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031U - 원격 조작용 괘지구 - Google Patents

원격 조작용 괘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031U
KR20170000031U KR2020160007241U KR20160007241U KR20170000031U KR 20170000031 U KR20170000031 U KR 20170000031U KR 2020160007241 U KR2020160007241 U KR 2020160007241U KR 20160007241 U KR20160007241 U KR 20160007241U KR 20170000031 U KR20170000031 U KR 201700000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lding
linear body
wire
gea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829Y1 (ko
Inventor
다카유키 나가키
도모하루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000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0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8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원격 조작용 괘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원격 조작용 괘지구는, 중앙부에 선형체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절결된 부분에 선형체 삽탈구(28)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회전반(12)과, 상기 회전반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체(14)와, 상기 유지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원격 조작봉의 선단에 장착되는 조작봉 장착 수단(16)과, 상기 선형체 삽탈구에 근접한 상기 회전반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개폐 기어편(18)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 기어편(18)은, 상기 회전반에 대향하는 면에 고정 자석부(2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반은, 상기 개폐 기어편이 선형체 삽탈구를 막는 위치에 있을 때 개폐 기어편의 고정 자석부(20)와 대향하는 영역에 고정 자석부(22)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원격 조작용 괘지구{LATCHING DEVICE FOR REMOTE MANIPULATION}
본 고안은, 원격 조작용 괘지구(掛止具)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예를 들면, 고압 가선(架線) 등에 사용되는 피복 전선의 중간부 또는 단부(端部)의 피복재를 나선형으로 박취하는 피복 박취(剝取) 장치를 구비한 원격 조작용 괘지구에 관한 것이다.
가선 공사, 예를 들면, 절연 재료에 의해 피복된 피복 전선의 단부나 중간부를 다른 전선과 접속하는 공사에 있어서는, 피복 전선의 접속 대상 개소(箇所)의 절연 피복을 벗겨내 베이스부의 심선(芯線)을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피복 전선의 절연 피복을 박취하는 작업은, 전선 사이의 접속, 전로(電路)의 분리, 전선으로의 기기(機器)의 접속 등을 목적으로 한 공사 중에서 필요로 하는 작업이며, 정전을 피하여, 원칙적으로 활선(活線)의 상태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피복 박취 장치를 절연 조작봉에 장착하여 지상으로부터 원격 조작하여 작업을 행하게 되지만, 이와 같은 작업에, 종래,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격 조작용 괘지구에 설치된 피복 박취 장치가 사용되고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9-60753호 공보
이와 같은 선단에 피복 박취 장치가 설치된 원격 조작용 괘지구에서는, 피복 박취 장치의 전선 유지부 및 전선 수용 공간에 피복 전선(A)을 수용하기 위해, 피복 전선(A)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원격 조작용 괘지구의 선단에 있는 피복 박취 장치(원격 조작봉)를 조작하여, 회전반(回轉盤)의 회전 축심을 피복 전선의 중심축선에 대략 평행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전선 유지부 및 전선 수용 공간에 피복 전선을 도입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피복 박취 장치를 회전 구동시켜 피복 전선의 절연 피복을 박취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그 상태를 유지하여 피복 전선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피복 박취 장치(원격 조작봉)를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한, 공중에 가설(架設)된 피복 전선(A)에 대하여, 작업 장소에 부수되는 지세적(地勢的), 공간적 제약이나 안전 상의 문제로부터, 반드시 피복 전선(A)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어프로치할 수 없는 경우도 있고, 그 상황에 따른 대응책이 별도로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 있어서, 원격 조작용 괘지구의 전선 수용 공간 내에 피복 전선을 전선 삽탈구(揷脫口)로부터 삽입시킬 때 또는 전선 수용 공간 내에 있는 피복 전선을 전선 삽탈구로부터 내는 경우에, 전선 수용 공간 내에 피복 전선을 출입시킬 때 전선 수용 공간의 출입구에 설치된 개폐 기어편을 직접 손으로 조작하지 않고, 전선 삽탈구를 막는 개폐 기어편을 회전반에 계탈(係脫; engagement/disengagement)시키는 것을 필요로 한다.
종래, 개폐 기어편을 회전반에 계탈시키기 위해 플런저(plunger)가 장착되어 있지만, 개폐 기어편을 개폐할 때 플런저에 과대한 힘이 걸려, 마모되는 경우가 많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원격 조작용 괘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1항에 관한 원격 조작용 괘지구는, 선형체(線狀體)를 삽탈(揷脫) 가능하게 수용하는 선형체 수용 공간이 형성된 원격 조작용 괘지구로서, 외주(外周)의 일부를 절결(切缺)하여, 중앙부에 선형체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절결한 부분에 선형체 삽탈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회전반과, 상기 회전반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체와, 상기 유지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원격 조작봉의 선단에 장착되는 조작봉 장착 수단과, 상기 선형체 삽탈구에 근접한 상기 회전반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된 개폐 기어편과, 피복 박취(剝取)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기어편은, 상기 회전반에 대향하는 면에 고정 자석부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반은, 부분 톱니 본체이며, 원호형 본체의 외주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톱니가 형성되고, 회전반의 외경(外徑)과 같은 직경의 원호형으로 형성된 외주면(外周面)을 포함하고, 그 외주면에 회전반과 동일 형상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부분 원환형(圓環狀) 본체의 외주면에 피니언에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되고, 또한 단면(斷面)이 원형인 피복 전선(A)을 수용 가능한 선형체 수용 공간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선형체 수용 공간의 한쪽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선형체 삽탈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반은, 선형체 삽탈구의 근방에 요동축(搖動軸)이 설치되어 있고, 개폐 기어편이 상기 요동축의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전반과 상기 개폐 기어편은, 개폐 기어편의 선단이 상기 회전반의 선형체 삽탈구 측 끝에지의 근방에 걸려져, 환형(環形) 륜체(輪體)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반은, 상기 개폐 기어편이 선형체 삽탈구를 막는 위치에 있을 때, 개폐 기어편의 고정 자석부와 대향하는 영역에 고정 자석부가 설치되고,
상기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는, 상기 회전반에 장착되고,
상기 피복 박취 장치는, 선형체 수용부에 수용된 선형체가 연장되는 측에 설치되고,
상기 피복 박취 장치는, 피복 전선을 유지하는 전선 유지부를 구비하는 피박구(皮剝具) 본체와, 상기 피박구 본체에 안내 지지되어 상기 전선 유지부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피박날(皮剝刀)을 포함하고,
상기 피복 박취 장치는, 상기 회전반의 회전 중심에, 상기 피박구 본체에 유지된 상기 피복 전선의 중심축이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반에 설치된 상기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봉 장착 수단에 장착된 원격 조작봉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피박구 본체를 상기 피복 전선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작용 괘지구이다.
본원 고안에 의하면, 원격 조작용 괘지구는, 선형체 수용부에 수용된 선형체가 연장되는 측에 피복 박취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피복 박취 장치는, 피복 전선을 유지하는 전선 유지부를 가지는 피박구 본체와, 상기 피박구 본체에 안내 지지되어 상기 전선 유지부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피박날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반의 회전 중심에, 상기 피박구 본체에 유지된 피복 전선의 중심축이 위치하도록, 상기 피복 박취 장치에 설치된 장착 시트를 상기 회전반에 설치된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원격 조작봉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피박구 본체를 피복 전선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피박날을 진퇴 이동시키고, 전진 위치에서 상기 피박날을 피복 전선의 절연 피복에 파고들게 하여 상기 피박날의 날폭으로 상기 절연 피복을 박취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원격 조작용 괘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전술한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원격 조작용 괘지구(10)의 선형체 삽탈구(28)를 우측으로 하고, 또한 피복 박취 장치(200)를 위로 하고,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400)를 아래로 한 상태에 있어서, 상측, 하측, 우측 및 좌측이라고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관한 원격 조작용 괘지구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 도해도(圖解圖)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관한 원격 조작용 괘지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 도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관한 원격 조작용 괘지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도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관한 원격 조작용 괘지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도해도이다.
