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494A -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494A
KR20160136494A KR1020150069470A KR20150069470A KR20160136494A KR 20160136494 A KR20160136494 A KR 20160136494A KR 1020150069470 A KR1020150069470 A KR 1020150069470A KR 20150069470 A KR20150069470 A KR 20150069470A KR 20160136494 A KR20160136494 A KR 20160136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ether
genistein methyl
nanoliposome
genistein
glycer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2984B1 (ko
Inventor
홍원기
김동명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9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984B1/ko
Priority to PCT/KR2015/006682 priority patent/WO2016186240A1/ko
Priority to CN201580065124.0A priority patent/CN107613945B/zh
Publication of KR20160136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함유하는 나노리포좀 및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용성 물질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폴리올과 에탄올을 이용해 완전히 용해시키고 글리세릴 에스테르 베지클로 나노리포좀화 함으로써,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고 미백 개선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염 농도가 높은 제형인 BB 크림, 선크림과 같은 색조 화장료에서의 활성성분 보호 및 피부 전달을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GENISTEIN METHYL ETHER-CONTAINING NANOLIPOSOM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우수한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 (genistein methyl ether, G.M.E)를 함유하는 나노리포좀 및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용성 물질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폴리올과 에탄올을 이용해 완전히 용해시키고 글리세릴 에스테르 베지클로 나노리포좀화 함으로써,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고 미백 개선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식약처에서 정하는 미백 효능을 나타내는 미백 기능성 물질은 크게 유용성 물질과 수용성 물질로 나눌 수 있다. 수용성 미백 기능성 물질로는 알부틴, 니아신아마이드, 및 아스코빌 글루코사이드를, 유용성 미백 기능성 물질로는 알파 비사보롤 또는 감초추출물을 들 수 있다.
수용성 물질 중 알부틴은 저장 안정성이 좋지 못해 화장용 조성물에 사용 시 변색과 합성과정에서 잔류한 하이드로퀴논으로 인해 피부에 매우 자극적이며, 니아신아마이드는 미반응 프리 니코티닉애씨드로 인해 알부틴과 마찬가지로 피부에 대한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아스코빌 글루코사이드는 비타민 유도체로, 높은 극성도로 인해 제형에서의 범용적 사용이 불가하여 사용이 어려운 물질 중 하나이다. 한편, 유용성 물질인 알파 비사보롤 또는 감초추출물의 경우, 알부틴 또는 니아신아마이드와 달리 잔류 미반응 물질이 존재하지 않아 이들에 비해 피부에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열 및 광에 대한 높은 불안정성과 특유의 색을 지녀 화장료를 만든다 하더라도 물질 자체의 고유색이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 기피 현상을 야기한다.
특히, 상기 미백 원료들은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의 활성 억제를 통해 피부 미백에 대한 활성을 갖는 것들로서, MITF (micropht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 억제를 통해 티로시나아제의 생성을 막아 미백 활성을 갖는 물질에 비해 그 효과가 두드러지지 않은 게 현실이다. 이에 반해,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 (비오카닌 A; biochanin A)가 미백 활성이 있음이 박성하 등에 의해 최근 확인되었으며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ol. 39, No.4, December 2013, 289-294), 이 논문에는 비오카닌 A가 MITF 발현 억제를 통해 티로시나아제의 발현을 막고 나아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한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는 이와 같이 탁월한 미백 활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용매에 잘 녹지 않는 난용성 물질이므로, 취급이 용이하지 않고 화장료를 만든다 하더라도 저장 안정성이 좋지 못해 피부 내로 효과적으로 효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에 최적화된 화장료 제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종래 불안정 활성성분들을 안정화하고 피부 내로 효과적으로 효능을 전달하기 위해, 두 개의 친유 지방산과 한 개의 친수기로 이루어진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의 물질인 레시틴을 베지클로서 활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국제공개특허 WO/2011/129588에는 난황에서 유래한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을 베지클 (vesicle)로서 사용한 경피 흡수용 고분자-리포좀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난황에서 유래한 레시틴인 포스파티딜콜린은 단가가 높고 동물 유래라는 점에서 소비자로 하여금 기피하는 기조가 높아지고 있으며, 저장 안정성 특히, 열 및 광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져 변취 또는 변색 유발이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종래 레시틴 베지클을 활용한 기술은 활성성분의 안정화 및 효과적 효능 전달에 적합한 기술이라고 볼 수 없다.
