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391A -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391A
KR20160143391A KR1020150080031A KR20150080031A KR20160143391A KR 20160143391 A KR20160143391 A KR 20160143391A KR 1020150080031 A KR1020150080031 A KR 1020150080031A KR 20150080031 A KR20150080031 A KR 20150080031A KR 20160143391 A KR20160143391 A KR 20160143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artridge
shutter
contact portion
develop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김종인
박찬수
유기현
최웅용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0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3391A/ko
Priority to US15/092,314 priority patent/US9651894B2/en
Priority to EP16165799.4A priority patent/EP3101483B1/en
Publication of KR20160143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15/0832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2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lidable sealing member, e.g. shut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Abstract

개시된 현상제 카트리지는, 현상제 카트리지의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현상제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되는 접점부를 구비하는 메모리유닛; 접점부를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부; 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방위치와 차단위치를 가지며 접점부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제1셔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Developer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이에 착탈되는 현상제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정착시켜 기록 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현상기는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부품들의 조립체로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다. 현상기는 수명이 경과한 때에 교체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는 그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며, 현상기로 토너를 공급한다. 현상제 카트리지는 수용된 토너가 소모되면 현상기와 독립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는 토너 배출구와, 토너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한다. 현상제 카트리지에는 현상제 카트리지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유닛이 마련된다. 메모리유닛은 현상제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되면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와 통신하며, 현상제 카트리지의 정보를 본체로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유닛은 본체의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부를 구비한다.
본체와의 통신을 위하여 현상제 카트리지에 마련된 메모리유닛의 접점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접점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상제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접점부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상제의 누츨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제 카트리지로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되는 접점부를 구비하는 메모리유닛; 상기 접점부를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부; 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방위치와 차단위치를 가지며, 상기 접점부가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제1셔터;를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접점부를 탑재하고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이동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회전식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노브와 상기 이동부재를 연결한 제1연결유닛; 상기 노브 및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제1셔터를 연결하는 제2연결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슬라이딩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브는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셔터는 제2연결유닛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를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지 위치와 수납위치를 갖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가 상기 파지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접점부와 상기 제1셔터는 각각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차단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손잡이가 상기 파지위치로부터 상기 수납위치로 전환될 때에 상기 접점부와 상기 제1셔터는 각각 상기 제2위치와 상기 개방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때에 상기 조작부가 작동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규제위치에 위치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조작부의 작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규제위치에서 상기 제1셔터가 상기 개방위치로 전환되지 않도록 상기 제1셔터의 걸림부에 결릴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제 카트리지로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되는 접점부를 구비하는 메모리유닛; 상기 접점부를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때에 상기 조작부가 작동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규제위치에 위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조작부의 작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접점부를 탑재하고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이동 부재; 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방위치와 차단위치를 갖는 제1셔터;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셔터가 상기 차단위치와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제1셔터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규제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규제위치에서 상기 제1셔터가 상기 개방위치로 전환되지 않도록 상기 제1셔터의 걸림부에 걸릴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현상제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제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를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지 위치와 수납위치를 갖는 손잡이; 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파지 위치와 상기 수납위치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전환되는 제1셔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때에 상기 제1셔터를 상기 차단위치에 유지시키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제를 공급받는 현상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현상기와 간섭되어 상기 제1셔터의 상기 개방위치로의 전환을 허용하는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본체의 일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의 닫힘동작에 의하여 상기 수납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파지 위치와 상기 수납위치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되는 접점부를 구비하는 메모리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체와의 통신을 위하여 현상제 카트리지에 마련된 접점부의 손상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현상제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접점부를 동시에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때의 현상제의 누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기로 현상제가 공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로들서, 도 2a는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기로의 현상제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이며, 도 2b는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기로의 현상제의 공급이 허용된 상태이다.
도 3a는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b는 스토퍼가 규제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모식도이다.
도 3c는 스토퍼가 허용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모식도이다.