도 6은 회전반 및 개폐 기어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 도해도이다.
도 7은 회전반 및 개폐 기어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 도해도이다.
도 8은 회전반에 개폐 기어편을 장착한 상태의 도면이며, (A)는 정면 도해도, (B)는 측면 도해도, (C)는 단면 도해도이다.
도 9는 회전반을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정면 도해도, (B)는 측면 도해도이다.
도 10은 개폐 기어편을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정면 도해도, (B)는 측면 도해도, (C)는 배면 도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피복 박취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a)는 정면 도해도, (b)는 단면 도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 박취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도해도[선조체(線條體) 삽탈구가 폐쇄 상태]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 박취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도해도(선조체 삽탈구가 개방 상태)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 박취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도해도(선조체 삽탈구가 개방 상태)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관한 원격 조작용 괘지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도해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관한 원격 조작용 괘지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도해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관한 원격 조작용 괘지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도해도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관한 원격 조작용 괘지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도해도이다.
도 19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관한 원격 조작용 괘지구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정면 도해도이다.
도 20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관한 원격 조작용 괘지구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사시 도해도이다.
[원격 조작용 괘지구]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인, 원격 조작용 괘지구(10)는, 도 1, 도 13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박취 장치(200)를 장착하여 구성되며, 원격 조작용 괘지구(10)에 연결되는 원격 조작봉(600)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피복 박취 장치(200)를 선형체인 피복 전선(A)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시키고, 피복 박취 장치(200)의 피박날(216)에 의해 공중에 가선된 피복 전선(A)의 중간부 또는 단부의 절연 피복(B)(도 15, 도 17을 참조)을 피박날(216)의 날폭에 상당하는 길이로 나선형으로 박취하는 것이다.
원격 조작용 괘지구(10)는, 선형체인 피복 전선(A)을 삽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선형체 수용 공간(26)이 형성된 원격 조작용 괘지구이며,
외주의 일부를 절결하여, 중앙부에 선형체 수용 공간(26)이 형성되고, 절결한 부분에 선형체 삽탈구(28)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회전반(12)과, 상기 회전반(12)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체(14)와, 상기 유지체(14)를 지지하는 동시에, 원격 조작봉(600)의 선단에 장착되는 조작봉 장착 수단(16)과, 상기 선형체 삽탈구(28)에 근접한 상기 회전반(12)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개폐 기어편(18)을 구비한다.
상기 개폐 기어편(18)은, 상기 회전반(12)에 대향하는 면에 고정 자석부(2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반(12)은, 상기 개폐 기어편(18)이 선형체 삽탈구(28)를 막는 위치에 있을 때, 개폐 기어편(18)의 고정 자석부(20)와 대향하는 영역에 고정 자석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원격 조작용 괘지구(10)는, 원격 조작봉(600)의 회동축(回動軸)(630)의 회전을 회전반(12)의 회전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24)(회전 전달 수단)가 원격 조작용 괘지구(10)에 연장 형성되고, 회전반(12)에는, 피복 박취 장치(200)를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하는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40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반(12)의 회전 중심에, 상기 피복 박취 장치(200)에 유지된 피복 전선(A)의 중심축이 위치하도록, 상기 피복 박취 장치(200)에 설치된 장착 시트(212)를 상기 회전반(12)에 설치된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4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원격 조작봉(60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피복 박취 장치(200)를 피복 전선(A)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피박날(216)을 이동시키고, 전진 위치에서 상기 피박날(216)을 피복 전선(A)의 절연 피복(B)에 파고들게 하여 상기 피박날(216)의 날폭으로 상기 절연 피복(B)을 박취한다.
회전반(12)은, 부분 원환형(圓環形) 본체(120)의 외주면(外周面)에 후술하는 피니언(100)에 맞물리는 톱니(122)가 형성되고, 또한 단면(斷面)이 원형인 피복 전선(A)을 수용 가능한 선형체 수용 공간(26)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선형체 수용 공간(26)의 한쪽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선형체 삽탈구(28)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부분 원환형의 평기어이다.
회전반(12)은, 회전반(12)과 마찬가지로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회전반 유지부(30)가, 개구 형상을 동일하게 되도록 하여, 회전반(12)의 양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선형체 수용 공간(26)의 직경 및 개구부의 폭은, 피복 전선(A)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고[회전반 유지부(30)의 경우도 마찬가지임], 선형체 수용 공간(26)은, 피복 전선(A)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다.
선형체 수용 공간(26)의 한쪽에 형성된 개구부는, 피복 전선(A)을 선형체 수용 공간(26)에 삽입하거나, 피복 전선(A)을 선형체 수용 공간(26)으로부터 떨어져 나오거나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선형체 삽탈구(28)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회전반(12)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체(14)에도, 피복 전선(A)을 삽탈하기 위한 선형체 삽탈구(28)인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선형체 삽탈구(28)는, 회전반(12)의 선형체 삽탈구(28)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유지체(14)의 개구부에 회전반(12)의 선형체 삽탈구(28)가 위치했을 때, 선형체 삽탈구(28)를 통한 피복 전선(A)의 삽탈이 가능해진다.
회전반(12)은, 부분 원환형 본체(120)의 외주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톱니(122)가 형성된 섹터 기어의 일종이다.
개폐 기어편(18)은, 부분 톱니 본체(130)이며, 원호형 본체의 외주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톱니(132)가 형성된, 부분 기어의 일종이다.
개폐 기어편(18)은, 회전반(12)의 외경(外徑)과 같은 직경의 원호형으로 형성된 외주면을 가지고, 그 외주면에 회전반(12)과 동일 형상의 톱니(132)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 기어편(18)은, 선형체 삽탈구(28)를 막기 위한 길이를 구비하고, 회전반(12)과 개폐 기어편(18)을 걸리게 한 상태에서, 회전반(12)과 개폐 기어편(18)은, 피니언(100)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환형(環形) 륜체(輪體)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반(12)은, 선형체 삽탈구(28)의 근방에 요동축(搖動軸)(32)이 설치되어 있고, 개폐 기어편(18)이 이 요동축(32)의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전반(12)은, 개폐 기어편(18)과의 장착 부분에는, 개폐 기어편(18)의 장착과 요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회전반(12)의 일부가 절결되어 있는 것에 의해 단차형(段差狀)의 개폐 기어 장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반(12)은, 개폐 기어편(18)의 선단 영역을 받아들여, 걸어맞추어지는 부분에는, 개폐 기어편(18)을 받아들이기 위해, 회전반(12)의 일부가 절결되어 있는 것에 의해, 단차형의 개폐 기어 선단 수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반(12)과 개폐 기어편(18)는, 개폐 기어편(18)의 선단이 회전반(12)의 선형체 삽탈구(28) 측 끝에지의 근방에 걸려져, 환형 륜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반(12)과 개폐 기어편(18)은 환형 륜체를 형성하여, 그 중앙에 환형 공간이 형성되어, 피복 전선(A)을 삽입하기 위한 진원형(眞圓狀) 관통공이 형성된다.