국제공개특허 WO/2011/129588 (공개일: 2012년 2월 2일)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ol.39, No.4, December 2013, 289-294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가 MITF 발현 억제를 통해 티로시나아제의 생성을 막을 수 있음을 확인하고 난용성인 미백 활성 물질을 완전히 용해시키는 기술 및 글리세릴 에스테르 베지클을 이용하여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안정화시켜 해당 세포로 효과적으로 효능을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우수한 미백 활성을 갖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글리세릴 에스테르 베지클로 나노리포좀화 함으로써,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고 미백 개선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 (genistein methyl ether) 및 글리세릴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을 제공한다.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는 약 0.00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릴 에스테르는 친수성기와 친유성기를 모두 가지는 알파하이드록시애씨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릴 에스테르는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레이트/올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시트레이트, 및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시트레이트/락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릴 에스테르가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은, 수상성분 약 50 중량% 내지 약 70 중량%, 계면활성제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오일류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및 유연화제 약 8 중량% 내지 약 12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은, 약 3:1 비율로 폴리올류와 에탄올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류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 글라이콜, 펜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에틸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은, 그 입자 크기가 약 110 nm 내지 약 180 n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혼합물에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혼합물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혼합물은 글리세릴 에스테르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수상성분 약 50 중량% 내지 약 70 중량%, 계면활성제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오일류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및 유연화제 약 8 중량% 내지 약 1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릴 에스테르는 친수성기와 친유성기를 모두 가지는 알파하이드록시애씨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릴 에스테르는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레이트/올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시트레이트, 및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시트레이트/락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혼합물은 약 3:1 비율로 폴리올류와 에탄올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류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 글라이콜, 펜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에틸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가 약 0.00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2 혼합물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는 마이로플루이다이저 (microfluidizer)를 이용해 약 1000 bar 내지 약 1500 bar의 압력 하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 및 글리세릴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수중유형 (oil in water type)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난용성 물질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글리세릴 에스테르 베지클을 이용해 나노리포좀화 할 수 있으며, 이를 기능성 화장료에 적용하여 미백 활성화 기능을 극대화하는 수중유형 형태의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은 글리세릴 에스테르를 베지클로 포함함으로써, 물질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종래 레시틴과 같은 포스포리피드 베지클을 포함하는 나노리포좀의 불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난용성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의 제형 내 범용적 적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미백 활성성분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에 따른 피부 미백 개선 효능을 극대화함으로써, 적은 농도의 활성물질로도 효율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기능성 미백 활성성분인 알부틴에 비해 높은 안정성과 효능을 제공하여 화장료의 사용에 있어 실효능을 중요시하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높은 염농도를 갖는 색조 화장료에 있어서의 경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다.
도 2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의 유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의 분산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의 경시 안정성을 나타낸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의 인비보 임상에서의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의 인비보 임상에서의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의 인비보 임상에서의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 (genistein methyl ether) 및 글리세릴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는 멜라닌세포 자극 호르몬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MSH)의 작용에 관여하여 멜라닌 생성 유전자의 기능을 조절하는 유전인자인 MITF (micropht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티로시나아제의 생성을 막고 나아가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다. 종래 티노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거나 각질층을 탈락시켜 피부를 하얗게 만드는 미백 원료에 비해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는 멜라닌 세포와 피부 상피세포에서 티로신의 멜라닌 생합성 과정을 저해함으로써 탁월한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멜라닌 생합성 신호전달 체계에는 매우 다양한 신호전달물질이 관여하고 있고 멜라닌은 몇 가지 세포 내 신호전달 기전을 통하여 합성되는데, 그 중 cAMP/PKA 경로가 멜라닌 합성의 주요 경로로서 자외선에 피부가 노출되었을 때 멜라닌 세포의 cAMP (고리형 아데노신 1인산)가 증가되고 하류 신호전달 물질인 PKA (protein kinase A)를 활성화하며, CREB (cyclic 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을 거쳐 MITF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MITF는 멜라닌 합성 과정에서 중요한 전사 조절 인자로 티로시나아제, TRP-1, 및 TRP-2의 전사를 촉진하는 것으로서,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는 이러한 MITF 발현 억제를 통하여 티로시나아제, TRP-1, 및 TRP-2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켜 결국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기존 알부틴에 비해 더욱 효과적으로 멜라닌의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와 같은 플라보노이드류의 화합물은 난용성 물질이므로 화장료 적용에 있어 용해도 향상이 매우 중요하다. 