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228U -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 - Google Patents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228U
KR20170000228U KR2020150004604U KR20150004604U KR20170000228U KR 20170000228 U KR20170000228 U KR 20170000228U KR 2020150004604 U KR2020150004604 U KR 2020150004604U KR 20150004604 U KR20150004604 U KR 20150004604U KR 20170000228 U KR20170000228 U KR 201700002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ovie
viewing
visual fiel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우
Original Assignee
강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우 filed Critical 강병우
Priority to KR2020150004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228U/ko
Publication of KR201700002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22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G02B27/26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에 관한 것으로서, 귀에 거는 귀걸이홈이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의 상부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PERIPHERAL VISION COVERING TOOL}
본 고안은,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과 측방의 시야 방해요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영화 관람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여가를 즐기는 문화가 확산되는 한편 영화산업이 발전됨에 따라 영화를 즐기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종전대비 인구 1인당 영화 관람 횟수가 많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주면 곳곳에 영화관이 들어서고 있기 때문에 영화를 관람하기가 종전보다 수월해지고 있다.
한편, 뮤지컬이나 음악회 등의 공연장과 마찬가지로 영화관에서도 일정한 에티켓이 요구된다. 예컨대, 전방의 의자를 발로 건들이지 말아야 하고, 떠들지 말아야 하며, 휴대폰 등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에티켓이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최근 영화관에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영화관에서 휴대폰을 사용할 경우, 휴대폰에서 발생되는 빛으로 인한 빛공해로 인해 영화 관람에 지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전방과 측방의 시야 방해요소를 차단하기 위한 소위, 집중력 향상을 위한 안경 혹은 가리개에 대한 기술들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7-005288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1227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7607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41162호 등에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문헌에 개시된 종래기술들은 모두가 상부가리개를 구비하고 있는데, 종래기술들처럼 상부가리개가 있는 안경 혹은 가리개를 착용하고 영화를 관람할 경우, 영화 스크린이 가려지기 때문에 오히려 영화 관람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영화 관람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7-005288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1227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7607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41162호
본 고안의 목적은, 전방과 측방의 시야 방해요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영화 관람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귀에 거는 귀걸이홈이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의 상부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의 전면에서 상기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에 각각 교차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얼굴에 대응되는 얼굴 대응용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얼굴 대응용 곡면부의 중앙에는 코가 자리배치되는 코 자리배치용 홈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와 상기 전방 주시용 공간부에 걸쳐 결합되는 3D 관람용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방과 측방의 시야 방해요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영화 관람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영화에 대한 몰입도를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의 착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결합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의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각각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에 대한 사용 상태도들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의 착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100)는 전방과 측방의 시야 방해요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영화 관람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 전방 주시용 공간부(130), 그리고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 그리고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140)는 단일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아니면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에 상호간 연결될 수도 있다.
만약,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 그리고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140)가 종이 재질로 제작된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100)는 종이 접기식으로 접어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100)가 영화관에 비치되는 경우라면 약간은 견고하게 플라스틱 혹은 금속으로 사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는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100)에 일회용 커버(미도시)가 덧씌워짐으로서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는 긴 막대형 부재로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며, 측방에서 눈으로 들어오는 시야 방해요소, 예컨대 휴대폰 빛을 차단한다.
이러한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에는 귀에 거는 귀걸이홈(111)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처럼 착용이 편리하다.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의 하단부 일측에는 푸트(112)가 마련된다. 푸트(112)는 다른 면보다 약간 튀어나온 부분을 가리키는데, 지면에 지지되는 장소를 이룬다.
만약, 푸트(112)가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100)가 미끄러지지 않고 제자리에 잘 놓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푸트(112)가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푸트(112)가 없는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 역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는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의 전면에서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에 각각 교차되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는 해당 위치에서 전방의 양 사이드에서 눈으로 들어오는 시야 방해요소, 예컨대 휴대폰 빛을 차단한다.
그리고 전방 주시용 공간부(130)는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전방 주시용 공간부(130)를 통해 영화를 관람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의 상부는 개방된다. 즉 전술한 것처럼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7-005288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1227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7607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41162호 등에 제안된 안경의 경우, 모두가 상부가리개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안경을 착용하여 영화를 관람할 경우, 영화 스크린이 가려지기 때문에 오히려 영화 관람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100)에는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영화 스크린이 가려지는 문제를 해결하기에 충분하다.