회전반(12)은, 선형체 수용 공간(26) 측에 원호형 에지부가 형성되고, 개폐 기어편(18)은, 선형체 수용 공간(26) 측에 원호형 에지부가 형성되고, 회전반(12)의 원호형 에지부와 회전반(12)의 원호형 에지부가 연속되어, 진원형의 환형 공간이 형성된다.
개폐 기어편(18)은, 개폐 기어 장착부(34)에 장착된 영역 및 개폐 기어 선단 수용부(36)에 수용된 영역에 있어서도, 회전반(12)에서의 개폐 기어편(18)의 장착 측의 표면과 대략 평면형으로 되는 두께를 가지는 평판형 기어편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반(12)과 개폐 기어편(18)은, 그 톱니의 피치원(pitch circle)의 직경이나 인접하는 톱니의 간격은 같으며, 회전반(12)의 톱니(122)와 개폐 기어편(18)의 톱니(132)는, 연속하여 형성되어, 피니언(100)에 맞물리는 기어열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개폐 기어편(18)이 회전반(12)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선형체 삽탈구(28)가 폐쇄 상태]에서는, 회전반(12)과 개폐 기어편(18)은 일체의 기어로서, 피니언(100)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지체(14)는, 회전반(12)과 피니언(100)을 덮는 동시에, 회전반(12)의 선형체 수용 공간(26)과 선형체 삽탈구(28)에 대응하여 절결되고, 그 개구부[회전반 끼워장착공(74)]에 회전반 유지부(30)를 통하여 회전반(12)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유지체(14)는, 유지부 본체(60)와, 유지부 본체(60)에 피장착되는 커버체(62)를 구비하고, 유지부 본체(60)와 커버체(62)는, 그 정면 형상이 대략 동일하다.
유지체(14)는, 피복 전선(A)이 삽입되는 대략 원환형의 선형체 삽입 영역(64)과 피복 박취 장치(200)가 장착되는 피복 박취 장치 장착 영역(66)을 구비한다.
선형체 삽입 영역(64)은, 유지체(14)의 위쪽에 형성되고, 피복 박취 장치 장착 영역(66)은, 유지체(14)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유지체(14)의 유지부 본체(60)는, 선형체 삽입 영역(64)의 내부에, 회전반(12)을 수용하고 회전될 수 있는 회전반 회전 공간(68)이 형성되고, 또한 선형체 수용 공간(26)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지체(14)의 유지부 본체(60)는, 그 외주 에지를 따라 그 내측을 위요(圍繞)하도록 세워 설치된 위요벽(圍繞壁)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체(14)는, 선형체 수용 공간(26)에 피복 전선(A)을 삽탈하기 위한 선형체 삽탈구(28)를 형성하는 개구 에지부(70)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 에지부(70)는, 유지부 본체(60)의 제1 개구 에지부(70a)와, 커버체(62)의 제2 개구 에지부(70b)를 구비한다.
유지체(14)는, 선형체 삽입 영역(64)에 선형체 수용 공간(26)을 형성하기 위한 선형체 수용 에지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선형체 수용 에지부(72)는, 개구 에지부(70)에 연속하여 형성된, 진원형의 관통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형체 수용 에지부(72)는, 유지부 본체(60)의 제1 선형체 수용 에지부(72a)와, 커버체(62)의 제2 선형체 수용 에지부(72b)를 구비한다.
선형체 수용 에지부(72)는, 회전반 유지부(30)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회전반 유지부 끼워맞춤공(74)을 구성한다.
제1 선형체 수용 에지부(72a)는, 제1 회전반 유지부 끼워맞춤공(74a)을 구성하고, 제2 선형체 수용 에지부(72b)는, 제2 회전반 유지부 끼워맞춤공(74b)을 구성한다.
유지체(14)는, 피복 박취 장치 장착 영역(66)에 있어서, 피니언(10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유지부 본체(60)는, 피복 박취 장치 장착 영역(66)에 설치되어 있는 피복 박취 장치(200)와 연결되도록, 피니언(100)이 회전하기 위한 회전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반 유지부(30)는, 유지체(14)의 유지부 본체(60)의 제1 선형체 수용 에지부(72a)에 끼워맞추어지는 제1 회전반 유지부(30a)와, 유지체(14)의 커버체(62)의 제2 선형체 수용 에지부(72b)에 끼워맞추어지는 제2 회전반 유지부(30b)를 구비한다.
제1 회전반 유지부(30a)와 제2 회전반 유지부(30b)는, 대략 동일 형상이지만, 커버체(62)의 제2 선형체 수용 에지부(72b)에 장착되는 제2 회전반 유지부(30b)는,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400)가 장착되는 부위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반 유지부(30)는, 회전반(12)의 선형체 수용 공간(26)의 영역에 장착되는 회전반 유지부 본체(40)와, 회전반 유지부 본체(40)의 주위면의 외측[회전반(12)에 장착면과는 반대측의 면] 주위로 돌출된 환형의 플랜지부(flange portion)(42)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반 유지부(30)가 회전반(12)의 측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반(12)의 측면과 회전반 유지부(30)의 플랜지부(42)와의 사이에 환형의 오목부(44)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반 유지부(30)는, 이 환형의 오목부(44)에 유지체(14)의 회전반 유지부 끼워맞춤공(74)을 서라운드 에지부(surround edge)가 끼워넣어지도록 회전반(12)의 측면에 장착되고, 회전반(12)은, 유지체(1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끼워장착되게 된다. 그러므로, 회전반 유지부 끼워맞춤공(74)의 직경은 회전반 유지부(30)의 외경[플랜지부(4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보다 약간 크고, 또한 회전반 유지부(30)의 플랜지부(4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회전반 유지부 본체(40)의 폭은, 유지체(14)의 두께보다 약간 넓게 설정되어 있다.
개폐 기어편(18)은, 개폐 기어편(18)의 요동축(32) 측의 회전반(12)과 대향하는 면과 개폐 기어편(18)에 대향하는 회전반(12)의 측면(전술한 절결된 부분)과의 사이에, 선형체 삽탈구(28)에 근접한 영역에서 유지 가압 부재(80)(유지 수단)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 가압 부재(80)는, 소용돌이형으로 권취된 토션 코일 스프링으로, 한쪽 끝이 개폐 기어편(18)에 고정되고 또한 다른 쪽 끝이 회전반(12)에 고정되어 있다.
개폐 기어편(18)을 유지체(14)의 개구부로부터 인출하여 선형체 삽탈구(28)를 개방 상태로 했을 때(도 12 및 도 16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에는, 유지 가압 부재(80)의 뒤틀린 가압력에 의해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 개폐 기어편(18)의 선단이 회전반(12)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선형체 삽탈구(28)가 개방 상태로 되고, 회전반(12)의 선형체 삽탈구(28)가 유지체(14)의 선형체 수용 공간(26)의 개구부와 일치하므로, 피복 전선(A)을 선형체 수용 공간(26)에 삽입하여, 수용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반(12)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니언(100)에 맞물린 개폐 기어편(18)이 요동한다. 그리고, 개폐 기어편(18)이 회전반(12)의 절결된 부분에 걸어맞추어지고, 고정 자석부(20) 및 고정 자석부(22)가 작동하여, 선형체 삽탈구(28)를 폐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도 9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상태).
