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951A - A multi-case-typ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t once - Google Patents

A multi-case-typ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t o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951A
KR20160143951A KR1020150079417A KR20150079417A KR20160143951A KR 20160143951 A KR20160143951 A KR 20160143951A KR 1020150079417 A KR1020150079417 A KR 1020150079417A KR 20150079417 A KR20150079417 A KR 20150079417A KR 20160143951 A KR20160143951 A KR 20160143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wireless charging
mobile device
tray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익
김민영
Original Assignee
(주)오라컴디스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라컴디스플레이 filed Critical (주)오라컴디스플레이
Priority to KR1020150079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3951A/en
Priority to PCT/KR2015/005695 priority patent/WO2016195145A1/en
Publication of KR20160143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9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7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ase-typ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keeping and charging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protection case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reception part for containing and wirelessly charging the mobile device; a housing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multiple trays stack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n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protection case;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part installed below the tray to wirelessly charge the protection case; and a mai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part. According to the multi-case-type wireless charg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heat generation can be minimized by stacking trays without a partition wall and enabling ventilation through spaces between the trays.

Description

다수의 모바일 기기를 동시에 충전하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 { A multi-case-typ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t onc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simultaneously charging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다수의 수용홈이 구성된 다수의 트레이를 적층하고, 각 트레이는 슬라이딩 되어 개폐되고, 각 수용홈은 그 하부에 무선충전 송신부를 구비하여 수용된 모바일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trays constituting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are stacked, each tray is slidably opened and closed, and each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at a lower portion thereof, .

일반적으로, 휴대폰, 노트북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 장치는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바일 기기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별도의 충전 장치를 구비하며, 충전 장치는 일반 사용 전원과 접속되어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에 충전 전류를 제공하는 기능을 행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notebook, or the like is equipped with a battery therein so that a user can use the mobile terminal while moving. However, such a mobile device has a separate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the battery, and the charging device is connected to a general power source to provide charging current to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한편, 충전 장치가 충전 전류를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충전 모체와 모바일 기기 내의 배터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충전 모체와 모바일 기기 내의 배터리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충전 모체와 모바일 기기 내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 내의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할 때에는 모바일 기기의 접촉 단자와 충전 모체의 접촉 단자를 상호 접속시켜야 한다.Meanwhile, in order for the charging device to supply the charging current to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the charging matrix constituting the charging device and the battery in the mobile device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order to selectively connect the battery pack and the battery in the mobile device, a separate contact terminal is conventionally formed in the battery pack and the mobile device. Therefore, when the battery in the mobile device is to be charged, the contact terminals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contact terminals of the charging body must be connected to each other.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와 충전 모체에 접촉 단자를 구성하는 종래의 방법은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됨으로써 미관상 보기 흉하다는 문제점 외에 접촉 단자가 외부의 이 물질에 오염되어 접촉 상태가 불량할 염려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단락이 발생하여 배터리가 완전 방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structing the contact terminal to the mobile device and the charging matrix has a drawback that the contact terminal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thus the contact terminal is contaminated with the external substance, In some cases, a short circuit due to carelessness of the user occurs and the battery may be completely discharg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기기의 충전지가 비접촉식으로 충전 모체와 전기적 결합하여 충전 모체의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비접촉식 충전 방법은 고주파로 동작하는 변압기의 1차 회로를 충전 모체에 구성하고 2차 회로를 배터리 측 즉, 모바일 기기 내에 구성함으로써 충전 모체의 전류 즉, 에너지를 자기 결합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에 제공하는 방식이다. 자기 결합을 이용한 비접촉식 충전 방식은 이미 일부 응용 분야(예: 전동 칫솔, 전기 면도기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rechargeable battery of a mobile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harging body in a noncontact manner to charge the energy of the charging body. In the non-contact charging method, a primary circuit of a transformer operating at a high frequency is constituted in a charging matrix, and a secondary circuit is constituted in a battery side, that is, in a mobile device, . Non-contact charging methods using magnetic coupling have already been widely used in some applications (eg, electric toothbrushes, electric shavers, etc.).

이와 같은 무선충전기술은 최근 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의 충전 방식의 불편함 등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이슈화 되고 있으며 향후 여러 응용분야로 확대되어 매우 큰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기술이다.Such a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is currently being addressed as a technology for solving the inconvenience of the charging method of a mobile device which is growing and is expected to form a very large market by expanding to various application fields in the future.

현재 상용화된 무선충전 장치들은 주로 1:1의 충전 구조로서, 다수 기기의 동시 충전이 어려우며, 송수전부 간의 이격, 각도 변화에 따라 충전 효율이 저하된다. 이를 위한 중전력급 다수기기 충전, 위치 자유도 향상을 위한 기술적 개선이 필요하다.At present, commercialized wireless charging devices mainly have a 1: 1 charging structure. Simultaneous charging of many devices is difficult.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echnology to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of position charging and charging of middle - sized pow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다수의 모바일 기기들을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멀티 무접점 충전 시스템 등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 상기 종래기술은 복수 개의 충전블럭을 구성하여 각 충전블럭 내에서 기기들이 동시에 충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technology of a multi-solid contact charging system capable of charging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t the same time has been proposed [Patent Document 1]. In the conventional art, a plurality of charging blocks are configured so that the devices can be simultaneously charged within each charging block.

그러나 다수 기기에 대한 동시 급속 충전 방식은 한꺼번에 많은 전력이 전송되므로, 여러 기기의 상호 간섭에 의한 전송 오류 문제 등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 차폐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즉, 다수 기기에 대한 동시 충전 기술과 이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차폐 쉴딩 기술 등이 적용된 무선충전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However, since simultaneous rapid charging method for multiple devices transmits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at on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transmission error due to mutual interference of various devices. Therefore, development of a shielding technology is required. That 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using a simultaneous charging technique for a plurality of devices and a shielding shielding technique for improving the problems.

상기와 같은 전송 오류나 차폐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충전소스와 충전공간을 프레임으로 분리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2]. 상기 종래기술은 1차 코일이 형성된 충전 소스와, 휴대형 장치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소스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충전 공간을 구성하되, 각 충전 공간을 독립하여 구성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error and shielding problem, a technique of separating a charging source and a charging space into frames has been proposed [Patent Document 2]. In the prior art, a charging source in which a primary coil is formed, and a charging space at a position facing the charging source so as to accommodate the portable device, are configur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그러나 다수 기기를 동시에 급속 충전하려면, 한꺼번에 많은 전력이 전송되므로 발열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차폐 쉴딩 뿐만 아니라 중전력화 및 발열 최적화도 동시에 충족하는 기술 구성이 필요하다.However, in order to rapidly charge multiple devices at the same time, heat may be a problem because a lot of power is transferred at once. That i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technology that not only shields shielding but also meets the requirements for heavy electric power and optimization of heat generation.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1737호(2010.07.21.공고)[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71737 (issued on July 21, 2010)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5768호(2007.01.09.공고)[Patent Literature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65768 (2007.01.09. Announcement)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수용홈이 구성된 다수의 트레이를 적층하고, 각 트레이는 슬라이딩 되어 개폐되고, 각 수용홈은 그 하부에 무선충전 송신부를 구비하여 수용된 모바일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a plurality of trays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each tray being slidably opened and closed, And to provide a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that wirelessly charges the accommodated mobile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고 보관하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모바일 기기를 격납하고, 무선충전을 수신하는 무선충전 수신부를 포함하는 보호 케이스; 전면이 개방된 함체; 상기 함체 내에 적층되고, 상기 보호 케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형성하는 다수의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 케이스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충전 송신부; 및, 상기 무선충전 송신부를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and storing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protection case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for storing the mobile device and receiving wireless charging; A housing with a front opening; A plurality of trays stacked in the housing and forming receiving grooves for receiving the protective case;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ay to wirelessly charge the protection case; And a mai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또, 본 발명은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양 측면의 내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수평 가이드를 포함하고, 양 측면에 설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두 쌍의 수평 가이드는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는 양 측면에 측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수평 가이드와 결합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multi-case typ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ncludes a horizontal guid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 surfaces, and two pairs of horizontal guides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face each other at the same height Wherein the tray is provided with slides in the lateral length direction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slide is engaged with the horizontal guide, and is slid back and forth along the horizontal guide.