도 4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노브를 조작함으로써 접점부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고 제1셔터를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실시예에서, 접점부가 제1위치에 위치되고 제1셔터가 차단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실시예에서, 접점부가 제2위치에 위치고 제1셔터가 개방위치에 위치 상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노브를 조작함으로써 접점부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고 제1셔터를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들로서, 도 7a는 접점부가 제1위치에 위치되고 제1셔터가 차단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7b는 접점부가 제2위치에 위치되고 제1셔터가 개방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8은 현상제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슬라이딩되는 노브를 조작함으로써 접점부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고 제1셔터를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들로서, 도 9a는 접점부가 제1위치에 위치되고 제1셔터가 차단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9b는 접점부가 제2위치에 위치되고 제1셔터가 개방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0은 현상제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1d는 손잡이와 연동하여 접점부를 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모식도들로서, 도 11a와 도 11b는 각각 손잡이가 파지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측면도와 정면도이며, 도 11c와 도 11d는 각각 손잡이가 수납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12는 손잡이가 도어를 닫는 동작에 의하여 수납위치로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모식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칼라화상을 인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10)와 현상제가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를 구비한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는 복수의 현상기(10)와 각각 연결되며,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된 현상제는 복수의 현상기(10)로 각각 공급된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와 복수의 현상기(10)는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복수의 현상기(10)는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을 현상하기 위한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로 공급하기 위한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20C)(20M)(20Y)(20K)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색상 이외에도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 백색(white) 등의 다양한 색상의 현상제를 수용하고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 카트리지(20) 및 현상기(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와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C)(20M)(20Y)(20K)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며, 특별히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참조부호에 C, M, Y, K가 붙은 경우에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를 현상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현상기(10)는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14)과,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롤러(13)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드럼(14)은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도전성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15)는 감광드럼(14)이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5) 대신에 대전 브러쉬, 코로나 대전기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10)는 대전롤러(15)에 부착된 현상제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대전롤러클리너, 후술하는 중간전사과정 후에 감광드럼(14) 표면에 잔류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 감광드럼(14)와 현상롤러(13)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되는 현상제는 토너일 수 있다. 현상기(10) 내에는 캐리어가 수용될 수 있다. 현상롤러(13)는 감광드럼(14)로부터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이격되게 위치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롤러(13)는 자기롤러일 수 있으며, 현상 슬리브 내에 자기롤러가 배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현상기(10) 내에서 토너가 캐리어와 혼합되며, 토너는 자성 캐리어의 표면에 부착된다. 자성 캐리어는 현상롤러(13)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드럼(14)와 현상롤러(13)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운반된다. 현상롤러(13)와 감광드럼(14) 사이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토너만이 감광드럼(14)로 공급되어 감광드럼(14)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이성분 현상방식이 채용되는 경우에,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되는 현상제는 토너와 캐리어일 수 있으며, 토너와 캐리어가 현상기(10)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현상기(10) 내의 캐리어와 토너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여분의 캐리어는 현상기(10)의 외부로 배출되며, 도시되지 않은 폐현상제 용기에 수용된다.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현상롤러(13)는 감광드럼(14)와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감광드럼(14)로부터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이격되게 위치되어 회전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0)에는 토너가 수용되며, 현상기(10)는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유입된 토너를 교반하여, 현상롤러(13)로 운반하는 운반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10)는 후술하는 전사 과정을 거친 후에 감광드럼(14)에 잔류되는 페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현상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상방식에 대하여는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노광기(4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14)에 조사하여 감광드럼(14)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인 예로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DE노광기 등이 있다.
중간전사벨트(30)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 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일시적으로 수용한다. 중간전사벨트(30)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과 대면되는 위치에 복수의 중간전사롤러(50)가 배치된다. 복수의 중간전사롤러(50)에는 감광드럼(14) 상에 현상된 화상을 중간전사벨트(30)로 중간전사시키기 위한 중간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중간전사롤러(40)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나 핀 스코로트론(pin scorotron)방식의 전사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전사롤러(60)는 중간전사벨트(30)와 대면되게 위치된다. 전사롤러(60)에는 중간전사벨트(30)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감광드럼(14) 상에 현상된 화상을 중간전사벨트(30)로 중간전사하고 그 후에 중간전사벨트(30)와 전사롤러(60)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매체(P)로 전사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록매체(P)가 중간전사벨트(30)와 감광드럼(14) 사이를 직접 통과하여 기록매체(P)로 직접 현상된 화상을 전사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전사롤러(60)은 채용되지 않는다.
정착기(70)는 기록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기(7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노광기(40)는 각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등하여 변조된 복수의 광을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에 주사하여 감광드럼(14)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C)(20M)(20Y)(20K)로부터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로 공급된 C, M, Y, K 현상제에 의하여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드럼(14)의 정전잠상이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된다. 현상된 토너화상들은 중간전사벨트(30)로 순차로 중간전사된다. 급지수단(80)에 적재된 기록매체(P)는 급지경로(91)를 따라 이송되어 전사롤러(60)와 중간전사벨트(30) 사이로 이송된다. 전사롤러(60)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에 의하여 중간전사벨트(30) 위에 중간전사된 토너화상은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기록매체(P)가 정착기(70)를 통과하면, 토너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에 고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92)에 의하여 배출된다,
도 1에서 급지 경로(91)는 XZ평면에 투영될 수 있으며, 현상기(10)와 현상제 카트리지(20)는 XZ 평면에 수직한 Y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착탈될 수 있다. 즉, 기록매체(P)는 급지 경로(91)를 따라 그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며, 현상기(10)와 현상제 카트리지(20)는 기록매체(P)의 폭방향으로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착탈될 수 있다. 본체(1)에는 현상제 카트리지(20)와 현상기(10)의 착탈을 위하여 본체(1)의 일부를 개방하는 도어(2)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2)는 본체(1)의 예를 들어 현상제 카트리지(20)와 현상기(10)의 착탈방향(Y)의 일면을 개폐할 수 있다.
도 2a와 도 2b는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현상기(10)로 현상제가 공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현상기(10)로의 현상제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이며, 도 2b는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현상기(10)로의 현상제의 공급이 허용된 상태이다.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에 장착되면, 현상제 카트리지(20)는 현상기(10)의 상측에 위치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0)는 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21)를 구비한다. 현상제 카트리지(20)에는 배출구(21)를 개폐하는 제1셔터(22)가 마련된다. 제1셔터(22)에는 제1개구(22a)가 마련된다. 제1셔터(22)는 배출구(21)를 막는 차단위치(도 2a)와 배출구(21)를 통한 현상제의 배출을 허용하는 개방위치(도 2b)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차단위치에서는 제1개구(22a)와 배출구(21)가 서로 어긋나서 제1셔터(22)에 의하여 배출구(21)가 막힌다. 개방위치에서는 배출구(21)와 제1개구(22a)가 서로 정렬되며, 현상제는 배출구(21) 및 제1개구(22a)를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다.