또한, 원격 조작봉(600) 등에 의해 개폐 기어편(18)에 외력을 더하여,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조작용 괘지구(10)에 의한 절연 피복(B)의 박취 작업을 끝낸 후에, 원격 조작봉(600)에 의해 피복 박취 장치(200)를 피복 전선(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당기는 조작을 행하면, 회전반(12)의 고정 자석부(22)와 개폐 기어편(18)의 고정 자석부(20)가 갈라 놓아져, 개폐 기어편(18)을 요동시켜 회전반(12)으로부터 이탈시켜, 선형체 삽탈구(28)를 개방 상태로 할 수 있고, 이로써, 선형체 수용 공간(26)으로부터 피복 전선(A)을 탈리(脫離)시킬 수 있다.
유지체(14)의 외측면[후술하는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400)가 장착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전선 보조 지지부가 장착되어 있다.
전선 보조 지지부는, 그 선단부에 피복 전선(A)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된 내경(內徑)을 가지는 반원환부를 구비하고, 이 반원환부에 피복 전선(A)을 접촉시킴으로써, 선형체 수용 공간(26)에 도입하도록 하는 피복 전선(A)을 유도하거나, 선형체 수용 공간(26)에 수용된 피복 전선(A)을 보조적으로 지지하거나 하는 것이며, 또한 원격 조작용 괘지구(10)의 회전 동작에 의한 피복 전선(A)의 휘청거림을 억지하는 것이다.
회전 전달부(24)는, 단면에서 볼 때 L자형의 형상을 가지는 지지대(160)와, 지지대(160)의 저변부(底邊部)(160a)의 아래쪽에 장착된 지지통(172)과, 서로 직교하여 맞물리는 제1 베벨(bevel) 기어(164)와 제2 베벨 기어(166)와, 제1 베벨 기어(164)의 축심(軸心)에 접속되는 연결 회전축(170)과, 이들 구성 부품을 덮는 측면에서 볼 때 직각 삼각형상의 커버(178)를 구비하고, 또한 유지체(14)의 내부에, 제2 베벨 기어(166)와 동축(同軸)에 설치된 피니언(10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지통(172)은, 그 통형체의 내부에 원격 조작봉(600)의 선단부를 받아들이는 것에 의해, 피복 박취 장치(200)를 원격 조작봉(600)에 의해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베벨 기어(164)는, 지지대(160)의 저변부(160a)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기어부(164a)가 지지대(160)의 저변부(160a)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베벨 기어(166)는, 지지대(160)의 측변부(160b)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기어부(166a)가 지지대(160)의 측변부(160b)의 측방에 배치되어 제1 베벨 기어(164)의 기어부(164a)에 맞물리는 동시에, 기어부(166a)와는 반대측의 축심부(166b)가 지지대(160)의 측변부(160b)로부터 돌출되어 유지체(14) 내를 삽통(揷通)하고, 그 축심부(166b)에 피니언(100)이 장착되어 있다. 연결 회전축(170)은, 지지통(172)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여 배치되고, 상단(上端)이 제1 베벨 기어(164)의 축심부(172b)에 접합되는 동시에, 하단(下端)에는 원격 조작봉(600)의 회동축과 걸어맞추기 위해 단면(斷面)에서 볼 때 육각 형상의 헤드부(174)가 설치되어 있다.
원격 조작봉(600)으로서는, 손잡이의 핸들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그 회전이 지지통(172) 및 제2 베벨 기어(166)를 통하여 피니언(100)의 회동축에 전달되는, 주지의 원격 조작봉(600)이 사용된다.
지지통(172)에 원격 조작봉(600)의 선단을 꽂음으로써, 연결 회전축(170)[헤드부(174)]에 원격 조작봉(600)의 회동축(630)의 선단부를 연결시켜, 피복 박취 장치(200)를 원격 조작봉(600)의 선단에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원격 조작봉(600)의 손잡이의 핸들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연결 회전축(170)을 회전시키고, 연결 회전축(170)에 접합된 제1 베벨 기어(164)와 이에 맞물리는 제2 베벨 기어(166)를 회전시키고, 또한 제2 베벨 기어(166)와 동축에 장착된 피니언(100)을 회전시키고, 피니언(100)에 맞물리는 회전반(12) 및 거기에 회전반 유지부(30)를 통하여 장착된 피복 박취 장치(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피복 박취 장치]
피복 박취 장치(200)는, 선형체 수용 공간(26)에 수용된 선형체인 피복 전선(A)이 연장되는 측에 피복 박취 장치(200)가 설치되어 있다.
피복 박취 장치(200)의 구성에 대하여, 주로 도 11 내지 도 1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후술하는 조작링(210)이 전선 유지 부재[상부 유지 부재(202), 하부 유지 부재(204)]의 위쪽에 위치하고, 원격 조작봉(600)의 선단을 꽂는 측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하 방향을 설명한다.
피복 박취 장치(200)는, 피복 전선(A)을 유지하는 전선 유지부(206)를 가지는 피박구 본체[상부 유지 부재(202) 및 하부 유지 부재(204)]와, 상기 피박구 본체에 안내 지지되어 상기 전선 유지부에 대하여 이동하는 피박날(216)을 구비한다.
피복 박취 장치(200)는, 원격 조작용 괘지구(10)에[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4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복 박취 장치(200)는, 대향 배치한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의 대향면에 각각 단면이 반원인 형상의 전선 유지 오목부(202a) 및 전선 유지 오목부(204a)가 형성되어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와의 대향면을 폐쇄했을 때, 전선 유지 오목부(202a)와 전선 유지 오목부(204a)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이 원형인 전선 유지부(206)에 피복 전선(A)의 중간부를 수용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복 박취 장치(200)로서,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에, 각각 내경이 상이한 2개의 전선 유지 오목부(202a)와 전선 유지 오목부(204a)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구성 및 기능의 면에서는 양자 같다. 피복 박취 장치(200)는, 수직축 주위로 180°회전시켜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400)에 장착함으로써, 피복 박취 작업의 대상이 되는 피복 전선(A)에 대응한 전선 유지 오목부(202a) 및 전선 유지 오목부(204a)를 후술하는 피복 박취 장치(200)의 선형체 수용 공간(26)에 대향 배치함으로써, 그 전선 유지 오목부(202a) 및 전선 유지 오목부(204a)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이 작업 대상이 되는 피복 전선(A)에 대응한 전선 유지 오목부(202a) 및 전선 유지 오목부(204a)를 선형체 수용 공간(26)에 대향 배치한 상태에서 장착한 피복 박취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피복 박취 장치(200)는,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에, 각각 1개의 전선 유지 오목부(202a) 또는 전선 유지 오목부(204a)가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는, 각각의 상부 유지 부재(202) 및 하부 유지 부재(204)의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공(202b) 및 나사공(204b)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208a)를 가지는 진퇴축(208)(나사축)에 의해 연결되고, 이 진퇴축(208)의 한쪽의 단부(도면에서는 상단부)에는 위쪽으로 원환부(圓環部)(210a)를 가지는 조작링(210)이 장착되어 있다.
