko) 발열 발매트
JP3155840U (ja) 温熱治療器具
KR101012160B1 (ko) 허리 디스크 치료용 매트
KR200252047Y1 (ko) 원적외선 복사열구조가 형성된 온열매트
KR20230001855U (ko) 기능성 온열 매트리스
JP6326868B2 (ja) クッション装置およびマットレ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738;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73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02

Effective date: 2017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