현상기(10)에는 현상제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마련된다. 현상기(10)와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에 장착되면, 배출구(21)와 유입구(11)는 예를 들어 상하방향으로 서로 정렬된다. 따라서, 제1셔터(22)가 개방위치에 위치되면, 현상제는 배출구(21), 제1개구(22a) 및 유입구(11)를 통하여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현상기(10)로 공급될 수 있다.
현상기(10)에는 유입구(11)를 개폐하는 제2셔터(1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셔터(12)에는 제2개구(12a)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셔터(12)가 차단 위치(도 2a)에 위치되면, 제2개구(12a)와 유입구(11)가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어 제2셔터(12)에 의하여 유입구(11)가 막힌다. 제2셔터(12)가 개방 위치(도 2b)에 위치되면, 유입구(11)와 제2개구(12a)가 서로 정렬되며, 현상제는 제2개구(12a) 및 유입구(11)를 통과하여 현상기(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셔터(12)는 제1셔터(22)가 차단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될 때에 제1셔터(22)에 의하여 개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셔터(22)에는 차단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될 때에 제2셔터(12)를 밀어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부(22b)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셔터(22)가 차단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되면, 작동부(22b)에 밀려서 제2셔터(12)가 차단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셔터(12)에 개방 위치로부터 차단 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셔터(22)가 개방위치로 이동되면, 현상제 카트리지(20) 내부의 토너가 배출구(21) 및 제1개구(22a)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상제의 원치않는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도 3a는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b는 스토퍼(23)가 규제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모식도이며, 도 3c는 스토퍼(23)가 허용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모식도이다. 도 3b와 도 3c에서는 스토퍼(23)의 작용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며, 스토퍼(23)의 작용과 무관한 다른 구성요소는 생략된다.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현상제 카트리지(20)에는 제1셔터(22)의 개방위치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3)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23)는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제1셔터(22)의 개방위치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규제위치(도 3b)에 위치되며,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에 장착되면, 제1셔터(22)의 개방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허용 위치(도 3c)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스토퍼(23)는 일단부(23a)가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지지된 외팔보 형태일 수 있다. 규제위치에 위치된 때에, 스토퍼(23)의 타단부(23b)는 제1셔터(22)의 걸림부(22c)에 걸린다. 따라서, 제1셔터(22)는 스토퍼(23)에 걸려서 예를 들어 X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스토퍼(23)는 현상제 카트리지(20)를 본체(1)에 장착하는 동작에 의하여 허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23)는 현상기(10) 또는 본체(1)와 간섭되어 허용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23)가 현상기(10)의 일 측벽(13)과 간섭되어 허용위치로 전환된다. 즉, 현상제 카트리지(20)가 예를 들어 Y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본체(1)에 장착되면, 스토퍼(23)가 현상기(10)의 일측벽(13)과 간섭되면서 휘어지고 타단부(23b)가 걸림부(22c)로부터 이탈된 허용위치로 전환된다. 따라서 제1셔터(22)는 도 3c의 화살표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로부터 분리되면, 스토퍼(23)는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규제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23)의 구조는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토퍼(23)는 현상제 카트리지(20)에 규제위치와 허용위치로 슬라이딩 또는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되고, 도시되지 않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규제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될 수도 있다.
도 4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상제 카트리지(20)에는 메모리유닛(110)이 마련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에 장착되면, 메모리유닛(110)은 본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정보를 본체(1)로 전달할 수 있다. 본체(1)는 메모리유닛(110)과의 전기적 연결 여부, 예를 들어 메모리유닛(110)과의 통신 가능 여부에 따라서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장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유닛(110)은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상태를 모니터링 또는 관리하기 위한 회로부(111)와, 본체(1)와의 연결을 위한 접점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111)에는 예를 들어 자체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본체(1)와의 사이에서 인증 및/또는 암호화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CPU(centralprocess unit)를 포함하는 CRUM(customer replaceable unit monitor)부가 마련될 수 있다. 회로부(111)에는 메모리가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현상제 카트리지(20)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에는 제조사에 대한 정보, 제조일시에 대한 정보, 일련 번호, 모델 명 등과 같은 고유 정보, 각종 프로그램, 전자 서명 정보 및 사용 상태(예를 들어, 현재까지 몇 매를 인쇄하였는지, 인쇄 가능한 잔여 매수가 얼마인지, 현상제 잔량이 얼마인지 등)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에는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수명, 셋업 메뉴 등에 대한 정보까지 저장될 수 있다. 이외에도 회로부(111)는 본체(1)와의 통신, 인증, 암호화 등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111)는 CPU를 포함하는 칩(chip)의 형태, 또는 메모리와 CPU를 포함하는 칩의 형태, 칩 및 다양한 기능 블록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소자들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접점부(112)는 회로부(111)의 인쇄회로기판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부(111)와 신호선(113)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접점부(112)는 예를 들어 모듈러 잭(modular jack)일 수 있다. 본체(1)에는 접점부(112)와 연결되는 연결부(1a)가 마련된다. 