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036A -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036A
KR20170001036A KR1020150090384A KR20150090384A KR20170001036A KR 20170001036 A KR20170001036 A KR 20170001036A KR 1020150090384 A KR1020150090384 A KR 1020150090384A KR 20150090384 A KR20150090384 A KR 20150090384A KR 20170001036 A KR20170001036 A KR 20170001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mode
electronic device
hous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미
남경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036A/ko
Priority to US15/739,403 priority patent/US10908705B2/en
Priority to PCT/KR2015/008201 priority patent/WO2016208804A1/ko
Publication of KR20170001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06F3/0321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by optically sensing the absolute position with respect to a regularly patterned surface forming a passive digitiser, e.g. pen optically detecting position indicative tags printed on a paper she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한 손의 복수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파지영역(grip portion)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된 메모리;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 끝단의 움직임에 따른 궤적에 대응된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 모드와, 상기 궤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형과 고정형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형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전자 디바이스 및 거치형 전자 디바이스로 나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바(bar) 형태의 통상적인 형태로부터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wearable) 형태의 전자 디바이스로 분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아날로그적인 감성의 부여 등을 목적으로 하여 종래에 존재하던 사물의 형태를 가지는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한 손의 복수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파지영역(grip portion)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된 메모리;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 끝단의 움직임에 따른 궤적에 대응된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 모드와, 상기 궤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지된 하우징을 사용하여 기 설정된 특정 문자와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기능은,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그룹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중 상기 특정 문자와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특정 문자와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함께 입력된 부가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지된 하우징을 사용한 기 설정된 포스쳐(posture) 또는 제스쳐(gesture)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스쳐 또는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1 기능 및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기능은, 콜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 연락처 표시 기능, 알람 기능, 재생 기능, 녹음 기능, 이메일 송수신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오브젝트와의 접촉지점인 상기 하우징의 일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한 다른 오브젝트에 상기 궤적을 남기는 팁(ti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에 따라 상기 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한 손의 복수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파지영역(grip portion)을 제공하는 하우징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의 일 끝단의 움직임에 따른 궤적에 대응된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궤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파지된 하우징을 사용하여 기 설정된 특정 문자와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특정 문자와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함께 입력된 부가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1 기능 및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떤(some)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전자소자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내지 6은 본 발명의 다른(other) 실시예들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및 8은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광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및 11은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other)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및 14는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9는, 도 16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7은, 도 16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 디바이스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내지 1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하우징(101), 팁(102), 센서(103), 마이크(104), 클립(105), 센서(106), 스피커(107), 그리고 캡(108)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1:housing)은 길게 연장된 형상(elongated shape)일 수 있다. 하우징(101)은 사용자의 파지 편의성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1)은 길게 연장된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팁(102:tip)은 일측이 뾰족한 형상일 수 있다. 팁(102)의 타측은 하우징(101)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팁(102)은 하우징(102)의 일단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하우징(102)을 파지하고 팁(102)으로 필기를 할 수 있다. 팁(102)은 플렉서블(flexible) 재질일 수 있고, 단단한(rigid) 재질일 수도 있다. 팁(102)은, 후술하겠지만, 내부에 압력센서(149)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들(103,106)은 하우징(101)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센서들(103,106)은 사용자의 파지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고,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고, 사용자의 안구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고,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일 수도 있다. 또한, 센서는 버튼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센서를 손가락으로 눌러(push)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팁(102)의 압력센서와 버튼을 병용하여 마우스 등과 같은 다른 전자 디바이스의 입력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센서의 기능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는 하우징(101)의 내부에 구비되고, 마이크홀(104)은 하우징(101)에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는 하우징(101)의 내부에 구비되고, 스피커 홀(107)을 하우징(101)에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 또는 스피커의 선택적 또는 병합적 구성에 의해, 녹음기능, 멀티미디어기능, 음성송수신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다.
클립(105)은 하우징(101)의 일측에 결합되거나 하우징(10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캡(108)은 팁(102)이 결합된 반대측 하우징(101)에 결합될 수 있다. 캡(108)은 하우징(101) 개구의 마개가 될 수 있고, 버튼이 될 수 있고, 압력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캡(108)의 기능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전자소자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소자들은PCB(99), FPCB(98), 자이로센서(143), 가속도센서(144), 각가속도센서(145), 지문인식센서(146), 안구감지센서(147), 그리고 압력센서(149)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될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들이 PCB(99) 또는 FPCB(98)에 실장될 수 있다. 커넥터(97)는 PCB(99)에 실장될 수 있다. 커넥터(97)는 외부 단자(9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97) 및 외부 단자(96)는 데이터 전송선 일 수 있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일 수 있다.
