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941A -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 Google Patents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941A
KR20170000941A KR1020150090183A KR20150090183A KR20170000941A KR 20170000941 A KR20170000941 A KR 20170000941A KR 1020150090183 A KR1020150090183 A KR 1020150090183A KR 20150090183 A KR20150090183 A KR 20150090183A KR 20170000941 A KR20170000941 A KR 20170000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plate
washing water
dust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7373B1 (ko
Inventor
정상현
심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90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3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16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wet type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진판 표면에 균일한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하전되어 집진판으로 이동하는 먼지가 집진판 표면의 수막에 의해 흘러내려 제거되도록 하는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Collecting Electrode Washing Equipment And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진판 표면에 균일한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하전되어 집진판으로 이동하는 먼지가 집진판 표면의 수막에 의해 흘러내려 제거되도록 하는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장치는 함진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를 포집하고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정화장치이다.
집진장치의 한 종류인 전기집진기는 집진판과 방전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 간격의 집진판 사이에 방전극이 배치되는 구조이다. 전기집진기의 집진원리는 통상적으로 방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코로나방전이 발생되는데, 이때 발생된 전하는 방전극으로부터 접지극(집진판)으로 이동하며, 공기와 결합하여 방전극과 접지극(집진판) 사이의 공간을 전기적으로 이온화 시킨다. 이때 이온화된 공기 중으로 먼지가 유입되면 이온화된 공기와 먼지가 결합하여 먼지를 대전(charging)시키고, 대전된 먼지는 전기장 내에서 집진판 방향으로 발생하는 쿨롱력(Coulomb force)에 의해 집진판 표면으로 이동하여 집진판에 부착됨으로써 포집된다.
이때 집진판에 부착된 먼지를 청소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건식과 습식으로 구분된다. 건식 전기집진기는 래핑(Rapping)(집진극을 망치로 두드림)에 의한 충격을 집진극에 가함으로써 부착된 먼지를 떨어뜨려 청소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먼지가 가지고 있는 저항이 크면 부착성이 높아 집진판에서 쉽게 제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거꾸로 집진판에서 방전극으로 이동하게 되는 역전리 문제의 발생 등 집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습식 전기집진기는 이러한 건식 전기집진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집진극의 표면에 간헐적 또는 연속적인 방법으로 물을 공급하여 세정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중 집진판에 연속적으로 수막을 형성하여 집진판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막으면서 집진판을 세정할 수 있도록 한 방법은 특히 비저항의 분진이나 점착성 및 시효경화성이 강한 분진들을 처리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이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 2010-0065693호 ("습식 전기집진장치의 집진극 연속 세정장치")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집진극 표면에 90도 방사형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가 세정수 파이프에 부착되어 궁극적으로 집진극 표면 전체에 최소의 세정수량으로 연속적인 수막을 형성시켜 원천적으로 부착성이 강한 입자의 부착을 차단함으로써, 연속운전이 가능한 집진극 연속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분사형 세정장치는 분사구에서 가까운 집진극 표면은 물줄기가 형성되고, 분사구에서 멀어지면 수막이 형성되지 않거나 갈라지는 등 분사된 세정수가 집진극 표면에 고르게 수막을 형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는 결국 습식전기집진기로써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0-0065693호 ("습식 전기집진장치의 집진극 연속 세정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진판 상부에서 세정수를 오버플로우시켜 집진판 표면에 균일한 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집진판 세정 효과가 우수한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판을 세정하는 장치는, 세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며, 상기 집진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세정수 저장조; 및 상기 세정수 저장조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세정수 공급부로부터 상기 세정수 저장조로 세정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세정수가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집진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리면서 상기 집진판 표면의 먼지를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정수 저장조는 상기 집진판 상부 측면에 상기 집진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세정수 공급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정수가 상기 집진판의 상부 길이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집진판 표면 전체적으로 일정 두께의 수막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세정수 저장조는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하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세정수가 저장되며, 상기 오버플로우된 세정수가 상기 집진판 표면으로 흘러내리도록 상기 집진판과 근접한 근접 단부가 이격 단부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세정수 저장조는 상기 집진판과 근접한 근접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상기 집진판에 근접할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버플로우되는 세정수를 상기 집진판 표면으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정수 저장조 내부 공간을 분할하되 상기 집진판과 근접한 근접 공간 및 이격 공간으로 분할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단부는 상기 안내가이드의 상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하단부는 상기 세정수 저장조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근접 공간과 상기 이격 공간의 하부 영역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분할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세정수 공급부로부터 세정수가 상기 이격 공간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상기 근접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어 상기 근접 공간 내의 수위가 자연 상승함에 따라 상기 안내가이드를 따라 오버플로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정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가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인 제 1세정수 이동 유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제 1세정수 이동 유로는 일단이 상기 세정수 공급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세정수 저장조의 상기 이격 공간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안내가이드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세정수 