연결부(1a)는 모듈러 잭 형태의 접점부(112)가 삽입되는 모듈러 커넥터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접점부(112)는 도전성 패턴 형태일 수 있다. 도전성 패턴 형태의 접점부(112)는 도시되지 않은 회로 보드에 형성될 수 있으며, 회로부(111)의 인쇄회로기판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통신유닛(110)은 회로부(111)가 내장되고 접점부(112)가 외부로 노출된 패키지 형태이고 접점부(112)는 도전성 패턴의 형태로서 패키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a)는 도전성 패턴 형태의 접점부(1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핀형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점부(112)는 핀형 단자의 형태일 수 있으며, 연결부(1a)는 핀형 단자가 접속되는 도전성 패턴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외에도 접점부(112)와 연결부(1a)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가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면, 현상제 카트리지(20)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접점부(112)가 오염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카트리지(20)를 본체(1)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본체(1)와의 충돌로 인하여 접점부(112)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접점부(112)의 파손 또는 오염은 접점부(112)와 연결부(1a)와의 접점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메모리유닛(110)은 현상제 카트리지(20)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돌출된 제2위치(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가능한 접점부(112)를 구비한다.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에 장착된 때에 접점부(112)는 본체(1)에 마련된 연결부(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위치로 이동되며,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로부터 탈거되기 전에 접점부(112)는 연결부(1a)와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된 제2위치로 이동된다. 제2위치에서의 접점부(112)의 돌출 방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접점부(112)는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상부(20-1), 하부, 측부(20-2), 전부, 후부 등 다양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접점부(112)가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장착 방향(Y) 및 기록매체(P)의 길이방향(X)과 직교하는 Z방향으로 이동되어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상부(20-1)로 돌출되는 구조를 예로써 설명한다.
접점부(112)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제1,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0)는 접점부(112)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더 구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조작부의 일 예로서, 현상제 카트리지(20)에는 노브(200)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노브(200)를 조작함으로써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노브(200)를 조작함으로써 제1셔터(22)를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노브(200)를 조작함으로써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제1셔터(22)를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5는 노브(200)를 조작함으로써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고 제1셔터(22)를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현상제 카트리지(20)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a는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되고 제1셔터(22)가 차단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6b는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고 제1셔터(22)가 개방위치에 위치 상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현상제 카트리지(20)에는 이동 부재(210)가 Z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접점부(112)는 이동 부재(210)에 고정되고, 신호선(도 4: 113)에 의하여 회로부(111)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노브(200)는 회전식 노브이다. 노브(200)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동 부재(2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브(200)는 제1연결유닛에 의하여 이동부재(210)와 연결된다. 노브(200)의 회전운동은 제1연결유닛에 의하여 이동 부재(210)의 직선 슬라이딩운동으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제1연결유닛은 제1피니언(201)과 제1랙 기어(211)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랙 기어(211)는 이동 부재(210)에 마련된다. 제1피니언(201)은 노브(200)와 연결되어 노브(200)와 함께 회전되며, 제1랙 기어(211)와 맞물린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노브(200)를 회전시키면, 제1피니언(201)과 제1랙기어(211)에 의하여 노브(200)의 회전조작이 이동 부재(210)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접점부(112)가 도 6a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20)의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상면에 접점부(112)가 출입되는 제1출입구(20-1a)가 마련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접점부(112)는 현상제 카트리지(20) 내부에 수납되며 제1출입구(20-1a)를 통하여 노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를 열고 본체(1)에 현상제 카트리지(20)를 장착한다. 그런 다음, 노브(200)를 회전시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를 제2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1출입구(20-1a)를 통하여 접점부(112)가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돌출되며,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가 본체(1)의 연결부(1a)에 결합되어 메모리유닛(110)과 본체(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셔터(22)는 노브(200)의 조작에 의하여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제1셔터(22)는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제1셔터(22)는 제2연결유닛에 의하여 노브(200) 및 이동부재(210)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2연결유닛은 제1셔터(22)에 마련되는 제2랙 기어(22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210)의 스트로크와 제1셔터(22)의 스트로크가 같은 경우, 제2랙 기어(22d)는 제1피니언(201)과 맞물릴 수 있다. 이동 부재(210)의 스트로크와 제1셔터(22)의 스트로크가 다른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랙 기어(22d)는 제1피니언(201)과 잇수가 다른 제2피니언(202)에 맞물릴 수 있다. 