또, 본 발명은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두 쌍의 수평 가이드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는 상기 두 쌍의 수평 가이드를 따라 지지되거나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pairs of horizontal gui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opposed to each other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and the tray is supported along the two pairs of horizontal guides And is slid.

또, 본 발명은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후면에 전원 또는 데이터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전원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수평 가이드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적층되어 배치되고, 각 전원연결부는 상기 무선충전 송신부와 메인컨트롤러 또는 전원공급장치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has a plurality of power connection parts for connecting power or data communication to the rear surface, and the power connection parts are stack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like the horizontal guide And each power connection unit connects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unit to the main controller or the power supply unit to supply power or perform data communication.

또, 본 발명은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 송신부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면에서 상기 수용홈 범위 내에 설치되고, 무선충전을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패드, 충전상태를 표시하거나 명령 버튼을 통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표시모듈, 상기 충전패드로 전원을 분배시키거나 차단시는 전원분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includes at least one charging pad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area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y and transmitting wireless charging, An input display module for receiving a command through a button, and a power distribution module for distributing or blocking power to the charging pad.

또, 본 발명은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전패드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면에 구비하되, 하부면의 공기층과 접촉되도록, 오픈 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the charging pa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y and has an open structur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air layer on the lower surface.

또, 본 발명은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력표시모듈은, 상기 트레이의 전면에 설치되고,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 및, 명령을 입력받는 명령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display module may include: a display lamp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tray and indicating a state of charge; And a command button for inputting a command.

또, 본 발명은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는, 직사각형 형상의 케이스 형태로 구성된 케이스 본체, 상기 무선충전 송신부로부터 무선 충전을 수신하는 무선충전 수신부, 상기 무선충전 수신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출력하는 충전용 단자, 및, 상기 모바일 기기의 충전 단자와 연결하여 상기 충전용 단자의 전원을 상기 모바일 기기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case may include a case bod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case,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for receiving wireless charging from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And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device and connecting the power of the charging terminal to the mobile device.

또, 본 발명은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자화물질로 구성되는 다수의 제1 고정자석을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면에 자화물질로 구성된 제2 고정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자석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서로 상극으로 구성되어, 인력에 의하여 서로 맞대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stationary magnets constituted of a magnetic materi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magnets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re formed of mutually opposite poles, and are fixed by being biased against each other by attraction force.

또, 본 발명은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수용홈은 바닥면과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 케이스의 케이스 본체의 하부면의 측면부가 경사면을 이루어, 상기 수용홈의 경사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case type wireless charging system, the receiving groove of the tray forms an inclined surface at a corner where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wall meet, and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body of the protective case forms an inclined surface, So that i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또, 본 발명은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시스템인 충전제어 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의 충전상태를 검출하거나, 검출된 충전상태를 상기 입력표시 모듈을 통해 표시하게 하거나, 상기 무선충전 송신부의 입력표시 모듈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의 충전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troller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 charging control module, which is a program system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to detect a charging state of the mobile device, And displays the status through the input display module or receives a command from the input display module of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charging control module of the mobile device.

또, 본 발명은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 모듈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다수의 충전패드 중에서 어느 충전패드를 통해 충전되고 있는지를 검출하여, 페어링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부터 충전의 온/오프 신호패턴과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검출된 충전의 온/오프 상태를 비교하여 페어링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ontrol module detects through which charging pad among the plurality of charging pads is charged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ntroller, and performs a pairing operation Off signal pattern of the charging from the main controller and the on / off state of the charging detected by the mobile device, and performs a pairing oper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에 의하면, 격벽을 가지지 않는 트레이를 적층시킴으로써, 트레이 사이의 공간으로 환기되어 발열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ulti-case type wireless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tacking the trays having no partitions, the space between the trays is ventilated and the heat generation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에 의하면, 트레이 내에 수용홈을 형성시키고 수용홈 바닥면에 고정용 자석을 설치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무선충전 송신부와 대향하여 충전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얻어진다.Further, according to the multi-case type wireless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receiving groove in the tray and the fixing magne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he charg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making the mobile device stably face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Effect is obtain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의 사시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 및 트레이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a tr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a protective case and a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ottom view of a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a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은 전면이 개방된 함체(10), 함체(10) 내에 적층되는 다수의 트레이(20), 트레이(20) 하부에 설치되어 모바일 기기(80) 또는 보호 케이스(40)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충전 송신부(30), 및, 무선충전 송신부 등을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러(50)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모바일 기기(80)를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40)를 추가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a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with a front surface opened, a plurality of trays 20 stacked in the housing 10,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30 that wirelessly charges the mobile device 80 or the protective case 40 and a main controller 50 that controls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In addition, it further comprises a power supply 60 for supplying power. Further, it may be constituted by adding a protective case 40 for protecting the mobile device 80.

함체(10)의 전면(11)은 개방되어 형성된다. 즉, 각 트레이(20)는 함체의 전면(11)으로 슬라이딩되어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된다. The front surface 11 of the housing 10 is formed to be open. That is, each tray 20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and discharged to the front surface 11 of the housing.

함체(10)의 양 측면(12)의 내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 가이드(14)가 형성된다. 양 측면(12)에 설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두 쌍의 수평 가이드(14)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두 쌍의 수평 가이드(14)를 따라 지지되거나 슬라이딩되는 트레이(20)는 수평을 유지한다.Horizontal guides 14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 surfaces 12 of the housing 10 at regular intervals. Two pairs of horizontal guides 14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12 and opposed to each other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Thus, the tray 20, which is supported or slid along the two pairs of horizontal guides 14, remains horizontal.

함체(10)의 후면(13)에는 전원 또는 데이터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전원연결부(15)가 구비된다. 전원연결부(15)는 수평 가이드(14)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적층되어 배치된다. 각 전원연결부(15)는 메인컨트롤러(50) 또는 전원공급장치(60)와 연결되어, 전원을 연결하거나 명령 전송 등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The rear surface 13 of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wer connection portions 15 for connecting power or data communication. The power connection portions 15 are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at regular intervals as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guides 14. [ Each power connection unit 15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50 or the power supply unit 60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such as power supply connection or command transmission.

또한, 각 전원연결부(15)는 트레이(20)에 설치된 무선충전 송신부(30)와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장치이다. 따라서 각 전원연결부(15)를 통하여, 트레이(20)에 설치된 무선충전 송신부(30)와, 메인컨트롤러(50) 또는 전원공급장치(60)가 연결된다.Each of the power connection units 15 is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unit 30 installed in the tray 20.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30 installed in the tray 20 and the main controller 50 or the power supply unit 60 are connected through the respective power connection units 15.