용해가 적절히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이물이 발생하여 화장료 사용에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만족을 야기할 수 있으며, 경시적 용해도가 떨어져 재결정되는 사례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는 폴리올 및 알코올을 이용해 용해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는 폴리올 약 1.5 중량% 내지 약 4.5 중량% 및 에탄올 약 0.5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을 함유한 혼합액에 용해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올과 상기 에탄올을 약 3:1 (w/w)의 비율로 함유하는 혼합액에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완전히 용해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폴리올류는 피부 유연제로서 역할을 할 수 있고, 수상으로의 용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서,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 글라이콜, 펜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에틸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는 약 0.00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은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 약 0.00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약 0.0001 중량% 내지 약 30 중량%, 약 0.0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0.0001 중량% 내지 약 1 중량%, 약 0.0001 중량% 내지 약 0.1 중량%, 약 0.0001 중량% 내지 약 0.01 중량%, 약 0.0001 중량% 내지 약 0.001 중량%, 약 0.0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약 0.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약 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약 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또는 약 0.0025 중량% 내지 약 0.0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0.0001 중량%는 1 ppm을 의미한다.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은 총 중량이 1 Kg일 때,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소량인 약 25 ppm 만 함유하여도 미백 효능을 발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종래 식약처에서 정한 미백 활성 물질들 (예를 들어, 알부틴, 니아신아마이드, 아스코빌 글루코사이드 등)은 적어도 2.0 중량% (20000 ppm)의 배합량을 처방하여야 기능성 화장료로서의 표방이 가능하기에 단가적 부담이 매우 높은 게 현실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소량 배합하여도 전술한 바와 같이 티로신의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서의 저해에 따른 탁월한 미백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화장료의 제조단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은 글리세릴 에스테르에 의해 에멀젼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릴 에스테르는 친수성기와 친유성기를 모두 가지는 알파하이드록시애씨드 (AHA)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에틸렌옥사이드 (EO) 프리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릴 에스테르는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레이트/올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시트레이트, 및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시트레이트/락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릴 에스테르가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은 글리세릴 에스테르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0.5 중량% 내지 약 5 중량%, 약 0.5 중량% 내지 약 1 중량%,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또는 약 3 중량% 내지 약 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이 약 0.5 중량% 미만의 글리세릴 에스테르를 함유하면 에멀젼화가 어렵고, 약 10 중량% 초과의 글리세릴 에스테르를 함유하면 활성성분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은, 수상성분 약 50 중량% 내지 약 70 중량%, 계면활성제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오일류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및 유연화제 약 8 중량% 내지 약 12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성분에는 정제수를 포함해 피부의 유연화 및 보습에 도움을 주는 폴리올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가 약 0.1 중량% 미만으로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에 포함되면 계면활성제로서의 역할을 하기 어렵고, 약 5 중량% 초과로 포함되면 나노리포좀의 형성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상기 오일류는 사용성 (us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으며, 불포화기를 가지는 파라핀; 및, 천연 오일류인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및 해바라기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에 상기 오일류는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류가 약 0.1 중량% 미만이면 사용성 증진에 효과가 없고, 약 20 중량% 초과면, 사용성을 저해하고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상기 유연화제로는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에 상기 유연화제는 약 8 중량% 내지 약 12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연화제가 약 8.0 중량% 미만이면 유연화 효과가 작고, 약 12 중량% 초과면 안정성 저해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은 효과적인 피부 침투 및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의 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안정성 향상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안정성 향상제는 세라마이드류 및 콜레스테롤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은, 그 입자 크기가 약 110 nm 내지 약 180 n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의 입자 크기는 약 110 nm 내지 약 180 nm, 약 110 nm 내지 약 170 nm, 약 110 nm 내지 약 150 nm, 약 110 nm 내지 약 130 nm, 약 130 nm 내지 약 180 nm, 약 150 nm 내지 약 180 nm, 약 170 nm 내지 약 180 nm, 또는 약 150 nm 내지 약 170 nm일 수 있다.