제2피니언(202)은 예를 들어 제1피니언(201)과 동축 상에 설치되어 노브(2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피니언(201)과 제2피니언(202)은 2단 기어의 형태이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피니언(202)은 제1피니언(201) 및 제2랙 기어(22d)과 치합되는 구조도 가능하며, 이 경우 제1, 제2피니언(201)(202) 사이에 하나 이상의 속도변환기어가 개재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1, 제2피니언(201)(202) 사이에 제1셔터(22)의 이동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아이들기어가 개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노브(200)를 회전시키면, 제2피니언(202)과 제2랙기어(22d)에 의하여 노브(200)의 회전조작이 제1셔터(22)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제1셔터(22)가 도 2a 및 도 6a에 도시된 차단 위치와 도 2b 및 도 6b에 도시된 개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제2연결유닛의 구조에 따라서 이동부재(210) 및 제1셔터(22)의 이동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피니언(201)(202)으로서 제1베벨기어(미도시)를 채용하고, 제1, 제2랙기어(211)(22d)와 제1, 제2피니언(201)(202) 사이에 제1, 제2피니언(201)(202)과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미도시) 및 제1베벨기어(미도시)와 동축을 이루는 평기어(미도시)를 배치하여, 평기어(미도시)와 제1, 제2랙 기어(211)(22d)가 서로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제1연결유닛에 의하면 이동 부재(210)는 현상제 카트리지(20)의 폭방향(X) 또는 길이방향(Y)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접점부(112)는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측부(20-2) 또는 전/후부로부터 돌출되어 제2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제2연결유닛에 의하면 제1셔터(22) 역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어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제1셔터(22)도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동시에 이동되는 현상제 카트리지(20)가 구현될 수 있다.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회로부(111)가 이동 부재(210)에 장착되어 접점부(112)와 함께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동안에 접점부(112)와 회로부(111)와의 상대위치가 변하지 않으므로, 신호선(113)과 접점부(112) 및 회로부(111)와의 단선의 위험이 크게 낮아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점부(112)는 회로부(1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신호선(113)이 생략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회로부(111)는 현상제 카트리지(20)에 고정되고, 접점부(112)만이 이동 부재(210)에 설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다시 도 3b, 도 3c를 참조하면, 스토퍼(23)에 의하여 제1셔터(22)의 위치전환이 규제된다. 스토퍼(23)는 접점부(112)의 제1, 제2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즉, 스토퍼(23)는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로부터 분리된 때에는 접점부(112)의 제2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제1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현상제 카트리지(20)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접점부(112)가 오염되거나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손상될 위험이 있다. 또한,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현상제 카트리지(20)를 본체(1)에 장착하면, 접점부(112)가 연결부(1a)와 충돌되어 접점부(112) 및/또는 연결부(1a)가 손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스토퍼(23)가 제1셔터(22)의 개방위치로의 전환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규제위치에 위치된다. 제2셔터(22)는 제2연결유닛에 의하여 노브(200) 및 이동부재(21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셔터(22)의 위치전환이 규제된 상태에서는 노브(200)도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접점부(112) 역시 제2위치로 전환될 수 없으며, 제1위치에 유지된다. 즉, 스토퍼(23)는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로부터 분리된 때에 조작부가 작동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규제위치에 위치되며,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에 장착되면 조작부의 작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23)는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로부터 분리된 때에 접점부(112)의 제2위치로의 이동을 제한하여 접점부(112)를 제1위치에 유지시킨다.
현상제 카트리지(20)는 접점부(112)가 제1위치(도 6a)에 위치된 상태에서 본체(1)에 장착된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장착동작에 의하여 스토퍼(23)는 규제위치로부터 제1셔터(22)의 개방위치로의 전환을 허용하는 하용위치로 전환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에 장착된 후에, 노브(200)를 회전시켜 접점부(112)를 제2위치(도 6b)로 이동시켜 본체(1)의 연결부(1a)에 연결시킨다. 이때, 제1셔터(22)는 노브(200)의 회전에 의하여 개방위치로 전환되며, 제2셔터(12) 역시 제1셔터(22)와 함께 개방위치로 전환되어, 현상제가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현상기(10)로 공급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노브(200)를 회전시켜 접점부(112)를 제1위치로 복귀시켜 연결부(1a)와의 연결을 해제한 후에 본체(1)로부터 탈거한다. 이때 제1셔터(22)는 차단위치로 복귀되어 탈거과정에서 개구(21)통한 현상제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제1셔터(22)는 차단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제2셔터(12) 역시 도시되지 않은 복귀 스프링에 의하여 차단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물론, 제2셔터(12)는 개방위치에 유지될 수도 있다.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현상제 카트리지(2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는 경우에는 연결부(1a) 또는 접점부(112)가 손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제 카트리지(20)는 연결부(1a) 또는 접점부(112)가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부재(2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보호부재(220)는 노브(200)의 조작에 의하여 접점부(112)와 함께 이동된다. 보호부재(220)는 현상제 카트리지(20) 내부로 숨겨진 후퇴위치와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돌출된 돌출 위치를 갖는다. 일 예로서, 보호부재(220)는 이동 부재(2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상부(20-1)에는 보호부재(220)가 출입되는 제1출입구(20-1b)가 마련된다. 본체(1)에는 보호부재(220)가 삽입되는 삽입부(1b)가 마련된다. 돌출 위치에서 보호부재(220)는 삽입부(1b)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보호부재(220)는 현상제 카트리지(20) 내부에 수납된 후퇴 위치에 위치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20)가 회전됨에 따라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보호부재(220)는 제2출입구(20-1b)를 통하여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상부(10-1)로부터 돌출되어 삽입부(1b)에 삽입된 돌출 위치에 위치된다.