한편, 일 실시예로서, 각 전원연결부(15)는 접점으로 형성되어, 트레이(20)가 외부로 배출되면 접점이 떨어지고, 트레이(20)가 내부로 삽입되면 접점이 붙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각 전원연결부(15)는 트레이(20)의 무선충전 송신부(30)와 고정되어 연결되되, 케이블 배선 등으로 연결시킨다. 이때, 케이블 배선을 코일 형태로 감겨 신축성이 있는 배선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each power connection unit 15 is formed as a contact. When the tray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contact point is dropped. When the tray 20 is inserted into the contact, the contacts are formed. In another embodiment, each power connection 15 is fixed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30 of the tray 20, and is connected by cable wiring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cable wiring may be wound in the form of a coil so as to be formed into a flexible wiring.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레이(20)는 상부면에 모바일 기기(80) 또는 보호 케이스(4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21)이 구비된다. 수용홈(21)은 1개 또는 적어도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나의 트레이(20)에 2개의 수용홈(21)이 구비되는 예로 설명한다.Next, as shown in FIG. 3, the tray 20 is provided on its upper surface with a receiving groove 21 capable of receiving the mobile device 80 or the protective case 40. One or at least two receiving grooves 21 may be formed.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wo receiving grooves 21 are provided in one tray 20 will be described.

트레이(20)의 양측면에는 측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22)가 구비된다. 슬라이드(22)는 함체(10)에 구비된 수평 가이드(14)와 결합되어, 수평 가이드(14)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된다. 또한, 트레이(20)는 슬라이드(22)가 수평 가이드(14)에 결합됨으로써, 동시에, 지지된다. 즉, 트레이(20)의 양 측면에서 두 쌍의 슬라이드(22)가 각각 두 쌍의 수평 가이드(14)에 결합되어 지지된다.On both sides of the tray 20, a slide 22 is provided in a side lengthwise direction. The slide 22 is engaged with the horizontal guide 14 provided on the housing 10 and slides back and forth along the horizontal guide 14. Further, the tray 20 is supported at the same time by the slide 22 being engaged with the horizontal guide 14. That is, two pairs of slides 22 on both sides of the tray 20 are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wo pairs of horizontal guides 14, respectively.

트레이(20)가 슬라이드(22)에 의해 전면으로 슬라이딩 되면, 함체(10)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슬라이드(22)에 의해 후면으로 완전히 슬라이딩 되면, 트레이(20)는 함체(10) 내부로 삽입된다.When the tray 20 is slid to the front side by the slide 22, the tray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Further, when the slide 20 is completely slid rearward by the slide 22, the tray 2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22)는 모터(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22)를 리니어 모터로 구성하여 모터의 동작에 의해 슬라이딩 되게 구성한다. 또는, 슬라이드(22)를 롤러로 구성하고 롤러의 축을 모터의 축에 연결하여, 모터의 구동으로 롤러를 회전시켜 롤러가 가이드(14)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성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고, 다른 통상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lide 22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lide by the control of a motor (not shown). For example, the slide 22 is constituted by a linear motor so as to be slid by the action of the motor. Alternatively, the slide 22 may be constituted by a roller, the axis of the roller may be connected to the axis of the motor, and the roller may be rotated by driving the motor to move the roller along the guide. The above configura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other conventional methods can be applied.

다음으로, 트레이(20)의 하부면에는 무선충전 송신부(30)가 구비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선충전 송신부(30)는 무선충전을 송신하는 충전패드(31), 충전상태를 표시하거나 명령 버튼을 통해 초기화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표시모듈(32), 전원을 분배시키는 전원분배 모듈(33)로 구성된다.Next,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3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y 20. 4,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30 includes a charging pad 31 for transmitting wireless charging, an input display module 32 for displaying a charging status or receiving an initialization command through a command button, And a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충전패드(31)는 무선 충전을 위하여 코일과 페라이트를 통해 고유주파수로 발진시킨다. 충전패드(31)는 트레이(20)의 하부면에서 수용홈(21) 범위 내에 형성된다. 따라서 충전패드(31)에서 발생되는 1차 코일의 발진은 모바일 기기(80) 또는 보호 케이스(40)의 무선충전기(또는 2차 코일)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모바일 기기(80) 또는 보호 케이스(40)는 발생된 유도 기전력으로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킨다.The charging pad 31 oscillates at a natural frequency through a coil and ferrite for wireless charging. The filling pad 31 is formed within the range of the receiving groove 21 i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y 20. [ Therefore, the oscillation of the primary coil generated in the charging pad 31 generates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 the wireless charger (or the secondary coil) of the mobile device 80 or the protection case 40. The mobile device (80) or the protection case (40) charges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with the generated induced electromotive force.

특히, 충전패드(31)는 각 수용홈(21)에 대응되도록, 수용홈(21) 범위 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도 4의 예에서, 하나의 트레이(20)에는 2개의 수용홈(21)이 구비되므로, 이와 대응되도록 2개의 충전패드(31)가 구비된다.Particularly, each of the filling pads 31 is provided in the range of the receiving groove 21 so as to correspond to each receiving groove 21. In the example of FIG. 4, since two receiving grooves 21 are provided in one tray 20, two filling pads 31 ar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two receiving grooves.

충전패드(31)는 트레이(20)의 하부면에 구비하되, 오픈 형 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충전패드(31)는 하부면의 공기층과 접촉하여, 발열된 열을 외부로 전이시킨다. 따라서 충전패드(31)는 공기층과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발열을 최소화하고 발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The filling pad 31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y 20, and has an open structure. Therefore, the filling pad 3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ir layer on the lower surface, and transfers the exothermic heat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filling pad 31 maximizes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air layer, thereby minimizing the heat generation and suppressing the temperature rise due to heat generation.

입력표시모듈(32)은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32a), 충전 버튼 등 명령버튼(32b) 등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표시등(32a)이나 명령버튼(32b)은 트레이(20)의 전면 또는 전면 측 상단부에 구비된다. 명령버튼(32b)는 각 명령에 따라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put display module 32 is composed of a display lamp 32a for displaying a charging status, a command button 32b for charging buttons and the like. Preferably, the indicator light 32a and the command button 32b are provided on the front or front-side upper end of the tray 20. The command button 32b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ttons in accordance with each command.

일례로서, 표시등(32a)은 충전 중이면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으로 표시한다. 또한, 충전명령에 해당하는 명령버튼(32b)이 눌려지면 충전을 시작하거나 종료한다. 예를 들어, 충전 중일 때, 충전명령의 명령버튼(32b)이 눌려지면 충전이 중단되고, 충전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눌려지면 충전을 시작한다. 또한, 초기화 명령에 해당하는 명령버튼(32b)이 구비될 수 있다. 초기화 명령버튼(32b)은 수용된 모바일 기기(80)를 초기화(reset) 하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다.As an example, the indicator light 32a is displayed in red when charging and is displayed in green when charging is completed. When the command button 32b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command is pressed, charging is started or terminated. For example, when the command button 32b of the charge command is pressed while charging, the charging is stopped. When the command button 32b is pressed while being not charged, the charging is started. In addition, a command button 32b corresponding to the initialization command may be provided. The initialization command button 32b is a button for executing a command to reset the received mobile device 80. [

전원분배 모듈(33)은 충전패드(31)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분배 모듈(33)은 트레이(20)의 하부면에 구비되되, 트레이(20)의 후면 측 하부면에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원분배 모듈(33)은 트레이(20)의 후면 측 하부면 중에서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모서리 부분에 구비된다.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supplies or cuts off the power to the charging pad 31. [ Preferably,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y 20 a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tray 20. More preferably,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is provided at either the left or right corn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tray 20.