진퇴축(208)의 수나사(208a)는, 진퇴축(208)의 상하 방향의 중간 위치(208c)를 협지한 상방 부분[상부 유지 부재(202)의 나사공(202b)에 나사결합되는 부분]과 하방 부분[하부 유지 부재(204)의 나사공(202b)에 나사결합되는 부분]에서는, 서로 역방향의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조작링(210)[원환부(210a)]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양쪽의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와의 사이의 대향 간격을 좁힐 수가 있고, 반대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양쪽의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와의 사이의 대향 간격을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진퇴축(208)의 다른 쪽의 단부(도면에서는 상단부)는, 장착 시트(212)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212a)을 관통하고, 그 단부에 장착된 너트재(208b)와의 사이에서는 수나사(208a)에 나사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장착 시트(212)는 진퇴축(208)의 회전에 구속되지 않고 진퇴축(208)의 단부에 계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의 암나사공(202b), 나사공(204b)에 근접한 위치에 각각의 상부 유지 부재(202) 및 하부 유지 부재(204)를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공(202c) 및 가이드공(204c)이 형성되고, 장착 시트(212)로부터 기립하는 한 쌍의 가이드축(214)이 이들 한 쌍의 가이드공(202c), 가이드공(204c)을 관통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는, 진퇴축(208)의 회전에 의해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도록, 장착 시트(212)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치수 이격된 진퇴축(208)의 중간 위치(208c)를 협지(sandwich)하여, 그 대향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선 유지 부재[상부 유지 부재(202), 하부 유지 부재(204)]의 위쪽에 조작링(210)이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전선 유지부(206)의 중심이 회전반(12)의 회전 축심 상에 있고,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와의 대향 간격을 넓히고, 후술하는 개폐 기어편(18)을 개방하여 선형체 삽탈구(28)를 개방 상태로 하면, 전선 유지부(206) 및 선형체 수용 공간(26)에 피복 전선(A)을 도입할 수 있다.
다음에, 전선 유지부(206) 및 선형체 수용 공간(26)에 피복 전선(A)을 도입한 상태로부터, 조작링(210)이 전선 유지부(206)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피복 박취 장치(200)를 대략 180°회전시키고, 선단에 훅을 가지는 주지의 개폐 조작봉(650)을 사용하여, 이 조작링(210)의 원환부(210a)에 훅을 꽂고, 일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아래쪽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를 각각 상동, 하동시켜 양쪽의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와의 사이의 대향 간격을 좁힐 수가 있어, 도입한 피복 전선(A)을 전선 유지부(206) 내에 수용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복 박취 작업을 끝낸 후, 조작링(210)의 원환부(210a)에 개폐 조작봉(650)의 훅을 재차 꽂고, 다른 방향(본 실시형태 1에서는, 아래쪽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를 각각 하동, 상동시켜 양쪽의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와의 사이의 대향 간격을 넓힐 수 있고, 개폐 기어편(18)을 개방하여 선형체 삽탈구(28)를 개방 상태로 하면, 수용하고 있던 피복 전선(A)을 전선 유지부(206) 및 선형체 수용 공간(26)으로부터 탈리시킬 수 있다.
상하의 각각의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와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된 전선 유지 오목부(202a) 및 전선 유지 오목부(204a)의 내주면(內周面)에는, 양쪽의 대향면을 폐쇄한 상태에서 전선 유지 오목부(202a)와 전선 유지 오목부(204a)와의 사이에서 연속되도록 나선형의 송출 돌기(202d) 및 송출 돌기(204d)가 형성되어 있다(도 11 및 도 12를 참조).
그리고, 각각의 상부 유지 부재(202) 및 하부 유지 부재(204)에는, 피박날(216)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개구(218)가 형성되고, 피박날(216)은, 그 날끝(blade tip)(216a)이 이 장착 개구(218)로부터 소정 치수만큼 전선 유지부(206) 내로 돌출하고, 하부 유지 부재(204)의 외측면으로부터 전선 유지부(206)의 중심 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또한 송출 돌기(202d), 송출 돌기(204d)의 나선(螺旋) 경사에 대응하는 경사 각도(소정의 전진각)를 가지고 상부 유지 부재(202)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피박날(216)에 의해 박취된 절연 피복(b)은, 이 장착 개구(2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전선 유지부(206) 내로 돌출하는 치수(상기한 소정 치수)와 전선 유지부(206) 중심 방향을 향한 경사 각도(상기한 소정 각도)는, 피복 전선(A)의 심선(C)의 외경이나 절연 피복(B)의 두께에 대응하여 결정되고, 피박날(216)의 날끝(216a)을 피복 전선(A)의 심선(C)과 절연 피복(B)과의 경계부를 향해, 그 접선 방향으로부터 진출시키도록(절연 피복에 파고들게 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치수이며, 각도이다.
또한, 송출 돌기(202d) 및 송출 돌기(204d)는, 절연 피복(B)의 외표면에 걸어맞추어지고, 피복 박취 장치(200)가 피복 전선(A)의 중심축 주위(도 18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1회전함에 따라 피복 전선(A)을 송출 돌기(202d) 및 송출 돌기(204d)의 피치로 도 17의 좌측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피박날(216)의 날끝(216a)이 이 송출 돌기(202d) 및 송출 돌기(204d)의 나선 경사에 대응하는 전진각[송출되어 오는 피복 전선(A)을 향해 가는 방향으로 경사진 각도]을 가지고 장착되어 있으므로, 날끝(216a)이 박취된 절연 피복(B)은, 날끝(216a)의 후방[날끝(216a)의 날폭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향해, 장착 개구(218)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장착 시트(212)는, 상부 유지 부재(202)의 위쪽에 설치되고, 피복 박취 장치(200)를 후술하는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4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것이며, 그 측방의 면(도 12에서 우측)에 걸어맞춤공(212b)이 형성되고, 그 전방의 면(도 12에서 바로 앞 쪽)에 장착공(212c)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공(212b) 및 장착공(212c)에는, 각각 후술하는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400)의 걸어맞춤 돌기(412d) 및 장착핀(412e)이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해, 피복 박취 장치(200)를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400)에 장착 고정시킨다.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
또한, 회전반 유지부(30)의 한쪽의 외측면에, 나사 고정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400)의 구성에 대하여, 주로 도 1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400)는, 이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400)를 회전반 유지부(3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장착부(410)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410)는, 회전반 유지부(30)에 가까운 한쪽 끝이 회전반 유지부(30)의 외측면으로 돌려져 고정되는 동시에, 다른 쪽 끝에 피복 박취 장치 장착부(412)가 형성되어 있다.
피복 박취 장치 장착부(412)는, 회전반(12)의 회전축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장변(長邊)을 가지는 직사각형상의 장착부 바닥판(412a)과, 그 선단측[회전 전달부(24)(회전 전달 수단)로부터 이격되는 측]의 장변의 전후 양측으로부터 상승 한 쌍의 장착부 측판(412b)과, 장착부 바닥판(412a)의 회전 전달부(24)(회전 전달 수단) 측의 단변(短邊)으로부터 상승 장착부 장착판(412c)을 가지고, 장착부 측판(412b)과 장착부 장착판(412c)으로 에워싸인 장착부 바닥판(412a) 상의 영역에 피복 박취 장치(200)의 장착 시트(212)가 착탈 가능하게 유지된다.
장착부 장착판(412c)의 아래쪽에는, 장착부 장착판(412c)의 내측[장착 시트(212) 측]으로 돌출하는 걸어맞춤 돌기(412d)가 형성되고, 또한 장착부 측판(412b)에는 관통공이 천설(穿設)되고, 이 관통공을 삽통하여, 선단이 장착부 측판(412b)의 내측[장착 시트(212) 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장착핀(412e)이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 돌기(412d) 및 장착핀(412e)은, 각각 장착 시트(212)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전술한 걸어맞춤공(212b)과 장착공(212c)에 걸어맞추어지는 것이다.