보호부재(220)는 돌출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접점부(112)보다 더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삽입부(1b)가 연결부(1a)보다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상부(20-1) 쪽으로 더 가깝게 위치될 수도 있다. 접점부(112)와 연결부(1a)와의 정렬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 즉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덜 삽입된 상태에서 접점부(112)가 연결부(1a)에 삽입되면 접점부(112)가 연결부(1a)와 충돌하여 손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점부(112)가 연결부(1a)에 삽입되기 전에 보호부재(220)가 먼저 삽입부(1b)에 삽입됨으로써 접점부(112)와 연결부(1a)를 정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a)에의 삽입과정에서 접점부(112)의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상태에서 현상제 카트리지(2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 접점부(112)가 연결부(1a)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접점부(112)에 힘이 가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부재(220)도 삽입부(1b)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접점부(112)에 가해지는 힘이 보호부재(220)에 의하여 분산된다. 따라서, 접점부(112)의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7a와 도 7b는 노브(200)를 조작함으로써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고 제1셔터(22)를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들이다. 도 7a는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되고 제1셔터(22)가 차단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7b는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되고 제1셔터(22)가 개방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제1연결유닛은 제1가이드 핀(231)을 구비하는 회전 부재(230)와, 이동부재(210)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 슬롯(212)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2연결유닛은 회전부재(230)에 마련된 제2가이드 핀(232)과, 제1셔터(22)에 마련된 제2가이드 슬롯(22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회전부재(230)는 노브(200)와 연결되어 노브(200)와 함께 회전된다. 제1, 제2가이드 핀(231)(232)은 제1, 제2가이드 슬롯(212)(22e)에 각각 삽입된다. 제1, 제2가이드 슬롯(212)(22e)은 그 일단부와 타단부가 적어도 이동부재(210)와 제1셔터(22)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된다. 도 7a 및 도 7b에서는 제1, 제2가이드 슬롯(212)(22e)이 직선 형상이나, 제1, 제2가이드 슬롯(212)(22e)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선 형상일 수도 있다. 제1, 제2가이드 핀(231)(232)과 제1, 제2가이드 슬롯(212)(22e)에 의하여 노브(200)의 회전운동은 이동부재(210) 및 제1셔터(22)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제2가이드 슬롯(122)(22e)이 각각 이동 부재(210)와 제1셔터(22)에 마련되고, 제1, 제2가이드 핀(231)(232)이 회전부재(23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노브(220)를 회전시키면 회전부재(230)가 함께 회전된다. 제1, 제2가이드 핀(231)(232)은 제1, 제2가이드 슬롯(212)(22e)을 밀며, 이에 의하여 이동부재(210)와 제1셔터(22)가 각각 제1, 제2위치와 차단/개방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230)가 노브(200)와 직접 연결된 구조가 채용되나, 회전부재(230)가 노브(200)는 기어 등의 동력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회전되는 노브(200)를 이용하여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제1셔터(22)를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슬라이딩되는 노브(300)가 도시되어 있다. 노브(300)는 현상제 카트리지(20)에 마련된 슬라이딩 슬롯(20-3)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슬롯(20-3)은 접점부(112)의 이동방향, 즉 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되는 노브(300)를 이용하여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제1셔터(22)를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9a와 도 9b는 슬라이딩되는 노브(300)를 조작함으로써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고 제1셔터(22)를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모식도들이다. 도 9a는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되고 제1셔터(22)가 차단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9b는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되고 제1셔터(22)가 개방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9a와 도 9b를 참조하면, 현상제 카트리지(20)에는 이동 부재(210)가 Z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접점부(112)는 이동 부재(210)에 고정되고, 신호선(도 4: 113)에 의하여 회로부(111)와 연결된다. 노브(300)는 이동부재(210)와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노브(300)를 이동시키면 이동부재(210)가 노브(300)와 함께 이동된다.
제2연결유닛은 노브(300) 및 이동부재(210)와 제1셔터(22)를 연결시킨다. 제2연결유닛은 예를 들어 제1랙 기어(211)와 제1, 제2피니언(201)(202) 및 제2랙 기어(22d)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랙 기어(211)는 이동 부재(210)에 마련된다. 제1피니언(201)은 현상제 카트리지(20)에 회전될 수 있게 연결되며, 제1랙 기어(211)와 맞물린다. 제2피니언(202)은 예를 들어 제1피니언(201)과 동축 상에 설치되어 제1피니언(201)과 함께 회전된다. 제2피니언(202)은 제2랙 기어(22d)와 맞물린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노브(300)를 이동시키면, 제1, 제2피니언(201)(202)과 제1랙기어(211) 및 제2랙 기어(22d)에 의하여 노브(300)의 직선조작이 제1셔터(22)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제1셔터(22)가 도 9a에 도시된 차단위치와 도 9b에 도시된 개방위치로 전환된다. 동시에 이동부재(210)와 함께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보호부재(220)도 후퇴위치와 돌출위치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잇수가 서로 다른 제1, 제2피니언(201)(202)을 채용하여 이동 부재(210)의 스트로크와 제1셔터(22)의 스트로크를 다르게 하고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피니언(202)이 제1피니언(201) 및 제2랙 기어(22d)와 치합되는 구조도 가능하며, 이 경우 제1, 제2피니언(201)(202) 사이에 하나 이상의 속도변환기어가 개재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1, 제2피니언(201)(202) 사이에 제1셔터(22)의 이동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아이들기어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피니언(202)을 생략하고 제1피니언(201)과 제2랙 기어(22d)를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이동 부재(210)의 스트로크와 제1셔터(22)의 스트로크를 같게 할 수도 있다.