전원분배 모듈(33)은 하나의 트레이(20)에 대하여 1개가 구비되어, 해당 트레이(20)에 구비된 충전패드(31)에 모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도 4의 예에서, 전원분배 모듈(33)은 2개의 충전패드(31) 모두에 연결되어, 각각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On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is provided for one tray 20 and is connected to all the charging pads 31 provided in the tray 20 to supply or cut off power. In the example of Fig. 4,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is connected to both of the two charging pads 31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for each.

한편, 전원분배 모듈(33)은 함체(10)에 구비된 전원연결부(15)와 연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연결부(15)와 접점으로 연결되거나, 신축성이 있는 케이블 배선 등으로 통해 연결된다. 전원연결부(15)와 접점으로 연결되는 경우, 트레이(20)가 외부로 배출되면 전원연결부(15)와의 접점이 떨어지므로 전원분배모듈(33)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된다. 이때, 입력표시 모듈(32)에도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표시등(32a) 등이 오프(off)될 수 있다.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unit 15 provided in the housing 10.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unit 15 through a contact or via a flexible cable or the like. When the tray 20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unit 15 through the contacts, the contact with the power connection unit 15 is disconnected. Thus, power supply to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is interrupted. At this time, power supply to the input display module 32 is also stopped, and the display lamp 32a and the like can be turned off.

또한, 전원분배 모듈(33)은 전원연결부(15)를 통해 전원공급장치(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메인컨트롤러(5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60 through the power connection unit 15 or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ntroller 50.

전원분배 모듈(33)은 트레이(20)의 수용홈(21)에 수용된 모바일 기기(80) 또는 보호 케이스(40)의 충전 완료 여부를 감지하고, 충전 완료 여부의 상태를 메인컨트롤러(5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분배 모듈(33)은 충전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메인컨트롤러(50)에 충전 완료 상태를 전송한다.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detects whether the mobile device 80 or the protection case 4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1 of the tray 20 is completely charged and transmits the state of charging completion to the main controller 50 send. Preferably, 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automatically transmits the charging completion state to the main controller 50. [

또한, 메인컨트롤러(50)로부터 충전패드(31)에 상태 요청 명령에 따라, 충전패드(31)에 의한 충전 상태, 예를 들어, 충전중이나 충전완료, 미충전 등의 상태를 메인컨트롤러(50)에 전송한다.The main controller 50 supplies the charging pad 31 with the state of the charging state by the charging pad 31, for example, charging, charging completion, Lt; / RTI >

또한, 전원분배 모듈(33)은 트레이(20)의 슬라이드(22)가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슬라이드(22)의 모터(미도시)를 가동시켜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분배 모듈(33)은 충전이 완료되면 슬라이드(22)를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충전명령의 명령버튼(32b)이 눌려지고 트레이(20)가 외부로 배출된 상태이면, 전원분배 모듈(33)은 슬라이드(22)를 자동으로 내부로 삽입시킨다.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controls the slide 22 to be automatically slid by activating a motor (not shown) of the slide 22 if the slide 22 of the tray 20 is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driven. Preferably,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automatically discharges the slide 22 to the outside when charging is complete. When the command button 32b of the charge command is pressed and the tray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automatically inserts the slide 22 into the inside.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80)는 보호 케이스(40)에 격납될 수 있다. 보호 케이스(40)는 무선충전 수신 기능을 구비하여, 격납된 모바일 기기(80)에 충전용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5, the mobile device 80 may be housed in the protective case 40. The protective case 40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e receiving function, and can supply charging power to the stored mobile device 80.

도 5와 같이, 보호 케이스(40)는 직사각형 형상의 케이스 형태로 구성된 케이스 본체(41), 무선충전 송신부(30)로부터 무선 충전을 수신하는 무선충전 수신부(42), 및, 무선충전 수신부(4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모바일 기기(80)의 커넥터(미도시)로 공급하는 충전용 단자(44)로 구성된다. 충전용 단자(44)에는 모바일 기기(80)의 충전 단자와 연결하는 커넥터(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본체(41)의 하부면에 자석이나 네오디움 등 자화물질로 구성된 제2 고정자석(46)을 더 구비될 수 있다.5, the protective case 40 includes a case body 41 having a rectangular case shape, a wireless charging reception unit 42 for receiving wireless charging from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unit 30, and a wireless charging reception unit 42 (Not shown) of the mobile device 80. The charging terminal 44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not shown) The charging terminal 44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not shown)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device 80. Preferably, the second fixed magnet 46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body 41, such as a magnet or neodymium.

모바일 기기(80)를 보호 케이스(40)에 격납시키고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충전용 단자(44)에 연결시킨 후, 보호 케이스(40)는 트레이(20)의 수용홈(21)에 수용된다. 이때, 충전이 시작되면, 보호 케이스(40)에서 무선충전 송신부(30)로부터 유도 기전력을 수신하여 모바일 기기(80)를 충전시킨다.The protective case 4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21 of the tray 20 after the mobile device 80 is stored in the protective case 40 and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44 via a connector do. At this time, when the charging is started, the protection case 40 receives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from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30 to charge the mobile device 80.

모바일 기기(80)에 무선충전 수신 기능이 구비된 경우, 모바일 기기(80)는 보호 케이스(40)에 격납되지 않고, 직접 트레이(20)의 수용홈(21)에 수용되어, 무선충전을 수신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모바일 기기(80)가 보호 케이스(40)에 격납되어 충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When the mobile device 80 is provided with the wireless charge receiving function, the mobile device 8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1 of the tray 20 without being stored in the protective case 40,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device 80 is stored in the protective case 40 and charged.

도 5와 같이, 케이스 본체(41)는 직사각형의 케이스 형태로 구성되어, 격납된 모바일 기기(80)를 충전시키는 동시에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지지 고정하고,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 등의 영향을 완화시킨다.As shown in FIG. 5, the case main body 41 is formed in a rectangular case shape, and the stored mobile device 80 is filled and secured to be safely protected, thereby alleviating the influence of external shocks or shaking.

또한, 케이스 본체(41)는 그 하부면(411)에 공기층과의 접촉면을 최대화 하기 위하여, 각 모듈이 고정되는 부분을 개방형 구조로 구성된다. 무선충전 수신부(42)는 개방향 구조로 구성된다.In order to maximize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air layer on the lower surface 411 of the case body 41, the portion to which each module is fixed is formed in an open structure. The wireless charging receiver 42 is configured in an open-ended structure.

무선충전 수신부(42)는 1차 코일(311)과 대응되는 2차 코일인 무선충전 수신코일(421), 및, 무선충전 수신코일(421)로부터 유도된 전류를 정류하여 충전용 단자(44)로 전원을 공급하는 수신회로부(422)로 구성된다. 무선충전 수신코일(421)은 2차 코일로서, 충전패드(31)에 구비된 1차 코일(311)로부터 무선충전을 수신한다. 무선충전 수신코일(421)에 유도되는 기전력은 교류 전원이고, 해당 교류 전원을 수신회로부(422)에 의해 정류되어 직류 전원으로 변환된다.The wireless charge receiving section 42 rectifies the current induced from the wireless charge receiving coil 421 and the wireless charge receiving coil 421 which is the secondary coil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coil 311 and supplies the current to the charging terminal 44. [ And a receiving circuit portion 422 for supplying power to the antenna. The wireless charge receiving coil 421 receives the wireless charge from the primary coil 311 provided in the charge pad 31 as a secondary coil. The electromotive force induced in th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coil 421 is an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and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is rectified by the receiving circuit unit 422 and converted into a direct current power source.