자이로센서(143)는 자이로스코프가 내재된 물체가 회전운동을 하여 생기는 반발력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소자일 수 있다. 이는, 관성 좌표계에서 물체의 운동을 측정하여 이동거리와 방향을 감지하는 것으로, 3차원 공간에서 물체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센서(143)는 MEMS 자이로센서일 수 있다.
가속도센서(144)는 이동하는 물체의 가속도나 충격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관성 좌표계에서 물체의 운동을 측정하는 것으로, 물체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센서(144)는 MEMS 가속도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가 2차원적인 운동을 한다면 자이로센서(143) 1개와 가속도센서(144) 2개가 필요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물체가 3차원적인 운동을 한다면 자이로센서(143) 3개와 가속도센서(144) 3개가 필요할 수 있다.
각가속도센서(145)는 관성 좌표계에서 물체의 회전운동을 감지하는 것으로, 자이로센서일 수 있다. 각가속도센서(145)는 센서의 감도(sensitivity)의 향상을 위해서 자이로센서(143)와 가속도센서(144)가 병합된 것일 수 있다.
지문인식센서(146)는 사용자 지문의 디지털 영상을 획득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인식센서(146)는 광학식, 초음파식, 정전용량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안구감지센서(147)는 사용자의 눈을 감지할 수 있고, 안구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사용자 시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압력센서(149)는 센서에 가해지는 힘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을 도시한 도면이다. 핀(105)은 홀더(105a), 디스플레이모듈(151), 커버(105b), 그리고 윈도우(105c)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05a)는 하우징(101)의 일측에 끼워질 수 있고, 하우징(10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홀더(105a)는 하우징(101)에 대하여 탄성운동을 할 수 있다. 홀더(105a)는 디스플레이모듈(151)이 안착되는 홈(105h)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1)은 PCB(151b)와 디스플레이패널(151a)을 포함할 수 있다. PCB(151b)는 디스플레이패널(151a)의 제어를 위한 전자소자들이 실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51a)은 PCB(15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1)은 홀더(105a)의 탄성운동에 대하여 순응하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커버(105b)는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홀더(105a)의 홈(105h)에 안착되면 디스플레이모듈(151)의 고정을 위해 홀더(105a)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105b)는 디스플레이모듈(15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105p)가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05c)는 디스플레이의 보호를 위해 개구(105p)에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105c)는 디스플레이의 보호 뿐만 아니라, 입력을 위한 터치윈도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우징(101)은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101)이 삼각형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파지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름(rolling)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하우징(101)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우징(101)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101)이 사각형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하우징(101) 일면의 면적(디스플레이의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름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하우징(101)의 넓은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우징(101)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101)이 원형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하우징(101)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하우징(101)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넓은 면적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무한 면적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무한 면적의 디스플레이는 원통형을 이루는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의 내용이 스크롤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팁을 도시한 도면이다.
팁(102)은 일측이 하우징(101)에 결합되고, 타측이 일측보다 좁은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팁(102)이 하우징(101)에서 멀어질수록 가늘어지거나 뾰족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팁(102)의 끝은 둥글게 형성될 수도 있다. 팁(102)은 탄성을 지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팁(102)은 단단한(rigid)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팁(102)은 팁(102)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소정의 변위 또는 변형이 생길(occur) 수 있다. 이러한 변위 또는 변형은 압력센서(149)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따른 팁을 도시한 도면이다.
