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537U - 카드형 보조 배터리 - Google Patents

카드형 보조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537U
KR20170001537U KR2020150006884U KR20150006884U KR20170001537U KR 20170001537 U KR20170001537 U KR 20170001537U KR 2020150006884 U KR2020150006884 U KR 2020150006884U KR 20150006884 U KR20150006884 U KR 20150006884U KR 20170001537 U KR20170001537 U KR 201700015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ody
charging
battery
battery member
typ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전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전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전산
Priority to KR2020150006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537U/ko
Publication of KR201700015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53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카드형 보조 배터리가 개시된다. 카드형 보조 배터리는, 내부에 삽입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바디와, 케이스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충방전되는 배터리부재와,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와 휴대폰을 연결하는 충전부와,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드형 보조 배터리{CARD TYPE SECOND BATTERY}
본 고안은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폰의 원활한 충전이 가능한 카드형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기술 산업의 화두는 스마트폰과 모바일 서비스 등이 있다.
이러한 정보 기술 산업은,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미국 기업이 주도하고 있으며, 유럽, 한국, 일본 등이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앞으로의 정보기술은 컴퓨터의 성능이나 소프트웨어의 품질 자체만이 아니라 소비자의 욕구 파악, 적정가격 산정 등 종합적인 서비스로 발전할 것이다.
그 중 휴대성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단한 태블릿 컴퓨터와 스마트폰이 현재 정보기술의 집약체로 대중의 관심을 받고 있으며, 특히 태블릿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은 영화, 음악뿐 아니라 문서작업이 가능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하나 이상 소지할 정도로 그 판매량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정보기기들이 출현함에 따라 그 주변기기인 소위 액세서리도 대거 출시되고 있다. 액서서리 중 거치대는 스마트폰 또는 휴대용 태블릿 컴퓨터 등의 휴대용 정보기기를 책상 위에 세워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출시된 거치대들은 가격이 너무 비싸거나 부피가 너무 커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정보기기와 함께 들고 다니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스마트폰 또는 휴대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 용량의 한계에 의해 지속적인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5-0030125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슬림한 카드 타입의 보조 배터리를 구현하여 휴대폰의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카드형 보조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삽입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바디와, 케이스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충방전되는 배터리부재와,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와 휴대폰을 연결하는 충전부와,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충전부는, 케이스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와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과, 충전 케이블에 고정되어 휴대폰과 연결되는 충전 단자와, 충전 단자의 측면에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바디의 측면에는 충전부가 설치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는 전원 버튼과,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며, 배터리부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표시부와, 케이스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의 작동과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배터리부재가 내장된 상태에서 휴대가 용이한 슬림한 타입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원 공급이 용이하지 못한 위치에서 휴대폰 등의 휴대 기기의 충전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드형 보조 배터리의 일부를 개방하여 배터리부재가 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드형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드형 보조 배터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충전부가 케이스 바디로부터 일부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드형 보조 배터리의 일부를 개방하여 배터리부재가 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카드형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카드형 보조 배터리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100)는, 내부에 삽입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바디(10)와,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충방전되는 배터리부재(20)와, 케이스 바디(10)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20)와 휴대폰을 연결하는 충전부(30)와, 케이스 바디(10)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케이스 바디(10)는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며, 표면에는 편평면이 형성되어, 거치 장소의 바닥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 바디(10)는 카드 타입으로 휴대가 용이하도록 표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슬림한 두께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 바디(10)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충전부(30)가 설치되는 삽입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1)은 케이스 바디(1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케이스 바디(10)의 내부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1)은 케이스 바디(10)의 측면 둘레의 일부분 즉, 충전부(30)가 설치되는 위치에 한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충전부(3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는 배터리부재(20)를 내장하기 위한 삽입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 바디(10)는 낙하 또는 소정의 압력의 작용시 손상되지 않도록 견고한 내구성을 갖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 또는 충격 흡수를 위한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부재(20)는,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서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 충방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부재(20)는 이차 전지로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니켈 카드뮴(Ni Cd) 전지와 니켈 수소(Ni MH)전지 및 리튬(Li) 전지와 리튬 이온(Li ion) 이차 전지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배터리부재(20)는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 하나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부재(20)는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 교체가 용이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배터리부재(20)와 휴대폰은 충전부(30)에 의해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충전부가 케이스 바디로부터 일부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30)는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부재(20)와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31)과, 충전 케이블(31)에 고정되어 휴대폰과 연결되는 충전 단자(33)와, 충전 단자(33)의 측면에 돌출되는 걸림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케이블(31)은 일단은 배터리부재(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스 바디(10)의 내부로 연장된 상태로 설치된다. 충전 케이블(31)은 케이스 바디(10)의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삽입홈(11)에 삽입된 상태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케이블(31)은 케이스 바디(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케이스 바디(10)의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충전 케이블(31)은 미사용 상태에서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 위치되는 바, 외력에 의한 단선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충전 케이블(31)의 단부에는 충전 단자(33)가 고정될 수 있다.
충전 단자(33)는 충전 케이블(31)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휴대폰에 삽입 고정되는 8핀 또는 5핀 등의 충전 단자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8핀 단자()와 5 핀 단자()는 서로간에 연결된 상태에서 분리 가능한 상태로 충전 케이블(31)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충전 단자(33)는 8핀 단자 또는 5핀 단자 등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폰의 종류에 대응하여 소정의 단자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충전 단자(33)는 충전 케이블(31)의 단부에 설치되는 바, 충전이 불가능한 야외 등의 소정의 장소에서 휴대폰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카드형 보조 배터리(100)는 슬림한 카드 타입으로 형성되는 바, 용이하게 휴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케이스 바디(10)에는 휴대폰의 충전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케이스 바디(10)에 설치되는 전원 버튼(41)과, 케이스 바디(10)에 설치되며 배터리부재(2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표시부(43)와,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부재(20)의 작동과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45)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41)은 케이스 바디(10)의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버튼 타입으로 누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전원 버튼(41)은 버튼 타입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터치 타입 등과 같이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충전 표시부(43)는 복수개의 엘이디 조명으로 설치되어, 충전 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발광될 수 있다.
제어 기판(45)은 케이스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 버튼(41)의 동작에 따라 배터리부재(20)의 전원을 충전 케이블(31)을 이용하여 휴대폰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기판(45)은 배터리부재(20)의 과충전 또는 휴대폰의 과충전 등의 이상 발생 등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100)는, 내부에 배터리부재(20)가 내장된 상태에서 휴대가 용이한 슬림한 타입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원 공급이 용이하지 못한 위치에서 휴대폰 등의 휴대 기기의 충전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200)는, 케이스 바디(10)의 외측에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디스플레이(110)가 설치된다.
충전 디스플레이(110)는 배터리부재(20)의 충전 상태를 문자 또는 그래프 등의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5ㅘ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 배터리(300)는, 케이스 바디(10)의 측면에 휴대폰 등의 휴대 기기가 거치되는 거치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 등의 휴대 기기는 케이스 바디(10)의 측면에 거치된 상태에서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케이스 바디 11...삽입홈
20...배터리부재 30...충전부
31...충전 케이블 33...충전 단자
35...걸림부 40...제어부
41...전원 버튼 43...충전 표시부
45...제어 기판 110..충전 디스플레이
210..거치홈