공급부는 상기 세정수 저장조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세정수 저장조는 상기 집진판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집진판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세정수 저장조의 이격 단부를 연결하는 커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세정수 저장조 및 상기 커버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세정수 공급부는 상기 집진판의 상부에 상기 집진판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집진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이며,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단수 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은 상기 세정수 공급부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가 상기 집진판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세정수 저장조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세정수 공급부는 일단은 막혀있고 타단은 외부의 세정수 공급 장치와 연결된 연장 파이프와 연통되며, 상기 연장 파이프 상에는 상기 세정수 공급부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세정수 공급부와 상기 세정수 저장조의 근접 단부 사이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양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세정수 저장조 내에 위치하되, 상기 안내가이드의 위치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가이드막;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세정수 공급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수가 상기 가이드막의 상부 공간을 따라 상기 세정수 저장조 내부로 공급되며, 상기 가이드막의 하부의 상기 세정수 저장조 내부의 세정수의 수위가 자연 상승되어 상기 집진판으로 오버플로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세정수 저장조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세정수 공급부는 이웃하는 한 쌍의 세정수 저장조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세정수 공급부를 중심으로 양측의 상기 세정수 저장조에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기집진기는 하우징 내에 복수개의 집진판 및 방전극이 교번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집진몸체; 상기 집진판마다 각각 구비되는 상기 집진판 세정 장치; 상기 집진몸체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포집하는 폐수 포집조; 및 상기 폐수 포집조로부터 폐수가 유입되며, 상기 폐수를 세정수로 정화하여 세정수 공급부로 공급하는 폐수 정화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기집진기에는 상기 집진판 세정 장치의 각 세정수 공급부와 연통되어 외부의 세정수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상기 세정수 공급부로 공급하는 단수의 세정수 공급 파이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진몸체에는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집진판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오염된 세정수를 모아 상기 폐수 포집조로 배출하도록 배출구가 밑면의 다른 위치 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며, 배출 방향은 하 방향 또는 측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호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습식 전기집진기는 상기 집진판의 양면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상기 집진판 세정 장치가 상기 집진판을 중심으로 한 쌍이 구비되되, 상기 집진몸체의 양쪽 끝단에 위치한 집진판의 경우 상기 집진판의 내측면에만 수막이 형성되도록 상기 집진판 세정 장치가 단수개 구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습식 전기집진기는 단수의 외부 하우징 내에 상기 집진몸체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 복수 모듈로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집진몸체로부터 배출되는 폐수가 유입되어 상기 폐수 포집조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나의 폐수 배출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종래에는 분사 방식의 세정 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집진판 표면에 형성된 수막이 갈라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는 세정수 저장조가 집진판의 폭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세정수 저장조 내의 세정수가 집진판 표면으로 오버플로우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집진판 표면에 균일한 수막이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세정수 저장조는 집진판과 근접한 근접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세정수 안내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집진판으로 오버플로우되는 세정수가 집진판 표면으로 부드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안내되므로, 더욱 고르게 수막 형성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는 가이드막이 더 구비됨으로써, 세정수 공급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수가 가이드막 상부 영역으로 유입되고, 가이드막 하부의 세정수 저장조 일부 영역으로는 가이드막에 의해 세정수가 직접적으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수면이 고르게 형성되며, 세정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자연 상승되어 집진판 상부 표면에 폭방향을 따라 세정수가 보다 균일하게 오버플로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기집진기는 집진몸체 상부에 상기한 집진판 세정 장치가 구비됨에 따라 집진판 표면에 고른 수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집진 작용에 의해 하전되어 집진판 표면에 부착되는 먼지가 수막에 흡착되어 흘러내리게 되므로 집진판이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저항이 커 부착성이 큰 먼지는 건식 전기집진기로는 쉽게 제거되지 않아 집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저항이 큰 먼지도 용이하게 제거되기 때문에 집진 효율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진극 연속 세정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를 나타낸 투영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도 2의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도 2의 A-A'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도 2의 A-A'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섯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도 2의 A-A'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여섯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도 2의 A-A'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곱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도 2의 A-A'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기집진기를 나타낸 개략구성도(단일 모듈).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몸체 및 집진판 세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방전극 및 집진판을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B-B'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부분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집진몸체가 구비된 습식 전기집진기를 나타낸 개략구성도(복수 모듈).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 실시 예 1 (기본 형)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를 나타낸 투영사시도이고, 도 4은 도 2의 A-A'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는 크게 세정수 저장조(10) 및 세정수 공급부(20)로 이루어진다.