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은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피부에 효과적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장료 뿐만 아니라, 건강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혼합물에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혼합물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혼합물은, 글리세릴 에스테르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수상성분 약 50 중량% 내지 약 70 중량%, 계면활성제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오일류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및 유연화제 약 8 중량% 내지 약 1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릴 에스테르는 친수성기와 친유성기를 모두 가지는 알파하이드록시애씨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에틸렌옥사이드 (EO)-프리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릴 에스테르는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레이트/올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시트레이트, 및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시트레이트/락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약 0.5 중량% 미만의 글리세릴 에스테르가 혼합되면 에멀젼화가 어렵고, 약 10 중량% 초과의 글리세릴 에스테르가 혼합되면 활성성분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상기 수상성분에는 정제수를 포함해 피부의 유연화 및 보습에 도움을 주는 폴리올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제수는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성 등을 고려해 잔량으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가 약 0.1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계면활성제로서의 역할을 하기 어렵고, 약 5 중량% 초과로 혼합되면 나노리포좀의 형성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상기 오일류는 사용성 (us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으며, 불포화기를 가지는 파라핀; 및, 천연 오일류인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및 해바라기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류는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로 혼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오일류가 약 0.1 중량% 미만이면 사용성 증진에 효과가 없고, 약 20 중량% 초과면, 사용성을 저해하고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상기 유연화제로는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연화제는 약 8 중량% 내지 약 12 중량%로 혼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0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유연화제가 약 8.0 중량% 미만이면 유연화 효과가 작고, 약 12 중량% 초과면 안정성 저해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물은 안정성 향상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안정성 향상제는 세라마이드류 및 콜레스테롤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물은 약 3:1 비율의 폴리올류와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 3:1 비율의 폴리올류와 에탄올은 후속 단계에서 혼합되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완전히 용해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혼합액은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와 혼합되기 전에 냉각될 수 있다. 이때, 온도는 실온 내지 약 5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혼합물에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가 혼합된다. 이때,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는 용해되지 않은 물질 자체일 수 있으며, 또는 알코올에 분산시킨 것, 또는 폴리올 및 알코올을 이용해 완전히 용해시킨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는 폴리올 약 1.5 중량% 내지 약 4.5 중량% 및 에탄올 약 0.5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이 함유되어 있는 혼합액에 용해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올과 상기 에탄올을 약 3:1 (w/w)의 비율로 함유하는 혼합액에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완전히 용해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폴리올류는 피부 유연제로서 역할을 할 수 있고, 수상으로의 용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서,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 글라이콜, 펜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에틸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는 약 0.00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은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 약 0.00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약 0.0001 중량% 내지 약 30 중량%, 약 0.0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약 0.0001 중량% 내지 약 1 중량%, 약 0.0001 중량% 내지 약 0.1 중량%, 약 0.0001 중량% 내지 약 0.01 중량%, 약 0.0001 중량% 내지 약 0.001 중량%, 약 0.0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약 0.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약 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약 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또는 약 0.0025 중량% 내지 약 0.0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0.0001 중량%는 1 ppm을 의미한다.
상기 제 2 혼합액은 압력을 가하는 단계 전에 우선 냉각될 수 있다. 이때, 온도는 실온 내지 약 5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압력을 가하는 단계는,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 (microfluidizer)를 이용해 약 1000 bar 내지 약 1500 bar로 압력을 가하고 3 회 통과하거나 그 이상 통과함으로써, 미세유동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세유동화를 거친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은, 약 110 nm 내지 약 180 nm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의 제조 공정을 예시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정제수, 폴리소르베이트 60, 및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레이트/올레이트를 혼합하고, 여기에 파라핀 오일,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에탄올을 추가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제 1 혼합물은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약 70℃에서 약 6000 rpm 내지 약 7000 rpm의 속도로 약 5 분 내지 약 7 분간 균일하게 교반시킨 후, 약 50℃로 천천히 냉각시킨다.
상기 냉각된 제 1 혼합물에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투입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어서 약 4000 rpm 내지 약 5000 rpm의 속도로 약 5 분간 균일하게 교반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이때,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는 순수 물질 자체일 수 있고, 또는 폴리올과 에탄올이 약 3:1 (w/w)의 비율로 함유된 혼합액에 완전히 용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냉각된 제 2 혼합물은 마이크로 플루이다이저를 이용해 약 1000 bar로 압력을 가하고 3 회 이상 통과하여 평균 입도 약 110 nm 내지 약 180 nm인 나노리포좀 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 및 글리세릴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수중유형 (oil in water type)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용 조성물은 정제수, 점증제, 및 파우더를 포함하는 수상부; 계면활성제 및 오일류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포함하는 활성성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중유형 화장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화장료의 