충전용 단자(44)는 수신회로부(422)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모바일 기기(80)로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다. 충전용 단자(44)에는 커넥터(미도시)가 연결되어, 커넥터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80)의 충전 단자에 연결된다.The charging terminal 44 is a terminal for supplying the direct current power outputted from the receiving circuit portion 422 to the mobile device 80. A connector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44 and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device 80 by a connecto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보호 케이스(40)를 최적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트레이(20) 및 무선충전 송신부(3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6 to 7,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tray 20 and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30 for fixing the protective case 40 to the optimum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레이(20)에 형성된 수용홈(21)은 바닥면(211)과 측벽(212)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경사면(213)을 형성한다.6, the receiving groove 21 formed in the tray 20 forms an inclined surface 213 at an edge por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211 and the side wall 212 meet.

보호 케이스(40)가 수용홈(21)에 수용되면, 경사면(213)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수용홈(21)에는 모바일 기기(80)가 직접 수용될 수도 있고, 모바일 기기(80)를 격납하는 보호 케이스(40)가 수용될 수도 있다. 이때, 보호 케이스(40)는 수용홈(21)의 경사면(213)에 맞추어 적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바람직하게는, 보호 케이스(40)의 케이스 본체(41)의 하부면(411)의 측면부가 경사면을 이루어, 수용홈(21)의 경사면(213)과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When the protective case 4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21, it can be stably fixed by the inclined surface 213. The receiving groove 21 may receive the mobile device 80 directly or may receive the protective case 40 that stores the mobile device 80. [ At this time, the protective case 40 may be configured to conform to the inclined surface 213 of the receiving groove 21. That is,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411 of the case body 41 of the protective case 40 may be an inclined surfac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213 of the receiving groove 21.

또한, 수용홈(21)의 바닥면(211)에 대응하는 트레이(10)의 하부 부분에 충전패드(31)가 구비된다. 충전패드(31)에는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1차 코일(또는 송신측 안테나 코일)(311)이 구비된다.A filling pad 31 is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tray 10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211 of the receiving groove 21. The charging pad 31 is provided with a primary coil (or a transmitting antenna coil) 311 for generating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보호 케이스(40) 내에도 무선충전을 수신할 수 있는 무선충전 수신용 안테나 코일(또는 무선충전 수신코일, 2차 코일)(421)이 형성된다. 보호 케이스(40)의 무선충전 수신코일(421)에는 유도기전력에 의하여 전류가 발생되고, 발생된 전류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80)가 충전된다.An antenna coil (or wireless charge receiving coil, secondary coil) 421 for wireless charging reception capable of receiving wireless charging is also formed in the protective case 40. A current is generated in th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coil 421 of the protective case 40 by the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and the mobile device 80 is charged by the generated current.

또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용홈(21)의 바닥면(211)에는 다수의 제1 고정자석(214)이 구비된다. 제1 고정자석(214)은 자석이나 네오디움 등 자화물질로 구성된다. 제1 고정자석(214)은 자화력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8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함체(10)나 트레이(20)의 이동에 따른 진동시에도 1차 및 2차 코일의 위치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7, a plurality of first stationary magnets 214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211 of the receiving groove 21. As shown in FIG. The first fixed magnet 214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such as a magnet or neodymium. The first fixed magnet 214 serves to stably fix the mobile device 80 by magnetizing force. That is, it prevents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ls from deviating from each other even when moving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enclosure 10 or the tray 20.

도 7의 214a의 예와 같이, 제1 고정자석(214)은 수용홈(21)의 코너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도 7의 214b와 같이, 제1 고정자석(214)은 수용홈(21)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in the example of 214a in Fig. 7, the first fixed magnet 214 may be provided at the corner of the receiving groove 21. [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214b of FIG. 7, the first fixed magnet 214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groove 21 in the form of a ro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수용홈(21)에 수용되는 보호 케이스(40)에서 제1 고정자석(214)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나 네오디움 등 자화물질의 제2 고정자석(46)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자석(214)과 제2 고정자석(46)은 서로 상극으로 구성되어, 인력에 의하여 서로 맞대어 고정될 수 있다. 즉, 무선충전 수신단과 송신단의 고정자석들이 서로 인력으로 인하여, 각각 동일한 자리에 맞붙게 되어, 보호 케이스(40)가 수용홈(21)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호 케이스(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fixed magnet 46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fixed magnet 214 in the protective case 40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21, such as a magnet or neodymium . At this time, the first stationary magnet 214 and the second stationary magnet 46 are configured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and can be fixed to each other by gravity. That is, the stationary magnets of the wireless charging receiver and the transmission terminal are struck in the same place due to the attraction force, so that the protection case 40 can be stably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21. [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tection case 40 from coming off.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선충전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무선충전 송신부(30), 보호 케이스(40)의 무선충전 수신부(42), 메인 컨트롤러(50), 및, 모바일 기기(80)에 설치된 충전제어 모듈(81)에 의해 구동된다.8,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30,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42 of the protection case 40, a main controller 50, And is driven by the installed charge control module 81.

무선충전 송신부(30)에는, 무선충전을 송신하는 충전패드(31), 명령을 입력받거나 상태를 표시하는 입력표시 모듈(32), 및, 충전패드(31)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입력표시 모듈(32) 등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원분배 모듈(33) 등의 구성이 관여한다.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30 is provided with a charging pad 31 for transmitting wireless charging, an input display module 32 for receiving a command or displaying a status, And a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base station.

무선충전 수신부(42)는 보호 케이스(40)의 구성요소로서, 무선충전을 수신하는 모듈이다. 또한, 충전제어 모듈(81)은 모바일 기기(80)에 설치되는 어플 등 프로그램 시스템이다.The wireless charging receiver 42 is a component of the protection case 40, and is a module for receiving wireless charging. The charging control module 81 is a program system such as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80. [

메인 컨트롤러(50)는 충전제어 모듈(81)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메인 컨트롤러(50)는 모바일 기기(80)의 통신수단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해당 통신수단의 프로토콜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 통신수단은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등 모바일 기기(80)에 보편적으로 설치되는 수단들이다.The main controller 5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harge control module 81. At this time, the main controller 50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mobile device 80,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protocol of the communication means. The communication means are means commonly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80 such as Bluetooth, WiFi, and the like.

특히, 충전제어 모듈(81)은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시스템으로서, 모바일 기기(80)의 현재 충전 상태를 검출한다. 이때, 충전제어 모듈(81)은 모바일 기기(80)의 내부 자원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80)의 충전 상태를 검출한다. 충전 상태는 충전 중인지의 여부, 배터리의 충전량, 충전 시간 등의 데이터들을 검출하여 기록한다.Particularly, the charge control module 81 is a program system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etects the present charge state of the mobile device 80. [ At this time, the charge control module 81 detects the charge state of the mobile device 80 using the internal resources of the mobile device 80. [ The charging state is detected and recorded such as whether or not the battery is being charged, the amount of charged battery, and the charging time.