세정수 저장조(10)는 세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며, 집진판 상부에 구비된다. 또한, 세정수 공급부(20)는 세정수 저장조(10)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세정수 공급부(20)로부터 세정수 저장조(10)로 세정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세정수 저장조(10) 내에 저장된 세정수가 오버플로우되어 집진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리면서 집진판 표면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이때, 도시된 것처럼, 세정수 저장조(10)가 집진판의 상부 측면에 집진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정수 공급부(20)로부터 유입되는 세정수가 집진판의 상부 길이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오버플로우되어 집진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리면서 집진판 표면 전체적으로 일정 두께의 균일한 수막이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에는 분사 방식의 세정 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집진판 표면에 형성된 수막이 갈라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은 오버플로우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집진판 표면에 고르게 수막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세정수 저장조(10)는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하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내부에 세정수가 저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오버플로우된 세정수가 집진판(C) 표면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집진판(C)과 근접한 근접 단부(일단부)(10a)가 이격 단부(타단부)(10b)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즉, 세정수 저장조(10)는 집진판(C)과 근접한 벽면의 높이가 이격된 벽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야만 세정수의 수위가 상승됨에 따라 집진판(C) 표면으로 오버플로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세정수 저장조(10)의 근접 단부(10a)의 위치는 집진판(C) 상단부의 높이보다는 아래에 위치해야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수 저장조(10)는 집진판과 근접한 근접 단부(10a)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집진판에 근접할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버플로우되는 세정수를 집진판 표면으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1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세정수 저장조(10)와 안내가이드(1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세정수가 오버플로우되는 연결 부위의 상단부가 곡면을 이루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세정수 저장조(10)는 근접 단부(10a)에서 연장 형성된 세정수 안내 가이드(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집진판(C)으로 오버플로우되는 세정수가 집진판(C) 표면으로 부드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안내된다. 따라서, 집진판(C) 표면에 일정한 두께의 수막 형성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때, 안내가이드(11)의 끝단부는 집진판(C) 표면과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안내가이드의 끝단부와 집진판 표면 사이의 이격 간격은 결국 집진판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의 두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갈라짐 없이 균일한 수막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적절한 간격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수 저장조(10)는 집진판(C)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되며, 집진판(C)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집진판(C) 양측 표면을 세정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세정수 저장조(10)의 각 이격 단부(10b)는 커버(12)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세정수 저장조(10)와 커버(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것처럼, 세정수 공급부(20)는 집진판(C) 상부에 집진판(C)의 상단부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세정수 저장조(10)와 마찬가지로 집진판(C)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파이프 형태이다. 따라서, 파이프 형태의 내부로 세정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단수 또는 복수개의 관통홀(21)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관통홀(21)은 파이프 형태의 세정수 공급부(20)의 측면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관통홀(21)을 통해 세정수가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분사되어 집진판(C)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세정수 저장조(1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2 및 3에 도시된 것처럼, 세정수 공급부(20)는 커버(12) 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세정수 공급부(20)의 일단은 막혀있으며, 타단은 연장파이프(22)와 연통되어 있다. 연장파이프(22)는 세정수 공급부(20)의 타단에서 커버(12)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외부에 구비된 세정수 공급 장치(미도시)로부터 세정수 공급부(20)로 세정수가 이송되는 유로이다. 이때, 연장파이프(22) 상에는 세정수 공급부(20)로의 유입되는 세정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유량조절밸브(2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를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하게 세정수 저장조(10) 및 세정수 공급부(20)로 이루어지되, 도시된 것처럼, 분할판(30)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첫 번째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며,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할판(30)은 세정수 저장조(10) 내부 공간을 분할하도록 구비되는 판으로, 도시된 것처럼 세정수 저장조(10) 내부 공간이 집진판과 근접한 근접 공간 및 이격 공간으로 분할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단부는 안내가이드의 상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하단부는 세정수 저장조(10)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여 근접 공간과 이격 공간의 하부 영역이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것처럼 집진판 상부에 구비된 세정수 공급부(20)로부터 세정수가 이격 공간으로 유입되며, 세정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이격 공간의 하부 영역에서 근접 공간의 하부 영역으로 유동하게 되고, 점차 근접 공간 내의 수위가 자연 상승함에 따라 안내가이드를 따라 집진판 표면으로 오버플로우된다.
즉,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는 분할판(30)을 더 구비하여 세정수 저장조(10)를 근접 공간 및 이격 공간으로 분할함으로써, 근접 공간 하부 영역으로 세정수가 공급됨에 따라 자연 상승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수위를 유지하여 고르게 오버플로우되는 장점이 있다.