도 10은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일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현상제 카트리지(20)에는 본체(1)에 착탈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250)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250)는 예를 들어 장착 방향(Y)의 측부(20-2)에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250)는 예를 들어 도 10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20)를 파지하기 위하여 현상제 카트리지(20)의 측부(20-2)로부터 돌출된 파지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파지 위치로부터 도 10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접근된 수납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손잡이(250)는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250)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도어(2)에 대향되게 위치된다.
조작부는 손잡이(25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접점부(112)와 제1셔터(22)는 손잡이(250)의 파지위치와 수납위치로위 회동에 연동하여 각각 제1, 제2위치 및 차단/개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1d는 손잡이(250)와 연동하여 접점부(112)를 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모식도들이다. 도 11a와 도 11b는 각각 손잡이(250)가 파지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측면도와 정면도이며, 도 11c와 도 11d는 각각 손잡이(250)가 수납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이동 부재(210)는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손잡이(250)는 제1연결유닛에 의하여 이동 부재(210)와 연결된다. 제1연결유닛에 의하여 손잡이(250)의 회동운동이 이동 부재(210)의 슬라이딩 운동으로 전환된다. 제1연결유닛은 예를 들어 핀-슬롯 구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손잡이(250)에는 가이드 슬롯(25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동부재(210)에는 가이드 핀(213)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핀(213)은 가이드 슬롯(25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손잡이(250)가 회동축(252)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가이드 슬롯(251)이 가이드 핀(213)을 밀며, 이에 의하여 이동부재(21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물론, 가이드 핀(213)이 손잡이(250)에 마련되고 가이드 슬롯(251)이 이동 부재(21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연결유닛은 피니언-랙 기어 구조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연결유닛은 손잡이(250)의 회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하나 이상의 피니언과, 이동 부재(210)에 마련되어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유닛은 손잡이(250) 및 이동부재(210)를 제1셔터(22)와 연결한다. 이러한 형태의 제2연결유닛은 랙-피니언 연결구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연결유닛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10)에 마련된 제1랙 기어(211)와 제1, 제2피니언(201)(202) 및 제1셔터(22)에 마련된 제2랙 기어(22d)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손잡이(250)가 파지위치와 수납위치로 이동될 때에 제1셔터(22)는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0)를 본체(1)에 장착하기 위하여는, 도 1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위치에 위치된 손잡이(250)를 잡고 현상제 카트리지(20)를 본체(1)에 삽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규제위치에 위치된 스토퍼(23)에 의하여 접점부(112) 및 제1셔터(22)의 제2위치 및 개방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손잡이(250)는 파지위치에 유지된다. 손잡이(250)가 파지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접점부(112)와 제1셔터(22)는 각각 제1위치와 차단위치에 위치된다.
삽입이 완료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23)가 허용위치로 전환되고, 접점부(112) 및 제1셔터(22)의 제2위치 및 개방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따라서, 손잡이(250)를 밀면 손잡이(250)는 회동축(25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수납위치로 전환된다. 그러면, 가이드 슬롯(251)과 가이드 핀(213)의 작용에 의하여 이동부재(210)가 슬라이딩되어 접점부(112)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제1랙 기어(211), 제1, 제2피니언(201)(202), 및 제2랙 기어(22d)의 연결구조에 의하여 제1셔터(22)는 개방위치로 이동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기 위하여, 손잡이(250)를 당겨 파지 위치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가이드 슬롯(251)과 가이드 핀(213)의 작용에 의하여 이동부재(210)가 슬라이딩되어 접점부(112)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로 복귀되며, 제1랙 기어(211), 제1, 제2피니언(201)(202), 및 제2랙 기어(22d)의 연결구조에 의하여 제1셔터(22)는 차단위치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250)를 잡고 현상제 카트리지(20)를 당겨서 본체(1)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탈거과정에서 스토퍼(23)는 규제위치로 복귀되며, 현상제 카트리지(20)가 본체(1)로부터 분리된 때에 스토퍼(23)에 의하여 접점부(112) 및 제1셔터(22)가 각각 제1위치와 차단위치에 유지된다.