팁(102)은 다단의 돌출부들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광센서(148)가 팁(10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광센서(148)는 팁의 움직임(또는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광센서(148)는 레이저를 조사하고 물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측정하여 팁(102)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필기 영역의 속성 또는 필기면이 제한되지 않는다(the electronic device is not limited to write on the any surface or any attributes of writing area).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광센서(148)는 레이저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조사된 레이저는 필기면(writing surface)에 반사될 수 있다. 필기면에 따라서(depending on the writing surface) 일부 빛은 광센서(148) 레인지(range) 밖으로 벗어날 수 있고, 일부의 빛은 광센서(148) 레인지 안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센서(148)는 해상도(resolution) 2000dpi, 움직임 속도(motion velocity) 0~1000mm/sec, 광파워(optical power) 0.3mW, 파장길이(wavelength) 850nm 의 스펙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이 나타내는 전자 디바이스의 모드는 필기모드일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파지하고 필기를 하면, 팁(102)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움직이고(또는 궤적을 그리고) 광센서(148)는 이 움직임 또는 궤적을 측정하여 제어부(180)로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180)는 광센서(148)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이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문자(WC)를, 알파벳 a, 를 필기(RA)하면 광센서(148)는 팁(102)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제어부(180)는 광센서(148)에 의한 신호를 처리하여 문자a라는 정보(RC)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이 나타내는 전자 디바이스의 모드는 필기모드일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파지하고 필기를 하면, 팁(102)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움직이고(또는 궤적을 그리고) 센서모듈은 이 움직임 또는 궤적을 측정하여 제어부(180)로 신호를 전송한다. 센서모듈은 자이로센서(143), 가속도센서(144), 또는 각가속도센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의 위치는 팁(102)에 근접할 수 있고, 팁(102)으로부터 멀어질 수도 있다. 측정의 정밀도(sensitivity)만 보장된다면 센서모듈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180)는 센서모듈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이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문자(WC)를, 알파벳 a, 를 필기하면 센서모듈은 팁(102)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제어부(180)는 센서모듈에 의한 신호를 처리하여 문자a라는 정보(RC)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모듈은 하우징(101)의 움직임 또는 궤적을 측정하여 제어부(180)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팁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닙(102r:nib)을 구비할 수 있다. 닙(102r)은 볼펜용 리필잉크, 수성 또는 유성 펜촉, 흑연심, 전자제어잉크 등이 될 수 있다. 닙(102r)의 체결을 위해, 팁(102)은 체결공(102h)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공(102h)은 팁(102)에만 형성될 수 있고, 팁(102) 및 하우징(101)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광센서(148)는 닙(102r)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체로 노트 등에 필기를 할 수 있고, 이를 디지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강의를 듣는 경우 사용자는 강의내용을 필기할 수 있고, 필기된 내용은 디지털 텍스트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필기와 동시에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강의를 하는 경우, 사용자는 강의와 동시에 필기를 할 수 있고, 이 내용은 디지털 텍스트로 저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강자에게 디지털 텍스트가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강의내용을 적을 필요 없이 강의에 집중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100) 자체적으로 독자적인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AP)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에 내장된 무선 안테나 등을 사용하여 기지국(AP)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기지국(AP)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점은, 사용자가 소유한 다른 단말기에 종속적이었던 종래의 디바이스와 다르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AP)과 통신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다른 전자기기(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가, 페어링(paring)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데이터의 중계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콘텐츠(WC)를 다양한 방식으로 저장 및/또는 송신할 수 있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콘텐츠(WC)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 형태의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글씨를 쓸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광센서 및/또는 가속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생성한 콘텐츠(WC)인 글씨를 인식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생성한 콘텐츠(WC)를 전자 디바이스(100)에 내장된 메모리(170)에 텍스트(text) 포멧 및/또는 이미지 포멧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생성한 콘텐츠(WC)를 인식하여 텍스트 포멧으로 저장함으로서 전체적인 용량이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콘텐츠(WC)에 대한 인식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이거나 콘텐츠(WC)가 그림인 경우에는 이미지 포멧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다른 디바이스(200)와 동기화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200)와 동기화할 때,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한 콘텐츠(WC)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200)와의 동기화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아이들링(idling) 상태에 있을 때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한 콘텐츠(WC)를 외부서버(S)에 동기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다른 디바이스(200) 및/또는 외부서버(S)와 동기화한 콘텐츠(WC)를 메모리(170)에서 삭제할 수 있다. 즉, 메모리(170) 용량의 확보를 위하여, 동기화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전자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 사이,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자 디바이스 내 정보, 전자 디바이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자이로센서(143), 가속도센서(144), 각가속도센서(145), 지문인식센서(146), 안구감지센서(147), 그리고 광센서(14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디바이스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 디바이스(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5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의도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동작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하우징(101)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획득하는 단계(S10)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서부(140)를 통해 하우징(101)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1)을 잡고 필기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자가 어떠한 문자, 기호 및/또는 이미지를 입력하고자 하는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센서부(140)는, 광선세(148), 자이로센서(143), 가속센서(144), 각가속센서(145) 를 포함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글씨를 쓰는 경우, 팁(102)의 궤적을 추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는(18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20)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모드는, 제1 모드(S30)와 제2 모드(S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드는, 하우징(101) 끝단의 움직임에 따른 궤적에 대응된 콘텐츠를 메모리(170)에 저장하는 모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를 파지한 사용자가 기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일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어부(180)는 센서부(14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글씨 등을 획득할 수 있다. 