장착핀(412e)을 가압력에 저항하여 장착부 측판(412b)으로부터 퇴출하도록 조작하여, 장착 시트(212)를 피복 박취 장치 장착부(412)에 받아들이고, 걸어맞춤 돌기(412d)를 걸어맞춤공(212b)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또한 장착핀(412e)을 가압력에 의해 장착부 측판(412b)으로부터 진출하도록 조작하여 장착공(212c)에 걸어맞춤으로써, 피복 박취 장치(200)[장착 시트(212)]를 피복 박취 장치 장착부(412)에 장착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피복 박취 장치(200)[장착 시트(212)]를 피복 박취 장치 장착부(412)로부터 분리해 내는 경우에는, 장착핀(412e)을 가압력에 저항하여 장착부 측판(412b)으로부터 퇴출하도록 조작하여, 단지 장착 시트(212)를 피복 박취 장치 장착부(412)로부터 뽑아내면 된다.
그리고,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400)에서의 회전반(1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장착부 바닥판(412a)의 상면까지의 연직(沿直) 방향의 치수 d(도 13를 참조)는, 피복 박취 장치(200)에서의 전선 유지부(206)에 수용되는 피복 전선(A)의 중심축[즉, 진퇴축(208)의 중간 위치(208c)]로부터 장착 시트(212)의 바닥면까지의 연직 방향의 치수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또한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400)에서의 회전반(1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장착부 바닥판(412a)의 중심선까지의 장착부 바닥판(412a)의 상면을 따른 방향의 치수 s(도 13을 참조)는, 피복 박취 장치(200)에서의 전선 유지부(206)에 수용되는 피복 전선(A)의 중심축으로부터 장착 시트(212)의 중심선까지의 장착 시트(212)의 바닥면을 따른 방향의 치수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날끝]
상하의 각각의 상부 유지 부재(202), 하부 유지 부재(204)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된 전선 유지 오목부(202a) 및 전선 유지 오목부(204a)의 내주면에는, 도 11에 하부 유지 부재(204) 측의 전선 유지 오목부(202a)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전선 유지 오목부(202a) 및 전선 유지 오목부(204a)에 연속되도록 나선형으로 송출 돌기(202d) 및 송출 돌기(204d)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유지 부재(204)에는, 상기 송출 돌기(202d) 및 송출 돌기(204d)의 나선 경사에 대응하는 경사 각도로 하여 피박날(216)이 장착되고, 그 날끝이 전선 유지 오목부(202a) 및 전선 유지 오목부(204a)의 안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피박날(216)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와의 대향면을 폐쇄했을 때, 그 날끝이 전선 유지 오목부(202a) 및 전선 유지 오목부(204a)로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피박날(216)의 날끝이 전선 유지 오목부(202a) 및 전선 유지 오목부(204a) 내로 돌출하는 돌출량은, 피복 전선(A)의 절연 피복(B)의 두께에 대응한다.
또한, 피박날(216)의 날끝 근방에는, 박취된 절연 피복(B)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20)가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내면에 대략 연속된 송출 돌기(202d) 및 송출 돌기(204d)를 가진 2개의 전선 유지 오목부(202a) 및 전선 유지 오목부(204a)를 형성한다.
이들 2개의 전선 유지 오목부(202a) 및 전선 유지 오목부(204a)는, 각각의 내경이 상이하고, 각각에 적합한 직경의 피복 전선(A)에 각각의 송출 돌기(202d) 및 송출 돌기(204d)가 압접(壓接)하게 되어 있다.
각각의 송출 돌기(202d) 및 송출 돌기(204d)는, 이들의 내경이 최소인 산정상부(山頂部)(202e, 204e)의 폭을 작게 하고 있고, 이들 산정상부(202e, 204e)가 피복 전선(A)의 절연 피복(B)의 외주에 파고들어, 피복 전선(A)이 상부 유지 부재(202) 및 하부 유지 부재(204)에 대하여 피복 전선(A)의 길이 방향(a)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쪽의 상부 유지 부재(202)의 각각의 전선 유지 오목부(202a)의 내면에는, 날끝이 피복 전선(A)의 심선(C)에 접촉하지 않고 대단히 근소한 거리를 두고 절연 피복(B)에 파고들도록 피박날(216)이 돌출되어 있다.
이 피박날(216)의 각각은, 필요에 따라 교환 가능하며, 그 돌출량은 최적의 설정값으로 미리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피박날(216)의 각각의 날끝의 피복 전선(A)의 길이 방향(a)의 폭(이후 날끝 폭이라고 함)은, 각각의 전선 유지 오목부(202a) 및 전선 유지 오목부(204a)의 송출 돌기(202d) 및 송출 돌기(204d)의 나사 피치보다 약간만 크게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전선 유지 오목부(202a) 및 전선 유지 오목부(204a)에 따른 한 쌍의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의 피복 전선(A) 주위의 나선 이동에 있어서, 박취 잔재가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의 피박날(216)의 각각의 날끝 근방에는, 박취 절연 피복(B)을 상부 유지 부재(202)와 하부 유지 부재(204)의 측방으로 도출(導出)하기 위한 배출구(220)가 설치되어 있다.
전선 유지 오목부(202a) 및 나사공(202b)의 측면에는, 박취 후의 절연 피복(B)을 도출하는 창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창 내에 피박날(2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피박날(216)은, 슬라이딩 접촉하는 피복 전선(A)에 대하여 소정의 전진각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도 20에서는, 피복 전선(A)의 절연 피복(B)이 박취되고, 심선(C)이 나타나 있는 모양이 나타나 있다.
상부 유지 부재(202)는, 피박된 절연 피복(B)이 배출구(220)로부터 배출되어 왔을 때, 배출구(220)의 주변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감김방지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감김방지부(230)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횡단면 L자형의 평판형 판재로 형성되고, 고착부(固着部)(232)를 상부 유지 부재(202)의 상면에 고정되고, 방지편부(234)가 상부 유지 부재(202)의 위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절연 피복(b)은, 방지편부(234)와 맞닿아 위쪽을 향해 뻗어 가도록 진행되어, 감김방지부(230)에 의해 배출구(220)의 주변 등에 감기는 경우가 없다.
[원격 조작봉(600)]
본 실시형태의 원격 조작봉(600)은, 연결 회전축(170)을 회전시키기 위한 소켓 본체(610)와, 상기 소켓 본체(610)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절연성의 회동축(630)과, 상기 회동축(630)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조작봉(632)과, 소켓 본체(610)와 조작봉(632)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어댑터(6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630)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경(大徑)의 헤드부를 구비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주측 중공부(中空部)는, 상단 개구로부터 하단 개구를 향해, 연결 회전축(170)을 유지하는 연결 회전축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회전축 유지부는, 소켓 본체(610)의 상단 개구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 깊이를 그 횡단면 형상이 정육각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면에는 복수의 마그넷이 매립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 회전축(170)은 상기 연결 회전축 유지부 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마그넷에 의해 자착(磁着) 유지된다.
회동축(630)은, 조작봉(632) 중에 회전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고, 조작봉(632)을 파지하면서, 회동축(63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폐 조작봉(650)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형(棒形)으로 형성된 조작봉(652)의 선단에 대략 U자형의 훅(654)이 장착되어 있다.
[피복 박취 장치를 사용한 피복 전선의 피복 박취 방법]
다음에, 도 11∼도 1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피복 박취 장치(200)를 사용한 피복 전선(A)의 피복 박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조작봉 장착 수단(16)의 지지통(172)에 원격 조작봉(600)의 선단을 삽입하고, 피복 박취 장치(200)를 지지하는 동시에, 원격 조작봉(600)의 회동(回動) 조작 수단의 선단부를 연결 회전축(170)에 연결한다.