마지막으로,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140)는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 영역에 이웃된 위치에서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의 하부를 커버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140)는 해당 위치에서 하방에서 눈으로 들어오는 시야 방해요소, 예컨대 휴대폰 빛을 차단한다.
이처럼 전방 주시용 공간부(130)를 기준으로 하여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 및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140)가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서 눈으로 들어오는 시야 방해요소, 예컨대 휴대폰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 빛이나 혹은 영화관 내벽의 형광등으로부터 눈으로 들어오는 빛에 무관하게 영화 관람에 집중할 수 있다.
한편,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140)에는 얼굴 대응용 곡면부(141)와 코 자리배치용 홈부(142)가 더 형성된다.
얼굴 대응용 곡면부(141)는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140)의 단부에 형성되되 얼굴에 대응되는 부분이고, 코 자리배치용 홈부(142)는 얼굴 대응용 곡면부(141)의 중앙에 형성되되 코가 자리배치되는 부분이다.
이처럼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140)에 얼굴 대응용 곡면부(141)와 코 자리배치용 홈부(142)가 형성됨에 따라 도 6처럼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100)를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과 측방의 시야 방해요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영화 관람에 집중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200) 역시, 귀걸이홈(11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 전방 주시용 공간부(130), 그리고 얼굴 대응용 곡면부(141)와 코 자리배치용 홈부(142)를 구비하는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200)에는 3D 관람용 렌즈(2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3D 관람용 렌즈(250)는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와 전방 주시용 공간부(130)에 걸쳐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3D 관람용 렌즈(250)가 더 적용될 경우, 3D 입체 영화 혹은 만화를 재미있게 관람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전방과 측방의 시야 방해요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영화 관람에 집중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300) 역시, 귀걸이홈(11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 전방 주시용 공간부(130), 그리고 얼굴 대응용 곡면부(141)와 코 자리배치용 홈부(142)를 구비하는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얼굴 대응용 곡면부(141)와 코 자리배치용 홈부(142)의 선단부에는 쿠션재(360)가 개재된다.
쿠션재(360)는 얼굴 대응용 곡면부(141)와 코 자리배치용 홈부(142)가 얼굴과 코에 접할 때, 좀 더 편안하고 안락하게 접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따라서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300)를 장시간 착용하여도 불편함이 없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전방과 측방의 시야 방해요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영화 관람에 집중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300) 역시, 귀걸이홈(142a)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410),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 전방 주시용 공간부(130), 그리고 얼굴 대응용 곡면부(141)와 코 자리배치용 홈부(142)를 구비하는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410) 각각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즉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410)는 제1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411)와, 제1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411)와 분리되되 귀걸이홈(142a)이 형성되는 제2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412)를 포함한다. 제2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412)의 단부에는 제1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411)가 출입되는 출입구(413a)를 구비하는 결합부(413)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 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제1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411)와 제2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412) 간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얼굴의 크기가 다른 사람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전방과 측방의 시야 방해요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영화 관람에 집중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500) 역시, 귀걸이홈(11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 전방 주시용 공간부(130), 그리고 얼굴 대응용 곡면부(141)와 코 자리배치용 홈부(142)를 구비하는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와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 사이의 내벽에는 아크(arc)형 연결부(550)가 더 마련된다.
아크형 연결부(550)는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와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시야를 전방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전방과 측방의 시야 방해요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영화 관람에 집중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600) 역시, 귀걸이홈(11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 전방 주시용 공간부(130), 그리고 얼굴 대응용 곡면부(141)와 코 자리배치용 홈부(142)를 구비하는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에는 밴드(660)가 더 마련된다.