또한, 충전제어 모듈(81)은 명령에 따라 모바일 기기(80)의 내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초기화 명령에 따라, 충전제어 모듈(81)은 모바일 기기(80)를 초기화한다. 또한, 충전제어 모듈(81)은 비밀번호 등에 의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모바일 기기(80)의 완전 종료나 충전제어 모듈(81) 자신의 실행 종료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charge control module 81 can control the internal function of the mobile device 80 according to the command. Preferably, in accordance with the initialization command, the charge control module 81 initializes the mobile device 80. The charging control module 81 can perform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password or the like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complete termination of the mobile device 80 and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charging control module 81 itself.

또한, 충전제어 모듈(81)은 메인 컨트롤러(50)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무선충전의 송신 상태 등을 수신한다. 무선충전의 송신 상태는 무선충전을 송신 중인지 여부, 전송시간, 현재 충전되고 있는 충전패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입력표시 모듈(42)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 등도 포함될 수 있다.Further, the charge control module 81 receives the transmission state of wireless charging, etc.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ntroller 50. [ The transmission state of the wireless charging includes whether or not wireless charging is being transmitted, the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on the charging pads currently being charged, and the like. In addition, commands input by the input display module 42 may also be included.

또한, 충전제어 모듈(81)은 메인 컨트롤러(50)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다수의 충전패드(31) 중에서 어느 충전패드(31)를 통해 충전되고 있는지를 검출하여, 페어링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메인 컨트롤러(50)는 특정한 신호 패턴(모스 부호 등과 같은 충전 온/오프의 특정 패턴)에 의해 충전패드(31)의 충전 온/오프를 제어한다. 그리고 충전제어 모듈(81)은 모바일 기기(80)의 충전 상태를 검출한다. 그래서 충전제어 모듈(81)은 메인 컨트롤러(50)로부터 충전의 온/오프 신호패턴과 모바일 기기(80)로부터 검출된 충전의 온/오프 상태를 비교하여, 동일한 신호인 경우, 해당 모바일 기기(80)에 해당 충전패드(31)가 연결된 것임을 알 수 있다.The charging control module 81 detects which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pads 31 is being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pad 31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ntroller 50 and performs a pairing operation. At this time, the main controller 50 controls charging on / off of the charging pad 31 based on a specific signal pattern (a specific pattern of charge on / off such as Morse code). Then, the charge control module 81 detects the charge state of the mobile device 80. The charging control module 81 compares the ON / OFF signal pattern of the charging from the main controller 50 with the ON / OFF state of the charging detected from the mobile device 80. If the signal is the same signal,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rresponding charging pad 31 is connected.

메인 컨트롤러(50)는 전원분배 모듈(33)로 충전패드(31)로 전원을 공급할 것인지 차단할 것인지의 제어 명령을 전송하면, 전원분배 모듈(33)은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충전패드(31)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The main controller 5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power supply distribution module 33 to supply power to the charging pad 31 or to block the power supply to the charging pad 31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Supply or cut off power.

또한, 입력표시 모듈(32)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즉, 명령버튼(32b)에 의하여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명령을 메인 컨트롤러(50)로 전송한다. 메인 컨트롤러(50)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해당 명령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충전 시작이나 충전 중단 명령이면, 메인 컨트롤러(50)는 그 명령에 따라 전원분배 모듈(33)을 제어하여 충전 시작이나 중단을 시킨다.When a user command is input from the input display module 32, that is, when a command is inputted by the command button 32b, the input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50. The main controller 50 executes the corresponding command according to the inputted command. For example, if it is a charge start command or a charge stop command, the main controller 50 controls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to start or stop charging.

또는, 초기화 명령이 입력되면, 메인 컨트롤러(50)는 모바일 기기(80)에 설치된 충전제어 모듈(81)로 초기화 명령을 전송하여, 충전제어 모듈(81)이 모바일 기기(80)의 초기화를 수행한다. 특정된 모바일기기의 상태를 초기화 하는 것은 여러 사용자들로 인해 발생한 불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의 설치 등을 다른 사용자가 재사용하기에 알맞은 상태로 다시 회귀화 시켜놓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을 관리자가 사용하는 PC나 모바일 기기의 프로그램(또는 충전제어 모듈(81))을 이용한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initialization command is input, the main controller 50 transmits an initialization command to the charge control module 81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80, and the charge control module 81 performs initialization of the mobile device 80 do. Initializing the status of the specified mobile device is a function of regenerating unnecessary data generated by a plurality of users and installation of the program into a state suitable for reuse by another user. This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us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program of a PC or a mobile device (or a charge control module 81) used by an administrator.

또한, 메인 컨트롤러(50)는 충전제어 모듈(81)과의 통신을 통해, 분실 방지를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메인 컨트롤러(50)는 주기적으로 충전제어 모듈(81)과 통신을 수행하여, 일정한 거리로 떨어지거나, 통신이 되지 않거나 하는 등의 상태가 발생하면, 모바일 기기(80)가 분실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메인 컨트롤러(50)는 관리자 단말 등에 분실 사실에 대한 안내 메시지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신호를 30초 주기별로 한번씩 전송하고 수신하는데, 송수신이 되지 않으면 분실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주기는 20초, 10초 등으로 설정될 수 있고 변경이 가능하다.Further, the main controller 50 performs a function for preventing loss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harge control module 81. [ The main controller 50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the charge control module 81 and determines that the mobile device 80 is lost if a state such as falling down to a certain distance or not communicating occurs. At this time, the main controller 50 transmits a guidance message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about the lost fact. For example,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once every 30 seconds,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is lost if it is not transmitted or received. At this time, the cycle can be set to 20 seconds, 10 seconds, etc. and can be changed.

또한, 메인 컨트롤러(50)는 충전제어 모듈(81)로부터 충전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입력표시 모듈(32)을 통해 충전 상태를 표시하도록 명령한다.Further, the main controller 50 receives the data on the charging status from the charging control module 81, and instructs the input display module 32 to display the charging status.

메인 컨트롤러(50)는 허가된 특정 모바일 기기(80)에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허가된 모바일 기기(80)의 목록은 사전에 정해져서 내부에 저장되고, 메인 컨트롤러(50)는 보호 케이스(40)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80)의 충전제어 모듈(81)과 통신을 통해, 모바일 기기(80)를 인식한다. 그리고 메인 컨트롤러(50)는 허가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모바일 기기(80)로 판단되면, 충전을 위한 전력전송을 중단하고 관리자에게 보고한다.The main controller 50 can control to supply power only to the specified specific mobile device 80. [ The list of authorized mobile devices 80 is predetermined and stored internally and the main controller 50 communicates with the charging control module 81 of the mobile device 80 connected to the protective case 40, (80). If the main controller 50 determines that the mobile device 80 is not included in the permission list, the main controller 50 stops transmission of power for charging and reports it to the manager.