그리고, 피복 박취 장치(200)의 상부 유지 부재(202) 및 하부 유지 부재(204)의 전선 유지부(206) 및 회전반(12)의 선형체 삽탈구(28)를 개방 상태[유지 가압 부재(80)에 의해 개방 상태를 유지]로 하여, 피복 박취 장치(200)를 공중에 가선된 피복 전선(A)의 중간부에 접근시키고, 전선 유지부(206) 및 선형체 수용 공간(26)에 피복 전선(A)의 중간부를 수용한다.
그리고, 피복 전선(A)의 중간부를 전선 유지부(206) 및 선형체 수용 공간(26)에 수용을 종료한 후, 원격 조작봉(600)의 조작에 의해 회전반(12)을 회전시키면, 선형체 삽탈구(28)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있던 고정 자석부(20)와 고정 자석부(22)가 벗겨지고, 개폐 기어편(18)은 유지 가압 부재(80)의 가압력에 의해 요동하고, 선형체 삽탈구(28)를 폐쇄 상태로 할 수 있다.
다음에, 개폐 조작봉(650)의 선단의 훅(654)을 조작링(210)에 현가(懸架)하여, 이것을 회전시킴으로써 진퇴축(208)을 회전시키고, 상부 유지 부재(202)를 전선 유지부(206)를 향해(진퇴 이동의 상한까지) 전진시켜, 상부 유지 부재(202) 및 하부 유지 부재(204)[전선 유지부(206)]에 유지된 피복 전선(A)의 절연 피복(B)에 피박날(216)의 날끝(216a)을 파고들게 한다.
다음에, 원격 조작봉(600)의 회동 조작 수단인 회동축(630)에 의한 원격 조작에 의해 연결 회전축(170)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력을 회전 전달부(24)를 통하여 회전반(12)에 전달하고, 회전반(12)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반 유지부(30)를 통하여 회전반(12)에 장착된 피복 박취 장치(200)를 피복 전선(A)의 중심축 상에 있는 축심 주위로 회전시키고, 피박날(216)이 그 날폭으로 절연 피복(B)을 박취하게 된다.
또한, 절연 피복(B)의 박취를 종료한 후, 원격 조작봉(600)을 피복 전선(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되돌려 조작하면, 고정 자석부(20)와 고정 자석부(22)가 이격되어, 유지 가압 부재(8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개폐 기어편(18)이 회동하여 선형체 삽탈구(28)가 개방되고, 피복 박취 장치(200)를 피복 전선(A)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복 박취 방법에서는, 작업자가 행하는 조작은, (1) 원격 조작봉(600)을 사용하여 피복 전선(A)을 피복 박취 장치(200)의 전선 유지부(206)와 원격 조작용 괘지구(10)의 선형체 수용 공간(26)에 수용하는 조작과, (2) 개폐 조작봉(650)을 사용하여 전선 유지부(206) 내에 수용된 피복 전선(A)에 피박날(216)을 파고들게 하는 조작과, (3) 원격 조작봉(600)의 회동 조작 수단에 의해 피복 박취 장치(200)를 피복 전선(A)의 중심축 상에 있는 축심 주위로 회전시키는 조작뿐이며, 이와 같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공중에 가선된 피복 전선(A)이 활선의 상태로 그 절연 피복(B)을 용이하게 박취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또한 작업 효율이 높다
따라서, 이와 같은 피복 박취 장치(200)에 의하면, 공중에 가설된 피복 전선(A)에 대하여 원격 조작봉(600)에 연결된 피복 박취 장치(200)를 지상 또는 작업 차 위로부터, 피복 전선(A)을 전선 유지부(206) 및 선형체 수용 공간(26)에 수용한 후, 가장 작업하기 쉬운 자세와 각도로 원격 조작봉(600)의 회동 조작에 의해 회전반(12)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피복 박취 장치(200)를 피복 전선(A)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용이하게 피복 전선(A)의 절연 피복(B)을 박취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상기 기재로 개시되어 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으로 하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메카니즘, 형상, 재질, 수량, 위치 또는 배치 등에 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이며, 이들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10: 원격 조작용 괘지구
12: 회전반
14: 유지체
16: 조작봉 장착 수단
18: 개폐 기어편
20: 고정 자석부(개폐 기어편)
22: 고정 자석부(회전반)
24: 회전 전달부(회전 전달 수단)
26: 선형체 수용 공간
28: 선형체 삽탈구
30: 회전반 유지부
30a: 제1 회전반 유지부
30b: 제2 회전반 유지부
32: 요동축
34: 개폐 기어 장착부
36: 개폐 기어 선단 수용부
40: 회전반 유지부 본체
42: 플랜지부
44: 오목부
60: 유지부 본체
62: 커버체
64: 선형체 삽입 영역
66: 피복 박취 장치 장착 영역
68: 회전반 회전 공간
70: 개구 에지부
70a: 제1 개구 에지부
70b: 제2 개구 에지부
72: 선형체 수용 에지부
72a: 제1 선형체 수용 에지부
72b: 제2 선형체 수용 에지부
74: 회전반 유지부 끼워맞춤공
74a: 제1 회전반 유지부 끼워맞춤공
74b: 제2 회전반 유지부 끼워맞춤공
80: 유지 가압 부재
100: 피니언
120: 부분 원환형 본체
122: 톱니
130: 부분 톱니 본체
132: 톱니
160: 지지대
160a: 저변부
160b: 측변부
164: 제1 베벨 기어
164a: 기어부
166: 제2 베벨 기어
166a: 기어부
166b: 축심부
170: 연결 회전축
172: 지지통
172b: 축심부
174: 헤드부
178: 커버
[피복 박취 장치]
200: 피복 박취 장치
202: 상부 유지 부재
202a, 204a: 전선 유지 오목부
202b, 204b: 나사공
202c, 204c: 가이드공
202d, 204d: 송출 돌기
204: 하부 유지 부재
206: 전선 유지부
208: 진퇴축
208a: 수나사
208b: 너트재
208c: 중간 위치
210: 조작링
210a: 원환부
212: 장착 시트
212a: 관통공
212b: 걸어맞춤공
212c: 장착공
214: 가이드축
216: 피박날
216a: 날끝
218: 장착 개구
220: 배출구
202e, 204e: 산정상부
230: 감김방지부
232: 고착부
234: 방지편부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
400: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
410: 장착부
412: 피복 박취 장치 장착부
412a: 장착부 바닥판
412b: 장착부 측판
412c: 장착부 장착판
412e: 장착핀
412d: 걸어맞춤 돌기
[원격 조작봉(600)]
610: 소켓 본체
620: 연결 어댑터
630: 회동축
632: 조작봉
650: 개폐 조작봉
652: 조작봉
654: 훅
d: 치수
S: 치수
A: 피복 전선
B: 절연 피복
C: 심선

Claims (1)

  1. 선형체(線狀體)를 삽탈(揷脫) 가능하게 수용하는 선형체 수용 공간이 형성된 원격 조작용 괘지구(掛止具)로서,
    외주(外周)의 일부를 절결(切缺)하여, 중앙부에 상기 선형체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절결된 부분에 선형체 삽탈구(揷脫口)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회전반(回轉盤);
    상기 회전반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체;
    상기 유지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원격 조작봉의 선단에 장착되는 조작봉 장착 수단;
    상기 선형체 삽탈구에 근접한 상기 회전반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된 개폐 기어편; 및
    피복 박취(剝取)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기어편은, 상기 회전반에 대향하는 면에 고정 자석부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반은,
    부분 톱니 본체이며, 원호형 본체의 외주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반의 외경(外徑)과 같은 직경의 원호형으로 형성된 외주면(外周面)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면에 상기 회전반과 동일 형상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부분 원환형(圓環狀) 본체의 외주면에 피니언에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되고, 또한 단면(斷面)이 원형인 피복 전선(A)을 수용 가능한 상기 선형체 수용 공간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선형체 수용 공간의 한쪽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선형체 삽탈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선형체 삽탈구의 근방에 요동축(搖動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폐 기어편이 상기 요동축의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개폐 기어편이 상기 선형체 삽탈구를 막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개폐 기어편의 고정 자석부와 대향하는 영역에 고정 자석부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반과 상기 개폐 기어편은, 상기 개폐 기어편의 선단이 상기 회전반의 상기 선형체 삽탈구 측 끝에지의 근방에 걸려져, 환형(環形) 륜체(輪體)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는, 상기 회전반에 장착되고,
    상기 피복 박취 장치는,
    상기 피복 전선을 유지하는 전선 유지부를 구비하는 피박구(皮剝具) 본체와, 상기 피박구 본체에 안내 지지되어 상기 전선 유지부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피박날(皮剝刀)을 구비하고,
    선형체 수용부에 수용된 선형체가 연장되는 측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반의 회전 중심에, 상기 피박구 본체에 유지된 상기 피복 전선의 중심축이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반에 설치된 상기 피복 박취 장치 유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봉 장착 수단에 장착된 원격 조작봉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피박구 본체를 상기 피복 전선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원격 조작용 괘지구.