보존성을 높이기 위한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고, 피부의 유연화 및 보습에 도움을 주는 폴리올류 및 피부 도포 시 사용감 개선과 손질감을 증진시켜줄 수 있는 수분산성 파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제수는 사용성 등을 고려해 잔량으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유상부는 계면활성제, 오일류 등을 포함하며, 유분산성 자극완화제 및 항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G)가 부가된 지방산 형태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계 유화제, 글리세라이드의 하이드록시 그룹이 지방산으로 치환된 글리세라이드 지방산계 유화제, 및 육탄당의 글루코오스 중 지방산이 치환된 글루코오스계 유화제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활성성분부는 상기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1 Kg에 대해, 예를 들어, 약 25 ppm 내지 약 500 ppm 농도의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은 총 중량이 1 Kg일 때,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소량인 약 25 ppm 만 함유하여도 미백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고효율).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에서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의 농도는 약 25 ppm 내지 약 10000 ppm, 약 25 ppm 내지 약 5000 ppm, 약 25 ppm 내지 약 1000 ppm, 약 25 ppm 내지 약 500 ppm, 약 25 ppm 내지 약 100 ppm, 약 25 ppm 내지 약 50 ppm, 약 50 ppm 내지 약 10000 ppm, 약 100 ppm 내지 약 10000 ppm, 약 500 ppm 내지 약 10000 ppm, 약 1000 ppm 내지 약 10000 ppm, 약 5000 ppm 내지 약 10000 ppm, 또는 약 25 ppm 내지 약 500 pp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용 조성물은, 상술한 수상부에포함되는 수상성분과 상기 유상부에 포함되는 유상성분을 혼합하는 단계; 이 혼합물에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을 추가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혼합하는 단계에서는 우선 정제수, 폴리올, 잔탄검, 및 히아루로닉애씨드를 혼합한 수상부를 준비하고 약 70℃ 내지 약 80℃의 온도로 가온하고, 별도의 용기에 피이지 (PEG)-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디메치콘 (dimethicone), 및 토코페릴 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약 70℃ 내지 약 80℃의 온도로 가온하여 유상부를 준비한 후, 각각 준비된 수상부와 유상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호모 믹서를 이용해 약 70℃에서 약 6000 rpm 내지 약 7000 rpm의 속도로 약 6 분 내지 약 8 분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약 50℃의 온도로 천천히 냉각시킨다.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을 추가하는 단계에서는, 냉각된 혼합물에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을 투입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해 약 50℃에서 약 4000 rpm 내지 약 5000 rpm의 속도로 약 3 분 내지 약 5 분간 균일하게 혼합한 후, 다시 약 30℃까지 천천히 냉각시켜 화장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및 도면은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또는 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
하기 표 1 및 2에 사용된, 1,3-부틸렌글라이콜 (DAICEL CHEMICAL, JAPAN), 리퀴드파라핀/올리브오일 (SEOJIN CHEMICAL, KOREA), 세라마이드 (EVONIK, GERMANY), 콜레스테롤 (DOOSAN, KOREA), 에탄올 (KOREA ALCOHOL, KOREA),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DSM, GERMANY), 폴리소르베이트 60 (CRODA, UK),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CREMER, GERMANY), 레시틴 (LIPOID, USA),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CLARIANT, SWISS), 실리카 (PTL, KOREA), 잔탄검 (AJINOMOTO, JAPAN),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CRODA, UK),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CRODA, UK), 디카프릴 카보네이트 (BASF, GERMANY),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EVONIK, GERMANY), 세탄올 (KAO, JAPAN),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DSM, GERMANY),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스쿠알란/폴리소르베이트 60 (SEPPIC, SINGAPORE), 알부틴 (BIOLAND, KOREA), 1,2-헥산디올 (SYMMRISE, GERMANY), 및 페녹시에탄올 (YOKKAICHI, JAPAN)은 구입하여 사용되었다.
실험예 1: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의 미백 활성
미백에 대한 활동도를 측정하기 위해, B16F1 (mouse melanoma: ATCC, USA) 세포를 사용하였으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의 멜라닌 (melanin)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선 B16F1 세포를 10% FBS-DMEM (fetal bovine seru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USA)에 배양하고 이를 취하여 세포농도를 5.0×104 cell/㎖로 조정한 세포액을 조제하였다. 이 세포액을 6-웰 플레이트에 2 ㎖씩 분주한 다음,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24 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최종농도 0.2 μM α-MSH (Sigma, USA)로 조제한 배지 1.8 ㎖와 농도별 시료 200 ㎕을 혼합한 뒤 다시 동일 조건에서 72 시간 배양시켰다. 이때 음성 대조구 (Blank)의 경우, α-MSH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만을 넣었으며, 양성 대조구는 500 ㎍/㎖의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72 시간 배양한 후, 각 플레이트 용액의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산식염수 완충액 (1×PBS(-), Sigma, USA)으로 2 회 세척하고 트립신 (trypsine)-EDTA 용액 (Sigma, USA,)을 200 ㎕씩 넣은 뒤 세포를 분리하였다. 이를 마이크로튜브에 획득한 다음 원심 분리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여 펠렛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펠렛을 다시 1×PBS(-)로 2 회 세척하고 70℃에서 1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여기에 10% DMSO (dimethyl sulfoxide; in 1 M NaOH, Sigma, USA) 400 ㎕을 넣어 녹인 다음 이를 200 ㎕씩 취하여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49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microplate reader (Biorad, USA)].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실험 결과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 (G.M.E)가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2.5 ㎍/㎖ 농도에서는 양성 대조구인 알부틴 500 ㎍/㎖ 보다 높은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의 제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제조 방법>
1. 베이스 제조를 위해 A상을 정밀하게 계량하여 용기에 계량한 다음 Agi-믹서 (SSC812CA, MATSUSHITA, JAPAN)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수상을 분산시켜 70℃ 내지 80℃로 가온하여 A상을 준비한다.
2. B상에 C상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넣은 다음 균일하게 혼합하고 70℃ 내지 80℃로 가온하여 준비한다.
3. 별도의 용기에 실온에서 D상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50℃로 가온하여 준비한다.