-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를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는 상술한 두 번째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세정수 저장조(10), 세정수 공급부(20) 및 분할판(30)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제 1세정수 이동 유로(4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제 1세정수 이동 유로(40)는 세정수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가 이격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로 작은 파이프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 1세정수 이동 유로(40)는 일단이 세정수 공급부(20)와 연통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세정수 공급부(20)의 관통홀과 연통되어 관통홀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단은 세정수 저장조(10)의 이격 공간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세정수가 이격 공간 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는 제 1세정수 이동 유로(40)가 더 구비됨으로써, 세정수 공급부(20)의 관통홀에서 분사되는 세정수가 원활하게 이격 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근접 공간으로는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 실시예 4
이하,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를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세 번째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며, 제 1세정수 이동 유로(40)의 타단이 세정수 저장조(10)의 이격 공간 내부에 위치하되 안내가이드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근접 공간으로 세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더욱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으므로, 근접 공간 내의 수면이 평평하게 유지되어 균일하게 오버플로우되는 장점이 있다.
- 실시예 5
이하, 본 발명의 다섯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를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섯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하게 세정수 저장조(10) 및 세정수 공급부(20)에 가이드막(50)이 더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막(50)은 세정수 공급부(20)와 한 쌍의 세정수 저장조(10)의 근접 단부(10a)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상에서 가이드막(50)의 양단이 각각 한 쌍의 세정수 저장조(10) 내에 위치하되, 안내가이드의 상단부의 위치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을 참고하여 가이드막(50)이 구비된 집진판 세정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세정수 공급부(20)로 유입된 세정수는 세정수 공급부(2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홀(21)을 통해 양 측면으로 분사된다. 이때, 분사되는 세정수는 가이드막(50)의 상부 공간을 따라 세정수 저장조(10)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세정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가이드막(50) 하부의 세정수 저장조(10) 내부의 세정수는 수위가 자연 상승되어 집진판(C)으로 오버플로우된다. 이때 가이드막(50) 하부에 위치한 세정수 저장조(10)의 일부 영역으로는 세정수가 직접적으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이 영역은 수면이 고르게 형성되므로, 집진판(C) 상부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세정수가 보다 균일하게 오버플로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실시예 6
이하, 본 발명의 여섯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를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들은 세정수 공급부(20)가 집진판 상부에 집진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파이프 형태였다면, 본 발명의 여섯 번째 실시예는 세정수 공급부(20)가 세정수 저장조(10) 내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 경우, 다른 실시예들과 다르게 세정수 공급부(20)가 한 쌍의 세정수 저장조(10) 내에 각각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이때에도, 세정수 공급부(20)는 관통홀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일 수 있으며, 세정수 저장조(10) 내의 균일한 수면 형성을 위해 세정수 공급부(20)가 세정수 저장조(10) 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미세한 관통홀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도면은 세정수 저장조(10) 내에 세정수 공급부(20)를 구비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일예로, 세정수 공급부(20)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 실시예 7
이하, 본 발명의 일곱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정 장치를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하나의 집진판에 형성되는 집진판 세정 장치의 단위 구조를 설명한 것으로, 일반적인 집진기는 집진판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된다. 따라서, 한 쌍의 세정수 저장조(10) 또한 집진판과 마찬가지로 복수개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일곱 번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것처럼, 세정수 공급부(20)가 이웃하는 한 쌍의 세정수 저장조(10) 사이 공간에 위치하여 세정수 공급부(20)를 중심으로 양측의 세정수 저장조(10)에 세정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이 경우, 도시된 것처럼, 세정수 공급부(20)의 양측면과 각각 연통되는 제 2세정수 이동 유로(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제 2세정수 이동 유로(60)는 일단이 세정수 공급부(20)와 연통되며 타단이 세정수 저장조(10)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작은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수 공급부(20)는 두 개의 세정수 저장조(10)마다 한 개만 구비되면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집진판 세정 장치의 여러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공통된 기본 개념은 세정수 저장조(10) 내로 세정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수면이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세정수가 오버플로우되어 집진판 표면에 균일한 수막을 형성하며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집진 효율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기집진기를 나타낸 개략구성도(단일 모듈)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몸체 및 집진판 세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방전극 및 집진판을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B-B'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부분확대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집진판 세정 장치(100)가 구비된 습식 전기집진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기집진기는 크게 집진몸체(200), 집진판 세정 장치(100), 폐수 포집조(300) 및 폐수 정화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12 내지 14를 참고하여 집진몸체(200)를 먼저 설명한다. 집진몸체(200)는 단수의 하우징 내에 복수개의 집진판(210) 및 방전극(220)이 교번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성으로, 실제적으로 먼지를 함유한 공기가 유입되었을 때 집진 작용에 의해 먼지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집진판(210)은 평판(굴곡을 가지는 평판 형태일도 수 있음.) 형태로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집진판 고정봉(211)을 이용해 집진판(210)의 네 모서리 부근을 관통하여 모든 집진판(21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때, 집진판 고정봉(211)에는 복수개의 집진판(210)이 일정 간격 이격을 유지하도록 집진판 간격이격부재(미도시)가 끼워지며, 집진판 간격이격부재는 일정 간격의 파이프 형태로 집진판 고정봉(211) 상에 끼워져 각 집진판(210)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또한, 방전극(220)은 다양한 형상의 예리한 돌출부(edge)를 가지는 평판 형태이며, 방전극(220)은 각각의 집진판(210)과 집진판(210) 사이의 중앙에 집진판(210)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방전극(220)도 집진판(210)과 마찬가지로 방전극 고정봉(221)이 복수개의 방전극(220) 네 모서리 부근을 관통하여 모든 방전극(22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방전극 고정봉(221)에도 복수개의 방전극(220)이 일정 간격 이격을 유지하도록 방전극 간격이격부재(미도시)가 개재되어 있다.