획득한 글씨 등은, 텍스트 포멧으로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획득한 글씨 등은, 이미지 포멧으로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텍스트 포멧으로 저장되는 경우, 이미지 포멧의 경우보다 저장용량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제2 모드는, 하우징(101) 끝단의 궤적에 대응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2 모드에서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된 문자 등을,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지시로 인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모드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된 문자 등을 메모리(170)에 저장할 콘텐츠로 보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한 각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 자체에 대한 조작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에 마련된 버튼 등을 조작하지 않고서도 필요한 기능을 활성화하거 비활성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1 모드 동작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제 1모드에서, 제어부(180)는, 하우징(101)에 대한 궤적을 획득하는 단계(S31)를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101)에 대한 궤적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1)의 일단에 위치한 팁(102)의 궤적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궤적에 대응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33)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숫자, 그림 등을 콘텐츠로 인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을 광 센서(148)를 통해 획득한 경우에, 이미지 처리 과정을 통해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한 문자는 텍스트로 변환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생성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S35)를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콘텐츠가 텍스트인 경우에, 전체적인 저장공간이 절약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한 콘텐츠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S37)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콜 송수신, 메시지 송수신 등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했던 콘텐츠를 사용자의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좀 더 큰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2 모드 동작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제2 모드에서, 제어부(180)는, 입력된 문자 및/또는 기호에 따른 특정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S41)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한 전자 디바이스(100)로 특정한 문자 및/또는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특정한 문자 등은, 특정 기능을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 하는 명령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를 파지하여 기호 [ 를 입력하면, 제2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기호 [ 이후에 call을 입력하고 기호 ] 를 입력하면, 콜기능 수행이라는 특정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활성화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434)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콜 기능을 위한 문자 등이 입력된 경우에, 제어부(180)는, [call] 이후에 기재된 전화번호 등으로 콜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9는, 도 16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모드는, 제1 동작모드와 제2 동작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작모드에서는 모션트랙킹(motion tracking)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동작모드에서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동작모드에서, 제어부(180)는 모센트랙킹한 결과물을 콘텐츠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2 동작모드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된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입력을 콘텐츠화하여 저장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0 내지 도 27은, 도 16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H)으로 전자 디바이스(100)를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손(H)으로 전자 디바이스(100)를 파지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파지영역(GP)에는, 하나의 손(H)의 복수의 손가락(F)이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양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던 종래의 디바이스와 다르다. 즉, 원통형 등 한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남은 다른 손으로 필요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종래의 디바이스는, 두 손으로 디바이스를 파지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파지영역(GP)은, 하우징(101)의 하측 영역일 수 있다. 파지영역(GP)은, 고무 등이 도포되어 있거나 손가락(F)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파지영역(GP)에 접촉된 손가락(F)이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파지하여 오브젝트(300)에 접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오브젝트(300)는, 종이 등일 수 있다. 종이 재질의 오브젝트(300)에 사용되는 경우에, 오브젝트(300)에 접촉된 팁(102)을 통해 잉크가 오브젝트(300)에 묻어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파지하여 움직인 궤적인 글씨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오브젝트(300) 상에 글씨 등을 기재하면, 센서부(140)를 통해 기재한 내용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센서(148)를 통해 시각적으로 감지되거나, 자이로센서(143) 등을 통해 공간상 이동으로 감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 중 일부는 콘텐츠(WC)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300) 상에 메모가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 내용일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 중 일부는, 제어명령(OC)일 수 있다. 즉, 메모가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 것이 아닌,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명령(OC)은, 기 설정된 특정한 문자, 기호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all 이라는 문자가 제어명령(OC)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한 문자 및/또는 기호는, 다양한 형태로 제어명령(OC)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룹 A의 경우, 특정한 문자가 제어명령(OC)으로 설정된 경우이다. 예를 들어, call이라는 문자가 입력되면 콜기능이 수행될 수 있고, message 라는 문자가 입력되면 메시지 송수신 기능이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정한 문자가 제어명령(OC)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룹 B의 경우, 특정한 문자와 기호의 조합이 제어명령(OC)으로 설정된 경우이다. 예를 들어, 따옴표 사이에 call 이라는 문자를 기재한 경우에, 콜기능에 대응된 제어명령(OC)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통상적인 콘텐츠의 입력과의 혼동 가능성이 적어질 수 있다.