4. 70℃ 내지 80℃에서 준비된 B상 및 C상을 A상에 서서히 혼합하며 호모 믹서 (TK HOMO MARK II, PRIMIX JAPAN)를 이용하여 6000 rpm 내지 7000 rpm으로 7 분간 균일하게 분산시켜 에멀젼을 형성시키고 50℃까지 냉각한 다음, 준비된 D상을 천천히 혼합하며 호모 믹서를 이용해 4000 rpm 내지 5000 rpm으로 5 분간 균일하게 분산시켜 프리-에멀젼 (Pre-emulsion)을 형성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5. 형성된 프리-에멀젼을 마이크로플루이딕스 (microfluidics; MN250A, MICRONOX KOREA)를 이용해 1000 bar 내지 1500 bar로 압력을 가하여 3 회 통과시켜 나노리포좀을 형성한다.
실시예 : 수중유형 화장용 조성물의 제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수중유형 화장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2
<제조 방법>
1. A상을 정밀하게 계량하여 용기에 계량한 다음 Agi 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수상을 분산시켜 70℃ 내지 80℃로 가온하여 A상을 준비한다.
2. B상을 정확히 계량한 후 폴리올에 점증제를 균일하게 선 분산한 다음 A상에 넣어 균일하게 혼합하고 70℃ 내지 80℃로 가온하여 준비한다.
3. 별도의 용기에 C상을 정밀하게 계량한 다음 가온하여 70℃ 내지 80℃로 준비한다.
4. 준비된 C상을 A상 및 B 상에 서서히 혼합하며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6000 rpm 내지 7000 rpm으로 7 분간 균일하게 분산시켜 에멀젼을 형성시키고 50℃까지 냉각한 다음, 준비된 D상을 천천히 혼합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해 4000 rpm 내지 5000 rpm으로 5 분간 균일하게 분산시켜 에멀젼 (emulsion)을 형성한다.
5. 50℃에서 E상을 에멀젼을 형성한 A상, B상, C상 및 D 상에 서서히 혼합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4000 rpm 내지 5000 rpm으로 5 분간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나머지 F상을 투입하여 추가 2 분간 더 분산시킨 후 공정을 마무리한다.
<결과>
본 실시예에 있어 수상부에 해당하는 점증상부는, 폴리올류와 선분산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점증제의 뭉침으로 제형 중 이물 및 점도, 경도와 같은 에멀젼의 물리적 성질이 제대로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 3과 비교예 10을 통해 이 같은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면활성제의 경우, HLB 값이 약 10 내지 11인 친수기가 치환된 지방산인 친수형 계면활성제와 친유 성분이 강한 HLB 값이 약 2 내지 4인 글리세릴계 지방산 계면활성제를 혼합 사용하여 마이셸 계면의 막을 강화하는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유화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수중유형의 에멀젼 형성시 상대적으로 HLB 값이 높은 친수형 계면활성제와 HLB 값이 낮은 친유성 계면활성제의 조합을 통해 계면막의 패킹 (packing) 정도를 단단하게 하여 제형의 안정성을 높이는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하지만, 친수형 계면활성제는 0.1 중량% 미만 사용하였을 시 (비교예 7), 유화막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에멀젼이 쉽게 분리되는 현상을 보였으며, 8 중량% 이상을 사용하였을 시 (비교예 8), 유화의 안정성 약화는 물론 사용감에 있어서 매우 눅진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HLB 값이 약 2 내지 4인 글리세릴계 지방산 계면활성제를 2 중량% 이상 사용하였을 시에는 오히려 유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결과를 얻었다 (도 3 참조).
상기 HLB 값은 계면활성제의 친수·친유 정도를 수치화한 것으로서, 하기 수학식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의 HLB 값이 낮을수록 계면장력을 떨어뜨리는데 효과적이다.
수학식
Figure pat00003
(Mw는 친수기의 분자량이고, Mo는 친유기의 분자량임)
실시예 3의 경우 뭉침 없이 깨끗이 분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분산 시간도 매우 단축되었다. 반면, 비교예 10의 경우 이물감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 참조).
<종래 미백 활성성분(알부틴)사용 수중유형 화장용 조성물과의 비교>
상기 실시예 3 및 비교예 11의 화장용 조성물에 대한 온도별 물성변화를 시험하기 위하여 다음의 기기를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4
또한, 성상 비교 평가는 제조 후 1 일간 방치 후 온도별 특이사항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각각에 대하여 30 일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평가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pat00005
표 3을 참조하면,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를 사용한 수중유형 화장용 조성물의 경우, 경시 안정성이 뛰어났으며 알부틴을 사용한 베이스의 경우, 1 개월 차 고온 안정성 및 색 변화에 있어서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도 5 참조).