전술한 것처럼, 복수개의 방전극(220) 및 집진판(210)은 단수의 하우징(230)에 고정되는데 방전극(220) 및 집진판(210)은 서로 분리되어 있어야 하므로 하우징(230)과 방전극 고정봉(221)이 전기적으로 절연이 되도록 한다. 이 때, 하우징(230)의 재질은 집진판(210)과 동일한 재질 또는 재질이 다른 도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지가 집진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방전극(220)에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고전압을 인가하면 방전극(220)의 돌출부에 코로나 방전이 일어난다. 이 때 다량의 전자들이 집진판(210)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며, 방전극(220)과 집진판(210) 사이의 공기 분자는 전자들과 결합하여 이온화 된다. 이 때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방전극(220)과 집진판(21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면 이온화된 공기분자와 분진의 결합으로 인하여 분진은 전기적으로 하전(charging)이 된다. 따라서 하전된 분진입자와 접지된 집진판(210) 사이에 전기적인 쿠울롱힘이 작용하여 대전된 분진이 집진판(210)의 표면에 부착되는 원리에 의해 공기 중의 분진이 집진판(210)에 포집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기집진기는 상기한 과정을 통해 집진판(210) 표면에 부착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집진판 세정 장치(100)가 구비된다.
이때, 도 11, 12 및 14에 도시된 것처럼, 집진판 세정 장치(100)는 복수개의 집진판(210)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된다. 이때, 도면상에 도시된 집진판 세정 장치(100)는 개략적인 장치로 도시한 것이며, 상술한 여러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집진판 세정 장치(100)가 복수개 구비되었을 경우, 단수의 세정수 공급 파이프(2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수 공급 파이프(250)는 외부에 구비된 세정수 공급 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집진판 세정 장치(100)의 각 세정수 공급부로 세정수를 공급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세정수 공급 파이프(250)는 각 세정수 공급부와 연통된 연장 파이프(22)들과 연결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집진몸체의 하부에는 호퍼(2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240)는 집진판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오염된 세정수(폐수)를 모아 폐수 포집조로 배출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최하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된다. 배출구는 밑면의 다른 위치 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며, 배출 방향은 하 방향 또는 측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4(a)와 같이 각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4(b)와 같이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상에는 폐수의 배출 방향이 하측방향이나, 이외에도 측면방향으로 배출될 수도 있다. 즉, 호퍼(240)의 형상은 집진몸체 하부로 흘러내리는 폐수가 한 곳으로 모이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집진몸체(200)의 한쪽 끝단에 있는 집진판(210)의 경우 집진판 세정 장치(100)의 형상이 약간 다르다. 양쪽 끝단의 집진판(210)을 제외한 내부의 집진판(210)은 집진판(210) 양면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집진판 세정 장치(100)가 집진판(210)을 중심으로 한 쌍이 구비되나, 도시된 것처럼 집진몸체(200)의 양쪽 끝단에 위치한 집진판(210)의 경우에는 집진판(210)의 내측면에만 수막이 형성되도록 집진판 세정 장치(100)가 단수개 구비된다. 따라서, 집진판(210)의 외측면 상의 집진판 세정 장치(100)는 벽(W)으로 막혀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아울러,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집진판 세정 장치(100)가 집진몸체(200) 상부에 구비됨에 따라, 복수의 집진판 세정 장치(100)를 지지하는 세정 장치 지지부(260)가 구비된다. 여기서, 세정 장치 지지부(260)와 하우징(2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5를 참고하면, 세정 장치 지지부(260)에는 집진판(210) 상부 일부분이 집진판 세정 장치(100) 내에 위치되도록 집진판(210)이 관통되는 홈이 형성되며, 집진판(210)과 홈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어 집진판(210)에 세정수가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집진몸체(200) 상부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집진판 세정 장치(100)가 구비됨에 따라 집진판(210) 표면에는 수막이 형성되며, 집진 작용에 의해 하전되어 집진판(210) 표면에 부착되는 먼지는 수막에 흡착되어 흘러내리게 되므로 집진판(210)이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전기비저항이 매우 큰 분진은 건식 전기집진기로 포집 시 집진판의 탈진이 용이하지 않고 역전리 등이 발생되어 집진기의 성능 저하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전기비저항이 큰 먼지도 용이하게 제거되기 때문에 집진 효율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집진몸체(200)에서 배출되는 오염된 세정수(폐수)는 폐수 포집조(300)로 유입되어 포집된다(도 11 참고).