메인 컨트롤러(50)는 현재 모바일 기기(80)들의 충전 상태 등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메인 컨트롤러(50)는 특정 다수 모바일 기기(80)를 대상으로 현재 보관 및 충전되고 있는 기기의 대수와 충전 상태 등을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ler 50 can transmit data on the charge state of the current mobile devices 80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That is, the main controller 50 can transmit the number of the currently stored and charged devices, the charging status, and the like to a specific plurality of mobile devices 80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또한, 메인 컨트롤러(50)는 장착된 전류측정저항기를 통해 사용된 전력값을 측정하며 관리자의 요청시 소비전력을 전송한다. 메인 컨트롤러(50)는 충전패드(31)에 의해 전송된 제1 전력을 수집하고, 모바일 기기(80)의 충전제어 모듈(81)을 통해 모바일 기기(80) 내에 충전된 제2 전력을 수집한다. 그래서 제1 전력과 제2 전력을 비교하여 오차율이 기준 오차율 이상 발생하면, 관리자 단말 등으로 보고한다.Also, the main controller 50 measures the power value used through the mounted current measuring resistor and transmits the power consumption when the manager requests it. The main controller 50 collects the first power transmitted by the charging pad 31 and collects the second power charged in the mobile device 80 through the charge control module 81 of the mobile device 80 . If the error rate exceeds the reference error rate by comparing the first power and the second power, it reports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or the like.

상기 제1 실시예 방식의 특징은 메인 컨트롤러(50)가 전부 제어를 하게 되어 저렴한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구현이 한 곳으로 집중되어 가격이 저렴할 수 있다. 1:N의 제어 방식으로 현재 충전되고 있는 모든 충전제어 모듈(81)과 통신 링크가 항시 유지되어야 하고, 또한 전원분배 모듈(33)과의 통신 역시 지속적으로 링크가 유지되어야 한다. 즉, 모든 권한은 메인 컨트롤러(50)에만 있습니다. 그러나 메인 컨트롤러(50)가 불량이 발생할 경우 장치 전체가 사용이 불가한 문제가 있다.The feature of the first embodiment is that the main controller 50 controls the entire system, thereby facilitating low-cost management. Also, the implementation can be concentrated in one place and the price can be cheap. The communication link with all the charging control modules 81 currently being charged by the control method of 1: N should be maintained at all time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should be continuously maintained. That is, all of the authority is on the main controller 50 only. However, when the main controller 50 is defecti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tire apparatus can not be us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앞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나, 전원분배 모듈(33)이 근거리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모바일 기기(80)의 충전제어 모듈(81)과 직접 통신하는 구성이다. 또한, 충전제어 모듈(81)이 앞서 메인 컨트롤러(50)의 기능을 직접 수행한다.9, the power distributing module 33 has a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charge control module 81 of the mobile device 80, as in the first embodiment. Further, the charge control module 81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main controller 50 directly.

전원분배 모듈(33)이 메인 컨트롤러(50)의명령을 받지 않고 단독으로 수행한다. 전원분배 모듈(33)이 충전제어 모듈(81)과 직접 통신하여 허가 받지않은 모바일기기(80)를 대상으로 전력공급을 자체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입력표시 모듈(32)을 통해 입력된 명령을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하여 충전제어 모듈(81)로 직접 요청할 수 있다.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performs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alone without receiving the command from the main controller 50. [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charge control module 81 to sh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unauthorized mobile device 80 itself. Also, the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display module 32 can be directly requested to the charge control module 81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link.

이 때 각각의 전원분배 모듈(33)은 충전패드(31)에 대하여 메인 컨트롤러(50)가 가지는 1:N방식의 권한이 아닌 현재 자신을 통해 충전패드(31)를 제어할 수 있는 1:1의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의 권한을 가진다.At this time, each of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s 33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ad 31 at a ratio of 1: 1, which allows the charging pad 31 to control the charging pad 31 through itself, Master / slave mode.

그리고 각각의 전원분배 모듈(33)은 상호간 통신을 통해 자신이 어떤 슬레이브와 접촉하고 있는지의 정보를 공유한다. 이 공유되는 정보의 내용은 마찬가지로 메인 컨트롤러(50)와 주기적으로 주고 받게 됩니다.Each of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s 33 shares information on which slav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The contents of this shared information are periodically exchanged with the main controller 50 as well.

충전이 끝나고라도(트레이를 이탈시) 다른 전원분배 모듈(33)로부터의 요청이 있지 않는 이상은 항상 충전제어 모듈(81)과의 통신을 유지하도록 하게 되어 분실 방지를 대비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with the charging control module 81 is always maintained until the power supply distribution module 33 is not requested by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even after the charging is completed (when the tray is released), thereby preventing loss prevention.

이러한 방식의 특징은 고장시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이 될 수 있다. 만일 1개의 전원분배 모듈(33)이 불량이 날 경우에만 메인 컨트롤러(50)에서 관여를 하여 현재 휴지 상태의 전원분배 모듈(33)로 권한을 이관시키고 만일 휴지 상태의 전원분배 모듈(33)이 없다면 관리자측에 에러메세지를 전송하여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These features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in the event of a failure. If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fails, the main controller 50 participates in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to transfer the authority to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If the power distribution module 33 is in the idle state, If not, you can send an error message to the administrator and proceed with maintenance.

분실방지 매커니즘은 1, 2차 방안 모두 충전중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사용시) 항시 마스터측과 링크가 설정되어 있어 확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주고받도록 한다. 만일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끄고자 할 경우 관리자 비밀번호를 요구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의 3회 이상 오류시 마스터측(메인컨트롤러 또는 전원분배 모듈)에 즉각 보고한다. Even if the first and second schemes are not charging at all (when using the user), the loss prevention mechanism ensures that the link is established with the master side at all times, so that a confirmation message is periodically exchanged. If the user wants to turn off the mobile device, he can ask for the administrator password and report it immediately to the master side (main controller or power distribution module) in case of three or more wrong passwords.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함체 11 : 전면
12 : 측면 13 : 후면
14 : 수평 가이드 15 : 전원연결부
20 : 트레이 21 : 수용홈
211 : 바닥면 212 : 측벽
213 : 경사면 214 : 고정자석
22 : 슬라이드 23 :
30 : 무선충전 송신부 31 : 충전패드
311 : 1차 코일
32 : 입력표시모듈 33 : 전원분배 모듈
40 : 보호 케이스 41 : 케이스 본체
42 : 무선충전 수신부
421 : 무선충전 수신코일 422 : 수신회로부
44 : 충전용 단자 45 : 커넥터
46 : 제2 고정자석
411 : 하부면
50 : 메인컨트롤러 60 : 전원공급장치
80 : 모바일 기기
10: Housing 11: Front
12: Side 13: Rear
14: horizontal guide 15: power connection
20: tray 21: receiving groove
211: bottom surface 212: side wall
213: slant surface 214: stationary magnet
22: Slide 23:
30: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31: Charging pad
311: primary coil
32: input display module 33: power distribution module
40: protective case 41: case body
42: Wireless charging receiver
421: wireless charge receiving coil 422: receiving circuit
44: Rechargeable terminal 45: Connector
46: second fixed magnet
411: Lower surface
50: main controller 60: power supply
80: Mobile devices