Claims (4)

  1. 내부에 삽입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충방전되는 배터리부재;
    상기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부재와 상기 휴대폰을 연결하는 충전부; 및
    상기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카드형 보조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부재와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
    상기 충전 케이블에 고정되어 상기 휴대폰과 연결되는 충전 단자; 및
    상기 충전 단자의 측면에 돌출되는 걸림부;
    를 포함하는 카드형 보조 배터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의 측면에는 상기 충전부가 설치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카드형 보조 배터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는 전원 버튼;
    상기 케이스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부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표시부; 및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부재의 작동과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
    을 포함하는 카드형 보조 배터리.
KR2020150006884U 2015-10-23 2015-10-23 카드형 보조 배터리 KR201700015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884U KR20170001537U (ko) 2015-10-23 2015-10-23 카드형 보조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884U KR20170001537U (ko) 2015-10-23 2015-10-23 카드형 보조 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37U true KR20170001537U (ko) 2017-05-08

Family

ID=5871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884U KR20170001537U (ko) 2015-10-23 2015-10-23 카드형 보조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53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99Y1 (ko) * 2017-07-14 2018-05-04 전영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보조 배터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125A (ko) 2013-09-11 2015-03-1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 및 카메라 겸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125A (ko) 2013-09-11 2015-03-1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 및 카메라 겸용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99Y1 (ko) * 2017-07-14 2018-05-04 전영수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보조 배터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8183825B2 (en) Docking charger for charging a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or without a protective cover case fitted thereon
US20100315041A1 (en) Portable phone holder and charger with quick release feature
KR101391547B1 (ko) 차량용 휴대폰 충전거치대
US9190639B2 (en) Protecting case
US20070182372A1 (en) Four-in-one mobile phone charging stand
KR20130079314A (ko) 만능 배터리 충전기
US7183744B2 (en) Battery housing structure for portable devices
US20060244418A1 (en) Battery modul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88549Y1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용 거치대
US20090072786A1 (en) Cradle for differently size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202474891U (zh) 扩充式移动电源装置
KR20130090667A (ko) 휴대용 휴대폰 충전장치
CN102694888A (zh) 一种移动电话以及移动电话的通话主体
US10608579B1 (en) Foldable solar powered and rechargeable power bank with light emitting diodes
US20030013506A1 (en) Stand-by battery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KR101162362B1 (ko) 휴대단말기용 태양전지 충전 타입의 배터리 팩 장치
KR20170001537U (ko) 카드형 보조 배터리
KR200480607Y1 (ko) 휴대폰 거치 보조 배터리
KR101551184B1 (ko) 보조배터리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용 대용량형 배터리 케이스장치
KR101658200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TWM397037U (en) Three-in-one lithium battery structure of portable power bank, power capacity detection and charger
JP6178815B2 (ja) 携帯情報端末の充電装置および充電システム
KR101523699B1 (ko) 충방전기능을 갖는 배터리팩 파우치 장치
US20110045876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otatabl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522;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52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31

Effective date: 2018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