그룹 C의 경우, 특정된 문자와 관련된 정보의 조합이 제어명령(OC)으로 설정된 경우이다. 예를 들어, call 이라는 문자에 더불어 전화번호 정보 내지는 상대방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제어명령(OC)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룹 D의 경우, 특정한 기호가 제어명령(OC)으로 설정된 경우이다. 예를 드렁, X 표시가 입력된 경우에 콜수신 거절의 제어명령(OC)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입력된 특정 문자 및/또는 기호에 기초하여 콜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 연락처 표시 기능, 알람 기능, 재생 기능, 녹음 기능, 이메일 송수신 기능을 포함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call 이라는 문자의 입력에 이어 전화번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해당 내용을 제어명령(OC)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명령(OC)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콜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부(110)를 사용하여 기지국(AP)과 통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활성화된 기능과 관련된 다른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0)를 활성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15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하우징(10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에는, 현재 수행 중인 기능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제어명령(OC)을 수행한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다시 콘텐츠(WC)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 기능을 활성화 하는 제어명령(OC)을 입력한 후에, 다시 제2 콘텐츠(WC2)를 입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콘텐츠(WC2)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되는 제2 콘텐츠(WC2)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콘텐츠(WC2)의 입력에 대응하여 기 입력된 제어명령(OC)에 의하여 활성화되었던 특정 기능의 유지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 기능을 제2 콘텐츠(WC2)의 입력여부와 관계없이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상대방과의 통화를 유지한 상태에서 필요한 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2 제어명령(OC2)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ssage 라는 특정 명령어를 입력하여 메시지 송신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는 오브젝트(300)에 필요한 기재를 수행하며, 콘텐츠(WC)의 생성 및 제어명령(OC)의 입력을 필요에 따라 진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제2 제어명령(OC2)에 대응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기능의 활성화 및/또는 그에 부수된 디스플레이기능의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취한 특정 포스쳐(posture) 및/또는 제스쳐(gesture)에 대응하여 동작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2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오브젝트(300)에서 a 각도 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파지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와 오브젝트(300) 사이의 각도 a 는, 통상적인 필기 동작 시의 각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포스쳐 및/또는 제스쳐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제1 동작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메모 등 콘텐츠를 입력하고자 하는 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오브젝트(300)에서 b 각도 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파지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와 오브젝트(300) 사이의 각도 b는, 통상적인 필기 동작 시의 각도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를 오브젝트(300)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 정도로 세우는 포스쳐 및/또는 제스쳐동작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제2 동작모드로 진입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동작모드와 제2 동작모드를 위한 사용자의 포스쳐 및/또는 제스쳐는 일정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에 유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1 시점에서 사용자는 임계시간(CP) 이상 제2 동작모드 진입을 위한 동작이 수행된 경우에, 제어부(180)는 제1 동작모드에서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제2 동작모드로 동작 중 t3 시점부터 t4 시점까지 상요자가 임계시간(CP) 이하로 포스쳐를 전환한 경우에는, 포스쳐 전환과 관계없이 동작모드를 전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잠시간 부주의한 동작이 입력되어도 동작모드가 변환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0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동작모드에 따라 팁(10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동작모드로 콘텐츠(WC)를 입력할 수 있다.