이후, 폐수 포집조(300)로부터 폐수가 폐수 정화조(400)로 유입되며, 폐수 정화조(400)에서 폐수를 정화하도록 한다. 이때, 폐수를 정화하는 구성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정화된 폐수는 순환 유로를 통해 세정수 공급부(20)로 공급되어 다시 세정수로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집진몸체(200), 폐수 포집조(300), 폐수 정화조(400) 및 집진판 세정 장치(100) 사이에는 세정수 또는 폐수가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펌프(P)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에 복수개의 집진몸체가 구비된 습식 전기집진기를 나타낸 개략구성도를 도시하였다. 앞서 설명한 도 11에 도시된 구성도는 집진몸체(100)가 단수인 단일 모듈의 습식 전기집진기이며, 도 16은 복수 모듈의 습식 전기집진기를 나타낸 것이다.
전기집진기는 처리 유량의 크기에 따라 단일 모듈로 처리할 수도 있으나, 집진몸체가 2대 이상 구비된 복수 모듈의 전기집진기가 필요로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 모듈의 전기집진기인 경우, 여러 대의 집진몸체(200)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겹쳐서 외부 하우징(500) 내에 배치되어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집진몸체(200)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하나의 폐수 배출관(600)으로 유입되어 모이게 되며, 폐수 배출관(600)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폐수 포집조(300) 및 폐수 정화조(400)를 거쳐 정화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평방향으로 집진몸체(200)를 배치할 경우 집진몸체(200) 사이에 폐수 배출관(600)을 배치할 수 있다. 폐수 정화조(400)에서 배출되는 세정수는 하나의 유로에서 유량제어밸브(700)를 통해 각 집진몸체(100)에 구비된 복수개의 집진판 세정 장치(100)로 분배될 수 있다.
한편, 복수 모듈의 경우, 호퍼(240)의 형상이 도 14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복수개의 집진몸체(200)가 구비되는 경우 호퍼(240)의 높이 부분만큼은 집진 역할을 할 수 없으므로 호퍼(240)가 위치한 영역을 최소화하는 것이 집진 성능 증대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도 14와 같이 호퍼(240)를 형성하면 집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여러 대의 집진몸체(200)를 배치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각 호퍼(240)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하나의 폐수 배출관(600)으로 모아 배출하기 때문에 이 역시 집진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기집진기는 단일 모듈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복수 모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처리 유량이 많은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 : 집진판
100 : 집진판 세정 장치
10 : 세정수 저장조 10a : 근접 단부
10b : 이격 단부 11 : 안내 가이드
12 : 커버
20 : 세정수 공급부 21 : 관통홀
22 : 연장파이프 23 : 유량조절밸브
30 : 분할판
40 : 제 1세정수 이동 유로
50 : 가이드막
60 : 제 2세정수 이동 유로
200 : 집진몸체 210 : 집진판
220 : 방전극 230 : 하우징
240 : 호퍼 250 : 세정수 공급 파이프
260 : 세정 장치 지지부
300 : 폐수 포집조
400 : 폐수 정화조
500 : 외부 하우징
600 : 폐수 배출관
700 : 유량제어밸브

Claims (20)

  1. 집진판을 세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세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며, 상기 집진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세정수 저장조; 및
    상기 세정수 저장조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세정수 공급부로부터 상기 세정수 저장조로 세정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세정수가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집진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리면서 상기 집진판 표면의 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세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저장조는,
    상기 집진판 상부 측면에 상기 집진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세정수 공급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정수가 상기 집진판의 상부 길이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집진판 표면 전체적으로 일정 두께의 수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세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저장조는,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하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세정수가 저장되며,
    상기 오버플로우된 세정수가 상기 집진판 표면으로 흘러내리도록 상기 집진판과 근접한 근접 단부가 이격 단부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세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저장조는,
    상기 집진판과 근접한 근접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상기 집진판에 근접할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버플로우되는 세정수를 상기 집진판 표면으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세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저장조 내부 공간을 분할하되 상기 집진판과 근접한 근접 공간 및 이격 공간으로 분할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단부는 상기 안내가이드의 상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하단부는 상기 세정수 저장조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근접 공간과 상기 이격 공간의 하부 영역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분할판;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세정수 공급부로부터 세정수가 상기 이격 공간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상기 근접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어 상기 근접 공간 내의 수위가 자연 상승함에 따라 상기 안내가이드를 따라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세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가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인 제 1세정수 이동 유로;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세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세정수 이동 유로는,