Claims (12)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고 보관하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를 격납하고, 무선충전을 수신하는 무선충전 수신부를 포함하는 보호 케이스;
전면이 개방된 함체;
상기 함체 내에 적층되고, 상기 보호 케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형성하는 다수의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 케이스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충전 송신부; 및,
상기 무선충전 송신부를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
A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and storing a mobile device,
A protective case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for storing the mobile device and receiving wireless charging;
A housing with a front opening;
A plurality of trays stacked in the housing and forming receiving grooves for receiving the protective case;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ay to wirelessly charge the protection case; And
And a mai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양 측면의 내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수평 가이드를 포함하고, 양 측면에 설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두 쌍의 수평 가이드는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는 양 측면에 측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수평 가이드와 결합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closure includes horizontal guid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and two pairs of horizontal guides provided on both sides thereof face each other form the same height,
Wherein the tray is provided with slides in both lateral sides thereof in the lengthwise direction thereof and the slide is engaged with the horizontal guides and slid back and forth along the horizontal guid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두 쌍의 수평 가이드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는 상기 두 쌍의 수평 가이드를 따라 지지되거나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wo pairs of horizontal gui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so that the tray is supported or slidable along the two pairs of horizontal gui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후면에 전원 또는 데이터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전원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수평 가이드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적층되어 배치되고, 각 전원연결부는 상기 무선충전 송신부와 메인컨트롤러 또는 전원공급장치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closure has a plurality of power connection portions for connecting power or data communication to the rear surface thereof. The power connection portions are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at regular intervals like the horizontal guide, and each power connection portion includes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Or the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supply power or perform data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 송신부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면에서 상기 수용홈 범위 내에 설치되고, 무선충전을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패드,
충전상태를 표시하거나 명령 버튼을 통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표시모듈,
상기 충전패드로 전원을 분배시키거나 차단시는 전원분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charging pad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area at a lower surface of the tray and transmitting a wireless charge,
An input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a charging status or receiving a command through a command button,
And a power distribution module for distributing or blocking the power to the charging pa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패드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면에 구비하되, 하부면의 공기층과 접촉되도록, 오픈 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harging pad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y and is formed in an open structur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air layer on the lower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표시모듈은, 상기 트레이의 전면에 설치되고,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 및, 명령을 입력받는 명령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put display module includes: a display lamp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tray and indicating a state of charge; And a command button for inputting a comma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는, 직사각형 형상의 케이스 형태로 구성된 케이스 본체, 상기 무선충전 송신부로부터 무선 충전을 수신하는 무선충전 수신부, 상기 무선충전 수신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출력하는 충전용 단자, 및, 상기 모바일 기기의 충전 단자와 연결하여 상기 충전용 단자의 전원을 상기 모바일 기기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otection case includes a case body configured in a rectangular shape,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for receiving wireless charging from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a charging terminal for outputting power suppli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receiver, And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power source of the charging terminal to the mobile device by being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자화물질로 구성되는 다수의 제1 고정자석을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면에 자화물질로 구성된 제2 고정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자석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서로 상극으로 구성되어, 인력에 의하여 서로 맞대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ray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tationary magnets constituted by a magnetizing material on a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 second stationary magnet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on a lower surface of the case body, Wherein the stationary magnets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re constituted of mutually opposite poles, and fixed by being biased against each other by attraction for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수용홈은 바닥면과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 케이스의 케이스 본체의 하부면의 측면부가 경사면을 이루어, 상기 수용홈의 경사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ceiving groove of the tray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edge por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wall meet and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body of the protective case forms an inclined surfac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Multi-case wireless charging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시스템인 충전제어 모듈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의 충전상태를 검출하거나, 검출된 충전상태를 상기 입력표시 모듈을 통해 표시하게 하거나, 상기 무선충전 송신부의 입력표시 모듈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의 충전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ain controller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harge control module, which is a program system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to detect a charged state of the mobile device, display the detected charge state through the input display module, Receives the command from the input display module of the charge transmitter 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charge controller of the mobile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 모듈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다수의 충전패드 중에서 어느 충전패드를 통해 충전되고 있는지를 검출하여, 페어링 작업을 수행하되,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부터 충전의 온/오프 신호패턴과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검출된 충전의 온/오프 상태를 비교하여 페어링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케이스형 무선충전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harge control module detects a charge pad of the plurality of charge pads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ntroller to perform a pairing operation, Off state of the charge detected from the mobile device is compared with each other to perform a pairing operation.
KR1020150079417A 2015-06-04 2015-06-04 A multi-case-typ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t once KR2016014395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417A KR20160143951A (en) 2015-06-04 2015-06-04 A multi-case-typ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t once
PCT/KR2015/005695 WO2016195145A1 (en) 2015-06-04 2015-06-08 Multi-case typ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simultaneously charging multiple mobile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417A KR20160143951A (en) 2015-06-04 2015-06-04 A multi-case-typ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t o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951A true KR20160143951A (en) 2016-12-15

Family

ID=5744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417A KR20160143951A (en) 2015-06-04 2015-06-04 A multi-case-typ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t on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43951A (en)
WO (1) WO2016195145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180A1 (en) * 2018-02-19 2019-08-22 강유광 Welfare facility user control system
KR102090756B1 (en) * 2018-12-05 2020-03-18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wearabl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133A (en) * 2019-04-11 2020-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wirelessly charg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relessly charging using thereof
CN112606731A (en) * 2020-12-12 2021-04-06 科大智能(合肥)科技有限公司 Modular charging system for battery replacement station
CN115904007B (en) * 2022-11-09 2023-09-08 江苏财经职业技术学院 Electronic commerce information quick retrieval system and retrieval method thereof
CN117154895A (en) * 2023-10-20 2023-12-01 深圳市方利来科技有限公司 Wireless electromagnetic charging suction seat of electric toothbrus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768B1 (en) 2005-04-13 2007-01-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Wireless charger
KR100971737B1 (en) 2007-11-30 2010-07-21 정춘길 Multiple non-contact charging system of wireless power transmi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2872B2 (en) * 2009-02-24 2014-07-30 エル アンド ピー プロパティ マネジメント カンパニー Inductively coupled shelves and storage containers
JP5365556B2 (en) * 2010-03-16 2013-12-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Battery charging warehouse
CN110098642A (en) * 2012-11-05 2019-08-06 苹果公司 Inductively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2154306B1 (en) * 2013-11-15 2020-09-10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hich enables to simultaneously char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768B1 (en) 2005-04-13 2007-01-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Wireless charger
KR100971737B1 (en) 2007-11-30 2010-07-21 정춘길 Multiple non-contact charging system of wireless power transmi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180A1 (en) * 2018-02-19 2019-08-22 강유광 Welfare facility user control system
KR102090756B1 (en) * 2018-12-05 2020-03-18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wear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5145A1 (en)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3951A (en) A multi-case-type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t once
EP2203966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transfer system and power transfer system
JP6231912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urniture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used therefo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423854B1 (en)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US9240702B2 (en) Modular pocket with inductive power and data
US8629651B2 (en) Port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EP2416599B1 (en) Determining device, method for determining of transmitting parameter, energy trans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energy
EP3304760B1 (en) Transportation apparatus with nfc charger
US10965159B2 (en) Scalable antenna system
US20150365737A1 (en) Wireless transfer station with display
US20110181238A1 (en) Modular pocket with inductive power and data
US20110136550A1 (en) Mobile device to control a charge pad system
EP2747300B1 (en) Wireless charger
KR20120008200A (en) Core assembly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power supplying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re assembly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RU2013123802A (en) APPARATUS AND SYSTEM OF CONTACTLESS IDENTIF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OF MOBILE DEVICES
EP3061175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0474378Y1 (en) Communication with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digital door lock
KR101697069B1 (en) A station for extending power transmission
KR101648793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charging using multi-standard
KR200484841Y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of mobil device
KR102163429B1 (en) A cradle for charging hair roll and configuration method thereof
KR1013067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plurality of the mobile devices
KR20220082199A (en) Electric food service car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5002602A (en) Portable battery charger
WO20151869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d power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