밴드(660)는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600) 착용자의 머리 뒷부분에 배치되어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600)가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전방과 측방의 시야 방해요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영화 관람에 집중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700) 역시, 귀걸이홈(11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 전방 주시용 공간부(130), 그리고 얼굴 대응용 곡면부(141)와 코 자리배치용 홈부(142)를 구비하는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700)에는 이어폰(770)이 마련된다. 이어폰(770)은 유선 혹은 무선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데, 이처럼 이어폰(770)이 갖춰질 경우, 영화관에서 제공하는 음성을 직접 들을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전방과 측방의 시야 방해요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영화 관람에 집중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각각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에 대한 사용 상태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800) 역시,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110),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120), 전방 주시용 공간부(130), 그리고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800)에는 접이식 3D 렌즈 유닛(880)이 더 마련된다.
접이식 3D 렌즈 유닛(880)은 유닛 몸체(881)와, 유닛 몸체(881)의 양측에 배치되는 3D 관람용 렌즈(8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미사용시에는 도 14처럼 배치하고, 사용시에는 도 16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 110 :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
111 : 귀걸이홈 112 : 푸트
120 :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 130 : 전방 주시용 공간부
140 :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 141 : 얼굴 대응용 곡면부
142 : 코 자리배치용 홈부

Claims (5)

  1. 귀에 거는 귀걸이홈이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의 상부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의 전면에서 상기 측방 가림용 플레이트에 각각 교차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 가림용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얼굴에 대응되는 얼굴 대응용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대응용 곡면부의 중앙에는 코가 자리배치되는 코 자리배치용 홈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 가림용 플레이트와 상기 전방 주시용 공간부에 걸쳐 결합되는 3D 관람용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
KR2020150004604U 2015-07-08 2015-07-08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 KR201700002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604U KR20170000228U (ko) 2015-07-08 2015-07-08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604U KR20170000228U (ko) 2015-07-08 2015-07-08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228U true KR20170000228U (ko) 2017-01-18

Family

ID=5796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604U KR20170000228U (ko) 2015-07-08 2015-07-08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22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75102A (ja) * 2020-04-27 2021-11-01 白飯 圭介 モバイル用カバ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2887A (ko) 1995-12-20 1997-07-29 양승택 홈 위에 다리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20110012279A (ko) 2009-07-30 2011-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영상인식 기반 상향등 자동 제어 방법
KR20110076079A (ko) 2009-12-29 2011-07-06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옥내용 기지국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30041162A (ko) 2010-07-13 2013-04-24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의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2887A (ko) 1995-12-20 1997-07-29 양승택 홈 위에 다리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20110012279A (ko) 2009-07-30 2011-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영상인식 기반 상향등 자동 제어 방법
KR20110076079A (ko) 2009-12-29 2011-07-06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옥내용 기지국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30041162A (ko) 2010-07-13 2013-04-24 에실러에떼르나쇼날(꽁빠니제네랄돕띠끄) 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의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75102A (ja) * 2020-04-27 2021-11-01 白飯 圭介 モバイル用カバ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75714S1 (en) Wireless earphone
USD879736S1 (en) Mobile phone
USD879064S1 (en) Mobile phone
US8605935B1 (en) Headphones with a pair of glasses
US10330887B2 (en) Flexible membranes connected to movable lenses of head-mounted display systems and related technology
USD820258S1 (en) Eyewear viewing device
US9326893B2 (en) Goggle structure
SG170738A1 (en) Ophthalmic system combining ophthalmic components with blue light wavelength blocking and color-balancing functionalities
USD875703S1 (en) Mobile phone
KR200465394Y1 (ko) 이중 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CN109152456B (zh) 虚拟现实兼用手机套
KR100991285B1 (ko) 사용자 맞춤형 입체영상용 안경
JP2013522953A (ja) 通信用眼鏡
SE0501205L (sv) Hörselskydd
KR200459491Y1 (ko) 고글렌즈(내면)에 부착 및 조절 할수있는 돗수용 클립 안경
KR20170000228U (ko) 영화 관람용 주변시야 가리개
CN107102439A (zh) 一种高清vr一体机
KR200455089Y1 (ko) 보조안경
KR20160003517U (ko) 착용감이 개선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285073A1 (en) Pair of glasses
KR101508871B1 (ko) 코받침 없는 안경
KR101403702B1 (ko) 작업용 보호안경
US20120308068A1 (en) Head multi-directional audio device
KR102037339B1 (ko) 무중력 스마트 안경테
CN209821535U (zh) 一种具有可拆卸式副镜片的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