    일단이 상기 세정수 공급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세정수 저장조의 상기 이격 공간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안내가이드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집진판 세정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부는,
    상기 세정수 저장조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세정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저장조는,
    상기 집진판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집진판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세정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세정수 저장조의 이격 단부를 연결하는 커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세정수 저장조 및 상기 커버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세정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부는,
    상기 집진판의 상부에 상기 집진판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집진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이며, 세정수가 분사되도록 단수 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세정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세정수 공급부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가 상기 집진판의 상부 측면에 구비된 세정수 저장조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세정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부는,
    일단은 막혀있고 타단은 외부의 세정수 공급 장치와 연결된 연장 파이프와 연통되며,
    상기 연장 파이프 상에는 상기 세정수 공급부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세정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부와 상기 세정수 저장조의 근접 단부 사이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양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세정수 저장조 내에 위치하되, 상기 안내가이드의 위치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가이드막;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세정수 공급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수가 상기 가이드막의 상부 공간을 따라 상기 세정수 저장조 내부로 공급되며, 상기 가이드막의 하부의 상기 세정수 저장조 내부의 세정수의 수위가 자연 상승되어 상기 집진판으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세정 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세정수 저장조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세정수 공급부는,
    이웃하는 한 쌍의 세정수 저장조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세정수 공급부를 중심으로 양측의 상기 세정수 저장조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세정 장치.
  16. 하우징 내에 복수개의 집진판 및 방전극이 교번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집진몸체;
    상기 집진판마다 각각 구비되는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집진판 세정 장치;
    상기 집진몸체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포집하는 폐수 포집조; 및
    상기 폐수 포집조로부터 폐수가 유입되며, 상기 폐수를 세정수로 정화하여 세정수 공급부로 공급하는 폐수 정화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습식 전기집진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 세정 장치의 각 세정수 공급부와 연통되어 외부의 세정수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상기 세정수 공급부로 공급하는 단수의 세정수 공급 파이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기집진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몸체에는,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집진판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오염된 세정수를 모아 상기 폐수 포집조로 배출하도록 배출구가 밑면의 다른 위치 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며, 배출 방향은 하 방향 또는 측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호퍼;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기집진기.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의 양면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상기 집진판 세정 장치가 상기 집진판을 중심으로 한 쌍이 구비되되,
    상기 집진몸체의 양쪽 끝단에 위치한 집진판의 경우 상기 집진판의 내측면에만 수막이 형성되도록 상기 집진판 세정 장치가 단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기집진기.
  20. 제 16항에 있어서,
    단수의 외부 하우징 내에 상기 집진몸체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 복수 모듈로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집진몸체로부터 배출되는 폐수가 유입되어 상기 폐수 포집조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나의 폐수 배출관;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습식 전기집진기.