<종래 베지클(레시틴)사용 수중유형 화장용 조성물과의 비교>
상기 실시예 3 및 비교예 12의 화장용 조성물에 대한 점도 및 성상 비교를 위하여 제조 후 30 일간 온도별 특이사항을 육안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at00006
<HPLC를 이용한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의 역가 시험>
실시예 3에 사용된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가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일정량의 시료를 덜어 표준 물질과 비교 분석을 HPLC (AGILENT 1200, AGILENT JAPAN)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pat00007
표 5를 참조하면, 수중유형 화장용 조성물 중 미백 활성성분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에 대한 분산 정도는 표준 시료대비 99 % 내지 101%의 보존율을 나타내어 고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의 분산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수중유형 조성물의 미백 활성 인비보 테스트
실시예 3 (시험군)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용 조성물의 조성은 하기 표 5와 같으며 조성물 중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로서 농도는 25 ppm 이다 (G.M.E-함유 나노리포좀의 농도는 전체 조성물에 대해 500 ppm). 시험 기간은 8 주로 하고 30대 내지 50 대의 성인 여성 24 명을 대상으로 인비보 (in-vivo) 임상을 실시하였다. 도포 방법은 인공 유도된 색소 침착 부위에 하루 2 회 피험자가 자가 도포하였으며, 시료 도포 2 주, 4 주, 4 주 후에 Mexameter (MX-18, CK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한 기기 평가와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육안평가, 안전성 평가 그리고 피험자 설문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pat00008
먼저, 임상 결과에 따라, 육안평가 수치 변화와 Mexameter를 이용한 수치의 변화는 표 7, 8 및 도 6a, 6b, 7a, 7b에 각각 나타내었다.
[표 7] 육안 평가 색소침착 감소 정도
Figure pat00009
시료 도포 2주 후부터 시험군 사용부위에서 대조군 사용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미백 효과를 전문가의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였다. p 값 (p-value)은 연구자가 설정한 진위의 영가설에서 검정통계치를 희소 또는 극한 값으로 얻을 확률 값을 말한다. 산출된 p 값이 낮을수록 표본자료에서 영가설을 기각할 증거가 강하다는 것이다.
[표 8] 기기 평가 멜라닌 색소 감소 정도
Figure pat00010
시료 도포 8 주 후, 시험군 사용부위에서 대조군 사용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멜라닌 색소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험군의 시료를 이용해 시험기간 동안에 발생한 피부 이상증상에 대해 시험도 병행하여 진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시험기간 동안 발생한 피부 이상증
Figure pat00011
시험기간 동안 특별한 이상 증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 25 ppm을 사용한 미백 시험군 제품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미백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사용기간 동안 특별한 이상 반응 유발하지 않아 안전하고 효과적인 미백 기능성 제품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실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 (genistein methyl ether) 및 글리세릴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가 0.0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릴 에스테르는 친수성기와 친유성기를 모두 가지는 알파하이드록시애씨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릴 에스테르는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레이트/올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시트레이트, 및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시트레이트/락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릴 에스테르가 0.5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6. 제 1 항에 있어서,
    수상성분 50 중량% 내지 70 중량%, 계면활성제 0.1 중량% 내지 5 중량%, 오일류 0.1 중량% 내지 20 중량%, 및 유연화제 8 중량% 내지 12 중량%를 더 포함하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7. 제 1 항에 있어서,
    3:1 비율로 폴리올류와 에탄올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류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 글라이콜, 펜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에틸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9. 제 1 항에 있어서,
    크기가 110 nm 내지 180 nm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10.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혼합물에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혼합물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물은 글리세릴 에스테르 0.5 중량% 내지 10 중량%, 수상성분 50 중량% 내지 70 중량%, 계면활성제 0.1 중량% 내지 5 중량%, 오일류 0.1 중량% 내지 20 중량%, 및 유연화제 8 중량% 내지 1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릴 에스테르는 친수성기와 친유성기를 모두 가지는 알파하이드록시애씨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의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릴 에스테르는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레이트/올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시트레이트, 및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시트레이트/락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의 제조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물은 3:1 비율로 폴리올류와 에탄올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류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 글라이콜, 펜틸렌 글라이콜 및 폴리에틸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의 제조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가 0.0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의 제조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물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는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를 이용해 1000 bar 내지 1500 bar의 압력 하에서 수행되는 것인,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의 제조 방법.
  18.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 및 글리세릴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이 수중유형 (oil in water type)인 것인, 화장용 조성물.