KR2020160007241U 2016-04-22 2016-12-13 원격 조작용 괘지구 KR20048782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85995 2016-04-22
JP2016085995 2016-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031U true KR20170000031U (ko) 2017-01-02
KR200487829Y1 KR200487829Y1 (ko) 2018-11-08

Family

ID=5779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241U KR200487829Y1 (ko) 2016-04-22 2016-12-13 원격 조작용 괘지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37055B2 (ko)
KR (1) KR200487829Y1 (ko)
MY (1) MY191743A (ko)
TW (1) TWI716582B (ko)
WO (1) WO201718361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8253A (zh) * 2017-08-30 2017-11-24 国家电网公司 一种高压带电作业激光剥线器
KR102020921B1 (ko) 2018-07-05 2019-09-11 조덕승 전선용 절연피복 박리장치
KR102022807B1 (ko) * 2018-10-26 2019-09-18 대원전기 주식회사 테이핑기 탈착형 간접활선작업용 자동개폐 피박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전선 피박공법 및 간접활선 전선 테이핑공법
KR20200086544A (ko) * 2019-01-09 2020-07-17 (주) 진흥이엔지 절연전선용 간접 활선 박피기
KR20240018277A (ko) * 2022-08-02 2024-02-13 한국전력공사 라인포스트 애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5122B2 (ja) * 2017-11-09 2022-07-22 マクセルイズミ株式会社 電線被覆剥ぎ取り装置
JP7001536B2 (ja) * 2017-11-09 2022-01-19 マクセルイズミ株式会社 下層被覆用電線被覆剥ぎ取り装置
WO2019203202A1 (ja) * 2018-04-19 2019-10-24 株式会社永木精機 被覆剥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被覆剥取方法
JP7056923B2 (ja) * 2018-05-31 2022-04-19 大東電材株式会社 電線皮剥工具
CN110729672B (zh) * 2019-10-10 2021-03-16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导线剥皮装置以及导线剥皮***
KR102361048B1 (ko) * 2019-12-26 2022-02-09 (주)진흥이엔지 절연전선용 간접 자동 테이핑기
CN112510381B (zh) * 2020-11-06 2022-05-17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平阳县供电公司 一种自动锁紧的绝缘穿刺线夹
WO2024009874A1 (ja) * 2022-07-06 2024-01-11 株式会社永木精機 皮剥器、皮剥装置、および、皮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6428A (ja) * 1991-12-20 1993-07-1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皮剥ぎ工具
JP2008136299A (ja) * 2006-11-28 2008-06-12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被覆剥取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被覆剥取方法
JP2009060753A (ja) 2007-09-03 2009-03-19 Nagaki Seiki Co Ltd 被覆剥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47305B (zh) * 2005-03-25 2010-05-26 施洛伊尼格控股有限公司 用于电缆剥离设备的旋转剥离头
JP5176428B2 (ja) 2007-08-20 2013-04-03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酸窒化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658584B2 (ja) * 2011-01-31 2015-01-28 株式会社九電工 皮剥ぎ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6428A (ja) * 1991-12-20 1993-07-1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皮剥ぎ工具
JP2008136299A (ja) * 2006-11-28 2008-06-12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被覆剥取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被覆剥取方法
JP2009060753A (ja) 2007-09-03 2009-03-19 Nagaki Seiki Co Ltd 被覆剥取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8253A (zh) * 2017-08-30 2017-11-24 国家电网公司 一种高压带电作业激光剥线器
KR102020921B1 (ko) 2018-07-05 2019-09-11 조덕승 전선용 절연피복 박리장치
KR102022807B1 (ko) * 2018-10-26 2019-09-18 대원전기 주식회사 테이핑기 탈착형 간접활선작업용 자동개폐 피박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전선 피박공법 및 간접활선 전선 테이핑공법
KR20200086544A (ko) * 2019-01-09 2020-07-17 (주) 진흥이엔지 절연전선용 간접 활선 박피기
KR20240018277A (ko) * 2022-08-02 2024-02-13 한국전력공사 라인포스트 애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83614A1 (ja) 2017-10-26
TW201743526A (zh) 2017-12-16
MY191743A (en) 2022-07-13
JPWO2017183614A1 (ja) 2019-02-21
KR200487829Y1 (ko) 2018-11-08
TWI716582B (zh) 2021-01-21
JP6837055B2 (ja)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829Y1 (ko) 원격 조작용 괘지구
JP4903538B2 (ja) 被覆剥取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被覆剥取方法
CN108155606B (zh) 用于去除电导体的护套的装置和方法
US20190074672A1 (en) Wire stripping tool
JP5063263B2 (ja) 被覆剥取装置
CN113193517B (zh) 一种天馈线现场施工用剥皮裁剪装置
JP2021097583A (ja) ワイヤー継ぎ目の皮剥がし装置
US11362490B2 (en) Coating stripping device and coating stripp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7038418A (ja) 架線の被覆剥取器具
CN203967639U (zh) 电缆剥皮器
KR100973117B1 (ko) 파이프 절단공구
JP6468055B2 (ja) 間接活線用切断工具
JP5002247B2 (ja) 皮剥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被覆電線の皮剥ぎ工法
JP2017038419A (ja) 架線の被覆剥取器具
JP7105122B2 (ja) 電線被覆剥ぎ取り装置
JP5203173B2 (ja) ケーブル通線装置
CN109768507B (zh) 电线覆层剥除装置
KR101596451B1 (ko) 머드건의 노즐팁 제거장치
JP2014039433A (ja) 電線被覆剥ぎ取り用間接活線先端工具
CN105006722A (zh) 用于绝缘导线检修的绞线装置
CN117584156A (zh) 一种对弯折式内窥机器人操作的蛇形臂机械手的控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