KR1020150090183A 2015-06-25 2015-06-25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KR101867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183A KR101867373B1 (ko) 2015-06-25 2015-06-25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183A KR101867373B1 (ko) 2015-06-25 2015-06-25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941A true KR20170000941A (ko) 2017-01-04
KR101867373B1 KR101867373B1 (ko) 2018-06-15

Family

ID=5783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183A KR101867373B1 (ko) 2015-06-25 2015-06-25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3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779A (ko) * 2017-08-03 2019-02-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습식 집진 장치의 액체 분사 장치
KR20200062911A (ko) 2018-11-27 2020-06-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습식 전기 집진장치
KR20200109038A (ko) * 2019-03-12 2020-09-22 주식회사 동일씨앤이 습식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수막 형성장치
KR20210065416A (ko) * 2019-11-27 2021-06-04 (주)대양이엔아이 모듈형 수막 집진 시스템
KR20230046572A (ko) * 2021-09-30 2023-04-06 (주)코넵 습식 전기집진장치용 대전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567B1 (ko) * 2019-03-12 2021-04-14 한국기계연구원 워터재킷을 포함하는 파이프형 집진극 및 이를 이용한 습식전기집진기
KR102233652B1 (ko) * 2019-03-12 2021-03-30 한국기계연구원 유동안내면을 포함하는 집진판 및 이를 이용한 습식전기집진기
KR102259575B1 (ko) * 2019-07-26 2021-06-03 주식회사 리트코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
KR102327949B1 (ko) * 2019-11-15 2021-11-17 정으뜸 집진 필터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338562B1 (ko) 2021-07-13 2021-12-13 박병천 섬유 염색설비의 전기 집진기 유지보수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9230A (ja) * 1997-12-18 1999-07-0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湿式電気集塵器に於ける集塵電極面の水膜形成装置
KR100708544B1 (ko) * 2006-05-18 2007-04-18 (주)삼원이앤비 습식 전기집진장치
KR20100065693A (ko) 2008-12-08 2010-06-17 주식회사 길광그린텍 습식 전기집진장치의 집진극 연속 세정장치
KR101113780B1 (ko) * 2011-09-02 2012-02-20 (주)중앙플랜트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KR101455570B1 (ko) * 2014-01-29 2014-10-29 주식회사 한국이피 습식 전기집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159A (ja) * 2003-02-12 2004-09-02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電気集塵機
KR100694618B1 (ko) * 2006-02-10 2007-03-13 박상언 월류 세정방식의 습식 전기 집진기
SE530738C2 (sv) * 2006-06-07 2008-08-26 Alstom Technology Ltd Våtelfilter samt sätt att rengöra en utfällningselektrod
KR101221962B1 (ko) * 2010-12-23 2013-01-15 한국기계연구원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9230A (ja) * 1997-12-18 1999-07-0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湿式電気集塵器に於ける集塵電極面の水膜形成装置
KR100708544B1 (ko) * 2006-05-18 2007-04-18 (주)삼원이앤비 습식 전기집진장치
KR20100065693A (ko) 2008-12-08 2010-06-17 주식회사 길광그린텍 습식 전기집진장치의 집진극 연속 세정장치
KR101113780B1 (ko) * 2011-09-02 2012-02-20 (주)중앙플랜트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KR101455570B1 (ko) * 2014-01-29 2014-10-29 주식회사 한국이피 습식 전기집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779A (ko) * 2017-08-03 2019-02-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습식 집진 장치의 액체 분사 장치
KR20200062911A (ko) 2018-11-27 2020-06-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습식 전기 집진장치
KR20200109038A (ko) * 2019-03-12 2020-09-22 주식회사 동일씨앤이 습식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수막 형성장치
KR20210065416A (ko) * 2019-11-27 2021-06-04 (주)대양이엔아이 모듈형 수막 집진 시스템
KR20230046572A (ko) * 2021-09-30 2023-04-06 (주)코넵 습식 전기집진장치용 대전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373B1 (ko) 2018-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373B1 (ko)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KR100708544B1 (ko) 습식 전기집진장치
KR101476867B1 (ko) 가스 처리 장치
US7318857B2 (en) Dual flow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204544465U (zh) 一种用于湿电除尘器的自清洗旋转阳极装置
KR101793695B1 (ko) 전기 집진 장치를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장치
KR101436293B1 (ko) 습식 전기집진기용 수막형성장치
CN111974547B (zh) 水平型集尘装置及利用该水平型集尘装置的集尘方法
KR102209792B1 (ko) 집진탑
KR101288217B1 (ko)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1469509B1 (ko)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20140047441A (ko) 이온화 습식 전기집진장치
KR101402745B1 (ko) 전기 집진 시스템에 구비된 하전장치 및 그 하전장치를 이용한 대전방법
KR100937944B1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144230B1 (ko) 펄스 제트를 구비한 방전 전극선 세정용 습식 정전 집진기
KR102233652B1 (ko) 유동안내면을 포함하는 집진판 및 이를 이용한 습식전기집진기
KR101064486B1 (ko)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SK15672002A3 (sk) Prachový filter
KR102209791B1 (ko) 수평형 집진 장치
CA1098052A (en) Dust precipitator
KR101032612B1 (ko)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218943B1 (ko) 물흐름가이드부를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 장치
CN108620238B (zh) 阵列式喷嘴平面清洗装置和自清洗免维护静电净化***
JP2012090671A (ja) 空気浄化装置
JP2007301457A (ja) 静電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