콘텐츠(WC)를 입력하는 경우에, 제어부(180)는 팁(102)에서 잉크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이 재질의 오브젝트(300)에 기재된 콘텐츠(WC)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제스쳐를 취하여 동작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300)에 팁(102)이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 내에 일정한 횟수만큼 오브젝트(300)와 팁(102) 사이가 이격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팁(102)을 오브젝트(300)에 가볍게 톡톡 두드리는 제스쳐와 유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 입력이 있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술한 특정 문자, 기호의 입력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포스쳐 변화에 대응하여서도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동작모드가 변환되면, 팁(102)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팁(102)에서 잉크가 분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팁(102)에서 잉크가 분사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오브젝트(300) 상에는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문자 등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문자 등은 표시되지 않지만, 제어부(180)는 센서부(14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명령(OC)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2 모드로 변환된 동작모드시에 입력된 제어명령(OC)에 대응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팁(102)의 비활성화, 콜기능의 활성화,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팁(102)의 잉크분사가 비활성화됨으로 인하여, 오브젝트(300) 상에는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제어명령(OC)이 남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콘텐츠(WC2)를, 기 입력했던 제어명령(OC)과 관계없이 기재할 수 있다. 따라서 오브젝트(300)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전자 디바이스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190: 전원공급부

Claims (15)

  1. 사용자의 한 손의 복수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파지영역(grip portion)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된 메모리;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 끝단의 움직임에 따른 궤적에 대응된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 모드와, 상기 궤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지된 하우징을 사용하여 기 설정된 특정 문자와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은,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그룹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중 상기 특정 문자와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된 기능을 활성화 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특정 문자와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함께 입력된 부가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지된 하우징을 사용한 기 설정된 포스쳐(posture) 또는 제스쳐(gesture)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모드로 전환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스쳐 또는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모드를 전환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1 기능 및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능을 활성화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은,
    콜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 연락처 표시 기능, 알람 기능, 재생 기능, 녹음 기능, 이메일 송수신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1 항에 있어서,
    다른 오브젝트와의 접촉지점인 상기 하우징의 일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한 다른 오브젝트에 상기 궤적을 남기는 팁(tip)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에 따라 상기 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2. 사용자의 한 손의 복수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파지영역(grip portion)을 제공하는 하우징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의 일 끝단의 움직임에 따른 궤적에 대응된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궤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된 하우징을 사용하여 기 설정된 특정 문자와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특정 문자와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함께 입력된 부가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1 기능 및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KR1020150090384A 2015-06-25 2015-06-25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1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384A KR20170001036A (ko) 2015-06-25 2015-06-25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US15/739,403 US10908705B2 (en) 2015-06-25 2015-08-05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PCT/KR2015/008201 WO2016208804A1 (ko) 2015-06-25 2015-08-05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384A KR20170001036A (ko) 2015-06-25 2015-06-25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36A true KR20170001036A (ko) 2017-01-04

Family

ID=57585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384A KR20170001036A (ko) 2015-06-25 2015-06-25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08705B2 (ko)
KR (1) KR20170001036A (ko)
WO (1) WO20162088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7739A1 (de) * 2018-01-11 2019-07-18 Audi Ag Mobile, portable bedie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geräts mithilfe der portablen, mobilen bedien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5193B2 (en) * 1999-12-23 2007-11-13 Anoto Ab Written command
US6422775B1 (en) * 2001-03-23 2002-07-23 Intel Corporation Digital messaging pen
US20050024346A1 (en) * 2003-07-30 2005-02-03 Jean-Luc Dupraz Digital pen function control
US20090273585A1 (en) * 2008-04-30 2009-11-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igital pen with switch function
KR101623214B1 (ko) * 2010-01-06 201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펜 및 다기능 펜의 사용 방법
US20130249870A1 (en) * 2012-03-22 2013-09-26 Motorola Mobility, Inc. Dual mode active stylus for writing both on a capacitive touchscreen and paper
KR102084041B1 (ko) * 2012-08-24 2020-03-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펜 기능 운용 방법 및 시스템
TW201423497A (zh) * 2012-12-12 2014-06-16 Hon Hai Prec Ind Co Ltd 數位筆及數位書寫模組
US20150338940A1 (en) * 2014-05-23 2015-1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en Input Modes for Digital Ink
KR20170126294A (ko) * 2016-05-09 2017-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7739A1 (de) * 2018-01-11 2019-07-18 Audi Ag Mobile, portable bedie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geräts mithilfe der portablen, mobilen bedien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8804A1 (ko) 2016-12-29
US10908705B2 (en) 2021-02-02
US20180188835A1 (en)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78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U2008260115B2 (en) Multi-modal smartpen computing system
US20180188830A1 (en) Electronic device
US201702058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6520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writing input
US20090251338A1 (en) Ink Tags In A Smart Pen Computing System
US8884930B2 (en) Graphical display with optical pen input
JP7408627B2 (ja) 文字入力方法及び端末
KR1023158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43428A (ko) 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4102A (ko) 전자 디바이스
KR20170001036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0690A (ko) 전자디바이스
KR20160149749A (ko) 전자디바이스
KR20160149750A (ko) 전자디바이스
KR20170004091A (ko) 전자디바이스
US10635300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0795016A (zh) 显示方法及电子设备
CA2817318C (en) Graphical display with optical pen input
WO2017043691A1 (ko) 사용패턴의 통계적 처리를 통한 gui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61286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677401B1 (en) Image data generation using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170031331A (ko)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툴바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