KR1020150069470A 2015-05-19 2015-05-19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1682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470A KR101682984B1 (ko) 2015-05-19 2015-05-19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PCT/KR2015/006682 WO2016186240A1 (ko) 2015-05-19 2015-06-30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 -함유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CN201580065124.0A CN107613945B (zh) 2015-05-19 2015-06-30 染料木素甲醚-含有纳米脂质体及其制备方法以及包含其的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470A KR101682984B1 (ko) 2015-05-19 2015-05-19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494A true KR20160136494A (ko) 2016-11-30
KR101682984B1 KR101682984B1 (ko) 2016-12-08

Family

ID=5732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470A KR101682984B1 (ko) 2015-05-19 2015-05-19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82984B1 (ko)
CN (1) CN107613945B (ko)
WO (1) WO20161862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393A (ko) * 2018-12-24 2020-07-03 주식회사 휴메딕스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KR102622315B1 (ko) * 2023-03-31 2024-01-08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고분자 다당류를 고함량으로 안정하게 포집한 나노베지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3659B2 (en) 2017-10-27 2022-11-08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s of analyzing cement integrity in annuli of a multiple-cased well using machine learning
KR102272072B1 (ko) 2019-09-18 2021-07-02 (주)에이티 랩 나노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759774A (zh) * 2020-08-17 2020-10-13 刘婷 美白抗皱精华液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2818A1 (en) * 1999-10-08 2003-01-30 Guy Miller Formulations of tocopherol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KR20080106618A (ko) * 2007-06-04 2008-12-09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다중층 리포좀 및 단일막 나노 리포좀을 포함하는다중-유화 베시클
WO2011129588A2 (ko) 2010-04-13 2011-10-20 (주)아모레퍼시픽 경피흡수용 고분자-리포좀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3002479A2 (ko) * 2011-06-28 2013-01-03 한국콜마 주식회사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6388A1 (en) * 2000-11-24 2002-08-08 Pugliese Peter T. Formulation of flavones and isoflavones for treatment of cellulite
KR100835250B1 (ko) * 2006-09-07 2008-06-09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자기유화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04370B1 (ko) * 2007-10-15 2009-06-23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3432009B (zh) * 2013-09-12 2015-12-02 广东轻工职业技术学院 一种美白剂脂质体包覆微囊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2818A1 (en) * 1999-10-08 2003-01-30 Guy Miller Formulations of tocopherol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KR20080106618A (ko) * 2007-06-04 2008-12-09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다중층 리포좀 및 단일막 나노 리포좀을 포함하는다중-유화 베시클
WO2011129588A2 (ko) 2010-04-13 2011-10-20 (주)아모레퍼시픽 경피흡수용 고분자-리포좀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3002479A2 (ko) * 2011-06-28 2013-01-03 한국콜마 주식회사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ol.39, No.4, December 2013, 289-29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393A (ko) * 2018-12-24 2020-07-03 주식회사 휴메딕스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KR102622315B1 (ko) * 2023-03-31 2024-01-08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고분자 다당류를 고함량으로 안정하게 포집한 나노베지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13945B (zh) 2021-04-20
CN107613945A (zh) 2018-01-19
WO2016186240A8 (ko) 2017-05-04
KR101682984B1 (ko) 2016-12-08
WO2016186240A1 (ko)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984B1 (ko)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JP6295261B2 (ja) 少なくとも一種のヒドロトロープ及び少なくとも一種の活性化合物を含む化粧品組成物
CN104921965B (zh) 减少对皮肤的增白效果的涂覆后的二氧化钛
CN104414869B (zh) 一种皮肤和/或毛发美白混合物
CN105188660B (zh) 化妆品组合物
EP2088986B1 (en) Skin external preparation in the form of water-in-oil emulsion comprising ceramide
AU2006352358B2 (en) Skin lightening composition for hyperpigmented skin
TW200812634A (en) Dermatological anti-wrinkle agent
WO2020137017A1 (ja) 美白剤、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細胞内活性酸素消去剤、刺激緩和剤、シワ改善剤、複合体、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CN106619167A (zh) 一种美白提亮组合物、制备方法和在化妆品中的应用
CN107438426A (zh) 使用源自植物的天然表面活性剂的化妆料组合物
KR20200043406A (ko) 미백제, 미백용 피부 외용제 및 피부의 미백 방법
CN115305215A (zh) 乳杆菌属的新型细菌发酵剂
KR101890941B1 (ko) 토코페롤 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공정
WO2007105706A1 (ja) 美白用皮膚外用剤及び皮膚の美白方法
KR102004147B1 (ko)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8733B1 (ko) 인지질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23119063A (ja) 美白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骨形成蛋白質4抑制剤、化粧料及び化粧料の製造方法
JP2010120873A (ja) 皮膚外用剤
JP2010270067A (ja) 乳化組成物
TW202308591A (zh) 化妝料
JP5856761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081883A (ja) 皮膚外用剤
JP7246125B2 (ja) 表皮細胞賦活剤
KR102660509B1 (ko) 알칼리성 조건에서 식물성 혼합계면활성제의 제조방법과 장기 안정화 개선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4