손잡이(250)는 도어(2)를 닫는 동작에 의하여 파지위치로부터 수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2는 손잡이(250)가 도어(2)를 닫는 동작에 의하여 수납위치로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모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어(2)에는 닫힐 때에 손잡이(250)를 수납위치로 미는 아암(2-1)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현상제 카트리지(20)를 본체(1)에 장착한 후에 도어(2)를 닫는 동작에 의하여 잡이(250)가 수납위치로 회동되며, 접점부(112)는 제2위치로, 제1셔터(22)는 개방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접점부(112)와 연결부(1a)의 연결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셔터(22)가 개방위치로 전환되므로, 제1셔터(22)가 차단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이 개시되는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20)는 손잡이(250)에 파지 위치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5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도어(2)를 개방하면, 탄성부재(253)의 탄성력에 의하여 손잡이(250)가 도 11a에 도시된 파지 위치로 회동되고, 접점부(112)는 제1위치로, 제1셔터(22)는 차단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본체 1a...연결부
1b...삽입부 2...도어
2-1...아암 10...현상기
11...유입구 12...제2셔터
13...현상롤러 14...감광드럼
15...대전롤러 20...현상제 카트리지
20-1a...제1출입구 20-1b... 제2출입구
21...배출구 22...제1셔터
22b...작동부 22c...걸림부
22d...제2랙 기어 22e...제2가이드 슬롯
23...스토퍼 30...중간전사벨트
40...노광기 50...중간전사롤러
60...전사롤러 70...정착기
80...급지수단 91...급지경로
92...배출롤러 110...메모리유닛
111...회로부 112...접점부
113...신호선 200, 300...노브
201...제1, 제2피니언 210...이동부재
211...제1랙 기어 212...제1가이드 슬롯
213...가이드 핀 220...보호부재
230...회전부재 231, 232...제1, 제2 피벗 핀
250...손잡이 251...가이드 슬롯
253...탄성부재

Claims (20)

  1.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제 카트리지로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되는 접점부를 구비하는 메모리유닛;
    상기 접점부를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부;
    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방위치와 차단위치를 가지며, 상기 접점부가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차단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제1셔터;를 포함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를 탑재하고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이동 부재;를 더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회전식 노브를 포함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와 상기 이동부재를 연결한 제1연결유닛;
    상기 노브 및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제1셔터를 연결하는 제2연결유닛;을 더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슬라이딩 노브를 포함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셔터는 제2연결유닛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를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지 위치와 수납위치를 갖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파지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접점부와 상기 제1셔터는 각각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차단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손잡이가 상기 파지위치로부터 상기 수납위치로 전환될 때에 상기 접점부와 상기 제1셔터는 각각 상기 제2위치와 상기 개방위치로 전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때에 상기 조작부가 작동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규제위치에 위치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조작부의 작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로 전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규제위치에서 상기 제1셔터가 상기 개방위치로 전환되지 않도록 상기 제1셔터의 걸림부에 결리는 현상제 카트리지.
  12.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제 카트리지로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되는 접점부를 구비하는 메모리유닛;
    상기 접점부를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때에 상기 조작부가 작동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규제위치에 위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조작부의 작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로 전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를 탑재하고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이동 부재;
    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방위치와 차단위치를 갖는 제1셔터;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셔터가 상기 차단위치와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제1셔터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더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규제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규제위치에서 상기 제1셔터가 상기 개방위치로 전환되지 않도록 상기 제1셔터의 걸림부에 걸리는 현상제 카트리지.
  16.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7.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제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를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지 위치와 수납위치를 갖는 손잡이;
    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파지 위치와 상기 수납위치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전환되는 제1셔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때에 상기 제1셔터를 상기 차단위치에 유지시키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제를 공급받는 현상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현상기와 간섭되어 상기 제1셔터의 상기 개방위치로의 전환을 허용하는 위치로 전환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의 닫힘동작에 의하여 상기 수납위치로 전환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파지 위치와 상기 수납위치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되는 접점부를 구비하는 메모리유닛;을 더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150080031A 2015-06-05 2015-06-05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160143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031A KR20160143391A (ko) 2015-06-05 2015-06-05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15/092,314 US9651894B2 (en) 2015-06-05 2016-04-06 Developer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16165799.4A EP3101483B1 (en) 2015-06-05 2016-04-18 Developer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031A KR20160143391A (ko) 2015-06-05 2015-06-05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391A true KR20160143391A (ko) 2016-12-14

Family

ID=5580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031A KR20160143391A (ko) 2015-06-05 2015-06-05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51894B2 (ko)
EP (1) EP3101483B1 (ko)
KR (1) KR201601433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9835B2 (ja) 2016-08-10 2020-09-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EP3382459B1 (en) * 2017-03-27 2019-10-1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JP6809337B2 (ja) * 2017-03-30 2021-01-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7005250B2 (ja) 2017-09-2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7071180B2 (ja) * 2018-03-20 2022-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90135317A (ko) * 2018-05-28 2019-12-0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현상제 카트리지의 탈거를 위하여 핸들을 돌출시키는 구조
KR20200025336A (ko) * 2018-08-30 2020-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충전부의 유입 셔터를 선택적으로 로킹하는 구조
US10447879B1 (en) 2018-11-23 2019-10-1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KR20200107454A (ko) * 2019-03-08 2020-09-1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카트리지의 파지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구조
JP2022076821A (ja) * 2020-11-10 2022-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6517B2 (ja) 2003-04-21 2009-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36853B2 (ja) * 2004-11-12 2011-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供給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789982B2 (ja) 2008-07-14 2011-10-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828432B2 (ja) * 2013-03-25 2015-12-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
JP5892983B2 (ja) 2013-08-27 2016-03-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9261851B2 (en) * 2013-11-20 2016-02-16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of a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57126A1 (en) 2016-12-08
EP3101483B1 (en) 2018-03-14
US9651894B2 (en) 2017-05-16
EP3101483A1 (en)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3391A (ko)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150106729A (ko)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1580224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1585058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731216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7224904B2 (ja) 画像形成装置で用いるカートリッジ
EP3118689B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device
CN106527077B (zh) 图像形成装置
CN111971624B (zh) 用于检测显影剂盒的显影剂水平的结构
KR101649277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150098421A (ko) 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13068752A (ja) 着脱開閉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11112728B2 (en) Structure for selectively locking toner inlet shutter of toner refill portion based on rotational phase of toner refill cartridge
KR101564565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230172655A (ko) 토너 카트리지의 전기 접점부 구조
JP550050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07914A (ja) 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
JPH03179474A (ja) 画像形成装置の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